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이미지 전략을 반영한 효과적인 사사 편집디자인 방안 연구

        김후정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사(社史)에 관한 연구로, 기업이미지 전략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사사의 편집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사사란, 기업의 역사를 기업 스스로가 자체 평가․정리․발간한 기업 자존적 역사서로, 사사 편찬의 일차적 목적은 기업의 역사 정리 및 발간에 있으나, 이차적 목적은 창업주와 현재 경영자의 철학(哲學), 사풍(社風) 등 기업 고유의 경영문화와 제품 및 업종변화에 대한 내용을 담고자하는 이미지의 자존적 표현이다. 특히, 오늘날 치열한 기업 간의 경쟁 속에서 기업 존립의 당위성과 사회성, 사회 기여도를 고객․주주․경제계․학계 등으로부터 공인(公認)받기 위한 기업홍보 수단의 하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기업사를 보면, 초창기 정부 주도의 산업정책에 의하여 대부분 독과점 형태의 기업이 생성된 원인으로 기업이미지와 기업정신 등의 부족은 물론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인식조차 미비했다. 이러한 양상은 1980년대 중․후반 기업들이 창립 30년 이상의 역사를 축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사사에서도 소비자 중심의 사사이기보다는 대외과시형이 주류를 이루는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IMF(국제통화기금)를 겪으면서 기업이 정부주도에서 민간주도의 무한경쟁체제로 바뀌면서, 기업들의 경영마인드가 소비자 중시로 변함에 따라, 사사의 개념 또한 이전까지 단순한 기업역사서에서 각 산업계의 역사정보서이자 경제발전의 자료로 까지 확대됨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일반대중에 대한 접근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현 사사 제작 실태를 보면 대부분의 기업이 과거와 동일하게 사사의 편찬 자체에만 주목하여 사사 편찬의 실질적인 의미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고, 기업은 사사의 편찬이라는 목표만 제시할 뿐 대부분의 기획 및 편집디자인 작업은 외주 대행사에 의뢰하여 대행사의 주도로 진행하고 있다. 물론 편찬 작업의 상당부분이 출판이라는 전문적인 기능을 요하는 작업으로 부분 외주 대행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외주 대행사에 작업의 대부분을 일임하면서 대행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대행사의 성향이나 제작 당시 유행하는 편집디자인을 맹목적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기업 고유의 이미지나 문화, CI, 브랜드 전략 등 기업이미지 전략이 없는 사사로 타 기업과의 차이(아이덴티티)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가 반영된 전략적 사사를 만드는 방안 도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사에 관한 기초 지식으로서 사사의 개념과 발간 의의, 가치, 그리고 외국의 사례를 조사하여 살피는 것은 물론 한국 사사의 특성과 관련해 한국경제발전과 사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사사를 대상으로 사사 편찬 시스템 및 발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는 제작프로세스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사사의 구성 및 접근방식을 분석하고, 사사의 구성 방식에 따른 장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업이미지전략에 따른 구성의 특성 및 디자인적 접근방안을 도출하여, 사사의 유형별 특성을 토대로 향후 기업이미지를 반영한 보다 바람직한 기업 사사의 제작 방안과 편집디자인의 역할을 정리․제시하였다.

