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문거치형 환기청정기 개발연구 : 2006년 이전 지어진 아파트 적용 중심

        최혜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이전 지어진 실내 별도의 공조시설을 갖추지 않은 아파트의 주거 개선을 위해 창문틀에 거치하여 공기를 청정시키는 환기 청정기를 연구 제안하였다. 현재, 미세먼지는 해가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고 날씨를 예보하듯 일일 미세먼지의 유입상황을 실시간 예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예보는 국민들의 생활패턴과 활동에 영향을 줄 만큼 중요한 요소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 영향으로 현재 전자 제품형 공기청정기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들이 실내의 갇힌 공기만 필터링하는데 그쳐 근원적인 공기의 순환을 통한 청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청정의 원인이 되는 먼지에 대한 요인과 2006년 이전 지어진 아파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개발된 환기청정제품의 개발사례를 살펴보고 불편한 점과 개선이 필요한 점을 발견하여 연구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현재, 환기청정용으로 개발된 제품 대부분은 창문에 매립되거나 일부 연결하여 시공되는 타입으로 창문 전체를 교체해야만 설치할 수 있는 타입이다. 따라서 비용이 과하게 들고 공사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사례로 기존 설치되어 있는 창문에 간단히 PVC판넬을 설치하고 판넬에 배관과 공기청정기를 연결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제품은 창문의 주사용 문짝과 나란한 트랙에 판넬이 설치되어 창문의 본연(단열, 보안)의 기능을 온전히 할 수 없다. 그리고 연결된 배관이 외부와 연결되어 있어 배관의 내부가 온습도 변화에 의해 결로,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발견 되었다. 이러한 사례를 토대로 환기 청정제품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분명히 하고자 38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가장 큰 목적은 환기시 청정이 가능한 제품이 있다면 구입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청정기 사용경험유무, 공조기(폐열회수형 환기장치)사용 경험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해, 환기의 중요함을 인식하는 사람들이 65%이상이며, ‘미세먼지가 있는 날에도 환기를 한다’는 사람이 35%로 공기순환에 대한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기대이상으로 많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세먼지가 있는 날임에도 불구하고 직접 환기를 하는 사람들이 12%로 예상보다 많았다. 그 이유를 확인한 결과, 가장 큰 이유는 실내 공기가 갑갑하게 느껴져 환기를 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또한 공조기(폐열회수형 환기장치)를 사용해 본 경험자가 비사용자에 비해 환기청정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성의 인식이 더 높을 것이라는 가설에 있어서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유는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공조기를 잘 알고 사용한 경험자가 적었고 공조기를 통한 환기보다는 창문을 통한 직접적인 환기를 더 많이 했음을 짐작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반 공기청정기와 환기되면서 청정이 되는 제품 중 어떤 제품을 구입하겠는지를 질문하였을 때 환기 청정기를 구입하겠다는 응답이 41.4%로 일반 공기청정기(58.6%)보다 낮았지만 실내로 들어오는 먼지를 근본적으로 차단 할 수 있어서 좋고 실내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서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본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구체 제안에 앞서 시제품제작을 진행하였다. 실제 2000년 전후로 가장 많이 아파트에 적용된 PVC 슬라이딩 창문을 제작하고 동일한 소재의 환기청정기를 거치할 거치대를 제작하여 두 번째(실내기준) 트랙에 설치하였다. 거치대 중간부분은 청정기를 거치 할 수 있도록 판넬 형태로 하였고, 상하부는 유리를 끼워넣어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시야가 차단된 판넬형 제품의 답답함을 해결하였다. 또한, 청정기 본체에 필터와 모터, 충전형 배터리, 터치형 LCD, 아두이노를 적용하여 핸드폰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도록 워킹목업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제품에서 발견된 문제점과 불편사항을 고려하여 창문 거치형 환기 청정기 개발제안을 하였다. 우선, 2006년 이전 지어진 아파트에 적용된 창호의 제품 설계사항의 평균 디자인을 파악하여 거치대의 고정부 형상을 도출하였고 고층 아파트에도 견딜 수 있는 풍하중을 계산하여 PVC형상 안에 스틸 보강재를 삽입하였다. 또한 환기 청정기 본체가 거치대에 매달려 작동하는 만큼 누전에 따른 전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형을 기본 사양으로 하였으며, 환기청정의 기능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벽면 충전형 거치대에 고정하여 충전과 실내 공기정화기능이 동시에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창호에 거치되는 청정기의 위치는 법정 의무설치기준인 난간대가 설치되는 1.2m 아래쪽에 설치하여 최대한 실내에서 외부 조망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였고 거치대 설치시 외부 추락의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도록 하였다. 또한 용도에 따라 청정기를 이동하여 사용해야하는 만큼 사용자가 느끼는 제품 이동에 따른 무게감은 본 제품 구입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핸디청소기의 무게와 동일한 2-3Kg이내가 되도록 환기청정기로서 불필요한 기능은 제거하고 미세먼지 청정의 기능에만 충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기는 근본적으로 순환되어야 하며 모든 사람들이 맑은 공기를 마실 권리가 있는 필수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제품이 환기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취약한 주거에 살고 있는 국민과 청정기를 구입하기에 살림이 충분치 않은 소외된 계층에게 보급되어 깨끗한 공기를 마시게 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 국민이 믿고 좋아하는 시공이 가능한 창호회사와 공기청정기 전문개발 회사가 협력하여 제품화하고 국가의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proposed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that cleans the air by mounting it on a window frame to improve apartments that were built before 2006. At present, fine dust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forecasting the daily inflow of fine dust in real time. These forecasts are changing as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people's life patterns and activities. As a result, the sales of electronic type air purifiers are growing rapidly, but Most products only filter trapped air in the room and clean the air with the original air circula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factors that cause du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s built before 2006. In addition, the recently developed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were referenced , and as a result, some inconveniences and improvements were found. Most of the developed products are partially connected to the windows, which can be installed only by replacing the entire window, which is expensive and cannot be easily purchased. as an example of improving the problem, it was possible to check a product in which a panel was simply installed in an existing window and a pipe and an air purifier were connected to the panel. However, this product has a panel installed at the track parallel to the window sill mainly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It should be removed when not in use, and you will not be able to close the window if you keep it installed Pipes connected to the outside can be vulnerable to security, and can also cause hygiene problems such as condensation and mold. A survey of 380 people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is to check if there is a product available for air cleaning during ventil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is to determine if there is a willingness to purchase products that are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This study includ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using the air purifier and the experience of using the heat recovery ventilator. The survey shows that there are more than 65% of people wh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and 35% of people who ventilate even on dusty days. There are more than 12% of people who open the window to ventilate even on dusty day. The biggest reason which causes headache is the poor air quality in the room.