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골구조물과 이산화탄소배출량의 관계분석 및 개선방안

        임규태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Lately,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earth such as global warming has been considered a global issu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steel frame causes major emissions of carbon dioxide under most of the construction phases which are the production, transfer, construction and discard and usage so it has increasingly become a serious effect on environment conservation. Also, steel industry is deemed one of the important field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developing national energy once government regulates the amount of CO2. Therefore, steel industry makes a substantial effort on environmental field. However, most of them consist of air and water pollution and they mostly focus on the investment of final facilities so that investment in the skill development for improving production process and using green energy is still shor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amount of CO2 emission and energy consumption from each construction material when welded. Then, I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of quantitativ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per constructional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per major constructional materials, usag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was less environmental load than steel frame. However, in cas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which is mostly used, weight of the building becomes increasing by using a large amount of concrete so that major emissions of CO2 is caused from a lot of quantities. Also, compared to Art Beam System, steel frame is an unevitable consequence in increasing the quantity of it and through this process, CO2 occurs a lot, causing fireproofing protection which include harmful carcinogen such as asbestos. This study introduced structural steel which adapt new welding skill, covering the weakness of steel frame. This study compared Art-Beam which has become on the center stage in construction filed by using automated Robot laser welding beam and general steel frame. The result is that Art-Beam caused relatively less amount of CO2 because it can be made in various cross section, reduc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s. Thus, this experiment represents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methods in the production sites as well as the eco-friendly production methods in the steel industry and government level. In comparison with other architectures, the architecture applying to Art beam system has much more advantages; various cross section composition, short construction period, the decrease in a supply of the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the improvement of economies due to the decrease of the cost of construction,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s and so on. Therefore, the development in technologies of Art-Beam System can minimize not only CO2 emissions but also costs and contributes to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Las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low-carbon green growth framework in construction industry.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일반 철골 구조는 제조, 자재의 운반, 시공, 폐기 및 재활용의 각 단계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어 환경 보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철강 산업은 온실가스 발생 규제 시 그 영향이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어 중장기 국가 에너지 및 환경정책 수립에 중요한 부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철강업계는 환경부문에 대한 막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대기, 수질과 폐기물 부문이 차지하고 있고, 최종 설비의 투자 위주로 행하여지어, 제조공정의 개선 및 그린에너지 이용을 위한 기술개발에는 아직까지 투자실적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골구조물 제작 시 각 자재 및 재료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CO2배출량을 정량화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철골 구조물의 용접시 CO2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철골구조물과 탄소 배출량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주요 자재별 CO2발생량 분석을 통해,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사용이 철골구조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적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경우에는 비중이 큰 콘크리트 사용에 의해 건물의 자중이 증가하게 되어 막대한 물량으로부터 대량의 CO2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 철골구조물의 경우에도 Art Beam System과 비교했을 때, 철골의 물량증가가 필수적이며 이 과정에서 석면 등 유해한 발암물질이 포함된 내화피복도 발생되며, CO2도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산출된 CO2 배출량 자료를 토대로 철근콘크리트구조와 철골구조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용접 기술을 적용한 강재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용접 중 각광받고 있는 로봇 레이저 빔 용접을 활용한 ART-BEAM의 시공 사례를 기존 일반 철골부재와 비교하였으며, 아트빔은 다양한 단면으로 제작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물량 감소율이 높아 CO2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서 국가/제강 관련 기업체, 연구소 차원의 친환경적 강재생산방식의 연구와 더불어, 생산 현장에서의 친환경적 생산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심 과제인 ART Beam 시스템를 적용한 건축물은 다른 구조물에 비해 소비자 기호에 부합하는 다양한 평면의 구성, 공사기간 단축, 주요 자재의 물량감소, 공사비 감소에 따른 경제성 향상, CO2 발생량 저감 및 건설 폐기물 최소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소배출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은 앞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탄소배출권 시장을 충분히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朝鮮時代 邑治의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 : 朝鮮時代 榮川郡을 中心으로

