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음화 실현 양상 연구

        박지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을 모든 유형별 각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하여 실현하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목록으로 구성된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 외에도 자유 발화 조사를 실시하여 실생활 대화 속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오류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대상은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기관 정규 교육 과정 6급에서 학습 중인 베트남인 학습자이다. 먼저 자유 발화 조사는 두 명의 베트남인 학습자를 매주 한 시간씩 총 10차례에 걸쳐 대화를 녹음하고 이를 전사하여 자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낭독 실험과 인지 실험을 위해 세분화된 유형별 환경으로 구성된 실험 문장을 제작하여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행하였다. 세 실험의 자료를 가지고 경음화의 각 유형별 실현율과 오류율을 도출하고 각 환경별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먼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인지 실험의 오류율이 38%, 낭독 실험은 20%, 자유 발화에서는 6.7%의 오류율을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경음화 실현에 크게 어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 발화의 경우에는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에 맞춰 어휘를 선택하여 대화를 구성해서 발화하였기 때문에 오류율은 더 낮게 나타났다. 각 실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체에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합성어 사이시옷 환경의 경음화와 어간 말 ‘ㄴ,ㅁ’ 의 어휘수가 많지 않아 학습이나 생활 속에서 노출 기회가 적은 용언 어간 말 비음 뒤 경음화로 나타났다. 둘째, 평파열음 뒤 경음화와 같이 비교적 쉬운 규칙의 유형이라도 환경별 경음화 실현에 차이가 있어 세부적인 환경에서의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했다. 셋째, 평파열음 자음군 뒤의 경음화 오류는 대부분 자음군 발음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자음군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넷째, 관형형 어미 ‘ㄹ’ 뒤 경음화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할 수’의 경우 100% 실현을 함으로써 난이도가 높은 규칙이라도 사용 빈도가 높으면 오류가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세 가지 실험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주된 오류 유형은 베트남어의 간섭으로 인한 철자법대로 음절별로 끊어서 발음하는 오류가 가장 많았고 선행 음절의 종성을 탈락하여 경음화를 적용하지 못한 경우와 경음을 격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등의 오류를 각 유형에서 골고루 발견할 수 있다. 여섯째, 유형별 각 환경에서의 오류를 비교해 봄으로써 계획된 문장을 읽은 낭독 실험에서보다 학습자가 스스로 구성하여 산출한 자유 발화가 인지 실험의 결과를 더 잘 설명해주는 객관적인 조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Vietnamese Korean learners apply and actualize glottalization phenomenon in all types of environment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formed as lists, as well as free articulation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practical errors that appear in real-life conversations. Subjects are Vietnamese learners studying level 6 formal curriculum in Korean Education Institute at university. Free articulation inquiry recorded conversations of two Vietnamese learners every week for an hour, for a total of 10 occasions, and transcribed them into materia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enty learners by producing experimental sentences composed of subdivided types of environments for recital experiments and cognitive experiments. Actualization rates and error rates of each type of glottalization was derived and error types for each type of environment was examined using the data from three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error rate of 38% in cognitive experiment, 20% in recital experiment, and 6.7% in free articulation inquiry, generally indicating that these learners have little difficulty in actualizing the glottalization. Especially in case of free articulation, the error rate was lower due to conversations that were composed of vocabular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learning ability and level. The results of each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 it appears that Vietnamese learners had most difficulty with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compound word ‘ㅅ’ an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pleonastic stem-final ‘ㄴ, ㅁ(ㄻ)’ which had little chance of exposure in studies or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shortage of vocabulary of the stem ‘ㄴ, ㅁ’.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eaching-learning must be done in detailed environments, as even the relatively easy type of rules, such as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differ in the actualization of glottalization by environment. Third, becoming glottal sound after obsturent consonant group are most often caused by errors in consonant group pronunciation, which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consonant group education. Fourth, in case of ‘할 수’ which is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becoming double consonant after an adnominal ending form ‘-(으)ㄹ’ actualized 100%, and by doing so, it was confirmed that errors can be reduced, only if high level of difficult rules are used more frequently. Fifth, in the three experiments, learners’ major type of errors was pronouncing words by breaking them down according to the spellings and syllables due to Vietnamese interference; also, errors such as failing to apply glottalization due to failure in pronouncing the leading syllable’s final consonant, and replacing tense sound with aspirated sound while pronouncing, can be found evenly in each type. Sixth, by comparing errors in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s, it was apparent that free articulation composed and produced by learners themselves was an objective investigation that better clarified the results of cognitive experiment than in the recital experiment that required reading the arranged sentences.

