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정애착과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경험에 관한 기독상담신학적 성찰

        김도헌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to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how unstable experiences affect an individual's life, and studies how to deal with unstabl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ology. For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instability, we examined the instability of separation and the ambivalent tendency of infants in Mahler's theory, focusing on insecure attachment among Bolby's theories. And for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implications of instability experiences were examined, focusing on Tillich's existential theology and Lim Kyung-soo's Christian counseling theological method. Bolby believes that all environments that an infant meets after birth are subject to instability, and seeks proximity toward the main caregiver who instinctively provides care and protection. Infants form an attachment to the main caregiver, and the existence and availability of the attachment object provides a basic sense of stability and forms a secure attachment by experiencing trust and support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attachment object.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pursuit of stability is the subject of attach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ibutor to the greatest instability formation is also the subject of attachment. Since the attachment theory sees the external influence of caregivers as the biggest factor in stability and instability formation, the parenting's heteronomy is emphasized and the awareness of infant autonomy is insufficient. Mahler gives important meaning to the psychological birth of infants, focusing on the autonomy of infants through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The convergence experience of autism and symbiotic stage is actually formed by heteronomy, but infants themselves are mistaken for pursuing their own autonomy.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ity, separation begins, and in the process, infants experience their own incompetence and failure and frustration. Adequate distancing and permission of caregivers is a positive sign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of development, and infants experience intermediate phenomena and emotional object homeostasis. However, focusing on infant autonomy has positive meaning, bu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heteronomy. Tillich believes that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that absoluteizes external influences and autonomy that absoluteizes internal influences is the same as fate due to human ambiguity. Therefore, the tension between heteronomy and autonomy was not an object to be removed, synthesized, or completed, but an object to be included and transcended. Unless heteronomy and autonomy are distorted, Theonomy perspective is needed to recognize and accept its existence itself and aim for transcendence into a new self. The Theonom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the finite nature of humans living in unstable experiences in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pursues a union with Christ, a new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the instability experienced in daily life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onomy perspective. The heteronomy and autonomy itself are not negative, but it becomes a problem if it is too distorted. Therefore, autonomy must grow on the trust of heteronomy, and autonomy must accept the norms and forms of heteronomy and maintain tension, not conflict. In this way, the view of Theonomy, which includes everyone as it is,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ame should be applied to Christian counselors. I think the view of Theonomy, which is centered on my relationship and accepted as a bigger source, is necessary for Christian counseling, not a blind faith without one's life by heteronomy, nor an autonomy to pursue a tendency to non-belief and self-centered idolization. 본 논문은 불안정경험이 한 개인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심리학적인 이해와 신학적인 이해의 통찰을 하며, 기독교상담신학의 관점에서 불안정경험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연구이다. 불안정에 대한 심리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볼비의 이론중 불안정애착을 중심으로, 말러의 이론중 분리개별화의 불안정과 유아의 양가적 경향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학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틸리히의 실존주의 신학과 임경수의 기독상담신학적방법을 중심으로 불안정경험에 대한 기독상담신학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볼비는 유아가 출생한 이후 만나는 모든 환경은 불안정의 대상이라고 보고, 생존본능적으로 돌봄과 보호를 제공하는 주 양육자를 향해 근접성 추구를 한다고 본다. 유아는 주 양육자에게 애착을 형성하는데, 애착대상의 현존과 가용성은 기본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며 애착대상과 상호적인 관계성을 통해 신뢰와 지지를 경험하며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다.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서 안정감 추구의 가장 큰 기여자는 애착대상이 되고, 동시에 가장 큰 불안정형성의 기여자도 애착대상이 된다. 애착이론은 양육자라는 외부의 영향을 안정과 불안정 형성의 가장 큰 요인으로 보기 때문에, 양육자의 타율성이 강조되고 유아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말러는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데, 분리개별화를 통한 유아의 자율성에 초점을 둔다. 자폐와 공생단계의 융합경험은 실제로 타율에 의해 안정감이 형성되나, 유아 자신은 자신의 자율성에 의한 추구라고 착각한다. 그리고 이동능력의 발달과 함께 분리가 시작이 되고, 그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의 무능을 경험하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한다. 양육자의 적절한 거리두기와 허용은 다음 발달의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긍정적인 신호이고, 유아는 중간현상과 정서적 대상항상성의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유아의 자율성에 대해 초점을 두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가 있으나, 타율성에 대해서는 인식이 부족하다. 틸리히는 외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타율성과 내부의 영향을 절대화하는 자율성의 긴장은, 인간의 모호성으로 인한 운명과 같은 것이라 여긴다. 그래서 타율과 자율의 긴장은 제거나 종합, 완성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포함하고 초월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타율과 자율이 왜곡되지 않는 이상 그 존재자체를 인정하고 수용하며 새로운 자기로의 초월을 지향하는 신율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신율성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속에서 불안정경험을 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유한성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며, 성령의 현존을 통해 새로운 존재이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상에서 경험하는 불안정은 신율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타율과 자율 그 자체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지만, 지나치게 왜곡이 되면 문제가 된다. 그래서 타율의 신뢰 위에서 자율이 성장해야 하고, 자율은 타율의 규범과 형식을 수용하며 갈등이 아닌 긴장을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모두를 있는 그대로 포함하는 신율성의 관점이 그리스도인의 신앙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하고, 기독상담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타율성에 의해 자신의 삶이 없는 맹신이 아닌, 비신앙적이고 자기중심적 우상화의 경향을 추구하는 자율성도 아닌, 나와 너의 관계성이 중심이 되며 더 큰 근원에게로 수용되는 신율성의 관점이 기독교 상담에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 기독 중년여성의 위기와 영성의 상관성 연구

