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해양레저관광 마리나 이해집단 협력관계의 관계성과와 개발성과 및 개발지지도 구조 연구
지역의 해양레저관광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마리나의 도입 및 운영을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마리나는 요트와 보트, 관리선 등의 원활하고 안전한 입출항이 가능토록 환경적으로 민감한 해안선과 해안선 근해에 개발을 하게 된다. 또한 사회적으로 요트와 마리나를 통한 해양레저관광문화가 일부 부유하고 특수계층을 위한 것으로 인지되어 경제적 위화감과 문화적 이질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Hall, 2001; 윤유식·전제균·이상호, 2011). 이렇듯 마리나는 지역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사회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마리나가 도입 및 운영되는 과정에 주변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비롯하여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의 분야에서 마리나와 관련된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한다는 것을 반증한다(Goeldener, Ritichie & Meintosh, 2000; 이영진, 2009). 이는 해양레저관광활성화를 통해 지역 관광과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마리나를 성공적으로 도입·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관련 집단들의 협력관계 형성이 근원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사회의 다원화와 지방화의 진전은 지역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련 이해집단의 의견 수렴을 중시하게 만들었고, 이는 또 다른 갈등을 양산하여 전국적으로 관광개발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윤유식·곽용섭, 2005). 특히 현재 마리나 개발이 민간기업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주도의 성장 중심적 관광개발로 진행되기 때문에 더욱 위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유광민, 2006). 따라서 마리나의 성공적인 개발 및 정착을 통한 해양레저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마리나의 도입시기부터 지역주민과 관련 이해집단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특히 도입 및 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갈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해결하면서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수 있는 방향제시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인식과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먼저 해양레저관광과 마리나의 이론적 개념과 시설 개발 및 운영 등의 범위와 특성 등에 대해 개념화 하였다. 이를 토대로 마리나와 관련된 이해집단의 범위를 구체화하고 해양레저관광과 마리나 개발에 있어 이해집단의 협력관계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다. 또한 협력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변수 등을 도출하여 이러한 협력관계가 현실적으로 이해집단들이 관계를 지속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관계성과를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협력관계를 통한 관계성과들이 실질적으로 개발성과를 나타났는지, 이것이 향후 지속적인 개발지지로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실증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이해집단들이 형성하는 협력관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경제적 혹은 비경제적 이익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장기적으로 협력관계의 성과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기적으로 가시적 관계성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협력관계가 이해집단사이에서 공유된 의미 또는 목표의 제도화로서 협력과정에서 이해집단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이 단기적으로 효과를 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각 집단에 이득을 제공하고 구성원들이 합의에 바탕을 두고 차후 갈등을 방지해야 한다는 선행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Healy, 1988; Gray,1989; 신용선, 2004; 윤유식, 2010) 즉, 협력관계 형성을 위해 상호이익의 측면에서 공동의 이익과 목표 설정이 중요하고, 갈등관리를 통해 관계형성에 따라 자주 발생되는 갈등을 방지하고 예방하는 조치가 같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계성과에 영향을 덜 미친다고 하더라도 협력관계에 대한 선행조건으로 상호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를 이해하고, 상호 이익을 나누기 위한 협력과 협동, 공정한 관계 유지 등의 협력관계 조건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마리나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교환 및 협력관계 이론에 따라 경제적 혹인 비경제적인 사회․문화적 이익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리나로 인한 공동의 목표와 가치 실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서로의 관점을 이해해 주면서 갈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해집단들이 상호이익과 의존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데, 특히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이익과 의존관계를 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에서 원하는 협력관계의 특성은 관계성과과 개발성과, 개발지지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리나에 대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개발지지와 여론조성을 위해서는 기존 마리나 도입에 따른 개발성과가 전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발성과는 지역사회의 이해집단들이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관계성과를 만드는 것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리나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여론과 환경적 여건 등을 감안한 긍정적 여론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긍정적 여론 조성을 위해서는 마리나 개발로 인한 경제,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를 가시적이고 실현가능한 방향으로 지역사회에 알리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여론조성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관계 형성과 관계성과를 만들게 되고, 향후 개발성과와 지속적 개발지지로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마리나 개발을 추진하는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들은 개발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이와 같은 구조를 이해하고 접근해야만 성공적인 마리나 개발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Keyword : 해양레저관광(Marine leisure tourism), 마리나(Marina) 이해집단 (Stakeholder), 협력관계(Cooperative relationship) 관계성과(accomplishing relationship), 개발성과(Accomplish of development) 개발지지도 (Development support) With the government and municipal government’s commitment, regional marine leisure tourism is getting develop by building and managing marinas. However constructing marina is sensitive to area of whether it is safe and easy to entry depart of yacht, boat, and control ship, thus it is common to make development in the coastline. Also by social atmosphere, marine leisure tourism is considered only to rich and exceptional class, it can bring disharmony and awareness of difference. As it is, Marina is having close relationship socially through economies,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etc. This