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글을 이용한 남성 헤어 타투 디자인 연구 : 훈민정음 서문을 중심으로

        박정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의 남성들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 비용과 시간을 아끼지 않으며 그루밍족, 여미족, 노무족 등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것에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남성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회적 변화에 의해 외모를 가꾸는 남자들이 늘어나면서 의상, 신발, 메이크업 등 변화를 줄 수 있는 아이템이 여자에 비해 많지 않은 남자들의 경우 헤어스타일로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도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현대사회는 유행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트렌드 디자인이 선보여지며,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트렌드 디자인의 요소로 언어적 관심표명이 여러 분야에서 확대되고 있으며 전 세계에는 다양한 언어가 있지만 자신들의 언어를 문자로 표기할 수 있는 나라는 몇 되지 않는데, 우리나라 언어이자 문자인 한글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훈민정음 서문을 소재로 한 남성헤어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훈민정음과 남성헤어디자인 관련서적과 문헌자료, 뉴스, 인터넷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한 후, 사진을 통하여 훈민정음 서문과 남성헤어디자인의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여 남성헤어타투와 남성헤어컬러의 다양한 디자인 형태를 제작하였다. 훈민정음 서문과 헤어타투, 헤어컬러의 특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제시한 남성헤어디자인작품을 통해 개성 있고 모던하면서 예술적 가치가 있는 남성헤어스타일의 다양한 변화를 창출하고자 하고자하며 더 나아가 남성헤어 산업분야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헤어타투와 훈민정음 서문을 기반으로 남성헤어스타일을 분석하여 M사 상반신 남성마네킹을 사용하여 총 7 작품을 제작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Ⅰ은 ‘나랏말미’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백과 흑을, 타투디자인의 색은 청색으로 하여 백색 배경에 파랑의 색을 이용하여 훈민정음 서문목판의 웅장함과 위엄 있고, 엄숙함의 느낌과 한글의 장엄함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Ⅱ는 ‘서르디’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적색과 황색, 타투디자인의 색은 녹색으로 하여 마치 어린아이의 동심을 생각할 수 있게 만든 무지개를 표현하였으며, 백색 배경에 부드럽고 따뜻한 녹색을 이용하여 자연의 느낌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Ⅲ은 ‘어린이’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자색과 퍼플, 타투디자인의 색은 유황색으로 하여, 현대적인 세련미와 개성미를 강조하고 모던함의 느낌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Ⅳ는 ‘배이셔도’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ㅎ’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홍색, 타투디자인의 색은 녹색과 흑색으로 표현하여 리드미컬한 동적인 느낌으로 생동감이 느껴지도록 하고, 백색 배경에 회색과 녹색을 이용하여 보수적이면서 깔끔한 느낌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Ⅴ는 ‘펴디’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ㅁ’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Purple(퍼플) 색을 전체적인 색감으로 표현하여 품위 있는 우아함을 나타내었고, 타투디자인의 색은 홍색과 흑색을 이용하여 여성스럽고 온화한 느낌과 깔끔함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Ⅵ은 ‘이야’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ㅇ’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Coral Pink (코랄 핑크), Mahogany (마호가니)의 색감으로 부드럽고 매혹적이고 고급스러움을 나타내었고, 타투디자인의 색은 보라색과 유황색으로 표현하여 우아함과 에너지 넘치고 개성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Ⅶ은 ‘스믈여’의 구성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작품으로 ‘ㅅ’의 형태를 기반으로 디자인커트를 진행하였다. 모발의 색은 Red Grapefruit (레드 그레이프 후르츠), Coral Orange (코랄 오렌지) 의 색감으로 상큼함과 싱그러움을 나타내었고, 타투디자인의 색은 적색과 흑색으로 표현하여 남성의 강인함을 강조한 타투디자인을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한글은 남성헤어디자인의 소재로써 예술적 가치가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훈민정음 서문을 모티브로 한 타투디자인을 제작하여 한글과 헤어디자인이 접목하여 창의적인 헤어디자인 창출이 가능함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한글을 모티브로 한 헤어디자인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바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여성헤어디자인에도 다양한 시술 방법을 통해 독창적 디자인 작품이 제작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한계를 넘어 실제 모델에게 다양한 레터링타투방법을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한다면 실증적 자료로 더욱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뷰티종사자의 근무환경,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수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요약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도시 남녀 1만498명을 대상으로 한 ‘2018 국민 여가활동조사’ 결과 국민의 평일과 휴일 여가시간은 각각 3.3시간과 5.3시간으로 2016년 대비 워라벨이 37% 늘어난 결과로 보아 현대인은 일만 중시하던 삶에서 여가와 일의 균형을 중시하는 삶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2019). 국민 여가시간. 비용 2년전보다 늘어 37% 워라벨 실현 [기사일자 2019.01.29.][검색일자 2019.10.13]https://www.mcst.go.kr/kor/search/search.jsp 워라벨(Work-Life Balance)은 최근 일자리 선택의 주요 요인으로도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서비스 산업현장도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의 조직 및 인사관리에 있어서도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직원들에게 외적인 보상만으로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등의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뷰티서비스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어 여가생활과 삶의 질이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뷰티종사자들 근무환경,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뷰티종사자들의 행복 증진과 조직에서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그 결과를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 소재의 뷰티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총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612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근무환경의 하위요인 보상체계, 물리적 환경, 근무촉진, 인적환경이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종사자들에게 교육과 기술·제품 세미나 등의 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근무촉진과 이에 합당한 보상체계, 물리적 환경 등이 종사자들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뷰티종사자의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뷰티종사자의 워라벨 중 일-가족, 일-여가, 일-성장은 삶의 질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그동안 과도한 근무시간에서 누릴 수 없었던 가족과의 시간, 개인의 여유와 자기 발전 등이 충족이 된다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뷰티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직업정체성의 감정이입, 직무적합, 일체감은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기존의 뷰티산업은 이직률이 많은 직종 중의 하나였으나 본 연구의 결과, 내 직업에 대한 강한 소속감, 직장의 문제를 내 문제처럼 느낄 수 있는 마음가짐, 직장에서의 개인의 능력을 인정이 받을 수 있는 근무환경이 이루어진다면 내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만족감의 높아지며 개인의 삶의 질 만족감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뷰티종사자의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직업정체성의 감정이입, 