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의 전통미술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찬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1990년대 이후 국내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교육의 유입은 전통미술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이 주목받은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정체성의 함양과 다양한 문화의 이해라는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꾸준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동화주의적 접근과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본 연구자의 학습 경험에서도 기존의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거나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 수업으로 전개되지 못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통미술교육의 내용과 접근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준거로는 오늘날 전통미술교육의 배경을 제공해 주었던 다문화 미술교육을 제시해 앞선 연구목적을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분석’으로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접근 방향과 내용 전개에 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미술과에 한정해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접근유형을 살펴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 방향이 미술을 사회·문화적 결과물로 바라보고 그 과정에서 여러 하위문화와 사회구조적 차별을 가시화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에플랜드, 프리드먼, 스터의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과 안혜리의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대안을 통해,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과 ’동화주의’ 접근부터 다양한 타자와 민주주의사회 실현을 중시하는 ‘사회재건주의’ 접근까지 다양한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유형과 방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과 접근 유형을 토대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접근과 사회구조의 가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을 기준으로 어떠한 접근 양상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본 연구의 분석기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만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할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미술 속 다양한 하위문화나 사회구조의 가시화는 부족했다. 교과서라는 형식이 지닌 분량의 제한과 국가단위 교육과정의 반영이라는 제도적 한계 속에서 전통미술은 ‘전통’과 ‘우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구조를 가시화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전통미술 단원의 활동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접근과 ‘동화주의’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회재건주의’ 또는 ‘다문화적·사회재건주의 접근’ 유형의 활동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은 다양한 타자와의 교류와 사회정의의 실천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으로서 앞으로의 전통미술교육이 전통미술 속에 숨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적 구조를 가시화하고 비판적 사고와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방향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과 방향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전통미술교육의 문제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Since the 1990s, changes in Korea domestic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given a new way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received new attention as part of multiculu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ed cultural identity based on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Despite steady developmen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the problem of its superfici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ssimilation approach. Also, in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could not be developed as a class to understand own cultural identity or the diversity in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and find a new way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 book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s the basis of analys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background of today’s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as presentend. So the purpose of study was embodied as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the the Focus on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Prior to content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u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irst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sufficient value and potential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is confusion in the approach direction and conten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examined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limited to the art department.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o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o view art as a social and cultural outcome, and to visualiz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al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rough Efland, Freedman, and Stuhr'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Ahn Hye-ri's alternative approach to the kore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approach from the mainstream-centered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to the realization of a democratic society 'social reconstruction' approach. Based on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esent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is study that was 'how the textbook's content was represented in approaches 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visualization of social structures?', ' what is the popular approach as multicultural art eduac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 applying these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content places importance on viewing and interpreting based on our uniqu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 visualization of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in traditional art was insufficient.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format in textbooks and the refl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korea art could not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that exist and hide in 'tradition' and 'us' Second, the aspect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are mainly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and aspects of 'social reconstructionism' or 'multicultural·social reconstructionist approach' are not suggested. In the en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do not sufficiently present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and exchange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ll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hidden in traditional korea art, and follow-up studies on the direction of practicing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jus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that had no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a direction.

