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ndothelium-independent vasorelaxant effec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in rat isolated thoracic aorta

        정진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흰쥐의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한 희렴의 혈관내피 비의존적 혈관이완 효과 정진호 한의학과 본초학전공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 최호영, 성낙술 희렴은 국화과(菊花科:compos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진득찰(毛梗豨薟)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과 털진득찰(腺梗豨薟) S. pubescens Makino[KHP•CP], 豨薟 S. orientalis L.[CP]의 지상부의 전초이다.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베어 잡질을 제거하고 쇄건하여 사용하며, 우리나라와 중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전통적으로 관절염이나 천식, 마비, 고혈압, 알러지 등의 치료에 쓰이는 약재이다. 기존에 진득찰의 항고혈압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로는 자발성 고혈압 흰쥐를 이용한 항고혈압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진득찰의 혈압강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만, 혈관이완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득찰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MESG)의 흰쥐의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한 혈관이완 작용을 실험하였으며, MESG의 유의성 있는 혈관이완 효과를 발견하였고, 특징적인 혈관이완 기전도 확인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noradrenaline bitartrate (NA)로 수축시킨 흰쥐의 흉부대동맥절편에 대한 MESG의 혈관이완효과를 확인하고, 그 혈관이완 기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MESG는 NA (1 μM) 와 potassium chloride (60mM)로 수축을 유발한 흉부대동맥 절편에 대하여 내피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농도 의존적인 이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MESG의 혈관이완 기전은 내피세포 비의존적 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P3 pathway, VDCC, sGC pathway는 MESG의 이완효과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tetraethylammonium, glybenclamide, 4-aminopyridine, barium chloride 등의 여러 가지 칼륨이온채널 차단제도 MESG의 이완효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MESG는 protein kinase C (PKC)의 촉진제인 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로 유발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이완시켰다. 또한 MESG는 ROCC를 통한 세포 밖 칼슘이온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혈관수축을 억제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희렴은 혈관내피 비의존적으로 혈관이완작용을 하며, 이는 혈관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혈류장애와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치료약물로써 양호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medicinal plant Siegesbeckia glabrescens is an annual herb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country of Korea and China. The aerial part of this species taken before blossoming in summer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asthma, paralysis, hypertension and allergic disorders. Previous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extracts of Siegesbeckia glabrescens (SG) exhibit antifertility activity, antiallergic activity (Kim 1997; Kim, Lee et al. 2001)(Kim 1997; Kim, Lee et al. 2001), antianaphylactic activity, anticancer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diabetic activities. And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extrac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on the spontaneous hypertensive rat. But the vasorelaxant effect of SG have not been reported yet. So we studied the vasorelax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the aerial part of Siegesbeckia glabrescens (MESG) and found that MESG had significant vasorelaxant effect. In the current study, vasorelaxant effect produced by the methanol extract of SG and its possible mechanism i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pre-contracted with noradrenaline bitartrate(NA) were examined.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filled with K-H solution or Ca2+–free K-H solution and tension was recorded isometrically. SG caused a dose-dependent relaxation in both endothelium-intact and endothelium-denuded rat thoracic aorta rings pre-contracted with NA (1 μM) and potassium chloride (60mM). We found that the IP3 pathway, VDCC and sGC pathway were not the role of MESG induced relaxation. Furthermore, the vasorelaxant effect of SG was unaffected by various K+ channel blockers such as tetraethylammonium, glybenclamide, 4-aminopyridine, and barium chloride. However SG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Phorbol-12-myristate-13-acetate, an activator of protein kinase C (PKC),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blockage of the PKC-mediated contractile mechanism is likely responsible for the SG-induced relaxation in Ca2+-independent contrac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MESG could inhibit vasoconstriction induced by extracellular Ca2+ entry through ROCC. Therefore, above ground part of SG has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health products.

