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주은영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 스마트폰 과의존의 위험성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정신적인 문제해소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결정성과 정신건강에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자기결정성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가? 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인천, 용인시, 천안시, 아산시의 4개 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2020년 6월부터 8월말까지 2달 간 진행되었으며, 표본추출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배포 후 수거하였다. 표본추출은 비확률표본추출방법 중 임의표본추출을 하였다. 설문지는 총 48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예비조사 60부와 본 조사 420부를 회수 하였으며 그 중에서 결측값이 많아서 불성실하거나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20부를 제외한 총 46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for SPSS v3의 Model1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 하위변인인 불안장애, 분노폭발, 대인관계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으면 높을수록 불안장애, 분노폭발을 증가시키며, 대인관계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조절효과에서 자기결정성의 하위변인인 관계성과 자율성은 정신건강의 하위변인인 불안장애, 분노폭발, 대인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결정성의 관계성과 자율성이 높으면 불안장애, 분노폭발, 대인관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신건강의 영향관계에서 자기결정성 하위변인 관계성과 자율성의 조절효과가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의 관계성, 자율성이 좋아지면 분노폭발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조절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초등학생이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을 중재하고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mental health relationship of the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elementar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programs to help solve mental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is ther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mental health? Third, is self-determination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four cities of Incheon, Yongin, Cheonan and A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June 2020 to the end of August 2020, and the sample was collected by visit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ample extraction was performed randomly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60 preliminary surveys and 42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46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20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insincere or unreliable due to the large number of missing valu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he model1 program of PROCESS macro for SPSS v3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depen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tudents, and anxiety disorder, anger explo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smartphone, the more anxiety disorder and anger explosion, and the wors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mental health, relationship and autonomy,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had negative (-) effects on anxiety disorder, anger explo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are sub-variables of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when self-determination is high in relationship and autonomy, anxiety disorder, anger explo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low.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mental heal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factor, relationship and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f the relationship and autonomy of elementary students improved, it reduced anger explosion and played a role of controlling the recover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data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and mediate the excessive use of elementary students's smartphones by confirming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mental health.

      •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고은성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년기 중증질환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년기에 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중증질환을 1가지 이상 진단받고 질병 지속기간이 5년 이하인 기혼남녀 10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표본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참여자들과 1∼2회의 심층 면담, 전화, 이메일, SNS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현상에 대한 참여자의 다양한 반응, 해석, 상대방과의 상호작용 등을 강조하는 특성이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Giorgi(2004)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의 4단계 자료 분석방법을 참고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에서 공통으로 경험하는 것을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8개의 핵심구성요소와 29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에 관한 8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중증질환 진단으로 충격과 혼란에 빠짐’으로 중증질환으로 진단받고 심리적으로 충격과 혼란이 있지만, 질병을 인정하고 마음을 추스르는 경험이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죽음을 넘나드는 고통 속에서의 삶을 위한 몸부림’으로 치료과정에서 오는 부작용으로 죽을 것 같은 고통과 오롯이 혼자 겪어내야 하는 외로움의 경험이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질병으로 인해 심신이 피로하고 예민해짐’으로 중증질환을 경험하면서 몸과 마음이 약해지는 것을 느끼고, 신체로 나타나는 여러 증상과 지인들의 말과 행동에 예민해지며 무기력과 우울을 느끼는 경험이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건강회복에 우선순위를 둠’으로 재발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이전의 건강상태를 되찾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좋은 식습관 그리고 긍정적인 사고를 하며 애쓰는 경험이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상실의 아픔 속에서도 힘들게 삶을 이어감’으로 치료를 위해 신체의 일부분을 잘라냄으로 인해 손실된 신체 고유의 기능 상실 그리고 신체적·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생존의 절실함이 있는 경험이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새로운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자 함’으로 중증질환을 경험하면서 가족들에게 고마움과 서운함의 양가감정을 느끼기도 하지만 가족은 참여자에게 든든한 버팀목임을 경험한다. 