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흉추 가동성 운동이 만성 요통 중년 여성 환자의 가동 범위, 통증, 장애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황동기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을 가진 중년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흉추 가동성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가동 범위, 통증, 장애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중년 여성 중에 3개월 이상의 만성 요통을 가진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16명씩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흉추 가동성 운동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열, 전기 물리치료를 적용하여 주 3회, 회당 30분씩 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동범위의 평가는 좌, 우 흉추 회전 가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통증의 평가는 숫자통증등급척도와 압력통각역치를, 장애 지수의 평가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삶의 질의 측정은 SF-36 평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전·후 비교에서 흉추 가동성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의 가동 범위는 좌, 우 흉추 회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실험군에서 통증의 평가에서는 숫자통증등급척도 점수는 실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압력 통증 역치는 실험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장애 지수의 평가에서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는 실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대조군과의 그룹 비교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실험군의 삶의 질 평가에서는 SF-36의 PCS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지만(p<0.05),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CS에서는 실험 전과 후의 유의한 값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흉추 가동성 운동이 앞으로 만성 요통을 가진 중년 여성을 치료할 때 회전 가동 범위, 통증과 장애 지수 및 삶의 질의 신체적인 요소들을 개선 및 증진 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치료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휴대폰의 중간면 및 후면 치수의 안정화를 위한 사출성형공정에 관한 연구

