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발전원별 공급지장비용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이성렬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high reliable infrastructures of Korea’s electricity sector have been a cornerstone of its modern economy. Ensuring reliable electricity supply has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ricity sector. Recently, the sudden hike of electricity demand for heating has made electricity supply reliability a critical part of any policy for a sustainable future. These situation require researchers to provide energy policy-makers with accessible and reliable information on the reliability of electricity supply.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loys I-O analysis to estimate the economic cost of electricity shortages for all sectors in Korea by determining the optimal way in which limited electric power resources can be allocated to various sectors while maximizing the total value added. The advantage of I-O analysis lies in the use of data from the latest I-O table by the government(Bank of Korea, 2011), which tend to be reliable. Thus, this method helps to simplify the estimation and ensure more reliable results. However, the results her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evaluating the costs of electricity shortages in the Korea electricity sector. This is based on that the cost function of all sectors are not necessarily linear as assumed in I-O analysis and the costs of electricity shortages are estimated within an economy in a specified year. In addition, I-O analysis could not allow for non-monetary effects of outages on the households to be included such as lack of heating and not being able to watch TV or cook food during the outage. In order to overcome this demerit, therefore, I-O analysis used in this paper could be complemented with other approaches like the WTP method used for non-market valuation of electricity shortages. Furthermore, factors such as sudden interruption, frequency and duration of shortages should be estimated by other approach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rginal cost of water, fire, atomic and other power electricity shortages ranged from 473 to 786,736, from 100 to 9,177, from 96 to 7,436 and from 4,375 to 366,582 Won per kwh respectively and that these total costs depended not only on the shortages percentage of each non-electricity sector bus also on the level of its final demand. These quantitati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policy-makers attempting to set economic considerations, develop optimum curtailment levels and priorities, and plan curtailment strategies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 FMECA 기법을 통한 군기지 입지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제주 해군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철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1980년대 후반 이래의 민주화 진전과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대의 억압적 국가운영 형태의 청산이 추진되면서 우리 사회는 국가 중심적 사고에서 점차 국민 중심적 사고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 그간 발전이 위축되었던 시민사회의 두드러진 성장과 함께 개인과 집단의 권익을 보장받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들이 점차 확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1995년 중반 이후 맞게 된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방정부의 권한이 확대됨에 따라 군은 국가안보의 ‘실행’이라는 소임을 성실하고도 완벽히 수행하기 위해 종래와는 달리 지방자치단체, 각종 사회 압력집단, 심지어는 개인 레벨까지 다양해진 국내정치 행위자들과 상호작용하며 때에 따라 분출되는 갈등을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군기지 및 시설 확보와 관련된 갈등들이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군기지 이전요구 및 군기지 신설 반대, 군기지의 일부 축소요구, 군이 점유 중인 사유지에 대한 보상 및 사용이 활발하지 않은 군용지에 대한 반환 요구 등이 그러하다. 제주해군기지 입지문제에서도 군기지와 관련된 민군갈등의 중심에 현재 서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는 장기간에 걸친 논의 끝에 민군 간에 어느 정도 갈등이 마무리 되고 제주도민과의 합의를 거쳐 2010년부터 실질적으로 건설공사가 착수되었다. 그러나 2011년 초부터 지역주민, 시민단체, 일부 정치권 등에서 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환경/생태계 훼손 우려 및 심각한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다. 이처럼 군기지 입지 관련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 해군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통해 군 특성이 고려된 과학적인 갈등관리 방안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와 양적연구 (Quantitative research)를 병행하면서 진행한다. 