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Role of the HIPK2 targeting onto PML nuclear bodies in the p53-mediated apoptosis and differentiation of myeloid precursor cells

        성기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대상 단백질에 SUMO-1 단백질의 공유결합은 세포내 단백질들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PML, Sp100, Daxx와 같이 PML-NB(nuclear bodies)의 구성 물질로 잘 알려진 단백질들도 SUMO-1과 공유 결합을 통하여 PML-NB를 구성하는 것을 조절한다. 비록 HIPK2 또한 SUMO-1과의 공유결합을 통해 PML-NB로 이동이 일어나긴 하지만, 그 기작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HIPK2의 SUMO-1과의 비 공유결합이 PML-NB로 HIPK2가 이동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으며, 또한 HIPK2의 SIM(SUMO Interaction Motif)에 돌연변이가 생겼을 경우, p53의 46번째 serine 잔기에 인산화를 시키지 못해 세포 성장 저해를 못 일으키는 것을 밝혔다. 흥미롭게도, AML 환자에서 HIPK2의 861번째와 951번째 아미노산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이 발견이 되었는데, 이들 돌연변이는 SUMO-1과의 비 공유결합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들 돌연변이 HIPK2는 PML-I과 PML-IV로 구성된 nuclear bodies와 핵내 같은 위치에 있지 못했다. 게다가, HIPK2의 SIM에 돌연변이가 생겼을 경우 myeloid precursor 세포의 분화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HIPK2가 HIPK2의 SIM을 통하여 PML-NB로 이동하는 것이 myeloid의 분화를 유도 하는 것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roteasomal degradation of HIPK1 by Nore1-induced association with the E3 Ubiquitin Ligase Mdm2

        이데레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1 (HIPK1) is highly expressed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in oncogenically transformed mouse embryonic fibroblasts, suggesting a role of HIPK1 in tumorigenesis. NORE1 is frequently silenced in certain cancer cell lines and primary adenocarcinomas by methylation of its promoter. However, the mechanism underlying tumorigenesis by NORE1 promoter methylation is not clear. Here, we show that Nore1 induced poly-ubiquitination and proteasomal degradation of HIPK1. Endogenous HIPK1 was stabilized in Nore1-deficient mouse embryonic fibroblasts (Nore1-KO MEF), and reintroduction of Nore1 into the Nore1-KO MEF cells led to degradation of HIPK1. We further show that Nore1-induced HIPK1 degradation was mediated by the Mdm2 E3 ubiquitin ligase. Depletion of HIPK1 in A549 lung adenocarcinoma cells, in which NORE1 is epigenetically silenced by promoter methylation, inhibited tumor formation in nude mice. Finally, significant increase of HIPK1 expression was observed in primary lung tumors in which NORE1 was epigenetically inactivated by promoter methyl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pigenetic inactivation of NORE1 may lead to increased levels of the HIPK1 oncoprotein, resulting in tumor formation.

      • Covalent conjugation of 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 (NuMA) with SUMO-1 in a cell cycle-dependent manner

        서재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Here we show that NuMA is a target for covalent conjugation with SUMO-1 in a mitosis specific manner. Lys1766 of NuMA is identified as the primary SUMO-1 acceptor site by serial deletion analysis and site-directed mutagenesis. The Sumoylation deficient mutant of NuMA induced multipole spindle formation than wild-type NuMA during mitosis, whereas not SUMO-NuMA fusion protein, which might mimic Sumoylated NuMA.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regulation of NuMA-mediated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mitotic spindle via Sumoylation during mitosis

