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입지에 따른 마산시 아파트 주동 외관의 색채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 준공된 15층 이상 아파트를 중심으로

        하은진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입지에 따른 아파트 주동 외관색채에 관한 연구로, 마산시 고층아파트 주동 외관색채를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시가 급성장하면서 자연환경이나 지역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들이 무질서하게 세워지면서 각 도시만이 이미지가 사라졌고, 특히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많이 들어서면서 도시 경관 구성요소로서 그 비중이 커졌지만 기준없이 사용된 색채로 단순하고 획일화된 색채는 도시의 경관을 개성없고 지루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군집을 이루어 가는 아파트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입지특성에 따라 도심, 산지, 해안으로 구분하여 아파트 외장색채의 현황 및 그 속성별 색채특성을 비교·분석 및 정면벽과 측벽의 입지별 배색유형 및 슈퍼그래픽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 및 외장색채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1990년 이후에 준공된 마산시의 15층 이상, 500세대이상 1000세대 미만의 고층아파트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에 따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경우 도심, 산지, 해안 등 입지특성에 따른 색채사용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생활기능별 주변 지역환경도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자연환경 및 지역환경에 따른 지역색의 적극적인 반영으로 아파트의 브랜드가 아닌 마산시의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한다. 둘째, 도시경관적 측면에서도 원경, 중경, 근경에 대한 고려 없이 방향성 없는 색채사용으로 다채로운 경관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각 경관을 구성하는 아파트 외관요소와 관련하여 색채사용에 있어 세밀한 계획이 필요하며, 거리의 경관으로서 측벽슈퍼그래픽 및 색조변화에 의한 전면벽 배색, 거주자에게 친근함 및 영역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부 슈퍼그래픽 등 다양성과 함께 조화로운 통일감을 줄 수 있는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아파트의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형식적으로 색채를 사용했던 외관구성요소에 대해 차별화되고 세심한 색채사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입지에 따른 마산시 고층 아파트 주동이 외관색채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특성을 제시하였으나, 입지특성에 따른 색채사용에 대한 뚜렷한 대안제시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계속적인 보완을 통해 입지 특성에 따른 색채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제시뿐만 아니라 형태와 재료에 관한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단독 주택지 불법 건축물 유형에 따른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창원시 의창구를 중심으로

        성병원 창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삶의 소중한 생명탄생과 성장과정을 함께하고 도시서민의 애환이 있는 곳이 집이다.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이후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반복하여 발생하는 불법건축 물에 대하여 근본적인 대책을 알아보고 싶어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서민 주거형태인 다가구주택 밀집지역인 창원시 의창구 서상동, 중동, 북면 감계리와 구주택지 신월동, 봉곡동의 건축물을 조사하고 사례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안 하였다. 불법건축물을 건축신고 위반, 용도변경 위반, 건축선 위반, 주차장법 위반으로 유형 분류 하였다. 불법건축은 아파트 오피스텔 고급형빌라 등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불법건축 대부분이 단독주택의 ‘생활공간 확보’임을 알게 되었다. 구주택지 단독주택 대부분은 담장과 건물사이를 판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가구주택 발코니도 샷시로 확장하여 거실, 침실, 다용도실로 사용되고 있다. 적발되면 자진철거나 세입자가 있을 때는 이사갈 될 때까지 이행강제금을 납부하고 있다. 주거지역에만 적용되는「일조확 보를 위한 이격거리 확보」규정 때문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창원시는 계획도시이다. 허가시에는 건폐율, 건축한계선, 공개 공지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준공후 전․월세를 놓기 위해 다가구주택 다락을 501호로 만드는 불법이 많다. 이는 사익을 위해 세입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신도시지역인 북면 감계리를 대상으로 서상동, 중동과 같은 위반 사례를 조사 하였다. 감계리는 예상과 달리 불법 건축은 적었다. 인구감소로 다가구주택 전․월세 수요가 급격히 감소한 것이었다. 행정관청에서 관리하는 불법의 유형, 숫자와 실제는 차이가 있었다. 공중에 위해를 끼치는 불법건축물은 매우 적었다. 불법건축물의 사용자가 건축주가 아닌 다가구 주택 세입자 들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 불법건축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도개선 하고자 한다. 『제도적 대책』으로, 이행강제금 부과대상 대부분이 판넬조, 샷시조, 파이프조 등의 경량재료를 사용한 불법증축 이었다. 이들은 민원제보로 적발되었고 제보들 중에는 보복성이 대다수다. 올바르지 않은 제보는 불법건축물 조치제외 하도록 제안 하였다.개 인의 사익추구를 위한 불법은 가중처벌을 적용하여 도시서민의 삶과 함께 하고 있는 다가구주택 등이 보다 더 안전한 주거생활이 되도록 제도개선 제안 하였다. 