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hypothesis that experienced users of heat recovery ventilators would have a high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than non-use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though they live in an apartment with heat recovery ventilators, there are few users who know and use it well. Finally, we asked which products would be purchased among products that are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and regular air purifier products. 41.4% of respondents said they would buy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which is lower than normal air purifiers (58.6%), but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good because it could fundamentally block dust from entering the room and would not take up room space. Based on the details of this survey, the prototype was produced prior to the proposal. In fact, the apartments built around 2000’s have the most PVC sliding windows. The cradle was made of pvc material and installed on the second track of the window frame. The mid section of the cladle was made in the form of PVC panels to allow the use of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were constructed glass that could be view the outside. It has been configured to look different from existing blocked panel-type products. Lastly, based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evelopment of window integrated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was proposed. First, the shape of the fixed part of the cradle was calculated by checking the average shape applied to the apartment windows in the 2000’s. Since the main body of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is mounted on the windows of the apartment, it was used a battery type for solve electrical problems. In addition, the purifier may be charged while being mounted on a holder fixed to the interior wall. At the same time, the indoor air cleaning function can be activated. the shape of the main body of the a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minimizes the width of the protrusion when mounted on the window and apply a curve so that children can be safe from sharp forms such as corners. and the location of the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mounted on the windows should be placed within a section within 1.2m. When installing the mount, the window builder is designed to be safe from the risk of external fall. The design of the cradle is important to harmonize with the existing windows, so we used the same materials as the existing windows.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can be mounted on a window or mounted on an indoor wall. The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can be used in two ways: ventilation mode and indoor air purifier mode. since the user has to use the main body after moving the body according to the use, it was determined that the weight of the product movement felt by the user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cision to purchase the product. Therefore, the weight of the body should be within 2-3Kg, which is the same as the weight of a convenient vacuum cleaner on the market, and the handle position should be rounded on the top of the body. The handle's position should be located at 0.7~0.8m height from the floor for a comfort operation. It is hoped that the feasibl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configured in harmony with window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anies and air purifier development companies to be productized and linked with national support projects. An air must be fundamentally circulated an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veryone to have the right to breathe fresh air. Therefore, not only people who do not live in high-tech facilities but also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money to purchase a air purifier should take clean air in their homes. I hope that this product I developed is popular at an affordable price, giving many people the opportunity to breathe clean air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 한옥 활성화를 위한 교구재 개발에 관한 연구

        황인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한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건축물로 한옥을 주목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다양한 기술개발로 한옥의 활성화이루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한옥은 특정 전문가에게 한정되어 있고, 일반 대중들에게는 “한옥은 어렵다”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접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래건축 수요자인 어린이가 한옥을 쉽게 접근할 있도록 한옥 교구재를 개발을 함으로써 포괄적인 한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옥 교구재 개발을 위하여 첫째, 삼량가 한옥으로 규모를 선정하고 전국의 삼량가 한옥의 치수를 조사하여 전체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둘째, 한옥의 다양한 결구 방법을 조사·분석하여 두겁주먹장과 사개맞춤으로 선정하고 설계를 진행하였다. 