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淸末民初 滿洲 폐페스트 방역과 중일 관계의 변화

        김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本 論文은 1910-1911년 만주 폐페스트 유행을 중심으로 나타난 중국과 일본 간의 방역 주도권 다툼과 함께 양국의 방역 주도권 다툼이 중국과 일본의 관계성 변화에 미친 영향력을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열강의 이권 다툼이 치열했던 20세기 초에 중국이 위생과 방역을 통해 중일 관계에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처하려 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청일전쟁 패배 이후, 중국에서는 국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가가 개혁의 기초인 국민의 신체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확산되었다. 이에 1905년 청 정부는 국민의 신체 건강을 보호하고 열강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일본식 모델을 차용하여 위생행정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전 지역에 확산시키고자 했다. 곧바로 만주에는 중앙정부의 위생행정체제가 이식되었다. 일본이 19세기 말부터 위생과 방역을 매개로 만주에서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기획을 1905년 러일전쟁으로 남만주의 이권을 확보한 이후에도 지속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청 정부는 1910-1911년 만주의 폐페스트 유행을 계기로 개혁의 모범이면서 주권을 위협하는 존재인 일본과 본격적으로 조우했다. 만주에서 폐페스트가 확산하는 동안, 방역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청과 일본 사이에 협력과 견제가 지속되었다. 이때 일본은 중국인을 지도하는 일본인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1911년 2월 日淸共同防疫會議의 개최를 제안했다. 하지만 청은 회의에서 일본의 개입을 제한하고 도리어 양국 관계에 내포된 위계성을 타파하려 했다. 나아가 청은 방역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奉天에 국제페스트회의를 개최하여 폐페스트 방역 문제를 국제화하기로 했다. 奉天국제페스트회의를 주재한 청은 회의에 참가한 대표단들로부터 방역을 직접 주도할 수 있음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청은 辛亥革命으로 붕괴되어 국제페스트회의에서 청의 방역체계 보완을 위해 제공한 결의안을 이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후 수립된 중화민국 정부가 이를 일부 수용하여 만주에 東北防疫處를 설립했다. 東北防疫處는 예산을 받기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성과를 거두어야 했다. 그래서 당시 중국 의학계의 대다수였던 日本派보다 실력이 높다고 여겨진 英美派를 기용했다. 이는 당시 중국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장하려 했던 英美派의 바람과 부합했다. 英美派는 東北防疫處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15년 일본의 21개조 요구 이후 반일감정이 고조되자, 중화민국 정부는 일본의 영향력에서 점차 벗어나고자 했다. 이에 방역 현장 실무자로 당시 중국 의학계의 다수를 점하고 있던 日本派가 아닌 英美派 인원을 기용하여 방역을 주도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日本派가 아닌 英美派 의사가 醫界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되었고, 중국은 일본의 영향력에서 점차 벗어나 위생과 방역 면에서 자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중국은 위생과 방역을 둘러싸고 일본과 맺고 있던 수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상호 독립적인 관계로 나아갈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ggle over the leading role in epidemic prevention between China and Japan around the spread of the Manchurian Pneumonic Plague in 1910-1911 and the impact of the struggle on chang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based around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thus looking into the ways that China actively dealt with its relations with Japan through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global powers were going through fierce conflicts of interests. After losing the Sino-Japanese War, the Qing government witnessed the expansion of the opin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physical health of its people as a basis of national reform, in order to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us, in 1905, the Qing government established a sanitary administration system, adopted from the Japanese model, to protect the physical health of its people and block interference from the powers, and focused on attempts to spread it throughout the country. In Manchuria, the sanitary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entral government was transplanted immediately.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Japan was continuously attempting to accomplish plans to expand its influence on Manchuria through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since the late 19th century even though it had already secured its interests to southern Manchuri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Following the spread of a pneumonic plague in Manchuria in 1910-1911, the Qing government had a full-blown encounter with Japan; Japan came to be viewed by the Qing government as a model of reform that also threatened its sovereignty. During the spread of pneumonic plague in Manchuria, cooperation and containment over which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in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ntinuously persisted between Qing and Japan. Japan, in order to construct the image of the Japanese as enlightening the Chinese, suggested holding the Japan-Qing Joint Epidemic Prevention Conference in February 1911. Qing, however, limited Japan's interventions at the conference and tried to break down the hierarchy connoted in its relations with Japan. Furthermore, Qing decided to frame the pneumonic plague control and prevention as an international issue by holding the International Plague Conference in Fengtian to secure the leading role in epidemic prevention. Qing, presiding over the International Plague Conference, received approval by the delegations at the conference for its ability to take the initiative in epidemic prevention. However the Qing government collapsed after the 1911 Revolution and was not able to implement the resolutions provided at the International Plague Conference to supplement it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ystem.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China, founded after the fall of the Qing, accepted them partially and set up the North Manchurian Plague Prevention Service. The North Manchurian Plague Prevention Service had to make achievements that would glean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order to receive a budget. Therefore, The North Manchurian Plague Prevention Service appointed the British-American faction, who were considered to have a higher level of medical knowledge and skill than the Japanese faction. This fell perfectly in line with the British-American faction, who were hoping to expand their influence in China. The Britain-American faction developed its influence based on the The North Manchurian Plague Prevention Service. As anti-Japanese sentiment increased after Japan’s Twenty-One Demands in 1915,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tried to gradually escape from the shadow of Japanese influence. Therefor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ppointed members of the British-American faction to take the leadership in epidemic prevention as field practitioners in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stead of the Japanese faction that was holding the majority position in the Western medical community in China at the time. Through this process, doctors from the British-American faction took up chief positions in the medical community instead of the Japanese faction, which allowed China to gradually escape from Japanese influence and gain its independency in the field of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With this, China was able to escape from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it had with Japan on the issue of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and embark on a mutually independent relationship.

