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적교회로서의 기독교인의 삶 : 교회의 사회 참여

        김영복 협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Christian life and public church Kim, Young Bok Dept. of Graduate School Theology Hyup 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Se Hyoung Our society lives by experiencing rapidly changing society of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age. Through the media and newspapers ground occasionally "suicide meeting through the Internet site cafe or young people who are escapism caused by relying on the virtual space of the Internet, personal life damage caused by incorrect information," such as, "society in various fields when problems "I saw that are generated, our society of Christianity, the church did not have that you are not thinking whether has had what effect on our society In this way, society has what problems of Korean church that has turned its back, we propose a choice of the problem, in and taken the "difficult situation in the appeal" social participation of the Church "(Hitsuryoku), as soon as possible and required of, look at the mental immediately took John Wesley 18 century of the confusion of the UK society as awakening to create a new one by changing the people and society, conside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South Korean church" (I think I let considerations) to. The reason the Church is present in this world, of course, because of the glory of God. Growth and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the church itself is also a reason for existence, there is also if mission must communicate the gospel in order to save the world. No worship only, just not even evangelism and missions only. This is because, whereas the biased by, it is impossible to see a complete church.The church is in the world. There is a church in the world, God is he who have sent the only son loved the world. Therefore, it shall be deemed that the church who are in the world is the country of the true God when fully afford its mission has been built on this land I think I let's consider what is the priority to public church. Public faith as a place to practice, home church and school and society, and in particular NGO is discussed what whether NGO roles and NGO community welfare. Furthermore torch and economic outlook of Wesley, look at the social reform, I think the last and freedom of religion faith of stage, to try to reflect once again about what should be what kind of appearance in the world as a public church. Let us summarize what has been discussed up to now the are as follows. The public faith that grow the church, home, school, society (civil society and NGO) such as, explicitly through the organic education ecosystem in the field of various Christian education, line in both the implicit dimension and online and offline it was emphasized that dividing. South Korea church, out of the identity and civil positions of disciples until now, has been tilted a lot of effort in education in order to nurture the electrons. However, apprentice positions in these narrow sense, primarily, it is emphasized dimension of faithful work a lot in the church, did not reach to the disciple profession education of the energizing dimension than going to change serve the world. As a result, the Korean church, is one that has been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y in foster a healthy citizen under the country's vision of God. However, the crisis there is a need to learn to re-term opportunity for another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Church, in the current crisis to new opportunities for the achievement faith formation of a Christian a pathetic resolution, should have unless we play well these educational missionBy illuminating the social movement of Wesley throughout this paper, in the spring, for South Korea church renewal, it was presented a few things that we should be emphasized. However, just because, really sound pessimistic whether that South Korea church is new there is a time to come out from the heart. This is because, looking at the passive form of participation of the society of the Church today, it is because too disappointed. But historical examples of social movements of Wesley've seen here give hope and hope of the Korean church. More than anything else, I have God loves his church because it is possible updates to work for their church of Korea 국문요약 우리 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급변하는 사회를 경험하며 살고 있다. 간혹 대중매체나 신문 지상을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 카페를 통한 자살모임, 또는 인터넷 가상공간에 의존함으로 인해 생기는 현실 도피중인 청소년들,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생활 피해”등 여러 방면에서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을 볼 때 우리 사회의 기독교, 교회는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렇게 사회를 외면하고 있는 한국교회들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그 문제점의 대안을 제안하고, “교회의 사회참여”를 필력 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급히 요청되는 것은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켜 새롭게 만드는 영적 각성으로서 18세기 영국사회의 혼란을 바로 잡았던 존 웨슬리를 살펴보고 “한국교회의 사회참여”에 대하여 고찰 해 보려한다. 교회가 세상에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물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다. 교회자체의 성장과 성숙 그리고 성화도 존재 이유이며,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복음을 전해야 하는 사명도 있다. 예배만을 위해서도 아니고, 오직 전도와 선교만을 위해서도 아니다. 왜냐하면 한쪽으로 치우치는 건 온전한 교회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교회는 세상 가운데 있다. 세상 안에 교회가 있고,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사 독생자를 보내주신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가운데 있는 교회가 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할 때 진정한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건설되는 것이라 본다. 우선적으로 공적교회란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공적신앙을 실천하기 위한 장으로서 가정과 교회 그리고 학교와 사회, 특히 NGO란 무엇인지 NGO의 역할과 NGO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나아가서 웨슬리의 성화와 경제관 사회개혁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종교적 자유와 신앙 단계 그리고 공적교회로서 세상에서 어떠한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성찰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공적 신앙의 양육은 교회, 가정, 학교, 사회(시민사회와 NGO)등과 같은 다양한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유기적 교육 생태계를 통하여 명시적, 암시적 차원 그리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제자직과 시민직 가운데 전자를 양육하기 위한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좁은 의미의 제자 직은 주로 교회에 충성하는 일꾼이라는 차원이 많이 강조되었고 세계를 섬기고 변혁시켜 나가는 보다 더 통전 적 차원의 제자 직 교육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비젼 하에서 건전한 시민을 양육해 나가는 일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이다. 그러나 위기는 동시에 또 다른 가능성을 위한 기회라는 말을 다시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한국교회는 현재의 위기를 그리스도인들의 공적 신앙 형성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삼고 비장한 각오로 이러한 교육적 사명을 잘 감당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웨슬리의 사회 운동을 조명하여 봄으로, 한국 교회 갱신을 위하여 우리가 강조하여야 할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과연 한국 교회가 새로워질 수 있을까 하고 비관하는 소리가 마음속에서 나올 때가 있다. 왜냐하면 오늘의 교회의 사회의 참여의 소극적인 모습을 보고 너무나 실망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기에서 살펴 본 웨슬리의 사회 운동의 역사적 본보기는 한국 교회에 희망과 기대를 준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이 자기 교회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한국의 자기 교회를 위하여 역사하시기에 갱신은 가능할 것이다.

