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의 체계적 공유를 위한 비선형편집 시스템 연계 및 활용방안 연구

        오태규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0년 12월 26일 방송위원회가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2001년 12월부터 지상파방송사에 의해 디지털 방송이 시작 된다. 그리고 2012년 12월 21일자로 TV에서 아날로그 방송은 종료되었다. 아날로그시대에서 디지털시대로의 전환은 과거와의 판이하게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디지털의 특징은 정보가 언제든지 조립되고, 해체될 수 있으며, 업무패턴이 공개적 통합 형태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즉 디지털의 패러다임은 압축, 복원, 전파 과정을 모두 새롭게 바꿔놓고 있으며, 제작환경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바꿔놓는 지각변동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자료와 영상편집, 즉 저장매체를 방송 제작 환경의 근본적인 중요 변화요인으로 보았다. 저장매체의 변화는 촬영, 편집, 송출, 저장 등 포괄적인 방송의 행위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력을 제공했다. 미국을 비롯한 영국, 일본 등, 이미 디지털 방송의 도입기를 지나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로 진입한 국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아카이브와 비선형편집 시스템에 대한 논문과 시스템 관련 기술 자료, 그리고 국내 방송정책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의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삼았으며, SBS, MBC, KBS의 아카이브 시스템 및 비선형편집 시스템 활용에 관련된 내부 문건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 제작 환경의 변화와 아카이브시스템과 비선형편집시스템의 공존으로 인해, 한 장소에서 한 번의 지시에 의해 아카이브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되며, 필요한 자료나 영상들이 손쉽게 제공되어, 영상 편집 및 송출의 기능까지 한 번에 진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카이브 시스템과 비선형편집시스템의 공존이 가져온 대표적인 시스템은 뉴스디지털시스템이다. 디지털 혁명의 기본이념인 생산성과 효율성에 맞춰진 기술적 공존의 결과물로, 비선형 편집이 끝나면 뉴스를 최종 송출하는 뉴스센터로 전송하고, 전송된 영상클립은 자동으로 보도편집부에서 짜놓은 큐시트에 연결되어 방송준비를 마치게 된다. 또한 뉴스의 진행 도중 상황변화나 긴급뉴스에 대한 응급 대처가 용이해졌다. 아카이브 시스템인 중앙저장장치인 자료의 공유, 다중 동시검색, 신속한 검색과 편집의 효율성은 높아졌다. 앞으로 디지털 방송 장비 관련 기술 및 시스템은 계속 발전할 것이다. 디지털 아카이브도 점차 구축되어 각 방송사의 영상자료 시스템도 체계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비선형 편집 시스템도 날로 변화하고 발전할 것이다. 본고는 또한, 우리나라의 방송 정책이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춰 함께 변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카이브는 기초적인 작업과 구축을 한다 하여도, 영상 자료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영상편집시스템의 편리함은 의미를 잃게 될 것이고, 아카이브가 추구하는 기본 이념마저 의미를 잃게 될 것이다. 지금은 뉴스디지털시스템만이 공존의 결과물로 존재하고 있지만, 추후 아카이브 시스템과 비선형시스템의 활용은 뉴스를 넘어서, 리얼리티와 드라마 및 다큐멘터리 제작에도 활용되어, 시간의 단축과 완성도, 즉 질적 향상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될 것이다. On December 26th, 2000, the Korea Broadcasting Commission confirmed plans to adopt digital television for terrestrial television, which was implemented on December of 2001. Analog TV became history on December 21st, 2012. The transition from analog to digital is a new paradigm that is vastly different from the past. With digital, information can be assembled or disbanded anytime with an open and integrated work pattern. In other words, digital paradigm changes the process of compression, restoration, and transmission. Accordingly, the work environment is changing completely from the core. This study saw the storage medium such as video archive and editing, as the fundamental and crucial changing factor in broadcasting work environment. Changes in the storage medium brought direct or indirect changes to comprehensive broadcasting activities such as filming, editing, transmission, and storag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amples from countries that implemented digital television and embraced the digital age completely, including the US, England, and Japan. Papers on archives and non-linear editing system, articles on system-related technology, and reports from public institutions that oversee policies on Korean broadcasting were used as basic data. Internal reports from SBS, MBC, and KBS regarding their archive system and non-linear editing system were also used as reference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changes in the broadcasting work environment from transition to digital completely automates the archiving process in a one-stop setting through coexistence between archive system and non-linear editing system. Data or videos are easily provided when needed. Video editing and delivery can be done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es news digital systems(NDS) as a premier example of changes brought out by the coexistence of archive system and non-linear editing system.