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숲과 명상 기반의 시에 내재된 치유요소 연구

        안광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healing elements inherent in ‘poetry based on forest and meditation’ focusing on Korean ancient and modern poets. Today, 'healing' is one of the biggest concerns which have fueled societal interest among the masses. Even though the word of 'healing' is used in many fields, the meaning of it seems to be utmost used in natural healing area, particularly in the healing field attained through forest-based meditation. Forest, improving the health by refreshing body and mind and by taking it easy, is the material and spiritual resources which enrich our life as well as taking a great role in seeking the spiritual origin and original nature. On top of that, the sounds of nature such as various phytoncide, bird-calls, the sound of water and wind, etc., are important elements which makes our five sense at home. That's why modern people who live a busy and tired life try to contemplate their life by walking in forest, by finding solace in tired body and mind and, they also try to obtain a new vitamin. On the one hand, in a sense, contemplating nature can be said the meditation to look into the self. So, many people go to the forest to realized the meaning of the simplicity and emptiness after letting busy and avaricious mind for a moment by introspecting their inner landscape as well as outer one. Like this, the forest-based meditation which makes us contemplate inner self has a function to heal hurt in the heart and to let mind go blank to realize a slow and simple life. The point is that forest is a new healing space beyond the space only for the rest. Then, forest-based medit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healing therapy to see things as there are and to overcome greed, fullness, grasping, anger, and anxiety, etc. On top of that, poetry, frankly expressing the emotion which springs up from the deep inner heart, has different spectrums of mind, so that it has a deep reverberation because of poet's great intuition and insight to bring life's great change. Actually a poet has an ability to create things we can't see and hear vividly and he has an ability to led us to a world of new recognition as well. Hence, poems produced by a poet always give us new echo and awareness. That's why we can relieve and heal oppressed and torn mind only by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oetry full of vivid inspiration and imagination. In this vein, poetry works as a healing mechanic to make pained and fatigued mind relaxed and also to make dim consciousness more clear. Poetry is a good intermediation which expresses human emotion.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peculation and real experience to combine the poetry produced on the basis of forest and meditation has healing elements transcending the limit of poets and readers; it contains psychological healing elements: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ture. Consequently, the poetry, produced on the basis of forest and meditation, can let inner consciousness vivid through imaginative expressions. Hence, poetry therapy can heal the tensions, depression, sense of loss, anxiety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discovery and in the end, lead us to the field of body and mind healing. So then, modern poetry and Seon poetry might be used as a good therapy to solve the dissolution, inconsistency, discord, suffering in modern society by means of 'esthetics and transcendency'. In oder to identify this point,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oder.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method and scope, and precedent researches of this study. Chapter 2 attempts to sho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herapy of forest-base meditation poetry: the meaning and effect of forest healing, the meaning and origin of forest meditation, and the healing elements of forest-based meditation poetry. Chapter 3 examines the healing elements of poetry based on the mutual response to forest, the sounds from forest, and life solidarity in the forest. It is described in a more vivid poetic way based on the thinking of 'objects and self are one' through meditative contemplation toward nature and based on the outcome of enlightenment and sympathy as well. Chapter 4 identifies the healing elements inherent in meditation poetry, chiefly focusing on healing hurt in the heart, solace, letting it go, emptiness and fullness, care and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ea which implies awakening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sympathy and care in everyday life. Meditation and tea are often not two but one, which mean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mind training and tea ceremony. Consequently, tea is considered as a vehicle for clearness and emptiness. That's why the world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good combination of Seonistic intuition and poetic imagination in harmony with nature is well depicted in Seon masters' poetry. Chapter 5 looks into the application of the forest-based meditation therapy program and its effect: more in detail, the concept, background, method and scope of the forest-based meditation therapy program. The program's application and effect was identified through a before and after index testing chiefly on selected members. Finally, in chapter 6, it will be mentioned that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in setting up a new concept of the forest-based meditation poetry therapy program, and the program can be widely applied to many fields because of the very harmonious and interpenetrating expression of poetic mind and Seon mind. 본 연구의 목적은 숲과 명상을 기반으로 한 시, 즉 ‘숲명상시’에 내재된 치유적 요소와 이의 교육적 활용에 도입함으로써 정서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는데 있다. 오늘날 대중들의 지대한 관심을 끄는 화두 중의 하나는 치유, 즉 ‘힐링’(healing)이다. 많은 영역에서 ‘힐링’이란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자연치유의 영역, 특히 숲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치유에서 그 의미가 극대화 되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최근 다문화 및 동북아 시대를 맞아 세계적인 걷기명상과 치유의 허브를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개최된 ‘오대산 천년 숲길 걷기대회’는 생명, 평화, 나눔의 메시지를 전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베트남 출신의 세계적인 명상 지도자 틱낫한 스님이 참여해 눈길을 끌기도 했던 이 대회는 월정사 주변의 비경과 수령 600여년의 전나무들이 내뿜는 피톤치드(phytoncide)의 상쾌함을 만끽할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숲 명상 치유의 코스임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심신을 편안하게 하고 상쾌하게 하는 등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천혜의 자연환경인 숲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물질적, 정신적 자원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정신적 근원과 본성을 찾는데 큰 역할을 해 오고 있다. 특히 숲에서 나오는 다양한 피톤치드와 새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등 자연의 소리는 오감을 편안하게 하는 요소이다. 분주하고 힘들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숲을 찾아 걸으면서 사유하고, 지친 심신을 달래며 삶의 새로운 활력소를 얻고자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자연을 관조하는 일이 곧 자신을 들여다보는 명상이라 할 때, 사람들은 숲을 찾아 ‘외부의 풍경’뿐만 아니라 ‘내 안의 풍경’을 함께 성찰함으로써 번다하고 탐욕스러운 마음을 잠시나마 내려놓고 단순함과 비움의 의미를 깨닫고자 한다. 이와 같이 내 안의 나를 돌아보게 하는 ‘숲 명상’은 상흔을 치유하고 내려놓기와 배려하는 마음, 그리고 느림과 단순한 삶을 일깨워 주는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숲이 단순한 휴식 차원을 넘어 치유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은 새로운 치유의 변화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숲 명상은 바른 지견으로 사물을 보고 욕망과 채움, 집착과 분노, 복잡과 불안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힐링’ 방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을 그대로 표현한 시에는 다양한 마음의 스펙트럼이 담겨 있어 그 반향과 울림의 진폭이 넓고 깊다. 그 이유는 시인이 가지고 있는 통찰력과 조형력이 삶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하고 의미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인은 우리가 늘 보지만 보지 못하는 것, 우리가 늘 듣지만 듣지 못하는 것들을 명징한 언어로 살려내어 우리를 새로운 인식의 세계로 안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감과 상상력의 생동인 시를 낭송하고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눌리고 찢긴 마음을 펴고 아물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시들은 오랜 세월이 지나 다시 읽더라도 항상 새로운 울림과 깨달음을 준다. 명시들이 아프거나 고단한 마음을 쉬게 하고 흐렸던 정신이 맑아지게 하는 영혼의 모음(母音)으로 작용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숲과 명상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시를 아우른 사유와 실제의 체험은 시인과 독자라는 한계성을 뛰어 넘어 다분히 치유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그것은 문학의 본질적 기능인 심리적 치유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시는 상상력이라는 뇌의 구조를 통해 이미지를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으며, 그러한 이미지를 통해서 정서적 환기라는 치유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숲과 명상 그리고 이를 토대로 창작된 시는 자아 성찰과 자아 발견, 그리고 감성의 언어를 통하여 무의식적으로 억압되었던 인간 내면의 억압, 상실, 불안, 스트레스 등 다양한 심리적 요소를 극복하게 하고 근원적으로 심신치유의 장으로 이르게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숲 치유에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숲을 기반으로 창작된 명상시, 즉 ‘숲명상시’에 내재된 치유적 요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숲명상시’에 내재된 치유적 속성을 탐구하여 현대인들의 마음치유 방편과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숲명상시’를 통한 탐욕, 상처, 불안, 스트레스 등을 안고 힘들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내려놓기와 비움을 깨닫게 함은 물론 상처를 위로하고 배려와 공감을 갖게 함으로써 ‘숲명상시 치유프로그램’이 심신치유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구운몽』에 나타난 불교사상과 마음치유적 요소 연구

        변영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thought and mind-healing elements in Guwunmong of Kim Man-jung (pen-name Seopo, 1637–1692), focusing particularly on its writing motive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Buddhist elements and ground, self-reflection and awakening. Kim Man-jung passed the st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rose through the official ranks to become a royal academic counselor and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owever, he was exiled twice for the involvement in the political factionalism of the time. He wrote one of the most prominent novels of traditional Korea, Guwunmong or The Nine Cloud Dream in Seoncheon during his second exile from political life. On the surface, it is an entertaining tale of a young man who travels through two lifetimes accompanied by eight beautiful maidens; at its core, it is philosophical and philosophical novel about the converge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a sense, the theme of Guwunmong is to realize the transience of life and to overcome it with the teaching of Buddhism. The novel is consisted of the structure of an empty dream. In the reality, Seong-jin is a Buddhist monk, which is transcendental. In his dream, Seong-jin is Yang Soyu who is a Confucian scholar, which is secular. Seong-jin realizes the transience of life when he has his birthday party. He realizes that the accomplishment of secular desire is meaningless. Therefore, he decides to leave home and practice Buddhism. And a Buddhist master who teaches Song-jin with his dream appears to him and wakes him up. Eventually, Seong-jin and 8 maidens realize the transience of life. So far, many studies on Guwunmong have been tried in various perspectives, but an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thought and healing mind has been hardly attempted. Consequently, I tried to read Guwunmong in a new perspective of healing mind by paying attention to the systematic combination of Seopo's thought, and also attempted to grope its literary value discriminating against previous studies chiefly on his thought and a view of his world. Actually, Guwunmong is evaluated as a peculiar Korean old novel in that it accepts the concept of Confucianism or Taoism while depicting a Buddhist's cultivation process on the surface, and in that it enhanced the status of old Korean long novels