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대기 한양도성 안 宮廟와 宮室의 변용

        조은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fucian urban space in the city wall coped with and got accustomed to the new order of modern city through the acculturation of Gungmyo(宮廟) and Gungsil(宮室), which is the important elements composing the urbal area of Hanseongbu(漢城府; the old name of Seoul), in the Joseon Dynasty. With Jongmyo(宗廟) and Sajik(社稷), Gungmyo and Gungsil were national facilities established for the governance based on propriety, in the urban area of Hanseongbu, which was founded around the royal palace where the king resided. Both facilities were based on the ancestral rites in the royal family, but later Gungmyo was directly led by king to strengthen the meaning of it, by reproducing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and its ancestors, which strengthened the stability of state system and the royal authority. By contrast, Gungsil was used for Naetang(內帑; private property of the king) or places for various rituals, which was the royal family's economic basis. The establishment of Gungmyo and Gungsil was by itself based on the existence of king,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palace, which means that each of them was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in Hanseongbu. However, after king Gojong came to throne, the urban space of Hanseongbu changed dramatically. Since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景福宮) was complete, the center of the city was moved from Changdeokgung(昌德宮), which had been the central establishment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o Gyeongbokgung. Since the proclamation of founding Korean Empire in 1897, the emperor's city was set around Gyeongoongung(慶運宮), and a new urban space was founded with Gyeongoongung and Wongudan(圓丘壇) as the center. The change was not limi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but extended to the will to autonomous modernization by changing the framework in the physical space of hanseongbu,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ew palace, national monuments and new roads. The Korean Emperor was, as in the past, the main character who affected the relocation of the urban space, and such relocation and management was done with the palace as the center.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sidency General(統監府; Japanese government for supervision) in 1905 and the abdication of Emperor Gojong in 1907, turning the empire into the age of Emperor Soonjong(純宗), which was the name-only empire, the autonomous efforts of urbanization could not be continued. Instead, the structure was transformed into the binary shape of the palace as the center of Korean Empire and the Residency General with Japanese residences as the center of the colonial authority, which signified the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urban order. Also, the urban planning and road construction developed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韓日倂合) created a new urban space with the buildings for colonial such as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Keijo City Government(京城府廳) as the center. The colonial government's urban planning, represented by Project for Reconstructing Divisions of Kejjo(京城市區改修事業), had been focused on connecting the existing traditional space to the urban space by construction of roads, but for the long haul, it deconstructed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urban space based on how the palace was used, and founded a new order system of colonial city Keijo(京城).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urban space in Hanseongbu, the chronological change from 1863 to 1936 is as follows. Gungmyo and Gungsil, which were reconstructed and moved in the Gyongbok Palace reconstruction project, showed the moving of center of the city following the change of how to use the palac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ace and Gungmyo/Gungsil was still effective, the reformation of national governance system as strengthening the power of the Emperor was an attempt to seek for the modern use of Gungmyo and Gungsil with their changes. By contrast, the change of Gungmyo and Gungsil in the age of Soonjong reflected the historical circumstan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esidency General. Weaking power of the Emperor and increasing interference of the colonial power made Gungmyo and Gungsil fail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alace, and subjected to the national property. However, the change of Gungmyo and Gungsil was still affected by the Korean Empire. Fin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ite where once Gungmyo and Gungsil had been changed as the urban planning of that time. The new establishment of facilities by the colonial government's policy reflected the shape of downtown Keijo centralized in the southern part of Jongno, and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of gungmyo and gungsil as well.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space of nation rite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form of the governance based on propriety in Confucian society, into the colonial Keijo with hospitals, schools, and residence showed the destruction of the existing traditional urban order and reconstruction of the new urpan planing. The urban space of Hanseongbu after 1863 showed the government's will to cope with the modernization based on strengthening the Emperor's power, but after all, it turned to the feature of colonial modernity where Jpanese imperialist transplanted from the Western urban planing. However, although the new urban space was created by the change in the subject of power, it must have been based on the remnant of the past age. The contacting point of changes in urban space identified by Gungmyo and Gungsil helps us understand the gap between Hanyang(漢陽) and Keijo(京城).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성부(漢城府)의 도시공간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궁묘(宮廟)와 궁실(宮室)의 변용을 통해 도성 안의 유교적 도시공간이 근대화 과정 속에서 새로운 도시질서에 대응하고 적응해 나가는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왕조의 궁묘와 궁실은 왕이 임어하는 궁궐을 중심으로 형성된 한성부의 도시공간에서 종묘, 사직 등과 함께 왕권 중심의 예치(禮治)를 목표로 형성된 국가시설물이었다. 두 시설 모두 왕실에 대한 제사를 바탕에 두었으나 궁묘가 왕이 주도하는 친제(親祭)를 통해 의례의 명분을 확대, 재생산하고 냄으로써 사친에 대한 권위를 높이고 나아가 국가체제의 안정과 왕권의 강화를 실현하는 공간으로 활용된 반면, 궁실은 제사 이외에 왕실의 경제적 지지기반인 내탕이나 각종 의례의 장소로 쓰였다. 궁묘와 궁실의 성립 자체가 왕의 존재, 즉 궁궐과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 졌기 때문에 각궁(各宮)의 변화는 한성부 도시공간의 변화에 긴밀한 영향을 받아 나타났다. 고종 즉위 이후 한성부의 도시공간은 크게 변화하였다. 