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coexistence that is brought on by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digital revolution, news can be delivered to the news center after non-linear editing. The delivered video clip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cue sheet written by the news editing team, ready to get on air. This also makes it easier to respond promptly to breaking news or updates that occur during news broadcasting. Sharing, conducting multiple simultaneous searches, quick searches, and editing became more efficient through the central archive system. The technological sid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equipment and system will continue to improve in the future. Digital archive will be designed to efficiently structure each broadcasting company's video archive system. Non-linear editing system will continuously change and improve in the future. This paper sees that the problem lies in that while technology is improving, the policies regarding broadcasting remain stagnant. Even with a structured archive, the convenience of video editing system a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digital archive system will lose their purpose without proper sharing of video data. As of now, only NDS remains as the only product of coexistence. In the future, use of archive system and non-linear system will be able to expand beyond news to be utilized in reality shows, dramas, and documentaries to save time and improve quality.

      • 할리우드 3D SF영화의 한·중 수용자 만족도 연구

        마소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近年来,从好莱坞电影的票房在世界电影市场一直占据领先地位,与其精良制作技术、庞大的产业规模、背后的资金实力是分不开的。随着电影技术的飞速发展,先进的制作技术带来的华丽特殊效果,3D放映技术带来更好的视觉体验,好莱坞众多演员,电影的故事情节,以及电影周边产业等,都是给观众群体带来较高满足度的要素。3D制作技术和3D放映形式广受观众的好评。尤其是在表现科幻元素电影时,给人更好地空间感受。同时好莱坞电影中包含着多元化的文化,更易于被世界各地观众接受。东亚地区是好莱坞电影的全世界第二大市场,本论文以中国和韩国观众为调查对象,研究在中韩两国不同的文化背景下,观众对于好莱坞3D SF电影的满足度进行了研究。 通过问卷调查的数据结果表明:首先,年龄中国和韩国观众大部分集中在20-50岁,这一部分年轻人对好莱坞3D科幻电影有极大的关心。两国观众有着共同点,喜爱自己的文化,同时也接受好莱坞外来文化。 首先,中韩观众普遍认为,好莱坞电影中包含了越来越多的东亚元素,使得观众对好莱坞电影的喜爱度增加。对于好莱坞电影占据了世界最高的市场份额,中韩观众一致认为视觉特效是首要原因。好莱坞电影高满足度的原因是优良的制作技术以及东亚文化的融合。 第二,好莱坞3d科幻电影的观众满足度。从故事情节、视觉效果、明星、宣传、电影周边,网络产业等外部因素的影响进行调查分析。中国观众对视觉效果和放映厅环境有更高的关注度,而韩国观众对电影内容,故事情节的构成因素有非常高的满意度。中国观影人数多,人口密度大,所以这方面考虑因素比较多。中韩观众对4D电影的体验,和相关产业的发展有很高的期待。 第三,好莱坞3D科幻影片在东亚的成功因素主要是因为东亚大众的多样的文化媒体,观众积极使用新媒体的原因分析。尤其是,好莱坞3D科幻电影的空间感的临场体验,中韩观众都关注与视觉效果。 世界电影市场中,东亚的市场占据越来越重要的地位。本论文以电影制作技术和电影产业为中心,对好莱坞在韩国和中国的电影产业和观众满足度进行研究以及对未来的发展提出展望。 关键词: 好莱坞3D科幻电影 中韩观众 满足度 최근 몇 년간 할리우드 영화는 동아시아 관객의 만족도를 위해 스크린의 크기, 영상의 몰입감, 콘텐츠의 다양화를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하였다. 동아시아의 영화 시장의 점유율에서 줄곧 일등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흥행에도 성공했다. 이는 우수한 제작 기술과 큰 산업 규모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있는 할리우드 시스템에 동아시아 마케팅을 더하여 집중한 결과였다. 이는 다양한 대중문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동아시아 관객에게 볼거리 많은 3D 특수시각효과와 시각 체험, 이국적인 할리우드의 월드스타 배우들, 동서양을 아우르는 탄탄한 스토리에 많은 관객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본 논문은 할리우드 영화의 동아시아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한국과 중국 관객을 연구 대상으로 할리우드 3D SF영화에 대한 관객 만족도를 연구했다. 한국과 중국 관객 340명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 범위는 20-50세이며 연령대별 만족도의 상이한 점도 있지만 전체적인 연구 조사에 따른 결과는 한·중 관객은 문화적인 차이는 있지만 매우 할리우드 3D SF영화에 관심이 높다는 것이다. 첫째, 한·중 양국의 관객 문화는 다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지만 양국의 문화의 차이점이 큰 편이다. 한국의 문화 분위기에서 사랑과 가족관계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스토리가 더 중요한다. 중국의 문화 분위기에서 역사와 웅장한 장면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특수효과를 더 중시한다. 그리고 중국은 다민족 국가이며 다원화 문화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 문화를 흡수하는 데에 한국보다 정도 더 크다. 둘째, 양국 관객은 자국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다. 동시에 선진 기술과 문화에 대한 열망이 매우 높고 이에 할리우드 테크놀로지에 대해 매우 관심이 많다.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동아시아 마케팅에 적극적이다. 