교구재 제작은 첫째, CNC 기계가공과 수가공을 비교 분석하여 어린이에게 적합한 교구재 제작방법을 도출하였으며 둘째, 추후 CNC를 활용한 교구재 제작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교구재의 교육적 효과 검증방안으로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경기도 소재‘ㅅ’초등학교에서 2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교육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옥에 대한 어린이의 인식변화와 한옥 교구재로서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부분의 어린이가 한옥 교육에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특히 한옥 교구재 조립에 대하여 큰 흥미를 보여주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한옥 교육 후 한옥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향상되었고, 추후에 고궁 및 한옥 견학 및 한옥에서 거주하고 싶은 학생들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한 한옥 교구재 모듈 개발이 불가하여 삼량가 한옥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개발된 한옥 교구재를 오량가, 칠량가로 확장할 수 있는 방법 및 방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옥 교구재를 오량가, 칠량가 등과의 효율적인 결합방법을 개발한다면 본 연구의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Hanok has drawn attention as an environmentally-friendly structure as people show a high level of interest in Hanok. The government has carried out a variety of policies, and allocated budgets and the private sector has developed a number of technologies in order to promote Hanok. However, Hanok has been regarded as a professional and specialized field for years. Therefore, ordinary people have been unfamiliar with Hanok.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develop Haonok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promote Hanok, thereby giving children, future consumers, a better and easy access to Hanok. To develop the learning materials, Hanokwith three purlins (Samnyangga)was chosen. The size of all Samnyangga Hanokin the country was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average size. Furthermore, research and analysis on a variety of joint method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capping dovetail joint (Dugeopjumeokjang)and finger joint (Sagaematchum)were chose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earning materials took place. In the development proces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NC machine process and handmade proces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that are appropriate to children. Also the study proposed a guide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using CNC machine. To verify whether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re educationally effective, an educational course was devised, and delivered to 28 second-graders at ‘ㅅ’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learning materials are effective and how the materials change the way students think of Hanok.Most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 in Hanok,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urse. In particular, the students express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ssembling learn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urveys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Hanokthan they did before taking the course. Also more students showed a greater interest in visiting palaces and Hanok and living in Hanok. The study focused only on Samnyangga Hanok,since it’s impossible to develop various Hanok learning modules. Also the study didn’t consider applying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to Hanokwith five purlins (Oryangga)or seven purlins (Chillyangga). In this regard, devising a new method to combine newly developed Hanoklearning materials with Oryangga Hanok and Chillyangga Hanok will make this study much more meaningful.

      • 건설 기능인력 부족 문제해결을 위한 직접공사 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백재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 건설 산업은 1980년대 후반부터 이른바 3D(Dirty, Dangerous, Difficult)업종으로 인식되면서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화 되었으며 청년층의 진입기피가 지속되면서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청년층의 진입기피 현상은 고용의 불안정, 직업전망의 부재, 위험한 근로환경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요인으로는 다단계 하도급 구조로 인해 임금 지연 지불, 체불, 착취, 타 산업에 비해 적은 근로일 수, 불안정한 일자리, 쌓이는 경력 증명의 부재, 노후 대책 마련 힘듦, 타 산업에 비해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선행된 연구와 사례분석에서 나타났다. 기능 인력의 부족으로 건설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3개의 프로젝트를 통하여 사례분석 하였으며 기능인력 수급의 문제로 인건비 과 투입, 공사비 상승, 공기지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에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청년층의 건설현장 진입기피 현상을 해결하고자 직접시공 시스템(Direct Construction System)을 제시하였다. 또한 직접시공 시스템(Direct Construction System)을 건설현장에 적용을 위해 9명의 건설근로자와 관리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① 골조담당의 별도 직원채용으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여 지연공사가 발생되지 않았다. ② 불안정한 임금수령 형태를 해소시킴으로써 기존보다 많은 임금수령과 근로자간 구전으로 사례가 전해지면서 많은 기능 인력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고 하였다. ③ 공사과장과 기능지원부서 골조소장의 중복적 현장관리로 안전, 품질관리가 향상되어 재작업의 횟수가 급격히 줄었다. ④ 다기능 공을 통해 기능공의 수급문제를 해결하였으며 건설인력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⑤ 휴식 공간 제공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고 작업능률이 향상되었다. 위에서 나타난 것 과 같이 직접시공 시스템(Direct Construction System)을 프로젝트에 적용해본 결과 근로자들의 직업전망에 대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합건설업체 역시 많은 효과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접시공 시스템 (Direct Construction System)에 대한 효율성 평가를 위해 11명의 건설전문가와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워크숍 결과 고용에 대한 불안감 해소와, 교육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승진체계를 구성 직업전망의 부재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기능 인력 부족에 대한 원인 분석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종합건설업체 직접시공 시스템 (Direct Construction System)을 제시하였으며 프로젝트 적용 및 워크숍 결과 고용의 불안정, 직업전망의 부재, 근로환경 조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 3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공사 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원가관리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진국보다 뒤쳐진 국내건설 산업의 질을 한층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직접시공 시스템(Direct Construction System)을 통하여 종합건설업체와 건설 기능 인력의 상생(Win-Win)을 기대해본다.