직무적합, 일체감은 워라벨이 삶의 질의 만족, 건강, 능력에 모두 매개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로 보아 가족이나 연인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환경 형성, 자신의 건강관리나 여가 생활을 조화롭게 즐길 여유 확보, 자기개발이나 교육에 신경을 쓸 수 있는 근무환경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대상자 중 뷰티종사자의 헤어 직종의 비중이 다수로 조사되어 표집의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헤어 외 다른 분야뷰티종사자 표본의 비율을 확보하여 비교연구를 한다면 뷰티종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working conditions for beauty artists, The influence which ‛work-life balance’ has on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for professional identity - Ji, Su Hyun Hair Major in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ung University According to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in 2019, the “2018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of 10,498 men and women in 17 cities across the country showed that people have 3.3 hours and 5.3 hours of weekday and holiday leisure time,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modern people are changing from a life that focused only on work to a life that focuses on a balance between leisure and work as a result of a 37% increase in work-life balance compared to 2016.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9). National Leisure Time. A 37% Increase in Cost Than 2 Years Ago Realizes Work-Life Balance [News Date 2019.01.29.][Search Date 2019.10.13]https://www.mcst.go.kr/kor/search/search.jsp Work-life balance is seen as a major factor of job selection in recent years. In line with these changes, the service industry is also facing new changes. Even in corporat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it is hard to expect positive result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nly by external compensation from employees who value work-life balance. Leisure life and quality of life are starting to become important as these changes have also been applied to people in the beauty services sector.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working conditions for beauty artists and the influence which work-life balance has on quality of life, and enhance their happiness and improve their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 by empirically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it established the theoretical system by analyzing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and set up research hypotheses an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 results. A total of 6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beauty artis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61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o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the working conditions for beauty artists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compensation system, physical environment, work promotion and human environment, which are the sub-factors of working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quality of life. As a result, continuous work promotion through education, technology and product seminars for them,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this can be an opportunity for them to display their talents. Second, the influence of beauty artists’ work-life balance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work-family, work-leisure and work-growth among their work-life bal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ime with their families, their individual leisure and self-development, which have not been enjoyed in excessive working hours, can help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in the influence of beauty artists’ working conditions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empathy, job fit and identification among occupational identity were mediated in the influence of their working conditions on quality of life. As a result, the existing beauty industry was one of many professions with a high turnover rate, but a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ir job, a mental attitude that can feel the problem at work as if it were their problem, and a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be recognized for their individual abilities in the workplace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ir individual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value and satisfaction of their job.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in the influence of beauty artists’ work-life balance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empathy, job fit and identification among occupational identity were all mediated in the influence of their work-life balance on satisfaction health and ability among quality of life. As a result, forming a positive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or couples, securing a space to enjoy their health care or leisure life in harmony,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to pay attention to their self-development or education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quality of lif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rtion of beauty artists’ hair job was high, which there was a limitation of sampling. In the future,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percentage of beauty artist samples in other sectors besides hair will be more valuable for improving beauty artists’ quality of life. 국문요약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도시 남녀 1만498명을 대상으로 한 ‘2018 국민 여가활동조사’ 결과 국민의 평일과 휴일 여가시간은 각각 3.3시간과 5.3시간으로 2016년 대비 워라벨이 37% 늘어난 결과로 보아 현대인은 일만 중시하던 삶에서 여가와 일의 균형을 중시하는 삶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2019). 국민 여가시간. 