        전찬례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s in the childhood or adolescence, people experience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crises in their adulthood. There are two major theories as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adulthood. One is the crisis theory in that the crisis is inevitable, although its degree and intensity may be different for individuals. The other is the maturity theory in that only a few people experience middle life crisis, and that most people enjoy the happiest period of their lives.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middle age is that people reflect upon their life and restructure it, and that they discover their true identity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ir lives, they develop their personality and they try to establish their external and social life. However, in their second half, they turn inward and become deeply interested in spiritual matters. The middle age women experience various crisis accompanied by physical changes, family cycle change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self-identity problems. Christian women also experience these crisis. In order to understand how Christian women experience their crisis and how they overcome them, this thesis looked the theory of Levinson and the books on the developmental theories of adulthood. For spiritual aspects, it studied the individualization theory of Jung and the Well Being theory of Clinebell. With these theoretical frameworks, this research included the counselling data of 10 Christian women. The findings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iddle age is a very important developmental stage and experiencing a crisis is a common phenomenon. Middle life crisis varies for individuals. It can be a facilitator for a vital life or a significant factor for depression. Second, the middle life crisi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structure or the reality of each individual. Most people try to evaluate their life and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life and existence. At the same time, they come to understand the second half of their life and restructure it. As many scholars mentioned, the middle life crisis is closely related with religious matters. Third, Levinson's developmental theory of the adulthood includes both men and women, and suggests a new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 adult women. The focal point of the theory, as discovered by biographical interview, is gender splitting. Housewives and career women experience conflict and pain with regard to their family, joy, society and culture due to gender splitting and their effort to find their identity becomes apparent. Fourth, spirituality is to discover self-identity as a Christian and to experience in every day life. Jung claims that people focus on their inner life, and that they need the individualized process in middle age. Clinebell says that spirituality is a flower of the wholistic health and a key to well being. Last, for Christian women, the spiritual aspect of their life is the most important tool in overcoming their middle life crisis. The biographical interview of 10 Christian women shows that their faith plays a key role in seeing, interpreting and dealing with their crisis. The rightful relationship with God helps them live a fulfilled life and become a blessing to others. (초록) 아동기나 청소년기와 마찬가지로 성인기에도 발달의 단계가 있으며, 발달 과정에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중년기 특성에 관하여 중년기 위기는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으로 개인에 따라 위기 수준과 양상은 다양하다는 “위기이론”과 대부분의 중년에게 있어 중요한 발달의 시기이기는 하나 소수의 사람만이 위기를 경험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생에 있어 가장 행복한 시기를 보낸다는 “성숙이론”의 관점이 있다. 중년기의 발달과제는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평가하고 삶의 구조를 재조정하는 것이며, 개성화 (individuation)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것이다. 인생의 전반부에는 인격의 확장과 바깥 세계에 적응하기 위하여 외향적인 태도를 지향하는 삶을 살지만, 후반부에서는 내부지향적인 삶을 살게 되며 영적인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중년의 여성들은 신체적인 변화, 가족주기의 변화, 사회. 문화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자아정체성의 문제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인 중년기 위기는 기독여성들에게도 동일하게 찾아온다. 기독 중년여성들의 위기 수준과 위기 극복의 자원들을 찾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레빈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인발달 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영성에 대한 부분은 융의 개성화와 클라인벨의 전인건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10명의 기독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담사례를 통하여 고찰한 이론들을 접목해 보고자 하였다. “기독 중년여성의 위기와 영성의 상관성 연구”를 통한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는 발달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고 장기간에 걸쳐 있으며, 발달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중년기 위기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받아들여지며, 생산적으로 활용하여 인생의 황금기를 보내기도 하며, 침체에 빠져서 심각한 위기를 경험하기도 한다. 둘째, 중년기 위기는 각 개인이 중년기 이전까지 살아온 삶의 구조나 결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정체성의 위기로써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재평가하고 삶의 의미와 존재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동시에 인생의 오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면서 삶의 구조를 재조정하게 된다. 중년기 위기는 여러 학자들이 언급한 것처럼 종교적인 면과 깊은 관련이 있다. 셋째, 레빈슨의 성인발달에 관한 연구는 남. 여 양성에 대한 통합적인 것으로 성인 여성에 관한 연구의 초보적인 단계에서 그의 연구는 성인 여성의 발달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주었다. 전기적 면담법을 통한 연구의 결과에서 성인 여성들의 삶속에서 ‘성의 분리’라는 주제가 위기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밝혔다. 넷째, 영성이란 기독교인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며, 구체적인 삶 속에서 하나님을 체험하는 것이다. 융은 인생 후반부에는 내부지향적인 삶을 살게 되며, 자아를 찾아가는 개성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클라인벨은 영성은 전인건강의 꽃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영성은 전인건강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다섯째, 기독여성의 경우 영성적인 면은 중년기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자원이 된다. 10명의 기독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을 통하여 삶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기에 대하여 인지하고 해석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서 영성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는 개인의 삶을 풍성하게 하며, 호수 위에 동심원이 퍼져나가는 것처럼 타인에게도 복의 근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 된다.

