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傳來童話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직소퍼즐 표현 연구

        김은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의 특징을 뚜렷이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와 한국의 전래동화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감각이 조화된 직소퍼즐을 표현연구 함으로써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이미지를 보다 뚜렷이 나타내고 전래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을 조금 더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직소퍼즐로서 표현해보기 위함이다.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전래동화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른 나라와 영향을 주고받은 경향이 있다. 신화나 설화의 기원이 같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에서 비슷한 이야기들이 생겨난다. 이것을 자국에서 형성되는 고유한 전통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전래동화 이야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현대 문화 사회는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의 등장으로 일러스트레이터들은 시각적인 측면 뿐 아니라 또 다른 특별한 무언가를 찾기 시작하였다. 요즘은 각 나라마다 자국의 특징을 살려 전통과 문화를 접목, 이미지로 나타내어 다른 나라와 차별화를 두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래동화의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주제선택을 위한 범위를 한정한 뒤, 그에 따른 전래동화들을 함께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우리나라만의 특징을 한눈에 잘 알리고, 직소퍼즐로써 표현해보는 연구효과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method to activate more illustra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and express cultural identity of Korea more clearly as jigsaw puzzle by studying expression of jigsaw puzzle which harmonized tradition and modern sense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of Korea and images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Korea clearly. Various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of Korea have tendency to exchange influences with other countries according to flow of period. Due to same origins of myth and tales, similar stories were formed in different cultural areas. Based on the unique traditional culture which has been forming in each country, it was completed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In modern cultural society, with the appearance of designs which stimulate sensitivity, illustrators have come to find something special as well as visual aspect. Currently, there are many cases to ha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countries by expressing images by grafting tradition and culture by saving feature of each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study effect to express as jigsaw puzzle and reveal Korean own features by expressing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after limiting the range to choose theme to express features of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of Korea well.

      • 쌀(米)을 주제로 한 시각적 문화포스터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김이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백미는 3가지 쌀 중의 일종이며, 다른 종류의 쌀보다 백미의 생산량은 제일 높다. 백미는 독특한 지역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사람이 누구나 밥을 먹어야 하며, 특히 쌀을 생산하는 지역은 쌀은 기본 음식이고, 사람의 생존에게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제품으로서의 쌀은 시각적으로 디자인할 때 다른 상품과 다르다. 시각적인 일반 요구를 만족하는 외에 쌀 문화를 뚜렷하게 구현해야 하며, 지역 문화가 백미의 시각적 디자인에 융합되어야 하며, 백미의 오래된 역사, 독특한 문화 특성 및 전형적인 지역특징을 충분히 구현한다. 백미의 시각적 디자인은 마땅히 심미적 가치를 가져야 하는 것에 대하여서는 거의 논쟁이 없다. 그러므로 쌀에 관한 포스터디자인은 더욱 현대적의 표현을 필요로 한다. 백미의 시각적 디자인 연구 취지는 시대 특색에 부합되는 백미의 시각디자인 원리와 심미 변화를 탐구하며, 백미의 시각디자인의 외관적 질량과 시각적 충격을 제고하며, 백미의 부가가치와 전반적이 시각효과를 증가하고 사람들의 심미수요를 만족하며 더 높은 심미 효과와 수익을 창조하는 것이다. 백미의 시각적 디자인은 시각 디자인 중에 대표적인 디자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백미의 시각적 디자인 연구 취지는 시대 특색에 부합되는 백미 시각디자인 원리와 심미 변화를 탐구하며, 백미 시각디자인의 외관적 질량과 시각적 충격을 제고하며, 백미의 부가가치와 전반적이 시각효과를 증가하고 사람들의 심미수요를 만족하며 더 높은 심미 효과와 수익을 창조하는 것이다. 백미 시각디자인 연구는 먼저 쌀에 대한 문화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현대 시각디자인 이론의 지도에 따라 조사연구, 문헌연구 등 방법으로 백미의 속성, 역사적인 문화배경, 시장현황 등에 대하여 분석 연구한다. 디자인 실천을 통하여 백미 시각디자인이 인쇄기술과 그래픽 디자인 등 측면의 응용을 분석하여 백미 시각디자인 포스터에서 문화적 상징성, 전통적 가치, 사회적 의미, 조형적 특성을 표현하였다. 조형적 형식미의 이론적 배경으로 백미의 시각적인 도형, 문자, 색채를 연구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백미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백미의 특성을 뚜렷하게 시선을 끓게 표현하였다. White rice which possesse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among three types of rice with largest output. It can bring visual enjoyment and emotional feeling to people beside its material function. In the visual designing procedure of white rice, it should be merged into regional culture and reflects its history, special culture and typical regional characteristics completely. The visual poster design of rice should be companied with cultural aesthetic value and sympathy with the spirit of people, and it should also show out its perceptual form. Therefore, the visual design of rice ought to focus on the times’ aesthetic expression of external form. The visual poster design of rice is typical and representative practice in visual design. The study to visual design of rice explores its era characteristic and aesthetic changes, improves the aesthetic appearance and visual impact, and enhances its cultural identity and overall visual effect. The higher aesthetic effect will be achieved to meet people’s aesthetic needs. This thesis focuses on visual design of rice with its culture background and the guidance of culture poster using reference searching method. The thesis analyzed the propertie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situation of rice. Cultural symbol, traditional values, social significance and shape characteristics will be shown in designing practice. The visual pattern, text and color design of rice was researched on the base of artistic molding theory in order to indicate rice’s features, reflected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attract attentio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color processing and design process of visual pattern and color design of rice were described by above study tools companying with illustration of graphic material and design examples.