      • 순원왕후 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김수애 제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19th centu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is known as the bridge era between modern Korean and contemporary Korean. That’s becaus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Korean appeared in this period. Nevertheless, there ar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appearance of the 19th century Korean properly. Especially, the language in the royal court of that era is not known until present. In this sense, the eongan(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Queen Sunwon(1789∼1857) show not onl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ose days but also the appearance of the royal court.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rehend the state of Eongan from 96 cases of <Queen Sunwon’s Eongan> and to review the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dentifies the senders and recipients of total 96 letters, which consist of 33 letters of <Queen Sunwon Eopilbongseo(奎27785)> and 25 letters of <Queen Sunwon Eopil(古貴2410-21)> possessed by Gyujanggak Library, 4 letters possessed by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30 letters possessed by National Hangeul Museum, 4 letters privately possessed by Jo Yong-seon and 1 letter possessed by Konkuk University Museum, and reviews the orthography, phonological features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First, the senders and recipients of <Queen Sunwon’s Eongans> are identified along with the years of transcription. Queen Sunwon and figures around her are discussed. The life of Queen Sunwon and the political incidents of those days for two generations of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are reviewed. <Queen Sunwon Eongan> vividly and realistically shows the lifestyle of the royal court, the combination of political incidents and frank and personal emotions and treatment acts. These contents, which do not appear in official historical records such as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how the importance of data of letters between individuals. <Queen Sunwon’s Eongans> also show the attitude of forming the feeling of solidarity as family in the process of inquiring after relatives and families out of royal court. This is the example of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 eongan and has high value as data. Unlike eongan of noble ladies, envelopes still remain in many cases. Therefore, these are very important resources to research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envelopes of the 19th century royal court women’s eongan. In addition, the inserted paper separated from the envelope contains the respect for the sender’s social status. Meanwhile, the style of Queen Sunwon’s handwriting is the typical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well showing elegant Jinheulimche(Genuine Cursive Font). Especially, it is cursive Chinese characters, which is dynamic and sophisticated due to quick strok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ding parts are broad space between the lines and open space, which express the dignity in combination with the purity of ink black. She could be considered as a master calligrapher at the status of queen. It also has formativeness and aesthetic features enough to be the basis of the calligraphy history of Hangeul. All numerous practices and narrative processes are revealed at the tip of the brush through all the situations Queen Sunwon went through, and her style has become the core penmanship of the calligraphy history of Hangeul until today. Regarding the notation characteristics of <Queen Sunwon’s Eongans>, first, there are ㅺ, ㅼ and ㅽ, which are the compoundcharacters of ㅅ, ㅄ and ㅶ, which are compoundcharacters of ㅂ, but there are no double consonantal letters. Second, there is a strong continual writing form compared with other eongans. This means the writings of <Queen Sunwon’s Eongans> are very conservative. Third, regarding aspirated sounds, ㅌ has remarkable aspect of methods of partial double spelling, and ㅍ has remarkable aspect of double phoneme writing. Fourth, the Palatalization Rule, which is shown in most noble families’ eongans in the 19th century, does not appear in these letters. This seems that the intention to resist the Palatalization Rule rather excessively is revealed. Fifth, there are hardly vowel rounding cases, displaying the conservative tendency in the phonological phenomenon.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volve case particles, auxiliary particles and the prefinal endings. The subject case markers are ‘이(i)’ and ‘가(ga)’. After nouns with consonant endings comes ‘이(i)’, and with vowel endings comes ‘가(ga)’. While the pronouns ‘나(na)’, ‘누(nu)’ and ‘저(jeo)’ were combined with the subject case marker ‘ㅣ’ in middle age Korean, in <Queen Sunwon’s Eongans>, ‘내(nae)’, ‘뉘(nui)’ and ‘제(je)’ are combined with the subject case marker ‘가(ga)’ again. There are examples of the honorific subject case markers ‘긔셔’ and ‘겨오셔/겨오샤’. Among them, ‘긔셔’ appears to be ‘셔’ in middle age Korean, but in these letters, ‘긔셔’ appears with ㅅ eliminated. ‘셔’ is the honorific form of the subject case marker developed from the c ombination of ‘-’, which is the adverbial case marker that displays ‘the dative of honorific’, and ‘-셔’, which is originated from ‘이셔’, the application of ‘잇/이시-’. Because the adverbial case marker ‘’ is grammaticaliz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genitive case marker ‘ㅅ’ and demonstrative pronoun ‘거긔’, ‘ㅅ’ can’t be eliminated voluntarily in ‘’ or ‘ 셔’. However in these eongans, these are expressed with ‘긔’ and ‘긔셔’ respectively. There is subject case marker ‘의셔(uisyeo)’ identified, which is similar to ‘에서(eseo)’ in contemporary Korean used as a subject case marker by being combined with group noun. The objective case markers are ‘ ’, ‘ 을’, ‘’ a nd ‘를’, and the dominating appearance frequency is ‘을’ and ‘를’. It is interesting that this tendency is the opposite aspect of the typical late modern Korean. In addition, the adverbial case marker for place is mostly ‘의(ui)’. Other adverbial case markers are ‘의게’, ‘긔’ and ‘려’. The adnominal case marker is uniformed to ‘의(ui)’. Among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s, the subject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s are ‘/은//는’. ‘은’ and ‘’ are mostly used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environments of preceding substantives, and ‘은(eun)’ is used in syllabication in most cases. However, ‘것(geot)’ is the only one used in liaisonism. The object honorific prefinal ending {--} is only used as the function of hearer honorific prefinal ending, which is the general feature of late modern Korean. In case ‘-시-’ of subject honorific and {-엇-}, the past tense prefinal ending, are combined, all ‘-아/어 겨시-’ forms appear instead of ‘셧’. While ‘- 겟-’, which expresses future, assumption and intention, is grammaticalized as the prefinal ending, sentences with ‘-게 -’ are still used. In these eongans, ‘-게 엿/게 여시-’, which are the original form before abbreviation, appear more often than ‘-겟-’ and ‘-게시-’. Regarding the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  이다’ of very honorific level, ‘ ’ /‘ ’ of ordinary honorific style and ‘ 다’ of non-honorific appear according to kinship, social status and social relationship between narrator and hearer. In these eongans, unusual aspects are identified in the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The first one is ‘ 다 ’ in letters sent to her son-in-law. In eongans of Joseon Dynasty, letters sent to son-in-laws were generally written in the ‘  ’ form, but among 30 letters sent to Queen Sunwon’s son-in-law Yun Ui-seon, 28 letters have ‘  ’ form, and 2 letters have ‘ 다’ form. Even though the social status of Queen Sunwon was very high, it is general to use honorific words in the ‘  ’ form to son-in-law, but interestingly, she used the ‘ 다 ’ form. There was coming-of-age ceremony of Queen Hyoyeon, the wife of King Heonjong, on the previous night. The letter contains resent and disappointment towards her son-in-law who didn’t attent the ceremony. In that sense, it is possible that the mental state of Queen Sunwon when she wrote the letters affected the speech level. Her disappointment at her son-in-law’s absence from the ceremony affected the honorification of this letter. It also shows how close she was with the third son-in-law Yun Eui-seon. Another interesting feature is that the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tatus. In the letter sent to her second cousin Kim Heung-geun, ‘  ’ and ‘  이다’ forms are used, which was identified to be involved with the change of Kim Heung-geun’s social status. In other words, when the status of the recipient was a minister, she used ‘  ’ form, and when he was promoted to the first vice-premier, she used ‘  이다’ form. This aspect of changing honorific expressions while using them strictly indicates that she considered her cousin’s higher position even though she was at higher status. As shown above, <Queen Sunwon’s Eongans> have languages and the orthography used in royal court and noble families along with new forms and expressions that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However, the orthography, phonological features and forms are characteristics before the 19th century. Therefore, <Queen Sunwon’s Eongans>, which reveal the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the 19th royal court language, have high Korean linguistic value. 국어사에서 19세기는 근대국어에서 현대국어로 넘어오는 교량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이 시기에 현대국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 들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19세기의 국어의 모습을 제대로 알기에 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19세기 왕실의 언어의 모습은 현재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순원왕후(1789∼1857년) 19세기 언간은 당대 언어적 특징 은 물론 왕실 언어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발굴된 <순원왕후언간> 96건을 대상으로 언간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학적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규장 각 소장 <순원왕후어필봉서(奎27785)> 33건, <순원왕후어필(古貴2410-21)> 25 건, 단국대석주선기념박물관 4건, 국립한글박물관 30건, 조용선 개인 소장 4건과 건국대박물관 1건 등 총 96건을 대상으로 발신자와 수신자를 파악해 보고, 나아 가 표기법과 음운, 문법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순원왕후언간>의 발·수신자와 필사 연대를 고찰하였고, 발신자인 순원 왕후와 그 주변 인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순원왕후의 생애와 2대에 걸친 수렴청 정에서 당시 정치적으로 일어났던 사건 등을 다루었다. <순원왕후언간>에서는 당대의 왕실 생활상과 진솔하고 개인적인 정서와 정치적 사건의 결합, 치병 행위 등을 매우 현실감 있고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조선왕조실록> 이나 <승정원일기> 등의 공식적인 사료에 등장하지 않는 정보들로서 개인 간에 주고받은 편지의 자료적 중요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순원왕후는 언간>을 통하여 왕실 밖에 있는 친척들과 서로의 안부를 묻 는 과정에서 가족이라는 연대감을 끈끈하게 형성하려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 다. 이는 19세기 언간의 형식적 특징의 사례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 특히 민간 사대부 여성들의 언간과는 달리 봉투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19세기 왕실 여성 언간의 봉투의 형식적 특징을 검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 럴 뿐만 아니라 봉투와 내지를 별도로 두어 발신자의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존 중의 의미를 형식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한편, 순원왕후의 서체는 전형적인 궁체로서 유려한 진흘림체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한문 초서의 필의로 획의 움직임이 빨라서 역동적이며 세련미가 있 다. 결구의 특징으로 행간이 넓고 시원한 여백은 먹빛의 청아함과 함께 어우러져 존엄한 위상이 느껴지며, 조선 왕후의 지위에서 명필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한글 서예사의 밑거름이 되기에 충분한 조형성과 미학을 가지고 있다. 이 는 수많은 숙련과 서사 과정이 내면 수양과 함께 순원왕후가 처해 온 상황들을 통해서 붓끝에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근현대를 거치면서 한글 서예사의 핵심적인 서체로 자리매김하였다. <순원왕후언간>의 표기적 특징으로는 첫째, ㅅ계 합용 병서의 ㅺ, ㅼ, ㅽ과 ㅂ 계 합용 병서인 ㅄ, ㅶ 등이 나타난 반면에 각자병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 시기의 다른 언간과 비교할 때, 연철 표기의 형태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순원왕후언간>의 표기가 보수적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셋째, 어중 유기음은 어중의 ㅌ의 경우는 부분 중철의 양상이 두드러지고, 어중 ㅍ은 이른바 재음소화 표기가 두드러진다. 넷째, 구개음화를 살펴본 결과 19세기 사대부가의 언간에서 대부분 이루어진 구개음화가 본 자료에서는 거의 실현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의 도적으로 지나치게 구개음화를 거부하려는 의식이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 째, 원순모음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음운 현상에서 상당히 보수적인 경 향을 보였다. 문법적 특징은 격조사와 보조사, 그리고 선어말 어미의 특징을 다루었다. 그중 주격 조사는 이 자료에서는 ‘이’와 ‘가’가 쓰였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이’가,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가’가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중 세국어 이래로 대명사 ‘나’, ‘누’, ‘저’에는 주격 조사 ‘ㅣ’가 결합하였으나, <순원왕 후언간>에서는 ‘내’, ‘뉘’, ‘제’에 다시 주격 조사 ‘가’가 결합한 양상도 보인다. 그 리고 존칭의 주격 조사 ‘긔셔, 겨오셔/겨오샤’의 예도 확인된다. 그중 ‘긔셔’는 중 세국어에서는 ‘셔’로 나타나는데, 이 자료에서는 항상 ㅅ이 탈락된 ‘긔셔’로 나 타나고 있다. ‘셔’는 “존칭의 여격”을 표시하는 부사격 조사 ‘-’와 동시 ‘잇/이 시-’의 활용형 ‘이셔’에서 기원한 ‘-셔’의 결합형이 높임의 주격 조사로 발전한 것 이다. 