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에 나타난 미국관련 서술 분석

        정인웅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근·현대사 교육은 분단 이데올로기의 대립, 권력 집단의 역사 해석 독점 등으로 인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의 시행으로 근·현대사는 독립된 교과목으로 편제되었고, 교과서 편찬에서는 검정제도 도입으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그동안 역사 교육에서 등한시 해 왔던 근·현대사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검정으로 편찬된 『한국 근·현대사』6종과, 6차 『국사』교과서, 7차 『국사』교과서 등에 서술된 미국 관련 내용의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 대해 검토 하였다. 검토 결과 전체적인 검정교과서의 수준은 기존 국정으로 발간된 6차 교과서 보다 교과서 서술시각의 객관성, 읽기자료와 사진자료 그리고 탐구자료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 여전히 교육과정의 제약을 받아서 학계의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거나 반공 이데올로기적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서술 내용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기본적으로 교과서의 집필이 여전히 ‘교육과정’과 ‘준거안’에 의해 제약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검정기준은 교과서 집필자나 출판사 측에 강력한 압력으로 다가설 수밖에 없었고, 결국 교과서 서술에 있어서도 교과서 마다 편차는 있으나 서술의 일관성이 없었고, 사실에 대한 왜곡 또는 부정확한 서술로 나타나게 만들었다. 따라서 보다 나은 근·현대사 교육과 교과서를 위해서는 먼저 학문적 연구 성과와 투자가 선행 되어야 하며, 우리 사회 내부의 이데올로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과 ‘준거안’과 같은 불필요한 제도적 제약은 당연히 없어져야 할 것이다. 검정제 도입의 가장 큰 장점은 교과서 역사 서술과 해석에 있어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사회가 기존의 획일화 되고 경직된 사회에서 벗어나 민주적이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로 변화 발전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역사 서술과 해석의 다양성은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자칫 이 다양성이 잘못된 역사인식과 교육을 강요하게 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보다 나은 역사 교육을 위해 역사학계나 관련시민단체 등을 포함하여 우리 사회 모두가 역사교육문제에 대해서 더욱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Modern history education have not been provided properly because of the confrontation of north-south dividing ideology and exclusive history analysis by authorities. However, the 7th curriculum categorized modern history as an independent course,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ensured variety of history analysis on compiling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on preferable curriculum and text description through description analysis on America in the 6th and the 7th edition of 'History' textbooks with 6 new texts of ‘Modern History of Korea,' which were compiled with the certification system to normalize modern history education, the neglected part of history education until then. As a result, the certified textbooks, as a whole, showed progress on subjectivity of point of view and variety of text, pictures, and research materials compared to the 6th edition, which were compiled by the state. On contrary, they still did not reflect up-to-date research results or escape from anti-communism ideology on some points because the curriculum limited. Those problems can be explained by ‘the curriculum' and ’the authority code,' which limit compiling a textbook basically. The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great pressure for both textbook compilers and publishers, and eventually, that made textbooks without consistency on description even they differ one to another. Also, that lead other problems, such as distortion of facts and inaccurate descriptions. Therefore, for better modern history education, research results and investment on the study are needed first, and at the same time, we need an effort to solve the ideological contradiction in our society. Also, systemic limits, such as ‘the curriculum' and 'the authority code,' have to be abolished. The biggest advantage of adopting the certification system is ensuring variety on description and analysis of history in textbooks. That was possible because our society has been changed to a democratic society allowing variety from a uniform and rigid society. The variety on description and analysis of history is essential for right history education. However, it may be an another problem when the variety leads to false history knowledge and education. Consequently, more concern is needed for everyone in our society, including history academia and corresponding civil organizations, to provide better history education.