      • 오케스트라 활동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분석

        이희영 조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에 살아가고 있는 중·장년세대는 과거의 부모와는 달리 대부분은 고등 교육을 받았고, 전보다 더 많은 관심과 욕구로 레저 및 문화 예술 활동을 즐깁니다. 이 연구는 오케스트라 활동 참가자의 실제 상태를 조사하고 그들의 감정과 변화를 관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 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먼저 기술적 통계인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두 그룹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성별, 결혼상태, 연령, 직업, 최종학력, 월 소득 및 종교에 따른 내용을 조사하였습니다. 성별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오케스트라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결혼상태는 기혼이 압도적으로 많이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연령의 경우 두 그룹 모두 50대가 가장 많았고, 직업의 경우 두 그룹 모두 전문직이 가장 많았습니다. 최종학력에서는 두 그룹 모두 대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으며, 월 소득은 2백만 원에서 3백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종교에서는 오케스트라 참여자는 개신교가 가장 많았으며 비 참여자에서는 무교가 가장 많이 나왔습니다.  다음으로, 두 그룹 간의 평균 활동 만족도 차이는 평균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주었고, 단일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활동만족도의 영향을 확인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활동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연구 결과, 모든 결과가 의미가 있었지만 우리 삶에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것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다양한 환경과 프로그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안이 이루어집니다.  첫째, 예술 활동 동호회를 활성화하여 참여 수준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둘째,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남녀 모두가 음악을 즐기면서 행복 지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 오케스트라와 1인 1악기 수업은 모든 국민의 공통 커리큘럼에 필수적이며, 이 부분이 도입되면 학생들 또한 학업 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Unlike the past parents, the middle-aged generation living in modern society, most of them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enjoy leisure and cultural arts activities with more interest and desire than before. This study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articipants in orchestra activities, observe their emotions and chang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chestra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i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hich is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religion were examined. In case of gender,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orchestra activities, male students were not participating, and married students were married in both groups. By age, both groups were in their 50s, and in occupation, both groups had the highest public servants. In the final education, both groups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highest, and monthly income was between 2 million won and 3 million won. Lastly, Protestantism was the highest in religion and non-participants were the highest in religion. Next, the average difference of activity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average, and a sing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activity satisfa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all the subjective well-be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the results were meaningful, but I think that there are still a lot of things in our lives that need to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various environments and programs. First, I suggest a wa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level by activating the arts activity club. Second, by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all the people can participate, the happiness index of the people can be increased by enjoying music for both sexes. Third, orchestra and one-person instrument class are essential for the common curriculum of the people, and if this part is introduc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good influence on academic ability.

