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와 원작 영화의 비교 분석을 통한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 연구

        김은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와 원작 영화의 비교 분석을 통한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 연구 지도교수 이효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석사 과정 김은우 원작 영화를 바탕으로 재창작되는 대부분의 뮤지컬의 경우, 원작 작품에 비해 드라마가 탄탄하지 못하다는 평을 듣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로저 코먼(Roger Coman)감독의 영화 <공포의 꽃가게>Little Shop of Horrors(1960)와 하워드 애쉬먼(Howard Ashman)과 앨런 멘켄(Alan Menken)이 재창작한 동명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1982)의 비교 연구를 통해,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영화와 뮤지컬 공연이 갖는 매체의 속성이 다르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극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에서 두 장르는 확연히 구별되는 경향을 띤다. 우선 영화의 경우, 일반 ‘말’(word)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등장인물의 숫자나 다각적으로 펼쳐지는 사건에 구애받지 않고 극을 전개할 수 있다. 반면 뮤지컬의 경우, ‘노래’를 주된 재료로 대사 뿐 아니라 노래 가사 또한 드라마로 간주하여 극을 전개한다. 그러므로 드라마를 전달받는 관객의 입장에서는 말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전개하는 영화에 대한 이해도가 더 풍부하고 높은 편이다.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는 원작 영화를 바탕으로 재창작 된 뮤지컬들 중, 타 뮤지컬 작품들의 모범이 되는 작품이다. 왜냐하면 영화라는 매체와 구별되는 속성을 극복하고, 원작 영화의 드라마를 훼손하지 않는 상태에서 효율적인 내러티브 구성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에는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를 통하여 하워드 애쉬먼과 앨런 멘켄이 대본 각색과 노래 작곡을 통한 극적 감동을 위해 어떠한 전략들을 수립하고 실천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방법으로 원작 영화에서 사건과 인물의 ‘압축’과 ‘생략’ 과정을 통해 간결해진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의 드라마 구조를 구스타프 프라이탁(Gustav Freytag)의 ‘프라이탁 피라미드 이론’에 적용하여 작품을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더 발전시켜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과 크리스틴 톰슨(Kristin Thompson)의『영화예술』중 ‘영화형식의 원리들’의 다섯 가지 일반적 원리에 <공포의 꽃가게>의 드라마를 적용시켜 그 원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는 원작과는 달리 사건과 등장인물의 수가 압축과 생략 그리고 재창조되었음에 불구하고, 유기적인 극의 전개 구조와 요소들을 갖춘 이상적인 작품이라는 분석으로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키워드 <공포의 꽃가게>, 로저 코먼, 앨런 멘켄, 하워드 애쉬먼, 구스타프 프라이탁, 데이비드 보드웰, 크리스틴 톰슨, 뮤지컬 내러티브, 뮤지컬 각색, OSMU

      • 국공내전 시기 해파(海派)영화 연구 : 정치적 담론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김서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文研究的是中国国共内战时期在上海制作的一系列的上海电影。国共内战时期是指第二次世界大战结束以后,新中国成立以前 1945年-1949年这一段时间内,国民党与共产党之间展开内战的一个历史性阶段。这是国民党的政权逐渐走向瓦解,共产党的力量逐渐得以稳固的时期。国共内战时期具有崩溃的经济与混乱的政治格局等主要特征。这样一种‘社会性要因’直接影响到上海电影界,‘社会性要因’同时又带动着‘当代的观念’的变化。这两大因素使上海电影在国共内战时期与其它时期表现出不一样的形态。同时,上海作为当时中国的政治文化中心,并且因其百余年的租界历史,上海的文化形态与上海人的认知都与当时中国其他地区有明显的差异。这样一种独特的上海文化形态同样直接并一直影响着上海电影,使其与其他地区的电影或上海其它时期的电影产生差异。本文便在‘海派文化’这样一个大的框架下考查了上海电影与海派文化之间的关系和国共内战时期的海派电影。 由于战争的影响和政治权利的介入,上海电影成为一个宣传政治思想的平台或道具。但上海电影与当时其它地区(如长春,重庆)教条的露骨的政治话语表达不同。由于国共两党的纷争其政治话语相对隐晦,这种隐晦的政治话语的形象化便构成了海派电影独特的艺术表达。 本文分5个章节展开了对国共内战时期的上海电影的研究。第一章为绪论,概括了本文研究的宗旨,方法及目的。第二章整理并叙述了中国国内的研究现状。第三章着重考查了作为上海电影文化根基的海派文化,阐述分析了海派文化与上海电影之间的关系,并试着对海派电影做了一个具体定义。第四章作为本文的本论,首先较为详细的分析了国共内战时期海派电影政治化倾向的原因与形态。再以海派电影的文化含义与icon为切入点较为详细的分析并论述了达成国共内战时期海派电影独特的政治话语形象化的方法。 본고는 국공내전 시기 상해에서 제작한 일련의 상해영화를 연구한 것이다. 국공내전 시기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이전 1945년~1949년 사이에 국민당과 공산당과의 내전이 벌어지는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에는 국민당의 정권이 점차 와해되고 공산당이 점차 지지받았던 시기이다. 국공내전 시기는 경제 붕괴와 정치 상황의 혼란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인’은 상해영화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와 동시에도 ‘당대의 관념’의 변화를 이끌어 나갔다. 이 양대 요인은 국공내전 시기 상해영화를 다른 시기 상해영화와는 다르게 만들었다. 상해는 당시 중국의 정치, 문화 중심이었으며 백여 년에 이르는 조계 역사가 있어서, 상해의 문화 형태와 상해인의 인지는 당시 중국 기타 지역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특이한 상해 문화 형태도 상해영화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해파문화’라는 큰 틀에서 상해영화와 해파문화와의 관계, 그리고 국공내전 시기 해파영화를 고찰하였다. 내전의 영향과 정치 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해파영화는 일종의 정치적 사상을 선전하는 플랫폼 혹은 도구가 되었다. 