      • 가상 경계 격자 볼츠만 방법을 이용한 2차원 원형실린더 주변 유동 분석 및 검증

        조홍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유체-고체 연성 해석은 유동장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해석을 위해 사용된다. 동물의 운동, 기계장치의 유동장 내 운동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체의 운동 또는 혈관 내 혈액 및 세포의 이동 및 거동에 대한 분석과 나노/마이크로 입자로 이루어진 약물의 전달 시스템 분석 등 다양한 의공학 분야에 확장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유동장과 유동장 내의 고체에 대한 각각의 해석방법이 요구되며 그 방법에 대한 검증 역시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체 주변의 유동과 고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격자 볼츠만법(Lattice Boltzmann Method)을 이용한 유동장 해석과 동시에 가상경계법 (Immersed Boundary Method)를 이용한 유체-고체 연성 해석(Fluid Structure Interaction:FSI) 프로그램의 구현 및 검증을 하고자 한다. 개발한 고체-유체 연성 해석 프로그램으로 2차원의 균일한 흐름이 있는 유동장 내에 고정된 원형 실린더에서 주변 유동이 실린더에 미치는 영향을 몇 가지 레이놀즈 수에 따라 분석하고, 이동하는 경계에 대한 해석을 위해 정지된 유동장 내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원형 실린더가 주변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다. 또한 이전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개발한 코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사회적 사건 기록화를 위한 기록개념의 재해석 : 416가족협의회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김신석 한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us research has its goals in interpreting the social role and concept if records and the archivist with the service experience as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record activist in the background. Therefore, firstl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as well as the communal elements. Also,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meaning of the records activist is analyzed. Furthermore,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action to build a records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records by the records activist in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is studied. Lastly, the reason why there is much demand for 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concept through the various documentation activities of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records activists is throughly researched. In general, the concept of records means the whole of corporeal records produced in the work process. Such original concept of records focuses on the records itself than the action and experience. Also, the archivist has a tendency to limit the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that is based on the notion of records and is centered around the records. However, although records are the track of acts and experience, it fails to completely represent records in that it cannot replace actions and experience. In the concept of records, actions and experience has its own notion, and when such meaning is accomplished the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appropriately pursued. Therefore, to accept the politico-philosophical epistemology and thus revive the original notion of action and experience in the records concept, the exception and foe concepts of Carl Schmitt is analyzed. The foe concept of Schmitt is interpreted as a existence that conflicts with heterogeneity as a basis as well as a conflictive opponent who provides experience. Also through the notion of conflictive opponent, it is identified that the concept of action is 'act of practice pursued when the social self interprets the conflict situat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action becomes the proof that reveals the variation that is made based on the numerous conflicting relationships of many subjects, and the reason of constructing a system that maintains the order of performers. The system is the result of a conflicting situation and thus may function normally, but also may show its limits in a exceptional situation and lose its meaning. Such exceptional notions shows the fact that in records action is the proof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Schmitt's notion of foe and exceptio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s analyzed in the original concept of action and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records as a social active region . Also based on the interpreted records notion, the concept if the archivist is identified a s a social self who has political responsibilities, not restricted as a being that is the constructor and manager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the role of the archivist is proposed as one who jumps into the conflictive actions and in the joint actions which shares others the professionalism and documentation of the actions and experience. 본 논문은 416가족협의회 기록활동가의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기록과 아키비스트의 개념 및 사회적 역할을 재해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먼저 416가족협의회의 구성 배경과 과정을 살피고 공동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록활동가의 참여 과정과 의미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기록활동가가 416가족협의회 내에서 기록물 중심의 기록관리체계를 구축하는 활동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416가족협의회 기록활동가의 다양한 기록화 활동 경험을 통해 기록 개념의 재해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록 개념은 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실체적 기록물의 총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존의 기록 개념은 행위와 경험보다 기록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아키비스트는 기록물을 중심으로 하는 기록 개념을 바탕으로 기록물 관리체계 구축에 역할을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록물은 행위와 경험의 궤적이지만 행위와 경험을 대체 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록을 온전하게 대변하지 못한다. 기록의 개념에서 행위와 경험은 고유한 의미가 있으며 그 의미를 살릴 때 기록물을 적절하게 관리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개념에서 행위와 경험의 고유한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 정치철학적 인식론을 수용하고자 칼 슈미트의 예외와 적 개념을 분석 한다. 슈미트의 적 개념은 이질성을 바탕으로 대립하는 존재이자 경험을 제공하는 대립적 타자로 해석한다. 그리고 대립적 타자 개념을 통해서 행위의 개념이 ‘사회적 주체가 대립 상황을 인식하며 실천하는 활동’임을 파악한다. 이 때 행위는 여러 주체들의 수많은 대립적 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다양성을 드러내는 증거이자 행위자들의 질서를 유지하는 체계 구성의 근거가 된다. 체계는 대립 관계의 상황에 따른 결과이며 변화에 따라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기도 하고 예외적 상태 속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의미를 잃기도 한다. 이때 드러나는 예외 개념은 기록에서 행위가 기록관리체계의 근거라는 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슈미트의 적과 예외 개념을 통해 기록관리체계를 행위와 경험의 고유한 의미 속에서 파악하고 기록을 사회적 활동 영역으로 재해석 한다. 그리고 재해석한 기록개념을 바탕으로 아키비스트 개념을 기록물 관리체계의 구축‧관리하는 존재에 가두지 않고 정치적 책임이 있는 사회적 주체로 파악한다. 그 결과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대립적 행위에 뛰어들어 타자를 공유하는 연대활동 속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행위와 경험을 기록화 하는 것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각 군의 경쟁 측면에서 본 다영역작전