into the higher level. On top of that, Guwunmong produced a more significant originality in religious complexity and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orders. In first chapter, I presented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And I attempted to show the writing motive of Guwunmong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The text version of this study on Guwunmong and its production period, the background of the writer's times will be discussed. The influence of the Confucian society of Seopo's times on his work will be mentioned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mid-and-later Joseon Dynasty. In the second chapter, I looked into the structure and thought background of Guwunmong. Yang So-Yu, or Seong-Jn, a hero of the work, is an affectionate and romantic man. He has a multi-layered view of the world. He has experienced three stages of life in a dream: living in heavenly world and the secular world, and rebirth into Buddhist realms. In this experience is dissolved the religious valu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Guwunmong seeks. In this vein, I tried to find an ideal world which Seopo intended to embody through Guwunmong by examining different citied phrases chiefly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third chapter, I identified the interrelation of Buddhist meaning in the title of Guwunmong and Buddhist materials contained in Guwunmong chiefly on the name of Master Yukgwan and his disciple Seonjin, Yeonwhabong at Mt. Hyeongsan, the entry and exit of the mind, etc. In the fourth chapter, I st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hought included in Guwunmong. Here I discoursed the basis of Buddhist thought based on Jujahak(Neo-Confucianism) and the change of space related to dreams and a previous life, and groped for the possibility to liberate from a view of Buddhist world by looking into the doctrine of dreams and Yogacara(唯識思想) through Dharma Master Yukgwan's Name, a pivotal protagonist in the work. In terms of mathematical concept, Yuk(6; six) is a negative number, and its direction is the north, and the number also represents wisdom. And I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alaya consciousness and dream, Seongjin's enlightenment in the perspective in Yogacara, the Lotus Sutra, Diamond Sutra, Samsara and Pure Land thought in Guwunmong. In the fifth chapter, I examined the shapes of the enlightenment and healing elements in included in Guwunmong. In particular, I emphasized the consolation, healing elements, and unifying force of Guwunmong as a popular novel, which springs from revealing the writer's own personality and from accepting the philosophical perception of his times as well. And the novel delivers the hopeful message of lif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it as well. Finally, chapter 6 concludes that on the surface Guwunmong seems to be an entertaining tale of a young man who travels through two lifetimes accompanied by eight beautiful maidens; but at its core, it is a philosophical novel to deliver a message to heal the sorrow and to give hope based on Buddhism thought.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조선 숙종 때 대표적 정치가며 학자인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의 『구운몽』을 기존의 ‘부귀영화 일장춘몽’이라는 절망과 허무의 서사 해석과 달리 불교적 시각에서 자아성찰과 깨달음의 사유를 통한 마음치유의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특정한 시대와 지역을 배경으로 하여 생성된 문학은 다분히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겉으로 드러난 작품의 일정 부분을 구성하는 소재와는 달리 사상과 감정은 작품 속에 녹아들어 작품 전반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렇다면『구운몽』의 창작 동기는 모친에 대한 큰 효심과 숙종에 대한 충정의식을 투영하고 있는 두 가지 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구운몽』이 구현하는 서사의 의미는『금강경』을 비롯한 불교경전에서 널리 언급되고 있는 구름과 꿈의 비유와 관련이 있고, 또한 불교의 수행법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구운몽』에 나타난 양소유의 삶은 성진의 참선 속의 삶, 혹은 환몽 속의 삶이다. 그 결과 참선 속의 현실세계에서 펼친 잡다한 경험들은 참선을 마친 성진이 스승 육관대사로부터『금강경』설법을 듣고 공(空)의 지혜를 돈오하고 대각하는데 중요한 동인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금강경󰡕의 공사상에 근거한 선적인 몽유구조 위에서 전개되는 표면적인 서사에서는 불가적인 깨달음을 제시하며, 그 기저에서 은유적인 방식으로 형상되는 본질적인 주제는 혼미한 숙종의 각성이라는 정치적인 의미가 핵심적인 주제로 설정되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당시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평안도 선천(宣川)으로 유배를 간 김만중은 자신의 마음속에 내재된 억울함과 분노를 치유함과 동시에 등장인물 양소유에게 새로운 자기성찰과 깨달음을 일깨워 주며, 또한 자신을 걱정할 홀어머니를 위로해 드리고 외로운 심경을 달래드리고자 이 소설을 썼던 것이다. 그렇다면 문학은 심리치유의 도구로서 단순히 개인 차원에서의 치유뿐 아니라 해학과 풍자, 기지로 사회의 병리를 치유할 수 있는 대안으로 모색될 수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기존의『구운몽』에 대한 평가는 ‘부귀공명 일장춘몽’으로 보는 연구와 굴원의 「초사」가 남긴 뜻이 있다는 평가, 즉 「이소」를 통해 전하는 충신의 연주지사의 정신이 흐르고 있음이 언급되고 있다. 또한『구운몽』의 주제를 사상적인 측면에서 접근한 유. 불. 도의 삼교 융합설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여러 인간들이 겪는 고통과 즐거움은 모두가 한 바탕 꿈에 지나지 않음으로『구운몽』은 작가 서포가 어머니 윤 씨 부인의 인간 역경을 위로하고자 창작한 일종의 운명론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해석을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구운몽』을 인생은 운명적이며, 모든 부귀영화는 무상한 환상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불교사상과 연계성을 높여서 부귀와 공명이 한 바탕 꿈이라는 것 이상의 불교적 무상관으로 해석의 폭을 넓히고 있다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는 겉보기에 대승불교의 소의경전인『금강경』의 공사상이 현실을 부정하는데 있는 것 같지만, 내면적으로는 불교의 무상관을 소박한 수준에서 인생만사를 허무한 것으로 수용하는 수준에 머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가 보기에는『구운몽』의 텍스트 내에서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는 『금강경󰡕을 설화적 수준의 소박한 무상관으로 격하시켜 수용하였다는 점에서는 작가가 제시한 진정한 주제의 접근에는 많은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구운몽』에 대한 다수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보면,『구운몽』에 대한 주제, 즉 인생의 부귀공명이 일장춘몽이라는 설, 그리고 더불어 제시한 굴원과 관련된 단편적인 논의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고 수준의 불교사상과 유교사상이 조화와 융합을 이루고 있는『구운몽』은 주인공 성진과 양소유의 두 가지 모습이나 성격은 중용을 통하여 그 독특한 서사미학을 형성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자들은 이러한 점을 간과하여『구운몽』의 본질에는 접근하지 못한 채, 표면적인 주제나 본질적인 주제를 형성하는 주변적인 의미를 작품의 핵심 주제로 잘못 판단해 왔던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구운몽』이 구현하는 서사는『금강경』과 같은 불교경전에서 널리 차용되는 구름과 꿈의 비유와 연관이 있고, 또한 불교의 구도행각과 연결되어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금강경』의 공사상에 근거한 선적인 몽유구조 위에서 전개되는 표면적인 서사에서는 불교적인 큰 깨달음을 구현하며, 또한 그 기저에서 은유적인 방식으로 형상되는 본질적인 주제는 혼미한 숙종의 각성이라는 정치적인 의미가 핵심적인 주제로 설정되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김만중이 슬픔과 우울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어머니를 위해『구운몽』을 쓰게 되었다는 창작동기를 주목하는 한편,『구운몽』을 읽음으로써 부정적 생각이 긍정적으로 전환되어 ‘마음치유’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 가톨릭 명례방협동조합의 실천 사례연구

        유영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논문은 종교이념에 의한 것이기는 하나 가난한 이들의 삶을 변화하려는 원의로 교육과 사업을 실천하고 있는 명례방협동조합이 어떻게 국제협동조합이 협동조합 원칙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그 조직과 발전과정을 통하여 고찰해보고자 하는 사례연구이다. 명례방협동조합은 가톨릭 정신으로 설립자들의 사회복음화 교육에 따른 구체적 실천으로 1993년 설립되어 지금까지 설립 정신인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우선적 선택’과 한국 천주교 초기 신앙공동체의 모범을 따르기 위하여 노력해 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연 명례방협동조합의 활동이 협동조합운동에서 나침반 역할을 하는 국제협동조합의 협동조합 원칙에 부합하게 충실히 운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미흡한 부분은 무엇인지와 함께 더 바람직한 가톨릭 협동조합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실천 방안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제협동조합연맹의 협동조합 원칙에 따라 명례방협동조합의 역사와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태동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추적 역할을 해온 전·현직 이사장과 설립자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참고하여 결론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명례방협동조합이 공적으로 만들어 낸 각종 자료, 소식지 외에 언론기사 등의 문헌 자료를 역사적 전개 안에서 살펴보았고, 아울러 교육내용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합원 제도의 구현 측면에서 명례방협동조합은 자발적으로 행동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자신의 선택을 책임지려는 경향이 높은 가톨릭 신자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민주적인 조합원 관리의 측면에서 명례방협동조합은 많은 가톨릭 단체들과는 차별적으로 평신도 사도직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점을 확고하게 하여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운영의 제도적 틀을 굳건히 하고 있다. 셋째, 조합원의 경제적인 참여 측면에서 조합원에 대한 잉여금 배분 규모는 적절하나 규칙적 출자에는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자율과 독립의 측면에서 현재까지는 종교적인 인원구성에서 교도권과의 균형에 유의하며 투쟁하고 협상하며 비교적 잘 대처하고 있으나 계속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육, 훈련과 정보제공의 원칙 측면에서는 명례방협동조합의 태동 과정에서 보이듯 초창기부터 교육의 원칙에 비교적 충실하게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자체 교육을 통하여 기본정신의 구현은 물론 사회교육으로서의 부분에까지 의미를 이어가고 있다. 여섯째, 협동조합 간의 협동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실천이 20주년 전후에 집중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설립의 주요 목적이 생산공동체운동의 지원에 있으므로 추후 노력이 필요하다. 일곱째, 지역사회의 관심 측면에서 초창기부터 천주교 빈민사목의 활동과 함께 지역 활동을 공유하였으나 점차 개방성이 확대됨으로써 연대가 약화한 경향이 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통하여 명례방협동조합의 조직 특성은 협동과 연대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되며 이것은 초창기 설립자의 실천 의지와 참여자들의 실천 의지가 일치된 표현이다. 이러한 현상은 그리스도인의 디아코니아적 친교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세상 속에서의 실천 의지는 케리그마의 차원으로 표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명례방협동조합의 실천은 세 가지 차원으로 설명되는데, 첫째는 가톨릭교회 영성의 차원이다. 명례방협동조합은 영성 중심의 협동조합 운영을 중요시하고, 그 태동도 체험과 실천을 통한 사회복음화를 목표로 한 것이다. 가톨릭이라는 제한적 개방성에도 불구하고 수평적 리더십을 통하여 협동조합의 원칙을 발현할 수 있는 틀을 만들었음을 분석할 수 있다. 둘째는 사회복지의 차원인데, 설립 정신에서 천명한 ‘가난한 이들에 대한 우선적 선택’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하여 전문적 사회복지 실천방법 즉, 사람들의 사회적 기능의 전인적 회복과 예방 교육,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최대화하는 활동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추후 양로원과 같은 실질적인 복지사업과도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사회교육의 차원이다. 명례방협동조합은 교육 중심의 협동조합으로 가톨릭 신앙의 생활화, 가난한 이들의 회복, 정성적인 돌봄의 교육과 같은 신앙교육과 함께 시민교육, 민주적 참여교육 등으로 실천 의지를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가톨릭 영성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운동의 실천은 국제협동조합연맹의 협동조합 원칙을 어떻게 조화롭게 발현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데 사회교육의 방법을 바탕으로 한 실천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결론에 따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기본유대는 일반적인 협동조합운동에 비해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이는 신용을 담보하는 금융협동조합의 경우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협동조합의 개방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넓은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제적인 참여를 증가할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지속적 출자에 대한 교육과 함께 합리적인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새로운 상품의 연구 개발도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교육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 전문적이고 다양한 사회복음화와 전문 사회복지·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융합한 실천모형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는 교회 내 연구기관들과의 전략적 협력이나 전문가를 활용한 인력풀을 모색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넷째, 정체된 생산협동조합의 신설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과거와 달리 현재 생산공동체 연대는 너무도 빈약하다. 금융협동조합은 자본의 힘에 연대와 협력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작은 협동조합을 만드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네트워크를 더 촘촘히 할 필요가 있다. 협동조합의 자본은 물론 현재 운영하는 기금까지 활용하여 지역의 사업이 자립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 공동 관심사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에 힘써야 한다. 