      • 도시 이미지를 활용한 관광포스터 연구 : 한국 12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태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논문요약 도시 이미지를 활용한 관광포스터 연구 - 한국 12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 오늘날 세계는 국가 간의 교류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으며 문화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8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앞으로 1000만 명 관광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특정 관광지에 대한 홍보를 체계적이지 못하고 너무 방만하게 추진하였고 그 결과 아직까지는 대한민국에 대한 강한 이미지를 심어주지는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광객들은 한 나라를 방문하기 전에 그 나라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홍보물을 통하여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다. 그 정보를 얻기 위한 홍보물 중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인쇄매체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관광포스터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외 관광객이 특정관광지에 대한 좋은 정보를 얻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해외관광 포스터의 사례를 보면 어느 특정 지역의 관광지 혹은 문화인지를 알 수 있도록 표현하여 홍보하고 있는 포스터들이 많이 보여지고 있는데,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관광포스터를 보면 많은 아름다운 관광지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것들의 이미지를 통합하여 보여줄 뿐 체계적으로 나누어 그것이 어느 특정 지역의 관광지와 문화재인지를 표현하여 홍보하고 있는 관광포스터들은 아직까진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포스터의 개념, 표현소재, 특성, 문화적가치, 국내외 관광포스터 사례 등 포스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의 본문 속 ‘한국여행 중 방문한 시·도(서울지역, 인천/경기지역, 경상지역, 제주지역, 강원지역, 충청지역, 전라지역 등 7개 지역)’의 조사결과에서 12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경기도_수원시, 강원도_강릉시, 충청북도_청주시, 충청남도_공주시, 전라북도_전주시, 전라남도_목포시, 경상북도_경주시, 경상남도_통영시, 제주특별자치도 등)을 선정하여 그 지역의 역사, 상징, 이미지, 관광자원 등을 이론적으로 소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한민국 12지역의 다양한 관광지, 문화재, 음식, 축제 등에 관한 이미지를 응용하여 시리즈 형식의 12개의 작품 포스터를 제작하였다. ABSTRACT A Study of Tourism Posters Using Areal Images - With a Focus on Twelve Areas of South Korea - Lee, Tae Kwang Visual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Today's world has international exchange speeding and its areas diversifying ever more. Current annual number of visitors to South Korea has exceeded 8 millions and is expected to run up to 10 millions in the near future. It reflects the reality that international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are ever on the increase. Bu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worked in an disorganized and incoherent way and up until now failed to impress on the world a strong image of South Korea. Generally, tourists get information on a country they are going to visit from the publicity materials offered by it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Of various publicity materials providing information on tourist sites, print media offers easily available information on tourist sites, and tourism posters in print take up the largest portion. This is becau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primarily aim to get useful and helpful information on specific tourist sites. In case of international tourism posters, those promoting publicity on specific areas by helping locate and recognize their cultures constitute a majority. When you look at the local tourism posters, however, you see that they mostly make a simple consolidated display of those images that represent Korea and rarely find those posters that, organized in a system, offer specific information on locations and their cultural features, and this, despite the abundance of tourist attractions and cultural assets. This thesis begins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ourism poster, focusing on its concept, materials for production, characteristics, cultural valu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I have selected twelve areas of Seoul, Incheon, Busan, Suwon of Gyeonggi-Province, Gangneung of Gangwon-Province, Cheongju of Chungcheongbuk-Province, Gongju of Chungcheongnam-Province, Jeonju of Jeollabuk-Province, Mokpo of Jeollanam-Province, Gyeongju of Gyeongsangbuk-Province, Tongyeong of Gyeongsangnam-Province, and Jeju from the list of "cities and provinces of South Korea visited" (including seven major regions of Seoul, Incheon/Gyeonggi-Province, Gyeongsang-Provinces, Jeju-Province, Gangwon-Province, Chungcheong-Provinces, and Jeolla-Provinces) presented in the 2010 Report o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Tourists provided b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And I have made a theoretical introduction on history, symbols, images, and tourism resources in each of the selected areas, on which basis I have created posters using images related to various tourist sites, cultural assets, foods, and festivities in each of the twelve areas constituting the scenic beauty of South Korea.

