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김광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roughout history, people have recognized that “to be a superior race means to have extraordinary intelligence, appearance, healthy body and spirit” differentiating the ordinary. Since the criterion to determine a superior human entirely depends on the contemporary perspectives such as sociocultural values, a standard to be a superior gene also must be various. Although it does not form a social consensus in the definition, every human being’s desire to get a superior DNA is gradually coming to reality by means of eugenics. The eugenics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the‘negative eugenics’that eliminates recessive trait and/or disqualified character; the other is the‘positive eugenics’that takes only dominant trait through gene selection. As time passes, however, the eugenics finally is transformed into liberal eugenics which is going in accordance with bioengineering 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unlike the former theory, is to strengthen the superior gene only by means of DNA selection based on individual freedom of human right. The goal of liberal eugenics is to heal all the diseases and ailment, and to improve human species as well. When it comes to the first issue of ‘healing diseases’, it helps the pregnant pre-moms give birth a healthy baby by prenatal diagnosis to see if there is genetical problem and/or eliminating serious DNA, they would take prior action to avoid it when something wrong is found accordingly. Regarding the second issue of ‘improving human species’, it serves for the pregnant women to get superior baby having aid of gene selection. This technology recently leads to gene editing, DNA manipulation,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even human cloning. Unlike the prenatal diagnosis aimed for healing ailment, artificial improvement of gene might cause a bio-hierarchy system, so-called ‘genetical discrimination’which has nothing to do with simple healing or genetical improvement. The appearance of spoon-class in modern society (new hierarchy in human dignity classifying human by inherent status) may bring about‘life-politics’causing acute struggles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It also leads to polarization in human society and finally brings side effects such as status adhesion, or unnecessary bias on human dignity innate. In many ways, the technology of gene editing and customized baby is closely connected with human basic right as well. By the emerging of gene manipulation skill,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has faced new challenges. Cloning technology in the age of liberal eugenics, is carrying out new experiments such as gene editing of embryo, customized baby, human cloning under the cloak of improving human species. In this chaotic situation, the needs of new stage about human dignity will soon rise to the surface. Though the eugenics has many appropriateness on theory, it has left variety of ethical problems behind as well.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s-and-cons around gene editing, personally customized baby, and species improvement in human cloning. Based on many debates and arguments, it tries to provide some insight in a sound doctrine of human-centered biotechnology or the biblical/theological perspective of bioengineering. Having the above issues in mind, this dissertation is designed to establish a eco-centered view and its eco-theological critique of liberal eugenics in terms of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especially in theological field is too outdated to criticize the rapidly developing view on liberal eugenics. In this context, a new counteraction is strongly needed to cope the huge upheaval of natural science with a competitive measure based on the communal responsibility of human dignity. As biotechnology is so uncertain in its essence and future result, the negative side of it is also clearly presented as much as positive one. Nobody can fathom the chaotic outcome that biotechnology might bring. Second, this study criticizes human-centeredness that recent biotechnology has in itself. On this groundwork, a new significance of human dignity will be highlighted in eco-theological perspective. This argument will proceed not only to defend the ontological ground but also for a new understanding of Christian anthropology. Third, this article shows a considerable countermeasure to make up for an aperture brought by communicational dissonance between natural science and religious doctrine. In comparison to the liberal eugenics showing a dazzling development, the corresponding effort of the theological area is still short to overtake. To make the gap narrow, this researcher provide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to discuss life-discourse. Finally, the study gives a negative comment on species discrimination and its side effect, so-called status dissension, from which it is suggested a life-egalitarianism, as Jesus says in the Sermon on the Mount as a universal command to all humankind“love your neighbor as yourselves.”The Lord Jesus lowered Himself even to the sinner comforting them. The incident of washing the disciples’feet was a typical example of life-egalitarianism. His caring for the socially marginalized can be a ground for rebuttal. The most urgent thing to be done is to reshape Jesus’s teaching. His love reaches every realm of nature in which all mankind live and breathe. As seen above, this study analyses some fabrications of modern technology in a critical way such as gene & embryo editing, gene-political issues, and liberal eugenics. Consequently, several findings will come up with a new countermeasure debated in context of‘ethical responsibility of community’and‘life-egalitarianism.’ Unlike the past, the future of biotechnology is very closely at hand. The age of human cloning will come shortly, and when it comes to rea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cutting edge of technology and its ethical significance collectively might be shaken altogether. The future will come entirely depending on current technology and its ethical interpretation indeed. To cope with this huge challenge,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is human cloning age has to take a corresponding countermove in advance not only in individual dimension but also en masse. For the reason, this dissertation strongly suggests a ground for mutual dialogue among bioengineering experts, legal scholars in medical treatment, bio-ethicists, and health care-ethicists etc. The Christian community as a whole has to cope with the huge challenge of natural science especially in biotechnology. A human clone is also a human having its own dignity. Albeit it has somehow disparate or repulsive feeling, The bioethics-centered community of Christian perspective has to rise to a higher ground in this hot and competitive debates. 