비용 2년전보다 늘어 37% 워라벨 실현 [기사일자 2019.01.29.][검색일자 2019.10.13]https://www.mcst.go.kr/kor/search/search.jsp 워라벨(Work-Life Balance)은 최근 일자리 선택의 주요 요인으로도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서비스 산업현장도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업의 조직 및 인사관리에 있어서도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직원들에게 외적인 보상만으로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등의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뷰티서비스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어 여가생활과 삶의 질이 중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뷰티종사자들 근무환경,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뷰티종사자들의 행복 증진과 조직에서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이론체계를 정립하고 그 결과를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서울과 경기 소재의 뷰티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총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612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근무환경의 하위요인 보상체계, 물리적 환경, 근무촉진, 인적환경이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종사자들에게 교육과 기술·제품 세미나 등의 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근무촉진과 이에 합당한 보상체계, 물리적 환경 등이 종사자들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뷰티종사자의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뷰티종사자의 워라벨 중 일-가족, 일-여가, 일-성장은 삶의 질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그동안 과도한 근무시간에서 누릴 수 없었던 가족과의 시간, 개인의 여유와 자기 발전 등이 충족이 된다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뷰티종사자의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직업정체성의 감정이입, 직무적합, 일체감은 근무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기존의 뷰티산업은 이직률이 많은 직종 중의 하나였으나 본 연구의 결과, 내 직업에 대한 강한 소속감, 직장의 문제를 내 문제처럼 느낄 수 있는 마음가짐, 직장에서의 개인의 능력을 인정이 받을 수 있는 근무환경이 이루어진다면 내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만족감의 높아지며 개인의 삶의 질 만족감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뷰티종사자의 워라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직업정체성의 감정이입, 직무적합, 일체감은 워라벨이 삶의 질의 만족, 건강, 능력에 모두 매개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로 보아 가족이나 연인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환경 형성, 자신의 건강관리나 여가 생활을 조화롭게 즐길 여유 확보, 자기개발이나 교육에 신경을 쓸 수 있는 근무환경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대상자 중 뷰티종사자의 헤어 직종의 비중이 다수로 조사되어 표집의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헤어 외 다른 분야뷰티종사자 표본의 비율을 확보하여 비교연구를 한다면 뷰티종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COVID-19시대 뷰티소비자의 건강의식이 보호동기 및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지효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2019년 신종 전염병 바이러스인 COVID-19가 확산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는 팬데믹(Pandemic)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COVID-19 종식을 위해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화등 다양한 방역체계를 시행하고 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정책은 소비심리를 위축시켰고, 소상공인들은 매출액과 방문객 감소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특히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대면접촉의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대면 서비스를 이용하기 꺼려하기 시작함에 따라 ‘언택트’서비스가 트렌드로 전향되어 가고 있다. 접촉과 대면 서비스를 필수 불가결하게 이용할 수밖에 없는 헤어샵의 경우 고객 감소로 인해 대부분 수입이 줄거나 재택근무로 인해 염색, 파마, 커트의 방문주기도 길어지고 있어 평균적으로 더 많은 시술 간격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심각성에 비해 COVID-19와 뷰티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결과는 찾아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질병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 속에서 건강의식이 보호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MERS, SARS, COVID-19 와 같은 호흡기 질환은 다양한 변이를 통해 발병될 소지가 크기 때문에 보건이나 의료 분야에서 다수 적용된 보호동기이론을 활용하여 건강의식과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 상황 속에서 헤어샵을 1회 이상 방문한 성인 남·여 뷰티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 방법을 통해 이루어 졌다.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673부를 회수하였고 그중 응답이 미흡한 설문지를 제외한 649부를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성별은 남성 242명, 여성 406명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166명, 30대 201명, 40대 115명, 50대 166명, 헤어샵 방문주기는 1개월 미만 99명, 1-3개월 미만 351명, 3-6개월 미만 134명, 6개월 이상 64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의식이 보호동기(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건강의식이 보호동기 하위요인별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건강의식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건강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의식이 높아지면 건강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보호동기(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 건강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건강행동이 지각된 심각성,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건강행동 역시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건강의식이 보호동기요인과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COVID-19 상황에서 헤어샵과 같은 불특정다수가 모이는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전염성 질병에 대한 노출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르네마그리트의 회화를 오마주한 헤어아트 연구 : 데페이즈망 기법을 중심으로

        유애진 서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헤어디자인을 만드는 일은 과거부터 사용되던 실용 기술로써,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예술적 장르와 실용적인 측면에도 제외 될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제는 헤어디자인도 모방에서 기술로, 기술에서 창조로 발전하여, 실용기술과 창조를 아우르는 새로운 개념인 ‘헤어아트’로 명명 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헤어 위에 올리는 오브제를 만드는 헤어 조형물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소재와 예술 사조의 모티브를 통해 헤어조형물을 디자인함으로써 패션 디자이너들과 공동 작업을 하고, 뷰티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헤어회사들은 매 시즌마다 새로운 컬렉션을 제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아티스트인 르네마그리트를(Rene Magritte)를 오마주(Homage)하여 예술적 표현을 극대화한 헤어아트를 제작하였다. 르네마그리트는 그림 안에 다른 그림을 그려 넣거나 사물의 이름 혹은 기호를 포함시키기도 하여 그려진 대상과 실재하는 대상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런 표현의 기법을 데페이즈망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으로 공간의 변조, 모순된 이미지의 결합, 물체의 변형과 변화가 있다. 이에 데페이즈망 기법이 나와 있는 르네마그리트의 작품에 헤어아트를 접목 하여 예기치 않는 배경에 헤어아트 피스를 놓고 느껴지는 낯선 기묘함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헤어를 그냥 단순한 생물학적 헤어가 아닌 예술로써의 헤어임을 강조하여 그 뒤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해 나갈 수 있도록 작품을 제작 하였다. 