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혼여성의 유머감각이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원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유머감각이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유머감각을 통한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유머감각이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의 조사 도구로는 유머감각 척도(MSHS),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 척도(FMLQ I), 가정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학력, 종교 활동 유무에 따른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결혼생활기간과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영역인 지적 자극에서 결혼생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학력, 결혼 생활, 종교 유무, 경제 활동 여부에 따른 가정생활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기혼여성의 유머감각과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머감각과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과 가정생활만족도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머 감각이 높을수록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기혼여성의 유머감각이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기혼여성의 유머감각이 가정내 변혁적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has a goal to observe how the humor sense of a married woman in a family influence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For this, I have studi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a fami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ladies. And I have also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by humor sense. At last, I have surveyed the level of influence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by humor sense. I used the measuring scale of humor sense(MSH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FMLQ I),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as a measuring tool. I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 I have surveyed the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And then,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ligion lif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 period of marriage life and the possibility of economic activity. Anyway,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arriage life according to intellectual stimulus, which is a sub-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Secondly, studying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of family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statistically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riage life, religious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Thirdly,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there is affirmative relation between humor sens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nd between humor sense and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too. On the basis of the above fact, if humor sense is highe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is high. Fourth, I have observed the influence of humor sense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The humor sense of married women can influence affirmatively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hom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life.

      • 문관나무의 산업식물화를 위한 연구 : 유전, 번식과 성분 분석

        안찬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종자의 높은 기름 함량으로 바이오에너지 식물로 이용가능성이 높은 중국 원산 문관나무(Xanthoceras sorbifolium Bunge)의 종자를 중국 네이멍구(IM), 랴오닝성(LN)과 산동성(SD)에서 4곳의 재배농장과 2본의 수형목으로부터 수집된 종자의 외부 특성 측정 및 발아시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한 집단의 유전 특성 파악, 바이오에너지 원료 식물로서 종자 성분 분석과 종자 절편으로부터 부정아 유도를 통한 기내 번식 방법을 연구하였다. 종자의 무게와 크기를 2011년과 2012년 2년간 수집하여 측정하였을 때, 2011년에 수집된 종자 중에서는 산동성의 Forest farm에서 수집된 종자의 천립중, 천립의 부피, 무게와 크기가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종자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2012년에 수집된 종자에서는 랴오닝성의 Jianping Agricultural Research Station에서 수집된 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집된 종자의 발아율은 채종 당년도에 추파를 실시할 경우 평균 36.2%이었으며 네이멍구의 Lindonglinchang에서 수집된 종자에서 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온 저장 후 이듬해 봄에 파종 시 평균 19.5%이며 랴오닝성의 Jianping Agricultural Research Station에서 수집된 종자가 31.4%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지만, 대부분의 종자에서 발아율은 절반 정도로 감소하였다. 습식타올에 종자를 감싼 후 저온 저장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듬해 봄까지 발아율을 평균 42.4%와 최고 54.3%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종자의 수집 집단 혹은 개체에 따라 발아율은 추파시 47.6%, 상온 저장 후 춘파시 25.7% 및 습식타올 저온저장시 31.4%까지 차이가 나타났다. ISSR 표지자를 이용한 문관나무 수집 종자의 유전 특성을 분석한 결과 Shannon의 유전다양성 지수(I)는 평균 0.461과 이형접합도의 기대치(He)의 평균은 0.311로 조사되었으며, 네이멍구의 No. 38(I= 0.559, He= 0.384), No. 160(I= 0.507, He= 0.347), 및 산동성 Forest farm(I= 0.470, He= 0.325)에서 수집된 종자에서 평균 이상의 수치가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전체 유전변이의 23%는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며 나머지 77%는 집단 내 개체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PGMA 분석에서 두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Group 1: Lindonglinchang(IM), Jianping Agricultural Research Station(LN), Forest farm(SD), Group 2: No. 38(IM), No. 160(IM), Jinjilinchang(IM)). 바이오에너지 원료화를 위한 특성 분석의 하나로 종자의 발열량을 측정하였을 때, 종피 제거시 7,377 cal g-1와 종피 미제거시 5,874 cal g-1으로 목재펠릿 1등급 기준 발열량을 상회하며 회분의 함량도 1.7%와 1.2%로 나타났다. 종피를 제거한 종자는 평균 51.2%의 기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바이오디젤 원료로서 품질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올레인산 함량은 평균 30.3%로 분석되었다. 발열량, 기름 함유 비율과 지방산 조성은 수집 집단 혹은 개체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동성 Forest farm에서 수집된 종자에서 발열량(전체종자: 6,396.5 cal g-1, 종피제거시: 7,774.6 cal g-1), 기름함량(54.5 g 100g-1)과 지방 중 올레인산의 비율(31.3%)이 높게 나타났다. 