        김석태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ities region have changed several times as executive vicissitude and the flow of the age in the phase and dimension. Additionally the space constitution of the ci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ambi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and the space constitution of city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the administration and the ideals. The study presumed and reconstituted the original form of the Yeongju referring to old maps and town chronicles. And it analyzed the Fengsui of the Yeongju and the method of the buildings' configuration. 1) In Yeongju the spirit of dragon comes from the south. Thus JinSan is considered as CheolTanSan(鐵呑山) and located in the north. 2) Yeongju fortification was built by soil and clay during Korea Dynasty. During the period from 1394 this was reconstructed by stone. 3) After Imjinwearan, Yeongju was small sized city with the population of 17,000 to 20,000. During late Chosun Dynasty many facilities like Jooholheon, Gungwancheong, Janghwancheong, Gigocheong, Jiheon, Junghongdang, etc. were located inside of fortification. 4) Street structure inside of the Yeongju fortification was formed 'ㅡ‘ shape by the street which leads to ASa(衙舍) . 5) Usually, the direction of GeakSA during Chosun Dynasty faced south but Yeongju fortification's case was different since street structure and geographical reasons. 6) Since Chosun Dynasty was ruled by confucianism, everything was translated by this idealogy. From this, almost all the regional cities (fortifications) had more or less same physical structure. Yet, the spacial composition inside of the fortifications were varied by geographical characters.

      • 紫禁城과 景福宮의 空間構造比較硏究

        위보한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thought of urban city structure being the core of construction in the ancient capital city of Beijing and the city of Hanyang, both having unique features and also remarkable representation. The Ming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had extensive differences in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spects, but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ities make us guess that they also had a certain degree of exchange architecturally, technologically and instutionally. Especi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had experienced similar national-wide city construction movements, and the similarities and regularities among the cities, let us speculate their city construction might have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a unified regulation of China, itself. The Forbidden City in Beijing and Gyeongbok Palace in South Korea, are simIliar as they have been researched in depth. In this article, there was a comparison about geography, history, city scale. shape and the structural type of these cities using historical documents and materials, citing such cities as Zhou, Guanzi and Zhouyi, in China. Geomantic studies and the comparison of many aspects of Astronomy and Geography in city structuring and interpretating and analyzing the capital construction of two countries, summari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making a further analysis of the design concept and constructive thinking used to do so. 도시공간구조의 사상은 고대도성건설의 핵심이고 북경과 한양 두 도시는 두 나라에서 독특한 개성과 돋보이는 대표성을 갖추고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와 조선왕조는 정치와 문화방면에서 광범한 교류가 있었다. 도시, 건축방면에서도 많은 유사한 점이 있다. 당시 중한양국의 건설문화를 추측해 보자면 기술 및 제도방면에서 교류가 있었다. 이러한 영향 관계는 양국 공동으로 경험한 전국성 도시건설 운동 중에서 특히 눈에 띈다. 게다가 다른 도시 간에 등장하는 규칙적인 유사성은 양국의 도시 건설은 어떤 통일적인 규제로 진행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북경 및 자금성과 한양 및 경북궁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본문은 역사문헌을 연구한 자료 및 도시구조 주례고공기, 관자, 주역, 풍수학, 천문지리사상 등 도성축성 사상을 비교해 대비 통하여 두 수도의 실지 조사를 진행했다. 두 도성의 지리, 역사, 도시규모, 형태, 미 구성유형 등에 대한 비교 및 중한 양국 수도 건설에 대한 분석을 진행 하여, 북경과 한양의 도시 구성기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두 도시의 설계 이념과 사상을 구성을 규명하였다. 키워드: 북경, 한양, 자금성, 경복궁, 공간구조, 주례, 풍수학

      • 경북 영천시 도시공간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창환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focuses o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of each period (Chosun,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and reveals principles that cause such changing process and restoration of Yeong-cheon UbSeong(Castle country). First of all, observe the road arteries of inside space, function and a location of facility: administration, military, education and religion. Ubsung is significant importance in developing ou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planning and organization of Korean citi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fortress relative to that carried out on other Korean castles and fortresses. It refers to valuations of urban planning after modernization as well as literature data of each age, old-maps, images, aerial photograph, satellite photograph, GIS data and cadastral maps. This cadastral maps created in 1913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re the primary source of data, Which have a scale of 1/1200,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spatial structure of Yeong-cheon UbSeong(Castle country) during this period.