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육군 예비역장교 리더십 함양을 위한 교육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현 건양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역 장교들에 대한 리더십 함양'에 필요한 간부교육과 예비역 장교의 효율적인 지휘통솔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리 군의 리더십 교육실태와 외국군의 리더십 교육실태를 비교하고 지역 예비군 중대의 도움을 받아 실제 전역한 예비역 장교에 대해서 설문을 분석하고 예비군 및 동원훈련을 일선에서 담당하는 현역 장교(중?소대장 위주)들을 대상으로 리더십에 대한 조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군(미군)의 육군 리더십 체계, 각종 연구자료, 관련서적을 확인하고 특히, 미 육군 리더십 교범(Army Leadership, Regulation 600-100)과 미 육군 리더십 규정을 참고한 결과 군무원을 포함한 예비역까지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규정화 되어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예비역 장교들의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예비역장교들에 대하여 군 생활 시절 각 교육기관에서의 리더십 교육경험과 자대에서 지휘통솔에 적용한 결과를 도출하고 예비역으로써 실제 동원 및 예비군 훈련시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과 현재 예비군 훈련의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첫째, 장교는 현역이든 예비역이든 부하들에 대한 만족도는 정과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현재 우리 군은 많은 전시 증?창설부대의 초급 지휘자(관)는 대부분 예비역 장교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지금의 현역 중심의 "신병 교육식 예비군 훈련"의 개념을 탈피한 예비역 장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훈련체계와 예비역 장교들을 예비군이 아닌 단지 장교로서의 모습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판단되었다. 즉, 예비역 장교들이 예비군 복무 시까지 리더십 교육이 체계적이지 못함에 따른 지속적인 리더십 교육을 통해 전시 전투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설문을 종합하고 분석한 결과 중 우리 군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예비역 장교의 동원 및 예비군 훈련 간 교육체계를 면밀히 분석,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즉, 전시 부대 전투력 발휘의 핵심과 주체는 누구이며 지휘자(관)의 역할과 책임을 따져볼 때 리더십 교육도 예비역 장교들의 간부교육 훈련과정에서는 포함되어야 된다고 본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about the leade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and how to get the efficient leadership for reserve generals. To achieve the purposes, I compared our force's case with foreign's, surveyed to actual reserve generals under the support of a local reserve components company and advices about leadership from active duty officers(companyㆍplatoon commanders mainly) who take charge of mobilizationㆍreserve force training. Also, for the research, I checked up the leadership systems of ROK army and US army, all sorts of research datum and related publications. Especially, according to 'US Army Leadership Manual' and 'US Army Leadership Regulation', they prescribed the leadership that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from military civilians through reserve service, and I could perceive the necessity of the Korean reserve officers' leadership education. Also, I analyzed the practical issues and necessities of the education when mobilizationㆍreserve force training to bring the results of applying the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s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at the service area as active duty officer to leadership, by reserve officers themselves' recollections. And the results are: First, it is verified that morale of an officer's men be formed by affection and humanity whatever the officer is active or reserve. Second, it is necessary that an approach to reserve officers being not as the reserve but just officers and an evolved training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current 'recruit training-like' reserve force training, that the reserve officers can be more active and positive at training. Because the primary commanders of the numerous augmentationㆍactivation units when wartime are organized with reserve officers mostly. It means that the final consequences of the units at wartime are affected by the leadership education to reserve officers who had been educated unsystematic leadership education. Therefore, one of the biggest major tasks above all results of the analysis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education system of the reserve officers' mobilizationㆍreserve force training strictly. That is, when we consider about the commander'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nd what is the point of unit's combat power at wartime and who is its main body, it is necessary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being included in reserve officers' leader educationㆍtraining course.

      • 공적교회로서의 기독교인의 삶 : 교회의 사회 참여

        김영복 협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Christian life and public church Kim, Young Bok Dept. of Graduate School Theology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Se Hyoung Our society lives by experiencing rapidly changing society of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age. Through the media and newspapers ground occasionally "suicide meeting through the Internet site cafe or young people who are escapism caused by relying on the virtual space of the Internet, personal life damage caused by incorrect information," such as, "society in various fields when problems "I saw that are generated, our society of Christianity, the church did not have that you are not thinking whether has had what effect on our society In this way, society has what problems of Korean church that has turned its back, we propose a choice of the problem, in and taken the "difficult situation in the appeal" social participation of the Church "(Hitsuryoku), as soon as possible and required of, look at the mental immediately took John Wesley 18 century of the confusion of the UK society as awakening to create a new one by changing the people and society, conside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South Korean church" (I think I let considerations) to. The reason the Church is present in this world, of course, because of the glory of God. Growth and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the church itself is also a reason for existence, there is also if mission must communicate the gospel in order to save the world. No worship only, just not even evangelism and missions only. This is because, whereas the biased by, it is impossible to see a complete church.The church is in the world. There is a church in the world, God is he who have sent the only son loved the world. Therefore, it shall be deemed that the church who are in the world is the country of the true God when fully afford its mission has been built on this land I think I let's consider what is the priority to public church. Public