      • 디자인 학습유형 평가 연구 : 의사실기(擬寫實期) 어린이의 인지양식 및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김승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디자인 지각능력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인지양식 및 성격유형검사와의 연관관계를 이끌어 내어 효율성 높은 디자인 교수학습 계획을 위한 지침서로써 활용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8개 항목으로 구성된 디자인 지각능력 평가 모형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색채’, ‘비례’, ‘명암’, ‘공간’, ‘동세’, ‘표현’의 6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항목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하고자 내적 일관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Cronbach's α 계수가 6개요인 모두 0.6 이상으로 임계치 보다 높게 나타나 검사지의 구성 항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 디자인 지각능력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증 연구를 위해 의사실기(11세∼13세)에 해당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378명을 대상으로 한국심리검사연구소의 어린이 성격유형검사(MMTIC), 어린이 잠입도형검사(CEFT)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디자인 능력 진단 검사(VHTIC) 등 3종의 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에 이용할 자료를 수집하였다. 3가지(시각형, 중간형, 촉각형)의 디자인 지각능력과 2가지(장독립성, 장의존성)의 인지양식을 파악하여, 인지양식과 디자인 지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포의 동질성을 검정하는 카이제곱 검정(-test)을 실시하였고, 인지양식 점수와 디자인 지각능력 점수에 관한 독립변수별 평균점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석법에 의한 분산분석법(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지각능력과 성격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지유형은 인식(SN)기능과 판단기능(TF)에 따라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유형과 디자인 지각능력(시각형, 촉각형)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지양식과 디자인 지각능력(시각형, 촉각형)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디자인 지각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디자인교육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건이라는 점을 확인하였고, 서로 다른 디자인 지각능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이 동일한 학습 환경에서 같은 내용을 학습하더라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성격유형에 따라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인식기능),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하기위한 결정을 내리는데(판단기능) 있어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방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격유형(MMTIC)과 디자인 지각능력에 따른 학습자의 유형 분류를 통해서 개인의 특성을 정확하게 판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디자인 학습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수용하는 독특한 개인간의 차이를 의미하는 인지양식과 사물을 보고 그 느낌을 표현하는 디자인 지각능력 간에는 관련성이 없다는 결과는 어린이의 학습능력과 표현능력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디자인 지각능력은 학습자의 경험과 타고난 감각에 바탕을 둔 것으로 학습능력과는 무관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valuation model of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yle and personality testing inventory for contributing to a guide in planning a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esign. Six factors including color, proportion, brightness, space, movement, and expression were deriv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evaluation model of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consisting of 18 attributes. Internal consistency testing was conducted to measure reliability of the attributes for each factor in the personality type inventory. As a result, Cronbach's α coefficient is larger than 0.6 in all 6 factors, which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3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3rd to 6th school year who were in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using Murphy Me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MMTIC) in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and Children's Embedded Figure Test(CEFT), and Visual & Haptic Type Indicator for Children(VHTIC) developed for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3 types of capability for design perceptions(visual, moderate, haptic) and 2 styles of cognition(field-independent, field-dependent) each other, -test was used for confirming homogeneity of distribution.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cognitive style and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type. The result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ly different distribution of cognition style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SN and TF.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in personality types and design perception types(visual, haptic). 3)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in cognition styles and design perception types(visual, haptic). As a result of this study, identifying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of the learner is a very important prerequisite in design education. It was also found that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way of collecting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SN), and a different way of making a decision for behavior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TF). In conclusion, it might be needed tha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design learning settings on the basis of personality types(MMTIC) and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which can identify and class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It is also concluded that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has no relation with learning capability of the learner as the results show that cognitive style representing a unique way of receiving informa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perception capability representing ability for expressing individual feeling about the things.

      • 초등학생을 위한 이러닝사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한 연구

        천은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이러닝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로, 초등학생의 특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교육분야는 웹기반의 사회이고, 이러닝은 대표적인 웹기반의 교육이다. 21세기 각 가정및 학교, 공공기관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연결되면서 이러닝 교육을 접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초등학생 대상 이러닝의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라인, 오프라인 상에서 콘텐츠를 접해보지 않은 학생은 없을 정도이다. 현재 초등학생 대상의 이러닝 환경은 양적확대는 발달되었지만 질적수준은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내용과 사용성측면이 강조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온라인교육은 시, 공간의 한계의 극복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올바른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할 시,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학습자에게 원하는 내용을 쉽게 전달하면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실제 적용함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러닝의 특징과 초등학생의 특징을 분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와 특징을 중심으로, 국내 초등학생 중심의 이러닝사이트를고인지도 사이트와 저인지도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이러닝사이트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대한 분석표를 만들고, 거기에 맞게 저인지도 사이트를 보안하여 새롭게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사용자의 편의성이나 효율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개발은 무수히 개발되는 교육용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지름길이 된다.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로 인해 초등학생이러닝학습의 사용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기준이나 지침은 이러닝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is study is about the user interface of e-learning si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suggests the effective method of user interface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 field of 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based on web and e-learning is the representative web-based education. Since computers have been provided through each home, school and public organization in 21st century and the Internet has been connected, the population in contact with e-learning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The spread of e-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accelerated and with this, there is almost no student who never has been experienced with contents in on-line and off-line. By now, in the environment of e-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antitative broadening has been developed, but the qualitative level is still not sufficien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the interface intensified with the contents and usability is needed. Even though the on-line education has a lot of advantages including overcoming of the limit to time and spac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ive study when the appropriate interface is not provided. It may be considered as the appropriate interface to make learners continue study inducing their interest and fun while delivering the required contents in ea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appropriate user interfa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dapt it practically. This study, at first, analyzed the features of e-learning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round the factors and features of user interface, web sites of the well acknowledged and the badly acknowledged have been analyzed among the domestic e-learning sit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the analyzing table about the user interface of e-learning si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made and new interface has been established on the not-so-well acknowledged web sites as modifying it with that. It becomes the shortcut rai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limitlessly to develop the interface consider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rs. With upcoming constant study, the designing standards and guides for interface considering the usability of e-learning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raise the value of e-learning contents.