      • 내진보강을 위한 경제손실기반 성능설계기법에 관한 해석적 연구 :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황정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dissertation aims to present a performance-based design on the basis of economic loss for seismic retrofit focusing on school facilities, and to use it as an indicator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ismic retrofit method. The problem of nonlinear-static analysis used in the existing seismic retrofit design was derived, and the necessity of nonlinear-dynamic analysis was proved. In addition, as an indicator for selecting seismic retrofit techniques such as shear wall and brace installation, the construction cost of seismic retrofit and the expected repair cost in case of an earthquake were calculated. The seismic retrofit design and selection of construction methods for existing domestic school facilities have the following limitations. 1) Seismic retrofit design through nonlinear-static analysis: The seismic retrofit design through nonlinear-static analysis is excellently applied to the initial seismic retrofit plan because of the simplicity of the design. However, when a strengthening member of the strength and rigidity strengthening technique is added to the structure, the structure after strengthening is given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from the structure before strengthening, however, nonlinear-static analysis does not concern about mentioned problems; 2) Difficulty in selecting seismic retrofit technique for non-experts and lack of indicators for judgment : The selection of the seismic retrofit technique for school facilities is often decided by non-specialists such as public officials and decision makers in charge of the project. For this reason, the focus is only on budget and constructability rather than confirmation of structural safety. To clarify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erformed a nonlinear-static analysis of domestic school facilities. In addition, a more accurate seismic retrofit design was confirmed through nonlinear-dynamic analysis. In particular, data based on incidental cost according to the damage state of each member on the basis of FEMA P-58 was used so that non-experts could also check the basis for judgment in the selection of the seismic retrofit technique. For the nonlinear-static analysis, referring to the 1980s school standard design, sample facilities for school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the conditions for seismic design of the sample facilities were assumed. Based on the nonlinear-static analysis procedure of the current seismic retrofit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S2, S3, S4),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ase where there was no strengthening of the sample facility and the case of seismic retrofit by applying shear walls and steel braces. If no strengthening was applied, seismic retrofit was required in all ground conditions,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level was satisfactory when shear walls and steel braces were applied. However, the discriminative power of the performance level could not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Nonlinear-dynam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scrimination of the performance level according to seismic retrofit. For the site response condition of the analysis, 7 types of seismic waves among 35 types of seismic waves collected at the PEER Center were selected according to each situation considering the target spectrum. In addition, a total of 36 nonlinear dynamic analyzes were performed by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s, load combinations and design conditions based on the site response conditions. As a result, the sample facility strengthened with shear walls in the S4 ground did not achieve the target seismic performance. The sample facility seismic retrofitted by steel braces achieved the same life safety level (LS) as the nonlinear-static analysis performance goal. And other sample facility from the S3 ground seismic retrofitted by shear wall, secured the performance target as the Collapse Prevention Level (CP), which is lower than the safety of life (LS), the result of nonlinear-static analysis. In other words, the necessity of re-evaluation of eigenvalu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procedures for school facilities with changed dynamic characteristics after seismic retrofit was confirmed. In terms of structure, seismic retrofit techniques selected through nonlinear-dynamic analysi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non-experts to check the details. Therefore, a performance indicator focused on cost was proposed so that non-experts could easily evaluate it. The composition of the proposed formula consists of the cost of seismic retrofit, the repair cost of the structure before seismic retrofit, and the repair cost after seismic retrofit. The repair cost was calculated by using the repair cost for each damaged state of each member of FEMA P-58. Furthermore, the repair cost was also evaluated concerning repair cost of frame at the time of earthquake based on the interlayer deformation angle or member rotation angle of the results of nonlinear-static analysis and nonlinear-dynamic analysis. From this, economic indicators based on each load combination, ground condition, and design condi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nonlinear-static analysis for seismic retrofit of school facilitie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for stable design of structures through nonlinear-dynamic analysis. In addition, performance-based design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was presen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confirmed. Accordingly, the decision maker of the project who is non-professional will be able to objectively select the seismic retrofit technique. 본 연구는 학교시설물을 중심으로 내진보강을 위한 경제손실기반의 성능설계기법을 제시하고, 내진보강 공법의 적용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이를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내진보강 설계에 활용되는 비선형 정적해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비선형 동적해석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단벽 및 가새설치 등의 내진보강 공법 선정을 위한 하나의 지표로 내진보강 공사비와 지진 발생 시 예상되는 보수비용을 산정하였다. 기존 국내 학교시설물의 내진보강설계와 공법의 선정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1)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한 내진보강설계 :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한 내진보강 설계는 설계의 간편함으로 초기 내진보강계획의 설정은 우수하다. 