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친환경 포장 디자인이 브랜드 경험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환경 의식에 의한 친환경 액상 세탁용 세제를 중심으로

        백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산업기술의 발달로 경제발전은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경제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폐기물의 처리와 통제가 미흡하여 해양 쓰레기가 무더기로 버려지고, 폐기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한 산불 등 인적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학자들은 폐기물의 관리 및 처리가 통제되지 않으면 산업기술이 제공하는 “자연적 선물”이 계속 감소하고, 경제발전이 정체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유엔은 경제, 환경, 사회 공존을 위해 지속 가능한 개발 정책을 제정하고 시행하였다. 지속가능발전정책을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산업체들은 자신들의 산업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디자인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각 국가들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정책을 발표하였다. 국가 환경부는 친환경 인증 및 표시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산업체들이 생산 및 가공에서 판매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환경을 고려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친환경 포장 디자인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제품에는 포장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친환경 포장 디자인을 본 연구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포장은 환경오염 원인 중 하나이지만,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이미지를 좋게 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그리고 기업들은 친환경 인증표시의 인증기준에 맞는 포장 디자인에 관한 재료, 규격, 라벨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해당 친환경 인증 표준을 충족해야 생산에 들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환경문제의 관리 및 통제는 정부 부서의 노력만 아니라 소비자 및 브랜드도 환경 보호 조치에 참여해야 한다. 소비자가 친환경 제품을 인지하고 있는지 또는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을 더 선호하게 만드는 방법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은 브랜드 측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그러므로 친환경 제품이 더 널리 생산되고 사용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친환경 제품을 바라봐야 한다. 소비자는 온·오프라인에 관계없이 인기 제품 차트를 보고 구매 행동을 하는데, 이러한 인기 제품은 모두 제품 포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브랜드는 제품 포장을 통해 소비자와 정보를 커뮤니케이션해야 하므로, 포장 디자인은 브랜드와 소비자를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발생한 포장 폐기물은 환경문제의 주범이 되었다. 또한 친환경 포장 디자인으로 제품을 개발할 때,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적용 및 디자인 진행 방법, 친환경 포장 디자인을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지, 친환경 포장 디자인이 브랜드에게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지 여부 등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소비자의 소비 시스템은 체험형 경제이며 소비자의 체험감이 증가함과 동시에 경제 성장도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경험과 선호도에 대한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관계를 이론적 배경, 사례 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탐구를 위해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 수준을 조절 변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친환경 포장 디자인과 브랜드 경험과 선호도 간의 관계를 객관성 있는 이론으로 증명하였으며, 브랜드 경험이 개인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다르면 친환경 포장 디자인이 브랜드 경험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일부 학자들은 친환경 의식이 낮은 소비자들은 환경에 대한 의식과 환경 지식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친환경 의식이 낮은 소비자는 친환경 포장 디자인에 대한 민감도가 친환경 의식이 높은 소비자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소비자의 브랜드 경험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 설계 및 데이터 분석은 설문조사방법과 회귀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브랜드 및 사례 선정을 수행하기 위한 선정 기준은 친환경 인증표시가 있는 브랜드로 한정하였다. 또한 브랜드 수와 제품 수가 많기 때문에 제외법을 통해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균일한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본 연구의 조사사례는 액상 세탁용 세제 제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최종 모델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례 분석방법을 통해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재료, 구조(용기), 그래픽 요소(라벨) 추이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최종적인 조사 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친환경 의식이 친환경 포장 디자인과 브랜드 경험, 선호도 사이에서 조절 변수로 존재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의식이 낮은 소비자가 친환경 포장 디자인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적용 및 생산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친환경에 대한 의식이 낮은 소비자가 수용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 디자인 제안을 제공한다. 후속 연구는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그래픽 요소(라벨)로 시작하여, 친환경 포장 디자인의 그래픽 요소(라벨)의 친환경적 구현과 브랜드 경험에 대한 영향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할 것이다. 그리고 친환경 디자인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여, 더 많은 산업과 디자인에 친환경 디자인을 적용시켜 환경 보호에 기여하도록 한다.

