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자동실과 모자별실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분만직후 피로도에 관한 연구

        정인숙 한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모자동실과 모자별실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분만직후 피로도 본 연구는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분만직후 피로도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조사함으로서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분만직후 피로도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모자동실과 모자별실을 동시에 운영 중인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한‘C’대학 부속병원과‘S’여성전문병원에서 출산 후 48시간 이내의 입원 중인 모자동실군 43명과 모자별실군 116명 총 159명이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일반적 특성에 관한 13문항,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에 관한 38문항(박미숙, 1991), 분만 직후 피로도에 관한 30문항(Pugh, 1993)의 총 81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est와 M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1.272, p=.736), 교육정도(=2.573, p=.429), 월수입(=7.003, p=.072)이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산과적 특성으로, 임신계획여부(=.519, p=.473), 분만형태(=2.573, p=.109), 모자동실 인식여부(=1.206, p=.272)항목에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분만 후 특성으로, 모유수유(=1.571, p=.210), 훗배앓이(=3.964, p=.265), 회음부절개 불편감(=5.418, p=.144), 제왕절개수술 후 불편감(=4.564, p=.207)에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분한 수면과(=14.188, p=.000), 유방울혈(=9.638, p=.022)항목에서 모자동실군이 불충분한 수면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은 모자동실군의 평균점수는 113.00점이었고, 모자별실군 평균점수 102.09으로 모자동실 군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군에서 가장 자신감이 높은 순위는 수유(평균=29.56, /27.32), 건강과 질병(평균=28.84,/21.78), 영아의 행동(평균=18.93, /17.34)순이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모자동실군과 모자별실군 산모의 분만 직후 피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신체적, 정신적, 신경 감각적 피로도의 경우는 모자동실이 각각 28.81점, 34.40점, 34.23점이며 모자별실군의 신체적, 정신적, 신경학적 피로도의 경우 각각 27.51, 32.47, 32.78점으로 모자동실 이용에 따른 전체 피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897, p=.060).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모자동실군이 모자별실군에 비하여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이 더 높았으며, 분만직후 피로도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모자동실이 산후피로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산모들의 잘못된 인식을 교정하고, 모자동실의 장점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rooming-in and rooming-separate focus on infant-care confidence and postpartum fatigue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rooming-in and rooming-separate system with special focus on infant–care confidence and postpartum fatigue. This study utilized descriptive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13. The subject were 43 mothers who opted the rooming-in choice and 116 mothers who opted the rooming-separate mothers within 48hours after childbirth who visited on“C”university hospital and “S”hospital(women clinic and well-baby clinic) in Ujeongbu-si Kyeonggi-do. The research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38 items on Self Confidence Scale developed by Park Mi Sook(1991), 30 items on postpartum fatigue developed by Pugh(1993).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mean, SD, -test, MANOVA,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In the general characteristic, age(=1.272, p=.736), education of level(=3.833, p=.429), monthly income(=7.oo3, p=.o7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rooming-in and rooming-separate groups. 2.In the obstetric characteristics, plan of pregnant(=.519, p=.473), recognize of rooming-in(=1.206, p=.270), type of delivery(=2.573, p=.109).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in rooming-in and rooming-separate groups. 3.Postpartum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reast feeding (=1.571, p=.201), after pain(=2.469, p=.020), discomfort of region perineal(=5.418, p=.1441), discomfort of after C/S(=4.564, p=.226).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rooming-in and rooming-separate groups. 4.The mean score of self confidence for infant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The score of rooming-in(113.00) was higher than rooming-separate (102.09). The top number order is breast feeding(29.56 /27.32), health & illness(28.94/21.78), behavior(18.93/17.34) etc. this order was same in two groups. 5.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nd neurosensory fatigue score were in rooming-in group 28.81, 34.40, 34.23 than those 27.51, 32.47, 32.78 of rooming-separat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is study, rooming-in group was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confidence for infant care than rooming-separat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ostpartum fatigue whether they were rooming-in or not. Based on this result the common notion of rooming-in mothers is proved to be false. In conclusion, this analysis give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for mothers who decide to rooming-in.