        김병곤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t is necessary to study injection molding proces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stabilizing the width and length of the middle and rear covers of the mobile phone. Process optimization was performed to reduce the cycle time and to improve the process capability at the same time.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bility to predict shrinkage in both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middle and rear covers of mobile phones with a molded product thickness of 0.5 to 1.0 mm. Cycle time reduction was achieved by optimiz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metal insert-molded cover for the middle of mobile phone. Dimensional control of the width and length for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was achieved by optimiz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The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analyzing the process capability. First, the mold design for thin molded products was optimized by applying the optimal shrinkage rate according to polymeric materials to secure the dimensional st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hrinkage prediction through CAE molding analysis, the real responsivenes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the melt compressibility, and the accuracy of mold temperature input were studied. After satisfying these three conditions, the shrinkage rate analysis of the prototyp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5 injection molding process conditions and the 4 types of glass fiber content in polycarbonate (PC) of 0%, 10%, 20% and 30%. Second, the potential factors affecting the shrinkage rate of metal insert-molded cover for the middle of mobile phone were select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factor diagram and the cause-effect matrix. The fatal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the 2 sample t analysis, and the full factorial design of experiment at the 2 factor with 3 level was applie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width and length. The capability analysis of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the metal insert-molded cover was analyzed to verify the reduction of cycle time and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Third, for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was optimize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width and length of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The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minimizing the cycle time. The effective factors affect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mapping method. The cycle time of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was optimized by applying the full factorial design of experiment method to the fatal factors derived from the 2 sample t analysis.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was optimized by applying both the maximum slope method and the central composite method of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width and length dimension of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As a result of the study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CAE molding analysis for the thin molded products of mobile phone, the shrinkage rate prediction accuracy of 80% for the length and 82% for the width of the mobile phone were obtained respectively. The reliability of CAE molding analysis was secured by comparing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whether a product is good or not by managing the dimensional tolerance within 80% rather than the target dimension of molded part. As a result of a study to shorten the cycle time of metal insert-molded cover for the middle of mobile phone, the cycle time was reduced from 55 seconds to 33 seconds by 22 seconds while satisfying the width of the USB terminal within the specification. The improved effect of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of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was comprehensively ver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process capability, optimiz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to stabilize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phone, and minimizing the cycle time for productivity increase. 휴대폰 커버의 박육화에 따른 박육 성형품의 치수 관리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여, 휴대폰의 중간면 및 후면 커버의 전폭 및 전장 치수의 안정화, 사이클 타임 축소 및 공정능력지수를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출성형공정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형품 두께가 0.5∼1.0mm인 휴대폰의 중간면 및 후면 커버의 성형성 향상 및 전폭 및 전장 치수의 수축률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금속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성형된 휴대폰 커버의 중간면과 기존 사출성형공정 을 통하여 성형된 휴대폰 커버의 후면에 대한 수축률 예측 능력을 최적화하여 치수 안전성 확보, 사이클 타임 축소 및 공정능력 개선을 통한 생산성을 향상하였다. 첫째, 박육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에서 수지 재료에 따른 최적의 수축률을 금형에 적용하여 박육 성형품용 금형 설계를 최적화하였다. CAE 성형해석을 통한 수축률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사출기 응답성, 용융 수지의 압축성 및 금형 온도 입력의 정확도 향상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한 후 5가지 사출성형공정 조건에 따른 시제품의 수축률 분석 및 폴리카보네이트(PC)에 유리섬유 함유 비율이 0%, 10%, 20% 및 30% 4가지에 따른 시제품 의 수축률도 분석하였다. 둘째, 휴대폰 중간면 메탈 인서트 커버 성형품의 수축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특성요인도를 사용하여 잠재인자를 선정하고, 원인-결과 매트릭스(X-Y Matrix)를 활용하여 가인자를 선정하였다. 2 표본 T 검증을 통하여 가인자에 대한 치명 인자를 도출한 후, 휴대폰 중간면 성형품의 전폭 및 전장 치수가 기준 규격 내에서 관리되도록 사출성형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2 인자 3 수준의 완전 배치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였다. 셋째, 휴대폰 후면 커버에 대해서도 전장 및 전폭 치수가 기준 규격 내에서 관리되도록 사출성형공정 조건을 최적화하였고, 사이클 타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했으며, 양산 단계에서 공정능력 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출성형공정별 사이클 타임을 분석한 후, 기존 공정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사출성형공정의 공정 투영(Process Mapping)기법을 통한 유효 인자를 도출하였다. 2 표본 T 검증을 통해 도출한 치명 인자에 완전 배치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사출성형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였으며, 휴대폰 후면 커버 성형품의 전폭 및 전장 치수의 정밀도 향상과 관련한 목표 수축률을 얻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의 최대경사법 및 중심합성계획법을 적용하여 사출성형공정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휴대폰 박육 성형품용 CAE 성형해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 결과, 휴대폰의 전장 치수에 대해서는 80% 및 전폭 치수에 대해서는 82%의 수축률 예측 정확도를 얻었다. 이는 사출 현장에서 목표 치수에 맞추어 사출하기보다는 치수공차를 80% 범위 이내로 관리하여 양품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과 비교하여 CAE 성형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휴대폰 중간면 금속 인서트 성형품의 사이클 타임 단축을 위한 연구 결과, USB 단자 전폭 치수를 규격 내로 만족하면서 사이클 타임을 기존 55초에서 33초로 22초 단축하였다. 휴대폰 후면 성형품의 전폭 치수 안정화를 위해 기존 공정능력 분석, 박육 성형품에 적합한 금형설계, 목표 수축률 도출을 위한 사출성형공정 최적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사이클 타임을 최소화하여 종합적으로 양산 단계에서 공정능력지수의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평가

