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에 나타난 선교 접촉점 연구

        고창덕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 초록>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에 나타난 선교 접촉점 연구 고 창 덕 지도교수 최명근 17세기에 영국과 미국에서 일어난 청교도 선교 운동은 초기 개혁가들이 가졌던 상황적 제한을 뛰어넘어 개혁주의 신학 속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선교 신학의 열매를 맺으며 구체적인 선교의 결실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교도들의 선교 사상은 그대로 18세기의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 1718-1747)에게 전달이 되고 인디언 선교 사역뿐만 아니라 위대한 선교의 시대로 일컬어지는 19세기에 전 세계 오지를 향한 선교의 기폭제 역할을 하는데,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가 편집한「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의 일기」가 18세기에 현대 선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를 비롯한 후대의 선교사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일은 현재 위기에 봉착해 있는 한국선교의 지난 발자취를 돌아보고 선교사로서 가져야 할 진정한 자질이 무엇인가를 다시 점검해 보게 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이미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국내외적으로 선교를 감당하고 있는 한국교회가 폭넓은 선교의 접촉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와 사역, 선교 접촉점을 알아보기 위해 생애사적인 특징과 인디언 선교사역의 특징,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선교사역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 목사가 편집한「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일기」를 중심으로 연구하되, 먼저 선교사로서의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을 조명해 보고 평가였으며, 17세기 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처한 선교환경을 살펴보고, 사역자로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주고받은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을 통해서 얻게 되는 도전에 온갖 육체적인 환경적인 역경 속에서도 하나님을 진지하게 찾으려 몸부림치는 사람이었고 그런 영성의 배후에는 깊은 기도가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에게 하나님은 조나단 에드워즈라는 영적 거장을 준비하셨고 그와의 교제를 통해서 더욱 영적으로 성숙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셨다. 어떤 고난과 환경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과 섭리를 찾으려 했던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삶이 하나님의 푯대를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하는 우리에게 큰 울림이 된다. 그가 사역의 대상으로 삼았던 북아메리카 인디언은 기원전 23,000년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럽인과 인디언의 초기 관계는 북미 대륙에 도착한 식민지인의 배경과 그들이 만난 인디언들의 특성에 따라 우호, 또는 갈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유럽과 인디언 문명의 만남의 최전방에는 선교사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인디언들과 선교의 접촉점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북미의 역사는 북아메리카에 건너온 백인과 흑인 그리고 토착 인디언의 역사로 복원되어야 하고 이런 관점에서 접촉기와 식민지 건설 시기 그리고 초기 미국 역사시기의 선교 사역들을 새롭게 조명해 봐야 한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인디언 사역은 카우나우믹(Kaunaumeek), 펜실바니아주의 델라웨어(Delaware), 뉴저지 크로스윅성(Crossweeksung) 세 곳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크로스윅성의 사역은 미국의 대부흥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고 있으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사역이 가시적으로 열매를 맺어 많은 인디언들이 하나님의 위로를 맛보고 교회를 세우는 능력을 체험하게 되었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소박하지만 과장되지 않은 헌신적인 사역의 모습은 오늘날 선교사들 뿐 아니라 하나님을 감당하는 모든 사역자들에게 도전을 주고 있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오늘까지 존경받는 인물로 회자되고 있는 것은 그가 가졌던 인디언 선교를 향해 가졌던 열정과 선교사로서의 본질적인 자세를 잃지 않고 사역했던 모습이 오늘까지 귀감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영향을 받은 인물은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 조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에베너저 펨버튼(Ebenezer Pemberton), 존 서전트(John Sergeant)와 그의 아내 아비가일(Abigail) 등과 같은 청교도 신앙에 뿌리를 둔 사람들 사람들이다. 그리고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영향을 준 인물들은 주로 조나단 에드워즈가 집필한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생애」를 통해서 영향을 받은 사람들로 그 대표적인 사람은 근대 선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 영국 켐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수학 천재인 헨리 마틴(Henry Martin), 스코틀랜드에서 목회했던 로버트 맥케인(Robert M. McHeyne), 존 파이퍼(John Piper) 등이며, 데이비드 브레이너드의 영향으로 설립된 대학으로 프린스턴 대학, 다트머스 대학등이 있다. 이처럼 신앙의 영향력이 대(代)를 이어 영향력을 미치고 계승된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교회의 선교가 새

      • 총회세계선교회 선교정책 평가 및 대안 연구