      • 1920년대 후반 신간회 대구지회의 설립과 활동

        남정원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신간회는 1927년 2월 결성된 국내 최초의 민족협동전선이었다. 설립이후 신간회는 전국적으로 150여개에 달하는 지회를 조직해 나갔다. 특히 신간회지회들은 지역적 상황에 따라 나름의 독자성을 갖고 활동하였다. 따라서 신간회운동의 객관적 실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신간회중앙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지회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27년 9월 설립된 신간회대구지회의 설립과 활동을 살펴보고자하였다. 1920년 대구에서는 대구청년회와 조선노동공제회 대구지회의 설립을 계기로 청년운동과 노동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정운해, 이상훈등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사상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이후 대구의 사회주의 세력은 1923년 중반부터 대구노동공제회와 대구청년회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지역의 민족운동을 주도해갔다. 한편 이시기 청년사상단체 중심으로 전개되던 화요회와 서울계청년회의 파쟁양상이 대구에서도 대구청년회와 제4청년회를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주의 세력의 파쟁과 분열은 사회주의 운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게 가로막고, 그 운동의 본래적 목적이나 방향성조차 상실하게 만들었다. 나아가 자신들이 주도하던 청년운동, 노동운동 등을 비롯한 여타의 부분운동도 침체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 무렵 실시된 치안유지법은 특히 사회주의세력의 활동과 운동공간을 극도로 위축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 세력은 내적으로는 분열과 파쟁을 극복하고, 외적으로는 치안유지법을 앞세운 일제의 탄압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대응책으로 제기된 것인 신간회창립의 주된 배경이 된 민족협동전선의 형성이었다. 대구에서도 대구청년회와 제4청년회를 중심으로 청년운동단체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 1926년 후반 제3차 조선공산당의 결성과 정우회선언 등을 계기로 1927년 7월24일 대구청년동맹이 결성되었다. 대구청년동맹의 결성을 계기로 파쟁이라는 자체 모순을 극복한 사회주의세력은 민족협동전선을 통해 경제운동에 치중한 계급운동을 대중적인 정치운동으로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사회주의세력의 사상적?조직적 통합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반자치운동을 위한 세력결집에 나선 지역의 비타협적 민족주의세력은 대중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조직이 미비했던 자신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주의세력과의 연대를 모색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간회 대구지회는 1927년 9월 이경희, 송두환, 최윤동 등 3?1운동을 주도하였거나 국내외의 독립운동간체들과 연관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장적우, 김이용 등 대구청년동맹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사회주의세력의 결집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후 대구지회는 민족협동전선인 신간회를 유지?운영하고, 그 설립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들을 전개해 나갔다. 설립초기 대구지회는 회원의 증모, 분회 및 반회의 조직, 강연회와 야학운영, 부분운동에 대한 지원활동 등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지회참여를 이끌어 내고 이들을 의식화?조직화하여 지회의 조직을 강화시켜 나갔다. 또한 재만동포 폭압문제, 영남친목회와 경제연구회 설립문제 등에 대한 대응을 통해 일제에 대한 정치적 투쟁과 타협운동과 자치운동등 기회주의운동에 대한 저지활동을 전개하였다. 복대표대회이후 대구지회는 지역의 사회운동단체들의 간부들로 지회의 간부진을 구성해 단일한 정치적 협동전선의 지도부를 운영함으로서 지역운동의 통합적 지도기관이자 조선민족의 이익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이 시기 대구지회는 대구청년동맹과 근우회대구지회와의 연대를 통해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또한 침체에 빠진 경북지역의 신간회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도지회연합결성을 추진하였다. 이상과 같은 대구지회의 활동은 일제의 탄압을 받았다. 특히 지회에 대한 탄압은 1928년 7월 발생한 조선공산당원 및 고려공산청년회원 검거사건에 장적우와 조병렬등 지회의 간부들이 연루됨에 따라 본격화 되었다. 일제의 탄압에도 대구지회는 1930년말 까지 정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지회의 활동을 지속해 나갔지만, 그 명맥만 유지하는 정도였고, 1931년 5월 신간회전체대회에서 해소론이 가결됨에 따라 대구지회역시 해소되고 말았다. 이것은 곧 대구지회의 해체로 이어지고 말았다. 신간회대구지회는 3?1운동이후 분화되었던 지역의 민족운동이 최초로 결집된 민족협동전선이었다는 데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The Singanhoe was the first union of Korea nation line which established in February 1927. They organized over 150 local association on a national scale after the establishment. Especially every local Singanhoe worked in their unique way because of their local condition. Therefore we have to study of both central and local Singanhoe to examine the objective true picture of the local Singanhoe movement. For that reason, this study made a study of a establishment and working of the local Singanhoe branch in Taegu which established in September 1927. Taking the establishment of a young men's association in Taegu and a labour mutual-aid project of Korea in Taegu opportunity, a youth movement and a labour movement was developed in Taegu in 1920. Also the idea of the socialism was came in with Jeong Woon Hae, Lee Sang hoon and others at the same time. The socialists in Taegu held real power in the young men's association in Taegu and the labour mutual-aid project of Korea in Taegu and they led the local national movement from mid 1923. On the other hand, a phase of a factional strife between the Hwayohoe and the young men's association in Seoul which developed from the youth ideology association also started to develop in Taegu from the young men's association in Taegu and the fourth young men's association. These socialists' factional strife and disruption impeded diffusion of socialism movement to the public and made to lose the purpose of movement. Moreover, it made depression to other movements like the youth movement and the labour movement. Furthermore,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ct made the socialists' movement and the sphere of activity more dwindle. Therefore, the socialists needed to overcome the factional strife and disruption and also needed to make a way to confront to Japanese coercion. The form of the union of Korea nation line was presented as a countermeasure which was a main setting of the establishment of Singanhoe. The argument of a unification of the youth movement association from the young men's association in Taegu and the fourth young men's association started in Taegu as well. Then the youth alliance in Taegu organized in July 24th 1927. Taking the organization of the youth alliance in Taegu opportunity, the socialists overcame their own contradiction. In the end, they tried to achieve ideological and organizational unification of the socialists through out a union of Korea nation line. In addition, the local uncompromising nationalists tried to find a way to join with the socialists to overcome their own limitation of organizational imperfect. Consequently, the local Singanhoe branch in Taegu was established through concentration of the nationalist and the socialists in September 1927. After the establishment, Taegu local branch developed the activity to maintain, manage, and realize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the Singanhoe. At the early stage of Taegu local branch led participation of diverse class and then, ritualize and organization the people to strengthen the association. Moreover, they developed the activity of impediment to expectant movement like political struggle and compromise movement and self-governing movement. After the representative meeting, Taegu local branch indicated their character as a syncretic leading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Korean national profit. Thus, Taegu local branch pushed ahead organization of local province alliance to activate the depressed Singanhoe movement in Kyeongbuk. Like the upper part of working of Taegu local branch had Japanese coercion. Especially, the coercion became serious because the leading members of local branch as Jang Jeok Woo, Jo Byeong Ryoel, and others were implicated a roundup of Korean communist and Koryeo youth communist in July 1928. In spite of Japanese coercion, Taegu local branch continued their working until late 1930's, but it just maintain its slender existence. Finally, an annulment was approved at the whole meeting of Singanhoe in May 1931 and also Taegu local branch were annuled. This led to disorganization of Taegu local branch. The local Singanhoe branch in Taegu has historical signification in the first concentration for union of Korea nation line after the Independence movement.