      • 중국의 衣食住行 이미지포스터 硏究

        유학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Although a country’s cultures are various, it is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e cultures of that country. I think the easy and fast way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one country is to get to know the people’s clothing, food, housing, transportation there. Chinese folk boasts more than five thousand years magnificent culture history. Just like China’s long history, Chinese folk culture is rich and multiple. In order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I researches things related to Chinese clothing, food, housing and transportation in this thesis. Talking to basic necessities of life, Korean people always think about “Clothing, Food and Housing”, while Chinese people think about one more, that is, “Transportation”. Clothing is human-being’s unique cultural phenomenon. The clothing culture of Chinese folk is one of the abundant, accumulated and splendid treasures in its long history. This thesis generally describes this point from three aspects in different Chinese times. Food (음식/ 飮食) in Korean language includes eating food 음식’s 식(食) and delicious drink음료(飮料)’s 음(飮) two parts. Just like its food history, Chinese history has a standing tradition. Chinese food develops in a various way according to different areas, people and food materials. Chinese food is cooked in a short time with strong fire, which can not destroy nutrients. Besides, it tastes great and develops in a way that all people regardless of age and sex like it. Chinese construction history is also back to a long time ago. Natural environment, mode of production, patriarchal clan system, religions, folks, and so on, are the strongest factors towards its living custom. Chinese ancestors built all kinds of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imag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places their descendants lived. Chinese traditional concept also can be appreciated through Chinese living customs. There were cities with well developed traffic long before in China. The political center cities have connected the water and land transport to a great extent. From the oracle words vehicle(車) and boat(舟), we can work out that the water and land transport have a very long history. This thesis introduces kinds of folk culture through clothing, food, housing and transportation in daily life of Chinese people. The author of this thesis uses the poster to realize the images of 12 series works which related to Chinese clothing, food, housing and transportation. 한 나라의 문화에는 여러 가지 있지만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에는 쉽지 않다. 