경복궁(景福宮)중건이 완료되어 임진왜란 이후 창덕궁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던 도심이 경복궁을 중심으로 이동하였으며, 1897년의 대한제국의 선포는 경운궁(慶運宮)을 새로운 황도(皇都)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경운궁과 원구단(圓丘壇)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심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는 단순히 공간을 인식하는 방식의 변화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궁궐과 국가기념물의 등장, 새로운 간선도로의 설치 등 기존에 한성부가 가지고 있던 물리적 공간의 틀에 변화를 가한 주체적 근대화를 향한 움직임이었다. 대한제국의 황제는 이전시대와 마찬가지로 도시공간의 배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존재였으며, 도시공간의 배치와 운영도 궁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1905년의 통감부 설치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로 간신히 황제국의 명목만 유지하던 순종시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주체적 도시화의 움직임은 지속되지 못하였고, 대신에 궁궐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한제국의 중심과 통감부 및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식민 통치의 중심이 도성 내에서 양립하는 구도로 변화하였다. 전통적 도시질서가 해체되는 수순을 밟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한일병합(韓日倂合) 이후 이루어진 도시계획과 간선도로의 발달은 궁궐을 대신하여 총독부 청사와 경성부청(京城府廳) 등 식민지 통치시설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도시공간을 만들어 냈다. 경성시구개수사업(京城市區改修事業)으로 대표되는 총독부의 도시계획은 도로의 개설을 통해 기존의 전통적 공간과 연결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지만, 결국에는 궁궐의 이용방식을 기반으로 유지되어 온 전통적 도시공간의 연속성을 해체하여 새로운 질서체계를 가지는 식민도시 경성(京城)으로 재탄생 시켰다. 한성부의 도시 공간 변화를 바탕으로, 고종이 즉위한 1863년부터 일제강점기인 1936년까지 궁묘와 궁실의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복궁의 중건 이후 이건(移建)된 궁묘와 궁실은 궁궐이용방식의 변화에 따른 도심공간 이동의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다. 궁묘와 궁실이 궁궐과 맺는 관계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제국이 선포되었고 황권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나타난 국가제례의 재정비는 궁묘와 궁실의 변화 및 근대적 활용방법을 모색하였다. 반면 순종시대의 궁묘와 궁실의 변화에는 통감부(統監府)가 설치된 구한말 한성부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정국의 주도권을 상실해가는 황실과 강해져만 갔던 식민권력의 간섭으로 궁묘와 궁실은 더 이상 궁궐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한 채 합설 혹은 폐지되어 국유로 이속되었지만, 폐궁(廢宮)된 궁지의 변화에는 근근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던 대한제국의 영향력이 여전히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제강점기 궁묘와 궁실의 기지(基地)는 식민 권력의 지배이념과 당시의 도시계획에 따라 변용되었다. 총독부의 통치정책에 근거한 새로운 시설의 건립은 당시 경성의 도심이 종로 이남에 집중되어 있었음을 반영하는 동시에 각궁이 식민지 근대화되어가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유교사회에서 예치의 대표적 형태인 국가제사의 공간이 식민지 경성의 병원, 학교, 주거지 등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기존의 전통적 도시질서가 해체되고 새로운 도시계획이 정착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종 즉위 이후 한성부의 도시공간은 강력한 황권의 정립을 바탕으로 한 주체적 근대화의 움직임을 보였으나, 결국 일제에 의해 서구화된 도시계획이 이식되어 식민지 근대화의 모습으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권력의 주체가 바뀌어 새로운 도시공간을 만들어내더라도 그것은 이전 시대의 흔적을 바탕에 두고 이루질 수밖에 없었고, 궁묘와 궁실을 바탕으로 확인되는 도시 공간 변화의 접점은 한양과 경성의 간극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시선축과 시지각 원리에 근거한 가로공간 특성 연구 : 간판을 중심으로

        엄소연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Avenue space should provide a role of community space to recover humanity and provide comfort and convenience space to modern people living in the city. To perform this, it is necessary for studies in structural approach that is possible to make creation of new values and satisfaction for the use of avenue space. Avenue space is the space composed of buildings on the roadside, facilities on the road, people and nature. At this point, buildings could be seen as a significant physical component to form avenue space, and signs attached to buildings are regarded factors have the most powerful effect visually and spatially. It would be discerned that the external factors of signs with theoretical concepts and substantive observation on signs, and it would be attempted that space design approach to signs through concepts of visual axis. The form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igns would be perceived through visual axis divided into a horizontal axis, vertical axis, and depth axis, and various perception phenomena through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divided into principle of harmony, unity, balance, proportion, concatenation and emphasis. Visual axis in avenue space means the axis formed by attracting public gaze at one place, and it is classified into horizontal axis, vertical axis, and depth axis. As for horizontal axis, it means to induce peoples’ eyes from side to side as a horizontal factor of space, as for vertical axis, it means to induce peoples’ eyes above and below as a vertical factor of space, and as for depth axis, it means to induce peoples’ eyes back and forth as a perspective sense of space. That is, in depth axis, it would be felt overlap of space or depth of space by looking space in three dimensions. The characteristics of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applied to signs based on formation of visual axis are examined as follows: ▪ Principle of harmony : It affects the whole atmosphere of space whether basic external factors are in harmony or not, so it would be known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 and object by precise comprehension of features of external factors. ▪ Principle of unity : If factors in common that the observer can feel the space changed according to visual axis, would be applied in harmony, it is possible to get out of the interrelation recognized the lack of unity as disorder. ▪ Principle of balance: To decide sense of balance with visual sense of weight according to visual axis is the same meaning with to form basic system to comprehend general space. ▪ Principle of proportion : The sense of proportion through visual axis forms basic orders, so stable space would be composed. ▪ Principle of concatenation : Through repetition and concatenation or formation of rhythmic sense to avenue space, it would be induced eyes and formed image by being an assembly of orders. ▪ Principle of emphasis : It would be formed the hierarchy of space according to specific arrangement of objects, and it would be implicated symbolic space in hoc. Like above, when signs were analyzed through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it was known that avenue space that signs are belonged is not composed with single principle but comprehended by various principles complexl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are perceived through space, so it was not fragmentary but complex, and comprehended more precisely through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drew the findings to analyze signs relationship in three-dimensional space; it has limitation that could not adapt practically in designing and restriction of signs. However, it was analyzed external factors of signs in the previous studies; otherwise, it is significant that it was drawn by grafting external factors onto spatial factors in this study. Thus, if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analyzed data in this study would be in use in the business to improve signs, signs in avenue space would be a significant component to improve city environments. 