      • 문화예술기관의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오하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2000년대 초, 한국 사회에서는 ‘문화’와 ‘예술’, 그리고 ‘교육’이라는 각기 다른 영역들이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새로운 이름과 가치로 통용되면서 하나의 문화정책생산물로 등장했다. 문화예술교육은 등장과 동시에 정책, 복지, 교육 등 여러 영역에서 떠올랐고, 오늘날 실시되고 있는 다양한 장르에서의 교육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모든 정책의 국가경쟁력과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문화가 강조되면서 우리나라는 소득수준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가 상승했으며, 정부는 정책적으로 각 시도에 문화예술기관들을 설립하였다. 국민의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를 문화예술교육 기관들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들이 발전되면서 정부 지자체 기관 또한 주도적으로 확대되어가는 것을 보고 개인의 삶에 깊숙이 들어온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세대별, 지역별, 장르별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었다. 또한, 초고령화 시대와 세계문화예술의 공유화 되어가는 다문화 즉, 외국인을 상대로 하는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특징과 분석을 통해 이해를 넓혀주고,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모든 세대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능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는 교육의 형태로서 국공립교육 기관과 문화재단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무엇보다도 교육자와 학습자가 자발적인 학습의 주체가 되어 세대별, 지역별, 장르별로 적극적으로 활용한 체험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의 폭을 넓혀갈 수 있는 창의성 교육이다. 각 분야별로 상호작용하며 문화예술을 경험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던 지식과 경험을 프로그램에서 마주한 새로운 현상과 접목하여 예술을 이해하므로 이러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문화예술에 대한 개인별, 세대별, 지역별 욕구를 해소하도록 도우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수업을 관찰하며 수행해야 할 과업을 이해하고 체험과 참여에 적극적으로 임함으로 경험을 내면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교육자는 학습자 개개인과 수업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의견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할 기회를 만든다. 그리고 교육자와 학습자는 협력자로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개인적인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타인의 경험과 지식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문화예술에 대한 의미를 부여받고 수용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 기관에서 모든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공립문화예술교육기관의 프로그램과 문화재단의 문화예술교육기관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21세기를 살아가는 모든 세대에게 그리고 초고령화와 다문화 시대에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서 일회성이 아닌 중·장기적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모든 세대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운영 주체의 이윤추구 보다 국민의 문화시민으로 향유하게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출자로 운영할 수 있는 국공립문화예술기관 3곳과 지역별 안배와 배려를 위해 서울, 부산, 광주 3곳의 문화재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성화되고 보탬이 되고자 하였으며 전문화 시대에 맞게 문화예술사의 폭 진출과 확대를 기대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육학생으로서 음악 교육프로그램 중 고령화 시대에 소외됨 없이 모든 세대가 음악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조금 더 참여하여 서로 소통하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향유하므로 우리나라가 문화 선진국으로 도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그리고 지역별, 세대별, 장르별뿐만 아니라 국가의 장벽을 넘어 다문화 시대에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경험을 공유하고 자유롭게 소통함으로써 문화예술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해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조금이나마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In Korean society of the early 2000, different areas of culture, art and education were combined under a new name and value of cultural and art education as a cultural policy product. The cultural and art education was highlighted in many areas including policy, welfare and education as soon as it appeared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eply think the meaning of education in diverse practical areas. As culture is emphas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life quality, our people's need for cultural enjoyment is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cultural and art institutes in cities and provinces as a national policy. The people's need for culture and art was fulfilled through the culture and art institutes and as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 rams and institutes under local governments are developing,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deeply permeated into personal life according to generations, districts and genres. Als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grams developed for foreigners in this ageing and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ulture and art are shared. It gave a focus on analyses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national and publ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cultural foundations to broade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help all members of each generations be satisfied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of art and culture and increase life quality of the people.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cultivate creativity for which teachers and students initiatively participated in diverse hands-on programs developed according to different generations, districts and genres. As the subjects interacted each other to experience art and culture and understood art by grafting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into new phenomena, it is suggested that the program can help them with fulfillment of different needs and increase life quality.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observed the process, understood what they had to do and tried to internalize what they learned. The teachers paid attention to each of the subjects and situations, guided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gave them opportunities to share personal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interact each other. Then, the teachers and students shared personal experiences and knowledge as cooperators and accepted them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sed the national and public culture and art programs managed by culture and art educational institutes and foundations in order to be helpful for active promotion of ageing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effective middle and long-term management of the programs. It is also hoped that all of the generations will enjoy culture and art and the culture and art will be promoted. For regional arrangement, this study targeted 3 national and public cultural institutes and foundations of Seoul, Busan and Gwangju that are funded by the federal and local-governments for cultural enjoyment of the citize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activ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specialized advance of the culture and art history. Finally, it is hoped that more people will be further encouraged to join in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enjoy culture and art regardless of ages and ranks as in advanced countries of culture. It is also hoped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extensively and intensively understand culture and art and have happy and abundant life as they share their experiences and communicate each other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beyond national boundaries, regions, generations and genres.

