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학습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이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have recently been integrated into regular class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administrative and legal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is strengthened, and the inclusive education show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However, because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still difficult and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ar inclusion is low,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ach to enable practical inclusive education in domestic education field. In addition, according to international education indicators, Korean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chieve low affective achievement than cognitive achievement. Also, the number of students with the lowest academic achievement is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countermeasur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 system in which provides all individual learners the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This principle of curriculum is so flexible and personalized to individual needs, that it provides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creased interest in learning and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When we look at the subjects in which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is applied, variety of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science, and art. However, when it comes to social studies, there was no study which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elementary field. The social study department is a basic curriculum designed to provide the qualifications of democratic citizens, enabling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creasing the interest rate of students with regard to the diversity of all students.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impact of social studies classes applying universal learning design on the interest of social studies levels, acceptance leve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tatus of the classroo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 classroom students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76 students in 3 classes and 72 students in 3 control groups, which included 6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7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ith researcher, two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as a implementor of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test of interest in learning of social studie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tatus of classroom was carried out respectively.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pre-test using SPSS win 24.0 program.When it comes to the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because the case is small. To see the difference of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The researcher used Sociometry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clusive clas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achieve high level of interest in learning of social studie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s sub areas. the score of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overall score of one experiment group and one control group is improved, and the score of the other five was getting low. Second, in the inclusiv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ore likely achieve high level of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ll sub areas including academic, daily routine, and assistance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overall score of all students were getting low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especially the assistance sub area. Third, when it comes to a group of experiments that participated in social studies classes that applied universal learning design, the number of popularstudent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excluded children has decreased. Not only that,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improved compared to controlled groups who have not applied universal learning design to their classes.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who had a low level of K-LDES generally have lost their social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ffects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est of learning social studie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ocial status of classroom. However,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the implication is that concentrated and strengthened support is needed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to derive the need of group and individual support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As a follow-up study according to the limit of this study, generalization of research through extension of intervention,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operative teaching among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최근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 법적 지원이 강화되며 통합교육은 양적, 질적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은 여전히 어렵고, 교육과정 통합의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국내 교육현장에 실질적인 통합교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근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국제 교육 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인지적 성취에 비해 정의적 성취도가 취약하며, 학업성취도가 최하위인 학생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는 모든 개별학습자에게 동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원칙으로, 개인의 요구에 유연하고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여 학업성취 뿐 아니라 학습 흥미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교과목을 살펴보면 국어·수학·과학·예체능 등 다양한 교과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사회과의 경우 국내 초등학교에서 실시된 연구가 한 편도 없었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추기 위한 기초교과목으로, 보편적 학습설계를 통해 교수되었을 때 장애학생의 교육과정 및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학생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도를 증진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의 사회과 통합수업 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학습 흥미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과 흥미도, 장애학생 수용태도 및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2개교의 3학년 6학급의 학생들이다. 실험집단 3개 학급 76명, 통제집단 3개 학급 72명으로 총 148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여기에는 6명의 장애학생과 7명의 학습부진 학생이 포함되었다. 연구자와 함께 실험집단 통합학급 교사 2명이 협력교사로서 함께 중재를 진행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중재 전과 후에 사회학습 흥미도 검사,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회적 지위 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 실시 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 종속변인의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사전 사회학습 흥미도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의 교정된 사후 사회학습 흥미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했고, 학습부진 학생의 사회학습 흥미도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학급 내 사회적 지위는 사회성 측정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사회학습 흥미도의 전체 영역 및 정서적 동기, 의사소통, 학습활동 하위영역에서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실험집단 1명과 통제집단 1명의 총점이 향상되었고, 나머지 5명의 점수는 낮아졌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전체 영역 및 학습활동, 조력활동, 일상활동을 포함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보편적 학습설계 중재 실시여부와 상관없이 대체로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특히 조력활동 하위영역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인기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배척아동의 수가 감소했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대체로 K-LDES 학습지수가 낮은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학습설계가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학습 흥미도 및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회적 지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단, 학습부진 학생의 경우 집중적이고 강화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사회과에 적용하는 구체적 실행방법을 제시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을 시도하였다는 것과 특히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소그룹, 개별 지원의 필요성을 실험결과를 통해 도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제한점에 따른 후속연구로 중재 확장을 통한 연구의 일반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 검증,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 등이 언급되었다.