      • John Gottman의 감정코치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4살 된 딸을 키우면서 가지는 양육의 어려움의 고민 속에서, 또한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가진 어머니들이 만나서 한결 같이 고민하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아이를 잘 키우고 싶고, 사랑하지만 그 방법을 잘 몰라서 헤매고 있는 나를 비롯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작은 바람에서 시작이 되었다. 유아들의 감정폭발이나 떼씀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할지 몰라 헤매는 많은 부모들의 고민에 도움을 주고자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참여자들은 3세 여아를 두고 있는 어머니 2명, 4세 여아를 기르는 어머니 4명이다. 본 연구자는 구체적이고도 효과적인 가트만(J. Gottman)의 감정코치법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감정코치법을 통해 부모 자녀간의 신뢰와 의사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였다. 본 논문은 자녀의 감정은 모두다 받아주고 인정하되, 행동은 제약을 두어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감정코치법은 무엇보다 어렵지 않고, 비교적 단기간에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스스로 고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게 됨을 통하여서, 스스로 양육 효능감을 가질 수 있어서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자녀를 키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모가 스스로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자신감을 가지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의 양육방법에 이끌려 간다면 자녀는 더욱 혼란스럽고, 힘들어 질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부모가 스스로의 양육 태도에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고, 가트만(J. Gottman)의 감정코치법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를 통해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양육 효능감을 가지고 자녀들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음을 알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트만(J. Gottman)의 감정코칭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일어나고, 나아가 부모들이 맞벌이 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의 물질적 지원 확대를 늘여 가는 것만큼 중요한 자녀의 심리적인 건강을 위해서, 자녀들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리고 가르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가족복지정책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ttman's emotion-coaching technique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 have many difficulties bringing up my four-year-old daughter. I know that many mothers have similar troubles. Parents love their children very much but are not sure how to raise them. I hope that this study helps many parents to bring up their children. To this purpose, the study employs critical incident sampling in the participants who are mothers of young children. Among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x mothers: two who have three-year-old daughters, and four who have four-year-old children. This study analyses Gottman's emotion-coaching technique which teaches parents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through emotion-coaching. Gottman's emotion-coaching says that parents have to accept their children's emotions but control their behavior. Above all, Gottman's emotion-coaching is not difficult and helps children to mend their faults in a short time. Also, parents can learn how to deal with their children's emotions and to have the ability to care for their children. If parents do not have confidence in caring for their children and are distracted by other parenting theories, children will become confused and have many troubl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parents have parenting-efficacy and it has been proven that Gottman's emotion-coaching improves parenting effectiveness. Finally, the study notes the necessity for more study of Gottman's emotion-coaching technique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 중년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애착 분석과 12단계를 중심으로 기독교 상담 적용

        박선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알코올중독 원인을 애착의 관점에서 이해하면서 12단계를 기독교 상담의 관점으로 적용함으로써 중년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와 삶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남성은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음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사회적 음주로 남성의 경우 심리적인 원인보다 사회 환경적 원인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 알코올 중독자들은 부부간의 갈등, 불안, 불면, 우울, 습관성 등의 심리적인 이유로 음주를 하게 된다. 또한 여성은 허전한 기분과 우울을 달래기 위해 음주를 시작하여 알코올중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 여성 알코올중독의 심리적 원인 중 애착 문제가 중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알코올중독의 회복에 있어서 애착의 회복과 단주를 위한 개입 방법인 초기 A.A. 12단계를 신학적으로 조명한다. 12단계는 성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성경을 살펴보는 것이 12단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중년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위하여 12단계를 중심으로 기독교 상담의 역할을 살펴본다. 그러므로 알코올중독 치료하는 중년 여성에게 일상생활에서 12단계를 적용함으로써 단주는 물론 삶의 변화를 도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ctor of alcoholism in middle-aged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 and the life of middle-aged women alcoholics change and abstentious living by applying the 12 step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In Korea, men generally tend to drink with many people. This is social drinking and, in the case of men, socio-environmental factors prevail over psychological factors in working men drink too much. However, female alcoholics drink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marital conflict, anxiety, insomnia, depression, and habits. In addition, women often start drinking to relieve empty feelings and depression and progress to alcoholis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ttachment promblem is important among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alcoholism in middle-aged women. This study first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factor of alcoholism in middle-aged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 Second, this study theologically illuminate the 12 step program of the Early A.A.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the recovery of attachment to drinking in the recovery of middle-aged women. The 12 step program is based on the Bible. Therefore, examining the Bible helps to understand The 12 step program. Third, this study looks at the role of Christian counseling centering on the 12 step program to treat middle-aged female alcoholics due to unstable attachment.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mote a changed life as well as abstentious living by applying the 12 step program in daily life to middle-aged women treat alcoholism among.