      • 한계 이승희의 민족운동 연구

        임삼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A Study on Lee, Seung-Hee's National Movement Im, Sam-Cho Department of History and Archaeology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Yoon-Gap) (Abstract) Lee, Seung-Hee was born in a family of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in Seongju, Gyeongsangbuk-do. From an early age, he was raised to be a Neo-Confucianist scholar; he was taught by his grand uncle, Lee, Won-Jo, and his father, Lee, Jin-Sang. Lee, Seung-Hee thought that a lack of discipline in the state could cause social turmoil and instability, which could lead to a national crisis. He was certain that if the village code worked correctly, he could ensure national discipline by stabilizing the villages and re-establishing the order of Confucianism. He believed that the village code could help recover the original spirit of Confucianism as a rule for reforming relations from the basic level to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Lee, Seung-Hee used the concept of the village code in accordance with circumstances over time, even when he changed his social reform theories to the self-reliance theory, theory of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movement theory. Lee, Seung-Hee’s self-reliance theory began to take shape in the 1880s. The core of his theory was the village code movement. Lee, Seung-Hee helped the village code movement led by Lee, Jin-Sang in the 1880s. This experience helped him realize that the village code can stabilize the livelihoods of residents, restore the order of the village, and establish rules based on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 In this regard, in 1883, he organized Daepouisa to solve a tax issue and stabilize people’s livelihoods. In the winter of that year, he implemented Yudong-bangyak to restore the order of the villages. In 1891, he drew a plan and tried to implement Sungsan-hyangyak, but he failed due to the breakout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Lee, Seung-Hee personally witnessed the process of the Korean Empire being deprived of its sovereignty. Before and after the Eulsa Treaty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of 1905, Lee realized that national sovereignty could be restored when Koreans recovered their sovereignty from foreign forces, established a self-reliant nation, and cultivated people’s capability to stand on their feet. Lee, Seung-Hee realized that all “citizens” of the Korean Empire could gain competence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 and he led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Based on this experience, he devised a plan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by combining the village code and the education system. The article “Hyangyak Sangcho” clearly describes Lee, Seung-Hee’s theory of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When Lee, Seung-Hee launched the village code movement in Seongju in the 1880s and 1890s, he intended to establish a social class and rebuild the rural society centered on families of scholars to implement the village code. However, as he witnessed demonstrations against the Eulsa Treaty and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he realized that “citizens” of the Korean Empire could become key players in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Lee, Seung-Hee, after his exile, organized and operated the Korean settlement village based on “Hyangyak Sangcho” in Hanheung-dong, Milsan-bu near the border between China and Russia. At this time, Lee tried to build a stable community for Koreans in the territory of China, his place of exile, and to equip them with the capacity to run their community. Accordingly, Lee first founded the Hanmin School (Korean School) in Hanheung-dong and then created Min-yak and implemented it. Min-yak strictly regulated behaviors that disrupted or dismantled the community' order in the place of exile and emphasized mutual aid among Koreans. On the other hand, in Min-yak, Lee reduced the content that strengthened the Confucian order. While Lee, Seung-Hee managed Hanheung-dong for four years from 1909 to 1913, he fully realiz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un the Korean community without Chinese protection. However, he developed his idea of a Korean autonomous community where “min” (citizens) can make their own rules, build, and operate the village themselves. He became confident that the plan for the Korean autonomous community could be applied to not only Hanheung-dong but also Dongsaumsung beyond Milsanbu. Later, as it became difficult to run the Korean community in Hanheung-dong, Lee, Seung-Hee moved to Southern Manchuria to establish a new base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in 1913. Lee, Seung-Hee paid attention to the religious movement of Confucianism that occurred in China. Lee tried to go to Beijing and implement his plan. He created the Korean Organization of Confucius Religion in Manchuria, which is recognized as an official branch by the Chinese government. This recognition made it possible to continue the independence movement safely under the protec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addition, Lee requested Chinese Confucian religious leaders and Chinese government officials to approve the autonomy of Koreans. After returning from Beijing, Lee created a plan to establish a Korean autonomous community in Duckhueng-bo, Yojung-hyun. However, the construction in Duckhueng-bo did not go as planned because, the Chinese defrauded him of land and money. Since Lee, Seung-Hee died in 1916, the Korean autonomous community that he had pursued could not materialize.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modern era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 nation state. This goal can be achieved when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grow into citizens with national sovereignty. In this regard, as Lee changed his ideas to the theory of self-reliance, theory of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movement theory, he finally realized that “citizens” were the core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Korean autonomous village. Keywords: Lee, Seung-Hee, Daepouisa, Yudong-bangyak, Sungsan-hyangyak, Min-yak, Village code movement, Self-reliance, Theory of restoration of the national sovereignty, 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movement, Hanheung-dong, Duckheung-bo, Korean autonomous community 한계 이승희의 민족운동 연구 임 삼 조 계명대학교 대학원 역사·고고학과 (지도교수 이 윤 갑) (초록) 한계 이승희는 경상북도 성주지역의 사족 출신으로, 일찍부터 종조부 응와 이원조, 부친 한주 이진상의 가르침을 받으면서 성리학자로 성장하였다. 이승희는 국가 기강이 확립되지 않으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고 민생이 불안정해져 국가적 위를 초래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승희는 향약을 제대로 운영한다면, 향촌 사회를 안정시키고 유교 질서를 재확립해 국가 기강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 향약이 유학의 본래 정신성을 회복시켜 주고, 사회를 구성하는 기초단위부터 국가·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규약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승희는 자신의 사회개혁론을 내수자강론-국권회복론-독립운동론으로 전환할 때도, 시대적 조건과 상황에 맞춰 향약을 활용하였다. 이승희의 내수자강론은 1880년대부터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이승희의 내수자강의 핵심은 향약운동이었다. 이승희는 1880년대 이진상의 향약운동을 도우면서, 향약이 민생을 안정시켜 향촌질서를 회복하고, 강상윤리를 확립하는 규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1883년 대포의사를 조직해 부세 문제를 해결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그해 겨울에는 유동방약을 시행해 향촌질서를 재건하려고 했다. 1891년에는 성산향약을 입안해 실행하려 했지만, 1894년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면서 결국 실행되지 못했다. 이승희는 1905년 을사늑약 전후를 기점으로 대한제국의 주권이 피탈되는 과정을 직접 목격하면서 내수외양론을 기반으로 한 국권회복론으로 전환하였다. 이승희는 외세로부터 주권을 회복해 자주 국가를 만들고, 자립할 수 있는 국민의 역량을 길러내야 국권 회복이 가능하다고 파악했다. 이승희는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신분을 초월해 대한제국의 모든 ‘국민’이 역량을 갖출 수 있음을 목격하였고, 그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국권회복방안을 향약과 교육을 결합해 만들어냈다. 이러한 이승희의 국권회복론이 잘 드러난 글이 바로 󰡔향약상초󰡕이다. 이승희는 1880년대·1890년대 성주지역에서 향약운동을 전개할 때만 하더라도 사족이 중심이 되어 향약을 시행해 신분질서를 확립하고 향촌 사회를 재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을사늑약 반대 상소 투쟁과 국채보상운동을 거치면서 대한제국의 ‘국민’이 국권 회복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승희는 망명 이후 밀산부 한흥동에서 󰡔향약상초󰡕를 토대로 한인정착촌을 구성하고 운영하였다. 이때 이승희는 망명지인 중국 영토에 한인이 안정적으로 공동체를 건설하고, 한인이 공동체를 운영할 역량을 갖추는 데 힘썼다. 그래서 이승희는 한흥동에 제일 먼저 한민학교를 세우고 「민약」을 만들어 시행하였다. 「민약」에서는 망명지에서 공동체 질서를 붕괴시키거나 해체하는 행위에 대해 엄격히 규제하고, 한인의 상호부조를 강조하였다. 반면, 유교 질서를 강화하는 내용은 축소하였다. 이승희는 1909년부터 1913년까지 4년 동안 한흥동을 운영하면서 중국의 보호 없이는 한인정착촌을 운영하기 어려움을 절실히 깨달았다. 또한, 그렇지만 ‘민’이 스스로 민약을 만들고 공동체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한인자치촌을 구상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자신의 한인자치촌 구상안이 한흥동뿐 아니라 밀산부를 넘어 동삼성에 거주하는 한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이승희는 한흥동에서 한인정착촌 운영이 어려워지자 1913년 새로운 독립운동기지로 구축하고자 남만주로 이주하였다. 이승희는 중화민국에서 일어난 공교운동을 주목하였다. 이승희는 직접 베이징으로 가 자신의 계획을 실행시키고자 하였다. 이승희는 중화민국 정부로부터 동삼성한인공교회를 정식 지회로 인정받아, 중화민국 정부의 보호 속에 안전하게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중국 공교회 인사와 중화민국의 관료를 상대로 한인의 자치권을 승인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베이징에서 돌아온 이승희는 요중현 덕흥보에서 한인자치촌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중국인에게 토지를 사기당하고 자금을 도둑맞아 결국 덕흥보 건설은 계획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승희가 1916년에 사망함에 따라 이승희가 추구한 한인자치촌은 실현되지 못했다. 근대시기 민족운동은 국민국가 수립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이는 구성원 전체가 국가의 주권을 지닌 국민으로 성장해야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이승희는 내수자강론-국권회복론-독립운동론으로 전환하면서, 최종적으로 한인자치촌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주체로 ‘민’을 상정하고 있다. 이는 유학의 ‘근대성’이 주권을 지닌 국민을 육성해 근대국가를 수립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주제어: 이승희, 대포의사, 유동방약, 성산향약, 민약, 향약운동, 내수자강, 국권회복론, 독립운동, 민족운동, 한흥동, 덕흥보, 한인자치촌