과거에 사람들은“탁월한 인종이 된다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지능과 외모, 건강한 체형과 정신을 갖추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 탁월한 인종이란 기준은 어디까지나 그 사회나 문화 내에서 제시되어진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일 수밖에 없고 가치관의 다양성 만큼이나 좋은 유전자의 기준도 각기 달랐다. 이런 상대적 기준에도 불구하고 좋은 유전자를 얻고 싶어 하는 인간의 소원은 우생학이 등장하면서 이룰 수 있게 되었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질병치료와 인간 종(種)의 개량을 목표로 한다. 먼저 질병 치료의 기능은 유전적 질환 여부를 사전에 검사하고 예방하는 차원으로 심각한 질환을 가진 유전자를 선별하여 특정 유전질환을 예방하는 것과‘산전 진단’을 통해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인간 종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류에게 유전자를 선별하여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선별해서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는 물론 인간복제 기술까지 이어지는 실험이다. 유전적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와 산전 진단과는 달리 복제 기술과 맞춤형 아기, 유전자 선별을 통한 개량은 단순한 질병치료와 종의 개선을 넘어 유전자 차별로 인한 생명계급을 초래할 수 있다. 생명계급의 발생은 지배와 피지배 사이의 격차를 낳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의 영역으로 이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계층 간의 심한 양극화로 야기되는 생명계급 발생과 위계는 사회적 신분의 고착화와 신분의 차별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생명공학 시대에 유전자 편집 기술과 맞춤아기를 만드는 기술은 단순한 종의 개량을 넘어 인간 존엄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오늘날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실험이 등장하면서부터 과거 전통에서 다룬 인간 존엄성과 인간 이해의 방법들은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시행되는 복제 기술은 인간 출생 이전의 존재, 즉 유전자 편집, 디자이너 베이비(designer baby), 인간 복제 등 우수한 종의 개량을 목적으로 실험들이 진행되고 있어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방법들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우생학은 분명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키는 데 명분을 가지고 있지만 이 명분 이외에도 많은 윤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목표 가운데 하나인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복제 기술을 통한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생태중심’이 아닌, 인간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인간중심성’과 연결되는 점을 인식하고, 생명공학 기술에 나타난 인간중심성의 출발점을 성서에서 발견하고 이에 대한 신학적 비판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논자는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의 신학적 비판을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인간 생명을 대상으로 생명공학자들은 유전자를 조작하고 실험을 연구하고 있다. 심지어 복제 기술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신학적 인간이해는 한계가 있다. 이에 논자는 생명복제 시대에 필요한 신학적 인간 이해와 생태윤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논자는 유전자 편집과 맞춤아기, 인간 종의 개량에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와 생명공학 기술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인간중심성’을 비판하고, 인간 중심성에서 비롯된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생명공학 시대의 인간 이해를 살필 것이다. 인간 존재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요구하는 시대에 논자는 인간 본성 회복과 인간 존엄성의 근거를 제시하여 인간 삶의 가치와 진정성의 중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셋째, 이 논문의 목표 가운데 하나는 신학과 생명공학 기술 사이의 소통의 부재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다.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가 열리면서 복제기술과 유전자 치료 및 조작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찰들이 한국 사회에서 아직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면서 생명공학 기술과 신학적 이해 사이의 소통과 서로의 학문에 대한 교류 및 상호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생명복제 기술 시대에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 본성 길들이기, 배아편집 기술의 문제, 유전자 정치 등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유주의 우생학에 대한 생태신학적 비판을 제시할 것이다. 자유주의 우생학 시대에 필요한 윤리적 방법으로‘공동체의 생태윤리’와‘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우선 공동체의 생태윤리를 제시하는 이유는 기존의 신학적 전통과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접점을 이루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와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인 신학적 인간 이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제 시대에 맞는 신학적 접근과 책임이 요청된다. 그렇기에 일부 과거 전통을 고집하는 신학적 이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과학 기술을 적용하는 신학적 비판이 뒤따라야 하고 복제 시대에 요구되는 윤리가 제시되어야 한다. 논자는 복제 시대의 종차별과 계급 사회에 따른 생명계급 시대에 필요한‘생명평등주의’를 제시할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정신에서 비롯된‘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생명평등의 가치들을 성서적 입장에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생명평등주의와 생명담론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기존의 생명윤리에 관한 신학적 논의가 학계와 종교계에서 논의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너무 다른 견해를 보여주었다. 논자는 이들의 의견이 마치 평행선처럼 서로 접점이 불가능했던 한계를 인정하고, 피할 수 없는 복제 시대에 새로운 생명윤리 공동체를 제안하고 싶다. 미래 생명공학 시대는 과거와 달리 그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언젠가는 인간 복제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고 윤리적 성찰과 무관하게 과학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그 균형은 상실하게 된다. 미래의 어느 순간은‘갑자기’오는 것이 아니기에 다음 세대를 위해 현재의 과학 기술과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기독교 공동체는 생명복제 시대를‘지금부터’준비하고 어느 순간 복제 인간과 유전자 변형으로 태어난 존재가 등장하게 되면 준비된 자세로 공동체에서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과학자, 의료법학자, 생명윤리학자, 의료윤리학자 그리고 신학자들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생명윤리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 공동체에서는‘생명담론윤리’를 제안하고 이 논의 과정에서 질병치료는 적극 권장하되, 인간의 지나친 이기심에서 비롯된 비윤리적인 실험과 인간복제 실험에 대해서는 비판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논자는 복제 시대는 언젠가 온다는 것을 전제로 미래 복제 시대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준비를 요청할 것이다. 복제 인간은 우리와 동등한 존재를 가진 인간이다. 지금 당장 우리가 복제 인간에 대해 혐오감과 이질감을 가질 수 있지만‘기독교생명윤리공동체’가 구성되어 복제 인간에 대한‘거리두기’에서 그들을 따뜻하게 맞아주는‘가까이 다가가기’의 실천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E. S. 피오렌자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에 관한 연구

        김미연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남성주의적 세계관과 관점을 가지고 남성적 언어로 기록된 성서가 또한 남성에 의해 주도된 성서해석의 작업을 통하여 여성을 향한 오해와 왜곡으로 점철되어 있음을 상정하고, 여성의 경험과 기억을 중요시 하면서 더불어 성서를 해석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페미니즘적 관점과 여성해방을 위한 비판적 해석을 인식론적 토대로 삼는 E. S. 피오렌자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에 대한 연구를 제시한다. E. S. 피오렌자는 카톨릭 여성 신약학자로서 신약 성서의 정경화의 작업가운데 남성 중심적 언어로 쓰인 성서의 개념들을 역사적 상상력을 동원해서 초기 여성의 진정한 역사를 재건해야함을 피력한다. 신약성서 학자인 E. S. 피오렌자는 초대교회의 여성들의 역사와 시대적 에토스에 관심을 가지면서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여성을 침묵하게 하고 은폐시켜 주변인으로 내몰리게 했던 가부장적 세계관과 이데올로기를 파헤치고 해체하고 복원시켜 여성해방을 목표로 한다. 초기 크리스찬 기독교의 역동적이고 모든 형태의 억압과 차별, 부조리에 대한 해방을 목적으로 했던 예수 복음주의 운동에서 E. S. 피오렌자는 “역사적 현실의 상상적 재구성(imaginative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reality)”을 함으로서, 기독교 기원의 남성 중심적 해석들을 거스르는 여성들의 과거 회복의 흔적들과 파편들에 대한 역사적 기록의 탐구에 착수하고 있는데 이러한 탐구는 가부장적 사회와 문화에 의한 여성들의 고통뿐만 아니라 그것을 변혁하는 여성들의 능동적인 투쟁들을 조명하고 있음을 밝힌다. E. S. 피오렌자는 성서해석의 여성해방을 위하여 네 가지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적 틀을 제안한다. 