      • 만성질환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진희 한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의정부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만성질환으로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자는 194명이었다. 선정 기준은 65세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명(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골관절질환, 만성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의식이 명료한 입원 노인 환자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3개월 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40.58(±7.77)로 평균 보다 높았고,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79.94(±11.88)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102.07(±13.96)로 평균 보다 높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경제사정(F=3.77, P=.006), 주된 소득원(F=3.39, P=.006), 건강문제 상의(F=6.59, P=.000), 가족관계(F=30.61, P=.000), 치료비 지불(F=2.87, P=.024)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력(F=3.17, P=.015), 경제사정(F=3.49. P=.009), 주된 소득원(F=4.95, P=.000), 건강문제 상의(F=6.81,P=.000), 인지하는 가족 관계(F=7.8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학력(F=2.7, P=.031), 경제 사정 (F=9.81, P=.000), 건강문제 상의(F=2.51,P=.031), 지각된 건강상태(F=4.30, P=.002), 가족관계(F=.691, P=.000)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 입원노인들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족지지가 만성질환 입원 노인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절한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factor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enile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Senil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in Uijeongbu city were enrolled. The familial support, health improving behaviors,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y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8.0. The data was showed in percenta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were used. The degree of familial support was 40.58 ( ±7.77). The degree of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79.94 (±11.88).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as 102.07 (± 13.93) and higher. They all were higher than mean values. The famil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socioecomic state, educational state. The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income, economic state, and educational state.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state,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and educational stat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health improving behavior (r=0.46, p<0.001). Famil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0.41, p<0.001). Health improving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0.45, p<0.001). The higher familial support was, the higher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Familial support was the important factor to effect on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hus nursing intervention and proper treatment to increase in familial support will be need through further study.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노인입원환자의 낙상위험지각, 낙상관련 효능감 및 낙상예방행위에 대한 연구

        김현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노인입원환자의 낙상위험지각, 낙상관련 효능감 및 낙상예방행위 수준을 확인하고 낙상위험지각의 수준 차이에 따른 낙상관련 효능감과 낙상예방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 C시에 소재한 5개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148명이었다. 2021년 10월 2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일대일 면담을 통해 대상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연구자가 읽어주고 응답하면 설문지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낙상위험지각은 홍정민(2011)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지각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낙상관련 