여섯째, 금융협동조합의 합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협동조합기본법에서 제한하고 있는 금융업을 통한 협동조합 사업이 가능하도록 여타 금융협동조합과의 연대와 함께 법 개정 운동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ideology of religion, yet it is a case study for Myeongnaebang Co-operative who strives to change the life of the poor by education and many other projects, to study how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embodies the co-operative principles through the organization itself and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Myeongnaebang Co-operative, established in 1993 as a concrete action following the social evangelization movement of its founders by the Catholic spirit, is known for its effort to fulfill the founding spirit to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and to follow the model of the first faithful communit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Myeongnaebang Co-operative runs itself in accord with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principles, which plays the role of a compass in the Co-operative Movement, and if not, to check its weakness and look for an action plan to develop as a proper Catholic Co-operative. To do this, the researcher had to first analyze the activities in the 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Myeongnaebang Co-operative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s principles, by interviewing the past and present presidents and its founder who were the backbones of this organization from the beginning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have drawn the conclusion and a proposal from these interview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public materials, newsletters, and news articles produced by Myeongnaebang Co-operative in a historic unfolding aspect along wit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ing: First, in terms of implementing an open and spontaneous system for members, Myeongnaebang Co-operative is organized by many Catholics who tend to volunteer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choices. Second, on the democratic management side of members, Myeongnaebang Co-operative is firm in its direction to be a Catholic lay apostolate community and provides a strong framework of an autonomous and democratic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many other Catholic organizations. Third, as for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members, the allocation of surplus funds to members is appropriate, but an improvement in regular investment is needed.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autonomy and independence, so far, Myeongnaebang Co-operative has relatively coped well in its religious personnel setup by struggling, negotiating, and giving attention to keep balance with the magisterium, but continued interest and effort are required. Fifth, in terms of education, training, and information principles, Myeongnaebang Co-operative has operated itself comparatively fulfilling educational principles from the start. It is not only implementing its basic spirit but also adding importance to social education through its own training process. Sixth, on the cooperation side between the co-operativ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actions were focused around the 20th Anniversary and as the main purpose of its foundation is to support the Production Community Movement, more effort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Seventh, as for the interest of local community, Myeongnaebang Co-operative has been sharing the pastoral work for the poor by the Catholic Church and the local activities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solidarity seems to be weaken while the doors have continuously open. Through the results above,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Myeongnaebang Co-operative can be condensed into 2 aspects; cooperation and solidarity which express the intend to act of its founder and participants. These circumstances can also be taken as diakonia activities of divine friendship by Christians, and the intends to act in the real world are expressed as a level of kerygma. In conclusion, the actions of Myeongnaebang Co-operative can be described by 3 level; first, the level of Catholic spirituality. Myeongnaebang Co-operative seeks management based on spirituality and its root was to aim social evangelization by experience and action. Despite the limited openness of Catholic, it has set up a framework to implement co-operative principles through horizontal leadership. The level of social welfare comes next. To make the founding spirit to ‘preferential option for the poor’ concrete, Myeongnaebang Co-operative pursues professional way of social welfare practice which maximizes holistic recovery of social functioning, prevention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which give further possibilities to be linked with actual social services like nursing home. Third one is the level of social education. Myeongnaebang Co-operative is an educational co-operative which strengthen its intend to act by the life of Catholic faith, recovery of the poor, education of a devoted care, education in faith and democratic participance as well as the civic education. Accordingly, for the action of a co-operative movement oriented on the Catholic spirituality, it is important how to harmonize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principles and to use a social educational model for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To suggest social im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basic bond is too much comprehensive than general co-operative movement. This can cause serious trouble as it is a financial co-operative which is guaranteed by credit. Adjustment is required through a group of stakeholders by gathering their opinions without any harm to the openness of this co-operative. Second, finding ways to increase economic participation is necessary. Education on continuous investment and reasonable complement to the system are also needed together wit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different types of educational businesses. A more professional and various social evangelization is required, and a practical model as a synthesi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program has to be constructed. For this,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institutions inside the Church or a manpower pool of experts can be conside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new establishment of co-operatives that has been stopped for years. Unlike in the past, the current solidarity of production community is too weak. The financial co-operative must be an infrastructure to create small co-operatives which can cope with solidarity and partnership against the capitalism. Fifth, a network to raise attention of local society needs to be strengthened. This demands the capital of the co-operative as well as the current fund in order to build up a network for common interest and to inspire local businesses to be self-reliant. Sixth, efforts to legalize financial co-operative are required. As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prohibits banking businesses,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make it possible in solidarity with other financial co-operatives through a campaign to change the law.

      • 숭산행원의 사상과 해외포교 연구

        박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monk Sungsan Haenwon(1927-2004)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power and practice of his overseas mission based on this. Sungsan, who was revered as one of the world's top four living Buddha figures along with a monk named Tiknathhan in Vietnam, has provided peace to the humankind and a direction of life to the people of the world beyond neighboring religions, including the West, the East, Buddhism, and Christianity, by creating a change of thought and a great change in mindset based on the basis of the topic of "only don't know" Soongsan tried to find the original face of Ganhwaseon and spread it to the public widely through the method of practicing it. In other words, after becoming awakened through the topic of "only don't know," he sublimated it into preparedness, opening a new horizon for the Zen culture, focusing on fostering the younger generation and missionary work, and leading a practical life. The motive for Sung-san for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was to find the self through self-reflection, watching the older generation divided into left and right lost in ideological conflicts while studying Buddhist philosophy at Dongguk University in his 20s and realizing that his political movements and studies could not help society. Realizing that the core of Buddhism consists in the Saguge of the 『Diamond Sutra』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All facets are vain and if you see them not alike, you will see them as they come.), Soongsan learned meditation after hi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under the name of the Buddhist monk Gobong at Sudeoksa Temple. After the 100-day Gyeljae(結制) at Sudeoksa Temple, he visited Seonji, including Chunseong, Geumbong, Geumo and so on and was approved through Beopgeoryang. On January 25, 1949, when he was 22 years old, he was formally given Jeonbeobge and the title of "Sungsan" by the Buddhist monk Gobong. After the awakening, his practical life of the mission is well found in the overseas mission. He opened the Hongbeobwon in Japan in 1966 and later established the Hongbeobwon in Hong Kong, and moved to the U.S. in 1972 and fully started to blossom the "One Flower of the World," which was emphasized by the Buddhist monk Mangong. Subsequently, Sungsan established 120 mission centers in 32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Europe and Africa, and accomplished the feat of overseas mission. As such, his mission power was a wide-ranging pursuit of world peace for the people of the world, and it can be said to have been flexible in properly adapting the essence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region and culture while maintaining it. Here is a great power and practice to cherish the value of communication,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systematic teaching through organizations such as Gwaneum School, to foster local disciple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and to publicize Buddhism to them. What we note is that the mankind system towards which Soongsan was oriented has its own uniqu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t was based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hich advocated repentance Buddhism, and simultaneouly pursued proper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temporal and cultural conditions to realize the fundamental values of Buddhism called the mankind system. For example, by drastically changing the existing conventional elements that distinguish those who enter the Buddhist priest and again enter the Buddhist priest as well as sexual discrimination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he aimed to realize a Buddhist community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and presented the ideal vision of overseas missionary work. And another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his mankind system is that it provides a way to bring about human peace through mutual respect, consideration, harmony and cooperation. In other words, under the banner of 'One Flower of the World,' it emphasizes the mankind system for humanity, ending conflicts among all religions, and contributing to world peace. However, despite his practice of such amazing Ganhwaseon and his exploits of overseas mission, studies have not so far conducted in depth abou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his ideas, and the importance of the power and practice of overseas miss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otive for Sungsan to enter the Buddhist priest, the subsequent journey,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deas, and the message that the power and practical life of overseas missionary based on Ganhwaseon present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oday. 