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한(中韓) 집합주택 내부형태 비교에 관한 연구 : 2013년 이후에 지어진 톈진시(天津市)와 수원시 집합주택을 중심으로

        서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 인구는 발전이 빠르고 인구 수량이 많으며 심각한 고령화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주택의 가격과 건설 수량이 크게 늘었다. 다수 일반 가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2005년에 중국 국무원 사무회의는 ‘국6조’를 발표하였다. 중국은 주로 중、저가격 아파트와 중、소형 주민 아파트를 발전시켜 전반적인 집값의 원가하락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공급면적 90㎡이하의 중소형건축 면적은 건설 총면적의 70%이상 되고 있다. 그래서 중소형 주택 내부형태 개선방향은 중국 현재 주택 설계에서 가장 큰 문제이다. 한국 대도시의 인구 밀도는 중국과 유사하지만 집합 주택의 평면에서 중국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한국 현대 집합 주거의 디자인이 중국보다 이른 시기부터 발전하였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 방면에 있어 모두 앞서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집합 주거의 내부형태 발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고, 양국 현대 집합 주거 내부형태의 평면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설계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부분을 도출하고 중국의 사회·문화적 경향을 고려하여 실제 적용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계 및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집합주택에서 현관, 주방, 수납공간의 개선 방향의 결론을 내렸다.

      • Analysis on Spatial Characters by the establishment of Samsung Semiconductor Campuses : Case study of Hwaseong, Giheung, Pyeongtaek and Onyang Campuses

        AASHIR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은 중국, 대만에 이어 세계 3위의 반도체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의 약 17.9%를 차지한다. 특히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반도 체 제조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한국을 대상으로 화성, 기흥, 평택, 그리고 온양. 이벨트는 지역 통합을 강화하고 한국의 도시 경관을 다양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산업단지 주변지역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들 캠퍼스의 건 설이 공간적 성격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고층 아파트 단 지의 개발, 주거용, 상업용 및 산업용 토지 용, 보행 네트워크 및 그 장애와 함께 주요 상업 브랜드의 존재가 특징입니다. 연구는 위성영상분석과 육안관찰을 결합하여 거시분석과 미시분석으로 나누어진다. 거시분석은 토지이용과 구역변경 패턴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미시분석은 캠퍼스 설립 전후의 주거단지와 상업브랜드의 존재 여부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 캠퍼스 4곳의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삼성 반도체 캠퍼스 주변의 아파트 수가 수년에 걸쳐 특히 일반주거 부문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본 연구는 신도시에 건설된 캠퍼스가 기존 도시에 건설된 캠퍼스보다 주변 지역의 공간적 네트워크와 연결성이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업 발전이 교외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산업으로 인한 도시 변화를 관리하는데 정부와 도시 계획가에게 지침을 제공합니다. South Korea has the world's third larges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after China and Taiwan, and it accounts for about 17.9% of the world's total semiconductor production capacity. With South Korea being a global leader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articularly concentrated in the Gyeonggi-do regio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spatial and urban changes induced by the creation of the K-Semiconductor Belt, which includes campuses in Hwaseong, Giheung, Pyeongtaek, and Onyang. This belt aims to enhance regional integration and diversify South Korea’s urban landscape. The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areas of these industrial complexes, revealing that the construction of these campuses has led to substantial changes in spatial characters.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land usage, walking networks and its hindrances along with the presence of major commercial brands. Using a combination of satellite image Land Use K-Semi Conductor Belt Zoning Changes Samsung Campuses analysis and visual observation,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macro and micro analyses. The macro analysis provides an overview of land use and zoning change patterns, while the micro analysis focuses on the presence of residential complexes and commercial brand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ampuses. This study articulat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Samsung campuses. The research shows the number of apartments around the Samsung semiconductor campuses has seen substantial growth over the years, especially in the general residential sector.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campuses who were constructed in the new towns had better spatial networks and connections in their neighborhoods than the ones who were established in already existing towns. This study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impact of industrial development on suburban areas,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offers guidance for governments and urban planners on managing industrial-induced urban transformations.