하지만 국공내전 시기의 해파영화는 당시 타 지역(창춘長春, 총칭重慶)의 교조적이고 노골적인 정치적 담론의 표현과는 달랐다. 국공 양당 간의 분쟁 때문에 국공내전 시기 해파영화의 정치적 담론은 상대적으로 교조적이지 않고 은밀하였다. 이러한 은밀한 정치적 담론의 형상화는 해파영화만의 독특한 예술적 표현을 낳았다. 본고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본고의 연구 취지, 방법과 목적을 요약하였다. 제2장은 중국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제3장은 상해영화의 문화 토대로써의 해파문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해파문화와 상해영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해파영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를 시도하였다. 제4장은 본고의 본론으로써 국공내전 시기 해파영화의 정치적 경향의 형성 원인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파영화의 문화적 의미와 아이콘을 중심으로 독특한 정치적 담론의 형상화를 이루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논술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the Shanghai films made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period. The Chinese Civil War period took place after World War II,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was an internal war between the Nationalist Party, and the Communist Party, that lasted from 1945 to 1949. This was the period when the Nationalist Party's power started declining being abandoned by more and more people with time, and the Communist Party started getting recognized by more people. The Chinese Civil War period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collabor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and political chaos. Therefore, these ‘social factors’ had a direct impact on the Shanghai film industry. At the same time, it also lead to a change called the ‘Idea of that age’. These two factors make the Shanghai films produced during the civil war period different, compared to other periods. The city of Shanghai was China's political and cultural core at that time. Also, it had a very long history of hundreds of years of concession. Due to this, the culture in Shanghai, and the mindset of the people living in Shanghai, was different from the people living in other regions of China. Such unique culture also served as a big influence on Shanghai film, making it relatively exclusive compared toother films. Hence, this study used "Shanghai culture"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nghai films and the Hai-Pai culture. At the same time, further examining the Hai-Pai films produced during the Civil War. After being influenced by the civil war, and the feud for political power, the Shanghai films were used as a platform to propagandize the political rationale. Nevertheless, the Hai-Pai films produced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period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films in other regions such as Changchun and Chongqing. Due to the dispute between the two political parties, the Hai-Pai film’s political language ended up becoming relatively obscure. Yet, this covert political discourse has served as a unique artistic expression of Hai-Pai films. This paper is divided into5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that includ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ethods used, and objective of this analysis. The second chapter briefly describes the research situation in China.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examining the Hai-Pai culture, which serves as a foundation of the Hai-Pai films. This chapter also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i-Pai culture, and Shanghai film. It also includes a more specific, and concrete definition of Hai-Pai film. The fourth chapter is the main analysis of this paper. First, I analyzed the purpose of creation, and aspects of Hai-Pai film's political tendencies, during the civil war. Then, I elucidated that the Hai-Pai film's how to successfully shape the political discourse through the Hai-Pai film’s Culture Connotations and Icons.

