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생활시설의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철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has researched influences of these factors about job attitude, through these mainly factors who treated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facilities employees for the disabled, in former researches. And it has a purpose that they want to enhance job attitude by searching alternatives to enhance job attitude For achieving the purpose, at this study, we choose 221 people of living facilities employees for the disabled, and conclusion got in the study is as follows. It appears that the degree of overall job attitude has declined, though job attitude of living facility employees is similar to the job factor degree of social worker. And in a general feature, rate of female i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 married of their thirties is mainly occupied, most of employees have executed religion activity. Regular job has mainly occupied large parts of work forms I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features of living facilities, the order of job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Importance of work, feedback, task identity, skill variety, autonomy. And autonomy 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The order of organization features is as follows. Facility environment, colleague, salary. About living facility employees of the disabled, in subordinate factors, implied satisfaction index and extrinsic satisfaction are similar an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x, emotional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maintenance commitment usually have a similar index. In main factors of influencing job attitude, it appeared as important factors by the order that importance of work, task identity, skill variety, feedback and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by the order that colleague, facility environment. And it has been also defined that autonomies and salaries are not influenceable to job attitude. On the basis of this survey, somethings are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job attitude in the living facility of the disabled. There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job which could definitely grasp personal duty is necessary for efficient distribution and administration of excessive business. Second, it's necessary affair conditions that living facility employees for the disabled could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Must be ready this. Third, time of seminars and service debates is needed for accomplishing natural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of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is for the disabled, so errors which could generate must be to a minimum by grasping their mental, emotional, and bodily features. Forth, in the case of policy, in living facility we must prepare the legal foundation for guarantees of a person's status, improvements of working conditions involving low pay, low quality of working conditions, overworking and overtime. Like above, we need endeavors for improving job attitude of employees as access method of systematic management of organization system than individualized access method involving job adjustment, staff welfare, personal factors for improving job attitude of the facility employees.

      •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감정노동이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감정노동이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전문적인 치매 케어 인력으로 자리매김하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요양보호사가 지니는 치매태도는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과 돌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요양보호사와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치매태도와 함께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가지는 자기효능감과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두고, 이것이 치매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장기요양기관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14명 설문조사 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가지는 치매태도는 보통에서 약간 만족수준의 정도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평균 수준에서 약간 만족수준정도로 보이며 감정노동은 평균 수준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차이는 월수입 변수에서, 감정노동의 차이는 성별, 최종학력, 치매노인관련 교육변수에서, 치매태도의 차이는 신체적 건상상태, 월수입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자기효능감, 치매태도와는 부적상관관계를 자기효능감은 치매태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 감정노동이 치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매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치매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치매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치매태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올리기 위한 기관의 노력, 동기부여, 직원융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둘째, 감정노동 직군이니만큼 기관에서 근로와 휴식의 구분, 상담, 심리프로그램 등 정신건강 관리하는 시스템의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처우를 위한 신체적・심리적 건강지원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과 정책적인 노력이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on dementia attitudes of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and establishing themselves as professional dementia care personnel. The dementia attitude of caregiver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service and care they provide.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trend of studies related to nursing care workers, it is true that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along with dementia attitud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ow this affects dementia attitudes was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surveyed 214 caregivers working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entia attitude of nursing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was found to be moderate to slightly satisfying. Self-efficacy appeared to be slightly satisfied at the average level, and emotional labor appeared to be at the average level. Second, the difference in self-efficacy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monthly income variables,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gender, final education, and dementia-related education variables, and monthly income variabl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labor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dementia attitud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mentia attitud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of nursi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the more positive the dementia attitude, and the higher the emotional labor, the more negative the dementia attitude. Based on this study, if a plan for improving the dementia attitude of caregivers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suggested, firs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institutional efforts, motivation, and staff integration to raise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caregivers; Second, since it is an emotional labor job,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prepare a m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such as division between work and rest,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programs in institutions. Third, measures to support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for the treatment of caregivers Various support and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it.