reprove that during the procedure of early stage of Marina, various groups are involving in areas of economies, social, cultural, etc. It means to introduce and managing marina successfully as it is rising for regional tourism and activeness of economy, it principally need to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residents and related stakeholder. Additionally progress of diversification, localization made importance of interdependence between the area residents and related stakeholder. And it brings other issues and conflicts; it is the one of the cause of slow development tourism. Especially, current marina development is not by private enterprise, by national developing system, it cause the issues more. Thus to have successful and activeness of marine leisure tourism, it has to have active support of the area residents and related stakeholder from the early stage. Especially, it is need to lead the direction of preventing and solving the conflicts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ing, managing.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having awareness of problem recognition, first, made conceptualization of marine leisure tourism and marina with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econd, made specification of marina related stakeholder and relationship and interdependence. Third, made deduction of interdependence from influence of factor and variable for interdependence and researched to see the outcome whether it was helpful to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 in reality. And last, through long term cooperative relationship, accomplishing relationship had outcome of development performance, and that leads to support development more continuously through analysis of actual proof. Thus, it is interesting to study the factors that can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interest groups is whether they could see visibly their economic or uneconomical benefits. That means, it is important to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 in long term with developments, it is more main factors to have the possibility of having visible benefits from short term. By result, it is significant to have common goal as institutionalization among the relationships and having voluntarily cooperation. Also these procedures are having difficulties to have result in a short term, giving benefits to each group with all agreements, not to have conflict later in a long term. Thus, to build cooperative relationship, it is significant to set the goal for mutual interests and having action for preventing conflicts through managing it. Also, even it has low impact on accomplishing relationship, building cooperation conditions, by setting fair relationships, understanding each benefits and mutual goals is the key works to do. And to build active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developing marina, through theory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social affiliation, it has to have warranty of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Also understanding each groups with reducing conflicts, sharing common goal and value realization, having the will of direct and visible benefits. It can now explain that characteristic of cooperative relationship what a community wants, also effect to accomplishing relationship and accomplish of development, development support. It means it has to have activeness and sustainability support fo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result for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Also it can declare these development starts from accomplishment of relationship through community’s cooperative relationship. Finally, to have successful marina introduce, it is the most important to have positive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regards of community’s opinion and situation of environment. And to have positive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share and notice the positive benefits in visible and real ways to the community. With that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it will build voluntary, active cooperative relationship, accomplishing relationship, and having virtuous circulation of later development, and long term prospects. It must be pointed out that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 should understand and approach with this structure from the early stage to have successful marina development. Keyword : Marine leisure tourism, Marina, Stakeholder, Cooperative relationship Accomplishing relationship, Accomplishing development, Development support
관광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에 따른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와 관광성과인식에 관한 연구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와 제도개선의 노력으로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2012년 1천만명 이상의 외래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관광강국으로 도약하였다. 이에 정부는 외래관광객 지방분산 대책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광개발정책을 통해 지역 발전과 성장을 달성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개발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관광이해관계자 간에 발생하는 갈등과 충돌은 관광개발정책의 추진을 어렵게 만들고 관광성과를 저해함으로써 지역의 발전과 성장의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관광개발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관광이해관계자간의 갈등과 충돌을 줄이고 조정과 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사회적 자본이 필요한 것이다(Putnam, 1993).