      • Regulation of snail stability by HIPK2-mediated phosphorylation

        최동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EMT process는 Neural crest를 비롯한 다양한 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생체 내 메커니즘이다. 최근 들어 EMT process는 이러한 발생과정뿐만 아니라, 암의 전이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EMT의 분자적 기작은 E-cadherin 이라는 세포 내 Adhesion 에 관련된 단백질의 정량적 활성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E-cadherin은 Snail1이라고 불리는 EMT 전사억제인자에 의해 RNA level에서 조절 받게 된다. 따라서, EMT 활성에 의한 전이 과정의 암세포들 및 환자의 병 변에서 Snail1의 과 발현과 그에 따른 E-cadherin의 감소는 흔하게 관찰될 수 있는 현상이며, 이러한 현상들은 환자의 암전이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Snail protein의 조절방법에 대한 연구와 그에 따른 임상적 응용을 통한 암 치료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 (HIPK2)는 p53, Myb, Groucho 등 다양한 전사인자들을 인산화시킴으로써, 발생과정 및 DNA 손상 등 다양한 외부환경으로부터 변화된 세포들의 세포 자살(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생체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산화 효소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HIPK2가 EMT 조절 기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단서들이 나오면서, HIPK2에 의한 EMT 조절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HIPK2가 EMT를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한편 이러한 기작은 Snail1 전사인자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HIPK2와 Snail의 관련성이 단백질 상에서 일어나는 것을 In vivo와 In vitro 상에 확인하였다. 또한 HIPK2가 Snail1 단백질의 104,107,115,119 잔기에 인산화시킴을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인산화는 Snail 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유도함으로써 단백질 분해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nail의 인산화 의존 유비퀴틴화에 의한 분해유도는 HIPK2가 이러한 방식으로 EMT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저 산소 상태 (Hypoxia)는 암세포의 EMT와 그에 따른 전이과정을 촉발시키는 중요한 자극으로써 잘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저 산소 상태는 HIPK2의 단백질 수준을 낮춤으로써, HIPK2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Snail 단백질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EMT를 개시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 결과, HIPK2에 의한 Snail 분해는 저 산소 상태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Covalent conjugation of 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 (NuMA) with SUMO-1 in a cell cycle-dependent manner

        김하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 1 (SUMO-1)과 단백질의 covalent conjugation은 세포 주기를 포함하여 복제, 전사조절 등의 다양한 세포 기능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 (NuMA)는 체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동안 방추사극으로 이동되어 미세소관의 안정화와 방추사의 올바른 조직화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단백질이다. NuMA는 SUMO-1에 의해 covalent conjugation이 일어나고, NuMA의 1766번째 lysine 잔기에 SUMO modification이 일어나는 것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NuMA의 SUMO modification이 체세포 분열이 시작하면서 일어나고 체세포 분열이 끝나면서 de-modification이 일어나는 것을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NuMA의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SUMO modification 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E2 conjugating enzyme 인 Ubc9을 knockdown 하거나 SUMO-1 deconjugating enzyme 인 SENP1을 인위적으로 발현시켰을 때 체세포 분열을 하는 동안 다수의 방추사극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MO modification이 되지 않는 NuMA의 돌연변이를 만들어서 확인해 본 결과, 이 돌연변이의 경우 세포 분열 동안 더 많은 방추사극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돌연변이는 올바른 미세소관의 조직화하는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NuMA의 SUMO modification이 세포 주기에 따라 일어나게 되며,세포 분열과정에서 미세소관의 안정화와 방추사를 올바르게 조직화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임을 시사한다. Background: Covalent conjugations of proteins with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 1 (SUMO-1) plays a critical role in a variety of cellular function including cell cycle control, replication as well as transcriptional regulation. 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 (NuMA) is localized to spindle poles during mitosis, and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mitotic spindle poles. Methodology/Principal Findings: Here we show that NuMA is a target for covalent conjugation by SUMO-1. We found that lysine1766 residue is the primary acceptor site of NuMA for SUMO-1 conjugation. Interestingly, SUMO modification of endogenous NuMA occurs at the entry of mitosis and their modifications are reversed after mitosis exit. Either knockdown of Ubc9, E2 conjugating enzyme in the SUMOylation cascade, or forced expression of SENP1, SUMO-1 deconjugating enzyme, resulted in impairment of proper localization of NuMA to mitotic spindle poles during mitosis. The SUMOylation deficient mutant of NuMA induced multiple spindle formation than wild-type NuMA during mitosis. Conclusions/Significance: Dynamic modifications of NuMA with SUMO-1 in a mitosis-dependent manner might contribute to NuMA-mediated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mitotic spindle poles during mitosis.