      •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와 원작 영화의 비교 분석을 통한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 연구 : x

        김은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록>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와 원작 영화의 비교 분석을 통한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 연구 지도교수 이효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석사 과정 김은우 원작 영화를 바탕으로 재창작되는 대부분의 뮤지컬의 경우, 원작 작품에 비해 드라마가 탄탄하지 못하다는 평을 듣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로저 코먼(Roger Coman)감독의 영화 <공포의 꽃가게>Little Shop of Horrors(1960)와 하워드 애쉬먼(Howard Ashman)과 앨런 멘켄(Alan Menken)이 재창작한 동명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1982)의 비교 연구를 통해, 뮤지컬 내러티브 기법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영화와 뮤지컬 공연이 갖는 매체의 속성이 다르기 때문에, 그 중에서도 극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에서 두 장르는 확연히 구별되는 경향을 띤다. 우선 영화의 경우, 일반 ‘말’(word)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등장인물의 숫자나 다각적으로 펼쳐지는 사건에 구애받지 않고 극을 전개할 수 있다. 반면 뮤지컬의 경우, ‘노래’를 주된 재료로 대사 뿐 아니라 노래 가사 또한 드라마로 간주하여 극을 전개한다. 그러므로 드라마를 전달받는 관객의 입장에서는 말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전개하는 영화에 대한 이해도가 더 풍부하고 높은 편이다.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는 원작 영화를 바탕으로 재창작 된 뮤지컬들 중, 타 뮤지컬 작품들의 모범이 되는 작품이다. 왜냐하면 영화라는 매체와 구별되는 속성을 극복하고, 원작 영화의 드라마를 훼손하지 않는 상태에서 효율적인 내러티브 구성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에는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를 통하여 하워드 애쉬먼과 앨런 멘켄이 대본 각색과 노래 작곡을 통한 극적 감동을 위해 어떠한 전략들을 수립하고 실천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방법으로 원작 영화에서 사건과 인물의 ‘압축’과 ‘생략’ 과정을 통해 간결해진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의 드라마 구조를 구스타프 프라이탁(Gustav Freytag)의 ‘프라이탁 피라미드 이론’에 적용하여 작품을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더 발전시켜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과 크리스틴 톰슨(Kristin Thompson)의『영화예술』중 ‘영화형식의 원리들’의 다섯 가지 일반적 원리에 <공포의 꽃가게>의 드라마를 적용시켜 그 원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뮤지컬 <공포의 꽃가게>는 원작과는 달리 사건과 등장인물의 수가 압축과 생략 그리고 재창조되었음에 불구하고, 유기적인 극의 전개 구조와 요소들을 갖춘 이상적인 작품이라는 분석으로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키워드 <공포의 꽃가게>, 로저 코먼, 앨런 멘켄, 하워드 애쉬먼, 구스타프 프라이탁, 데이비드 보드웰, 크리스틴 톰슨, 뮤지컬 내러티브, 뮤지컬 각색, OSMU

      •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교육방안 : 초·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욱기 새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중 양국의 정치, 경제, 교육 등 분야에서의 빈번한 교류와 한류의 영향 등으로 인해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대폭 늘어난 상황에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관형어에 있어서 중국어는 한국어와 그 언어적 특성이 다름으로 인해 형태적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교착어인 한국어는 체언은 물론 용언인 동사와 형용사까지도 관형형 어미와 결합하여 관형어를 구성하는 반면 고립어인 중국어는 한국어의 체언 관형어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구조조사 ‘的’와 결합하여 관형어를 구성한다. 