      • 저층주거지 정비사업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전주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서울시의 저층주거지는 1980-1990년대 다세대 다가구 주택 도입을 통해 형성되었다. 빠른 주택공급을 위해 건축규모, 세대수 완화와 건폐율·용적률 완화로 주택의 고밀화를 초래하며 주거환경의 다양성과 쾌적성이 훼손되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년 이상 노후화된 저층주거지 정비사업이 경제성 부족의 이유로 사업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재생의 패러다임이 시작되면서 대규모 정비사업에서 소규모 정비사업의 흐름으로 사업의 형태가 변화하게 되었다. 2017년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주택공급의 목적으로 등장하며 2022년 3월 까지 서울시에서는 195개소에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주택공급 목적 외에 노후 저층주거지 재생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사업 활성화를 위한 건축규제 완화, 추진절차 간소화, 공공지원 확대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공공 및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완료된 사업을 대상으로 개발특성을 파악하고,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제도의 활용성 검토와 제도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사업이 완료된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23개소의 대상지의 대상지 특성, 계획적 특성,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대상지 특성으로는 대부분 제2종일반주거지역에 개발되나,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 간의 용도지역 종류, 인동간격, 접도조건, 대지경사 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로주택정비사업 보다 건축설계 및 일조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계획적 특성 또한 가로주택 정비사업은 대부분이 공동주택(아파트)로 개발되고,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대부분이 다세대주택으로 개발되어 사업 간의 건축물 용도, 건폐율 및 용적률, 층수, 지하층 존재 여부, 주민공동시설 및 부대시설 조성여부, 조경·공지면적, 세대수, 세대당 주차대수에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주거환경측면에서 불리하게 개발됨을 확인하였다. 제도적 특성에서는 서울시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 조례에 의한 제2종일반주거지역의 7층 층수제한으로 대부분이 건축규제완화를 받지 못하였으며, 대부분 추진절차를 간소화 받아 사업기간이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공공지원 확대의 경우 대부분이 공공의 지원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대상지 현황과 개발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정비 시 기반시설에 대한 추가적인 계획이 없어 기존 저층주거지의 문제점이 반복됨을 확인했으며,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또한 일부 활용이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노후 저층주거지에서 재생의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사업 시 세대수 증가에 따른 기반시설 확보에 대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사업별로 개발되는 건축물 용도에 따른 별도의 인센티브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건축규제 완화 항목에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법 제도와 각 지자체 조례가 상충하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가 적극 활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층수제한에 관련된 부분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완료된 구역을 대상으로 대상지, 계획적, 제도적 개발특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노후 저층주거지 정비사업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연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Low-rise residential neighborhoods in Seoul were established in the 1980s and the 1990s, when multi-family housing was introduced. To provide adequate housing for the growing population, the diversity and comfort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Seoul were adversely impacted, due to the reduction in siz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reduction of building and floor area rates.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improvement project of low-rise residential housing that were more than 20 years old, has not been carried out due to lack of resources. And at the same time, the paradigm of regeneration had begun, and the large-scale improvement projects were replaced by small-scale projects. In 2017,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ppeared for the purpose of housingsupply, and until March 2022, the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195 locations throughout Seoul. In addition to providing additional housing supply,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have the effect of regenerating old low-rise dwellings. Thus, various measures to revitalize the industry and increase resident participation were implemented, such as easing of building regulations, simplification of procedures, and increasing support through public resource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or projects that have completed thei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in Seoul, to review the use of system in place f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nd to derive policy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sites, their project plans, and the policies for 23 target site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a city block and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analyzed. Most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n Seoul were developed in residential areas in the class-II district-unit planning zon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e area types, intervals, access conditions, and land slopes which were more favorable to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acity block projects than to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in planning,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a city block projects were developed as multi-family houses, while most of the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ere at a disadvantage in terms of building use, building rate and floor area, number of floors, construction of residential facilities, and parking per household. It was confirmed that, even for buildings in the same use area, the planned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building.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building regulations were not eased due to the seven-story restrictions of vacant houses and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ordinances in Seoul and most projects had shortened periods due to simplified project procedures. As for expansion of public support, most of the projects received public support. When examining the status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issues with the existing low-rise residential neighborhoods were repeated because there were no additional plans for infrastructure during improvement, and policies and the use of such business revitalization were sca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to have an impact of regenerating aged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a plan to secure infrastructure necessary to suppor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s necessary. Second, it is expected that a separate incentive plan is needed for the use of buildings developed for each project of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Third, there is a need for reassessment of the construction regula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restriction of additional floors, becaus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legal provisions o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which is preventing their use towards revitalization of proj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implication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sites, planning,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for areas wher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completed. Th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research o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s such projects are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 용산 국가공원 조성을 위한 계획 방향 연구 : 미국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유다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용산 국가공원 조성계획의 과정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접근성 결여, 자연환경복원, 공원조성계획수립 과정의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공원부지의 규모, 오랜 역사와 공간의 가치를 견줄 수 있는 미국의 대규모공원(센트럴파크, 보스턴커먼, 로어맨해튼 수변공원, 시애틀 수변공원)조성 사례를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산 국가공원 조성사업은 “2004년 용산미군기지 이전협정 국회 비준안 통과”를 시점으로 본격화되어 “용산 국가공원 조성 특별법” 제정과 국토교통부의 종합기본계획이 발췌되면서 2009년 용산 국가공원 아이디어 공모전, 2012년 용산 국가공원 설계 국제공모를 통하여 비전과 전략이 세워졌으며, 현재 종합기본계획 수립단계로 국토교통부 산하의 장관이 임명한 정부위원 8명과 민간위원 30명이 주요사항에 대한 의결 보고를 하고 있다. 2020년 3월 국토교통부는 민간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참여단 300명을 운영하고 있다. 우선 먼저, 용산 국가공원조성계획의 과정과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용산 국가공원 조성계획의 주요 내용과 이슈 사항으로서 주변지역의 접근성 부분을 조사하고, 토양오염복원의 중요성을 되짚어 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현황과 쟁점 사항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미국의 공원 조성사례의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살펴보면, 센트럴파크는 자연환경복원 부분에서, 보스턴 커먼 퍼블릭 가든은 역사의 중요성과 가치를 깨우치고 독립성을 기념한 부분에서, 시애틀 수변공원은 조성과정에서 주변지역과 공공공간의 연결성, 접근성 부분에서 통합적으로 관리시스템을 운영한 부분에서, 로어 맨해튼 수변공원은 기존의 낙후된 시설을 재리모델링하여 지역의 특징을 살리고 가치창출을 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특히, 미국의 공원 조성과정은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과 함께 협의 단계를 거쳐 단기적, 장기적으로 목표계획수립을 구체화시킨 부분은 용산국가공원조성계획 과정에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lack of accessibility,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ark development plan, which are issues in the process of the Yongsan National Park development plan, were considered. This study tried to suggest directions by comparing the cases of large-scale parks (Central Park, Boston Common, Lower Manhattan Waterfront Park, and Seattle Waterfront Park). The Yongsan National Park development project began in earnest with the passing of the National Assembly’s ratification of the 2004 Yongsan U.S. Military Base Relocation Agreement, and as the “Yongsan National Park Creation Special Act” was enacted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comprehensive master plan was extracted, the 2009 Yongsan National Park Idea Contest, In 2012, the vision and strategy were established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design of the Yongsan National Park. Currently, 8 government members and 30 private members appointed by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re in the stage of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master plan. In March 2020,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ivate participation and is operating a public participation group of 300 people. First of all, the accessibility of the surrounding area as the main contents and issues of the Yongsan National Park Development Pla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Yongsan National Park Development Plan and the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importance of soil contamination restoration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directions for each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park creation examples. Looking at it, Central Park is a part of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Boston Common Public Garden is a part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value of history and commemorates independence, and Seattle Waterfront Park is integrated in the connection and accessibility of surrounding areas and public space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part of operating the management system as a waterfront park, it is meaningful that the Lower Manhattan Waterfront Park remodeled the existing outdated facilities to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create value. In particular, in the US park development process, citizens participate together to share ideas, discuss and discuss, and the short-term and long-term goal planning can be materialized as a model for the Yongsan National Park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 건축입면과 조화로운 옥외광고물 계획에 대한 연구