faith as a place to practice, home church and school and society, and in particular NGO is discussed what whether NGO roles and NGO community welfare. Furthermore torch and economic outlook of Wesley, look at the social reform, I think the last and freedom of religion faith of stage, to try to reflect once again about what should be what kind of appearance in the world as a public church. Let us summarize what has been discussed up to now the are as follows. The public faith that grow the church, home, school, society (civil society and NGO) such as, explicitly through the organic education ecosystem in the field of various Christian education, line in both the implicit dimension and online and offline it was emphasized that dividing. South Korea church, out of the identity and civil positions of disciples until now, has been tilted a lot of effort in education in order to nurture the electrons. However, apprentice positions in these narrow sense, primarily, it is emphasized dimension of faithful work a lot in the church, did not reach to the disciple profession education of the energizing dimension than going to change serve the world. As a result, the Korean church, is one that has been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y in foster a healthy citizen under the country's vision of God. However, the crisis there is a need to learn to re-term opportunity for another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Church, in the current crisis to new opportunities for the achievement faith formation of a Christian a pathetic resolution, should have unless we play well these educational missionBy illuminating the social movement of Wesley throughout this paper, in the spring, for South Korea church renewal, it was presented a few things that we should be emphasized. However, just because, really sound pessimistic whether that South Korea church is new there is a time to come out from the heart. This is because, looking at the passive form of participation of the society of the Church today, it is because too disappointed. But historical examples of social movements of Wesley've seen here give hope and hope of the Korean church. More than anything else, I have God loves his church because it is possible updates to work for their church of Korea 국문요약 우리 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급변하는 사회를 경험하며 살고 있다. 간혹 대중매체나 신문 지상을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 카페를 통한 자살모임, 또는 인터넷 가상공간에 의존함으로 인해 생기는 현실 도피중인 청소년들,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생활 피해”등 여러 방면에서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볼 때 우리 사회의 기독교, 교회는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렇게 사회를 외면하고 있는 한국교회들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그 문제점의 대안을 제안하고, “교회의 사회참여”를 필력 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급히 요청되는 것은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켜 새롭게 만드는 영적 각성으로서 18세기 영국사회의 혼란을 바로 잡았던 존 웨슬리를 살펴보고 “한국교회의 사회참여”에 대하여 고찰 해 보려한다. 교회가 세상에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물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다. 교회자체의 성장과 성숙 그리고 성화도 존재 이유이며,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복음을 전해야 하는 사명도 있다. 예배만을 위해서도 아니고, 오직 전도와 선교만을 위해서도 아니다. 왜냐하면 한쪽으로 치우치는 건 온전한 교회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다. 세상 안에 교회가 있고,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사 독생자를 보내주신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가운데 있는 교회가 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할 때 진정한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건설되는 것이라 본다. 우선적으로 공적교회란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공적신앙을 실천하기 위한 장으로서 가정과 교회 그리고 학교와 사회, 특히 NGO란 무엇인지 NGO의 역할과 NGO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나아가서 웨슬리의 성화와 경제관 사회개혁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종교적 자유와 신앙 단계 그리고 공적교회로서 세상에서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성찰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공적 신앙의 양육은 교회, 가정, 학교, 사회(시민사회와 NGO)등과 같은 다양한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유기적 교육 생태계를 통하여 명시적, 암시적 차원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제자직과 시민직 가운데 전자를 양육하기 위한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좁은 의미의 제자 직은 주로 교회에 충성하는 일꾼이라는 차원이 많이 강조되었고 세계를 섬기고 변혁시켜 나가는 보다 더 통전 적 차원의 제자 직 교육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비젼 하에서 건전한 시민을 양육해 나가는 일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이다. 그러나 위기는 동시에 또 다른 가능성을 위한 기회라는 말을 다시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한국교회는 현재의 위기를 그리스도인들의 공적 신앙 형성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삼고 비장한 각오로 이러한 교육적 사명을 잘 감당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웨슬리의 사회 운동을 조명하여 봄으로, 한국 교회 갱신을 위하여 우리가 강조하여야 할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과연 한국 교회가 새로워질 수 있을까 하고 비관하는 소리가 마음속에서 나올 때가 있다. 왜냐하면 오늘의 교회의 사회의 참여의 소극적인 모습을 보고 너무나 실망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기에서 살펴 본 웨슬리의 사회 운동의 역사적 본보기는 한국 교회에 희망과 기대를 준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이 자기 교회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한국의 자기 교회를 위하여 역사하시기에 갱신은 가능할 것이다.

      • 가상 경계 격자 볼츠만 방법을 이용한 2차원 원형실린더 주변 유동 분석 및 검증

        조홍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체-고체 연성 해석은 유동장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해석을 위해 사용된다. 동물의 운동, 기계장치의 유동장 내 운동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체의 운동 또는 혈관 내 혈액 및 세포의 이동 및 거동에 대한 분석과 나노/마이크로 입자로 이루어진 약물의 전달 시스템 분석 등 다양한 의공학 분야에 확장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유동장과 유동장 내의 고체에 대한 각각의 해석방법이 요구되며 그 방법에 대한 검증 역시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체 주변의 유동과 고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격자 볼츠만법(Lattice Boltzmann Method)을 이용한 유동장 해석과 동시에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를 이용한 유체-고체 연성 해석(Fluid Structure Interaction:FSI) 프로그램의 구현 및 검증을 하고자 한다. 개발한 고체-유체 연성 해석 프로그램으로 2차원의 균일한 흐름이 있는 유동장 내에 고정된 원형 실린더에서 주변 유동이 실린더에 미치는 영향을 몇 가지 레이놀즈 수에 따라 분석하고, 이동하는 경계에 대한 해석을 위해 정지된 유동장 내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원형 실린더가 주변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다. 