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쿠아백 트레이닝과 저항성 운동이 성년기 여성들의 최대 근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박상준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아쿠아백 트레이닝과 저항성 운동이 성년기 여성들의 최대 근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박상준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운동건강관리전공 (지도교수 : 전유정) 본 연구는 8주 동안 저항성 운동만을 진행한 집단(저항성 운동 집단)과 저항 성 운동 및 아쿠아백 트레이닝을 병행한 집단(병행 집단)의 최대 근력 및 기능 적 움직임(FMS)을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PT 스튜디오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 고 있는 성년기 여성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 집단과 병행 집단에 각각 10명씩 참가하였고, 저항성 운동 집단과 병행 집단 모두 8주 동안 주 2회, 한 회당 60 분씩 운동을 참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는 SPSS 14.0을 이용하여 집단 별 항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8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 전 과 Post의 집단에 따른 항목별 평균치에 대한 차이 검증은 이원변량분석 반복측 정법(two-way ANOVA repeated measure)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 은 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첫째, 최대 근력(Leg press, Leg extension, Bench press 1-RM)은 트레이닝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트레이닝 전,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기능적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 ment Screen: FMS)의 결과는 트레이닝 전, 후 사이에 병행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트레이닝 후 두 집단 사이에는 기능적 움직임 검사 (Functional Move ment Screen: FMS)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 관광지의 증강현실(AR) 원격실재감이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DA 모델을 중심으로 -

        김진희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관광지의 증강현실(AR) 원격실재감이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IDA 모델을 중심으로 - 4차산업혁명에 따른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은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 한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러한 변화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더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실현시켰으며, 기업들로 하여금 차세대 커뮤니케이 션 개발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특히 다양한 외부변수로 인해 위기에 처한 관광산업은 선제적 변화 대응이 절실해지면서 차별적인 마케팅 커뮤 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DA 모델을 기반으로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 재감(상호작용, 생동감)이 관심과 몰입을 통해 열망, 추천의도 및 방문의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관 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이 관심 및 몰입의 관계에서 증강현실 숙련도 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 관광지에 대한 열망과 추천의도 및 방문의도의 관계에서 관광지에 대한 사전지식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 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행 또는 관광을 계획하고 있는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1일∼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2부(94.0%)를 최 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은 관심과 몰입에 정(+)의 영향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실재감을 통한 관심과 몰입은 열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열망은 추천의도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과 관심, 몰입의 인과관계에서 증강 현실 숙련도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열망과 추천의도, 방문의도의 인과관계에서 사전지식의 유의 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열망과 행동의도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소 비자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관광지를 방문해 본 적이 없는 관광객들에게 실제처럼 관광지를 경험해 볼 수 있는 증강현실 관광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깊은 관심과 몰입이 이루 어질 것이며, 이를 통해 증강현실 관광지에 대한 열망을 느끼게 되어 관 광지에 대한 추천과 실제 방문으로 이어질 것이다. 아울러 보다 높은 관 심과 몰입을 경험시키기 위해서는 증강현실 사전학습서비스, 튜토리얼 (Tutorial) 서비스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모든 연령대가 조작할 수 있는 쉬운 조작방법과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증강현실 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활동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소비자의 몰입과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관광지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 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선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은 다 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증강현실 관광지를 기반으로 한 관광소비자행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과 관심, 몰입, 열망 그리고 추천의도 및 방문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관 광행동의도를 높이기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는 관광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를 증강현실 원격실재 감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관광산업에서 비대면 소비의 콘텐츠가 될 수 있 는 증강현실 관광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AIDA 모델을 기반으로 관광소비행동의 네 단계를 각 요소별 특성으로 제시하여 요인들을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으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관광지의 증강현실 원격실재감에 따른 관광행동의도를 불러일으키 기 위한 중요 변인들을 검증함으로써 관광산업에 실질적인 마케팅 커뮤니 케이션 전략수립의 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소비자에게 관광지에 대한 추천과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증강현실 원 격실재감이 선행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품질, 생 동감, 상호작용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열망과 추천의도 및 방문의도의 관계에서 관광지 의 사전지식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격실재감과 관심 및 몰입의 관계에서 증강현실 숙련도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관광행동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주의를 집중시킬 요소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관광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증강현실 콘텐츠와 생동감 넘치는 상호작 용을 바탕으로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노 력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평생직업교육학원의 바리스타교육이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ARCS 학습동기이론을 중심으로

        김득만 극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커피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관련 기업의 유능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 이 인식되어 지면서, 커피산업의 적합한 인적자원 확보는 지속가능한 경 영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내 커피산업의 인적자원 개발은 다 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 기관들마다 상이한 프로그램, 내용, 시간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교육효과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직업교육학원 바리스타 교육의 학습성 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 기 위해 바리스타 교육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ARCS 학습동기 변인들이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고 평생직업교육학원 바리스타과정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직업교육학원 바리스타과정 교육생의 ARCS 학습동기 구성 요소 중 주의집중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은 학습몰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습성과와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평생직업교육학원 바리스타 교육 과정의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설계지표를 제시하였다 할 수 있 다. 