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집과 창작_페티시즘의 조각적 실현

        김지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2014년에서 2018년까지의 내 작업들을 살펴보며 수집의 행위가 사물의 변형으로, 나아가 조각적 구현으로 이행되어가는 궤적을 되짚어 본다. 첫 번째 단원인 “수집과 환영”에서는 내가 수집하는 품목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작업 레퍼런스로 기능하게 되는 지점을 다루며, 예술가들의 컬렉션을 통해 사물을 수집하는 방식과 작가의 작업이 지니는 유기적 관계를 들여다본다. 두 번째 단원 “사물에서 오브제로”는 ‘Recast'와 ’주무르기‘의 항목으로 나뉜다. 'Recast'에서는 일상적 사물을 변형하는 내 작업이 항상 염색되거나 조합되는 등의 가공의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이를 아상블라주 (Assemblage)로 분류한다. ‘주무르기’에서는 사물의 외양을 변형하는 행위를 넘어 손끝에서 오브제를 빚어내는 촉각적 과정을 서술한다. 세 번째 단원 “페티시즘과 초현실주의”는‘파편적 신체’와‘Hybrid’로 나뉜다. ‘파편적 신체’는 신체의 일부분, 혹은 이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로 등장하는 작업 속 오브제들을 페티시즘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페티시적인 이미지는 시각과 촉각이 결부돼 있는 개체이자 유기적으로 연결된 이야기의 시작점으로 기능한다. ‘Hybrid'에서는 사물과 혼합된 신체의 파편과 동물의 몸을 통해 인체를 은유한 작업들을 살펴본다. 마지막 단원인 여자는 위의 단원들에서 언급된 주제들을 통해 귀결되는‘여자’의 형상을 설명한다. 어린 시절부터 여성의 신체적 특성을 과장하거나 왜곡해 표현하는 매체들을 접하며 습득된 여성스러움의 강박적 이미지는 이질적 요소와 혼합되어 이중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무언가를 소유하고, 그 대상을 변형하며 매만지고자 하는 욕망은 페티시즘이 유발하는 태도와 유사하다.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태도가 창작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돌아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my works from 2014 to 2018, and looks back at the trajectory of collecting transformed into objects, and then to sculptural implementations. The first section, “Collection and Illusion”, is about the items I collect and how they function as work references. It also discusses how artists collect objects and its organic relationship. The second section, “From Objects to Object”, is divided into the items of ‘Recast’ and ‘kneading’. In ‘Recast’, my work is classified as ‘Assemblage’ in terms of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ings through dyeing or combining. ‘kneading’ describes the tactile process of creating objects by hand, beyond transforming the appearance of objects. The third section, “Fetishism and Surrealism”, is divided into ‘Fragmented body’ and ‘Hybrid’. ‘Fragmented Body’ describes the body parts, or objects that appear as images that resemble them, as fetishism. This fetish image serves as not only the beginning of an organically connected story, but also an object that is connected with vision and tactile sense. ‘Hybrid’ is about the body fragments mixed with things and the work of metaphorizing the human body through the animal body. The last section, “Women”, describes the form of ‘women’ which results from the topics mentioned in the sections above. Obsessive images of femininity made by distorted and exaggerated expression acquired from childhood experience are combined with disparate elements and revealed as twofold images. The desire to own, to transform, and to fiddle certain object is similar to the attitude that fetishism caus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back on the process in which this attitude leads to creation.