      • 건강보험 청구자료 기반 고혈압 치료제의 복약이행도 산출 방법 비교

        추은정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배경: 빅데이터를 이용한 보건의료 분석에서 약물의 복약이행도를 산출할 때 데이터를 정제하고 표준화하는 데 다양한 세부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의사결정 항목이 복약이행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다. 연구목적: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고혈압 환자에서 세부적인 의사결정 항목을 다양하게 변경해가면서 복약이행도를 산출하고, 이러한 의사결정 항목이 복약이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를 이용하여 2007년에 고혈압 진단이 있으면서 고혈압치료제를 사용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부적인 환자의 포함 및 제외 조건은 민감도 분석의 의사결정 항목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었다. 복약이행도 계산은 후향적 관찰연구에서 권장되는 방법인 약품보장일수비율(Proportion of Days Covered, PDC)와 다중 약물 사용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계산 방법인 일별다중약물소지비율(Daily Polypharmacy Possession Ratio, DPPR)을 사용하였다. 복약이행도 산출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론적 의사결정 항목 8개를 정의하였고, 각 항목에서 흔히 사용되는 조건을 기본설정으로 정의한 후, 기본설정을 중심으로 각 항목 값을 하나씩 변경하면서 복약이행도의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복약이행도 민감도 분석의 결과를 확장하여 고혈압치료제로 치료를 시작하는 환자에서 고혈압치료제의 복약순응 여부가 사망 및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코호트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복약이행도 민감도 분석의 범주 중 “포함/제외 기준”, “관찰기간” 관련 세부 항목은 복약이행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관찰기간” 범주의 “관찰기간 끝일자의 처리”에서는 설정 변경에 따른 대상 환자수의 변화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복약이행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그 외 “데이터 정제”, “연속 처방의 처리” 범주에서는 복약이행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복약이행도 민감도 분석의 결과를 이용한 후속 코호트 연구에서는 고혈압치료제 비순응군이 사망 및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입원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복약이행도를 산출하는 방법 간의 결과 사건 발생의 위험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론: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복약이행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론적 의사결정 항목 중 복약이행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항목과 그렇지 않은 항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복약이행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포함/제외 기준”, “관찰기간”과 관련된 세부 항목이었으며, 특히 “관찰기간 끝일자의 처리” 방법은 더욱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중요한 항목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러한 항목의 설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해당 변수에 대해서는 민감도 분석을 추가하여 연구 결과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강건성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고혈압치료제의 복약이행도 산출 방법을 정의할 때 고려하는 항목의 다양한 설정에 따른 복약이행도 값을 투명하게 공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에서 복약이행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할 객관적인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이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기후위기에 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학교 환경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학생들은 현 문제를 직면하고 있는 미래세대로서 사회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되었고, 학생들이 기후변화를 인지하고 생태적인 관점으로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접근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도 ‘생태전환교육’이라는 환경교육 용어를 제시하였고, 생태시민 육성을 새로운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생태시민 육성을 위해서는 학령기 전반에 걸쳐 자연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자연을 지키고자 하는 태도인 생태감수성과 전 지구적 환경문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 문제의 원인이 나와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며 환경 문제에 관하여 생태적으로 의사결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시민성을 기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 현장에서는 생태전환교육을 교사 개인의 재량에 맡기며 계기 교육이나 교육부 사업의 일환으로 일회성에 그치는 프로그램 형식으로만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학생은 복잡한 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서 지식을 단순화하여 제시해야 하고 배운 내용을 행동으로까지 나타내기 위해 반복된 연습과 단서 제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생태전환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전환교육에 효과적이라고 평가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도록 적용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A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1~3학년 6개 학급의 발달장애 고등학생 15명이다. 연구자가 독립변인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을 고등학교 담임 교사 5인에게 교육하고, 연구자를 포함한 6개 학급 각 반 담임 교사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 1~3회씩 총 10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중재 후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장애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생태감수성 평균 총점과 하위영역 중 자연에 대한 관심 영역, 정서 안정 영역, 자연에 대한 동정 연민 영역의 평균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은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감수성뿐 아니라 세 가지 하위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시민성 평균 총점과 하위영역 중 정의 영역, 참여 영역 평균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은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생태시민성뿐 아니라 두 가지 하위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생태전환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생태감수성과 생태시민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및 생태전환교육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The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total of 10 sessions, one to three times a week in a creative activity clas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by their homeroom teacher.