할리우드 영화산업은 관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우수한 제작 기술과 타 지역의 문화 융합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할리우드 3D SF 영화에 대해 관객 만족도의 통계 분석 요인으로는 스토리, 시각 효과, 스타, 홍보, 영화의 주변 네트워크 산업 등 영화 내외적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중국 관객은 현란한 시각효과와 상영관의 편이성을 매우 고려하고 있으며 한국 관객은 영화 콘텐츠 스토리의 구성을 매우 높게 만족도 요인으로 본다. 그것은 중국 인구수가 많기 때문에 상영관의 관객밀도가 영화를 볼 때 고려하는 요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한·중 관객이 모두 3D SF 영화를 관람하기 위한 편이성을 고려하고 있었다. 이에 따른 4D 체험 공간에 따른 의자, 스크린 등 관련 산업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있어야겠다. 넷째, 할리우드 3D SF 영화가 동아시아 관객에게 성공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동아시아 대중의 다양한 문화 매체를 선택 할 수 있는 한계와 새로운 미디어에 적극적 사용자의 반응을 가지는 국민정서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할리우드 3D SF 영화의 공간감에 프레젠스 몰입감에 대해 한·중 관객 모두 시각 효과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세계 영화 시장에서 동아시아의 시장은 더욱 무게 있는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다. 부족하나마 이번 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와 산업 중심에서 한국과 중국이 선점할 수 있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를 산출하는 기반으로 양국의 영화 산업에 대한 이해와 관객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자 한다. 주제어 : 할리우드 3D SF영화 한·중 수용자 만족도 Recent years, the satisfaction of Hollywood 3D SF film including screen, projection and diversified contents are aiming at kㄷeeping a positive marketing. Hollywood film accounts for the top film marketing share, box-office and awareness in the world. Hollywood films involve great manufacturing technology, large industry scale and are given high amount of funding. Film industry is developing rapidly; 3D technology and VFX have attracted many audiences. Especially, it gives audiences better space perception to experience the SF elements. Hollywood films contain multi-cultures and are easy to be accepted by audiences who come from all over the world. Actors, actresses and good stories also have a good remark by audiences. This article chose 340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to be respondents and research the satisfaction of Hollywood 3D SF films. The main age range is from 20 to 50 years old. Although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pay high attention to Hollywood 3D SF films. Firstly,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are proud of their own cultures and focus on advanced technology, so they ar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in Hollywood 3D SF film. Hollywood film industry aims at to expand East Asian market with great technology and culture fusion. Secondly,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have high satisfactions in story, special effect, stars, film publicity, film industry and network industry. Because of the density of population, Chinese audiences expect special visual effects and great environment of cinema. Korean audiences focus on the factors of story structure. Bo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expect 4D technology to create a sense of three-dimensional. Thirdly, the successful factors are diverse media cultures and audiences experience in East Asia,especially, the successful factor is the sense of space of Hollywood 3D SF film. Both of Korean and Chinese like great visual effects. East Asia film market becomes an influential market in the worl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entre of film technology and industry. Korea and China account for the highest marketing share in East Asia. So the research based on Korean and Chinese will play a valuable role in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s film industry. Key word : Hollywood 3D SF film, Korean and Chinese audience, satisfaction

      • 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요법 집단사진 · 미술치료 연구