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understanding and restoreing the spatial structure of Yeong-Cheon UbSeo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Second, reviewing destructions and changes brought to Yeong-cheon UbSeong during the forced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Based on various old references, old maps, and cadastral maps. Yeong-cheon UbSeong during the choson dynasty has been restored on a map depicting a castle, various town facilities, and a network of roads. Studies about Yeong-cheon Ub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have been done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inside the castle, administrative divisions, inside facilities, and road network. Third, analysis of urban plans during the 1946-1964(Formative period of traditional urban structure before modernization), 1965-1980, 1981-1994, 1995-2003, 2004-2020. The results of thesis reveal that Yeong-cheon UbSeong, a natural square shaped castle, was built in the 24th year(1591) of King Son-Jo resign during Choson dynasty. The countries magistrate, Won Sa-Yong, was commissioned for administrative and military purposes. It was a castle built on hill making the best 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ield and mountain. It is located under Mt. Mahyun, its main mountain, with Mt. Bohyun(1,124m) as its water source.(The Kumho river that runs through Yeong-cheon is originated from this mountain.) The castle in the west and the south was built utilizing the cliffs at Pukcheon(to the north, where the Kokyoungcheon and Sillyongcheon streams) and Namcheon(to the south, where Chohocheon and Kocheoncheon streams meet), on the other hand, east side of the castle was built in the valley near Jung-Ang elementaly school. As such, Yeong-cheon UbSeong went through major changes go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What has directly contributed to the change was the new construction of inner facilities(country office building, police boxes and other admistrative buildings) for forced governance and admistrative practices. The Gaeksa, which used to be a symbol and center of UbSeong was destroyed with the construc of new roads and existing cross-shaped roads have been reduced, making the 2nd grade road and the Tonghai-Chungbu railway(east coast in the mid region railway) crossing Yeong-Cheon east-west became the axis of the UbSeong. The Donghun(east building) was used as a country office building and new construction of police stations and police boxes were built inside the castle for efficient colonial control and administration. As a result, the spatial structure of Yeong-Cheon that contained the uniqu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values of the Choson dynasty had been destroy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s of administrative buildings and the Daegu-Kyungju line(2nd Grade road) and the Dohai-Chungbu line both aiming at the economic explotation further destroyed and changed the origin spatial structure of Yeong-Cheon UbSeong. 1946-1964(Formative period of traditional urban structure before modernization), after examning the social surroundings such as confusion, war, and recovery of disater, urbanization, and warming up of urban plan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ing changes are concluded as the urbanized area recovery and improvement. 1965-1980, needs of urban improvement and the reformulation process of urban planing law examined at national level. Urban development focused on district, which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ing changes, are mainly propelled by means of lot arrangement project and industrial part construction project. After 1981,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ing changes as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wide scale urban system, urban expansion, the appearance of organization, and a wide area urban planing are analyzed. Yeong-Cheon urban planing was decided under the context of national planing in the period of urban planing as the sub-planing of national planing. The changing process of periodic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In period 1st, Modern project of urban planing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2nd, the concept of urban planing was widened and zoning was introduced. Period 3rd, modern urban planing was permitted for the first time. In period 4th, urban planing was focused on the rebuilding the city demolished by war. Contemporaly urban planing was born in period 5th, and in period 6th, the comprehensive long-term urban planing was establishe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The specific periodization of urban planing of Yeong-Cheon can be compared with the general periodization of urban planing , and the relation between totality and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and specificity can be reviewed on the resul of this study that classifies and categorizes the urban planing process.