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상호네트워크, 상호신뢰, 상호정보교류, 파트너십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이해관계자 간에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파악하고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와 관광성과인식과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관광개발정책과 관광지의 경쟁력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관광이해관계자들의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정책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검증결과, 상호신뢰, 상호네트워크, 상호정보교류가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파트너십은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호신뢰, 상호네트워크, 상호정보교류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관광개발정책을 수용하기기 위한 협력관계에서는 상호신뢰가 우선적이어야 하며,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정보교류가 이뤄져야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속가능 관광개발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신뢰가 높게 형성되고 참여의사 및 교류 등이 원활해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Saxena, 2006)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가 관광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검증결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와 관광성과인식에 대해 지지 혹은 부분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Lester & Weeden, 2004; Yoon, 2002; 윤유식·박덕병, 2008, 윤주영, 2008)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가설 검증결과 관광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과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 요인은 관광성과인식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신뢰를 통한 상호정보교류 및 상호네트워크 형성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공동목표 설정을 용이하게 해준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관광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가 높아지며, 관광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이 높아질수록 관광성과인식도 높아지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와 관광성과인식의 선행요인으로 관광이해관계자의 사회적 자본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관광이해관계자 간의 사회적 자본을 유도하고 발전시킨다면 관광개발정책수용태도와 관광성과인식을 높일 것이며, 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면 향후 경쟁력을 갖춘 관광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컨벤션기획사의 기획역량 활용에 따른 직무만족과 성과에 관한 연구
신수영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컨벤션 산업은 대표적인 지식기반의 서비스 산업으로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컨벤션 기획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전략적이 고 창의적인 기획역량 활용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한정된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질적 성장을 가져올 수 있도록 컨벤션 기획사의 기획역량의 활용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 및 조직 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컨벤션 관련 기업 종사자, 주최 기관 담당자, 컨벤션 시설 및 장치 기업 종사자, 컨벤션 서비스 및 관광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컨벤션 기획사의 기획역량 활용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 및 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컨벤션 기획사의 기획역량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총 252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컨벤션 기획사의 직무에서 기획역량 활용 측정요인을 현장운영 및 성과 관리, 총괄기획 및 운영, 행사유치 및 개발, 홍보 및 디자인 운영, 프로그램 계획 및 개발, 참가자 관리로 도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컨벤션 기획사의 기획역량 활용은 직무만족, 직무성과와 조직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와 조직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컨벤션 기획사가 단순한 행사 운영의 직무를 대행하는 역할이 아닌 기획역량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컨벤션을 기획하였을 때 경쟁력 제고와 컨벤션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고, 기획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직무 역량 개발을 위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인적자원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증적 근거 자료를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onvention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nd the human resources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e need to use strategic and creative planning capabilities is rais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 use of the planning capability of the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so as to bring about qualitative growth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by utilizing limited huma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level of utilization of the strategic capability of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for convention -related enterprise workers, organizer representatives, convention facility and equipment enterprise workers, and convention service and tourism worker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a total of 252 copies of the effective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the operational factors and performance management, general planning and operation, event planning and operation, event promotion and design, publicity and design operation of the planning capability utilization in the duties of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and participant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planning capability of the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affects both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has been verified to affect both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is study, it suggests that when the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devised a differentiated convention based on strategic capability rather than acting as a proxy for the task of operating the event, it can improve competitiveness and br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nvention industr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stablished empirical evidence that can help practically develop human resources by deriv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to the fullest extent.