부사격 조사 ‘’는 높임의 관형격 조사 ‘ㅅ’과 지시대명사 ‘거긔’의 결합으 로부터 문법화한 것이기 때문에 ‘’나 ‘셔’에서 ‘ㅅ’은 수의적으로 탈락할 수 있 는 요소가 아니다. 그런데 이 언간에서는 이들이 모두 각각 ‘긔’와 ‘긔셔’로 나타 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 밖에 주격 조사 ‘의셔’도 확인되는데 이는 현대국어 에서 ‘에서’가 단체 명사에 결합하여 주격 조사로 쓰이는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 인다. 목적격 조사에는 ‘ ’과 ‘을’, ‘’ 과 ‘를’이 보이는데, 출현 빈도는 ‘을’과 ‘를’ 이 압도적이다. 이러한 양상은 근대국어 후기의 전형적인 모습과 반대의 모습이 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또, 처소를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는 전반적으로 ‘의’의 사 용이 우세한 양상을 보였다. 이 밖의 부사격 조사에는 ‘‘의게’, ‘긔’, ‘려’ 등도 확 인된다. 또, 관형격 조사는 ‘의’로 단일화되어 있다. 한편 보조사 가운데 주제화 보조사는 ‘/은//는’이 사용되었다. 이 가운데 주 로 선행 체언의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은’과 ‘’이 쓰이며 ‘은’은 대부분 분철되 어 사용되었다. 다만, 선행 체언 가운데 ‘것’의 경우에만 연철되어 쓰였다. <순원왕후언간>에서 객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은 상대 높임의 선어말 어미의 기능으로만 쓰이고 있는데, 이는 근대국어 후기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주 체 높임의 ‘-시-’와 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엇-}이 결합하는 경우는 ‘셧’과 같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모두 ‘-아/어 겨시-’의 구성을 취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 리고 미래, 추측, 의지를 나타내는 ‘-겟-’은 선어말 어미로 문법화되어 쓰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게 -’ 구문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 언간에서는 ‘-겟-’, ‘-게시-’ 보다는 축약 이전의 형태인 ‘-게 엿/게 여시-’가 더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상대경어법에서는 화자와 청자의 친족 관계, 신분 관계, 사회적 관계에 따라서 높임 등급인 ‘ 이다’체, 예사 높임 등급인 ‘  ’/‘  ’체, 안 높임 등급인 ‘ 다’체가 나타난다. 이 언간에서 상대경어법 실현 양상 가운데 특이한 모습을 두 가지 확인할 수 있다. 하나는 사위에게 보낸 편지에서 ‘ 다’ 체가 확인다는 점이 다. 조선시대 언간에서 사위에게 보낸 편지는 대체로 ‘  ’체가 일반적인데, 순 원왕후가 사위인 윤의선에게 보낸 편지 30건 중에서 ‘ ’ 체는 28건, ‘ 다’ 체는 2건이 확인된다. 순원왕후가 사회적으로 높은 직책이라도 사위에게 ‘  ’체로 어 느 정도 존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 다’ 체를 사용하기도 했다는 점에서 흥 미롭다. 그런데 ‘ 다’ 체를 사용한 언간은 전날 헌종의 비 효현황후의 관례가 있 었는데, 사위가 관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한 원망과 섭섭한 마음이 적혀 있다. 그렇다면 편지를 쓸 당시의 순원왕후 마음이 화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 이 있다. 사위가 헌종비의 관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한 서운했던 마음이 이 편지의 경어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셋째 사위 윤의선과 친밀 한 관계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하나는 지위에 따라 상대경어법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이는 점도 관심 을 끈다. 순원왕후가 재종 동생인 김흥근에게 보낸 편지에는 ‘  ’체와 와 ‘  이다’체가 쓰이는데, 검토 결과 수신자 김흥근 신분의 변동과 관련이 있었다. 즉, 수신자의 신분이 판서일 때까지는 ‘  ’체를 쓰다가 김흥근이 좌의정에 올랐을 때부터 ‘  이다’체를 사용하였다. 이는 엄격한 경어법을 사용하면서도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으로, 순원왕후가 상위자이기는 하지만 동생이 좌의정의 반열에 오른 상황에서는 지위에 대한 배려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순원왕후언간>은 국어학 측면에서는 왕실 및 사대부가에서 사용한 언 어와 표기법 및 19세기에 새롭게 등장한 형태나 표현들이 나타난다. 한편, 표기 법이나 음운론적 특징, 형태 등에 있어서 19세기 이전의 특징을 보여 준다. 그러 므로 19세기 왕실 언어의 보수적인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어 국어학적으로 가치 가 높다고 할 것이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육아 어휘장 연구

        진희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Parenting is gathering its importance as a theme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Chinese learners due to the increasing trend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and international exchange. This research is to discuss on a series of attempts to structuralize Korean infant care vocabularies based on field theory for Chinese learners. To select parenting vocabularies,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s main vocabulary book, Korean learning material used in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 Korean learning material for marriage migration women, Korean dictionary publish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with parenting by WangSoWe (2012) and Namho Jo (2003) were used. In this research, research is done on vocabularies related with children of 0~3 years, and three special criteria : ‘universality’, ‘representation’, ‘relativity’ that are set in line with the theme of ‘parenting.’ In discussion part, based on the field theory and a realistic common sense, the highest hypernym ‘parenting’ is divided into five hypernyms of ‘eating’, ‘playing’, ‘disease’, ‘social intercourse’, ‘hygiene’, and with the search results of interpretation of each hypernym from Korean Standard Dictionary, the thematic keywords of such classification are described. In same way, under the first classification, second, third, fourth classification are installed in detail and ultimately suggest the structuralization system of parenting vocabulary field as one phylogenic tree. Moreover, with such classification system, specific list of vocabularies is derived for each classification and summarized. The lists of parenting vocabularies that fit under designated classification sugges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171 words in ‘Eating’, 377 words in ‘Playing’, 187 words in ‘Disease’, 82 words in ‘Social Intercourse’, 118 words in ‘Hygiene’, and total of 935 words. Moreover, The research discus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ing vocabulary field and other vocabulary fields. The "Eating" section's inclusion of liquid foods such as "milk" in the "Staple Food" classification and the absence of spicy food in the "Snack" and "Material" vocabulary list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ing vocabulary field made according to the eating habits of infant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food vocabulary field. Other than this, there is a result that there are no spicy foods or strong-tasting foods such as ‘alcohol’ and ‘tea’ in ‘beverage’ classification. "Playing" part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 parenting vocabulary field for infants aged 0 to 3 in that "learning languages" and "sleeping habits" occupy important positions. For 'Disease' section, in addition to "cold" and "cough," other words such as "stuttering" and "intellectual disorder," which are representative diseases for children, also appear to be unique in the parenting vocabulary field. In addition, in the hospital and clinic sectors, places closely related to young children such as the 'Pediatric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were classified independently. "Social Intercourse" section shows that for infants who cannot establish a human relationship on their own and rely mainly on their parents, "family" members are their most important social objects. For 'Hygiene' section, since it important for parenting to care about the defecation problem, it is classified separately and includes the use of diapers and the use of toilets, as it is important for parenting. Another important problem for infants ‘Bath’ is suggested along with others as well. This research is the first discussion of infant vocabulary field in the Korean education academia. In the selection of subjects, the reason why 0~3 infants with relative simplicity as subjects was that the research was the very first of future researches on infant vocabulary field since they are the youngest of all children. Lastly, the research points out that vocabulary fields composed of children of 4~6 years or above 6 years are much more complicated than those of children of 0~3 years since they have formed their own memories and identities. Moreover, the research projects that future researches not only on children with ages above 4 but also on parenting vocabulary fields of various subjects will take place. 