효능감은 Tinetti, Richman과 Powell(1990)이 개발한 10개 항목의 Fall Efficacy Scale를 장정미(200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낙상예방행위는 김민영(2008)이 개발하고 황선영(2011)이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도구를 간호·간병통합서비병동 노인입원환자에게 적합하도록 다시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낙상위험상태는 총점 평균 18.58±7.77점이었고 이를 낙상위험으로 인식하는 낙상위험상태지각은 총점 평균 9.53±6.84점으로 나타나 실제 낙상위험상태와 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위험상태는 연령, 교육수준, 의료기구 사용여부, 병원낙상위험도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85세 이상의 대상자일 때, 학력이 낮을수록, 의료기구를 사용할 때, 병원낙상위험도 분류에서 고위험군일 때 낙상위험상태 점수가 높았다. 낙상위험상태지각은 연령, 교육수준, 배액관여부, 병원낙상위험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85세 이상의 대상자일 때, 배액관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병원낙상위험도 분류에서는 고위험군의 대상자일 때 낙상위험상태지각 점수가 높았다. 2. 낙상관련 효능감은 총점 평균 81.93±15.51점이었고 성별, 진단명, 낙상경험, 병원낙상위험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자일수록, 신장계 진단명을 가졌을 때, 낙상경험이 없는 경우, 병원낙상위험도 분류에서 저위험군일 때 낙상관련 효능감 점수가 높았다. 3. 낙상예방행위는 총점 38.70±5.79점이었고 교육수준, 수액치료, 낙상경험, 병원낙상위험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수액치료를 받고 있지 않을 때, 낙상경험이 있을 때, 병원낙상위험도 분류에서 고위험군 대상자일 때 낙상예방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지각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점수에 따라 각각 세 개 군으로 분류한 후, 낙상위험상태군과 낙상위험상태지각군을 각각 비교하여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지각군이 동일한 경우, 낙상위험상태군 수준이 낙상위험상태지각군의 수준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세 군은 교육수준, 배액관 여부, 병원낙상위험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지각의 수준에 따른 낙상관련 효능감은 낙상위험상태 수준이 낮을수록, 낙상위험상태지각의 수준이 낮을수록 낙상관련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낙상예방행위는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지각의 수준 차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제 낙상위험상태보다 더 높게 인식하는 군에서 낙상예방행위점수가 가장 높았고, 반면 실제보다 낙상위험상태를 더 낮게 지각하는 군의 낙상예방행위점수가 가장 낮았다. 6.낙상위험상태, 낙상위험상태지각, 낙상관련 효능감, 낙상예방행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낙상관련 효능감은 낙상위험상태지각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낙상위험상태지각의 수준이 낮을수록 낙상관련 효능감은 높았다. 낙상예방행위는 낙상위험상태, 낙상위험상태지각, 낙상관련 효능감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낙상위험상태와 낙상위험상태인식의 차이에 따라 낙상예방행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상자가 실제 낙상위험상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그 수준을 먼저 사정하고, 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예방행위를 하도록 할 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 울진 佛影寺의 佛畵 연구

        정빛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8

        This study examines the enshrinement of and changes to Buddhist paintings dating from the 17th to the 20th century at Buryeongsa Temple, produced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threealtars” in each of the temple's halls, based on related Buddhist services. It also researches support and exchange on the part of the groups to which the painter-monks belonged. Among the many written records held at Buryeongsa is Seongjo jammul giyong yugong hwaju rok(成造雜物器用有功化主錄), which contains detailed accounts of services held at the temple from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s to the 20th century. This text allowed the author to study the enshrinement of and changes to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s Daeungbojeon, Yeongsanjeon and Myeongbujeon. Firstly, the Daeungbojeon Hall was equipped to hold an upper and middle altar before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while a lower altar was installed only during ceremonies. Later, in 1629, Yeongsanhoe hwataeng(靈山會畫幀) and Cheonseon wi hwasangtaeng(天仙位畵像幀) were enshrined permanently on the upper and middle altars, respectively, while a lower altar painting was