      • 안동 도시공간구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

        김기철 대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composition of Andong urban space by dividing into pre-Andong Eupseoung, Andong Eupseoung period, and post-Andong Eupseoung, based on Andong Eupseoung, which is the most historically core place in Andong. (1) The pre-Andong Eupseoung period The space of pre-Andong Eupseoung was estimated nearby Songhyeondong, Taehwadong, Okdong and Pyeonghwadong by considering tombs, pagodas, temples, and landform. and Andong's street network was developed covering the south of the city(GyeongJu) and west(GeGyeong). Many temples and pagodas were constructed in Andong due to Buddhism. In Younggaji, there are records of the construction of over 300 temples. and Temples were located in downtown, which changed the appearance of Andong the most. Beopheungsa Temple Seven-story Brick Pagoda, Beomnimsa Temple Five-story Brick Pagoda, Imhasa Temple Brick Pagoda, and Bucheon Stone Pagoda were designated as Bibo Pagodas, which formed an urban space. (2) The Andong Eupseoung period Andong-Eupseoung is typical landscape of Andong in Joseon-dynasty, that the perimeter is 1.85㎞, the height is 4.1m. The Principles of spatial configuration of Andong-Eupseoung is The interior of eupseong Confucianism, Feng Shui history was done outside. Outside-Street-Network of Andong city is connected Yecheon, Yeongju, Uiseong, Cheongsong, Yeongyang and the like other cities. Mainly West-gate was used to pass through. and Street-Network of inside of the Eupseoung is '+ shaped'. East-West is living axis, and North-South is public administration axis. Administrative facilities was located in North-East of inside of the Eupseoung, housing complex was located in around West-gate, North-gate and South-gate. Bibo-thought was spread in Joseon-dynasty. And Complementary-thing was set up every here and there in Andong. (3) The post-Andong Eupseoung period Andong's city planning road was planned in 1914. and This city planning road has formed Andong's roads until now. In 1913, there were 300 Japanese people, however they owned 38% of Andong town land. and City planning road was built on the basis of Japanese residential area. In 1910, the north of the town was residential area and the south was farmland. but In 1930, the south of the town was developed, and Andong station was constructed. Due to this, the town was extended to the west of the town, Pyeonghwadong. Because of the procurement of land was easy, administration buildings were built in state land. and The city was easily dominated by procuring the central place of administration. Before 1910, county office, police station, court, and post office were built, in 1910, hospital and school were built. And in 1920, Monopoly Bureau was built, and in 1930, Andong station, Andong shrine, and agricultural school were built.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Japanese' domination over Korea. Since Andong station was built, migration increased, and due to this, the whole area of Andong became commercially prosperous, and economic base of the Japanese was prepared by the Japanese who played a main role in commercial activity. 본 논문은 안동의 도시공간 구성의 특징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안동 역사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공간인 안동읍성을 중심으로 안동읍성 이전시기와 안동읍성시기, 안동읍성 철거 후 시기로 구분하여 도시구성요소들이 각 시기별로 도시공간에서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요소들에 근거하여 안동의 도시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그 변천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읍성 이전의 도시공간 통일신라시대 이전의 안동도시공간은 고분이나 불탑, 사찰지, 지형 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그 대략적인 위치는 송현동, 옥동 인근과 태화동, 서구동, 평화동 일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은 신라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남쪽으로 향하는 도로가 발달하였을 것이고, 고려시대에는 지형여건상 북쪽으로 향하는 도로는 발달하지 않고, 서쪽으로 해서 예천 쪽으로 향하는 도로가 발달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보의 개념이 조산이나 임수까지 미치지는 못하였을 것으로 사료되며, 영가지에서 대비보(大裨補)라 하여 법흥사전탑과 운흥동전탑(법림사전탑), 임하사전탑, 부천석탑을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컨대 이 4개의 탑과 사찰에 대하여 비보의 개념을 담아 도시공간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있는 법흥사지 칠층전탑과 운흥동 오층전탑, 임하사지 전탑은 안동의 도심이나 도심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이들 사찰이 안동 도심의 모습을 가장 크게 변화시켰으며, 안동의 전체모습에서도 불교의 번성에 따른 사찰의 건립에 따라 도시의 모습도 큰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읍성 시기의 도시공간 조선시대 안동의 모습 중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안동읍성은 고려 말 우왕때(1380년) 조성된 읍성으로 경상도 둘레 1.85km, 높이 4.1m의 규모를 가졌으며, 용척은 포백척이고 1914년 지적원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복원하였다. 