        서석희 동의대학교 산업문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평가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균열 길이는 육안조사와 줄자 등의 장비로 조사되고 있다. 육안조사는 특정 작업자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므로 신뢰성이 다소 미흡하며, 줄자 등의 계측 장비는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결과값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카메라와 같은 촬영기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균열 길이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영상처리기법에서는 Bilateral Blur와 Adaptive Threshold를 적용하여 영상에서 잡음과 빛에 대한 보정을 하였으며, Laplacian 기법을 사용하여 균열의 윤곽선을 추출하였다. 검출된 윤곽선은 면적으로 산출하였으며, Reference Bar의 Scale Factor를 이용해 mm단위로 환산하고, 산정된 면적을 Average Width로 나눔으로써 균열 길이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실제 계측된 균열 길이와 비교분석하였으며, 균열 길이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system for measuring the crack length of concrete structures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width and length of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are currently being investigated by visual inspection and measurement equipment such as crack gauges. Visual inspection is somewhat unreliable because the result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nd subjective judgment of a specific investigator, and measurement equipment such as crack gauges are limited by time and space. To compensate for this, reliable results were measured by apply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a more convenient crack length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Noise and light were corrected in the image by applying the Bilateral Blur and Adaptive Threshold, and the outline of the crack was extracted using the Laplacian technique. The area of ​the detected contour was calculated, converted into mm units using the scale factor of the reference bar, and the crack length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alculated area by the average width.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actually measured crack length, and it is judged that reliable results for crack length evaluation can be derived.

      • 경도 균형 장애 평가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한국어판 BDL Balance Scale

        김재홍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및 중증도의 균형 문제가 있는 환자들의 측정을 위한 Bäckstrand Dahlberg Liljenäs Balance Scale(BDL-BS)을 번안하고 한국 설정에 맞게 수정하여 한국어판을 개발하며,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통한 국내 적용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 및 중증도의 균형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로서 실내 보행이 가능하고 심한 인지장애나 의사소통장애가 없는 2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BDL-BS의 번안은 내용적 타당성이 유지되도록 제시된 지침에 따라 순번역, 역번역 및 전문가위원회를 통한 수정 후 원작자에게 검증을 통해 완성되었다. 타당도 검증은 내용타당도, 동시타당도를 통해 검증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일치도를 통해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의 수립을 위해 물리치료학과 교수 및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검증에서 각각의 문항에 대한 CVI는 .91로 나왔다. 한국어판 BDL-BS의 총점과 공인된 균형 평가 도구인 Berg Balance Scale(BBS)의 총점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검증한 동시타당도는 r=.76으로 높게 나왔다. 내적일치도(Cronbach )는 .87로 높게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0∼1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균형능력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BDL-BS의 타당도가 검증되고, 높은 신뢰도를 갖춘 도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도구는 경도 및 중증도의 균형 장애를 가진 환자의 균형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되고 타당한 평가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Bäckstrand Dahlberg Liljenäs Balance Scale(BDL-BS) for the measurement of patients with minor and moderate balance disorders according to the Korean situat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1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balance disorders living in nursing hospitals who were able to walk indoors and don’t have severe cognitive impairment or communication impairment. The BDL-BS was completed through net translation, reverse translation and expert committe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set out to maintain content validity. The validity test was verified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test was verified b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item consistency. In the content validity test conducted for physical therapy professors and physiotherapists, the CVI for total questions was .91. The concurrent validity, which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BDL-BS and the total score of the Berg Balance Scale(BBS), an accredited balance measurement tool, was as high as .76.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was as high as .87, and the test - retest reliability ranged from .70 to 1, indicating high reliability. The validity of the BDL-BS for measuring the balance ability has been verified and confirmed as a highly reliable scale. Therefore, this tool is expect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the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balance disorders.

      •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이도균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서울시 S요양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사전 평가 후 무작위로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 물리치료를 주 5회 1시간 동안 시행하였다.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군은 추가적으로 6주간 주 5회 30분 동안 엑스박스 키넥트 가상현실 게임 환경에서 훈련을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균형 검사, 보행 검사 및 기능 회복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군에서 균형, 보행 및 기능 회복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p<.05).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엑스박스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기능회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에서 기존의 운동치료에 추가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 기능 증진을 위해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뇌졸중, 엑스박스 키넥트, 가상현실, 균형, 보행, 기능회복