그 나라의 문화를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그 나라 사람들의 의식주행(衣食住行)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민족은 5천년 이상의 휘황찬란한 문명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중국의 민속문화 내용은 그야말로 풍부하고 다채롭다. 중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논문에서 바로 중국의 의식주행과 관련된 것을 연구하고자 한다. 생활에 필요한 필수적 요소들을 한국은 흔히 “의(衣), 식(食), 주(住)”라고 하는데, 중국인들은 여기에 “행(行)”, 즉 교통을 또 하나의 요소로 생각하기도 한다. 복식(服飾)은 인류 특유의 문화 현상이다. 중화민족의 복식문화는 유구한 역사 속에서 풍부하게 집적된 현란하고 다채로운 보고(寶庫)의 하나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이 점에 대해 중국의 시대별로 3까지 측면에서 개괄적인 면모를 묘사하고자 한다. 음식(飮食)은 본래 먹는 음식인 식(食)과 마시는 음료(飮料)인 음(飮) 두 가지를 가리킨다. 중국의 역사가 곧 음식의 역사라 할 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중국음식은 지역에 따라 민족에 따라 식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었고, 중국음식은 센 불을 이용하여 영양소 파괴가 적고 빠른 조리시간과 맛 또한 우수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요리로 거듭 발전되어 왔다. 중국건축도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자연환경, 생산방식, 종법(宗法), 종교, 민속 등 거주(居住) 풍속에 가장 큰 영향을 비치는 요소이다. 중국의 조상들은 자신들이 사는 곳의 환경을 이용하여 각종 형태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을 만들어왔다. 중국의 전통 관념은 중국의 거주 풍속에서도 엿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교통이 발달하고 도시가 생겨났다. 정치 중심지인 도시들은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한 수상교통로와 육상교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 갑골(甲骨)문자 중에 ‘차(車)’와 ‘주(舟)’라는 글자가 있는 것으로 보아 육상교통과 수상교통의 기원이 매우 오래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인들의 평시 생활 속에 담겨져 있는 의식주행을 통한 각종 민속 문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12작품의 시리즈를 이룬 중국의 의식주행에 관한 이미지를 응용하고 포스터 작품으로 표현했다.

      • 中國과 韓國의 文化要素 比較硏究 : 포스터 제작

        엽맹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 문화의 요소들을 중국의 문화와 비추어 보면 많은 부분이 서로 겹치는 점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중국의 문화가 동양 문화의 원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국의 문물을 잘 받아 들여 우리 것으로 승화시키고 새로운 창작을 했었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같은 유교문화권으로 사회문화의 전통적인 기반이 유사하여 예절이나 풍습, 명절이 비슷하다. 또한 한자를 바탕으로 한 한글을 보면 알 수 있으며 쌀을 주식으로 한다는 것도 그러하며 악기의 모양도 비슷비슷하다. 하지만 중국을 원천으로 한 문화요소들은 한국적인 사상과 정신을 통해 변화된 문화 요소들이 한국적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음식의 방법이나 전통의복의 곡선과 생김새 등 중국과 또 다른 특징을 보이게 된다. 한국과 중국의 서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알게 된다면 그 다른 부분들도 외교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으며 각 나라가 비슷한 특징을 가진 문화로 친근하며 익숙함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의 특징이 잘 살아있는 의복에 포함된 저고리치마와 치파오, 음식으로써는 한국의 비빔밥과 훠궈, 이에 따른 주류로 막걸리와 고량주, 악기로는 가야금과 쟁, 전통놀이의 소품인 하회탈과 京剧脸谱, 각 나라의 문자인 한글과 한자 이렇게 총 12가지 문화요소를 소재로 포스터의 특징을 실어 표현하게 된다. 한국이 중국의 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여 어떠한 부분이 비슷하고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며 이에 따른 포스터속의 각 요소의 특징을 잘 살려 전통적인 문화가 각 나라 한국과 중국의 이미지에 전반적인 느낌을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문화포스터로서 핵심인 문화요소와 예술적인 느낌을 잘 융합하여야겠다.

