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MMI와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의 적합성 비교를 통한 프로세스 개선 : CMMI의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와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 중심으로

        장미란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매김 된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가 국내에 도입 된지도 9년이 지났다.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을 목표(Goal)로 하는 CMMI는 수많은 프랙티스(Practices)를 제공하여 목표(Goal)를 달성토록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 업무수행능력, 품질, 납기 등 고객과 이해관계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제고 한다. 본 논문은 CMMI의 강점(Strength)을 정보시스템 감리에 적용시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비교 대상 모델로 CMMI의 연속적 표현(Continuous representation) 모델을 선택 하였으며, 프로세스들 중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Process의 프로젝트 계획(Project Planning), 프로젝트 감시 및 통제(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범위에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한 후 이를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 Process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발 생산성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공인되고 있는 CMMI 모델을 현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성숙된 프로세스가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CMMI의 상대적 강점으로 식별된 정량적, 통계적 관리 및 품질 역량 강화 관점의 프로세스 및 점검항목을 레벨별로 분류하였으며, 현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에 개선된 프로세스 및 검토 항목으로 제시함으로써 감리원들에게 다양한 프랙티스(세부 검토항목)를 통해 주관적인 판단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감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는 정보시스템 감리 사업관리 프로세스에 정량적, 통계적 관리의 기준을 제시하여 글로벌 표준 모델인 CMMI의 강점을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에 적용한 사례로 향후 경쟁력 있는 국제 표준 모델들과의 비교 연구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Nin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positioned as the global standard was introduced at home. CMMI having the goal of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 enables the goal to be achieved by providing numerous practices, which raises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and stakeholders in terms of productivity, job-performing ability, quality, period of delivery and the like.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process by applying the strengths of CMMI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inuous representation model of CMMI was selected as the comparison model. This study confined its scope to the project planning,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risk management, 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process, and attempted to apply them to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relatively matured process could be elicited in which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MMI model in terms of software process development productivity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process. An attempt was made to classify the process and inspection items of the perspective of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management and capability reinforcement identified as the relative strengths of CMMI by level and present them as the item process and inspection items improved in the current project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And the auditors could be allowed to carry out the effective audit by minimizing the subjective judgement through diverse practics(detailed inspection items). This study presented the standard for quantitative, statistical management in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and applied the strength of CMMI, the global standard model,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process. It will become a starting point of study to compare with the competitiv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s in the future.