        김 연 미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회상요법 집단사진·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시 B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경증우울여성노인 중 연구 목적에 동의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9명으로 구성하였다. 회상요법 집단사진·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9년 10월16일부터 2019년 12월1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GDSSF-K)과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실시를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프로그램 참여자의 일반석 특성, 가족관계, 생활수준, 교육수준, 연령)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프로그램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우울과 자아통합 간의 사전·사후평균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요법 집단사진·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 전체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상기반 집단사진·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 전체와 하위영역인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영역인 삶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못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회상요법 집단사진·미술치료가 지나온 삶이 모두 의미가 있다고 여기게 되었으며, 과거와 현재에 대해 조화와 균형을 이뤄 현재생활에 만족감 향상 및 긍정적인 이해를 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을 증진을 위한 회상요법 집단사진·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 purpose of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group photo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on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 improvement in ego-integra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70~80 aged women elderly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mild depression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S-gu, D cit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program was composed of 9 elderly who were asked to join by the nurses who have been dispatched to a General Welfare Facilities in B-gu and taking care of psychological health of the local elderly. A program of group photo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has been conducted 10 times, 90 minutes per time once a week from October, 16 to December, 18, 2019.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on the basis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adapted by Bae seok, Gi and Cheol weon, Lee(1996), and a scale that was gained by analyzing “Scale of Ego-Integration” adopted by Joo yeon, Hong(2000) and Jeong sun, Kim(1989). Lastly, DAS test was conducted accordingly.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relationship, standard of living and education, and age of the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With response results, the t-test was conducted and a statistical similarity of before-after average variation in depression and ego-integration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is clearly verified that the group photo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had a positive effect on decrease in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a pre-test, a group average was scored 8.35 (Highest score: 15 ) and in a post-test after conducing therapy 10 times, it was outstandingly decreased by 5.13. It was a meaningful fall in light of an entire statistical figure. Second, it is verified that the group photo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ego-integration of the elderly. In the pre-test, it was scored 2.21 and in the post-test, it was scored 2.41. Even though it is improved a little but it is a meaningful rise in light of the entire statistical figure. In addition, there was nooutstanding variation in a sub-factor. It was 2.13 in the pre-test and 2.48 in the post test in terms of “Accepta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t was 2.40 in the pre-test and 2.28 in the post-test in terms of “attitude of life”. It is found that the group photo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have the positive effect on decrease in depression and improvement in ego-integration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se also made the elderly to consider that all of their past lives are meaningful. This study puts a significant meaning that satisfaction at the present life is improved by balancing and harmonizing the past and the present. Therefore, the program of this study expects that it is actively used that the elderly accepts own lives and spends a healthy period of senectitude.