      • 북한우표의 표현형식과 기법에 대한 연구

        최민호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Study on Expression Forms and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Choi, Min Ho The Major in Visual Design at Design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Stamps are considered 'small treasures' because they imply history, politics, cultures and celebrations of the country they are made of with the smallest graphic designs. Especially because North Korean stamps show clear goals of expressing politics, ideologies, society, cultures, arts and education of North Korea, they hav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lso, unique expression forms and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based on Juche literature theory in the limited socialistic systems. Also, North Korean stamps presented designs with a car used by the deceased Kim Il-sung, the uniform of North Korean Railroad attendants, natural monument, sports and performance arts. They were popular to global stamp collectors, and they are sometimes sold in high prices. The first North Korean stamp was issued in March, 1946, and on August 15 of the same year, the first portrait stamp was issued with the photograph of Kim Il-sung. Since then, North Korea started actively use stamps to campaign and incite socialistic ideologies and Juche Ideas of Kim Il-sung. The system of 'Juche realism' is creating even more inflexible world of art with the policy of idolizing Kim Il-sung. In the boundary of 'Juche literature theory, North Korean stamps have limited expression forms, techniques and contents. North Korean stamps show changes by period. Especially in 1980s, North Korea developed stamps from the medium of campaign and incitement for the national ideology and national enlightenment and reformation to a major source of income for the nation by issuing stamps with economic aspects. The stamps was intended to become and be developed as a major tour product. Also, expression forms and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clearly show many portrait stamps, in other words, stamps that worship individuals. For socialistic nations after Stalin, such tendency is only shown in North Korea. There are various types of such stamps. Most of them have stars and red color on the back, and a sickle and a hammer symbolize farmers and laborers. North Korean stamps have various expression forms and characteristics defending on their materials. But, they aren't as various as those of democratic countries, and their expression methods are comparatively simple. The reason can be found from the lagged printing techniques. The expression forms and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are strictly based on socialistic realism, and they contain revolution ideologies and government needs. From the aesthetic aspect, illustration, lettering, colors, layouts, dimensions and punchings were studied to identify unique expression forms and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in the limited socialistic system. If stamps are considered as one genre of art, considering implied expressions of politic ideas and historic facts from the graphic designs and understanding changes of expression techniques of North Korean stamps by period would b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North Korean arts and cultures microscopically. I hope this study helps people to understand arts and literary activities of North Korea with socialistic sentiments and ideologic differences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Key words: Juche Idea, North Korean stamp, stamp, Juche literature theory 북한우표의 표현형식과 기법에 대한 연구 우표는 흔히 가장 작은 그래픽디자인으로 ‘작은 보물’이라고 할 만큼 그 나라의 역사와 정치, 문화 또는 기념이 될 만한 내용들이 우표 안에 함축되어 담겨 있다. 특히 북한우표는 북한의 정치, 사상, 사회, 문화, 예술, 교육에 이르기까지 목적의식이 선명하여 역사적, 문화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통제된 사회주의 체제의 주체문예이론에 입각한 북한우표만의 표현형식과 기법도 새롭고 흥미롭다. 또한, 북한의 우표에서는 생전의 김일성이 사용하던 승용차를 도안한 우표, 북한 열차 승무원의 복장, 천연기념물, 스포츠, 공연예술 등을 소개하는 우표가 등장하며 이는 세계 우취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으며 높은 가격에 판매되기도 한다. 북한에서 최초의 우표를 발행된 것은 1946년 3월이었고 8월 15일에는 김일성 사진을 배경으로 한 최초의 인물중심 우표가 발행된다. 이를 시작으로 북한우표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이른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선전선동하기위해 우표를 적극 이용하기 시작한다. ‘주체사실주의’ 체제는 김일성 우상화정책과 맞물려 더욱 경직된 예술세계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북한우표는 이러한 ‘주체문예이론’의 틀 안에서 표현의 형식과 기법 및 내용을 규제 받을 수밖에 없다. 이후 북한우표는 시대별로 변화를 가지는데, 특히 1980년대에 북한에서는 우표의 활용에 있어 북한이 자국 이데올로기와 국민들의 계몽, 교화를 위한 선전선동의 매체에서 발전해 경제적 측면에서 우표발행을 통해 자국의 주요 수입원의 하나로 관광산업의 주요매체로 활용하고 발전하고자 한다. 아울러, 북한우표의 표현형식과 기법을 살펴보면 인물중심의 우표 즉 개인숭배 차원의 우표가 두드러지는데 스탈린 이후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북한이 유일하며, 그 종류도 다양하며 대체적으로 우표가 별과 붉은 색조를 바탕색으로 쓰고 낫과 망치가 자주 등장한다. 이는 북한우표에서 별과 붉은 바탕색은 혁명을 뜻하며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북한우표는 소재에 따라 표현형식과 특징이 다양하지만, 민주주의 국가에 비하면 다양하지 못하며 표현방법도 비교적 단조로운 것들이 많은데 그 원인은 낙후된 인쇄술에서도 찾을 수 있다. 북한우표의 표현형식과 기법은 철저히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충실해 있고 혁명이념이나 정부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으며 조형적 측면에서 일러스트레이션, 레터링, 색채, 레이아웃, 규격, 천공 등을 살펴봄으로써 통제된 사회주의 체제안의 북한우표만의 표현형식과 기법을 살펴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우표가 하나의 예술이라고 하면 본 논문을 통해 북한우표의 그래픽 디자인 측면에서 정치사상과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함축되어 표현하고 있는 지를 고찰해보고 시대의 변천에 따른 북한우표의 표현기법의 변화를 파악해 보는 것은 북한예술과 문화를 미시적으로 파악해 보고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가 사회주의의 정서와 이데올로기의 사생아인 북한의 예술문예활동을 이해하고 우리와의 문턱을 낮추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 주체사상 , 북한우표 , 우표 , 주체문예이론 , 표현형식