      • 한국 도깨비 동화의 형성과 변형 양상 연구

        정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aptation of Doggaebi tales into fairy tales in an attempt to grasp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fairy tales and determine the identity of fairy tales as a genre. In the history of Korean fairy tales, only beautiful and fantastic stories were typically viewed as good fairy tales on the ground that children were innocent angels(Dongsimjui:童心主義). That resulted in narrowing the sphere of fairy tales by deterring different sorts of fairy tales from being regarded as fairy tales, and nursery tales were eventually considered less valuable, being looked upon as merely stereotyped and uninteresting. In modern times, however, some argued that the identity of fairy tales be rooted in narratives, and there are new movements to study narratives to compose fairy tales. Their efforts have produced a series of good results, and a lot of works that are diverse in content and form have been created. Now it's time to evaluate those fairy tales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So it's meant in this study to describe the adaptation process of tales into fairy tales in a bid to find out a change of child view in different ages and differences in literary visualization, to raise awareness of the narrow perspective of existing literature, and finally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iry tales and their identity as one of genres. There were initial statements about Doggaebi in and after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In that age, Doggaebi was viewed as the object of faith, and that was recognized as the spirit of natur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n and after the 17th century, that was regarded as what was semi-god, lustful and stupid and as what was similar to man. The new perception of Doggaebi was combined with the existing ways of looking at it, and its nature cannot simply be explained since it was considered to have the complex attributes of god, ghost and even man. And then a variety of stories have been created in conjunction with Doggaebi. Out of different stories created during Japanese occupation, just two stories were widely known, which were respectively titled 'A Doggaebi Stick' and 'An Elderly Man with a Wen.' Doggaebi stories, especially the latter, were similar in large part to ancient Japanese tales, and the fact lent credibility to Naeseonilcheron argued by Japan. That was why this story was included three times in readers of the Joseon language published in that period. In that period, Doggaebi tales were adapted into didactic fairy tales. In the Collection of Joseon Fairy Tales, 'An Elderly Man with a Wen' was also adapted into a morality fairy tale, which classified the characters into 'good people' and 'bad people' and described the fact that the good would be rewarded and the evil would be punished. The reason was that the authors of the Collection of Joseon Fairy Tales viewed fairy tales as didactic stories. 'An Elderly Man with a Wen' was adapted once again in the reader of the Joseon language revised in 1993. This story was modified into a story of a good man by omitting the latter part about the addition of another wen and by portraying the good character as one who got rid of the wen and gathered wealth. Contemporary fairy tales collected and adapted by Korean writers we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A fairy tale titled 'A Hok Dden Story' and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published by Park Young-man in 1940 was identical to the same-titled story included in the revised 1933 textbook, and that was exactly the same as the adapted story included in the reader of the Joseon Language, because the story depicted only the character who got rid of his wen without mentioning the latter part about the addiction of another wen. There were another Doggaebi story in the textbook, which was titled 'A Gold Stick and a Silver Stick.' Those stories were gathered and adapted by Korean writers, but the stories changed a lot instead of being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due to the impact of Japan. And the story titled 'An Elderly Man with a Wen' have just been regarded as a didactic traditional fairy tale. Since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it was not until the 1970s when the contemporary government tried to advocate tradition to protect its power that full-scale Doggaebi stories appeared. In the sector of children's literature, traditional subject matters were selected in composing fairy tales in line with the national movement for the advocacy of tradition, and Doggaebi drew attention as one of traditional subject matters. So a lot of fairy tales adopted Doggaebi as the main character. Doggaebi- related fairy tales had a tendency to stir up nostalgia for old things, to criticize against Western civiliz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point out problems with the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Those kinds of works were created in reaction against the new Western civilization introduced since the Korean War, and they lagged behind in terms of reality because of their ill-grounded defiance against new things. In the 1970s, new authors including Lee Oh-deok argued that the concept of 'ordinariness' should be introduced in oral literature, and that inheritance of tales be required to build the identity of fairy tales. Ordinariness referred to all the shades of emotion that had been represented by Korean literature, and traditionality was defined as a manifestation of all the past and present ordinariness. The authors insisted that the ordinary sentiment, humor, criticism and satire of oral literature be evolved into new things in consideration of modern people's ideas and ethics. Ordinary people referred here to those who labored, and the ordinariness of children's literature denoted a visualization of stories about worki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In the past, children had been regarded as innocent angels, and fantastic fairy tales had been created as a consequence. But the new writers looked at children as they were, and they turned stories about poor and working children into literary works. The emphasis of 'ordinariness' served to change the concept of 'children,' and fairy tales got to describe children's lives from various angles. Kweon Jeong-sang's works created in the 1970s were typical works that represented ordinariness. His works portrayed the lives of poor children in a plain and candid manner, and the superb reality of the works contributed to elevating the worth of creative fairy tales. In the 1980s, ordinariness was replaced with another term 'popularity' due to the influence of labor movement. Seo Jeong-oh argued that popularity should be guaranteed in the course of adapting narratives. He looked at popularity from five different perspectives: advocating the disadvantaged, casting away the bondage of convention and morality, shedding light on and overturning reality, satire on power and authority, and unrestricted humor. His argument was embodied in his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titled 'Miraculous Doggaebi.' He enlarged the sphere of didactic Doggaebi fairy tales by reflecting the diverse looks of life and including lots of instructive stories, and he thereby was successful in extending the realm of traditional fairy tales. Thus, the movement to pass narratives onto the next generations was marked by the inheritance of popularity, which was one of the primary features of narratives.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were handed down to fairy tales meant that all the content and nature of narratives were inherited. And it denoted that even stories that were ruled out as adult stories could be adopted as subject matters of fairy tales. In the past, children had to look at and listen to what's good only on the ground that they were innocent, but now the various aspects of life, such as the lives of the poor and laborers to which they couldn't be exposed before, might be selected as subject matters of fairy tales, and the sphere of fairy tales was eventually enlarged.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fairy tales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a genre to depict the looks of diverse lives to explore the authenticity of life. 이 연구는 설화의 동화화 과정을 기술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아동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학적 형상화의 차이를 드러내어 기존 문학사의 편협성을 일깨우며 동화의 특성을 드러내어 동화의 장르적 정체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설화의 변천과정, 그 중에서도 ‘도깨비 이야기’의 변천과정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도깨비는 우리 전통의 요괴(妖怪)로, 전통적인 이야기 계승을 논할 때마다 그것에 적합한 대표적인 캐릭터로 주목받아왔다. 도깨비에 대한 인식은 삼국시대부터 드러나는데, 삼국시대에는 ‘신앙의 대상’으로, 15세기 이후 자연의 정령으로, 17세기 이후에는 부신적 속성, 아둔한 속성을 띠는 인간과 유사한 존재로 인식된다. 시대가 지나면서 기존의 인식 위에 새로운 인식이 부가되므로, 도깨비는 신(神)적 속성과 요괴(妖怪)적 속성, 인간적인 면모까지 가미된 다양한 인식소로 구성되어 그 실체를 단순하게 설명할 수 없는 존재로 형성된다. 일제 강점기에는 도깨비 이야기가 전래동화로 개작되면서 권선징악(勸善懲惡)적 형태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동심주의’ 아동관과 일제의 통치 정책인 ‘일제의 통치에 순응하는 식민지 국민을 양성하는 근대적 국민국가의 국민 양성’ 기획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 시기 교과서에는 「혹부리 영감님」이야기가 세 번이나 수록된다. 특히 1933년 개정판 교과서에는 「혹부리 영감님」이야기를 개작하여 ‘착한 사람의 이야기’로만 나타나는데, ‘거짓말을 하지 않는 정직하고 착한 사람’의 모습을 구현하는 「혹부리 영감님」이야기는 그들이 주장하는 ‘착한 조선인’상(像)인 정직하고 순종적인 국민의 모습에 부합하는 것이 된다. 일제 통치 정책의 영향은 조선인이 저술한 전래동화집인 박영반의 󰡔조선전래동화집󰡕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이 책에는 1933년 교과서의 「혹뗀 이야기」에 나타나는 개작된 이야기의 형태가 그대로 수록된다. 이러한 양상은 해방 이후에도 개선되지 않아 개작된 상태로 이야기가 널리 알려지게 되어 「혹부리 영감님」이야기가 본래 권선징악(勸善懲惡)적 전래동화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도깨비 이야기는 해방 이후 1970년대에 이르러 ‘전통 계승’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도깨비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도깨비와 인간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작품 전반적으로 애상적인 정서를 드러내는 작품들이 많이 창작된다. 또한 도깨비가 지닌 폭력적, 요괴적 속성을 변형시켜 도깨비의 모습을 순진하고 신비하게 묘사하는 작품들이 나타나 다양한 양상의 전통적인 도깨비의 모습을 획일적으로 변형시키며, 도깨비 이야기 역시 획일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들은 모두 동심주의 아동관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로, 어린이에게 아름다운 것만을 보게 해야 한다는 의도가 오히려 이야기의 전통성을 훼손하여 이야기의 미적 가치를 떨어뜨리게 한다. 설화의 민중성을 계승하자는 움직임은 이러한 양상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형성된다. 이들은 기존의 동화가 아름답고 몽환적이며 획일적인 형태로만 나타나는 이유로 동화가 가난한 어린이의 삶을 외면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들은 어린이의 현실적, 사실적인 모습을 직시해야 하며 그들의 삶을 문학으로 다뤄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그들은 설화에서 찾을 수 있는 서민적 정한, 해학, 고발, 풍자 등을 ‘민중성’, ‘서민성’이라 일컬으며 이것들을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70년대에 발표된 권정생의 창작동화와 1990년대에 발표된 서정오의 전래동화는 모두 이러한 문학관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다. 특히 서정오는 전래동화 재화를 전문적으로 하며 설화를 재화할 때 반드시 계승해야 할 것을 ‘민중성’이라 언급한다. 그의 도깨비 전래동화에서 찾을 수 있는 특성으로 ‘도덕적인 부의 창출과 인간의 지혜’, ‘다양화된 권선징악적 전래동화’, ‘요괴적 속성의 약화와 신적 속성의 강화’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양상으로 설화를 계승하는 전래동화들이 다양한 삶의 모습을 드러내며 동심주의에 의해 한정되었던 이야기의 소재가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설화와 다르게 인간의 노력, 인간의 변화 의지와 희망을 제시하는데, 이런 점들이 곧 동화의 특성이 된다. 그리하여 ‘당연하고 획일적인 지루한 이야기’라는 인식을 주는 동화가 다양한 인간의 삶을 보여주며 전망을 제시하는 문학으로 거듭나 동화의 문학적 가치가 높아졌음이 이 연구를 통하여 규명되었다.

      • 채만식의『탁류』연구

        박다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채만식은 『탁류』가 통속소설이라는 견해에 반박하며, 자신은 ‘문학이 적으나마 인류 역사를 밀고 나가는 한개의 힘’이라고 주장하는 자임을 밝힌 바 있다. 이 논문은 채만식이 『탁류』에 감춰둔 ‘인류 역사를 밀고 나가는 한개의 힘’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계봉과 남승재는 그간의 선행 연구들이 『탁류』의 긍정적 가치를 찾아낸 근원이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정초봉의 ‘행위(act)’에서 탁류(濁流)를 내파하고 나아가는 ‘청류(淸流)의 윤리’를 발견하려 한다. 이를 위해 소설 속 주인공들의 행동을 기반으로 하여 그들의 윤리성을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탁류』의 배경이 되는 근대의 윤리적 상황에 대해 다루고, 그 안에서 나타나는 윤리의 양상들을 살펴본다. 근대의 도래는 확고했던 전통적 권위를 와해시켰다. 윤리적 기준점을 상실한 근대 주체들은 각자의 독립적 가치기준을 갖는 대신, 오히려 더 타자에게 의존하는 성향을 보인다. 정주사의 윤리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를 확인한다. 또한, 이와 같은 윤리적 배경 속에서 정계봉과 남승재가 표상하는 긍정적 가치가 외설적 이면을 은폐하고 있음을 밝힌다. Ⅲ장에서는 정초봉의 윤리적 변모양상을 검토한다. 소설 앞부분의 정초봉은 부모의 명령에 복종하고 현실의 질서에 순응하는 평범한 ‘이데올로기 속의 주체’이다. 그러나 자신을 겁탈했던 장형보와 함께 살기로 선택하는 순간, 그녀는 새로운 주체적 국면으로 접어든다. 정초봉의 이 선택이 정신분석적 의미에서의 윤리적 선택, 즉 ‘행위’가 일어나는 순간임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소설의 뒷부분에서 정초봉이 윤리적 평정을 잃는 모습을 다루고, 이에 영향을 미친 ‘행위 이후의 삶’에 대한 작가의 두려움을 분석한다. 이 연구를 통해 『탁류』가 일종의 ‘윤리적 극장’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채만식의 윤리적 실험이 상연되는 『탁류』극장에서, 정초봉이 보여주는 ‘행위’야말로 작가가 주장하는 ‘인류 역사를 밀고 나가는 한개의 힘’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1930년대 후반, 암담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던 채만식의 ‘근대적 윤리 탐구’는 『탁류』라는 핍진한 윤리적 극장에서, 정초봉이라는 ‘행위’의 주체로 형상화되었던 것이다. 핵심어: 행위, 행동, 근대적 윤리, 타자 의존적 윤리, 패러다임의 전환.

