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에 따른 토론 학습의 효과

        조윤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for online discussion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the type of online discussion media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discu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Thir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 first-year middle school classes located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Experimental Group I, which conducted discussion classes on the web community board, Experimental Group II, which had real-time text discussions, and Experimental Group III, which had video conference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xperiment. The pre-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the social efficacy were conducted in ad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en sessions of discussion classes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4 weeks and the post-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test, and satisfaction test were conducte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Tukey post hoc test was used to carry out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means for the group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scussion abilit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67, 3.95, and 3.57, respectively and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216,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showed higher discussion ability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an social efficac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65, 3.94, and 3.60,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169, p<.05). However, the post-hoc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verage social presence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74, 4.03, and 3.86,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presen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237,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real-time text discussion scored a higher sense of social presence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discussion on the web community board,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s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85 points, 4.09 points, and 4.00 points,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one-way ANOV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 =1.864,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al-time text discussion has higher score on discussion ability compared to video conference an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ocial presence than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In real-time text discussion, students can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without psychological burden, express their opinions in various ways and engage in various think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abilit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l-time text messages as their main tool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and because they freely communicate and respond right away, it can be seen that they showed high results in social presence.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irst,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online discussion media through variou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scussion messages, interaction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real-time text, the medium most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lthough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firmed in this study, since the video conferencing method has been universall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on/offline video conferencing discussion class strategy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에 따라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 변인은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이고 종속 변인은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만족도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토론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효능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현존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3개의 집단, 즉 웹 게시판 토론 수업을 하는 실험 집단 Ⅰ, 실시간 문자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Ⅱ, 화상 회의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Ⅲ으로 구분되어 연구를 위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에 토론 능력 검사와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4주 10차시 동안 토론 수업을 실시한 뒤 토론 능력 검사, 사회적 효능감 검사, 사회적 현존감 검사,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들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집단들에 대해서는 Tukey 검증 방법으로 평균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토론 능력의 평균은 각각 3.67점, 3.95점, 3.57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216,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화상 회의 토론을 실시한 집단 보다 토론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효능감의 평균은 각각 3.65점, 3.94점, 3.60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169, p<.05). 그러나 이에 대한 Tukey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셋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현존감의 평균은 각각 3.74점, 4.03점, 3.86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37,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웹 게시판 토론을 실시한 집단보다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만족도 평균은 각각 3.85점, 4.09점, 4.00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864, p>.05).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이 화상 회의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 문자 토론은 웹 게시판 토론에 비해 사회적 현존감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간 문자 토론에서 학생들은 심리적 부담감이 없이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사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른 매체들을 사용한 집단보다 토론 능력 점수가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중학생들은 실시간 문자를 평소에도 사회적 관계 맺기의 주된 도구로 이용하며 자유롭게 대화하고 바로 응답기 때문에 사회적 현존감에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 간의 효과 차이를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토론 메시지나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종속 변인들을 통해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한 매체인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다양한 유형의 토론 수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충분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회의 방식은 코로나19 이후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화상 회의 토론 수업 전략 및 실천적 적용에 대한 탐색이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초,중등교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교육의 속성, 활용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 용이성에 관한 인식