      • Proteasomal degradation of HIPK2 by an E3 ubiquitin ligase SIAH1 : E3 ubiquitin ligase SIAH1에 의한 HIPK2 단백질 분해과정 연구

        김세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 2 (HIPK2) induces apoptosis, thus is maintained at a low level via ubiquitin-mediated proteolysis. In a yeast two-hybrid screen, we identified Siah1, RING finger E3 ubiquitin ligase, as an interacting protein of HIPK2. Siah1 targeted HIPK2 for poly-ubiquitination-mediated proteasomal degradation. Domain analysis of HIPK2 revealed that Siah1 distinguish HIPK3 from HIPK1 and HIPK2 through recognition of less conserved ID domain of HIPKs family. Degradation of HIPK2 by Siah1 was blocked by forced expression of either Epstein-Barr viral LMP1 or Mixed Lineage Kinase 3 as well as in DNA damage conditions. These findings effectively illustrate the regulatory mechanisms underlying HIPK2 is stabilized by escaping from Siah1-mediated degradation via several internal or external stimuli. Ubiquitination, phosphorylation, sumoylation등과 같은 전사후조절은 세포의 protein의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으로써 잘 알려져 있다. Ubiquitin-proteasome pathway를 통한 protein의 degradation은 cell cycle progression과 면역반응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 (HIPKs) 는 핵에 존재하는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의 일종으로 homeodomain 전사조절자의 co-repressor로써 작용하며 ubiquitin에 의해 그 양이 낮은 수준으로 조절된다. 우리는 Yeast를 이용한 hybrid screen을 통해 SIAH1을 HIPK2와 binding하는 protein으로 밝혀내었다. SIAH (seven in absentia homolog) 는 RING finger E3 ligase의 일종으로 Drosophila 의 눈 발생과정 동안 R7세포의 전사 억제자로서 역할을 하는 Tramtrack의 degrada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 SIAH1는 apoptosis와 tumor suppression 동안 p53과 p21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로써 OBF-1, N-CoR과 같은 전사조절자를 degradqtion 시키며 여러 신호전달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많은 protein의 수준을 조절한다. SIAH1은 직접적으로 HIPK2와 interaction하고 HIPK2를 in vitro, in vivo 에서 poly-ubiquitination 시킨다. HIPK2의 domain 분석을 통해 HIPK2의 domain 중 transcription factor와 binding에 필요한 ID domain이 SIAH1과의 interaction에 필요하고 또, HIPK2의 ID domain을 포함한 C-terminus 가 SIAH1을 통한 degradation의 target이 됨을 확인하였다. SIAH1에 의한 HIPK2의 degradation과 그로 인한 HIPK2의 destabilization은 UV 조사와 Adriamycin 처리와 같은 DNA damage 조건하에서 정상수준의 HIPK2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는 LMP1이 처리된 상황에서 SIAH1에 의한 HIPK2의 stability의 조절기작을 확인하였다. LMP1은 SIAH1의 E3 ubiquitin ligase로써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HIPK2의 proteasomal degradation을 억제한다. 이런 결과들은 HIPK2의 조절기작을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세포가 정상 상태에 있을 때에는 SIAH1에 의해서 HIPK2가 낮은 수준으로 유지 되다가 DNA damage같은 genotoxic stress 상황에서 SIAH1의 E3 ligase activity가 억제되고 따라서 그 stability가 증가함으로써 세포의 growth와 apoptosis에 영향을 주게 된다.