        엄창순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merican Armed Forces which has been shown the overwhelming power in the Middle-East, Kosovo, and Africa now faces near peers threat such China and Russia. China and Russia using (Anti-Access/Area Denial) capabilities and Hybrid or Unrestricted warfare may hinder American to project their will and power. As a result, with the lead of each the US Army and Air Force, the US is actively studying and experimenting Multi-Domain Operations. ‘Domain’ in Multi-Domain Operations is the critical macro maneuver space whose access or control is vital to the success of mission. ’Multi-Domain’ is the best combination of these domains to make the effects for achieving commander’s objectives. Therefore, ‘Multi-Domain Operations’ is defined as the integrated and synchronized action to achieve the freedom of action and superiority for the mission objectives. Two services, the US army and air force take different approaches even though their new concepts of Operations are facilitated the same factor, the changed threat environment. It is because each services is trying to adapt the concept for their own interests such as the enlargement of their budgets and organizations. It is fundamentally same what they pursued in the US army’s Air Land Battle and Air Sea Battle by the US Navy and Air Force. Therefore, the Army is interested in the capabilities and the way of fighting using the air domain while the Air Force is more focusing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ir, space, and cyberspace domain and Command and Control. These competition may cause the conflict in the domains. Each services have the different SOPs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se make the difference of MDOs. If the ground forces which depends on the physical presence in the battleground is improperly protected by all domains, they would be isolated or separated from the friendly forces. In this situation, the ground forces can’t have enough firepower or ISR any longer. On the other hand, the Air Force which can project their power from the distant area worries about the access to the battleground. For them, USAF is pursuing the collapse of enemy’s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the superior speed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Multi-Domain Operation Center and Combat Cloud. In the history, US Army attempted to expand their influences and budget through Air Land Battle while US Air Force and Navy collaborated on Air Sea Battle to build up their powers. This competition is appearing again in the competition to study Multi-Domain Operations by US Army and Air Force. US Army is claiming the ground forces need to possess the Multi-Domain capabilities such as the missiles, LRA, and so on. It may conflict with the Air Power which is mainly occupying Air and Space Domain. The concept of US Air Force’s Multi Domain Command and Control which is pursuing to integrate the information from all domains and lead command and control may bring on repulsion from other services. This study analyzes the MDOs and confirms that the difference of each services’ MDOs and the cause of that difference is the rivalism. When ROK armed forces develops the concept of operations such as MDOs and acquire the new weapons, this study will help. 냉전의 종식 이후 중동과 코소보, 아프리카에서 적들에게 압도적인 능력을 선보였던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라는 동급수준 경쟁국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반접근/지역거부 능력과 혼합전, 초한전 형태의 전쟁 양상은 미군에게 제공되었던 압도적인 군사 능력 투사를 어렵게 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미 육군과 공군의 주도로 다영역작전을 활발히 연구와 실험 중에 있다. 다영역작전에 있어 ‘영역’은 임무에 의해 요구되는 행동의 자유와 우세를 위해 접근과 제어가 필수적인 결정적인 대규모 공간이고, ‘다영역’은 합동군 사령관의 목적 달성을 위한 효과를 만들기 위해 이러한 영역들을 최적의 조합으로 통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다영역작전은 ‘임무 목적을 위해 다영역에 걸쳐 우군 행동의 자유와 우세를 달성하고자 하는 통합적 일치된 행동’으로 정의된다. 위협환경 변화라는 동일한 이유로 시작된 다영역작전에 있어 육군과 공군의 접근은 상당히 상이하다. 각군은 예산과 조직확장 등 자군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전 개념에서도 자군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접근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에서 지상뿐 아니라 모든 영역에 관한 관심과 특히 공중 영역을 활용하는 능력과 전력 건설에 관심을 기울이는 반면, 미 공군의 주된 관심은 공중·우주·사이버 공간에 머문다. 각 군은 자군만의 독특한 표준운영절차와 조직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은 다영역작전의 차이를 만든다. 지상군에게 있어 분쟁지역에서 물리적인 부대의 존재는 필수적으로, 이러한 지상군의 특성은 지상 제대가 지상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면 우군으로부터 고립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지상군 제대는 일시적 ‘분리’ 혹은 ‘고립’이 되어서 타 영역을 통해 누렸던 ISR, 화력 제공이 불가능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항공력의 전력 투사는 원거리에서 목표 지역에 대한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미 공군에 있어 접근의 거부는 능력 투사의 제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환경에서 미 공군은 과거 죤 보이드의 OODA Loop에서 설명되었던 것과 같이 적보다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적의 의사결정 과정 붕괴를 추구한다. 이러한 접근의 실현은 다영역 작전본부를 통해 적을 관찰하고 대응 방향을 결정하고 평가하는 것과 컴뱃 클라우드 형태의 네트워크 발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과거에 미 육군이 공지전투 그리고 공·해군이 공해전투를 통해 무기획득과 영향력 확대를 노렸던 것과 같이 다영역작전이라는 합동작전개념에서도 육군과 공군의 이러한 경쟁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군간 경쟁을 통한 영향력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다.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은 모든 육군 제대의 다영역 능력을 보유할 필요성을 주장하며 결과적으로는 미사일, 장거리 포 등의 무기체계를 확충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공중공간에 있어 공군과 경쟁을 불러올 것이다. 미 공군은 다영역작전을 다영역지휘통제(MDC2)를 통해 수행할 계획으로 모든 영역에 걸친 자산의 네트워크 연결과 정보와 지휘통제 분야의 혁신을 위해 네트워크와 지휘통제 분야에 대규모 예산투자를 원하고 있고, 정보와 지휘통제 분야에서 공군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미군의 다영역작전을 분석하고 각 군간 차이와 그 원인을 각 군의 경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군이 향후 무기체계 획득이나 합동작전개념을 발전시키는데 있어 ‘각 군의 경쟁’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 다영역작전의 도입 시에는 종합적인 다영역작전을 볼 수 있게 한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정기룡 장군의 리더십 연구 : 리더십 선양방안을 중심으로

        이태승 건양대학교 군사경찰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기룡 장군은 이순신 장군과 함께 임진왜란의 위대한 장군으로 조선 왕조를 죽음의 문턱에서 살린 구국의 장군이다. 장군은 1562년 4월24일 경남 하동의 평범한 양반집에서 3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장군은 태어날 때부터 체격이 크고 우람했으며, 목소리가 커서 장수의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 정기룡 장군의 초명은 무수였고, 장군의 아버지 정활은 아들 무수가 문신으로 성공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무수는 또래 아이들과 전쟁놀이 하는 것을 더 좋아했고, 늘 대장을 하였다. 아버지는 무수가 13세때 돌아가시고 무수는 부친의 묘소 옆에서 3년간의 여묘살이를 한다. 이후, 무수는 경북 상주로 이주하여 무술공부에 정진하다가 25세인 1586년 무과에서 4등으로 합격하고, 선조임금으로부터 기룡이란 이름을 하사받는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정기룡은 조경 장군의 별장으로 참전하여 첫 전투인 거창 신창전투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조경 장군을 적진 속에서 구출해내어 조선정부와 백성들로부터 신임을 얻고 기쁨을 주었다. 정기룡 장군은 임진왜란 전 기간 중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승리를 하여 바다의 이순신이라고 불리웠다. 장군은 조국에 대한 충성심과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컸으며, 보상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장군은 두 번의 삼도수군통제사를 역임하였으며, 1622년 2월 28일 삼도수군통제사로 근무 중에 통영의 통제사 관청에서 순직하였다. 이러한 장군의 위대한 업적은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라졌으며, 일제 식민지 시대에 남아 있던 기록도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었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이 정기룡이 누구인지 모르는 까닭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정기룡 장군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하고, 장군의 사생관에서 리더십을 발굴하여 군과 사회에 적용하려고 한다. 그리고 잠자고 있는 정기룡 장군의 선양노력을 통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진정한 영웅으로 부활되기를 희망한다.