        양은광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총회세계선교회 선교정책 평가 및 대안 연구 양 은 광 지도교수 최명근 1884년 9월 29일 미국 북장로교 의료선교사 알렌이 입국한 이래, 지난 130여년의 한국선교역사를 살펴보면 하나님께서 GMS (총회세계선교회, Global Mission Society)를 사용하신 발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선교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장로교회가 아니다.” 이는 대한예수교장로회가 1907년 독노회 조직 때 채택한 결의로서 한국장로교회가 태동부터 선교정신이 뚜렷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선교정신이 가능했던 이유는 복음을 전해준 장로교 선교사들의 선교정책과 초대 지도자들의 자원하는 마음 때문이었다. 이 같은 선교정신 덕분에 첫 조선인 목사들 중 한 명을 당시 외지였던 제주도 선교사로 파송한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총회세계선교회(GMS)를 통해 한국교회를 대표하고, 세계선교를 주도하는 데까지 성장하는 은혜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GMS는 양적으로 급성장하면서 여러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다. 우선 자칭 세계선교의 주류 세력이라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세계 선교의 흐름에서는 크게 뒤져 있다. 또한 가장 큰 선교부 중의 하나라고 자부하지만 자랑할 만한 모델 사역 팀이나 사역을 내어 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근본 원인으로는 선교신학의 부재, 선교사의 선택과 훈련 및 배치 정책의 미비, 개 교회 주의, 개인주의와 단일문화 배경, 연구와 반성의 부족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인은 이러한 배경을 가진 GMS의 당면한 과제들은 어떤 것일까? 라는 생각과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하여 지금까지 GMS가 진행해 왔던 선교정책의 변천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역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GMS가 미래 선교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교정책의 핵심이며, 거기에 사무총장(선교총무)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역대 사무총장(선교총무)을 지내신 강승삼, 김활영, 김주경, 강대흥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사역의 현장에서 진두지휘한 사무총장(선교총무)들의 정책들은 무엇이었는지 연구하였으며, 그 정책을 통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가오는 이 시대에 과연 GMS의 선교정책의 미래적 대안은 무엇인가? 라는 설문조사도 수행하였다. 하나님의 축복 속에 성장한 현재의 GMS를 분석하고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한국본부 중심체제에서 선교지 중심체제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한국본부에 집중되어 있는 많은 종류의 행정 사안이 선교현지로 이양되어야 한다. 둘째, 선교전문 인력을 통한 선교현장에 부합한 정책과 전략이 수립되는 시스템 운영이 필요하다. 교단 선교부로서 국내 목회자들이 선교지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구조에서 벗어나 선교사 출신의 전문 인력들이 싱크탱크(Think Tank)가 되어 선교지 중심의 전략과 정책을 보완하는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 셋째, 조직 평가를 통한 합리적이며 융통성 있는 조직으로의 개편이 필요하다. 선교라는 과제를 위해 서로 협력하고 양보하여 선교를 가장 잘 할 수 있는 조직구조로 개편하여 나아가야 할 것이다. 개편을 위해 현재의 구조를 전문가에게 평가받고 꼭 필요한 직임과 직원의 숫자를 파악하여 효율적이고 적당한 규모로 운영되어야 한다.

      • 교회성장학파의 영적전쟁에 관한 개혁주의적 평가와 대안

        이영배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 초록> 교회성장학파의 영적전쟁에 관한 개혁주의적 평가와 대안 이 영 배 지도교수 : 최 명 근 현대 기독교는 대사회적인 인식이 악화된 면이나 또는 기독교인 숫자감소 현상 등을 고려해 볼 때 누구든지 총체적인 위기가운데 빠져있다는데 공감을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첫째, 포스트 모던이즘의 영향으로 기독교도 하나의 종교로 취급받게 되면서 사상의 중심무대에서 변두리로 내몰리는 형국이 되었고, 둘째, 범신론적인 뉴 에이지 사상으로 인하여 유일신 하나님을 경외하는 기독교는 독단적이고 용납할 줄 모르는 종교단체로 오해받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1970년대 미국 풀러 신학교 교회성장학파가 주축이 되어 전개해온 영적전쟁과 신사도운동 영향 때문이기도 하다. 이들의 처음 시작은 실추된 미국 교회 권위회복과 서구 세계관등으로 영적수세에 몰린 기독교를 다시 반전시키며, 이미 감소세로 돌아선 교회성장을 만회하기 위한 선교전략 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는데, 긍정과 부정적인 평가로 나눠진다. 우선 긍정적인 평가는 서구의 과학경험주의 세계관으로 인하여 관심조차 없었던 영적세계에 관심을 갖게 했던 점, 또한 열성적인 신앙생활로 영성의 삶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킨 점, 또한 가시적이고 외적인 교회성장을 가져온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반면에 부정적인 현상도 심각하다. 우선 그릇된 신비주의와 연계되면서 탈 복음화, 탈 가정화, 탈 사회화 현상으로 세상 사람들로부터도 기독교를 외면당하게 했다는 것이다. 또한 왜곡된 귀신론으로 모든 문제를 귀신 탓으로 돌리는 바람에 자신의 도덕적 책임이나 회개를 약화시켜 영적인 변화가 미약하게 했다는 것이다. 