안동읍성의 공간구성은 내부공간 구성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았고, 외부공간 구성에는 풍수지리사상과 비보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읍성의 十자형 가로망은 남-북의 행정축과 동-서의 생활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행정축은 남문-종루-제남루-객사로 이어지는 일련의 위계를 가진 남향존중의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고 생활축은 동-서간 도로를 중심으로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어 남쪽은 농경지로 활용되고 북쪽은 주거지로 활용되는 전형적인 농경시대의 공간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안동읍도에서 행정시설은 읍성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것은 1914년 지적원도의 국유지분포에서도 확인된다. 제사시설은 좌묘우사의 배치방식에 따라 향교와 사직단을 배치해야하나 안동은 객사의 북쪽에 향교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것은 지형여건상의 변형으로 볼 수 있으며, 향교, 사직단과 함께 여단과 성황단을 모두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지방도시구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1묘, 1사, 2단이 조성된 완전한 지방도시라고 사료된다. (3) 읍성 철거 후의 도시공간 안동시가지 도시계획도로의 시작은 1914년 지적원도의 작성 시 계획된 도시계획도로부터이며, 이 당시에 계획된 도시계획도로는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930년대를 거치면서 추가로 조성된 도시계획도로와 1941년 시가지계획령에 의해 조성된 도로가 현재까지 안동의 가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1910년대에는 시가지를 기준으로 북쪽은 주거지가 남쪽은 경작지가 분포하는 전통적인 도시공간구조를 가졌으나, 1930년대가 되면 추가적인 시가지도로의 개설과 안동역의 조성으로 남쪽으로 시가지가 확대되었다. 이 후 안동역이 개통되면서 시가지 서쪽의 평화동 일대로까지 시가지 구역이 확대되었다. 이것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안동시가지가 급격히 확장되었으며, 전통도시의 역사적인 고려없이 무분별하게 도시가 확대되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이 시기의 행정건축물은 읍성시기에 관아가 있던 국유지를 중심으로 건축하였으며, 건축물은 군청과 같이 조선시대 건물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신축하였다. 이것은 새로운 지역에 시가지의 중심을 구성하기 보다는 기존의 행정중심지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도시의 구심점을 쉽게 장악하여 통치를 편리하게 하고, 토지확보가 용이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읍성이 해체된 후 안동시가지 안에는 행정시설 인근에 일본인 밀집지역이 조성되었으며, 대구의 근대화 과정에서 보듯이 이 지역은 안동역이 조성되면서 물동량의 증가와 인구이동으로 상업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고, 이것은 일본인들의 경제적인 기반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韓國 傳統 木造建築의 栱包 部材에 關한 硏究 : 小累를 중심으로

        박재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통 건축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공간배치, 공포 및 건축형식, 비례체계 등의 분야에 많은 연구성과를 이룩하였다. 이 중 공포부재에 관한 연구는 공포형식이나 공포의 기능과 규모에 따른 건축물 비례치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공포를 이루는 각 부재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건축물 중 다포계 건축물의 공포를 이루는 부재인 소로에 대해 결구 및 배치관계와 비례체계를 규명하여 나아가서는 건축사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가 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실측된 韓國木造建築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문화재로 지정된 고려말의 봉정사 대웅전과 조선 시대의 다포계 사찰 건축물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실측조사가 된 궁궐건축물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연구의 방법은 다포계 건축물을 소로의 배치 및 결구와 비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각 부분의 세부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용어의 설정에 의한 소로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를 하고 소로의 형태에 따른 소로 명칭을 본 논문에서 정립하였다. 둘째, 제공에 따른 소로의 배치 및 결구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하는 장으로서 출목수에 따라 분류하여 배치관계와 결구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입면, 평면, 재폭, 단재고, 족재고를 살펴 소로 부재 크기에 대한 비례치를 분석하였다. The increasing the interests and studies about traditional architecture have had good results in many realms such as Gong-po, arrangement of space, architecture forms, proportional system. Although, a lot of research focused on the formality of Gong-po or function and the scale, the research of blonging of Gong-po is lacked nowadays. Therefore, The study would clarify the SO-RO(소로), which is the part of GONG-FO that one of the DAFO-GAE the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It also have great impact on the foundation information of architecture history.