본 논문의 목적은 숭산 행원 선사(崇山 行願, 1927-2004, 이하 숭산)의 사상의 특징과 이를 기반 한 그의 해외포교의 원력과 실천의 관계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베트남 틱낫한 스님과 더불어 세계 4대 생불(生佛)로 추앙받았던 숭산은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이라는 화두를 근간으로 사고의 전환과 마인식의 큰 변화를 일으키게 함으로써 서양과 동양, 불교와 기독교를 비롯한 이웃 종교를 뛰어 넘어 인류의 평화와 세인들에게 삶의 지남(指南)을 제공하였다 할 수 있다. 숭산은 간화선 수행방법을 통해 본래면목을 찾고, 이를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즉, ‘오직 모를 뿐(only don't know)’이라는 화두를 통해 깨달음을 얻은 후, 그것을 대비심으로 승화시켜 선(禪)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후진양성과 포교에 매진하며 실천적 삶을 살았다. 숭산의 출가 동기는 20대에 동국대학교에서 불교철학을 공부하던 중 기성세대가 좌우로 나뉘어 사상적으로 대립, 갈등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의 정치적 운동이나 학문으로는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없음을 자각하고 자아성찰을 통한 자아[本來心]를 찾고자 함이었다. 불교의 핵심이 『금강경』의 사구게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에 있음을 자각한 숭산은 출가 후, 수덕사 고봉스님 문하에서 참선을 배웠다. 수덕사에서의 100일 결제 후에는 춘성, 금봉, 금오 등 선지식을 참문하여 법거량을 통해 인가를 받았다. 이후 다시 만난 고봉선사로부터 22세 되던 1949년 1월25일 정식으로 전법게를 받고, 숭산이라는 당호를 받았다. 깨달음을 얻은 후, 숭산의 포교의 실천적 삶은 해외포교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그는 1966년 일본에 홍법원을 열어 해외포교를 시작했고, 이후 홍콩 홍법원을 건립하였고, 1972년 미국으로 건너가 본격적으로 만공선사가 강조한 ‘세계일화(世界一花)의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이어 숭산은 유럽, 아프리카 등 전 세계 32개국에 120여 개에 달하는 포교센터를 세워 해외포교의 위업을 달성했다. 이처럼 숭산의 포교 원력은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세계평화를 지향하는 큰 폭을 가진 것이었으며, 불교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지역과 문화에 따라 적절하게 변용시키는 유연성을 가졌다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소통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관음스쿨 등 조직을 통한 체계적인 교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지 제자들을 육성하고 세계인들과 교감하며 그들에게 불법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큰 원력과 실천성이 있다 할 수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숭산이 지향하는 중생제도가 숭산 그 자신의 고유한 사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회통불교를 표방하는 한국불교의 기본적 특징을 골간으로 하는 동시에, 중생제도라는 불교의 근원적인 가치의 구현을 위해 시대적·문화적 여건에 따른 적절한 수용과 변용을 추구하였던 점이다. 이를테면, 승가 내에서 남녀차별이나 출가자와 재가자를 구분하는 기존의 관습적인 요소를 과감히 변화시킴으로써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승가공동체 구현을 지향하며 해외포교의 이상형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숭산의 중생 제도에서 간과할 수 없는 또 하나의 특징은 상호존중과 배려, 화합과 협력을 통한 인류 평화를 가져오게 하는 방편을 구가하고 있는 점이다. 다시 말해, ‘세계일화’의 기치로 전 인류를 위하고 모든 종교 간 갈등과 반복을 종식하며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중생제도를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하지만 숭산의 이와 같은 놀라운 간화선의 실천과 해외포교의 위업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의 사상의 형성 배경과 특징, 해외포교의 원력과 실천의 중요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 논문은 그다지 많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는 숭산의 출가 동기와 출가 이후의 행장, 사상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간화선을 기반 한 해외포교의 원력과 실천적 삶이 오늘날 한국불교계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 전립선 암세포에서 Silibinin의 HIF-1α 발현 억제 효과

        정희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Silibinin is a polyphenolic flavonoid antioxidant isolated from the milk thistle and is used clinically to treat certain liver diseases.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silibinin has antiangiogenic properties in animal model experiments. However, the mechanisms by which silibinin inhibits angiogenesis are not clearly understood. In this study, silibinin inhibited basal level and hypoxia induced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α (HIF-1α) and its transcriptional activity in prostate cancer cells LNCaP and PC3. Moreover, silibinin inhibited VEGF production. In addition silibinin inhibited serum or IGF-1-induced expression of HIF-1 in PC3 cells coincided with dephosphorylation of Akt, mTOR, and p70S6K which are known to regulate HIF-1α expression at the translationa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ibinin has antiangiogenic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HIF-1α translation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into the mechanism of its anticancer activity. Silibinin은 milk thistle의 열매로부터 얻어진 플라보노이드계열로서, 글루타티온의 결핍을 예방하여 간세포 재생 및 보호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Silibinin은 최근 여러 암세포에서 항 증식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세포 사멸 유도와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의 발현을 통한 세포 주기 정지 유도 등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동물 모델에서 silibinin이 암 조직의 신생 혈관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보고가 되었으나 그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HIF-1α와 HIF-1β로 이루어진 heterodimeric protein인 hypoxia inducible factor-1 (HIF-1)은 암 발생과 신생 혈관 형성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IF-1α의 발현은 저산소 상태, 성장인자, 암 유전자의 활성 등에 의해 유도되어지고 전립선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조직에서 과발현 되어 있다. HIF-1α는 전사인자로서 VEGF를 포함하는 많은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silibinin에 의해 HIF-1α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될 수 있는지를 전립선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립선암 세포주 PC3, LNCaP에서 silibinin의 처리로 HIF-1α 단백질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그 중 PC3 세포주를 대상으로 HIF-1α 단백질의 발현 감소 기전을 연구하였다. Silibinin에 의하여 HIF-1α mRNA 발현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전사 후 단계 조절에 silibinin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Prolyl hydroxylation inhibitor인 DMOG와 26S proteasome inhibitor인 MG132 동시 처리에서 silibinin에 의한 HIF-1α 단백질 발현 감소가 나타나 HIF-1α 단백질 분해 과정을 통하여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abolic labeling 실험 결과 silibinin에 의해 HIF-1α 단백질 합성이 감소되어 silibinin은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하여 HIF-1α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와 상응하게 단백질 합성 조절에 중요한 Akt/mTOR 및 p70S6K/RPS6 신호전달계 억제가 silibinin에 의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ilibinin은 암세포에서 HIF-1α 단백 합성 억제를 통하여 HIF-1α 발현을 억제하며 그 기전은 적어도 Akt/mTOR/ p70S6K 신호전달계의 활성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태고보우의 불교사상과 시적 형상화 연구

        박태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태고보우국사(1301~1382)의 불교사상이 그의 구도와 깨달음, 교화 과정에서의 체험, 그리고 자연과의 교감, 원융사상에서 배태되고 생산된 선시 세계에서 어떻게 투영, 형상화 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에 있다. 그러나 그 깨달음은 어떠한 기호나 언어로도 표현이 어렵기 때문에 당연히 불립문자(不立文字)를 강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선은 언어문자를 떠나고자 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분별적 사유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선의 세계는 언어문자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그 까닭은 선사들이 깨달음의 세계를 제자들에게 드러내 보이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문자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순된 연유로 선적 깨달음의 세계는 대단히 압축되고 비약적이며 고도의 상징과 은유, 그리고 역설적인 반상(反常)의 언어문자를 의존하게 된다. 이처럼 선의 세계는 언어와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어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다. 시는 가장 선지(禪旨)에 버금가는 생명력 있는 언어 형식과 간결하고 압축된, 그리고 비약과 함축성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선시 또한 선적 사유와 상상력으로 구속을 벗어나 탈속 무애한 대자유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선적 사유와 상상력이 조화를 이룬 시적 경향은 태고보우의 시문학 세계에도 충분히 형상화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고보우는 고려 말기에 선풍을 진작시키고 조계 종지를 선양했으며, 한국불교 태고종의 종조로서 중국 원나라 선불교의 거장 석옥청공(石屋淸珙, 1272~1352)으로부터 임제정맥을 계승한 임제의 제19대 법손이다. 태고보우는 수선사(현 송광사) 제 2세 진각혜심(1178~1234)의 선풍을 계승하여 고려 말에 간화선을 뿌리내리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선(禪)과 교(敎), 어느 한 종파에도 치우치지 않고 폭넓은 수행을 하였음은 물론, 고려 후기 불교계 5교9산의 다양한 종파들이 서로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자 국사가 된 뒤 원융부(圓融府)를 두어 구산원융(九山圓融) 오교홍통(五敎弘通)을 주장하여 5교9산의 통합에 힘썼다. 태고보우가 각 종파를 아우르는 원융포섭을 모색한 노력은 그 이후 조선시대에서 그의 본뜻과는 다른 면이 있기는 하지만 국가적 정책으로 여러 종파의 통합을 강행하게 되었다. 태고의 이러한 행적은 그 시대의 불교폐단을 해소하려는 한 방편이었으며, 이것이 한국불교가 선과 교를 겸수하게 되는 독특한 사상으로 형성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태고보우는 고려 말 문란한 승단의 기풍을 바로잡기 위하여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도 말라(一日不作一日不食)”는 철저한 근로와 자급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한 ‘백장청규(百丈淸規)’ 정신을 철저히 지켜나갈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특히 백장청규의 장려는 당시 혼란했던 승가사회에 신선한 화두였고, 임제종의 정통 사상이 자연스럽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엄격하고 청정한 수행정신으로 진정한 공부를 함으로써 젊은 수행자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태고보우의 선풍은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 할 때, 태고 사상의 골간은 존재의 원융회통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그의 사상의 특징을 첫째, 그가 임제선을 수용하여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확립한 점이다. 둘째, 선과 교의 회통, 선과 정토의 회통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셋째 원융무애사상으로 세간과 출세간을 원융하고 있는 점에서 고찰하였다. 선사상을 산문으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직관을 통해 표현되는 사유의 힘은 선시에서 한결 강하게 느낄 수 있다. 선정을 통하여 얻게 되는 고요한 마음은 물심일여(物心一如)의 경지에서 사물의 본질을 직관으로 파악하여 시적으로 묘사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돈오의 선적 사유는 시 창작에 있어 번득이는 영감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을 통해 얻어진 무한한 자유와 적정의 상태는 묘오(妙悟)와 여유, 함축 그리고 의경(意境)을 잘 담아낸다. 그렇다면 태고보우의 시문학은 그의 시대적 상황에 대한 뜨거운 고민과 선적 사유를 기반 한 탁월한 시적 능력에서 배태되고 생산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태고보우가 출가 수행자로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치열한 자아 성찰과 고뇌의 심경을 표출한 그의 시세계의 특징은 분별심에서 생긴 일체의 경계를 해체하면서 분별과 다름의 이항대립을 초월하여 조화로운 ‘원융(圓融)’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문학작품 속에는 중생을 제도하려는 열정과 깨달음을 얻기 위한 치열한 구도정신, 적조(寂照)의 사유로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물아일여의 상태에서 삶을 관조하는 직관적 선적 사유가 명징하게 내재되어 있다. 그것은 곧 시심(詩心)과 선심(禪心)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시적 세계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즉 선심을 진솔하게 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시선일여’(詩禪一如)의 시 정신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할 수 있다. 바로 여기에 태고의 선사상과 시문학이 절묘하게 조응하고 융합되는 미학이 있게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평생을 선승으로, 그리고 탈속 무애한 자유인으로서 살다간 태고보우의 시문학 세계는 그 당시 불교계의 상황과 관련하여 그 자신이 지향하는 부단한 구도와 깨달음의 여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 보림(保任)과 스승의 인가(印可)를 받기 위한 노력, 자비심으로 제자들을 섭수 지도하고 선연(善緣)들과의 교류와 교화, 그리고 청빈한 산승으로 살아가면서 체험하는 자연교감 및 비움과 충만의 원융사유를 번득이는 선지(禪旨)와 뜨거운 선심(禪心)으로 표출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태고보우의 이러한 시적 세계를 연구하기 위해 우선, 선과 시의 관계성, 시대적 배경과 생애, 사상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그의 선시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이어 그의 사상의 핵심인 원융사상의 특징이 시문학에 어떻게 투영,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다양한 시편들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구도와 깨달음의 시세계를 조망함에 있어서는 운수행각과 구도의 과정, 견성오도의 개오시, 자연교감과 탈속무애의 시, 중생교화의 명호시를 살펴보고, 원융회통의 시세계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선교 회통의 시, 선과 정토 회통의 시, 세간과 출세간 회통의 시, 방하착과 충만 회통의 시세계를 조망함으로써 내려놓기와 비움과 치유의 메시지를 전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how the Buddhist thought of Taegobowuguksa (1301~1382) has been projected onto and embodied in his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th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 edifications, the communion with the nature, and the world of the Buddhist poetry, which has been impregnated in the fusion ideology. The ultimate objective of Seon or meditation lies in enlightenment. However, because the expression of this enlightenment is difficult in any sign or language, there is no choice but to emphasize 'No dependence on word and letters'. As a result, not only does Seon intend to leave the language characters, but also it does not permit any distinguishing thought. Despite this, the world of Seon cannot completely exclude the language characters. In order to reveal, show, and explain the world of the enlightenment to the disciples, the Buddhist monks have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characters. Because of