또한, 대인관계에서는 좁아지지만 깊이 있는 관계를 맺어가는 경험이다. 일곱 번째 구성요소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유한한 존재임을 수용함’으로 참여자들은 일상의 시간이 흘러도 재발로 인한 죽음의 불안이 내재 되어 있으며, 죽음 앞에 겸손하며 오늘만 사는 것처럼 자신의 가치에 따라 현재에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경험이다. 여덟 번째 구성요소는 ‘내가 중심이 된 삶을 살아가며 남은 삶을 의미 있게 그려봄’으로 아쉬움이 남지 않게 자신이 하고 싶었던 것을 실행하고 존재하는 자체에 감사하며 삶을 의미 있게 살고자 하는 경험이다. 이러한 8개의 핵심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4개의 상위범주로 나누었다. 첫 번째 범주는 ‘무너지는 일상: 중증질환 진단으로 충격과 혼란에 빠짐, 죽음을 넘나드는 고통 속에서의 삶을 위한 몸부림’의 경험이고, 두 번째 범주는 ‘담담하게 일상을 살아감: 질병으로 인해 심신이 피로하고 예민해짐, 건강회복에 우선순위를 둠, 상실의 아픔 속에서도 힘들게 삶을 이어감’의 경험이다. 세 번째 범주는 ‘가족의 소중함을 절감하고 인간관계를 재설정함: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고 새로운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자 함’의 경험이고, 네 번째 범주는 ‘죽음 앞에서 삶을 소중하게 바라봄: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유한한 존재임을 수용함, 내가 중심이 된 삶을 살아가며 남은 삶을 의미 있게 그려봄’의 경험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중증질환 경험이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3대 사인(死因)인 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중증질환을 통합하여, 만성질환 증가와 신체적 노화를 체감하는 중년기 중증질환자의 생생한 경험의 실제를 있는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기 중증질환자를 이해와 치유를 돕고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질병 상황과 환경에 따라 심리적 개입의 방향성을 구체화 시켰다는 점에서 상담 현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청소년상담사의 부모협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미경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사들이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부모와의 협력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부모협력에 관한 생생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참여자는 청소년 상담 중 부모와 협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상담사로 경력이 5년 이상인 30~50대 연령의 11명으로 구성하였다. 총 자료 수집기간은 202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개인별 심층 인터뷰를 비롯하여 메일, 전화 통화, 메신저를 통한 다양한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의 4단계에 따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7개의 핵심구성요소와 21개의 하위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청소년상담사의 부모협력 경험에 관한 7개의 핵심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청소년 상담 성과를 위해 부모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 참여자들은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과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 문제 해결을 위해 부모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부모의 협력을 얻어내는 것이 매우 어려움’으로, 참여자들은 부모의 협력을 얻기가 쉽지 않은 과정에서 부모가 자녀 문제를 방관하거나 상담자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과정에서 상담사로서 회의감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부모 마음을 수용하고 전문성을 발휘하며 협력관계에 한발 다가감’으로, 부모가 그동안 애써온 부분을 인정하며 자녀의 문제를 도와주기 위해 청소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관계에 다가가는 과정이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상담자와 부모의 양육 경험이 연결되어 시너지가 일어남’으로, 상담사의 자녀 양육을 토대로 부모의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부모와의 협력관계가 촉진되는 과정이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자녀의 변화를 위한 동반자이자 협력자 역할로 부모를 이끌어감’으로, 자녀의 문제해결과 변화를 위해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조언하며 부모가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와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청소년 상담에서 부모협력에 대한 효능감이 쌓여감’으로, 부모의 심리상태와 상황에 적절한 개입방법으로 부모협력을 이끌어가며 효능감이 쌓아가고 청소년상담사로서 유능감을 경험하였다. 일곱 번째 구성요소는 ‘부모협력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청소년상담사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수용함’으로, 부모협력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반추하며 성장시키는 거울로 인식하고,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깊어가며 청소년상담사로의 다양한 역할을 수용해 나가고 있었다. 위의 7개 구성요소는 다시 크게 3개의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범주는 참여자들은 청소년내담자의 문제행동과 호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모와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고군분투를 하는 경험이다. 두 번째 범주는 부모 마음을 수용하고 상담자와 부모의 양육 경험을 공유하며 친밀감이 형성되어 부모와 협력관계를 형성하며 자녀의 변화를 위한 협력자 역할로 동행하는 경험이다. 세 번째 범주는 부모협력에 대한 효능감이 쌓이고 다양한 역할을 수용하며 청소년상담사로 역량이 증진되는 경험이다. 결과적으로 청소년상담사의 부모협력 경험은 처음에는 부모와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어려움을 겪으나, 상담사의 양육 경험을 기반으로 있는 그대로의 부모 마음을 수용하며 부모와 협력관계로 동행하는 가운데 유능감을 얻고 부모협력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며 청소년상담사로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되지 않았던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청소년상담사들이 부모와의 협력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구체적이고 생생한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청소년상담사들에게 부모협력에 대한 심리적 개입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 :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매개효과