첫째는 긍정과 동의의 해석학을 넘어선 “의심의 해석학(a hermeneutics of suspicion)”이다. 그녀에 의하면 성서본문은 남성 중심적 언어로 쓰여 졌기 때문에 가부장제 억압과 종속을 나타내기 위하여 의심의 해석학이 필요한 것이다. 둘째는 역사적 사실의 해석학으로서가 아니라 “선포의 해석학(a hermeneutics of proclamation)”이다. 셋째는 역사적 재건으로서의 “기억의 해석학(a hermeneutics of remembrance)”이다. 이 해석학적 틀은 성서 텍스트로부터 여성의 역사를 재건하는 것까지 확장시킨다. 끝으로 “창조적 실현화의 해석학(a hermeneutics of creative actualization)”이다. E. S. 피오렌자의 해석학적 틀은 성서해석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의 연대를 통한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고 그 간극을 해체하고 동시에 재구성하며 상상력을 통한 미래를 향한 창조적인 실현에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창의적인 발상이라고 검토되어질 수 있다. E. S. 피오렌자의 해석학은 가부장제를 비판하고 성서 유산의 회복(criticize patriarchy and restore the biblical heritage)이라는 두 개의 전제 위에서 과거의 여성경험과 현재 여성경험과의 해석학적 대화 속에서 그녀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을 전개해 나간다. 그녀의 관심은 포괄적 개념의 가부장제가 어떻게 여성에게 영향을 끼치는가에 중점을 두고 성서와 성서해석이 남성적 언어로 여성의 모습을 은폐해 왔음을 또한 강조한다. E. S. 피오렌자는 ‘비판’과 ‘해방’이라는 철학적 전통 위에 서있는 비판적 해석가인 위르겐 하버마스의 ‘심층해석학(depth hermeneutics)’의 자기반성적 이데올로기 비판을 가능케 하는 해방적 관심에 영감을 받아서 정치, 문화, 역사, 종교로부터 여성의 배제와 억압, 착취, 소외로 이어지는 ‘가부장제 비판’으로 연계되었고, E. S. 피오렌자의 비판적 페미니즘 해석학적 틀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고찰하고 더불어 다양한 여성신학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준 리쾨르의 인식론적 논의도 함께 진행하였다. E. S. 피오렌자의 가장 주요한 두 가지 신조어들 중의 하나인 ‘주중심주의(kyriocentrism)’라는 개념은 E. S. 피오렌자가 가부장적이고 위계적인 권력구도 속에서 여성과 자연에 대한 모든 지배적 역사를 폭로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차별화 개념이었고, 나머지 하나는 모든 억압받는 자들을 위한 영적투쟁-정의, 평등, 행복을 지향하는 새로운 세상을 위해, 꿈과 비전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모이는 모든 이들을 가리키는 ‘여성 에클레시아(ekklesia of wo/men)’이다. ‘여성 에클레시아’는 완전한 결정을 할 수 있는 시민의 모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에클레시아는 기독교적 개념만은 아니다. 그것은 사회정치적, 급진적 민주주의 개념을 포괄한다. 즉, 결정을 할 수 있는 완전한 시민의 모임으로서의 에클레시아와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급진적 민주적 개념으로서의 에클레시아는 고전적, 현대적인 주인지배제와 긴장과 갈등을 초래한다. E. S. 피오렌자는 신적 지혜에 대한 기독교 텍스트와 전승은 물론이고 유대 텍스트와 전승이 의미에 대한 투쟁의 면을 나타낼 뿐 아니라 새로운 기독교의 성서적 자기이해와 페미니스트의 분리를 가로지르는 연대적 영성의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여기면서 그녀의 재구성의 해석학을 통하여 신적 지혜인 ‘소피아(sophia)’의 파편과 흔적들을 초기 기독교 문서들을 통해서 복원하면서 여성해방적 논의에 참여한다. E. S. 피오렌자에게 있어서 지혜-소피아는 주중심적인 그리고 남성 지배적 언어의 부적절함에 대한 반성과 통찰을 요구하는 것이다. 지혜-소피아는 신적 지혜로서 완전한 초월적이거나 인간의 내재적 존재로서 해방을 위한 거룩한 능력이다. 비판적 해방을 위한 여성주의 해석은 여성을 소외시키고 배제하고 비인간화시키는 성서 텍스트와 성서해석에 비판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지혜는 세상과 이스라엘의 선택, 모든 백성의 구원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구원하는 능력의 활동(G*d’s saving activity)이다. E. S. 피오렌자에게 있어서 신적 소피아는 자매, 아내, 어머니, 사랑하는 사람, 교사로 불리어지는 여신의 언어와 형태에 있어서의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다. 그녀는 도상에 있는 지도이며, 이스라엘에서의 설교자이며, 감독관이며, 창조자 하나님이다. 더불어 최초의 크리스찬 신학은 소피아론(sophialogy)이라고 역설하면서 하나님-소피아의 의미로 예수의 사역과 죽음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그 이유는 예수가 자신을 소피아의 예언자와 자녀로서 이해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성해방을 위한 비판적 해석학에서는 E. S. 피오렌자는 ‘신화적 원형(mythical archetype)’으로서가 아니라 ‘역사적 모형(historical prototype)’으로서 성서를 이해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성서를 ‘신화적 원형’으로 바라본다면 성서는 절대적인 하나님의 말씀이고 계시가 되기 때문에 성서는 초월적 진리를 선포한다. 그렇기에 모든 기독교인들은 반론을 제기할 수 없으며 반드시 따르고 수용해야할 절대 권위의 텍스트가 된다. 하지만, 성서를 ‘역사적 모형’으로 본다면 성서는 성서가 쓰인 시대의 문화와 전통을 반영한 문화적 유산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에 해석의 기준이 새롭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비판적 페미니스트 해석학과 여성주의 신학의 선구자들 중의 한명인 E. S. 피오렌자는 성서 안에서 진정하고 온전한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여성 해방의 단초를 찾고자 하면서 그 농후한 잠재성을 신뢰하고 성서와 성서적 종교를 여성 자신의 유산으로 수용하면서 성서의 두 가지 동시적인 기능 즉, 가부장적 여성억압과 차별, 종속을 합법화하는 기능과 모든 종류의 차별과 종속, 착취, 권위를 반대하는 예수 복음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동등해지는 기능을 기억하면서 후자의 긍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성서를 해방을 위한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의 힘으로 변혁의 과정을 걸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또한 신약성서 학자인 E. S. 피오렌자는 성서해석학과 기독교에 은폐되어 있던 여성억압과 여성차별을 다루면서 해방을 위하여 ‘투쟁’하는 ‘여성의 경험’에서 그녀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을 출발하고 여성의 경험과 여성 에클레시아(여성교회)를 통하여 성서적 종교로부터 여성의 유산을 되찾고자 하였다. 한국이라는 독특한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종교적인 맥락 가운데서 보수성과 진보적 성향이 병존하며, 기묘한 불균형을 맞추려고 끊임없이 시도하는 상황 속에서 E. S. 피오렌자의 비판적 여성주의 해석학은 정말 반색할 만한 것이다. 사실성과 현실적 적용성의 여부를 떠나서 E. S. 피오렌자의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학문적인 제시와 신학적 접근은 성서적 페미니즘에 대한 그녀의 공헌들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여러 다양한 페미니즘 신학들이 계속해서 회자된다는 것만으로도 필자는 교계와 신학계의 전반에 걸쳐서 그 관계와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기대할 수 있고 ‘의사소통’의 풍토를 조성할 수 있는 길라잡이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possibility to actualize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and put feministic struggle into action through Fiorenza’s critical feminist hermeneutics. Elisabeth Schüssler Fiorenza is a Roman Catholic and a New Testament scholar and Early Church historian. She is also a critical feminist theologian who has contributed greatly to feminism as it relates to church and Christian history. Her ideas are based in her studies of the Jesus movement and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ies, where she finds a vision of radical equality and liberation. Fiorenza looks at biblical texts, which she describes as being written in an androcentric voice and reflects a society built on a patriarchal class system, and decides that a feminist critical interpretation is necessary. Fiorenza initiates an "imaginative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reality". She believes that androcentric culture and patriarchal society force women to be silent. Fiorenza states that we have to break this silence especially in the theological and religious realms. Her critical interpretation is composed of a hermeneutics of suspicion, a hermeneutics of proclamation, a hermeneutics of remembrance, and a hermeneutics of creative actualization. Fiorenza goes on further and looks at the androcentric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She doesn't see the bible as mythical archetype, but as historical prototype. Essentially, she believes that the biblical text can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reflects current society and the importance of women in the present as well as the past. Fiorenza emphasizes that the struggle of women in the past was real. History and theology must not be allowed to cancel out the significance of these struggles. The subject of Fiorenza's critical feminist hermeneutics is to criticize patriarchy and restore the biblical heritage. So as to understand Fiorenza's Hermeneutics, this thesis deals with theories of Jurgen Habermas and Paul Ricoeur. A new word Fiorenza invents is kyriarchy. She claims this neologism is historically more appropriate than the word "hierarchy," which