      • 지역문화행사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가람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사회에서는 다양한 지역문화행사를 시행하고 있다. 지역문화행사는 지역의 기억·역사·특산물 등 다양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교육 및 오락의 형식으로 재창조되고,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 작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기반시설들을 강화하며, 지역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역문화행사를 기록관리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시도는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지역문화행사는 문화원형의 현재적 재해석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시대의 사회적 환경과 문화에 대한 해석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지금 시대의 문화를 후세대에 전승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기에 기록화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지금까지 지역문화행사에 대한 기록화는 증거적 가치와 정보적 가치에 입각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행하는 행사의 행위를 증거하기 위한 기록관리였다. 또한 방법에 있어서도 기록학 내의 방법을 지역문화행사에 적용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지역문화행사를 기록화하는 목적은 정보적 가치에 입각하여 문화를 후대로 전승하고, 전통이 발생하게 되는 맥락을 형성하며, 이후 재현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해 기록화해야 한다. 또한 방법에 있어서도 지역문화행사의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집에 있어서는 의미와 상호작용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기록이 현재의 의미를 내포한 채 후세대와 상호작용하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매년 행해지는 지역문화행사의 의미를 전승하기 위한 기록화 방안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으로는 5·18민중항쟁 전야제를 선택했다. 이는 다른 문화행사에 비해 내포한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며, 참여자와 의미를 상호작용하기 위해 많은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방법은 5·18민중항쟁 전야제에 대한 문헌연구 및 참여관찰과 문화기호학적 방법을 활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장별로 담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기록화 방안을 세우기 위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5·18민중항쟁 전야제가 기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집단기억과 문화적 기억이 문화원형으로서 갖는 가치를 고찰하였다. 또 문화기호학적 방법에 대한 이론과 지역문화행사에 대해 살펴본 뒤, 이를 기반으로 기록 수집의 방법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문화원형과 문화기호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의미와 상호작용을 각각 분석하였다. 문화원형은 8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양상을 분석하였고, 문화원형으로서의 가치에 주목하고자 했다. 의미와 상호작용에서는 지역문화행사로서 5·18민중항쟁 전야제의 전반적인 유형과, 2014년 5·18민주대성회를 의미생성모델과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각각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5·18민중항쟁 전야제 기록 수집 방안을 제시하고, 위의 수집방안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지역문화행사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지역문화행사를 의미와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수집하고, 의미를 내포한 대상에 따라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지역문화행사의 기록화를 위해 아키비스트의 역할이 단순히 기록을 수집하는 존재가 아니라, 전체 행사의 기록을 통제하고 이를 통해 문화를 수집하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제안한다. Recently many communities conduct various local cultural events. Using cultural resources such as memories, history and local products, local cultural events are rearranged in the form of education and amusement, and finally become able to work as a cultural content. Local cultural events undertake significant roles to form image in local level, reinforce the base institutions in local, and inspire local people. However, the number of attempts that approach to local cultural events in perspective of archiving is, in present, noticeably not populated. Local cultural events can show a explanation of social circumstances and culture, since they contain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cultural original form. In addition, local cultural events get importance by passing contemporary culture on to descendent so that it should be archived. Until the present, documentations for local cultural events are mainly archive management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The archive managements, in accordance with evidential and informative value of the documents, have been recorded the eventual actions and stages of local governments during the event. For its method of record, it only has applied methods of Archive Study. However, the aim of archiving the local cultural events should be to transfer current cultural aspects to the future by judging its informative value, and to leave the future generation a chance to represent of the current event. For method, explaining the meaning of local cultural events has to have priority. For procedure, that is, collecting sources, archivists have to highly focused on its meaning and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symbols, because the documents are a channel, whose contemporary meaning makes interaction with the future. Thus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the better way of documentation to record and transfer the meaning of the local cultural events. Its subject is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Comparing other cultural events, the eve of the event has more clear and distinct purpose, and applies many ideas to interact in its meaning with participants. Document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cultural semiotic analyzation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are adapt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the below. Chapter two is theoretical research to establish a method of documentation. In this chapter, because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found on memory of 18 May, the value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memory as the cultural original form are studied. With reviewing also cultural semiotic theory and local cultural events, a method of documentation is suggested. On chapter three, the meaning and interaction are studied through the cultural original form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and cultural semiotic method. For the cultural original form, the aspects and values of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from 1980s to the present are researched and are focused as the cultural original form. For meaning and interaction,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has framed as a local cultural event. Especially the event held in 2014 is analyzed in both way of meaning generation model and communication model. In last chapter, the method of archiving the eve of memorial event of 18 May is presented. Based on the method, the way of archiving and managing the local cultural events is also suggested. Especially the way of gathering sources and materials of local cultural events in regard of its meaning and interactive aspects, and the way of managing the sources in consideration of its object which the source finds the its meaning, are explained. By considering these, the role of archivist, not as an expert to gather the sources and materials, but as an expert to control the whole event procedure and then gather the culture, is proposed.