질적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인 과학적 갈등관리 전략의 제시를 만족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양적연구는 공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갈등관리를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定量的 분석기법은 시스템 공학에서 사용되는 FMECA 기법과 Simulation & Modeling 기법이 활용되었다. 제주해군기지 사례에서처럼 점증하는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보수-진보간 대결의 지속화 등으로 인해 찬성단체와 반대 단체간 양보 없는 대결양상이 지속되고 있고, 이익갈등, 주변여건 갈등 등 다양한 갈등요인으로 인해 갈등초기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갈등해결 지연과 갈등해결을 위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본 논문은 군기지 입지정책에서 효과적이고 定量的이며 과학적인 갈등관리방안 수립을 지원하여 갈등관리에 대한 혁신을 이루고자 한다. 행정학적인 입장에서 주로 다루어진 입지갈등문제에 대해 시스템 공학에서 사용하는 FMECA(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기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과학적이고 定量的인 갈등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행정학적 FMECA』로 정의하였으며 총 4단계의 절차로 구성된다. 기존의 입지문제 갈등관리방안들에서는 갈등요인을 설문과 관련자료 수집/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이에 따라 갈등관리방안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갈등요인과 갈등관리방안을 연결하는 과학적이고 定量的인 연결고리가 없었다. 이로 인해 분석가의 주관을 바탕으로 갈등요인을 定性的으로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므로 여러 갈등요인에 대해 동시에 포괄적 갈등관리를 요구하였다. 이는 한정된 제원과 역량을 가진 군의 입장에서는 적절히 대응하기가 어렵고 너무 막연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행정학적 FMECA 기법은 군의 입장에서 定量的이고 과학적인 단계로 구성되어 있어 실전적 적용이 가능하다. 행정학적 FMECA 1단계는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한다. 갈등영향분석은 기존의 행정학 분석기법으로 설문과 면담, 관련자료 분석으로 구성되어진다. 갈등영향분석을 통해 갈등에 대한 정형화된 해석이나 밖으로 들어난 분쟁에 초점을 맞춘 일차적인 이해 이상의 그림을 그릴 수 있고, 그만큼 갈등 자체뿐만 아니라 해결에 대해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하여 갈등분석의 기반을 제공한다. 행정학적 FMECA 2단계는 분석전문가 그룹을 통한 갈등요인분류와 우선순위 결정과정이다. 갈등요인분류는 의사결정지원도표(식별성, 치명도, 발생률)를 근거로 결정되어지고 분류된 갈등요인에 대해 갈등우선순위를 평가하게 된다. 행정학적 FMECA 3단계는 갈등요인에 대한 AHP를 적용한 설문과 가중치 결정과정을 거친다. 행정학적 FMECA 4단계에서는 Modeling & Simulation을 통해 미래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갈등양상을 예상하고 갈등대응 T/F 구성 및 인력운영, 한정된 자원에 의한 갈등관리 집중분야 분석 등을 지원한다. 이런 분석절차를 통해, 행정학적 FMECA 기법은 중요하고 시급한 갈등요인에 대해 집중 대응하고, 갈등수준이 높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과학적인 갈등

      •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장은우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discusses the transition of the cityscape in Korean painting and the author’s work process development. The creation background and process are disclosed throughout the study and theoretically established to support future projects. A cityscape emerged in Korean painting from the 1970s to the 1980s when society had accepted changes and cultural transformation. The introduction of cityscape is closely attributed to its historical times by which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hanging times and a copernican revolution in Korean painting. It was a period of radical and tremendous upheaval during the late 1970s and 1980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 Art was deeply infused with significance as it reflected a period of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turbulence. During this particular period in history, Korean painting was ingrained with a passionate movement to lay solid ground to resist prevailing influences of China and Japan, as well as the Western modern art, assimilated into the country. Also, a distinct approach towards modern times was suggested beyond the tradition. Korean painting attempted to explore new ideas, techniques, media, and mythologies beyond the classical and traditional boundaries from which such a determination inspired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The younger generation was no longer drawn to an obsolete discourse in the modern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philosophical reasoning, rather they contemplated the embodiment and manifestation of various modern phenomena based on personal emotion and daily life throughout paintings. Cityscape art emerged upon the extension of the subject matter in landscape art from nature to the urban scenery that embraces the novelty value of the new century. It is the transformation that occurred amidst a keen interfa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e transition of the initial title ‘Oriental painting’ to ‘Korean painting’ was influenced by a revolution that had become an epoch-making event