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종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36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ongyeong, Gyeongsangnam-do. As an analysis metho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was used,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analyzed. In addi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Baron & Kenny (1986), and last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it turned out that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lowe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became. Nex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to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lower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cam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became. Next, it turned out tha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the more ope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 higher their emotional empathic ability became.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s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e lower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became. Nex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higher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e lower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became. Fourth,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the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on their problem behaviors and empathic ability, it turned out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on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on their externalizing problems. This means that their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but communication with father has an impact on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in an indirect path as well, and open and positive communication with father had positive impa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this means that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reduce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Like this, this study verified what impacts of children's perceived father-child communication had on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mediated by their cognitiv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empathic ability, and has a significance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valuable basic material in seeking education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ir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방법과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 (1986)의 단계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아동의 내재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외현화 문제 역시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외현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인지적 공감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인지적 공감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정서적 공감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외현화 문제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문제행동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직접적으로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에 간접경로로도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아버지와의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 정서적 공감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렇게 형성된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은 아동의 내면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의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인지적 공감능력과 정서적 공감능력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혔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육적, 예방적, 치료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는데 의의가 있다.

      • 몽골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미치는 영향

        GANTUMUR SARANTSETSE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demonstrated how fathers ' parenting attitudes affect a baby's self-esteem. This was done by surveying infants aged 3 to 4 and their fathers who were funded by the two institutions, A kindergarten and B kindergarten located in Ulaanbaat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a measured item to describ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way (gender, age, birth order) and infant self-esteem, the general self-esteem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al) and parenting attitudes of father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athers (age, education degree, and vocational quality) were analyzed for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sub-factor bas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 child care attitude and their infant self-esteem.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fathers ' parenting attitudes affect infant self-esteem. First,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infant self-esteem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fant gender, age, birth order), infant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infant than the baby's. This is because Mongolia's family culture is largely influenced by its mothers rather than its fathers from an early age. Second, if you look at parenting behavior based on typical traits of a father (father's age, level of education, profession), you can see that when you're older than the father's age, you're probably only 29 or older, and you're 20. Third,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 self-esteem showed that the sub-factorial factors of fathers ’ parenting were all correlat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most intimate relationship was the loving and the autonomous attitude. The follow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 an independent attitude and a controlled attitude, an affectionate attitude and a controlled attitude, a negative attitude and an independent attitude, a negative attitude and a controlled attitude.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romantic attitudes and negative attitudes, i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Only social and emotional self-esteem has show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 self-esteem subcompacts. As for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 self-esteem, controlling attitudes and family self-esteem were most positively correlated. The following show the following : autonomy and family pride, loving attitudes and family autonomy, controlled attitudes and social pride, rejective-academic attitudes and academic pride, and emotional pride. Fourth,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e on family self-esteem has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trolling attitude when it comes to fathers ' attitudes toward parenting. It was also revealed that only a controlled attitud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elf-esteem. The study found that respondents were told that the urban areas that were urbanized by the industrialization were created differently by Mongolian fathers, and that the Ulanbatar, who lived in a traditional Mongolian village, and that people lived in a traditional Mongolian village, were the target city of Ulanbator. Basic Studies on the Parenting of Mongolian fathers into an interest in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children In addition to presenting a sense of direction, the positive sense of self – respect of fathers is important.