is commonly used in English to designate a pyramidal system of power relations. Kyriarchal connotes a social-political system of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that is based on the power and rule of the lord/ master/father. Fiorenza also utilizes the term, ekklesia of wo/men. If the vision of the ekklesia of wo/men- understood as the congress of full decision-making citizens-is to articulate a sociopolitical religious horizon for biblical interpretation, it must be spelled out both in sociopolitical and cultural-religious terms. Thus the radical democratic belief that all are created equal, together with the notion of the ekklesia as the decision-making congress/assembly of full citizens, stands in conflictive tension with the reality of classical and modern kyriarchy. For Fiorenza, Ekklesia-the term for church in the New Testament-is not so much a religious as a civil-political concept. It means the actual assembly of free citizens gathering for deciding their own spiritual-political affairs. Since women in a patriarchal church cannot decide their own theoletical-religious affairs and that of their own people-women-the ekklesia of women is as much a future hope as it is a reality today. But she asserts that we have begun to gather as the ekklesia of women, as the people of God, to claim our own religious powers, to participate full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hurch, and to nurture each other as women Christians. Jewish wisdom theology celebrated God's gracious goodness in creating the world and electing Israel as the people among whom the divine presence dwells in the female Gestalt of divine Sophia. Although Jewish and Christian theology speaks about God in male language and images are not adequate "description" of the divine, and that human language and experience are not capable of expressing God's reality. Divine Sophia is Israel's God in the language and Gestalt of the goddess. Sophia is called sister, wife, mother, beloved, and teacher. She is the leader on the way, the preacher in Israel, the taskmaster and creator God. According to E. S. Fiorenza, the earliest Christian theology is sophialogy. She sai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Jesus' ministry and death in terms of God-Sophia, because Jesus probably understood himself as the prophet a child of God-Sophia. E. S. Fiorenza asserts that women's agency must be reconstructed; however, she questions certainty, positivism, and scientific authority. She requires a paradigm shift in biblical interpretation, a shift from understanding the Bible as archetypal myth to understanding it as historical prototype. She suggests that this paradigm shift needs to a feminist model of critical interpretation. Fiorenza's theology 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Christianity that is memory seeking and liberative. Fiorenza's critical feminist hermeneutics cannot be satisfied with the traditional androcentric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ecause biblical text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the critical feminist hermeneutics. Fiorenza's feminist reconstructive hermeneutics aims to restore the statuses of women from the early Christian movement. For Fiorenza, women's experiences in Christian history have been marginalized by the distorting historical process of kyriocentric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kyriarchal lmitation. As well, she argues critical feminist hermeneutics helps women to engage constructively in contemporary context. E. S. Fiorenza's contribution to biblical feminism is her ability to give a systematic presentation and take a theoletical approach.

      • Transhumanism and theistic spirituality : a critical posthuman mediation

        Geevarghese Mathews John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트랜스휴먼의 주제 형성을 탐구하고, 종교적인 난관 이슈를 위한 가능한 이유들을 알아내고자 함에 있다. 자율과 제거의 트랜스휴먼 주제형성은 횡단성, 체화와 내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 주제들의 상황성으로 분석되어진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본질에서 무신론적으로 다시 부상하는 영성에 의하여 비평적 포스트휴머니즘과 트랜스휴머니즘의 대조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조직화된 종교에서의 이 의심은 어떻게 유신론에 근거한 비평적 포스트휴먼 영성이 포스트휴먼 주제를 만들어 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일으킨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동방정교회 신학자인 Paulos Mar Gregorios의 신학적인 인류학과 접목하기 위하여 비평적 포스트휴먼 이론을 전개한다. 그의 육체와 정신의 비이원성 개념화인 자연-문화-은혜 연속체와 기술의 성사성은 포스트휴먼 주제들을 위한 영성을 창조하는 가능성을 가진다. 이 연구에서 비평적 포스트휴먼 유신론적인 영성은 Gregorios에 의해 제안된 창조주와 창조사이의 인간 중재라는 전제를 통하여 고찰되어진다. 하나님의 energeia 안에서 인류의 중재자 참여와 창조와 함께 하는 인간의 무계층적인 지위는 비평적 포스트휴먼의 유신론적 영성의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유발한다. 중재뿐만 아니라 일직과 횡단으로서의 포스트휴먼 주제의 재구성은 비평적인 포스트휴먼의 유신론적 영성을 미화한다. 이 비평적 포스트휴먼의 유신론적 영성은 Gregorios 의 askēsis, 새로운 공동체, 생성이라는 3가지의 영적인 제안들에 의하여 더 나아간다. 이 영성을 통하여 야기된 새로운 해석학은 창조와 함께 재매력으로 이 연구는 결론을 맺는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human subject formation and tease out the possible reasons for religious impasse. The transhuman subject formation of autonomy and erasal is analysed through transversality, embodied and embeddedness, and situatedness of the posthuman subjects. Further, the study deciphers the contrasting nature of critical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by resurfacing residual spirituality which is non-theistic in nature. This incredulity on organised religion raises a question of how a critical posthuman spirituality informed by theism could be created for posthuman subject? To make a sense of this question, the study deploys critical posthuman theory to engag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Eastern Orthodox theologian Paulos Mar Gregorios. His non-duality conceptualisation of mind and body, nature-culture-grace continuum and sacramentality of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for creating spirituality for the posthuman subjects. In this research a critical posthuman theistic spirituality is envisaged through the postulation of human mediation between Creator and creation proposed by Gregorios. The mediatory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within the energeia of God and the non-hierarchical position of human with the creation, evokes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ity of developing a critical posthuman theistic spirituality. Reconfiguring posthuman subjectivity as both singular and transversal as well as mediatory, embellishes critical posthuman theistic spirituality. This critical posthuman theistic spirituality is further situated through three spiritual propositions of Gregorios, askēsis, new community and becoming. The study concludes that a new hermeneutics evolved through this spirituality is the re-enchantment with creation.