또한 이전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개발한 코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사회적 사건 기록화를 위한 기록개념의 재해석 : 416가족협의회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김신석 한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us research has its goals in interpreting the social role and concept if records and the archivist with the service experience as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record activist in the background. Therefore, firstl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as well as the communal elements. Also,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meaning of the records activist is analyzed. Furthermore,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action to build a records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records by the records activist in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is studied. Lastly, the reason why there is much demand for 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concept through the various documentation activities of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records activists is throughly researched. In general, the concept of records means the whole of corporeal records produced in the work process. Such original concept of records focuses on the records itself than the action and experience. Also, the archivist has a tendency to limit the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is based on the notion of records and is centered around the records. However, although records are the track of acts and experience, it fails to completely represent records in that it cannot replace actions and experience. In the concept of records, actions and experience has its own notion, and when such meaning is accomplished the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appropriately pursued. Therefore, to accept the politico-philosophical epistemology and thus revive the original notion of action and experience in the records concept, the exception and foe concepts of Carl Schmitt is analyzed. The foe concept of Schmitt is interpreted as a existence that conflicts with heterogeneity as a basis as well as a conflictive opponent who provides experience. Also through the notion of conflictive opponent, it is identified that the concept of action is 'act of practice pursued when the social self interprets the conflict situat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action becomes the proof that reveals the variation that is made based on the numerous conflicting relationships of many subjects, and the reason of constructing a system that maintains the order of performers. The system is the result of a conflicting situation and thus may function normally, but also may show its limits in a exceptional situation and lose its meaning. Such exceptional notions shows the fact that in records action is the proof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Schmitt's notion of foe and exceptio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s analyzed in the original concept of action and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records as a social active region . Also based on the interpreted records notion, the concept if the archivist is identified a s a social self who has political responsibilities, not restricted as a being that is the constructor and manager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role of the archivist is proposed as one who jumps into the conflictive actions and in the joint actions which shares others the professionalism and documentation of the actions and experience. 본 논문은 416가족협의회 기록활동가의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기록과 아키비스트의 개념 및 사회적 역할을 재해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먼저 416가족협의회의 구성 배경과 과정을 살피고 공동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록활동가의 참여 과정과 의미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기록활동가가 416가족협의회 내에서 기록물 중심의 기록관리체계를 구축하는 활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416가족협의회 기록활동가의 다양한 기록화 활동 경험을 통해 기록 개념의 재해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록 개념은 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실체적 기록물의 총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존의 기록 개념은 행위와 경험보다 기록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아키비스트는 기록물을 중심으로 하는 기록 개념을 바탕으로 기록물 관리체계 구축에 역할을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록물은 행위와 경험의 궤적이지만 행위와 경험을 대체 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록을 온전하게 대변하지 못한다. 기록의 개념에서 행위와 경험은 고유한 의미가 있으며 그 의미를 살릴 때 기록물을 적절하게 관리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개념에서 행위와 경험의 고유한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 정치철학적 인식론을 수용하고자 칼 슈미트의 예외와 적 개념을 분석 한다. 슈미트의 적 개념은 이질성을 바탕으로 대립하는 존재이자 경험을 제공하는 대립적 타자로 해석한다. 그리고 대립적 타자 개념을 통해서 행위의 개념이 ‘사회적 주체가 대립 상황을 인식하며 실천하는 활동’임을 파악한다. 이 때 행위는 여러 주체들의 수많은 대립적 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다양성을 드러내는 증거이자 행위자들의 질서를 유지하는 체계 구성의 근거가 된다. 체계는 대립 관계의 상황에 따른 결과이며 변화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기도 하고 예외적 상태 속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의미를 잃기도 한다. 이때 드러나는 예외 개념은 기록에서 행위가 기록관리체계의 근거라는 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슈미트의 적과 예외 개념을 통해 기록관리체계를 행위와 경험의 고유한 의미 속에서 파악하고 기록을 사회적 활동 영역으로 재해석 한다. 그리고 재해석한 기록개념을 바탕으로 아키비스트 개념을 기록물 관리체계의 구축‧관리하는 존재에 가두지 않고 정치적 책임이 있는 사회적 주체로 파악한다. 그 결과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대립적 행위에 뛰어들어 타자를 공유하는 연대활동 속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행위와 경험을 기록화 하는 것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각 군의 경쟁 측면에서 본 다영역작전

        엄창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merican Armed Forces which has been shown the overwhelming power in the Middle-East, Kosovo, and Africa now faces near peers threat such China and Russia. China and Russia using (Anti-Access/Area Denial) capabilities and Hybrid or Unrestricted warfare may hinder American to project their will and power. As a result, with the lead of each the US Army and Air Force, the US is actively studying and experimenting Multi-Domain Operations. ‘Domain’ in Multi-Domain Operations is the critical macro maneuver space whose access or control is vital to the success of mission. ’Multi-Domain’ is the best combination of these domains to make the effects for achieving commander’s objectives. Therefore, ‘Multi-Domain Operations’ is defined as the integrated and synchronized action to achieve the freedom of action and superiority for the mission objectives. Two services, the US army and air force take different approaches even though their new concepts of Operations are facilitated the same factor, the changed threat environment. It