가로공간은 도시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편안하고 편리한 공간을 제공하고, 인간성 회복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의 역할을 지녀야 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가로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이룰 수 있는 구조적인 접근의 연구가 필요하다. 가로공간은 기본적으로 가로변건축물, 가로시설물, 사람과 자연으로 구성되는 공간이다. 이때 건축물은 가로공간의 형태를 형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구성요소로 볼 수 있으며 건축물에 부착된 간판은 시각적, 공간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주된다. 간판에 대한 이론적 개념와 실질적인 관찰로 간판의 외형적 요소 구분하고, 시선축의 개념을 통해 간판에 대한 공간 디자인적 접근을 시도한다. 간판의 형태와 공간적 특성을 수평축, 수직축, 깊이축으로 구분되어지는 시선축을 통해 지각하고, 조화의 원리, 통일의 원리, 균형의 원리, 비례의 원리, 연속의 원리, 강조의 원리로 구분되어지는 시지각 원리를 통해 다양한 지각 현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로공간에서 시선축이란 관찰자의 시선이 한곳에 머무르게 됨으로써 형성되는 축을 말하며 수평축, 수직축, 깊이축으로 분류된다. 수평축은 공간의 수평요소로서 사람의 시선을 좌우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고, 수직축은 공간의 수직요소로서 사람의 시선을 상하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며 깊이축은 공간의 원근감으로서 사람의 시선을 앞, 뒤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깊이축에서는 공간을 입체적으로 봄으로써 공간의 중첩 또는 공간의 깊이를 느끼게 한다. 시선축의 형성을 바탕으로 간판에 적용된 시지각 원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조화의 원리 : 기본적인 외형요소의 조화여부는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외형요소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배경과 대상의 관계성을 알 수 있다. ▪ 통일의 원리 : 시선축에 따라 변화되는 공간을 관찰자가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요소만 조화롭게 적용된다면 통일성의 부족이 무질서로 인식되는 상관관계를 벗어 날 수 있다. ▪ 균형의 원리 : 시선축에 따라 시각적 무게감으로 균형감을 판단한다는 것은 전체적인 공간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 체계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 비례의 원리 : 시선축을 통한 비례감은 기본적인 질서를 형성하여 안정된 공간을 구성한다. ▪ 연속의 원리 : 가로공간에 리듬감을 형성하거나 반복과 연속을 통하여 시선을 유도하고, 질서를 군집화하여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다. ▪ 강조의 원리 : 대상의 특정한 배치에 따라 공간의 위계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징적인 공간임을 암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지각 원리를 통해 간판을 분석하였을 때, 간판이 속해 있는 가로공간은 단일의 원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다양한 원리에 의해 이해되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간판의 특성은 공간을 통해 지각하는 것으로 단편적인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것이며 시지각의 원리를 통하여 더 정확히 이해되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간판을 3차원 공간에서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로서 간판의 디자인 및 규제에 있어 실질적으로 적용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연구에서는 간판의 외형적 요소를 분석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외형적 요소와 공간적 요소를 접목시켜 도출하였다는 점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후 간판 개선사업에서 본 연구의 분석 자료에 따른 시지각 원리를 이용한다면 가로공간에 있어 간판은 도시환경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 공연예술을 위한 일상적 환경의 유연성에 대한 고찰

        권보라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dustrial Revolution has lead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hus the formation of metropolis. This movement of people brought the urbanization, and has lead to the more efficient use of open spaces, which become scarcer. These open public spaces become areas of interaction as well as areas of expressing various styles of lives. In addition, the economic growth and five-day workweek have increased the demands for more eclectic cultural experience. While the traditional type of performance is usually held at an exclusively prepared indoor place with the audiences as only spectators, people now demand the festival type of performance hold in open and public spaces, in which the audiences are participants. This change has resulted in larger growth for outdoor performances, and has presented various opportunities for ordinary people to experience cultural performances at their arm's length. Recently, many local governments have presented indigenous cultural products and festivals. And this movement was met with the increased demands for the participation to bloom as active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looked into 24 public spaces, at which cultural performances are held, to see how each space is used as the stage for holding the ever-increasing outdoor performances. In addi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each space with its own environmental flexibility can be maximized in terms of its outdoor space for holding daily as well as non-daily cultural performances.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s the use of public space as the stage for public performance, and addresses the problem that the current outdoor performance halls, which have been built by local governments and organizations, are useless when there is no performance. Through theoretical study and analyses of target areas,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le model for efficient outdoor public space by incorporating the specific flexibility of a public space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outdoor cultural performance. In order to do this, first of all, the extensity of the outdoor stage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 and audience seats in a cultural performance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of performing art and performance stage. In addition, 24 public spaces, at which cultural performances are produced,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based on the theory from the analysis of the daily and non-daily use, allocation and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se 24 spaces was organized in three factors-namely, the type of space, behavioral pattern of the users, and atypical quality of the space.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space as location cannot be distinguished separately in the aforementioned three type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lexibility of the public space can be maximized for holding outdoor cultural performance by efficient space plan through careful evalu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users. Space exists in infinite number of types and forms, and the outdoor space requires much more flexible and multi-dimensional space plan compared to indoor space due to its vast range of users. For this,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study of behavioral patterns of the users and possibility of instrumental expression methods as well as the study on the public space for cultural performance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산업혁명과 함께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인간이 존재하는 공간이 모든 측면에서 도시화되어 감에 따라 야외환경은 다양한 삶을 위한 표현의 장소이자 안식처가 되었다. 