또한 관형사는 한국어에만 있고 중국어에는 없는 품사이며, ‘구별사(区别词)’는 중국어에만 있고 한국어에는 없는 품사인데 이러한 품사설정의 차이에 의해서도 학습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교과서를 제외하고 기댈 수 있는 유일한 책이라고 할 수 있는 문법책에서도 관형어에 대해 따로 다루지 않고 있어 관형어 사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들을 빚어내고 있다. 본고는 한국어능력 수준이 초급에서 중급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관형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학습자의 한국어 관형어의 사용 실태 조사를 통해 오류를 유발시키는 원인과 학습자들이 교수·학습에서 바라는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한국어 관형어 지도방안을 제시 하였다.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법 교육은 중국어의 특징과 차이점을 고려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이해를 도와야한다. 본고는 기존의 학습모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완하기 위해 각 범주의 특성을 고려하여, 3장의 학습자 요구와 사용오류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용언에 의한 관형형 어미를 중심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도입 단계-설명,대조 단계-연습 단계-활용 단계 네 단계로 나누어 학습환경을 고려한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관형사형 어미‘-은,-는,-ㄴ,-던,-었던’을 이해시키기 위해 정확한 개념 설명에 앞서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유의어 개념의 어휘를 이용하여 비교·대치 통해 개념이해를 돕고 미묘하고 복잡한 개념 설명을 심화학습을 통해 마지막에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는 연구대상을 초·중급 학습자로 제한을 두어 제시했다는 점에서 제한성을 갖고 있는데 더 폭넓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고급학습자를 위한 객관적인 연구 자료 또한 제시되길 바란다.

      • 지아장커 영화의 리얼리즘 스타일 연구

        펑몽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네오리얼리즘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영화 혁신 사조다. 이는 곧 기존의 모든 관례나 틀을 깨고 영화 예술가가 스스로 현실생활을 관찰하고 사색하며 진솔한 자세로 현실을 직시하기 위한 취지이다. 영화 이론가 앙드레 바쟁은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리얼리즘 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지아장커는 6세대 감독의 대표적 인물로, 꾸준히 사실적 창작 이념을 고수하였으며, 객관적인 롱 테이크(Long Take)를 통해 시대의 변화와 그 변화 속 ‘변두리’에 있는 인물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리얼리즘은 지아장커의 창작 태도이자 영감의 원천이다. 지아장커의 리얼리즘 미학의 계승과 발전은 앙드레 바쟁의 네오리얼리즘의 영화 이론에 대한 실천일 뿐만 아니라, 그가 견지하고 있는 생활 본색을 환원하는 리얼리즘 정신과 휴머니즘의 배려에 있다. 지아장커는 사회의 원상태를 본인의 입지와 영상 소재의 근원으로 삼고, 자신의 어린 시절 환경에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하층민들에 대한 인물조성과 고향 소도시의 묘사를 통해 사회 전환기의 중국 소도시의 가장 사실적인 모습을 일부분 재현하였다. 지아장커는 비직업 배우를 기용해 각 지역의 사투리로 대화하게 하고, 중국 당시 시대 배경에 맞는 노래를 삽입해 대중매체, 대중문화가 당대 중국인에게 미친 영향을 반영하였다. 본고는 지아장커의 십여 년 동안의 영화 작품에 근거하여, 리얼리즘 미학을 이론적 기초로 하고, 지아장커의 리얼리즘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우선 서론 부분에서 연구 목적, 선행연구, 연구의 의미를 요약하였다. 제 2장에서는 중국의 사회적 배경과 중국 영화의 발전 과정, 6대 감독의 영화 스타일, 지아장커의 개인적 성장 과정과 경험, 지아장커 영화 스타일의 형성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어 제 3장은 리얼리즘 미학의 각 요소를 통해 지아장커의 리얼리즘 스타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 예능프로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포하엽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한국과 중국은 경제,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중국인 학습자는 늘어나고 있다. 외국어 교육 과정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 등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어휘 교육은 외국어 학습의 시작 단계부터 필요한 구성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의 최종 목표는 실질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에 있다. 