하지만 강도 및 강성보강 공법의 보강부재가 구조물에 추가될 경우 보강 후의 구조물은 보강 전 구조물과는 상이한 동특성이 부여되지만, 설계법상 이를 고려하고 있지 않은 단점을 갖는다; 2) 비전문가의 내진공법 선정의 어려움과 판단을 위한 지표의 부족 : 학교시설물의 내진공법의 선정은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 의사결정자 등의 비전문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다수이며, 이러한 이유로 구조적 안전성의 확인보다는 예산 및 시공성 등에만 그 초점을 맞춰 지진발생 시의 단계와 지진발생 이후 보수 단계 등에 대한 고려사항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국내 학교시설물의 비선형 정적해석을 수행하여 그 한계점을 명확히 하고 비선형 동적해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내진보강설계안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전문가도 내진보강공법의 선정에 있어서 판단근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FEMA P-58에 근거한 각 부재별 손상상태 별 보수비용 기준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비선형 정적해석은 1980년대 학교 교사 표준설계도를 참조하여 학교시설물 표본시설을 선정하였으며, 표본시설의 내진설계 조건을 가정하였다. 표본시설을 현행 내진성능 평가 기준의 비선형 정적해석 절차에 기반하여 지반 조건(S2, S3, S4)에 따라 보강이 없는 경우와 전단벽 및 철골 가새를 적용한 내진보강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보강을 하지 않은 경우 모든 지반조건에서 내진보강이 필요하였으며, 전단벽 및 철골 가새를 적용한 경우 성능 수준은 만족하는 것을 평가되었으나, 지반조건에 따라 성능수준의 변별력을 확인할 수 없었다. 내진 보강의 따른 성능수준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비선형 동적해석의 부지응답 조건은 PEER Center에서 수집된 35 type의 지진파 중 목표 스펙트럼을 고려한 7 type의 지진파를 각 상황별로 선정하였다. 또한, 비선형 동적해석은 부지응답 조건을 기반으로 지반조건, 하중조합 및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총 36개의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S4지반에서 전단벽으로 내진보강된 표본시설은 내진성능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철골 브레이스로 내진보강된 표본시설은 비선형 정적해석과 동일한 인명안전(LS)을 성능목표를 달성하였다. S3지반에서 전단벽으로 내진보강된 표본시설은 붕괴안전(CP)으로 성능목표를 확보하였다. 이는 비선형 정적해석 결과의 인명안전(LS) 성능목표에서 하향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내진보강 이후 동특성이 변경된 학교시설물에 대한 고유치해석의 재평가 및 비선형 동적해석 절차 검증의 필요성이 확인하였다. 구조적 측면에서 비선형 동적해석기법을 통해 선정된 내진보강공법들은 비전문가가 상세내용의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전문가가 가장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비용에 중점을 둔 성능지표를 제안하였다. 제안식의 구성은 내진보강비용, 내진보강 전 구조물의 보수비용 그리고 내진보강 후 보수비용을 주요 구성요소로 구성하였다. 보수비용의 산정을 위한 데이터는 FEMA -P58의 각 부재 손상상태별 보수비용을 기준으로 활용하였으며, 비선형정적해석의 결과와 비선형동적해석결과가 각 층별 층간변형각 또는 각 부재별 부재회전각을 기준으로 지진발생 시 골조의 보수 비용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각 하중조합, 지반조건, 설계조건을 고려한 경제성 기반의 지표들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시설물의 내진보강을 위하여 비선형정적해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선형동적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안정적 설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한 성능설계기법을 제시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비전문가인 사업의 주체가 보다 객관적으로 내진보강 공법을 선정하는데 근거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 대학 연구시설 재정투자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형규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국립대학교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국가사회 발전의 선도적 기능을 수행하고 사립대학의 발전노력을 촉진함으로써, 대학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대학의 수적인 규모면에서도 종합대학 23개, 산업대학 6개, 교육대학 11개 등 40개교로 증가하였고, 대학시설의 양적인 규모에서도 2007년 현재「대학설립ㆍ운영규정」이 정하고 있는 시설기준면적 (강의실과 실험실습실로 구성되는 교육기본시설과 학생회관, 기숙사, 대학본부, 도서관 등의 지원시설 기준) 대비 전국 평균 시설확보율이 95.8%에 달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100%에 달하는 수준까지 성장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의 양적 평가는 단순히 규정이 정하고 있는 시설기준적 관점에서 교육에 필요한 시설의 종류와 최소기준 대비 시설확보 정도만을 나타내는 지표일 뿐, 다변화되어진 국제화사회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대학기능 공급을 위해 필요한 시설에 대한 양적, 질적 시설수요의 충족기준은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국립대학 교육시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산학협력에 필수적인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시설, 부속시설, 산학협력시설 등에 대한 적정시설기준이 없어, 대학경쟁력 확보를 위해 확충이 시급한 시설들임에도 투자방향 설정이 어렵고 투자논리 개발이 어렵다. ○ 국립대학교 현 시설의 국제적 수준정도를 양적이나 질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외국 기준이 없어 인증을 대비한 시설확보 기준설정이 어렵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설정한 본 논문의 목적은 국립대학교의 산학협력에 필수적인 연구시설의 적정 투자목표를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내용의 구성 및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내용의 구성의 경우 연구시설의 재정투자 목표치 설정을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 시설기준 관련 제도변천 내용분석 및 국립대학의 대학시설보유현황 조사, 시설 만족도 조사, OECD 국가의 대학교육 정책동향, 시설기준, 시설보유현황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의 경우 연구내용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자료와 각종 통계자료 분석, 선행연구조사 등의 문헌조사와 해외 현지방문조사, 국립대학 시설담당자와 교수를 대상으로 한 시설만족도 설문조사, 해외 200 대 대학 시설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국내 수도권 주요사립대에 대한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운영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수행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교육시설의 개방, 산학협동 및 삶의 질 요구 등에 따라 필요한 대학교육시설의 양적, 질적 요구수준을 선진국 대학시설과 비교하여 파악하고 우리나라 국립대학교 연구시설과 부속시설 투자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 선진 각국의 대학시설 별 현황자료 분석을 통하여 국내 대학교육시설의 수준 파악 ○ 선진국의 대학시설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도출된 대학 연구시설과 부속시설 자료는 향후 국ㆍ공ㆍ사립대학교 시설기준제정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공 ○ 국립대학 시설사업 중기재정계획 수립 및 예산편성 시 대학 별 투자목표 설정의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예산편성의 타당성 제고 As the research intended to check the area required for research facilities of university necessary for diversified international society and knowledge-based society and to estimate the required amount which is not in the viewpoint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facilities, this dissertation was implemented to prepare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the financial investment in expanding the research facilities of university. Currently, main countries in the world open universities with the emergence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establish research and investment institutions to cope with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expand the support to area of basic science and applied research as well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vestment to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acilitie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have played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by performing the leading function of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promoting the effort of private universities for development since the emancipation. In quantitative scale of university, it increased to 40 schools composed of 23 universities, 6 industry universities and 11 educational universities. In the quantitative scale of facilities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rate of facilities preparation in the country is 95.8% and some universities reach 100% compared to the facilities standard area (based on basic education facilities composed of lecture room and laboratory room as well as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student hall, dormitory, university head office and library) designated by 「regulation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university」 in 2007. However, the researcher judged that this was merely the index shown in the viewpoint of facilities standard simply set in the regulation and it was required to prepare the proper standard of research facilities through actual investigation so as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Thu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proper investment goal of research facilities indispensable to the present industry-academy cooperation.