      • 다양한 이미지 표현 방식을 통한 디지털 판화수업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digital media have been actively used as tool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in overall culture, economy, and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become new expressive tools as they expanded to the field of art. In modern art, various genre has appeared that took advantages of digital media such as photo, graphic, and image. Similary, digital printmaking appeared as making use of digital media as the plate in printmaking. Digital printmaking is printmaking that makes use of digital printing techniques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artist it is made with the course of compiling and printing image through computer programs. Digital printmaking satisfies pluralism, indirectness and uniqueness that are basic attributes of traditional printmaking in the point of utilizing digital media. In addition, it came to have the original attributes of digital image such as full replication, immediate accessibility, manipulation possibilities, interactivity and networking. With these attributes in digital printmaking, a visual representation became possible that was not seen in traditional printmaking with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unlimited replication and adjustment of image. Moreover, with the flow of postmodernism, printmaking expanded its area by intergrating with other genre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work, or by being produced in the form of bookart turning out into various works. However, in the case of normal high school art class digital printmaking is not fully understood because it is based on the textbook in which contents are mainly about traditional printmaking techniques. Examining the five kinds of 'Art' textbooks and the five kinds of 'Art and Life' textbooks of current 2007 curriculum, we can realize the contents mainly consist of traditional printmaking such as convex printmaking, concave printmaking, flat printmaking, and stencil. The explanation about the making process is limited to its particular techniques as well. Despite the inclusion of digital printmaking in textbooks,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digital printmaking as expanded form of printmaking and it is rare for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it because textbooks lack the explanation of concepts and techniques. Likewise, digital printmaking lessons which are not able to offer experiences about various techniques can discourage students' interests in cre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esents three ways, assorted above, to improve these situations using digital media in printmaking class. Through Digital printmaking, mage replication and transformation, digital printmaking integrated with pictures or installation work, digital printmaking of the bookart form,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producing piece of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surroundings and expressing it visually. Furthermore, by making a piece of art beyond genre and form,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xperience modern art and by exhibiting and appreciating their own work with the Internet students can freely interact with viewers.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activating highschool digital printmaking class by presenting the class that applies a representing way of image specifically.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디지털 매체는 정보 전달의 수단이자 소통의 도구로서 문화, 경제, 일상생활의 전반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예술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표현의 도구가 되었다. 현대 미술에서 사진이나 그래픽, 영상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장르가 생겼으며 판화 역시 디지털 매체를 하나의 판으로 활용하면서 디지털 판화가 등장하였다. 디지털 판화란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활용한 판화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지를 편집하고 인쇄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디지털 판화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전통 판화의 기본적인 속성인 복수성, 간접성, 고유성을 모두 충족시키며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인 완전 복제성, 즉각적 접근가능성, 조작가능성, 상호작용성, 네트워크성 등 고유의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판화는 전통 판화와 달리 이미지의 사실적인 표현과 무한한 복제, 수정이 가능해지면서 전통판화에서 볼 수 없었던 시각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흐름과 함께 타 장르와의 접목을 통해 표현 영역이 확장되면서 디지털 판화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되기도 하고 북아트 형식으로 제작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미술 수업의 경우, 전통 판화 기법중심으로 구성된 교과서 내용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판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현행2007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 5종과 ‘미술과 생활’ 교과서 5종을 살펴보면 볼록 판화, 오목판화, 평판화, 공판화 등 전통판화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 역시 특정 기법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안에 디지털 판화가 수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념과 기법적인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확장된 판화로서 디지털 판화를 이해하기 어려우며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가 없다. 이렇듯 다양한 기법에 관한 체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디지털 판화수업구성은 학생들의 창작활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위에서 분류한 세 가지 표현 방식에 따라 디지털 판화 수업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지 복제와 변형을 통한 디지털 판화, 회화 또는 설치 작업과 접목한 디지털 판화, 북아트 형식의 디지털 판화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 관해 관심을 갖고 시각적으로 표현해냄으로서 작품제작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탈 장르, 탈 형식의 작품을 제작해봄으로서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활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 감상함으로써 관람객과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대 미술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 표현방식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수업을 제시함으로써 고등학교 디지털 판화 수업을 활성화 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본 아동미술표현 연구 : 5세∼8세를 중심으로

        한유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y by Arnheim Focusing on the Drawings of Children Aged 5 through 8 by Han, You-kyung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Ahn, Hyeri)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is a measure of the creative communication of children to freely express themselves. However, it is not easy to correctly interpret and understand these artistic expressions. Many art educators, philosophers, and psychologists have been studying and interpret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hronological analyses. One of the famous art education scholars, Lowenfeld, interpreted these expre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m as expressions of experience from the notion of self-identification.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se expressions from this perspective alone. The psychologist Arnheim interpreted them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by seeing them through his ‘visual perception theory.’