is because each services is trying to adapt the concept for their own interests such as the enlargement of their budgets and organizations. It is fundamentally same what they pursued in the US army’s Air Land Battle and Air Sea Battle by the US Navy and Air Force. Therefore, the Army is interested in the capabilities and the way of fighting using the air domain while the Air Force is more focusing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ir, space, and cyberspace domain and Command and Control. These competition may cause the conflict in the domains. Each services have the different SOP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se make the difference of MDOs. If the ground forces which depends on the physical presence in the battleground is improperly protected by all domains, they would be isolated or separated from the friendly forces. In this situation, the ground forces can’t have enough firepower or ISR any longer. On the other hand, the Air Force which can project their power from the distant area worries about the access to the battleground. For them, USAF is pursuing the collapse of enemy’s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the superior speed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Multi-Domain Operation Center and Combat Cloud. In the history, US Army attempted to expand their influences and budget through Air Land Battle while US Air Force and Navy collaborated on Air Sea Battle to build up their powers. This competition is appearing again in the competition to study Multi-Domain Operations by US Army and Air Force. US Army is claiming the ground forces need to possess the Multi-Domain capabilities such as the missiles, LRA, and so on. It may conflict with the Air Power which is mainly occupying Air and Space Domain. The concept of US Air Force’s Multi Domain Command and Control which is pursuing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from all domains and lead command and control may bring on repulsion from other services. This study analyzes the MDOs and confirms that the difference of each services’ MDOs and the cause of that difference is the rivalism. When ROK armed forces develops the concept of operations such as MDOs and acquire the new weapons, this study will help. 냉전의 종식 이후 중동과 코소보, 아프리카에서 적들에게 압도적인 능력을 선보였던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라는 동급수준 경쟁국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반접근/지역거부 능력과 혼합전, 초한전 형태의 전쟁 양상은 미군에게 제공되었던 압도적인 군사 능력 투사를 어렵게 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미 육군과 공군의 주도로 다영역작전을 활발히 연구와 실험 중에 있다. 다영역작전에 있어 ‘영역’은 임무에 의해 요구되는 행동의 자유와 우세를 위해 접근과 제어가 필수적인 결정적인 대규모 공간이고, ‘다영역’은 합동군 사령관의 목적 달성을 위한 효과를 만들기 위해 이러한 영역들을 최적의 조합으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다영역작전은 ‘임무 목적을 위해 다영역에 걸쳐 우군 행동의 자유와 우세를 달성하고자 하는 통합적 일치된 행동’으로 정의된다. 위협환경 변화라는 동일한 이유로 시작된 다영역작전에 있어 육군과 공군의 접근은 상당히 상이하다. 각군은 예산과 조직확장 등 자군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전 개념에서도 자군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접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에서 지상뿐 아니라 모든 영역에 관한 관심과 특히 공중 영역을 활용하는 능력과 전력 건설에 관심을 기울이는 반면, 미 공군의 주된 관심은 공중·우주·사이버 공간에 머문다. 각 군은 자군만의 독특한 표준운영절차와 조직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은 다영역작전의 차이를 만든다. 지상군에게 있어 분쟁지역에서 물리적인 부대의 존재는 필수적으로, 이러한 지상군의 특성은 지상 제대가 지상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면 우군으로부터 고립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지상군 제대는 일시적 ‘분리’ 혹은 ‘고립’이 되어서 타 영역을 통해 누렸던 ISR, 화력 제공이 불가능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항공력의 전력 투사는 원거리에서 목표 지역에 대한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미 공군에 있어 접근의 거부는 능력 투사의 제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환경에서 미 공군은 과거 죤 보이드의 OODA Loop에서 설명되었던 것과 같이 적보다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적의 의사결정 과정 붕괴를 추구한다. 이러한 접근의 실현은 다영역 작전본부를 통해 적을 관찰하고 대응 방향을 결정하고 평가하는 것과 컴뱃 클라우드 형태의 네트워크 발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과거에 미 육군이 공지전투 그리고 공·해군이 공해전투를 통해 무기획득과 영향력 확대를 노렸던 것과 같이 다영역작전이라는 합동작전개념에서도 육군과 공군의 이러한 경쟁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군간 경쟁을 통한 영향력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다.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은 모든 육군 제대의 다영역 능력을 보유할 필요성을 주장하며 결과적으로는 미사일, 장거리 포 등의 무기체계를 확충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중공간에 있어 공군과 경쟁을 불러올 것이다. 미 공군은 다영역작전을 다영역지휘통제(MDC2)를 통해 수행할 계획으로 모든 영역에 걸친 자산의 네트워크 연결과 정보와 지휘통제 분야의 혁신을 위해 네트워크와 지휘통제 분야에 대규모 예산투자를 원하고 있고, 정보와 지휘통제 분야에서 공군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군의 다영역작전을 분석하고 각 군간 차이와 그 원인을 각 군의 경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군이 향후 무기체계 획득이나 합동작전개념을 발전시키는데 있어 ‘각 군의 경쟁’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 다영역작전의 도입 시에는 종합적인 다영역작전을 볼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정기룡 장군의 리더십 연구 : 리더십 선양방안을 중심으로

        이태승 건양대학교 군사경찰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기룡 장군은 이순신 장군과 함께 임진왜란의 위대한 장군으로 조선 왕조를 죽음의 문턱에서 살린 구국의 장군이다. 장군은 1562년 4월24일 경남 하동의 평범한 양반집에서 3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장군은 태어날 때부터 체격이 크고 우람했으며, 목소리가 커서 장수의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정기룡 장군의 초명은 무수였고, 장군의 아버지 정활은 아들 무수가 문신으로 성공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무수는 또래 아이들과 전쟁놀이 하는 것을 더 좋아했고, 늘 대장을 하였다. 아버지는 무수가 13세때 돌아가시고 무수는 부친의 묘소 옆에서 3년간의 여묘살이를 한다. 이후, 무수는 경북 상주로 이주하여 무술공부에 정진하다가 25세인 1586년 무과에서 4등으로 합격하고, 선조임금으로부터 기룡이란 이름을 하사받는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정기룡은 조경 장군의 별장으로 참전하여 첫 전투인 거창 신창전투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조경 장군을 적진 속에서 구출해내어 조선정부와 백성들로부터 신임을 얻고 기쁨을 주었다. 정기룡 장군은 임진왜란 전 기간 중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승리를 하여 바다의 이순신이라고 불리웠다. 장군은 조국에 대한 충성심과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컸으며, 보상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장군은 두 번의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으며, 1622년 2월 28일 삼도수군통제사로 근무 중에 통영의 통제사 관청에서 순직하였다. 이러한 장군의 위대한 업적은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라졌으며, 일제 식민지 시대에 남아 있던 기록도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었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이 정기룡이 누구인지 모르는 까닭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정기룡 장군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하고, 장군의 사생관에서 리더십을 발굴하여 군과 사회에 적용하려고 한다. 그리고 잠자고 있는 정기룡 장군의 선양노력을 통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한 영웅으로 부활되기를 희망한다.