      • 일상적 소리와 이미지의 해학적 전환

        자오친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들은 흔히 예술은 생활에서 기인한다고 말하는데, 내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성격 탓인지 본인은 삶의 세세한 부분에 매우 예민하다. 남들에겐 아주 사소한 일 같지만 본인이 보기엔 굉장히 의미가 있다. 인생은 각양각색이지만 결국 삶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고, 어떠한 삶을 살지는 자신의 선택으로 결정된다. 유머는 생활 속에서 내게 큰 활기를 부여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해학이 사람들의 삶에 재미를 주고 내 작업에도 스며들기를 바란다. 유학생으로서 생활에 여러 어려운 순간들을 만나게 된다. 예를 들어 문화간의 차이라든가 언어적 불편함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의 유학생들의 공통된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것들이 내게는 오히려 창작의 영감이 된다. 이러한 문화적 격차가 때로는 웃음의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의 일을 결정하며, 이러한 경험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고정관념이 된다.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보고 듣는 것에 따라 대상을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판단이 늘 정답일까? 나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한 발상의 전환 가능성을 연구했다. 어릴 적부터 음악을 배우고 가까이 했던 나는 이러한 자신의 취미를 작업에 온전히 녹여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노래나 연주만이 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소리도 특별한 환경에서는 음악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나는 생활 속의 소리를 관찰한 뒤 이를 작업으로 전환시켰다. 내 작업은 일상의 소리와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이를 영상이나 사운드, 드로잉이나 오브제 등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해 해학적 차원으로 변조한 것이다. 사람들이 주변에서 마주하는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일상적 삶의 디테일을 보다 자유로운 시각으로 유쾌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내 작업의 목표라 할 수 있다. ABSTRACT Funny Transition of Everyday Sounds and Images Zhao, Qin Yu (Supervisor Hong, Seung Hye) Dep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said art comes from life, and it is even more especially for me. Perhaps because of my personality, I am very sensitive to the details of my life. Although our lives are all kinds, but what kind of life we want to live depends on our own choice. In my opinion, I think that humor is an important element which drive me to be full of positive energy. Humor could make people happy and relaxed, and I am willing to get it through into my artwork. As an international student, we have many problems in life, such as cultural differences, language inconvenience, even language barrier. Although the problems are common in most foreign students, for me, these are definitely inspirations of my creation. In fact, sometimes the cultural difference makes it a source of our smile. Basically, people always make a decision from their own experience, what's more , as time goes on, stereotypes are formed. Sometime, people often tell from somethings depend on what they saw, but are the judgments correct? My work is trying to reverse our mind thinking way and create more opportunities by breaking people's intrinsic ideas. I studied music since I was very young. I hope I can incorporate my own interests into my artwork. I do not think that singing or play could be called music, I think any sound could be called music in a particular environment. I observe the music in my life and then turn it into my artwork. 제 목: 일상적 소리와 이미지의 해학적 전환 사람들은 흔히 예술은 생활에서 기인한다고 말하는데, 내 경우에는 특히 그렇다. 성격 탓인지 본인은 삶의 세세한 부분에 매우 예민하다. 남들에겐 아주 사소한 일 같지만 본인이 보기엔 굉장히 의미가 있다. 인생은 각양각색이지만 결국 삶은 온전히 자신의 것이고, 어떠한 삶을 살지는 자신의 선택으로 결정된다. 유머는 생활 속에서 내게 큰 활기를 부여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해학이 사람들의 삶에 재미를 주고 내 작업에도 스며들기를 바란다. 유학생으로서 생활에 여러 어려운 순간들을 만나게 된다. 예를 들어 문화간의 차이라든가 언어적 불편함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의 유학생들의 공통된 문제이기도 하지만, 이것들이 내게는 오히려 창작의 영감이 된다. 이러한 문화적 격차가 때로는 웃음의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의 일을 결정하며, 이러한 경험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고정관념이 된다.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보고 듣는 것에 따라 대상을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판단이 늘 정답일까? 나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기 위한 발상의 전환 가능성을 연구했다. 어릴 적부터 음악을 배우고 가까이 했던 나는 이러한 자신의 취미를 작업에 온전히 녹여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노래나 연주만이 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소리도 특별한 환경에서는 음악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나는 생활 속의 소리를 관찰한 뒤 이를 작업으로 전환시켰다. 내 작업은 일상의 소리와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이를 영상이나 사운드, 드로잉이나 오브제 등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해 해학적 차원으로 변조한 것이다. 사람들이 주변에서 마주하는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일상적 삶의 디테일을 보다 자유로운 시각으로 유쾌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내 작업의 목표라 할 수 있다.