      • 존 웨슬리의 성화와 자크 데리다의 대리보충 : 포스트구조주의적 해석

        안상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Why should we bring Wesley’s sanctification against justifica–tion? When our understanding is based on sanctification, what does Derrida’s supplement expand the meaning and hermeneutic horizon of sanctification? This thesis begins with two key questions, I would like to respond the critical analysis and questions through Derrida’s hermeneutic attempt toward Wesley's sanctification. Based on Wesley's understanding, the supreme goal of Luther's salvation is justification which discovers and appropriates the grace and forgiveness of God. Therefore Luther describes that the whole life of the new people, the believing people, the spiritual people, is this: with the sigh of the heart, the cry of the deed, the toil of the body to ask, seek, and pray only for justification ever and ever again until our death. For Luther, justification by 'sola gratia(grace alone)' is the end, the goal of salvation. This thesis having the viewpoint of Wesley, brings up a critical analysis upon Luther’s justification The emphasis on justification of Luther make it unnecessary that holiness effort and good works in order to be saved. As the salvation is only justified by God, Luther could conclude that all human efforts are equally far removed from divine perfection. However, Wesley describes that great salvation of God is not only justified, thereby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the new life, but opens up unimagined possibilities of growth in grace. In Wesley, God's salvation goal is to create new being and to transform us to be the image of God. This is the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In Derrida’s term, persuing only for justification signifies self-identity to faith. As if justification is fixed, it is brings up consequences of closed-faith to experience, producing only identifical meaning all th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be going on Wesley’s sanctification which seeking wide horizon and possibility of salvation. Nevertheless, Wesley’s sanctification has a large number of boundaries and riskiness. According to Wesley’s understanding on sanctification, grace is an intervention to remove sin. This seems to imply that sin is a substance which is to removed by grace. So, Wesley falls back on a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explain both sin and grace operative in sanctification. It confines dynamics sanctification which go on for wide horizon, again, return to repetitive rule system and thus close in structural idea, reinforcing the rule system. Sanctification would be never repetitive rule system or structure that sin as substance is to be removed by grace. Therefore, It brings up the reason, why we need to interpreted sanctification from the view of post-structuralism. In particular, Derrida’s ‘supplement’is similar to the idea of ‘sanctification’, and it surpassing to further substantialist metaphysic. To conclude, the attempt of reinterpretation on Wesley’s sanctification through Derrida’s ‘supplement’ is discovering and appropriating the attributes of supplement in sanctification, it penetrates self-identity principle, in order to surpass its idea and situation. 우리는 왜 칭의에 맞서서 웨슬리의 성화를 가져와야 하는가? 데리다의 대리보충 개념을 통한 성화의 재해석은 어떠한 의미와 해석학적 지평을 확대시키는가? 본 논문은 핵심적인 앞의 두 질문을 갖고 시작하며, 웨슬리의 성화를 향한 데리다의 해석학적 시도를 통해 앞에서 제기된 문제의식과 질문으로부터 대답하고자 한다. 웨슬리가 본 루터의 구원에 있어서 최상목표는 하나님의 용서와 은혜를 발견하고 일어서게 하는 칭의이다. 따라서 루터는 새사람 곧 영적 사람은 마음의 눈과 행동의 부르짖음, 육신의 노고와 더불어 죽음의 시간에 이르기까지 거듭거듭 오직 칭의만을 찾고 추구해야 함을 기술한다. ‘오직 은혜만으로’로 이루어지는 칭의는 구원의 종착점이며 목적이 된다. 여기서 본 논문은 루터가 강조했던 칭의에 대해서 웨슬리의 시각을 갖고 첫 번째 문제제기를 던진다. 루터의 칭의에 대한 강조는 구원을 얻기 위한 인간의 선행과 거룩이라는 어떠한 노력도 필요 없게 만든다.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의로부터 난 것이며 인간의 모든 노력과 행위는 신적 완전과 완전히 떨어져 있다고 결론지어 버린다. 따라서 웨슬리에게 있어서 칭의만을 계속 추구하는 것은 마치 구원의 영역을 제한하며 어떠한 구원의 목적도 잃어버리게 만들어버린다고 보았다. 이에 칭의를 구원의 목적으로 보지 않는다.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은 우리를 위하여 단순히 의롭게 할 뿐만 아니라, 새 삶을 위한 터전을 준비함으로 성장해 나갈 형용할 수 없는 가능성들을 열어 놓으신다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하나님의 구원 목적은 하나님의 형상이 된 우리를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며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웨슬리의 성화이다. 칭의만을 추구하는 것은 데리다의 용어를 빌려 말하자면 신앙의 자기 동일성, 곧 정체성(停滯性)으로서 매번 동일한 의미만을 경험하기 위해 추구하며 변화를 모르는 패쇄된 신앙의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구원의 넓은 지평과 가능성을 추구하는 웨슬리의 성화로 나아가야하며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웨슬리의 성화는 많은 한계와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독특하게 웨슬리는 성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인간 안에 있는 죄를 완전히 제거하며 깨끗하게 하는 것으로 여긴다. 즉, 이것은 마치 죄가 하나의 실체로서 영혼 안에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실체론적인 견해를 가져온다. 완전 성화 안에서 죄와 은혜가 어떻게 활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다시금 실체론적인 형이상학으로 되돌아가게 만든다. 이러한 이해는 넓은 구원의 지평으로 향하게 하는 동적인 성화를 다시금 기존의 규칙체계로 환원시키며 체제 자체를 강화시키는 구조적 사유 안에 갇히게 만든다. 결코 성화는 실체하는 죄를 은혜가 제거해야하는 반복적인 규칙의 체계 또는 구조가 아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가 웨슬리 성화를 포스트구조주의 관점에 봐야만 하는 이유를 가져오게 한다. 특별히 자크 데리다의‘대리보충’은 ‘성화’의 사유방식과 유사하며 더 나아가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뛰어넘는 수행을 가져온다. 즉, 웨슬리의‘성화’를 데리다의 대리보충의 개념 중심을 통해 해석학적 시도를 이루는 것은 성화 안에 갖고 있는 대리보충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이며 이를 재해석함으로 성화가 갖고 있는 신앙의 정체성, 자기 동일화의 원리로부터 뛰어넘고 새로운 의미를 제시하기 위한 시도이다.