      • Arvo Pärt의‘Sieben Magnificat-Antiphonen’연구

        이재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작곡가 아르보 패르트(Arvo Pärt)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현대 작곡가 중 한명이다. 올해 82세를 맞이한 그는 1980년 소비에트의 문화적, 정치적 압박을 피해 비엔나를 거쳐 독일에 정착한 이후 30여 년 동안 국제적인 작품 활동과 경력을 쌓으면서 현대음악계에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과 영향을 주었으며 에스토니아로 돌아와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작곡가 아르보 패르트의 ‘Sieben Magnificat-Antiphonen’ 연구이다. 아르보 패르트의 무반주 합창곡 ‘Sieben Magnificat-Antiphonen’을 통해 텍스트로 사용된 서방 그리스도교 시간전례 중 저녁기도에 불리는 성모의 노래(Magnificat) 중 ‘O Antiphon’을 살펴보고 그의 대표 작곡 기법인 틴틴나불리(Tintinnabuli)의 특성을 이해한 후 이 음악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둔다. 아르보 패르트는 에스토니아 출생으로서 자신에게 놓인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제약을 극복하고자 부단히 노력했고 ‘침묵의 시기’에 연구한 그레고리오 성가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아우르는 고음악과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받은 영향의 결과로 본인만의 독창적 음악기법인 ‘틴틴나불리’를 만들게 된다. 다양한 문화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작은 나라의 한 작곡가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음악계의 한 흐름을 만들게 됐는지 본 논문에서 살펴본다. 우선 아르보 패르트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그의 생애와 시기별 작품의 특징을 살펴보고, ‘Sieben Magnificat-Antiphonen’의 이해를 위해 안티폰(Antiphon)과 가사로 사용된 마니피캇(Magnificat) 중 ‘O Antiphon’부분으로 나누어 알아본다. 이 후 틴틴나불리 양식의 탄생 과정과 양식의 원리에 대해 알아본 후, 본 논문의 주제곡인 ‘Sieben Magnificat-Antiphonen’을 분석하여 각 7개 안티폰의 가사(Text)와 작곡 기법이 어떻게 구현됐는지 연구한다. Estonian composer Arvo Pärt is one of the most played contemporary composers in the world. Since he settled in Germany through Vienna after the 1980’s to avoid cultural and political pressures of the Soviets in 1980, he has built his own unique work world in the modern music world for more than 30 years, Inspired and influenced, and returned to Estonia to continue his work. This Thesis is a study on composer Arvo Pärt's 'Sieben Magnificat-Antiphonen'. Arvo Pärt's unaccompanied chorus ‘Sieben Magnificat-Antiphonen’ explores the 'O antiphon' of the Magnificat, which is called the evening prayer during Western Christian times used in the text, and aft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representative composition technique tintinnabuli,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studying how it is applied. Arvo Pärt was born in Estonia and worked tirelessly to overcome the social, cultural limitations he had set in.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the Gregorian chant from Renaissance period and the influence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n his 'silence period' He created the original music technique called 'Tintinnabuli'.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how a composer in a small country that has been marginalized from the benefits of various cultures has created a flow of music through the process.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fe and period works in order to help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Arvo Pärt, and to divide the part of 'Antiphon' which means 'Magnificat-Antiphonen' in Catholic liturgy and 'O Antiphon'. After studying the background and style of TintinNabuli, I analyzed 'Sieben Magnificat-Antiphonen' which is the theme song of this thesis and studied how the text and composition technique of each of 7 antiphon were implemented.