      • 페이소스의 이미지 배설과 그 치유작용

        심래정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 약 제 목 : 페이소스의 이미지 배설과 그 치유 작용 내 작업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사건을 통해 형성된 감정을 드로잉으로 '분출'하는 행위에서 시작한다. 이 같은 행위는 즉흥적 표현방식인 ‘그래피티’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피티는 빈민가에 살고 있는 흑인들이나 소수민족들이 주변에 그들의 존재를 알리고자 거리의 벽에 이미지로 그들만의 흔적을 낙서처럼 남겼던 미술 운동이다. 이는 짐승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구역에 분비물을 묻혀 영역 표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그래피티의 즉흥적 행위와 이미지의 본능적 배설은 내 작업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즉흥적으로 두서없이 쏟아낸 감정의 잔해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등장인물은 성도착증을 앓고 있는 연쇄살인범처럼 상대의 사지를 토막 내거나 침을 뱉거나 스스로 목을 매는 등, 공격과 학대를 일삼는다. 이미지는 대부분 본능적인 '배설'처럼 이루어지는데, 이는 욕구, 또는 묵은 것의 해소 과정이기도 하다. 이처럼, 과격하고 맹렬한 내 이미지들은 경험의 기호와도 같은 것이다. 이는 원시와 문명의 중간 지점에 있다. 식욕이나 성욕, 그리고 배설하고 분비하는 행위가 본능이라면, 화면에 등장하는 집, 자동차, 침대, 악기 같은 배경들은 문명적 코드이다. 나는 이 같은 원초적 본능을 문명사회에 '배설'함으로써 쾌감을 느낀다. 이미지들은 마치 섬광처럼 순간의 반짝임을 유발한다. 마치 오래전에 보았던 영화의 한 장면이 불현듯 생각나는 것처럼 말이다. 고통은 그것을 스스로 상기하거나, 말하기가 괴롭거나 부담스럽다. 하지만 오히려 그것을 거리낌 없이 드러낸다면 그 고통은 그것을 공감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희석된다. 이로 인해 ‘슬픔’은 ‘낙천'이 된다. 나는 내 작업이 단순한 개인의 우발적 감정의 표출이 아니라 동시대에 살고 있는 타인의 감성과 만나 서로 공감하고 교류하며 내 개인의 슬픔을 치유하는 방식이기를 기대한다.

      • 풍경의 경계, 경계의 풍경

        이경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밤에 산책을 나서는 것에서부터 내 작업은 시작된다. 매일같이 오가는 장소와 마주하는 사물은 매번 새로운 인상을 주고 익숙한 곳에서 느끼는 생경함은 내가 걷고 있는 이곳이 내가 알고 있는 장소인지 혼란을 안겨준다. 그 낯선 풍경의 본질적인 모습이 무엇인지 궁금증이 생겼고 해답을 찾기 위해 드로잉을 매체로 관찰을 시작했다. 이동하면서 바라본 풍경과 흔들리는 사물은 드로잉을 통해 화폭에 정지된다. 풍경은 정지되면서 본래의 형태에서 탈피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내가 경험한 시간을 박제하는 방식이자 이미지의 변형을 통한 공간의 확장이기도 하다. 드로잉은 이 의문을 풀 수 있는 좋은 탐구 방법의 하나이다. 선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방식은 현상에 몰입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 의문은 해소되는 듯하다. 나는 자의적으로 변형한 풍경의 이미지를 통해 내가 발견한 풍경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드로잉을 이용한 풍경의 기록방식은 풍경을 직관적으로 해석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5개의 작품을 언급했다. <Ramble(Day)>는 나무들을 자의적으로 선택한 후 나머지를 소거한 풍경을 도출했고 ‘위치적 공간’을 ‘상황적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Unfinished Heavy Stroll>에서는 모종의 감정이 발현되는 공간을 영상으로 기록했고 그것을 드로잉으로 옮겼다. 기록된 나의 감정들은 풍경으로 전환되었고, 움직이는 풍경은 정지되었지만 두루마리 종이 위에 고정되어 그 날의 산책을 재고하게 한다. <Kite-Light>는 산책 중 발견한 연 꼬리에서 느낀 스산함을 드로잉한 것이다. 어둠을 메운 선들은 거칠지만 연한 연필로 인해 잔잔한 면으로 보인다. <Hide&Seek>은 내가 알고 있던 것과 내가 바라본 것의 간극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했다. 드로잉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겹쳐진 달은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렸다. 나는 달의 모습을 찾기 위해 달과 함께 숨바꼭질을 하고 있었다. 52개월 동안 거주한 방에서의 마지막 한 달간, 예측할 수 없는 풍경의 변화를 기록한 <1/52>은 휘발되는 하루의 찰나를 한 장의 그림 안에 정지시켰고, 그것을 겹치고 이어 새로운 풍경을 만들었다. 어둠 속의 풍경을 바라보고 생각을 투영하며 끊임없이 나는 그 원형과 본질에 대해 질문한다. 질문은 질문을 낳고 그 질문들에 나는 흔들린다. 답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실마리를 얻기 위해 내 질문들은 점점 깊어지고 해답은 점점 유보된다. My work starts from the moment when I go out for a walk. The unfamiliar feeling that I get from my daily places and objects makes me confused. It even makes me ask myself whether I know the place where I walk on. Throughout this odd experience, I began to wonder what the essential figure of this strange scene is. I finally started watching to searching for the answer to my questions by drawing. The scene and shaken object I got from my come and go stilled in a canvas. While the scene got stilled, it turned up with a new figure leaving the original one behind. This is how I stop the time of experience and extend the space throughout modifying the image. The drawing is one of the good study method answering to my question. The way of drawing lines provide the condition being able to be absorbed in a current situation. The questions gets an answer so long as I start this process. I talk about the scene I found through the image modified by myself. The recording method, using the drawing, let the scene be interpreted intuitively. I mentioned 5 pieces of work in this thesis. In the <Ramble(Day)>, I drew the scene of trees chosen with my own will after erasing the rest of other part. And I transformed the character of space from positional to situational. In the <Unfinished Heavy Stroll>, I recorded the space which reveals the certain emotions first, and then started drawing. Even the recorded emotions shifted into the scene and the moving scenes was stopped, the drawing, stilled on the paper roll, have me recall the walking of that day. I drew the bleak feeling got from a kite’s tale found out while taking a walk in the <Kite-Light>. The lines filling in the darkness are rough. However, it seems very calm with a soft pencil drawing. The <Hide&Seek> started from a question toward the difference between what I know and what I see. The moon, naturally overlapped while I drew, lost the original figure. For finding the moon’s figure, I played the hide-and-seek. <1/52> has a record of the last one-month-time where I used to lived for 52 months. The <1/52> stopped the moment of each and everyday in a drawing, and created a new scene overlapping those drawings. Watching the scene in the dark, I ask continuously for the original form and essence of it. The question leads another question and it makes me confused. Regardless I know the answer or not, the question is gone deeper and the answer is reserved to get a clue.