헤어아트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헤어를 이용하여 아트피스를 만드는 방법, 두 번째는 모델의 헤어를 이용하여 헤어스타일링을 표현하는 방법, 예술사조의 모티브를 받아 조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이 세 가지 방법과 헤겔과 프로이드의 철학을 섞어서 르네마그리트의 오마주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르네마그리트의 작품을 응용하여 총 8개의 헤어아트 피스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작품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현실주의의 개념과 표현기법, 형성배경의 특징을 살펴 본 결과 사고와 전개 과정은 독특한 발상과 일상적 규칙을 해체하거나 거부하여 합리적인 발전 과정을 뛰어넘는 사고와 조형을 표현하였다. 둘째, 르네마그리트의 작품 특징인 불규칙과 비정형적인 배열을 통해 모순된 이미지의 변화, 물체의 변형, 공간의 변화를 통해 기존의 헤어를 재구성하여 데페이즈망 기법의 조형성을 표현하였다. 이에 이질적 재료가 헤어아트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며 부조화와 의외성을 유발시켜 낯선 충격을 주었다. 불균형한 구도의 위치전환법도 여기에 포함하여 시각적 부조화의 형태를 보이며 데페이즈망 기법을 담아내었다. 셋째, 헤어아트의 생각과 사고의 틀을 조형화하기 위해 창의적 리서치 프로세스의 헤어아트 아이디어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발전시켰다. 이에 신체의 은폐와 기형적 형상으로 왜곡된 형태의 변화를 통해 데페이즈망 기법을 표현하였으며 기존에 있던 관념을 파기하고 단조로운 형태의 질서를 깨뜨려 헤어작품에 담아내었다. 따라서 르네마그리트의 회화가 가지고 있는 작품세계는 헤어아트 연구에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예술과 헤어아트의 만남으로 서로 접목되어 창의적이고 차별화된 이미지 소스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현실주의는 다양한 주제를 사물에 대입하여 예상치 못한 구성을 통해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표현방법을 시도하였다. 또한 데페이즈망을 응용한 헤어아트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헤어디자인을 탈피하고 형식의 제한 없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있다. 데페이즈망 양식과 헤어아트의 특징을 접목한 본 연구의 작품들은 조형작품으로의 예술적 의미 뿐 아니라 헤어디자인의 아이디어 제공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후속연구에서는 디자인을 창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상에 도움을 주고 영감이 되는 요소와 다양한 미술 사조를 통해 헤어아트의 조형성을 보다 폭넓고 깊은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유튜브 뷰티콘텐츠 이용자의 준사회적 상호작용, 몰입이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터넷 및 스마트폰 등 디지털 생태계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소셜미디어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등장하면서 현대사회에서 큰 영향력이 있는 미디어로 자리잡게 되었다. 기존의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은 일방향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였고, 초기의 소셜미디어에서는 블로그, 페이스북 등 텍스트 중심의 내용 전달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기업과 소비자 간의 양방향의 소통이 중심이 되는 소셜미디어가 대중화되면서 동영상을 통해 시청자가 자유롭게 시청, 공유, 참여할 수 있는 유튜브가 대표적인 미디어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개인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 또한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을 실천하고 있으며 마케팅 환경에 긍정적인 효과가 증가하고 있다. 2017년에는 2조원 규모의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이었다면 2020년에는 11조원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앱 분석 업체 와이즈앱(wise app)에 따르면 2018년 11월 한국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세대별 사용 현황에서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으로 유튜브가 선정되었다. 유튜브 이용자들은 동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유튜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그 인물과 해당 프로그램의 사회현실에 대하여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으로 공감하며 깊은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다고 느낀다. 이러한 준 사회적 상호작용은 유튜브를 통하여 얻은 정보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영향은 뷰티시장에도 예외없이 적용이 될 것으로 사료되기에 본 연구는 유튜브의 뷰티콘텐츠 이용자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결과를 유튜브 뷰티콘텐츠를 이용한 마케팅의 효율적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튜브 콘텐츠가 마케팅 전략 수립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강해질수록 구매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서적, 인지적, 행위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현실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정서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40대 이상의 연령대를 겨냥하고, 콘텐츠 사용량이 높은 10, 20대 이용자들의 추천의도가 높은 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한다면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 활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뷰티 콘텐츠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뿐만 아니라 이용 특성에 따른 차이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 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 희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미경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Most people would be under stress in the present, and the stress levels have increasingly raised as time has gone by. Beauty professionals, especially, have suffered from a lot higher stress level than any other professionals have done. This is because the beauty professionals would exhaust their energy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for maintaining complicated relationships, learning the new information and techniques that rapidly increase, and satisfying customers’ demands of a high-level technique, as well as poor working conditions, heavy workloads, low level of employee welfare, and low-income, etc. The high-level of stress in the beauty field would also result in a career change, a leave of absence from a job, or even a decision to give up being a beauty professional. Earlier researches have show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tress would be,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would also be, which attracted attention to lowering job stress and depression by hop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ecrease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beauty professionals, based on an adjusted variable, the hope within a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earch was based on 5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target group of beauty professionals (including hairdressers, make-up artists, aestheticians, and nail artists) in Seoul, Gyeonggi, and some other areas from May 18thtoJuly4thin2018.Thetotalof503questionnaireswereusedasourfinalanalysisdata.Forthedatagathered,thestatisticalpackageprogram,SPSS21.0Version,wasusedtoexaminethehypothesesestablishedonthisstudy. Our research has shown the seven major results as the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female professionals are more than that of male professionals based on gender classification. In terms of age, the number of participants would increase in order of 20s, 30s and 40s. For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the