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대학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

        박소윤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유도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 된 28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된 19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61명이다.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성별, 체급,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대화, 믿음에서 여자 집단이 남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급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노하우에서 경량급과 중량급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기술지도에서 7-9년, 1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성별, 학년, 운동경력,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남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4번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2-3번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학년,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정의발달, 인지발달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심동발달, 인지발달에서 7-9년 집단이 교육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노하우는 자기조절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격려는 자율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격려가 정적인 영향을 심동발달에서는 대화, 믿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발달에서는 대화, 믿음, 노하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 자기조절동기의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자율적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동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동기와 종속변인인 교육성취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자신을 조절하는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교육성취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치-선수 간 상보적인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다 상생의 입장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개인적 차원의 통제를 통해 긍정적인 운동경험을 영위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as judo athletes in universities in Gyeongsang and Gyeonggi area by employ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the data of 19 students among the sample of 280 respondents, who are believed to have answered rather unfaithfully or omitted some key answers, the data of 261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coded data was processed for compu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by employing SPSSWIN 18.0 Version for Window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include: verification of confide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by employing the said research method and process, are as shown below: First, There were some partial differences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factors. To have a close look,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weight class and their career as an athle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sex was greater among female group than in a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versation and trust.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weight class was greater among the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group in terms of their knowhow.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and another group with 10+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technical traini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school year, career as an athlete and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ex was greater among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chool year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more than 4 experience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of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2 to 3 winning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chool year and career as an athlet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affective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whereas encourage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Thir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encour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conversation a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motor development. And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trol motivation amo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the autonomous motiv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it. And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development. Finally,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ifth, a look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and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control,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can improve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 finding that shows how important the complementary activities between athletes and their coaches are. And they would be able to enjoy positive athletic experiences and improve upon them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control from a more complementary perspective.

