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스트레스와 형제관계만족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경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and Satisfaction of Sibling Relationship on Happiness of Non-Disabled Brothers with Disabled Siblings> This study had focused on disabled and their family issues. Especially, non-disable siblings' stress and sibling relationship satisfaction's effects on happiness. For this, survey had executed hospital, rehabilitation hospital, welfare-center, school and disability school at Seoul. 300 questionnaires had distributed and 194 questionnaires were withdrawal. sampling was significant and discretion.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with frequencies, descriptive, t-test, pie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ed, Non-disable siblings' private time which is subordinate factor of Stress has negative effects on all factors of happiness and it is significant.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satisfaction's kindness and intimacy are positive significant effects on happine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program for disables' family. As mentioned above, disability is not only personal issue but also their family's issue. Programs which support families needs can called as welfare service. Second, Programs for non-disable sibling's stress reduce program should be spread. Finding out stressor and dealing with it. Third, Follow research should be execute. this study dealt with siblings only, following study will be dealing with whole family. and it will eventually find solution for disables and their families happiness. Las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cross-sectional and sampling is not probability so it is hard to generalize. 국문초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형제의 스트레스와 형제관계 만족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장애인과 그를 둘러싼 가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형제의 스트레스와 형제관계만족감이 비장애 형제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실증적인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비장애 형제의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종합병원, 재활병원, 복지관, 치료센터 및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반에 다니는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형제 중에서 초, 중, 고등학교, 대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 형제를 대상으로 유의표집 및 임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300부의 질문지가 배포되었으며 분석에 사용한 질문지의 수는 194부이다.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형제관계 만족감, 행복감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와 형제관계 만족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비장애형제의 개인생활 요인이 모든 모형에 있어 행복감의 각 하위요인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관계 만족감의 하위요인인 온정․친밀감은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실천적, 학문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장애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장애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구성원 전체의 문제이며, 장애인을 둘러싼 모두에게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비로소 장애인복지서비스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장애 형제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 보급이 필요하다. 스트레스는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장애를 가진 가족 구성원의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가족 개개인보다는 가족 체계 전체의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가족 개개인에 대한 연구도 다각도의 포괄적이고 심도 있는 접근으로의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한다. 가족체계를 기반으로 사회적인 시각에서 개인과 가족을 보게 된다면 장애인 가족의 행복감을 높이는 궁극적 해결방법을 찾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유의표집 및 임의표집을 사용한 연구로 대표성이 떨어져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운 연구인 한계점이 존재한다.

      • 발달장애인의 고용형태에 따른 고용지원인력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혜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공적인 고용을 도모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용지원인력에 주목하였다. 발달장애인의 직무수행 및 적응을 위해 필요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 즉, 고용지원인력이 지원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는 역할들을 고용형태별(일반고용, 지원고용, 보호고용)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장애인 고용업체에서 발달장애인과 함께 근무하는 종사자, 지원고용을 실시하고 있는 지자체 담당공무원, 장애인표준사업장,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서비스 담당자, 장애인근로시설 종사자, 장애인보호작업장 종사자 총 15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빈도분포,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등)과 독립표본 t-검정,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고용지원인력이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합성 및 배치의 하위요인인 안정적인 직무배치 지원의 필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보조 공학의 필요도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직장적응지원 및 평가의 하위요인인 직장적응지원의 실행도가 가장 높았으며, 보조 공학의 실행도가 가장 낮았다. 고용지원인력은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에 비해 실행도는 낮게 답하였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 필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결과를 살펴보면 보호고용형태에서 가장 크게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적합성 평가 및 배치의 하위요인인 안정적인 직무배치 지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생태학적 직업평가였다. 일반고용형태에서 가장 크게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적합성 평가 및 배치의 하위요인인 안정적인 직무배치 지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생태학적 직업평가였다. 지원고용형태에서 가장 크게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적합성 평가 및 배치의 하위요인인 안정적인 직무배치 지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생태학적 직업평가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와는 상관없이 직무 필요도와 직무 실행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역할은 적합성 평가 및 배치의 하위요인인 안정적인 직무배치 지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차이가 나타난 역할은 생태학적 직업평가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 필요도 및 직무 실행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 간 직무 필요도 및 직무 실행도를 인식하는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고용지원인력의 역할 우선순위는 지속적인 지원과 사후 지도, 생태학적 직업평가, 직장적응지원 및 평가, 적합성 평가 및 배치, 고용 가능한 지역사회 노동시장 조사 단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고용형태별로는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모든 고용지원인력이 적합성 평가 및 배치를 가장 어려운 역할 단계로 응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모든 고용형태(보호고용, 일반고용, 지원고용)의 고용지원인력이 인식하고 있는 단계별 역할의 필요성만큼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고용형태에 따른 역할과 단계별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실천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적합한 서비스 형태들을 개발하여 적절한 배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용형태와 고용지원인력의 역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고용지원인력이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표준화된 지침과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자와 피평가자의 인식차이 연구