      • 전시대비 동원제도 발전방안

        김성연 건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conduct an war against other country, a country should not depend only on quantitative arms buildup anymore. Rather, it has to be equipped with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and military ability in order to reinforce the prepared military strength in case of emergency by possessing minimum military strength in peace time with cutting-edge weapons and equipments. Moreover, considering Korean peninsula's battlefield environment with short battle depth and strategy to counteract North Korea's blitz tactics, national mobilization capability as a second military strength is not a choice but an indispensable thing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life and death of nation. Accordingly, as verified in Gulf War and Iraq War, to conduct effects-based operations and rapid and decisive operations we can minimize workable standing army, filling the space with cutting-edge weapon system and military technology, mobilized strength ensuring sustaining capability. It would bring maximum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effect with minimum cost. Therefore, in order to let mobilized strength be at the level of standing army, mobiliz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futur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and preparation for mobilization should be improved practically. Thus this study covers conceptual institutional ways for developments for each field across whole mobilization. To develop mobilization system suitable for war paradigm, this study draws our institutional ways for development based on examples of foreign mobilization system and U.S. army's backup power training and management. First, as institutional measures to strengthen spiritual mobilization, MOU should be made with private film company to produce movies to inspire patriotism, supplying them into reserve forces training and military security experts should be sent to annual civil defense education so as to make it practical security education. Second, mobilized organization's infrastructure has to be strengthened and especially by dispatching military executives, swift mobilization in time would be feasible, filling the space of mobilized force. Third, national mobilization law should be legislated to integrate scattered mobilization laws and clarify mobilization rules precisely. Fourth, in terms of personnel mobilization, prior mobilization reserve should be designated as elite forces among partial mobilization subjects and proper combat power display in time sh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early increase in mobilization preparation and soldiers on service. Fifth, in transportation mobilization part, mobilization sign grafted with IT technology and ways to improve vehicle registration system are proposed. Sixth, in construction and industrial mobilization, mobilization requirement institution in accordance with civil equipment is necessary and range of mobilization assignment sh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change.

      •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의 의의

        위민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 결절을 평가하는데 안전하고 민감한 진단기법이다. 하지만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 대하여 일상적으로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는 데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에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의 치료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지름 1.5cm 이하의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 대하여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한 2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의 결과와 초음파 소견 및 수술 후 병리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절의 지름은 0.3cm에서 1.5cm까지였으며 평균은 1.1cm이었다. 초음파 소견상 악성이 의심되는 소견이 발견된 경우는 전체 48례였는데 그 중, 10례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소견이 발견되었다. 208례 중, 159례(76.4%)에서 세포학적으로 양성 소견이 나타났으며, 여포성 종양은 7례(중간형, 3.3%), 악성 소견은 33례(15.8%)였으며 불충분한 검체가 9례(4.4%)였다. 중간형과 악성 소견이 나타난 40례 중, 37례에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30례에서 술 후 조직학적으로 악성이, 2례는 세포학적으로 여포성 종양으로 진단되었다. 9례(30%)에서는 조직학적으로 피막외 진행 소견이 나타나 악성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림프절 전이는 8례(26.6%)에서 나타났다. 악성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의 민감도, 특이도는 각각 93.3%와 89.1%로 나타났다.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검사는 촉지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검사방법이며, 특히 초음파상 두 가지 이상의 악성 소견이 관찰된 경우 보다 유용하다 할 수 있겠다.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USG-FNA) is a safe and sensitive diagnostic tool used to assess thyroid nodules. But it is a matter of controversy that USG-FNA shoud be routinely used to diagnose incidentally detected non-palpable thyroid nodu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USG-FNA in the management of incidentally detected non-palpable thyroid nodule. A retrospective medical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208 patients who underwent USG-FNA for incidentally detected non-palpable thyroid nodule smaller than 1.5cm in diame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5. The results of USG-FNA were compared with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the surgical pathology. The nodules ranged from 0.3cm to 1.5cm in diameter, with a mean of 1.1cm. Suspicious malignant sonographic findings were detected in total 48 cases and in the ten cases, more than two malignant findings were detected. Of the 208 cases, 159 cases were cytologically diagnosed as benign lesion(76.4%), 7 as follicular neoplasm(intermediate,3.3%), 33 as malignancy(15.8%), and 9 as inadequate specimen(4.4%). Thirty-seven of 40 cases with intermediate and malignant cytology underwent surgery. 30 cases were confirmed to malignancy on the postoperative histologic diagnosis and two of these were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follicular neoplasm. In the cases diagnosed to malignancy on final histology, extracapsular extension was present in 9 cases(30%),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 8 cases(26.6%).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racy of the USG-FNA for malignancy were 93.3%, 89.1%, respectively. USG-FNA is a useful diagnostic tool in the management of incidentally detected nonpalpable thyroid nodule. It is especially need to use USG-FNA when more than two suspicious malignant sonographic finding is detected.