      • 빛과 바람의 분재화(盆栽化) : 반려사물

        홍재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목 : 빛과 바람의 분재화(盆栽化) ; 반려사물 내 작업은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도심에서 영위할 수 있는 자연적 삶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나는 왜 건물 안에서 생활하면서 늘 채광에 신경 쓰고, 실내에 화분을 키우며 자연적 요소를 보태는 것일까. 나는 실내에서 키우는 화분에 투영된 자연, 그를 둘러싼 개인의 심리를 작업을 통해 이야기한다. 내 작업은 화분으로 축약된 자연의 모습이 아닌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세한 자연 현상들의 재현이다. 빛과 바람이 만들어내는 현상을 실내 공간에 들이고자 회화를 주된 매체로 사용하던 시기에서부터 설치작업을 거쳐 오브제 작업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한다. 이 과정은 도시의 확장에 따라 자연에서 점차 유리됨으로써 그 대안으로 실내에서 화분을 키우고, 수족관을 만드는 행위의 모방이며, 그 대상들을 실내에서 관리할 수 있는 무엇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과정들이다. 나는 이와 같은 과정들을 분재 행위에 비유한다. 기술과 창의력을 통해 자연의 정취를 작은 분에 가꾸는 분재는 내가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자연물로 자연물의 분위기를 담아내는 분재와 달리 내 작업은 빛, 바람, 물과 같은 일시적 자연현상을 인공적인 재료에 담아낸다는 점이다. 자연 현상을 원하는 결과물로 끌어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매체를 시도했고 몇 점의 설치 작업을 거쳐 단일한 오브제들을 도출하게 된다. 나는 이렇게 도출된 작업들을 반려사물이라고 지칭하는데, 이 신조어는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반려동물이라는 단어에서 시작되어 최근 반려식물이라는 단어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는 흐름으로부터 유추해낸 단어이다. Conversion of light and wind into bonsai ; companion object Hong, Jae Jin (Supervisor Hong, Seung Hye) Dep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y work dep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nature-friendly life that one can lead, in the city area surrounded by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Why do I live in a concrete building but always pay close attention to natural lighting? Why do I add natural elements to the interior, by, for example, growing plants in flowerpots? I understand and translate the nature that is reflected in the indoor plants and the psychology of individuals underneath them through my work. To be specific, my work is a representation of fine natural phenomenon that is commonly found, rather than the nature implied inflowerpots. It introduces the evolution of the means of relocating the light and wind in the interiorspace—from the paintings, then the installation works, finally to the objet arts. This evolution is the alternative action that human has chosen to take for the nature from which human has been isolated as a result of civilization and expansion of city area. This is an imitation of actions and efforts which brought flowerpots and aquarium into interior space and transformed the natural objects into something that can be maintained indoor. I have found that such process is similar to creation of bonsai. How I do my work has a lot of aspects in common with how bonsai is made, cultivating the atmosphere of nature in a small flowerpot via techniques and creativity. The difference is that in bonsai, natural objects are used to mimic the natural atmosphere whereas my work is concentrated in capturing the momentary natural phenomenon such as light, wind and water, using artificial material. Various material and medium were experimented in the process of capturing the natural phenomenon, and I have reached at creating a unique pattern of objet after some installation works. The “companion object” is what I have named the result of this work. This is a newly-created term, derived from the companion animal which refers to pet and is very familiar to us. The word ‘companion’ has been being extended in the meaning and usage as it is recently used with plants, as ‘companion plants’.