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is helpful in looking at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them by interpre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spect of children. However, domestic studies on children's art that applied Arnheim's visual perceptive theory have been mainly focu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hat apply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n the analysi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in our country. The position of the perception o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In Gestalt psychology, an object is perceived as a simple structur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tirety and parts when visually perceiving the object, and the entirety is more than the sum of parts. According to Arnheim, seeing is not simply recording an object b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entire structure, and thinking comes into effect during this process. Accordingly, percep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inking and visual perception is 'visual thinking'. There are five main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which are: (1) active and selective, (2) the principle of simplification comes into effect, (3) time is consumed, (4) completes incompletion, and (5) identifies constancy. In addition, visual perception is affected by memory and mental imagery. Children reproduce this perception concept obtained through such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as representational concepts through a medium. Accordingly,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children’s visual perception can be seen through the shape differentiation shown in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Korean children's actual artworks were selected. These were drawn by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between June 2011 and May 2013 (one year and 11 months) to review and assess them via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and analyzed for ‘process of shape differentiation’ where the visual thinking can be harmonized i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hape in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undergoes a series of shape differentiation processes where shape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sual percep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hape differentiation when understanding and instructi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children's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nd the rhythm of shape differentiation to give a sufficient amount of time for them to become familiar with shape, while instructing them according to their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al process for the advancement of their artistic expression. Second, the shape differentiation occurs actively in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during the development of artistic expression. and it occurs more significantly aged five through seven than aged six through eight. Accordingly, children at age five should be allowed to begin their art activities, as this is the period in which shape differentiation begins. In addition, consistent art activities - where visual perception activities accompany visual thinking - activates and advances shape differentiation. Accordingly, consistent art activities of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are crucially important in their developmental process. Third, in these children’s artwork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rls and boys, as well as individuals, when choosing their favorite objects and themes. That's why differentiation of shape occurs more actively in the expression of their objects of interest.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varying themes of interest depending on individuals, instead of standardized themes. it allow them to develop their artistic progress. so that it should also expand into other objects and themes which would aid the children’s development. In this work, seen through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cesses of their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through their shape differentiati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children has unique characteristic shapes. In the shapes of their expression, there were clear shapes of what children intended to portray that have certain meanings. Meanwhile, Arnheim did not emphasize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hape according to age, since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through visual perception development a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s study, however, in the artistic expressions of children aged five through eight, differentiation process of shape where the visual thinking can be harmonized which was advanced during the development of despite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e children, an 국문초록 아동 미술표현은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한 것으로 아동의 창의적인 소통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아동 미술표현을 해석하고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많은 미술교육자, 철학자, 심리학자들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시각으로 아동의 미술표현을 연구하고 해석해왔다. 대표적인 미술교육 학자인 로웬펠드는 아동 미술표현을 자아동일화에 의한 경험의 표현으로 보는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아동 미술표현을 이해하기에는 설명이 충분하지가 않다. 심리학자인 아른하임은 아동 미술표현을 그의 시지각 이론으로 바라보고 인지적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은 아동 미술표현에서 아동의 인지 발달적 측면을 해석함으로써 아동 미술표현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아동미술과 관련하여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우리나라 아동의 미술표현 분석에 적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의 지각에 대한 견해는 형태심리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형태심리학은 시각을 통해 대상을 지각할 때 전체와 부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순한 구조로 인식하는데 전체는 부분들의 합 이상이다. 아른하임에 따르면 본다는 것은 단순히 대상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전체적 구조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고가 작용한다. 따라서 지각은 사고와 분리될 수 없으며, 시지각은 ‘시각적 사고’ 이다. 시지각은 크게 다섯 가지 큰 특징이 있는데 첫째, 능동적이며 선택적이다. 둘째, 단순화의 원리가 작용한다. 셋째, 시간이 소요된다. 넷째, 미완성을 완성시킨다. 다섯째, 항등성을 파악한다. 또한, 시지각은 기억과 심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아동은 이러한 시지각 경험을 통해 얻어진 지각개념을 매체를 통해 표상개념들로 재현한다. 따라서 미술표현에 나타난 형태 분화과정을 통해 아동의 시지각 발달 과정을 볼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세부터 8세 아동이 지난 2011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1년 11개월 동안 그린 우리나라 아동의 실제 작품을 선정하여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아동 미술표현의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 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아동 미술표현에서 형태는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따라 형태가 분화되는 일련의 형태 분화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아동 미술표현을 이해하고 지도할 때 형태분화의 과정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아동의 시지각 발달과 형태분화의 리듬을 주시하여 형태가 숙달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아동의 시지각 발달 과정에 맞게 미술표현이 발전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5세~8세 아동 미술표현에서의 형태분화는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분화가 잘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것은 6세에서 8세로 가는 과정보다 5세에서 7세로 가는 과정에서 더욱 크게 일어난다. 따라서 특히 5세는 형태분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미술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시지각 활동이 수반되는 꾸준한 미술 활동은 시각적 사고를 활발하게 하고 형태분화를 발달시킨다. 따라서 발달 과정에 있는 5세~8세 아동의 꾸준한 미술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아동 미술표현에서 아동마다 즐겨 그리는 대상과 주제는 여아와 남아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형태의 분화가 자신의 관심대상 표현에서 더욱 활발히 일어난다. 따라서 획일적인 똑같은 주제보다는 개인에 따른 관심 주제를 통해 미술표현을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대상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아동의 미술표현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본 아동 미술표현에서는 형태 분화과정과 이를 통한 시지각 발달 과정을 볼 수 있었다. 아동 미술표현은 아동만의 특징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 표현에서의 형태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분명한 것이 있고 또 그것은 특정한 의미가 있다. 한편 아른하임은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의한 미술표현이 아동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나이에 따른 형태의 분화과정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 따르면 아동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5세∼8세 아동의 미술표현에서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의 분화과정은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발전되었고 나이에 따른 분화과정의 큰 특징을 볼 수 있었다. 요컨대 시각적 사고가 융화된 형태 분화과정은 넓은 범위에서 나이에 따라 발달되는 큰 특징이 있다.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으로 아동 미술표현을 분석하는 것은 아동 미술표현의 인지적인 측면을 해석해 주고 있다. 따라서 아동 미술표현의 이해를 위해 아동 개인의 미술표현에 대한 동기와 표현적인 해석과 더불어 인지적인 해석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아동 미술표현을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통한