      • 포스터디자인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의 시각화연구

        양아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산업 발전과 혁신적인 기술로 나타나는 변화이고 동시에 다발적으로 다양한 분야와 같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다. 주요 기술은 물론 디자인 분야와 서비스의 도약을 돕고,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융합되며 발전되고 새로운 형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술과의 융합적인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대를 뒷받침하는 포스터의 역할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는 특히 국가, 문화와 기업의 경쟁력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어 큰 주목과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에 빠르게 대응하는 상황에 경쟁력을 키우고 자체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제4차 산업혁명과 포스터 디자인을 융합해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연구의 환경 또한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는 심미적 부분과 홍보효과 등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부가 가치를 높이거나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스터의 가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포스터 디자인 관련 디자이너들도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현재로서는 제4차 산업혁명 배경 하에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분석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분석 툴이 모두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요소에 주목하여, 산업혁명과 더불어 거듭 진화하고 디자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포스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총 6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소개하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고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제2, 3장에서는 이론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언급한 산업혁명과 포스터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다. 제4장에서는 사례 연구를 통하여 선업혁명의 특성을 포스터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제4차 산업혁명의 요소를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한 특징에 따라 포스터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해서 제시하였다. The rise of the industry marks the presence of changes in industrial development and innovative technologies, while working with various fields to develop and create new valu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sign technique, service and main technology and to blossom out into a new form and integrate into more fields in the future. Broadly speaking, it is observed that the industry's integration with technology is deepening, and the poster's effect in this era is considered to be of significance, which enjoy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untry, culture and enterprise's competitiveness, with broad attention being aroused. The systematic research, however, has not been completed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integration with the poster design. We, in many fields, think highly of the poster's value which enables us to compete in aesthetics and promotional effects and to add or create added value.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oster designers lack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visual analysis research and analysis tool of poster design. In this research, we concentrate on posters with selected visual elements. These poster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itioned as design elements. This thesis includes six chapters. In Chapter I, the thesis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describes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 and limits the research scope. In Chapter II and Chapter III, for facilitating the theoretical concepts to be understood, this thesis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 on the mentioned theoretical concepts herein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er design through literature survey. In Chapter IV, the thesis analyzes how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olution in the history to poster design upon case studies. In Chapter V, the thesis designs the post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nal, Chapter VI, the thesis comes to the conclusions.