사람들은 야외에서의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 건강, 휴양 및 문화생활 등 삶의 다양한 가치를 추구한다. 또한, 주 5일제 도입에 따른 근무시간 단축과 경제적인 여유로움은 사람들에게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여 문화참여욕구를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실내공연장에서 1차원적으로 관람하는 수동적인 관람형태에서 벗어나 야외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축제형태의 공연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실내공연장이 아닌 야외환경에서의 공연예술 빈도수를 증가시켰고, 문화시설 내의 공간에서만 공연예술을 관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공간에서도 어렵지 않게 공연예술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사람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욕구와 각 지방만의 특산물, 독자적인 문화상품을 내세운 지방 단위의 다양한 축제 증가는 시민들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문화교류를 하게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도로 늘어나는 야외환경에서의 무대와 객석의 공간, 즉 공연예술이 이루어지는 공간 24곳을 선정해 각각의 대상지에서 어떻게 연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환경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을 통해 야외환경에서의 공연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일상과 비일상 어떠한 공간에서든지 다양한 공연예술을 즐길 수 있는 야외환경의 공간연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둔다. 특히 지자체에서 건립한 야외문화공간이 공연이 있을 때에는 공간의 활용가치가 높은데 반해 공연이 없을 때에는 활용성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야외환경에서의 공연예술공간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대상지조사, 분석을 통해 야외환경에서 공연예술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인 공간연출을 목적으로 야외환경의 공간적 특성을 유연성 있게 공간계획에 적용하여 활용도가 높은 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연예술과 공연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연예술에 있어서 무대와 객석의 공간을 분석하여 공연의 종류에 따른 야외무대의 공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야외환경에서의 일상과 비일상의 공간, 장소성, 공간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한 이론을 바탕으로 공연예술공간으로 연출되는 국내의 대상지 24곳을 선정해 유형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정한 대상지를 공간의 유형, 이용자의 행태, 도구적 특성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뒤 유형화하였다. 유형별 분석결과 공간이라는 장소는 공간의 특성과 유형, 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 그밖에 표현방법인 도구적요소를 따로 구분하여 볼 수 없다. 따라서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 이용자의 행태를 고려해 공간계획을 한다면 실제 공연이 이루어질 때 좀 더 도구적인 요소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이는 공간의 유연성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은 셀 수 없이 많은 유형으로 존재하고, 야외의 공간은 실내의 공간보다 이용자의 행태가 광범위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에서 행해지는 공연예술은 일차원적인 맞춤형의 공간보다는 유연성 있는 다차원적인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연예술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대상지의 특성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행태와 도구적인 표현방법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시지각 요소를 고려한 공간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공미술작품 중심으로

        신은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도시의 수많은 시각적 공해 속에 살아가면서도 그것이 공해인 줄 모르고 지내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거리, 황량한 공원, 자리만 차지하는 각종 조형물과 작품들은 어느 한 곳 여유 있게 관람한다거나 공간에서의 의미와 역할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도시 공간을 재구성하기 위해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공공미술이 그것을 실현하는 훌륭한 수단으로써 많은 추진과 노력을 점점 지원하는 추세이다. 이는 공공미술이 지역 주민의 삶의 공간, 만남의 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공공미술은 미술관이나 화랑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만 유통되는 미술을 일상생활 공간으로 가져오기 위한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오늘날은 삭막한 도시환경에 대한 문화적 차이와 지속 가능한 도시 형성에서의 중요한 작품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역의 공간 환경에 생명력을 불어넣은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공공미술이란 일반적으로 관람자에게 개방된 장소, 즉 공공장소에 설치된 미술품을 말하지만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담장에 그려놓은 벽화나 건물 앞에 설치해 놓은 볼품없는 조각상 정도로 인지하여 공공미술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인식과 공공미술의 이해의 가치와 미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미술 작품 연출시 반드시 공공미술이 놓이는 도심의 거리나, 공원, 생활 속 환경에서의 위치, 방향, 접근성, 동선 등 시지각으로 보이는 특성에 대한 관람자와 작품 공간간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여 공간연출 하여야 한다. 또한 관람자의 시지각 특성에 근거하여 작품 공간 연출시 공간지각적 특성과의 연계성을 부여하여 침체되거나 낙후된 지역에 활기를 가져다주는 도시 전체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작품 공간 연출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공미술 작품 연출시 시지각 요소를 고려한 공간지각적 특성의 종합분석을 통해 도심에서의 공공미술작품이 공간(장소)-배경(환경)-관람자(시민)의 관계에서의 조화로움과 지양해야 할 가치와 기능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작품 공간 연출시 개선방안과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Modern people live their daily lives without realizing that they are living in visually polluted cities. Congested roads, bleak parks, and numerous sculptures and art works, which meaninglessly take up space in the cities, do not have any significance nor true meaning in terms of space. In order to restructure this urban space, the local communities are attempting to exert its best effort into promoting public art; the communities promote public art as an effective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itizens' lives. This rationale behind this is that public art plays a pivotal role in changing the living space and meeting places of the citizens. Public art was first created in an attempt to bring the fine arts, distributed in limited places such as art gallery, into everyday life of people. These days, public art is acknowledged as significant work space to develop sustainable cities and cultural difference in stark urban environment. It is also recognized as the new alternative measure to infuse lively energy into the local spatial environment. Public art is typically defined as the installed work of art in public places which are opened to the viewers. However, the perception towards public art was constrained to mere mural or ungraceful sculpture installed in front of a building and thus its true value was not appreciated by the public.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public art and its aesthetic value, the work of public art must be spatially re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perception presented through position, direction, accessibility, and circulation in living environment. Moreover,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onnectivity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percep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the view when creating public artwork. By doing so, it can bring energy to deteriorated areas and the entire cities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thesis lie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perception in regard to visual perception elements when creating public artwork. Also, the thesis aims to seek the value and harmony between space(place), background (environment), and the viewer (citizens). Furthermore, the thesis aims to suggest improvement to public art.