또한 평생직업교육학원의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부분의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미성년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적인 연구가 대부분으로 연구대상이 미성년학습자라는 특성으로 인해 조사연구를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초기의 조사연구로서 그 활용 가치 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성인학습자 대상의 평생교육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현재 관심이 높은 바리스타 교육을 통해 평생학습의 지속적인 학 습동기 부여를 위한 전략을 고찰하였다는 의미에서 평생학습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평생직업교육학원 바리스타교육이 ARCS 학습동기이론을 중 심으로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구조적 영 향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교육성과의 선행요인들에 대한 확장된 연구 모형 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추후 바리스타로서의 성과를 측정하여 확인한다면 국내 커피산업 인재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많은 도 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영민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급속한 사회변화의 대응기제로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 향상 또는 고용 가능성 제고를 위한 학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식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음료 산업은 여타 다른 직종에 비해 취업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고 연령의 제한이 적다는 점에서 성인 학습자 들의 관심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료관련 교육프로그램에서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 한 효과적인 학습프로그램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 자의 학습 참여 동기(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가 학습 몰입을 통해 학습 만족, 학습 유용성, 학습 성취 및 학습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로 인한 몰 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커피, 차, 와인 학습프 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 차, 와인의 학습프로그램과정에서 학습 참여 동기 구성요소 인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은 모두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몰입은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습 몰입을 통해 인지된 학습 유용 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은 학습 성취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성취도는 학습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에 미치 는 영향력은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학습 참여 동기 중 학습지향 학습자들의 경우 강사/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났으며, 활동지향 학 습자들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습 몰입이 증대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목표지향 학습자의 경우 강사/학습자간 또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에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 참여 동기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에 발휘하는 능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 의 참여 동기에 대한 파악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 었다. 또한 다양한 음료 학습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습 참여 동기 를 기반으로 교육 과정과 학습 활동이 제공된다면 학습자의 깊은 몰입이 이루어지고 높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통해 학습의 흥미와 의미를 얻어 학 습 지속으로 이어질 것이다. 아울러 학습 몰입향상을 위해 각 참여 동기 유형에 적합한 상호작용 학습 활동을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외식산업 내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설계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규학습 프로그램 학습자가 아닌 자율학습참여 학습자를 대상으 로 한 초기의 조사연구로서 그 활용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선택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학습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제 2의 직업을 준비하거나 현장직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학습자들의 자율 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대상으로 상호조절 변인의 효율적인 역할 부여를 위한 전략을 고찰하였다는 의미에서 외식 산업 내 학습 프로그램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 조사 설계 및 자료 수집 ···································· 77 제 4 장 실증 분석 ···································· 83 제 1 절 측정 항목 타당성 및 신뢰성 평가 ······················· 83 1. 확인적 요인 분석 ··········································· 83 제 2 절 연구 가설 검증 ············································· 91 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의한 가설 검증 ··············· 91 2.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 94 3. 가설 검증 결과 ············································· 97 제 5 장 결론 ········································ 106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106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 112 [참고문헌] ······························································ 114 [설문지] ································································ 132 [ABSTRACT] ························································· 137

      •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김정기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를 중심으로 국내 외식산업의 규모는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외식산업은 신규 창업자의 진입 비율이 높고 자영업의 비율이 높은 산업으로 매출액 규모가 양적인 측면에서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지 만, 폐업률은 타 산업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특징과 함께 영업 이익률 또한 낮은 영세한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외식업의 포화상태로 인해 외식업체 간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진입을 방지하고 폐업을 최소화하여 경영성과 를 유도할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들의 경영성과 개선 및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 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의 변인들이 창업가역량과 경영성과를 통해 사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고,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 구성요소 중 진취성, 혁신성은 창업가 역량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감수성은 창 업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사업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창업가정신,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와의 인과관계 에서 창업형태(독립/가맹)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식업 창업자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의 인과관계에서 창 업형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창업가정신과 창업가역량은 주로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의 사업주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외식산업으로 범위 를 한정하여 소규모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외식업 창업자의 창업가정신이 창업가역량,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 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외식업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들의 역량보다도 창업가정신이 근본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가맹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창업가역량 이외 에도 창업가정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할 것이 며 이러한 교육은 사업지속의도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이 경영성과 및 사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금옥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Effect of Functi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Competence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 Keum-Ok, Lee Dep. of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Far East University The demand for food service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women's expanding socioeconomic participation, five-day workweeks, an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Consequently, as the competition accelerated with the emergence of food service companies, small-scale food service entrepreneurs face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labor and fixed costs, and the continued recession have deteriorated the environ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also exacerbate the difficul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foodservice