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올란바타로에(ulaanbaatar) 위치한 A유치원과 B유치원 2개 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세의 유아와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측정항목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유아의 일반적 특성(성별, 나이, 출생순위)과 유아 자존감,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연령, 교육정도, 직업)과 양육태도,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연령, 교육정도, 직업)과 유아의 자존감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태도, 유아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요인별로 Pearson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유아의 일반적 특성 (유아 성별, 연령, 출생순위 )에 따른 유아 자존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 자존감, 가족적 자존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자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몽골의 경우 가정적 문화가 모계사회이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영향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버지의 일반적 특성 ( 아버지의 연령, 교육정도, 직업)에 따른 양육태도 있는지를 살펴보면, 아버지 연령에 따라 애정적 태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30-39세의 경우 20-29세, 40세 이상 보다 애정적 태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자존감의 연관성을 살펴본 분석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 하위요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음은 자율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 애정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 거부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 순으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애정적 태도와 거부적 태도의 경우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 자존감 하부요인들의 경우 사회적 자존감과 정서적 자존감만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자존감의 경우 통제적 태도와 가족적 자존감이 가장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음은 자율적 태도와 가족적 자존감, 애정적 태도와 가족적 자존검, 통제적 태도와 사회적 자존감, 거부적 태도와 학문적 자존감, 거부적 태도와 정서적 자존감 순으로 긍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제적 태도가 가장 높은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존감의 경우도 통제적 태도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응답자들은 몽골의 경우 산업화로 인해 도시화된 곳은 문화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전통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아닌 울란바토르(Ulaanbaatar)와 같은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볼 필요가 있으며, 몽골 아버지들의 전통 생활에서 벗어나야 시대 맞는 교육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몽골 자녀 양육 연구의 기초 연구를 통해서 몽골 아버지들의 바람직한 자녀 양육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시발점의 계기가 되며 방향성을 제시하며,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에 아버지의 중요성이 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 아동의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3년 종단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분석

        김기홍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Most of the studies on gender stereotypes, narcissism, and self-esteem in South Korea have tended to be cross-sectional rather than longitudi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e cross-sectional research also affected the longitudinal trajectorie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medium-sized research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fourth- to sixth-grader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general trend of changes in three factors―gender stereotypes, narcissism, and self-esteem―and individual children's changes with the passage of time. In a total of 1,276 children―436 fourth-graders in the first year (2013), 425 fifth-graders in the second year, and 415 sixth-graders in the third graders―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 SPSS 20.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an Amos 7.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LGM) among the variables; thus, the trajectories for gender stereotypes, narcissism, and self-esteem were tracked for the children during the period of time from the fourth to sixth grades to determine how the trajectories for gender stereotypes and narcissism affected those for self-esteem in terms of cumulative interactions. Goodness-of-fit of the longitudinal structural model, including the affecting factors, was at a desirable level and six out of nine trajectori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rajectories for masculinity and femininity stereotypes among the children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had changes in a curve of secondary degree: they increas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grades and were less likely to increase betwee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is trend of changes among the children. Second, as for the trajectories for narcissism among the children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had changes in a linear form: the higher grade, the higher level of narcissism, while both the fifth- and sixth-graders saw their narcissism increase slowly. Third, as for the trajectories for self-esteem among the children with the passage of time, they had changes in a curve of secondary degree: the higher grade,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while they had continuously decreased since the fifth grade. The children at higher levels of self-esteem in the first year as the fourth-graders tended to see self-esteem increase more slowly at the time of the increase in self-esteem and see it decrease more rapidly at the time of its decrease. The decrease in self-esteem during this period is probably due to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adolescence and th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the trajectories for gender stereotypes and narcissism on those for self-esteem among the children, only narcissism and masculinity stereotypes ultimately affected the trajectories for self-esteem. The children had the changes in narcissism and in masculinity stereotypes significantly affect those in self-esteem. This study analyzed three-year longitudinal data within a single model and suggests that studies on children in the developmental period make different interventions based on age. In particular, while most of the studies in South Korea assumed causal relations based on the cross-sectional data, this study analyzed three-year longitudinal data to determine temporal prioriti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examine the initial values of each factor and self-esteem and the aff`ecting relations among the changes,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rajectory group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and narcissism on the changes in self-esteem more clearly. 우리나라의 연구에서 성 고정관념, 자기애,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들은 대개 종단적이기 보다는 횡단적으로 진행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에서 변인간의 영향 관계를 밝힌 변수들이 종단적 발달궤적에 또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에 이르는 학령기 후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의 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동의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세 요인의 전반적인 변화경향과 아동의 개별적 변화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1차년(2013년)도 조사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초등학교 4학년 436명, 2차년도 5학년 425명, 3차년도 6학년 415명으로 총 1,276명을 대상으로 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인들 간의 요인분석을 위해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 LGM)의 통계분석 방법을 통해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에 이르는 동일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추적하여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발달궤적이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누적되는 상호영향을 확인하였다. 