육아 (育兒)는 국제 결혼과 국제 교류의 상승 추세로 인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에 있어 하나의 주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중 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육아 어휘를 구조화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육아 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육아 영역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한국어능력시험 (TOPIK) 핵심 어휘 책과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교재, 결 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만든 한국어 교재, 유학생을 대상으로 출판된 한국어 사 전, 또 왕소웨(2012), 조남호(2003) 등 육아와 관련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0~3세 아이와 관련된 어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육아’ 주제에 맞추어 ‘보편성’, ‘대표성’, ‘연관성’이라는 세 가지의 특수 기준을 설정하여 제시 하였다. 논의 부분에서는 장이론을 바탕으로 또 현실적 상식에 의하여 ‘육아’라 는 최고 상위어를 크게 ‘식사’, ‘놀이’, ‘질병’, ‘사교’, ‘위생’ 다섯 가지의 상위어 로 나누게 되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각 상위어에 대한 해석을 검색해 놓고, 본 연구에서 해당 분류의 주제어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각 1차 분류 아래서 2차 분류, 3차 분류, 그리고 4차 분류를 상세하게 설치하여 마지막 으로 육아 어휘장의 구조화 분류 체계를 한 계통수로 제시하였다. 또 이 분류 체 계를 바탕으로 각 분류 아래서 구체적인 어휘 목록도 각각 추출하여 함께 정리 하였다. 결과로 제시된 해당 분류에 맞게 육아 어휘 목록을 정리하면 ‘식사’ 171개, ‘놀이’ 377개, ‘질병’ 187개, ‘사교’ 82개, ‘위생’ 118개로 총 935개 어휘로 정리 된다. 또 육아 어휘장과 다른 어휘장 간에 차이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식사’ 부분은 ‘우유’ 등 유동식을 ‘주식’ 분류에 넣은 것과 ‘부식’, ‘재료’ 어휘 목록에서 매운 식품이 없는 것 등은 일반 음식 어휘장과 구분되는 영아의 식습관에 맞추 어 만들어진 육아 어휘장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 ‘음료’ 분류에는 매운 것이나 ‘술’, ‘차’ 등 자극적인 음식이 없다는 것이다. ‘놀이’ 부분은 ‘언어 습득’ 과 ‘수면 습관’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0~3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육아 어휘장의 특성으로 볼 수 있겠다. ‘질병’ 부분은 ‘감기’, ‘기침’ 이외에도 소 아에게 대표적인 질환인 ‘말 더듬’, ‘지적 장애’ 등 어휘는 육아 어휘장에서 독특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병·의원 부분에서도 ‘소아과’, ‘산부인과’ 등 어린 아이 와 밀접하게 연관된 곳을 단독적으로 분류가 되었다. ‘사교’ 부분은 아직 인간관 계를 스스로 맺지 못하여 주로 그 부모에게 의존하는 영아에게는 ‘가족’ 구성원 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사교 대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생’ 부분은 배변 문제는 육아를 하는 데에 중요한 일이므로 단독적으로 분류를 하고, 그 아래도 기저귀를 쓰는 경우와 화장실에 가는 경우가 모두 포함되었다. 또 영아에게 다른 중요한 문제인 ‘목욕’도 함께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학계에서 육아 어휘장에 대하여 처음으로 이루어진 논 의이다. 대상 선정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0~3세 영아를 연구 대상으로 선 정한 것은 육아 어휘장에 대한 연구의 첫 시작이라는 점에서 가장 어린 영아를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만 4~6세인 유아나 만 6세 이상인 아이를 대 상으로 이루어진 육아 어휘장이 0~3세 아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아이가 기억과 자아도 형성되었기 때문에 많이 복잡해진 것을 지적하고, 향후에 4세 이상의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육아 어휘장 에 대한 연구가 전망될 것이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연구

        Fu-Jia Jun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과 비교함으로써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연어를 교육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의 정의를 재검토해 보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또,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간의 대응 양상을 비교하고, 나아가 중국인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통해 효율적인 맞춤형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어 교육은 더 이상 어휘 교육이나 문법 교육의 측면에 그치지 않고 대조언어학과 연계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의의 출발점은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효과적일까?'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연어의 정의를 다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중에서 연어의 정의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의 논의에 지나치게 집중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데 조금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 연어의 특성에서 출발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의 정의를 새롭게 내리었다. 연어의 어휘적 결합 관계 제약과, 연어의 공기성, 연어 의미의 투명성과 합성성, 그리고 연어 구성 요소의 선택성 등 연어의 특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충분히 반영하여 본고에서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연어를 '두 어휘소 간의 긴밀한 통사적 결합 구성으로, 선택의 주체(연어핵)가 되는 어휘요소가 선택의 대상(연어변)이 되는 어휘요소를 제약적으로 선택하고 공기하며 통사적 의미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구성'으로 보았다. 본고에서 내린 한국어 연어의 정의를 바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먼저 북경대 『한국어』를 비롯한 5가지의 중국 현지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조사를 통해 중국의 한국어 연어 교육 양상을 고찰하였다. 교재 분석을 통해 추출된 연어 항목을 본고에서 제기할 교육용 연어 목록으로 선정하는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각 연어 항목은 본고에서 제기한 연어의 정의에 부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 연어 사용 빈도와 학습 난이도를 선정 기준으로 보고 『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에서 고빈도 연어로 등재되며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3))>에서 제시한 어휘로 구성하는 연어를 교육용 연어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91개의 연어를 교육용 연어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용 연어 항목에 대해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국어 연어는 중국어로 대응할 때 주로 중국어 구, 어휘, 사자성어와 대응 관계를 이룬다. 따라서 본문에서 한국어 연어의 통사 구성에 따라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대조적 관계와 비대조적 관계로 나누었다. 대조적 관계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통사 구성이 한국어 연어와 일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의미 측면에서 대조적 관계의 하위 분류는 다시 완전 대응 관계와 부분 대응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완전 대응 관계에는 한국어 연어이든지 중국어 대응 표현이든지 구성요소의 의미는 모두 기본 의미를 유지하며 1대1의 대응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부분 대응 관계에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의 확장 의미로 인해 중국어에서 대응할 때 해당하는 어휘의 기본 의미로 번역하면 안 되고 한국어 어휘의 확장 의미와 일치하는 다른 중국어 어휘를 차용하여 대응시켜야 한다. 비대조적 관계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통사 구성이 한국어 연어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비대조적 관계에는 중국어의 다양한 구, 어휘 및 사자성어가 포함되고 있다. 