예컨대 신사도운동에 가담했던 인물(Bob Jones, Paul Kane, Todd Bently 등) 중에는 심각한 도덕적인 물의를 일으켜 사회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오히려 이들이 사탄의 궤계에 휘말려 자신들이 영적전쟁의 대상이 되고 만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영적전쟁의 전개와 활동은 대단히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갔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교회성장학파에서 전개해온 영적전쟁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본 연구자는 하나님의 계시와 영감으로 기록된 66권 성경말씀은 모든 시대와 환경을 초월하여 영원한 진리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구약 전체를 통하여 나타난 영적전쟁의 개념을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세우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고 영적전쟁 승리의 관건임으로 전제하고, 그 입장(배경) 하에서 영적전쟁의 특징, 영적전쟁의 대상, 영적전쟁 전개과정과 방법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은 성경적인 방법을 고찰함으로써 다음 장에서 교회성장학파의 영적전쟁이 성경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는가에 대한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한편 현대 교회성장학파에서 전개해 온 영적전쟁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정은 그들 중 대표적인 다음 다섯 사람의 영적전쟁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의 전략적 차원의 영적전투와 중보기도. 둘째, 죠지 오티스(George Otis. Jr)의 지역요새와 영적지도그리기. 셋째, 존 윔버(John wimber)의 능력대결 및 능력전도. 넷째, 챨스 크래프트(Charles Crafts)의 내적치유와 축사론. 다섯째, 피터 와그너(Peter Wagner)가 체계화한 신사도 개혁운동 순으로 고찰하였다. 이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가 발견한 공통점은 모든 사건의 배후에는 귀신의 세력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었고, 이들을 결박하고 추방할 때만이 교회부흥과 하나님 나라가 확장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자는 다음으로 교회성장학파에서 전개한 영적전쟁의 신학적인 문제점은 성경적이며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을 가진 존 칼빈(John Calvin), 박형룡, 카이퍼(A.Kuyper), 폴리슨(D. Powlion) 등을 통하여 평가를 내렸다. 동시에 개혁주의 진영에서의 영적전쟁 방법의 한계성도 동시에 지적하고 제3의 영적전쟁 모델을 제시했다. 우선, 딘 셔만(D. Sherman)의 영적전쟁에서 강조하는 두 영역, 즉 개인적이고 또한 우주적인 두 영역으로 나눈 것에서 도움을 얻었다. 또한, 개인적인 차원의 영적전쟁은 폴 트립(Paul Tripp)의 성경적 상담을 통해서 문제해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제도적 혹은 사상적 차원과 급작스런 귀신의 공격에 대한 영적전쟁 모델은 성경적 영적전쟁을 고찰한 결과를 가지고 그 대안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개혁주의적 영적전쟁방안이 무엇인지 그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며 결론을 맺는다. 첫째, 개인의 영혼자유와 영적성장은 교회성장학파의 축사방식보다는 폴리슨(D. Powlison)의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는 것이 성경적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전통적인 방식이란 자신이 저지른 죄를 사탄에게 책임 전가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그것에 대해서 자신이 직접 회개하고 말씀에 순종함으로 영적인 성숙과 함께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것이 보다 더 성경적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둘째, 성경적 혹은 개혁주의적 영적전쟁의 영역도 마음과 사상에

      • 교회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이 교회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형석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교회의 성장과 발전은 초기 선교사들의 순교와 헌신과 눈물, 그리고 이름 없이 한국교회를 위해 눈물로 기도하며 섬긴 수 많은 성도들의 수고의 열매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성장을 이루었지만 영적 성결과 도덕적 소양이 뒷받침되지 못하였고, 한국교회 전체가 매도되는 열악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개척교회를 준비하는 자들로 하여금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 어려움에는 적어도 두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째는 개척을 하여 복음을 전해야 할 대상들의 교회를 향한 부정적인 시각이며, 둘째는 개척 설립 비전에 충실한 사역전략이 없고 영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준비되지 못한 채 개척을 하는 데서 오는 어려움이다. 어려운 상황에도 계속해서 교회 개척을 하여야 야 하는가? 당연히 계속 돼야 할 것인데 어디서 해답을 찾을 것인가? 사도행전 1장 8절이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 초대교회에 있었던 교회개척의 뜨거운 바람이 다시 불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복음전파에 힘을 낼 때,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하나님의 나라 확장은 이루어지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도래가 앞당겨질 것이라 확신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는 한국교회가 성장을 멈추고 감소하는 상황에서 건강한 교회 개척은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법임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교회개척을 기피하는 목회자들과 교회 개척 중에 성장 성장을 원하는 목회자들에게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의 외적인 성장요소와 영성의 내적 성장요소가 조화를 이룰 때 성장이 확실함을 보여 주고, 건강한 교회 개척에 필요한 비전과 실제적인 사역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설립 비전은 무엇인가? 둘째, 교회 개척의 성공과 실패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단의 개척 및 미자립교회 지원정책이 교회 개척에 도움이 되었는가? 넷째, 개척 교회 성장을 이끄는 사역 전략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고찰, 제3장 연구 설계, 제4장 자료 분석, 제5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제한범위, 연구방법, 연구질문, 연구의 중요성, 연구 절차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선행연구로서 교회개척에 대한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들과 출간된 저서들을 이론, 실제, 사역 전략적인 면을 조사하였다. 