        김성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초 ․ 중등교원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태도, 스마트교육의 속성, 활용 의지 및 지각된 유용성․용이성에 관한 인식 이 연구는 현장 교원들이 갖고 있는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 스마트교육의 속성별 중요도와 수행도,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태도 및 의지,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 등을 학교급별, 성별, 직급별, 경력별, 스마트교육 관련연수 이수시간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한 결과를 현장 교원들이 스마트기기 활용에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의 올바른 현장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현장에서 교원들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급별, 성별, 직급별, 경력별, 스마트교육 관련연수 이수시간별에 따라 스마트교육의 속성에 대한 인식은 중요도와 수행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3. 학교급별, 성별, 직급별, 경력별, 스마트교육 관련연수 이수시간별에 따라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태도 및 의지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학교급별, 성별, 직급별, 경력별, 스마트교육 관련연수 이수시간별에 따라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에 대한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스마트기기에 대한 교원들의 태도와 인식을 알아보았다. 스마트기기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의미변별척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속성은 중요도 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태도와 의지,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은 SPSS(Ver,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서 S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속성은 역동적 확장성, 흥미성, 상호작용성, 냉정성, 불확실성, 불편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교육의 속성별 중요도와 수행도는 초등학교 교원들, 남자교원들, 관리자, 저경력교사들, 스마트교육 관련 연수시간이 많은 교원들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태도 및 의지는 초등학교 교원들, 남자교원들, 관리자, 저경력교사들, 스마트교육 관련 연수시간이 많은 교원들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은 초등학교 교원들, 남자교원들, 스마트교육 관련 연수시간이 많은 교원들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고경력 교원들이 부장급 교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실행 결과와 논의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현장교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스마트교육의 홍보나 연수 프로그램에 있어서 하드웨어적인 면보다는 교육적 활용에 중점을 둔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강조하여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스마트교육의 현장 적용과 빠른 정착을 위해서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마인드를 갖고 있는 초등학교 남자교원들 중심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원들과 상호교류를 통한 확대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교육의 현장 적용에 비교적 소극적인 마인드를 가진 교원들 대상의 맞춤 홍보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극 활용하고 적용한다. 또한, 적극적인 마인드를 지닌 교원들과 함께하는 비공식적인 조직에 동참을 유도하고 자율적인 연수 를 통하여 새로운 매체와 친숙하게 하며 새로운 교육 사조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현장의 변화를 주도해야 할 교원들이 스마트기기 활용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이 부족한 점을 고려하여 교원들이 느끼는 거부감과 부담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시나 명령에 의한 하향식(top-down)이 아니라 교원들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조직을 활용한 상향식(bottom-up)으로 점진적인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 분위기를 조성해야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스마트기기에 대한 두려움과 어려움을 갖고 있는 고경력 교원들과 스마트기기 도입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맞춤식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중심의 찾아가는 연수회를 운영하며, 모든 현장교원들이 스마트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느끼고 적극적인 태도와 의지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급별, 성별, 직급별, 경력별로 교원들이 각자 처한 입장에 따라 필요로 하는 연수가 다르므로 연수를 희망하는 교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고, 교원들의 연수 참여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꾸준한 노력과 함께 연수 시간,

      • 공업계열 특성화고교 취업?창업교육 운영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정진용 인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공업계열 특성화고교 취업․창업교육 운영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본 연구는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창업교육 운영에 대한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취업과 창업관련 진로상담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취업․창업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취업․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때 도움을 주고, 교사가 학교에서 운영하는 취업․창업교육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취업교육에 관한 인식, 교육기반특성에 대한 취업교육, 창업 지향성 및 특성에 대한 창업교육, 창업교육과 관련된 학교의 인프라 구축, 창업마인드 함양, 취업․창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진로인식, 진로결정, 창업, 취업․창업을 위한 진로지도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교 취업․창업교육 운영에 대한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사 257명과 학생 1,068명을 대상으로 취업․창업교육 운영에 대한 인식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취업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업무 부담과 전문지식 부족으로 인해 효과적인 취업․창업교육 운영이 어렵다고 하였고, 교육기반특성에 대한 취업교육, 창업 지향성 및 특성에 대한 창업교육, 창업교육과 관련된 학교의 인프라 구축, 창업마인드 함양에 따른 인식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취업․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교사 양성 및 재교육 확대’, ‘전공별로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 확보’, ‘기업체와의 연계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해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있었으나,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이 다소 낮게 나타났고, 창업교육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인식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에서 하는 취업․창업교육에서 ‘다양한 체험학습 기회 제공’, ‘취업․창업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하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특성화고교 취업․창업교육 운영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취업․창업과 관련하여 각 분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고, 개별단위 학교별로 취업․창업 경험이 있는 외부 