      • 가톨릭 교회 세례 공간의 역사적 고찰

        김진태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for the restoration and planning of baptismal spaces in church architectur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baptism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churches historically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church building plans by identifying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baptis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baptisms were reveal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the theological aspect, and in the spatial aspect,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required for the baptismal ceremony. Regarding case selection and analysis, ancient and modern cases were distinguished from cases in the present day. As for each case, 57 places were chosen based on the type of baptism, the type of baptismal space, the correlation of baptismal ceremony and space, and the existing structures. To examine and analyze selected cases, drawings, photographs, documents, and the Internet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ptismal types universally used in the 1st and 3rd centuries were the immersion baptism and in relation to the baptismal spaces, baptisms were performed in flowing water of rivers, springs, and sea. Regarding the immersion baptism in the form of submersion, the immersion baptism that Jesus received directly from John the Baptist in the Jordan River was recorded in all four gospels, and this became the first baptismal ceremony. As the introductory course of Christianity, baptisms have implications for participating in sin and death,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spread to the disciples of Jesus and churches. The typical examples of the baptismal spaces of early Christianity include the baptism site of Bethany in Israel (AD 28), the underground baptism site of Nazareth in Palestine (the 1st and 2nd centuries), the Roman Domitilla Catacomb (the 2nd and 3rd centuries), and Dura-Europos of Dura in Syria. The Bethany baptism site was the place where Jesus was baptized by immersion and a place for pilgrimage and baptism since the early church. At that time, no structures were built in the baptism site, but the 4th and 5th century Roman and Byzantine ruins were found such as small churches, abbeys, caves where hermits stayed, and small water ponds for immersion baptism. In the Nazareth baptism site, the space for the immersion baptism was set up on the right side of the slope cave head house site of Maria. At the baptism site, a baptismal pool lower than the ground was planned to conduct immersion baptisms, and there were seven stairs. The seven stairs have a symbolic meaning of going from the death of Christ to the resurrection. In the 5th century B.C., a Byzantine memorial cathedral was built on the top of the cave emerging as a significant place for pilgrimage and baptism. Second, although the baptismal ceremony in the 4th and 8th centuries was mainly immersion baptisms, aspersion baptisms were also conducted. At this time, church construction began as a space for liturgy, and an independent building called baptistery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gentiles converting to Christianity rose sharply and catechumens failed to attend the Eucharist. Baptisteries were built in Catholic churches with a bishop who can conduct a baptismal ceremony and were usually placed in the western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cathedral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those baptized in the cathedral liturgy after their baptism. The numbering system applied to the font inside the baptisteries, such as square, hexagon, octagon, and circle was all related to Jesus Christ, and the height of the Font was designed to fit the baptized. That is, adult fonts were lower than the floor and infant fonts were higher than the floor. Also, about the then baptism sites, it was important to plan the facilities for the influx and drainage of baptismal water. In the artistic aspect, the initial appearance of baptisteries and the decoration of the interior spaces were very simple. With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art, however, baptisteries were gradually decorated with paintings, mosaics, and pillars. The visible aspects of spaces for baptism in this period, or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art and culture of the baptistery have been continuously applied to today. In the 6th century, the church delegated the authority to conduct baptism ceremonies to parish priests, and some baptisteries constructions were carried out in addition to cathedrals. Nevertheless, as the majority of European societies became Christianized after the 8th century, the number of people getting baptized declined and baptisteries construction dramatically decreased. Without baptisteries being built, the baptismal space was moved into the inner space of cathedrals, and baptismal fonts were used besides fonts. As a form of baptism, immersion and aspersion baptisms were mixed, and the baptismal spaces have changed from baptisteries to fonts and to baptismal fonts. Third, even though the 9th and 19th centuries were the greatest growth periods of church architecture and the liturgy was expanded, the baptismal ceremony was at a standstill and passive state, and there were no guidelines for planning baptismal spaces in the church at that time.