        윤미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지표에 대하여 이해관계자간의 인식차이를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관련변수들 간의 실증적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검증하여 평가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체계와 평가지표를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의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의 바탕이 될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2013년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에 직접 참여한 평가자 123명과 2013년 평가대상 기관의 시설장 또는 직원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11년 노인장기요양시설 평가지표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기술적인 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바탕으로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가자와 피평가자의 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로 분석하고 각 변수간 인식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n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가자 집단과 피평가자 집단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특성도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간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활용도 인식 평균값 비교에는 평가자와 피평가자 모두 활용도에 비해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으나 평가자가 피평가자보다 기관운영영역과 급여제공결과 영역에서 중요도의 인식이 높았다. 둘째, 집단간 평가척도 및 항목에 대한 시각에는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평가자 보다 피평가자가 평가의 항목수가 많고 평가지표가 적합하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반면, 평가자는 피평가자에 비해 평가항목이 개선되었고 평가가 기관의 질적 수준 제고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집단간 평가지표 영역별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는 평가자는 남성이 권리 및 책임영역에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여성은 급여제공과정영역에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피평가자는 사회복지사 업무를 수행하거나, 기관의 운영기간이 짧을수록 지표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고, 급여제공과정영역과 급여제공결과영역에서는 근무경력이 길수록, 사회복지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지표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넷째, 집단간 평가지표 영역별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는 평가자는 권리 및 책임영역에서 여성이 지표의 활용도를 높게 인식하였고 피평가자는 2011년 평가결과 낮은 등급을 받은 기관일수록 평가지표의 활용도를 낮게 인식하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활용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평가에 대한 시각은 평가자는 비교적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반면, 피평가자는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고 평가자가 피평가자 보다 규정이나 법적기준 준수, 서비스 성과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지표의 활용도에서도 평가자가 피평가자 보다 높게 인식하였는데 이는 평가자와 피평가자들 사이에는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활용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평가지표가 최소한의 합의영역이라는 명목하에 현장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정량적 평가에 치우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가지표의 중요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의 요소를 반영해야 하고 평가대상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감안하여 그에 상응한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build a hypothetical model that predict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ose whose interests are affected by the long-term care facility value index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causal relations and effects of the related variabl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at can help enhance the qua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hus the overall function of long-term care service. First, 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discussed. Then,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literature were reviewed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3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evaluation process in 2011 thru 2013, as well as 337 directors/employees of the facilities that were evaluated in 2013. The long-term care facility value index of 2011 was used as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resultant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o se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evaluators and evaluation receivers in reference to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the value index, data was analyzed using a t-test in addition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see the variables that affect differences of perception. The results showed the perception types of both the evaluator group and the receiver group,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importance and the utilization of the value index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importance was perceived a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utilization by both groups, but the evaluator group showed a great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acility operation and wage payment. Second,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index and items between both groups. The receiver groups answered that the evaluation included too many items and the value index was not appropriate, while the evaluator group answered that the evaluation items had been improved and the evaluation helped enhance the quality of the facilities. Third, when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of the value index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male evaluators considered "right and responsibility" as highly important, while female evaluators consider the wage payment process as highly important. Within the receiver group, social workers and those who managed facilities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the value index as less important; and social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the wage payment process and the wage payment result as less important. Fourth, whe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each category of the value index are compared between groups, female evaluators perceived the utilization as high in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category. Within the receiver group, those whose facilities had received a lower grade in the evaluation in 2011 perceived the utilization of the value index as lower, and those with a higher education level also perceived it as lower.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evaluators have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evaluation, while evaluation receivers have a generally negative perception; and evaluators perceive the regulations/legal criteria and the service outcomes as more important than evaluation receivers. Also,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the value index, evaluators perceive the utilization as higher, suggesting that evaluators and the evaluation do not agree on the importance and the utilization of the value index, as the value index fails to reflect the practical attributes of the actual field, and focuses on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refore, the value index should reflect more diverse factors of the related aspects to enhance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individual facilities that are evaluated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a decision and opinions of different related groups should be carefully discussed and reflected in the evaluation.