i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painting. Thus, the author intend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ainting by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Korean painters through the study of this specific period. The ‘city’ continues to change and modern-day people live in a constantly transforming ‘city’ space. ‘Urban development results in human progress’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a manmade city as abstract hardware promoting a vast number of ideas and technologies. The period and society are projected in the urban space in which the accumulation of everyday life of people is pertaining in the city. Nevertheless, the city people tend to sink into the oblivion of ‘a space to the past’ where they were born and raised. The author has a city background that is both an existential space and an actual field. When the author had embarked on the work process in the 2000s, Korean painting was at the time of the revolution in the early 1980s. The expansion of subject matter and increased availability of materials had become normal for which the artists were able to exude intuitive and authentic expression in their works. In this context, the cityscape was considered an emblem of the spirit of the times and values. The author intends to approach the value of ‘modernity’ by accepting the spirit at the time. In the late 1990s, the city was respectively analyzed, composed, and restructured in the works by artists Sun-Woo Lee, Yong-Gil Oh, Geun-Tak Yoo, Jae-Ho Jung, Neung-Seng Park who conducted a profound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 in Korean painting. Born and raised in Seoul, the urban area is an intimate and familiar space that embodies personal routine and reminiscences. The transformation of Seoul represents the ordeals of our modern times by which its symbolism is highlighted. Based on the periodic understanding, the author expressed the space and time of the city in a multilayered and complex manner. In representing the space, the author focused on the materials like corrugated cardboard and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made from mulberry trees) which remind a will of constant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e author intended to express the tradition and its modern interpretation through a myriad of materials. The city as a subject matter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everyday life by reflecting upon a personal sentiment from reality, and the pursuit of the landscape of modern civilization. The author has witnessed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city. Its transformation was considered an organism, and the life of people living in the city expanded to an earnest contemplation. It i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that involves personal subjective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beyond a materialistic perspective. The transformation of the city as a physical space into a humanistic space caused considerable changes in the use of materials and expression. The use of corrugated cardboard, rice paper, and collage technique, and a new way of drastic expression with hanji and putty marked the origin of an important transformation that elevated the work to the next level. The integration and superposition of attributes of corrugated cardboard representing modern civilization and hanji, the embodiment of the past time is the result of a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urban space. New medium such as putty not only gives meaning to the disparate material perse, it conveys the sentimental context in its nature within the humanistic space pursued by the author. In the work, the author ultimately seeks the landscape of modern civilization. As modern art represents emotion, the author portrayed personal emotion through the ‘city' to build a new city, and recreate the ‘space of memory’ by including selected memories using collage technique. This nostalgic space evokes the attitude of people lost in the convenience delivered by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encourages us to grasp a new understanding of our lives in re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city, the change is recognized and the memory is illuminated, simultaneously, this