      •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이미지 수립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 대상Wellife 건강식품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홍미소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bout the package design strategy to improve LOHAS brand image of health food brand, and suggests more effective LOHAS package design plan by reflecting the brand image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rend. Now customers show much interest in 'quality of life'. The arrival of mature society has made people pursue the emotional abundanc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fe, and because of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exhaustion of resource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ppearance of Global Epidemics, people consider healthy and wholesome consumption carefully once again. Owing to this social current, the consumption of Well-Being trend has increased worldwide. The word 'Well-Being' has been spread out widely in Korea as much as people are familiar with it, but instead of that word, other word such as vegetarianism and ecologism has been developed in America or other countries for long time much more than Korea. 'LOHAS' is the representative lifestyle of well-being trend in America. LOHAS is an abbreviation of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namely it is the lifestyle which makes valuable of health and environment, social justice, self development, and sustainable life, and it is the essential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ise of attitude level, not just temporarily fashion at this point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conomy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LOHAS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issue, expanded to the side of health, and thus the role of brand image has become important. Recently the market has made much of the individuality, and pursued th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changes in customers' wants of lifestyle and taste. Our dietary life has been diversified, and basic value of the influence on health has been considerably changed. In the past, the food was the desire for existence, but it is to satisfy the taste today, and the nutrition is centered on the health, so finally health-functional food appeared. It has great dependence on brand as health-functional food stores for health and beauty have appeared and spread out now in the times of new distribution structure, companies have put forth their whole energy to construct the reliability of brand itself as one means to inform that their products are absolutely safe. However,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rend, the package design that has great influence on the image of brand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constructing intentional and coherent image of product than any other times, and the strong brand image and product positioning are the key to move main customers class, busy moderners.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at drawing the plan of making strategic package design which reflects the image of compan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concept of Well-Being and LOHAS by targeting on LOHAS food which is one of trendy industrie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OHAS image from the visual side of package design. Furthermore, this study deduced current problems of desig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the image of brand,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package design of diet bar of target Wellif.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current LOHAS image, this study arranged and suggested the plan of producing more desirable image of brand and the package design strategy which reflect future LOHAS image. 본 연구는 건강식품브랜드의 로하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로,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브랜드이미지 전략을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인 로하스 패키지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 소비자들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성숙사회의 도래로 정신적 풍요와 생활의 질절 향상을 추구하게 되었고, 고령화 사회 진입, 자원의 고갈, 환경오염문제, 글로벌 이질(Global Epidemics) 등의 출현은 건강하고 건전한 소비에 대해 다시 한번 심사숙고 할 계기가 되었다. 이런 사회흐름으로 세계적으로 웰빙트렌드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는 ‘웰빙’이라는 단어가 익숙하기만큼 널리 퍼져 있지만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는 웰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채식주의 ,생태주의 등으로 국내보다 오래전부터 발전해왔다. 미국의 웰빙 트렌드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로는 ‘로하스’를 들 수 있다. 로하스란,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약자로, 건강과 환경, 사회정의, 자기발전, 지속 가능한 삶에 가치를 둔 라이프스타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과 지속가능한 소비 및 경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로하스는 한때의 유행이 아닌 산업발전과 소비자 의식수준 제고에 따른 필연적인 트렌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로하스가 이슈에 머무르고 있으며, 건강측면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시장은 소비자의 생활양식과 기호에 다양한 욕구변화의 따라, 개성을 중시하고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었다. 우리 식생활은 다양화 되었으며, 건강을 위한 영향의 기본가치가 크게 변화하였다. 과거의 식품은 생존을 위한 욕구에서 현대에는 미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되었고, 이에 아울러 영양도 건강위주로 변하여 건강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이 등장하였다. 신유통구도의 시대로 자신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건강식품 전문스토어 등장및 확산됨에 따른 브랜드에 대한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기업들은 그들의 제품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알리는 한 수단으로써 브랜드 자체에 신뢰성을 구축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트렌드의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 디자인이 그 어느 때 보다 계획적이며 일관성 있는 제품 이미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으며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포지셔닝은 주 소비층인 바쁜 현대인들을 움직일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이미지가 반영된 전략적 패키지디자인을 만드는 방안 도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렌드의 산업부분중 하나인 로하스 식품을 중심으로 웰빙과 로하스의 이론적 개념과 정립하고 로하스이미지 특성 요소를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측면으로 도입하여 고찰 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향상 물론 대상 Wellif의 다이어트 바의 패키지 디자인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나타나고 있는 디자인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로하스이미지 요소의 특성을 토대로 향후 로하스이미지를 반영한 보다 바람직한 브랜드 이미지의 제작 방안과 패키지디자인의 전략을 정리․제시하였다.