강사를 초빙하여 실질적이고 현장중심의 취업․창업 성공과 실패사례를 강의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공 분야별로 다양한 취업․창업교육 지도서를 개발․활용하며, 실무와 사례 학습을 접목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진로교육과정이 필요하고, 이론 위주의 교과서적 학습방법보다는 실무 및 사례 학습과 소규모 사업 프로젝트, 사업게임, 사업가 역할 수행, 모의창업, 창업동아리, 창업캠프, 산업체 인턴쉽 과정 등 다양한 체험활동 중심의 취업․창업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Choung, Jin Young Major in Educational Technolog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counsel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tart-up training by investigating thei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further suggest ways to improve methods of recruitment and start-up training programs. It was intended to help teachers develop various job training programs for students having suitable specifications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guide of job training programs operated by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different perception of employment educa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employment program on education-based characteristics,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a school infrastructure related to start-up training program and cultivation of entrepreneurship mind?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decisi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guidance operat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hird, what is the activation method for the oper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employment and start-up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 goal in this research, 257 teachers and 1,068 students were sampled randomly and then analyzed for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job training and also considered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manage effectiv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raining due to the burden of work and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wareness of the school's infrastructure system and the entrepreneurial mind-set such as job training for education-based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training was somewhat low.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elt the need to educate specialized teachers, expand re-education, secur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each major and strengthe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industrial companies in order to activate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though students tried to find their career interest and aspiration, they had never heard of start-up training program and employment education system.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take a variety of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programs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sures to activate vocational high school’s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ere present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educate experts who can specialize in their major, and to invite external instructors who can give the practical and field-oriented lectures including their success or failure experiences for each individual school. A variety of instruction manuals related to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specialized field as well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should be applied in high school’s curriculum by combining practical work and case study. In addition, it is essential for the individual students with characteristics to have a customized career and suitable education course. These students prefer to manage start-up training focused on various experiences such as internship courses including practical work and case study, small business projects, business games, business role of entrepreneurs, mock entrepreneurship, start-up clubs, start-up camps, and industries rather than theory-based textbook learning methods. Keywords :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Employment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

        김보은 인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One of the reasons why educators have been traditionally interested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that i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side from inborn intelligence. The self-regulated education is drawing interests in the field of education due to increased interests i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because the mor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becomes, the more it is presupposed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plan and regulate the learning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not only in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but also in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recently, even in flipped learning and mook learning environments. In fact, the relev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proven through several studies. In particular, smart learning has been growing steadily due to the spread of smar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and to increases in the necessity of timely learning,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s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or design strategy. In addition, a strateg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at mee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nd on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The research questions specifically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2. Are the design principles valid for self-regulated learn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Development studies with empirical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have been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literature studies which may exclu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research topic in addition to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in developing design principles. For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they