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if a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would have effect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cological sensi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 and sub-domains (i.e., students’interest in nature, aesthetic experiences in nature, emotional stability, and compassion for nature) of ecological sensibility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Seco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score and sub-domains (i.e., responsibility, rights and justice,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ion) of ecological citizenship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positively affected th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logic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special sch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using project bas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trength-based happiness promot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rength-based happiness promoting program helps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notice their strengths and use them which leads to enhance their positive emotions. Ten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ttended a total of 8 session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8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Parenting Stress Scale(PSI/SF) and Parental Efficacy Scale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employing 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reported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Scale(PSI/SF) at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ose at the pretest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tic finding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three sub-factors of the PSI/SF(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Difficult child). Second,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report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efficacy scale at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ose at the pretest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two sub-factors(General Parenting efficacy, Healthy parenting ability) in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rength-based happiness promot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the levels of parenting efficacy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thers’positive emo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further studies of the programs that treat mothers’positive emo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continu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a program was made to help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suffer from the burden of parenting responsibilities to deal with their stress and enhance their positive emotions. 지적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더 많은 양육 스트레스와 신체적·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부모의 이러한 스트레스와 어려움은 아동발달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웰빙과 더불어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비장애 아동 부모를 비롯해 학생, 직장인, 노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아동 양육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지적장애 아동 부모에게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하고 높은 양육 효능감을 갖추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적장애 아동 부모에게 긍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긍정적 정서를 높이고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가정에서의 양육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주로 어머니가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아동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상호작용 하게 되는 시간이 더 많다. 주 양육자로서의 어머니 정서는 아동의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 함양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비장애 아동 어머니보다 더 높은 수준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장애 아동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를 함양하고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시에 거주하는 만 7 ~ 9세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 10명으로, 이들에게 2018년 8월 다섯 번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8주간, 연구 참여자 어머니 중 한 명이 운영하는 학원 강의실 내에서 주 1회씩 총 8회기의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한 회기당 소요시간은 약 90분이었다. 프로그램은 정보 제공 위주의 지식교육이 아닌 실생활에서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긍정적 정서 증진 활동과 참여자간 정서를 공유하고 증진할 수 있는 이야기 나눔 활동 위주로 진행되었다. 