      • 문화예술활동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연구 : 생활음악활동을 중심으로

        김지영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업이 발달하면서 현대인들은 노동시간의 단축으로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문화와 예술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게 되었다. 문화예술은 특정 전공자의 전유물이 아닌 직업과 취미생활의 균형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가사노동과 육아에서 해방된 중년여성들에게는 중요한 쉼터가 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성들은 남성과는 달리 생애주기에서 결혼과 출산이라는 변수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이로 인해 사회 관계적 단절이나 경력단절 또는 자아상실을 겪게 되며 이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한 가정, 또는 사회, 더 나아가 국가의 문제로도 확산된다. 일과 여가시간의 균형 잡힌 생활은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과거에는 여가시간을 TV 시청이나 수면 등 소극적인 방법으로 보내는 경향이 많았으나, 현대에서는 건강증진과 삶의 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욕구가 높아지면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여가시간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문화예술활동에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활동 참여도와 중년여성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활음악활동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중년여성들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들이 활동하고 참여할 수 있는 생활음악활동 기회가 확장되어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을 제고 시키는데 문화예술정책이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활동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연령과 조절변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조절효과 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가족의 안녕감의 중심에 있는 중년여성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재조명하고 지방자치단체 생활음악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경기인천수도권 주민들이 지역 생활음악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신감과 자존감을 상승시켜 지역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이 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생활음악활동을 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3.0을 이용하여 실중분석을 하였다. 신뢰도가 있는 설문지 110부를 분석하였으며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는 문화예술활동을 하면서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서비스직에 종사하는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업주부인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음악활동 관람보다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이고 소극적인 활동인 관람보다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인 참여를 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활동과 생활음악활동이 중년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삶의 가치를 재조명해 본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문화예술활동 관람과 참여의 차이를 통해 문화예술활동의 활성화와 생활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s industry has been developed, the modern humans seek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rough culture and art activities with increased leisure time due to shortened working hours. The culture and art activities is not a property of majored person and play an serious role for making a balance between job and hobb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role like a shelter for middle-aged woman who are free from household labour and child care. Unlike man, woman undergoes many changes because of variable coming from marriage and delivery in their lifetime. Consequently, they go through social related disconnection, career interrupted or loss of identity and it could be expanded to the problem of house, society or even the country not only a matter of individual. In the past, many people tend to spend their leisure time in a passive way like a watching TV or sleeping. However, in morden times, as the desire seeking to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satisfaction of life increases, leisure time is utilized in a positive way and interst on curture and art activities is getting higher.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leisure time is an essential part of continuation for healthy life.Therefore,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olicy support on social music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for middle-aged woman and participation rate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The policy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have to become established efficienty and be realized so that it is enhanced of life quality for middle-aged woman by expansion of chances for social music activities that they can join and re-examined their valu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on sel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an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bdent variable with using the age and moderator variable. Us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an who is at the center of their family, will be re-examined and we seek to find the policy measures for revitalizing the social music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it is tended to try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ocal social life activities of theperson who live in Gyeonggi-Incheon division we would like to it is intended to help the influenc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We surveyed on middle-aged woman who are doing the social music activities and got the experience with empirical analysis(SPSS23.0). We analyzed the reliable 1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nd did th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First, it shows that the age is giving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In particular, it looks that the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re getting improved during the culture and art activities. Second, it shows that the job is related to the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f the person is working in office service, the level of self esteem is high and in the case of house wife, the life satisfaction is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is giving more effect rather than observation of social music activities and effect by participating in a direct and active activity is more bigger than the indirect and passive activity. Forth, it shows that the culture and art activities is giving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analyze the re-examination of life value against middle-aged woman and It is meaningful for doing the re-examination of life value of middle-aged woma. Of course,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can provide the objective basic date for development of program for social music activity and watching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through the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viewing and participation.

