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과 센터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관리자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강현구 성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The number of volunteers registered at nationwide volunteer service centers is over 8 million as of 2013, among whom more than 2 million are actively engaged in volunteer activities. This means one volunteer service manager has to handle 2,000~8,000 volunteers. Such shortage of personnel causes stress of excessive load, demoralization and turnover, which hinders systematic work performances and effective oper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effect of leadership of center directors and service orientation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ognized by team managers or above level at the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set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in order to find a practical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policy resources. To achieve such goal, this study took sampling of 174 volunteer service managers whose position was managers or above level at 249 nationwide volunteer servic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when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it proved that service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wa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p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lso confirmed. Secondly, when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center director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it proved that the center director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wa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p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lso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ervice orientati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ly, the level of service which volunteer service managers pursued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d the effective oper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it prov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t a time when there was no higher service orientation. As such, it is very important for volunteer service managers to commit the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as lowered by service orientation. However, it is recommended not to consider the matters of service orientation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s personal matter or matters of relevant centers. Rather, it needs to consider those things from a perspective of a social welfare to which our society needs to pay atten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erspective of cooperation between volunteer service managers, volunteer service center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state and the society to improve service orient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which also requires supports from policy perspective. Secondly, the study prov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leadership of managers. Such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t a time when there was no higher service orientation. Accordingly, i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reinforced together with leadership of managers, it may enable to respond rapid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s proactively and it can be utilized as a useful strategy for volunteer service cent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tervene with practical perspectives such as education or program development to reinforce leadership capacity of manger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 words: volunteer service center, volunteer service manager, service orientation, leadership of center director, organizational commitment 전국자원봉사센터에 등록 된 자원봉사자는 2013년 현재 8백만 이상이며 이중 활동하는 자원봉사자의 수도 2백만명을 넘고 있다. 이는 전국에 있는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 1명이 2천명에서 8천명 정도의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해야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들은 인력 부족에 따른 업무가중 스트레스, 사기저하, 이직 등의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체계적인 업무수행과 자원봉사센터의 효과적인 운영에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팀장급 이상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관리자가 인식하는 센터장의 리더십과 서비스 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설정한 조직몰입이 이들 간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자원봉사센터 249개의 팀장급 이상 자원봉사관리자 174명을 표집하였으며, SPSS 19.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지향성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서비스 지향성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사업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또한 입증되었다. 둘째, 센터장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센터장 리더십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사업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 조직몰입은 서비스 지향성 및 하위변수인 사업성과, 직무만족과 조직효과성 간을 매개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지향하는 서비스 정도는 자원봉사센터라는 조직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조직몰입은 서비스 지향성이 그리 높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는 서비스 지향성으로 인해 낮아진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에 몰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이나 조직몰입의 문제를 자원봉사관리자 개인이나 그 센터만이 해결해야 하는 측면으로만 바라보는 것보다 자원봉사는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사회복지의 한 축이라는 관점으로 생각하고,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봉사관리자, 자원봉사센터, 행정기관, 그리고 나아가 국가와 사회가 같이 협업해야하는 관점으로 인식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정책적 관점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결과 조직몰입은 관리자 리더십을 매개하여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서비스 지향성이 그리 높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 리더십과 함께 조직몰입이 강화된다면,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자원봉사센터에 유용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 및 조직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실천적 관점에서의 개입이 요구된다.

      • 충돌회피를 위한 가속도를 고려한 차선변경 시스템 개발

        강현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paper presents the lane change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a making collision avoidance path and automated path following. Using a calculation of TTC (Time to Collision), partial braking is operated and collision avoidance path is generated considering relative distance, velocity and acceleration. After that, desired yaw angle and yaw rate are calculated from collision avoidance path for an automated path following. In order to automate path following, lateral controller is needed. So the lateral controller is developed by control-lyapunov function using 3 D.O.F vehicle model and vehicle parameter. The controller use yaw angle, yaw rate, wheel velocity, longitudinal and lateral velocity to generate required steering angle to follow the desired yaw angle and yaw rate. This system is developed MATLAB/Simulink and its performance is evaluated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CarSim.