      • 遼史 國語解의 어휘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주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고는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에 기록된 거란어 어휘들을 시기별 한자음으로 재구해 보고 기 연구된 어휘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거란어 연구에 활용하고, 당시 거란어가 어떠한 형태와 발음을 가지고 있었는지 밝혀 봄으로써 거란어와 고대 몽골어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초보적인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흉노, 선비, 거란어를 고대 몽골어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거란 관련 자료만이 소량 남아있다. 따라서 거란어 연구는 고대 몽골어를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거란어는 아직 완벽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거란 문자 이외의 문자로 기록되어 있는 자료들로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 대표적인 거란의 사서(史書) 『遼史』에는 당시의 어휘들을 풀이하여 기록한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가 맨 마지막에 실려 있다. 이것은 거란어 자료로서 의미가 클 뿐만 아니라 고대 몽골어와의 관계를 밝히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에 기록된 어휘들에 대한 한자음 재구와 기존 연구 성과와의 비교 연구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2장은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에서 한자 어휘를 제외한 65개의 거란어 어휘들을 기존에 재구된 상고음, 중고음, 북방조기관화의 시기별 음가로 정리하였고, 선행된 거란어 음가 연구들 중 이성규(2012, 2013)와 孫伯君·聶鴻音(2008)의 연구 논저에서 재구된 거란어 음가들도 같이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遼史』 본문의 내용과 더불어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의 어휘들을 설명해 놓은 『欽定遼史語解』의 내용도 같이 수록하여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에 나오는 거란어 어휘 연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언급된 어휘들 중 몽골어와 관련 있다고 보여지는 거란어 어휘를 선별하여 몽골어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앞서 2장에서 재구한 거란어의 시기별 한자음과 선행 연구자들이 재구한 거란어 음가, 의미 그리고 『遼史』등의 기록들을 종합하여 몽골어와의 관련성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거란어 어휘의 재구 음가들과 그 의미가 비슷하거나 일치하는 몽골어가 있는 반면, 음과 뜻이 전혀 연결되지 않는 어휘들도 있었다. 따라서 거란어 어휘들을 기록해 놓은 한자에 대한 한자음 재구만으로는 몽골어의 고대적 형태를 찾는 것에 한계가 따른다. 하지만 고대 몽골어를 밝히는데 있어 자료부족을 감안한다면, 거란어 연구에 여러 가지 연구 방법이 시도되어야 하며 시기별 한자음 재구를 활용한 거란어 음가 연구방법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에 나온 많은 한자 차용 거란어 어휘들을 상고음과 중고음, 북방조기관화의 한자음 음가로 일일이 재구하여 고대 몽골어와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활용한 사례는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 시기별 한자음 재구를 통한 거란어 연구 방법이 시도되었다는 점에 일정 부분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요사 국어해(遼史 國語解)의 거란어 어휘에 대한 시기별 한자음 재구 및 『遼史』와 『欽定遼史語解』의 원문 내용 정리는 앞으로의 거란어 연구에 기초적인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반면 거란문자 자료와의 비교연구는 향후 과제로 남는다. This paper presents a basic study to determin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Khitan language and Ancient Mongolian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 Khitan words written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to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in each period of those day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materials for further study of the Khitan language to verify the form and pronunciation of the then Khitan vocabulary. Generally academics presume the languages of Hunnu, Xianbi and Khitan to Ancient Mongolian but there are at present no reliable data besides a few of the Khitan. This is the reason that the study of the Khitan langu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ata to trace Ancient Mongolian. The study of the Khitan should starts with resources written in languages other than the Khitan because of a lack of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Khitan. The representative resources can be found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the last chapter of History of Liao, which explains vocabulary of those days. It’s the most significant data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In terms of methodology, the comparison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Khitan words written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to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of those days is carried out as follows. In the 2nd chapter 65 Khitan words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except Chinese words are arranged by phonetic values of Old Chinese, Middle Chinese and early age Northern Mandarin and works on reconstructed phonetic values of the Khitan by Seong-Gyu LEE(2012, 2013), 孫伯君·聶鴻音(2008) are also compared. Furthermore, the text in History of Liao and the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in Imperially authorized explanations of phrases from the Liao History are compared and included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study on the Khitan words written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In the 3rd chapt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 and the selected Khitan words which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Mongol is discussed among the Khitan words mentioned in the 2nd chapter. 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and new analysis was tried by collecting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in each period and meaning of reconstructed Khitan words and the record of History of Liao. As a result the Mongol words similar or equal to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and meaning of reconstructed Khitan words were found but there were vocabulary with no correlation. Therefore, searching the old forms of the Mongol on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Khitan words to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in each period with resources old books has limits. However it’s necessary to try to perform various research methods on the Khitan and the method of study in this paper is indispensable. There is no academic case to make use of the reconstruction of many Khitan words one by one to phonetic value of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 in each period as Old Chinese, Middle Chinese and early age Northern Mandarin in the record of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to verify the interrelation to Ancient Mongolian. It’s meaningful as a new trial of research method as mentioned above. Also the reconstruction of the Khitan words in Vocabulary Explanation in the History of Liao to Chinese pronuncia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texts of History of Liao and Imperially authorized explanations of phrases from the Liao History will be valuable as a basic study of the Khitan.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f comparison to the resources in the Khitan language remains as a challenge ahead.