한국어 연어는 중국어와 대응할 때 다양한 대응 양상이 보인다. 완전 대응적 관계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중국어 대응 양상에 의해 한국어 연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부분 대응적 관계와 비대응적 관계에는 중국어 대응 양상이 한국어 연어와 의미나 통사 구성의 차이점이 많기 때문에 연어를 공부할 때 어렵게 한다. 이런 비대칭적인 대응 관계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를 이루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에 의해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를 쉽게 예측할 수 있고 오류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대조 분석과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연어 교육에 대해 시사점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도 제기할 수 있다.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에 대한 대조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를 사용할 때 실제적으로 나타난 오류들을 분석하여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도 밝혔다. 본고에서는 번역식 문제의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를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국 현지에 있는 대학교의 한국어과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36명의 학생이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총 356개의 연어 오류를 수집하였고 오류의 원인에 따라 구체적인 오류를 다시 아래와 같은 4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째,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이다. 한·중 의미 차이로 인한 오류, 중국어 어휘 직역으로 인한 오류 등은 이에 해당한다. 둘째,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이다. 유의어의 대치 오류,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동 오류 등은 이에 해당한다. 셋째, 조사의 오류이다. 넷째, 기타 오류이다. 오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는 22.2%로 오류율이 가장 높고, 오류율이 두 번째로 높은 것은 조사의 오류(20.8%)이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의 오류율은 15.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연어를 학습할 때 역시 모국어의 간섭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연어를 가르칠 때 한·중 언어에서 대응하는 연어 표현을 서로 비교하여 의미나 형태적 측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강조하는 것을 통해 한국어 연어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형성하여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한편, 중국어 어법 체계에 격조사가 없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연어를 활용할 때 구성요소인 조사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연어 구성의 통사적 특성에서 출발하여 해당한 조사를 쓰는 이유를 학습자들에게 밝혀야 한다. 비록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는 이 세 가지의 오류의 유형 중에 수량이 가장 적지만 한국어 내부에 있는 유의어의 의미와 형태에 대한 변별은 역시 한국어 연어 학습의 난점이 된다. 한국어의 유의어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면 특정한 연어 구성에 잘 어울리지 않는 유의어를 써서 오류를 보인다. 이런 목표어의 간섭으로 인한 연어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와 형태의 차이점도 학습자들에게 학습 과정에서 강조해야 한다. 한·중 언어 표현의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를 공부할 때 겪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조언어학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 문법번역식 교수법과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이론을 결합시켜 '도입-번역활동-활용-마무리'와 같은 4단계로 구성된 새로운 수업 모형을 마련하였고 등급별로 수업 실례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ng Chinese Korean-learners in collocation by comparing Korean collocation with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from a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For this, a definition of collo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examined and a list of collocation for systematic edu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And corresponding aspects betwee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and furthermore, an education plan of effective customized collocation education by analyzing Chinese learners' errors of using collocation. Collocation education in the study did not stay at aspects of lexical education or grammar education and was examined from a new viewpoint by connecting it with contrastive linguistics. This discussion began from a fundamental question of 'how should collocation edu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effectively be done?'.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this, this thesis developed the following progress of discussion. First,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was reexamined. Because the existing studies focused obsessively on discussing theoretical aspects of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there was a limit to apply thi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is point, the thesis bega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and gave a new definition of collo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including restrictions of lexical combination relationship of collocation, collocative co-occurrence, transparency and compositionality of the collocative meanings, and selectivity of collocative elements enough in the si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onsidered collocation as the syntactic combinatorial construction between two lexemes, selected and co-occurred the lexical elements of the main agent of choice (Base) which become a subject of choice (Collocate) selectively in practical terms, and regarded the syntactical meanings as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mposition. Based o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defined in the thesis, a list of educational collo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First, Chinese collocative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language were studied through a survey on 5 Chinese loca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Korean Language』 by Peking University.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that collocative items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are selected as a list of educational collocation to be raised in the thesis, it first checked if each collocative item corresponds to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done in it or not. Next, considering frequent use in collocation and learning difficulty as criteria for selection, collocation composed with vocabularies very frequently registered in 『Basic Noun Collocation Frequency Dictionary for Learning』 and presented in <Result Report for Selecting Vocabularies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3))> was selected as educational collocation. Finally, 291 collocations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collocation through this. For the selected educational collocation item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llocation and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rom