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the first one is the BONGJUNG-SA Daeungjeon which is desinated one of the culture asset. The other subject is the temple building in DAFO-GAE. Also this study also contained that the palaces conducted in actual enumer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of SO-RO,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Here is the specific lists. First of all, It defined the concept of SO-RO and make clear of the name of the parts according to their own comformation. Secondly, It analyzed the location of SO-RO and their structure and classify their relationship by the number of protrude from their body. Lastly, It made a analysis the proportion about the size parts of SO-RO by observing three-dimensional or plane, the length of the part, the height of parts protruding from their body and the height the part on their body.

      •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정대열 대구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통목조건축 중 문건축 형식 가운데 하나인 다포계 일주문을 대상으로 하여 축부, 공포, 가구 세부분으로 나누어 그 건축형식을 규명하려는 것이고 둘째, 다포계 일주문을 유형화 하고 시대적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사적 위치를 재조명하고 셋째,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 및 기법을 정리하여 건축사 연구 및 전통건축의 보수, 신축시 설계 및 시공의 기초자료가 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30동의 다포계 일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을 우선 선정 하고,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건물 중에도 시대가 1910년 이전의 건축기법이 포함되어 있는 일주문은 연구대상에 포함 시켰다. 본 연구는 크게 과제설정-조사 및 실측-분석-결론의 4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그 과정은 다시 세부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일관되게 진행하였다. 논문구성은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및 대상과 범위 등에 대해서 논하였고 2장은 다포계 공포의 구조에 관한 일반적 고찰을 하였다. 3장은 다포계 일주문의 축부 유형분류 및 축부의 수직재와 수평재, 기단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공포부재의 특성과 공포의 구조 및 의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5장은 다포식 일주문의 가구부재 및 지붕가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은 결론으로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다포계 일주문은 전통건축 중 상징성과 특수성이 두드러진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다포계 일주문의 건축형식에서 축부는 지역적인 특성이 두드러지고 일주문 건축을 유형화하는 대표적인 부분이며, 공포와 가구는 보편적인 다포계 건축의 바탕 위에 일주문 건축의 특수성이 가미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architectural building forms of Dapo-style Iljumun which is one of the gate forms in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by dividing it into three sections-"bracket", "roof structure", “frame structure”. Second,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al value of Dapo-style Iljumun by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at took place in fashion. Third, this research has important meanings in that sorting out the architectural form of Dapo-style Iljumun can be preliminary data for the study on the architectural history,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construction, the design and execution of new building work. The object of this study contains 30 Dapo-style Iljumun distributed across the nation. The study includes Iljumun designated as cultural treasure on the preferential basis, the other Iljumun with techniques before 1910 are also the object of the research.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stages-selection of subject, research and actual measurement and conclusion. The whole process was consistently executed through detailed step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1st chapter - the purpose, background, method, object and range of the research. The 2nd chapter - the structure of Dapo-style bracke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he 3rd chapter - the frame structure of Dapo-style Iljumun,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 and podium. The 4th chapter - the characteristic of bracket with member and the structure, design of bracket. The 5th chapter - roof stucture of Dapo-style Iljumun. In the 6th chapte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been summarized. Dapo-style Iljumun is the building that has deep symbolis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 in the gate form of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The frame structure has a dominant regional characteristic, and a typical part of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Iljumun architecture. Dapo-style Iljumun are based on general Dapo-style architecture and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Iljumun architecture as well.