have been verified three times for its validity by five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two teaching design experts. Lastly, the final design principle has been derived through only one usability evaluation by three smart learning teaching designers. Based on those procedures, first of all,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on and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in the research problem 1. Sub-factors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on, elaboration, systematization, planning, inspection, and control, those of motivation were classified as mastery-oriented goal, self-efficacy, and task value, and lastly those of behavior were classified as behavior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asking for help. The early design principles have been developed by mapping design principle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s, ca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o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a total of 36 design principles and 62 design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20 design principles and 35 design guidelin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8 design principles and 13 design guidelines in the motivation, and 8 design principles and 14 design guidelines in the behavior through the verification of valid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carried out by experts in the research problem 2.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cognition and meta-cognition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learning objectives and current achievement for checking target progress’,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information with visualized data (dashboard, chart, calendar) to track progress and see if goals are achieved’ and ‘Evaluation data to enable comparisons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e.g., learning, evaluation)’.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motivation is ‘Support for the mastery-oriented goal by us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dvance information(expectancy effects, previewing the learning content, etc.)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to set a specific goal’, ‘Guidance for setting up close and mid-level(challengeable) goals’, and ‘Guidance for aiming 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nd ’inducement to make plans for rewarding oneself when goals are met’. An example of design principles in the behavior is ‘Provide an opportunity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and its design guidelines include ‘Provide a visualized tool(mobile planner, learning timer,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planned learning time and the time spent in actual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been considered comprehensively. Second, field-orien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rd, the specificity of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sign principle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limitations in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It is believed that the derived study results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ing design experts to conduct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design activitie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at it will facilitate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further. 전통적으로 교육학자들이 자기조절학습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자기조절학습이 선천적인 지능과는 별개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래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교육기술의 발전으로 다시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학습자 중심의 개방형 학습 환경일수록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조절해 나가야 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은 기존 면대면 학습뿐만 아니라 온라인 학습환경, 블렌디드 학습환경, 스마트러닝, 그리고 최근에는 플립러닝과 무크 학습환경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테크놀로지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적시적 학습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스마트러닝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이에 적절한 교수전략이나 설계전략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 개발과 함께, 개발된 원리에 대한 전문가 및 교수설계자의 타당도 검증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2.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설계원리는 타당한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적이며 실용적인 특성을 지닌 개발연구를 활용하였다.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선행문헌 검토뿐만 아니라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실제적 정보가 배제될 수 있는 문헌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례분석 및 현장전문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는 총 3회에 걸쳐 교육공학 전문가 5인과 교수설계 전문가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원리는 1회에 걸쳐 교수설계자 3인에게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최종적인 설계원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절차를 토대로 연구문제 1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인지 및 메타인지, 동기, 행동으로 범주화하였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시연, 정교화, 조직화, 계획, 점검, 조절로 분류하였고, 동기 영역의 하위 요인은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로, 행동영역의 하위 요인은 행동관리, 시간관리, 도움구하기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행문헌검토, 사례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설계원리를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소에 대응(mapping)하여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에서 20개의 설계원리와 35개의 설계지침, 동기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3개의 설계지침, 행동 영역에서 8개의 설계원리와 14개의 설계지침으로 총36개 설계원리와 62개 설계지침이 개발되었다. 인지 및 메타인지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목표달성 정도 점검을 위해 학습목표와 현재 달성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진행상황을 추적하고 목표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각화된 데이터(예: 대시보드, 차트, 캘린더)로 정보를 제공하라’와 ‘개인 내 및 개인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평가자료(예: 학습진도, 학습참여 정도, 평가결과 등)를 계량화하여 제시하라’가 있다. 