        김민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이 건물 입면의 일부로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두고 있다. 현재 국내의 거리에는 수많은 옥외광고물로 인해 거리의 경관이 저해되고 수많은 정보가 노출되어 있어 혼란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또 옥외광고물에 의해 건물의 입면이 물리적으로, 시각적으로 잠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외광고물의 특징과 종류를 분석하고 현황을 파악하여 옥외광고물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현재 발생되고 있는 옥외광고물의 일반적인 문제와 도시건축적인 문제를 정리하였다. 현재 서울시의 상업건물에 설치되어있는 옥외광고물의 현황에 대한 평가연구를 통한 계획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사례를 선정하고 비교분석평가를 진행하였다. 현황 조사를 위한 대상 거리를 선정하기 위해 강북지역과 강남지역을 구분하고 선정에 있어서 생산보다 소비 활동을 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서울 지역별 방문빈도를 기준으로 외국인이 많이 방문한 지역의 특화거리를 각 지역별로 두 곳씩 선정하였다. 강북지역에서 명동과 인사동이 선정되었고 강남지역에서 강남역과 잠실이 선정되었다. 해당 지역의 특화거리의 옥외광고물을 조사하였고 입면의 현황 파악을 위한 사례 선정은 조사된 옥외광고물의 현황에서 개수의 평균값과 가장 근접한 수를 기준으로 하고 동률 시 평균 층의 규모까지 일치하는 입면을 선정하였다. 선정 된 사례를 평가하기 위해 옥외광고물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를 도시건축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건축미관성, 도시경관성, 공해성, 안전성, 기능성의 5가지로 기준을 설정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현재 옥외광고물은 건축미관적으로 아직 규격화되지 못하고 입면 내에서 광고물이 점유하는 면적이 크다고 볼 수 있고 도시경관적 측면에서는 표기된 정보량이 다소 많고 거리나 점포의 특징을 전달하기에 부족함이 있다고 보였다. 공해적인 측면에서는 개수나 크기가 크고, 조명의 방식이 대부분 전체 조명으로 발광면적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안전적인 측면에서는 조명의 방향이 대부분 보행자를 향해있고 강북지역에서 노후 된 광고물이 비교적 많이 보였다.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광고물의 형태가 너무 획일적이고 재질 또한 흔히 볼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런 내용을 토대로 상업건물의 입면과 옥외광고물이 조화를 이루기 위한 계획 방향 중 기본 계획 방향은 사람이 이미지를 인지하는 과정인 게슈탈트 이론에서 말하는 배경과 도형의 역전현상을 이용해 입면과 옥외광고물이 교대로 인식 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세부 계획 방향에서 정량적인 고려로 연립간판의 방식을 이용해 크기와 개수가 정량적인 유지를 목표로 하고 정성적인 고려로 옥외광고물의 채도나 광택 등의 시각적 자극 요소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 적용 방안에서는 각 평가요소에서 도출된 다섯 가지 주안점에 대해 디자인 적용 방향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방향을 토대로 예시안을 계획하였고 예시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뒤 연구를 진행하며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비 방향과 주안점을 서술하며 연구를 마무리 지었다.