영향요인을 포함한 종단적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9개의 발달궤적 경로 중 6개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동의 남성성 고정관념과 여성성 고정관념의 발달궤적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부터 5학년까지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5학년에서부터 6학년에는 증가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차곡선 형태의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아동들 간에 유의한 개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동의 자기애 발달궤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선형변화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5학년과 6학년 시기에는 자기애가 느리게 증가하는 발달궤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5학년에서부터 6학년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이차곡선 형태로 변화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높은 자아존중감 수준을 보인 아동들은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시기에 더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자아존중감이 감소하는 시기에 더 빨리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자아존중감 감소 이유는 사춘기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고학년의 학교성적과 학업성취도의 영향요인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 발달궤적이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은 최종적으로, 아동의 자기애와 남성성 고정관념만이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기애 변화율과 남성성 고정관념의 변화율은 자아존중감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3년간의 종단자료를 통해 하나의 연구모형 내에서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발달기 아동의 연구에서 연령에 따라 그에 대한 개입방법을 다르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부분의 국내연구에서는 횡단자료를 통해 인과관계를 가정하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3년간의 종단자료를 통해 독립변수의 시간적 우선성을 확보함으로써 각 요인과 자아존중감의 초기치 및 변화율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발달궤적 집단의 다양한 차이를 구분함으로써 성 고정관념과 자기애가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명백한 검증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자기효능감 매개변인으로

        염윤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 – efficacy in children 's self – 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312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Seoul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o describ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test the difference of the ma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the One-way ANOVA, We conducted Scheffe post – test wh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performing one –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 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 - efficacy and school happin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eterministic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happiness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of Baron &Kenny (1986). Sobel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 First, The effects of self - deterministic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happiness showed that internal control and confirmed / integrated control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happiness, and external control had negative influence. second. Academic self – effic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happi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Confidence, self-control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ve an influence on school happiness by examining third. The effect of external Internal adjustment of self – deterministic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happiness was mediated by academic self - efficacy. the effects of external causes of self-deterministic learning motivation on school happiness were significant. However, when academic self-efficacy was used as a mediator, external influences on school happiness were eliminated. This suggests that academic self-efficacy may be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external factors when there is much happiness in school. fourth. Self – 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 Effects of Integrated adjustment and Internal adjustment on School Happiness through Academic Self - Efficacy As a result, Partial mediation appeared. Internal adjustment confirmation/ integration adjustment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school happiness than external adjustment. Especially school self - efficacy and school happi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nal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important predictors of school happiness. The higher the internal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higher the happiness felt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self –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 - efficacy on children `s internal psychological variables.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ill strengthen the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by oneself without compromising the autonomy and deviating from the result center.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use it as the basic data of the study so that it can utilize the research result by improving internal motivation, aiming at the activity itself without external compensation and ultimately improving the school happiness of children.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에 위치한 초등학생 5,6학년 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빈도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검정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된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단계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위해 사용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내적 조절과 확인/통합된 조절은 학교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조절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행복감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교행복감에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외적 조절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외적 조절이 단독으로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한 것으로 보였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넣었을 경우 외적 조절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없어졌으므로 외적 요인의 칭찬과 보상으로 인해 학교행복감이 높은 아이들의 경우, 실제로 외적 요인보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확인/통합된 조절, 내적 조절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내적 조절, 확인/통합된 조절이 외적 조절에 비해 학교행복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함께 학교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행복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려주며 내적 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에서 느끼는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아동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결과중심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훼손하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내재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내적 동기를 향상시켜 외적보상 없이 활동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이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연구결과가 활용 될 수 있으며, 학교행복감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언어 정상발달 유아를 대상으로