      •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어포던스 패키지디자인 연구

        박정아 단국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ckage design that adopts affordance methodology as a way to construct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competitiveness in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reflecting the needs of inner beauty consumers, and further to seek direction of design. As a methodology, affordance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s is separated and extracted to elicit detailed item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data analysis, and FGD for experts, and the resultant evaluation items is quantifi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HP,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measured and the criteria for measuring the value of the design affordance factors is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a quantified module for qualitative value standards in the design field is proposed to present a quantified design value scale to induce consumer behaviors in the inner beauty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The marketing environment, which has to face the unique circumstances of general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stability, linked with ever-diversifying market environments, rapidly changing trend cycles, and unpredictabl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as also brought many changes to consumer's needs throughout their lives, including an escalating need for safety, the spread of contactless lifestyles, and etc.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market condition of inner beauty food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market in inner beauty product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reports of corporate health functional food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condition of reliable institutions, and consumers research analysis data. Inner beauty foods are items that must meet the functions of cosmetics at the same time along with categoric characteristics as health and functional foods, requiring more multilateral and complex factor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subjects, and thereby determine whether affordance factors are valid as a methodology for differentiating package design. It is also an examination into the fundamental problem-solving methods for the direction of design,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determined by quantitatively measuring priorities through the importance analysis over affordance elements of package design.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ways how to build competitiveness through package design in the marketplace by presenting a quantitative value measurement method for usefulness and design valuation as a communication medium that can understand the new market circumstances and appeal to consumers afresh.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cept of affordance, the meaning of affordance, which is the underlying concept of this research, and the need to apply package design have been briefly set out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of several preceding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to bring affordance elements into package design, the functions of package design that expand and evolv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ffordance elements have been inquired into through practical cases in the package design field. In an aim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based on forgoing respective contents, a research design has been proceeded focusing on solving the entire research subjects, and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has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verif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such as basic surveys,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eliciting evaluation items through affinity diagrams, pairwise surveys and subsequent analysis. In particular, the AHP conducted to build reliability in this study is the one and only existing method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multilateral relationship indicators and quantify hierarchy relationships. The AHP analysis is a kind of design and feasibility survey to schematize qualitative values and convert them into quantitative indicator, and thereby, it has been intended to derive fair value.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HP, in the importance of affordance package design el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ner beauty foods, the top ranking 20 items have been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sensory elements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and functional elements. However, as a whole, it has been tallied at a similar ratio between the two aspects,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two should be in balance. In an item of inducing physical and functional behavior, the information delivery section has been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The linkage with digital devices and the use of new technologies, new functions of package design exp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public interest consumption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structural packaging, sizes and shapes, have been evaluated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However, noteworthy is that the new way that adopts affordance elements has a comparative advantage as a differentiator of design, over the traditional package design elements.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focusing on user’s experience, and the brand awareness have been reveal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inducing cognitive and sensory behaviors, but as new brands have not sufficient these brand equity, brand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are needed. Through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the inner beauty foods should prioritize psychological and cognitive effects such as information, identification, and intuition over playful and cognitive factors such as amusement, reversal, and metaphoric elements.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various design processes that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sensible or intuitive in the design field have been verified as objective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ose analysis processes can be put to good use in practical arena of design. 본 연구는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 디자인의 경쟁력을 위한 차별화 전략 구축 방법으로 어포던스 방법론이 적용된 패키지 디자인 연구와 디자인 방향성 모색을 주요 연구 문제로 하고 있다. 방법론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 전문가 대상 FGD 등을 통하여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포던스 요소를 분리, 추출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행동 유도 평가항목들을 AHP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한다. 그리고 AHP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요소별 중요도를 측정하여 디자인 어포던스 요소의 가치 측정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분야의 정성적 가치 기준에 대한 정량화된 모듈을 제안함으로써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 시장 내의 소비자 행동 유도를 위한 정량화된 디자인 가치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변화되는 시장 환경, 급격하게 변화되는 트렌드 주기,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예측하기 힘든 외부요인 등과 맞물려 일반 소비자의 구매 의지와 구매 안정성이라는 독특한 환경에 부딪혀야 하는 마케팅 환경은 안전에 대한 욕구의 증대, 언택트 라이프 스타일의 확산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에 소비자 요구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이러한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리포트, 공신력 있는 기관의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과 소비자 리서치 분석 자료 등을 근거로 이너뷰티 제품의 시장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카테고리의 특성과 더불어 코스메틱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품목으로 좀 더 다각적이고 복잡한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의 특성을 반영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차별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어포던스 요소가 유효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의 어포던스 요소들의 중요도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관습적으로 결정해온 디자인의 방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새로운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소비자에게 새롭게 어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개로서 어포던스 디자인이 유용성과 디자인의 가치 평가에 대한 정량적인 가치 측정 방법을 제시하여 시장에서의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경쟁력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포던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선행 연구자의 연구 내용을 근거로 연구의 기본 개념인 어포던스의 의미와 패키지 디자인 적용의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에 어포던스 요소 적용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 흐름에 따라 확장, 진화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기능을 알아보고 패키지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어포던스 요소를 고찰하였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전체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설계를 하였고, 연구 프로세스에 따라 기초설문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한 평가항목 도출, 쌍대 설문 조사, 분석 등 연구 결과의 실효성 있는 내용 검증을 위하여 전체적인 연구 과정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실시한 AHP 분석은 다자간의 관계 지표를 명확하게 구분 짓고 하이어라키(hierarchy 계층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검증된 분석 방법이다. AHP 분석은 정성 가치를 도식화하여 정량 지표로 환산하기 위한 설계 및 타당성 조사로 이를 통하여 공정한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전통한과의 세계화를 위한 디자인 마케팅 연구 : 국가별 후식 브랜드 비교 분석