      •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한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 연구 : 자아 존중감 향상과 진로 탐색을 중심으로

        기보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지금까지 이루어지던 학교 교육은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으로서 한 명의 교사가 여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방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개성과 잠재력 등을 모두 인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로 인하여 학생들이 어떤 심리적, 정서적 문제에 직면해 있는지, 어떤 진로에 관심이 있는지, 그에 따른 지도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세밀히 파악하고 대처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멘토링을 도입한 지도 방법은 1:1 위주의 신뢰 관계 형성과 더불어 학생 개개인에 대한 세밀한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학교 교육에서 놓쳐왔던 부족한 점들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학교 교육에서도 멘토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멘토링의 방법적인 측면도 각 교과목마다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미술교육에 있어서도 미술 멘토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형심리상담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진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도형심리상담은 네 가지 도형만을 가지고 성격의 장, 단점과 적성까지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서, 도형 그리기라는 간단한 미술 활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술 멘토링에 활용하기에 충분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성격과 기질을 파악하여 상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아존중감 향상과 진로 탐색의 측면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형심리검사와 미술 멘토링에 대해 이해하고,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한 미술 멘토링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며,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한 미술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을 실행하여 자아존중감 향상과 진로 탐색의 측면에서 교육적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미술 수업과 타 심리, 적성검사와의 차별점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았다.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하여 미술 멘토링을 진행해 본 결과, 학생들은 자아존중감 향상에서와 진로 탐색에서 유의할 결과를 얻었으며, 미술 수업이나 타 심리검사, 적성검사 등에 견줄만한 우월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신의 성격, 기질을 파악하고 진로 적성에 대해 생각하며 그 것을 미술 활동으로 이어감으로써 자신에 대해, 미래에 대해 더욱 깊이 생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깊이있는 교육을 하고자 하는 많은 미술 교육자들이 이 연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

      • 어린이박물관을 활용한 가족 감상프로그램에서 교육적 의사소통

        강민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은 어린이의 학습에 가족이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이 함께하는 상호작용은 부모가 어린이의 이해를 도와 학습에 도움이 되며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성인이 함께 교육에 참여하게 되어 두 세대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 교육적 의사소통은 박물관을 찾은 가족의 여가활동이나 문화생활을 가족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대화를 통한 감상 활동은 가족 간의 소통과 이해를 증진하며 자녀 학습과 발달에도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어린이 박물관에서는 어린이 스스로가 즐기며 놀이와 체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전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 감상 활동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감상 방법에 대한 안내를 통해 부모가 적극적으로 자녀와 소통함으로써 가족 학습을 통해 자녀의 성장을 이끄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서 가족 감상 속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에서 교육적 의사소통의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가족의 교육적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감상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교육적 의사소통은 미술 감상과 커뮤니케이션, VTS(시각적 사고전략), 아레나스의 ‘대화’ 중심의 감상을 적용해 가족의 감상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4차례에 걸쳐 실시 되였다. 한 가족이 국립중앙박물관의 어린이 박물관 1회, 경주어린이박물관 1회를 방문하여 총 2회를 통해 가족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으며, 감상활동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왕관 만들기 수업을 2회에 걸쳐 실행하면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맥락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수업 중에 나타난 대화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 활동은 개방적이고 열린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형식 교육으로 가족의 여가를 학습의 장소로 이용하게 된다. 가족의 여가생활과 동시에 가족의 학습이 일어나는 장소로 다양한 세대가 함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두 세대의 교육이 일어나는 곳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의 오브제라는 측면에서 만지고 느끼며 대화를 통해 표현하는 감상 활동은 가족 간의 수평적 관계 속에서 창의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어린이의 창조적인 역량의 성장을 끌어낼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어 가족의 소통이 일어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적 의사소통을 언어적, 맥락적 상호작용을 통해 알아본 결과 어린이는 가족이 함께 상호작용 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자녀의 발달을 언어를 통해 문화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적 의사소통을 가족을 통해 알아보며 감상을 통한 학습에서 부모가 자녀의 발달을 이해해 본다는 점은 의미 있는 시도이다. 또한 어린이박물관에서 대화를 통해 어린이 발달을 이해하고 두 세대의 교육이 일어남을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도 차별화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앞으로도 어린이 박물관을 활용한 감상 교육에서 가족의 의사소통을 통해 가족 학습을 이해하고, 감상 활동을 자녀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a family appreciation program of Children’s Museum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a family appreciation program of children’s museum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children’s education by the interaction of family. The interaction of family does not only help the children’s understanding in education but also helps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One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s roles is to provide the quality family leisure time which involves a lot of conversations. This appreciation activity helps children’s educational development via communications and understandings of family. Nowadays, children’s museum is exhibited the programs that children can educate themselves by playing and these programs encourage the family to participat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the family appreciation program’s effects on educational communication. This research will show the method of appreciation program that encourages the parents to have conversations with their children actively so the children can develop.