      •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행동특성과 인생태도 유형과의 관계

        김재훈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cognize life position quality, behavior characteristic quality, behavior characteristic and life position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 the relationship of behavior characteristic and life position of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y and to explore the promotion of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 and life position quality, mental health quality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uch like those of critical situations. The results of analysis and investigation about 69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attending at after-school academie in Ulsan metropolitan city are the following: First, there appeared meaningful impact of grade, vocational presence of parent, economic level of family after investigating level difference of behavior characteristic caus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Second, there appeared meaningful impact of parental divorce, a period of separation caused by death, vocational presence of parent, economic level of family after investigating level difference of life position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Third, there appeared high relevance of other-affirmation in parent, self-affirmation and other-affirmation in a sense of alienation, self-denial and other-denial in stimulation pursuit, self-affirmation in school life, self-denial in self-regulation and self-affirmation in career choice after investiga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characteristic cause and patterns of life position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elf-affirmation and other-affirmation simultaneously by directing life position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positively, approach plan and some relating suggestions will be followed: First, it will be in need of executing self-growth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y youth. Second,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social works which can be used for specialized counseling and supporting and for fostering specialized counseling faculties at the school. Third,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study room, local centre for children and after-school academie for youth in order to support after-school activities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and to give them educational opportunity and meal service. Forth,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ement of single-parent family function and to prepare programs for relational improvement between parent and their children. Fifth,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parent-education for effective fostering. Sixth,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service for mental and educational support as well as economic one. Seventh,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construction of local community networks and its activation for forming more rigid local social welfare community and for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civic and public dimension in order to support the single-parent family with limited resources. Finally, there should be follow-up studies which able to figure out specific practical plans for helping form life position of single-parent family youth positively and which able to compare general youth who have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with single-parent family youth and to compare difference of formational cause of single-parent family that was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 지적장애인들의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욕구에 관한 연구

        전영우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ability by parents' attitude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service which is area obstacle, though parents has right comprehension and awareness, various desire about service may be expressed. That this research is enforcing profession reprise enterprise of cloth pipe that is Kyongbuk area 10 obstacles to area disabled person's parentses who is using 9 disabled person cloth pipes and 8 disabled person independence support centers grasp degree of parentses' awareness that is area obstacle about profession reprise service process and terminology examined awareness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and latent faculities and expectation level, search awareness by general item and variance of desire examining relation of awareness and desire wishe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about Local community profession rehab of profession reprise service. Conclusion and offer are as following in reply. First,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cloth pipe or independence support center being thinking that program that enforce is suitable in children's level grasped understanding about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at is suitable in children's course through profession reprise program. About children who is using organ in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specialist ideas which person in charge provides service impartially and evenly were highest, in parents' situation in awareness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affection which want to find work that children can do grasped highest. Second, regarding desire about profession reprise service parentse's being thinking that vocational training that enforce cloth pipe or center need most, by next time, society adaptation training or profession adaptation training, by protection job site period of ten days grasped that put precedence. being thinking that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about disabled person need most in role expectation for ashes vigor pipe worry about unfair contraposition grasped highest in opinion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which parents is thinking. Third,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by general special quality of research target person and relation with desire awareness about service of difference of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by distinction of sex, awareness about specialist, awareness about children difference was expose that is not all as statistical. in difference of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by age awareness about service more than 70 was highest was expose that awareness about specialist and awareness about children are no variance as statistical according to age. In awareness about profession reprise by education level group which is illiteracy appeared by thing which awareness level is higher than High-School graduation group. in desire about profession reprise by ag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group which is more than 40 and 70, 40 group grasped by thing which role expectation for ashes vigor pipe is higher than group more than 70. Fourth, in relation with awareness and desire awareness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and corelation between desire about reprise service were highest, parents' congnition about profession reprise service which offer in organ is high, could know that also awareness also about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is corelation each other. also, awareness and role expectation for institution, awareness about specialist for ashes ventil door and desire and so on about profession reprise service interrelationship