        신선미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요구의 관계에서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긍정적인 치매태도로 치매예방교육요구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직할시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기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인지적 요소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행동적 요소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가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매태도는 노화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정서·행동적 요소는 노화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요소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매태도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인지적 요소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행동적 요소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이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불안의 하위변인의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 상실에 대한 두려움, 신체적 외모에 대한 걱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불안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공적 노화인식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인식의 하위변인의 경우 심리·사회적 안녕과 자기효능감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상의 안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은 전체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매개변수의 간접효과에서 노화불안은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공적 노화인식은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는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을 매개로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치매에 대한 편견 및 부정적인 태도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치매태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치매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파악할 수 있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치매태도는 사회적 분위기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그 변화의 차이를 파악하여 치매태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년기성인의 치매정책지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과 긍정적인 치매태도를 확립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중년기성인의 치매예방교육 요구까지 반영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와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에 따라 치매예방을 위한 교육의 요구를 높이는 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중년기성인의 긍정적인 치매태도의 형성과 노화불안 감소시키고, 성공적 노화인식의 증진으로 치매예방교육 요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여, 노년으로 들어가는 생의 전환기에 있는 중년기성인들이 다가올 노년기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empirical data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with a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of the middle-aged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middle-ag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under 65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data collected were verified by using the SPSSWIN 25.0 and the AMOS 25.0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of the middle-aged adul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cognit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adults' dementia related attitude on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ging anxiety.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dementia related attitud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ging anxiety, but the cognitive factors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aging anxiety. Furthermor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the cognit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bu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ging anxiety did not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aging anxiety, fear of loss, fear of the elderly, and concerns about the physical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did not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perception of ag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daily well-being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Fourth, in term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overall double mediating effect. However, in terms of the indirect effect of each parameter, the ag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study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of the middle-aged adults operates a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s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ased on the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an incorrect information about dementia can lead to prejudic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dementia,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through the provision of correct inform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ffective and continuous dementia related information and repeat studies to understand it. Second, sinc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ca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social climate and changes in the times, future studies will ne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the relevant chang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dementia policy knowledge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establish the correct dementia knowledge and the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Furthermore, by using such in various ways, an expanded study that can reflect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of the middle-aged adults will be needed. Fourth, understanding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level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raising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dementia prev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are the socially important tasks. Hence, by presenting various models to help increase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y forming a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among the adults, reducing aging anxiety, and promoting successful aging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doing so will contribute to helping the middle-aged adults in the transitional period entering old age toward being healthy and happy in the coming old age.