교회에 대한 이해와 사명, 교회 개척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 이론적 기초를 설명한다. 한국교회의 개척역사 개관과 교단의 개척 교회 지원을 위한 정책시행과 활동을 타교단의 활동과 비교하였다. 개척 사역자가 가져야 할 성경적인 비전, 비전정립의 필요성과 유익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전략에 대해서는 사도 바울의 선교 전략을 표본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비전과 전략에 따라 개척한 사례는 총회전도국에서 추천 받은 3개의 교회들을 살펴보았고, 사역 전략의 예를 제시하였다. 제3장은 연구설계로서 4개의 연구 질문에 대해 검토, 연구 대상에 대한 설명, 연구 도구, 자료 수질 절차를 서술하였다. 제4장은 자료 분석으로 2006년 개척하여 2014년 현재 계속 개척한 교회를 섬기고 있는 17명의 사역자들과의 면담에서 교회 설립 비전, 개척 사역 중 겪은 성공과 실패, 교단 지원의 정책의 개척사역에서의 도움 여부,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회 성장을 이끄는 사역전략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이 영향을 미치기는 영향에 대한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요약, 연구결론, 적용위한 제언,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성장의 비결은 개척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에 따른 교회 개척에만 달려 있을까? 아니면 다른 다른 요소가 있을까?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하였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교회의 개척역사를 살펴보았고, 성경적 비전과 바울의 사역 전략을 살펴보았다. 실제로 비전에 충실한 사역 전략으로 개척하여 성장하고 있는 3개의 교회들을 살펴 본 결과 비전과 사역 전략이 성장에 영향은 미치나 절대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본 논문의 면담 대상에 속하여 현재 성장중인 교회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교회 성장을 좌우하는 것은 영성에 있었다. 개척 비전과 사역 전략은 외적인 성장요소, 영성은 내적인 성장 요소로 영성을 토대로 비전과 사역 전략이 펼쳐질 때 비로소 성경적인 성장이 이루어짐을 확인한 가운데 다음과 같이 본 논문의 결론을 내린다. 첫째, 개척을 준비하는 사역자는 반드시 자신에게 개척의 소명이 있는지를 먼저 점검 확인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적극적으로 사모해야 할 것이며, 이미 개척되어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사역자라 할지라도 위의 사항은 필수적으로 점검 확인할 것은 강력히 제안한다. 설립 비전에 따른 사역 전략을 확실히 기도하며 세우고 진행하

      • 주5일 근무제도에 따른 지역교회 목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조재호 총신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 요약 한국교회는 현재 침체 위기 가운데 있다. 한국교회 위기의 원인은 목회자의 부도덕, 개교회중심주의, 잘못된 교회성장주의, 성공 지향적 신앙 등 여러 가지로 찾아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사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중요한 이유는 사회를 향한 사랑의 실천이 부족하고 사회의 필요와 시대의 변화를 읽지 못한 교회의 책임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와 소통하지 않고 자기중심적인 교회의 행보는 한국사회로부터 외면 받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논문의 제목은 주5일 근무제도에 따른 지역교회목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그 중심에 흐르는 핵심은 한국교회의 사회에 대한 소통과 섬김과 봉사가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은 먼저 한국사회에 2002년 7월부터 시작된 주5일 근무제도에 대해 개관적인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주5일 근무제도가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것은 한국사회에 여가활동이 활발해지고 그와 관련된 사업들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한국교회에 긍정적인 요인보다는 출석률 감소라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직시하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다양한 주말 프로그램들을 통해 사회와 소통하고 섬길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 제기와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방법 그리고 연구 질문, 주요 용어 연구의 한계를 밝혔다.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로 본 논문에서 나타난 주5일 근무제도는 한국사회에 실시된 법령을 기준으로 서술되었다. 둘째로 주5일 근무제도와 관련되어 거론된 안식일과 주일성수에 관한 신학적인 관점은 개혁주의 입장이다. 셋째로 본 논문의 5장에서 제시한 주5일 근무제도에 따른 지역교회 목회 프로그램 사례들은 대부분 개혁주의 입장을 지키는 장로교단의 교회들을 사례로 제시했다. 넷째로 본 논문에 6장에 주5일 근무제도에 따른 목회 프로그램 방안들은 연령대별로, 즉 어린이, 청소년, 청년·대학부, 장년부, 노년부, 장애인, 다문화가정을 순서대로 제시하였다. 제2장 선행연구에서는 한국 교육 학술 정보원(KERIS)에서 “주5일 근무제와 한국교회”에 관련된 학위논문 47편, 국내 학술지 논문 21편, 단행본 69편 중에서 박사 논문 4편과 석사 논문 2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행본 2권과 소논문 2편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그 동안의 연구를 살펴보고 그 자료들과 다른 본 논문의 독창성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독창성은 주5일 근무제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객관적으로 잘 분석하였고 무엇보다도 개교회에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제3장에서는 주5일 근무제도의 이론적인 연구를 하였다. 