      • 유머광고의 관여도에 따른 효과성 연구 : 잡지광고를 중심으로(2010년 전반기)

        한유화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유머광고를 FCB가이드와 PCM에 따라 제품 색채를 나누고 제품 색채에 따른 유머광고의 효과를 알아보는 논문이다. 기존 논문의 경우 유머광고에서 유머광고가 비유머광고에 비해 효과가 우월하다는 것은 여러 논문에서 다루었지만, 제품색채에 따른 유머광고의 효과성 연구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설문조사에 앞서 이론적 배경은 유머광고 중에서도 비주얼 펀을 중심으로 유머광고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관여도에 있어서도 FCB 가이드와 PCM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2010년 3월~8월까지 20~30 남성, 10~20대 여성, 30대~40대 여성 패션잡지 각각 3~4권씩을 선정하여 유머광고를 추출 한 뒤 제품색채에 따른 유머광고의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존 논문의 경우 매체의 제한이 없거나, 매체의 범위가 너무 넓어 실질적이고 타당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으나 본 논문에서는 광고매체를 잡지매체로 한정하고, 자료수집 기간도 2010년 3∼8월까지 한정지어 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론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었다. 여러 논문과 단행본을 종합해 본 결과, FCB가이드와 PCM은 매우 유사한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FCB가이드와 PCM 모형을 함께 참고하여 제품을 4가지 색채 백색제품(이성+고관여) 청색제품(이성+저관여), 적색제품(감성+고관여), 황색제품(감성+저관여)로 분류하게 되었다. 분류된 제품색채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유머광고 전달 제품색채를 알아보고, 유머광고의 유머강약에 따른 구매의도 및 구매경험을 알아보았다. 제품색채 매트릭스의 각 공간에 위치한 제품색채별 유머광고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해도, 설득력, 구매의도의 측정에 있어 적색제품에서만 부정적이고 백색제품, 청색제품, 황색제품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렇지만 구매경험 측정에 있어서는 백색제품이 가장 부정적이고 청색제품과 적색제품 황색제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유머광고에 가장 적합한 제품색채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은 구매의도변화에 부정적인 적색제품과 구매경험변화에 부정적인 백색제품을 제외한 청색제품과 황색제품에 적합하다는 결론이다. 또 다른 결론은 유머광고의 유머강도 강약과 제품구매의도의 상관관계는 매우 크지만 유머광고의 유머강도 강약과 제품구매경험의 상관관계는 크지 않다는 것이다. 유머강약 보다는 제품 색채가 무엇인지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결론이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magazine ads, separates the product color according to the FCB guide and PCM and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humor ads by product color. Before the survey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in the visual fun amongst various kinds of humor ads, and as for the involvement, the study focuses on the FCB guide and PCM.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Humor ads would have a greater effect on low-involvement products than high-involvement products. (Effectiveness Study on White, Blue, Red and Brown Products) The result tells that the most adequate product colors for humor ads are blue and brown colors while the humor ads results in a negative impact on the changes in purchase intention for red color products and a negative impact on the changes in purchase experience for white color products. Hypothesis 2; Consumers' preference in humor ads would be different by age, gender, education and income. The degree of preference appeared to be higher in male, older,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than female, younger, lower education and lower income. Hypothesis 3;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experience would vary dependently on the degree of hum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humor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appeared to be very high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humor and product purchase experience appeared insignificant.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implied that the product color has greater impact on purchase decision than the degree of humor.