      • 지역 특성 이미지표현과 아파트 외장색채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신도시(수완지구) 중심으로

        조유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 특성 이미지표현과 아파트 외장색채에 관한 연구로, 현재 광주광역시 신도시(수완지구)의 아파트 외장색채를 분석한 후 효과적인 색채계획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환경색채는 인간의 안전과 건강, 생존에 관계된 조정된 환경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며, 인간과 자연의 균형과 율동을 지키기 위해서 도시내의 취악성을 없애고 미적가치를 지키는 길은 올바른 색채활용에 있다. 우리나라는 급성장하면서 산업화ㆍ도시화가 이루어졌지만,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건물들과 고층 건물들이 무질서하게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건축물의 색채는 세련되지 못한 각각의 색상이 난무하고 있으며, 형태미나 색채를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주변 환경과 지역 정서와는 무관한 브랜드아파트의 홍보 및 인지도를 위한 외관 색채로 도시색채는 획일화되었고 도시 이미지의 저하를 가져다주었다. 도시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으로 계획해야 하며, 지역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거주자의 의견이 반영된 색채계획을 통하여 도시들은 정체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가 필요하며, 그 도시만의 특성을 분석ㆍ파악하여 체계적인 표현을 갖추어 도시 이미지와 특성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색채의 기능, 지역색, 아파트 외장색채의 의미와 특성, 구 성요소 그리고 국내ㆍ외 외장색채 활용사례와 국내 지구ㆍ지역별 색채계획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각 도시의 색채계획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광주광역시의 수완지구를 조사하며, 지금처럼 도시의 획일화, 균일화 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광주광역시의 비젼과 미래상에 맞는 색채계획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image displa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partment building exterior color,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efficient color scheme after analyzing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 buildings in the new tow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Suwan District). Environmental color is a factor which is indispensible in creating an adjusted environment related to safety, health and living of human beings, an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balance and rhythm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ppropriate color application is necessary to eliminate vulnerability within the city and enhance its aesthetic value.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ur nation achiev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ut due to the drastic development, it also failed to consider surrounding environment, with buildings and skyscrapers created in a disorderly manner. Consequently, the color of buildings in our nation tends to be unpolished and disharmonious, not taking the formative beauty or color into account. Especially, advertisements of brand-name apartments that have no associa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local sentiment and the exterior color that is intended for promoting name recognition have led to creating a monolithic and degraded city image. A city must be planned independently to establish its image and identity and furthermore, it requires a visual identity that will represent its identity through the color scheme reflecting the image that the region pursues and the opinion from its residents, and then, after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city,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must be designed, showing systematic expression.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environmental color, local color,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building exterior color, composing factors, as well as domestic and overseas application examples of exterior color, color scheme examples according to districts and regions in the country, and then it derived a color scheme for each city. Lastly, after examining the Suwan distric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it suggested a color scheme that complies with the vision and future imag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situation when cities become monolithic and standardized like now.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표현연구 : 휴먼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이시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이하‘SNS’라 함)는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로,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참가자가 서로에게 친구를 소개하여, 친구관계를 넓힐 것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이다. 