single is larger than that of the married. When it comes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ould increase in order of the community college educated, the college educated, the graduate school educated, and the below high school educated. In relation to their positions, the number of interns were the most, and the designers, directors, and managers were the next in order. Regarding their career experience, the number of the professionals would increase in order of the 6 years, the 1 ~ 4 years, the less than a year, and the 4 ~ 6 years. Also, for the pay levels, the number of the individuals would increase in order of those paid less than 2 million won, those paid 2 ~ 3 million won, those paid 3 ~ 4 million won, and those paid more than 4 million won. Second, based on the factorial analysis of job stress, depression, and hope, job stress is divided into 8 factors; work demand, lack of job autonomy, conflicting relationships, physical environment, system of organization, job instability, workplace culture, inappropriateness of compensation. Also, depression has a single factor, ‘depression,’ while hope is classified into 2 factors; ‘a leading thinking factor,’ and ‘a side thinking factor.’ Third, the research examines job stress, depression, and hop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Above all, in terms of job stress, men would have a higher level of job stress than women. In age, the professionals in their 30s would be more lack of job autonomy than those in 20s or over 40s would, while the professionals over 40 would have more conflicts in relationships compared to the 20s. For educational background, those with more than graduate school education would have more conflicts in relationships than those with less than college education would. In pay levels, those who get paid more than 4 million won showed higher level of job stress and its subfactors,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work demand, job instability, system of organization, and workplace culture, than those who get paid less than 4 million won did. For marital status, the others had more stress than the single and the married had. The married would have relatively more conflicting relationships and higher level of system of organization than the single or the others would. In terms of working hours, the professionals who work between 8 and 12 hours tended to be more lack of job autonomy than those who work less than 8 hours or more than 12 hours did. They also would ha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job instability compared to those who work less than 12 hours would. Regarding the years of their work experience, those who have worked less than 4 years would relatively be more lack of job autonomy, while those who have worked less than 6 years have a higher level of job instability. Those who have the experience more than 6 years would have more conflicts in relationships, and those who worked less than an year would have a much higher level of workplace culture. Based on the positions, designers would have a higher level of general job stress, while a director would more conflicts in relationships. In addition, regarding depression, male professionals would be more depressed than female professionals. Those who get paid less than 3 million won would have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get paid more than 3 million won would. For marital status, the others tend to be more depressed than the single and the married do. Also, the shorter the professional had worked, compared to those who had worked for longer,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would be. Regarding their job positions, intern designers would be more depressed.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the hope, the professionals with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had a higher side thinking factor than the others did. Based on pay levels,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hope, a side thinking factor, and a leading thinking factor. Those who get paid more than 4 million won had a higher level of the hope, a side thinking factor, and a leading thinking factor, compared to those who get paid less than 4 million won. Regarding working hours, the less the working hours would b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ope and a side thinking level would be. In respect of their positions, interns and directors of beauty parlors would have a higher side thinking factor than designers and managers would.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work demand, lack of job autonomy, job instability, conflicting relationships, system of organization, inappropriateness of compensation, and workplace culture, would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Fifth, according to the hypothesis examined related to the effect of job stress to depression, it is shown that whe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cluding workplace culture, job instability, work demand, conflicting relationships, inappropriateness of compensation, and system of organization, would increase, depression would also increase. In other words, job stress w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Finally, both a side thinking factor and a leading thinking factor, which are the factors of hope in a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would have the control effect on depression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aforementioned, job stress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on depression, while for hope, and both a side thinking factor and a leading thinking factor, which are the factors of hope in a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would lower depression and job stre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at job stress and depression decreased through the hope, can also be used as the base data to maximize the sale revenue by providing the better service to customers at on-site workplace of a beauty. Also, this research would further contribute to study in-depth for developing the advanced program that would take a concrete shape of the hope factor to decrease job stress and depression.