      • 지역문화행사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가람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사회에서는 다양한 지역문화행사를 시행하고 있다. 지역문화행사는 지역의 기억·역사·특산물 등 다양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교육 및 오락의 형식으로 재창조되고,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 작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기반시설들을 강화하며, 지역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역문화행사를 기록관리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시도는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지역문화행사는 문화원형의 현재적 재해석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시대의 사회적 환경과 문화에 대한 해석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지금 시대의 문화를 후세대에 전승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기에 기록화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지금까지 지역문화행사에 대한 기록화는 증거적 가치와 정보적 가치에 입각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행하는 행사의 행위를 증거하기 위한 기록관리였다. 또한 방법에 있어서도 기록학 내의 방법을 지역문화행사에 적용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지역문화행사를 기록화하는 목적은 정보적 가치에 입각하여 문화를 후대로 전승하고, 전통이 발생하게 되는 맥락을 형성하며, 이후 재현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해 기록화해야 한다. 또한 방법에 있어서도 지역문화행사의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집에 있어서는 의미와 상호작용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기록이 현재의 의미를 내포한 채 후세대와 상호작용하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매년 행해지는 지역문화행사의 의미를 전승하기 위한 기록화 방안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으로는 5·18민중항쟁 전야제를 선택했다. 이는 다른 문화행사에 비해 내포한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며, 참여자와 의미를 상호작용하기 위해 많은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방법은 5·18민중항쟁 전야제에 대한 문헌연구 및 참여관찰과 문화기호학적 방법을 활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장별로 담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기록화 방안을 세우기 위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5·18민중항쟁 전야제가 기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집단기억과 문화적 기억이 문화원형으로서 갖는 가치를 고찰하였다. 또 문화기호학적 방법에 대한 이론과 지역문화행사에 대해 살펴본 뒤, 이를 기반으로 기록 수집의 방법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문화원형과 문화기호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의미와 상호작용을 각각 분석하였다. 문화원형은 8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양상을 분석하였고, 문화원형으로서의 가치에 주목하고자 했다. 의미와 상호작용에서는 지역문화행사로서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전반적인 유형과, 2014년 5·18민주대성회를 의미생성모델과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각각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5·18민중항쟁 전야제 기록 수집 방안을 제시하고, 위의 수집방안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지역문화행사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지역문화행사를 의미와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수집하고, 의미를 내포한 대상에 따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지역문화행사의 기록화를 위해 아키비스트의 역할이 단순히 기록을 수집하는 존재가 아니라, 전체 행사의 기록을 통제하고 이를 통해 문화를 수집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제안한다. Recently many communities conduct various local cultural events. Using cultural resources such as memories, history and local products, local cultural events are rearranged in the form of education and amusement, and finally become able to work as a cultural content. Local cultural events undertake significant roles to form image in local level, reinforce the base institutions in local, and inspire local people. However, the number of attempts that approach to local cultural events in perspective of archiving is, in present, noticeably not populated. Local cultural events can show a explanation of social circumstances and culture, since they contain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cultural original form. In addition, local cultural events get importance by passing contemporary culture on to descendent so that it should be archived. Until the present, documentations for local cultural events are mainly archive management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The archive managements, in accordance with evidential and informative value of the documents, have been recorded the eventual actions and stages of local governments during the event. For its method of record, it only has applied methods of Archive Study. However, the aim of archiving the local cultural events should be to transfer current cultural aspects to the future by judging its informative value, and to leave the future generation a chance to represent of the current event. For method, explaining the meaning of local cultural events has to have priority. For procedure, that is, collecting sources, archivists have to highly focused on its meaning and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symbols, because the documents are a channel, whose contemporary meaning makes interaction with the future. Thus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the better way of documentation to record and transfer the meaning of the local cultural events. Its subject is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Comparing other cultural events, the eve of the event has more clear and distinct purpose, and applies many ideas to interact in its meaning with participants. Document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cultural semiotic analyzation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are adapt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the below. Chapter two is theoretical research to establish a method of documentation. In this chapter, because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found on memory of 18 May, the value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memory as the cultural original form are studied. With reviewing also cultural semiotic theory and local cultural events, a method of documentation is suggested. On chapter three, the meaning and interaction are studied through the cultural original form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and cultural semiotic method. For the cultural original form, the aspects and values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from 1980s to the present are researched and are focused as the cultural original form. For meaning and interaction,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has framed as a local cultural event. Especially the event held in 2014 is analyzed in both way of meaning generation model and communication model. In last chapter, the method of archiving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is presented. Based on the method, the way of archiving and managing the local cultural events is also suggested. Especially the way of gathering sources and materials of local cultural events in regard of its meaning and interactive aspects, and the way of managing the sources in consideration of its object which the source finds the its meaning, are explained. By considering these, the role of archivist, not as an expert to gather the sources and materials, but as an expert to control the whole event procedure and then gather the culture, is proposed.