어휘는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 어휘의 습득이 모든 언어활동의 시작이 된다. 어휘교육은 한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가장 기초와 기본이 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휘력 신장을 목적으로 어휘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그 가치와 목적 면에서 한국어교육의 기본적인 활동이 된다. 그러나 단순한 어휘 지도 방법으로 어휘력을 신장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학습자들의 수준을 고려하면서 그들의 한국어를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법이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대중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담론은 1980년대 후반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시대가 변하면서 매체 언어를 어휘 교육에서 큰 영향력이 있다는 것은 두렷한 사실이다. 예능프로는 여러 매체 중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자주 접하는 매체로서 현재 한국의 사회·문화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언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예능프로는 흥미로운 영상이나 음향 등을 포함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집중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런데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예능프로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매체를 활용한 연구 대부분 한국어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한 것이 많다. 사실은 예능프로에 나타난 어휘는 오늘날 언어사용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며, 또한 일상 언어생활에 큰 변화와 영향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 중 풍부한 한국어 언어, 문화를 함축하고 있는 예능프로를 활용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어휘력 신장 수업 모형을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통해 어휘 지도의 중요성과 매체 언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의 어휘 지도의 원리를 살피고 다음으로 영상매체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여 어휘 지도에 있어 예능프로가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찾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먼저 예능프로가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될 적합성을 찾아보았다. 예능프로는 중국인 학습자가 학습에 있어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흥미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활용된다. 예능프로의 선정 기준을 정하고 수업 자료로서 예능프로에 있는 어휘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도 설명한다. Ⅳ장에서는 실제 자료로서 ‘런닝맨’이 한국어 어휘 교육에 활용 의미를 찾아보았다. ‘런닝맨’을 활용한 중국인 초,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 모형을 운용하기 위한 어휘 지도 수업을 구성하였다. 한국어 어휘 지도수업 모형의 구성 단계는 ‘보기 전-보기-보기 후’로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제 2언어 교수에 중요한 부분은 어휘 지도이다.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을 위해 교사가 교과서 지도 외에 다른 보조 자료 지도를 필요한다. 독서 활동을 할 때는 지루하니까 학습자들은 생소한 단어나 어휘가 나왔을 때 심각하지 않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영상 매체가 보조 지도 자료로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런닝맨’과 같이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현실성이 포함되는 예능프로는 학습자들의 학습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현재 학교에 교과서 위주의 수업 지도는 매우 과학적이지만 예능프로를 활용한 어휘 수업 지도는 훌륭한 보조 수단이다.