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baptisteries was reduced, and the baptismal ceremony was held with baptismal fonts and in fonts planned in various places such as narthex, entrance, nave and aisle, transept, altar, and back sid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baptismal fonts and fonts were most placed at the entrance of church, and mainly aspersion baptisms were performed. As the baptismal space became narrower, participants were limited and there was a limit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hristians in prayer and celebration despite the fact that baptism was the introductory course of Christianity. In this period, however, the Pisa cathedral (the 12th century) and the Florence cathedral (the 14th century) constructed independent baptisteries where the immersion baptism could be conducted, and the interior of the baptisteries was ornately decorated. Fourth, the most critical changes that churches experienced after the 20th century began from 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1∼1965). 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one of the constitution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was released and its Article 128 (a proper and dignified baptismal space, maintaining an appropriate space, and new introduction if helpful) and Article 64 (restoration of the baptismal preliminary period for adult preservers and observation of holy manners at certain times) made som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cathedrals. In other countries, baptism was taken as an important liturgy so planning for baptismal spaces was renewed to maintain the tradition. Today, churches in Korea have been a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churchgoers and church buildings by engaging in continuous missionary work and contributing to a Korean society. However, only a few cathedrals plan to prepare fonts for immersion baptism or baptismal fonts for non-immersive baptism. In addition, most cathedrals conduct streamlined baptismal ceremonies. Fifth, in this study, the existing 57 spaces for baptisms in Korean and foreign church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plan of cathedral architecture was proposed. As an important liturgy of churches, baptism has been upheld as the church’s tradition, There is immersion baptism and aspersion baptism, which was continuously reflected in the spaces of cathedrals during the past twenty centuries. Second Vatican Council, which was closed in 1965, addressed relations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modern world, including the widespread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the Mass instead of Latin, reflecting indigenization of the liturgy,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iturgy. However, the baptismal ceremonies have been simplified and the baptismal spaces such as baptismal fonts and fonts have been disappearing in Korea. Such reasons include the lack of awareness of baptisms and the space by the priests who conduct baptisms, difficulty of securing time for baptism during the Mass, Koreans’ being unfamiliar with body immersion in water or pouring water over a head, and a realistic factor in which baptismal fonts and fonts are not common. However, the church of Santa Maria Formosa (built in the 7th century and reconstructed in Baroque style in the 15th century) and the Döbling Parish Church in Vienna (built in the 13th century and reconstructed in Baroque style in the 19th century) were remodeled to install a font observed baptism. Those churches can be a good example for others to build a font or a baptismal font. Conducting baptisms and planning for the baptismal spaces is an essential element of church architecture so joint efforts to restore the tradition are needed. Although Korean churches have been rapidly expanded for the past 30 years, the important value of baptism in the church has been gradually reduced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baptismal ceremonies. As a result, only a small number of fonts and baptismal fonts for the traditional baptism exist in cathedrals. Nonetheless, baptism is still a sign of an important oath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when you begin to live the Christian life. Therefore, it is needed to commit to restoring and planning of baptismal spaces for theological metaphor and symbolism just as Christians of Early Christianity were committed to maintaining the baptismal spaces even in the harsh environment, keeping in mind the importance of altars as physical spaces in the church. 