      • 腦機能의 偏向性과 學業成績과의 關係 硏究 : 認知的機能과 認知的選好를 中心으로

        강현구 全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1839

        A School Curriculum is weighted toward students that utiliza linear, sequential modes of thinking. Achievement tests are designed to measure analytical processing skills. In short, schooling tends to emphasize the cognitive functions usually attributed to the lefted hemisphere of the brain while schooling neglects those attributed to the right. Students whose hemisphere bias favors cognitive of right hemisphere would have predictable difficulty in school carriculum. This study was tasted to determine where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measured by the Cognitive Laterality Battery(C.L.B) and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Y.S.O.L.T). It was hypothesized that 1)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right or lefte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2) the difference between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or right brain and academic achievement. 3)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or right brai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whole achievement brain. In order to test three hypotheses, the subjects were 200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as tas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measured by Cognitive Laterality Battery and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This study adapted ANOVA, standard deviation and law score to test hypothese. The Cognitive Laterality Battery has six subtests, three that assess Visuospatial skills attributed to right brian dominance and three that assess Verbosequential abilities attributed to Left brain dominance. Righ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is that cognitive laterality quotient was greater then zero. Lef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 is that Cognitive Laterality quotient was less zero. F-test used to determine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right hemishpere dominance stud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cademic achievement that performed better on tests attributed to the Left cerebral hemisphere(See table 6.7 fig 6)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Consists of 40 items. For some statements, the choice is interpreted as preference for Left-brain function :other statement suggest right-brain functioning, while the rest indicate a neutral position which is interpreted as intergrated. The fallowing ar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 ① There is difference between whole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and right brain(see table 9) ②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or Left dominance and intergrated dominance brain(see table 11,12)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 접목 밀도를 조절한 블록 공중합체 브러시의 합성 및 특성 연구

        강현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Block copolymer (BCP) brushes are surface-anchored BCP chains, which have been widely utilized for controlling surface properties in nanoscale and for creating complex surface structures by self-assembly or lithographic patterning. Since the properties of polymer brushes are governed by grafting density, the synthetic method for its effective control and its effect to surface behaviors of resulting BCP brushes should be comprehended. Herein, we demonstrate the synthesis of poly(styrene-b-methyl methacrylate) (P(S-b-MMA)) using a crosslinkable random copolymers, compositionally varied poly(styrene-r-glycidyl methacrylate) (P(S-r-GMA)), which can be further functionalized with a molecule having initiator group upon crosslinking process. With careful optimizations, P(S-b-MMA) brushes were successfully grown from the surfaces via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The final grafting density of the BCP brushes were controlled in three different regimes: low, moderate and high density. Phase behaviors of synthesized brushes were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examined, elucidating the significance of controlling grafting density in BCP brushes.