제1절에서는 주5일 근무제도의 정의와 한국사회에 그 제도를 도입하게 된 배경, 그리고 의의를 살펴본 후에 주5일 근무 제도를 어떤 관점과 자세를 가지고 바라보아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제2절에서는 주5일 근무제도가 한국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주5일 근무제도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주5일 근무제도의 장단점을 살펴본 후에 주5일근무제도가 특별히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5일 근무시대 제도를 통한 정부의 의도는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을 단축하여 생긴 잉여시간들을 통해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자는 것이다. 주5일 근무제도에서 경제적 유익을 얻을 수 있는 분야는 관광, 레저 산업과 함께 운송업, 디지털 산업, 정보서비스 산업 각종 서비스 산업과 교육관련 산업이다. 반면 타격을 받는 산업은 노동집약적 제조업, 특히 섬유산업 등 전통 제조업과 수출 위주의 산업, 1차 산업 등이다. 또한 사회 계층적인 측면에서 계층 간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한국교회가 이해할 때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제3절에서는 주5일 근무제의 신학적인 이해와 기독교계의 반응을 통해 주5일 근무제가 교회에 끼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부정적인 면은 첫째, 주일 출석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세속문화의 도전을 받는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것이다. 긍정적인 면은 첫째, 교회교육의 시간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의 사회봉사 참여가 활발해 진다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주5일 근무제도와 관련된 성경적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주5일 근무제도와 관련된 성경적 개념은 안식일이다. 그러므로 먼저 안식일의 정의와 신학적 이해를 살펴보았고 구약시대와 신약시대에 안식일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런 후에 오늘날 지키고 있는 주일성수와 주5일 근무제의 관계 속에서 안식일을 이해하였다. 제1절에서는 쉼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안식과 안식일에 대해서 성경적인 정의를 살펴보고 그것의 신학적 의미를 이해하였다. 제2절에서는 고대근동에서 안식일의 기원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성경에 나타난 안식일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안식과 반대되는

      •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 선교를 통한 네팔의 선교 전략 연구

        김희수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를 통하여 외국인 노동자 본국에 선교할 수 있는 전략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회, 해외 파송 선교사 그리고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를 연계하여 외국인 노동자를 통한 본국 선교 전략을 세워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S교회 교인과 국내거주 네팔 노동자들이다. 통계에 사용된 설문지는 S교회 교인 225부와 네팔 노동자 97부이었다. 질적 연구 방법으로 국내 거주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 4명을 동의를 얻고 심층 면접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교회 연구 대상자의 선교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교 인식에서 선교의 뜻, 선교지 인지, 선교지의 소식은 좋았으나 선교지 선교활동은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해외 선교나 외국인 근로자 선교는 찬성하고 선교 헌금과 기도에 동참하고 있으나, 직접적인 외국인 선교활동 참여는 저조하였다. 둘째, 신앙 성숙 수준은 5점 척도에 평균 3.85로 높은 편이었다. 20대 청년들의 신앙 성숙 수준은 장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선교성 수준은 5점 척도에 평균 3.97로 높게 나타났다. 교회의 선교성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청년들과 전문 직업을 가진 교인들의 선교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넷째, 교회의 선교성에 대한 영향력은 ‘신앙 성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교 인식’, ‘외국인 노동자 인식’ 순이었다.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의 종교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네팔 노동자들이 종교지도자의 도움이 없어도 자력으로 자신이 가졌던 신앙을 유지하기 위해 종교 의식을 행하고 있었다. 둘째, 네팔 노동자들의 대부분은 교회를 종교적인 곳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30% 이상은 종교적인 곳보다는 자선과 교제의 장소로 인식하고 있거나 어떤 곳인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고 알고 싶어 하였다. 셋째, 한국에서 네팔 노동자들은 힌두교 전통적인 교리를 믿고 정기적으로 집회에 참여하고, 종교적 경건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국내 거주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의 신앙상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 이주한 후 1년 이내에 교회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교회로 인도되는 통로는 친구와 직장동료나 사장 등 이었다. 둘째, 네팔 노동자들의 교회 출석 이유는 신앙, 의료, 정보, 도움, 특별행사 등이었다. 셋째, 세례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세례 받을 기회를 놓쳐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언어의 장애로 설교 내용을 대부분 이해하지 못했다. 다섯째, 교회 출석하고 있는 네팔 노동자 중 일부는 생활의 변화를 느끼고 있었으며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복음을 전하고 있었다.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를 통한 네팔 선교 전략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를 통한 네팔 선교 전략으로 5가지 전략을 세웠다. 선교 전략 Ⅰ은 한국교회의 네팔 노동자 직접 선교 전략으로,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에게 직접 선교활동, 네팔 노동자 선교 전문 사역자로 사역, 노동현장 관련자와 친밀한 관계 형성, 교인들의 선교활동 참여 기회 제공, 네팔 노동자 선교센터 건립이다. 