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은 누구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사람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정도는 해가 더해질수록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러 직업 중 복잡한 인간관계의 유지, 급증하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 필요, 고객들의 높은 기술 수준요구, 부적절한 근무환경, 업무량 과증, 복지수준 미흡, 적은 소득 등으로 인해 헤어미용사는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다른 직업인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높은 스트레스로 인해 이직, 휴직, 미용사를 아예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되기도 한다. 선행연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우울감이 높다는 연구결과들이 입증 되면서 희망을 통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을 조절변수로 하여 헤어미용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감소결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 및 기타 지역의 미용종사자(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를 대상으로 2018년 5월 18일부터 7월 4일까지 총 55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총 50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30대, 40대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전문대졸, 대학교졸, 대학원 재/졸, 고졸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직급은 인턴, 디자이너, 원장, 매니저 순으로 나타났고, 미용경력은 6년 이상, 1-4년 미만, 1년 미만, 4-6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급여수준은 2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 300-400만원 미만, 400만 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우울, 희망의 요인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물리적 환경,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직장문화, 보상부적절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우울은 ‘우울’의 단일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희망은 ‘주도적 사고요인’, ‘통로 사고요인’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 희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30대에 비해 20대나 4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직무자율성 결여가 높고, 20대에 비해 4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계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교졸 이하에 비해 대학원 재/졸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계 갈등이 많고, 급여수준에 따라서는 400만원 미만의 경우 400만원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와 하위요인별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도,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직장문화가 높으며,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기타의 경우 미혼, 기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기혼의 경우 미혼이나 기타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계갈등, 조직체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8-12시간미만의 경우 8시간미만이나 12시간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자율성 결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2시간 미만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불안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경력에 따라서는 1-4년 미만의 경우 상대적으로 직무자율성 결여가 높으며, 1년 미만이나 4-6년 미만의 경우 직무 불안정이 높은 것으로, 6년 이상의 경우 관계갈등이 높은 것으로, 1년 미만의 경우 직장문화가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직위에 따라서는 디자이너의 경우 전박적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원장의 경우 관계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우울의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급여수준은 300만원 미만의 경우 300만 원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이 높으며, 결혼 상태에 따라서는 미혼, 기혼에 비해 기타의 경우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경력에 따라서는 미용경력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직위는 인턴 디자이너의 경우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의 분석결과, 학력에 따라서는 고졸이하에 비해 기타의 경우 상대적으로 통로사고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급여수준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희망과 하위요인별 통로사고 요인, 주도적사고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00만원 미만에 비해 40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희망과 하위요인별 통로사고 요인, 주도적사고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시간에 따라서는 비교적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전반적인 희망과 하위요인별 통로사고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위에 따라서는 인턴, 원장의 경우 디자이너, 매니저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통로사고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별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결여, 직무불안정,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는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의 검증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직장문화, 직무불안정, 직무요구도,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조직체계가 높아지면 우울도 높아져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요인인 통로사고와 주도적 사고요인이 우울과 직무스트레스에 조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희망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요인인 통로사고와 주도적 사고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는 것을 알 수 있다. 희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감이 감소한 본 연구의 결과를 미용현장에서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향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감소할 수 있는 희망적 요인을 구체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여성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현정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Hair style has been important role as an effective way to express one’s personality for a long time. Hair style which can show ones look and impression has become new domain in field of hair study. The reason is that hair style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express ones image in modern society. Human wish to represent pursuing image by one’s hair style especially utilizing hair cut, color, and perm, moreover hair is the not only physical part of human body but communication way to express social sense. In previous research,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hair style preference