      •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몽골 유학생 중심으로

        바트체첵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solve the adaptation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ositive factor self-elasticity and negative factor depress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tested, and parental support and friend support were selected as moderating factors. A questionnaire on depression, self-elastic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Mongolian students was produced. A total of 216 of the surveyed questi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lower the level of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higher the self-elasticit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i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social support including the support of parents and the support of friends that can affect college students as a moderator. Parent support was found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lastic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whereas friend suppor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lastic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friend support was important for Mongolian international students rather than parental support. 본 연구는 학습을 목적으로 한국에 온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교 적응에 대한 교육과정 배려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학생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요인으로서 자아탄력성과 우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절요인으로서 부모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를 선정하여 검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응답한 설문 중 총 216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우울이 높을수록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지지로서 부모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를 구분하여 조절검증을 하였다. 부모지지는 우울 및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반면 친구지지는 우울 및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몽골 유학생들에게 부모지지보다 친구지지가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가 있었다.

      •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이 통합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바울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effects of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on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is study offer the basis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childcare teachers by improving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 of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nd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mong childcare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nd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Finally, Doe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nd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34 people.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program.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by Baron and Kenny(1986), this study examined mediation effect of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perform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indicate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nd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childcare teacher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significantly affects the attitude of inclusive education and is a critical factor to induce the positiv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ill enhance interest in childcare teachers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inclusive education, and offer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to focus on attitudes improve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revised as mandatory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since 2016. Second, as childcare teachers mainly affect attitude development of infants,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 Therefore,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building practical strategies to promote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in childcare teacher. Third, when conducting surveys involving special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that were limited in previous studies were expande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by reflect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various childcare workers connected with education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ole and meaning of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improvement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attitudes of childcare teachers were understood,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and programs related to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by improving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Fifth,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for continuous understanding and supplementation of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in improving education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is found. In addit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necessity of managing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attitude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remuneration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ual-related system for customized education. Second, the legal system for system establishment and penalties related to mandatory performance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education should be ensured through the inspection and guidance o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This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n inclusive education attitude in the field of childcare education for disabilities, and draw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system in developing services or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th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reby improving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attitude. Keywords : childcare teacher, education experience for enhancing awareness of disability,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mediation