      • 편광 안경 방식의 Pattered Retarder 입체 TV 시청 시 입체적 융합이 일어나는 양안시차 범위

        강현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The two eyes are separated horizontally. So they have parallax differences, called a binocular disparity, which constitutes the stimulus for the stereoscopic depth. In addition, it has been known that stereopsis occurs in the panum's fusion area. Panum's fusion area exist around the experimental horopter and the shape of the experimental horopter had been known to depend on the viewing distance. Hence, to determine the panum's fusion area in 3D TV, experimental measurement at the viewing condition of 3D TV is required. Threshold of the binocular disparity that the participant can observe the clear stereoscopic image by 3D TV of Patterned Retarder (PR) technology using polarizing eyeglass is determined at the viewing distance of 2.5m. Stereoscopic images with the different size of the binocular disparity wer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3D TV and the threshold that the participant observes the double image or stereoscopically fused image was determined. Commercial 3D TV based on the Patterned Retarder (PR) 3D technology with the diagonal size of 47 inch, horizontal width of 1040 mm, the resolution of 1920 by 1080 and the pixel pitch of 0.540 mm was used as 3D display sample. At the distance of 2.5m, people with the visual acuity larger than 20/30 can discern the optotype of ‘m’ and inverted ‘m’ when this optotype is shown in 3D display sample of the pixel pitch of 0.540mm( The size of optotype ‘m’'s length and width is 5.4☓5.4mm). Optotype of ‘m’ of line thickness of 1.08mm with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is used as the stereoscopic stimulus. Under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of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stereoscopic stimulus, the threshold for 40 participants are measured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by viewing angles and depth. As the participants, 40 people (19 males, 21 females) are selected who have the visual acuity larger than 20/25 for the monocular vision and 20/20 for the binocular vision. people of the participants are 23.6 ±3.15 years old. Participants with the stereoscopic acuity of smaller than 60 arc seconds were 30 people and those of larger than 70 arc seconds were 10 people. Stereoscopic acuities of all participants were in the range of 200 to 40 arc seconds. The average I.P.D.( Interpupillaly distance) was measured to be 63.06±2.46mm. To prevent the unwanted effect caused by the order of these four procedures, four sequences are designed where four procedure S1~S4 are uniformly distributed. 40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4 groups of 10 participants. Among these 40 participants, stereoscopic acuity of the 30 participants are measured to be less than 60 arc seconds and stereoscopic acuity of the 10 participants are in the range of 70 ~ 200 arc seconds. The measured average threshold are measured to be different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measured average threshold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binocular disparity for the near-depth are measured to be 12.2mm and ±5.35mm when the results from 10 spatial positions of B are averaged, in case that the binocular disparity increase from the zero dispar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binocular disparity decreases toward the zero disparity, the spatially averaged threshold and the standard deviation are measured to be 9.71±5.03mm. The binocular disparity for the far-depth are measured to be 45.4 ± 27.7mm, in case that the binocular disparity increases from the zero disparity.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ly averaged threshold and the standard deviation are measured to be 40.7±27.6mm. Thresholds are measured to be slightly larger for the condition of the increasing binocular disparity compared to the condition of the decreasing binocular disparity. Personal differences are measured to be noticeable. In addition, binocular disparities of the frontal viewing direction are measur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oblique viewing direct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anum's fusion area in front and back of the stereoscopic TV is derived from the calculated crossing point. This area is shown that the area in front of the screen is smaller than the area in back of the screen. 우리 눈은 동공거리만큼 양안이 떨어져 있어 물체를 주시할 때 양안시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입체감을 느낀다. 또한 입체시는 양안 융합이 가능한 파눔의 감각성 융합역 내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파눔 융합역은 경험적 호롭터의 전·후방에 존재하며 경험적 호롭터의 형태는 거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3D TV에서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파눔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3D TV 시청 조건에서 파눔 융합역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피 실험자가 2.5m 거리에서 Patterned Retarder (PR) 방식 3D 기술로 제작된 3D TV(47 인치, 해상도 1920 × 1080, 가로 길이 1040mm)의 디스플레이의 입체 영상을 편광 안경방식으로 시청할 때 선명한 입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양안시차 영역을 측정하였다. 시표는 'm' 모양으로, 시표의 전체 크기는 5.4☓5.4mm(가로☓세로)였으며, 방향은 위와 아래로 하여 입체 자극을 주어 피 실험자가 시표 방향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2.5m 거리에서 1.08mm의 두께의 시표를 읽을 수 있는 경우 약 20/30이상의 시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40명의 피 실험자에게 수평방향의 양안 시차 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시청각도 및 근치감과 원치감 방향별로 양안시차의 임계값을 시표가 융합되고 분리되는 지점을 통해 측정하였다. 단안시력이 20/25이상, 양안시력이 20/20이상인 총 40명의 피 실험자(남 19명, 여 21명)를 선정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23.62±3.15세, 동공 간 거리는 57~67mm로 평균 63.06±2.46mm였다. 실험 순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 실험자를 10명씩 네 그룹으로 나누어 순서를 적절하게 배치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살펴보면 피 실험자의 평균 입체 시력은 60arc seconds 이상이 30명, 70~200arc seconds가 10명이었으며 입체 시력에 따른 임계값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 순서에 의한 영향이 일부 있는 것으로 보아 실험 순서를 적절히 배치하여 순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근치감 방향의 실험결과는 양안시차를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을 때 평균과 표준편차가 12.2mm ±5.35mm, 반면에 양안 시차를 0 방향으로 감소시키면서 측정하였을 때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9.71 ± 5.03mm였다. 원치감 방향에서는 양안시차가 0에서부터 증가하는 경우, 양안시차 임계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5.4 ±27.7mm로 측정되었으며, 양안시차가 0방향으로 감소되는 경우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0.7 ±27.6mm 였다. 증가법과 감소법으로 측정된 값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 결과 양안시차의 범위가 비교적 큰 개인차를 보였으며, 정면을 응시할 때 보다 측면을 응시할 때 임계 시차 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임계 시차 량을 통해 양안이 주시하는 시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계산하여 입체 TV 전후에 위치하는 파눔의 감각성 융합역의 범위를 유도하였다. 이 영역은 전방보다 후방 쪽에 넓게 분포한다.