sentimental space anticipates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in its sympathy towards all the past acquaintances based on the accumulated time and history. The study facilitates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 painting and a subjectiv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 emergence of the cityscape and its meaning are identified to enabl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e work and its development process. Furthermore, aside from the materialistic trend of cityscape art, the humanistic interpretation of the city stimulates the expansion of ideas on time, memory, and inherent space in human life. A tension between dichotomous valu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arouses a new spirit in a new era to regain vitality. Although the experiment and exploration throughout the transition from Orient painting to Korean painting to modern Korean painting were intense, it has provided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From the study, what the author considers the greatest accomplishment is the gaining of a healthy perspective 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quaintances without being immersed in an inflexible value of modernity. Based on the outcome of the study, the author expec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ainting by perceiving the modern cityscape as a distinct humanistic space. <국문초록>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이 승 철 회화(동양화)전공 장 은 우 본 연구는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을 소재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연구자의 작품 과정을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의 창작 배경과 과정을 밝히고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여 향후 연구자의 작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한국화에서 도시 풍경이 본격적으로 소재로 다뤄지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1980년이다. 이 시기 사회적 상황은 물론 문화 전반에 있어 변화가 있었다. 도시 풍경의 등장 역시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연구자는 이를 통해 당시 시대의 변화와 한국화의 변혁을 연구하였다. 우리 현대사에서 1970년대 말∼1980년대는 급변하고 역동적이며 치열했던 시기이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격동의 시기였던 만큼 미술에 있어서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가 반영 되어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는 중국이나 일본의 영향은 물론 서구 현대 미술과 맞설 수 있는 건강한 우리 미술을 구축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피력된 시기이며, 전통에서 벗어나 현대를 지향하는 뚜렷한 방향성이 제시된 시기이다. 한국화는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경계를 넘어 한국화의 새로운 관념과 기법, 매체, 방법론 등을 모색하고 이러한 열기는 한국화 발전의 근간 자체를 바꾸었다. 청년 세대들은 과거의 화두였던 전통의 현대적 계승이나 철학적 사유와 같은 무거운 담론에서 벗어나, 개인적 정서나 일상성에 바탕을 둔 동시대의 여러 현상을 회화적 측면에서 어떻게 반영하고 표출할 것인가에 관심을 두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기반으로, 현대 한국화의 도시 풍경화와 조형 표현연구를 논하고자 한다. 도시 풍경화는 자연 풍광에서 도시적 풍경으로 소재가 확대 되면서 등장하였다. 이는 전통과 현대라는 치열하고 민감한 접점에서 이루어진 변화이다. ‘동양화’라는 명칭을 ‘한국화’로 개칭하게 된 것도 이 시기에 있었던 변혁의 반영이며, 한국화의 변화에 있어서 매우 획기적이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 시기의 연구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한국화단의 변화를 연구, 분석함으로써 현대 한국화의 발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도시’는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변화하는 ‘도시’ 공간에서 현대인들은 삶을 살아간다. ‘도시의 발전이 곧 인류의 발전’이라는 말은 인간이 도시를 만들고 도시라는 추상적인 기재를 통해 생각과 기술을 마음껏 도약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 공간은 대지에 투사되어 시대 사회를 보여 주고, 퇴적된 삶의 흔적들이 스며있다. 하지만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은 태어나고 성장해가면서 살았던 ‘추억의 공간’에 대해서 잊고 살아간다. 연구자는 이러한 도시를 생장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에게 있어서 도시는 실존의 공간이자 현실의 현장이었다. 2000년대 연구자가 본격적으로 작업에 대한 의지를 갖게 되었을 때, 이른바 1970년대 말∼1980년대 초는 한국화의 변혁 에너지가 충만하였다. 소재의 확장과 재료의 개방은 일상적인 것이 되었으며, 소재들이 분방하고 예술가들의 자유로운 개성들이 무제한 적으로 발산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 풍경은 새로운 시대정신이나 가치를 반영하는 상징처럼 여겨졌다. 연구자는 이를 통해 당시의 시대정신을 수용함으로써 ‘현대’라는 가치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는 도시를 개인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고 해석하여 표현한 오용길, 이선우, 유근택, 박능생, 정재호의 작품들을 통해 한국화의 표현 기법의 확장을 살펴보았다. 태생적으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에 익숙하고 친근감을 가진 연구자에게 있어서 도시는 개인의 내밀한 기억와 추억, 일상 등을 담고 있는 의미 있는 공간이다. 