      • 일제강점기 경북지역 근우회 운동

        김은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근우회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까지 민족운동의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조선여성의 운동역량을 총 결집했던 최초의 여성통일조직이었다. 근우회는 지회의 성격 여하에 따라 다르게 파악될 수 있기에 최근 지회에 대한 사례연구가 요청되어 왔다. 이에 일제강점기 경북지역 근우회 지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근우회 운동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에도 봉건적 구습이 온존됨에 따라 조선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는 열악했다. 그런데 1919년 종교인, 지식인, 학생 등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 일어났던 3ㆍ1운동에서 보여준 여성들의 적극적인 투쟁은 여성에 대한 사회 인식의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또한 일제가 지배방식을 ‘문화정치’로 전환함에 따라 대중의 합법적인 투쟁 공간이 확보되어 경북지방에서도 사회운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여성운동은 기독교와 천도교 같은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초기 여성교육계몽의 일익을 담당했던 민족주의여성운동과 사회주의여성해방론을 이념으로 한 사회주의여성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20년대 중반에 이르면 사회주의여성운동단체들이 성장하면서 이들의 주도로 초기의 활력을 잃고 침체상태에 빠져있던 민족주의여성운동단체들과 협동노선을 채택하여 1927년 여성통일조직인 근우회를 창립하게 되었다. 경북에서는 지역 여성들의 자체적인 노력과 근우회 본부의 지원 및 지역 타 단체의 협조로 1927년부터 1929년까지 김천, 대구, 군위, 하양, 영천, 영주 등 6개 지역에 근우회 지회가 설립되었다. 이들 지역은 철도의 통과지이거나 그 인접 지역으로 새로운 학문과 사상이 보다 신속히 유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지회 활동은 대구, 김천, 영천, 영주 등의 경우와 같이 사회주의적 경향을 띠고 근우회 본부와 연계되는 여성지도자가 있거나, 기존의 여자청년단체의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에서 비교적 활발했다. 반면 하양, 군위 등의 경우와 같이 민족주의적 경향을 띠면서 주변 지역 지회설립의 여파로 지회가 설립된 경우에는 활동이 미약했다. 1930년을 지나면서 근우회의 운동의 방향과 전망에 대한 운동자들 간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근우회 해소 논쟁이 일어났다. 또한 근우회 운동에 대한 일제의 탄압이 가중되어 지회는 결국 해소되었다. 경북지역 근우회 지회는 운동이 단기간에 종료됨에 따라 미처 여성대중이 운동의 주체가 되어 활동하는 단계에까지 발전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근우회 지회의 설립은 경북지역의 여성 대중을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각성케 하는 첫 시도였다. 경북지역 근우회 운동은 봉건적 구습에 익숙해 있던 여성과 여성을 보는 지역사회의 의식변화에 영향을 미쳐, 경북지역 여성대중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The Geunuhoe in which women's great capabilities in the Chosun Dynasty was concentrated was the first women's united organization for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acial movement from the late 1920 to early 1930. Recently the case studies on local branches of Geunuhoe are required because each branch had different features and princi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branches of Geunuhoe in Gyeong-bu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underst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Geunuhoe in dept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women's status in the Chosun Dynasty was poor because of the feudalistic convention of regarding men as superior to women. As women joined actively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which religious people, intellectuals and students participate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change public perception of the women. Because Japan had changed a ruling system into cultural politics system, the legal space for struggle was secured and the social movement became active in Gyeong-buk. The women's movement based on religious groups like Christianity and Cheondoism was developed into the socialist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nationalist women's movement which had a key part in early women's enlightenment campaign. The groups which had led the socialist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groups of socialist women's liberation movement which had been stagnant established the Geunuhoe in 1927. In Gyeong-buk, 6 branches of Geunuhoe wrer established in Gimcheon, Daegu, Gunwi, Hayang, Yeongcheon, and Yeongju from 1927 to 1929. These branches located in areas which was adjacent to railroad route had advantage to embrace new thoughts. The branches in Gimcheon, Daegu, Yeongcheon and Yeongju were organizations with communist leanings and had leaders related with the headquarters of Geunuhoe. The branches in Gunwi and Hayang were organizations with nationalist leanings and were not active in movement. The members of branches had showed different opinions on directions and features of movement of Geunuhoe and was dissolved in 1930s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The branches of Geunuhoe in Gyeong-buk did no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women's movement because it was dis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establishment. It was, however, the first attempt to make women acclimatized in the feudalistic convention awaken socially and politically in Gyeong-buk.

      • 일제의 전시체제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분석 : 대구광역시 강제동원 피해신고자를 중심으로