본 연구는 교회건축 내 세례 공간의 복원과 계획을 지향하는 연구로서 교회 내 역사적으로 지속되어 거행되었던 세례를 재조명하고, 세례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교회건축 계획수립에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학적 측면에서 세례의 특성을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밝혔으며, 공간적 측면에서 세례제의에 요구되는 물리적 요소들 간의 관계를 사례를 선정하여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선정과 분석은 고대에서 근대까지의 사례와 현대의 사례를 구분하였으며, 각 사례는 세례의 유형, 세례 공간의 유형, 제의와 공간의 연계성, 그리고 현존하는 건축물을 기준으로 총 57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례의 조사와 분석을 위해 도면, 사진, 문헌, 인터넷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세기의 세례 종류는 침수세례가 보편적이었으며 세례 공간은 흐르는 물이 있는 강가나 샘, 바다 등지에서 거행되었다. 물에 잠기는 형식의 침수세례는 예수가 요르단 강에서 세례자 요한으로부터 직접 받으면서 4복음 모두에 기록되어졌으며, 세례 제의의 효시가 되었다. 세례는 그리스도교의 입문성사로서 죄와 죽음, 그리고 그리스도의 부활에 동참하는 의미를 지니며 예수의 제자단과 교회 공동체에 확산되었다. 초대 그리스도교의 세례 공간으로는 이스라엘 베다니 세례터(A.D. 28년), 나자렛 지하공간의 세례터(1-2세기), 로마 도미틸라 카타콤(2-3세기), 두라 에우로푸스(252년)가 대표적이다. 베다니 세례터는 예수가 침수세례를 받은 장소로서 초대 교회 때부터 순례지이자 세례를 위한 장소였다. 당시 세례터에는 건축물이 지어지지는 않았으나, 작은 교회와 수도원, 은수자들이 머물던 동굴, 침수세례 거행을 위한 작은 물웅덩이 등 4∼5세기의 로마와 비잔틴 시대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나자렛 세례터는 마리아의 경사지 동굴 본가 터 우측에 침수세례가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었다. 세례터는 침수세례를 거행할 수 있도록 지반보다 낮은 세례반이 계획되었으며, 7개의 계단이 있었다. 7개의 계단은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부활로 건너가는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것이다. 5세기 경 순례지와 세례를 위한 중요한 장소로 부각되어 동굴 상단에 비잔틴 양식의 기념 대성당이 건축되었다. 둘째, 4∼8세기의 세례제의는 침수세례가 주류였지만 주수세례도 거행되었다. 이 시기 전례를 위한 공간으로서 교회건축이 처음 지어지기 시작하였고, 세례당이라는 독립적인 건축물이 등장하였다.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는 이방인이 급격히 증가하고 성찬례에 예비 신자들이 참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세례당은 세례제의를 거행할 수 있는 주교가 있는 성당에 지어졌으며, 주로 세례자들이 세례받은 후 대성당 미사전례에 참여가 용이하도록 대성당 입구 서쪽방향에 배치되었다. 세례당 내부에는 중앙에 4각형, 6각형, 8각형, 그리고 원형 등 세례반에 적용된 숫자체계는 모두 예수그리스도와 연관된 것이었으며, 세례반의 높이는 세례를 받는 자에게 적합하도록 계획되었다. 즉, 성인용은 바닥보다 낮았으며, 유아용은 바닥보다 높게 계획되었다. 또한 당시 세례터는 세례수의 유입과 배수를 위한 시설 계획이 중요했다. 예술적 측면에서 세례당 건립 초기의 외관과 내부공간의 장식은 매우 단순하였지만, 그리스도교 예술의 발전으로 세례당은 점차 회화, 모자이크, 기둥 등이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이 시기 세례를 위한 공간의 가시적인 측면 즉 세례당의 물리적 환경과 예술, 문화 등의 구성 원리는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6세기엔 교회가 본당 신부에게도 세례제의를 거행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함으로써 주교좌 성당 외에도 일부 세례당 건축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8세기 이후 유럽 사회 대부분이 그리스도교화 됨에 따라 세례자가 감소하였고, 세례당 건축도 급감하였다. 세례당이 지어지지 않으면서 세례 공간은 성당 내부공간으로 이동되었고 세례반 외에도 세례대가 사용되었다. 세례 형식으로 침수와 주수세례가 혼용됨으로써 세례 공간은 ‘세례당-세례반-세례대’로 변화하게 되었다. 셋째, 9∼19세기는 교회건축의 최고 성장기로서 전례는 확장되었지만 세례제의는 답보와 수동적 상태의 시대였으며, 이 시기까지도 교회 내 세례 공간 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따라서 세례당 건립은 감소하고 세례제의는 성당 내부 공간으로서 나르텍스, 입구, 네이브와 아일, 트란셉트, 제단, 후진 등 다양한 위치에 계획된 세례대와 세례반에서 거행되었다. 사례연구 결과 교회 입구에 가장 많이 세례대와 세례반이 배치되었으며 세례제의는 주로 주수세례가 거행되었다. 세례 공간이 협소해지면서 참석자가 제한되었고 세례가 그리스도교의 입문성사임에도 불구하고 신자 공동체가 함께 기도하고 축하하는 능동적 참여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피사 대성당(12세기), 피렌체 대성당(14세기)은 침수세례가 거행될 수 있는 세례당을 독립적으로 건립하였고, 세례당 내부는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넷째, 20세기 이후 교회가 경험한 가장 중요한 변화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1∼1965년)로부터 시작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계기로 전례헌장이 발표되었고, 전례헌장 128항(세례 공간의 올바르고 품위 있는 설비, 적합한 공간은 보존, 도움이 되는 것이면 새로운 도입)과 64항(성인 예비자들을 위한 세례 예비기간의 복구와 일정 시기에 따라 거룩한 예절의 거행)에 따라 성당건축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국외 사례에서는 세례를 중요전례로 인식하고 그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세례 공간의 계획이 새롭게 이루어졌다. 오늘날 한국교회 공동체는 지속적인 선교 활동과 대사회적 역할을 통해 신자 수의 증가와 함께 교회건축물도 양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당 내부공간에서 침수세례를 거행할 수 있는 세례반과 주수세례를 위한 세례대는 극소수의 성당에서 계획되고 있는 현실이며, 세례제의도 대부분의 성당에서는 간소화된 세례제의만을 거행하고 있었다. 다섯째, 본 연구는 현존하는 국내·외 성당의 세례 공간 57개소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성당건축 계획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례는 교회의 중요한 전례로서 전통이 유지되어 왔으며, 침수와 주수세례의 형식으로 자리잡았으며 지난 20세기 동안 성당 건축공간에서도 지속적으로 반영되었다. 1965년에 폐막된 제2차 공의회를 통해 미사 전례의 모국어 사용, 전례의 토착화 반영, 전례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전례 개혁을 선포하였지만 세례제의 거행의 간소화, 세례반과 세례대와 같은 세례 공간은 사라져갔다. 그러한 원인으로는 세례 거행자인 사제들의 세례제의와 공간에 대한 인식 부족, 미사전례 중간에 할애되는 세례 제의 시간에 대한 부담, 몸의 일부를 물에 담그거나 머리에 세례수를 끼얹는 것에 대한 한국인들의 부정적 정서, 세례반과 세례대의 계획을 접할 수 없었던 현실적인 요인을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베니스에 소재한 Santa Maria Formosa 성당(7세기 설립∼15세기 바로코 양식 재건축)과 비엔나의 Döbling Parish 성당(13세기 건립∼19세기 바로코 양식 재건축)은 제단 우측과 전면에 세례반을 리모델링을 통해 배치하여 침수세례를 거행한 예시이며, 이를 통해 현재의 기존 성당들도 세례반과 세례대를 건립할 수 있는 좋은 사례로 보여진다. 침수세례제의 거행과 공간의 계획은 교회건축의 본질로서 중요한 요소이기에 이를 복원하는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교회는 지난 30년간 교세가 급속도로 확장되었으나 교회 내 세례의 중요한 가치는 세례 전례의 간소화로 인해 점차 소실되어갔다. 이는 현재 성당 공간에 전통적 세례거행을 위한 세례반과 세례대의 배치가 극소수에 그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현대에도 세례는 그리스도교 입문성사로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의 전반에서 잊혀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약속의 징표이다. 따라서 교회 내 물리적 공간으로서 제단이 가지는 중요성과 마찬가지로 과거 초기그리스도교의 그리스도인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세례 공간의 중요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던 것처럼 신학적 은유와 상징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서 세례 공간의 복원 및 계획에 힘써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