      • 식생활에 맞는 효율적인 아파트 주방수납 방법에 관한 연구

        김성식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uggests a designing plan of effective kitchen storage reflecting the movements of kitchen utensils and standardized kitchen furniture used when cooking. This plan i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kitchen storage. The background of standardization of kitchen furniture lies in the population problem which has been always the center of issue in the past and in today's society as well. To solve this problem, apartment buildings were created. Kitchen furniture inside these apartments have relatively short history and thus kitchen furniture are depending upon European designs. While the inconvenience of residents is increasing and the variety of stored utensils is diversifying, the problem that arises from lack of storage space because of standardized space comes as a big dissatisfaction to apartment residents. This dissatisfaction comes from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quantity of stored utensils which apartment residents possess. Also, the standardized surface due to structural constraint of apartment building created by cost reduction and standardization has not only influenced apartment but multiplex, multi-unit houses, detached houses, and studio flats, all space people live in. In these spaces, the storage and organization of kitchen products are not effectively being operated and complain of the residents is being clearly present. Thus, it is of importance to establish a study on effective method to store and organize kitchen utensils. After analyzing the kitchen utensils used in the process of cooking selected menu, it was possible to draw conclusions as below. First, by analyzing the frequent usage of kitchen utensils stored imprudently and by studying whether the movement of users was repeated or not,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kitchen utensils and groceries should be stored close to the users. Second, after analyzing the process of cooking and the order of kitchen utensil usage, it was concluded that sink was most frequently used of all furniture and thus it was effective to store focusing near the sink. 1) The kitchen counter centered type includes kitchen work frequently done on the counter at the corner or at the left and right bottom of heating devices so it is best to store in order of kitchen utensils, seasoning, general dishes. 2)The sink type centered which includes a lot of movement is a typ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washing kitchen utensils and dishes after the process of cooking. The bottom of sink usually is filled with bowl sink and food waste dryer thus it is impossible to store tools here. Therefore, it is best to store in order of small kitchen utensils, cooking knives, and tools used for table settling at the top space of sink or the bottom space of kitchen counter. 3) In the heating device centered type, the counter with heating device is standardized with hood at the top and gas oven at the bottom, thus is it best to place kitchen related products at the nearest corner counter or at the bottom space of kitchen porter in order of kitchen utensil, preserved food, small cooking tools. As above,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types of storage through the selected menu in apartment. Also, this study analyze the quantity and the variety of kitchen utensils in order to plan best location for kitchen utensil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uggest the height or width of kitchen cabinet because kitchen utensils are not produced with standardization but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storage by categorizing special types of storage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ools and methods of storing them. As the living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of people are changing throughout the history due to different family lifestyles,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study on effective storage related to storage space within a constant period of time. 본 연구는 주방수납 방법에 관한 연구로 선행연구의 대표식단 선정을 근거하여 조리시 사용되는 식생활용품과 모듈화(표준화) 되어진 주방가구에서의 이동 동선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방수납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주방가구의 표준화” 배경에는 기존에 건설되어졌거나 현재나 미래에도 인구증가라는 사유로 주택의 양적인 부족해결을 위해 변함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파트일 것이다. 그 안에서 식생활과 관련된 주방가구는 역사가 짧아 유럽 모방 디자인에 의존하고 있어 거주자의 불편함은 물론 수납물품의 수량이나 종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표준화된 공간으로 인한 수납공간 부족의 문제와 수납곤란의 문제는 아파트 거주자들에게 큰 불만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아파트 거주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수납물품의 양(量)이나 방법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고, 건물의 구조적인 제약으로 획일적인 평면이나 입면이 시공사의 원가절감과 표준화란 명분으로 아파트뿐만 아니라 다세대, 연립,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 인간이 거주하는 모든 공간에 적용되어 수납물품의 저장 및 정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거주자의 불만은 커져만 가고 있어 효율적 수납기능을 갖춘 주방가구의 수납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선정된 대표식단의 조리과정에서 사용되는 식생활용품과 수납위치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무분별하게 보관되어진 식생활용품을 사용빈도와 이용동선 중복 여부를 통해 가장 근접하게 수납하고 보관하여야 하는 조리용품, 식품, 보조용품이 무엇인지 알았다. 둘째, 주방가구 설계계획과 현재 사용되는 주방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들 중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수납방법은 식단의 조리 순서 및 식생활용품의 사용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개수대의 사용이 가장 많아 개수대중심왕복형이 가장 적정한 수납방법이다. 1) 조리대중심단일형은 가열대 옆이나 코너장 상판에서의 작업이 많이 이루어져 코너장 및 가열대 좌·우의 하부장에 조리보조도구류, 양념류, 일반식기류 순으로 위치함이 가장 적정하다. 2) 개수대중심왕복형은 조리과정이나 상차림뒤 음식물 섭취후의 조리용품, 보조용품 세척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유형이다. 개수대 하부장은 일반적으로 싱크볼과 음식물건조기가 위치하여 수납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개수대 상부장 및 개수대 옆의 조리대 하부장에 조리준비 소기구, 조리용 칼류, 상차림 용품류 순으로 위치함이 적정하다. 3) 가열대중심평행형은 가열대 상부는 후드, 하부는 가스오븐으로 표준화되어 있어 가장 근접한 코너장이나 보조주방의 하부장에 조리준비도구류, 저장식품, 조리 소기구 순으로 위치함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아파트 세대내의 주방수납을 선정 대표식단을 통해 수납의 효율적인 유형을 제시하여 보았고, 식생활용품의 분류에 따른 종류를 파악함으로써 주방수납의 적정위치 설계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식생활용품은 규격화 되어 생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납장 칸의 높이나 폭을 제시하기는 어려우나 물품의 위치와 수납방식을 고려한 또 다른 유형화를 시도하여 수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정수준의 수납방법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주거생활과 식생활양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또한 가족생활주기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에 따른 수납공간에 관한 효율적인 저장(보관)방법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 실내환경디자인에 나타나는 혼성(Hybrid)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민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Nowadays, it is much easier to share diversified cultures due to the removal of barrier between nations, les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removal of trade barrier,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advent of the Internet all possible because of globalization. In the era of consumer society, the hybrid phenomenon is spreading faster than the past. As the consumers' tastes are being diversified and people are strongly attempting to seek individuality, more cultural factors will be at the verge of convergence, integrating and compromising with each as in the name of hybrid.