was expose that is each other. Finally, service about profession reprise that parentses offer in organ according to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possibility and interest grasped that want to be received various program. if propose with research about parents' attitude about area disabled persons' profession reprise service on the basis of preceding descriptions result First, for elevation of awareness level about parentses' profession reprise for area disabled persons' profession reprise need effort of parents education or various information offer etc, that is connected with profession reprise. also, that can improve profession reprise person in charge's professionalism need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organs of education. Second, about service that is enforced in organ weak part improve by person in charge's professionalism security and persistent education need awareness improvement business about disabled person in local community or reinforcement of awareness improvement about employer. Third, through continuous parents consultation about children need to derive awareness and regard about profession reprise service which is offering in organ. Fourth, uneasiness about children's employment profession reprise program reinforcement and protection job site etc. of motive equipment expansion and mortification employment of employer awareness improvement first of all, is thought that interaction with engine and parents that is enforcing children's profession reprise may need actively. 지적장애인 자녀의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태도로 자녀의 직업재활 능력에 대하여, 부모가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갖고 있어야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표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경북 지역 10개 장애인복지관 중 직업재활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9개 장애인복지관과 8개 장애인자립지원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 및 용어에 대한 지적장애인 부모들의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녀의 직업재활 및 잠재능력에 대한 인식과 기대수준을 살펴보았으며, 일반적 사항에 따른 인식과 욕구의 차이를 알아보고, 인식과 욕구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재활시설의 직업재활 서비스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은 복지관이나 자립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이 자녀의 수준에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와 직업재활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진로에도 적합하다고 파악되었다. 직업재활 전문가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자녀에 대해서 담당자가 평등하고 공평하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생각이 가장 높았으며, 자녀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가 할 수 있는 일이라도 찾아주고 싶은 심정이 가장 높게 파악되었다. 둘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관련하여 부모들은 복지관이나 센터에서 실시하는 직업훈련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사회적응훈련이나 직업적응훈련, 보호작업장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재활기관에 대한 역할기대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부모가 생각하고 있는 자녀의 직업재활에 대한 견해에서는 부당한 대우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게 파악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욕구와의 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의 차이 중 서비스에 대한 인식, 전문가에 대한 인식, 자녀에 대한 인식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70대 이상이 가장 높았고, 전문가에 대한 인식과 자녀에 대한 인식은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에서는 무학인 집단이 고졸집단보다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에서는 40대와 70대 이상인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40대 집단이 70대 이상의 집단보다 재활기관에 대한 역할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인식과 욕구와의 관계에서 자녀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과 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간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기관에서 제공하는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높을수록 자녀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 또한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활전문가에 대한 인식과 기관에 대한 역할기대, 전문가에 대한 인식과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욕구 등도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모들은 기관에서 제공하는 직업재활에 대한 서비스가 자녀의 직업재활 가능성과 관심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받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들의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한다면 첫째, 지적장애인들의 직업재활을 위해서는 부모들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수준의 향상을 위해 직업재활과 관련한 부모교육이나 다양한 정보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담당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기관에서 실시되는 서비스에 대해서 취약한 부분을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와 지속적인 교육으로 개선하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사업이나 고용주에 대한 인식개선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자녀에 대한 지속적인 부모상담을 통해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녀의 취업에 대한 불안을 직업재활 프로그램 강화와 보호작업장 등의 시설 확충 및 고용주 인식개선의 통한 취업을 유도하고, 무엇보다 자녀의 직업재활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과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적극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노인 우울의 다중변화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김향아 대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ultiple change trajectories for change of elderly depression over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each trajectory. It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lderly depress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733 elderly people, aged from 65 to 72, through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which was conducted for 11 years. Mainly used analysis methods were the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elderly depression was shown as change trajectory of low level maintenance type, high level reduction type, low level increase type, and high level maintenance type. Second, the change trajectory of each resource was presented as follows; the change of the housing as stable and unstable type, the change of the structur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of the housing as decrease and increase type, the change of health satisfaction as decrease and increase type, the change of chronic diseases as recovery and onset type, the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holding and increase type, the change of self-esteem as decrease and increase type, and the change of annual household income as increase type. Third, the multiple trajectories group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have affected to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The depression level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type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reased and self-esteem decreased. Fourth, multiple trajectories groups of housing, health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have predicted multiple trajectories groups of elderly depression. The low level maintenance type and high level decrease type of depression were predicted by increase type of self-esteem. The low level increase type of depression was predicted by increase type of health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high level maintenance type of depression was predicted by unstable type of hous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change trajectories of elderly depression and housing resources, health resources, relational resources, psychological resources, and economic resources by applying the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Second, it confirmed that housing, health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multiple change trajectories of elderly depress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quires