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value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family appreciation program and the appreciation program methods in Children’s Museum. This research is the analysis of conversations in appreciation programs using qualitative method such as Art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VT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Amelia Arenas’s art appreciation by interaction to the one family’s appreciation programs experiences. These programs were carried out in children’s museum in National museum of Korea, Gyeongju children’s museum and two lessens of clown making. First, the family appreciation programs were progressed as nonformal education in an open space. In these programs, family’s leisure activities and education lessons happened simultaneously so both children and parents were able to enjoy and learn at the same time. These results showed us that the education occurred in both generations in the appreciation programs. Second, the creative expressions were derived through educational objet (felling, touching, talking) in the programs.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the creativity of children and made family to communicate. Fin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s educational communications were the most effective when there was the interaction of family. This result provided more understandings of children’s development via language and culture. This study was very meaningful attempt to underst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using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museum. We found out educations were occurred in both generations. This result provides differentiated information to the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sing appreciation programs in children’s education Keywords Children’s Museum, Family Appreciation Program, Educational Communication

      • 심미적 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미적 체험 내용 분석 : 캐롤의 미적 체험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이기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오늘날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체험교육이 획일화되어 있는 문제의식을 출발점으로 지적하면서 이의 가치 지향점을 조정하는데 정보를 주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아가 중등교육 수준에서 미술교육이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가치 존중 대안으로서 심미적 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구체화 시키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면서 의미 탐구를 통해 그 가치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핵심요소를 기준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전반을 심도 깊게 고찰해 보았다. 이는 현행 미술 교과서가 미적 체험을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본 뒤 교과서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미적 체험교육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도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감성적 인식에 관한 과정을 주목하는 심미적 교육의 중심에 미적 체험의 가치를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미술과 교육과정 중 미적 체험의 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출판·사용되어 지고 있는 10종의 고등학교 미술 검인정 교과서 전반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미적 체험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심미적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의 ‘미적 체험’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둘째, 캐롤의 미적 체험 접근 방식에 따르면,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미적 체험 내용은 어떤 접근 방식으로 구성되었는가?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살펴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인 심미적 교육을 위한 미술교과의 ‘미적 체험’의 접근 방식을 분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에 관한 본 연구결과, 캐롤(2002)의 미적 체험에 관한 네 가지 분류방식(정서, 인식, 가치, 내용 지향적) 접근법이 매우 유용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두 번째 연구문제인 캐롤의 미적 체험 접근 방식에 따르면,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미적 체험 내용은 어떤 접근 방식으로 구성되었는가에 관한 분석을 해본 결과, 10 종의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의 정서, 인식, 가치, 내용 지향적 미적 체험의 비율은 상당 부분 엇비슷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특정 영역이 편중되어 제시되어있는 부분에 대하여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캐롤이 제안하고 있는 네 가지 접근 방식은 미적 체험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연구자는 미적 체험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거나 편견이 없는 폭넓은 이해를 위하여 캐롤의 분류법을 차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캐롤(2002)이 제시하고 있는 미적 체험 접근 방식인 정서, 인식, 가치, 내용 지향적 분류기준은 위계적인 절차에서 미적 체험에 관한 합리성과 논리성을 잘 갖추고 있지만 특정 분류 기준만이 정답은 아닐 것이다. 미적 체험은 과학적 이론과 같이 상대적으로 어떠한 기준과 요소가 명확히 분류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미술 전체에 반영된 미적 체험의 정도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맞춰 분석하면서 미적 체험의 반영비율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에 주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향후 다양한 미적 체험 접근방식을 토대로 미적 작품에 대한 체험의 중요성이 부각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하며, 나아가 미적 작품의 공감성과 다양한 체험을 통해 인간 삶을 더욱 창조적이고 풍요롭게 하는 심미적 교육의 토대에 중요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ive little information in adjusting the value-oriented point while pointing out the problem consciousness in which high school art education is uniform at the present time as a starting point. Furthermore, at the level of secondary education, art education has the ultimate purpose of giving more implications to further embodying the need for aesthetic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respecting various values ​​in our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examine the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examine its value and characteristics through exploring meaning. Furthermore, based on the derived core elements, we reviewed the 2015 high school art textbook in depth. This study aimed a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b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extbooks after examining how and how current art textbooks deal with aesthetic experiences. Lastly, I tried to discuss the value of aesthetic experience at the center of aesthetic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process of human emotional perception. In order to achieve it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area in the arts and curriculum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areas of the 10 high school art test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published and used. We tried to consider improvement measures for development.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First, how can the frame of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 for aesthetic education be established? Second, according to Carroll's aesthetic experience approac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is made up of which approach?