      • Groucho-Sumoylation enhances its co-repressor activity

        안장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Groucho는 neurogenesis와 sex determination을 포함하는 여러 다양한 development 과정에 관여하는 특정 전사조절인자의 억제인자로 알려졌다. 우리는 groucho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대표적으로 알려진 전사 후 조절과정인sumoylation을 살펴보았다. 실제로 groucho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1(SUMO-1)에 의해 modification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Groucho내의 SUMO site는 4군데이며, groucho의 GP와 SP domain에 존재한다. 이 4군데의 sumoylation sites의 모든 lysine 잔기를 다른 잔기로 치환하게 되면, groucho의 sumoylation이 사라지게 되며, 또한 억제자로써의 기능도 억제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sumoylation의 E2 enzyme으로 알려진 ubc9을 세포내에서 shRNA를 이용하여 knockdown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groucho의 SUMO-1 conjugation이 발생하지 않아 억제의 기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뿐만아니라 Groucho는 억제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억제보체 complex를 끌어들이는데, 특히 HDAC1은 목적 유전자의 전사억제를 위한 주요 component이다. 따라서 이런 억제보체인 HDAC1의 recruit에 groucho의 sumoylation이 영향을 주는 지를 확인하여보았다. 예상하였던 것처럼, groucho단백질의 sumoylation에 의해 groucho와 HDAC1사이의 interaction이 증가하는 것을 보았다. Groucho의 sumoylation-deficient mutant의 경우 HDAC1을 recruit하지 못하였고, 반대로 HDAC1 단백질내의 sumo-interaction motif mutant 즉, sumoyltion된 단백질과 interaction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motif 에 돌연변이를 유도하였을 경우 더 이상 groucho complex에 recruit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groucho단백질의 sumoylation은 HDAC1을 corepressor complex로 끌어들임으로써 억제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roucho is a corepressor that forms a macromolecular complex for its corepressor activity, in which HDAC1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modulation of chromatin structure and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target genes. Here, we show that Groucho is covalently conjugated with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1 (SUMO-1) in vitro and in vivo. SUMO conjugations of Groucho occur at four different sites. Substitutions of all lysine residues for sumoylation sites abolished sumoylation of Groucho and inhibited its corepressor activity. In addition, Groucho corepressor activity was reduced by inhibition of SUMO-1 conjugation via Ubc9 knockdown through expression of short-hairpin RNA against Ubc9. Furthermore, interactions between Groucho and HDAC1 are enhanced by sumoylation of Groucho, which is mediated by the SUMO interaction motif of HDAC1.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roucho sumoylation increases its corepressor activity by enhancing the recruitment of HDAC1 to Groucho corepressor complex.

      • Inhibition of APP intracellular domain (AICD) transcriptional activity by covalent conjugation with Nedd8