특히 SNS는 Human Network 에 기초한 서비스들로 사용자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게 됨으로서 서비스의 트래픽을 증가시키고 서로간의 견고한 관례를 새로운 사용자를 불러들이는 네트워크 확장 효과까지 일으키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인맥을 그대로 온라인으로 이동시켜 관계를 유지하고 유대를 강화하는 보조적 수단으로써의 성격이 강하였으나, 지금은 보다 개방적이고 비즈니스에 특화되거나 취미, 관심분야의 가치 교환에 중점을 두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사람과의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초기 SNS의 지인 기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중심으로 한 인맥 형성의 기틀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고 사용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네트워크는 복잡화되어지고 이런 복잡한 환경 속에서 사용자들은 자신의 인맥을 관리하고 유지하기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을 위해서 무엇보다 온라인에서의 Human Network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이 무엇이고 SNS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에 관한 가시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어떻한 형태로 Human Network가 형성 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런 자료를 토대로 Human Network에 관한 객관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Human Network 시각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an online human networking service which includes the concept of single-person media, single-person community and information sharing. It is a community website established to widen friendship by participants introducing their friends to each other. Especially, SNS is a service base on Human Network and it increases service traffic and invites new member between strong relationship customs by active interaction of user and user relationship. On previous stage, it was more on transferringoff-line relationship to online community for efficient communication but now, the new network structure which is opened, specialized on business or focused on hobby, interested field for information sharing. By this transaction, we can conclude that previous SNS which is base on friendship provides the foundation of ‘information’ focused networking. Due to the increase of usage, the network is getting complicated and users are having difficulties to maintain their networking.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eded to visualize the elements which organize the Online Human Network and how it is expressed on S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sis how Human Network is formed at SNS and build on this informati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objective guideline of Human Network. And also would like to suggest the Visualized Human Network model through the guideline.

      • 국내 아웃도어광고에 관한 연구 : 김밥천국 프헨차이즈광고를 중심으로

        김현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속에 무수히 많은 광고들을 접하게 된다. 광고는 우리에게 지식을 주기도 하지만 불필요한 광고의 연속은 스트레스를 주기도 한다. 이것은 길거리에서 더 큰 문제점으로 다가온다. 길거리에 무질서하게 들어서 있는 아웃도어광고들은 광고의 목적을 넘어 일정공간을 점유하고 도시환경의 일부가 되어 버렸다. 대부분의 아웃도어광고들은 우리의 필요와 상관없이 광고주들의 이익창출을 위한 목적으로 생겨난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아웃도어광고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한 크기와 목적을 가진 아웃도어광고물들이 소재와 가격의 한계성으로 업체의 특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개성을 살리지 못한 아웃도어광고들은 크기와 개수로 소비자들을 사로잡고자 하지만 비효율 적이다. 다양한 아웃도어광고의 표현방법으로 새로운 아웃도어광고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아웃도어광고들로 우리의 시각 환경이 개선되길 기대해본다. 국내 분식점 프렌차이즈들 중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주)정다믄 김밥천국’을 선정하여 새로운 방법의 아웃도어광고를 제안하였다. We meet a lot of advertisement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dvertisements give us knowledge, but unnecessary continuous advertisements give us stress. They approach us with larger problems in the street. Disordered outdoor advertisements in the street occupied a fixe space and were a part of urban environment beyond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Most of outdoor advertisements were created for advertisers’ profits, having nothing to do with our ne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and improve problems of Korean outdoor advertisements. Diverse-scale and multi-purpose outdoor advertisements don’t express characters of stores in a proper way by a limit in material and price. Uncharacteristic outdoor advertisements are not efficient although they intend to lure consumers in their size and numbers.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new outdoor advertisements to express diverse outdoor advertisements, and it is expected that our visual environment will be improved by efficient outdoor advertisements. The study proposed an outdoor advertisement in a new way, selecting ‘Kimbabcheongug of Jungdameun’with the highest recognition out of flour-based meal franchises in South Korea.