      • 자기 반영적 환영 마주하기

        오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선명한 기억은 공간을 동반하고 시간은 공간을 통해 각인된다. 나의 작업은 자신이 속한 장소와 환경 속에서 체화한 물리적 조건, 그리고 이와 함께 연동해온 시간을 수렴하며 출발한다. 본문에서 INDEX를 제외한 항목들은 세 번의 개인전을 중심으로 분류했다. 1장 “백지도(White Map)”는 2014년 1월에 열린 첫 번째 개인전을 준비하며 체감했던 상황을 서술한다. 당시 작업의 구체적 대상이 된 ‘전시장’ 풍경이 작품 세계의 개념적 출발이 되었던 연유를 밝힌다. 2장 “거울 바탕(Parallel Grounds)”은 2017년 12월에 열린 두 번째 개인전을 회고한다. 가상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경험이 팽팽하게 공존하던 시점에 결국 화가로서 선택한 작업 방식과 작업을 움직여온 동력을 연결하여 서술한다. 3장 “회전하는 세계(Becoming Weather)”는 2019년 10월에 진행한 세 번째 개인전을 소개하면서, 그동안 변화한 회화적 대상의 관점을 드러내고, 화가와 회화가 맞물려 작용하는 상호관계를 고찰한다. 명징해 보이는 현상 뒤엔 언어로 쉽게 환원할 수 없는 복합적인 열망과 경험의 층위가 내포돼 있다.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나는 시간을 서사화하고, 동시에 시간을 가시화하는 환경을 구체화한다. 회화와 나 자신이 결속하여 그려나갈 입체적 세계를 폭넓게 상상한다. A clear memory accompanies a space, and time is imprinted through the space. My work begins by converging the physical conditions embodied in a place and environment with the time they are associated with. All Chapters except INDEX are categorized based on my three solo exhibitions. Chapter 1, “White Map” describes the personal experience of preparing my first solo exhibition in January 2014. This Chapter reveals how the ‘exhibition space’ scenery, which was the specific object of my work at the time, became the conceptual beginning of my world of artwork. Chapter 2, “Parallel Grounds” reflects on my second solo exhibition in December 2017. It describes the process I employed as a painter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work, in terms of the time when experiences of the virtual and physical space intensely coexisted. Chapter 3, “Becoming Weather” introduces the third solo exhibition in October 2019, reveals the perspective on the changed painting objects, and examines the interplay between artists and paintings. Behind the apparent phenomena is a complex layer of aspirations and experiences that cannot be easily translated into words.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I create narratives of time, and simultaneously give shape to an environment that visualizes time. Through this paper, I will extensively explore the stereoscopic world that the painting and I are bound together.