        강필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1937년 노구교사건을 시작으로 중일전쟁에 돌입한 일제는 전장을 확대해 나갔다. 본격적인 전쟁에 돌입하면서 일제는 총동원체제를 구축하였고, 이후 전선이 동남아와 태평양까지 확대되면서 인적ㆍ물적 자원의 수요가 늘어났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서도 총동원체제를 수립하여 인적ㆍ물적 자원의 수탈을 종전때까지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은 일본 내 공장과 탄광으로 배치되어 전쟁 물자를 생산하였다. 일제는 강제동원한 조선인들에게 저임금이나 무보수, 처우 차별 등과 같은 노동력 수탈을 통해 군수물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었다. 이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대표적인 노동력 수탈이었다. 기존의 강제동원 연구는 관련 법령과 제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강제동원의 실태를 밝히려는 연구는 미미하다. 강제동원의 실태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관련 법령과 제도 연구와 함께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에 신고된 자료를 분석하여 강제동원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사례연구에 의한 강제동원의 실태연구는 일제가 저지른 식민지 조선의 노동력 수탈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며, 과거 청산을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일제는 1939년 7월 8일 일본에서 국민징용령(칙령 451호)을 공포하였다. 뒤이어 조선에서도 동년 9월에 공포하였다. 이후 일제는 전쟁이 확대되자 국민징용령을 네차례 개정하였다. 일제는 전황에 따라 필요에 의해 개정하였고, 주요 내용은 노동력 동원의 확대였다. 전쟁 말기에는 패전이 가까워지자 일제는 전면적인 강제동원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일제는 징병정책도 실시하였다. 미나미 지로는 조선인의 육군지원병제도를 도입하려 했으나 병역법과 실정법의 법적 모순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이후 일제는 병역법을 수정하면서 조선인의 징병을 확대하였다. 일제는 1939년 국민징용령을 공포하면서 조선인에 대한 강제동원을 실시하였지만, 조선인 강제동원은 이전 시기에도 있었다. 1937년 중일전쟁을 시작하면서 조선총독부는 기업의 노동력 공급신청을 받았고, 이에 필요한 노동력 충당은 지원자에 한해 관알선으로 실행되었다. 하지만 기업의 노동력 수요를 채우기 위해 일제는 조선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이후 국민징용령이 공포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은 합법성을 지니게 되었고, 동원방법과는 상관없이 마을마다 할당된 인원수만 충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일제는 근로보국대도 운영하면서 모집과 관알선, 징병으로 부족해진 농촌에서의 노동력을 충족하였다. 이것들은 각기 독립된 정책이 아닌 노동력 동원을 위한 유기적으로 연결된 정책들이었다. 한편 조선 민중들은 도피를 통해 일제에 저항을 했으나 주변인들에게 갈 피해가 염려되어 빈번히 실패하였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경부선을 통해 부산으로 이송된 후, 배를 타고 일본이나 남양군도로 이송되었다. 일본의 주요 탄광, 군수공장, 그리고 노역장으로 강제동원된 피해자들은 각 동원지에서 힘들게 생활하였다. 피해자들은 약속된 임금은 고사하고 무임금으로 노역당했고, 부족한 식사로 인해 항상 굶주렸다. 탄광에서는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위험한 막장에서 일하다가 붕괴사고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그리고 작업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 피동원자들은 빈번히 감독관에게 구타를 당하였다. 이는 군수공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임금은 약속보다 적거나 전무하였고 주거나 의복, 식생활은 넉넉하지 못했다. 특히 군수공장은 미군의 공습목표로 지정되어 여러 차례 폭격을 당했다. 이로 인해 많은 조선인 피동원자들이 사망하는 사례가 많았다. 남양군도로 이송된 피동원자들은 대부분 군속으로 군부대 관련 시설을 설치하는데 동원되었다. 하지만 최전선이었기에 미군과의 전투나 공습으로 인해 수많은 조선인 피동원자들이 사망하였다. 무엇보다 피동원자들은 식량부족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었다. 동원지에서도 피동원자들은 도피를 하면서 강제동원에 저항하였고, 도피 이후에 귀환한 경우도 발생했다. 해방 이후 피동원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귀환하였으며 남양군도로 배치된 피동원자들은 미군을 통해 귀환하였다. 일제가 실시한 강제동원 관련 법제와 제도는 강제동원을 위한 합리화와 명분에 불과했다. 일제는 표면적으로 조선의 근대화와 내선일체를 통한 조선사회의 발전을 추구했다고 했지만, 그 실체는 조선인과 조선사회를 자신들의 침략전쟁으로의 동원을 위한 것에 불과했다. 앞으로도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를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이면을 정확히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The Empire of Japan, shortly after entering into the Second Sino-Japanese War (1937-1945) upon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also known as the Lugouqiao Incident), expanded their battlefields and established a full-scale requisition system. As the front expanded to the Pacific and South East Asia, demand fo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creased greatly, and in order to satisfy such demand, the Japanese intensified their requisition system by exploiting and plundering the human and natural resources in Korea. Thousands of Koreans, mobilized against their will were deployed in coal mines and factories in Japan to produce war materials. The Imperialist Japanese Army was able to mass-produce war supplies through their low-wage, no-wage and other various discriminatory policies. Such forced mobilization of the Koreans is a classic example of the Japanese Colonial Exploitation Policy. Existing studies on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by the Japanese focus on the laws, decrees and ordinances related to the requisition system. Little has been done to expos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orced mobilization through case studies. In order to fully and accurately disclose the real conditions of the forced mobilization, studies must be done two-fold: one on the laws and policies implemented and the other on the cases or the mobilized victims' reports. This research paper analyses various cases and claims reported to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in Daegu." Such analysis is crucial not only to reveal the truth about the wartime forced labor but also to move closer to the liquidation of Japan's past crimes. Japan proclaimed the national requisition law domestically on July 8, 1939 an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promulgated a similar law in Korea. As the War progressed and expanded, they amended the law four times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situations. Mobilization of labor and its expansion were the main subjects of amendment. Near the end of the War, Japan carried out a sweeping mobilization in order to change the course of the battles. Japan also implemented a conscription policy. Jiro Minami,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ried to adopt army volunteer program but the enforcement of the program was postponed due to the inconsistencies between the military service law and the positive law. Later, the Japanese government amended its military service law and expanded the conscription of Koreans. Even though the Japanese proclaimed the national requisition law against Koreans in 1939, forced mobilization had been conducted well before the promulgation. In 1937 whe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roke out, the Government-General accepted labor supply requests from Japanese companies, and the manpower supply was met through the "volunteer" system in which the Korean laborers were given disadvantages if they "chose" not to volunteer. Later when the Japanese proclaimed the national requisition law,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became legal and each village had to supply a certain allocated number of people regardless of the means of mobilization. Moreover, the Government-General operated the Labor Patriotism Unit System in order to fill up any manpower shortages. All of the systems above were intimately connected policies implemented only to mobilize Koreans against their will. The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tried to resist such systems by escaping but to little avail. The Korean workers of forced mobilization were sent to Busan from which they were transferred to Japan or the South Sea Islands by ship. Having to work in coal mines, munitions factories and other workhouses, the victims lived under abject conditions. Not only did they work without any wages, but they also had to suffer from hunger. Many lost their lives in various accidents in coal mines. If they did not meet their share of workload, Japanese superintendents beat them often. Life in munitions factories was worse. As the factories were often military targets of the US armed forces, Koreans always had to work under the fear of air-strikes, and in fact many lost their lives from the bombing. Those who were transferred to the South Sea Islands worked in army bases to build military facilities, but because the Islands constituted the frontline, many were killed in battles and air raids by the U.S. Shortage of food was a serious problem as the victims constantly suffered from starvation. Koreans in the South Sea Islands also tried to resist the forced mobilization by running away from the frontline. Some successfully returned home after the War with the help of the U.S. troops. The laws, policies and systems proclaimed, implemented and enforced to mobilize Koreans from 1938~1945 are nothing but Japan's attempt to rationalize and self-justify its conduct. On the surface, the Japanese claim to have sought and promoted progress of the Koreans through modernization and the Naeseon Ilche or 'Korea and Japan are One' policy. However, in reality the Japanese only tried to exploit Korean manpower for their war of aggression. More studies must be done about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Koreans by the Japanese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accurately expose and correctly understand the hidden sid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대한제국시기 화적의 활동과 의병 참여