선교 전략 Ⅱ는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를 통한 네팔 노동자 선교 전략으로, 하나님 유일 신앙 사역자로 교육, 네팔 노동자를 평신도 사역자로 임명, 네트워크 조성, 지역교회의 선교대상 특화이다. 선교 전략 Ⅲ은 네팔 파송 선교사의 국내 거주 네팔 노동자 선교 전략으로, 네팔 송출 노동자 모집과 교육, 네팔 평신도 사역자를 노동자로 파송, 네팔 노동자와 친밀한 관계 유지, 한국교회에 현지 사역자 역 파송이다. 선교 전략 Ⅳ는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의 본국 선교로, 네팔 노동자의 자율적인 신앙 활동 보장, 네팔 노동자를 목회자로 양성, 평신도 사역자로 양성하여 본국에 파송, 네팔 선교사와 연계, 한국 교회와 교인들의 이미지 선교이다. 선교 전략 Ⅴ는 네팔 선교 동력으로 한국교회의 선교성 증진으로, 선교 지향적인 교회로 전환, 교인들과 네팔 노동자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 직ㆍ간접적으로 선교활동 참여, 성숙한 신앙인으로 교육과 훈련,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와 네팔 파송 선교사의 선교활동 간증이다. 이런 5가지 선교 전략은 개별적으로 전개하기보다 서로 협력하여 종합적으로 선교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용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교성 척도를 이용하여 교회의 선교성을 파악하여 균형적인 선교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런 균형적인 선교성 증진에 대한 대안은 한국교회에 적용시킬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행해 S교회의 선교성 측정을 한국교회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해외 선교를 위해 교회, 외국인 노동자 선교회와 해외 파송 선교사의 연계 가능성이 나타났는데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네팔 선교를 위한 5가지 선교 전략을 한국교회에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한국교회가 국내 거주 교회출석 네팔 노동자를 평신도 사역자로 성장시켜 본국으로 역 파

      • 조셉 얼라인과 로잔 언약 회심론 비교 연구

        이진행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조셉 얼라인과 로잔 언약 회심론 비교연구 조셉 얼라인(Joseph Alleine)의 “회심하지 않는 자들을 향한 경고”(An Alarm to the Unconverted)에 나타나는 ‘거짓 회심’과 “로잔언약”(The Lausanne Covenant)에서 말하는 ‘회심’(conversion)과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양자가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조셉 얼라인의 회심사상이 참된 선교에 기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으로 바른 신앙 형성과 선교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임을 말하였다. 현대 복음주의 교회 내에서 진정한 ‘회심’이 사라졌으며, 로잔언약은 회심에 대한 불분명한 입장을 보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에 방해요인이 된다는 것을 문제로 제기했다. 또한 본 논문에 등장하는 주요 단어를 정의했고, 연구를 위해 국내외 유수한 학자들의 논문과 도서들을 참고할 것을 말하였다. 2장에서는 ‘개혁주의’진영과 ‘복음주의’ 진영의 ‘회심에 대한 이해’를 진술하고 서로 비교했다. ‘개혁주의’에서는 칼빈(John Calvin)과 청교도 진영의 윌리엄 퍼킨스(Willam Perkins), 리차드 박스터(Richard Baxter), 존 오웬(John Owen), 토마스 쉐퍼드(Thomas Sherpard)등의 회심이해를 살펴보았다. 복음주의에서는 찰스 피니(Charles Grandison Finney), 존 스토트(John Stott), 빌 브라이트(Bill Bright), 제임스 케네디(James Kennedy), 릭 워렌(Rick Warren), 빌 하이벨스(Bill Hybels) 등으로부터 회심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청교도개혁주의의 회심이 성령의 사역에 의한 것이라면, 복음주의의 회심은 인본주의가 가미된 회심이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조셉 얼라인의 “회심하지 않는 자들을 향한 경고”(An Alarm to the Unconverted) 에 나타난 ‘회심’에 대한 진술을 담았다. 그의 청교도적인 배경과 생애를 살펴보고, 진정한 회심과 거짓회심을 살펴보고, 그의 회심이 선교에 적용되어야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로잔언약의 역사적인 배경과 1-3차에 걸친 선언의 내용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특히 로잔언약을 주도한 빌리그래함(Billy Graham)의 ‘결심중생’(decision regeneration)이 로잔언약의 ‘회심론’의 바탕에 깔려 있음을 살펴보았다. 조셉얼라인이 말하는 진정한 회심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런 배경 때문에 로잔운동의 선교에도 적절하지 못한 ‘인본주의’ 요소가 많이 가미되어 있다는 것을 진술하였다. 5장에서는 조셉얼라인과 로잔언약의 신학적인 차이를 조명해보았다. ‘성령의 역사’, ‘회개’, ‘믿음’, ‘성도’에 대해 어떤 견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선교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선교의 전략과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명해보았다. 조셉얼라인의 이해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아래 성령과 말씀에 의지하는 것이었다면, 로잔 언약의 이해는 인본주의적이고, 교회성장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피상적인 것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6장 결론에서는 전체를 요약하고 오직 성령과 말씀에 의한 ‘회심’이 아니라면, 거짓회심이며, 분명한 회심의 증거인 ‘성령의 열매’가 나타나지 않는 한, 바른 신앙을 소유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말했다. 참된 회심이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인이 되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이며, 참된 회심이 없으면, 구원에 이르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거짓회심을 바탕으로 선교하는 것은 이름뿐인 신자를 생산하는 것이기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주장했다.