long-term intervention on the individual level in relation to the elderly depression. Second, it raises the importance for the loss and acquisition of the resource of the elderly. Third, it suggests the necessity and basis of program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the health, family relationship, and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노인 우울의 변화 양상에 있어서 다수의 서로 다른 변화 궤적들을 확인하고, 각 궤적별 특성과 예측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 우울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1년간의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72세 이하 노인 73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혼합모형,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우울 변화는 ‘저수준 유지형’, ‘고수준 감소형’, ‘저수준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변화 궤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 소유 형태의 변화는 ‘안정형’과 ‘불안정형’, 주거의 구조․성능 및 환경의 변화는 ‘감소형’과 ‘증가형’, 건강 만족도의 변화는 ‘감소형’과 ‘증가형’, 만성질환의 변화는 ‘회복형’과 ‘발병형’, 가족관계 만족도의 변화는 ‘유지형’과 ‘증가형’,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감소형’과 ‘증가형’, 연간 가구소득의 변화는 ‘증가형’의 변화 궤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다중궤적집단이 노인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만족도의 증가형과 자아존중감의 감소형에 속할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거 소유 형태, 건강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의 다중궤적집단이 노인 우울의 다중궤적집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저수준 유지형과 고수준 감소형은 자아존중감의 증가형이, 우울의 저수준 증가형은 건강 만족도의 증가형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증가형이, 우울의 고수준 유지형은 주거 소유 형태의 불안정형이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이론적 함의로는 노인 우울의 다중변화궤적과 주거 자원, 건강 자원, 관계적 자원, 심리적 자원, 경제적 자원 간의 관계를 자원보존이론을 적용하여 검증하였고, 노인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주거 소유 형태, 건강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천적 함의로는 노인 우울과 관련하여 개별적인 차원에서 장기적인 개입이 필요하고, 노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의 상실과 획득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였으며, 건강,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관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보미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인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증진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2년 3월 23일∼4월 13일까지 약 20일간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총 배부된 450부 중 회수된 381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 20을 이용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측정변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Cronbach의 알파값의 수준을 가지고 불필요한 변수를 제외하여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먼저 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등을 토대로 분포를 파악했으며 t-test와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인 성별, 결혼여부, 최종학력, 종교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β=.085, p<.05)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적 특성에서는 담당업무(β=.083, p<.05), 고용상태(β=-.089, p<.05)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β=.127, p<.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β=-.75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해보면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서·감성적 요인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자기개발지원과 회복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원 간의 대인관계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직원교육 및 동아리 형식의 자조 모임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이며 또한 직원 연수를 통하여 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의 정서·감성적 요인을 고려한 직무배치와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대처방안 또한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국가차원의 지원과 조직체계 개편이 필요할 것이다. 근무환경적 요인들의 개선과 불안정한 고용 체계도 개선되어야 할 것인데 이러한 노력은 서비스제공자인 사회복지종사자 뿐만 아니라 동일한 전문직 간의 개인 및 사회복지기관, 국가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장애 대학생의 취업욕구 및 취업준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심용복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related desire of disabled collegians and employment effor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ttributes, analyzed the factors to impact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preparation. In this mann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and materials to devise comprehensive employment preparation supporting program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college education of the disabled people is generalized. To achieve such a purpose, this study targeted 216 disabled collegians at 7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Capital Area and 8 universities in provincial areas. The analytic results of the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desire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fluenc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most disabled collegians think that their entrance into universities can be of help to their employment, and they hope to get a job in their major-related fields after graduation. For confidence to be successful in getting a job, most disabled collegians did not have confidence for employment, and they worried about employers' distrust of their competenci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ersonal relations even in the case they get a job,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ies. Second, most disabled collegians began to prepare for their employment since their junior year,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disabled collegians are preparing for public official jobs. The disabled collegians acquired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through mainly audio and visual data like the Internet, and they did not use the employment centers within their universities.    Third, most universities did not have interest in disabled collegians' employment preparation, or although they operated the employment preparation supporting program, the support was just a formal type which did not help greatly the disabled collegians. However, the disabled students demanded universities to pay attention to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nd devise career counseling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their disability types and degree. Fourth, for efforts for employment by the disabled collegians, more disabled collegians at universities located within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than those in provincial areas, more lightly disabled collegians than heavily disabled collegians, the disabled collegians majoring in special teacher, public official and social worker-related fields than general majors made more efforts for their employment. This difference showed a significant result. However, the efforts of employment according to gender and disability typ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ployment preparation influence factors of disabled collegians, school life factor impacted most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the disabled collegians, followed by psychological factor, family support factor and medical factor. However, socioeconomic factor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ir employment preparation.    As a result above, universities should set up an organization exclusively in charge of the disabled students to collect employment information including firms active for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make database, actively converge the demands of job field and devise pre-employment educational programs. Various companies including large corporations need to convert their awareness to expand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beyond the law-regulated disabled people employment rate. Policy authorities should also draw up a systematic supplementary measure to consolidate the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people.