      • 한국교회 예배 갱신의 원리와 적용에 관한 연구 : 영성 회복을 통한 변화를 중심으로

        손영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배 갱신의 원리와 방향, 그리고 구체적인 적용에 관한 시도이다. 예배 갱신은 예배 본질로의 회복이다. 예배 본질이 회복되는 길은 영성 회복을 통한 변화로써 가능하다. 이 변화가 교회에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하는 동력은 예전적 영성을 통해 변화를 갈망하는 교회 공동체의 노력 즉, 예전적 영성 목회이다. 예전적 영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예전적 영성 목회가 성서와 초기교회 그리고 기독교 역사의 면면에 이어져 오면서 기독교 예배의 본질을 회복하게 하였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시도할 수 있는 예배 갱신의 방안으로서 예전적 영성목회를 공동체적 영성 회복을 통한 변화를 이루게 하는 목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로, 예배 갱신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예전적 영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다. 이는 오늘날 한국교회의 위기가 예배의 위기에서 비롯된 공동체적 영성의 상실로 인한 결과라고 판단하고, 영성의 회복과 예배와의 상관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가 예배 갱신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진단했기 때문이다. 둘째로, 예배 갱신의 방향으로 초기교회에 나타난 예배의 본질적 요소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예배에 대한 성서적, 교회사적 고찰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만남과 인간의 응답이 예배의 본질임을 파악하고, 초기교회의 예배가 그 본질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다고 분석했기 때문이다. 셋째로, 예배 갱신의 방식으로 예전적 영성 목회라는 목회 패러다임의 정립이다. 이는 교회의 궁극적 존재가치가 예배에 있으므로 예배를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경험이 교회 안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날 때 공동체적 영성이 회복될 수 있다고 보고, 그런 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넷째로, 예배 갱신의 실제로서 교회 공동체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예배의 모델을 제시한다. 이 예배 모델은 오늘날 한국교회 예배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모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두 가지 예배 갱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정립하였다. 첫째로, 예배를 통하여 교회 공동체의 영성이 형성되고 유지된다는 예전적 영성의 정립이다. 예배야말로 기독교의 공동체적 영성 훈련을 위한 가장 좋은 현장이 된다. 둘째로, 지속적으로 영성이 회복되고 삶의 변화를 점진적으로 일으키기 위한 예배를 만들고 준비하는 일에 교회 공동체 모두의 역량을 집중하자는 예전적 영성 목회의 정립이다. 영성 목회는 사람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교회 공동체의 행위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가 진행되었기에 영성 회복을 통한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되는 예전적 영성 목회는 비단 목회자 개인만의 목회가 아닌 교회 공동체 모두의 공동체적 행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opose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the proper worship renewal and the concrete application to it in order to solve the crises in the Korean churches. The worship renewal is to restore the nature of worship which can be achieved by the transformation through recovering spirituality. The central principle of this study is that worship is corporate spiritual formation, and worship is the most primary place where we as a church and our ministry can spiritually be formed through corporative worship since our worshipping together helps to form us spiritually. Worship really the workshop where the Holy Spirit works to transform us into the image of Jesus Christ so that we might praise and glorify God more fully and freely. Spiritual life and growth is a communal exercise and happens within the context of the community of God’s peop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will first deal with our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iturgical spirituality which become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worship renewal and the principles of spiritual formation through worship, becoming more attentive to the dynamics of God’s presence in worship, and understand how these experiences shape and change our lives as God’s people. Second, the study will examine the elements in the nature of worship in the early church for the proper direction to worship renewal, and moreover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communal transformation in corporative worship to better understand how that forms people spiritually in worship. Third, as a way of worship renewal, we will briefly suggest a new paradigm of liturgical ministry of spirituality for pastors to become practical theologians of worship who develop the reflective skills to create thoughtful worship. Finally, we will examine the formative and transformative functions of liturgical spirituality in corporative worship and suggest a new paradigm for the Korean church which is undergoing both inward and outward serious crisis in stopping its steady expanding and losing its social confidence.