      • 전이적 공간의 기호적 특징과 시각적 메타포 활용기법 연구 : 60년대 이만희 영화 중심

        신현창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begins b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visual metaphors and semiotic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space in the films of director Lee Man-hee. Aside from his rich heritage in South Korean cinema, Lee is well known for his established mode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cinematographic experiments. In particular, the transitional space recurring in his works is a critical element 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generates diverse signification alongside the main space. This research interprets Lee's transitional space through the lens of semiotic and visual metaphor studies and characterizes it using an analytical approach. I offer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First,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ransitional space, I describ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ransitional spaces inside a building and in a city. Second, I adopt the concept of semiotics from Saussure, Peirce, Barthes, and Greimas as an attempt to apply a semiotic perspective to transitional space. Lastly, I study the concept of symbolic meaning applicable to space through the mechanism of visual metaphors and orientational metaphors. Three of his works are selected for analysis. <The Devil's Stairway>(1964) shows how Lee employs the interior space; <Homebound>(1967) alludes to how modern urban space in Seoul is perceived, and <A Day Off>(1968), a previously unreleased work, uses contemporary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as filming locations. To analyze Lee’s use of transitional space, I apply four analytical frames that can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emiotics and visual metaphors. Lee’s main space and transitional space generate signification through binary oppositions. To deepen the conflict of the narrative, the transitional space builds a contradictory relationship with the main space and becomes the place where major events happen. When presenting vertical transitional space, Lee forms the first signification through different phases of space and the characters’ direction of movement and adjusts the semantic intensity through the angle of inclination. A visual inclination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scene’s suspense and implying the scenes to come. He then segments the horizontal space into interior-exterior and central-peripheral space, which become contradictory visual metaphors. Placing such metaphors in the horizontal space generates similar experiential grounds, serving as the basis for various other metaphors. Toward the end of the narrative, the character retreats into the transitional space and becomes isolated, where spatial images and verbal expressions contradict each other and display emotional splitting. Lee presents the film themes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last scene, where meanings clash. The narrative space of a film can evoke different experiential memories in the audience,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from which it is viewed and portrayed. Lee's works demonstrate how transitional space and its nonbinary character can create signification in different ways and therefore how it can potentially be utilized. 본 연구는 이만희 감독의 작품에 표현된 전이공간의 기호적 특성과 시각적 메타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출발하였다. 한국 영화계에 큰 족적을 남긴 이만희는 다양한 영화적 실험을 통해 자신만의 표현기법을 구축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그의 작품 안에서 반복적으로 보이는 전이공간은 주공간과 함께 다양한 의미작용을 생성하는 서사구조 내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이만희 감독이 표현하는 전이공간이 어떻게 기호학과 시작적 메타포의 학문으로 해석 될 수 있는지 고찰하고, 분석적 접근을 통해 그가 표현하는 전이공간의 특징들을 탐구하였다. 먼저 이론적 이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세 가지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이공간의 정의와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건축물의 실내 전이공간과 도시 속 전이공간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둘째, 전이공간에 기호학적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 소쉬르와 퍼스로부터 바르트와 그레마스로 이어지는 기호학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셋째, 시각적 메타포와 지향적 메타포의 동작 원리를 통해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기호적 의미 개념을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한 작품은 이만희 감독의 실내 공간에 대한 활용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 <마의 계단>(1964), 근대 서울의 공간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귀로>(1967), 그리고 동시대 상업 공간과 주거 공간을 로케이션으로 활용한, 미개봉작 <휴일>(1968)을 선정하였다. 전이공간의 사례분석을 위해 기호학과 시각적 메타포의 상호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네 가지 분석 틀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만희 감독의 주공간과 전이공간은 이항 대립구조를 통해 기호적 의미를 생성한다. 전이공간은 서사의 갈등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주공간과 모순의 관계를 형성하며 주된 사건의 배경이 된다. 이만희 감독은 수직적 전이공간 표현에 있어, 공간의 위상차와 인물의 이동 방향성을 통해 기호의 일차 의미를 설정하고, 시각적 경사도를 활용해 기호의 의미 강도를 조절한다. 시각적 경사도는 장면의 긴장감을 조절하고, 다음 장면을 암시하는 역할도 수행 한다. 이만희 감독은 수평공간을 외부와 내부, 중앙과 외곽으로 분절하여 서로 대립하는 시각적 메타포를 설정한다. 수평공간에 설정된 메타포들은 비슷한 체험적 근거를 생성하면서 다양한 메타포 활용의 토대가 된다. 서사의 결말에서 인물은 전이공간으로 회귀하면서 고립되고, 공간 이미지와 언어 표현이 서로 상충하면서 분열된 심리를 표현한다. 의미가 충돌하는 모순된 화면구성을 통해 이만희 감독은 작품의 주제 의식을 마지막 장면을 통해 드러낸다. 영화의 서사적 공간은 그것을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시청자가 사유하는 체험적 기억에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이만희 감독은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전이공간의 특성을 통해 다양한 의미 생성 기법과 잠재적 활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 미디어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양재동 말죽거리 상권을 중심으로