      • 달성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역사적인 변천과정과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옥희정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83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는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중 일부는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도시의 발전 방향이 전통적인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어 발전되어 왔고 특히 60년대 이후부터는 경제적인 원리가 더 중요시 되어 도시의 역사적 환경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구는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경상도 지역의 문화·행정·정치의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오랜 역사 도시로 발전하여 왔고, 전쟁 속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피해가 크지 않아 적지 않은 역사적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구만이 가지는 역사적 도시로서의 독특한 개성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의 역사적 공간 중에 특히 달성은 선사시대부터 방어에 유리한 자연 구릉지를 바탕으로 토성이 축조된 이후 대구의 대표적 공간으로 자리잡아 왔다. 고려 중엽 서(徐)씨 세거지로 전환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조선말 까지는 원래 초기 달성의 성립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공간으로 사용, 즉 구릉지라는 환경적 입지조건을 실증적 입장에서 활요한 군사 방어적인 시설이나 행정 중심지로 이용되었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달성은 정유재란 시 내부의 감영 공간 소실과 읍성이 대구의 중추적인 시설로 부각되는 계기를 통하여 이후부터는 군사적 방어 시설이나 행정시설 등 실증적 입장을 고려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었다고 보이며 이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인 공간으로서 그 존재성을 약하게 이어졌다고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상징적인 공간의 존재성은 일본헌병대가 주둔하면서 본래의 실증적인 공간으로 잠시 복귀다가 이후 공원과 신사가 들어오면서 표면적으로 상징적인 공간과 실증적인 공간을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으로 근대 말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달성은 대구 도시 형성 과정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대구의 오랜 대표적 공간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나 이를 잘 보존·활용하고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구 도시 속에서 존재하는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의 어려움으로 적극적인 보존·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 할 수 있다. 달성과 달성 주변지역의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바로 다행히 아직까지 달성을 보존 활용하기 위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구를 정체성을 가지는 도시로 정비하기 위한 지방 자치단체나 시민단체의 관심과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달성을 지난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공간 보존에 그칠 것이 아니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앞으로도 대구의 역사를 답을 수 있고 대구를 상징할 수 있는 역사적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Major citie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long history. However, some of these cities has gone under distorted development proces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direction while going through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age. Particularly, economical principles became to have more importance since 1960s, so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city started to go out of consideration. Daegu has been an important historical city operating its rule as a center of culture, administration, politics n Kyeong-sang do area from the era of the Three States to Chosun Dynasty. It also has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laces since their have not experienced severe damages despite the wa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unique characteristics in Daegu as a historical city nowadays. Among these historical places in Daegu,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based on mud castle on hill areas advantageous for defense since prehistoric age. Except for the times of being a residence of 'Seo‘ in Middle Goryeo, Dal-Seong was used as a place not so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stablishment purpose. It was used as a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utilizing environmental requirement of hill areas. And Dal-Seong was not required to have a practical position such as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after Jeong-yu Jaeran, just remained as a symbolic place based on former history. The existence of this symbolic place became an originally practical place while Japanese military police was stationed. After the parks and shrines were built in the place, Dal-Seong became the location simultaneously accepting symbolic and practical concepts until the modern times. So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in Daegu for a long time after doing a major role in formation of Daegu city. But its maintenance and utilization is not so actively done. This is because we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value of historical place existing in Daegu while having difficulties in the activ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with the hardness of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We found that there is still a positive factors to maintain and utilize Dal-Seong after situational analysis and surveys of Dal-Seong and near units. Also, efforts and concerns of civic groups or local government have been started to make Daegu as a city with its own identity. Not only considering Dal-Seong with a spatial maintenance as a historical remains of old ages, we should develop it as a symbolic place of Daegu while satisfying functions of currently utilized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