      • 서울시 행정지표에 따른 정보디자인 연구 : 포스터디자인을 중심으로

        김광동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공정보의 시각적 표현으로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디자인 연구이다. 지식 정보시화시대에 정보에 대한 관심과 역할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정보를 다루는 활동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 정보 사용자에 초점을 맞추어 커뮤니케이션 하기위해 정보 효율성 증진 방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그 중 하나가 정보디자인의 시각화이다. 지식정보화 산업에서 정보디자인에 대한 활용 범위가 넓고 정보 표현의 방법들 중에서 정보디자인 시각화의 활용 가치가 높다. 하지만 정보를 새로운 형태로 조직해서 사용자에게 제시 한다는 것에 어려움이 많고 더욱이 공공기관이라는 특정 집단으로 정보의 관리와 시각적 표현 방법이 일관화 되어 있으므로 유동적 변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사람들은 시각적 정보에 많은 영향을 받음으로 정보 파악에 있어서 시각적 메시지는 정보의 이해와 상용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은 사용자의 접근과 이해를 돕고, 정보의 새로운 경험을 유발하기에 시각적 표현은 정보디자인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정보디자인으로서 서울시 행정지표를 시각적(포스터)으로 표현으로 공공기관의 행정 업무에 효율성을 제고시키며 정보 사용자들에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이해성을 높이고 확장시키고자 한다. 더욱 나아가 지방자치단체의 정보의 표현방법과 접근방식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시각적 표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This research is a informational design research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public information. The interest about information and its roles in the er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ve changed constantly and the activity of dealing with information has steadily increased. The department of Design started to focuss on the information users that it has been interested in improving the effective ways of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One of the ways is to visualize informational design. The industr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a wide range of usage and the informational design and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al design is highly effective among the informational expression method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organize informations into a new form and present them to users. Moreover, the situation is that the specific group as a public agency has much difficulty in flexible changes as it has made the informational management and visualizing expression methods in a certain way. Because people are very much affected by visual information, for the grasp of information, visual message has much effect on the understanding and making it every day use of the information. The visualization of the informational design helps approaches and understanding of the users and causes new experiences of information that the visual expression has important roles in the informational design.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promote the administrational effectiveness of public agencies through the visualizing expressions of Seoul administrational index. Also it is to enlarge and heighten the users' approachabl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Above all, it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nformational expressions and approaches of the self governing district and seek the way to activate the visual expr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