        전정숙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full-fledged local autonomy system, interest in the role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has been increasing among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local residents, along with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regional development.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fact that Korea's economic policy has been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ith the goal of quantitative economic growth, but has not been able to break away from the economic backwardness of local regions and has only caused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w the overall social conditions are leading to interest in way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is can be said to reflect the fact that society is maturing to the extent that it is impossible not to see it. Local commerce is not a problem limited to local areas. Maljukgeori, located in Yangjae-dong, Seoul, has also brought abou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e local communit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its responsibilities and roles are also increasing accordingly. Yangjae-dong Maljuk Street is located in the Gangnam area of ​​Seoul, but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increase in large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Although it is located in Seoul, Yangjae-dong is unable to escape from the difficulties and shadows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The decline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inflow of the younger generation are causing difficulties for the economic environment that depends on the commercial district. Seoul's tourism industry, another mainstay, also shows a temporary boom during the peak tourism season, but as it experiences overall difficulties due to a decrease in travel expenses by tourists, all sectors of the real economy are experiencing a recession.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of Yangjae-dong in Seoul, the biggest challenge is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overall local economic downturn and come up with a prompt solution. Accordingly, this study recognized the need for media-based policy support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of the Maljukgeori shopping district in Yangjae-dong, Seocho-gu, and improve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we seek ways to improve the impact of media usage on local commercial districts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order to derive research result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residents and small business owners centered on the Maljukgeori shopping district in Yangjae-dong, Seoul. 110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dia usag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particular, SNS was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ocal store promotion and sales. Second, localnomics effects included the promotion of Maljukgeori, interest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ljukgeori, influx of younger generations, and revitalization of alley shopping districts. Third, media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age and localomics effects. As a plan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using media,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first, the story of Maljukgeori should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format, install a sculpture, and promote it. Second, we need to create a program that allows young people to participate in and sympathize with the Maljukgeori Festival. Third, it should be made into a short-term, continuous program once a month rather than an annual event. Fourth, everything about the Maljukgeori Festival will be archived in photos and videos and displayed at the Seocho-gu digital media space. Fifth, providing education on media usage and capacity building to small business owners and local residents in Maljukgeori, Yangjae-do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objective basic data for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plans and policy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ffect of localomic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dia usage to revitalize the commercial district of Maljukgeori shopping district in Yangjae-dong, Seoul. 본격적인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자치단체는 물론 지역주민들이 지역개발에 대한 인식 변화와 더불어 지역경제의 역할 및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경제정책이 양적 경제성장을 목표로 중앙정부가 주도하면서 지방의 경제 후진성을 탈피시키지 못하고 수도권 집중 현상만 야기시킬 수밖에 없었던 점과 이제 전반적인 사회 여건이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사회가 성숙 되어 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지역 상권은 지방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서울시 양재동에 있는 말죽거리도 역시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만큼 이에 따른 책임과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다. 양재동 말죽거리는 서울 강남권에 위치하고 있지만 골목상권은 대형 백화점이나 쇼핑몰의 증가 등 주변 환경 변화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지만 골목상권의 어려움과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양재동 말죽거리는 유동 인구 감소, 젊은 층들의 유입 감소는 상권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환경에 어려움을 미치고 있다. 또 하나의 주력인 서울시 관광산업도 관광 성수기에 일시적인 호황을 보이기도 하지만 관광객의 여행경비 지출감소 등으로 전반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실물경제 전 분야가 침체 일로를 겪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 양재동 골목상권 입장에서는 전반적인 지역경제의 침체에 따른 원인 규명과 조속한 해결책이 마련이 최대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초구 양재동 말죽거리 상점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주민들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미디어 활용이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울시 양재동 말죽거리 상점가를 중심으로 주민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신뢰도가 있는 설문지 11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활용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는 지역상점 홍보 및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칼노믹스 효과로는 말죽거리 홍보, 말죽거리 역사적 배경에 대한 관심, 젊은 세대 유입, 골목상점가 활성화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 활용과 로칼노믹스 효과 관계에서 조절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제인 미디어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말죽거리 이야기를 내용과 형식에 맞게 재구성하여 조형물을 설치하고 홍보를 해야한다. 둘째, 젊은 층들이 말죽거리 축제에서 참여하고 공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연중행사가 아닌 한 달에 한번이나 단기적이면서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야한다. 넷째, 말죽거리 축제의 모든 것을 사진과 영상으로 아카이브하고 서초구 디지털미디어 공간에 전시를 한다. 다섯째, 양재동 말죽거리 소상공인과 지역주민들에게 미디어 활용과 역량강화 교육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양재동 말죽거리 상점가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미디어 활용 정도에 따라 로칼노믹스 효과를 분석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및 정책개발에 있어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