        이미라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Processing of ß-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by γ-secretase following α- and ß-secretases produces APP intracellular domain (AICD), which acts as a transcriptional factor for target gene activation after localizing to the nucleus. Here we show that AICD could be modified by covalent conjugation with Nedd8, a ubiquitin-like protein. Domain analysis and site-directed substitution of neddylation sites revealed that multiple lysine residues of APP C-terminal C99 fragment including AICD were acceptor sequences for Nedd8 conjugation. AICD-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was inhibited by modification of AICD by wild-type Nedd8, but not by conjugation-defective Nedd8 mutant. Furthermor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eddylation-defective AICD mutant was not altered by Nedd8 expression. Nedd8 conjugation of AICD inhibited its interaction with Fe65 and consequently led to impairment of AICD-Fe65-Tip60 complex formation f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arget gene. These results illustrate regulatory mechanisms by which transcriptional activity of AICD could be regulated by covalent conjugation with Nedd8.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것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ß-amyloid precursor protein (APP)는 α- and ß-secretases에 의하여 잘리게 되고, 그 부산물이 γ-secretase에 의해 다시 잘려서 핵으로 옮겨져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전사 조절 인자로 작용하는 APP intracellular domain (AICD)를 생성한다. 이 논문에서는 AICD가 ubiquitin-like protein 중의 하나인 Nedd8에 공유 결합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APP의 각 부분과 각각의 neddylation이 될 수 있는 lysine 잔기를 위치 특이 돌연변이(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해 arginine으로 치환한 결과, AICD를 포함하는 APP C-말단의 C99 조각의 여러 lysine 잔기가 Nedd8에 의해 변형이 되는 잔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ICD에 의한 전사 활성은 정상적인 Nedd8에 의해서는 공유 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억제가 되지만, 공유 결합이 일어날 수 없는 변형 된 Nedd8에 의해서는 전사 활성에 변화가 없다. 특히 Nedd8에 의해 공유 결합이 될 수 없는 변형 된 AICD의 경우에는 Nedd8의 발현에도 전사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ICD에 Nedd8의 공유 결합은 Fe65와의 결합을 억제하고, 그 결과 특정 유전자를 발현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AICD-Fe65-Tip60 complex가 손상된다. 이를 통해 AICD의 전사 활성 조절 기작은 Nedd8의 공유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을 활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박소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in modern design to apply new composition methods. A case in point is the modular system that originates from architecture. Based on its utility, it has been applied not only to architecture, but to design in diverse fields, and expands into the fashion design area. Applying modules makes it possible to combine new components rather than conventional clothing composition with the expansion of design and the infinity of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 of modular system that has the extensibility of design into Hanbok, and to apply it into zero-waste fashi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sustainability. The main goal is to utilize and develop new perspectives. The research proposes creative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 systemic characteristic of modular system of Hanbok into the zero-waste fashion design. This study is a worthy pursuit as the following viewpoints: Firstl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theories and case studies of modular system of Hanbok can be the origins of the new design development. Secondly, creative designs are developed and derived from combining zero-waste fashion design and Korean traditional attires. In terms of the study method, the concept and design of zero-waste fashion, pattern-cutting types, concept of modular system,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are categorized. And lastly, the characteristic of the modular system of Hanbok is introduced. New design is produce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nto the zero-waste fashion design. In regard to the periodic scop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iod from the Ancient Greek Era(B.C.1100) to the F/W 20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dular system, the period was set only from the late 20th century(1901) to 2020F/W when the fashion composition methods started to be explored. The periodic scope of Hanbok was set from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Period(B.C.57~A.D.936) to the Joseon Dynasty Period(1392~1910) to comprehend the fundamental traditional thoughts.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mbination methods of the modular system are innumerable and infinite expression methods are made based on the formative composition and the forms. When it comes to fashion design, expansion of the design change is possible through diverse structural transformation. It is categorized as the folding structure, assembling structure and lego structure.