      • 업사이클링 자원순환과정을 적용한 자원순환센터 공간에 관한 연구 : 비교 분석 평가모형 활용을 바탕으로

        김효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쓰레기’ 혹은 ‘버리는 과정’를 건축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는가에서 출발한다. 오늘날 쓰레기 문제는 세계적으로 떠오르는 이슈 중 하나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과 공간들은 쓰레기를 배출하며 자연환경에 광대한 파괴와 손상을 주고있다. 현대의 산업 구조는 경제성장을 추구하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이로 인해 여러가지 귀중한 것들이 사라져버렸다. 그 중에는 인간과 생태계의 안전, 문화적•자연적 풍요로움, 심지어 기쁨과 환희 같은 중요한 가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몇 가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산업방식과 물질은 부지불식간에 자연을 고갈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쓰레기 문제를 디자인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쓰레기 처리의 개선과 재생의 도구로서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원순환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공간창출, 시나리오 구성, 사회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 조사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쓰레기를 줄이려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많은 대안이 제시가 되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전략이라고는 보기 힘들다. 초기에 논의된 자원순환 시스템은 단순히 ‘덜 나쁜 것’을 의미할 뿐 쓰레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요람에서 요람으로’,’가치 상향형’의 자원순환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원순환시스템과 업사이클링 자원순환시스템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프로세스 측면, 인식적 측면, 사례비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프로세스 측면에서는 ‘열린 시스템’과 ‘닫힌 시스템’의 비교를 통해 ‘닫힌 시스템’의 경우 폐자원의 가치상향성과 친환경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식적 측면에서는 설문내용의 성격에 따라 인지성, 친환경성, 선호도, 경제성, 시장성 등의 5가지 요소를 통해서 바라보았으며 업사이클링은 재활용에 비해 친환경성, 선호도, 시장성 등에서 우위를 보였으나 인지성에서 비교적 낮은 평가가 나왔다. 사례비교에 앞서 평가모형을 만들어 비교 대상끼리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이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기존 자원순환시설과 달리 업사이클링 시설은 도심에 위치 할 수 있으며, 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이점도 지니고 있다. ‘업사이클링 자원순환센터를’을 공간적으로 계획하기 위해 비교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과 방향성을 가지고 공간계획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관습적인 시스템에서 벗어나 ‘닫힌시스템’의 패러다임을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시스템을 구성해보았고, 업사이클링에 대한 교육, 홍보, 제품판매를 통한 경제적 측면과 공공성, 바이오매스 및 퇴비화 시설을 통한 친환경 및 에너지 생산측면에서 고려된 계획안을 마련하였다.