        이동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기 화적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고 항일투쟁인 의병운동 과정에서 화적의 존재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광무정권이 시행한 근대적 국민국가 수립을 위한 사회경제적 정책은 외세의 힘에 의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이권은 황실과 양반관료층에 집중되었다. 반면에 이로 인하여 농민과 상인들은 수탈의 대상이 되어 몰락하게 되자 삶의 기반에서 이탈되어 화전민이나 화적으로 전락하였다. 그동안 화적의 활동 양상은 간헐적이고 우연적이었다. 그러나 1894년 농민전쟁 이후부터 화적은 무장력과 규모를 갖추어 전국적이고 조직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반봉건적 성격과 이전과는 달리 한층 깊은 반외세적 인식을 갖고 민중운동에 동참하여 일정한 활동을 하였다. 화적은 경제적 변동으로 몰락한 농민과 상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장시, 주막, 마을 등을 공격하여 재물을 약탈하였다. 부호가와 공권력에 대한 공격도 다양하게 전개되어 관청을 파괴하거나 군기를 탈취하고 감옥을 부수어 죄인을 방송하기도 하였다. 외세에 대한 반발로 일본 상인을 공격하였고, 일본 헌병조차도 화적들에게 피습되었다. 삼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적들은 군현을 벗어나 활동하기보다는 동일한 군현 내에서 활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한제국시기에 와서 비로소 나타내기 시작한 그들의 조직 형태는 통일적이고 횡적인 연결고리는 발견할 수 없고 상하의 조직원끼리만 연결된 점조직의 형태였다. 1900년 중엽 활빈당이 소멸될 즈음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었다. 이에 각 계층이 동참하는 거족적인 반일 의병운동이 일어나자 활빈당과 반외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일부 화적들은 의병에 참여하여 저항하였다. 개항 후 이미 민족적 모순을 체험한 화적은 의병장으로서 또는 일반 의병으로서의 투쟁은 일제의 사회경제적 침략에 대한 반발이었다. This research aims at viewing the existence of a group of robbers during the procedures of movements of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n anti-Japan fight and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group of robbers.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established by KwangMu regime for foundation of a modern nation-state was largely limited due to foreign powers and various rights were intensively offered to only the imperial family and the noble bureaucrat class. For these reasons, on the other hand, farmers and merchants had become the subjects of exploitation and collapsed, being left from the basis of lives, they fell to become a group of robbers and slash-and-burn farmers. The movement patterns of groups of robbers until this time was intermittent and random. However, since the Peasants’ War in 1894, groups of robbers begun to have nationwide and organized patterns with armed power and size. In addition, they practiced regular activities by joining public movements with anti-feudal and, unlike previous times, deeper sense of anti-foreign characteristics. Groups of robbers were largely consisted of farmers and merchants from the collapse due to economic fluctuation and plundered wealth by brandishing against regional markets, taverns and villages. Attacks against rich families and public power were diversified, destroying government office buildings, military seizure and breaking criminals out of jails. As a resistance against foreign power, Japanese merchants were attacked and even Japanese military polices were assaulted. Group of robbers working mainly in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had a tendency to move inside of the same counties and prefectures rather than outside of the regions. Their organizational form,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Empire era, was a point formation, associated only with up-and-down members, but no unificative or horizontal relationships. The middle of the 1900, about the time when the movements of A band of Robin Hoods had been almost extinct, the Japanese invasion was seriously intensified. Hence, nationwide anti-Japan movements involving all classes took place and A band of Robin Hoods and groups of robbers with anti-foreign recognitions joined the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for resistance. The fight of groups of robbers, who already have suffered ethnic contradictions subsequent to opening the port, were the resistances against Japanese social and economic invasion, as a leader and a general member of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 독립협회 활동과 ‘대한 인민(大韓 人民)’의 형성 : 『독립신문』의 논설과 독립협회의 토론회를 중심으로

        황현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Independence Club was established in July 1896 with the aim of enlightening the people to restore the sovereignty of Chosun and to advance into a modern state.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ce Club, Chosun tried to change with the propagation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and the reformation of the power of the formation, but was exposed to imperial aggression without breaking out of the existing ruling order. In addition, the reform agents faced the opposition to the reforms and resistance to the reform agents as they proceeded to reform without establishing the people as a support base. As the independence of Chosun became increasingly damaged due to Japan's invasion,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and invasion of powers, the Independence Club began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Independence Club saw the need for a process of educating people and instilling a modern consciousness in order to lead people's participation, which was not achieved by previous reforms. The Independence Club first began to enlighten through the editorial of The Independent. The article explained that it is the people who ar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and that when they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members of the country, sovereignty can be restored and grow as an independent country. In addition, during the discussions, enlightenmen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more concretely and directly. As with editorial of The Independent, the initial debate covered topics on education, society, economy and general life.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attending the debate, and changes in the discussion topics have arisen. After dedicate a petition against Russia’s takeover of its interests, the forum expanded public participation, addressing such topics as territorial issues, fiscal issues and the establishment of parlia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the Independence Club of Korea designated the people of Chosun as "the Korean people" and tried to recognize to the public that the people were independent while sharing sovereignty with the monarchs. The “Korean Peopl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Chosun at that time, belonged to the Korean Empire, but they grew to a level where they were guaranteed the rights granted to them and further criticized and monitored the government. Realized by the editorial of the The Independent and the debate of the Independence Club, the Korean people took shape and became modern citizens by hosting and participating in the Peoples Assembly and the government-civilian community. Although the activities did not continue due to the disbandment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the formation of a ‘Korean People’ was a necessary and important step in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nation and a modern citizen. 독립협회는 1896년 7월 조선의 자주권을 회복시키고, 근대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민중계몽을 목표로 창설되었다. 독립협회가 만들어지기 전 조선은 개화사상이 전파되고 그로 인해 형성된 개화세력의 개혁으로 변화를 꾀했으나, 기존의 지배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도리어 제국주의 침략에 노출되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또한, 개혁의 주체들이 민중을 지지기반으로 세우지 못한 채 개혁을 진행하면서 개혁에 대한 반감과 개혁주체에 대한 저항을 받게 되었다. 일본의 침략과 아관파천, 열강들의 이권침탈로 인해 조선의 자주권은 갈수록 훼손되어 가자, 독립협회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하였다. 독립협회는 이전의 개혁들이 이루지 못한 민중의 참여를 이끌기 위해서 민중을 교육하고, 근대의식을 심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독립협회는 먼저 『독립신문』의 논설을 통해 전반적인 계몽을 시작하였다. 논설에서 나라의 근간이 되는 것은 민중이며, 나라의 구성원으로서 책무를 다할 때 주권이 회복되고 독립된 국가로서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더불어 토론회를 열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계몽활동을 진행하였다. 초기 토론회에서는 『독립신문』논설과 마찬가지로 교육, 사회, 경제 및 일반 생활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다. 토론회에 참석하는 민중들이 점차 증가하였고, 다루는 주제들의 변화도 생겨났다. 러시아의 이권침탈을 반대하는 구국선언상소를 봉정한 후의 토론회는 영토문제, 재정문제, 의회설립과 같은 국가운영에 대한 주제를 다루면서 민중의 참여를 확대해갔다. 독립협회는 대한제국이 들어서면서 조선의 백성을 ‘대한 인민(大韓 人民)’으로 설정하고 군주와 함께 주권을 공유하지만, 나라의 독립된 주체로서 스스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당시 조선의 상황에 따라 설정된 ‘대한 인민’은 대한제국에 속해있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를 보장받고 나아가 정부를 비판하고 감시하는 수준으로 성장해갔다. 『독립신문』 논설과 독립협회 토론회로 계몽된 ‘대한 인민’은 만민공동회와 관민공동회를 개최하고 참여하면서 점차 근대시민의 모습을 갖춰나갔다. 비록 독립협회의 해산으로 인해 활동을 지속하지 못했지만, 근대국가와 근대시민을 형성하는 과정이 있어서 ‘대한 인민’의 형성은 필요하고 중요한 단계였다.