      • 이상 소설의 ‘희극성’ 연구

        허진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analyze Yi Sang’s novels focusing on the ‘Comicality’. Yi Sang and his literature are given tragic sublime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biographical elements. However, the structure of failure of tragic failure in his novels becomes clearer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comicality. Generally, the comicality occurs from contrast and discrepancy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the sublime object into banal object. However, in a strict sense, the comicality shifts the difference between two objects placed on different layers to the inherent difference of the same object itself. This conversion indicates the fact that the sublime object does not exist beyond the reality, but it is only assumed by the limited reality. Tragedy acquires sublime immortality through a suicidal gesture in which an attempt to reach an elevated objects fails. On the other hand, comedy deals with the ridiculous immortality of life itself, which persists through failure of tragic failure. The comic structure in Yi Sang’s novels works through the logic of satisfaction of repeated failure itself, not through the failure to an inaccessible object. Chapter Ⅱ examines the comic conversion of tragic reality. In Yi Sang’s novels, the desire for death is revealed, not the fear of death. The fundamental fantasy which can activates the desire of death to escape from confronted reality is maintained by the intervention of reality. Thus, it would be said that the object of fear is not death but an immortal cycle of life such as the ‘death drive’. The immortality of the frightening life could be considered as the same level as the immortality in the comedy, and this immortality lasts in the form of ‘life-less’.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aspire to reach the ideal life and perceive the daily life of reality as a ‘life-like’. The characters who failed to enter the symbolic order pretend to be ‘life as a pose', which paradoxically reveals the perception that external reality is constituted fictionally. Chapter Ⅲ approaches the comic structure which consists of designed life based on the concepts of ‘double’ and ‘neighbor’. The double in the novels is presented as an obstacle that appears in the moment of acquiring the true Self or Life. The double is not divided aspects of a single self, but an uncanny object that embodies the fundamental lack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e ‘life-like’ of others threatens one’s designed life with the ‘excess of inhuman neighbor’. The excess of neighbor is the excess of ‘life-less’ that remains in oneself. One’s life and the external life of others do not have a substantive difference due to different attributes, but reveal the comicality as a ‘minimal difference’ which means the inherent inconsistency in the same object of absent Life. Chapter Ⅳ analyzed the comicality of dislocated love. While, the desire for love sublimated into a sublime object is located in an inaccessible area, love as a desublimation revealed through the comic effect is placed in the repeated failure of the absent object. In the novels, the sublime love represented by ‘chastity’ is not a substantive thing, but another appearance abstracted from the appearance of reality, ‘prostitution’ as a banal object. In other words, the love to be in an inaccessible area is dislocated and played in an accessible way through the comical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earances redoubled on the object itself. The characters are not in the tragic failure toward abstract and universal object, but they concretize the fundamental impossibility of the object as a lack itself and visualize it in a negative way. The analysis of the comicality of Yi Sang’s novels enables a new reading of his 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his works are not only recognizing the tragic reality but also staging the fundamental impossibility and lack of modern society through a comic structure. 본 논문은 이상의 소설에 나타난 ‘희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작가 이상과 그의 문학은 시대적 배경과 전기적 요소로 인해 비극적 숭고함이 부여된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그의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실패조차 실패하는 구조는 희극성을 통해 접근할 때 그 의미가 보다 분명해진다. 일반적으로 희극성은 숭고한 대상이 속된 대상으로 격하되어 발생하는 대조와 불일치를 통해 비롯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희극성은 서로 다른 층위에 놓여 있는 두 대상 사이의 차이를 동일한 대상 그 자체의 내재적 차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숭고한 대상이란 저 너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한계지어진 현실에 의해 상정된 것일 뿐이며 결여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지시한다. 따라서 비극은 저 너머의 영역으로 격상된 대상을 향해 나아가려는 시도가 실패하는 자살적 제스처를 통해 숭고한 불멸성을 획득하는 것에 반해, 희극은 비극적 실패조차 실패하며 지속되는 삶 자체의 우스꽝스러운 불멸성을 다룬다. 이상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희극적 구조는 접근 불가능한 대상에 대한 실패가 아닌, 반복된 실패 자체의 만족이라는 논리를 통해 작동한다. Ⅱ장에서는 비극적 현실의 희극적 전환을 살펴본다. 이상의 소설에서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아닌 죽음을 향한 열망이 드러난다. 지금 여기의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죽음의 욕망을 작동시키는 근본적 환상은 현실의 침입으로 인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공포의 대상은 죽음이라기보다는 ‘죽음 충동’과도 같은 불멸하는 삶의 순환이다. 공포스러운 삶의 불멸성은 곧 희극에서의 불멸성과 같은 층위에 놓여 있으며, ‘생활 없음’이라는 형태로 지속된다. 소설 속 인물들은 도달하고자 하는 이상적 생활을 열망하면서, 현실의 일상적 생활을 ‘생활 비슷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한다. 상징적 질서에 진입하지 못한 인물들은 ‘포즈로서의 생활’을 가장한다. 이는 외부적 현실이 허구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대한 인식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Ⅲ장에서는 설계된 생활로 구성되는 희극적 구조를 ‘분신’과 ‘이웃’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한다. 이상의 소설에 등장하는 분신은 온전한 자신이나 진정한 생활을 획득하려는 순간에 등장해 이를 방해하는 존재로 제시된다. 이때의 분신은 단일한 자아의 분열된 양상이 아니라, 주체 자체의 근본적 결여를 체현하는 섬뜩한 대상이다. 또한 타인의 ‘생활 비슷한 것’은 ‘비인간적인 이웃의 과도함’으로 나의 설계된 생활을 위협한다. 이웃의 과도함은 곧 나 자신에게 잔존하는 ‘생활 없음’이라는 과잉이다. 나의 생활과 타인의 외부적 생활은 상이한 속성들로 인해 실체적인 차이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부재하는 생활이라는 동일한 대상 안에 내재하는 불일치, 즉 ‘최소 차이’로서의 희극성을 드러낸다. Ⅳ장에서는 탈구된 사랑의 희극성을 분석한다. 숭고한 대상으로 승화된 사랑에 대한 욕망은 접근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반면, 희극적 효과를 통해 드러나는 탈승화로서의 사랑은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반복된 실패 자체에 놓여 있다. 이상의 소설에서 ‘정조’로 표상되는 숭고한 사랑은 실체적인 것이 아니라, 속된 대상으로서의 ‘매춘’이라는 현실의 외관으로부터 추상된 또 다른 외관이다. 다시 말해서, 대상 그 자체에 겹쳐진 두 외관 사이의 차이라는 희극성을 통해 도달 불가능한 영역에 놓여 있어야 할 사랑이 탈구되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연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소설 속 인물들은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대상을 향한 비극적 실패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결여 그 자체로서의 대상이 지닌 근본적 불가능성을 구체화하며 부정적인 방식으로 가시화한다. 이상 소설의 희극성에 대한 분석은 그의 작품들이 비극적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나아가, 근대적 사회의 근본적 불가능성과 결여의 층위에 대해서 희극적 구조를 통해 문학적으로 연출해내고 있다는 새로운 독해를 가능하게 한다.