특히 서울이라는 공간의 변화는 우리 근, 현대사의 질곡을 고스란히 반영하기 때문에 그 상징성은 더욱 부각 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시대적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라는 공간을 해석하고 표출하여 화면에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시・공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직접 체험한 공간의 표현에 있어 골판지와 한지 재료를 선택한 것에 주목하였다. 이는 전통과 현대의 일정한 연계를 도모하려는 의지의 반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연구자는 전통성과 현대적 해석을 다양한 재료 차용을 통해 표출하고자 하였다. 도시라는 소재를 통해 현실에서의 개인의 감성을 반영함으로써 우리들의 삶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현대 문명의 풍경화를 추구할 수 있기 때문 이다. 연구자는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라나며 도시가 생성되고 소멸해가는 과정을 직접 목도 하였다. 도시의 변화는 마치 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여겼고, 더불어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도시인들의 삶은 진지한 사색으로 사유가 확장되었다. 이는 소재주의적 경향에서 점차 개인의 주관과 해석이 더해지는 개별화 과정이라 설명할 수 있다. 특히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도시가 인문적 공간으로 변환되는 과정은 재료의 선택과 표현에 있어 적잖은 변화를 가져왔다. 골판지를 비롯한 꼴라주 기법과 화선지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한지와 퍼티 등 새로운 표현 방식의 과감한 선택과 도입은 연구자의 작업을 또 다른 단계로 이끈 중요한 변화의 계기였다. 골판지로 대변되는 현대 문명의 속성과 한지를 결합, 중첩 시켜 지난 시간성의 표현은 도시 공간에 대해 주관적으로 해석한 결과이다. 퍼티 등 새로운 재료의 차용 역시 이질적인 재료에 의미를 두는 것보다는 정서적, 감성적 내용이 연구자가 지향하는 인문적 공간 표출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이 작업을 통해 연구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는 현대 문명의 풍경화다. 현대 미술에서 감성을 형상화하듯, 연구자는 개인의 감성을 ‘도시’를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꼴라주 기법을 통하여 기억하고 싶은 부분만을 나타낸 ‘기억의 공간’을 새롭게 재창조 하였다. 이 공간은 현대인들에게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를 반영함으로써 추억 속 도시를 통해 현실의 삶을 재인식하고자 하였다. 도시라는 대상과의 관계 체험을 통해 그 변화를 인식하고 기억을 확인하는 감성의 공간인 동시에, 축적된 시간의 역사를 통해 그 공간들을 거쳐 갔을 인간들에 대한 연민의 장소로 변모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한국화의 현대화 과정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전통과 현대에 대한 주관적인 이해와 해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도시 풍경의 발생과 의미를 확인함으로써 연구자가 진행한 작업의 근원과 발전 과정에 대하여 분명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도시 풍경의 소재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시각으로 해석하여 도시를 시간과 추억, 그리고 인간의 삶을 내재하고 있는 공간으로 사고를 확장 시킬 수 있었다. 전통과 현대라는 상이한 가치의 충돌에서 전통은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정신을 수혈받아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된다는 점을 확인한 것 역시 큰 성과이다. 동양화에서 한국화로, 다시 현대 한국화로 변화하는 과정에서의 실험과 모색은 치열한 것이었으며, 이는 곧 오늘의 한국화 발전에 자양분이 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현대라는 경직된 가치에 함몰되지 않고 자신이 속한 시대와 사람들에 대해 진지한 자세로 마주할 수 있는 건강한 시각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을 가장 큰 성과라 생각한다.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현대의 도시 풍경을 더욱 개별화된 인문학적 공간으로 해석하여 한국화의 현대적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 하고자 한다. Keyword : 도시풍경, 수묵, 꼴라주, 한지

      • 유럽건축물을 활용한 이차곡선 창의·융합형 수업 활동지 제시

        복혜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started from applying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to classes. In particular, it was hypothesized that creative and convergence effects would be obtained if a guidance plan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European architecture and mathematics was drawn up in the geometry and vector class, the high school elective course, and applied to class time. It is a learning material that can show convergence thinking by emphasizing the relevance to architecture in learning the 'secondary curve' of geometry and vector, and it is intended to be applied in class and to reveal its usefulness through pre- and post-testing.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성인 창의·융합적인 인재의 양성을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선택과정인 기하와 벡터 수업에서 유럽건축물과 수학과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지도안을 작성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해보면 창의·융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기하와 벡터의‘이차곡선’을 학습하는데 건축과의 관련성을 강조하여 융합적인 사고를 발휘할 수 있는 학습자료로 수업시간에 적용해보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 막걸리 부산물의 미용 소재로서의 기능성 분석