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have been review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how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esthetic experience for aesthetic education, the first research problem in this study, can be established, the emotion, recognition, value, and conten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classification method suggested by Carroll(2002) It was found that the oriented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well equipped with rationality and logic of aesthetic experience in hierarchical procedures. The foundation of this aesthetic experience classification method emphasized that the experience of aesthetic works should be decided. Secon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the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was analyzed through four classification methods of Carroll's aesthetic experience. However,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the ratio of perception, value, and content-oriented aesthetic experience is quite simil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an in-depth study is needed on the areas in which a specific area is biased and presented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ance rate of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ontent system of each textbook was less than 50% except for textbook A. Considering the aspect that has the usefulness that enables the aesthetic experience to express the potential of human being in art education, these findings can give major implications to the experience area of ​​the current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It is judged. Fourth, as a result of research that verified the goals in the experience area of ​​the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it is judged that the detailed goal of these goals needs to be clearly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Fifth, in the experience area of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be set to act as an aesthetic exper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judg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perience area of ​​the 10 high school art textbooks is only a medium, and the derivation into learning results is never the goal. Sixth, the four classifications suggested by Carroll merely suggest and define one direction to get closer to the clarity of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th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classification methods,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orm conditions that can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aesthetic work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learly understand the form or aesthetic attributes of aesthetic works, and furthermore, the aesthetic attitude that enables them to enjoy the aesthetic works and the aesthetic sympathy can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achievement.

      •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미술교육 석사학위논문(2005~2020)을 중심으로

        박선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대한민국은 과거의 성공적인 인구정책의 부작용으로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구의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면서 1인 가구, 한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조손가정 등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현상들은 그 과정에서 개인적, 사회적 변화를 요구하였다. 인구 관련 사회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높아져 가면서 정부는 그에 따른 교육적 해결책으로 인구교육을 내놓았다. 학급의 학생 수와 구성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구문제에 미술교육분야도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미술교과는 인구교육 내용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부드럽게 다가갈 수 있는 유용한 교과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기술 발전과 세계화로 인해 급변해가는 인구에 관심을 가지고 인구교육과 관련 미술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2005년부터 2020년 5월까지의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석사학위논문을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선정한 연구대상 총 156편의 연구를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를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 수는 2005년과 2006년을 제외하고, 2007년부터 2020년까지 7편 이상의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고, 2018년에 22편(14.10%)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에서 ‘사회학’ 관련 미술교육 연구가 48편(30.77%)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연구 주제로 나타났다. 그 뒤로 ‘노인학’, ‘윤리학’, ‘복지학’ 순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족학’ 관련 연구들이 17편(10.9%)으로 가장 적게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다. 그리고 ‘가족학’ 중 저출산에 관련된 미술교육 연구는 한편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 연구가 41편(26.28%)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 연구가 1편(0.64%)으로 가장 적고, 가장 늦게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두 가지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한 경우 중복표기 하였고, 그 결과 156편에서 모두 331회의 연구방법이 채택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내용 분석 연구’가 가장 많이 채택되었고, 다음으로 ‘사례연구’, ‘기술연구’, ‘실행연구’ 등의 순서로 연구방법들이 많이 채택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분석 결과를 종합하자면, 미술교육에서는 인구교육 내용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연구 수 자체가 적고, 본 연구자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연구 대상별, 주제별 영역에서 심한 불균형 상황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 대상과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통한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균형 있는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본 연구는 10년 이상 지속되면서 교육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구문제와 관련하여 인구교육 관련 내용이 미술교육분야에서는 어떻게 연구되는지 동향을 살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석사학위논문의 동향 분석을 시도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인구교육 연구자와 미술교육 연구자들에게 인구교육과 관련하여 미술교육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이루어질 인구교육 관련 미술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길 바란다. Today, Korea suffers from low birthrates and aging of population as a side effect of past successful population policy.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has become free, and while people's perceptions have changed, various forms of families such as single-person households, single-parent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grandparent families have emerged. Such social phenomena demanded personal and social changes in the process. As the seriousness of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the government has come up with population education as an educational solution. Art education may not be free to the population problem that greatly affects the number and composition of students of the class. Also, the art subject is a useful subject that can smoothly approach the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in a variety and creative way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rest in the rapidly changing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globalization and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population education related art education. So,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master's theses in art educati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from 2005 to May 2020. In this study, a total of 156 master's theses were selected. We analyzed the trends of population education-related art education research by classifying 156 studies by year, by study theme, by study subject, and by research method, and analyzing them based on criteria. Looking at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of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it i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with the exception of 2005 and 2006, seven or more studies from 2007 to 2020 were steadily conducted, and