      •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이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impacts of Youth Activity Program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order to evaluate its affectiveness in depth, a decent and valid evaluation method was used. With the result, the program’s future direction in terms of improving and enhancing its effectiveness as a policy was explored. Also, impacts of covariate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Surveys were done in four different districts in Suwon. In each district, four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participated, and 138 students’ answers were collected. In addition, 143 more students’ answers were collected from five institutions including Youth Cultural Center, Youth Cultural House, Youth Training Center, and etc. 281 sample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after complet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with these samp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in order to evaluate the program’s performance. First, the result proved the fact that adolescents’ participations in the Youth Activity Program impact o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d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previous studies, it has not been fou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non-participants of the Youth Activity Program. However, it is proved that the Youth Activity Program participants have relatively low level of delinquent behavior compared to those of non-participants. Also it is revealed that participating in the Youth Activity Program positively impacts on forming their self-esteem. Second, the result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h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variates. Parents’ desirable educational viewpoints decreased the level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increased the level of their self-esteem. Moreover, parents’ desirable reaction towards adolescents’ mistakes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The higher level of supports from peer groups and teachers they get, the lower depression and higher self-esteem were achieved. Third, male students’ game addiction level as well as self-esteem level were found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whereas female students tend to feel more depressed than male students.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e adolescents get, the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were achieved. Also,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economy status and self-esteem. The findings demonstrat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Youth Activity Program highly impact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Thus, in terms of preventing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s, local communities must put higher effort in supporting and improving the Youth Activity Program.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peer group support, teacher support were the key variables that highly impacts on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as well as self-esteem. The result was the same in the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lends weight to the idea that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th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ir ideal growth. Moreover,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actors including gender, academic achievement, household economics status are the important variables to further underst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타당한 평가방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이 보다 많은 정책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향후 정책의 개선방향과 방안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가적으로 공변량들(covariates)이 미치는 영향들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소재 4개 구별로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4개교에서 138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고, 청소년문화센터,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수련원 등 5곳에서 143명을 표집 하여, 최종분석에 281개의 표본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으로 참여그룹과 비참여그룹의 집단 간 매칭 후 프로그램이 목표로 한 성과 또는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평균정책처리효과(average treatment effects)와 공변량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여부가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중독, 우울,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의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했던 부분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참여하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일탈의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변량들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부모특성인 올바른 교육관은 청소년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의 잘못에 대한 부모의 올바른 대응은 자녀의 우울수준을 낮추며 또래지지와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우울감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남학생의 게임중독정도는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으며 자아존중감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보다 더 우울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기타 학업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줄어들고 자아존중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들의 가정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일탈 예방과 스스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청소년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부모의 교육관, 또래지지, 교사지지가 청소년의 중독, 우울 등의 일탈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냈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올바른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성별, 학업성취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도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변수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동안 다양한 벌림 각도에 따른 바깥돌림근과 어깨뼈 안정화 근육의 근전도 분석