      • 실시간 기업 환경 구현을 위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프로세스 정립에 대한 연구

        강병국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2005, starting with the pilot project for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companies organized the RFID implementation task force to adopt RFID. RFID technology has emerged as a major initiative especially 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and is widely used for production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positioning system, asset management, and warehouse management in other industries as well.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where the RFID industry shows an annual growth rate of 20~30%, the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RFID in Korea are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RFID information and education offered to RFID technology providers are insufficient. The RFID system implementation is a significant project that entails a large investment and requires changes to existing processes. Furthermore, the implementation of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has characteristics quite unlike other information systems. Therefore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business processes is vital prior to implementation of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And this thesis aims to resolve issues to be concerned with an RFID implementation. There were many RFID pilot projects but their reports have not provided systematic guidelines for RFID implementation. Because these projects were strategically carried out just to explore RFID technologies in limited conditions without a roadmap to and a framework for RFID deployment. Despite of the strong functionality of RFID and its development trends, domestic RFID market is not yet mature. A major restraining factor to the uptake of this technology is a lack of a methodical procedure and an audit proces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RFID, as well as the lack of technical and industry standard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a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audit process applicable in various industrial areas to enhance audit quality. For this purpose, I researched RFID implementation systems and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audit processe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y. In this thesis, firstly, I compare and analyze current RFID system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evolve a four-stage RFID implementation model and particular tasks of each stage. Secondly, I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RFID implementation process derived from this and the investigations into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uditing cases. As a result, a checklist with 17 audit items and 72 technical details have been drawn. To build a reliability of the efficiency,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udit processes developed here were verified three times by the internal quality specialists, the chief internal auditor and finally from the quotes and commentary gathered during the interviews of 63 auditors including the chief auditor. Through such verifications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udit processes presented in this thes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udit. The audit processes established here provide an excellent starting point from which government agencies and the industry can begin to increase the reliance on the implementation of RFID system and construct a structured foundation to adopt RFID. While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wards the RFID-based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audit, further studies on the auditing of the projects to deploy emerging fusion technology, culture technology and Ubiquitous services, and researches on the methodologies of systematic introduction of RFID technology are required. 2005년을 기준으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시범 사업을 시작하여 공공기관, 민간 분야에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은 일반 정보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RFID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초기 준비단계에서부터 적용산업 분야의 환경적인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을 진행하면서 발견되어온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정성태,2005) 기존에 많은 시범 사업이 수행되었지만 이러한 사업 결과보고서들은 실제 RFID 도입을 위한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으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RFID 도입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도입절차를 밟은 것이 아니라 정책에 의해 제한된 환경에서 기술 탐색을 위한 전략적 프로젝트로 수행되었기 때문이다(한국유통물류진흥원,2005). RFID의 기능적인 장점과 시장 확대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배경에는 RFID 본격 도입의 바탕이 되는 제반 표준 및 기반기술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아직 형성 되지 못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RFID 도입을 위하여 체계적 도입 절차 및 감리 프로세스 등이 확립 되지 못한 점도 한 몫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하고자 하는 산업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감리 품질을 향상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준용되는 RFID 시스템 도입 프로세스와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RFID 기반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현재 산업 현장에서 준용되는 RFID 도입 프로세스 비교 분석이 이루어졌고,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단계별 RFID 도입 프로세스 도출을 진행하였다. RFID 도입 프로세스는 4단계의 활동과 각 활동별 상세 Task 및 주요 산출물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한 RFID 도입 프로세스와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사례를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개의 감리점검항목 그리고 76개의 세부검토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프로세스들에 대하여 첫째, 논문에서 제안한 감리 프로세스와 기존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결과에 대하여 내부 품질 전문가 그룹이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실효성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둘째, 수석 감리원을 포함한 현직 감리인 63명 인터뷰를 통하여 실효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효성 검증을 통해 논문에서 제시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프로세스들은 공공기관 및 산업현장에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 품질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정립한 감리 프로세스들은 공공기관 및 산업현장에서 RFID 기반 시스템 도입을 위한 신뢰성 향상과 RFID 도입을 위하여 체계적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논문이 공공기관 및 산업현장에서 RFID 기반 정보시스템 도입 감리에 대한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면, 향후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융․복합, 유비쿼터스 등의 기술이 적용 사업 감리에 대한 연구와 더 나아가 RFID 기술의 체계적인 도입을 위한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윤대녕 1990년대 장편소설 연구