effe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통합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장애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통한 보육교사의 통합교육태도 개선 및 증진을 도모하며, 보육교사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통합교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통합교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통합교육태도의 관계에서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 제주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를 포함한 보육교사였으며, 모두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통합교육태도의 관계에서 강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에 따라 보육교사의 통합교육태도 수준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통합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통합교육태도를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실천적 함의로 첫째,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부수적 존재로 여겨왔던 보육교사에 대한 관심의 제고와 2016년부터 법정의무교육으로 개정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초점을 두어 향후 관련 연구들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통합교육태도를 증진하는 데 필요한 실천적 전략 모색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존연구에서 제한적이었던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를 포함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장애인식개선교육, 장애인에 대한 태도, 통합교육태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보육시설종사자의 욕구반영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넷째, 연구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과 통합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보육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경험의 실천에 접목하여 장애인에 대한 태도 개선에 초점을 둔 서비스나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어 보육교사의 통합교육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책적 함의로 첫째, 효율적인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위해 대상자별 맞춤형 장애인식개선교육 매뉴얼 마련을 위한 제도수립이 필요하다. 대상자별 맞춤형 교육의 매뉴얼 개발 및 보급을 통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효과성을 담보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식개선교육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과태료 부과 및 실제적 수행에 대한 점검 및 지도 관련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 수립 및 법적 강화를 통해 의무와 책임을 더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담보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보육교사, 장애인식개선교육, 장애인에 대한 태도, 통합교육태도, 매개효과

      • 여자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하영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mplemented in Korea for female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interventions. To this en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tudies published from 2008 to 2022 were conducted. Using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of PICOTS-SD, the core research questions were specified, and 14 studies from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59 effect sizes were extracted for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CMA) v4.2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literature,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among the 14 literature, and the psychological field was predominant with 8 paper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quasi-experimental design method was the most common with 7 articles, and 5 articles conducted follow-up examination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690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375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suicide risk groups. According to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verag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3.7 and the average age was 15.4 years old. In terms of program type, programs related to cognitive behavior program were identified as the highest frequency, with 8 and 10 total intervention sessions, and 8 programs lasting more than 60 minut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host had the highest number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ird, the meta-analysis foun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as 0.641, which is a medium-sized effect siz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moderating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s was higher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as lower, when the suicide risk level of participants was high, when the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when the second and third prevention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In terms of type of intervention program, the most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a real treatment(RT)-based program, a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CBT)-based program, and a gestalt treatment-based program. Fifth, in the case of outcome factors, when nomadic as suicidal behavior and suicide-related factors, a moderate effect size was confirmed for all outcome factors, but the difference in ES aver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size depending on the program type, and this difference was the greatest for the reduction of risk factors. In addition, when the subject of the interventions was a risk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protective fac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required per session was more than 60 minute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suicidal behavior and protective 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evidence-based clinical basic information that mental health and suicide prevention practitioners could use to implement and develop more successful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s well as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suicide prevention research in adolescents.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시행된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연구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프로그램 개입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연구문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PICOTS-SD의 문헌 선정 기준을 활용하여 핵심 연구질문을 구체화하고,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논문 및 석ㆍ박사학위논문 중 14개의 문헌을 선별하여 59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Comprehensive Meta-Analysis(CMA) v4.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문헌의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14편의 문헌 중 학술지 논문이 12편으로 가장 많았고, 논문의 전공 및 학술지 영역은 심리영역이 8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었다. 