      • Triptychon Op.64, "Victimae Paschali Laudes" 작품 안에 나타난 부속가에 대한 고찰 : 부활 부속가 그레고리오 성가를 변용한 칼 횔러의 오르간 작품

        김안젤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그레고리오 성가를 모체로하여 작고된 칼 횔러의오르간 곡을 검토하면서, 부속가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부속가의 기원과 역사적, 전례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오르간 작품의 소재로 쓰인 부활 부속가의 음악적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부속가의 선율이 어떻게 변용되어 재탄생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곡의 특징은 짧게 겹쳐진 모방기법으로 리체르카레 형식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부속가의 선율과 가사를 확실하게 인용한 것이다. 칼 횔러는 20세기의 뛰어난 가톨릭 교회음악가로서 교회 음악의 고귀한 목적인 "하느님의 영광과 신자들의 성화"를 위해 큰 역할을 했다. 따라서 그의 오르간 곡 Triptychon Op.64 "Victimae Paschali Laudes"는 부활 부속가 그레고리오 성가 선율에서 영감을 얻어 거룩한 음악으로 재탄생된 위대한 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Like other forms of religious art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and sculpture, the goal of the church music has been to adore God. Since Gregorian chant is simple but exceptionally sacred, they have served as an affluent origin of new music to musicians for a long time.. This paper focused on the sequence in the Triptychon Op.64, "Victimae Paschali Laudes", which is an organ work of Karl Höller inherited the essence of the gregorian chant. After reviewing the origin of the sequences and historical and ritual meanings, its style of each stage was confirmed at the first chapter. At the second chapter, "Victimae Paschali Laudes", which is the sequence used as a material for the organ work, was analyzed in terms of musical characteristics. The structure and mode of this Easter sequence was not formulated, compared to the typical structure of other existing sequences. Also it suggested how the early form of prose had been replaced by the late form of verse. Lastly, the third chapter concentrated on how the rhythm from the original sequence had been recreated when Karl Höller had made his organ work. His work used rhythmical modes as the key factor to play a variation on a ricercare tune. Quoting rhythm and text of the sequence distinctively is anoth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riptychon Op.64, "Victimae Paschali Laudes" inherited rhythms and development of the Easter sequence in other many ways. As an outstanding church musician in the 20th century, Karl Höller produced diverse works in various genre. He served as a key musician to purify people's soul and enhance people's faith, which has also been the precious goal of the church music. His organ work, Triptychon Op.64, "Victimae Paschali Laudes", should be estimated as a great holy music which was inspired by and recreated from Gregorian chant.