        이지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1990년대에 발간된 윤대녕의 장편소설을 검토한다. 그로부터 본고는 윤대녕의 소설을 분석함의 핵심어인 ‘시원(始原)’의 성격을 재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대녕의 소설은 주로 시적인 서사를 통해 ‘시원으로의 회귀’를 이룩하는 서사를 취한다고 분석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논의는 범위가 단편소설에만 국한되어 있다. 본고는 ‘시원’과 ‘회귀’를 라캉 정신분석학의 개념인 ‘환상’과 ‘소급성’을 통해 재조명을 시도한다. 이로부터 윤대녕의 장편소설이 ‘시원’과 연관되는 특질이 확인될 수 있다. 소급적으로 ‘시원’이 구성되며 소설 속 인물은 현실적인 궁지에 대응한다. 즉, 윤대녕의 장편소설에서 드러나는 ‘시원으로의 회귀’의 구조는 주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체적 시도와 연관된 행동이다. ‘시원’은 인물이 추구하는 존재론적 토대이자 근원의 지점이며, ‘회귀’는 자신의 근원을 모색해 제자리를 찾는 ‘복귀의 서사’를 의미한다. 라캉의 ‘환상’은 주체가 세계를 받아들일 만한 것으로 삼는 과정에서 출현한다. 주체는 ‘환상’을 통해 이지러진 삶을 봉합하고 받아들일 만한 원인을 탐색한다. 그러나 이 원인은 결과에 해당하는 현재의 삶으로부터 소급적으로 규정된다. 즉, 이 소급적 규정은 주체가 자신의 존재성을 획득하는 방편으로 볼 수 있다. ‘시원’의 성격은 이를 통해 보충된다. ‘시원’은 받아들일 수 없는 현재에서 인물이 자신의 존재성을 붙잡는 시도로 해석되어야 한다. 윤대녕의 장편소설은 위기로부터 발버둥 치는 인물을 그리며 ‘시원’의 기능을 새롭게 조망할 지평을 연다. Ⅱ장은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와 『추억의 아주 먼 곳』을 분석하여 ‘시원’의 소급적 성격을 규명한다. 1절에서는 윤대녕의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에 나타난 인물의 행동을 분석한다. 소설에는 사태를 자신의 언어로 번역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 인물이 제시된다. 그리고 이 상황의 극복은 재소환된 과거의 인물과의 단절이라는 양상으로 그려진다. 과거는 현재 인물이 처한 상황적 요소로부터 구성된다. 본 절은 이 같은 분석을 통해 현재 상태로부터 과거 기억이 재소환되고 물질화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2절은 『추억의 아주 먼 곳』을 경유하여 ‘시원’의 소급성을 규명한다. 인물은 이해 불가능한 세계에 대해, 자신의 과거 기억을 준거로 이를 구조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인물의 기억은 파편화되어 있으며, 과거는 현재를 준거로 의미가 지어진다. 작중 등장하는 ‘어란리’는 현재 인물에게 ‘섬뜩함’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에 의해 ‘추억의 아주 먼 곳’의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원’적인 기억이 인물에 의해 편집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며 ‘시원’이 지닌 소급성이 드러난다. Ⅲ장에서는 『달의 지평선』과 『코카콜라 애인』을 분석하여 주체가 자신을 지탱하기 위해서 ‘시원’을 추구하는 양상을 다룬다. 1절은 『달의 지평선』을 주요 텍스트로 하여, ‘시원으로의 회귀’가 인물의 환상적 시도라는 점을 논의한다. 소설에서 인물은 자신의 존재성이 충만했다고 여겨진 시절로의 ‘회귀’를 꿈꾼다. 이별한 애인, 아내와의 재회를 갈구하는 것이 대표적인데, 실상 이는 인물의 탈구된 현재로부터 기인한다. 여자 찾기 서사는 현재의 궁지를 과거의 재정립을 통해 돌파하려는 인물의 시도이다. 2절에서는 윤대녕의 마지막 90년대 장편소설인 『코카콜라 애인』을 분석하여 환상적 ‘시원’이 인물의 궁극적인 ‘적대’를 숨기고 있음을 밝힌다. 그 ‘적대’란 자신의 ‘불가능한 관계’이다. 시간적 연속성을 잃어버린 인물은 탈구된 위치에서도 ‘기억 찾기’ 과정을 통해 ‘시원’적인 자신을 회복하려고 한다. 인물은 감춰진 ‘진실’이 드러나는 구조를 통해 점근(漸近)해 나아간다. 그러나 정상적인 상태를 향해 도약을 시도할수록 끔찍한 심연으로 빠지며 ‘환상’이 가리고 있는 ‘관계의 불가능성’이 드러난다. 1990년대의 시대성을 관통하는 4편의 장편소설을 통해, 윤대녕은 ‘시원’을 향한 ‘회귀’의 열정을 그린다. 이는 주체적 궁핍을 극복하려는 주체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즉, 윤대녕의 장편소설은 불가해한 타자 앞에서 ‘공동(空洞)’ 상태에 대응하는 주체의 모습을 그린 ‘인간소설’로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Yoon Dae-nyeong’s long novels published in the 1990s. Through it,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nature of the ‘origin’, a keyword in analyzing Yoon Dae-nyeong’s novels. It has been mainly analyzed that Yoon Dae-nyeong’s novels take a narrative that achieves ‘the return to the origin’ through poetic narratives. However, such discussions are limited to short stories. This paper attempts to re-examine the ‘origin’ and the ‘return’ through the ‘fantasy’ and the ‘retrospectiveness’, the concepts of Lacanian psychoanalysis. From this, the characteristics of Yoon Dae-nyeong’s long novels related to the ‘origin’ can be confirmed. Retrospectively, the ‘origin’ is formed, and the character in the novel responds to a predicament of reality.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return to the origin’ revealed in Yoon Dae-nyeong’s long novels is an action related to the subjective attempt to overcome the predicament of the subject. The ‘origin’ is an ontological foundation and a point of the root that the character pursues, and the ‘return’ means the ‘epic of comeback’ that seeks own source and finds its place. Lacan’s ‘fantasy’ emerge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ld acceptable to the subject. Through the ‘fantasy’, the subject sews up a broken life and searches for acceptable causes. However, this cause is defined retrospectively from the present life, which corresponds to the outcome. In other words, this retrospective regulation can be seen as a way for the subject to acquire its existence. The nature of the ‘origin’ is supplemented through this. The ‘origin’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by a character to hold onto his existence in an unacceptable present. Yoon Dae-nyeong’s long novels open the horizon to look at the function of the ‘origin’ by portraying a character struggling with a crisis. Chapter II analyzes “I Went to See an Old Movie” and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to identify the retrospective nature of the ‘origin’. Section 1 analyzes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 in “I Went to See an Old Movie” written by Yoon Dae-nyeong. The novel presents a character who is faced with a situation in which he cannot translate the situation into his language. And overcoming this situation is depicted as a disconnection from the recalled past person. The past consists of the situational elements of the character in the present. Through this analysis, this section analyzes the pattern of recall and materialization of memories from the present state. Section 2 investigates the retrospective nature of the ‘origin’ via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A character tries to structure an incomprehensible world based on his memories. However, the memory of the character is fragmented, and the past is made based on the present. “Eoran-ri”, which appears in the work, occupies the position of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through the situation that makes the present character feel ‘uncanny’. Through this, the memories as the ‘origin’ are expressed in an editorial way by the character, and the retrospectiveness of the ‘origin’ is revealed. Chapter III analyzes the “Lunar Horizon” and “A Coca-Cola Lover” to deal with the aspect of the subject pursuing the ‘origin’ to maintain himself. Section 1 discusses that ‘the return to the origin’ is a fantastic attempt by the character, with “Lunar Horizon” as the main text. In the novel, the character dreams of the ‘return’ to times when his existence was considered full. It is typical to long for a reunion with a separated lover and wife, which stems from the out-of-joint presence of the character. The narrative of seeking women is a character’s attempt to break through the present predicament by reestablishing the past. Section 2 analyzes “A Coca-Cola Lover”, the last novel of the 1990s by Yoon Dae-nyeong, and reveals that the ‘origin’, which is related to the ‘fantasy’, hides the character's ultimate ‘antagonism’. That ‘antagonism’ is his own ‘impossible relationship.’ The character who has lost temporal continuity tries to recover his ‘original’ self through the process of ‘retrieving memories’ even in an out-of-joint position. The character asymptotically approaches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idden ‘truth’ is revealed. However, the more he tries to leap toward a normal state, the more he falls into a terrible abyss, revealing the ‘impossibility of relationship’ that is covered by the ‘fantasy’. Through four long novels that penetrate the period of the 1990s, Yoon Dae-nyeong depicts the passion of the ‘return’ toward the ‘origin’. This can be said to be the shape of the subject who is trying to overcome subjective deprivation. In other words, Yoon Dae-nyeong's long novels can be illuminated as a ‘Menschenromane’(human novel) that depicts the subject responding to a ‘hollow’ state in front of the incomprehensible Other.