      • 지하상가의 사인시스템(sign-system)에 관한 연구 :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를 중심으로

        김준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하상가의 사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현재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의 사인 시스템 현황을 분석한 후 효과적인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인 시스템이란, 표시, 부호, 신호 등 전달하고 싶은 것을 기호로서 표시한 것이나 방법을 뜻하는 사인을 CI와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계획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인 시스템은 사인의 체계를 말하며, 사인 환경에 질서를 부여하여 보다 알기 쉽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인 시스템의 구조로는 사물의 위치와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안내사인, 목적한 사물에 대한 방향을 나타내는 유도사인, 일반적으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기명사인, 안전이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규제사인으로 나눈다. 이러한 네 가지 사인의 구조에 맞게 사인 시스템이 계획,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용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곳이 지하상가이다. 지하상가는 지하에 있는 모든 상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하에 점포∙사무실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공공도로에 면하여 설치한 건축복합체로 지하가라고도 한다. 서울에 지하상가가 등장한 것은 1976년 시청 앞의 지하도가 건설되면서 조성된 ‘새 서울 지하상가’ 였으며,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비교적 오래된 지하상가 세 곳인 종각 지하도 상가,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 을지로 입구 지하상가의 사인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중 본 연구의 조사 대상지인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는 1979년에 생성 되었으며, 터미널 지하도상가로 전국 각지에서 유입하는 유동인구와 배후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상주인구가 상호보완을 하면서 상권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징으로는 통로와 지하철역과 고속터미널과 긴밀히 연관되어 연계성이 높고 병렬 통로형이다. 또, 킴스클럽, 뉴코아 백화점, 신세계 백화점, 센트럴 시티 등 수요 흡수력이 큰 대형시설이 상권 내에 위치해 있어 상권 집중도가 높을 편이다. 이러한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의 사인 시스템을 봤을때 하나의 통일화된 사인 시스템이 아닌 각기 다른 형태와 형식으로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주며 이용하는데 있어서 크게 불편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 사인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이용자들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인 시스템에 관해 알아본 후 서울시에 소재한 비교적 오래된 지하상가 세 곳인 종각 지하도 상가,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 을지로 입구 지하상가의 사인 시스템을 비교, 분석한 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지인 강남 고속터미널 지하도 상가의 현재 사인 시스템 현황과 디자인에 관해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국내 영·유아식 애드버토리얼(Advertorial) 크리에이티브연구 :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정유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an advertorial on baby food, a more developed form of the conventional advertisement on baby food published in a magazine. It aimed at presenting mothers with little experience of child rearing with advertorial creative, an effective new advertisement on baby food with the strategy of delivering information on a product and child rearing. The term "advertorial," a portmanteau of "advertisement" and "editorial," refers to an advertisement written in the form of an editorial. That is, it is an editorial style advertisement that delivers information just like a newspaper article or television and radio news. Advertisers pay the costs when it is printed in a printed publication. Due to the adaptation of advertisement copy written in the form of an article and a new method of creating advertisement copy, the new type of advertisement was introduced. Advertorial is characterized by the destruction of barriers between an advertisement and an editorial. Advertorial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early 1990s. At first, it appeared in a form combined with a general advertisement in the tabloids and later was increasingly published in the daily papers. In the mid and late 1990s, much improved advertorial began to be published in daily newspapers. The followings explains how advertorial first appeared. As the level of advertising clutter increased, advertisers began to seek a new way of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and they finally came up with an editorial style advertisement. Compared with traditional advertisements, it made consumers have more reliability of its messages and attracted consumers' attention surrounded by a flood of advertisements by supplying beneficial information. Compared with the format of traditional advertisements, the format of advertorial makes consumers become more engaged in advertisement messages, causing them to handle the messages more aggressively. As a result, such engagement leads consumers to handle the messages more elaborately, helping them establish memory on the messages and later easily remember them. The strength of advertorial is to produce more powerful persuading effects by causing consumers to have