      • '독립운동 재현' 장르영화의 탈식민주의적 분석 : <암살>과 <밀정>을 중심으로

        김현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5년 개봉한 최동훈 감독의 <암살>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그리고 뒤이어 2016년 개봉한 김지운 감독의 <밀정> 역시 다양한 국가에서 상영되며 일제강점기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두 편의 영화와 함께 2010년대 중반 한국에서 일제강점기는 다양하게 재현되며 지속적으로 등장했다. 이로 인해 일제강점기는 한국 역사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역사적 시기이자 사실로 위치했고, 해방 이후 간헐적이었던 일제강점기 재현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제강점기를 향한 관심이 대중적 차원으로 표출되는 현상은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역사영화가 점차 자유로운 장르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해방 이후 역사영화가 활성화되었던 1960년대까지 영화는 정부의 주도하에 국가기조를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일정 정도 수행했고, 그 중에서도 역사영화는 과거 재현 과정에 당대적 의미망을 투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정치, 경제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영화산업 역시 변화하며 특정한 목적을 띤 영화 제작은 줄어들었고,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자유로워진 역사영화는 다른 장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다시 입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역사영화의 범주 확장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아래로부터의 역사, 혹은 미시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역사영화에서 자주 소환되지 못했던 일제강점기는 새로운 역사관에 부합하는 매력적인 역사로 떠올랐다. 이에 더해 일제강점기에 대한 사회적 차원에서의 논의는 일제강점기와 이 시기를 재현한 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암살>과 <밀정>은 이러한 상황을 기반으로 등장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 더욱이 두 편의 영화는 친일파에 대한 심층적 재현으로 일제강점기 식민주체들의 관계를 더욱 사실적으로 그리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일제강점기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접근으로 볼 수 있으며, 두 감독은 탈식민주의적 접근과 함께 장르적 관습을 차용함으로써 두 작품을 흥행에 성공시켰다. 즉, 두 영화는 각각 케이퍼 무비와 스파이 스릴러 영화의 스타일을 통해 내러티브의 설득력을 확보하며 대중장르영화로서 성공적으로 위치할 수 있었던 것이다. Director Dong-hoon Choi's 2015 film Assassination, a movie abou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highly praised and successful. Director Jee-woon Kim's The Age of Shadows that followed the year after also premiered in many countries stirring up public attention on topic of the Japanese annexation. Over and above these two, numerous films appeared on the screen, in the mid-2010s, depicting the events of Japanese annexation in Korea. Due to this, Japanese annexation has become historical time and fact that cannot be detached from the historical films of Korea. And since our liberation, what used to be sporadic at best, the representation of the Japanese annexation has been ongoing. This phenomenon of such massive public interest on the Japanese annexation stemmed from many causes. One, historical films are becoming more of an unbound genre. Since our liberation through the 60s when the genre of historical films became more active, the industry of film making operated as a channel to deliver the keynote of the n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 In the course of representing that past, historical films were vigorously utilized in the regard that they could project the semantic network of that time. However, such current diminished as the film making industry changed along with the shifting politics and economy, and by the 1990s, historical films broke free from ideological restrictions and attempted new things, just like other film genres, and succeeded. The expansion of the category of historical films based on the expansion of awareness of our history. As the interests in the notes from the underground or microhistory increased, the subject of the Japanese annexation, which was not often mustered in historical films, became an attractive piece of history that fits our new view on history. What’s more, what used to be mere discussions on social level became a full on attraction to films on the Japanese annexation. On the basis of these circumstances, Assassination and The Age of Shadows emerged and aroused our interest in our liberation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Furthermore, these two movies represented pro-Japanese groups in Korea in depth to more realistically depic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at the time. These attempts are postcolonial approaches on the Japanese annexation and the two directors were able to triumph through postcolonial approach and appropriation of genre convention. In other words, each of the films captured the power of persuasion of the narratives through the style of caper movie and thriller film, respectively, and fruitfully take a position as public genre films.