      • 애착이론 관점에서 본 의존성 성격장애 :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이수연 계명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의존성 성격장애에 대한 기독교 상담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애착이론과 의존성 성격장애의 연관성을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인간은 어린 시절 양육자와의 애착 고리가 무너지면 평생 안정적인 애착을 갈구하게 된다. 이는 의존성 성격장애와도 연관성이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IV장에서는 불안정 애착과 의존성 성격장애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불안정 애착은 정신병리를 일으키는 위험 요소이다. 아이는 상실과 분리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면 과도한 집착을 보이게 된다. 또한 부모의 통제적이고 과잉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이의 자율성을 상실시키며 타인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자아상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애착 형성은 부정적 내적작동모델을 형성하게 되는데 안정되지 못한 내적작동모델은 세대에 걸쳐 전달된다. 부모에 대한 내적실행모델이 그 자녀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애착이론을 종교의 범위인 하나님과의 애착을 다루는 부분에 적용해 본다면 기독교 상담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고 V장에서 의존성 성격장애에 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을 제시하였다. 의존적 성격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관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Wayne은 의존적 성격 치료를 위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상담을 통하여 이기적인 그들의 의존욕구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성숙한 자리로 나아가도록 도와주는 순수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상담가가 가져야 할 태도라는 것이다. 또한 Dan Montgomery는 의존성 성격장애의 상담을 위하여 올바른 관계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격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인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조작이 아닌 진실성이 필요하며 자신의 의지를 넘어 성령께 순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의존성은 근본적으로 영적으로 고장 나고 병든 상태이다. 사람이 의존성에 빠진다는 것은 하나님이 아닌, 자신을 신으로 두고 섬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존성을 치료하는 길은 자신의 마음과 뜻과 몸을 모두 하나님께 드릴 수 있어야 한다. 관계에 집착하려는 유혹을 받을 때마다 계속해서 하나님을 향하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며,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것을 이겨나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애착이론을 바탕으로한 의존성 성격장애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이 의의가 있음을 제시했다. 의존성 성격장애에 대한 상담은 내담자로 하여금 타인에 대한 자각과 반응을 결정하게 하고, 사회적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내담자들을 조력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기독교 상담은 타인과하나님과의 신뢰를 재경험하고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내적작동모델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애착이론을 바탕으로하는 기독교 상담이 의존성 성격장애 상담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possibility of christian counseling for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based on attachment theory. To attain this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nection between Attachment Theory and Dependence of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a literary examination. When the bond of affection with a parent in childhood collapses, human beings have a lifelong desire for a stable attachment. This is also connected with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s. To prove this, connection between unstable attachment and dependence character disorder have been researched in the chapter IV. Unstable attachment is a perilous factor that causes mental illness. If you continue to experience loss and separation, the child becomes over-obsessed. Also controlled, overbearing parenting cause the loss of the child’s autonomy and creates the self-image of being dependent on others. This kind of attachment creates a negative internal working model. Unstable internal working models are delivered over generations. This is because the internal working model for parents affects their children. If attachment theory is applied to attachment with God, it is expected to be of research value. Therefore chapter V presented a Christian consultation on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Correct relationships are necessary to treat dependent personalities. For that reason Wayne emphasized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and counselee for dependent personality treatments. The attitude of a Christian counselor is not satisfying their selfish desires for dependency but helping counselee to get the right place and to have a pure mind through consultation. Furthermore Dan Montgomery stressed the need to establish a correct relationship for the treatment of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s. In order to do so, the character should be enlarged. To expand character, they need integrity, not manipulation and they need to obey the Holy Spirit beyond his will. Dependencies are fundamentally spiritually broken and diseased. Human fall into dependency because they serve themselves as God. The way to cure dependency is to give everything to God including the soul, body and mind. Whenever they obsessed with a relationship, they have to continue to seek God's help and overcome dependence through God's power. This study presented value of the Christian counseling through approach to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based on attachment theory. Consultation of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is necessary to re-examine trust with others and positively induc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internal working model. This Christian consultation helps the counselee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and rightfully response to others and God to adapt well to the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attachment theory could be used for counseling for dependency personality disorders.

      • 청소년기 자아정체감과 애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 상담 중심으로