reliability of the messages. There are more advertisements on baby food in Korea than in any other country. TV, papers, radio, and magazines daily provide consumers with lots of information on new infant formula products that contain lots of nutrients necessary for the physical development of babies. It is true that the advertisements on infant formula somewhat discourages breast-feeding. However, if women finds it difficult to breast feed their babies due to their involvement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various new infant formula products. These days, women give birth to one or two babies and get married late. Therefore, mothers today have little experience of child rearing. In addition, almost all mothers feel concerned about raising babies. Therefore, they badly want accurate information on baby food as well as child rearing. These raise the need for the appearance of advertorial on baby food that attract consumers' attention, acquaint them with information on products, and lead them to repeatedly purchase the products. This study discussed advertorial creative on baby food, the advertisement written in the form of an editorial that delivers information both on child rearing and infant formula products. It also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and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features, background, and functions of advertorial. Besides, it analyzed the cases of advertorial written in the form of an editorial and presented problems with them. Furthermore, it examined the domestic baby food market and advertisements. On the basis of issues discussed above, this study presented a complemented direction of advertorial creative on baby food that contains persuasion effects and better attracts consumers' attention by eliciting opportunity factors. 본 연구는 영·유아식 애드버토리얼(Advertorial)에 관한 연구로, 육아에 첫 경험인 초보엄마들에게 기존 잡지광고에 나타난 유아식광고에서 더 나아가 유아식인 제품분야와 육아상식의 정보를 표현전략으로 한 애드버토리얼 크리에이티브를 제안해, 효과적이며 새로운 영·유아식 광고를 제시하고 있다. 애드버토리얼이란, 광고(advertisement)와 기사(editorial)의 합성어로 흔히 기사형식을 차용한 광고를 의미한다. 즉, 신문의 기사나 방송의 뉴스 보도와 같이 정보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뉴스 스타일의 문장을 광고 카피로 이용하면서 광고주가 그 광고 지면에 대해 광고비를 지불한 것이다. 뉴스를 닮은 카피와 광고 카피 작성법으로 채택되면서 기획 광고는 광고 유형의 새로운 차원을 추가시켰다. 이것은 신문 기사같이 보이기도 하는 광고로 광고와 기사의 경계를 허물었다는 데 특징이 있다. 국내의 애드버토리얼이 소개된 것은 1990년대 초반으로 알려져 있다. 스포츠 일간지에서 먼저 기사와 일반광고가 혼합된 형태의 애드버토리얼이 많이 등장하다 점차적으로 일간지에까지 퍼지게 되었고, 1990년대 중, 후반에서 부터 기획이나 크리에이티브 측면에서 많이 향상된 애드버토리얼이 국내 일간지에도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애드버토리얼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광고 혼잡도가 심해지자 광고주들은 소비자와 대화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게 되면서 그 한 가지 방안으로 기사 내용을 닮은 광고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광고형태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로 하여금 밀집된 광고환경으로부터 주목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하에서 출발하였다. 애드버토리얼의 포맷은 특성상 소비자들로 하여금 광고 메시지에 더욱 관여토록 유도함으로써 기존의 전통적 형태의 광고포맷에 비해 더욱 적극적인 메시지 처리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같은 관여는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 메시지를 보다 심도 있고 정교하게 처리토록 해줌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기억을 형성해 주고, 기억으로부터 메시지를 용이하게 상기시켜 준다는 것이다. 이 같은 애드버토리얼의 이점은 소비자들로부터 지각된 신뢰성을 유발함으로써 더욱 큰 설득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광고 중 영·유아식 광고는 세계에서 가장 많고 매출량도 가장 많다고 할 수 있다. 하루에도 TV, 신문, 라디오, 잡지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분유에는 많은 영양성분과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는 신제품들에 대한 정보가 많이 보여 지고 있다. 분유광고가 모유수유를 저해하는 악영향도 있지만, 현대의 여성들이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으로 모유수유가 어려워진 상황에서라면 다양한 신제품과 모유에 대한 대안들에 대한 정보가 꼭 필요시 된다. 또한 출산율의 감소로 1명, 2명의 자녀만을 출산 하며, 초혼의 연령증가로 인하여 오늘날의 엄마는 육아에 관한 무경험자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뿐 아니라 모든 엄마들은 육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육아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유아식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갈망한다. 이러한 여러 상황 속에서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주위를 유발시켜 호감을 불러 일으키고 지속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숙지시켜 반복 구매가 이루어지게 하는 영·유아식 애드버토리얼의 등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유아식광고에 애드버토리얼을 도입시킴으로 육아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상품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지닌 기사형식의 광고로서 영·유아식 애드버토리얼 크리에이티브를 제시하였다. 문헌연구와 조사 자료를 통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애드버토리얼의 개념과 특징, 등장배경 및 기능 및 애드버토리얼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살펴보았다. 국내 애드버토리얼 현황 , 기사유형 사례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영·유아식 시장 및 광고에 관한 고찰을 하였다.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애드버토리얼의 기회요인을 도출하여 소비자에게 주목성을 높이고, 설득 효과를 포함한 개선된 영·유아식 애드버토리얼 크리에이티브 방향을 보완·제시하였다.