      • 독성 한약의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권기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동양에서는 우주만물의 모든 사물에 다 氣가 있다고 보았다. 흔히 生氣가 있다 活氣가 있다고 말할 때의 그 氣를 생명의 근원으로 여겼다. 서양의 과학에서는 생명은 탄수화물과 산소가 결합하는 산화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이러한 에너지를 더욱 포괄적인 개념인 氣로 더 구체적으로는 陰氣와 陽氣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사람이건 동물이건 식물이건 모두 이러한 음양의 氣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았다. 사람은 이러한 陰氣와 陽氣를 순환시키며 생명을 영위하고 있다. 자연의 계절은 봄·여름·가을·겨울로 순환하고 하루는 밤낮으로 늘 바뀐다. 이와 마찬가지로 음기와 양기의 두 가지 기운이 서로 조화하면서 순환할 때 생명 현상이 유지된다. 陰陽의 和平을 얻는 것이 바로 中庸의 道이고 藥이다. 그러나 氣의 순환에 모순이 생기면 인체에는 질병이 생겨난다. 이 같은 氣를 다루는 학문이 바로 한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과 양은 오행과 함께 한의학의 근저를 구성하는 핵심적 개념이다.『黃帝內經』은 음양의 기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음양은 자연계의 도리이고, 모든 사물의 강령이며 변화의 기원이며 삶과 죽음의 근본이다. 그러므로 병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이러한 근본을 살펴보아야 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민족문화 유산인 한의학과 한방의료는 인류를 불건강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이상적인 접근 방법론과 무한한 잠재적 기능을 갖추고 있고 다가오는 미래의 첨단의학으로서의 방법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의학은 동아시아 대륙 고대문명의 태동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서양의학과 다른 고유한 원리와 특성을 가진 민족 고유의 전통의학으로서 탁월한 임상적 치료효과로 수천 년간 우리 민족의 건강보호에 기여해 왔다. WHO 전통의학 국제표준용어에 따르면 한의학은 고대 중국의학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실시(실행)되어 온 의학으로 주로 건강을 위한 접근법(건강에 좋은 접근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약은 과거 수천 년에 걸쳐서 인류가 이용하였고 한약의 의학적 효과 및 문화적 신념 때문에 한약은 현대에도 세계 도처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WHO에서도 그동안 전통의학의 여러 시술 방법 중에서 약물치료와 그 안전성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관련지침과 정책적 제언을 각 국 정부에 권고하였으며 전통약물을 의약품으로 격상시키기 위한 각종 제도와 법률 관리도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한약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한민족의 건강과 번영에 커다란 공로가 있다. 최근에 국제적으로 한약에 대해서 객관적인 효능이 인정받고 있어, 한약은 세계 속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한약의 부작용 보고 건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04년 5월까지 WHO는 本草藥의 부작용을 11,716건을 접수받았고 특별히 벨기에의 腎臟 독성 사건, 싱가포르의 berberine 사건, 일본의 柴胡 사건 등 한약의 안전성에 대해서 논쟁이 많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약의 안전성에 관한 문제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2007년도 국정감사에서 독성이 강한 한약재인 부자, 초오 등이 일부 판매업소에서 무분별하게 판매되고 있다는 문제점과 수은 등을 함유한 광물성 한약재가 국민에게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뿐만 아니라 독성 한약의 취급·판매제한 등의 오·남용 방지 관련규정이 없어 무분별한 취급·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송대(1274년) 중국의 법의학자 宋慈와 1541년 스위스 Paracelsus가 “모든 약물은 독약이 아닌 것은 하나도 없기에 만물은 모두 독이다”라고 했듯이 한약 역시 일정부분 독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역대 의가들은 오래전부터 한약의 독성과 부작용을 완화시키고 제거하여 약물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약물의 성능을 변화시켜 치료효과를 증강시키기 위해서 포제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한의학적 원리에 따른 처방구성 등으로 독성 반응을 최대한 감소시켜 임상에 응용해왔다. 한약이 무독하다거나 독성이 매우 낮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양약이든 한약이든 어떤 용량에서는 약으로, 어떤 용량에서는 독약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독성 한약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효율적인 독성 한약의 관리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한약의 특성과 범위, 독성 한약의 개념과 범위를 고찰해 보고 우리나라의 독성 한약 관리 실태와 외국의 독성 한약 관리 실태를 살펴 본 다음 독성 한약의 품목 선정 방안, 안전성 정보 처리에 따른 관리 방안, 포제의 표준화와 규격 설정을 통한 관리 방안, 관련 법규의 제·개정을 통한 관리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중, 고등부 성가대를 위한 발성연습과 성가지도법에 관한 연구