the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Korean language collocation mostly h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Chinese phrases, vocabularies, and four character idioms when corresponding to Chinese. Therefore,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were divided into contrastive and noncontrastive relationships according to syntactic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contrastive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syntactic construction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accords with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the subclassification of the contrastive relationship in an semantic aspect can again be divided into complete and partial corresponding relationships. The complete corresponding relationship keeps the basic meanings and forms 1:1 corresponding relationships in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Unlike this, in the partial corresponding relationship, Korean language should not be translated into the basic meanings of the applicable vocabularies when corresponding to Chinese language due to the extended meanings of the collocative elements but correspond to it by borrowing other Chinese vocabularies which accord with the extended meanings of Korean vocabularies. The noncontrastive relationship indicates that syntactic construction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does not accord with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noncontrastive relationship includes various phrases, vocabularies, and four character idioms of Chinese languag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shows various corresponding aspects when corresponding to China. The complet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s helpful for Chinese learners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Korean language collocation more easily by the corresponding aspect of Chinese language. However, the partial and noncorrepsonding relationships mak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llocation because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Chinese responding aspects and collocation and the semantic or syntactic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This noncontrastiv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comes a factor of Chinese Korean-learners' errors of using collocation. Therefore, learners' collocation errors can easily be expected and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aspects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in Chinese language.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collocation education and efficient educational plants can be raised based on the contrastive and error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on the corresponding aspects i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language, causes of Chinese learners' errors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practically appeared when they us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thesis collected Chinese learners' collocative errors through a survey on translation questionnaires.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36 students who study Korea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a local Chinese university. Total 356 collocation erro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 errors, the specific errors were divided into 4 types as follows: First, it's errors due to effects of the native language. Errors due to differences of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errors due to literal translation of Chinese vocabularies into Korean ones are applicable to this. Second, it's errors due to effects of target languages. Substitution errors of synonyms, errors of confusing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etc. are applicable to this. Third, it's error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Fourth, it's other errors.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errors have found as follows: The errors of the native language have found that the error rate is highest as 22.2%, followed by the error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20.8%). The error rate of the errors due to the effects of target languages is relatively low as 15.7%. This has found that Chinese learners receive much interference from their mother language when learning collocation. Therefore, 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emantic or morphological aspects of collocative expressions that Korean language corresponds to Chinese language should be emphasized by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education should be done to make learners utiliz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by recognizing it exactly. On the other hand, Chinese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postpositional particles, the element used when utilizing collocation because there are no any case-making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he Chinese grammar system. Therefore, the reason to use applicable postpositional particles should be given to learners by beginning from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Even though it's the lowest number of errors due to effects of target languages among these three error types, semantic and morphological distinction of synonyms in Korean language becomes difficulties in collocativ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f Korean synonyms are not well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errors have been found by using synonyms which do not match specific collocation. In order to solve collocative errors due to interference of these target languages, semantic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Korean synonyms should be emphasized to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study Korean language allocation due to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efficient educational plans of collocation were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A new instructional model composed of 4 stages of 'Introduction-Translation activity-Utilization-Finish' was prepared by combining the grammar-translation teaching method which well reflects contrastive linguistics with the theory of the learning method of community language and examples of classes by grade were suggested.