동기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수행준거를 활용하여 숙달목표를 지향하도록 지원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 지침에는 ‘구체적인 목표설정을 위해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정보(예: 기대효과, 학습내용 미리보기 등)를 제공하라’, ‘근접하고 중간수준(도전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라’, ‘목표 달성 시 스스로의 보상에 대해 계획하도록 유도하라’가 있다. 행동 영역의 설계원리 예로는 ‘계획한 시간과 실제수행 시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지침에는 ‘계획한 학습시간과 실제 수행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된 도구(예: 모바일 플래너, 학습타이머 등)를 제공하라’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계원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둘째, 현장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셋째, 스마트러닝 학습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설계원리의 개발 및 적용 측면에서의 논의를 하였고, 연구 진행과정 및 결과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설계 전문가들이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효과적·효율적인교수설계 활동을 수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학습 및 수행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동료교수법(peer instruction)을 활용한 고등학교 화학과 플립러닝 수업이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박상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고등학교 화학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사전 동영상 시청 + 동료교수법을 적용한 학생 활동 중심 교실 수업), 일반적인 플립러닝 수업(사전 동영상 시청 + 개별 학생 활동 중심 교실 수업),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적용 여부이고,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자기주도학습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자기주도학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의 실험은 인천광역시 소재 G고등학교 2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3개 집단으로 나누어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을 하는 실험집단Ⅰ, 일반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하는 실험집단Ⅱ, 전통적 수업을 하는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사를 통해 동일한 집단여부를 확인하고, 7주 동안 수업실시 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하고 집단 간 사후 검사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학업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499, p<.05). 이에 대한 사후 검증 결과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집단이 전통적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료교수법과 플립러닝 수업이 어려운 개념 이해 및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상호 효과적인 지원 전략으로 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과학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354, p>.05). 이는 연구의 기간이 짧은 점, 연구에 적용된 학습 내용이 특정 단원으로 제한된 점, 학생들이 느끼는 과학(화학) 내용의 어려움에 대한 부담 등의 요인이 크게 작용한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 집단, 일반적 플립러닝 수업 집단, 전통적 수업 집단 간에는 자기주도학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18, p>.05). 이는 교실 활동지 ConcepTests가 정의적 영역보다는 인지적 영역을 강조하는 측면이 크다는 것과 동료 피드백 적용시 팀별 차별화된 피드백 시간, 다양한 보충 및 심화 자료 제공, 동료교수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등을 보완하지 못한 점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료교수법을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개념 이해 및 문제 해결 중심의 화학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적 태도와 자기주도학습과 같은 태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장기적인 연구를 하는 것이 필요하며, 과학적 태도 외에 학습 동기, 흥미, 만족도 등의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 동료교수법 적용시 관심과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피드백 시간, 보충 및 심화 자료 제공 등 동료교수법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며, 플립러닝 적용시 동료교수법 외에도 다양한 교실 수업 전략을 활용한 수업 모델 개발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이 학습자의 몰입, 이해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유지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이 학습자의 몰입, 이해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 연구는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설명식, 이야기식,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에 따라 학습자의 몰입, 이해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이고 종속변인은 몰입, 이해, 만족도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설명식, 이야기식,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에 따라 학습자의 몰입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설명식, 이야기식,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전시관 오디오 가이드의 내레이션 유형(설명식, 이야기식,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에 따라 학습자의 관람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4. 설명식 내레이션 오디오 가이드와 이야기식 내레이션 오디오 가이드 간에 오디오 가이드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국립생물자원관을 방문한 H초등학교 5학년 7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세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동질성이 확인된 집단은 설명식 내레이션 유형을 적용한 오디오 가이드 사용집단, 이야기식 내레이션 유형을 적용한 오디오 가이드 사용집단,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 집단으로 선정하여 전시관 관람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였고 몰입, 이해,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결과분석은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디오 가이드를 사용한 것은 사용하지 않은 것보다 몰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F=4.574, p<.05) 설명식 내레이션과 이야기식 내레이션에는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758). 둘째, 오디오 가이드를 사용한 것은 사용하지 않은 것보다 이해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F=10.434, p<.05) 설명식 내레이션과 이야기식 내레이션에는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481). 셋째, 설명식 내레이션 유형을 적용한 오디오 가이드 사용집단과 이야기식 내레이션 유형을 적용한 오디오 가이드 사용집단, 오디오 가이드 미사용 집단간의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354, p>.05). 넷째, 설명식 내레이션 오디오 가이드와 이야기식 내레이션 오디오 가이드 간에 오디오 가이드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777, p>.05).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종합하면 오디오 가이드 사용은 관람내용에 몰입하는데 도움을 주어 학습자로 하여금 전시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몰입을 유도하여 전시물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내레이션 유형에 따른 선호도 및 효과분석, 다양한 대상과 매체에 대한 내레이션 유형의 활용 가능성 등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주제어 : 오디오 가이드, 내레이션, 몰입, 이해, 만족도

      • 인천지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