      • 정서 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자녀와의 애착에 미치는 효과

        신정현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애착에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정서 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K 지역 어린이집 어머니 중 정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머니를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정서표현성과 애착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2016년 10월 27일부터 11월 24일 까지 4주에 걸쳐 주 2회씩 총 8회의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정서표현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애착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 관계인 애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결론적으로 종합해 보면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자녀 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 성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미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심리적 소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성숙성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사회적 성숙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독립변수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종속변수로 심리적 소진을, 매개변수로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선정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2020 년 7 월 20 일부터 7 월30 일까지, 10 일간 설문지 50 부를 배포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50명이었다. 본 조사는 본 조사는 2020 년 8 월 10 일부터 9 월 10 일까지 총 410 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중 총 390 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매개효과는 회귀분석(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각 변수들 간의 차이는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학력, 담당반, 월평균보수에서, 심리사회 성숙성은 결혼여부, 연령, 학력, 월평균보수에서, 심리적 소진은 결혼여부, 연령, 학력, 월평균보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변수인 심리사회 성숙성은 심리적소진과의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사회 성숙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심리사회적 성숙성(β= -.6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위변인별로는 자기실현 및 일에 대한 헌신, 긍정성과 평정심, 가족애와 관계지속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책임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도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가지고 있다면 심리적 소진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심리사회적 성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사회 성숙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의 영향에 대해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직무스트레스, 심리사회 성숙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사회 성숙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심리사회 성숙성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경감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수한 교사의 역량개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확대, 보육교사의 효율성 증대 등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을 제안하여 실천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and social maturity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maturity on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burnout.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s 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social maturity as parameter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10 days from July 20 to July 30, 2020,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5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0 to September 10, 2020, and 39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3.0 Vers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in age, education, charge, and monthly pay, psychological social maturity in marriage, age, education, and monthly pa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marriage, age, education, and monthly average pa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Psychosocial maturity, a parameter, has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psychosocial maturity (= -.65,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sub-variables showed that self-realization and commitment to work, positiveness and calmness, family affection and relationship persistence had mediating effects, but social responsibility had no mediating effects. This means that psychological burnout decreases if child care teachers have psychosocial maturity even if their job stress is high.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improve the psychosocial maturity of child care teachers in the field of child ca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maturity 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affecting psychological burnout,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social maturity direct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and job stress indirectly influenced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medium of psychological social maturit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psychosocial maturit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nd reducing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prepare practical alternatives by suggesting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ounseling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teachers' competence, the expansion of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and the increase of efficiency of child care teachers.

      • 숙련상담자의 노년기 자아통합과정에 대한 연구

        김정업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숙련상담자의 노년기 자아통합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여, 자아통합 과정에 대한 실제적 이론개발과 그 요인을 들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62세에서 78세의 여성 숙련상담자로서 13년 이상의 상담경력을 가진 9명의 참여자로부터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월 13일부터 11월 5일까지이며, 면담 자료를 근거이론 방법(Strauss & Corbin, 1990, 1998)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한 자료 분석결과 총 114개의 개념과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Strauss와 Corbin(1990)의 패러다임 분석방법을 통해 숙련상담자의 노년기 자아통합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고, 선택코딩에서는 숙련상담자는 자아통합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자아통합에 대한 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아통합에 대한 단계분석을 통해 자아통합의 발달과정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숙련상담자가 노년기 자아통합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였으며, 자아통합과정은 어떠한가를 보기 위해, 참여자들의 경험과 예비연구를 토대로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숙련상담자는 노년기 자아통합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숙련상담자의 노년기 자아통합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자아통합에 대한 이론도출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자아통합’은 쇠퇴와 상실을 경험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첫째, ‘쇠퇴와 상실’은 인식 및 가치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자아통합을 추동한다. 자아통합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 발달을 보인다. 따라서 자아통합의 과정은 그 과정 자체가 결과이다. 둘째, 노년기에 발현되는 지혜의 발현지(發現地)는 환경적 지지가 아니라 고통과 아픔이며, 지혜란 자신과 타인은 물론 환경과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고통스러울 수 있는 환경에 대해 고통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셋째, ‘양극단의 구분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고통에서 지혜를 발견함으로써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인 것 그리고 인생의 희비 등에 대한 구분이 사라짐으로써 편안함과 기쁨을 느끼는 것이다. 