used only when demanded by ceremonies. Moreover, the production of works such as the folding screens Saja byeongpung(使者屛風) and Oro byeongpung(五路屛風), and the Bullyeon(佛輦), together with the paintings, shows us that lower altars were temporarily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outdoor ceremonies. The Daeungbojeon was destroyed by fire in 1720 and rebuilt in 1725; the Maitreya painting Seokgamoni bulhoedo(1735) and the middle altar painting Samjang bosaldo(1739) were then enshrined in the hall. In the 19th century, the Samjang bosaldo was replaced by the Sinjungdo in accordance with changed ceremonies and understanding of the middle altar. Following the renovation of the Yeongsanjeon in 1577, a Seokgamoni bulhoedo produced in 1676 was enshrined in the hall. Approximately 100 years later, in 1841, another Seokgamoni bulhoedo was produced and enshrined. It is therefore thought that the Seokgamoni bulhoedo produced in 1676 was lost or stolen. Later, the 1841 Seokgamoni bulhoedo was moved to Sinheungsa Temple in Samcheok and an Amita bulhoedo produced in 1906 enshrined in the hall. Finally, the Myeongbujeon Hall was built in 1681. That year, a Jijangju hwataeng(地藏主畵幀), a Siwangtaeng hwataeng(十王幀畵幀), a Siwang wonbultaeng sipbu(十王願佛幀十部), a Jeseokhwa(帝釋畵) and a Hadan taeng(下壇幀) were produced and enshrined in it. Among these, the Buryeongsa Gamnodo survives as the Myeongbujeon's lower altar painting; the production of a gold shawl(金卓衣) and a silk shawl(錦卓衣) for the middle altar together with this painting indicates that there are upper and middle altars but no lower altar. This in turn tells us that Buryeongsa Gamnodo was not fixed to a permanent altar but used only during ceremonies. A fire in 1720 destroyed all the Buddha paintings in Myeongbujeon apart from the Gamnodo, while a Jijang bolsaldo and six Siwang hapbu sajado works were produced and enshrined in 1880. By determining the painting styles of the Buddha paintings that remain in the halls of Buryeongsa Temple after these processes of change, this study has identified relationships between painter-monks, and the support for and interaction with them on the part of monastic groups based at Buryeongsa. Paintings at the temple that survive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clude the Buryeongsa Gamnodo(1681), the Seokgamoni bulhoedo(1735) and Samjang bosaldo(1739) in the Daeungbojeon and the Ipoyeoraedo(1760). The soaring jeongsang gyeju(頂上髻珠), gilded flower patterns, clouds, whirlpools and mongnimun of the ruyi scepter patterns found in the Gamnodo(1681)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Buddha paintings of artists such as Haeung(海雄) and Uigyun(義均). This tells us that Cheolhyeon(哲玄), the artist who produced the Buryeongsa Gamnodo, was influenced by the painting styles of Haeung and Uigyun. The Seokgamoni bulhoedo(1735) painting in the Daeungbojeon Hall was produced using the same outline as the painting of the same name at Beophwasa Temple and transformed by Goengwon(宏遠) of the Palgongsan painting school. It is on this work that the later Seokgamoni bulhoedo(mid-18thcentury) at Daejeonsa Temple and the Seokgamoni bulhoedo sold by Skinner Auctioneers in the United States are based. The Samjang bosaldo(1739) in the Daeungbojeon Hall was painted by Milgi(密機), who used the same basic composition found in other Samjang bosaldo produced by artists of the Palgongsan school in the Geongsangbuk-do area at the time, but added his own unique contrast and facial styles for the Samjang bosal, while borrowing new iconographic elements. The 17th-18th-century paintings at Buryeongsa were produced through the migration of painter-monks, via the Samyeong(四溟) group living at the temple at the time. Yangseong Hyeneung(養性惠能) and his disciples, as well as Samyeong group monks led by Ino, lived at Buryeongsa in the late-17t hand early-18th centuries. This tells us that Cheolhyeon and Goengwon, thought to be painter-monks connected to the Samyeong group, produced the paintings there that date from this period. 