based on appearance characteristics, but only a few researches have progressed related to personality though, there is a limitation of finding out relationship systematically between personality and hair style p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general concept of personality and hair style preference and to suggest frame work by field analysis for the further research. Moreover aim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by considering appearance as well as personality. For field research, 500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female who visits hair shop, skin care shop and university from 10th of June to 14th of July, 2010, and 483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inally 438 of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45 of questionnaire which being answered abnormally. As a result of analysis, hair image (hypothesis 1), cut style (hypothesis 2-2), cut method (hypothesis 2-3), Hair perm (hypothesis 4), hair interest (hypothesis 5-1) have a significant figures, summary of personality type as below. ST type which prefers fact and reality has logical propensity. They are much interest in hair style, prefer modern & natural hair image, graduation & increase layer cut style, wave perm & volume perm. This result might come from preferring realistic and logical propensity and pursuing reliability and specialty SF type is easy to get affected by self emotion, prefers fact and is most interested in hair style. This type prefers natural & romantic hair image, solid & increase layer cut style, wave perm & volume perm. It is assumed that they are realistic and practical so that prefer simple and easy style. NT type is likely to pursue intuition and rationality. They are less interested in hair style prefer modern & casual hair image, solid & increase layer cut style, stroke & disconnection cut method, natural perm & wave perm. It is assumed that they are much rational so that prefer simple and upright style and keep current style. NT type seeks for intuition, meaning and relation, likely to pursue warm heart and insight. They are less interested in hair style and prefer modern & natural hair image, solid & graduation cut style, natural perm & setting perm. It is assumed that they are willing to accept new trend so that prefer active style which can express one’s personality. This research shows possibility of understating relation of personality type and hair style preference. More research related to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ife style and value will be expected. 헤어스타일은 오랜 기간 동안 개인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얼굴과 함께 인상을 결정해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헤어 분야에서 별도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현대와 같은 유행의 변화 속에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개인의 이미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헤어스타일을 통해서 본인이 추구하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싶어한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헤어 길이, 커트, 염색, 펌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헤어는 신체의 일부분으로 물리적이며 개인적인 부분인 동시에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형태로서 사회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개인의 외형적 특성을 기준으로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연구하였다. 그러나 성격유형과 같은 내면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며, 성격유형과 헤어스타일 선호도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과 헤어스타일 선호도의 일반화된 개념 및 구성차원을 설명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프레임을 제시하여 향후 이 분야의 연구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또한 헤어샵에서 헤어 스타일을 제안할 때, 고객의 외모뿐만 아니라 성격특성을 고려하여 고객의 헤어스타일 만족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0년 6월 10일부터 7월 14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여성들이 주로 방문하는 헤어샵, 피부관리실, 학교 등을 방문하여 총 500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 483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일부 항목이 누락되었거나 중복 응답 등 부적절한 설문 45부 제외한 총 438부를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헤어 이미지(가설 1), 커트 스타일(가설 2-2), 커트 방법(가설 2-3), 헤어 질감(가설 4), 헤어 스타일 관심도 중 관심도(가설 5-1)가 유의한 결과를 보여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헤어 길이(가설 2-1), 헤어 컬러(가설 3), 헤어스타일 일치도(가설 5-2)는 기각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의미한 헤어스타일 선호도는 헤어 이미지, 헤어 형태, 헤어 질감, 헤어 관심도며, 이를 성격유형별로 정리하여 특성화하면 다음과 같다. ST(실제적/사실적) 그룹은 주로 사실과 객관적 현실에 관심을 가지고 논리적인 성향이 있다. 이 그룹은 헤어 스타일에 관심이 많은 편이며, 모던하고 내추럴한 헤어 이미지를 선호하고, 그레쥬에이션, 인크리스 레이어 스타일과 스트록을, 헤어 질감은 물결펌, 볼륨펌, 셋팅펌을 선호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실제적이고 논리적인 성향으로 신뢰성과 전문성을 표현할 수 있는 스타일을 선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SF(동정적/우호적) 그룹은 사실에 관심을 가지고 자기감정에 영향을 받는 경향이 큰 편이다. 헤어 스타일에 관심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내추럴, 모던, 로맨틱한 헤어 이미지를 선호한다. 커트 스타일은 솔리드 또는 인크리스 레이어를 선호하고, 헤어 질감은 물결펌, 볼륨펌, 셋팅펌을 선호한다. 이러한 이유는 이 그룹이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이 강해 간편한고 손질이 쉬운 스타일을 선호한 것으로 추측된다. NT(논리적/창의적) 그룹은 구체적인 사실보다 직관을 선호하고 합리적인 성향이 크다. 헤어 스타일에 관심이 가장 적은 그룹으로 선호하는 헤어 이미지는 모던, 캐주얼이고, 솔리드와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 스타일을 선호한다. 커트 방법은 스트록과 디스커녁션, 샤기를 다양하게 선호하고, 헤어 질감은 내추럴펌, 물결펌, 셋팅펌을 선호한다. 이 그룹은 합리적인 성향이 강하여 심플하고 단정한 스타일을 선호하고 변화를 주기 보다 기존 스타일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NF(열정적/통찰적) 그룹은 NT 그룹과 같이 직관. 의미와 관계에 관심이 많으며 따뜻한 온정과 통찰적인 성향이 있다. 헤어 스타일에 관심이 적은 그룹으로 모던, 내추럴, 캐주얼한 헤어 이미지를 선호한다. 솔리드, 그레쥬에이션의 커트 스타일과 디스커넥션, 스트록의 커트 방법을 선호하며, 헤어 질감은 물결펌, 내추럴펌, 셋팅펌, 볼륨펌을 선호한다. 이러한 배경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흥미롭게 여기며 개성이 뚜렷하여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액티브한 스타일을 선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성격유형과 헤어 스타일 선호도 차이를 이해하는데 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헤어 스타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내면적 차원인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 등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를 기대해 본다.