또한 성격 강점 활용이 행복한 삶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연습을 통한 성격 강점 활용의 습관화를 강조하여 성격 강점이 본인의 탁월한 강점으로 강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자신의 강점 찾기 및 활용, 건강한 몸과 마음 챙기기, 긍정적 사고하기 등의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 측정을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2008)이 번안 및 표준화한 검사도구인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Korean Parenting Stress Inventory, K-PSI-SF)을 기반으로 김지원(2018)이 내용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최형성, 정옥분(2001)이 번안·수정한 Allen(1993)의 부모 양육효능감 척도를 정지희(2010)가 문항 수정하여 내적 타당도 검증을 한 양육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에 두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 실시에 따라 연구에 참여한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에 대해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양육 스트레스 하위 요인별 분석결과 부모의 고통, 부모·아동간 역기능적 사고영역, 아동의 까다로운 특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총점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양육 효능감의 하위 요인별 분석결과 전반적인 양육 효능감,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 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기존의 장애 아동 부모 대상의 치료적이고 심리학적인 집단상담 접근에서 벗어나, 특수 교육적 측면에서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해 지적장애 아동 어머니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를 프로그램에 포함하여 가족 중심의 강점기반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지적장애 아동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집단연구나 종단적 효과 검증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적장애 아동과 부모를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강점기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가족 전체의 긍정적 정서 증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강점기반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수방법 및 교수전략에 대한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노인환자에서 부적절한 약물처방으로 인한 부작용 평가

        김선영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국내 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약물사용경향을 분석하고 부적절 약물의 사용 현황과 그로 인한 약물부작용 실태를 파악하여 부적절 약물 처방이 약물부작용의 출현과 얼마나 관련있는지와 부작용의 빈도 및 임상적 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1월 한달간 원내 입원한 노인환자 317명의 기본자료와 처방약물 자료를 원내 처방전달시스템을 이용해 추출해 database화했고 입원전에 복용한 약물은 환자정보조회를 참조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성별, 연령별 등의 현황과 함께 입원중과 입원전의 처방약물을 분류하여 입원노인환자의 약물사용경향을 분석했다. 부적절 약물의 기준으로서 2003 Beers criteria(BC)를 사용하여 BC약물이 처방된 건수, 환자수, 약물별 비율 등을 조사하였고 부적절한 처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BC약물이 처방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차트를 검토해 약물부작용이 있었는지와 그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입원중 환자의 43.6%가, 입원전 환자의 22.3%가 부적절 약물을 처방받고 있었고, 입원중 부적절 약물 처방을 받은 환자들에서 20.3%가 약물부작용을 나타내었고 입원전의 경우 28.6%가 부적절한 처방의 부작용일 것 같은 증상으로 입원했다. 대표적인 부적절한 처방의 위험요인은 약물수였다. BC 약물 17개중 다빈도 약물 상위 5개는 diazepam 45건(19.2%), hydroxyzine 41건(17.5%), bisacodyl 25건(10.7%), flurazepam 22건(9.4%), piroxicam 22건(9.4%)이었다. 부작용비율이 높은 약물들은 입원전과 입원중이 좀 달랐는데 입원중의 경우 digoxin(66.7%), piroxicam(38.9%), amiodarone(37.5%)이 높았고, 입원전의 경우 nifedipine(100%), amitriptyline(50%), hydroxyzine(40%)이 높았다. 약물부작용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증상은 dizziness였고 falls, abdominal pain, diarrhea, N/V이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약물 부작용을 계열별로 분석했을 때 위장관계부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이 신경계 부작용이었다. 부작용의 중증도 평가시 Moderate한 부작용이 많았으며(입원중: 93.3%, 입원전: 76.9%), Severe한 부작용 증상은 falls 2건, vomiting 1건, drug fever 1건으로 입원중 3.3%, 입원전 23.1%였다. 결론: 부적절 약물은 노인환자들에서 상당히 많이 처방되고 있었고 약물부작용은 부적절 약물과 관련있었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부작용은falls와 dizziness였다.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benzodiazepine계 약물 등의 낙상 및 골절의 위험을 일으키는 약물은 주의 사용되어져야 한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PIM) use, analyze the adverse drug events(ADEs) caused by inappropriate drug use and evaluate if inappropriate medication prescribing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DEs in older hospitalized adul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for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admitted to a hospital for 1 month, January 2008 by collecting data of general demographics and the prescribed drug from the order communication system. Data were collected for all the medications during and prior to admission. PIM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2003 Beers criteria. We examined the medical chart of patients BC medications prescribed to identify adverse drug events. Results: Total 317 patients were assessed during the study period. Patients with PIM were 43.6% during hospitalization. ADEs presented in 20.3% of patients with PIM. Patients with medications prior to admission were taking PIM in 22.3% and ADEs presented in 28.6% of them. The principal risk factor of PIM was the number of medications. The most common PIM was diazepam(45,19.2%) as long-acting benzodiazepines, followed by hydroxyzine(41,17.5%), bisacodyl(25,10.7%), flurazepam(22,9.4%) and piroxicam(22,9.4%). The drugs with high proportions of adverse drug events during hospitalization were piroxicam(7/18), amiodarone(3/8), digoxin(2/3). The ADEs with PIM prior to admission occurred more due to nifedipine(1/1), amitriptyline(4/8), hydroxyzine(2/5). The most common ADE was dizziness, followed by falls, abdominal pain, diarrhea, and nausea/vomiting. Conclusion: The PIM was taken considerably in the elderly patients. ADEs were related to PIM. The clinically significant ADEs were falls and dizziness. The drugs causing falls and fractures such as benzodiazepines should be used carefully.