      • 파울 첼란의 시에 나타난 부정신학 연구

        황성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questions about 'Language' and 'God', which Paul Celan struggled with throughout hi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negative theology, and to reconstruct it as a dialectical interactive dialogue.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analyzes how Celan tried to overcome the inexpressibility of the suffering of 'Shoah' together with the negative theology of Christianity and Judaism, and furthermore, the hierarchy of the powerful language of Western Logoscentrism. We discussed how 'Kenosis (κένωσις)' wa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rough the timely writing of poetry, and then examined how it was developed into a dialogue theory with 'Eternal You' implied by God as 'Nichts'. Here are three main methods us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First, a philological-hermeneutic reading of Paul Celan's poetry was attempted. Second, I reinterpreted Celan's poetry as a methodology for the negative theology of Christianity and Judaism. Third, by attempting a mutual dialectical dialogue with poetry, philosophy, and theology that influenced him, he suggested the modern application and possibility of negative theology. Theodor Adorno denied the possibility of post-Shoah lyric poetry, the agony of Auschwitz's despair. He tried to restore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in philosophy through negative dialectics, deconstruct the concepts of philosophy focused on enlightenment,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negative sublime aesthetics. Meanwhile, Emmanuel Levinas criticized the metaphysical theodicy and proposed an ethics centered on the Other. This thesis expresses the suffering of those who lost their voices due to the Shoah by using kenosis, which is God's self-emptying, and 'Apophatic', a method of mysticism in Christianity and Judaism, while Celan shares a sense of problem with them. while Celan shares a sense of problem with them. The theology was based on 'Abgrund', Marti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Meister Eckhart's 'Nichts', and Gershom Scholem's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e Messiah', and Buber's original word, 'wortpaar', was expanded to 'eternal you', revealing that it had a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 It was revealed that the polarity of subject-centrism and other-centrism could be overcom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first, to reflect and reconstruct Celan's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negative theology. A study on Celan focused on the poetic expression potential of his Auschwitz experience, the influence of my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existence. However, Celan studied negative theology deeply and reflected it in his poetry. Therefore, theological reflection was necessary to understand his poetr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thesis proposes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dialogu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religion, literature, and philosophy on Celan's poetry. Second, this study looked into the existential meaning of negative theology through the study of Celan. The goal of Christianity and negative theology is unity with God. However, Celan hears the voice of God speaking with the voices of those who have been denied existence through the methodology of negative theology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impossibility of expressing God. This poetic transition of Celan's negative theology evokes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toward the poor other. Therefore, this thesis was able to emphasize the practical aspect by applying the direction of the mystical union of negative theology to not only ‘God’ but also poor neighbors. Third, Celan's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ets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ther, an important discussion in postmodern theology and philosoph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bject appearing in Celan's poetry is a dynamic subject that speaks to the other, waits for the other in silence, listens to the other, and is newly created through the other's words. 본 논문의 목적은 파울 첼란(Paul Celan)이 전 생애 동안 씨름했던 ‘언어’와 ‘신’에 대한 질문을 부정신학(negative Theology)의 관점으로 해석하고 변증법적 상호 대화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첼란이 ‘쇼아(השואה, Shoah)’의 고통에 대한 표현 불가능성을 기독교와 유대교의 부정신학과 함께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를 분석하며, 나아가 서구의 로고스 중심주의의 강력한 언어의 위계를 ‘케노시스(κένωσις)’적 시 쓰기를 통해 어떻게 해체 및 재구성했는지를 논하고, 다음으로 ‘무(Nichts)’로서의 신에 함의된 ‘영원한 너’와의 대화론으로 어떻게 발전시키려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사용한 방법론은 크게 세 가지이다. 연구자는 첫째, 파울 첼란의 시에 대한 문헌학-해석학적 읽기를 시도했다. 둘째, 첼란의 시를 기독교와 유대교의 부정신학의 방법론으로 재해석했다. 셋째, 그와 영향을 주고받은 시, 철학, 신학들과 상호변증법적인 대화를 시도하여, 부정신학의 현대적인 적용과 가능성을 제시했다. 테오도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는 아우슈비츠의 절망의 고통인 쇼아 이후 서정시의 가능성을 부정했다. 그는 부정변증법을 통해 철학 안에 있는 사유의 특징들을 회복하고, 계몽에 경도된 철학의 개념들을 해체하며, 부정적 숭고의 미학의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했다. 한편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는 형이상학적 신정론을 비판하고 타자 중심의 윤리학을 제안했다. 본 논문은 먼저 첼란이 이들과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신의 자기 비움인 케노시스와 기독교·유대교의 신비주의의 방법론인 ‘부정신학’을 사용하여 쇼아로 인해 목소리를 잃은 사람들의 고통을 표현했다는 것과 나아가 첼란의 부정신학이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의 ‘무(Nichts)’에 대한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해석인 ‘심연(Abgrund)’에 바탕을 두었으며, 게르숌 숄렘(Gershom Scholem)의 ‘언어와 메시아의 관계’, 부버(Martin Buber)의 근원어로서의 ‘짝말(wortpaar)’인 ‘영원한 너’로 확장되어 대화적인 특징을 지녔음을 밝혔고, 마지막으로 첼란의 시에 나타난 부정신학은 상호변증법적 일치의 역동성을 통해 주체 중심주의나 타자 중심주의의 양극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말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첫째, 첼란의 시를 부정신학 관점으로 성찰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첼란에 관한 연구는 그의 아우슈비츠의 경험에 대한 시적 표현 가능성과 신비주의자들의 영향 그리고 언어와 존재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첼란은 부정신학을 깊이 연구하여 그의 시에 반영했다. 따라서 그의 시를 이해하는 데 신학적인 성찰이 필요했다. 이런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본 논문은 첼란의 시에 대한 종교, 문학, 철학의 학제 간 연구를 통해 학문 간의 대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둘째, 본 연구는 첼란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부정신학의 실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기독교와 부정신학의 지향점은 신과의 합일과 일치이다. 그런데 첼란은 신에 대한 표현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부정신학의 방법론을 사용해 존재를 부정당한 자들 가운데 말씀하시는 신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이러한 첼란의 부정신학의 시적 변환(poetic transition)은 가난한 타자에 대한 강력한 연대와 책임 의식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정신학의 신비적 연합의 지향점을 ‘신’뿐만 아니라 가난한 이웃에게 적용하여 실천적 측면을 강조할 수 있었다. 셋째, 첼란의 시와 시인과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성찰은 포스트모던 신학과 철학의 중요한 논의인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첼란의 시에 나타난 주체가 타자에게 말을 걸고, 침묵으로 타자를 기다리며, 타자의 말을 듣고, 타자의 말을 통해 새롭게 생성되는 역동적 주체임을 드러내었다.

      • 커피부산물이 일부 작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박충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Influence of Input Changes of Coffee Industry Residues on Growth in the Several Crops Choong Ki Park Department of Plant Resources Graduate School K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un Hyun Si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the coffee industry residues for resource recycling and to find the suitable crops for percent recovery of the sustainable input in 8 species of crops, Platycodon grandiflorum, Solanum nigrum, Solanum melongena, Capsicum annuum, Spinacia oleracea, Glycine max, Hordeum vulgare and Triticum vulgare. Mixed input ratio of coffee by-product to soil was included the ratio percent of 0 to 100, 5 to 85, 10 to 90 and 15 to 85% (v/v), respectively. They were affected by the critical inhibition of spinach, and had less effect in barley and wheat under the 10% coffee industry residues in plant growth such as plant height, leaves weight, root weight, fruit weight and biomass. But they was showed little control over their fresh weight in fruit vegetable such as eggplant and pepper.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e several crops grown in the mixed soil in 2018, were unaffected by soil fertilization for three years since 2014. Soybeans grown in soil- treated coffee industry residues in 2014, and even in 2018, was also less affected by the growth inhibitions, and then need to check on future reasons for crop cultivation.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degree of Master of Agriculture in August 2019.