랴오닝성의 Jianping Agricultural Research Station에서 수집된 종자에서도 올레인산의 함량이 32.2%로 높게 나타났지만 기름함량이 평균이하인 46.5 g 100 g-1으로 조사되었다. 미성숙 종자의 절편체를 이용한 부정아 유도시 68.6%의 부정아 유도율을 나타내었으며, BA 0.5 mg l-1 처리가 유도된 부정아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종자를 이용하였을 때에는 부정아 유도율이 2.9%로 매우 낮았다. 성숙종자로부터 부정아를 유도하기 위하여 1M sucrose가 포함된 배지에 절편체를 21일간 배양한 후 저농도의 sucrose가 포함된 배지로 계대배양하여 64.4%의 부정아가 유도되었다. 유도된 줄기의 증식은 BA 0.5 mg l-1와 TDZ 0.05 mg l-1가 포함된 배지에서 2.39개의 줄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IBA 4.0 mg l-1가 포함된 배지에서 발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종자절편으로 부터 유도된 식물체는 배수성 분석 결과 이배체(二倍?)로 확인되었으며, 종자는 문관나무 기내번식에서 절편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내배양 방법은 선발된 집단 혹은 개체의 증식을 통한 클론 임업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북부지역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바이오에너지 수종으로서 문관나무의 선발, 도입 및 번식(기외 및 기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Xanthoceras sorbifolium (yellowhorn) is a woody tree in the soapberry family, Sapindaceae, native to northern China. This species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woody energy plant for bio-diesel production because of high oil content in see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the genetic characters among collected populations using ISSR analysis, the propagation of X. sorbifolium by seedling and in vitro plant regeneration, and the oil content, compositions and calorific values of seeds for possible bio-diesel usage. Seeds were collected from 4 plantations and 2 superior tree from Inner Mongolia (IM), Liaoning (LN), and Shandong (SD) in China. Seed weight and germination rate were investigated in 2011 and 2012. In the analysis of seeds collected in 2011 year, collected seeds from Forest farm of S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weight and volume among those of other plantations. However the seeds collected from field of Jianping Agricultural Research Station(JARS) of LN in 2012 showed the highest value. The average germination rate in fall seeding were 36.2% in total seeds collected from 6 plantation. The seeds collected from Lindonglinchang of IM were 57.1% which is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In spring seedling after stored at room temperature, average germination rate was 19.5% which is around half-fold lower than that of fall seeding. The seeds from JARS of LN showed the highest germinating as 31.4%. In the seed germination test using the method of rolled seeds in wet towel and storing at low (4℃) temperature, the germination rate was average 42.4% and maximum 54.3% which is the most effective for maximum germination of seeds. To analyze the genetic characters of seeds collected from 6 plantations, the genetic variations of X. sorbifolium plants from 4 population and 2 clone were examined using ISSR analysis. Mean genetic variation was measured by Shannon's index (I= 0.461)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0.384). Among the population and clone, No. 38 of IM (I= 0.559, He= 0.384), No. 160 (I= 0.507, He= 0.347), and Forest farm of SD (I= 0.470, He= 0.325) showe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and clones. From the AMOVA, 23% of total genetic variation was explained among the population, and the other 77% was distributed within the population. UPGMA cluster analysis revealed the allocation into two group [(Group 1: Lindonglinchang (IM), JARS (LN), Forest farm (SD)], [Group 2: No. 38 (IM), No. 160 (IM), Jinjilinchang (IM)]. Calorific value of X. sorbifolium seeds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resource bio-energy plant. It was 7,377 cal g-1 in kernel and 5,874 cal g-1 in total seeds. Crude ash content was 1.7% in kernel and 1.2% in total seeds, which exceed the first grade woody pellet standard. The average oil content of kernel was 51.2%. Oleic acid content was 30% which is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the bio-diesel quality. In seeds collected from Forest farm of SD, calorific value was 6,395.5 cal g-1 total seeds and 7,774.6 cal g-1 kernel, and also kernel oil contents was 54.5 g 100g-1 which showed the highest among other plantations. Oleic acid composition was 31.3% which showd the second highest. The seeds kernel from JARS, LN contained highest oleic acid composition as 32.2%, however oil content (46.5 g 100g-1) was lower than others. Because of low germination rate of seeds, in vitro propagation is an useful method for propagation. To establish the protocol of plant regeneration, adventitious shoots induction rate in the culture of cotyledons of immature zygotic embryos was 68.6% in MS medium with 0.5 mg l-1 benzylaminopurine (BA) and 3 sucrose. In the culture of cotyledons of mature zygotic embryos, induction of adventitious shoots was needed high sucrose pre-treatment (1M sucrose for 21 days) and the frequency of shoot induction was 64.4%. Multiple shoots were induced in 0.5 mg l-1 with thidiazuron (TDZ) and the number of shoots was 2.39 per explant. Rooting of shoots was induced on 4.0 mg l-1 indolebutyl acid (IBA). Flow cytometry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regenerated plantlets were diploid. Because X. sorbifolium is well adaptive in the ares of cold temperature, the genetic, propagational, and componential studies can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s for utilizing as bioenergy tree (X. sorbifolium) in northern cold climate regions including Korean peninsula.