지속 가능한 컨벤션 개최 레거시(Legacy) 평가 지표 개발 연구
컨벤션 산업은 국제사회의 정보‧문화‧인적 교류를 가능하게 해주는 매개체로서 주목받고 지속해서 육성되어오고 있다. 특히,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효과와 생산 및 고용 등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인식되며, 다양한 도시와 목적지에서 컨벤션 산업 경쟁력의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컨벤션 산업의 가치를 밝히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컨벤션 개최 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에서 언급된 효과들은 ‘지역’ 중심의 방문자 경제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특히 온라인, 하이브리드 컨벤션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비대면 컨벤션의 개최로 인해 그동안 강조되어왔던 지역에 대한 파급효과나 방문자 경제를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에 연구되었던 컨벤션 파급효과 이상의 새로운 컨벤션의 가치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단기적인 개최 효과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보다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치인 컨벤션 레거시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지속 가능한 컨벤션으로의 발전과 컨벤션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컨벤션 레거시에 대한 관심이 유럽과 미주를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주로 컨벤션뷰로를 중심으로 레거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학술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속성을 도출하고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컨벤션 산업이 가진 가치를 더욱 명확히 제시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 사례조사, 심층 인터뷰, 델파이 조사, AHP 조사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사례조사, 심층 인터뷰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속성, 구성 차원을 도출하였다. 컨벤션 개최 레거시는 ‘컨벤션 개최로 인해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가치’를 의미하며, 가치성, 지속성, 계획성, 비계획성, 지역성, 확장성의 속성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제산업 레거시, 경제적 레거시, 지역적 레거시, 사회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 5가지로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부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통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델파이 조사와 AHP 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의견수렴을 위하여 PCO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자군, 베뉴와 CVB & RTO 등을 포함하는 개최지군, 컨벤션 주최자군, 대학교수,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연구자군으로 패널을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35명, AHP 조사는 총 2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5개 대분류 18개 중분류 54개 세부 항목을 도출하고 그 우선순위와 가중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크게는 주제산업 레거시, 경제적 레거시, 지역적 레거시, 사회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분류와 세부 항목 간 중요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술적으로는 컨벤션 분야에서 레거시 개념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시도한 국내 초기 논문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컨벤션이 가진 효과의 개념을 확장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컨벤션 관련 정책 이해관계자들과 컨벤션 주최자, 컨벤션뷰로를 비롯한 개최지, 컨벤션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컨벤션 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평가지표를 활용하는 방안과 연구 결과를 실제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컨벤션 개최 레거시의 개념과 평가지표가 학계와 산업에 널리 적용된다면, 지속 가능한 컨벤션이 가능해지고, 컨벤션의 가치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CILE CORONA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e study focused on exhibition employees’ plural dimensions of cultural intelligence and its effect on different types of performance and their loyalty to their organization in South Korea. This investigation was found necessary regarding the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cultural intelligence in the MICE industry although it is undeniably a sector marked by cultural diversity. The objectives were to identify each key dimension of cultural intelligence and its effects on exhibition employe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loyalty. The study sample constituted of 237 exhibition employees present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in Seoul and its surroundings. The findings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most of the dimensions of cultural intelligence on practical performance and partial significance on the . Additionally, result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new insights regarding cultural intelligence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erformance of exhibition employees and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further research on cultural intelligence in the MICE industry.