      •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rd grade students (a total of 28 students, including 27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1 student with a disability)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hwasong.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i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ould ha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room (including student with a disability). Severa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for the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intervention using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tests. For the interven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a total of 12 sessions by researcher. After the intervention, a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same measures as the pre-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verbal commitment, actual commitment, general environment, water resources) of environmental attitudes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all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Second, the total score and sub-variables (positive interdependence, interpersonal skill) of the cooperative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operative ability of all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ffected the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s the class-wide universal supports for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최근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지구적으로 환경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인간이 사는 환경이 ‘개인 생활의 질’과 ‘인간의 행복’에 밀접한 관련이 있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환경문제를 해결할 역량과 태도를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장애학생 역시 환경교육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되며, 이를 위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미 국내외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 2012년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를 통해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국제적으로 강조되어 오고 있다. 이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도 1992년 중·고등학교에 환경 과목을 신설하였으며,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이 공포되어 환경교육에 대한 여러 제도가 시행되는 등 꾸준히 환경교육이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독립적인 환경 교과가 없고 범교과 학습주제 중 하나로 각 교과단원에 분산되어 있으며, 학교 재량에 따라 환경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 확산에 따라 일반학교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에도 통합학급 대상의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장애학생은 발달상에 지체로 인해 환경과 전반적인 상호작용 능력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고 통합학급에서 학업적·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무엇보다 장애학생이 학업성취와 사회성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통합학급 수업에서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어 다양한 활동이나 과제에 대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A초등학교 3학년 1개 통합학급이며 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 27명, 총 2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자인 특수교사가 독립변인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 1~2회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협동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기 전과 후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총점과 하위영역 중 구두진술영역, 활동진술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하위주제 중 환경일반과 수자원 주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협동능력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협동능력의 하위영역 중 긍정적 상호의존성과 소집단 및 대인관계 기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즉,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협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을 비롯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통합학급 차원의 지원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제중심학습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인성발달 및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보미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y the general educator and the special educator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students in an inclusive setting wher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re educated togeth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 personality development,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cademic engag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es. This study consists of 12 sessions for 6 weeks, and the student participant is two classes of the second grade inclusive class of 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21 non-disabled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one student with autistic disability and 21 non-disabled students. The teacher participant is the homeroom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carried out this research with the co-teaching. Chang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KEDI personality development test and the Acceptance Scale(Voeltz) in the non-disabled students through the pre- and post-tests and KEDI personality development test and the academic engagement test in the student with disability. Two independent sample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o the students of the inclusive class,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the total scores of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 non-disabled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total scores of the non-disable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dicated. In other words,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non-disabled studen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respect of respect,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honesty and courage in the lower virtue was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lower virtue test of non-disable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the sub-virtues of character development of non-disabled students.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overall score of personality development rose 6 points after the pre-score. Therefore, th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Looking at the lower virtue of personality development, the virtue of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honesty and courage was higher than before the mediation. In the case of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the scores rose by 2 points, honesty and courage by 3 points, and by 1 point of responsibility. Respect and responsibility were already high in preliminary scores. Therefore, two points of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ree points of honesty and courage can be seen as meaningful results, which means that the cooperation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orked in virtue of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and honesty and courage.