      • 채송화(Moss Rose)이미지를 통한 심상 표현 연구

        조연정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급속한 과학 문명의 발달로 정신적 불안과 위기감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현실의 생존경쟁과 사회에 대한 각박함, 중압감으로부터 현실세계를 탈피하고 동심으로 돌아가 그 시절을 추억하고픈 욕구를 가지게 된다. 과거의 회상을 통해 현실세계를 반성하고 아름다운 추억을 그리워하는 인간의 심리는 본 연구의 중요한 표현대상이다. 본 연구는 추억을 상징하는 채송화의 이미지를 통해 어릴 적 동심의 세계를 조형적으로 연구 분석 하였으며 주관적인 관점과 해석을 통해 작품에 표현하였다. 추억은 복잡한 현실에 둘러싸여 순수함과 꿈을 잃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아름다운 기억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며 정신적 여유를 가지고 현재까지 살아온 과거를 되돌아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양한 감정표현을 대표할 수 있는 상징물로서 채송화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채송화는 생성, 변화, 순환, 소멸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인간사를 대변해 준다. 일반적인 꽃의 의미를 넘어 지나간 흔적 위의 많은 이야기들을 화폭 안에 표현해 추억이라는 주제를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사람마다 과거의 경험과 추억이 다르듯이 채송화는 연구자의 어린 시절을 대변하는 일상적 소재이며 경험적 요소를 나타내주고 있다. 표현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연구자가 성장하면서 겪었던 감정과 기억들을 추억의 상징성으로 이끌어 냈고, 조형적인 측면에서는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고자 채송화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여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여기에 추억을 회상하는 시간성을 강조하기위해 유동적인 선을 삽입하여 공간감의 다양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제작방법으로는 납방염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천에 스며드는 염료의 겹침, 소재와 디자인의 중첩표현을 이용하여 채송화의 운동감과 시간의 영속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납방염은 직물 표면 위에 각종 납을 녹여서 방염시키는 방법이다. 납은 열을 가하면 쉽게 녹는데 이렇게 녹인 납으로 칠해진 부분이 염색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문양을 나타내는 염색 방법이다. 이는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독창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되어 작품 제작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채송화의 형상을 통해 본인의 심상적인 표현을 서술하고자 하였으며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감성을 해석하여 하나의 공간에 표현함으로써 제 3자에게 추억의 감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채송화를 현재와 과거를 이어줄 수 있는 추억의 상징적 매개체로 하여 현대인들의 잊혀진 아름다운 지난날을 회상하고 느낄 수 있도록 내적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웃음치료가 성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창범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웃음치료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웃음치료가 성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전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주관적 행복감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주관적 행복감은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집단이 웃음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집단보다 주관적 행복감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웃음치료가 성인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웃음치료가 성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influence of the laughing therapy for adults would have on subjective happiness. For this purpose, pre and post verification has been implemented whether the laughing therapy would ha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ults. Following research outcome has been formulate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xperiment group implemented with the laughing therapy program displayed nurse in the pre and post test.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laughing therapy program displayed no nurse in the pre and post test. The the experiment group implemented with the laughing therapy program had the higher degree of the subjective happi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laughing therapy program.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laughing therapy is shown to be of help in promoting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ults. Therefore, the laughing therapy would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ults.