        신혜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각 성당이나 교회 안에서 일반적으로 중, 고등부는 어린이와 청년부와 분리되어 있고, 성가대 역시 ‘중, 고등부 성가대’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중, 고등부 성가대는 청소년들이 그 주인공인 만큼 청소년기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정의와 신체적, 심리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을 지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덕목을 알아보았다. ‘성가대’는 성가를 통하여 교회에 봉사하는 단체이다. 특히 가톨릭교회는 미사전례 안에서 성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그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 현재 각 본당 중, 고등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가곡의 현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교회 안에서 불리워지는 ‘성가’ 또한 ‘노래’이므로, 음악적으로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노래를 부르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이론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노래를 부르는 것은 우리 몸을 악기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호흡을 이용하여 성대를 진동시키고 우리 몸에 있는 여러 공명강들을 울림으로써 크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사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과정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자세와 입모양, 구강구조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노래하는데 필요한 호흡은 어떤 것인지, 몸의 어떤 기관들을 통하여 그러한 호흡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바른 호흡을 통하여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데 필요한 기관이 발성기관이다. 후두와 그 안에서 가장 중요한 발성기관인 성대, 그리고 성대를 울린 소리를 확장시켜주는 공명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오는 아름다운 소리 위에 정확한 가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발음법을 살펴보았다. 중, 고등부 성가대가 주로 사용하는 가사는 한국어이므로, 한국어 구조에 따른 발음법에 관하여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중, 고등부 성가대’는 변성기를 거치고 있거나 막 지난 중, 고등학생들이 모여서 성가를 부르고 있으므로 변성기의 특징과 그들이 낼 수 있는 평균적인 음역을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본 후에 구체적인 발성연습에 관해 연구해보았다. 먼저 들이쉬고 멈추고 내쉬는 작업이 연결되는 호흡연습에 관해 알아보았다. 소리를 아름답게 내기 위한 작업인 모음을 통한 발성연습을 살펴보고, 가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꼭 필요한, 자음을 이용한 발성연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여러 형태의 성가를 잘 부르기 위하여, 다양한 리듬에 관해서도 알아보고 구체적인 연습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더 많은 성가를 잘 부르기 위해서, 변성기로 인해 좁아져 있는 중, 고등학생들의 음역을 부드럽게 넓혀가는 연습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이와 같은 발성연습과 리듬 연습, 음역 넓히기의 방법을 익힌 후, 여러 연습곡을 통하여 실용적인 연습이 되도록 하였다. 각 성가대의 인원수나 구성 비율이 다 다른 만큼,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게 하고자, 단선율 연습곡, 2성부, 3성부, 4성부의 연습곡을 각각 제시하여 연습의 다양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습 후에, 우리가 실제 사용하는 성가 연습을 통하여, 이제까지 공부했던 여러 가지 연습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성가에서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성가 연습의 순서를 예시함으로써, 성가대 연습 시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지에 관해서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아직 어린이와 청년부 사이에서 명목상의 ‘중, 고등부 성가대’로 존재하며 그 특징을 존중받지 못하고 있는 많은 성당과 교회의 중, 고등부 성가대가, 노래에 관하여 바른 교육을 받고 효율적인 연습을 거쳐 아름다운 찬미를 봉헌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그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성가를 더 잘 부르고 사랑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 A. Vivaldi의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양식이 J. S. Bach의 오르간 음악 어법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

        송단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1450년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 발명 이후 기악음악 기록물이 늘어나고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17세기에 이르러 기악 콘체르토 양식이 등장하는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양식은 이탈리아 볼로냐 악파 주세페 토렐리(Giuseppe Torelli, 1658-1709)와 아르칸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 베네치아 악파 토마소 알비노니(Tomaso Albinoni, 1676-1741)를 거쳐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에 이르러 양식이 정립되었고, 그 특징의 바탕은 크게 빠르고-느리고-빠른 3악장 체제와 리토르넬로의 사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특히 비발디는 동형진행(Sequence)이 두드러지는 양식을 가미하였고, 이렇게 완성된 콘체르토 그로소 양식은 당대 바흐로 하여금 이탈리아 콘체르토 양식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중부독일 출신의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수많은 오르간 작품들을 남겼는데, 바이마르(Weimar, 1708-1717)시기 이전의 작품의 경우 북독일과 남독일 스타일에 치중한 반면 바이마르 시절의 바흐는 비발디의 콘체르토 그로소 양식을 악보로 접하여, 1713년 즈음 오르간을 위한 작품으로 편곡한 이후 오르간 코랄,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들,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들, 칸타타 등 다른 작품들에도 비발디 콘체르토 그로소 양식의 특징들을 반영하게 된다. 이후 바흐가 습득한 비발디 어법들은 그의 오르간 트리오 소나타에서 새롭게 바흐 스타일로 완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ince 1450 when Gutenberg invented the movable type printing, the number of publications for instrumental music had dramatically increased; this gradually draw attention to instrumental music, and eventually laid groundwork for the emergence of concerto grosso in the seventeenth century. Concerto grosso was initiated by the Bologna school of music, namely, Giuseppe Torelli(1658-1709) and Arcangelo Corelli(1653-1713), developed by the Venetian school, especially, Tomaso Albinoni(1676- 1741), and established by Antonio Vivaldi(1678-1741). Concerto grosso typically has three movements(fast-slow-fast). Ritornello form is also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concerto grosso style. In particular, Vivaldi characteristically used sequential phrases in his ritornello form. Afterwards,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as attracted by Italian concertos. J. S. Bach is an organist and composer who was born in central Germany. He left numerous works for organ. Prior to his Weimar period(1708-17), his musical style was influenced by the organ music of the northern- and southern-Germany. In his Weimar period, Bach encountered the musical scores of Vivaldi's concertos and began to arrange them for organ from around 1713. From this time onwards, the stylistic features of Vivaldi's concerto grosso were presented in Bach's organ chorales, works for keyboard and orchestra, cantatas, etc. Vivaldi's musical language which Bach acquired from his arrangement was transformed to his own style, particularly in his trio sonatas for organ.