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hybrid theory, which is becoming the new trend in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general convergence in interior design of institutional residence. Hybrid is bringing out many new changes in the name of consilience in the field of society, economy, and science. This concept of hybrid is merged into the field of architecture or interior through cultural reframe by restructuring two or more trends of elements constituting people's life style such as color, material, fabric, and pattern; the concept of hybrid is developing into a creative style through connectivity of space time. As a semiologist Umberto Eco predicted that 21st century will become a hybrid mix with diversified cultures, the hybrid aspect of culture is quickly spreading. Academic studies on sociocultural fields such as literature and film, liberal arts and entertainment, design and politics, fine arts and communication, architecture and fashion are being established and new cultural format is created by integration of classical music with pop music, Eastern culture with Western cultur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he fine arts with pop culture. After the de-constructivism was introduced, the meaning of space was lost; instead, it maintained its role as set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s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e elements are being progressed rapidly.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space and the meaning of hybrid through theoretical study of hybrid in interior space. In Chapter 2, the thesis defines the hybird by theoretical study. In Chapter 3, the thesis aims to categorize hybrid according to space, morphologic, time, region, material and color, imitation, program, genre and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space. In Chapter 4, the thesis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hybird in interior of institutional residence and recognize the general flow and characteristic of hybrid design. In Chapter 5, the thesis draws conclusion and presents significant of this study based on analysis in Chapter 3 and 4. Diversification in space design is taking place through acknowledging the limit of uniformity, validity of modern space and self-identity and through dissolution of tradition, rationality, and standard. The two contrasting idea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can be in the structure and decoration, abstraction and design, format and background, function and format and these two ideas attempt to dissolute these elements of architecture. In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these paradigmatic trends present diversified thinking and they also present relativity, hybrid, uncertainty as trait. Thus the thesis attempts to present the stream of thought taking place in hybrid design, then the thesis seeks expressive technique of paradigm shift and aesthetic value in interior design and its way of creating meaning in space as well. First, the thesis searches the tradition and development of style of hybrid design within historical contex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thesis will present how hybrid design interacts with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artistic valu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hybrid includes opennes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uggest further improvement that can be made in interior desig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expression in hybrid design. 오늘날 세계화로 인한 국가관의 붕괴, 지역성의 파괴, 무역장벽의 철폐, 통신의 자유, 인터넷 발달로 안한 정보의 네트워크 등은 많은 면에서 상호 이질문화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오늘날 현대 소비사회에 있어서의 혼성(Hybrid) 현상은 과거보다 더욱 빠르고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소비의 기호가 세분화되고 다양한 개성을 찾아나가려는 시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오늘의 상황에서 볼 때 앞으로 더욱 많은 문화 인자들이 혼성이라는 이름하에 상호 충돌과 절충을 시도하면서 융합(Convergence)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으로 본다. 이에 21세기 새로운 트랜드로 대두되고 있는 혼성 이론을 실내환경디자인의 전반적인 융합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혼성은 최근 사회, 경제, 과학 분야를 넘나들며 통섭(Consilience)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 개념이 건축이나 인테리어와 만나 컬러와 소재, 패브릭, 패턴 등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두 가지 이상 트렌드의 재구성과 시공간의 연계성이란 문화적 재구성을 통해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스타일로 발전해가고 있다. 기호학자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가 “21세기는 다양한 문화가 뒤섞인 잡종적 혼합이 될 것이다.”라고 예언한 대로 문화의 혼합 양상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문학과 영화, 교양과 오락, 디자인과 정치, 미술과 커뮤니케이션 건축과 패션등이 만나 사회문화적 맥락을 망라한 학제적 연구가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문화에서도 서로의 경계를 뛰어넘어 클래식과 팝,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순수와 대중문화의 만남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체주의 이후의 공간은 자의적인 의미는 상실되고 구성 요소들이 관계를 설정하면서 계속해서 의미를 유보하거나 생성하면서 이질적인 형태나 구성요소들의 혼성적 경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공간을 대상으로 혼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혼성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간 표현 특성을 분석 하였다. 2장에서는 혼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 틀을 마련한다. 3장에서는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공간적 혼성, 형태적 혼성, 시간적 혼성, 지역적 혼성, 재료와 색채의 혼성, 모방적 혼성, 프로그램적 혼성, 장르적 혼성으로 각각 나누어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 표현 특성을 알아본다. 4장에서는 실내환경 공간에 나타난 혼성의 표현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전반적인 혼성 디자인의 특성과 흐름을 도출한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정리 종합하여 본 연구 계획의 의의와 결론을 제시한다. 공간 디자인에서 다원화 현상은 근대적 공간의 합리성, 자기 동일성, 통일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절대적으로 여겨오던 전통과 규범, 이성의 해체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건축의 영역에서 이분법적인 대립은 구조와 장식, 추상과 구상, 형식과 배경, 기능과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해체하는 시도이다. 현대 실내디자인에도 이러한 패러다임적 경향들과 연관되어 다원론적인 사고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대성, 혼성, 불확정성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혼성의 디자인적 사고의 흐름을 밝힌 뒤, 인식체계의 전환과 예술. 학적 개념의 미학적 형식이 실내 디자인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표현기법과 의미의 생성방식을 도출한다. 먼저 혼성 디자인의 역사적 차원에서 양식적 전개 및 변화를 살펴보고 혼성적 양식의 미학적 근원을 파악하고, 현대 실내환경디자인에서 표현 전략을 추출해낸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혼성의 미학적 속성이 열림의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전제 하에 그것의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미학적 형식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도록 한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실내환경디자인의 혼성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사례에서 나타난 공간 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실내디자인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 전통건축에 나타난 이중경계구조에 관한 연구 : 하회 양진당을 중심으로

        주지나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급속한 근대화의 과정을 통한 건축물은 도시의 무분별하고 틀에 박힌 개발에 의해 일관화 된 형태가 난무하게 되었고, 그 속에서 경계는 단절적 의미만 부각되어 공간을 나누는 경계요소를 생성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현대건축의 경계는 기본적인 행위 영역을 한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공간을 구성하는 벽, 바닥, 천장 등의 기본적인 요소의 둘러싸임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로 구성된다. 경계의 개념은 분할적 성격에만 초점을 맞추어 설계하여, 주변 환경과의 조화나 관계성은 무관하게 발전되어왔다. 이처럼 서로간의 접근을 막아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고, 공간을 분할 고립시키는 단절적인 경계로 작용하고 있다. 서로 다른 공간들의 시각적, 물리적 교류를 막아 영역을 한정하고, 동선의 흐름을 여러 방향으로 나눈다. 따라서 경계는 독립적인 공간임을 확정시킴으로써 공간간의 연속적 구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주변 환경 및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공간간의 상호교류를 통한 연속적 관계가 깊은 한국 전통건축을 바탕으로 공간과의 관계에서 그 접점인 경계의 특성을 “나눈다“의 절(節)의 의미를 ”잇는다“의 결(結)의 의미로부터 해석하여 공간간의 연속성을 가진 전통건축으로 고찰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우선, 공간에서의 시지각 구조와 경계개념의 특징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파악한 후, 전통건축의 경계에 따른 시지각 분석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요소를 바탕으로 전통건축의 양진당에서 나타나는 경계를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나누어 각각의 형태요소를 중첩과 반복의 특성을 적용하여 이중경계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이를 분석틀에 대입하여 분석한 뒤, 연속성이 내포된 이중경계의 유형을 도식화하였다. 양진당에서 나타난 시지각적 이중경계구조의 유형을 집약하면, ① 3단 구조 직교2축, ② 3단 구조 일자1축, ③ 2단 구조 평행2축, ④ 2단 구조 직교2축, ⑤ 2단 구조 일자1축 으로 나뉜다. 