      • 비정형건축물 외장패널의 As-Built 품질 확보를 위한 중점관리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권순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패널의 품질관리에서 시작하였다. 비정형 건축물은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외장 디자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정형 형태의 외장부재는 NURBS (Non-Uniform Rational B-Spline) 라는 이중곡률을 같은 2방향 곡률로 구성된 불규칙한 자유곡선면을 포함하고 있다. 실제 외장부재의 생산 및 시공을 위해서는 3차원 비정형 BIM 기술을 적용한 엔지니어링 재해석 단계(CAE : 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거쳐야 하며, 구축을 위해서는 시공성, 경제성을 고려한 3D 모델의 재구축 작업이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재구축과정은 전문가별로 각기 다른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있으며, 생산방법에 따른 다른 프로세스로 인해 패널의 품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패널의 생산방식과 설계방식을 연구에 적용하여 비정형외장패널의 품질확보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축가의 개념부터 생산에서의 재현, 시공에서의 구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Mock-up을 통하여 본 논문의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진행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패널화의 선행의 형태별에 따른 패널의 가격이 낮을 수 있으며,패널의 형태를 초기부터 결정하여 외장의 형태에 적용하면 외형의 형태 마감, 비용, 시간 등 절약 가능 ·외장패널의 생산방식에 따른 패널의 크기, 기계재원, 파일의 형태 등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생산 ·3D Laser Scan의 건축에서의 적용 가능한 범위와 한계성 ·As-Planned 와 As-Built의 오차 및 현 비정형 외장패널의 검증방법의 한계성 인식 본 연구에서 비정형외장패널의 품질확보를 검증하고자 3D Laser Scan을 통한 As-planned & As-Built를 검증을 하였다. 본연구의 한계로써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접목하지 못하고 몇 개의 데이터를 통해 접근을 이루었다는데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Mock-up을 통해 조금이나마 연구의 객관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This study was originated from the quality management of facade panels of free-form buildings. Free-form buildings comprise various forms of the exterior designs reflecting the design intent of architects. Such free-form exterior members include irregularly free-curved sides composed of the same 2-way curvature as a double curvature called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The actual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members need to go through engineering reanalysis steps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to which a 3D free form BIM technology is applied, and, for implementation, reconstruction works of 3D models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are required. Different processes are being applied to such reconstruction processes by each expert, and the different processes due to production methods result in differences in panel quality. This study had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quality of free-form facade panels by applying the production and design methods of facade panels of free-form buildings. Using a mock-up,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the concept of architect to the representation in production and implementation in construction were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 had been drawn from the proceeding of the aforesaid study: ·The price of panels depending on each shape prior to panelization can be lowered, and the early determination of panel shapes for applying to exterior shapes may save costs, time, and labor for finishing external shapes, etc. ·Productio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the panel size in accordance with production methods of facade panels, machine specifications, pile shapes, etc. ·Applicable range and limits in the architecture of 3D laser scan. ·Recognition of the limits in verification methods of the current free-form facade panels and of the errors between "As-Planned" and "As-Built." This study performed a verification of "As-Planned" and "As-Built" through 3D Laser scan to vindicate the quality to be secured by free-form facade panels. The constraints of this study lie in that its approach wa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data in lieu of incorporating a large set of data.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o some extent, an effort to maintain objectivity of the study was made using a Mock-up.