      • 전시대비 동원제도 발전방안

        김성연 건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conduct an war against other country, a country should not depend only on quantitative arms buildup anymore. Rather, it has to be equipped with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and military ability in order to reinforce the prepared military strength in case of emergency by possessing minimum military strength in peace time with cutting-edge weapons and equipments. Moreover, considering Korean peninsula's battlefield environment with short battle depth and strategy to counteract North Korea's blitz tactics, national mobilization capability as a second military strength is not a choice but an indispensable thing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life and death of nation. Accordingly, as verified in Gulf War and Iraq War, to conduct effects-based operations and rapid and decisive operations we can minimize workable standing army, filling the space with cutting-edge weapon system and military technology, mobilized strength ensuring sustaining capability. It would bring maximum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effect with minimum cost. Therefore, in order to let mobilized strength be at the level of standing army, mobiliz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futur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and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should be improved practically. Thus this study covers conceptual institutional ways for developments for each field across whole mobilization. To develop mobilization system suitable for war paradigm, this study draws our institutional ways for development based on examples of foreign mobilization system and U.S. army's backup power training and management. First, as institutional measures to strengthen spiritual mobilization, MOU should be made with private film company to produce movies to inspire patriotism, supplying them into reserve forces training and military security experts should be sent to annual civil defense education so as to make it practical security education. Second, mobilized organization's infrastructure has to be strengthened and especially by dispatching military executives, swift mobilization in time would be feasible, filling the space of mobilized force. Third, national mobilization law should be legislated to integrate scattered mobilization laws and clarify mobilization rules precisely. Fourth, in terms of personnel mobilization, prior mobilization reserve should be designated as elite forces among partial mobilization subjects and proper combat power display in time sh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early increase in mobilization preparation and soldiers on service. Fifth, in transportation mobilization part, mobilization sign grafted with IT technology and ways to improve vehicle registration system are proposed. Sixth, in construction and industrial mobilization, mobilization requirement i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civil equipment is necessary and range of mobilization assignment sh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change.

      •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예나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20세기 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자연환경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환경 중에서도 특히 건축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선진 각국에서는 이미 그린 빌딩, 친환경 건축, 생태건축, 환경친화형 건축, 지속가능한 건축, 환경공생 건축 등 다양한 개념으로 보다 에너지 절약적이며, 자연 보존적인 건축물과, 거주 쾌적성을 제고할 수 있는 건축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적인 변화와 노력은 주거환경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원칙으로 하는 환경친화형 주거단지들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주택분양 시장에서도 친환경 주거단지들이 속속 공급되고 있으며, 친환경 인증제도도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건축적, 환경적, 정책적 노력이 시작되는 단계로서, 현재의 친환경 주거단지는 단지 내에 녹지공간이나 단순히 몇 가지 환경 친화적 계획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 및 거주자의 건강한 주택 내 삶을 위한 친환경 주거단지 계획이나 또한 이미 친환경 단지계획에 많은 사례들을 갖고 있는 외국에 비하여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경 친화적 주거단지 계획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주거단지 개발에 있어서 친환경 주거단지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의 외부공간의 친환경성에 대한인지도 및 거주자 만족도와 친환경적 계획요소들에 대한 시설이용도와 만족도 및 거주 후 사후검증 형식으로 조사하여 향후 실질적인 친환경 주거단지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주거단지는 토지주택연구원 친환경 건축인증센터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지표에 부합되거나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계획 요소들을 포함한 주거단지로, 이러한 계획요소들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주거단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거주한지 6개월에서 1년 이상이 지나 자신의 아파트 생활에 익숙해진 대상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길음 래미안 9단지, 미아 래미안 2단지, 길음 두산위브7단지, 성수 힐스테이트 등 4곳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위해 문헌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한 후 사례지에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친환경 주거에 관한 선행연구와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 배치도분석을 바탕으로 친환경 계획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조사도구를 가지고 2011년 4월 24일 길음 두산 위브를 예비조사 하였다. 예비조사 후 부분적인 수정작업을 거쳐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셋째, 2011년 4월 24일 ~ 5월 9일까지 해당 사례지의 각 단지별로 평일, 주말 두 차례 걸쳐 현장 방문하여 관찰조사를 하였다. 이상의 계획요소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계획요소 중 녹지 공간에서는 세대수, 평형 구분 없이 모든 단지에서 현재 배치되어져 있는 녹지 공간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추후 공원형식의 녹지 공간을 요구 하였다. 직접 체험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녹지 공간의 형태를 요구하였고 적은 세대수의 경우 단지 내 외부 공간의 배치로 테마공원 형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요즘 시공되어지는 주거단지에 커뮤니티센터가 설치되고 있으나 단지 내 외부 공간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주민체육시설을 요구하였다. 이처럼 단지 녹화에 대해서 앞으로는 기존의 단지 내 녹화 방식인 높고 낮은 수목을 심는 것이 아니라 거주자가 녹지에 들어가 여러 가지 행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되어야한다고 사료되어지며, 또한 어린이 놀이터와 벤치가 있어 쉴 수 있는 공원과 같은 장소에서는 강한 일광을 차단시킬 수 있어야한다. 강한 일광을 차단하기 위해 식재하는 녹음용 수목은 필요한 계절에 상당한 그늘을 형성하고 겨울에는 낙엽이 되는 수종이어야 하며, 식재 시 사람의 머리가 닿지 않을 정도의 지하고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수 공간에서는 세대수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았으나 평형별로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사 대상지 중 두 단지에서 큰 평형의 주동 근처에 수 공간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수 공간을 이용한다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작은 평수의 거주자들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린 자녀, 손주를 둔 거주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 공간의 형태에 따라 만족도가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세대수가 많은 단지의 경우 생태연못, 실개천, 분수대가 모두 설치되어있는 반면 적은 세대수의 단지는 분수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생태연못의 경우 상시 물이 고여 있었지만, 분수대의 경우 대부분이 비어있어 실제로 이용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떠올릴 때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거주자 면담조사 시 분양당시 외부공간의 친환경적인 요소로 수 공간을 보고 고려했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처럼 수 공간을 설계 할 때는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거주자를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하며, 수 공간의 종류도 중요하며 실제로 체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수 공간은 위치에 따라 종류가 달라야 한다. 