다시 말해, 이중경계의 구조는 직교, 평행, 수평 형태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경계의 요소를 상승레벨과 가변성 그리고 개방성의 유형에 중점을 두고 이중경계를 통한 공간간의 연속성을 찾아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경계의 단절적 성격을 전통 건축에서 찾은 이중경계로 극복하여 공간의 연속성을 회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rapid modernization have uniform shape due to indiscriminate and stereotyped development of cities, and boundary came to have only the meaning of alienation, becoming the cause for creating boundary factors separating spaces. Boundary of modern construction starts from limiting basic behavior areas, and is composed of a complex formed by encirclement of basic factors that compose space such as wall, floor, and ceiling. The concept of boundary focused only on the character of separation in design and developed regardless of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r relations. As this shows, boundary works as a separation which prevents natural flow and alienates spaces by blocking mutual approaches. Visual and physical exchanges of different spaces are blocked to limit areas, and flows of traffic line are divided in many directions. Accordingly, boundary confirms independent space, and plays the negative role of hurting continuous composition of spa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separating” in characteristics of boundary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in relations between spaces from the meaning of “connecting” based on Korea’s traditional construction which has deep relations of continuity through mutual exchanges between spaces while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ature in daily life, and examined it as a traditional construction with connectivity of space. First, visual perception structure in space and boundary conception’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factors of visual perception depending on boundary of traditional construction were derived. Based on derived factors, boundaries expressed in Yangjindang, a traditional construction were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nd structure of double boundaries was de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superposition and repetition of each shape factor. This was applied into analysis framework for analysis, and type of double boundaries including connectivity was diagrammed. Types of visual perception of structure of double boundaries expressed in Yangjindang include ① orthogonal two axes of three-layer structure, ② linear one axis of three -layer, ③ parallel two axes of two-layer structure, ④ orthogonal two axes of two-layer structure ,and ⑤ linear one axis of two-layer structure. In other words, structure of double boundaries is expressed in orthogonal, parallel, and horizontal shapes. Based on this, focus was placed on increase level, variableness and type of openness regarding factors of boundary, and connectivity between spaces through double boundaries was foun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ed the direction to find the possibility for recovery of connectivity by overcoming the characteristic of separation in boundary through double boundaries found in traditional construction.

      • 주거공간의 거실벽면과 실내 구성요소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강효정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우리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인간의 생활환경과 가장 밀접하게 자리 잡고 있는 거실공간의 질적 수준도 향상되고 있다. 거실공간은 가족의 단란, 휴식, 오락, 접객의 장소로의 다목적기능을 수행하며, 무엇보다 거주자가 심적·신체적으로 편안하게 머물 수 있는 장소여야만 한다. 최근에는 거주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개성을 반영한 거주공간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실구성 특성이나 실내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변화경향을 분석하여 차별화된 실내구성 방향을 계획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여 거주자들의 신체적·정신적 휴식을 느끼도록 해주는 실내 환경구성이 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거주 공간부분 중에서 공용공간인 거실공간의 벽면 디자인 특성에 대한 파악과 차별화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 거실공간에서 벽면 디자인은 기능성과 심미성의 기능을 동시에 갖춰야 하며 거주자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에 부합된 인간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거주자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거주자의 특성에 맞는 실내 공간 조성을 마련해주기 위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거주공간이 이러한 다목적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삶의 터전의 공간을 넘어 개개인의 미적인 욕구의 표현장소로서의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독창적이고 차별화 된 실내연출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의 거실공간 디자인은 트랜드와 유행 패턴에만 따라가며 개성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화된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주거 공간 중에서 포인트가 되는 거실공간을 중심으로 벽면 디자인의 차별화 방안을 제시 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거실공간이 시각적으로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해보고, 시각적 특성과 함께 거실 벽면의 마감재 구성요소인 재료, 색채, 패턴의 분석을 통해 벽면의 차별화 된 표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시각적인 요소로 거실 평면과 천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벽면의 형태, 형태에 따른 벽면의 역할 분석을 관찰자의 시점 방향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건설된 브랜드 아파트 중에서 인지도가 높은 40평형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하여 거실의 벽면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고 벽면의 시각적인 요소와 마감재 구성요소의 질서와 조화를 찾고자 한다. 그에 따라 관찰자의 시점방향에서 함께 보여지는 벽면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벽면 디자인의 차별화 방안의 기준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Nowadays,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has been improved due to increased economic growth. Accordingly, the quality of living room space,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people, has improved as well. Living room is used for multipurpose so as to provide a source of entertainment, relaxation, and reception. Most importantly, living room must be able to make the dweller feel physically and mentally relaxed. Recently, living room, reflecting the diversified lifestyles and personality which meet the demand of the resident, is preferred and thus it is imperative to create unique interior space in the light of characteristic of living room and the changes of image trends. It is crucial to construct living room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 in order to let the resident feel physically and mentally relaxed. Especially, it is of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wall design in the living room out of all living spaces and seek ways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designs. Wall design in living room needs to be equipped with both functionality and aesthetic values. Also, it needs to foster a human-friendly environment with the dweller's personality being pres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search and pay attention to creating interior space accordingly to the each individual resident's lifestyle. In order for living room to be used multipurpose and to allow the resident to expressive their personal artistic desi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differentiated space. However, current interior space design only tends to create uniformed design focusing solely on trendy pattern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ity. Thus,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lternative designs for living room space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all living spaces.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living room space and suggests differentiated designs by analyzing material, color, pattern of finishing materials of living room wall. First, the study aims to recognize the visual element of living room. The thesis will study the form of wall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ole of wall according to different forms of wall categorized by different direction of the viewpoint. The study also attempt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wall design by analyzing the case of recently built 132.232m² brand apartment and seeks to find balance and order between visual elements of wall design and elements of the finishing materia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 which will work as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ng of wall design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 of walls which are different every time according to the viewer's viewpoint.