『건축적 대책』으로 감리자가 사후 불법증축이 예상되는 것을 알고도 준공하여 건축주가 범법자가 되는 사례도 있다. 세금을 절약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의도된 불법에는 보다 더 강력한 단속과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 예전에는 건축 주도 401호에 살았지만 현재는 세입자들만 거주한다. 이 같은 요인으로 도시서민들의 삶이 불법건축으로 화재등 취약함에 노출되어 있다. 임대주택에 더욱더 좋은 자재를 사용하고 불법건축은 없어야 한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단독주택지내 불법건축물의 유형분류에 따른 건축적 제도개선에 있다. 이행강제금 부과등 처벌과 단속을 통한 불법건축행위의 근절과 함께 설계과정에 서부터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창원시 의창구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은 처음이라 그 의미가 크다. 본연구로 도시서민의 삶이 보다 더 안전하고 쾌적하도록 제도개선을 통하여 강화할 것은 보다 더 엄격하게 적용하고 완화할 것은 과감하게 구제하여 단독주택지내 건축물들이 도시적인 측면에서 좋은 집들로 변신하는 기틀을 마련 하였다고 본다.

      • 야간경관을 고려한 상업가로 계획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이지은 창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상업가로의 활성화를 위해 야간이라는 시간적 환경과 상업지역이라는 공간적 요소에 주목하여 창원시 도심상업지역의 야간경관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도심상업지역 야간경관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간활동 증대에 따라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도심상업지역의 야간활동은 야간의 경관 특성과 상업가로 구성요소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이에 야간경관 대표적인 특성을 기존 문헌을 통하여 심미성, 안전성, 정체성, 쾌적성의 4가지를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야간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자로 선정하였고 또한, 야간상업가로 구성요소를 건축적, 비건축적, 가로적, 조명적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나아가 야간상업가로의 물리적 요소와 선호도, 만족도와 같은 심리적 요소의 교차분석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야간경관을 고려한 상업가로 계획 방향은 다음과 같다. (1) 건축적 요소에서 건물형태는 일부곡면형이나 부정형 등 형태가 특이하거나 다양한 것을 선호하지만 야간의 경우 건물형태를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전체적인 가로이미지나 환경에 비중을 둔 개성있는 건물형태가 바람직하며 건물높이는 보행자를 고려한 저층건물 위주의 계획이 바람직하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상업가로의 경우 고층 건물이 주를 이루게 되므로 저층부분의 디자인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색상의 경우는 단편적으로 한 가지 색상에 치우친 계획보다는 체계적인 색채계획을 통해 조화로운 배색이 이루어져야 하고 다른 색상에 비해 밝은 무채색 계열일 경우 인지도가 높으며 조명을 통해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며 건물색상은 재료와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구부 유형은 개구부가 셋백(setback)이되면 가로 이용자 측면에서는 보다 넓은 보도 확보로 통행에 도움이 되고 야간가로 활성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므로 함몰형의 형태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비건축적 요소에서 쇼윈도 형태는 개구부 유형과 마찬가지로 가로 이용자의 보행에 저해되지 않은 정돈된 형태의 평면형으로 정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이고 쇼윈도 전면비율은 심미성을 위해서는 높을수록 안전성을 위해서는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옥외광고물의 색상의 경우 단색의 강한 색 보다는 3색 이하로 색상 조화를 고려한 옥외광고물 색상조정이 바람직하며 형태 자체보다는 색상의 조화와 함께 형태의 다양성 등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옥외광고물의 형태는 가로환경을 복잡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므로 창원지역의 경우 복잡한 글자형의 과다한 사용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경관조명은 적절한 배치와 주변 조도의 고려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의 유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가로적 요소에서 창원지역 가로등의 경우 설치되지 않거나 일부에만 국한되고 소등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상업시설의 영업시간 이후의 가로 환경의 최소조도 확보를 위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시설계획이 시급한 시설이다. 조도조정을 통한 설치 위치 조정, 개소수 추가, 점등상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창원지역의 야간상업가로 경관은 다른 사례조사대상인 두 도시에 비해 전체적인 경관요소의 조화와 편의성이 비교적 부족한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야간경관은 무엇보다도 조명환경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야간경관 계획에 있어서 조명계획이 중요하지만 야간상업가로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조명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심미성, 안전성, 정체성, 쾌적성의 평가인자를 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충분한 고려를 통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 김해시 읍면지역 공장 난개발 주변 주거환경 특성연구