어린이 놀이터와 접근해 있는 수 공간은 아이들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계곡을 생각나게 하는 도심 속의 친환경적인 연못', 원목마루에서 엄마와 함께 즐기는 놀이 공간 조성, 계단식 수경시설, 물놀이 수로, 징검다리, 바닥분수 등 다양한 놀이요소가 설치되어야 하며, 생태 체험을 할 수 있는 생태연못이 배치되어야하고 그 외에 장소에 배치되는 수 공간은 종류보다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셋째, 친환경 계획요소 중 생태 가로에서는 세대수, 평형별로 만족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에서 단지 내 녹지 공간 다음으로 중요한 계획요소로 조사되었고 설치 시 단지 순환형 생태 가로에 만족도를 더 느꼈으며 더 나아가 수 공간, 어린이 놀이터, 단지 외부로 부터의 접근성이 뛰어 날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산책로 및 조깅로를 따로 배치할 수 없을 때는 단지 내 가로를 ‘순환형’으로 가로의 폭이 넓게 배치하여 함께 이용 할 수 있게 해야 하며, 구릉지와 같이 단지 내부의 단차가 있을 경우 어린이 놀이터, 분수대, 커뮤니티센터 외곽 등을 이용하여 산책로 및 조깅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추정된다. 이밖에도 대지가 좁은 단지 외곽을 따라 산책로 및 조깅로가 설치되어 주동과의 거리가 가까울 때는 각종 소음을 완화ㆍ차단시킬 필요가 있으며, 각종 소음을 완화·차단하기 위해서는 방음용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다. 넷째, 주동 녹화에서는 세대수, 평형별 만족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세대수가 적은 단지에서는 옥상녹화의 설치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옥상 녹화에는 평형별로 미니텃밭 등 주동 거주자의 요구에 따른 테마형태의 옥상 녹화 공간을 배치해 주는 것이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단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녹화는 인공적인 석재와 몇 그루의 수목보다는 거주자가 직접참여 참여 할 수 있는 텃밭이나 실개천등을 배치하는 것도 좋다고 사료되어 지며, 구릉지와 같은 지리적 특성이 있어 울타리형의 단지 외곽이 아닌 콘크리트 벽이 단지 외곽이 될 경우 수직 녹화를 조성하여 벽면녹화 하단부의 생태연못으로, 친환경 벽면녹화 공법 등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고 추정된다. 다섯째, 친환경 재료에서는 실제로 친환경 인증 기준인 오수배수로, 우수침투타일은 거주자의 친환경 주거단지 내 외부공간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단지 오수 배수로(배수로뚜껑)의 디자인은 몇몇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의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주거 단지 내 외부 공간 친환경계획요소 만족도에 대한 영향은 크게 없었다. 하지만 단지별 디자인에 어울리거나 바닥타일의 디자인과 컬러와 일치해야 하고 녹지 공간(잔디밭)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생각일 것 같다. 또한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 만족도에서 세대별 차이는 없었으나 평형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작은 평형의 거주자들의 불만족도가 큰 평형의 거주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실제로 어린이 놀이터를 자녀와 함께 이용하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작은 평형의 거주자들이였으며,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의 친환경성에 대하여 불만족스럽다고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친환경 재료에서는 직접 체험에 의한 만족도의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친환경 주거단지에서는 어린이 놀이터 시설에 태양열이나 자가발전을 이용하여 환경은 물론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에너지 절약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조성하며, 뿐만 아니라 덮개를 설치하거나 작은 울타리를 설치한 모래밭은 유기동물이나 애완동물들로 인해 생기는 기생충을 막기위해 모래밭을 1년에 두 차례에 걸쳐 모래밭 기생충과 중금속을 점검하는 관리 및 소독을 실시등 사후 관리 또한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또한 글루램·자작나무 합판·무독성 페인트 등 자연친화적 재료 사용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강한 내구성과 항균작용이 있는 자연친화적 재료를 사용해 최근 어린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아토피, 천식 등의 환경성 질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또 부자재를 연결할 때의 결합방식, 탄성소재로 이뤄진 바닥재의 안정성, 유해인자 발생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해 안전하고 건강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거주자들의 인식이 한층 높아 졌음을 알 수 있었고 더구나 경제적인 부담이 되더라도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은 우리나라 거주자 측면에서 환경보전과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실질적인 친환경 주거단지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된 것으로 사료되며, 건설업계에서는 친환경 주거단지 인증을 얻어 분양률을 높이려는 의도보다 거주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탐색하여 진정한 친환경 주거단지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절약과 환경보존 및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주거단지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책 입안자나 공급자 입장에서의 의식전환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몇몇 단지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건설부 인증제도의 평가기준에 국한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나, 향후 좀 더 다양한 지역과 단지에서 만족도를 평가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바람직한 친환경적 주거단지 모델을 세우는 것이 요구된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protecting and sustaining the environment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environment -friendly architecture is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others. In developed countries, there is vast research and a growing need to develop and to build architecture that utilizes energy efficiency, conserves nature and promotes residents’ comfort. Green Building,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ecological architecture,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with nature are some terms and phrases that are used to describe this new architectural paradigm. This new paradigm shift in architecture deeply affects residential complexes. Recently,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with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cent housing market,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are popular and environment accreditation systems are in practice. However, the efforts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have only just started. Presently, having green space in the complex and adopting a few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are the only things that make some complexes more environment-friendly. There is not a standard from which all builders can work.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Korea has a real strategy in planning environment-friendly complexes compared to strategies implemented by some developed countries when environment, energy efficiency and residents' comfort are in consider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design elements that will constitute a proposed future plan for environment-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This will be accomplished largely from surveys which include the awareness of outdoor environment-friendly factors, the residents' rate of usage of these outdoor desig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in the complex and, finally, follow-up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having lived in the complex for a period of time. Only residential complexes that have adopted and been certified by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enter by the Land and Housing Institute and similar buildings are to be included in this survey. To evaluate satisfaction level,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eir apartments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Four places in Seoul - Gilum Raemian 9th complex, Mia Raemian 2nd complex, Gilum Doosan Weve 7th complex, and Sungsoo Hillstate - were chosen. The order of the research was first to review written documents to learn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and secondly, to create a checklist through survey and finally to go out to conduct research and interview.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o pick out environment friendly elements from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sidences and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 and to do an analysis on the layout of each building. Second, to verify material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Gilum Doosan Weve apartment on April 24th, 2011. After doing this pre-research, to confirm the actual research frame. Third, to carry out field research at each of the above mentioned apartments on two occasions, once on a weekday and another on a weekend between April 24th, 2011 and May 9th, 2011.