      • 대한민국 표준기상데이터를 적용한 건물에너지 저감에 관한 연구

        姜賢九 蔚山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국내의 표준기상데이터의 부제로 국외의 기상데이터를 적용하여 에너지 부하를 산출하였었다. 한국태양에너지학회에서는 2009년 2월부터 11개 지역의 표준기상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표준기상데이터의 사용을 통하여 건물의 냉·난방부하 산출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건물을 건축계획 요소인 단열강화, 창면적, 창호구조, 루버와 유지관리 요소인 조명, 열교환기 설치를 통한 냉난방 부하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 효과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표준기상데이터 및 열역학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국내 및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물에너지 인증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위해 단순한 모델링을 한 뒤 이론식에 기반한 수계산의 결과값 산출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결과값 산출을 통해 냉난방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고, 열 획득 및 손실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여 정확성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실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냉난방부하를 분석하고 에너지부하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건물에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및 절감율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본 논문에서의 연구결과는 온도차를 이용한 방법, CLTD/CLF/SCL법, RTS법과 IES/VE 프로그램의 네 가지의 방법으로 산출된 난방부하 및 냉방부하가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으나 냉방부하량의 CLTD/CLF/SCL법으로 산출된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절기에 따른 요소별 열 획득 및 손실량 비교 결과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산출된 값의 경우에는 온도차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축열에 의한 시간지연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 외의 방법으로 산출된 값에서는 축열에 의한 시간지연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상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연간 154.07kWh/㎡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성능개선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의 분석 결과 건축계획 요소의 개선에 따른 에너지 절감은 삼중로이유리 변경이 6.27%로 절감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면적비, 벽체단열강화, 지붕단열강화의 순으로 나타났다.건물의 유지관리 요소의 개선에 따른 에너지 절감은 필요환기횟수를 충족시키면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전열교환기 설치를 통해 27.44%의 절감이 이루어 졌으며 조명개선을 통해 9.66%의 절감이 이루어졌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성능개선요소를 누적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분석한 결과 건축계획 요소의 개선을 통해 연간 135.61kWh/㎡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 할 수 있으며, 건물의 유지관리의 성능개선 요소인 조명의 개선과 전열교환기의 추가적인 개선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연간 108.32kWh/㎡로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실내온도 설정이 에너지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내 권장온도인 난방온도 20℃, 냉방온도 26℃에서 2℃의 변화만 주어도 에너지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며 6℃의 변화를 줄 경우에는 기존 에너지 사용량의 2배가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물의 성능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도 중요하지만 실내 권장온도인 난방온도 20℃, 냉방온도 26℃를 유지하는 것이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energy usage and load, improve performance and find out energy usage reduction effects by applying Korea’s typical meterological data and using a simulation program. Accurate typical meterological data is required to find out energy load but overseas meterological data was used in Korea. However, Korea’s typical meterological data provided by KSES (Korea Solar Energy Society) provided on February 2009 has ensured accurate analysis. First of all, we understood fundamental concepts of typical meterological data and thermodynamics and investigated domestic and overseas certification criteria of building energy. Specifically, based on model buildings to analyze energy usage, we compared numerical theoretical calculation results and simulation program results and analyze factors which affect cooling and heating load. We also analyze heat gain and loss components and validate accuracy. We analyzed cooling and heating loa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argeting actual buildings and compared energy load. Besides, we suggested how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and compared and analyzed energy usage and reduction percentag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eating load and cooling load calculated from the four methods such as method of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CLTD/CLF/SCL, RTS and IES/VE program showed similar results but the result calculated from CLTD/CLF/SCL of cooling load recorded higher value. The comparison results of heat gain and loss of each factor based on season showed that values acquired from indoor·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considered only temperature, not causing time delay due to heat storage. However, values acquired from other methods caused time delay due to heat storage.