        김상범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김해시 읍면지역 중 관리지역에 위치하는 공장-주거 혼재 현황을 파악하고, 공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주거지와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거환경특징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공장을 입지별로 분류하고 김해시 읍면지역의 공장 현황을 분석하여 연구의 범위를 한림면과 상동면으로 축소시켰다. 다음, 유해공장으로 분류되는 공장을 유형화 하였고, 공장과 주거가 입지하는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각 입지 유형에 따라 마을을 분류하고 사례대상지를 선정하여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를 진행하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제조 유형의 공장이 가장 많으며, 다음은 기계 유형 공장, 화학유형의 공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지의 마을의 거주민들은 시청과 면사무소 등에 공장으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민원을 넣어 본 경험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셋째, 주민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소음과 공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넷째, 기존 마을에 공장이 무분별하게 입지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마을의 도로를 따라 발생한 공장의 점적개발이 면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마을의 경관 저해나 교통문제 발생 등의 문제점들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난개발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장 인근 주거지역 중 상습 민원구역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관리를 실시하고 자동측정망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원 내용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마을의 환경과 조건에 따라 마을의 조성 환경을 바꾸기 위해 공장의 정화장치나 공장의 이전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셋째, 계획관리지역 내 종합적 관리 대책이 필요시 된다. 본 연구는 공장과 주거의 현황을 파악하고 거주민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인 조사가 중심을 이뤄 난개발의 혼재도와 마을의 소음이나 공해, 악취, 교통량 등에 관한 객관적 수치를 제시하지 않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mixed state of residential are and factory establishments located in smaller towns of Gimhae city. It categorized plant types and surveyed the local peopl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key problem of the current state and to suggest a related solution to the issue. To achieve this, we categorized all factory plants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and narrowed down the scope into Hallim-myeon and Sangdong-myeon. Then, they are classified as either harmful or harmless factories. Moreover, smaller towns of Gimhae cit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location types and a number of residents are selected to answer the survey.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majority of the factories are identified to be manufacturing factories, followed by machine factories and chemical factories accordingly. Second, residents who answered the survey stated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filing a complaint to the city hall and town offices about issues related to the factories. Third, the survey result from the residents showed that they are least satisfied with the noise and pollution. Fourth, factories are being recklessly established in towns and the gradual development of these factories is expanding along the roads of original towns. This evokes some issues related to scenery hindrance and traffic issues. Possible solutions to this problem are as following: First, common residential areas with the most complaints should be managed regularly and it should actively use the automatic monitoring network system. Second, the installation of purifying devices in factories or relocation of factories can be enforced to solve the scenery hindrance issue. Third, 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of the selected regions is required.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mixed state of factory and residential area and surveyed the local resi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bjective, and hence the level of the town’s noise, pollution, stink, traffic issues can also be subjective.