      • DNCB로 유도된 NC/Nga 마우스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白屈菜의 효능 연구

        김소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topy dermatitis-therapeutic effect of chelidonii Herba, which is a herbal plant that is the whole plant of Chelidonium majus (CM) L. in the formulation of chelidonii Herba MeOH extract. in vivo experimental model was induced by DNCB (1-chloro 2,4-dinitrobenzene) treatment using NC/Nga mouse. Five category-experiments were performed; 1) assessing clinical score using 3-point Likert scale for erythema, pruritus & dry skin, edema & escoriation, erosion, and lichenification, 2) assessing ear thickness, 3) observing scratching behavior, 4) quantitatively measuring IgE, IFN-γ, and IL-4 using ELISA in mouse serum, and 5) observing DNCB-induced epidermal skin width, mast-cell infiltration, eosinophil infiltration. CM extract administration group, i.e., 100 mg/kg, and 400 mg/kg group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owering clinical score, ear thickness and scrating behavior in NC/Nga mouse around 50%, 30% and 30% respectively. Several serum cytokines, IL-4, Ig-E, and IFN-γ were observed as inhibitory trends. Finally, histological findings were the absence of 1) ulceration, 2) neutrophils infiltration, lymphocytes infiltration, and 3) fibroblast proliferation, collagen layer hyperplasia in dose-response relationship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for treating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atopy dermatitis.

      • Vasorelaxant effect of Ostericum koreanum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박근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medicinal plant 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Umbelliferae) is a widely distributed perennial herb in Korea. The root and rhizome of this plant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Kangwh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ld, fever, headache, swelling, arthritis, rhinit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 This plant is reported to have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asthma. O. koreanum is well known as a useful oriental medicinal plant that treats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and headache, but little research exists about the effect of O. koreanum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headache and hypertension, vasoreactivity is very basic and important because it directly influences circulatory system arteries. Therefore, we designed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exact mechanisms of the vasorelaxant effect of O. koreanum. For this purpose, we used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root and rhizome of O. koreanum (EOK) on an assortment of vasorelaxant or vasocontraction factors. In the current study, vasorelaxant effect of EOK and its possible mechanisms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rings were examined. Aortic rings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filled with Krebs-Henseleit solution or Ca2+-free Krebs-Henseleit solution and tension was recorded isometrically. We found that EOK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laxation in both endothelium-inact and endothelium-denuded aortic rings precontracted with PE (1 μM) or KCl (60 mM). The vasorelaxant mechanisms of EOK were endothelium-independent and resulted in blockade of the ROCC, VDCC and IP3R pathways. In contrast, the RyR pathway was unaffected by the relaxant effect of E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