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on total attitud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 non-disabled students increased 1.76 point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by .43 points for learning activities, 1.05 points for daily activities, and .29 points for help activitie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showed an increase in the overall scores of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ll scores in the sub-area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total score of academic engagement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y was 8 points higher than the prior score, and 1 point was increased in all areas of the sub-category. Participation, presentation, writing, reading, posture, and preparations were all improved compared to before interven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operative teaching-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 excursion of cla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operative teaching of the special educator and the general educator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pecial educator and the general educator have successfully conducted cooperative teaching while maintaining an equal relationship. In addition, by actively reflect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d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vided by the school can be linked to the family. personality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efu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Lastly, in the follow-up study, the inclusive class, in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various types are integrated, needs to be extra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community. In addition, school personality education needs to form a program that provides pre-education and feedback in connection with families.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교육받는 통합환경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도록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여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하고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대상으로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인성발달과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6주간 12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E초등학교의 2학년 통합학급 두 반이다. 실험집단은 지적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들 21명이며, 통제집단은 자폐성장애학생 1명과 비장애학생들 2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 참여자는 본 연구자와 협력교수를 함께 실시한 실험집단의 담임교사이다. 종속변인의 변화는 비장애학생의 경우 인성발달검사와 장애수용태도검사를 장애학생은 인성발달검사와 수업참여행동검목표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을 통합학급의 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인성발달 전체점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의 전체점수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들의 인성발달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또한 하위덕목인 존중, 배려‧소통, 책임, 정직‧용기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가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의 하위덕목 검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인성발달의 하위덕목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장애학생의 경우 인성발달의 전체점수는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6점 상승했다. 따라서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인성발달의 하위덕목점수를 살펴보면 배려‧소통, 책임, 정직‧용기의 덕목에서 중재전보다 상승을 보였다. 배려‧소통의 경우 2점, 정직‧용기 3점, 책임 1점의 상승을 보였는데 존중과 책임은 이미 사전점수가 높았으며, 배려‧소통과 정직‧용기의 사전점수는 상대적으로 많이 낮았다. 따라서 배려‧소통의 2점과 정직‧용기의 3점은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인해 배려‧소통, 정직‧용기의 덕목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전체태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차이는 1.76점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별 점수의 차이는 학습활동이 .43점, 일상활동이 1.05점, 조력활동이 .29점 모두 상승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의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별 모든 점수가 상승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의 전체점수는 사전점수에 비해 8점이 상승하였으며 하위항목의 모든 영역에서도 각 1점씩 상승하여 주의집중, 과제수행, 활동참여, 발표, 쓰기, 읽기, 자세, 준비물 모두에서 중재 전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협력교수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교수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합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위한 공통된 인성덕목 중심의 내용으로 인성교육 수업을 진행하면서 가정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Evaluation of Statin-related Risk of Hemorrhagic Stroke and Dementia using Real-World Data

        정민지 아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PART 1: Evaluation of Statin related Risk of Hemorrhagic Stroke i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Background: Statins are widely used f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dditionally, lipid–independent effects, so called pleiotropic effects, are gradually drawing researchers’ attention as well as lipid–lowering effects.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impacts of statins on increased hemorrhagic stroke, especially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in several studies. Since there are no evident treatments for hemorrhagic stroke,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lowering the risk of hemorrhagic stroke are needed.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atin use and the risk of primary hemorrhagic stroke i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base (2002–2015). Patients aged 40–85 years without a history of hemorrhagic stroke were identifi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hyperlipidemia. Statin users were matched with non–users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 at a 1:1 ratio. The primary outcome was occurrence of hemorrhagic stroke, including ICH and subarachnoid hemorrhage (SAH). Secondary outcomes were all–cause and major adverse cardio–cerebrovascular (MACCE) related mortality. Sub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hemorrhagic stroke–related risk factors.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statins and hemorrhagic stroke. Results: Among a total of 313,368 hyperlipidemia patients, statin users were compared with non–users by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a 1:1 ratio (21,797 in each group). During a mean follow–up period of 6.4 years, ICH occurred in 456 (1.05%) and SAH occurred in 173 (0.40%) of the 43,594 patients. Statin 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ecreased ICH risk (adjusted hazard ratio [aHR] 0.78,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0.65–0.94). However, statin use was not related to SAH incidence (aHR 0.76, 95% CI 0.56–1.03). Compared to non–users, statin us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ll–cause mortality (aHR 0.61, 95% CI 0.57–0.64) and MACCE–related mortality (aHR 0.75, 95% CI 0.65–0.85). Conclusions: Compared with non–users, statin users had lower risks of the primary ICH and mortality in Korea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H incidence were noted between two groups. We suggested that the pleiotropic effects of statins may be related to lower risk of ICH. Our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tatins–related hemorrhagic stroke, reflecting real–world setting. Further large–scale clinical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impact of statins’ properties, such as lipid–lowering and pleiotropic effects, on the incidence of hemorrhagic stroke in Asian population.  