      • 케노시스론의 페미니스트 신학적 재구성 : 사라 코클리의 케노시스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고형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dissertation engages Sarah Coakley’s kenoticism with some critical questions: Is kenotic ethics meaningful for women who often sacrifice their viable sense of identity or struggle to define their subjectivity while living in patriarchal societies, and how can the concept of kenōsis become helpful for women in such context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could be found in my reading of Coakley.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notion of kenōsis as a helpful and meaningful resource for building women’s subjectivity, by critically analyzing and assessing her theory. To do this, I first explore her understanding of kenoticism and then examine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from a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Moreover, I suggest some conditions of feminist kenoticism to overcome her theory’s limitations. And based on these conditions, I propose a way to construct a new kenotic discourse for women Basically, I engage in dialogue with Sarah Coakley, supporting her unique stance on the concept of kenōsis. Chapter two biblically underpins Coakley’s kenoticism by clarifying the biblical root of kenōsis. I demonstrate, following Coakley’s argument, that the Christ hymn in Philippians 2.6-11 does not elucidate Christ’s divine pre-existence or incarnation but instead his human and earthly existence. For this, I refer to James D. G. Dunn’s, Erik M. Heen’s, and Charles H. Talbert’s exegetical works on the text. Chapter three clarifies and analyzes Coakley’s kenoticism. First, I explain her kenotic theory, in which Christ empties himself in his human nature but not in his divine nature. I argue that pairing ‘nonkenotic divinity’ with ‘kenotic humanity’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her kenoticism. Second, I trace her theological background, particularly paying attention to the theological influence of Gregory of Nyssa on her kenoticism. Third, I contrast her kenotic theory with those of other theologians, in order to accurate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er theological position on kenōsis. That is to say, I compare her kenotic perspective on the Trinity with that of Hans Urs von Balthasar, on creation with that of Jürgen Moltmann, and on Christ with that of Kathryn Tanner. I believe that through these comparisons, Coakley’s distinctive kenoticism is well-represented. Fourth, I elucidate what Coakley’s power-vulnerability paradox is, and how this paradox can be compatible with Christian feminism. Chapter four assesse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Coakley’s kenoticism. I summarize the significance of her kenoticism into three points. First, Coakley advocates that God is the source of power through her refusal of divine kenōsis. Her kenoticism functions, above all, to offer women power and courage to stand against patriarchal oppression and to deconstruct the male-dominant ideologies, by removing the vulnerable and powerless image of God. Second, Coakley’s kenoticism rejects the possibility of ‘idolatrous projection.’ She tries to overcome competitive relations between the divine and the human by rejecting the kenōsis of divinity. I build on her idea by arguing that the non-competitiveness of divine-human relationship resists human tendencies to project human characteristics onto God, radically transcendentalizing God from the human sphere. Third, her concept of kenotic vulnerability in contemplative prayer gives wome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in order to avoid ‘reverse sexism’ or ‘dualistic reversalism,’ which claims female superiority and still leaves hierarchical orders intact. In this sense, Coakley’s kenoticism provides self-reflective applications for women working towards full humanity. In spite of these unique strengths of Coakley’s kenoticism, it has distinct limitations. I define the limitations of her kenoticism in three ways. First, I point out that Coakley easily ignores the patriarchal connotations of the classical/traditional theism in reinterpreting it as a crucial resource for women’s empowerment. Second, I analyze that Coakley’s definition of self-emptying is a means to transform and expand the self toward God. I think that her kenotic desire is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a human desire for self-transformation and union with God. That is to say, it is primarily directed towards ‘self’ and not ‘others’; in her kenoticism, otherness is secondary. My criticism mainly focuses on the fact that her kenotic contemplation indicates the process of self-preoccupied or self-focused transformation regarding others as subsidiary. Third,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Coakley’s self-preoccupied kenoticism agonizes spirituality and spiritualizes agony. According to Coakley, agony is inevitably brought about in the process of contemplative vulnerability for self-purification, and this agony aims at spiritual self-fulfillment, rather than the abolition of suffering itself. Thus, I identify that her kenoticism has somewhat masochistic elements, in that she pursues self-isolated suffering not productive suffering for her own spiritual achievement and enrichment. Chapter five finds a way to reconstruct kenotic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inist theology, overcoming Coakley’s limitations. For this, I propose the three conditions for a new feminist kenoticism: “empowerment,” “otherness,” and “reciprocity.” Moreover, I insist that kenotic vulnerability should include not only a contemplative-ascetical level to approach God but also an ethical-political level to participate in others’ suffering. In order to address some drawbacks of Coakley’s kenoticism, I refer to Judith Butler’s philosophy. Like Coakley, Butler also regards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ility and power as paradoxical. However, unlike Coakley, she finds the grounds of the paradox in and through ‘others’ not ‘God,’ that is, she understands the paradoxical relations between ‘vulnerability’ and ‘the power of resistance’ through otherness. Therefore, I formulize Butler’s ethics as “resistance-in-vulnerability.” I believe that Butler’s idea can be a useful resource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Coakley’s “power-in-vulnerability” ethics. In conclusion, I claim that Coakley’s ‘power-in-vulnerability’ and Butler’s ‘resistance-in-vulnerability’ are the two main axes to reconstruct kenotic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inist theology. 