      • 국내 두부 패키지디자인 BI시스템에 관한 연구 : 풀무원 포장두부를 중심으로

        한혜진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examined BI system of bean curd's packages from Pulmuone Co., Ltd. launched in the second half of 2007 and explored the directions which Pulmuone's bean curd's packages as well as bean curd's packages from domestic companies should pursue through analyzing the exemplary cases with regard to types of products, establishing new BI systems based on the cases and three designs for Pulmuone bean curd according to each brand. In the method of this study, case studies, document studies, survey studies, study, and suggestion of directions were conducted an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spects of domestic bean curd markets of CJ, a competitor, and Doosan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bean curd package designs of domestic Pulmuone brand which had introduced until the second half of 2007. In the process, this study established new BI systems of bean curd's packages from Pulmuone and suggested appropriate designs for the systems. A. Seek the problems related to design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bean products from Puhnuone and case studies in package designs, B. Examine the purchase behaviors of packaged bean curd products through conducting consumer researches and seek plans for package designs. C. Observe display environments for packaged bean curds in large stores and seek plans for package designs for the competitions. D. Systematize the structure of BI for complicated Pulmuone's bean products and suggest tentative plans for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tudies conducted before, consumers hoped that bean curds were divided with regard to each purpose, wanted larger pull-by dates or price marks, and hoped the waters in a packaged bean curd not to be spilled out when the package was open while they purchased and used. In addition, they wanted package products distinguished by other bean curd products with regard to containers and designs since they felt the designs for bean curds were similar to other brands and some consumers liked larger seal parts for easy opening. As seen before, consumer's needs or improvement plans are numerous in bean curd's packages. I believe that to design emotional and visual bean curd's packages in consumer's point of view by applying such factors will be the way to establish true brand identities. After that, Pulmuone's bean curd brand will be considered as the brand of clean and reasonable images which consumers recognize the best. Package is just branding. That will be the last and best chance to succeed in attracting potential consumers. The advertising effects of package design cannot be ignored and package designs are the last advertisement which appeals consumers. 본 연구는 국내 두부 패키지디자인의 BI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풀무원 두부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하여 더욱 효과적인 BI시스템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패키지디자인이란, 파우치, 백, 박스, 컵, 트레이, 캔, 튜브, 병이나 기타 용기에 담는 기능, 보호성과 보존성 부여, 소비자에 대한 의사전달, 사용의 기능성 중 한 가지 이상을 수행하고자 물품이나 포장들을 담은 것으로 규정되고 있는데 특히, 치열한 기업 간의 경쟁 속에서 패키지디자인은 간접광고 수단의 하나로서, 혼합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두부 패키지디자인을 보면 브랜드별 패키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두부 패키지를 보고 브랜드별로 분류되어있는 두부의 선택이 용이하지 않으며, 두부 각각의 브랜드 특성에 맞는 두부 용도를 쉽게 알 수 없어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풀무원에서는 제품 상단의 라벨에 너무나 많은 내용이 들어감으로 인해서 두부제품의 조리용도별 목적과 콩의 생산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가 없고, 공법설명 등 두부패키지의 시각적인 선택을 할 때에 불필요한 내용이 라벨 인지도를 낮추고 있다. 즉, BI시스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내용물의 상태나 가격 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풀무원의 각 브랜드들이 BI시스템에 따라 일률적으로 디자인돼서 소비자들이 간편하고 쉽게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무언의 세일즈맨 기능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셀프서비스 중심의 대형마켓 환경에서 구매시점의 광고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풀무원 두부패키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일률적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에 들어가는 요소에 통일성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는 통일성 있는 BI시스템이 반영된 풀무원 두부 패키지디자인을 만드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현재 생산되고 있는 풀무원 두부패키지의 BI 시스템을 연구해보고, 제품유형별로 사례분석을 하여 그에 맞는 BI시스템의 새로운 정립, 그리고 새롭게 정립된 BI시스템을 이용한 풀무원 두부패키지의 세 가지 브랜드별 디자인 안을 통하여 풀무원 두부 패키지디자인이, 그리고 더 나아가 국내 기업의 두부 패키지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