넷째,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는 ‘세상에서 쓸모가 없어지고 초라해져서 자신도 세상에 미련이 남지 않을 때 가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며 진리’로 여기는 것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죽음을 삶의 연장선으로 봄으로써 죽음의 세계가 친밀해지면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기대가 되는 것이다. 다섯째, 양극단의 구분이 사라지는 현상과 삶과 죽음의 경계가 사라지는 현상은 자아통합의 최종 모습으로, 이는 노년기로 갈수록 정서적 측면이 보다 안정적이 되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성이 있다. 숙련상담자가 자아통합과정에서 경험한 자기변화의 요인들은 노년기 이전의 경험과 노년기에 경험한 현상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노년기 이전의 경험’은 상담자로서 ‘상담공부를 통한 변화의 틀’과 숙련과정에서 ‘상담지식이 삶에서 실천적으로 연결’될 때 경험한 현상들이었다. 이는 자아통합을 이루는 기반이 되었다. ‘노년기에 경험한 현상’은 ‘쇠퇴와 상실’을 처음 경험할 때부터는 시작하여 연령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인식 및 가치의 변화가 오면서 새로운 지혜들이 발현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숙련상담자들의 지혜를 촉진한 요인은 상담지식과 의지 등 긍정적인 것 뿐 아니라, 삶의 고통이나 쇠퇴와 상실 같은 부정적인 것들이 새로운 지혜가 촉진되도록 추동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자아통합을 이루게 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자아통합’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를 찾기 힘들었던 만큼 본 연구는 중요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국내의 ‘자아통합’ 관련 연구는 ‘자기변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노년기의 안녕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자아통합 개념’에 대해 혼란을 주는 면이 있는 만큼 그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존 연구에서 ‘노년기 자아통합’은 노년기에 당면한 상실문제를 채워주어야 자아통합이 된다는 논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의하면 ‘노년기에 당면한 상실문제’를 채우려는 것은 오히려 갈등의 요인이 되며, ‘자아통합’은 노년기 ‘쇠퇴와 상실’을 경험할 때, ‘인식과 가치의 변화’로 이어지면서 자신의 한계와 상실을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바로 노년기에 갖는 지혜이며, 그러한 지혜의 발달로 인해 남모르는 편안함과 기쁨이 있고 자신에 대한 만족을 느낌으로써 행복을 창조하는 것이 자아통합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 의의와 임상적 의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학문적 의의로는 본 연구가 시발점이 되어 ‘자아통합’에 대한 보다 타당한 척도가 개발되고, 타당성이 확보된 높은 수준의 연구들이 나오도록 촉진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상적 의의로는 숙련상담자의 경험에서 도출된 자아통합의 요인을 기초자료로 하여, 초고령사회를 앞둔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노인의 정서복지차원에서 노인교육의 토대가 될 수 있으며, 타당성이 확보된 질 높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됨으로써 노인자살을 줄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해볼 수 있다.

      •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창희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건강성, 양육행동, 자기분화, 가족탄력성의 관계를 밝히고,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건강성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원가족건강성은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 셋째,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은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충남지역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 369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최종 추출된 문항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 Version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건강성은 부모의 양육행동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원가족의 경험에서 기억하는 전체적인 건강성은 부모가 가족 내에서 실제적인 양육행동과 자녀-부모와의 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원가족건강성은 자기분화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탄력성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원가족으로부터 긍정적인 기억들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타인과의 상황에서 압력을 받았을 때 자신의 신념이나 입장이 흔들리지 않았고, 갈등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가족이 건강할수록 생식가족 또한 가족 간의 강점을 발휘하여 성장하고 적응적인 가족이 된다. 셋째,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개인의 자기분화 수준은 개별적이고 모두 다를 수 있으며 같은 부모에게서 자란 자녀라 하더라도 환경과의 관계적 특성에서 영향을 받는다. 이는 사람마다 모두 자신의 환경과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부모들의 자기분화 수준이 낮다고 하더라도 자녀 양육에 대한 교육수준이 높거나 설문에 반영된 자녀와 반영되지 않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양육행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넷째,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족탄력성은 기존의 결점 관점으로 가족을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관점인 강점 관점으로 가족을 보는 것으로 가족이 가진 자원과 역량을 발휘하여 더욱 성장하고 변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긍정적인 영향은 가족 내 부모의 양육행동에도 영향을 주고, 효능감을 높이며,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부모로서 성숙한 양육행동을 하는 부모가 되도록 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이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매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담심리학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세대 전수 이론에 의하면 원가족에서의 양육행동은 대물림된다고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은 원가족으로부터 전수되어 온 과거의 경험이 아니다. 과거의 경험에서 모든 사람이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사람의 개별성에 따라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정주의적인 관점이 아닌 인간의 자유의지적인 관점으로서 살펴봐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원가족건강성이 생식가족 부모의 자기분화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가족이 정서적으로 건강하면 부모 개인의 자기분화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반대로 원가족의 정서가 건강하지 못하면 자기분화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분화된 자아 군을 가진 원가족의 부모일수록 자녀에게 부정적인 정서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녀의 자기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족의 건강한 정서를 조성하기 위한 부모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가족탄력성이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다는 결과는 가족탄력성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가족 내에서 영유아기 자녀와 부모의 소통, 감정 공유, 가족 내 의사결정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등 가족의 강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유도하여 적응적인 가족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족탄력성은 위기 가족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이 갖고 있는 고유한 강점을 찾고 개발함으로써 자녀를 양육하거나 가족이 살아가면서 닥칠 위기를 예방하는 차원의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오랜 시간 집단생활을 하는 대상들에게도 가족탄력성의 특성을 적용한 강점 찾기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자기분화에 대한 부모상담과 단위로서의 가족탄력성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으로 부모에게는 자신의 건강한 자아 정체성과 행복한 양육을, 자녀에게는 건강한 가족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기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상담에서 좀 더 다양한 변인들을 고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parenting behavio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parenting behavior? Second, do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Third, do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affect parenting behavior? Fourth, do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a validity test was conducted for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0-5 at daycare centers in the Gyeonggi and Chungnam areas.