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of actual buildings, 154.07kWh/㎡ energy was used annually. The analytical results of energy usage depending on performance improvement to reduce energy usage showed that change to Triple Low-E Glas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reducing energy usage recording 6.27% of reduction percentage. Triple Low-E Glass was followed by window area’s rate, strengthening wall insulation and strengthening roof insul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energy reduction through improvement of building maintenance factors, 27.44% of energy reduction was achieved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r which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satisfy necessary numbers of ventilation and 9.66% of energy reduction was achieved by improving lights. Results of analyzing energy reduction depending on accumulation of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s based on the abov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135.61kWh/㎡ of annual energy was saved through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lan factors and 108.32kWh/㎡ of annual energy was saved through improvement of lights and heat exchangers for building maintenance. In addition, it was proven that setting indoor temperature has great effects on energy usage. That is, changing 2℃ at recommended indoor temperature (heating temperature: 20℃, cooling temperature: 26℃) could energy consumption remarkably and changing 6℃ caused the existing energy consumption to be doubled.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educe energy by improving building performance but also to maintain recommended indoor temperature (heating temperature: 20℃, cooling temperature: 26℃) to control increase i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 열처리가 선택적 레이저용융법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합금의 미세구조, 잔류응력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강현구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Purpose: The cobalt-chromium (Co-Cr) alloy fabricated by the selective laser melting (SLM) method shows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ose of Co-Cr alloy fabricated by casting method. However, due to inhomogeneous microstructures and excessive residual stresses caused by rapid heating and cooling, as-SLM Co-Cr alloy cannot be used directly in clinical applications, thus, subsequent heat treatment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Co-Cr alloys were prepared by casting method and SLM method to compare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the Co-Cr alloys prepared by SLM method were hea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the changes in the microstructures, residual stresse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Disc specimens for the microstructures and residual stresses analysis and hardness testing, and dumbbell-shaped tensile specimens of ISO 22674:2016 standard for tensile testing were fabricated by casting method (Cast Co-Cr) and SLM method (SLM Co-Cr). Two disc specimens and 5 tensil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group. SLM Co-Cr (as-SLM) was heated to 750℃ (SLM 750), 950℃ (SLM 950), and 1150℃ (SLM 1150) to compared changes in the microstructures, residual stresses,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microstructures were analyzed via SEM, EDS, and EBSD, and residual stresses were measured via a XRD for residual stresses.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a Vickers hardness test and a tensile test. After the tensile test, fractography was performed. For comparison between cast Co-Cr group and SLM Co-Cr group,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followed by a post-hoc analysis by Bonferroni correction. For comparison according to heat treatments, one-way ANOVA and Tukey HSD test were used. Results: In the as-SLM group, decreases in porosity, grain refinement, increases in solid solution limit, and high residual stresses were observed, and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yield strength (YS),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ast Co-Cr group (P < .05).