MICE 국제교류협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Heuristic 접근법 활용
MICE 산업은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필요한 산업이다. 국제사회의 흐름을 반영하고 트랜드를 분석하여 다방면의 국제전문가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획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의 변화와 니즈에 맞게 플랫폼과 컨텐츠가 바뀌어야 하고, 협력적 국제관계 확대 및 성공적 협력활동이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제사회를 근간으로 발전되어 온 산업이다. MICE 산업의 국제화는 국내 MICE의 지속가능한 질적성장과 범위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MICE 산업이 국내시장에 머물러 있는 문제, 인적자원의 글로벌 역량 부족 현상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으며, MICE 산업성장을 위한 전략은 국제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MICE 이해관계자들의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확대하고, 성공적 수행을 통해 국제화를 이뤄나갈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MICE 이해관계자들이 국제무대로 진출하고자 할 때 노하우 부족으로 오는 한계를 느끼고 있다. 성공적 국제교류협력을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하는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실천적 로드맵과 국제교류협력의 효과성을 연구함으로서, MICE 이해관계자의 국제교류협력 활동의 전략적 실행을 위한 통합적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기본이론으로 국제협력이론, 상황결정이론을 채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다방면 탐색, 다양한 접근을 통해 타당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휴리스틱 접근법(Heuristics)을 활용하였다. 국제교류협력이 광범위하고, 결정요인에 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휴리스틱 접근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검토와 전문가의 폭넓은 경험을 접목한 ‘탐색적 집단지성 휴리스틱’을 계획하여 수행하였다. 타 분야로 확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법률 및 정책계획 등을 고찰함으로 MICE 국제교류협력의 동기 및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요인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예비요인도출을 하였으며, 총 3차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구분된 총 4개의 주요인과 20개의 하부요인이 결정요인으로서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계층간 의사결정분석방법(AHP)을 활용하여 요인간 중요도, 즉 실무 적용을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 명확한 연구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하였고, 논리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집중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성을 연구하여 이해관계자들의 국제교류협력 수행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성공적인 국제교류협력 활동은 산업 고도화를 이룰 수 있는 요인으로서, 브랜드 가치 제고, MICE 경쟁력 증대, 글로벌 역량 강화를 직접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MICE 국제교류협력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국제교류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결정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실제 MICE 산업에서 추진되고 있는 국제교류협력 활동의 형태를 분석하여, ‘단계별 협력활동을 위한 결정요인 활용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협력 형태와 실행 단계에 따라 결정요인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 대한 실천적 노하우를 제시함으로서 이해관계자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MICE 산업의 확장 및 고도화를 가능케 하는 기초 데이터로서, MICE 이해관계자들의 국제화를 향한 첫걸음에 디딤돌로서 의미있는 역할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egan with raising issues of the Korean MICE industry staying in the domestic market, the lack of global capacity of MICE human resources, and focusing on the strategy for MICE industrial growth should start with efforts to achieve internationalization. Successful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are factors that can achieve industrial advancement, and are direct ways to achieve brand value, increase MICE competitiveness, and strengthen global capabilities. This study would ultimately present integrated ideas for strategic implementation of MICE stakeholders, by deriving determina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dvance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studying practical roadmaps and the effectiveness. The basic theories of research were adopted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ory and Contingency theory. As a research method, heuristic approaches is utilized that allow researchers to independently explore many ways and produce reasonable and objective results through various approaches.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heuristic approaches, this study plan and perform 'exploratory swarm intelligence heuristics' that combine multidimensional reviews with extensive experts’ experience. Preliminary factors were derive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actors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thre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four main factors and 20 sub-factors, separa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ere finally derived as determinants. Furthermore, this study leverag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o derive inter-factor importance, i.e., priorities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an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model in MICE. In addition, it presents a roadmap for utilizing determinants for step-by-step cooperation activities. As basic data that enables the expansion and advancement of the MICE industry, it is expected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a stepping stone to the first step toward internationalization of MICE stakeholders.