      •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에 대한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 내용분석과 교육방안

        조승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은 삶의 터전을 찾아 식민지 종주국인 일본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일본 내의 하층 노동자와 식민지인이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 재일조선인이 되어 민족 운동을 전개했으며, 오늘날에도 법적 ․ 사회적 탄압에 맞서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재일조선인의 형성과 이들에 의해 전개된 민족운동을 정리했다. 재일조선인의 형성 배경은 일제의 식민 정책과 도일 정책, 재일조선인의 생활 상태를 정리했다.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은 학우회와 일월회,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일본부, 신간회와 근우회 지회, 재일본조선청년동맹의 활동한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했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했다. 분석 후, 개선 방안과 보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먼저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재일조선인 민족 운동에 대한 내용이 균형 있게 서술되어야 한다. 둘째,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은 현재 진행형의 문제임을 인식하여 교과서에 반영하여 서술되어야 한다. 보완 방안은 첫째, 재일조선인의 형성배경에서는 도일 정책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재일조선인의 생활 상태에 대해서는 당시 문학 작품 등을 자료로 제시해야 한다. 셋째,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을 전개한 단체와 인물, 활동이 간략하게나마 서술되어야 한다. 넷째, 관동대지진에서는 능동적인 역사가 전개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앞에서 정리한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과 개선 및 보완 방안을 바탕으로 교육 방향과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 방향은 이념적 편향된 시각을 지양하고,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 방안은 역사 글쓰기 ․ 발표하기를 제시했다. 역사 글쓰기는 소설과 신문기사, 동영상, 관련 논문의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글쓰기 활동지에 글쓰기를 하도록 구성했다. 발표하기는 학생 각자가 쓴 글쓰기의 결과를 말함으로써 역사 만들기 작업에 참여하도록 구성했다. Under the Japanese rule, many koreans moved to Japan, the colonial suzerain state to find a new ground for living. They were koreans living in Japan with a dual status of lower-class workers and the colonized, who later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n today, they face the local-social suppressions in Japan.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their national movements. The backgrounds of the formation of koreans living in Japan have based upon the contents of Japan's policies on colonization and their move to Japan and their residency in Japan. Their national movements in Japan are reviewed in relation to such organizations as students' associations and Ilwalhoi(一月會), Chosun labor whole union in Japan, the Japanese office of Chosun Communist Party and Koryo communist youth association, the Japanese branch of Singanhoi and Kunuhoi, and Chosun youth union in Japan. Based on the content that have been sorted out,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plans: as for improvement plans, first, there should be a balanced narration in the contents of national movements carried out by Koreans living in Japan; and second, there should be an awareness that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living in Japan is still going on,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rration of textbooks. As for supplementation plans, first, the policies on the move of the Koreans to Japan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rmation background of Koreans living in Japan. Second, literary works of the times should be provided as materials on their residency. Third, the organizations, figures, and activities of their national movements should be described even briefly. Finally, the Great Kanto Earthquake should be narrated in a way that can be an awareness that developed active history.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the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plan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movements of Koreans living in Japan,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plans. Educational directions are devised to move away from ideologically biased perspectives and promote the use of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Educational plans include historical writing and presentation. For a historical writing, writing activity using novels, newspaper articles, videos, material-reading activity are required. Presentations are organiz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y - making activity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ir writing.

      • 권오설의 사회주의 수용과 조선공산당 운동

        이희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Kwon Oh-seol was born in 1898 in Gagok-dong, Pungseo-myeon, Andong-gun, in a family of poor Korean scholars. Growing up in an atmosphere of skill-cultivation theory, He left to study in Daegu and Gyeongseong, but quit on the way, and worked as an employee of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in Gwangju, Jeonnam. After experiencing the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Kwon Oh-seol returned to Andong to participate in the Youth Movement. At this time, socialism introduced into colonial Joseon through the Korean Workers Mutual Aid Society had a great influence on his career. He led the founding of the Poongsan tenant farmer organization and carried out an active social movement. In April 1924, he was elected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Chosŏn Labor and Peasants League. In the Chosŏn Labor and Peasants League, Kwon Oh-seol was able to interact with the Domestic Branch in Korean Bureau of Comintern. Among them, communists from the Irkutsk group led the construction of a party organization in colonial Joseon with the support of Bolshevik activists. Kwon Oh-seol accepted the socialist revolutionary movement and the theory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movement in colonies. As a communist, Kwon Oh-seol joined the Korean Communist Youth Association and participated in the founding of the Chosun Communist Party. As an executive member of the Korea Communist Youth Association, he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Youth Federation in the county and provinces and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Communist University of the Toilers of the East. In November 1925, when the leadership of Chosun Communist Party and the Korea Communist Youth Association collapsed, Kwon Oh-seol succeeded in rebuilding the organization by taking over as the chief secretary of the Korea Communist Youth Association. When Sunjong died in April 1926, Kwon Oh-seol planned a large-scale mass movement based on the theory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movement. This was the June 10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plan for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as discovered by the police, and Kwon Oh-seol was also arrested by the police. He trie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mmunist movement, and died in April 1930 due to the illness he received from torture. 권오설은 1898년 11월 안동군 풍서면 가곡동에서 가난한 한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실력양성론의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그는, 청소년기 대구와 경성에서의 유학 생활이 좌절되자 전남 광주에서 전남도청 고용인으로 일했다. 3.1 운동을 경험하고 안동으로 돌아온 그는 청년운동에 참여했는데, 조선노동공제회를 통해 식민지 조선으로 유입된 사회주의가 그의 진로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풍산소작인회 창립을 주도해 적극적인 사회운동을 펼쳤고, 1924년 4월 조선노농총동맹 상무집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권오설은 비교적 학력이 높고 활동적인 노농운동가로서 주목받았고, 소작운동 분야의 신진활동가가 필요했던 내지부 계열 공산주의그룹과 관계되었다. 내지부 계열 중 이르쿠츠크파 출신 공산주의자들은 볼셰비키 운동가들의 지원 아래 식민지 조선 내 당조직 건설을 주도했다. 권오설은 이들과 교류하면서 사회주의혁명 의식과 이를 위한 민족혁명운동론을 수용했다. 권오설은 고려공청에 가입하고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함으로써 공산주의 운동가가 되었다. 코민테른으로부터 민족혁명당을 조직하라는 지시 및 제안을 받은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청의 활동 아래, 권오설은 군ㆍ도 단위 청년연맹 설립 및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유학생 모집 활동에 참여해 고려공청 과업 수행에 힘썼다. 제1차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청 지도부가 붕괴하자 권오설은 책임비서로서 고려공청 지도부를 복구시켰다. 1926년 4월 순종이 죽자, 권오설은 만세운동 계획을 세워 민족혁명운동론에 입각한 대규모 시위를 전개하고자 했다. 권오설이 주도한 6.10 만세운동 계획은 민족혁명운동론에 입각한 대규모 대중운동 계획이었다. 권오설의 만세운동 계획은 민족혁명운동론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1926년 7월 조선공산당 기관지에 게재된 「조선공산당선언」의 내용과 흡사했다. 그러나 만세운동 계획은 경찰에게 발각되었고, 권오설 또한, 경찰에 체포되었다. 공산주의운동의 피해를 최소화하려 노력했던 그는 고문으로 얻은 병으로 1930년 4월 옥사했다.