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s, the microstructures, residual stresses,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drastically changed, and the strength and hardness showed a tendency opposite to the elongation. In the SLM 750 group, the microstructures were homogenized, the precipitates increased, and the HCP phase was increased, and the UTS, YS,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5), but the elongation decreased compared to the as-SLM group (P < .05). In the SLM 950 group, the number of precipitates decreased, but the size increased, and the HCP phase decreased. Almost no precipitates were observed in the SLM 1150 group, and the HCP phase was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SLM 750 group, the UTS, YS, and hardness of the SLM 950 and SLM 1150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5), and the elong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5). Compared the as-SLM group, the UTS of the SLM 1150 group and the YS and hardness of the SLM 950 and SLM 1150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5), and the elongation of the SLM 950 and SLM 1150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5). Type Ⅰ residual stresses decreased by 93% at 750℃ heat treatment, but Type Ⅱ and Ⅲ residual stresses remained even after 1150℃ heat treatment.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residual stresses, homogenization of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is appropriate to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950℃ or higher. ------------------------------------------------------------------------------------------------------- Key Words : Cobalt-chromium alloy, additive manufacturing, selective laser melting, residual stress, heat treatment 목적: 선택적 레이저용융법(selective laser melting, SLM)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합금은 주조법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합금(cobalt-chromium, Co-Cr)에 비해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급속 가열과 냉각에 의해 초래되는 불균질한 미세구조와 과도한 잔류응력으로 인해 제작 후 직접적으로 임상에 적용하기 어렵고, 후속적인 열처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법(casting)과 선택적 레이저용융법으로 코발트-크롬 합금을 제작하여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선택적 레이저용융법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합금을 다양한 온도에 따라 열처리 후 미세구조, 잔류응력 및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주조법(cast Co-Cr)과 SLM 방법(SLM Co-Cr)으로 미세구조, 잔류응력 분석과 경도 시험을 위한 디스크 시편과 인장 시험을 위한 ISO 22674:2016 규격의 덤벨 형태 인장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그룹당 디스크 시편 2개, 인장 시험 시편 5개씩 제작하였다. SLM Co-Cr 합금(as-SLM)은 잔류응력,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의 변화 비교를 위해 750℃ (SLM 750), 950℃ (SLM 950), 1150℃ (SLM 1150)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였다. SEM, EDS, EBSD를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분석하였고, XRD 잔류응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비커스경도 시험과 인장 시험으로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인장 시험 후 파면조직시험을 시행하였다. Cast Co-Cr 군과 SLM Co-Cr 군의 비교를 위해 Kruskal-Wallis test 시행 후 본페로니 교정으로 사후 분석 시행하였고, 열처리에 따른 비교를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후 터키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As-SLM 군에서 다공성 감소, 결정립 미세화, 고용한계 증가, 높은 잔류응력이 관찰되었고, 주조법에 비해 극한인장강도, 항복강도, 경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 < .05). 열처리에 따라 미세구조, 잔류응력 및 기계적 특성의 큰 변화가 나타났고, 강도 및 경도는 연신율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SLM 750 군에서 미세구조의 균질화, 석출물 증가, HCP phase 증가가 나타났고, as-SLM 군에 비해 극한인장강도, 항복강도, 경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 .05), 연신율은 감소하였다(P < .05). SLM 950 군에서 석출물의 수는 감소하지만 크기가 증가하고, HCP phase가 감소하였다. SLM 1150 군에서 석출물은 거의 관찰되지 않고, HCP phase가 더욱 감소하였다. SLM 750 군에 비해 SLM 950, SLM 1150 군의 극한인장강도, 항복강도,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고(P < .05), 연신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 < .05). As-SLM 군에 비해 SLM 1150 군의 극한인장강도와 SLM 950 군과 SLM 1150 군의 항복강도, 경도가 유의하게 낮았고(P < .05), SLM 950 군과 SLM 1150 군의 연신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 < .05). 750℃ 열처리 시에 Type Ⅰ 잔류응력이 약 93% 감소하였으나, 1150℃ 열처리 후에도 Type Ⅱ, Ⅲ 잔류응력은 잔존하였다. 결론: 잔류응력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균질화 및 기계적 특성을 고려하면 95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는 것이 적절하다. ------------------------------------------------------------------------------------------------------- 주요어 : 코발트-크롬 합금, 적층 제조, 선택적 레이저용융, 잔류응력, 열처리