such a contradictory reason, the world of the enlightenment of Seon is greatly compressed and transcending, and it gets to rely on the high-level symbols and metaphors and the language characters due to the paradoxical reasons. In this way, by jumping over the understanding of man and the range of the language, the world of Seon reaches the enlightenment. It can be said that poetry has a language form with vivid force that comes closest to the prophets, the concise, the compressed, the jumps, and the implications. When seen through such a viewpoint, by escaping from the binding with Seon thought and poetic imagination, Buddhist poetry has been aiming at the stage of the great freedom, which is unworldly and free from all obstacl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etry tendency in which the harmonization of Seon though and poetic imagination has been sufficiently embodied in poetic world of Taegobowu, too. Taegobowu had stirred up Seon tradit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had enhanced the concessions of the Joder Order. And, as the founder of the Taego Order, he was the 19th-generation descendant of Linji, who succeeded the Linji Seon vein from Seonokcheonggong (1272~1352), who was the master of Seon Buddhism of the Yuan Dynasty of China. By succeeding the Seon tradition of Jingakhyeshim (1178~1234), who was the second generation of Suseonsa (at present, Songgwangsa Temple), Taegobowu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Koan deeply root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Not only had he practiced wide-rangingly without leaning to any one sect, between Seon and doctrine , when the diverse sects of the 5 schools and 9 mountains of the Buddhism in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showed the opposite aspect among them. After he became a teacher of the King, he established the fusion division, and argued for the Gusanwonyung and the Ogyohongtong by striving for the union of the 5 schools and the 9 mountains. Regarding the effort made by Taegobowu to seek for the winning over of the fusion that encompassed each sect, the integration of the many denominations had been pushed ahead as a national policy although there had been the aspects that had been different from his real intentions in the Joseon era afterwards. Such achievements by Taego became a means for solving the negative effects of Buddhism in this era. And this had been formed as a unique ideology of Korean Buddhism which practices both Seon and Doctrine. Also, in order to correct the disorderly ethos of the monastic order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aegobowu strongly argued that the spirit of Baekjangcheonggyu,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meticulous work and the spirit of self-sufficiency which said "If you do not work one day, do not eat one day", should be thoroughly maintained. Especially, the encouragement of Baekjangcheonggyu had been a fresh topic of conversation in the Buddhist monks society which had been confusing at the time, and it proved to be an opportunity in which the authentic ideology of the Linji school got publicized naturally. In addition, by engaging in the true studies with the strict and clean practice spirit, the spirit of Baekjangcheonggyua caused big sensation among the young disciplinants, therefore the Seon spirit of Taegobowu attracted people's the attention. When considering the above points, the frame of the ideology of Taego was the fusion harmony of existence. In this thesis, I,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features of his thought. First, he accommodated the mode of the Linji school and had systematically and definitely established it in his own way. Second, he stresses the harmony between Seon and Doctrine, and the harmony between Seon and Pure Land. Third, he unified the mundane-world and transcending mundane-world by being free from all obstacles through the fusion thought. Although Seon thought can be expressed through prose, the power of the thought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intuition can be felt stronger in the Seon poetry. This is because the calm mind that is obtained through the samadhi becomes an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the essences of the objects through the intuition on the stage of the mulshimilyeo and describing poetically. Not only that, it is because the Seon thought of the sudden enlightenment provides a flash of the inspiration with regard to the creation of the poems. As a result, the infinite freedom and the optical condition that are obtained through Seon contain the enlightenment, the composure, the implications, and the Buddhist scriptures well. If so, the poetic literature of Taegobowu can be the product of his poetic ability, which got impregnated in the excellent poetic imagination based on the hot anguish about his era situation and Seon thought. Especially, a feature of Taegobowu's poetic world in which the fierce self-examinations and the feelings of the anguish for obtaining the realization as a disciplinant who has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were expressed is the point that, while dismantling all of the boundaries that were created from the mind of distinguishing, by transcending the binarity of the distinguishing and the difference, it has been aiming at the world of the harmonious fusion. Within such literary works of art, the fierce mind of seeking the truth and the possession of the silent shines for obtaining the passion and the enlightenment that intend to save the world and the intuitive good possession that contemplates the life in the condition of the oneness of the external objects and the self through the communion with the nature have been clearly and lucidly internalized.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indeed, the representations of the poetic world that has appropriately achieved the harmony between the poetic mind and the good mind. Or,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frankly expressing the good mind poetically contains the poetic mind of the oneness of the poems and the goodness just the way it is. It is here, indeed, that the aesthetics in which the goodness ideology and the poetic literature of Taego are exquisitely corresponded and fused. Accordingly, I, the researcher, had intended to reveal that, regarding the world of the poetic literature of Taegobowu, who had lived and died after the whole life as a Seon priest and as a free person who had been unworldly and free from all obstacles, in rel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Buddhism at the time, the itinerary of the incessant seeking for the truth and the enlightenment which had been aimed at by himself, the efforts for receiving the permissions by Borim and the teacher after the enlightenment, the protection and the guidance for the disciples through the mercy, the exchanges and the edifications with the good connections, the communion with the nature that is experienced while living as an honest and poor Buddhist priest living in the mountains, and the possession of the fusion of the emptiness and the abundance had been expressed through the flashy prophecies and the hot, virtuous minds. Accordingly, in order to research such a poetic world of Taegobowu, first, I, the researcher, had intended to take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on and poetry, the background of the era and the life, the formation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ideology, and the understanding regarding his Buddhist poetry, and then I, the researcher, had intended to take a look, in-depth, at how the special features of the fusion ideology, which is the core of his ideology, is projected and embodied in his poetic literature by centering on the diverse psalms. Or, in other words, with regard to the viewing of the poetic world of the seeking for the truth and the realization, the processes of the wandering and the seeking for the truth, the spiritual awakenings, the poems on the communion with nature and the unworldly freedom from all obstacles, and the poems on the protection by the gods regarding the mankind education had been taken a look into. And, with regard to taking a look at the world of poetry of the harmonized communication, by viewing the world of the poetry of the missionary harmony, the poetic world of the harmony between the goodness and the paradise, the poems on the harmony between the worldliness and the entry into the Buddhist priesthood, and the poetic world of the harmony between the nirvana and the abundance, I had intended to deliver the message of placing down, emptying, and healing.

      • 학교 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문학클리닉 프로그램 사례 연구

        윤현준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maladjusted adolescents and to examine how literary clinic programs affect their self-esteem. Not only do many teenagers struggle with academic stress they are often not supported by their parents at home. they are not recognized by teachers and friends at school, and have low self-esteem, Furthermore, they are very skeptical about why they are studying. In addition, an unstable home and socia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a lack of self-esteem and a diminished interest in studies future goals. It has been natural for humans to be raised in nature and have the rhythm and pace of life that follows from such an upbringing. However, the rapid pace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explosive increase of information can negatively effect not only the respect one has for other humans and life, but also the spirit of co-prosperity. Adolescents are generally sensitive about how they perceive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but they can also be sensitive abou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us, they are all the more susceptible to the influences of social changes. Young people who are forced to compete for acceptance to university by studying for entrance examinations have little time to learn the value of nature. With insufficient time they don’t have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iving harmoniously with nature. In such a world, it seems that literary therapy can help to remind us of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universe. It can provide us with a chance to awaken to the preciousness of all existence. When we note the functions of literary therapy we can see that it can help raise students’ self-esteem and improve how they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s. Students can be helped to overcome academic stress, restor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reflect on and motivate themselves through literature. This is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how a student adapts in school as well as shaping healthy values during their developmental years. The academic stress placed on Korean adolescents to gain university acceptance is threatening to their well-being. As a result they may gradually lose their sense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 eighth index by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Child and Youth Happiness' in 2016, Korea ranked high among OECD countries. For example, Korea was first in behavior and lifestyle, third in education, third in health and safety, and third in material happiness. However, Koreans ranked last place (22nd) in the subjective happiness index. Reports have shown that approximately 5% of teenagers and children belong to a suicidal impulse risk group where and