19th-20th-century paintings remaining at Buryeongsa include the Seokgamoni bulhoedo(1841) in the Yeongsanjeon Hall, the Sinjungdo(1860) in the Daeungbojeon Hall, and seven of 15 paintings produced in 1880. These seven works include two out of six panels from the Jijang bosaldo and Siwang hapbu sajado paintings in the Myeongbujeon Hall, the Gwaneum bolsaldo in the Wontongjeon Hall, the Amita bulhoedo in the Jeongmukdang Hall, and the Sinjungdo and Dokseongdo in the Jeongmukbang or Simbang. 20thcentury works include the Amita bulhoedo, the Chilseongdo and the Sinjungdo, produced in 1906 and enshrined in the Eungjinjeon Hall. The Seokgamoni bulhoedo(1841) in the Yeongsanjeon Hall at Buryeongsa shows similarities to the work of the same title(1821) housed at Onyang Folk Museum in Gyeonggi-do Province. Bong Heun(奉欣), the painter of Seokgamoni bulhoedo, is thought to have learned to paint from Singyeom(信謙). Sinjungdo(1860) in the Daeungbojeon was painted by Jau(慈友), a member of the Sabulsan school, based on the painting of the same name at Banyaam Hermitage in Yecheon, which was produced by Eungseok(應釋) in 1859. 15 works were painted at Temple in 1880, with most painters having been connected through Bongsu(奉秀) of the Sabulsan school. Bongsu built ties with Jaegeun(在根) and Jeongik(定濯), artists from the Seoul and Gyeonggi-do region, and with Cheoryu(喆侑), a painter from Mt. Geumgangsan, at Buddhist services in Dorisa and Daeseungsa temples in Mungyeong in 1876. Later, in 1878, he came into contact with locally-based Eungsun(應淳) while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provinces to take part in producing the Gwaebuldo at Gyeongguksa Temple in Seoul. Based on this contact, he gathered Eungsun, Jeongik, Jaegeun and Cheoryu and led the service at Buryeongsa in 1880. As a result, the Jijang bosaldo produced in 1880 at Buryeongsa contains a mixture of the styles of the Sabulsan school and painter-monks from the Seoul-Gyeonggi area. The 20th-century Amita bulhoedo in the Eungjinjeon Hall appears related to the styles of paintings by Gyeongseon Eungseok, it is therefore presumed that Gyeongyeon(敬演), who painted the Amita bulhoedo, learned to paint from Eungseok. The 19th-century Buddha paintings at Buryeongsa were produced by the movement of painter monks via the Hwanseong(喚醒) group. Byeokhun(碧訓), a member of the Seolsong Yeoncho(雪松演初) group, lived at Buryeongsa in the 19th century. Byeokhun was the chief painter of the Seokgamoni bulhoedo(1841) painted by Bongheun, thought to have been part of the same group, and Sinjungdo(1860) in the Daeungbojeon, painted by Jau, part of the Hwanseong-affiliated Powol Chomin (抱月楚旻) group. This tells us that the paintings were collaborations between different Hwanseong groups. Yeongun Bongsu, thought to have belonged to a Hwanseong group, moved to Buryeongsa in 1880, where he led Buddhist services; this also points to the presumption that the paintings were a collaboration between Hwanseong group monks living at Buryeongsa in the late-18th century. This examina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at Buryeongsa has thus produced an understanding of how the paintings in each of the temple's halls were enshrined and underwent change, while indicating how the painter-monks who produced them came together with the support of various groups based at the temple. 