in 2018, the number was 22 (14.10%), turns out that the most research has don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study themes, 48 studies (30.77%) related to 'sociology' were the most active research topics in art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Next,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Gerontology", "Ethics", "Welfare", and the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Family Science’ was 17 studies (10.9%), the least done. In addition, research on art education related to low birth rate among “Family Science” has not been conduct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rends by study objects, studies targeting the "senior citizen" of art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were 41 (26.28%) of studies, most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study of art education targeting 'university' was 1 study(0.64%), was the latest started and the smallest number of studi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research method, in case of using two or more research methods at one study, it was marked as duplica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331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in 156 studies. Among them, 'content analysis research' was used as research method in the most of studies, followed by 'case study', 'descriptive study', and 'action research'.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art education has continuously conducted research 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but the number of research has been small.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by this researcher, it was found that the severe imbalanced situation displayed from the analysis of study object and study theme. Therefore, this researcher hopes that a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methods will be selected evenly by many subsequent researchers, so that balanced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will be conduc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rends in art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in relation to population problems that have influenced the education field for more than a decade.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w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rends in master's thesis in art educati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population education researchers and art education researchers with information on trends in art education research in relation to population educa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 초등미술교육에서 정보 시각화를 활용한 시각적 소통능력 신장 방안 연구

        이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은 매스 미디어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와 이미지가 쏟아져 나오는 시대이다. 정보와 이미지를 그대로 습득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의미를 찾고 해석하는 재구성과정이 필요하다. 이미지 소통 교육을 통해 시각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일상생활 및 사회·문화와 결합하여 이해·활용하여야 한다. 시각 이미지는 대량의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돕는다. 글보다 이해하기 쉽다는 점에서 직관성, 전달력, 흥미 유발의 장점이 있다. 시각 정보와 시각 매체에 대해 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만의 시각 이미지로 재창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정보 시각화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주제를 담은 시각 이미지를 창출하고, 또래 학습자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의 시각적 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정보 시각화 미술수업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 시각화와 시각적 소통의 개념과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시각적 소통능력이 적용된 2015 개정 초등 6학년 미술 교과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6명을 대상이며,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11일까지 총 5차시로 진행하였다. 학습자의 수업 과정 관찰 및 활동지, 결과물, 설문지, 인터뷰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수업 및 기록물을 바탕으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다양한 정보 시각화 방법을 활용하여 시각 이미지를 주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정보 시각화 방법을 통해 이미지, 정보, 시각 매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직관성과 전달력의 향상, 흥미 유발을 할 수 있다. 셋째, 이미지 재창출 과정을 통해 일상생활 및 사회·문화를 바라보는 비판적인 해석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넷째, 또래 학습자의 작품을 감상 및 비평하며 이미지 재해석 능력을 포함한 시각적 소통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관심사인 시각 매체의 정보를 주체적으로 해석하여 비판적 수용하고, 결과물을 또래 학습자와 공유하여 학습자의 시각적 소통능력 신장을 위함에 있다. 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are overflowing. Rather than learning information and images as they are, a reconstruction process that seeks out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one's own is necessary. Critical interpretation of visual images must be interpreted through image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this must be understood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daily life, society and culture. Visual images help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be recognized at a glance. Intuitiveness in terms of being easier to understand than sentences has the advantage of the original calendar, interest-causing. You hav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ally accepting visual information and visual media and recreating your own visual image. Therefore, they must create visual images that incorporate their own themes through appropriat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and organically interact with learners of the same age. Through this research, we aim to show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art class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learner's visual communication skills. An analysis of art textbooks for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15, where visual communication skills were applied for research on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visual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nt to a total of five chassi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1, 2019. We analyzed the lesson observations and actions of the learners, the resul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derived th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based on this lesson and documentar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 can independently express a visual image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Second, through the method of visualiz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epe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images, information and visual media, improve intuition and communication, and induce interest. Third, through the image re-cre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extend critical interpretation skills to look at daily life, society and culture. Fourth, peer learners can appreciate and criticize the work and extend their visual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image reinterpret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learner's visual communication skills by proactively interpreting and critically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in the visual medium of interest to the learner and sharing the results with peer learners. is there.