연구설계에서는 유사실험설계 방법이 7편으로 많았으며, 추후검사를 시행한 문헌은 5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에 대한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는 690명으로 나타났으며, 자살위험군이 375명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의 세부 특성에 따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대상자의 평균 참여 인원은 23.7명, 평균 연령은 15.4세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은 인지행동 관련 프로그램, 개입 총 회기는 8회와 10회, 소요시간은 60분 초과인 프로그램이 8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프로그램 진행자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메타분석 시행 결과 청소년 대상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0.641로 중상 수준의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요인에 따른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수가 적을수록, 자살위험수준은 위험군일 때, 고등학생일 때, 자살예방 개입 프로그램이 2차와 3차 예방일 때, 프로그램의 주당 회기 수가 2회일 때, 회기당 소요시간이 60분 이상일 때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프로그램 유형에서는 현실치료 기반 프로그램, 인지행동치료 기반 프로그램, 게슈탈트치료 기반 프로그램 순으로 높은 자살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결과요인의 경우 자살행동, 자살관련 요인으로 유목화하였을 때 모든 결과요인에 대해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확인되었으나, ES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효과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위험요인 감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개입 대상자가 위험군일 때 보호요인 증가에서 효과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당 소요시간이 60분 이상일 때 자살행동과 보호요인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 및 자살예방 실무자가 보다 성공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에 활용가능한 근거기반의 임상적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청소년 자살예방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12세기 초엽 금(金)의 대(對)고려 관계 연구

        강준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After Jurchen tribe established Jin Dynasty, it was a politically unstable period in Northeast Asia in the beginning of 12th century that Jurchen tribe won the victory over Liao Dynasty and Northern Song Dynasty. Afterwards,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became reorganized on the lead by Jin Dynasty. Rise of Wanyan tribe and Jin Dynasty caused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Goryeo and Jin Dynasty that had been in a close relationship on the border immediately after the Goryeo was established. However, as known in the context of history, Jin Dynasty had not attacked Goryeo until it was collapsed by Yeke Mongɤol Ulus. The fact that Jin Dynasty had not attacked Goryeo was comparable with how Liao Dynasty attached Goryeo for three times before Jin Dynasty was established as well as how Yeke Mongɤol Ulus attacked Goryeo for seven times. On this issue, history scholars in Korea related it to the record that the progenitors of the imperial family in Jin Dynasty were from 'Silla' or 'Goryeo' providing an opinion according to how there existed consciousness of a kind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The assumption that there existed consciousness of a kind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is based on the national historical science. With aforementioned issu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foreign policies pursued by Jin Dynasty in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t that time beyond the scope of the perspective in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case based on Goryeo.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proceeded that 『Goryeosa[History of Goryeo]』 was used as a basic resource along with historical records such as 『Jin Shi[History of Jin]』, a political affair in China, 『Qidan Guo Zhi[Records of the Khitan Empire]』, and 『Sanchao Beimeng Huibian[Reign Periods Zhengxuan, Jingkang, Yanxing]』 as preliminary source examining and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Here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was considered deriving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of all, Jin Dynasty started a war to stay away from pressure and persecution from Liao Dynasty in the beginning of 12th century. However, there were issues such as lack of financial support or shortage of military strengths. Therefore, Jin Dynasty preferred to buil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each country in Northeast Asia and avoid conflict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of period. This situation wa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with Goryeo. Secondly, the progenitor of imperial family of Jin Dynasty was from Silla. However, 『Goryeosa』 and 『Jin Shi』 state that the progenitor was from Goryeo. The reason behind this statement is related to how they pursued to build a seamless relationship with migrants from Balhae or political strategies for diplomatic negotiations. In addition, Jin Dynasty had distrust towards Goryeo from the war against Galla(曷懶). Therefore, it is still an issue to re-consi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existed consciousness of a kind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Third, the reason why Jin Dynasty conceded a position of Boju(保州), the biggest foreign issue between Jin Dynasty and Goryeo in the beginning of 12th century was that inside affairs of Jin Dynasty were doomed because of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is lasted to the period when they conquered North Song Dynasty. Therefore, after conquering North Song Dynasty, Jin Dynasty started giving much pressure on Goryeo in terms of an issue of collecting census information belonging to Boju or Liege Homage(誓表) unlike before. Afterwards, two countries officially started diplomacy by serving the powerful by providing the installation to people in Goryeo in 1142. Due to continuously lasting financial issue, Jin Dynasty did not attach Goryeo. Goryeo had pursued practical diplomac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Jin Dynasty in the beginning of 12th century as shown above. However, it was still a bigger issue that Jin Dynasty were not able to give more pressure on Goryeo due to inside problem. 여진족이 금(金)나라를 세운 뒤 요(遼)나라와 북송(北宋)을 차례 무너뜨렸던 12세기 초엽은 동북아시아의 정세가 요동쳤던 시기로, 이후 동북아시아는 금을 정점으로 하여 재편되다. 완안부의 대두(擡頭)와 금나라의 건국은 고려의 건국 직후부터 국경을 접하며 오랜 기간 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던 고려와 여진[금]의 관계에도 변화를 야기했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금나라는 대몽골 올로스[Yeke Mongɤol Ulus]에 의해 무너질 때까지 고려를 침공하지 않았다. 