      • 劉載奇의 예수촌思想과 農村運動

        김병희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고는 일제시기와 해방 공간에서 활발한 농촌운동을 펼친 유재기를 분석한 글이다. 그는 일제하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론가이자 기독교 농촌운동가였다. 특히 유재기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에 이르기까지 한국근현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역동적인 삶의 궤적을 잘 보여준 인물이었다. 그의 삶은 근현대 한국사회의 주·객관적 조건에서 자신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한국근현대사의 변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당시 유재기는 예수촌 운동을 통해 새로운 사회를 모색하고자 했다. 유재기의 행적은 크게 일제시기와 해방이후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일제시기 유재기는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1910년대에는 기독교를 수용하면서 민족주의 흐름을 이해하였다. 1920년대에는 교남학교, 일본 유학 등을 거치면서 농촌을 바탕으로 하는 온건기독교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이후 처음에는 농촌교회 조사로 농촌순회전도 활동과 계몽활동을 주로 하였다. 이후 직접 기독교 농촌연구회를 결성하여 예수촌 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대에는 그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은 예수촌 운동을 펼치면서 농촌운동가로 변신했다. 해방 이후 유재기는 활동공간을 대구·경북에서 중앙으로 옮겼다. 이때부터 그는 교파를 초월하여 당면한 조선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운동을 전개한다. 이 시기 그가 가장 중점을 둔 활동은 흥국형제단을 통한 예수촌 운동이었다. 유재기가 구상한 예수촌은 그리스도의 박애와 희생정신으로 무장한 복음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표준적 소유관계를 실현한 자립적 기독교 농촌공동체였다. ‘耕者有田’의 농민적 토지소유의 원리와 반봉건·반이윤·반독점의 경제관념을 지향했다. 예수촌은 일제하 농업·농민문제에 대한 농민적 타개 방안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보편주의 사회복음관에 기초하여 농촌의 경제적 모순을 타개하고 빈농을 구제한다는 사회개조의식 위에서 구상된 것이다. 그는 예수촌의 국가적 확대와 세계적 실현을 생각하였다. 예수촌건설론이 현실사회와 긴밀한 연대관계를 갖는 기독교 농촌운동사상·사회개조사상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유재기의 예수촌 운동은 농민층의 경제자립과 기독교 농촌복음을 결합한 예수촌 건설이었다. 그 실천원리는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생산력증대와 생활개선 도모였다. 그의 실천방침은 이 원리를 실현할 기독교 농촌지도자 양성에 있었다. 이를 위해 유재기는 조선농민복음학교를 설치하여 농촌지도자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농민복음학교의 목표는 경제적 혼란과 농촌 피폐로부터 농촌을 개혁하고 새로운 조국을 건설하는데 있었다. 유재기는 예수촌 건설의 대강목을 중심에 두고 그것을 현실화하기 위한 제반 기초 사업으로 협동조합운동·부인운동·농촌소년운동·기술운동 등을 추진했다. 그의 이러한 실천운동은 당시 한국농촌과 민족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is dissertation approaches Yu Jae-gee, who had the initiative and took participation in the rural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and liberation from it. He was a leading member and founder of a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of cooperatives in the rural communities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government. Yu Jae-gee is especially a significant figure who reflects the dyna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Korean modern and recent age. His life can be regarded as a searching process for self direction in various ways in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Jesus village movement for a new society, which he spread out those days, clarifies his efforts to evolve and demonstrate Christian approaches to agrarian problems. The achievements of his life time contribu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during Japan's governing Korea and after Korea's emancipation from its ruli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Yu Jae-gee's activities focused mainly on the areas such as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Particularly in the 1910s he received Christianity and deeply understood a stream of nationalism. In the 1920s through education in Gyonam school and studying in Japan he became a moderate Christian socialist who is based on the rural communities. At first after coming back from Japan he devoted himself to evangelical movement and enlightenment for churches in the rural areas through researches and tours. Since then he organized the Christian Association for the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the Jesus village movement. In the 1930s mainly participating and engaged in the movement, he presented himself as a rural enlightenment and evangelical activist. After liberation, his influential areas were expanded to the capital region and the movement began to be evolved more systematically beyond the boundary of Christianity. The Jesus village movement through the group named Brothers for Revival Korea is a good example on which Yu Jae-gee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is period. The theological and intellectual conception that Yu Jae-gee conceived for the Jesus village movement was meant to be a self-sufficient, Christian rural community that maintained a standardized economic life and that were based on the evangelism armed with the spirit of Christian love and sacrifice. It sought peasant land ownership - that is, only those who are engaged in agriculture possess land - and anti-feudal, anti-profit, and anti-monopolistic economic principles. The Jesus village movement represented a pro-peasant position in its approach to the solution of agricultural proble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movement was also conceived out of a desire for social reconstruction for the sake of poor peasants on the basis of universal, social evangelism. He believed that the movement would make it possible to expand the Jesus village to the nation wide level and to establish it worldwide. Therefore, the village movement was believed to be a combination of Christian rural movement and social reformative movement with close relation to the difficult situation of reality. The aim of the movement lies in the construction of Jesus village combined with economic self-sufficiency for the peasant class and Christian rural evangelism. The method for establishing the village was to try to achieve an in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through cooperative unions. In order to make his plan realized, Yu Jae-gee emphasized on the cultivation of rural Christian leaders supported rural evangelical schools whose purpose was to innovate the rural communities and construct a new nation. On the basis of establishing Jesus village Yu Gae-gee performed cooperative unions, women movement, young men movement in the rural communities, and introduction of technical skills into rural areas. All these his life time dedicated effor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rural communities and national innovative re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