      • 하근찬 단편소설 연구 :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박시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organizes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cluding the Suffering of Two Generations, Story of a Ferryboat, White Paper Beard, Red Hill, and Craftsman Shim's House, in line with major symbols and time periods, and analyzes the scenes with physical disability motifs. Moreover, this study presents anxiety and overcoming as two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regarding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Post-war literature, in general, has main characters who cannot escape from anxiety and futility, or who rebel against ethics while wallowing in despair. In terms of the narrative, the process of mental damage is naturally shown. However, even though Ha Geun-chan's works are classified as post-war literature, the distinctiveness is high. Ha Geun-chan dissolves his war experiences in the works but does not always depict those experiences as painful real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in his works are not frustrated by physical disabilities, but rather show attitudes of overcoming misfortunes and living a calm life through the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anxiety and overcoming. In sum, Ha Geun-chan's literature is evaluated as humorous and optimistic, although it draws the unfortunate times. The life revealed in Ha Geun-chan's novels is based on the author's memory, and it is embodied by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orks with emphasis on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nd define what the motif is. Research on Ha Geun-chan’s works has been conducted on various aspects. First, there are many studies deal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time. In particular, they are carried out in ways such as analyzing war narratives by each period, describing the writer's personal experiences, or discussing democracy. Second, there are studies that analyze the works with their motifs. However, since several motifs are usually organized by each period of the work, those studies can also be seen as similar to the first research type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it is possible to weave the flow of all works with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s the main theme. Moreover,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Ha Geun-chan's literary history by clarifying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motifs of disability are only partially mentioned in the research so far. Physical disability motifs vary from damage to the body to disability and death. This study, sharing the context of previous studies, classifies and analyzes Ha Geun-chan's short stories by each time period.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deliberately selects and analyzes the works which demonstrate the aspects of physical disability. In addition to the generally known characteristics of Ha Geun-chan's literature sorted by time periods, the emphasis is placed on organizing the works according to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sserts the strong possibility of verifying what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means and how it affects the narrative flow of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 this study, the main symbols in Ha Geun-chan's short stories are summarized with close scrutiny. Ha Geun-chan's war experiences are embodied in his early works. Therefore, it is notable that events which can be directly experienced through wars such as conscription and injury are typically drawn. In the early short stories, war is depicted as the present background. From mid-to-late works, by contrast, war is described as a memory of the past. They express the suffering of war from memory. In the late works, the images of body damage are transformed into disability, not only drawing war-related appearances, but also showing the path for life. It particularly reflects the writer's idea of protecting the original tradition. To summarize, this study assorts the various symbols in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war, memory, and tradition. It is contended that the motif of physical disability is at the core of the symbols. The meaning of physical disability motif in Ha Geun-chan's works becomes vivid by arranging the scenes that have the motifs.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has three meanings: reminding the memories of war,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showing a well-directed life. Subsequently, anxiety and overcoming are presented as the two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regarding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Much attention is paid, in particular, to the phases of anxiety and overcoming. The anxiety aspect is believed to appear in the early process of overcoming a physical disability. While undergoing many sufferings, the characters’ anxiety expands with various emotions like compassion and wrath. Such anxiety aspect then intensifies into the next level of aspect, overcoming. This study reads the overcoming aspect as the willingness to overcome the situation, rather than the complete recovery from a physical disability. As such, the characters in Ha Geun-chan's works pass through the stage of anxiety and reach the stage of overcoming, after experiencing a physical disability. In the end,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the entire work of Ha Geun-chan can be encompassed within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nd that the motif’s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are anxiety and overcoming. 본 연구는 하근찬의 단편소설 「수난이대」, 「나룻배 이야기」, 「흰 종이수염」, 「붉은 언덕」, 「공예가 심씨의 집」을 시대별로 주요 상징과 함께 정리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 장면을 분석한다. 그리고 신체적 장애 모티프의 심화 양상으로서 불안과 극복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후 문학을 살펴보면, 불안과 허무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인물이나 좌절감에 사로잡혀 윤리의식에 반항하는 인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서사적인 측면에서 정신적인 훼손까지 겪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하근찬의 작품은 전후 문학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하근찬은 전쟁의 경험을 작품 속에 녹여내면서 그저 괴로운 현실로만 그리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 속 인물은 신체적 장애에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불안과 극복이라는 심화 양상을 통해 불행을 이겨내고 덤덤히 자리를 지키며 살아가는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하근찬의 문학은 불행한 시대상을 보여줌에도 해학적이며 낙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근찬 소설에 드러나는 삶은 작가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 기억은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통해서 형상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과연 무엇인지 정의해보고자 한다. 하근찬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로, 작품의 특징을 시대적인 측면에서 다루는 연구가 다수 있다. 특히, 시기별로 전쟁의 서사를 분석하거나, 작가의 경험을 주로 이야기하거나, 민주주의를 논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두 번째로, 모티프를 통해 작품을 분석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하지만 여러 모티프를 작품의 시기별로 정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앞서 말한 시기별 구분 방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모든 작품의 흐름을 엮어낼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모티프 연구에서는 장애 모티프가 부분적으로만 언급된다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히며 하근찬의 문학사를 통찰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체적 장애 모티프는 신체의 훼손부터 장애, 죽음 등으로 변주된다. 본 연구에서도 기존 선행연구의 맥락과 같이하여, 하근찬의 단편소설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그러나, 모두 신체적 장애 양상이 드러나는 작품만 선택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근찬 문학의 시기별 특징과 더불어,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정리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하근찬의 단편소설에서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어떤 의미가 있고 서사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면밀한 작품 분석을 통해 하근찬의 단편소설에서 볼 수 있는 주요 상징을 정리한다. 초기 단편소설에서는 하근찬의 전쟁 경험이 형상화된다. 그러므로 징용이나 상이 등 전쟁을 통해 직접적으로 겪을 수 있는 사건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단편소설에서 전쟁이 현재의 배경으로 그려지는 것과 달리, 중기 단편소설부터는 전쟁이 과거의 기억으로 묘사된다. 기억을 통해서 전쟁의 수난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후기 단편소설에서는 훼손된 신체가 장애로 변주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전쟁과 관련된 모습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살아가야 할 삶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통의 중요성을 통해 원래의 것을 지키고자 하는 작가의 생각을 반영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하근찬의 단편소설에 드러나는 상징을 전쟁, 기억, 전통으로 구분한다. 해당 상징들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신체적 장애 모티프라고 할 수 있다.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나타난 장면을 정리해보면, 하근찬 작품에서 가지는 의미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전쟁의 기억을 상기시키고, 과거와 현재를 잇고, 지향하는 삶을 보여주는 등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신체적 장애 모티프의 심화 양상으로서의 불안과 극복을 제시한다. 특히, 불안과 극복이라는 양상의 단계성에 주목한다. 불안 양상은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극복되기 전에 거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본다. 작중 인물들이 겪는 수난 속에서 불안은 연민, 분노 등 다양한 감정과 함께 확장된다. 그러한 불안 양상은 극복 양상으로 심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복 양상을 신체적 장애의 완벽한 회복이라고 정의하기보다는 상황을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라고 읽어낸다. 이처럼, 작품 속 인물은 신체적 장애를 겪은 후 불안 단계를 지나 극복 단계에 도달한다. 결국 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통해 하근찬 작품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것과 그 모티프의 심화 양상은 불안과 극복이라는 것을 제시하며 글을 맺는다.