      • 비정형 건축물 외장패널의 통합설계를 위한 협업체계 구축 연구

        최정민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increase of Free-Form project, desig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it is impossible that define the complex buildings with irregular shape useles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technology that make Free-Form Buildings the design, production, and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sts and durations will be increased. Because the cladding system determines the location of structural member that take form and shape of whole building, it is one of important part to construct Free-Form buildings. The Panels must be cut to fit all buildings shape by proper spaces and size. And the structural members were designed and producted to support the building and attach cladding panel to building.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Free-Form buildings considering various factor should be in integrated collaborative system unlike traditional architectural system. In this research, offers new collaborative system with manufacturer participating for integrated cladding design and draw a conclusion which is digital proces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rive problems from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ject delivery system and collaborative system of Free-Form buildings. Second, come to understand current production technique by getting advice from company which have cladding system production experiences and touring factory. And analyze the information flow between design and product process through interview experts. Because of rework and design changes in the design phase, interruptions between architects and producers and lack of awar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s 3D digital technology, and also absence of collaborative system that manufacturer can participate in design phase. Third, offer the collaborative system and detailed digital process considering the information flow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stages for manufacturer's participation in design phase. It can be used directly as a detailed process that describe from determining cladding system by manufacturer's participation in initial design phase to optimising them by using BIM tool. The process changes for extent of manufacturer's participation are expected to achieve good performance results contrary to disconnected and controlled traditional process. In future study, I hope to be proposed various process for improvement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collaborative or integrated process. 건축물의 비정형화는 국내는 물론 국외 건축계의 화두이고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정형건축물 건축기술의 보유 여부는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건설시장에서의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비정형 프로젝트의 증가와 더불어 설계기술이 발전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복잡한 비정형 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을 설계, 부재제작, 시공을 가능하도록 하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의 활용 없이는 복잡한 부재간의 접합들을 정의할 수 없고, 시공에 들어가는 공기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공사는 전체 건축물의 형태를 이루고 구조적인 기능을 하는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비정형건축물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이다. 외장패널을 전체 형태에 맞게 구축하기 위하여 제작과 시공이 가능한 적당한 간격과 크기로 잘라야 했고 전체 건축물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면서 외장패널을 붙을 수 있는 형태로 구조부재가 설계 제작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는 비정형건축의 설계 및 실현과정은 기존의 건축과는 달리 통합적 협업체계 안에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비정형 건축의 설계협업은 건축의 정보모델을 제작, 수정, 업데이트 하는데 있어서 모든 참여자들의 동참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참여자 전체가 더욱 협동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사업을 수행해 나가는 프로세스와 절차, 협력체계의 변화가 필요하지만, 비정형 건축의 설계, 특히 실시설계와 생산 및 시공단계의 협력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의 가장 중요한 외장부분에 있어 통합설계를 위하여 생산자가 참여한 새로운 협업체계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디지털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비정형 프로젝트의 발주방식 및 협력체계를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 비정형프로젝트의 외장패널 생산참여 실적이 있는 회사를 대상으로 제작기술의 자문과 견학을 통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제작 단계 간 설계정보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설계단계에서 재작업과 설계변경이 발생하는 이유는 건축가와 생산자 사이의 설계정보 단절과 생산업계의 3D 디지털기술의 인식부족, 전문기술자의 부족, 생산자가 참여할 수 있는 협업체계의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설계 및 생산단계의 정보흐름을 고려하여 생산자의 설계단계 참여를 위한 협업체계 제시와 이에 따른 구체적인 디지털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는 생산자의 참여로 초기단계부터 외장생산시스템이 결정되고 BIM 도구를 활용하여 최적화 되어지는 구체적인 단계를 제시한 프로세스로서 직접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비정형건축물 외장공사 중 패널공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실질적인 협업을 위한 연구인만큼 생산이 이루어져 완성되어지거나 제작기법이 제시된 방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전체적으로 외피 형상이 비정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개별 부재 하나하나가 정형적인 패널로 이루어진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생산자의 참여확대를 위한 프로세스의 변화는 확실히 기존의 단절되고 통제된 프로세스보다는 업무의 수행성과가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따라서 향 후 관련 연구에서는 협력적 또는 통합된 프로세스에 대한 검증과 수행성과 측정을 통해 다양한 프로세스의 개선방안이 제안되어지길 바란다.