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of 369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0-5, focusing on the final extracted ques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 program and AMO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The overall health by family-of-origin experiences did not affect parents' actu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parent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Second,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This shows that the more positive the memories from the family-of-origin are, the less their beliefs or positions are swayed when they are under pressure from a situation with others and the better they cope emotionally in conflict situations. The healthier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 the stronger the family will be, grow, and adap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is is in line with Bowen's argument that every person's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is individual and can vary, and that even children raised by the same parent are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to the environment. This is because everyone has different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 and their families. In other words, even if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of the parents is low, the level of education for parenting may be high, and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children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family resilience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Family resilience is not looking at the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defects, but rather from looking at the family from a more active positive point of view. This enables the family to grow and change further through the use of their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is positive influence also affects the parenting behavior in the family, increases the sense of efficacy, and reduces parenting stress, making them mature and parents with better adaptive parenting behavio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and that fami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parenting behavio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theory, parenting behavior in the family-of-origin is passed down. However, in this study, the factor that most affects the parenting behavior is not the past experience passed down from the family-of-origin. Not everyone can be free from the past experience, but since the past experience and the present environment interact and influence the person depending on the individuality of the person, it implies that it should be viewed as human free will and not from a deterministic perspective. Second, it shows that the health of the family-of-origin influences the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of the parents from the family of procreation. This suggests that if the family-of-origin increased. Conversely, if the family-of-origin is emotionally unhealthy, it can act as a factor that can lower the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addition, parents with undifferentiated ego groups may hav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n their children, which may affect their children's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erefore, this implies that the ability of parents to create healthy emotions in the family is very important. Third, the result showing that family resilience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reveal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parenting behavior. By improving family resilience such as communica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parents in the family, sharing emotions, and involving the child in family decisions, it is possible to induc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help adaptive family function. Fourth, for family resilience, it is necessary for a training program to raise children by finding and developing the unique strengths of all families, not just those at risk, and to prevent crises that may occur while the family liv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find strengths as a group with family resilience for those who are in groups for a long time, such a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basis for correct parenting behavior an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family counseling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y revealing the roles of related variable.

      •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

        최은실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in old age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the SPSSWIN 27.0 and AMOS 27.0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 information in old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 information in old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ub-variables in self-efficacy, social efficacy, self-acceptance, and self-fulfillment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ub-variabl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frequency and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martphon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 information in old age improves self-efficac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plays a positive role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on health through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 information in old age, and further research on how much health information using mobile apps affects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util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actors that affect various appusage plans for information utilization of smartphones in old age and come up with a plan to expand them. Third, improving self-efficacy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through smartphone information utilization,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search and use elderly jobs, living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through smartphone can increase the intention to use smartphone information and enabl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년기에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사회활동참여는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서 하위변인의 경우 사회적 효능감, 자기수용감, 자기성취감 모두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참여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활동의 하위변인의 경우 사회참여활동 빈도 및 종류,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사회참여활동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은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 활용능력이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활동을 증진시키고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 활용능력으로 건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검색하고, 모바일 앱을 활용한 건강정보 등이 노인의 삶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정보 활용을 통한 세대 간 통합과 다양한 정보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노년기 스마트폰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다양한 앱 사용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점검하고 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폰 정보활용능력을 통하여 자기효능감 향상 및 사회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스마트폰을 통한 노인일자리 및 생활정보, 건강정보 등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노년기 스마트폰 정보활용을 위한 앱의 사용 의도를 높이고, 사회참여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노년기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