      • 재료와 표현 사이

        이동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그림 그리기를 시도했다. 개념적이고 시의적인 방법론을 다루고자 했던 지나친 강박은 작업에 대한 나 자신의 행위와 의도에 대해 회의하게 했다. 나는 지금까지 매체와 주제를 일관되게 다루진 않았지만 노동집약적으로 천천히 작업해 간다는 공통점을 발견했다. 화가들이 그림을 연습하기 위해 화병을 정물 삼아 그렸던 것처럼, 조각을 연습해보고자 화병을 나무로 깎기 시작했다. 나무를 깎으면서 형태를 찾아가고 색을 입혀가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찾아갔다. 이 과정은 재료가 수용하는 범위 안에서 나의 판단이 지속해서 형태를 결정짓게 만들었다. 그리고 조각을 채색하는 방식은 내가 그림을 그리는 행위와 맞닿아 있다. 색채는 조각품 내에서 서로 다른 대상의 경계를 구분해주거나 구분을 없애는 역할을 하며, 방법에 따라 형태는 이 과정에서 추상과 재현을 넘나든다. 나는 대상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을 때 고양이를 사용했다. 고양이는 단지 내가 좋아하는 대상이며 구태여 미술사적 연결고리를 만들거나 지나친 개념적 알레고리를 발생시키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누구나 대상의 선택이 선행되어야 표현 행위가 가능하다. 내게 고양이와 화병과 같은 일상적 사물들은 앞으로도 작업적 출발의 두려움을 덜어주는 소박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조각가이자 화가인 나는 내게 또 하나의 대상이 된 조각된 화병들을 그리기 시작했다. 캔버스를 다루는 방식, 붓과 물감을 다루는 방식은 화가의 태도를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이다. 붓과 끌은 다루는 방식이 다르고, 그림과 조각은 저마다의 역할이 있다. 재료의 성질을 의식하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내는 유희를, 나는 그림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다. 현재 내 과제는 조각 작업에서 터득한 재료와 표현 방식 간의 개연성을 그림으로써 제시하는 것이다. From 2015 to 2017, I tried to paint in various themes and methods. My excessive compulsion to deal with conceptual and timely methodologies made me question my own conduct and intention to work. I have not dealt with the medium and themes consistently so far, but I have found common ground in working slowly and labor-intensively. Just as painters observed the vase to practice painting and painted still life, I began to carve wooden vase to practice sculpture. As I carved woods, I found joy in the process of making shapes and coloring them. This carving process has made my judgments and choices that persist within the extent of the material's acceptance determine the form. And the way I paint sculptures is in line with the way I making painting. Colors serve to distinguish or eliminate the boundaries of different parts within the sculpture, and depending on the method, the form covers between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I used a cat when I didn't want to attach any special meaning to my work. Cats are just my favorite subject and I thought they wouldn't deliberately make any art historic connections or cause excessive conceptual allegories. It applies to anyone that express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subject is chosen first. The things that I face daily such as cats and vases will continue to play a simple role in relieving the fear of starting within my work process. As a sculptor and a painter, I began to paint carved vases that had become another theme for me. The way the canvas is treated, the way the brush and paint are handled, is clear evidence of the painter's attitude. The brush and chisel have different ways of handling, and the painting and sculpture has its own way of being. The amusement that is conscious of the nature of a material and actively utilizes it. I want to embody it through painting. My current task is to present the probability between method of expression and material learned from sculpture work through painting.