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취업과 관련된 욕구와 취업노력 정도를 장애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그 차이를 살펴보고,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의 대학교육이 보편화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종합적인 취업준비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7개 대학교와 지방의 8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장애대학생의 취업욕구 및 취업준비 영향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대부분은 대학진학이 자신의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학 졸업 후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분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졸업 후 취업에 성공할 자신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장애학생이 취업자신감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후 취업을 했을 경우에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고용주의 불신, 편의시설, 대인관계 등을 염려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대학생은 대부분 3학년 때부터 취업준비를 시작하고 있었으며, 취업을 준비하는 직종으로는 공무원을 가장 많이 준비하고, 다음으로는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대학생은 취업과 관련된 정보를 주로 인터넷 등 시청각 자료를 통해 얻고 있었으며, 대학 내의 취업(상담)센터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대학은 장애학생의 취업준비에 별로 관심을 갖고 있지 않거나 취업준비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더라도 장애학생에게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형식적인 지원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은 대학에서 장애학생의 취업준비에 관심을 가지고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지속적인 진로상담과 취업준비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장애대학생의 취업을 위한 노력정도는 지방소재 대학보다는 수도권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이, 중증장애학생보다는 경증장애학생이, 일반전공계열의 학생보다는 특수교사, 공무원, 사회복지사와 관련이 있는 전공계열의 장애학생이 취업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 장애유형별에 따른 취업노력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심리적 요인, 가족지원 요인, 의료적 요인 순으로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요인은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각 대학은 대학 내에 장애학생의 진로상담과 취업준비를 지원하는 전문기관이나 전문인력을 두어 장애인 고용에 적극적인 사업체의 정보 등 취업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취업 현장의 요구를 적극 수렴하여 취업의 접근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취업 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대기업을 비롯한 각 기업에서는 법으로 규정된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상으로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려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정책당국에서도 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을 강화 할 수 있는 제도적 보충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치매노인 가족의 사회적 지지요인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애선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매노인 가족들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매노인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치매관련 특성을 알아보고, 각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사회적 지지요인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전문요양시설과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 가족 137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가족이 느끼는 부양부담은 건강상의 부담, 노인과 주부양자관계의 부정적 변화,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사회적 활동의 제한, 심리적 부담 순으로 나타났고, 치매노인 가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노인 가족이 느끼는 부양부담과 사회적 지지요인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하위변인인 노인과 주부양자관계의 부정적 변화와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에서 도구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의 부담에서는 정보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활동의 제한,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치매에 대한 의학적 이해와 치매노인 수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치매노인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부양부담과 관련하여 서로 공유하고 지지해 줄 수 있는 자조모임이나 가족치료 프로그램도 필요하다. 그리고 치매노인 가족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재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치매노인 가족의 욕구를 파악하여 이에 기초한 서비스도 제공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사회의 치매노인 및 가족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어 치매노인 가족들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끝으로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관심을 기울이고 개입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서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치매노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뿐만이 아니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전문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고,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속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exploring an effective way for social work of reducing the burden of caring the Alzheimer's elderly among the family memb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amily caregivers'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ir burden of caring the Alzheimer's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thesis first tried to recogni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lzheimer's elderly and his or her family and then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burden of caring according to the both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burden of caring. Survey has been conducted toward 137 family members of the Alzheimer's elderly who use the nursing home and daycare center. The results of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lzheimer's elderly family perceived the caregiver's health-related burden the most and then the negative change of the elderly-caregiver relationship, the negative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the financial and job-related burden, social activity restriction, and the psychological burden. The caregiver perceived the evaluative support the best and then the emotional, informative, instrumental one among the elements of social support. Second, there was a relatively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s' perceived burden and th elements of social support. There were also several findings such as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instrumental support on the negative changes of the elderly-caregiver relationship and the family relationship and of the informative support on the health-related burd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the elements of social support on the social activity restriction,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the financial and job-related burden. Those above empirical results makes several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of the Alzheimer's elderly in the aspect of social work. First, we should provide the caring information of the Alzheimer's elderly based on medical knowledge of the Alzheimer disease and develop several effective programs of providing family caregivers with social support. Needed also are several indirect means of reducing the caregivers' burden such as the family therapy of the Alzheimer's elderly, the self-fulfilled group sharing the information among the caregivers, th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aregivers at the policy level, and the social environment of supporting the Alzheimer's elderly family by changing social stereotype about the Alzheimer disease. Finally, the professional service in the social work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since caring the Alzheimer's elderly is not individual burden at the family level but social one at the societ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