      • 농촌지역 정비사업을 통한 마을안길 변화 연구 : 경남지역 새뜰마을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김영선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농촌지역의 마을 공간구조를 형성하는 중심축인 마을안길은 다양한 농촌지역 정비사업과 여러 요인들에 의해 형태가 변화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마을안길 정비는 마을안길을 단순히 교통로의 개념으로만 인식하여 획일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마을은 길과 담, 주택, 배후지 등이 유기적으로 형성되는 공간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농촌지역 정비사업들은 길과 주택을 별개로 다루어 농촌마을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종합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현재 농촌지역 정비사업 중 물리적인 환경개선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새뜰마을사업 대상지 5지구를 선정하여, 마을안길의 현황을 조사하고, 대상지별 새뜰마을사업의 물리적사업요소가 마을안길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경상남도 새뜰마을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마을안길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현재, 우리가 산간오지라고 하는 곳까지 개발의 영향이 미쳐서 기존 마을단위에 속하지 않는 개별적인 새로운 주거지들이 형성되어 마을 공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을안길이 명확하여 마을안길을 중심으로 하여 주거지가 형성되는 지역의 경우는 그 마을안길의 기능 또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새로 형성된 주거지나, 마을의 중심공간의 추가 또는 이동은 마을안길의 기능 및 위계에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새뜰마을사업으로 인한 마을안길을 중심으로 한 농촌지역 공간은 경우에 따라 그 기능이 명확해 지기도 하고, 중심공간의 이동으로 인해, 마을안길의 기능 또한 변화를 겪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새뜰마을사업이나 특정 농촌지역 정비사업 하나가 마을안길체계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오지는 않지만, 농촌지역 정비사업은 농촌지역의 도로체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의 가로체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농촌지역관련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Korea, developmen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Western theories as it was, and the form of the city lost a lot of its tradition. With policies focusing on industrialization, Saemaul project,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began in the 1960s, traditional Korean roads began to disappear as Western-style functionalist roads were built in rural and urban areas in Korea. An-gil(Country Roads), the central axis that forms the village space structure of rural areas, has been changed due to various rur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nd various factors. However, the maintenance of the country road so far has been carried out in a uniformly by recognizing the country roads as simple transportation routes. Korean villages have spatial characteristics in which roads, walls, houses, and hinterland are organically formed, and in the meantime, a comprehensive space plan has not been established as rur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eal with roads and houses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the population and economic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growing. Nevertheless, many rural infrastructures are relatively vulnerable compared to c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discuss ways to increase the living conditions of vulnerable rural areas whil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this study, the five districts of the Saetteul Project, which improves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most about the rur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were selected to analyze what changes the status of country roads have brought.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An-gil in rural areas in Korea focused on the sites of the Saetteul Project, new individual residential areas that do not belong to the existing village units a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even to what we call mountainous remote areas. It can be seen that lots of changes are taking place in. Since the An-gil is clear,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the An-gil is also maintained in the case of an area where residential areas are formed centered on the An-gil.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and hierarchy of the An-gil changed when the newly formed residence or the addition and movement of the village center space occurred. In some cases, the function of rural areas centered on the An-gil due to the Saetteul Project becomes clea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the An-gil also undergoes a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ral space. In addition, the previous rural area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had dealt with roads and houses separately, so a comprehensive space plan had not been implemente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have not been properly reflected. In the Saetteul Project, the first priority was house maintenance, the second priority was improvement of living hygiene and safety infrastructure, and the third priority was improvement of the village environment. In the districts at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he project was mostly concentrated on house maintenance, so there were areas where the maintenan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il(country road) was insufficient. This study shows that one project, such as the Saetteul Project, does not bring much change to An-gil(country road), but the rur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continues to affect the road system in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promote rural-related projects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rural road system.