        이덕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과 애착의 연관성을 탐색함으로 바른 정체감으로 형성시켜 나가고자 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에릭슨이 말하는 자아정체감 형성은 청소년기 주요 발달 과제이며 총제적인 자신에 대한 지각과 자신에 고유성, 독특성에 대해 안정감을 느끼는 것이다. 볼비는 안전기지의 중요성에 대해 제시하였고, 어린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정서적 유대관계는 패턴화 되어 내적작동모델이 형성된다고 말했다. 내적작동모델은 자신과 타인,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토대를 마련함으로 두 이론을 통합하여 본다며, 불안정애착의 청소년이 안정애착의 청소년 보다 자아정체성 혼란이 야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나 연구 결과 이것은 가능성일 뿐 질적자료에서는 정체성 형성의 확립 즉 방향성보다 수행과 직접적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심리학적 고찰을 통해 그 한계점을 살펴보았고 애착이론의 통합적인 관점으로 기독교 상담적 가치를 제시하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자아정체감에 대한 깊은 고민은 청소년의 실존적 고민으로 이어지는데, 이때에 기독 상담자는 청소년의 실존에 대한 고민을 공감하며,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통한 정체성 회복을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to form a correct sense of identity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elf-identity formation and attachment.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which Erikson says, is a major developmental task in adolescence, and is a sense of total self-awareness and a sense of stability in one's uniqueness and uniqueness. Bowlb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base, and said that th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major caregivers during childhood was patterned to form an internal working model. The internal working model looks at integrating the two theories by providing the basis for interacting with self, others, and society, and the possibility that self-identity confusion can be caused by adolescents with unstable attachment than those with stable attachments. However, research shows that this is only a possibility, and in qualitative data, it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identity formation. The limitations were examined through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and the Christian counseling values ​​were presented as an integrated view of attachment theory to help adolescents develop self-identity. The deep worries about self-identity lead to the existential worries of the youth. At this time, the Christian counselor sympathizes with the worries about the existence of the youth, a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uld be able to guide the recovery of identity through a personal encounter with God.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 여성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기독교 상담 : 폴링(James N. Poling)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선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principle of christian counselling to help sexual violence victims by researching phenomenologically the theory of power abuse by authority, the theory of sexual violence by James N. Poling, a real case study and by interviewing the victims about how they recognized the abuse. In Korean society where most victims of sexual violence are female, the patriarchal thought has been worked as a social mechanism that tries to hide and maintain sexual violence rather than regards it as a social crime or a human-rights violation. Feminists criticize the patriarchal social norms about sexual violence and demand that focus should be put not on the degree of victims' resistance against the offenders, but on whether there was any agreement according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spite of active social movements of sexual violence, churches maintain a silence about intra-church sexual violence, and have insufficient counselling institutes or consultants specialized in sexual violence and insufficient theological researches about it. Researching christian counselling to help sexual violence victims and not overlooking the feminism based on theology, the researcher actively accepted and examined the theory of Poling who is a theologist and pro-feminist. The researcher named Poling's theory that gave a definition, 'power abuse by authority is evil', as the theory of sexual authority.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Poling's class to discuss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is study and was supervised twice during the concretization of dissertation. It was not easy to contact research participants because of the topic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er came to visit or made phone calls to sexual violence consultation centers or related institutes to explain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study to the person in charge and to ask for arrangement of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arried out several times from April 2008 to March 2009. The researcher met 8 out of 11 connected participants in person, interviewed 2 participants via e-mail by their request and then their statement was repeated through a consultant, and interviewed an overseas participant via e-mail and telephone. 2 out of 8 direct participants could not join the interview to the end due to the psychological stress and personal matter and the interview with an overseas participant via e-mail and telephone was broken off due to the identified pregnancy that might not have a bad prenatal effect. Finally a total of 8 persons participated in research including 4 from Seoul, 2 from Daegu, 1 from Incheon and 1 from Gwangju. The researcher employe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hasizes personal experience and requires the suspension of judgment of the consultant and described what was drawn out from the participants' language as it is and re-interpreted it in the researcher's language. The sexual violence by sexual authority is a social crime. Sexual violence especially committed by pastors breaks of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nd is an anti-human crime(participant 1, participant 2 and participant 4), the reckless violence against mother and daughter, married women or full sisters, so a social regulator must be needed. The theory of sexual authority by Poling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sexual authority and in grasping the victims. Research participants are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s well as the resistants against evil. The deconstruction of social and religious myth related to victims' vulnerability was useful in grasping the reality of the offender and helped advance the point of resistance. The participants' nonviolent resistance is classified into 5 types ; 'opening' to the public by speaking, 'standing firm' before conciliation, 'rejection' like withdrawal, 'solidarity' with institutes and helping and 'supporting' other victims. These types of resistance are characterized by self-protection that contributes to escaping the feeling of helplessness and creating healthy inner