entrepreneur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o resolve difficulties of small foodservice entrepreneurs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secure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mong functional competencies, technical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but management competencies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n terms of psycholog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optim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Third, business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Finally,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government support polic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sistence inten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difficulties of entrepreneurs can be somewhat resolved through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ultimately provoking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research on entrepreneur competence have been conducted mainly limited to the functional competences of business leaders of small or medium enterprise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 new research model by examining both the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competencies of small-scaled foodservice entrepreneur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itive function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to allow the business to continue and improve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여성의 사회진출, 주 5일 근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외식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업종의 외식업체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경쟁이 가속화됨에 따라 외식창업자들은 여러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인건비와 고정비의 증가, 불경기의 지속은 외식산업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발병에 따른 경제적 요인 또한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외식창업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예비 외식창업자들에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의 변인 들이 경영성과를 통해 사업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로 인한 경영성과와 사업 지속의도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외식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 중 관리적 역량을 제외한 기술적 역량, 기업가적 역량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창업자의 심리적 역량 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사업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와 사업지속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정부지원정책은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창업자의 경영성과 및 사업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 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또한 창업자의 경영상 어려움은 정부의 지원정책을 통해 다소 해소될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업을 지속하려는 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앞선 연구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창업가 역량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기업, 중소기업 등 기업 리더의 기능적 역량에 국한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자의 기능적 역량과 심리적 역량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창업자 역량의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사업지속의도에 정부지원정책의 긍정적인 기능을 확인 하여 외식산업 전반의 경영활동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 브랜드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서정규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간편성과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문화는 여러 산업에 지속적인 변화와 진화를 이끌어내었다. 이러한 양상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식사 에도 강조되면서 식품․외식산업에서도 간편성과 편의성은 제품 개발에 핵심이 되는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 여파로 내 식 중심으로 식문화가 변화됨에 따라 대체제로서의 역할을 하던 HMR이 필수제로 등극하면서 HMR 시장은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MR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HMR 선택속성을 통해 형성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구매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HMR 선택속성 중 품질과 지각된 가 치의 관계 그리고 태도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에 따라 유의 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MR 선택속성(품질, 경제성, 편의성, 다양성, 건강)은 지각된 가치 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HMR 선택속성 중 품질과 지각된 가치, 태도와 행동의도의 인과관계에서 브랜드 신뢰에 따라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문적 그리고 실무 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HMR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로 이어지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과 동시에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 치는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 변수를 포함하여 HMR 소비자의 의 사결정과정에 대한 보완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 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HMR 선택속성에 따른 소비자들의 행동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중 요 변인들을 검증함으로써 HMR 산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전략수립의 틀 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HMR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의도를 긍정적으로 향 상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브랜드 신뢰에 대한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고객 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신뢰 높은 기업으로 성장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 였다.

      •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이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경영성과 및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문환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1인 가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 수의 증가, 고령사회의 진입 등의 사회적 이슈 와 HMR 전문점, 배달 서비스 등의 등장은 외식시장 구조의 확대를 불러왔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서비스업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다양한 소비자들이 유 입됨에 따라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감정노동의 근원이 되는 소비자들의 역기능 적 행동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관심을 증폭시켰다. 기업에서는 이를 대응하기 위한 매뉴얼, 직원훈련 등을 통해 원칙을 마련하고 있지만, 소상공인 들에게 이러한 대응을 하기에는 경제적․물리적 여유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법적 가이드 마련, 법적 처벌 강화, 소비자 교육 등이 지속적으로 언급 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실정이며, 소상공인들의 경영 어 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상공인 외식경영자들의 경영지속을 위한 대 응방안, 외식경영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차별적인 해결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언어폭력, 과도한 요구, 무례한 행 동)이 스트레스와 소진(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을 통해 경영성과 와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가설을 설정하 였다. 