        류현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컴퓨터 보급의 급속한 확대로 인한 인터넷 사용의 증가는 우리에게 많은 생활의 변화를 가져 왔다. 온라인에서의 쇼핑이 일상생활화 되어 있고, 청소년들의 문화생활이 각종 인터넷 동호회의 정기모임 활동이나 개인 블로그를 통해 이루어지고 사회관계 유지활동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무절제한 인터넷의 사용이 초래한 인터넷 중독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연구는 인천지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학생들의 건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학부모, 교사, 관련 연구자에게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인천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반적인 인터넷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나. 인천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다. 인천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은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 라. 인천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정환경 요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가 인터넷 중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마. 인천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정환경 요인 중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 감독/통제 정도가 인터넷 중독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사용 설문지를 개발하고, 인터넷 중독 검사지는 K-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를 위해 이종승·오성심(2000)이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감독/통제정도 검사를 위하여 이시형 외(2000)가 제작한 검사지를 이용하였으며 인천광역시 관내 6개 전문계 고등학교 남자 3학교, 여자 3학교에서 학년당 1학급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521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사용경력은 성별이나 학년별 차이 없이 대부분 5년 이상이 88.5% 정도로 나타났으며, 친구들과의 대인관계 수단으로는 직접적인 만남이 59.3%, 메신저나 블로그를 이용한다는 답이 40.7%를 차지하였다. 인터넷 이용 장소는 자기 집이 90%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PC방, 기타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이용 빈도를 살펴보면 70.4%의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매일 인터넷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년별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매일 이용하는 비율이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1시간-2시간이 32.1%, 2시간-3시간이 26.7%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분야는 전체적으로는 온라인 게임이 41.5%, 블로그 방문이 23.8%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은 온라인 게임(65.7%)이, 여학생은 블로그 방문이 40.4%로 남학생은 온라인 게임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여학생은 블로그 방문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과 성별, 학년별과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위험 사용자는 15명으로 2.87%로 나타났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가 65명으로 12.48%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인터넷 중독에 대한 t검증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터넷 중독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반면 학년별로는 학년이 낮아질수록 인터넷 중독이 심하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애정, 적대, 비성취 등 3개의 독립변인이 포함되었으며 이것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는 F=12.95, p<.00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의 독립변인 가운데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변인은 애정으로 나타났으며, 적대, 비성취 역시 인터넷 중독과 상관을 보였다. 넷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부모의 인터넷에 감독/통제 정도에 따른 인터넷 중독과의 차이는 통제집단이 비통제 집단보다 인터넷 중독에 빠질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인천지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2.87%가 고위험 사용자군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고위험 사용자군이나 잠재적 위험사용자군에 대한 가정 및 학교에서의 관심과 상담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확충이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인천지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는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독자가 많았고, 학년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5년 이상의 인터넷 사용경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년차에 의한 차이는 컴퓨터 및 인터넷 전용선의 보급 및 확산이 시작되었던 초창기보다는 많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 The increase of the Internet use with a rapid diffusion of computers has brought so much changes in our lives. Online shopping has become a common thing to us, and teenagers' cultural lives have become different from before through many Internet activities such as regular meetings of their Internet societies, and social relationships via their personal blogs. But it is true that the Internet addiction as a result of the uncontrolled Internet use gives us many problems. This study includes some data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nternet addiction situation, targeting the stud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Inche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to the their parents, teachers, and related researchers for the students' sound Internet use, and the following propositions have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1. What is the general condition of using the Interne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ir grades? 4. What does their parents' fostering attitude influence to their Internet addiction? (for instance love or hostility, self-control or control, achievement or noninterference and rationality or irrationality) 5. Are there any meaningful influences to their Internet addiction depending on their parents' direction/control extent as one of home environments for the children's Internet use? To solve these propositions, the questionnaire for the Internet use situation has been developed, and K-scale has been used as Test of the Internet addiction. Also the revised questionnaire has been used for the parents' fostering attitude test, and the parents' direction/control extent has been tested.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and then collected by random sampling each class of all the graders in 3 boys' high schools and 3 girls' high schools with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effective samples, 521 sheets of all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and SPSS for windows 14.0 has been used to conduct the Frequency, t-test, one way ANOVA and stepw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investigation, survey, and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88.5% of the students have used the Internet for over 5 years. As the means of friends relationship, 59.3% of those is said to prefer direct meeting, and 40.7% uses messengers or blogs. As for places they use the Internet, home shows the highest score at 90%, and then PC room shows the second score. Regarding the Internet use frequency, 70.4%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ses the Internet everyday. There's no wid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but male students tend to use it more often than female students. As for the average Internet use time, one to two hours is 32.1 points, two to three 26.7 