        이혜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아의 또래관계 형성에 언어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언어능력의 다양한 하위 영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대해 다루고 있는 연구는 드물며,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을 다루더라도 대부분 장애아동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 정상발달 유아를 대상으로 화용언어능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전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4-7세 유아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화용언어능력은 CPCL를 통해 각 유아가 속해있는 반의 담임교사가 작성한 것을 분석하였으며, 또래관계는 PIPPS를 통해 각 유아가 속해있는 반의 담임교사가 작성한 것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용언어능력(담화관리,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능력,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관계(놀이 상호작용, 놀이 방해, 놀이 단절)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담화관리가 높으면 놀이 상호작용이 높게, 놀이 방해와 놀이 단절이 낮게 나타났으며,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이 높으면 놀이상호작용이 높게, 놀이 방해와 놀이 단절이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의도가 높으면 놀이 상호작용이 높게,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이 낮게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놀이 상호작용 행동이 높게, 놀이 단절이 낮게 나타났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능력, 의도적인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향상은 놀이 상호작용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담화관리의 향상은 놀이 방해를 감소시키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향상은 놀이 단절이 감소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는 화용언어능력이 높은 유아가 또래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함을 말하며 따라서 유아가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As stress putting on the importance of linguistic skills in young children’s establishment of peer relationship, studies on the various sub-areas of linguistic skills have increased gradually. However,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have been rarely researched so far, and most of studies on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have focused on handicapped children.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on peer relationship focusing on children of normal linguistic development. For this, a survey of 130 children of 4~7 years old at child-care centers in Daejeon City was carried out. Pragmatic language skills were examined with CPCL filled by classroom teachers, and peer relationship was looked into based on PIPPS worked out by classroom teacher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Pragmatic language skills (discourse management, situation/listener/ context-based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skills, communication inten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play interaction,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tinuation). When the skill of discourse management was high, play interaction was high and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tinuation were low. When situation/listener/context-based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skills were high, play interaction was high and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tinuation were low. The skill of communication intention was high, play interaction was high and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tinuation were low. The skill of non-verbal communication was high, play interaction was high and play discontinuation was low.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young children’s improvement in the skills of situation/listener/context-based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intention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crease of play interaction, whereas improvement in discourse manag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crease of play disturbance. In addition, young children’s improvement in the skills of situation/listener/context-based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crease of play discontinuation. These findings seem to imply the fact that young children whose pragmatic language skills are high can establish a desirable peer relationship.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thus making them improve pragmatic language skills and then establish positive peer relationship, and teach them with a variety of methods, thus making them improve their pragmatic linguistic skills.

      •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송지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대전 지역의 중학교 1학년 총 306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은 또래애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내성은 또래애착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의사소통과 부적 상관을, 소외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정체감에 부적영향을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금단, 내성은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도성, 친밀성과 모두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초기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자아정체감은 또래애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과 또래애착의 하위요인에서도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정체감을 완전 매개하여 또래애착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은 또래애착의 하위요인인 신뢰감, 의사소통, 소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정체감은 각 하위요인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또래애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스마트폰 중독은 그 자체로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기보다 심리 내적 변인인 자아정체감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최근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스마트폰 사용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함으로써, 긍정적인 또래애착 형성을 위해 단순히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제하거나 규제하는 방법만이 아닌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이라는 또 하나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대처하는 양식을 살핌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기 위한 요인들을 성찰하며, 이를 통해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긍정적인 또래애착을 형성하여 건강한 관계형성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ce. 306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 and Daejeon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arly adolescent 's smart phone addi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peer attachment. In terms of sub - factors, daily life disorder, virtual world orientation, withdrawal, and tolerance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trust factor, communication. The sub-factors of smart phone and the aliena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Second, smart phone addiction of early adolescents showed negative effects on ego - identity. In terms of sub - factors, daily life disorder, virtual world orientation, withdrawal, and toler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ity, self-acceptance, future confidence, leadership, Intimac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ego - identity of early adolescents on peer attachment, ego - ident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er attachment. In terms of sub - factors, sub - factors of self - identity and sub - factors of peer attachment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Fourth, The effect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peer attachment was perfectly mediated by ego-identity. Smart phone addi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which are sub - factors of peer attachment, and ego - identity was mediated by each sub - factor.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smart phone addiction in early adolescents affects peer attachment through ego – identi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addiction of the smart phone itself affected the ego - identity, which is a psychological internal variable, rather than affecting peer attachment.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he adverse effects of indiscreet use of smart phones on peer attachment have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both in Korea and abroad.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at ego-ident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fluence of addictive use of smart phone on peer attach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positive ego-identity formation is important for positive peer attachment formation. In conclusion, adolescents with a tendency to addicted to the smart phon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factors to lower the addiction of smart phones by examining the forms to cope with the problems, and to establish ego-identity through positive peer attachment, It will be a basic research to prepare.