      • A는 두께가 있는 납작한 표면이다

        조상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나는 이 글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전시켜온 작업의 내용과 이를 전개해온 주요 경로를 살펴본다. 1장은 1884년 에드윈 A. 애벗의 소설 『플랫랜드』에서 주인공 사각형이 스페이스랜드에서 온 이방인 구를 만나 평면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자신이 사는 플랫랜드와 그곳의 거주자들을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얻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이야기를 빌어 오랜 기간 평면 매체로 취급되어 온 회화의 형식을 재고한다.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평면은 두께가 없는 납작한 표면이다)’라는 평면의 일반적 정의를 변용해 괄호 안 단어를 제거함으로써 면의 3차원적 속성을 드러내고, 회화의 차원을 흐리는 동시에 각인하고자 한다. 2장과 3장은 “표면의 재현”과 “표면의 구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2장, “표면의 재현”은 표면을 사물로 인식하게 된 시점과 이로 인해 시작된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작업 과정과 방법론을 서술한다. 3장, “표면의 구축”은 종이로 면을 쌓는 감각을 체득하면서 구체화한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작업 과정을 서술하고, 표면과 지지체의 연계를 밝히며 회화의 표면에 관한 고찰을 이어간다. 4장은 회화를 캔버스에 밀착한 두께가 있는 표면으로 강조하고, 칼 안드레의 수평 조각을 예로 들며 2차원적 속성과 3차원적 속성을 포괄하는 회화의 차원을 되새긴다. 이로써 회화라는 평면 매체를 입체로 결론짓고 회화라는 플랫랜드를 다시금 새롭게 바라볼 가능성을 열며 글을 맺는다. Through this paper, I look at the contents of my work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2016 to 2020 and the main process that has been progressed. The first chapter begins with Edwin A. Abbott’s novel, 『Flatland』 in 1884.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A Square met a stranger Sphere from Spaceland; he breaks away from two-dimensional thinking and gains the possibility of taking a fresh look at Flatland, where he lives, and its residents. With this story, chapter 1 reconsiders the form of painting that has been long treated as a two-dimensional medium. Like the title of this paper, By chang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plane,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nto ‘A (plane) is a flat surface with (no) thickness’, it reveals the three-dimensionality of a plane; it blurs and sharpens the dimension of the painting. Chapter 2 and 3 consist of “Representation of a Surface” and “Construction of a Surface”, respectively. Chapter 2, “Representa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of work from 2016 to 2017 after I was recognized a surface as an object. Chapter 3, “Construction of a Surface” describes the process of work from 2018 to 2020 which was taking shape by acquiring the sense of layering surface: paper and continues to consider the surface of the painting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pport. Chapter 4 emphasizes painting as a surface with thickness adhering to canvas and restates the dimension of painting that encompasses two-and three-dimensional attribute, taking Carl Andre’s horizontal sculpture as an example. With this, I conclude that painting generally defined by two-dimensional medium is three-dimension based on the flatness. And I finish this paper opening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look at the painting, “Flatland”, again in a new way.

      • 모양 수집가의 조립식 풍경

        황정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목 : 모양 수집가의 조립식 풍경 나는 주변에서 발견되는 모양들을 관찰한다. ‘발견되는’이라는 수동적인 표현은 내가 직접 대상을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보게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것은 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는 것이 달라지고 동시에 그 변화가 작업과 밀착되어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내 눈은 마치 로드뷰 카메라처럼 내 주변을 스캔하고 보이는 것을 형태로 저장한다. 나는 모양 수집가가 되어 일상에서 마주하는 형태들을 모아들인다. 수집한 대상을 그 본래의 성질은 소거한 채 순수한 형태로만 인식하고, 이 형태들은 그림의 재료가 되어 여러 부품을 하나의 구조물로 짜 맞추듯이 내 캔버스 안에서 조립된다. 이들은 점차 추상적이고 단순한 풍경을 이루는데, 이 같은 작업방식은 나의 작업적 토대가 되었다. 대상의 의미를 제거하고 형태로 받아들이는 시각은 그림의 서사나 레퍼런스보다는 줌인, 줌아웃, 크레셴도(crescendo)와 같은 형태의 리듬이나 그림의 형식에 더 관심을 갖는 내 태도와 닮아있다. 형태성이 주는 미학적 쾌감은 내게 즉각적이고 순수하게 느껴진다. 우리를 둘러싼 풍경의 시공간을 납작하게 만들며 골조만 남은 상태로 세상을 바라보는 내 시선은 형태 그 자체만을 얘기하는 조형성에 대한 연구로 귀결된다. 작업은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의 결과물이다. 작업을 통해 내 관심사를 드러내고, 내 시선이 머무는 곳을 추적하며 시각적 조형언어를 만든다. 그리고 조형언어 속에 담긴 내 관심사와 시선이 나타내는 것은 세상을 보는 나 자신 임을 알게 된다. 작업은 나를 발견하고 알아가는 지표가 되며 완전한 나를 만든다. Self-Assembly Landscape of a Shape Collector I observe the shapes which could be found around myself. The expression 'could be found' means that I observe things seen by me naturally rather than follow things to see. This also means the change of surroundings make me see different and it will be somehow inevitably related to my project. My eyes scan the surroundings of myself just like a road-view camera and save them as their shapes. I, as a shape collector, assemble all kinds of shape I face in my daily life. Eliminating the characters of what I collect, I recognize them as their pure shape. These shapes, as one of the materials for my drawing, are assembled, just like the components of structure. This kind of work method, making an abstract but simple landscape, became the foundation of project. How I observe, eliminating the meaning(character) of object and taking its shape, is just like how I behave. I put myself more interested in rhythm of shape(zoom in, zoom out, crescendo) or form of art work rather than its narration or reference. The esthetic pleasure given by the shapes are very prompt and innocent. My perspective, making the surroundings of space & time flat and observing the only structure leads me to do the further research on formativeness, only dealing with the shape itself. The project is an output of what I want to express. I express my interest through the project, and create the formative language following my observaggtion. Finally, I realize that it is myself inside of the formative language, expressing my interest and observation. This project, not only becomes the index of finding myself, but completes me.