      • 개혁주의 선교신학의 입장에서 본 Missio Dei에 대한 비판과 선교적 교회론

        장정훈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1910년 에딘버러에서 열린 선교대회를 통하여 선교개념은 획기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선교방식이 급속하게 퇴색하기 시작한 것이다. 에딘버러 선교대회는 WCC의 교리적 기초를 놓은 대회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주장은 모든 기독교 교파가 서로 화해하고 단합해야 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성경의 무오설과 절대성을 부인하면서 오히려 기독교가 분열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 에딘버러 선교대회를 통하여 반세기 동안 선교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개념이 Missio Dei다. 이 개념이 초기에는 주로 진보적 개신교 진영에 의해 수용되었지만 잇따라 동방정교회과 가톨릭교회 그리고 복음주의자들 조차도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결국은 이 Missio Dei 개념이 거의 모든 기독교 교회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교회들의 선교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데이비드 보쉬(David J. Bosch)는 그의 책 “Transforming Mission”을 통하여 지난 반세기의 선교신학에서 가장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개념이 Missio Dei였다고 말했다. 이러한 Missio Dei 선교개념은 결국 심각한 선교신학의 갈등을 유발했다. 개혁주의적인 전통적 선교개념이 심각하게 공격을 받게 된 것이다. 선교의 주체는 교회이고, 교회의 확장이 곧 선교라는 교회의 선교(Missio Ekklesiae)라는 개념이 약화되어 버린 것이다. 선교가 영혼 구원만이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전피조 세계로 넓혀진 것이다. 호켄다이크(Hoekendijk)는 선교의 목적이 “교회 설립”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종교개혁자들이 고전적인 선교와 복음전파에 대한 개념이 지나치게 시간에 제한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복음전파와 선교의 목적을 개인의 구원에 두기 보다는 땅위에 샬롬을 건설하는데 있다고 역설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Missio Dei의 개념이다. 호켄다이크는 개종자를 얻기 위하여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이 선교가 아니라 역사에 일하시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을 선교로 간주하면, 사회참여, 정치참여 등 사회적 행동에 중점을 두었다. 즉 교회의 모든 활동이 다 선교활동이라는 Missio Dei 개념은 전 세계 교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문제에 직면하면서 필자는 Missio Dei의 개념을 바르게 정립하면서 선교적 교회론을 모색하였다. 개혁주의 선교신학은 칼빈의 선교론에서 찾았다. 필자는 우선 Missio Dei 개념이 WCC 선교 역사에 미친 영향들을 고찰하였다. 가장 먼저 교회론을 연구하였다. 데이비드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을 통하여 태동하게 된 Missio Dei의 선교개념은 칼 바르트(Karl Bart)의 교회론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칼 바르트는 교회는 세상을 위한 Missio Dei에 참여하고 봉사해야 할 하나님의 도구라는 선교개념을 가졌다.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교회론은 교회는 타인을 위해 존재할 때만 교회답다고 했다. 몰트만(Jürgen Moltman)의 희망의 신학에서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교회와 세상을 새롭게 하기 위한 교회 이외에 다른 것일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반하여 개혁주의 교회론으로써 칼빈주의 교회론을 비교 연구했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Missio Dei 이론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데이비드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은 Missio Dei 이론의 배경을 이루는 것이므로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선교학자들이 보쉬의 “Transforming Mission”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되는 것이 그의 책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 개신교 선교신학 정립에 심각한 도전을 하게 되었고, WCC의 비성경적 선교개념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Missio Dei 이론적 배경을 연구와 함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배경을 연구했다. Missio Dei는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를 통하여 구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작년 부산에서 10차 회의까지 살피면서 Missio Dei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WCC 선교신학은 삼위 하나님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하나님과 성령님을 약화시키고 인간 예수만을 강조하는 성향을 보았다. 기독교가 영혼 구원을 통한 영생을 주는 종교가 아니라 인류 공통의 선과 윤리를 실천하는 윤리적 종교로 전락시키는 결과인 것을 역사적 대회들을 살피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신학적인 배경으로서 Missio Dei에 영향을 끼친 리츨(Albrecht Ritschl)과 칼 바르트 그리고 비체돔(G. F. Vicedom)과 호켄다이크의 주장을 고찰했다. 이들의 신학을 통하여 Missio Dei 선교개념의 발전과정을 연구했다. 이와같은 Missio Dei 선교개념의 발저과정을 살펴보고 WCC 선교사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를 했다. Missio Dei 개념을 통하여 선교에 미친 영향으로써 해방신학과 희망의 신학, 세속화 신학, 민중신학을 그리고 다원주의와 포괄주의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선교의 개념에서 점차적으로 사회복음이 등장하게 되고, 타종교와의 관계가 대두되면서 Missio Dei가 부각되었다. 그리고 선교의 목표를 인간화로 규정하고, 현세의 복락이 구원이라는 주장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사상이 발전하면서 지상 복락을 위한 공해, 자연에 대한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 것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보수적 장로교회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which was held in Edinburgh 1910, the idea of mission began to flow into an epoch-making direction. It means that the mode of traditional mission began to decline. We can say that the Mission Conference in Edinburgh was the conference which laid a doctrinal foundation of WCC. Speaking of WCC argument, since WCC strongly insists that all Christian denominations should live in harmony and strengthen the unity and they also denies the inerrancy and absoluteness of the Bible, WCC's insistence provides the cause of division against Christianity, instead.