      •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강민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s the influence of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on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stable care and education for parents with infant children so that infants can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88 mothers of 3 to 5 year old children who wer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In this stud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ge of Baron & Kenny(1983). Lastly, Sobel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p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mother's educational view is centered on infants, the higher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Nex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and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the mother's educational view is centered on infants, the higher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Lastly,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s means that as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creases,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ncreas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on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sub-factors of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self-awareness, self-control, others-awareness, and others-control.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in all areas. In other words,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creases as the mother's educational view is centered on infants, and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a self-awareness of emotional state, the ability to control thi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thers’ emotion for better human relationship. Thus,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how mother's infant-centered educational view influences children's self-awareness, self-control, others-awareness, and others-control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mother's role is important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is meaningful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에게 안정적인 양육과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가 심리 및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발달을 이루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에서 만 5세 원아의 어머니 총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방법과 변인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단계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 긍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지능은 서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유아중심일수록 유아의 정서지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유아중심일수록 긍정적 양육행동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증가할수록 유아의 정서지능 또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이 자율적 학습과 유아를 주도적으로 교육하는 유아중심적 교육관일수록 온정과 애정적인 긍정적 양육행동이 증가되고, 긍정적 양육행동은 자신의 정서 상태를 인식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사람이 느끼는 정서 상태를 파악하여 인간관계를 원만히 가질 수 있는 능력인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 긍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유아중심 자녀교육관이 긍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혔으며, 유아의 정서지능의 긍정적인 발달에 대한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학부모와 숲해설가의 인식 및 요구

        엄윤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o promote and expandthe forest Interpreters of preschool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s purpose,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identified; (1) opinions and requirements of program participants’ parents in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and the forest experts; (2) opinions ofexperts in the program; (3) comparison of those opinions and requirements. Questionnaires and surveys were collected from 296 kindergarten parents in Chuncheon and 218 prospective forest experts who are in or have completed courses from five forest expert training institutes in Seoul authoriz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KFS).Survey data was analyzed in order to ascertain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was any differencebetweenthe opinions and requirementsof parents and experts. All alpha levels were set at .05 and IBM SPSS 23.0 version was used to calculate.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arents felt that it was appropriate for preschoolers to begin the forest Interpreters at age 3 or 4, once a week. They preferred well-organized seasonal programs and experts who are certified childcare teachers in their 40s. With a fixed number of experts, both parents and experts felt that it was better to allocate small groups of students for each expert rather than large groups to ensure that children benefit from the program. Additionally, while forest experts preferred all types of participants from preschoolers to adults, they felt that the diversity of forest programs for preschoolers was lacking, and many experts found it difficult to integrate child developmental stages into the forest Interpreters. They suggested collecting small insects and plants as a way to develop preschoolers’ five sense and also programs at city parks, whereas parents preferred national parks. In summary,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opinions of parents and experts on the forest Interpreters program, its educational effects and experts’ role as program facilitator. However, both groups agreed that children’s safety is the top priority and that it is important for experts understand and receive education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숲해설가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의 차이가 어떠한지, 숲 체험 진행자인 숲해설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와 유아 대상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숲해설가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숲 체험을 더욱 활성 및 정착하고 적용·반영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숲 체험 활동과 진행자인 숲해설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대상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숲해설가의 인식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학부모와 숲해설가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학부모 296명, 산림청에서 인가한 숲해설가 양성 전문기관으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한국숲해설가협회 외 4곳에서 숲해설가 과정을 이수를 마쳤거나 이수 과정중인 예비 숲 해설가 218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여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산출과 학부모와 숲해설가의 유아 숲 체험 활동의 교육의 교육적 효과 및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05에서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시작 시기로 만3~4세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며, 숲 체험 횟수는 주 1회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숲 체험 진행방식으로는 자연 환경 시기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생태관찰, 생태미술, 생태놀이)진행이 적절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대상 숲 체험 활동 진행자인 숲해설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내용으로 유아 숲 체험 활동 진행자의 자격 요건으로 보육교사 자격증을 보유한 숲해설가를 선화하였으며, 희망하는 진행자의 연령대는 40대를 가장 많이 선호 하였고, 진행자의 성별에 대해서는 남·여 상관없다는 인식으로 나타났다. 