고려를 침공하지 않은 일은 금나라의 건국 이전 요나라가 고려를 3차례 침공한 것과 대몽골 올로스가 고려를 7차례 침공하였던 사건과는 비교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금나라 황실의 시조가 ‘신라(新羅)’혹은 ‘고려(高麗)’에서 왔다는 기록과 연관시켜 금과 고려 사이에 ‘동류의식(同類意識)’이 있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금과 고려 사이에 동류의식이 있었다는 이러한 인식은 민족사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금과 고려의 관계에 있어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주체적 발전을 강조하는 민족사학적 시각의 연구는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객관적인 시각이 일부 결여됨에 따라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우선 금과 고려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어 당시 금의 내부적인 상황이나 입장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지만 당시 고려를 이해하는 부수적인 입장에서만 다루어졌다. 더불어 고려의 대(對)금 외교에 있어 긍정적인 면만을 언급하며 부정적인 면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거나 견강부회(牽强附會)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본고에서는 고려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였던 기존 국내의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12세기 초엽에 발생한 대내외적인 상황에서 금나라가 지향한 대외 정책을 통해 금과 고려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사』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중국의 사료(史料)들을 보조적인 사료로 이용했던 기존의 연구들과는 반대로 중국의 정사(正史)인 『금사』를 비롯하여 『거란국지』, 『삼조북맹회편』등의 사료를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여 금과 고려의 관계에 대한 검토 및 재해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12세기 초엽 금과 고려의 관계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12세기 초엽 금은 요의 핍박과 압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전쟁을 시작하였으나 재정의 결핍과 병력 부족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시기 금은 동북아시아 각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려 하였으며 최소한 불화는 피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양상은 고려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둘째, 금나라 황실 시조는 신라인이었으나 『금사』와 『고려사』에 시조를 고려인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 이유는 발해유민과의 융화를 이루기 위함이나 고려와의 외교 교섭을 위한 정치적인 수식이었을 뿐이었다. 또한 금은 갈라전 전투를 통해 고려에 대한 불신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금과 고려 사이에 ‘동류의식(同類意識)’이 있었다는 인식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셋째, 12세기 초엽 금과 고려의 최대 외교현안이었던 보주(保州)문제에 있어 금이 고려에게 보주를 양보한 일은 당시의 동북아시아 정세가 급변함과 더불어 내부 사정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었으며, 이후 북송을 무너뜨릴 때까지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북송을 무너뜨린 이후 금은 이전과 달리 고려에게 서표(誓表)나 보주에 귀속한 호구(戶口)를 돌려받는 문제에 있어 고려에 강한 압박을 하였다. 이후 1142년 고려 인종(仁宗)에게 책봉(冊封)을 해주며 양국은 정식적으로 사대(事大)외교를 했으며 계속된 금의 재정 문제로 인해 금은 고려를 침공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12세기 초엽 금과 고려의 관계에 있어 고려가 실리적인 외교를 한 측면도 없지 않으나 당시 금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금이 고려에 대한 압박을 하지 못한 측면이 더 크다고 생각된다.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에 관한 연구

        엄광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 과정을 탐색하고, 소진 후 성장의 개념 정의와 분석을 바탕으로 실질적 이론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전문요원 자격을 소지하고 현장에서 3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 소진 후 성장 연구에 적합한 17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 경험은 개방코딩 분석결과, 총 79개의 하위범주, 23개의 중위범주, 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상위범주는 직무과정에서 겪은 부정적인 경험, 힘든 근무환경, 소진 경험, 소진에서 벗어나기 위한 활동, 상호작용을 통한 회복, 성장 활동, 성장 경험, 미해결된 문제로 이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 경험이 어떠한지 설명하고 있다. 둘째, 선택코딩 분석결과, ‘소진과 회복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과 노력을 통해 성장의 길로 나아감’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과정 분석을 통해 ‘흔들림 단계’, ‘노력 단계’, ‘상호작용 단계’, ‘나아감 단계’의 과정을 확인하였다. 셋째, 유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 유형은 네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네 개의 유형은 속성과 차원에 따라 정형화하고 연구참여자의 특성에 맞게 분류하여 주도적 성장형, 긍정적 성장형, 수용형, 정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은 이용자 및 동료들과의 상호작용과 소진 회복 및 성장을 위한 노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소진의 상처가 깊은 경우 성장이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성장에 소진의 깊이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후 성장 과정을 근거이론을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현장의 이야기를 깊이 있고 생생하게 전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t-burnout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to generate a practical theory based on the defini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post-burnout growth.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possess qualifications a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have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s in the field.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open coding analysis, a total of 79 subcategories, 23 middle categories, and 8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for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post-burnout growth experience. The upper categories which explains how the post-burnout growth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ere as follows; negative experiences in the job process, difficult working environments, burnout experiences, activities to get out of the burnouts, recovery through interactions, growth activities, growth experiences, and unsolved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the selective coding analysis, a core category of ‘going on the path of growth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repeated burnout and recovery’ was derived.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he processes of ‘shaken step’, ‘effort step’, ‘interaction step’, and ‘advance step’ were confirmed. Third, as a result of type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of post-burnout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four types were formalized according to attributes and dimension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be defined as the proactive growth type, positive growth type, acceptance type, and stagnant typ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t-burnout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fter burnout was directly affected by their interactions with clients and colleagues and their efforts to recover and grow from burnou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th of burnout had an effect on the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livered the story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in depth and vividly by analyzing the growth proc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post-burnout through grounded theory from various ang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