      •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은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s its object in examining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suicidal ideation. For this, change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nge in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were examined. Finally, th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b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research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demographic change in environment are as follow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depending on gender an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chance of having suicidal ideation. Also, depending on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were shown.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depending on school classes.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interest in death and thoughts of dying of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grades,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reason for dying in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based on grades. Subjects who ranked lower in class showed higher reasons for dying than those who ranked middle in class. No significance was shown for suicidal ideation and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uch as reason for dying, interest for death, and thoughts of dying depending on economic level or religion. Significance was shown in suicidal ideation based on whether subjec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owed higher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an those who had not. Also, reason for dying and thoughts for dying, which are parts of the lower domain of suicidal ide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have higher reason for dying and thoughts for dying than those who had not. Second,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are as follow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hig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ower the suicidal ideation.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self-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and interest for dying of suicidal ideation, and this signifies that self-effectiveness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the reason and interest for death. The hope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this signified that hope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of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orce of restitution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was shown, and this signifies that the force of restitution can act as a positive role in lowering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The optimism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this signified that optimism can have positive effect in lowering of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for dying. Lastly, the results of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uicidal ideation are as follow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and it was shown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effective in lowering the suicidal ideation. Also, the optimism and the force of restitution significantly correlated negatively to reason for dying, and they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the interest and thoughts of suicide. In lowering the reason, interest, and thoughts of dying, optimism and force of restitution were shown significantly effective.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를 살펴 보았으며,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에 따라 자살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음에 대한 관심과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적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이 하위권인 이들은 성적이 중위권인 이들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제 수준과 종교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이들이 학교폭력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자살생각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폭력 경험 유무에 따라 자살생각의 하위 영역인 죽고 싶은 이유와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이들이 학교폭력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죽고 싶은 이유와 죽고 싶은 생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과 자살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을 낮추는데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희망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희망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복원력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복원력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과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 죽음에 대한 관심, 죽고 싶은 생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낙관성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낮추는데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의 낙관성과 복원력은 자살생각의 죽고 싶은 이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의 복원력과 낙관성은 자살생각의 죽음에 대한 관심과 죽고 싶은 생각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죽고 싶은 이유와 죽음에 대한 관심 그리고 죽고 싶은 생각을 낮추는데 낙관성과 복원력은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였다.

      •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웃음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나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웃음활동 프로그램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웃음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에 대한 조사 결과는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군과 대조군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동질 성향의 집단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실험군의 경우 웃음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웃음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졌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웃음활동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은 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 웃음활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웃음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influence of laugh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evaluated and the influence of laugh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results on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id not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of homogeneous characteristic. Secondly, in the case of experimental group,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ere improved after undertaking laughing program compared to befor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trol group,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id not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passage after not having undertaken laughing program.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laughing program in improving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was confirmed. From these results, the positive influence of laugh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proved and laughing program could be said to have a helpful value in improving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대처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재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머감각과 유머대처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였고, 유머감각 및 유머대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유머감각과 유머대처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성적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위권의 학생들이 중․하위권의 학생들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유머감각과 유머대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머감각과 유머대처는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머감각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머감각과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교우관계와의 상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머감각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머감각은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을 높이는데 유머감각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교우관계에 대한 유머감각의 설명력은 40.3%로 나타나 유머감각의 교우관계에 대한 비중 있는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머대처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머대처는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 세포 노화 바이오 마커 heparan sulfate를 탐지하는 형광 기반 probe 개발 연구