PART 2: Evaluation of Statin and Prevention of Dementia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s Background: Dementia, which is a multifactorial neurodegenerative disord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increased healthcare burdens and disability with lowering th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Previous case reports identified the risk of statin–related adverse cognitive impairment events. However, following studies have disputed these findings, leading to a controversy on dementia risk related to statin use; numerous studies have found that statins reduced dementia. Since there are no evident treatments for dementia, management for several risk factors, including aging, hyperlipidemia, ischemic heart disease (IHD), of dementia may be one of the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dementia risk reduc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impact of statins on dementia incidence in IHD population.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atins and dementia incidence in elderly patients with IHD in Korea. Methods: We performed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base (2007–2015). Statin users and non–user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ith stratified sex and age. They were subsequently matched by propensity score method. The primary outcome was dementia incidence by estimating HRs (95% CIs). Subgroup and stratification analyses were further conducted to assess dementia risk among diverse study sub–populations. Results: Among the 264,036 eligible patients aged over 65 years with IHD, a total of 71,587 statin users and 71,587 matched non–users were identified. Statin users were associated with a lowering risk of dementia compared with non–users (aHR 0.95, 95% CI 0.92–0.97). Among seven commonly prescribed statins, rosuvastatin was associated with the greatest preventive effect on dementia incidence, with an aHR of 0.82 (95% CI 0.78–0.87).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statin therapy was associated with dementia risk redu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IHD. The beneficial effects of statins on dementia were varied according to statin types. We recommended that the benefits of pleiotropic properties of statins may be associated with lowering risks of dementia. We believe that our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atins and dementia association by analyzing real–world data. Larger studies are further warranted to clarify the pleiotropic impacts of statins on preventing dementia. The appropriate statin therapy may provide a relatively inexpensive way to reduce the burden of dementia. PART 1. 고지혈증 환자에서의 스타틴 관련 뇌출혈 발생 연구 연구배경: 스타틴은 고지혈증 치료 및 심뇌혈관질환의 1, 2차 예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타틴은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이외의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향상, 항산화 효과, 소염 작용, 혈전 형성 억제 등의 콜레스테롤 이외의 다른 다양한 효과(pleiotropic effects)가 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스타틴 사용과 관련한 뇌출혈 발생 위험에 대한 여러 상반된 연구가 발표되면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뇌출혈 발생 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뇌출혈 발생 위험을 낮추는 예방 요법이 중요하다. 연구목적: 고지혈증을 가진 한국인 환자에서 스타틴 사용이 뇌출혈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무작위 층화 추출된 국민건강보험 공단 표본 자료를 이용한 모집단-기반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하였다. 뇌출혈 병력이 없는 40-85세 고지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1:1 비율의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스타틴 사용군과 비사용군을 선정하였다. 1차 평가 변수는 뇌출혈 (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 발생이며, 2차 평가 변수는 모든 원인의 사망 및 심혈관으로 인한 사망이다. 콕스위험비례모형을 이용해 두 군간의 뇌출혈 발생 위험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313,368명의 고지혈증 환자 중에서, 최종 스타틴 사용군과 비사용군에 21,797명씩 포함되었다. 중앙값 6.4년의 추적 기간 동안, 전체 연구 대상군 43,594명 중 456명(1.05%)에서 뇌내출혈이 발생하였고, 173명(0.40%)에서 지주막하출혈이 발생하였다. 스타틴 사용은 뇌내출혈 감소 (aHR 0.78, 95% CI 0.65–0.69)와 모든 원인의 사망 (aHR 0.61, 95% CI 0.57–0.64) 및 심혈관으로 인한 사망 감소 (aHR 0.75, 95% CI 0.65–0.85)와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다. 스타틴 사용으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감소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aHR 0.76, 95% CI 0.56–1.03). 결론: 스타틴 사용이 뇌내출혈 발생 위험 및 사망률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스타틴 사용과 지주막하출혈 발생 위험은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타틴의 지질 강하 효과 이외의 다른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였으며, 이는 스타틴 관련 뇌출혈 발생 위험 감소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스타틴의 다양한 효과가 뇌출혈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PART 2.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의 스타틴의 치매 예방 효과 연구 연구배경: 치매는 다원적인 신경변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가지는 질환으로, 치매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 및 보건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스타틴의 사용이 인지 손상을 유발한다는 부작용 보고 자료가 나오면서 스타틴 사용과 관련된 치매 발생 위험에 대한 우려가 생겼으나, 이후 이 결과를 반박하며, 스타틴 사용과 치매 발생 감소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다수의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치매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중요하다. 치매 발생 위험 요소 중 하나인 허혈성 심질환 발생 및 악화를 조절하는 것이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스타틴의 사용이 치매 발생 위험 감소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 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연구목적: 허혈성 심질환을 가진 노인 환자에서 스타틴 사용이 치매 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이용한 모집단-기반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성별과 나이 기준 1:3의 비율로 무작위 층화 추출을 진행한 후, 1:1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스타틴 사용군과 비사용군을 선정하였다. 1차 평가변수는 치매 발생이며, 스타틴 사용과 치매 관련 위험 요소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진행하였다. 발생률, 위험비와 95 % 신뢰구간을 산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264,036명의 65세 이상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최종 스타틴 사용군과 비사용군에 71,587명씩 포함되었다. 스타틴 사용은 치매 발생 감소와 유의미한 연관을 보였다 (aHR 0.95, 95% CI 0.92–0.97). 스타틴 제제 중, 로수바스타틴 (rosuvastatin)이 치매 발생 감소를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aHR 0.82, 95% CI 0.78–0.87).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스타틴 사용이 치매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스타틴-치매 발생 연관 정도는 스타틴 종류마다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진은 스타틴-치매 위험 감소 연관은 스타틴의 지질 강하 효과 이외의 다른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였고, 이는 스타틴 사용의 긍정적이고 부수적인 가능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이해를 돕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스타틴의 다양한 효과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