        서고운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cosmetic materials, phenolic and kojic ac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whitening effect, and anti-wrinkle activity of makgeolli by-products were evaluated. The extracts with 5 different solvents (0, 25, 50, 75, and 100% ethanol) from nuruk lees (NL), rice lees (RL), raw makgeolli (RM), and commercial makgeolli (CM) were prepared at 20 and 50℃, respectively. NL and CM extracts prepared with 75% ethanol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s (13.26 and 16.66 mg gallic acid equivalents/g, respectively) at 20 and 50℃, extraction condi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kojic acid content was found at NL extract with 0% ethanol at 20℃, and kojic acid was not detected in extracts prepared at 50℃ condition.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was detected in NL and RL extracts at 20℃. Whitening effect determined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ere the highest at NL extract prepared with 75% ethanol at 50℃. Noticeable anti-wrinkling effect estimated by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was also found in NL and RL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kgeolli by-products could be valuable cosmetic materials with antioxidant,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막걸리 제조 시에 발생하는 부산물의 화장품 소재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능, 페놀 함량, 코지산 함량, 미백, 주름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누룩박, 미박, 원주, 시판 제품을 5가지 다른 용매(0, 25, 50, 75, 100% 에탄올)로 20℃와 50℃에서 각각 추출하였다. 페놀 함량은 20℃에서 추출하였을 때 누룩박의 에탄올 75% 추출물에서 13.26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50℃에서는 시판 제품의 에탄올 75% 추출물에서 16.66 mg GAE/g으로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코지산 함량은 20℃에서 누룩박의 0% 에탄올 추출물에서 관찰되었고, 50℃에서 추출한 모든 시료에서 코지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20℃에서 제조한 누룩박, 미박 추출물에서 상당한 항산화능(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이 확인되었다.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한 미백 효과는 50℃에서 누룩박의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누룩박과 미박은 elastase 저해능도 발견되어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막걸리 제조 부산물이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의 기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공적개발원조가 개발도상국가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길영수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During the past several decades, a great much money have been given out to developing countries as par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DA may be of critical importance in the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a number of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still live in abject poverty and most of them live on less than a dollar per day. Thus, the impact of ODA on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investigated by many professionals. However, the resulting conclusions are not always in agreement. Korea was in the status of the recipient countries that receive assistanc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the korean economy growing, it has been leaved out from the recipient country list in 1995 and it has become the first developing country to join the DAC in 2009. This paper explored the impact of ODA on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by using internationally comparable data from 45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years 1990-2020, which is perhaps the largest cross-country data-set ever used to examine the issue. A framework that has considerable appeal in terms of modeling the impact of ODA on economic growth was employed. Apart from physical capital and human capital, ODA was specifically included. By reducing the standard error of the regression, the model that includes ODA capital explains the variation in both the per-capita income level and per-capita rate of GDP growth across countries more than the model that does not include ODA capital. In other words, the steady-state income regressions and the growth regressions give a consistent view of the impact of ODA on per-capita GDP :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for the countries in the sampl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ODA on economic growth differ according to regions and income levels. Thus, we can conclude that ODA does contribute to the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This finding may yield firm policy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for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world. The suggestion that countries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ir growth by receiving further ODA seems to be supported by the available data.