      • 남성의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염과 헤어스타일 연구

        김경춘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요 약 남성의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염과 헤어스타일 연구 본 연구는 현대 남성 수염스타일에 따른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남성 수염스타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미지에 맞는 스타일을 연출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기존의 수염 작품들은 고전적인 남성의 이미지가 강하여 현대의 남성 수염 트렌드에 영향을 주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염 스타일과 이미지를 고찰한 후 모델을 선정하고 현대 남성의 이미지 변화 측면을 고려하여 콧수염, 턱수염, 혼합수염을 활용하여 총 8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현대 남성 수염을 분석하고 재창조하여 고객에게 헤어스타일과 어울리는 수염스타일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작품 1 코밑수염은 인중 부분에 집중적으로 돋은 칫솔형태이며, 양옆을 깎은 폭이 좁은 정사각형 모양의 질감이 없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캐릭터적인 얼굴과 개성이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2 갈매기수염은 코와 윗입술 사이를 덮는 모양이며, 윗입술 위에 브이(V)자를 뒤집어놓은 것 같은 모양으로 질감이 있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남성의 강인함이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3 중앙수염은 턱수염 중앙에 분포하여 막대기 형태로 이루어지 모양으로 질감이 있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개성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4 기본수염은 턱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돋은 형태로 입술 아래로 턱 선까지 직선으로 난 모양으로 질감이 없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부드럽고 호감 가는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5 친커트수염은 구레나룻에서부터 턱 라인까지 이어지며, 콧수염은 없고 구레나룻에서 턱으로 이어지는 라인이 갈수록 두꺼워 지는 형태의 모양으로 질감이 많아 보이게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야성미 있는 남성의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6 힙스터수염은 콧수염과 턱수염을 모두 기르되 두 수염을 분리한 모양이며, 분리 작업을 선명한 모양과 질감이 있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개성적이며 미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7 구티수염은 입 주변에서 턱 선으로 연결되어 원형 형태이며, 질감이 있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선한 인상을 주어 호감을 주는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8 레닌수염은 인중 부분에서 볼과 턱수염으로 이어지는 모양으로 질감이 있는 수염스타일로 제작하여 강인한 얼굴 골격에 맞는 카리스마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현대 남성 수염스타일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구상할 수 있고 개개인의 개성에 맞는 응용 가능한 수염스타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수염 스타일의 분석과 헤어스타일 뿐 아니라 얼굴형에 어울리는 수염 형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

      • SNS 헤어 미용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정보제공 특성이 소비자의 기대심리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나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인하여 SNS 이용이 증가하고 발달함에 따라 트랜드를 선도하고 타인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인플루언서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를 활용한 마케팅방법 또한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는 일반인 정보원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인플루언서에게 동질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며, 기업의 광고보다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더 신뢰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미용 산업에서도 나타나게 되었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인스타그램에 국한되어있거나, SNS의 특성 또는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헤어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과 기대심리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SNS헤어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이 소비자의 기대심리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SNS헤어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 1일부터 2020년 4월 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SNS 인플루언서 이용 경험이 있는 1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37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19명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3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이 소비자의 기대심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 요인 중 신뢰성, 전문성이 신뢰적 기대심리와 실용적 기대심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충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도 모두 신뢰성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SNS 헤어 미용 인플루언서의 솔직하고 믿을만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미용 인플루언서의 정보제공 특성과 소비자의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대심리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SNS헤어 미용 인플루언서에게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긍정적 기대심리를 높이고,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As the use of SNS increases and develops due to the rapid spread of smartphones, influencers, managers of trends and influences others, have emerged. Influencers have also drawn the attention of marketing methods. Consumers have developed a sense of affection and intimacy with influencers, who provide common sources of information and expertise in a wide variety of fields, and have become more convinced in its content compared to corporate advertising. This phenomenon has also occurred in the beauty industry, and if you look at similar prior studies, most of the studies are related to Instagram, SNS characteristics, or the effects of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behavior.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and expected psychology of hair beauty influenc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impact of SNS hair beauty influencers on consumer's behaviors and the impact of consumer's behavior on their expectations. Additionally, to identify if consumer's expectations are mediated by the impact of SNS hair beauty influencer's inform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 2020 to April 4, 2020, and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ages 10-40 who had experience using SNS influencers. An off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372 respondents answering the survey. The final analysis included 353 survey copies, excluding 19 unfaithful response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v.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 multiple respons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used to verify validity.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 One way ANOVA were performed, with the Duncan test conducted as a pos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NS beauty influencer's information serv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expectations, and that reliability and expertise have the most impact on trust and practical expectations among the factors of SNS beauty influencer's inform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SNS beauty influencer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behavior, with satisfaction, loyalty, recommendation, and revisiting having the highest impact on reliability. This indicates that SNS hair beauty influencer providing honest and reliable information has the greatest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behavior. It has been shown that consumer’s expect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ervice from SNS beauty influencer and the behavior of consumers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thus meeting the requiremen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shape specific and systematic marketing strategies for SNS hair beauty influencers. This would presumably enhance consumer’s positive expectations and have a helpful impact on their behavior by providing more specific and effectiv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