        안우영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동안 바깥돌림근과 어깨뼈 안정화 근육 의 활성도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어깨 벌림 각도에 따른 근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른 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이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였 으며,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동안 네 가지 조건(어깨면에서 0°, 45°, 90°, 135°의 어 깨 벌림)에서 근력과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전도 데이터는 가시아래근, 가시위 근, 앞톱니근, 위등세모근, 중간등세모근, 그리고 아래등세모근으로부터 수집하였다. 표면 근전도 신호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으로 정규화 되었으며, 수집된 근력과 근활성도를 어깨의 벌림 각도에 따라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동안 각도에 따른 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시아래근의 활성도는 어깨의 벌 림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p<0.05), 가시위근과 앞톱니근의 활성도는 어 깨의 벌림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토크는 어깨의 벌림 각도와 상관없이 일정하였으며, 어깨의 벌림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가시아래근의 활성도 감소를 대신하여 가시위근의 활성도 증가와 앞톱니 근에 의한 어깨뼈의 뒤쪽 기울임이 원심성 어깨 바깥돌림 토크를 발생시켰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원심성 운동을 통한 훈련과 재활에 있어서 오 버헤드 스포츠 종목에 따른 어깨의 벌림 각도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뇌성마비아동의 치료적 재활승마의 중재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김권회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승마의 치료적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활승마를 적용한 중재연구의 방법론적인 질 평가 및 중재내용을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기초자료로 제시하고 나아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연구의 선정은 실험연구로 2018년 9월까지 발표된 영어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검색은 핵심전자 DB인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을 통해 이루어졌다. 검색식은 뇌성마비 아동(Patient:P)와 재활승마(Intervention:I)를 나타내는 용어들을 병합하여 구성하였다. Pubmed에서 확인된 용어를 근거로 대상연구의 선정기준을 만족시키는 12편으로, 이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방법론적인 질 평가는 코크란의 risk of bias를 이용하여 실험논문을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다. 임의 효과모형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효과크기의 해석은 Cohen(1988)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뇌성마비아동의 치료적 재활승마의 중재의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총 12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수행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0년 이전 4편(30%)이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 4편(30%),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편(20%), 2017년 이후 2018년 9월 기준 2편(20%)이었다. 중재유형은 재활승마를 이용한 중재는 6편(50%)으로 가장 많았고 재활승마와 전통적 치료를 같이 중재한 경우 5편(41.7%), 재활승마와 능동적 허리 신전을 함께 중재한 경우 1편(8.3%) 이었다. 결과변수는 총 3개로 파악되었고 평균으로 하나의 결과변수에서 3.2편의 연구로 분석되었다. 뇌성마비아동의 재활승마의 치료적 중재의 연구의 총 12편의 연구에서 수행된 평균 1회 재활승마의 중재시간은 38.75분이고 9.62주 동안 평균 중재 횟수는 1주일에 1.63번으로 나타났다. 재활승마의 결과변수별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재활승마의 효과의 기능에서 측정된 값은 대동작기능평가 66에서 d=-2.24, p>0.05 ,대동작기능평가 88에서 d=-1.73 p>0.05, 대동작기능평가 B에서 d=-0.62, p>0.05로 나타났고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보행에서 효과의 크기는 d=-3.82, p>0.05 나타났고, 균형에서 d=-3.60, p>0.05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PROSPERO registration: CRD42018108721

      • 가상현실을 동반한 스테핑 훈련과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이 미치는 효과

        박경림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동반한 스테핑 훈련과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동반한 스테핑 훈련과 보행 훈련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군I 13명과 실험군II 13명으로 나누어 두 군 모두 총 4주간 주 5일, 하루 1시간씩 일반 물리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 중 실험군I 13명은 총 4주간 주 3일, 하루 20분씩 가상현실을 동반한 스테핑 훈련을 받았으며, 실험군II 13명은 총 4주간 주 3일, 하루 20 분씩 가상현실을 동반한 보행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I의 가상현실을 동반한 스테핑 훈련의 실험 방법으로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Silverfit 5.0(Silverfit BV, The Netherlands, 2015)을 사용하였고, 마비측으로 체중지지 하여 비마비측으로 스테핑 훈련을 하였다. Silverfit의 진단명을 뇌졸중으로 설정하여 치료 유형은 균형으로 설정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 세션은 산책하기와 시내걷기로 2가지의 세션으로 정하였다. 실험군I과 실험군II 모두 각 세션마다 10분씩 적용하고 근 피로도를 막기 위해 한 세션이 끝난 뒤 1분 휴식을 취한 뒤, 다음 세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I과 실험군II 모두 주 3회 4주간 훈련이 진행되었으며, 가상현실 스테핑 훈련과 가상현실 보행훈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는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을 평가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전·후에 균형검사를 통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 up to go, TUG), Balancia를 통해 동요거리, 동요속도, Area 95%를 검사하였고, 보행 능력 검사인 6분 보행검사(6 minute walk test, 6MWT)를 시행하였다. 가상현실을 적용한 스테핑 훈련과 보행 훈련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상현실에서 적용한 스테핑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0.05), 실험군I이 실험군 II에 비해 버그 균형척도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Area 95%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상현실 스테핑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에서 일반 운동치료와 가상현실을 동반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