컨벤션 SNS마케팅특성에 따른 참가자 인게이지먼트(Engagement)와 참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심윤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최근 인터넷과 핸드폰 사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기업 및 기관, 지자체에서도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SNS를 활용하여 고객과 소통하는 마케팅을 많이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기업 및 지자체, 기관에서는 SNS가 마케팅에서 꼭 필요한 하나의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SNS가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면서 여러 분야에서 SNS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컨벤션 산업에서의 SNS마케팅 특성이 참가자 인게이지먼트와 참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SNS마케팅 특성이 참가자 인게이지먼트 행동 중 어떤 속성이 영향을 받으며, 참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도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하여 파악하여 컨벤션산업을 활발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SNS마케팅을 통하여 컨벤션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총 282부의 유효한 응답을 얻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마케팅 특성을 정보 접근성,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개인 맞춤성으로 도출하였고, 참가자 인게이지먼트 행동을 관찰, 참여, 상호작용으로 도출하였다.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4개의 SNS마케팅 특성 모두 참가자 인게이지먼트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 만족도에는 참가 인게이지먼트 행동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자 행동의도에서는 관찰을 제외한 참여, 상호작용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컨벤션산업에서 SNS마케팅 특성이 참가자 인게이지먼트와 참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SNS마케팅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컨벤션을 활발하게 기획 및 운영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증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특성이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S-O-R 이론을 중심으로
Mobile shopping has developed rapidly due to network and 5G technology development. Along with the recent change in the media platform and the spread of Untact culture due to COVID-19, the tourism industry is selling items through live commerce services as well as online. While an increasing need for research on live commerce, a very trendy tourism service in Korea, there are not many precedent studies about thi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live commerce is useful as a sales channel. Building a marketing strategy for live commerce users is also needed as consumers' needs are diversifying. Therefore, this study proves the value of live commerce service that is continuously developing in the tourism industry. Also, the study verifies how consumers' satisfaction and immersive view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ing behavioral inten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people in the tourism industry. This study was focused on consumer behavior by applying the S-O-R(Stimulus-Organism-Response) theory based on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ith stimulation (S), consumer satisfaction, immersive viewing,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s a response (R) to identify the impact on final behavior.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platforms and information sources. For commerce platforms, interacti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entertainment, and for information sources, reliability,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were selected as measurement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study on consumers with experience using live commerce, and a total of 385 valid samples were implemented in empirical analysis. The SPSS26.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implementing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six hypotheses were adopted from H1 to H6 in this study. It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platforms have effects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immersive viewing in the order of entertainment, information usefulness, and intera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ource, the order of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reliability was effective in the satisfaction of use. Also, the order of reliability,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was effective in immersive view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immersive viewing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ravel product purchase behavior through live commerce.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satisfaction and immersive viewing in future research or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developing a research model that can be empirically applied to live commerce marketing by verifying the direct effect of live commerce characteristics on consumer satisfaction, immersive viewing, and purchase behavior intention. Moreover, domestic tourism industry companies, sellers, and live commerce operators will need to help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secure competitiveness as important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o improve the intention to purchase travel products through live commerce. 네트워크 발전과 5G 기술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쇼핑은 빠르게 발전되어 왔다. 최근 미디어 플랫폼의 변화와 COVID-19로 인한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관광산업은 온라인뿐만 아니라 라이브커머스 서비스를 통해 여행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된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라이브커머스 관련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가 판매채널로서 유용한지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라이브커머스 이용자들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산업 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에 대해 가치를 입증하고, 라이브커머스의 여러 특성 중 소비자의 이용 만족도 및 시청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소비자의 만족도와 몰입감이 구매행동의도에 최종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여 라이브커머스 마케팅을 시행하는 관광업계 종사자들에게 이론적인 방향과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 데에 연구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S-O-R(Stimulus-Organism-Response) 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특성을 자극(S), 소비자의 이용 만족도 및 시청몰입을 유기체(O), 구매행동의도를 반응(R)으로 연구 모형을 수립하여 최종 행동까지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특성과 정보 원천 특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플랫폼 특성으로는 상호작용성, 정보유용성, 오락성, 정보 원천 특성으로는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을 측정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85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실시하였다. 