본 논문의 목적은 사라 코클리(Sarah Coakley)의 케노시스론(kenoticism/kenotic theory)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평가를 통해, 케노시스(kenōsis) 개념을 페미니스트 신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코클리의 케노시스론을 설명하고 분석하며, 나아가 페미니스트 신학의 관점에서 그것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한다. 다음으로 코클리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케노시스론의 조건들을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이 조건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페미니스트 신학적 케노시스론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자기비움’으로 번역되는 헬라어 명사 “κένωσις”는 빌립보서 2.6-11의 ‘그리스도 찬가(Carmen Christi)’에서 연유한다. 이 찬가는 케노시스를 하나님의 본질적 속성으로 파악하는 소위 ‘케노시스 그리스도론’을 뒷받침하는 성서적 근거로서 이해돼왔다. 하지만 성서학적으로 이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 즉 비워진 대상이 무엇인지가 분명치 않다. 일련의 성서학자들은 케노시스의 대상이 하나님의 속성보다는 그리스도의 인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이 찬가의 내용이 그리스도의 신적 선재(pre-existence)나 성육신보다는, 그의 인간적 실존, 즉 십자가 사건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빌립보서의 ‘그리스도 찬가’를 하나님의 본성과 관련된 교리 체계를 설명하는 성서적 근거로 보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코클리는 그리스도의 자기비움이 그의 신성의 차원에서 벌어진 사건이 아니라 단지 인성의 차원에서 벌어진 사건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케노시스론을 구성한다. 그녀는 케노시스 자체를 반反페미니즘적인 것으로 보는 페미니스트 신학들뿐만 아니라, 케노시스를 신적 본성과 연결시키려는 “새로운 케노시스론(new kenoticism)”에 대해서도 반대한다. 그녀는 여성들의 힘의-북돋움(empowerment)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으로서 신의 전능성을 보호하기 위해 오직 인간적 형식의 케노시스만이 유의미하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이러한 케노시스론은 초대 그리스도교 교부인 닛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y of Nyssa)에 빚지고 있다. 그녀는 그레고리우스의 ‘혼입(mingling)’ 개념을 차용함으로써 비非케노시스적 신성(nonkenotic divinity)과 케노시스적 인성(kenotic humanity)을 모순 없이 연결시킨다. 코클리 케노시스론의 독특한 특징은 다른 케노시스 신학자들과의 비교 속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첫째, 삼위일체론의 관점에서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Hans Urs von Balthasar)와 비교해 보자면, 코클리는 케노시스를 삼위일체적 본성으로 확장하는 것에 반대한다. 그녀에 따르면, 이른바 ‘케노시스 삼위일체론(kenotic Trinitarianism)’은 근대적 인격개념과 포스트모던적 타자개념이 투사된 신인동형론적(anthropomorphic) 구성물에 불과하다. 둘째, 창조론의 관점에서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과 비교해 본다면, 코클리는 창조를 하나님의 케노시스적 행위로 해석하기를 거부한다. 하나님과 피조물은 서로 경쟁하지 않기 때문에, 창조를 위해 하나님이 스스로를 제한하거나 수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스도교의 창조론이 궁극적으로 나타내는 바는 창조주에 대한 피조물의 절대적이고 급진적인 의존성이지 하나님의 자기비움이 아니다. 셋째, 그리스도론의 관점에서, 캐스린 태너(Kathryn Tanner)와 비교해 볼 때, 코클리는 그리스도의 인간적 차원에서의 케노시스를 인간의 구원을 위한 핵심 사건으로 본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인간의 집단적 죄에서 비롯한 우연한 사건으로 보는 태너와 달리, 코클리는 그것을 인간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자발적이고 의지적인 자기비움의 사건으로 본다. 코클리는 취약성의 형식 속에서만 오직 힘의-북돋움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녀는 이러한 ‘취약성-힘’의 역설적 원리를 “취약성-안에-있는-힘(power-in-vulnerability)”으로 정식화한다. 그녀에 따르면, ‘관상기도(contemplative prayer)’는 ‘취약성-안에-있는-힘’을 경험하기 위한 중요한 영적 방법이다. 관상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경험하게 되고, 나아가 ‘신율적 자아(theonomous selfhood)’로 변하게 된다. ‘관상기도의 케노시스(contemplative kenōsis)’는 여성의 회복과 성장에만 관심을 갖는 기존 페미니스트 신학의 한계를 넘어, 남성과 여성 모두를 위한 공통의 영적 목표를 제안하는 새로운 페미니스트 패러다임을 제안한다. 코클리 케노시스론의 페미니스트 신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클리는 케노시스의 인간적 형식만을 유의미한 것으로 수용하고, 그것의 신적 형식은 거부함으로써 힘의 근원으로서의 하나님 이미지를 옹호한다. 이로써 하나님은 여성들을 회복시키시는 ‘힘의-북돋움’의 근원이 된다. 둘째, 코클리의 케노시스론은 ‘우상적인 이중투사’의 가능성을 차단한다. 그녀는 신-인 사이의 비경쟁적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영역으로부터 하나님을 급진적으로 초월화시킨다. 이를 통해 인간의 속성들을 하나님에게 투사하고자 하는 인간적 성향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관상기도를 통해 드러나는 케노시스적 취약성은 여성들에게 자기성찰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이원론적 반전주의(dualistic reversalism)’나 ‘역전된 성차별(reverse sexism)’이 아닌 ‘온전한 인간성(full humanity)’을 추구하도록 한다. 반면, 코클리 케노시스론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그녀는 전통 신론을 여성해방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재해석하고 있지만, 그것이 가진 가부장적, 남성중심적 함의들을 쉽게 간과한다. 둘째, 코클리에게 자기비움의 행위는 신을 향한 자기변형의 욕망 혹은 신과의 합일을 위한 욕망에서 비롯한다. 따라서 그것은 일차적으로 ‘타자’가 아닌 ‘자기’를 향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코클리의 케노시스론은 자기몰입적(self-preoccupied)이고 자기중심적(self-focused)인 특징을 갖는다. 셋째, 코클리는 영성을 고난화하고 고난을 영성화함으로써, 의지적이고 자기고립적(self-isolated)인 고난을 지향한다. 이는 일면 피가학적인 고난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녀는 관상기도의 고난과 피가학적 고난을 철저하게 구분하지 못했다. 연구자는 케노시스론을 페미니스트 신학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조건들로서 ‘힘의-북돋움(empowerment)’, ‘타자성(otherness)’, ‘상호성(reciprocity)’을 제안한다. 우선, 케노시스를 여성들을 위한 영적 자원으로 재해석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 원천에 대해 밝혀야 한다. 따라서 ‘힘의-북돋움’은 페미니즘적 케노시스론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이다. 다음으로, 케노시스의 영성이 자기몰입적 영성으로 왜곡되지 않기 위해서는, ‘타자성’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타자성’은 케노시스론의 페미니즘적 재구성을 위한 또 다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힘의-북돋움’과 ‘타자성’이라는 두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타자를 위한 케노시스적 행위가 힘의-북돋움의 근거가 되어야함을 밝혀야 한다. 이로써 ‘힘의-북돋움’과 ‘타자를 위한 케노시스’ 사이의 ‘상호성’은 케노시스론의 또 다른 중요한 조건이 된다.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윤리학은 ‘힘의-북돋움’, ‘타자성’, ‘상호성’이라는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케노시스 담론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버틀러는 코클리와 마찬가지로 취약성과 힘의 관계를 역설적인 것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코클리와는 달리 취약성과 힘의 근거를 하나님이 아닌 타자에서 찾는다. 즉 버틀러는 타자성을 통해 ‘취약성’과 ‘저항적 힘’ 사이의 관계를 비모순적인 것으로, 즉 역설로서 이해한다. 이러한 버틀러 윤리학의 핵심을 ‘취약성-안에-있는-저항(resistance-in-vulnerability)’으로 정식화할 수 있다. 신학적 전제를 거부하는 버틀러의 윤리학을 그리스도교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면 이는 코클리의 케노시스론을 보완하는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다. 요컨대, 코클리의 ‘취약성-안에-있는-힘’과 버틀러의 ‘취약성-안에-있는-저항’은 케노시스론을 페미니스트 신학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두 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