individual has had suicidal impulses three times or more. If an adolescent has a poo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or if they are a member of a low income family they may have a lower sense of happiness. This could also be attributed to expectations placed on the child by the family and society. Furthermor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mental, psychological, and social suffering as well as academic stress can cause various problems. Money is usually high on the list of priorities when considering how to be happy. Teenagers who obsess over material gain often fail to establish crucial values, and as a result cause social problems in the form of material-related misdeeds. The problems of adolescents are not limited to crimes, they also include bad behavior such as running away from home, an alienation, drinking, and entering entertainment centers. The age of boys who commit crimes is getting lower and the crimes are becoming more serious. School violence like bullying is also becoming more serious and the number of social problems involving adolescents is on the rise. Now more than ever families, society, and the nation need to take an active interest i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activities. I believe that the future of the nation, which includes the future of the youths themselves, depends on how they spend their leisure time and the amount of free time they actually have available. Private education in Korea is seen as a national problem, which causes a loss of consumption and savings. It undermines social integration by creating a sense of crisis among social classe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issues, this study seeks to prevent furthe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for currently maladjusted adolescents with literary healing. The plan is to do this with a psychological program that we have devised for young clients.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for psychological benefits and medit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re helpful, especially to those living in harsh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laces where these programs are offered. The proper use of literature based programs will play a positive role on to help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ness of your young people. Literary clinics can remind us what matters, it can teach us about what is most important in our lives. Through analogy and metaphor literature can help enable imaginative experience and insight. Literary clinics can enable people to look at themselves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magination, and creativity. Participants are also encourag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nature.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how one can apply it to themselves and nature is an important tool for psychological healing. For this reason, literary clinics and consulting for maladjusted youths who suffer from low self-esteem will help to improve their level of confidence. It will also help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others by broadening the way they communicate with nature. It can help them in the development of healthy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This paper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iterary clinics and a report on empirical case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the field. I focused on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from a Buddhist viewpoint,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특성 및 증상을 알아보고, 문학클리닉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존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많은 학업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부모에게 위로를 받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이다. 학교에서도 선생님들과 또래 친구들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자존감이 낮으며, 왜 공부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한다. 또한 불안정한 가정과 사회 환경으로 인해 학업에 무관심하고 불투명한 미래에 대해 비관하고 자존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상당하다. 인간은 본래 자연 속에서 성장하며 자연이 부여한 생의 리듬과 성장의 속도를 가지고 있는 존재지만, 급속한 현대문명의 발전 속도와 정보의 폭발적 증가, 사회변화에 추동되는 삶의 양식들은, 인간과 생명에 대한 존중심은 물론 인간의 자연스러운 천성이라 할 수 있는 상생의 정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업은 물론 자아와 환경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성장기의 청소년기들은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단히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할 수 있다. 더욱이 입시경쟁에 내몰린 청소년들은 자연의 이치를 배우며 자연 속에 함께 어우러져 자신의 소중함을 깨달을 시간이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에서 문학치료는 자아와 우주 간의 연기적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고 모든 존재의 소중함을 자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과 성장환경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강화하는 문학치료의 기능을 주목할 때, 청소년들이 문학 텍스트를 통해 자연친화적인 교감을 경험하는 것은, 학업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원만한 교우관계를 회복하며, 자신을 성찰하고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그들의 학교 적응과 성장기의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도 상당히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것이다. 입시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는 아이들을 위협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행복의 의미를 점차 잃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2016 제8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 따르면, 행동과 생활양식(1위), 교육(3위), 보건과 안전(3위), 물질적 행복(3위), 가족과 친구관계(8위)와 같은 문항은 OECD 가입 국가 중 순위가 높게 나타났지만, 주관적 행복지수(22위)는 꼴찌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 5%는 3번 이상 자살 충동을 경험한 자살 충동 위험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가 나쁜 경우, 경제 수준이 낮은 경우, 주관적 행복감은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가족과 사회의 기대로 인한 스트레스일 것이다. 청소년기에 겪는 정신적ㆍ심리적ㆍ사회적 성장통과 같은 발달적 특징과 학업 스트레스는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행복감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돈을 우선순위에 두었는데,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있는 청소년들이 삶의 기준이 되는 가치관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해, 물질과 관련한 비행을 저지르는 일탈로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청소년에 의해 저질러지는 문제는 범죄뿐만 아니라 무단결석, 가출, 왕따, 음주, 유흥업소 출입 등 신분에 어긋나거나 규범을 위반하는 행동이 나날이 늘고 있다. 청소년의 범죄 연령과 범죄의 죄질이 점차 흉악해지고 있으며, 왕따 등 학교폭력의 양상이 심각한 양상을 띠고, 청소년이 연루된 사회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청소년의 인성교육과 방과 후 활동지도에 가정과 사회, 국가는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시간과 방법에 따라 청소년들의 미래는 물론 국가의 장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입시지상주의가 자극하는 우리나라의 사교육 과열은 소비위축과 저축률 감소 등 가정경제를 위축시키고, 계층 간 위화감 조성, 학벌 및 소득 세습 등 사회적 통합을 저해하는 국가적 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 참여자를 대상으로 문학치유가 어떠한 심리치유 효과와 가능성을 보여주는지 문학을 활용한 심리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문제 예방과 해법을 모색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심리, 명상 프로그램들이 더 많이 개발되고,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장소가 다양해져 청소년들이 좀 더 쉽게 심신을 조절하기를 바라며, 문학프로그램의 적절한 활용은 힘겨운 현실을 버티는 청소년들에게 정신적ㆍ심리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반영하였다. 문학클리닉은 현재의 삶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주며 청소년들이 삶의 지침을 삼아야 할 기본 이치를 상상적 추체험과 통찰을 통해 문학적 비유로서 알려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문학클리닉은 그들로 하여금 문학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상상력과 창조력을 발휘해 자신과 자연, 우주의 본질을 탐구하게 하고, 이를 통해 생각, 감정, 감각을 치유하고 정화해 감은 물론 세상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자신과 타자를 올바로 보게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자존감이 떨어진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게 문학을 활용한 상담치료를 통해 자연과의 교감 능력을 넓혀 줄 수 있다. 자아존중감 향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게 하고, 더불어 그들이 건전하고 전인적인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심리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학클리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자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논자가 수행한 바 있는 경험적 사례에 대한 보고로서, 문학클리닉에서 학술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불교적 관점에서의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판소리 사설에 내재된 생명존중사상 연구 : 〈홍보가〉, 〈수궁가〉, 〈심청가〉를 중심으로

        문정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Life-respecting thoughts embedded in Pansori Narratives, particularly focusing on 'Heungbo-ga', 'Sugung-ga', and 'Simcheong-ga.' Different forms of the acceptance of Jātaka and its transmission as a living sound arts, Pansori[reciting a dramatic song]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3. Pansori is a kind of performance arts with dramatic movements musically expressing the simple wishes of the grass-roots, one's duty as a human being, and a folk tale of the ruling class[narratives]. Including the literary, musical, and playful elements, Pansori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ve art, and this comprehensive continuity and realistic dramatic reproduction orientation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attern of Pansori narratives. Also, Pansori gives us a taste of artistic inspiration in a more living sound of life, empathizing the trigger of colorful feelings of grandeur, peace, and milieu as well as joy and sorrow. Besides, Pansori is considered a work with the seriousness of the message and the outstanding musicality, which expresses the charm of Pansori that makes the audience laugh and cry. This characteristic of Pansori is the most powerful attraction to be enjoyed widely so far. Here is the essence of Pansori. Of the five Pansori that are currently being handed down, 'Heungbo-ga', 'Sugung-ga', and 'Simcheong-ga' are works marked by the most allegorical rhetoric. On the surface, they emphasize filial piety, causality, virtue and punishment, brotherhood, and loyalty, but in fact, at the bottom is criticism of the situ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origin of Pansori narratives is based on Jātaka and the Buddhist scriptures in India, it criticizes the depraved social image by means of a medium of allegory rich in symbolism and metaphor. Also, it raises the issue of the awareness of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the mid-to late Joseon Period. Due to the nature of discourse in contrast to the lessons of filial piety, virtue and discipline, and chastity of the people, a number of different Pansori copies were derived and enjoy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s. The narratives embedded in 'Heungbo-ga', 'Sugung-ga', and 'Simcheong-ga describes the life of ordinary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 the narratives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time. It has both musical and dramatic effects because it is sung like a song along with various rhythms. The Pansori narratives have moral values and a harmonious and an inherent sense of ethics as to how to live a desirable life, criticizing the absurd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I certified that it was possible through endless patience, pain, and self-sacrifice. Of course, at its base, the act of practicing which values the dignity and equality of all living beings, and which occurs from infinite mercy and compassion is an important factor. So far, researches on Pansori have focused primaril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genealogical features, and musical features of Pansori, but in-depth studies on the idea of respect for life in Buddhist views embedded in Pansori narratives based on Buddhist tales are almost impossible to find. Therefore, I examined genre theory, historical transform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origin of Pansori that existing researchers have maintained in a more intrinsically related way to Buddhist literature, and I also illuminated the discourse on human ethics inherent in Pansori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 respect. Above all, I stressed that the respect for life and its practice could be an alternative creating a culture of self-sacrifice, consideration for others, communication, win-win and a sense of community, overcoming conflict & greed and the negative aspects of modernity which neglects life. And I emphasized that the perception of mutual respect for life in Pansori's work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showing new values and a sense of universal ethic that will drive the future of the human world. 