      • 대형가족을 위한 공동주거 공간설계의 연구 : 중국 삼대가족의 아파트 생활패턴을 중심으로

        유욱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중국은 노령화와 소자화의 심각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새로운 주거 형식이 형성하고 있다. 이중에 도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삼세대 가족이 이루는‘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는 현재 중국에서 제일 자주 보인 거주 형식이다. 최근에는 아이를 돌보고 노인을 봉양하고 비용절약 등 여러 요소 때문에 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의 수량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각 세대의 동거로 인한 거주 문제도 많이 발생하였다. 더욱 완벽한‘삼대가족형 아파트’주거설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주로 중국 심천시의 삼대가족형 아파트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실제 사례를 분석 및 귀납하여 중국 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 설계의 경험을 기타 학자에게 참고자료로 제공한다. 본 논문은 먼저 중국 유관 부서와 전문영역에서 발표된 문헌을 통하여 중국 사회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현재 중국의 노령화로 인한 거주 문제를 정리한다. 다음에는 중국 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의 현황 분석을 위주 하여 현재의 주거문제 및 개선방안을 정리한다. 중국 심천에 있는 아파트 거주자들의 인터넷 설문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거주자와 설계자의 시점으로 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의 수요를 정리한다. 마지막에 앞글의 통계 결과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의 학습 경험과 결합하여, 주로‘영역설계’와‘가변설계’ 두 가지 방면에서 거주자들의 요구를 만족 할 수 있는 5가지 전략과 방법을 귀납 정리한다. 동시에 중국 삼대가족형 아파트 주거의 미래를 예측하며 금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Research on Optimizing Strategies for Inclusiveness of Neighborhood Public Spaces in Historic Districts : A Case Study of Dashilanr Area in Beijing, China

        FANDONGHUI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optimizing the inclusiveness of neighborhood public spaces in historic districts, with a focus on the Dashilanr area in Beijing, China. With the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and city renewal, public spaces in historic districts face multiple challenges such as reduced social interaction, loss of cultural heritage, and lack of functional diversity. Through field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system co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public spaces in Dashilan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proposes a series of strategies to enhance inclusiveness, including increasing social spaces, promoting cultural preservation, enhancing visual and aesthetic appeal, ensuring functional diversity, and fostering community engagement. These strategies not only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paces in historic districts but also promote social equity and community cohesion.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urban planners and policymakers, offer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erences for creating more inclusive and sustainable public spaces in historic districts.