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the modular system is analyzed that its characteristics are simplicity, expandability, diversity, and variability. Hanbok shows the harmony of circle(圓象;○), square(方形;□), and triangle(三角形;△) based on our Korean traditional thought. Various results are derived from an individual square cloth with its selection and assembly. Thus, the systemic characteristics of modular system of Hanbok turns out to be variability, repeatability, and randomness. The concept of zero-waste has continuously transformed and evolved. Since 2000, various research and study have been conducted on method of zero-waste. Cutting methods were categorized as followings; Puzzle Cutting: fabrics are arranged just like puzzle pieces. Geometric Figure Cutting: simple and geometric figures are used. Subtraction Cutting: pattern design is combined with draping. Fold Cutting: figures appear three-dimensional through bending or overlapping. Figure Cutting: figures are cut and redesigned into new forms. Based on these findings, my design methodology and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ly, diverse designs were created with a basic square cloth. It verified that creative design was feasib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environment-friendly zero-waste fashion. Secondly, the size and form of zero-waste patterns were variable, which made them easy to apply. Despite the restrictions of using other subsidiary materials rather than the fabric, design change was feasible through folding and knotting. Thirds, geometric cutting and fold cutting were utilized in the design, thus Korean style was reflected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ular system of Hanbok. Fourth, in case of applying fold cutting, minimum cutting and easy change of design were feasible. When the geometric cutting was applied, expressing different silhouettes was possible through changing the basic size and shape.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Hanbok by analyzin g the characteristic of modular system and combining with zero-waste method of pattern cutting. Results provide a basis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textile waste and its accompanying environmental pollution a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n the modern society.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rough applying zero-waste fashion design, more diverse and creative follow-up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현대 디자인에서는 새로운 구성 방식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그 예로 모듈러 시스템은 효용성을 기반으로 건축뿐 아니라 여러 분야의 디자인에 활용되었고, 패션디자인 분야까지 범위가 확장되었다. 모듈의 응용은 디자인의 확장성과 표현의 무한성을 가지며 기존의 의복 구성 방식이 아닌 새로운 구성 요소들의 조합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효용성을 기반으로 패션에 적용되어 디자인 변화의 확장성을 지닌 모듈러 시스템을 한복에 적용하여 특성을 추출하고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하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에 응용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응용된 패션은 나아갈 방향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새로운 디자인과 지속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관점을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함에 있으며,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을 기반으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의 의의로는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에 대한 이론정립,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들이 새로운 디자인 개발에 시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과 우리의 전통복식과의 결합을 통하여 한국적 요소를 가미한 창의적인 디자인을 파생케하고 개발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개념 및 디자인, 패턴 커팅 유형별 분석과 모듈러 시스템의 개념, 패션 사례와 특성에 대해 분류하였고 마지막으로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의 도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특성을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에 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의 범위는 고대 그리스 시대(B.C.1100)부터 2020년 F/W까지 조사하였다. 모듈러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패션에서 구성 방식에 대한 탐구가 되었던 20세기(1901년) 후반부터 2020년 F/W로 한정하였다. 한복의 시대적 범위는 전통사상의 근본을 파악하기 위해 삼국시대(B.C. 57~A.D. 936)부터 조선시대(1392~1910년)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모듈러 시스템의 조합의 방법은 셀 수 없으며 응용을 통해 조형적 구성과 형식에 따라 무한한 표현 방법을 가진다. 패션디자인에서는 다양한 형태, 구조의 변형을 통해 디자인 변화의 확장성을 찾을 수 있으며 접이 구조, 조립 구조, 레고 구조로 분류된다. 이를 바탕으로 모듈러 시스템의 특성을 단순성, 확장성, 다양성, 가변성으로 분석하였다. 한복은 전통사상을 근본으로 원상(圓象;○), 방형(方形;□), 삼각형(三角形;△)의 조화로 나타나며, 하나로서의 사각의 천을 사용하여 선택, 조립을 통해 다양한 결과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을 가변성, 반복성, 무작위성으로 도출하였다. 제로 웨이스트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진화해왔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000년 이후 윤리성의 추구와 환경적인 문제로 본격적으로 제로 웨이스트에 대해 심층적으로 찾아 볼 수 있었다. 커팅 유형에는 퍼즐 조각을 맞추듯 직물에 배치하는 퍼즐커팅, 단순하고 기학학적인 도형을 활용하는 지오메트릭 커팅, 패턴 디자인과 드레이핑을 접목시킨 서브트렉션 커팅, 대상을 구부리거나 겹치는 등 힘을 가해 3차원적인 입체표현 결과를 내는 폴드 커팅, 특정 형태로 커팅한 후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하는 피겨 커팅으로 분류되었다. 작품 제작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인 사각의 천을 응용하여 다양한 디자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환경을 생각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과 타 영역과의 결합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제로 웨이스트의 패턴은 크기와 형태가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여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고, 원단 이외의 부자재의 사용의 제한으로 접힘과 매듭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의 변형이 용이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지오메트릭 커팅, 폴드 커팅을 응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적 요소가 반영된 디자인을 할 수 있었다. 넷째, 폴드 커팅을 응용한 경우 최소한의 절개로 응용할 수 있었고 디자인 또한 쉽게 변경이 가능하였다. 지오메트릭 커팅을 응용한 경우 기본적인 도형을 크기와 형태를 변형하여 각기 다른 실루엣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 결과는 한복의 모듈러 시스템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패턴에 응용하여 실물 제작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시한다는 것에 의의를 갖고자 한다. 더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의 가장 중요한 문제인 원단의 폐기물과 그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디자인이라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서 책임의식을 가지고 많은 생각을 해야 하며,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을 응용하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더 다양한 창의적인 디자인의 후속 연구가 나올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