숲해설가의 숲해설 활동 진행시 선호하는 대상은 유아·초등생·청소년·성인 모두 가능하다는 인식과 유아의 오감을 활용한 체험을 위해 작은 범위 내에서 식물, 벌레 채취 허용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아 대상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해서는 많지 않다는 응답과 소속 단체에서 서로 공유를 통해 자료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대상 숲 체험활동 진행시 어려운 점과 유아 대상 숲 체험 진행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유아 발달 단계에 맞는 숲 해설이 어렵다는 인식으로 나타났다. 유아 숲 체험 활동 시간은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1시간 30분이 적당하다고 인식하였고,숲 체험 활동시 숲해설가 1인당 유아 비율에 대해 학부모가 숲해설가에 비해 숲해설가 1인당 적은 비율로 숲 체험 활동 진행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에게 적합한 숲 체험장소에 대해 학부모는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가 소유 관리하는 국유림 및 공유림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고, 숲해설가는 도시나 근교에 만든 도시공원 숲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숲 체험 활동 시 중요한 요소로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유아의 안전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 숲 체험 활동과정에서 우선시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유아 발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숲 체험 활동 진행시 진행자의 개입정도에 대해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진행자와 유아 상호진행형으로 진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숲해설가 이수 과정에 유아발달 과정 추가에 대해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여 유아 발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 숲 체험 활동 시 기본 조건에 대해 학부모와 숲해설가 모두 유아 발달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나타났다. 유아 숲 체험의 교육적 효과, 유아 숲 체험 활동 진행자인 숲해설가의 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및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사회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와 기회마련, 지능과 감성 발달에 도움, 자연을 통한 통합적 사고 능력 향상, 정서적 안정감과 감성·영성 발달 향상에 도움, 긍정적인 사고와 자아개념 형성, 유아의 야성을 일깨우고 자기감정을 조절하는 능력향상, 자연과 더불어 개인과 사회와 협력, 자연속에서 정서적 안정감에 도움, 문제 해결능력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 정형화된 장난감보다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들이 자연에 대해 충분히 탐색 할 수 있도록 언어적 자극을 주어야 함, 숲 체험 활동을 마치고 그 활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지식 보다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려는 열정 및 교감하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내용으로 유아 대상 숲 체험 활동 진행자인 숲해설가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식물의 성장을 알기 위한 텃밭가꾸기와 과일따기 등의 활동 진행,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환경 교육 필요, 곤충관찰 경험을 통한 곤충에 관심 향상, 대근육 발달을 위해 나무타기와 같은 운동 놀이 진행 등의 내용에서 학부모와 숲해설가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나오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narcissism mediating effect i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stereotypes and self-esteem.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415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ch as Gender stereotypes sca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Children (NPIC), and Self-esteem scale of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SPPC).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AMOS 22.0 Program. In additio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tructural models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ppearance stereotyp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arcissism. This means narcissism was shown to be high as appearance stereotype of a child was high. Second, children’s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This means self-esteem was shown to be high as narcissism of a child was high. Third, children’s machismo stereotype positively influenced self-esteem, meaning a child’s machismo stereotype raises with her/his self-esteem. Forth, the mediating effect of narcissism was affected by machismo and appearance stereotype in regards to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stereotypes and self-esteem. The mediating effect in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gender stereotype and self-esteem is shown to be significant. Children’s narcissism mediates the effect that a gender stereotype produces against self-esteem, resulting the association of gender stereotype and narcissism and vice versa. Children’s gender stereotypes does not directly affect self-esteem but is shown to be effective in terms of raising self-esteem through narcissism, thus verifies the mediating association of these variables. This research considered children’s gender stereotypes, narcissism and self-esteem. Through these research analysis, it serves its purpose to formulate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development and treatment measures of a child’s Mental health cultivation. 본 연구는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자기애,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기애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415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 척도, 아동의 자기애 척도(NPIC), 아동용 자기지각 척도(SPPC)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의 외모 고정관념과 자기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 고정관념이 높은 아동일수록 자기애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아동의 자기애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령후기 아동의 남성성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남성성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령후기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매개효과가 남성성 고정관념과 외모 고정관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아동의 외모 고정관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애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기애는 외모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여, 외모 고정관념이 아동의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자기애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끼쳐 자기애의 매개적 역할이 확인되었다. 즉, 학령후기 아동의 외모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자기애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 변인들 간 매개적 경로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 중에 외모 고정관념이 자기애를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밝힐 수 있었고,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아동의 정신건강 함양을 위한 교육적, 치료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