      • 아파트 주요 하자 요인의 시공단계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주환섭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주거의 형태를 살펴보면 과반수 이상이 아파트 또는 주상복합이다. 하자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집약되어 살고 있기 때문에 비슷한 하자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각사의 고유한 특징을 지닌 수많은 건설회사의 여러 브랜드 아파트에서도 입주자들이 제기하는 하자의 양상은 비슷하다. 빈번하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하자를 과연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만일 있다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첫걸음을 내딛었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본 연구의 중요한 주제인 하자의 형태를 기술자입장에서의 하자가 아닌, 사용자 입장에서의 생활불편을 초래하는 빈발하자로 규정하였다. 시공기술자들의 시공관리 매뉴얼인 체크리스트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빈발하자를 미연에 경감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준공이 임박하였을 경우 수시체크가 가능한 하자관련 체크리스트를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빈발하는 하자의 주요공종은 지난 10여년간의 유사주제 문헌을 조사하여 가장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빈발 주요하자 4대 공종을 분석하였다. 4대 공종이란 “도배, 가구, 창호, 타일”를 말하며 각 공종의 세부적인 하자 항목을 연구하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창진을 중심으로 최근에 준공한 아파트단지 5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입주자 하자접수대장을 분석한 결과 세부적인 빈발하자 항목을 밝혀내었다. 과연 현재 통용되고 있는 많은 체크리스트들은 이러한 빈발하자에 대해 얼마만큼 대응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하자관련 항목에 대해 체크리스트는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크리스트는 시공관리의 축소판 개념으로써 “선행공종에 대한 확인, 자재의 검수, 샘플의 시공여부, 본공종의 시공, 하자관리” 라는 5가지 개념을 담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조사에서는 하자관련에 대해서 체크리스트가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크리스트의 구성요소 중에서 하자의 경감에 초점을 둔 주요4대 공종의 간이 체크리스트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는 하자의 항목과 발생장소를 연관지어 생각하며 중점적인 사항에 대한 점검을 유도하는 본 하자체크리스트를 통해 입주민들에게 생활의 불편함을 주는 하자가 덜 반복되고 경감되기를 바란다. Currently the type of the house in which we live is at large apartments or multiple houses which could be used for both people and business. From the prospective of defect, they could have similar defects because there are many people around them. So, even apartments or multiple houses which are constructed by different construction companies, the occupants complain of similar defects. We wonder if there is any method by which the defects could be dealt, the defect which leads to our discomforts. If any, which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is study started with these questions. In this study, the defect, which is the main subject for the study, was defined to the one which the occupants felt, not the specialists who attended the construction.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hecklist of defects which could be used when completion of a construction work is close, as well as could be used to decrease them at the steps before the completion. The frequent defects were classified into 4 work categori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most common defects which were found in the literature during last 10 years: papering, furnishings, window and doors, and tile. In order to the details of each category,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complaint lists of the occupants who lived in the 5 recently-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Masan-city, Changwon-city, and Jinhae-city ensued detailed frequent defects. Then, the analysis of the checklists which were usually used in the sites of apartment construction on their responds to the defects indicated that they did not sufficient room for defects. Generally speaking,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the checklists could ask following questions: the completion of previous work, the verification of materials, the completion of samples, the completion of main work, and the controls for defects. As shown abo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eficiencies in the checklists in regard to defec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checklist which has focus on the reduction of defect which consists of one of the component of the checklist, and which include four major works. This checklist could be used to check the items and places which are frequently pointed out by many people, and ease the discomforts of the occupants'.

      • 도시재생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박인철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Changwon City and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Changwon City a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rojects carried out so far, the status of projects by year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used to examine various documents, including book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academic paper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angwon. The research site was integrated Changwon City, and the project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as selected after Masan, Jinhae, and Changwon were integrated into one city.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was selec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mong the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angwon. In other word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urban regeneration initiative, urban vitality promotion project, vulnerable zone life improvement project,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griculture, food and fisheries project. Variou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onducted in Changwon were investigat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types of projects by government departments, the status of annual promotion by project, the statu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status of projects. Through these distinguished factors,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ctual status of projects implemented in Changwon-si and derive problems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Changwon-si. This