      • 산류 화학물질 누출 시 중화제 선정에 관한 연구

        손형곤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화학사고란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일체의 상황으로 작업자의 과실, 시설결함과 노후화, 운송사고 등의 발생원인과 누출, 폭발, 이상반응에 따른 사고 등 발생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사고는 1차 피해인 사업장 내 피해로 그치지 않고, 2차 피해인 지역 주민과 환경 피해로 이어져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끊이지 않는 사고로 인해 불안감 증대는 물론 현장대응을 실시하는 소방대원의 화학물질 노출 및 부상위험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화학사고현장은 복잡하고 다양하여 사고양상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앙119구조본부의 화학사고 출동현황을 보면 매년 200건 이상의 사고현장 대응을 하고 있으며 현장 활동 간 화재진압, 화학물질 탐지(측정), 인명구조, 화학물질 제독(중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실시한다. 특히, 화학물질 제독(중화) 시 다양한 중화제를 사용하여 방출되는 유해증기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화학물질을 해롭지 않은 형태로 전환하여 위험성을 줄이며,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론적 지식만으로 중화반응을 통한 화학물질 처리를 수행하기에는 중화열 발생, 독성, 가연성 증기발생 등 위험성이 뒤따르며, 전문성 부족으로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기대한 만큼의 중화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대응기관의 책자, 매뉴얼 등에 중화제의 언급만 있을 뿐 물성에 따른 중화력 발휘나 안전성에 대한 내용이 없어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사고 발생 시 피해 위험성이 높고 통계적으로 높은 사고율을 보이는 산류 화학물질에 반응성과 안정적인 최적의 중화제를 선정하였으며, 현장대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화학사고 발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 chemical accident is any situation that occurs when a chemical substance is exposed to a person or the environment. It is caused by the operator's fault, defect and aging of the facility, transportation accident, and accident type such as leakage and explosion. These chemical accidents, initially damage, not only the workplace, but also lead to the second damage, which are social and economic damage derived from the local residents and the environmental damages. In addition, continuous accidents increase the anxiety, as well as exposure to chemicals and risk of injury to the on-site firefighters. The sites of chemical accidents are complex and divers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accident patterns. The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responds to more than 200 incidents every year, and conducts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fire suppression, chemical detection (measurement), rescue, chemical decontamination (neutralization), and etc. Particularly, when they are decontamination (neutralizing) the chemicals, it takes advantage by using neutralizing chemical agents to reduce toxic vapors significantly and covert chemicals into harmless forms to reduce risks, costs, and efforts.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chemical treatment through the neutralization reaction only with theoretical knowledge, there is a danger such as occurrence of neutralizing heat, toxicity, flammable steam, etc., and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neutralization reaction does not occur as expected. In addition, there is only mention of neutralizing chemicals in booklets and manuals of responding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utilize the neutralizing chemicals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safety and the effect of neutralization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From this study, the optimum neutralizing chemicals were selected for the reactivity and stable neutralization of acidic chemicals with high risk of accidents and high accident rate with an expectation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field crew.