self. Rediscovery of a resistance hero through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resistance becomes a role model of sexual violence victims and sources of resistance. The image of God revealed among research participants was mostly a positive image, suggesting that they projected the self-image that is overcoming or overcome, or an ideal self-image on the image of God. Research participants' forgiveness of offender looked like forgiveness of themselves, not one of the counterpart. The evangelical church as a community for victims is a good example and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image of God and forgiveness as a religious source for resistance. The researcher presented 5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necessary for sexual violence counseling ; the safety of victims, defining and naming the offenders, paying attention to the depth of damage a victim feels, arrangement of a meeting for victims and counseling the family of victims. The researcher presented, as attitude of Christian counsellors for victims, the definition of sexual violence from the victim's angle, the excavation and application of sources of resistance to counseling, the investigation of victim's vulnerability and the knowledge of the 5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offered by researcher. The purpose of Christian counseling for victims is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life itself, the creation of God, that is corresponding to the Christian counseling that aims at human transformation. The researcher clarified the similarity of form between the abuse of power a victim recognizes in the state of unbalanced power and the work of evil in sexual violence. The researcher also developed the theory of sexual authority a step further with focus on victims' nonviolent resistance by revealing the form and method of resistance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resistance for life itself. The originality of research is distinguishe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Christian counseling for sexual violence counseling, the purpose of Christian counseling for victims and the mention on the attitude of the counsellor.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exual violence victim-oriented and has limits concerning offender-related matters. However,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as an experimental research that sexual violence victims were interviewed in direct meeting and tak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gives hope to sexual violence victims and attempts to prevent sexual violence for potential offenders or victims. 본 연구의 목적은 폴링(Poling)의 성폭력 이론, 즉 권력에 의한 힘의 남용이 실제 성폭력 사건에서 어떻게 작용되었으며 성폭력 피해자들이 어떠한 형태로 인식하는지 인터뷰하고, 그 결과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성폭력 피해자를 돕기 위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여성 성폭력 피해자가 대부분인 한국 사회에서 가부장적 사상은 성폭력을 사회적 범죄나 인권 침해로 생각하기보다 은폐시키고 유지하는 사회적 기제로 작용하였다. 이에 여성주의자들은 성폭력에 대한 가부장제의 사회적 규범을 비판하고 성폭력 사건을 피해 여성의 저항의 정도가 아니라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에 의한 동의 유무에 초점을 두도록 요구하고 있다.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인 활발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교회 내 성폭력에 대해 침묵을 유지하고 있으며 성폭력 상담기관이나 전문 상담자가 부족한 실정이고, 신학에서의 성폭력에 대한 연구 또한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신학을 바탕으로 여성주의를 간과하지 않으며 성폭력 피해자를 돕기 위한 기독교 상담을 연구하기 위해 신학자이자 여성주의를 옹호하는 폴링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권력에 의한 힘의 남용은 악’이라 규정한 폴링의 이론을 성폭력이 성을 매개로 힘을 남용한 악이라는 점에서 성 권력 이론이라 명명하였다. 연구자는 폴링의 수업에 참여하면서 본 논문의 취지와 내용에 대해 토의하였고 폴링으로부터 2회에 걸쳐 구체적인 논문지도를 받았다. 연구 주제의 성격상 연구 참여자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아 대구 및 서울의 성폭력 상담소와 관련 기관을 내방 또는 전화 통화하여 담당자들에게 본 논문의 취지와 내용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자의 주선을 의뢰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는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수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결된 11명 중 8명의 참여자를 직접 만났고, 2명의 참여자는 참여자의 요청에 의해 이메일(e-mail)로 인터뷰한 후 상담자를 통해 재진술 되었으며 해외의 1명은 이메일과 전화로 인터뷰하였다. 직접 만난 8명의 참여자 중 2명은 심리적인 불안정과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끝까지 인터뷰에 참여하지 못하였고, 이메일과 전화로 인터뷰하던 해외의 1명은 임신이 확인되어 태교에 좋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하에 인터뷰가 중단되었다. 최종적으로 총 8명의 연구 참여자가 본 논문에 참여하였고 지역별로는 서울 4명, 대구 2명, 인천 1명, 광주 1명으로 집계되었다. 연구자는 개인의 경험을 중요시하고 상담자의 판단중지를 요하는 현상학적인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에서 추출한 내용을 그대로 기술하고 연구자의 언어로 재해석하였다. 성 권력에 의한 성폭력은 사회적인 범죄 행위로서 특히 목회자 성폭력은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어미와 딸, 유부녀, 친자매 등 그 범위를 가리지 않고 성폭력을 일삼는 반인륜적인 범죄행위(참여자1, 참여자2, 참여자4)이므로 반드시 사회적인 통제 장치가 필요하다. 폴링의 성 권력 이론은 성폭력 구조를 이해하고 피해자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폭력의 피해자이자 악에 대한 저항자이다. 피해자의 취약성과 연관된 사회․종교적 신화 파괴는 가해자의 실체 파악에 도움이 되었고 저항의 시점을 앞당길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비폭력적인 저항은 말하기를 통한 ‘공개하기’, 회유에 넘어가지 않고 ‘버티기’, 탈퇴 등의 ‘거부하기’, 기관과 ‘연대하기’, 다른 피해자를 도우며 ‘지지하기’의 다섯 가지 형태이다. 이러한 저항의 형태는 자기보호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보호는 무력감에서 벗어나게 하여 건강한 내적 자기 창출에 기여한다. 저항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한 저항의 영웅 재발견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역할 모델이 되어 저항의 자원이 된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하나님 이미지는 대부분 긍정적인 이미지로서 자신이 극복하는 모습이나 극복되어지는 모습 또는 이상적인 자신의 모습을 하나님 이미지에 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가해자에 대한 용서는 상대방을 위한 용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한 용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피해자를 위한 공동체로서 복음주의 교회는 좋은 모델이 되며 하나님 이미지, 용서와 함께 저항의 종교적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자는 성폭력 상담에 필요한 다섯 가지 기독교 상담 원리로 피해자의 안전, 가해자 규정하여 명명하기, 피해자가 느끼는 피해의 깊이에 주목하기, 피해자를 위한 모임의 장(場) 마련하기, 피해자의 가족 상담하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피해자를 위한 기독교 상담자의 자세로 피해자 입장에서 성폭력 정의하기, 저항의 자원을 발굴하여 상담에 활용하기, 피해자의 취약성 파악하기 그리고 연구자가 제시한 다섯 가지 기독교 상담 원리에 대해 숙지하기를 제시하였다. 피해자를 위한 기독교 상담의 목적은 하나님의 피조물인 생명 그 자체로서의 존엄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인간의 변화를 지향하는 기독교 상담에 상응한다. 연구자는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피해자가 인식하는 힘의 남용, 즉 성폭력에서 악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형태의 유사성을 밝혔고, 피해자의 비폭력 저항에 초점을 두어 저항의 형태와 방법, 생명 그 자체를 위한 저항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성 권력 이론을 한걸음 진보시켰다. 성폭력 상담을 위한 기독교 상담 원리와 피해자를 위한 기독교 상담의 목적, 그리고 상담자의 자세에 대한 언급은 연구자의 독창성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 중심의 연구였으므로 가해자에 대한 많은 부분에 대해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성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하고 논문의 주제로 삼은 실험 연구로서 큰 의미를 지닌다. 성폭력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에게는 희망을, 잠재적 성폭력 가해자나 잠재적 피해자들에게는 성폭력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유아기 부모애착이 하나님 表象과 하나님애착에 미치는 관계