이 논문은 불영사의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조성 된 불화를 불화와 관련된 불사를 통해 전각 별 삼단가설에 맞춘 불화의 봉안과 변화를 살피고 불영사에 주석한 승려문중을 통한 화승의 후원과 교류를 연구하였다. 불영사에 소장 된 다수의 문헌자료 중 임란이후 20세기까지 불영사의 불사를 상세히 기록한「成造雜物器用有功化主錄」을 통해 大雄寶殿, 靈山殿, 冥府殿의 불사를 통한 불화의 봉안과 변화를 연구 할 수 있었다. 먼저 불영사의 대웅보전은 불화가 조성되기 이전에 上壇과 中壇을 위한 설비를 갖추고 下壇은 의식이 있을 때만 단을 설치하였다. 이후 1629년에 상단불화인 <靈山會畫幀>과 중단불화인 <天仙位畵像幀>이 상설단으로 봉안되고, 하단불화는 의식의 수요가 있을 때만 사용되었다. 또한, 불화와 함께 조성되어진 <使者屛風>과 <五路屛風> 그리고 <佛輦> 등의 조성을 통해, 하단이 야외의식을 위해 가설됨 을 알 수 있다. 이후, 1720년의 화재로 대웅보전은 소실되고 1725년에 다시 중건되어진다. 그리고 전각 안에는 후불화인 <釋迦牟尼佛會圖>(1735년)와 중단불화인 <三藏寶薩圖>(1739년)가 봉안된다. 이후, 1860년도에 중단의 의식과 인식의 변화로 중단불화인 <삼장보살도>가 <神衆圖>로 교체된다. 다음으로 영산전은 1577년에 중창된 후, 1676년에 제작 된 <석가모니불회도>가 봉안되며, 이후, 1841년에 새로이 <석가모니불회도>가 조성되어 봉안된다. 이를 통해 1676년에 조성 된 <석가모니불회도>는 소실되었거나 도난당해 새로이 조성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1841년 제작 된 <석가모니불회도>가 삼척 영은사로 이동하여 1906년에 <阿彌陀佛會圖>가 제작되어 봉안된다. 마지막으로 명부전은 1681년에 창건되고 그 해 <地藏主畵幀>, <十王幀畵幀>, <十王願佛幀十部>, <帝釋畵>, <下壇幀>이 조성되어 봉안된다. 이 중 명부전의 하단불화로 조성 된 <甘露圖>가 현존하고 있으며 불화와 함께 조성된 金卓衣와 中壇錦卓衣의 조성을 통해 상단과 중단은 마련되고 하단은 마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영사 <감로도>(1681년)는 상설단에 고정되지 않고 의식이 있을 때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1720년의 화재로 명부전에 조성 된 불화는 <감로도>를 제외하고 모두 소실되며, 1880년대에 <地藏菩薩圖>와 <十王合部 使者圖> 6폭이 제작되어 봉안된다. 이와 같은 변화를 거쳐 각 전각에 봉안 된 불영사의 불화들 중 현존하는 불화들의 화풍적 특징을 파악하여 화승들의 화연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불영사에 세거 한 승려문중을 통한 화승의 후원과 교류를 연구하였다. 불영사의 17∼18세기에 현존하는 불화로는 불영사 <감로도>(1681년), 대웅보전<석가모니불회도>(1735년), 대웅보전 <삼장보살도>(1739년), <離怖畏如來圖>(1760년)가 있다. 불영사 <감로도>(1681년)에서 보여 지는 높이 솟은 정상계주의 표현과 금니 꽃문양, 구름의 표현, 소용돌이와 여의두문의 목리문 등은 해웅과 의균이 제작한 불화에서도 동일하게 보여 진다. 이를 통해 <감로도>를 제작한 哲玄에게 海雄과 義均이 화풍적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대웅보전 <석가모니불회도>(1735년)는 法華寺 <석가모니불회도>와 동일한 초본을 바탕으로 팔공산화파인 宏遠이 변용시켜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후에 大典寺 <석가모니불회도>(18세기 중엽)와 미국 Skinner 옥션 출품 <석가모니불회도>의 범본이 되었다. 대웅보전 <삼장보살도>(1739년)를 제작함에 있어 密機는 동 시기 팔공산화파에 의해 제작 된 경북지역에서의 <삼장보살도>와 기본 구성은 공유하면서 자신만의 삼장보살의 상호와 명암법, 새로운 도상의 차용 등을 통해 제작하였다. 불영사의 17∼18세기에 제작되어진 불화는 불영사에 당시 세거하던 四溟門中을 통한 화승들의 이동으로 제작되었다. 불영사에는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전반에 養性惠能과 그의 제자들 그리고 印悟를 통해 사명문중의 승려가 세거하고 있었고, 그들의 후원을 바탕으로 사명문중과 관련 된 화승으로 생각되는 철현과 굉원이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불영사의 19∼20세기에 현존하는 불화로는 영산전 <석가모니불회도>(1841년)와 대웅보전 <신중도>(1860년) 그리고 1880년 조성된 15점의 불화 중 7점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7점은 명부전 <지장보살도>와 <시왕합부 사자도> 6폭 중 2폭, 圓通殿 <觀音菩薩圖>, 寂默堂 <아미타불회도>, 寂默房 또는 尋房 <신중도>, <獨聖圖>이다. 20세기에는 1906년에 조성 된 應眞殿 <아미타불회도>, <七星圖>, <신중도>가 있다. 불영사의 영산전 <석가모니불회도>(1841년)는 경기도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석가모니불회도>(1821년)과 친연성을 보여, <석가모니불회도>를 제작한 奉欣은 信謙에게 화업을 배운 화승으로 생각된다. 대웅보전 <신중도>(1860년)는 사불산화파인 慈友가 應釋이 제작 한 예천 般若庵 <신중도>(1859년)를 모본으로 제작하였다. 1880년 대불사는 15점의 작품이 조성되었으며, 사불산화파인 奉秀를 중심으로 화사들이 교류하였다. 봉수는 1876년에 문경 桃李寺와 大乘寺 불사를 통해 서울·경기 화승인 在根과 定濯, 금강산 화사인 喆侑의 관계를 구축한다. 이후, 1878년에 서울 경국사 <괘불도> 제작에 참여하여 경기·충정지역에 기반을 둔 應淳과 교류하게 된다. 봉수는 이러한 교류를 바탕으로 응순, 정익, 재근, 철유 등을 불러 모아 1880년 불영사의 불사를 이끌었다. 그리하여 불영사의 1880년 제작된 <지장보살도>에는 사불산화파와 서울·경기 화승들의 화풍이 함께 혼재되어있다. 20세기에 제작 된 응진전 <아미타불회도>는 응석이 제작한 불화들과 친연성이 보여 <아미타불회도>를 제작한 敬演은 응석에게서 화업을 배운 화승으로 생각된다. 불영사의 19세기에 제작되어진 불화는 당시 불영사에 세거하던 喚醒門中을 통한 화승들의 이동으로 제작되었다. 불영사의 19세기에는 환성계 雪松演初 문중인 碧訓이 세거하고 있었다. 벽훈은 같은 문중으로 생각되는 봉흔이 제작 한 <석가모니불회도>(1841년)와 환성계 抱月楚旻 문중인 자우가 제작한 대웅보전 <신중도>(1860년)의 화주를 맡아 환성문중을 통한 협업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880년 환성문중으로 생각되는 봉수가 불사를 이끌어감에 있어서도 18세기 말에 불영사에 세거하고 있던 환성문중의 승려들의 통한 문중의 협업이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불영사의 불화를 살펴봄을 통해 불영사의 불화가 전각 안에서 어떻게 봉안되고 변화되어 가는지 이해할 수 있었으며 불영사에 세거한 승려문중의 후원 아래 불화를 제작한 화승들이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