      • 엔트리 블록 코딩과 소프트웨어의 중등 음악 교육 적용 방안

        강승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엔트리 블록 코딩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등 음악 교육에 적용 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우리나라 사회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나의 예술영역만이 아닌 여러 분야를 하나로 재창조하는 ‘창의력’과 ‘융합’을 추구하는 시대가 되어 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학생들의 창의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융·복합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교육으로서 개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기존의 지식을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 해 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핵심 역량인 정보 교과와 융합교육과 소프트웨어 활용을 통한 음악 교육을 통하여 창의·융합적 사고력과 음악적 감수성, 바른 인성, 소통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첫째,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이해와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두 교과의 융·복합교육(STEAM)의 교육적 가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다양한 관련된 서적과 참고 문헌의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 교육의 개념과 배경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실제 음악 수업시간에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블록 코딩을 통한 음악 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내용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교 본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육을 위하여 만들어진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MEDLY'라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그 기능을 설명하여 보고 음악 수업에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음악고유의 역량을 발휘하고, 동시에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실생활과 관련된 역량의 의미를 생활 적용을 통해 이루어감으로써 현대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대한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의 역량 기반 교육의 효과적인 학습도구로써 소프트웨어와 음악 관련 프로그램들이 복합적으로 활용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개발되어야 할 것 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음악 교육 영역에서 엔트리코딩과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활용과 더불어 융·복합 수업을 위한 다양한 수업방안이 개발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기를 바라며, 학생들이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었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teg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education programs using entry block coding and softwares. With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thank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society has have manu changes in diverse areas. As this society is pursuing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where many areas are combined and recreated into one beyond art itself, it is emphasizing convergence education to meet such changes and cultivate creative students. The creativity-oriented education encourages students to create new ideas through converging unique ideas with existing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gave a focus on convergence music education using information and softwares to cultivate students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way of thinking, musical sensitivity, good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skill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softwares that can be used for music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zation society, and educational values of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n two subject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relevant books and references. Third, this study developed a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block coding that can be used in music class, explained its content and functions and suggested educational strategies for real music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explained functions of an application titled ‘MEDLY', a specialized software program developed for music education and suggested effective strategies for music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application will cultivate students with capacity to meet the musical need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apply what they learn through the program for living in our society. The software and music-related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capacity-based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pay more attention to it. It is finally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divers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ntry coding and smart applications and promotion of music education in which students can naturally enjoy music in their real life.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중학교 합창 지도 방안 연구