      • 유도선수들의 자기관리에 따른 심리훈련이 스포츠 자신감 및 인지된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손명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 유도 선수들이 자기관리 행동과 심리적 훈련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스포츠 자신감의 상승으로 인하여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대한유도협회 선수로 등록되어있는 전국에 대학교 유도선수 3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일부터 3월 31일까지 한 달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연구 주제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정신력관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수인 자기관리 행동, 심리적 훈련, 스포츠 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기술통계를 정리한 결과 집중력을 제외하고 모두 평균이 3.5 이상으로 나와 “조금 그렇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특히 자기관리 행동에서는 정신력관리가, 심리적 훈련에서는 심상이,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능력입증이 가장 높은 평점을 받았다. 둘째, 연구대상 변수인 자기관리 행동, 심리적 훈련, 스포츠 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강한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설문에 응답한 대학 유도선수의 일반적 특성별로 자기관리 행동, 심리적 훈련, 스포츠 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관리 행동에서는 연령(p<.05), 지역(p<.05), 심리적 훈련에서는 국가대표 경험 유무(p<.01), 선수경력(p<.05),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성별(p<.001), 국가대표 경험 유무(p<.05), 선수경력(p<.001), 인지된 경기력에서는 연령(p<.01), 국가대표 경험 유무(p<.001), 선수경력(p<.001)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남자선수보다 여자선수가, 나이가 많을수록,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리고 선수경력이 많을수록 연구대상 변수의 평점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자기관리 행동에서 대인관계관리와 정신력관리만 스포츠 자신감의 능력입증, 신체/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지지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었지만 몸관리,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 생활관리는 능력입증, 신체/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지지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중학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한 김관호(2012) 연구와 이승목(2010) 연구에서는 몸관리, 훈련관리, 고유행동관리, 생활 관리도 스포츠 자신감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와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부분이 있었다. 이는 성장기인 중학생과 달리 대학생의 경우 이미 어느 정도 신체적 완성이 된 측면도 있고, 이미 오랜 선수생활을 통해 기본적인 훈련과 생활관리가 몸에 배여 있는 측면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심리적 훈련에서는 능력입증의 경우 불안조절, 심상, 집중력이, 신체/정신적 준비에서는 불안조절, 심상, 집중력, 의지력이, 코치지도력에서는 불안조절과 의지력이, 사회적지지에서는 불안조절과 심상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경쟁상태 불안과 인지적 불안이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손정협(2007) 연구를 일부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그리고 사회적지지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능력입증은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단거리 선수의 스포츠 자신감과 경기력을 연구한 손정협(2007)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신력관리하면 자기관리 행동에서는 대인관계관리와 정신력관리만 스포츠 자신감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고, 몸관리, 훈련 관리, 고유행동관리, 생활관리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이는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나 훈련관리와 같은 과학적 관리에 대한 선수들이 확신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대로 대인관계 관리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아직 대학 유도 선수팀에서 유교적 관습이 많이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경기력 향상의 본질적인 요소인 신체와 훈련관리의 성과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확립하여 선수들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또는 한국사회의 서열을 중시하는 유교적 관습의 부정적 요소를 배제하고 선후배, 동료, 지도자와 선수간의 화합과 열성을 이끌어 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유도팀의 지도자의 리더십이 팀과 유도선수 개인의 승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합하여 볼 때, 심력에서는 불안조절과 심상, 집중력 등이 스포츠 자신감에 중요한 요소로 나왔는데 이는 유도경기가 다른 경기가 달리 경기내내 상대방에 집중해야 하는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대방의 공격 기술과 방어 능력을 시합 내내 예측해야 하고, 또 우세한 경기를 하다가도 한순간에 경기가 역전될 수도 있기 때문에 평상시 불안조절과 집중력이 중요시 되고 이를 위해 사전에 심상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선수의 스포츠 자신감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불안조절과 집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심상훈련에 집중하는 것이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lf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training of judo players have effect on sport confiden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 of increase of sport confidence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the study conducted survey on 300 nationwide college judo players who are enrolled in Korea Judo Association for one month from March 1 to 31, 2013, and then analyzed the research subject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summarizing self-management behaviors, psychological training, sport confidence and technical statistics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all of which are variables of research objects, the averages of all of variables were over 3.5 except for concentration, they were close to "it is so a little bit". Especially, mental strength management in the self-management behavior, mental image in the psychological training, and proving ability in the sport confidence received the highest average points. Second, in the result of correlations of self-management behavior, psychological training,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all of them had strong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i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behavior, psychological training,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judo players who answered questionnaires, age(p<.05) and region(p<.05) in self-management behavior,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 of the national team(p<.01) and sport career(p<.05) in psychological training, gender(p<.001),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 of the national team(p<.05) and sport career(p<.001) in sport confidence, age(p<.01)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experience of the national team(p<.001) i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generally, female players rather than male players and the players who were older, have experiences of the national team, and more sport careers tended to have higher average points in variables of research objects. Fourth, it was found that just managemen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mental strength had positive influence on all of proving ability, physical/mental preparation, coach's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but managements of body, training, own behavior and lif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proving ability, physical/mental preparation, coach's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In the studies of Kim Kwan-ho(2012) and Lee Seung-mok who focused o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managements of body, training, own behavior and life had significant effect on sport confidence, so they are not agreed with the current study in part. This is because not like middle-school students who are in period of growth, college students have physical perfection, and through long time of lives as athletes, they might have been adapted to basic training and life management. Fifth, it was recognized that anxiety control, mental imagery, and concentration in case of proving ability in psychological training, anxiety control, mental imagery, concentration and willpower in physical/mental preparation, anxiety control and willpower in coach's leadership, and anxiety control and mental imagery in social support had positive(+) influence. It can be found that the result supports in part the study of Sohn Jeong-hyup(2007) who insisted that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cognitive anxiety have negative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Sixth, in the influence of sport confidence on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in physical/mental preparation, coach's leadership and social support, but proving ability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the result supported the result of the study done by Sohn Jeong-hyup(2007), which dealt with sport confidence and performance of sprinters. In the mental strength management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managements for interpersonal relation and mental strength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in self-management behavior, but managements of body, training, own behavior and life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It means that players do not have confidence in science management such as physical and training managements which can have direct effect on sport games. On the contrary, the fact that the manag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 had positive effect on sport confidence indicated that there were still a lot of Confucius conventions in college judo players' teams. Therefore, it's needed that we have to be able to convince players by establishing the achievement of physical and training managements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for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Or, we should exclude negative elements of Confucius mores which consider rank in Korean society important and draw harmony and passion among seniors and juniors, fellow and between coaches and players. In doing so, the leadership of coaches in college judo teams can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victory of teams as well as individual judo players. Put together, anxiety control, mental imagery and concentration were important elements in sport confidence in mental strength; it seems that, unlike other sports, the results come from the nature of judo that players must concentrate on the other party during the game. Players have to predict attack and defense techniques throughout the game. Because the game can be reversed in a moment even though they have dominated the game, it's important for them to possess anxiety control and concentration in ordinary days, so they have to be equipped with mental imagery training preliminarily. In order to increase sport confidence of player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focusing on 1the mental i

      • 유도지도자의 리더십, 신뢰와 운동 몰입과의 관계

        김진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도수련생들이 느끼는 유도지도자들의 리더십, 신뢰와 운동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도 수련장에 다니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수련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남학생 252명, 여학생 137명, 총 38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리더십을 알아보기 위해 Wright(1996)가 개발한 변혁적 리더십 척도를 번안하여 국내의 선행 연구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 사용된 설문지 가운데 신지숙(2002), 이홍윤(2007)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지도자 신뢰는 Levering(2000)의 신뢰지수와 Podsakoff(1990), Cook(1980)의 설문지를 번안하고 윤재만(2008)이 사용한 설문지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 하였다. 또한 운동 몰입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종호(2001), 이유라(2005), 김두기(2011)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전문가 협의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재구성 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검증(reliability analysis), 독립포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Duncan방법을 이용한 다중비교분석(multiple comparison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유도수련생들이 느끼는 지도자들의 리더십, 신뢰와 운동 몰입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도 수련생들의 성별, 학력, 운동 경력에 따라 리더십, 신뢰, 운동 몰입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는 리더십 요인 중 비전요인, 신뢰에서는 성실성, 능력 요인, 그리고 운동 몰입에서는 인지 몰입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학력에서는 신뢰 요인 중 성실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 경력에서는 신뢰 요인 중 성실성,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유도지도자들의 리더십, 신뢰와 운동 몰입의 각 요인 별 관계에서는 비전과 배려, 직관력, 승부욕,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배려와 직관력, 승부욕,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관력과 승부욕,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승부욕과 인지몰입 및 행위몰입, 그리고 성실성과 능력,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유도지도자들의 리더십과 신뢰는 운동 몰입에 영향을 주며,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비전, 직관력, 승부욕 요인이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