        이문경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rough Bowlby’s attachment theory, Rizzuto’s God’s representation, and Kirkpatrick’s hypothesis about attachment to God, this research studied the relationship of parent attachment in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for conducting and providing Christian counseling methods based on them. Attachment theory means reaching a condition that seeks accessibility for people they love, it means pursuing and exploring a life plan.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attachment figure helps individuals explore the external environment confidently. The attachment experience during an early childhood is encoded in their hearts, and i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others as a psychological symbol; therefore, it is depends on material affluence and a parent’s expectation and attitudes on them. The result of attachment formation becomes the basis of forming individual’s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refore, parents should help their children who are born with uneasiness to feel stability and to be able to challenge towards the world with courage and adventurous spirit. If we apply attachment theory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it becomes sufficient motivation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od. Children come to think of God as a psychological subject who can be a security base when they face crisis and difficulties, so the attachment formation with God built through individual’s emotional background would be defined as God’s attachment. The attachment behavior towards God would be the combined effects of internal working model, including instinct as God’s creations and parent’s representation formulated through experience during a childhood. Having attachment relation with God would mean recovering the symbol of God a father and forming an eternal relationship with him. In attachment with God, human beings tend to pursue the safety, achieve mature belief, and develop faith. Therefore, the religiosity of people is decided in the early attachment relation. As the attachment theory develops through a whole life, attachment towards God also either can turn to matured or regressing faith through parents guidance for God’s representation, individual’s religiosity development, religious experience, and repentance. Like this, attachment and religious development are connected closely. Through the correspondence of God’s attachment and compensation hypothesis, human beings believe in God who is personal and omnipotent, and who wants to give compensation in return. The key to bring back people who turned a way from God is the eternal love of God. Through the process of repentance, unsecure attachment can turn to secure attachment. Attachment to God really means to get close to God, trying to resembling him, practicing love for neighbors and God, and living a happy and thankful life together with God and neighbors in a community. God loves human beings and desires to have a good connection with them. God tells us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him through Jesus, and to live a life with his abundant love. Now, the choice depends on humans. 본 연구는 유아기에 경험되는 부모애착이 하나님 표상과 하나님애착에 미치는 내용을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과 리주토(Ana-Maria Rizzuto)의 하나님 표상, 커크패트릭(Lee A. Kirkpatrick)의 하나님애착에 대한 가설을 중심으로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그에 따른 기독교 상담 방안을 연구하고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애착이론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접근성을 추구하고 상황에 잘 적응하여 살아가고, 삶의 계획을 추구하고 탐색 할 수 있는 편안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다. 애착대상과의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는 자신감을 갖고 외부환경을 탐색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안전기지를 제공한다. 유아기의 애착경험은 유아의 마음속에 부호화되고 이후의 삶에서 정신적 표상으로서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물질적인 풍요뿐만 아니라 부모가 자녀를 향한 정신적 꿈과 태도, 질에 대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애착형성의 결과는 인간의 정서적 안정성과 대인관계의 중요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부모는 불안에서 출발하는 생명체 곁에 함께 하면서 자녀들이 안전감을 느끼고 용기와 탐험과 모험을 가지고 세상을 향해 도전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애착이론을 하나님과의 관계에 적용해보면, 하나님과의 새로운 신앙적 경험은 하나님과의 긍정적인 관계로 전환 할 동기를 이루기에 충분하며, 하나님은 심리적인 중간대상으로 위기와 고난가운데 하나님을 안전기지로 삼고 안전한 피난처로 삼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개인의 정서적 배경을 통해 하나님과 관계를 맺을 때 나타나는 애착특성을 하나님애착으로 정의한다. 하나님에 관한 애착행동은 하나님의 창조물로서의 본능임과 동시에 유아기의 부모경험으로 인하여 생성된 부모의 표상과 그로인해 내재화된 내적작동모델의 종합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하나님에게 애착을 갖는 것은 죄로 인하여 하나님형상을 상실함으로 애착행동을 통해서 하나님형상의 회복과 하나님과의 영원한 관계를 맺으려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애착에서도 인간은 생존과 안전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발달학적인 관점에서는 성숙한 믿음과 신앙의 발달을 이루어 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종교성은 초기 애착관계에서 결정되며 애착이론이 전 생애를 통하여 발달의 과정을 거치는 것처럼, 하나님애착도 부모로부터 전가된 하나님 표상과 더불어 그에 따른 개인의 종교성의 발달과 종교경험, 회심을 통하여 개별적인 종교적 경험에 근거하여 성숙한 신앙 혹은 퇴행하는 신앙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처럼 애착과 종교는 긴밀한 방식으로 연결되어있고, 하나님애착에 대한 일치와 보상 가설을 통하여 인간은 사적이고 유용한 하나님을 믿음으로써 보상받으려 하는 것이다. 이에 잃어버린 하나님의 사람들을 돌아오게 하는 핵심적 요소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이며, 이는 회심의 과정을 통해서 불안전애착이 안정애착으로 전환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하나님애착은 결국 하나님형상을 상실함으로 단절되어버린 하나님께 가까이 가고, 닮으려 노력하는 애착행동을 통해서 하나님형상의 회복과 하나님과 영원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을 실천하고, 공동체 속에서 하나님과 이웃과 함께 즐거워하며 기뻐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하나님은 인간을 사랑하고 인간과 관계 맺기를 갈망하시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과 관계를 회복하라고 하시며, 풍성한 하나님의 사랑으로 인생을 살기를 원하신다. 이제 선택의 몫은 인간의 과제로 남겨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