      •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근대주체의 '정념성' 연구

        김정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근대주체의 한 양상을 주체의 정념적 특성으로 고찰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태원은 1930년 10월에 단편「수염」으로 조선 문단에 데뷔한 이래 우리 문학사의 대표적 스타일리스트이자 모더니스트로 알려져 온 작가이다. 1988년 해금조치 후 월북작가 박태원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박태원이라는 작가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그가 뚜렷한 족적을 남긴 모더니스트라는 점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명성은 박태원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문학적 · 대중적인 성공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박태원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고현학이라는 박태원식의 독특한 창작기법을 작품에 적용하여 1930년의 경성을 배회하는 한 예술가의 자취를 그려내었던 것이다. 물론 고현학이라는 방법론은 일본의 곤 와지로(今和次郎)가 『일본의 민가』(1922)라는 연구서를 저술하면서 도입한 개념이지만, 박태원의 고현학과 곤 와지로(今和次郎)의 고현학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태원이라는 작가를 우리의 근대문학사에서 모더니스트로 정의하는 일은 합당하다. 이는 박태원의 작품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뿐만 아니라 「피로」 혹은 「적멸」등과 같은 작품에서도 이른바 모더니즘적 작품에서 보이는 특징들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게다가 박태원은 작품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글들을 통해 소설에서 기법이나 소설 언어 사용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제 스스로 소설쓰기에의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고심하였다. 하지만 박태원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지적해 온 바와 같이 박태원 문학은 그의 작품 전체에 대하여 일괄적인 방법론으로 접근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다. 박태원 문학의 일부가 당시 구인회 소속 문인들이 보였던 예술지향적이고 모던한 성향을 띠는 면이 있지만 그 외의 많은 작품들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처럼 뚜렷하게 모더니즘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여인성장』이나 『금은탑』이 보이는 통속적 성격의 작품이나 『윤초시의 상경』과 『춘보』등에서 보여주는 전통적 서사의 작품들 혹은 『천변풍경』과 같이 현실 풍경을 묘사한 작품들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류의 작품들과 동일한 독법으로는 접근이 어렵다. 박태원의 문학세계는 모던과 전통, 예술성과 통속성 그리고 새로운 기법적 추구와 세속적 글쓰기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든다. 이러한 박태원의 문학은 이른바 변화무쌍함이라고 표현하기에 손색이 없을 정도로 다채롭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세계를 하나의 언어로서 통어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모색이 연구자들에게 과제로 남는다. 이에 본 연구는 박태원의 다양한 성격의 작품들을 하나의 문예 사조로써 읽어내려는 시도와는 거리를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박태원 작품에서 읽어내고자 하는 것은 근대 주체의 정념들로서, 근대라는 무정형적 시간을 살고 있는 작가가 특유의 감각으로 그것을 작품에서 보여주고 있는 모습을 살피려는 것이다. 형식이나 내용면에서 매우 다양한 박태원 문학에 대하여 그것의 내적 원리를 살피려는 시도들이 지금까지 있어왔다. 박태원에 대한 선구적 연구들은 박태원이라는 작가가 근대적 시간의 정중앙에서, 근대성이 주체에 미치는 영향이나 효과들을 작품에서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깊이 있게 고찰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선행연구들의 방법적 틀에서 조금 비껴서 박태원의 작품들에서 주체의 마음이 드러나는 면을 보려는 것이다. 본고가 정념에 대하여 근대 주체의 마음이라고 다소 소박하게 표현하고 있지만 실상 이 표현의 이면에는 근대적 주체와 주체의 욕망 간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근대 주체의 정념에 관한 흄(David Hume)의 연구에서 흄은 정념에 대하여 직접 정념과 간접 정념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흄이 밝히고자 했던 바는 근대적 주체의 감정적 상태를 논리적으로 연구하려고 할 때, 자연발생 감정을 유발하는 직접 정념은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사회적이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간접 정념의 여러 형태들이었다. 근대적 주체의 마음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물리적인, 다른 표현으로 하면 합리적인 설명을 가능케 하는 요인들에 의한 효과이자 결과인 것이다. 라캉(Jacques Lacan)적 의미에서 근대 주체의 정념이란 주체가 자신이 처한 존재적 위치를 통해 경험하는 정서이자 주체의 욕망이 외부로 드러나는 구체적인 표현이다. 근대주체는 언어적 체계처럼 여러 사회적 관계들 속에서 주체의 무의식과 욕망을 정립해 간다. 그러므로 주체의 욕망은 사회적 관계라고 설명할 수 있는 이른바 타자에 의존하게 되고, 타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질문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구축해나간다. 하지만 타자가 원하는 욕망과 주체의 욕망 사이에는 근원적인 불일치가 있고, 그럼으로 주체의 욕망이란 근본적으로 채울 수 없는 공백이다. 정념은 이러한 욕망의 근원적인 결여, 혹은 공백의 주변에서 필사적으로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쾌락적인 감정이면서 불가능성에 대한 좌절의 반응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주체의 정념성이란 정의상 타자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욕망이 적극적으로 목소리처럼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양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박태원은 근대라는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변화의 장에서, 세상이라는 복잡한 대상과 관계하는 ‘주체’를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통해 드러내었다. ‘주체성’의 문제가 인간의 삶에 있어 중요한 목표로서 부각되는 것이 모더니티다. 이러한 점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자기’라는 대상에서 드러나는 복잡한 내면을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살피려한 박태원의 작품들이 근대적 주체성 연구에 있어 중요한 참조점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사회 · 역사적인 변혁 속에서 주체는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자극에 노출된다. 이러한 자극에 대하여 주체는 자기라는 존재와 현 실존의 중핵을 구성하는 파토스의 상실을 두려워하거나 상실에의 매혹에 빠져들기도 한다. 이러한 다층적인 반응이 근대 주체의 정념성이다. 본고는 박태원이 구현하고 있는 근대 분열 주체의 정념성을 중심으로, 근대라는 비정형적 이념 속에서 ‘자기’라는 개념이 실체적인가를 살피고자 한 박태원 작품의 의미를 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II 장에서는 사회적 모더니티가 근대주체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민감한 감수성으로 표현한 박태원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문명화의 병으로서 신경쇠약은 당시 유행병이면서 예술가들의 메타포이기도 했다. 개별 주체를 표현하고자 하는 충동의 표현인 과잉감정도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들에 드러나는 바, 취미와 소비에의 취향 역시 자기표현의 한 수단으로 볼 수 있었다. III 장에서는 근대가 야기하는 강박적 불안들을 충동의 과잉이 드러나는 서사로서 대응하고자 한 작품인 박태원의 통속소설에 대해 논의하였다. 박태원 통속소설의 특징은 이념과 정념의 과잉이 세계에 대한 묘사이면서, 병적인 스펙타클의 시대를 아울러 드러낸다. 특히 소설 『금은탑』에서는 이러한 점이 부각된다. 그리고 도덕적 비의와 정념의 과잉의 형식을 멜로드라마와 공간의 봉쇄를 통해 소시민의 일상을 풍부하게 드러내는 작품들도 살폈다. IV 장에서는 박태원의 자화상 연작을 통해 식민지 전시체제에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분열시키고, 행위자로서의 주체가 위장하고 있는 모습을 증상적 글쓰기로 표현한 작가의 이념성과 정념성을 분석하였다. 사회 · 문화적 모더니티의 시기이면서 식민지 조선이라는 현실 속에서 박태원 소설의 주체는 매혹과 불안의 감각을 모두 내면화하면서 자기를 현실화한다. 이것이 바로 문학주의자 박태원의 면모라고 본고는 해석하는 바이다. 그러나 박태원이 해방 이후 역사소설 창작에 몰두하고, 이후 장편 대작 『갑오농민전쟁』에까지 이르는 그의 문학적 행보를 살피는 것이 박태원 문학의 진정한 가치를 조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주제어 : 모더니즘(modernism), 근대성(modernity), 주체(subject), 정념(pathology), 신경쇠약(neurasthenia), 세속(profanazione)