        유민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자는 중등 음악교육 활동에 적합한 합창교육을 위해 코다이(Zoltan Kodaly 1882~1967) 교수법을 적용하여 2009 개정 인정교과서 미래엔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 합창곡을 분석하고 합창활동의 효율성과 그에 따른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2009개정 인정교과서 미래엔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곡 중 민요곡 중에서도 부분2부 합창곡 독일민요 ‘노래는 즐겁다’, 뉴질랜드 민요 ‘연가’, 미국 민요 ‘언덕 위의 집’, 영국 민요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4곡을 선정하여서 다양한 문화권의 교수 · 학습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첫째, 합창 제재곡의 리듬 지도는 코다이의 리듬 읽기와 오스티나토(ostinato)를 적용하였다. 리듬은 음악의 3요소 중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각 제재곡의 대표적인 리듬을 추출하여서 교사가 표현하면 리듬 카드를 보고 리듬읽기를 하고 그 리듬을 함께 리듬치기를 하게 한다. 오스티나토(ostinato) 지도법을 활용하여서 학생들의 음악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선율지도는 코다이 교수법의 손 기호와 이동 도법을 활용하여 음정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고 효과적인 시창 · 청음 연습으로 내청 훈련에 도움이 된다. 초견 연습이나 제재곡의 어려운 음정이 나오는 부분을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게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셋째, 창작을 위한 솔페이지(solfege)를 통해 학생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제재곡을 함께 노래 부르고 쓰고 느끼고 이해하여 합창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성과 협동심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음악은 아름다운 예술이고 그 음악으로 인하여 모든 사람이 평등할 수 있고 서로가 하나 될 수 있다. 청소년 학생 개개인의 인격이 존중되면서 교사와 학생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음악이야말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고 변화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코다이는 목소리는 모든 사람이 가진 가장 간편한 악기이고 모든 음악 교육의 장(長)에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목소리를 가지고 여러 가지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는데 그 중 합창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고 하였다. 코다이의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에게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더 나아가 다양한 음악적 활동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조화와 균형을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sed folk chior music published in the Mirae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which was revised and authorized in 2009 using the Kodaly(Zoltan Kodaly 1882~1967) teaching method and based on the result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choir activities was developed. Of the folk songs published in 2009 in the revised Mirae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the following four songs were selected: ‘Muss I denn’, a German folk song, ‘Pokarekare Ana’, a New Zealand folk song, ‘Home on the range’, an American folk song and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a British folk song to underst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iverse cultural zones.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wit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for rhythm education in choir material songs, Kodaly rhythm reading and ostinato were used. Rhythm is the most fundamental of the three musical elements. When a teacher expressed the representative rhythms of each material song, students read the rhythm on the rhythm card and clapped the rhythm together. Also,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plan to enhance the musical sense of students using the ostinato method. Second, for teaching melody, hand signs and relative sol-fa of the Kodaly teaching method were used to form the concept of musical intervals and effective ear training was given to enhance inner hearing. The teaching plan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hrough easy readings so they could understand difficult intervals of the material songs. Third, through solfege for creat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more actively join in musical activities. They sung, wrote, felt, and understood the material songs together following the plan proposed and they could develop sociable and cooperative minds through choir. Music is a beautiful art through which everyone can be equal and united as one. In reality where the personality of each student in adolescence is not respected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not active, music can be a connector between them and bring about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Kodaly said that voice is the simplest musical instrument for humans and can be used in every music education field. Voice can be used for diverse musical activities, of which choral activity can help students develop cooperative and sociable min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Kodaly method can inspire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music and actively participate in further musical activities and achieve a harmonious and balanced personality education.

      • 중등음악 감상 수업에서 360˚ 음악영상 콘텐츠 제작 및 활용 방안

        김순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COVID-19 has led to a non-face-to-face era, the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The future society will have to educate in line with changes in new diseases and disasters that we cannot predict, and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various fourth industrial technologies will also increase. According to this trend of the times, the method of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needs to be chang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changing from a uniform form of teacher-centered school music class now to a practice class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participate is increasing. In music education, appreciation learn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ercise the imagination of adolescence and enables expressive learning that is a creative activity. Moreover, the technical use of teachers' teaching aids can enrich the content of music class.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in listening to music through videos in middle school music class, and it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music genr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rough realistic materials in youth music appreciation clas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re 1st grade K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fter conducting the listening class with a 360° video,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nd they filled out their answer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questions about music appreciation class using video content and six questions about music appreciation class using 360° video.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The best thing about the appreciation class using video content materials was that students were interested in sense of realism a lot. After teaching through a 360° music video content taken by the researcher, it can be summarized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he middle school music appreciation class, students experienced a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as if they were in the real field while watching a 360° music video using Oculus Quest2. Second, through VR learn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music listening class, students were able to search for 360° music video content on their smartphones' YouTube app, and experience them using Google Cardboard away from formal appreciation class. The suggestions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are that school field support for high-definition all-in-one HMD is needed,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music apprecia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various 360° music video content for youth music class.