study conducted Contents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business plan and business status cards established at 30 urban regeneration business districts in Changwon City for 10 year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conten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ministries is based on the projec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by ministries in the table presented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establishing seven comprehensive functional type classification frameworks. The entire project went through a coding process through a complete survey of detailed projects by fun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nderway in Changwon City with Excel. Through this process, detailed classification has been attempted by business content, region and nature of the business over the past 10 years. These data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VER.24) statistical package.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each project, the frequency of each project, the frequency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frequency of each year's project was conducted for each type of function. Through such analysis, the government intended to present trends and trends on the project details being pursued in 30 project promotion district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roject.

      • 주택 재건축 사업의 가격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원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정대욱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Even though the price for the apartment necessary for reconstruction should be reduced as its quality is deteriorated, the price, rather, is increased as the apartment become older, which might cause abnormal price formations or problems in the real estimate market. Based on this conception of problems, this study searched for a method for negative price formation in the real estate market by finding out the possibility for reconstru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s of the apartments and by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which have effect on the price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partments which were under reconstruction or had completed reconstruction within the complex of apartments and were located in Changwon-city were selected. Having focus on whether the reconstruction have effect on the price in the market, the price effect, the effect on the price at the each step of reconstruction. Also, a comparison was conducted between the apartments which were located in the area of residence and the ones which were located in the area of industry in terms of material, location, housing policy, and step of construction. While the factors which had effect on the change in price were found out in the terms of material, location, housing policy, and the step of construction mentioned above, they had limitations in content, space, and time: the content was the price of the apartments which were included any reconstruction plan; the space was the apartments necessary for reconstruction which were available for any comparative analysis and located in Changwon-city; and the time was between 1986 and 2006 because revision in 2007 made the judgement of the price impossible. With this framework in mind, I examined the trend of price in the reconstruction market and the factors which had effect on the price, and went through the definition of reconstruction business and its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ice and their problems, the procedures for reconstruction business. The apartments for the study were bansongjugong apartments which completed the reconstruction, myunggokjugong and gaeumjungjugong apartment which were under re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naedongjugong and wedongjongong apartments were included, which were under reconstruction and were in the area of industry. The analysis based on the four categories such as material, location, housing policy, and the step of construction showed how each category had effect on the change in price and how the change in price had effect on the decision of reconstr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apartments related to reconstruction, the complex of bansong apartments which completed reconstruction were influenced by price, and residence area had greater increase in price than industry area. In the category of material, there were changes in the size of the apartment from small to midium, so that ordinary people could feel pressure on their shoulders, on the other hand, the price of banson conplex of apartments drastically increased because of reconstruction. In the category of location, there were big difference between locations. there were greater change in price when the complex was located along the streets and had some harmony with nearby facilities than when it was located in the industry area. In the category of housing policy, the expectations of increase in the building-to-land ratio caused the change in price. The completion of bansongjugond apartments caused great increase in price even though the price did not greatly change in 2002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policy of housing stablization and in October 29th, 2003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general policy for real estimate. In the category of the step of reconstruction, as the reconstruction went on, the price increased. There were greater increase in price between recognition by association and business approval than security verification and recognition by association. As a whole, the reconstructed apartments in changwon-city were largely influenced in price by the bansongjugong apartments, and they are multip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not only real property policy housing policy but also location and the step on which the recognition for business was. 