통계는 SPSS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의 가설 H1~H6까지 총 6개의 가설 모두가 채택되었다.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특성은 오락성, 정보유용성, 상호작용성 순으로 소비자의 이용 만족도와 시청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원천 특성 중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력성, 전문성, 신뢰성 순으로, 시청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순으로 검증되었다. 소비자의 이용 만족도와 시청몰입은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여행상품 구매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향후 소비자 행동에 관련된 연구 혹은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만족도와 몰입감의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여행상품 라이브커머스 특성이 소비자의 이용 만족도 및 시청몰입과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라이브커머스 마케팅에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모형을 개발한 것에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여행상품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한 요인들을 밝혀냈으므로, 국내 관광산업 기업 및 판매자, 라이브커머스 운영자들이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가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신지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king an innovation that increases productivity and enables personalized products and services to be deliver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industry. Convention industry is growing fast, and to maintain its grow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arket itself and its rapidly changing dem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echnology utilization, develop new business models, and redefin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herefore, to make the convention industry more competitive, convention planners must actively utilize meet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oud computing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meeting technologies affect the overall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concepts of meeting technology characteristics, utilization degree,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xtracts the components and measurement methods for each variable. With this, the study has used an online survey of convention planners, obtained a total of 234 valid responses, for the analysi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meeting technology, the roles of convention planners are drawn into 10 sub-factors such as contract, registration, transportation, guidance, workforce management, design, venue, participant management, event management, and promotion/marketing, and these factors are used to organize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utilized meeting technology. In addition, the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eting technology into five factors such as reliability, convenience, economic efficiency, safety of use, and interactivity, and the survey is conducted using these factors for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in a single dimension.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nience and interactiv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eting techn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meeting technology. Secondl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eting technology, reliability, convenience, economics, and inter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work efficiency, but use safety does not. In addi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eeting technology, reliability, convenience, and inter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economic and utilization safety does not. Thirdly,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meeting techn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Also, work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Lastly, this study draws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convention planners with the results of the impact of meeting 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n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First, for the academic implication, the study looks at the specific field of meeting technolog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conference technology which is also called as ‘Untact’ in the COVID-19 era. Also, by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meeting technology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it verifies how the technology influences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convention planners. Secondly, the value of this paper is tha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can be used as basic study that can be understood by industry stakeholder including convention organizers and planners, convention facility managers, and meeting technology developers. Thirdly, for the policy implication, the security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vide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speakers and participants. In addition, a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ccount for the most of the domestic convention industry, it is important to have supporting system that lowers the entry barrier, allowing more companies to utilize the meeting technology, and improving the convention planning and management. Lastly, the current convention industry relies on human resources, but it needs to be more flexible to predict and adopt to the changes in the industry with the meeting technology and agile to establish better policy to promote the future convention industry. Meeting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a breakthrough to bring innovation for the convention industry which is now surrounded by slow growth. Wi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eting technology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convention planners and become the next growth engine for the convention industry.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과 산업의 융합으로 생산성 제고와 개인별 맞춤 상품, 서비스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이다. 