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and summary of the research. First, for the green spa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units of the complex or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none of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it. They wished to have green space like a park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activities and rest in that space. The residents of small units expressed a desire to have outdoor green space like theme parks rather than indoor facilities such as gym, pool or golf range, which most complexes have at these days. In summary, green space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different activities. A “green space” should have more than just tall and short trees. Also, because of Korea’s hot humid summer climate, there should be tall trees to block strong daytime sunlight above sitting benches and children's play ground. Desiduous trees with enough height would provide significant shade in summer. Second, in the use of water spa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s of the complex but there wa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In two complexes that I researched, water spaces were located around the buildings. Those respondents who lived in smaller units were the ones who used these facilities. Furthermore, the resid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nd grand children mainly used these spaces. Also learned from the survey, there was a difference in levels of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ater space. The complexes with big size units have ecological ponds supplemented with both a small stream and fountain set up, but the ones with smaller size units have only fountains. Besides, the fountains have no water so it was not actually usable at times. Water space is the key design element that people first think of when they try to come up with an environment friendly element. According to the interview, most residents rely on the existence of outside water space as the factor of environment friendly elements when they select apartment complex. Therefore, when water space is planned, resident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ypes of water space and its uses. Water space should be varied with its locations. If it is near a children's park, it should be a water play area, such as an environment-friendly pond that reminds one of valleys, a wooden floored play area where young children can enjoy with their mother, stair-typed water space, water trail play space, stone jumping bridge, and/or a play fountain. The water space that is not near children's play park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resting area and more scenic in purpose. Third, concerning residents' satisfaction of pedestrian path inside the complex, a correlation was not found with the number of units or the size of the unit they live in. It was considered the second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 after green space among the elements of environment-friendly space of apartment complex. Paths that circled around the building and were in good proximity to and from water space, children’s play park and outside the complex were more satisfying the respondents. When jogging or walking trails do not exist independently, one major trail with larger width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in ground level, for example if the complex is on a hill, the trail for jogging and walking should be located alongside of a children’s park, a fountain or the amenity building with gym and golf facility and so on. When the complex is located on a small piece of land and trails are close to the buildings, there should be trees planted to block noise. Fourth,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afforestation on buildings,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s in the building and the size of the unit. Residents of complex with a small number of units desired rooftop green space. On this, to satisfy the residents, the roof garden could be divided into small vegetable areas with each unit'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plot. The afforestation on building walls facing outside, a small garden or small stream that the residents can use is preferable and can be used more than artificial rocks or trees. If a complex doesn’t have a fence due to uneven land, like on a hill, or has a concrete wall bordering the complex, it would be better to use an environment-friendly technique utilizing vertical greenery, such as ivy plants, on the wall and an ecological pond below. Fifth,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sewer line and drainage tiles, there is no identical importance on satisfaction level for the outdoor space in complex. Only the sewer lid should go well with the design of the complex and floor tile design and color. Ideally, it could be hidden in the lawn. Satisfaction with the ground covering material used for children’s parks was determin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nit. The residents from smaller size units were less satisfied with it than those who resided in bigger units because the residents of smaller units have small children and therefore used the children’s park more frequently. Therefore, the satisfaction level differs depending on subjective experience with it. In the future, one possible park idea might be to build a self-made energy children’s park like solar energy and it will teach children the idea of saving energy. The covered sand area or fenced sand areas in the children’s park should be regularly inspected and cleaned or sanitized of heavy metals and feces and bugs from abandoned animals and pets at least twice a year. The children’s park should use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with durability,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such as glulam, birch plywood and non-toxic paint so that children are safe from such ailments as skin irritation and athsma. In addition, building codes for utilizing subsidiary materials in construction, the safety of the flooring with respect to elasticity and the reduction of harmful effect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material testing, while engineering text should be carefully conducted and enforced to maintain a healthy environment for children. Upon review and analysis of all the data, we can conclude that residents are a lot more aware of their surroundings and what environment-friendly means to them. They are ready to accept a bigger commitment from developers with regards to environment -friendly spaces and practices even though the price is a litter higher than what they may be able to afford. Building owners should not just try to acquire the green building accreditation based on minimum commitment and compromise, but should consider the needs of all, as this survey clearly shows, and offer true meaning of what an environment-friendly complex really is, which is to improve the living quality as well as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nergy conservation. Therefore, policy makers, building traders and developers should change their perspective as soon as possible. The research is restrictedly based on the certification system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on residents from a few complexes, thus further anticipated research should include diverse sites and complexes. Hopefully, all the data and analysis in this survey could bring about the practical changes of our policy makers toward the ideal model for an environment-friendly compl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