      • 韓國·中國·日本 근대 唯美主義 문학의 比較硏究 : 金東仁·郁達夫·谷崎潤一郞을 中心으로

        유옥평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唯美主義(Aestheticism)는 美의 創造를 藝術의 唯一至上을 目的으로 삼는 藝術思潮이며, 耽美主義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唯美主義는 美的 享受 및 美的 形成에 最高의 價値를 두는 人生觀 · 世界觀을 가리키며, 에피쿠로스(Epikuros)의 이름과 함께 오랜 歷史를 갖고 있으며, 近代에 와서 셸링(Schelling)이나 니체(Nietzsche)에 의해 再確認되었다. 따라서 藝術思潮로서의 唯美主義는 예술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의 한 分類로서 19世紀 後半에 擡頭되었다. 이 思潮는 프랑스에서는 에드거 앨런 포우(Edgar Allan Poe)의 影響을 받은 보들레드(Baudelaire)에 의해 구현되었고, 英國에서는 월터 페이터(Walter Pater)로부터 시작되어 라파엘 전파(Pre-Raphaelitism)를 거쳐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에 이르러 全盛期를 이루었다. 이들의 主張이 반드시 一致하는 것은 아니지만, 精神보다는 感覺을, 內容보다는 形式을, 現實보다는 空想을 重視하고, 美를 眞과 善 위에 두며, 때로는 悪에서까지 美를 發見하는 점 등에서는 共通的인 思想을 보였다. 比較文學이란 一國의 文化와 他國의 文化와의 關係, 즉 文化의 交流와 그에 의한 影響을 硏究 對象으로 하는 文學史的 性格을 갖는 學問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比較文學은 文學的 世界意識(Cosmopolitanism)을 갖는 사람들이 그것을 歷史的으로 硏究하고자 하는 慾望의 作用에 의해서 시작된 學問이라고 할 수 있다. 文學의 素材는 사랑, 슬픔 등 人間의 共通 感情과 病, 죽음 등의 人類 共通 運命인데, 다만 그 다루는 方法에 差異가 있을 뿐이다. 比較文學은 두 나라 또는 類似한 傾向을 가진 作家나 作品의 比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國家의 文學的 傳統과 土壤의 考察에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그 意義가 있다. 文學을 包含한 文化는 相對的으로 發展한 地域이 後進 地域에 影響을 주는 것이 普遍的인 흐름이다. 이러한 影響 關係에서 發信者가 同一한 경우, 그 影響을 받는 相對가 서로 다른 나라일지라도 國情과 影響 經路 그리고 作家의 體驗이 恰似하다면, 아주 類似한 形態의 文學作品과 文學現象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同一한 外來 影響의 受容으로 類似한 傾向을 보이던 作家이더라도 그들의 生活環境이 변하고 精神的 體驗이 不同한 方向으로 展開됨에 따라 전혀 다른 文學의 樣相을 볼 수도 있다. 본 論文은 이와 같은 觀點으로,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唯美主義 文學의 受容과 三國의 代表的 唯美主義 作家로 손꼽히는 金東仁 · 郁達夫 · 谷崎潤一郞의 作品을 分析하여 唯美主義의 性格이 同一한지 아닌지를 糾明하고자 하였다. 이를 解明하기 위하여, 우선 Ⅱ장과 Ⅲ장에서 唯美主義의 定義와 淵源에 관하여 簡單히 考察하고, 西洋의 文藝思潮의 發生과 흐름을 槪觀한 후,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唯美主義 受容 過程을 分析한다. Ⅳ장에서는 三國의 代表的 唯美主義 作家 三人의 唯美主義의 特質을 把握한다. 먼저 韓國 作家 金東仁의 唯美主義적 傾向이 잘 드러난 作品인 『배따라기』, 『狂畵師』와 『狂炎소나타』를 分析하여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糾明한다. 다음으로 中國 作家 郁達夫의 모든 小說(1921~1935년)을 分析 對象으로 삼아,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考察한다. 마지막으로 日本 作家 谷崎潤一郞의 耽美主義적 傾向이 잘 드러난 『문신(刺青)』, 『치인의 사랑(痴人の愛)』과 『춘금초(春琴抄)』에서 表現된 作家의 唯美主義를 分析하여 그의 唯美主義 特質을 分析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세 作家의 作品에서 드러난 唯美主義的 特質의 共通點과 差異點을 具體的으로 考察하는데 그 目的을 두었다. 金東仁의 唯美主義는 傳統이 없는 處女地에 西洋의 唯美主義를 實驗的으로 다룬 것으로서 象徵的인 藝術至上主義로 볼 수 있다. 郁達夫의 唯美主義는 現實的인 삶을 超越하는 逃避的인 空間이 아니라 虛僞的 現實에 反抗하며 眞實한 世界를 追求하는 ‘想像的’ 空間이라고 할 수 있다. 谷崎潤一郞의 唯美主義는 傳統 위에 세워진 새로운 唯美主義이며 그의 唯美主義는 肉體를 隨伴하는 實體의 感覺을 가진다.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은 모두 西歐에서 唯美主義 文學思潮를 受容했지만, 서로 다른 政治的 · 社會的 背景과 各國의 文化的 · 歷史的 차이 때문에 각 나라에서 具體的으로 다른 樣相을 보인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동아시아 三國의 唯美主義 思潮가 어떻게 西洋 文藝思潮를 適用하는지, 어떻게 自己 國家의 文化 傳統 影響에서 變容하는지 照明할 것이다. 본 論文에서는 韓國 · 中國 · 日本 三國의 近代 唯美主義 特徵과 三國의 唯美主義 傾向이 있는 작가 金東仁, 郁達夫, 谷崎潤一郞의 作品을 對象으로 삼아 그들의 作品 속에 나타난 唯美主義 特性을 解明하는 것에 첫 번째의 目的을 두었다. 그 후에 精神分析 批評의 方法論을 바탕으로, 各各의 텍스트를 中心으로 具體的으로 比較硏究를 하면서 세 作家의 唯美主義 文學의 類似點과 差異點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硏究는 동아시아 三國의 近代 唯美主義 文學에 대한 統合的으로 全面的이고 體系的인 硏究를 함으로써 앞으로 동아시아 唯美主義 文學을 硏究하는데 나아갈 方向性을 提示하는데 意義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본 硏究는 比較文學으로서의 價値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