      •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분석 및 개발 방향 연구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수진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지식사회 속에서 우리는 무형재산을 손쉽게 얻고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무형재산에 대한 손쉬운 접근과 사용이 가능함은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미술 활동의 기반이자 창작물로 이어지는 아이디어 또한 무형재산에 속하며, 올바른 미술 활동과 미술품 향유를 위해 학교 미술 교육에서도 저작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10년대부터 미술교육에서의 저작권교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었으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만을 중점적으로 진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구체적인 콘텐츠에 대한 제시가 적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를 통해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개발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저작권과 관련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현황을 알아보고자 학교 교육의 주 자료인 교과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김형진(2011)이 정리한 공정이용 여부의 기준을 바탕으로 ‘원작에 새로운 표현과 의미가 더하여졌는가?’, ‘원작이 단순한 사실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표현적이거나 창의적인가?’, ‘원작으로부터 사용된 부분이 전체 작품에서 상당한 양과 질이 사용되었는가?’, ‘원작과 원작을 이용한 후속작품들의 잠재적 시장이나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4가지 분석 질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준거를 통해 현행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저작권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자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공정이용의 기준에 맞는 저작권 침해의 예외 기준 내용들과 도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모든 교과서에서 저작권이란 용어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오마주나 패러디 등 관련 내용만이 활용되고 있다. 셋째,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같은 작가의 작품들 혹은 같은 작품들이 여러 교과서에 반복해서 제시되고 있다. 넷째, 제시된 도판 모두 서양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국작가의 작품으로 저작권 관련 내용을 제시한 부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술 교과서 내 교육 방향에서 출발하여 도판 선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저작권 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서 체제까지 모색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개발의 예시로 총 교과서 예 4장을 제안하였다. 크게 대단원 한 개와 소단원 세 개, 활동하기 두 개, 생각해보기 두 개로 구성하였으며 미술에서 저작권 필요성과 저작권 관련 용어의 개념을 명화, CF, 드라마, 영화의 예시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도판과 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정이용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관련 내용 현황을 알아보았고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저작권 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서 방향 및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구체적인 콘텐츠와 그를 활용하기 위한 교과서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중점으로 저작권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방향과 내용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an information-knowledge society in which major changes occur in society as a whole, we can easily obtain, give, and take intangible property. The ease of access and use of intangible property leads to a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due to incorrect use. This is no exception for teenagers. Ideas that are the basis of art activities and lead to creations also belong to intangible property, and the need for copyright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is emerging for proper art activities and art enjoyment.In this situation, research on copyright education in art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but there were no studies focusing only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there were few specifically presented contents. Therefor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attempted to specifically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contents in art textbooks through research.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it was intended to focus on textbooks, the main data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criteria for fair use compiled by Kim Hyung-jin (2011), four analytical questions were drawn: 'Were the new expressions and meanings added to the original work?', 'Did the part used from the original work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entire work?', and 'Did it negatively affect the potential market or value of the follow-up work?' Through the derived criteria, the contents related to copyright in the current high school art textbook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the contents and drawings of exceptional standards for copyright infringement that meet the criteria for fair use are mainly composed. Second, the term copyright is not directly mentioned in all textbooks, and only related contents such as homage and parody are used. Third, in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the works of the same artist or the same works are repeatedly presented in various textbooks. Fourth,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part that presented copyright-related contents as works of Korean artists because all of the drawings presented were composed of works of Western artist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in art textbooks. Starting from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rt textbook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election and educational content of drawings, and the art textbook system for copyright education. Based on this, a total of four textbook examples were proposed as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contents in art textbooks. It consists of one large unit, three small units, two activities, and two thoughts. The necessity copyright and the term of copyright in art were constructed as drawings and contents to induce students’ interest using famous paintings, commercials, dramas and movi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fair use, review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art textbooks for copyright education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nd presented specific contents and textbook examples to utilize them. Based on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sed the contents of copyright of education focusing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that were not con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copyright education in specific art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