points, and for the Internet activities, playing online games is 41.5 points, surfing blogs is 23,8 points. According to gender, 65.7 % of male students spends the most time playing online games, while 40.4% of female students visiting blogs. Secondly, 15 students of all(2.87%) are proved to be in the high risk group and 65 students(12.48%) to be in the higher Internet user group. As a result of t-test for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it is quite probable that male students are statistically addicted to the Internet than female students, while according to grades, the higher their grade becomes, the more they are addicted to the Internet, but that'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ly, regarding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 parents' fostering attitude,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love, hostility and noninterference are included, and they significantly affect dependent variables with F=12.95, p<.000. Love is the most affective variable among 8 independent variables, and hostility and noninterference are related to the Internet addiction. Fourthly, concerning parents' direction/control toward their children's computer use, the more parents control their children's use of computer, the less they are addicted to the Internet. The resul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based on the analyses as above: First, 2.87%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is proved to be in the high risk group, which needs concerns, counseling and prevention training. Second, the Internet addiction of male students is at more serous level than female students, but there'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because most students have used computer for over 5 years. Third, the students who feels lack of parents' love, parents' hostility and noninterference are more addicted to the Internet. Fourth, parents' control toward their children's Internet use deeply affects their Internet addiction, and it shows communication and support among family members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들의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연구

        김회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들의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문제점에 대한 인식, 개선점에 대한 인식과 ICT 활용 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교직 경력, 장애영역별, 학급유형별, 연수경험별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인식과 실태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장애영역별, 학교급별, 연수 경험에 따라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ICT 활용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ICT 활용 교육의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인천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ICT 활용 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는 성별, 연수경험별로는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직 경력, 장애영역별, 학교급별로는 F검증을 실시하였고, ICT 활용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개선점에 대한 인식, ICT 활용 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 문제 중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t=2.072, p<.05), ICT 활용 교육이 장애학생들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효과에서 장애영역별(F=2.783, p<.05)과 학교급별(F=2.081, p<.05)에서,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능력에서 성별(t=3.903, p<.05), ICT 활용 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과 지원에서는 장애영역별(F=7.975,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능력에서는 여자 교사들보다 남자교사들이 더 많이 알며 능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ICT 활용 교육이 장애학생들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지체장애 담당교사가 시각장애 담당교사보다, 고등부 교사가 초등부 교사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ICT 활용 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과 지원에서는 청각장애 담당교사가 정신지체 담당교사 보다 ICT 활용 교육에 대한 관리자의 인식과 지원 정도가 높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ICT 활용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문제 중 장애학생들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으로 정제되지 않은 무분별한 지식의 난무와 인터넷 중독 유발에, ICT 활용 교육 활성화에 장애가 되는 요소는 관련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부족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S/W적인 문제는 장애아동 특성에 맞는 S/W 부족에, H/W적인 문제는 장애아동 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부족에, 행 · 재정적인 문제는 장애특성에 맞는 ICT 활용 교육과정 미비를, ICT 활용 연수의 문제는 실제 수업에 적용할만한 연수가 아니어서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위의 결과 중에서 주목할 점은 H/W적인 문제에서 장애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장애아동 특성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ICT 활용 교육의 개선점에 대한 인식 문제 중 ICT 활용 교육을 교수-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연수에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자료제작 연수에,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여건에는 교사 간 ICT 활용 공유 체계 마련에,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적 지원에는 충분한 사전 기초연구를 통해 자료가 개발되도록 지원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사를 위한 지원에는 특수교육에서의 ICT 활용에 관한 정보를 상시 제공에, ICT 활용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수-학습자료 제작 방법은 교육과학기술부나 교육청에서 표준안 개발 및 배포에, ICT 활용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S/W나 콘텐츠에는 교과지도에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 중에서 주목할 점은 ICT 활용 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S/W나 콘텐츠에서 교과 지도에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ICT 활용 교육 실태 문제 중 ICT 활용 수업 횟수는 주 1~3회 정도에, 수업시간 중 ICT 활용 할애 시간은 5분~10분에, ICT 활용 수업을 하는 이유는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서에, ICT 활용 수업을 하지 않는 이유는 ICT 활용 수업을 할 수 있는 주변 환경여건이 갖추어지지 않거나 수업자료를 제작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서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다. 