또한 역기능적 고객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에 따라 유 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외식업 소상공인 경영자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22일부 터 3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363부(95.5%)가 최종분석 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모형 및 연구가설을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EM)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고객행동 중 무례한 행동을 제외한 언어폭력과 과도한 요구 는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기능적 고객행동을 통한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소진은 경영성과의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소진은 사업지속의도에도 유의한 부(-)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경영성과는 사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 고객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적 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이 소상공인 외식경영자의 스트레스와 소진을 불러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은 영세하고 생계를 목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에 대응방안을 마련한 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관련 단체나 협회를 통해 소상공인의 의 견이 보다 신속하게 수렴되고 불합리한 고객 관행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조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라인을 제작, 캠페인을 조성하는 등의 방안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고객의 무례한 언행과 관련된 법률적인 조언을 위한 대책과 심리적 지원체계 구축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소상공인이 고객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도록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교육 제공과 함께 이들을 보호하 고자 하는 방안들을 조직적으로 강구하여야 할 것이며, 소상공인 외식경영자 들이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교육프 로그램, 소상공인 지원 자금대출, 창업교육, 컨설팅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고 객의 부적절한 언행의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 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비 스 기업들과는 달리 금전적 보상 등과 같은 과도한 요구가 소상공인의 스트레 스를 야기시키는 변인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둘째, 사업지속의도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경영자 또는 사업체의 내부적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이 되었으나 본 연구는 고객이라는 외부적 요인으 로 인해 사업지속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고객의 불합리한 언행에 대응할 외식업 소상공인의 역 량이 부족함을 인지하고 관련 단체나 협회를 통해 이를 개선해야 함을 강조하 였다는 점에서 외식업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고객의 역기능적 행동과 스트레스의 인과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회복 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외식업 소상공인들은 자본력 부족과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이를 관리하 고자 하는 시도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소상공인의 심리적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 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브랜드 앱 지속사용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통합적 접근 : 후기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조선애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브랜드 앱 지속사용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통합적 접근 - 후기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모바일 외식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브랜드 앱이 새로운 마케팅 도 구로 부상하면서 외식기업들마다 자체 브랜드 앱 제작을 통한 경쟁우위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 앱 개발에 상당한 비용이 소 모되는 반면 일부 브랜드 앱의 경우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사용되는 빈도수가 현저히 낮아 고객관리 및 기업 홍보를 위한 도구로써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외식기업의 브랜드 앱은 기 존에도 꾸준히 운영되어 왔지만 최근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 만큼 사용자의 브랜드 앱 초기 수용 결정보다 수용 후 지속적인 사용이 매우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통합한 이론적 모델을 통해 외식기업 브랜드 앱 지속사용 의사결정과정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만족,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통제와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브랜드 앱을 실제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 를 대상으로 2020년 1월 23일부터 2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 종 32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모형을 토대로 한 가설은 구조방정 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앱에 대한 기대일치는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앱에 대한 기대일치는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앱의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앱의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 앱 사용에 대한 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브랜드 앱의 지각된 유용성은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브랜드 앱에 대한 태도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주관적 규범은 브랜드 앱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행동통제는 브랜드 앱의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가 주로 초기 수용에 초점이 맞춰진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브랜드 앱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를 규명하였다면, 본 연구는 수용 후 사용의도에 초점을 둔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브랜드 앱에 대 한 사용자의 기대일치 정도는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요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해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후기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통합한 모델을 통해 브랜드 앱 사 용자의 지속사용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후기수용 모델 뿐만 아니라 계획행동이론이 브랜드 앱 사용자의 지속적인 사용의도 로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적합한 이론이라는 것을 증명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셋째, 브랜드 앱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사용이 기대일치에 의해 이 루어진다는 결과 도출을 통해 외식기업 브랜드 앱 성공을 위한 중요한 변 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더불어 기대충족, 태도 및 행동통제 등과 같 은 개인적 차원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도출을 통해 브랜드 앱의 사용자 맞춤형 또는 개인화 마케팅의 중요성을 확인하 였다.

      • 소규모 외식업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추미선 극동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소규모 외식업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국내 외식산업의 규모는 양적성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의 불안전성 증대와 내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업 계는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경기불황, 정부의 각종 규제, 외식업 종사자의 낮은 직무만족과 빈번한 이직은 소규모로 운영되 는 업장의 어려움을 더욱 더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 업 전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업장 경영자들의 인적자원관리에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예비 경영자들에게 경쟁 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소규모 외식업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 변인들이 신뢰를 통해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과 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직무 열의와 조직시민행동, 과업성과의 인과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 소규모 외식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 중 배려, 카리스마 그리고 동기부여는 경영자의 신뢰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적자극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 구축된 경영자에 대한 신뢰는 종사원의 직 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사자의 직무열의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과업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은 과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 과업성과의 인과관계에서 조직지원인 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기업, 중소기업 등으 로 체계적인 인사 및 조직 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는 자본의 영세성과 인사 관리가 미흡한 소규모 외식업을 운영 중인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을 살펴봄으로 써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는 경영자 변혁적인 리더십이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 다는 결과 도출을 통해 소규모 외식업장 경영에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질적 성숙을 위한 인사 및 조직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변혁적 리더십, 신뢰,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 과업성과, 조직지원인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