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of Edinburgh, the idea of Missio Dei has become a idea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mission for a half century. In the beginning this idea was mainly accepted by the group of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 but even the Eastern Orthodoxy Church, Catholic Church, and evangelists came to accept the idea of Missio Dei one after another. Eventually, the idea of Missio Dei has been accepted by almost all Christian churches,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mission of the Churches. David J. Bosch, through his book "Transforming Mission," says that the idea which has brought the most crucial change in the theology of mission for a half century is the idea of Missio Dei. Such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lead to the serious conflict in the theology of Mission in the long run. It means that the traditional missiological idea of reformed church is under serious attack. Through this attack, the idea of church mission(Missio Ekklesiae) in which the main body of mission is a church and extending the church is the mission itself has died down, As a result, the church mission is extended to the boundaries of saving human soul as well as those of all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Hoekendijk points out that it is wrong to define the goal of mission as "Planting the church." Moreover, as he points out that in the religious reformers the idea of classical mission and gospel spread is restricted in the time excessively, he stresses that the goal of spreading the gospel and the goal of mission is to establish the shalom on this earth rather than to set on the personal salvation. This is the very idea of Missio Dei. As Hoekendijk thinks that mission is not to dispatch the missionary to convert a person Christianity, but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who is working in the history, he puts emphasis on the social action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etc. That is, the idea of Missio Dei in which all activities of the church are included in the mission activities has tremendous influences on the church of the whole world. Being faced with this problem, this dissertation explores ways toward the missiological ecclesiology as this dissertation establishes the idea of Missio Dei correctly. For a star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influences in which the idea of Missio Dei has effect on the missiological history of WCC, and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ecclesiology first of all. The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which has its earliest beginning through Bosch's "Transforming Mission" has in common with Karl Barth's doctrine of Church(ecclesiology). Karl Barth has a missiological idea in which the church is God's tool which has to participate in and serve the Missio Dei for the world. According to Bonhoeffer's doctrine of church, the church will be the church worthy of name only when the church exists only for others. In the book of the theology of hope, Jurgen Moltmann says that there is nothing else the church for the kingdom of God and for transforming the world newly. On the contrary to this, as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church, this dissertation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Calvin's doctrine of church. Based on such research,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theory of Missio Dei. Since D. Bosch's "Transforming Mission" forms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of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concentrates on it. Bosch is accepted uncritically, but we must not overlook this fact that the idea of Missio Dei originated on his book causes a serious problem toda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Missio Dei with the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Missio Dei. Missio Dei has taken its form through the Mission Conference of Edinburgh in 1910; and this dissertation has studied the transition process of Missio Dei as it investigates the Missio Dei until the 10th conference in Busan. Missiological theology of WCC emphasizes God the Trinity; however, as a matter of fact, theology of WCC has shown the inclination to weaken God and the Holy Spirit as it only emphasizes Jesus as human being. This dissertation, as it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onferences of WCC, suggests that in the missiological theology of WCC, Christianity has been reduced to an ethical religion which only practices the common human good and ethics rather than Christianity offers an eternal life through saving the soul. Moreover. this dissertation, as a theological background, examines the ideas of Albrecht Ritschl, K. Barth, G.F. vicedom, and Hoekendijk, which have an effect on the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through the theology of those theologians, also studi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Likewise,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issiological idea of Missio Dei, and studies the elements which has an effect on the missiological idea of WCC. As the influences transmitted by the idea of Missio Dei,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theology of liberation, theology of hope, theology of secularization, theology of peopl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religion. The idea of Missio Dei among the traditional ideas of missiology is gradually highlighted as the social gospel appears and the relation w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