또한, 수업상황에서 ICT를 활용하는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교수학습과정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에, ICT 활용 교육의 수업 적용 방법은 수업보조 도구로만 활용에, ICT 활용 교육의 수업 적용 단계는 전개 단계와 도입 단계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ICT 활용 교육에서 사용하는 도구는 학습용 웹 콘텐츠에,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인터넷 활용 과제 부여정도는 전혀 부여하지 않거나 주 1회 정도에, ICT 활용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제작 정도는 30% 이하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ICT 활용 교수학습 영역은 교과지도에, ICT 활용 교육 자료 In this study, to see the realities of ICT applied education , understanding about problem, and understanding about the improvement and general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ed education by special school teachers in Incheon community, the distinction of sex, teaching career, a field of disabilities, school course level,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are decided as independent variable, the realities and understanding are decided as dependent variable. To accomplish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teaching career, a field of disabilities, school course level,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 of special school teachers in Incheon community, what is different from general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cation education? 2. How i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problem of ICT applied edu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in Incheon community? 3. How i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mprovement of ICT applied edu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in Incheon community? 4. How is the realities of ICT applied educa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in Incheon community? To inspect the problem of this study, in general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cation education, T-test was conducted, in teaching career, a field of disabilities, school course level, F-test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realities of application education about ICT , understanding about problem, and understanding about the improvement about ICT. The surv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general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ed education indic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ed education-the distinction of sex(t=2.072, p .05), in the effect to the learn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ICT applied education-a field of disabilities(F=2.783, p .05) and school course level(F=2.081, p .05), in competence about ICT applied education- a field of disabilities(t=3.903, p .05), in the support and understanding of supervisor about ICT applied education-a field of disabilities(F=7.975, p .05). In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ed education and competence about ICT applied education, a man teachers tend to think that they have more competence and knowledge than a women teachers and in the effect of the disabilities by ICT applied education , It is thought that teachers in handicapped child and high school teachers are more effective than teachers in visual impairment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We can know that in the support and understanding of supervisor about ICT applied education, teachers in hearing impairment are higher than teachers in mental retardation about the support and understanding of supervisor about ICT applied education. Second, It was responded that things tha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about ICT applied education are a rampage of a unrefined , discreet knowledge and a internet poisoning induction. Factors of troubles for ICT applied education revitalization are lack of a related S/W(software) and contents. Also, in the problem of S/W, there is lack of S/W of a proper trai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 the problem of H/W( hardware), there is lack of a assistant technology machine of a proper trai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roblem , there is lack of ICT applied curriculum of a proper trai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 the problem of ICT applied in-service training, It was responded much because of in-service training that was inapplicable in practical learning. In above results, most noticeable points were lack of a assistant technology machine of a proper trai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field of disabilities of the H/W problem. Third, of the understanding problem about the improvement of ICT applied education, in training for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by ICT applied education; material production training, in things that were necessary for effective ICT application; things that make sharing system for ICT application between teachers , and It was responded much in institutional support that were necessary for effective ICT application; material development support through previous basic study. Also, in teacher support for effective ICT application; information offering of ICT application at all times in special education and in method of data development for teaching-learning; standard draft and distribution i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 was responded much in contents or S/W to develop preferentially for ICT applied education; learning guidance. In above results, most noticeable points were learning guidance in contents or S/W to develop preferentially for ICT applied education. Fourth, of the realities problem of ICT applied education, In ICT applied lesson frequency; 1~3 times in a week and in a sparing hours for ICT applied class hours; 5~10 minutes and in the reason to do ICT applied lesson; to heighten class effect, and It was responded much in the reason not to do ICT applied lesson; not to prepare condition of surrounding environment or to spend too much times making class material. Also, in the purpose of ICT application in school hours; to heighten motivation of learner and concentration measure of teaching-learning and in a method of class application for ICT applied education; to apply class assistant instrument, and It was responded much in class application steps of ICT applied education ; development step and introduction. Also, in the instrument that was used for ICT applied education ; Web contents for learning, and in the measure which was given to internet application task for ICT applied education; 1 times in a week, and It was responded much in measure that was made to learning material for ICT applied educ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