      • 중등학교 악기연주 활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노준영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Psychological emotions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constantly affect academic stress as well as school life, and the rate of perceived str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emotional state of individuals. School-related stress and its increasing rate are also found in adolescents experiencing depression. There is an increasing rate of adolescents feeling sad or hopeless to the point where they put a stop to their daily routines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is implies that negative emotions are an indicator of depression and stress in adolescents. Music positively impacts adolescents’ emotions; some studies discovered that instrumental music that included recorders, harmonicas, and guitars were effective. These results prove that playing instrum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ego resili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ducing depression and stress in adolescents, while also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Furthermore, since adolescence is the period of rapid physical and mental changes in the stages of development wherein adolescents face conflicts with themselves as well as other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an be helpfu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instrumental music affects ego resili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discover its positive effects. Both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with experience playing instruments showed higher scor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music and ego resiliency,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econd, the group with experience playing instru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ird, the effect of instrumental music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was not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while adolescents may be actively participating and enjoy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instrumental music at first,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the process may not help these activities. This indicates that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must be carried out constantly by adolescents so that they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or changes in playing styles through different activities. This proved that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ego resili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on the ego development of adolescents. 국내 청소년들의 심리적 정서는 학업 스트레스와 함께 학교생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스트레스 인지율은 개인 마다의 정서 상태와 관련성이 크다. 학교생활에 스트레스와 그 비율의 증가는 청소년의 우울감에 대한 경험에서도 알 수 있는데, Covid-19 이후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끼는 청소년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우울감과 스트레스는 상당한 부분이 부정적 정서에서 그 심각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 표현활동은 청소년기의 정서활동에 도움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일반적인 리코더, 하모니카, 기타 외에도 다양한 기악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정서에 효과성을 보이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음악활동을 통한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악기 연주활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나 대인관계 그리고 우울감 및 스트레스에 효과적이며, 긍정적인 정서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는 발달과정에서도 신체적 정신적으로 급변하는 시기이므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갈등을 겪기 쉬우므로 기악연주활동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기악활동을 통해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연구결과에 대한 기악활동의 긍정적인 영향을 찾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함께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악기 연주활동과 자아 탄력성의 관계는 악기연주 경험이 있는 그룹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과 악기연주 활동 간에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악기 연주활동에 따른 대인관계 능력은 악기연주 경험이 있는 그룹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와 악기연주 활동간의 상관이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악기 연주활동이 우울감에 대한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악기연주활동의 시작부분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즐거워 할 수 있으나, 악기연주에 대한 주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는 음악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청소년에게 악기연주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주법의 변화나 어려움을 다양한 활동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악활동이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이외에도 청소년의 자아형성에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고정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악흥미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거주하는 인문계 고등학생 중에서 음악수업에 참여한 359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문에 대한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9부를 제외한 총 350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Scheffe,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분석, 그리고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 주간 음악참여 시간, 학교 구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흥미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는 구조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등학생이 참여하는 음악수업에서는 높은 음악흥미도를 유발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어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고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 음악수업을 전략적으로 계획하고 운영하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inter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59 subjects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music classes while attending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city, Gwang-ju, was invit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a total of 35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9 copies that were judged to have insincere responses or errors.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result through the corresponding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 inter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ic class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grade, weekly music participation time, school classifi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usic interest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sic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inally, third,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interes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usic inter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ic classes were structurally related. And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interes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music classes for high school students induce the music interest, the better the academic self-efficacy, which can augment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hoped that an environment where music classes are strategically planned and operated will be made in school field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중학교 기악 학습 지도방안 연구

        김지윤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COVID-19 has become a global pandemic since 2019, our lives have been greatly altered. The entire society is newly formed as an untact system which activated online learning programs. An online course does have a great influence on schools and companies. In particular, as educational media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have not been used before were attemp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 new form of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This study designs a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remote and contact courses to cope with frequent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school and social distanc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o present a blended learning-based instrumental class plan in secondary music curriculum. This study discusse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blended-based music education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s listed below. First, this combines both an online learning and contact classes, which differentiates from the previous remote classes that consisted of only online learning. This distinction makes an blended learning applies much more effectively to instrumental classes, which are ‘practical’ classes, allowing more smooth learning possible. Second, th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can occur freely in diverse forms, an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was induced. Third, this curriculum tried to naturally improve students’ participation by enabling individual practice before and after class by selecting instruments that can be easily met and obtained in their lives. Fourth, reflection on the progress while playing instruments let self-management ability and musical sensibility be improved. Music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kills can be developed by creating and presenting together through group activities of completing one mutual task. Fifth, blended learning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type of class, the content, and the evaluation of the class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for both remot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these criteria are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such, this research confirms that instrumental learning using a blended learning contributes positive effects toward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Beginning wit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ibutions of a blended-learning on muscial subject be practiced in all subjects as well as in practical subjects. Topic words: Middle school music, instrumental music class, remote class, face-to-face class, blend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