      • 한국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속독 훈련 방안 연구

        왕빈천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매체의 종류와 읽어야 하는 양이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람의 읽기 시간은 단축해야 된다. 그리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가 인터넷을 통해 엄청난 양의 지식과 정보를 얻고 있다. 점점 늘어나는 최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중국과 한국의 교류도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에서 한국어 읽기 교육은 체계적인 연구가 없고 교육 방안도 부족하다. 교사들은 전통적인 문법 번역식 방법을 여전히 사용하고 속독 지도 기술에 대한 연구도 부족해서 학습자의 읽기 속도 증가시킬 수 없고 학습 효과를 충분하게 획득할 수 없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읽기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속독 기술을 가르쳐서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고 읽기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속독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부족하다. 본고의 1장에서 국어 속독에 관한 연구와 영어 속독에 관한 기존연구를 살펴보고 속독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 속독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기존 속독의 개념, 한글 속독과 영어 속독의 차이 및 속독의 과정을 바탕으로 속독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러고 나서 속독 교육과 일반 읽기 교육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 먼저 설문 조사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기준의 읽기 속도를 밝힌다. 둘째, 속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셋째, 외국어로서의 영어 속독 방법을 참고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속독 지도 방법을 찾고 연습사례도 작성했다. 속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읽기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요인과 속독 시 장애가 되는 습관 두 방면으로 고찰하였다. 읽기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요인은 문맥을 통한 어휘 유추의 어려움, 무리짓기의 어려움, 찾아 읽기의 어려움, 훑어 읽기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속독시 장애가 되는 습관은 퇴행 습관, 단어를 하나하나 읽는 습관, 모국어 번역습관, 음성화 습관, 정신 집중력 부족 등이 있다. 속독 지도 방법 부분에서 읽기 속도, 어휘 인지, 무리짓기 훈련, 훑어 읽기, 논리 전개 구조 훈련, 문화적 배경지식 활용 6 가지 방면으로 검토하고 실제 연습사례를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언급한 속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및 속독 지도 방법에서 제시한 내용은 영어 속독과 국어 속독에 관한 내용을 참고하여 한국어 속독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고 한국어 속독 방법을 가르칠 때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규칙도 찾으며 연습사례를 들어간다. 속독 지도 방법에 따라서 실제 연습 사례가 있지만 본고에서 수업 모형을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진행할 때 연습 사례를 하나하나 참고로 수업 방안을 스스로 작성하기 바란다.

      •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의사소통 전략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공신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의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업에서 의사소통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의사소통전략의 활용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의사소통전략은 말하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인 초급 학습자가 대화상 사용하는 회피전략이나 모국어전환과 같은 대화회피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많이 쓰는 교재를 분석한 결과 대화 관리 전략과 담화 차원의 전략 두 가지 임을 알 수 있다. 이 두 가지 전략은 교재 속에서 많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대화관리 전략과 담화 차원의 전략은 중국인 초급학습자들이 모국어를 번역하는 회피전략 보다 실제로 효과가 있다.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 입장에서 볼때 말하는 것은 다른 영역보다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언어 지식의 부족은 초급 학습자에게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불안 상태로 놓이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습자는 ‘회피전략’이나 ‘모국어의 사용’등과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태도는 학습자 본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가지의 전략인 대화 관리 전략, 담화 차원의 전략, 의미 교섭 전략, 보충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을 교사가 수업중에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또한 교재에 이런 전략의 사용이 활동 중심으로 나타난다면 초급 학습자들이라도 의사소통 전략을 지니게 되어 훨씬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이 대화관리 전략과 담화차원의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국인의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이 쉽게 한국어 말하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의 전략인 ‘대화 관리 전략, 담화 차원의 전략, 의미 교섭 전략, 보충 전략’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을 교사가 수업중에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또한, 교재에 이런 전략의 사용이 활동 중심으로 나타난다면 초급 학습자들이라도 의사소통 전략을 지니게 되어 훨씬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시키고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제시하고 있는 전략과 활동들이 실제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이 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채 제시하는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이 실제로 향상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실에서 학습시키고 훈련시킬 수 있는 더욱 다양한 의사소통전략과 활동에 대한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과정을 통해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전략의 활용과 의미 있는 활동이 생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대상 학습자를 초급으로 한정하고 있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새로운 모델과 방안이 향후에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