      • 공간특성과 화훼디자인의 관계성 연구

        윤여진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로 나타났으며, 공간의 개폐성으로 인한 위치설정으로 화훼디자인의 연출부분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화훼디자인이 연출된 공간을 선정하여 공간의 특징과 화훼디자인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동하는 관람자 중심으로 동선의 이동과 시점의 변화를 기점으로 분석표를 채워나갈 수 있었다. 분석결과, 공간의 연결성으로 인해 동선의 이동범위와 시점 변화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공간의 형식과 위치로 인해 화훼디자인의 연출 목적과 범위가 나타났다. 이론과 사례조사를 통한 분석 및 결과로 동선의 이동과 시점의 변화로 인해 공간과 화훼디자인 연출에 있어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훼디자인은 공간의 가치를 높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관람자의 동선과 시점을 유도하여 공간과의 원활한 이동을 도와 줄 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를 상승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공간에서 가장 좋은 화훼디자인이 연출되려면 공간의 기능과 특징을 고려해야하며 가장 적합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이에 공통된 점을 분석하여 공간과 화훼디자인으로 일어나는 현상과 앞으로의 공간연출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Floral design is being recognized as the fusion of natural material with design and as installation art. In the era of modern society, floral design has been focusing more on the quality of design. As design elements and aesthetic value were added, floral design has become to play a greater role in space. The thesis analyzes space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 of space in previous world of artwork and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floral design. In the proces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viewpoint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installed objects which are created by floral design. It was also possible to acknowledg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floral design and space. The thesis analyzes space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visual property)- place (spatial property)- tool (environmental element) established by space connected to the nature and categorizes this space by the definition, format, location, and accessibility. Also, the thesis contains the definition of floral design and categorization of space by spatial area, height, and size. Furthermore, the thesis acknowledges the definition of viewpoint and the flow of movement and suggests specific moving range of the viewpoint as well as the movement. After analyzing the cases of floral design created in space,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first format, which influences the transition of viewpoint and the flow of movement, was the connectivity of space. Due to connectivity of space, the transition of viewpoint and the flow of movement presented same pattern. Moreover, the second format was the type of space; it was possible to create floral design by setting the proper position in space by adjusting the openness of space. It was possible to choose a space created by floral design and thu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and floral design. Also, it was possible to fill in the analysis chart based on the transition of viewpoint and flow of movement made by moving viewers. Moreover, the purpose of creating floral design and its range, due to the type of space and location, were evident during the research and analysis. After going through the analysis and conclusion drawn by relating theory with case research, it was overt that space and creation of floral design have similar characteristic caused by the transition of viewpoint and the flow of movement. Floral design not only functions as raising the value of space but also promotes smooth movement by stimulating the viewer's movement and viewpoint and it also improves visual image of the space. In conclusion, in order to create the best floral design in space, it is crucial to take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space into account. The thesis aims to analyze the common factors of these elements and to suggest alternative solutions for future space production.

      • 환경조형물로서의 미술장식품 연구 : 설치위치에 따른 배경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희석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의 현대 도시에서 빠질 수 없는 화두는 ‘환경’이다. 오늘날 우리는 효율성만을 강조했던 과거의 성장과 개발의 논의에서 벗어나 ‘삶의 질’이라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면서 삶의 가장 기본단위인 ‘환경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삶의 공간적 토대인 도시와 그것이 담고 있는 일상의 환경미학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어 가는 시점이다. 또한 환경디자인 분야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보장하고 국가 정체성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과학 정보기술의 발달과 사회구조의 변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 및 가치관변화 등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따라서 많은 지자체에서 도시디자인이 중요한 정책대상이 되었고, 국가의 국정 과제로 채택되어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는 시대이다. 디자인이라는 업종 자체에 대한 지원도 늘어났으며 전문적인 디자인 회사를 지원하기 위한 분류로 ‘디자인전문회사’라는 명칭도 생겨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 분위기 안에서 도시 공간 속의 현대인들에게 가장 밀접하게 다가 갈 수 있으며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환경 조형 시설물에 관한 문제를 연구해 보려 한다. 지금까지 수많은 조형 시설물들이 세워졌고 지금 현재에도 점점 대규모화되어 가며 추진되고 있는 과정이지만 과연 얼마만한 효과와 용도에 부합되는 환경조형물들이 세워져 왔고, 세워질지는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는 그 이유를 모든 환경 조형 시설물을 ‘왜 설치하는 가’하는 근원적인 문제를 생각해 보고 문제점을 주변배경과의 관계에서 찾고자 각 배경이 가지고 있는 형태, 시거리, 색채특성에 대하여 사례조사를 하였으며 각 특성에 따른 미술장식품과 배경 특성에 연계하여 각 시점에 따른 평가와 설치위치와 관람 위치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각 특성별로 사례분석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찾아보고 발전 방향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미술장식품 자체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환경조형물과 주변 환경이 서로 유기적인 화합과 소통을 통해 하나의 장식품과 배경의 이원화가 아니라 동일 환경의 구성요소로서 발전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n indispensable item in 21C modern city is 'the environment.' In the past, we had emphasized only the efficiency, focusing on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But nowadays we are confronting another problem, that is, 'the quality of life.'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design' as the most elementary unit of life is growing up. This concern is expanding into that for the city the spatial basis of life and the daily environmental aesthetics contained in it. The environmental desig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an secure the valuable life of human in the society as well as the national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Thus, it can be an essential business to create the high values and a new paradigm that can compris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formation technology,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diverse demands of customers and the change of value system. Therefore, the central and many local governments adopted the city design as an important factor of policy and are making the relevant activities. The support to the design business itself has been expanded and the title 'design specialist company' was invented as a classification to support the specialist design companies. In this social mood,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artworks or installations which can approach modern people living in the urban space more intimately and are important in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aspects. Till now, many street artworks have been built and they are getting bigger day by day.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environmental artworks correspond with their purpose and effect well. This study deals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the environmental artworks are installe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surrounding backgrounds, it makes the case study about the shape of each background, the visual distance and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connection with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each artwork was evaluated for its view point, installation position and view posi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for each characteristic, the problems were derived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was discussed. To maximize the role of artistic ornaments themselves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understa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harmonize the environment artworks and the environments for their development as ingredients of the same environment through organic communication and agreement rather than the dualistic alie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