      • 국내 건설현장소장 역량 강화 방안 연구

        정채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was analyzed that the scope and gravity of ability of the construction manager, the highest person in charg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while the expansion,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cent construction project is ever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oo.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s diverse experience, speciality and ski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angible and intangible aspects such as efficient allocation of labour, usage of materials and choice of equipments which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the site manager increased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ed but it was analyzed that the research regar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e managers only started around 2000. Furthermore, researches regarding site managers are still lack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ecause researches up to now was centered around th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s and mainly about efficiency of the site manager’s ability depending on construction environments which were done overseas. This research will deduce various abilities of the construction site manger needed to carry out projects, analyze the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per category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on lacking abilities. The detailed research process and methods are as follows: 1) Analyse prece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through theoretical study. 2) Conduct a primary documentary research on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is to deduce the deciding factors of site manager’s ability. 3) Decide on the final factors of abilities by carrying out Focus Group Discussion (FGD) on the actual working groups in companies and in the field of academics based on the deduced abilities above. 4) Conduct a survey on site managers by compiling a survey that asks importance of the deduced abilities and their current ability level using 7-point Likert scale. 5) Conduct an analysis and an evaluation on the factors of ability per management category and on entire category of abilities b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6) Provide a base data that can enhance the ability of site managers through the analyzed result. There were 37 abilities deduc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documentary research papers and it was categorized as follows: foreign management (10), site management (14), self management (13). The deduced abilities per category were made into a table below. Classification Capacities/Abilities No. Foreign Management 1) Ability to get foreign contracts, 2) Ability to change the plan to improve profitability, 3)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4)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costs, 5) Ability to deal with civil complaints, 6)Ability to manage collaborating companies, 7) Sociability with clients, 8) Ability to negotiate with the orderer, 9) Ability to market, 10)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lture 10 Site Management 1) Ability to actively breakthrough, 2) Ability to grasp what’s happening in the site, 3) 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ract and specification, 4) Decisiveness, 5)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without fault, 6) Ability to handle unforseen circumstances, 7)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8)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 and understand subordinates, 9) Emotional leadership, 10) Ability to build confidence with workers, 11)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12)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13) Business mind of a manager 14 Self Management 1)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2) Ability to recognize competitors, 3) Ability to discover new business model, 4) Project management ability, 5) Ability to decide beyond specification, 6) Ability to review the plan, 7) Experience suitable for construction, 8) Wide visuals for the project, 9) Stress management ability, 10) Self-development ability, 11)Trustworthiness, 12) Principle-orientated, 13) Responsibility 13 <Deduced abilities of the site managers>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and their current standard was conducted on the site managers utilizing 7-point Likert scal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research o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the 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IPA model. And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and importance was analyzed through GAP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 betwee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was low in all 37 abilities as result of GAP analysis. And 3 abilities (‘emotional leadership’,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were deduced from the analysis using IPA model on all the abilities.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was deduced from the foreign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ability’ from the self management as result of applying IPA model on the three main category. The measures to enhance the deduced abilities are as follows: Ability Enhancement measures Emotional leadership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 and build a consistent communication channel with subordinates in site manager’s own capacity.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subordinates Share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site manager with subordinates and creat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continuously.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in site manager’s private capacity and build a construction project data base and prediction system in company’s capacity.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Create and expand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related to construction projects and acquire various methods to approach informat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경향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건설 현장의 최고 책임자인 현장 소장의 역할의 범위와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장 소장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 및 기술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선정자재의 활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비의 선정 등 유·무형적 측면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현장소장에 대한 중요성은 건설 산업의 발전에 따라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외 현장 소장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현장소장의 리더십 이라는 일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온 실정이며, 해외 연구에서 조차 건설 환경에 따른 현장소장 역량의 효율성 정도에 관한 연구들만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장소장에 관한 연구들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도출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론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2) 현장소장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한다. 3) 1차적으로 도출된 역량 항목들에 대하여 학계 및 기업의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여 최종 역량 요소를 결정한다. 4)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된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장소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5)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역량 항목들에 대한 분석, 관리 역량별 역량 요인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한다. 6) 분석된 결과를 통해 현장소장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연구 문헌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역량 항목은 총 37개 역량 항목이며 이들 역량 항목을 대외관리(10개), 현장관리(14개), 자기관리(13개)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대분류 역량항목에 따라 도출된 역량 항목은 다음 표와 같이 도출되었다. 구 분 역량 항목 역량 수 대외 관리 1)수주 영업능력, 2)수익률 향상을 위한 설계변경능력, 3)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4)공사비 관리 능력, 5)예상민원 사전대비 능력, 6)협력사 관리 능력, 7)고객친화력, 8)발주처 설득 협상 능력, 9)대외 홍보 능력, 10)현지문화에 대한 이해력 10개 현장 관리 1)적극적 돌파력, 2)현장 흐름 파악 능력, 3)시방 및 계약 이해 능력, 4)의사결정 능력, 5)하자 없는 시공관리 능력, 6)상황 대처 능력, 7)공사에 대한 철저한 이해 능력, 8)부하직원 이해력, 조직 운영력, 9)감성적 리더십, 10)직원과의 신뢰 구축 능력, 11)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12)상대에 대한 배려, 13)관리자적 경영 마인드 14개 자기 관리 1)사전 문제예측능력, 2)경쟁대상 인지력, 3)신사업모델 발굴 능력, 4)프로젝트 관리 능력, 5)시방서를 뛰어 넘는 판단력, 6)설계 검토 능력, 7)시공 및 공무의 고른 업무 경험, 8)프로젝트 넓게 보는 시각, 9)스트레스 관리 능력, 10)자기개발 능력, 11)신뢰성, 12)원칙중시, 13)책임감 13개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여 현장 소장들을 대상으로 역량 항목 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값을 본 연구에서는 IPA 모델에 적용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GAP 분석을 통하여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GAP 분석 결과 37개 역량 항목 모두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IPA 모델을 활용하여 역량 항목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역량 항목 분석에서는 ‘감성적 리더십’,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사전문제 예측 능력’ 3개의 역량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3가지의 대분류 역량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IPA 모델을 적용한 결과 대외관리 부문에서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자기관리 부문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능력’ 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역량 항목에 대한 역량 강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역량 강화 방안 감성적 리더십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부하 직원들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통한 역량 강화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부하직원들에게 현장 소장 본인의 누적된 경험 및 지식의 공유와 함께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건 보장을 통한 역량 강화 사전문제 예측 능력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회사 차원의 건설 프로젝트 수행 데이터 구축을 통한 사전예측 시스템 구축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현장소장 개인 측면의 건설 프로젝트 관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