      • 회화적 공간의 예측불가능성을 위한 장치들

        성시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 목 : 회화적 공간의 예측불가능성을 위한 장치들 나는 작업의 경로가 잘 보이지 않는, 되풀이해 그릴 수 없는 그림을 그리고자 한다. 이 같은 그림은 즉흥적 그리기에서 온다. 즉흥을 활성화하기 위해 나는 몇 가지 장치를 활용한다. 장치는 소재나 대상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능한다. 멀리 있어 다가가야 할 목표물이 아니라 곁에 있는 도구와 같다. 장치는 나를 예측 불가능한 상황으로 이끈다. 무의식적 영역에 대한 기대감과 완성도나 통일감과 같은 의식적인 조율의 문제는 공존 가능한 것일까? 첫 장에서는 드 쿠닝과 사이 톰블리의 예를 통해 본인의 즉흥적이며 자율적인 태도를 설명한다. 즉흥적인 과정이 본인에게 중요한 이유를 밝히며 회화적 현상의 예측불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표한다. 또한 붓을 든 순간의 심리와 본인이 추구한 회화적 결과물이 가져온 딜레마를 내밀한 관점에서 파헤친다. 이어서 붓질과 긴장감의 관계, 색채 그리고 완성도 및 통일감의 문제가 서술된다. 다음 장에서는 장치가 활용된 사례를 살펴본다. 우연한 계기로 시작된, ‘프레임’ 이 매개가 된 네 가지 장치에 관해 서술한다. 4개의 프레임에 순차적으로 반응한 <Four Times>, 24개의 작은 그림을 8개씩 모아 만든 <Eight Pieces>연작, 포스트잇 메모지처럼 다른 그림에 연결하고 분리하며 도출한 <Post-It>, 그리고 본인의 그림을 직접 참조해 반응한 <Showcase>가 있다. 각 그림의 제작 배경과 구체적인 과정, 그리고 결과를 정리한다. 그런데 나는 근작에서 계산적 장치 없이도 보다 순간적으로 얽힌 붓질 간의 흥미로운 반응을 발견한다. 물감을 칠하는 일 자체만으로도 강한 몰입이 이뤄진 것이다. 근작에서 새롭게 경험한 회화적 몰입은‘장치’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물감과 붓질의 순수한 회화적 작용에서 또 다른‘장치’로서의 가능성을 보게 된 것이다. Devices for Unpredictability of Painterly Space I want to make a painting that the route can't be inferred and can't be repeated over again. This kind of painting comes from impromptu action. I use several devices to activate this extemporization. The device functions in a different way than the subject or object. It's not to be approached from far away, but a tool being around. The device leads me to an unpredictable situation. Could the issue of conscious coordination, such as expectation and completion and perfection of unconscious areas, possible to coexist? The first chapter illustrates my spontaneous and autonomous attitude through examples of Willem de Kooning and Cy Twombly. Here I express my expectations for the unpredictability of painterly phenomena, revealing why the impromptu process is important to me. Also,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delves into the psychology of the moment of holding the brush and the dilemma brought by the painterly results . The relationship between brushwork and tension, color, and completeness and unity are then described. The next chapter looks at examples of how devices are utilized. It describes the four devices in which the 'frame' has been mediated, initiated by chance. There are <Four Times>, which responds sequentially to four frames, a series of <Eight Pieces>of 24 small pictures divided into three division, a <Post-It>, which connects, separates, and derives from other pictures such as Post-it memo, and a <Showcase> that references directly to my own painting. Finally, the background, specific process, and results of each painting are summarized. - 26 - However, I find an interesting response between more instantaneous intertwining brush strokes in recent works without the need for calculative devices. The painting itself is a strong immersion. The newly experienced painterly immersion in recent works asks again the meaning of 'device.' I came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another 'device' in the pure painterly process of paints and brush stro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