      • 스마트홈 환경서비스의 수용요인 및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 기대일치모형과 TAM을 활용하여

        강현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Internet of Things, one of the new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the fastest to reach citizens in the form of a smart home. Currently, the technological level has reache d what is feasible, but it is still evaluated that commercialization ha s not progressed.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understand the needs of consumers due to development centered on supplier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using a technology acceptanc e model and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o identify the acceptanc e factors of smart homes, and to identif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 tomer loyalty, which were stopped from accepting existing research. str 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values recognized,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rough perceived automation, percei ved control, perceived connectiv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as exter nal variables. Existing studies conducted surveys of real-world users t o explor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beyond the perspec tive of acceptance factors and col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207 sa mpl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ctual users, resulting in different res ults from existing studies.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non -users who lack an understanding of smart home technology, rejecting th e value factor for automation, but this study has different results fro m studying actual users. 4차 산업혁명 새로운 기술 혁신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은 시민들에게 가장 빠르게 스마트홈이라는 형태로 다가왔다. 현재 기술적인 수준은 실현 가능한 것으로 도달하였지만, 여전히 상업화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공급자 위주의 발전에 따른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홈의 수용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며, 기존 연구의 수용에서 그치던 부분을 고객만족도와 고객 충성도까지 알아보고자 기술수용모델과 기대 일치 모형을 활용하여 모형을 제시하였다. 인지된 자동화, 인지된 통제성, 인지된 연결성, 개인맞춤성을 외부 변인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로 인지된 가치와 고객만족도, 고객 충성도까지의 구조방정식 경로 분석을 하였다. 기존 연구는 수용 요인의 관점을 넘어 고객만족도와 고객 충성도를 알아보고자 실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총 207개의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스마트홈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비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자동화에 대한 가치요인이 기각되었으나,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이에 대한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 프리온 글라이코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앵커 중 글루코사민, 마이오-이노시톨과 지질 부분의 합성

        강현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광우병이 화제에 오르면서 광우병의 원인이 되는 프리온에 대한 관심 또한 많아지고 있다. 프리온은이제까지 알려진 것과는 전혀 다른 종류의질병 감염인자로, 감염되면 뇌에 스퍼지처럼 구멍이 뚫려 신경세포가 죽어서 뇌기능을 잃게 된다. 프리온의 글라이코실 포스파티딜 이노시 (glycosyl phosphatidyl inositol, GPI) 앵커(anchor)는 세포벽에서 프리온을 붙잡고 있는 역할을 하고있다. 이런 프리온 질병의 치료제 및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병원성의 원인을 밝혀야 하는데, 지금까지 프리온에 대한 연구가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GPI 앵커와 결합된 프리온의 연구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우병의 원인이 되는 양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프리온의 GPI 앵커에서 글루코사민, 마이오-이노시톨, 지질 부분의 효과적인 합성을 진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알려진 마이오-이노시톨 부분의 합성 방법에 비해서 더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보호기 도입을 진행하기 위해서 출발물질을 마이오- 이노시톨이 아닌 D-mannitol 을 사용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글리코실 주개인 글루코사민 부분과의 글리코실화 반응을 통해서 ?-pseudodisaccharide 를 입체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allyl 탈 보호 반응을 진행 시켜서 pseudodisaccharide 부분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지질 부분도 입체 선택적으로 합성하기 위해서 출발물질을 글리세롤이 아닌 D-mannitol 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합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