컨벤션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그 성장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요가 급변하는 컨벤션 시장을 빠르게 파악하고 기술 활용,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조직 능력 등 시대적 변화에 따른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컨벤션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컨벤션 기획자들이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미팅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가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 업무효율성, 직무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각 변인의 구성 요소 및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컨벤션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4부의 유효한 응답을 얻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미팅 테크놀로지 활용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컨벤션 기획자의 업무를 계약, 등록, 수송, 안내, 인력 관리, 디자인, 행사장, 참가자 관리, 행사 운영, 홍보/마케팅 등 10개의 하위요인으로 도출하여 활용 미팅 테크놀로지의 분류 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미팅 테크놀로지의 특성을 신뢰성, 편리성, 경제성, 이용안전성, 상호작용성 등 5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도 각각 5개의 항목을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가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 중 편리성, 상호작용성은 미팅 테크놀로지 활용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 중 신뢰성, 편리성, 경제성, 상호작용성은 업무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이용안전성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 중 신뢰성, 편리성, 상호작용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성과 이용안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팅 테크놀로지 활용정도는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업무효율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가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컨벤션 기획자의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비대면 방식의 언택트(Untact) 회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미팅 테크놀로지라는 특정 분야에 주목하였다. 또한, 미팅 테크놀로지 특성과 활용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컨벤션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실무적 관점으로는 컨벤션 주최자와 기획자, 컨벤션 시설 담당자, 미팅 테크놀로지 개발자 등 산업 이해관계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가치를 둔다. 셋째,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기술의 보안과 정보보호 체계를 강화하여 연사, 참가자 등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국내 컨벤션 산업의 대부분은 중·소규모의 기업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팅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다양한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진입 장벽을 낮추고, 컨벤션 운영 기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적 자원에 의존하는 컨벤션 산업이 기술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예견되는 변화를 예측하고 컨벤션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저성장 국면을 맞이한 컨벤션 산업에 파괴적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한 돌파구로 미팅 테크놀로지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팅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컨벤션 기획자의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컨벤션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Animal model study for cancer cachexia : Lewis lung carcinoma and MC38 colon carcinoma mouse model
암 악액질은 염증에 의해 유발되고 근육 골격근의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폐암 및 소화기계암 환자에게서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암 악액질의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골격근의 손실에 초점을 맞추어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암 악액질 동물 모델은 C57BL/6 마우스에 Lewis 폐암(Lewis lung carcinoma, LLC) 또는 MC38 대장암(colon carcinoma) 세포를 접종하여 종양을 유도하였다. 비복근의 골격 근육 조직은 RNAseq, Realtime qPCR, western blotting 및 confocal microscope를 이용한 immunofluorescence로 분석하였다. 암이나 AIDS 환자의 악액질에 현재 사용중인 Megestrol acetate를 본 연구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LLC폐암과 MC38 대장암을 유도한 마우스는 음식 섭취량과 근육량 뿐만 아니라 앞다리의 그립 강도(grip strength) 및 러닝 머신을 이용해 측정한 최대 운동시간(treadmill running time) 등 골격근의 기능이 의미있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및 대장암을 유도한 마우스는 혈장 및 근육에서 TNF-, IL-6 및 IL-1β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과 근육에서의 NF-κB 신호전달경로 및 NF-κB의 표적 DNA부착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근육특이적 E3 유비퀴틴 분해효소인 MuRF1과 MAFbx는 LLC폐암 또는 MC38대장암을 유도한 마우스의 골격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Myosin Heavy Chain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egestrol acetate는 근육에서의 NF-κB 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감소시켰으며, 골격근에서 MuRF1과 MAFbx를 감소시켰다. 이 연구는 LLC 폐암 또는 MC38 대장암을 유도한 마우스 모델이 골격근에서 NF-κB 활성 및 근육특이적 E3 유비퀴틴 분해효소의 증가를 통해 근육의 기능 및 근육량의 손실을 특징적으로 잘 보여주는 우수한 암 악액질 동물모델임을 제시하고 있다. Cancer cachexia is a catabolic syndrome driven by inflammation and characterized by loss of skeletal muscle.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nimal models of cancer cachexia and characterize them, with a focus on the loss of skeletal muscle. The cancer cachexia animal model was constructed using C57BL/6 mice inoculated with Lewis lung carcinoma (LLC) or MC38 colon carcinoma. Skeletal muscle tissues were analyzed by RNAseq, realtime-qPCR, western 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Megestrol acetate, which is currently treated for the cachexia of cancer or AIDS patients,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for this study. Both LLC lung cancer and MC38 colon cancer-bearing mice showed reduced muscle function, measured by grip strength and treadmill running time, as well as reduced the muscle mass and food intake. Both cancer-bearing mice showed increases in NF-κB activity and in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 IL-6, and IL-1β. The muscle-specific E3 ubiquitin ligases, MuRF1 and MAFbx,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the skeletal muscle of both LLC lung and MC38 colon cancer-bearing mice. Megestrol acetate reduced both NF-κB signaling and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It also downregulated MuRF1 and MAFbx in the skeletal muscle of both LLC and MC38 cancer-bearing mice. This study showed that LLC lung cancer mice or MC38 colon cancer-bearing mice are good cancer cachexia animal models, which show the loss of skeletal muscle function and mass through the upregulations of muscular NF-κB activity and muscle-specific E3 ubiquitin lig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