본 논문의 목적은 판소리 〈흥보가〉와 〈수궁가〉 그리고 〈심청가〉의 사설에 내재된 불교적 관점의 생명존중사상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판소리는 붓다의 전생 수행 이야기인 『자타카(Jātaka)』에 그 근원을 두고, 이를 수용, 변용한 것으로 단순히 옛 것이 아닌 살아 숨 쉬는 우리의 소리예술로서, 구연자와 전승자 스스로가 중심이 되어 작품 속의 갈등 상황을 극복한 서사이다. 2003년 유네스코의 ‘인류 구전문화 및 무형문화유산걸작’으로 지정된 판소리는 그 시대의 민초들의 소박한 소망과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도리, 지배계급에 대한 민초들의 이야기[narratives]를 극적인 동작을 곁들이면서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공연예술이다. 뛰어난 문학성, 음악성, 연희적 요소를 두루 포함하고 있는 판소리는 종합예술의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종합적 연행성과 사실적인 극적 재현 지향성은 판소리 사설의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아울러 판소리는 기쁨과 슬픔뿐만 아니라 장중함, 화평함, 유유함의 다채로운 감정의 촉발을 경험하게 하는 살아 있는 소리로써 예술적 감흥을 맛보게 한다. 또한 이들 판소리는 메시지의 진중함과 빼어난 음악성을 가진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이러한 양상은 청중들을 웃기고 울리는 판소리의 묘미를 잘 담아내어 판소리가 지금까지 널리 향유되게 하는 가장 강력한 매력이다. 여기에 판소리의 본질이 있다 할 수 있다. 대표적인 판소리 〈흥보가〉와 〈수궁가〉 그리고 〈심청가〉는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가장 우화적인 수사법이 두드러지는 작품으로써, 표면적으로는 효심과 인과응보, 권선징악, 형제 우애의 강조, 개과천선, 그리고 충(忠)의 이념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사실 그 밑바닥에는 조선 후기의 시대 상황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판소리는 인도의 불전설화 자타카와 한역 불경 소재의 이야기에 발생의 근원을 두고 있지만, 상징성과 비유가 풍부한 우화 형식을 매개로 하여 타락한 사회상을 비판하는 한편, 조선 중후기 서민들의 삶의 인식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효와 권선징악, 충이라는 교훈과 민중적 발랄함이 대비되는 담론의 성격으로, 그 지향하는 바의 차이에 따라 수많은 이본이 파생·향유되었다. 이처럼 〈흥보가〉와 〈수궁가〉 그리고 〈심청가〉는 따라서 판소리 사설에 내재된 서사는 조선 후기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어 그 시대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여러 가지 장단과 함께 노래처럼 불리기 때문에 음악적 효과와 극적 효과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처럼 의미를 지닌 판소리 사설에는 당시 부조리한 사회상을 비판하면서 어떻게 바람직한 삶을 살아 갈 것인가에 대한 도덕적 가치와 조화롭고 지혜로운 윤리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아울러 끝없는 인내와 고통, 자기희생을 수반한 실천을 통해 가능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그 밑바닥에는 모든 생명 존재의 존엄성과 평등을 소중하게 여기고 무한한 자비심과 연민의 정에서 발로되는 실천행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판소리에 대한 연구는 주로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와 변모 과정, 계보의 특징, 음악적 특징들에 집중되어 온 반면, 불전설화에 근원을 둔 판소리 사설에 내재된 불교적 관점의 생명존중사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논문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존의 연구자들이 견지해 온 장르론이나 역사적 변모 양상, 판소리 관련 근원설화의 문제점들을 좀 더 본질적으로 불교문학과의 연관선상에서 살펴봄과 아울러 판소리에 내재된 인간윤리에 대한 담론을 연기적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아울러 생명존중과 그 실천이, 갈등과 탐욕, 생명경시로 치닫는 현대성의 부정적 양상들을 극복하고, 자기희생과 타자에 대한 배려, 소통과 상생의 문화와 공동체 의식을 창출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판소리 작품 속에 가로놓인 생명에 대한 상호존중의 인식은, 미래의 인류세계를 견인해 갈 새로운 가치와 보편적 윤리의식을 보여준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 法頂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 : <大韓佛敎>(현 <불교신문>) 발표 원고를 중심으로

        여태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how the thought of Ven. Beop-jeong(1932~2010) was formed and developed in our times. In general, Ven. Beop-jeong has been regarded as a Buddhist ecologist who has lived in communion with nature and also as an upright ascetic who delivered a ‘clear and fragrant message’ to the public through the collections of his beautiful essays, Non-possession. However, when evaluating Ven. Beop-jeong, we should notice that he thoroughly learned the teachings of the Buddha, conducted self-inspection through asceticism, and agonized over the social problems. Also, we should remember that he suggested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Buddhist order to proceed. In 2009, one year before his passing away, working for “The Buddhist Newspape”, I found Ven. Beop-jeong’s more than 100 writings in the joint edition of the 1960s Newspaper. At that time he worked for “Daehan Bulgyo,” the predecessor of “The Buddhist Newspaper” In some writings, he would use the Dharma name, Beop-jeong while in others he would use pen name or the name he called himself: Cheongan(청안) and Sososanin(소소산인). Among about his 70 writings he showed vigorous youthful spirit well. Ven. Beop-jeong’s manuscripts included poems, columns and editorials, etc. The manuscripts of Ven. Beop-jeong from 1963 to 1977 showed a serious attitude of ascetic based on frosty precepts and they also suggested how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proceed in accordance with the Buddha’s teachings. Ven. Beop-jeong’s 68 manuscripts were published in November, 2019 under the title of Take off your old Clothes. When this book was published, a new task on his assessment began to emerge. That’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another aspect of him. He is not just a static ‘Essayist’ who was immersed in naturalism beyond civilization. His proceedings of various traces of anguish in the course of life were well express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imes in Take off your old Clothes. Take off your old Clothes showed a marked difference from his previous works. That is, most of his previous books were mainly scripture translations or columns. In addition, after moving to Bulilam(불일암) in Songgwangsa Temple (송광사), his tendency to write was nature-friendly. However, in Take off your old Clothes, was projected the image of vigorous youth Beop-jeong and of Buddhist Reformist Beop-jeong who criticized the world without hesitation. In particular, the hwadu(화두) of Beop-jeong as a Democratic Protector for Democracy was completely reflected in the Book.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search and analyze Ven. Beop-jeong’s about 100 manuscripts comprehensively published in “Daehan Bulgyo” Newspaper, and then to look into the process of hi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s periodic thought from the renunciation to his passing away. Moreover, I tried to prove that he broke away from an essayist whose works are filled with nature-friendly and ‘clean and fragrant’ writings, and that he, as a novice ascetic, tried to learn and practice the Buddha’s teachings thoroughly and tried to expand and project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roughout the Buddhist sect as a pioneer of his times. Furthermore, I noticed that as a thorough ascetic, Beop-jeong resisted the injustice of the world and tried to establish justice with his whole body, and that he proudly stood in the ranks for the democratization of society. Ven. Beop-jeong was born at a seashore port of Woosooyoung, Haenam, Jeollanam-do where the sound of waves is heard from close by and there he spent his childhood. Unfortunately, he lost his father when he was four years old, and he was raised by her grandmother. Even though his family wasn’t well off, they was so highly enthusiastic about education that he moved to Mokpo, where he attended to middle and high school and university. At that time, Beop-jeong who suffered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took a leave of absence in the third year of university due to existential concerns, and he finally renounced the world and became a disciple of Hyobong, a great Seon master of the times. After his renunciation, he read and mastered the Buddhist scriptures, Tripitaka Koreana (Haeinsa Tripitaka Koreana) and tried to spread the Buddha’s teachings to the world. While participating in the compilation project of The Buddhist Dictionary, Beop-jeong vowed to translate the great volume of Tripitaka Koreana into Korean. He came to Seoul and started to translate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Institute of Buddhist Scriptures Translation. At that time, he would publish manuscripts in “Daehan Bulgyo” newspaper and worked as an editor in chief and commentator. Also, while publishing various writings such as a folktale, poems and critics, etc. in “Daehan Bulgyo” newspaper, Beop-jeong started activities to democratize the society and the inside of the Buddhist sect. In the 1970s, he served as a member of the editorial board of the “Sound of the SSial”, (The Voice of the People), a symbol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Besides, he became a representative social democratization figure of the Buddhist community working for the National Council for Democracy and Protection while interacting with Jang Jun-ha and Ham Seok-heon, etc. However, he witnessed the death of innocent persons through the Second Inhyeokdang Incident, and as a person who has spearheaded social democratization, he keenly felt the responsibility for not preventing their death. That’s why he started to live a simple life in Bulilam Hermitage for self-inspection as an ascetic. Through this process, he wanted to see the world in his own way and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his own writing. With the determination of initial commitment, he chose to go back to the mountains with the mind of re-renunciation. In addition, Beop-jeong had time for self-contemplation through many oversea trips. For him, traveling was not just an outing, but a time of self-contemplation through practicing asceticism like wanderings. That is, he wanted to cast away something old and redundant, and to refresh and purify the frame of thought by looking around the new world. Ven. Beop-jeong consistently tried to look at the world with clear and innocent eyes like a little prince throughout his life on the basis of the Buddha's teachings. Hence, he renounced the world in order to realize this end, and he also attempted to looked at the world as it is. That’s why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practicing his renunciation-vow as he well expressed in his writings. Because there was such an endless and upright practice, his many writings gained sympathy from the whole nation and became a best seller as well. Then, Beop-jeong was not just an essayist who looked at nature and sang about its the beauty. Rather, he was a practicing ascetic who tried to see the world with clear and transparent eyes of a little prince and who intended to express such an idea succinctly. Sometimes he tried to embrace the pain of the world, and he was a Samantabhadra(보현보살) in our times in which he constantly delivered a message, Take off your old clothes towards the Buddhist order. Considering the above facts, I attempted to look into Ven. Beop-jeong’s various aspects by trac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s perception of the times. As a result,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eop-jeong renounced the world in 1954, and afterwards he learned sincerel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while researching the Koreana Tripitaka and translating it into Korean at Haeinsa temple. Second, in 1960, he began a full-scal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by compiling The Buddhist Dictionary at Tongdosa Temple. Third, he worked as a translator at Dongguk Institute for scripture Translating,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Haeinsa Temple and Seoul, and he published writings that present a right faith in Buddhism and clarify society in “Daehan Bulgyo” and daily newspapers, etc. Fourth, from the late 1960s to the mid-1970s, he actively engaged in social democratization activities, representing the Buddhist community. Fifth, in 1975, he returned to a reclusive life at Bulilam, and there he set up a way of thinking, naturalism, based 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Sixth, even in a life of unity with nature, he launched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and also developed a civil society movement under a catch-phrase ‘Clean and Fragrant.’ Finally, he was a pioneer who communicated with neighboring religions and delivered a message of peace to our society. Ven. Beop-jeong was a true ascetic who was not bound by anything and was absolutely a free man. Also, he was a great saint in our times who was responsible for what he had said and put it into practice: a man of consistent speech and conduct. As an upright ascetic who never lost his original intention of renunciation through a thorough self-inspection, Ven. Beop-jeong would present a right path for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with clear logic. Especially, through various media outlets, he demonstrated the image of a journalist and democratic figure who wanted to improve the Buddhist world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Ven. Beop-jeong was also a pacifist who opposed all wars, awakening peace on the basis of ‘not taking life’ of Buddhism. In particular, in his youth, he keenly cherished peace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was imprinted in his mind. That’s why he would write writings fiercely opposing the dispatch of government troops to Vietnam. He have never taken position of head monk at any temple in his whole life, but he was no less respected than patriarch. Even though he built a clean and large temple, he did not stay there for a single night. Like this, Ven. Beop-jeong was a genuine master of this times who had lived a honest poverty keeping his original intention of renunciation. Above all, Beop-jeong delivered the Buddha’s teachings to the public as well as Buddhists in more succinct and common-sense dictions. Also, he always kept a humble attitude without puting forth authority and on the other hand, he flatly rejected the title ‘great master’ and always insisted on calling himself ‘Bhikkhu Beop-jeong’, which impressed modern people. Like this, he moved the hearts of the whole nation through writing in his own unique diction. Above all, it is the most important that Beop-jeong’s critical attitude in the manuscripts of “Daehan Bulgyo” is still influential in Korean Buddhism. In particular,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at he is an ascetic and journalist who wrote straightforwardly. That is, for the purpose of Buddhism development, he continually wrote advice and criticism in “Daehan Bulgyo” in the 1960s when Buddhist Order, especially the Jogye Order, was in a state of confusion. In addition, Ven. Beop-jeong presented a message of peace to the Jogye Order marked by internal conflict and struggle and suggested concrete solutions to problems through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 article ‘Silent Crime - Bongeunsa Sold’ was the opposite of the executive branch of the Jogye Order at that time, his direct claim showed a figure as an opinion leader who criticized the leakage of the precious property of Buddhism. Sixty years later, Ven. Beop-jeong’s argument turned out to be right one to prevent the loss of a tremendous amount of Buddhist assets. Unfortunately, the Jogye Order’s assets had been lost due to continual conflict and struggle, but it makes us realize how valuable the right insight of Ven. Beop-jeong’s was. Ten years have passed since Ven. Beop-jeong passed away, but in-depth research papers on his thought seem to be rare. As a result of the examining more than 50 books including his own writings and translations, I could confirm that his each letter and sentences contained profound teachings of the Buddha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practical methods. Consequently, I hope that this dissert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study Ven. Beop-jeong’s thought more deeply, and that the ‘Institute for Ven. Beop-jeong Thought’ and ‘Beop-jeong’s Studies’ will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the Buddhist community. If these events are carried out smoothly, they will be a good alternative that will make the world more clean and fragrant, I am sure. 본 논문은 우리 시대를 살다가 원적에 든 법정(法頂/1932~2010)스님(이하 법정으로 호칭)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법정을 평할 때 자연에 귀의한 불교생태주의자로 『무소유』라는 아름다운 수필을 세상에 발표한 ‘맑고 향기로운 말씀’을 전한 인물로 평가한다. 하지만, 법정을 평가함에 있어 불교의 가르침을 철저히 공부하고, 수행을 통한 자기 점검과 사회 전반에 걸쳐 고민한 흔적은 물론, 불교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교단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행로를 제시한 시기가 있었음에 주목해야 한다. 법정이 원적에 들기 1년 전인 2009년 불교신문사에 근무하고 있었던 본 연구자는 1960년대 신문 합본호에서 법정이 <불교신문>의 전신인 <大韓佛敎>에 재직하며 쓴 100여 편의 글들을 발굴했다. 어떤 글은 ‘법정(法頂)’이라는 법명을 기명(記名)해 놓았고, 어떤 글은 필명이나 혹은 자호(自號)처럼 여기며 사용했던 ‘청안(淸眼)’, 소소산인(笑笑山人)’ 등의 이름을 달고 있었다. 법정의 혈기왕성한 청년 기백이 살아 있는 원고 70여 편이었다. 법정의 원고는 시와 칼럼과 논단이었다. 1963년부터 1977년까지 쓴 그의 원고에는 서릿발 같은 계율에 입각한 진지한 자세도 보였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입각해 불교교단이 어떻게 서야 하는지에 대한 스스럼없는 직필의 경향이 뚜렷했다. 법정의 원고 68편은 2019년 11월에 『낡은 옷을 벗어라』라는 제목으로 처음 세상에 나왔다. 이 책이 출간되자 새로운 과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법정이 문명 저편의 자연주의에 심취한 단순한 정적(靜的) ‘에세이스트’가 아닌 생(生)을 관통하며 고뇌한 다양한 법정의 행보가 시대별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법정의 책 『낡은 옷을 벗어라』는 기존에 나온 저서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한때, 법정의 저서 대부분이 경전번역서나 칼럼들이었고, 송광사 불일암으로 처소를 옮긴 이후, 자연친화적인 글들이 법정을 대변하는 글이었다면, 『낡은 옷을 벗어라』에서는 거침없이 세상을 향해 비판의 잣대를 들이대는 ‘청년 법정’, ‘불교개혁주의자 법정’의 모습이 투영돼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화를 위해 던지는 ‘민주주의 수호자 법정’의 화두도 고스란히 배어 있었다. 본 논문은 법정이 <大韓佛敎>에 남긴 글과 여타 원고 100여 편을 종합적으로 연구, 분석해 출가에서부터 원적에 들기까지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연 친화적인 ‘맑고 향기로운 글’로 충만한 ‘에세이스트 법정’에서 탈피해 초발심자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철저하게 익히고 실천했으며 그 가르침을 불교교단 전반에 확장시키고 투영시키려 매진한 ‘선각자(先覺者)’ 법정에 주목했다. 나아가 법정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랐던 철저한 수행자로서 세상의 불의에 항거하고 온몸으로 부딪치며 정의를 바로 세우려 노력했고, 사회의 민주화를 위한 대열에 당당히 나섰다는 사실을 분석했다. 법정은 파도소리가 지척에서 들려오는 전라남도 해남 우수영의 바닷가 포구에서 태어나 남해바다의 품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4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할머니 품에서 자란 법정은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교육열이 강한 집안 가풍으로 중학교 시절 목포로 전학해 중·고등학교를 거쳐 대학교까지 모범생의 삶을 살았다.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은 법정은 존재론적 고민에 싸여 대학교 3학년 때 휴학을 하고 출가해 수행자의 길에 접어든다. 당대의 선지식이었던 효봉스님을 스승으로 출가한 법정은 고려대장경(해인사 팔만대장경)에 파묻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몸소 익힌 뒤 그 가르침을 세상에 구현하려 하였다. 법정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전으로 만드는 『불교사전』 편찬사업에 참여하는 한편, 방대한 고려대장경을 한글로 번역하려는 원을 세우고 상경해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과 인연을 맺으면서 본격적인 경전번역에 나선다. 비슷한 시기에 <大韓佛敎>와도 인연을 맺으며 원고를 게재하고 주필과 논설위원으로 적(籍)을 두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또한 법정은 <大韓佛敎>에 설화와 시 논단 등 다양한 글을 게재하면서 불교교단 내부와 사회 민주화를 위한 활동에도 나섰다. 1970년대에 법정은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었던 『씨ᄋᆞᆯ의 소리』 편집위원을 맡는다. 장준하, 함석헌과 교류하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에 활동하는 불교계를 대표하는 사회민주화 인사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법정은 ‘제2 인혁당 사건’을 겪으며 무고한 사람의 죽음을 목도하며 사회민주화에 앞장서 온 사람으로서 죽음을 막지 못한 책임감과 출가수행자로서의 자기점검을 위해 송광사 불일암으로 은거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겪으면서도 법정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을 보고자 했으며 그만의 글쓰기로 세상과 소통했다. 초발심의 각오로 재출가의 마음으로 다시 산중(山中)을 택했다. 뿐만 아니라 법정은 많은 해외여행을 통한 자기 관조의 시간을 가진다. 법정에게 여행이란 단순한 나들이가 아니라 만행을 통한 자기 점검이자 관조의 시간이기도 했다. 여행을 통해 묵은 것들을 씻어내고 새 것을 담아내어 생각의 그릇을 정화시키기도 했다. 법정은 일생을 일관되게 어린왕자와 같은 맑은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려 했으며 그 매개체는 부처님의 가르침이었다. 이를 위해 출가수행자의 길을 걸었고, 불교의 가르침에 입각해 세상을 가감 없이 바라보고 그가 쓴 글처럼 실천하기 위해 평생 정진했다. 이러한 끝없고 올곧은 실천행이 있었기에 법정의 글은 전 국민들에게 공감을 얻어 어느 가정의 서재에도 꽂혀 있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법정은 많은 대중들이 외면적으로 알고 있는 자연을 바라보고 아름다움만을 노래하는 단순한 에세이스트가 아니었다. 그는 맑고 투명한 불성을 갖춘 어린왕자의 명경(明鏡)같은 심성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오랜 침묵으로 그 시선을 언어로 만들어 세상에 내놓았고, 그렇게 실천하며 살아가려고 한 실천수행자였다. 때로는 세상의 아픔을 온몸으로 껴안으려 했고, 자신이 몸담았던 불교교단을 향해서는 부단한 노력으로 ‘낡은 옷을 벗어라’는 화두를 부단 없이 던진 ‘우리시대의 보현보살’이었다. 연구자는 법정스님의 다양한 면모를 살피면서 그의 시대정신 형성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법정은 ➀1954년 출가 후 해인사에서 고려대장경을 공부하고 번역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체득했고, ➁1960년 통도사에서 『불교사전』을 편찬하며 본격적인 경전번역에 나섰고, ➂해인사와 서울을 오가며 동국역경원 역경위원으로 활동하며 <大韓佛敎>와 일간 언론에 불교에 대한 바른 믿음과 사회를 맑히는 글을 게재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 ➃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불교계를 대표해 사회민주화 활동에 적극 나섰고 ➄1975년에는 송광사 불일암으로 은거에 들어가 연기적 자연주의 사유를 구축했다. 또한 ➅자연과 합일하는 삶 속에서도 세상과 소통하며 ‘맑고 향기롭게’라는 시민사회 운동도 전개했고 ➆이웃종교와도 소통하며 우리 사회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 선각자였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법정은 그 어디에도 속박되지 않은 참수행자였으며 절대 ‘자유인’이었다. 스스로 한 말을 서릿발처럼 여기고 실행해 옮기며 우리시대에 왔다 간 큰 성자였다. 철저한 자기점검으로 초심을 잃지 않았던 수행자로서 불교교단에도 명쾌한 논리로 올바른 길을 제시해준 선각자였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방편설로 삼아 다양한 매체에 정론을 펼치며 불교계와 사회를 밝히려는 언론인의 모습과 민주화 인사의 면모를 함께 보여주었다. 법정은 불교의 불살생계를 통한 평화를 일깨우며 모든 전쟁에 반대한 평화주의자이기도 했다. 젊은 시절 한국전쟁의 참화를 겪었던 경험이 각인된 탓에 평화를 뼛속깊이 새겼던 인물이었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정부 파병을 온몸으로 반대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평생 사찰 주지 한 번 하지 않고도 온 국민으로부터 종정 이상의 존경을 받았던 비구였고, 대궐 같은 도량을 일구어 냈음에도 그곳에서 단 하룻밤도 머물지 않고 스스로 청빈한 마음의 초발심을 견지하고 살다간 이 시대의 진정한 선지식이 ‘비구 법정’이었다. 법정의 가르침이 현재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감명 깊게 다가오는 이유는 가장 현대의 언어로, 불자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상식의 언어로 전했기 때문이다.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가장 낮은 하심의 자세로 몸을 현현(顯現)했지만 그 진정성이 가장 존경을 받은 성자로서의 자격을 갖춘 셈이다. 법정은 글이라는 ‘언어 사리(舍利)’로 온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 그는 평소의 삶에서 ‘큰스님’이란 호칭을 단호히 거부했으며 자신을 칭하는 수식어에 ‘비구’라는 호칭만을 고집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법정이 <大韓佛敎>에 원고를 게재하며 주장했던 비판의식은 지금의 한국불교에도 통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법정이 수행자이면서도 정론직필을 했던 언론인의 모습이다. 법정은 1960년대 불교교단의 혼란한 틈바구니 속에서도 부단 없는 글로 불교교단, 특히 조계종단의 발전을 위해 고민한 흔적을 <大韓佛敎>에 남겨 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법정은 갈등과 투쟁이 만연하던 조계종단에 평화의 메시지를 던지고 대화와 소통을 통한 문제해결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침묵은 범죄다-봉은사가 팔린다」라는 글은 당시 조계종단 집행부의 입장과 정반대의 행보였지만, 법정의 정론직필 주장은 삼보정재 유출을 비판하는 오피니언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불교교단에 던지는 법정의 논지는 60년이 지난 지금 판단해 볼 때 천문학적 금액에 이르는 불교재산 유출을 막는 올바른 주장이었음이 증명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조계종 재산이 망실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말았지만 법정의 올바른 통찰력이 얼마나 소중한 가르침이었는가를 깊이 깨닫게 해주는 대목이다. 법정이 원적에 든 지 10년이 지났지만 그의 사상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미미해 보인다. 법정의 저서와 번역서 등 50여 권을 살펴 본 연구자는 한 글자, 한 문장 속에 심오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아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철저하게 준비된 가장으로 한 문장의 글 속에는 반드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법이 들어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이 논문을 시발점으로 법정의 사상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나아가 불교계에서 ‘법정사상연구소’가 하루 속히 설립되어 그의 새로운 사상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아울러 법정의 다양한 가르침이 ‘법정학(法頂學)’으로 정립되어 후세에 또 다른 영역으로 설파되어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만드는 자양분이 되길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