      • 중국 도시마을(Urban Village) 도로 개선 전략에관한 연구 : 선전(深圳) 지역의 도시마을을 중심으로

        장아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경제 글로벌화와 급속한 도시화의 배경에서 전 세계의 많은 도시에서 대량의 이주자 정착촌이 등장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도시 문제를 동반하였다. 도시마을은 중국 특유의 이주자 밀집 주거 지역일 뿐만 아니라 도시 재생의 중점 대상이기도 하며, 도시마을의 도로 재생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이 된다. 중국의 도시마을 문제에서 도로 문제는 비교적 대표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로 재생은 이미 선전(深圳) 도시 건설의 가장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었고, 선전의 도시 재생에 있어 도시마을의 도로 정비는 가장 주요한 시행 대상이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 자료 검색, 현장 조사, 설문 조사를 통해 기초 이론과 정비 이론의 연구 방법을 결합시켜 선전 도시마을 도로의 속성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해당하는 도로 정비 전략을 제시한다. 본고는 선전 도시마을이 발생한 거시적 배경과 건설 특징을 근거로 하여 세 개의 시간대로 구분하여 선전 도시마을의 발전과 진전에 대하여 요약한다. 도로 특징, 건축 특징을 논의하고 역사 문화, 도로 시스템, 공공 교통, 완행 교통, 정적 시스템, 건축 입면 등 6개 측면에서 현재 도시마을 도로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요약한다. 본고는 도시마을의 도로 재생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정리하며 도시마을의 도로 재생을 재조명한다. 도시마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오류를 바로잡고 발전, 미학, 상호 관계 측면에서 선전 도시마을의 재생 가치를 분석한다. 공생적 이론, 유기적 이론을 중심으로 역사 문화, 도로 시스템, 공공 교통, 완완행 교통, 정적 교통, 건축 입면에 대한 정비 전략을 제시한다. 다른 연구와 비교하여 본고의 혁신성은 도시 시스템의 관점에서 선전 도시마을 도로의 문제를 정리하고 수평적, 수직적 측면에서 재생 전략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선전 도시마을 도로 재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개별적 측면에서 도시마을 도로의 독특한 특징을 바탕으로 선전 특징에 부합되는 도시마을 도로 재생 전략을 제시하며, 공통성 층면에서 중국 도시 가운데서 재생 사례가 가장 풍부하고 재생 문제가 가장 방대하고 잡다한 선전 도시마을 도로 문제를 통해 기타 도시의 도시마을 도로 재생에 계발과 인도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사한 국내외 도시들의 이주자 밀집 주거 지역 도로 개선 문제에 대한 참고를 제공한다. In the context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rapid urbanization, a large number of immigrant settlements have emerged i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ccompanied by various urban problems. The Urban villages in the cities are both a unique migrant settlement in China and a key target for urban renewal, and an in-depth study of street renewal in villages in the cities will be the key to solve the related problems. Among the problems of villages in cities in China, street problems are more typical, and street renewal has long been the most important part of urban construction in Shen zhen. In all the renewal practices in Shen zhen, streets as in cities are the primary objects to be renewed. This study combines the research methods of basic theory and renewal theory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to sort out the attributes and problems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Shenzhen and propose corresponding renewal strategies. This paper outlines the evolution of urban villages in Shenzhen in three time periods based on the macro background of their emergence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It describes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cities and analyzes and summarizes the current problems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cities from six perspectives of history and culture, street system, public transportation, slow traffic, static traffic, and building facade. This paper summariz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cities and rethinks the renewal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cities. It reverses the misconceptions about urban villages in cities and identifies the values of the renewal of urban villages in Shenzhen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of development and aesthetics. Guided by symbiosis theory and organic renewal theory, the renewal strategies of historical culture, street system, public transportation, slow traffic, static traffic, and building facade are proposed. Compared with other studies, this paper innovatively composes the problems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Shenzhe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system, and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renewal strategy from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rough the study of street renewal in villages in Shenzhen, the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street renewal in urban villages in cities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henzhen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cities in terms of personality. In terms of commonality, it allows the streets in urban villages in Shenzhen to give inspiration and guidance to other cities with the richest regeneration practices and the most complicated regeneration problems in the country, while providing references for cities at home and abroad to deal with similar street transformation problems in areas with migrant populations.

      • Assessment of Urban Form and Walkability in Microdistricts of Baku

        DASHDAMIRLI NARMIN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Sustainable transportation cho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rucial in the global effort to reduce carbon footprints and build energy-efficient cities. The link between urban form and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well-documented, with consensus that some urban form parameters can encourage walking while discouraging automobile use. Many countries are improving pedestrian accessibility through walkable neighbourhood designs and urban mobility initiatives, in accordance with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However, this issue is overlooked in countries with little expertise with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uch as former socialist states. In Azerbaijan, there are a few research on walkability-related factors of urban form, which limits knowledge in this area. This thesis tackles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walkability of microdistricts in Baku, Azerbaijan. The study uses the Walkability Index, GIS-based methodologies, and field observations to investigate key factors such as land use mix, street connectivity, and residential density.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variation in walkability between microdistricts, with land use mix highlighted as a crucial determinant. The study emphasizes the obstacles presented by car-centric infrastructure, poor pedestrian facilities, and a lack of designated bike pathways. The study indicates that improving walkability necessitates place-based planning policies, improved pedestrian infrastructure, mixed-use development, and a reduced reliance on cars.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urban planners and policymakers in Baku and other post-Soviet cities with similar urban layouts, underlining the necessity of human-centered urban design to create vibrant,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