        김나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Heparan sulfate (HS) is a linear polysaccharide, which is ubiquitous in mammalian cells as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HSPG). HS plays multiple roles such as cell adhesion, tumor metastasis, and cellular senescence.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HS level decrease in senescent cells. Cellular senescence can be induced in the process of cancer treatment through radiation or anticancer drugs. Therefore, detecting senescent cell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rognosis or subsequent treatment of patients, and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senescent cell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study, a decrease of HS level, as a cellular senescence biomarker, was observed in senescent MCF7 breast cancer cells by the treatment of ionizing radiation (IR)- or doxorubicin (Doxo), and a fluorescent probe HS-3 was developed to detect it. fluorescent probe was developed by excitation with 450 nm. When the probe was associated with HS, the maximum emission wavelength was shifted from 525 nm to 620 nm. Thus, the emission fluorescence ratio (FRed/FGreen) was correlated well with the concentration of HS. Using a fluorescent probe HS-3, a significant decrease of emissio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FRed/FGreen) was observed in IR- or Doxo-induced senescent cells. When additional stimuli which directly reduce the HS sulfation level, such as sodium chlorate and siRNA of PAPSS2, were treated, decreases of HS level was observed using Western blot and immunofluorescence assays. Fluorescent probe HS-3 also showed a decrease of emission fluorescence ratio in sodium chlorate-treated or PAPSS2 siRNA-transfected cells. In H460 lung cancer cells, decrease of HS level was also observed in response to IR or Doxo treatment using Western blot and immunofluorescence, and the emission fluorescence ratio of the fluorescent probe HS-3 was reduced. Overall,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fluorescent probe HS-3 detects changes of the HS level in IR- or Doxo-treated senescent cells. Also, fluorescent probe HS-3, a cellular senescence small molecule marker, might be used to monitor cellular senescence in real-time after anti-cancer therapy and further predict the prognosis of patients. 방사선이나 항암제를 통하여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세포노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세포노화의 정도를 알아내는 것은 암환자의 예후 혹은 이후 치료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세포노화를 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발굴과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는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이나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에 의해 노화된 암세포에서 세포노화의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 헤파란황산염의 감소를 재확인하고,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형광 기반의 프로브를 개발하였다. 헤파란황산염을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는 Green 형광을 띠지만, 헤파란황산염과 결합했을 때 Green 형광이 감소하면서 Red 형광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헤파란황산염을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유방암 세포인 MCF7에서 방사선과 독소루비신으로 세포노화를 유도한 후 형광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고, HS가 감소함에 따라서 Red/Green 형광 비율도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헤파란황산염의 황산화 감소시키는 염소산 나트륨이나 PAPSS2 siRNA를 처리한 후 헤파란황산염을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의 성능을 확인해보았고, 헤파란황산염을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의 Red/Green 형광 비가 감소하였다. 또한 다른 암세포에서의 결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폐암세포인 H460에도 동일하게 방사선이나 독소루비신으로 노화를 일으켰다. 그 결과, 노화가 일어남에 따라 동일하게 헤파란환산염의 감소와 이를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의 Red/Green 형광 비율 감소가 관찰되었다. 종합적으로, 세포노화의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 헤파란황산염 수준의 변화는 이를 감지하는 형광 프로브에 의해 효과적으로 탐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암 치료 후 세포노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암환자의 예후 예측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직장인의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백보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burnout. For this, the difference of burnout depending on office workers’ demographic features was examined, and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both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Finally,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burnout were verified. The conclusion is deduct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o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burnout depending on demographic features are as follows. Gender, age, and religion had no significant meaning on burnout. However, significance was shown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technical college graduate and high school graduate, and those who graduated technical college were shown to have higher burnout rate. Depersonalization and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lower domain of burnout, depending on level of educa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echnical college graduates had higher rate of depersonalization and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compared to high school graduate and higher level graduate. Burnou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ubjects’ marital status, and singles were shown to have higher burnout compared to those who were married. There also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had children or not. Those who did not have children had higher burnout rate than those who di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urnout depending 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ose who had lower average monthly income had higher rate of burnout. Second, the results for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and burnout had nega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This signifies that the burnout rate is lower as the communication level is higher.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burnout negatively correlated to each other, and this signifies that the higher communicative competence is, the lower burnout is. Lastly, the results of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burnout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ffects burnout, and communication plays a positive role in decreasing burnout.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ffected burnout,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plays a positive role in decreasing burnout.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직장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소진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의사소통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직장인의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해 보았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직장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 연령, 종교 유무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력에 따른 직무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대졸과 고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문대졸이 고졸에 비해 직무소진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력에 따른 직무소진의 하위영역인 비인격화와 개인성취감 감소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대졸은 고졸과 대졸 이상에 비해 비인격화와 개인성취감 감소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라 직무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혼이 기혼에 비해 직무소진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녀현황에 따른 직무소진의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녀가 없는 이들이 자녀가 있는 이들에 비하여 직무소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 소득에 따라 직무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직무소진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직무소진의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과 직무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직무소진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직무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소진을 완화시키는데 의사소통이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직무소진에 대해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소진을 완화시키는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