        박영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디자인 마케팅이란 아름다움을 기반으로 창조성, 혁신성, 유용성 등 새로움을 창출하여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주면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으로 기업들은 디자인을 적극 활용하여 제품의 미(美)를 창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광고, 서비스에 접목하여 판매 촉진의 수단으로 마케팅이란 새로운 가치를 기업 경영에 도입하였다. 디자인은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자 소비자와 기업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현대의 마케팅 특징은 제품의 기능 중심이 아닌 소비자의 니즈와 개성을 중시하는 고객 중심의 마케팅으로 전환되었다.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고 즐거움과 만족감, 자기 향상심을 심어주어 제품 구매로 유도하여 이윤 창출을 낸다. 전통한과는 조상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전통후식으로 우리의 농산물과 천연재료로 만들어진 건강식이며 명절과 행사에 먹는 우리 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음식 문화를 세계화 하는 것은 무형의 가치를 지닌 우리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알리면서 국가 브랜드가 제고되고 관광 산업이나 농 수산업등 연관된 산업에 생산과 고용, 식자재 수출 등 종합적으로 발전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세계화에 성공한 국가별 후식 업체의 성공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구체적인 실행 방안인 상품화와 디자인, 마케팅, 국가의 지원 정책을 서술하였다. 또한 이론과 분석으로 세계화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한과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였다.

      • 오디오기반 SNS가 사용자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를 중심으로

        김안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신의 삶의 경험과 정보를 기록 및 공유하는 활동을 라이프로깅(Life logging)이라고 한다. 라이프로깅은 삶을 로그(Log)한다는 의미로 여기서 로그(Log)는 일상생활을 기록하는 일지(日誌)를 의미한다. 과거 오프라인 시대에는 종이에 기록을 하였다면, 오늘날은 네트워크의 발전과 스마트 보급의 대중화로 인하여 소셜 미디어에 기록을 남기고 다른 사람과 함께 공유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소셜 미디어의 시장은 전 세계 사용자들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장으로 점차 나아가고 있다. 이런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미디어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중요성이 계속 커지며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은 미디어의 환경에서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할 수 있는 디지털 공간이 가장 잘 반영되었다. 그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이다. SNS의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며 대중화가 되었고 이를 통해 우리의 일상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과거 SNS는 커뮤니티를 통한 인맥 형성이나 일상 기록이 주 목적이었다. 하지만 현대의 SNS는 정보 전달의 브로드캐스팅 역할과 소비와 생산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프로슈머의 역할까지 지니게 되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었다. 또한 기업 및 단체에서도 SNS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며 고객을 확보하여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들이 그룹이나 환경의 영향을 어떻게 받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전망에 맞춰 다양한 SNS가 발전하여가고 있을 것이며 향후 새로운 플랫폼이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따라서 급속한 미디어의 변화 속에서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사용자들에게 신기술 수용에 있어서 어떤 행위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오디오를 기반으로 한 SNS의 수용이 사용자의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SNS 중에서도 오디오기반 SNS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SNS사용자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변수들이 사용자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TAM)을 도입하여 오디오기반 SNS를 수용하는 의도를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2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SNS를 사용한 10~30대의 MZ세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온라인 설문지 46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통해 연구모형을 평가하며 상관분석으로 주요 변수들 간의 영향력을 파악한 후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성과 정보제공성은 지각된 유용 및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비영속성과 실시간성은 지각된 용이성 및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확인하였고,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용이성은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호작용성과 정보제공성, 비영속성, 실시간성은 기술수용모델의 지각된 용이 및 유용성을 매개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SNS와 오디오기반 SNS의 특성을 통해 신기술의 수용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나아가 현대와 미래 시장의 주 소비자인 MZ세대의 수용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차세대 커뮤니케이션의 주역인 메타버스와 4차 산업에 맞는 다양한 전략적 측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