재건축 아파트는 사용기간이 오래되어 주거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파트 가격도 낮아져야 하나, 건축을 기대한 투기적 수요로 인해 아파트가 노후화 될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현상 등 비정상적인 부동산가격으로 인해 조세부담 및 부동산의 원활한 거래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재건축 가능성과 아파트 가격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재건축의 진행과정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원활한 부동산 가격의 형성과 부정적 파급효과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원 지역 내에서 재건축 아파트내의 완료 및 진행 중인 아파트를 선정하였으며, 초점을 재건축 아파트가 전체 아파트 시장에서 가격효과를 일으키는지의 여부와 가격효과의 정도, 재건축사업이 사업단계별로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재건축 아파트 중에서도 재건축이 완료된 반송주공아파트와 재건축이 진행 중인 아파트 중 주거지역에 입지한 아파트와 공업지역에 입지한 재건축 아파트의 물리적, 단지적, 주택 정책적, 사업단계별 로 비교 분석을 하여, 재건축 아파트들이 갖고 있는 가격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사업 시행에 이해를 돕고 계획 수립을 도모하고, 주택 정책 수립 및 반영에 대한 참고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범위로는 물리적 측면, 단지적 측면, 주택 정책적 측면, 사업단계별 측면으로 나누어서 가격변화의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고, 내용적 범위는 주택 재건축 사업의 주택가격의 변화요인에 한정하고, 공간적 범위에서는 재건축이 활성화 된 지역 중에 단계별 비교분석이 가능한 창원 재건축아파트로 한정하며, 시간적 범위로 2007년 부동산법이 개정되면서 주택가격의 판단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1986년부터 2006년으로 한정했다. 이러한 틀에 맞춰 재건축 현장의 가격동향을 조사하고, 단계별로 사례조사를 통해 가격 변동요인을 분석하고, 주택재건축 사업의 정의 및 변천과정과 , 가격현황 및 문제점, 주택 재건축사업의 절차, 형성요인 및 변화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4가지 측면을 선정하였다. 대상지를 선정함 있어, 앞서 전체의 아파트를 다루기에는 시점적인 차이가 있고, 사업단계 현재 재건축이 완료된 사례인 반송 주공 아파트와, 재건축 사업이 진행중인 사례중 주거지역인 명곡주공, 가음정주공 아파트를 선정하였고, 진행중인 사례중 공업 지역인 내동주공아파트와 외동 주공아파트를 선정해서 물리적, 단지적, 주택 정책적, 사업단계별 측면으로 비교분석을 해서 가격 변동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4가지 측면의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측면이 가격의 변화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재건축 여부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재건축 아파트 중에서도 재건축이 완료된 반송아파트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가격상승폭은 공업지역보다, 주거지역이 가격상승폭이 크며, 물리적인 측면에서는 재건축 건축 아파트의 평형별 특징으로 소형에서 중형으로 크게 계획됨으로 인해서 서민이 주거하기에 가격의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반송아파트의 재건축영향으로 인해 가격의 상승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단지적인 측면에서는 입지별로 영향이 크며, 도로망과 주변시설과의 조화로운 위치에 있을 때 가격변화요인이 크며, 주위에 시설이 공업지대일수록 가격의 변화요인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주택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재건축사업이 진행되면서 용적률 상승에 의한 기대심리로 인해서 가격의 상승폭이 변동이 있었고, 2002년 주택안정화 정책으로 완만한 가격 폭이 있었고, 2003년 10월 29일 부동산 종합대책으로 인한 가격의 하락폭이 소폭 있었으나, 반송주공아파트의 완공이후에 가격기대심리에 의한 가격상승폭이 큼을 알수 있다. 사업단계별적인 측면에서는 재건축 추진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을 하고, 각 단계별로 사업이 상승할수록 가격의 상승효과를 보였고, 재건축 사업이 안전진단에서 조합인가의 단계로 상승할 때보다 조합인가에서 사업승인의 단계로 상승할 때의 가격변화요인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창원시 재건축아파트들은 일반 분양이 된 반송주공아파트의 매매가격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부동산 정책이나 주택적인 정책과 더불어서 입지조건 그리고 사업승인단계 등 서로 복합되어 한가지의 변화요인만이 아닌 물리적인 측면과 단지적 측면, 주택정책적인 측면 사업단계별 측면 이 모든 측면들이 서로가 고려되어 조화 될 때 가격변화요인이 있음을 도출해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재건축아파트만 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비재건축아파트, 나아가 전국적인 아파트의 비교분석 등 실증분석이 부족하고, 자료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한 각 측면별로 각단계의 세분화를 통한 가격상승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과, 시점으로 2006년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현재 와의 시점적인 오차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2007년의 부동산법의 시행에 의해서 재건축 사업단지가 적고 사업진행이 거의 되어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분석 이였지만 재건축 분쟁을 완화하고 가격상승을 억제하며 조합원들의 권익을 더욱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법률이니 만큼 재건축 아파트 가격에 어떠한 방법으로든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된다.

      • 공동주택 하자방지를 위한 단위세대 설계개선 기법에 관한 연구

        배정민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공동주택 하자방지를 위한 단위세대 설계개선 기법에 관한 연구 현재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하자의 98% 이상이 시공관련 하자이며, 국토부 하자판정기준 해설서 기준으로도 시공하자. 미 시공하자, 변경시공하자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전체 하자가 시공하자라고 볼 수 있다. 하자발생의 대다수가 시공관련 하자인 사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첫째로 대표적인 사유로 국내숙련공의 노령화에 의한 이탈 및 젊은 세대들의 건설시공(기능공)관련 직업 기피현상때문에 대부분이 외국인 근로자들로 대체되어 시공품질수준이 예전보다 하향되고 있는 실정이고, 둘째로 입주민들의 공동주택의 품질요구수준이 높아져서 하자발생의 범위가 예전보다 계속 확대되고 있고 각종 민원이나 클레임발생이 높아지고 있는 사유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또 다른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공관련 하자연구보다 아직까지 연구가 활발하지 않으며, 또한 하자가 발생되면 범위가 집단적이며(입주단지전체 해당) 하자처리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설계단계에서 야기된 시공성 결여 및 설계오류·설계누락 등과 연관된 하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설계단계에서 하자를 예방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연구하고 설계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동주택의 하자발생 방지대책은 부분적인(시공, 설계, 유지관리 단계) 연구 활동에 의한 개선안으로 해결되기는 불가능하고 국내 건설업과 설계업의 전반적인 제도개혁이나 환경개선을 통한 질적 수준향상이 도모 되어져야지만 가능하리라 판단되며, 적정한 공사기간, 공사비책정, 또 이에 걸 맞는 설계기간, 설계비 책정 등 이 뒤따라야 국내 공동주택 하자발생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리라 본 연구자는 연구를 지속하면서 느낀 현실이다. 선행연구의 예비적 고찰을 통한 다소 주관적이지만 나름의 설계관련성 하자를 분류하고 항목을 선정하여 연구를 하였고 설계단계에서 조금이나마 하자발생을 방지 할 수 있는 연구가 되고자 노력했지만, 단위세대에 국한해서 사례조사를 하고 하자유형 분석을 통해 설계관련성을 입증하여 하자방지 설계개선방안 연구하는 것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방향은 그 범위를 확대해 공동주택 전체(단위세대, 공용부, 주차장, 주민공동시설 등)에 대한 근본적인 설계관련 하자방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