      • 건축물 마감재료의 노출면에 따른 화재위험성 평가 - 콘칼로리미터를 중심으로 -

        전남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건축되고 있는 현대적인 건축물은 고층화, 고단열화, 고집적화 그리고 고기능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에 대한 기준도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시험방법으로 준불연재료의 성능을 만족시키는 재료들은 앞면에 대한 콘칼로리미터 시험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열에 취약한 단열재의 앞면에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표면재를 이용하여 시험을 통과하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도입되는 외벽마감재료의 준불연성능 기준인 앞면, 뒷면, 측면의 각면에 대하여 각각 3회 콘칼로리미터 시험을 진행하여 각 면에 대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열방출률을 측정한 결과, 경질폴리우레탄의 경우 뒷면이 평균열방출률(HRRmean)과 최대열방출률(HRRpeak)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페놀폼의 경우 측면이 평균열방출률(HRRmean) 값이 가장 높았고 최대열방출률(HRRpeak)은 뒷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방사 단열재의 경우 측면이 평균열방출률(HRRmean)과 최대열방출률(HRRpeak)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질폴리우레탄 뒷면의 경우 두 번째로 높은 최대열방출률을 보인 저방사단열재의 측면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나 유일하게 준불연재료 판정기준 중 최대열방출률 값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 kW/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는 경질폴리우레탄 뒷면이 순간적인 화재 확산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총열방출량(THR)을 측정한 결과, 경질폴리우레탄의 경우 앞면을 제외하고 모두 8 MJ/m2인 준불연재료 적합기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놈폼의 경우 경질폴리우레탄와 마찬가지로 앞면을 제외하고 모두 준불연재료 기준에 적합하지 못하였으나 저방사 단열재의 경우 3면 모두 준불연재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방출열량의 경우에는 페놀폼 측면의 경우가 경질폴리우레탄 뒷면 보다 약 27%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의 총량이 높아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체의 형상에서는 경질폴리우레탄의 경우 3면 모두 준불연재료의 기준인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한다. 복합자재의 경우에는 앞의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심재의 일부 용융 및 수축이 없어야 한다.‘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폼의 경우 측면에서 시험체 제작에 의해 생긴 틈 부분에서의 균열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방사단열재의 경우 측면에서 심재인 폴리에틸렌폼의 전부 용융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화재안전에 대한 의식이 점진적으로 향상되어 가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고시 2021-276호』에서 실물화재시험 도입과 단열재 심재에 대한 평가가 도입될 예정이다. 앞으로도 외벽마감재료에 대한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적합한 단열재 심재 자체에 대한 화재안전성능이 개선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Modern buildings being built today are becoming high-rise, high-insulation, high-strength, and high-functioning. In addition, as the Korean people's interest in safety gradually increases, the standards for fire safety performance of buildings are also strengthening. Materials that satisfy the performance of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with the existing test method were only tested for the front side of the cone calorimeter, so there were many cases of passing the test using a surface material that could block radiant heat on the front side of the insulation vulnerable to hea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ire risk for each side by conducting a cone calorimeter test three times on each side of the front, back, and side, which are the semi-noncombustible performance standards of the newly introduced outer wall finishing materia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heat release rate, for hard polyurethane, the average heat release rate (HRRmean) and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peak) values of the back side were the highest. In the case of phenolic foam, the side surface had the highest average heat release rate (HRRmean) and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peak) showed the highest back side. In the case of low-emissivity hybrid insulation, the side surface showed the highest average heat release rate (HRRmean) and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peak). In the case of the back of hard polyurethane, it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side of the low-emissivity hybrid insulation with the second highest heat release rate, making it unsuitable for the criteria that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should not exceed 200 kW/m2 for more than 10 seconds in a row. This indicates that the back of the hard polyurethane has a high risk of instantaneous fire diffus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heat release (THR), it was found that the hard polyurethane foam exceeded the conformity standard for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with 8 MJ/m2 in all but the front. In the case of phenom foam, like hard polyurethane foams, all but the front side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but in the case of low-emissivity hybrid insulation, all three sides met the criteria with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In the case of total heat release (THR), the side of phenol foam was about 27% higher than the back of the hard polyurethane foam, indicating that the total amount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fire was high and dangerous. In the shape of the test specimen, in the case of hard polyurethane foams, there should be no harmful cracks, holes, or melting in fire protection penetrating the test specimen, which are the criteria for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on all three sides.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material, the above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and there should be no partial melting or contraction of the core material.It was found to satisfy. In the case of phenolic foam, it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due to cracks in the gap caused by the manufacture of test specimens on the side. In the case of the low-emissivity hybrid insulation, it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due to the complete melting of polyethylene foam, which is the core material, on the side. The public's awareness of fire safety is gradually improving, and the introduction of real fire tests and evaluation of insulation cores will be introduced in the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fication No. 2021-276. Regulations on outer wall finish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with improved fire safety performance for the appropriate insulation core material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