      •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를 위한 『훈민정음』 텍스트 분석 연구

        오필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해례본》 하위 텍스트들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도표로 정리함으로써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해례본》의 내용 구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훈민정음 이해의 첫 단계는 ‘문자’와 ‘책’의 구별에서 시작된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문자 ‘훈민정음’인 한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책 『훈민정음』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언해본》과《해례본》이 있는데, 《언해본》은 15세기 국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고, 《해례본》은 한문으로 설명하고 있어 외국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언해본》과《해례본》의 이러한 특징들은 『훈민정음』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해례본》의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는 데는 『훈민정음』 한문본에 대한 해석이나 원문이 함축하고 있는 음운론적 지식 혹은 제자 원리와 관련된 성리학적 배경 등의 교수 내용도 중요하지만, 이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이 고급 단계 이상일 경우 가능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런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학적이고 음운론적인 접근 방식보다는 『훈민정음』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해례본》의 <예의>와 ‘5해 1례’는 <정인지 서문>에서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略揭例義(간략하게 예의를 들다)’와 ‘詳加解釋(자세하게 해석을 더하다)’의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어 두 텍스트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들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러나『훈민정음』 텍스트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국어학계나 국어 교육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학계에서는 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민정음』을 통해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와 관련된 교수 내용보다, 『훈민정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 방법에 중점을 두고, 《해례본》 텍스트의 내용 분석과 텍스트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간의 비교 대조 방식은 대등한 방식으로 기술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설명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해례본》 하위 텍스트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부분의 텍스트 상관분석이 이루어진다. 첫째 <어제 서문>과 <정인지 서문>의 상관성, 둘째 <예의>와 ‘5해 1례’의 상관성, 셋째 ‘종성부용초성’과 ‘팔자가족용’의 상관성 등이다. 특히 이 세 가지 중에서 두 번째인 <예의>와 ‘5해 1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5해 1례’의 텍스트 구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원인이 《해례본》을 편집한 8인의 집현전 학사들의 공동작이라는 점에 있음을 추정하여 관련 자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텍스트 간의 유사한 설명이 반복되는 문제점과 초성, 중성, 종성처럼 같은 층위의 텍스트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의 범위가 제각각이라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원인에 대해서는 ‘5해 1례’의 각 텍스트를 8인의 집현전 학사들이 분담하여 작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초성, 중성, 종성을 설명하고 있는 세 텍스트를 <제자해>와 <합자해>로 재배치하였으며, 그 결과로 얻어진 ‘2해 1례’의 구성으로 <예의>와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5해 1례’의 복잡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 《해례본》을 한국어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aeryebon》is the only heritage in the world that records the background of Hangeul's creation and how to use letters, and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1997 in recognition of its value. Therefore, it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elements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to know the 《Haeryebon》, which record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Hangeul, whatever their reason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texts of the 《Haeryebon》 and arranging the results in a chart, it was intended to help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Haeryebon》 more easily.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Hunminjeongeum begin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letters’ and ‘book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on Hangeul, which is the letter ‘Hunminjeongeum’, but proper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on the book 『Hunminjeongeum』 . As is well known in 『Hunminjeongeum』 as a book, there are 《Eonhaebon》 and 《Haeryebon》, but 《Eonhaebon》 is explained using the Korean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and 《Haeryebon》 is explained in Chines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access. These characteristics of 《Eonhaebon》 and 《Haeryebon》 are a major factor in which 『Hunminjeongeum』 is not properly taugh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inform foreig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value and excellence of 《Haeryeb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inese text of 『Hunminjeongeum』 , phonological knowledge implied in the original text, or the Neo-Confucian background related to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etc.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is is possible only if the foreign learn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s above the advanced level.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ways of learning methods that can help easy understanding of 『Hunminjeongeum』 rather than approaching it in philosophical and phonological perspective. As pointed out in the <정인지 서문>, the <예의> and the '5해 1례' of the 《Haeryebon》 are the meanings of '略揭例義' (to show politeness briefly) and '詳加解釋 (to add detailed interpretation)'. Since there is a correlation,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xt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However,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text analysis of 『Hunminjeongeum』 are conducted in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y,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cases in the Korean languages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cadem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teaching method on how to understand 『Hunminjeongeum』 rather than the teaching content related to what to teach through 『Hunminjeongeum』, and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 of 《Haeryebon》 and the text. The comparison and contrast method between texts has a structural feature of being described in an equivalent way, so it can be said to be a text explanation method that foreign learners learning Korean can understand more easily.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sub-texts of the 《Haeryebon》, this study conducted a text correlation analysis of three par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어제 서문> and <정인지 서문>,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예의> and '5해 1례', an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종성부용초성' and '팔자가족용'. In particular,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cond of these three, <예의> and '5해 1례', problems in the text structure of '5해 1례' could be identified. Regarding the cause of the problem, I looked at the related data by assuming that i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a joint work of scholars in Jiphyeonjeon. As a result, the problem of repeating similar explanations between texts was identified. Also the different range of content explaining the text of same level such as the initial consonant, the middle consonant, and the final consonant was turned out to be a problem. I made a judgment in that those problems were caused by the fact that each texts of '5해 1례' was divided and written by 8 scholars in Jiphyeonje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aised, the three texts explaining the initial consonant, neuter, and final consonant were rearranged into <제자해> and <합자해>. As a result, the correlation with <예의> was examined with the composition of ‘2해 1례’. Through this process, I was hoped that Korean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Haeryebon》 which is a complex composition of ‘5해 1례’, more easily.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불규칙 활용 실현 양상 연구 : ‘ ㅂ, ㅅ, ㄷ’ 불규칙 활용을 중심으로

        장의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불규칙한 활용 부분에서 각각의 발음규칙의 오류를 분석하여 중국 학생들이 한국어 발음 부분에서 자주 나타나는 오류 유형을 찾아내고,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발음 부분은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간주된다. 본 논문의 주요연구 주제는 한국어에서 가장 기초적이지만 간단한 부분이라고 할 수 없는 한국어 용언의 활용 현상과 관련된 것이다. 한국어 용언의 형태 변동은 규칙 변동과불규칙 변동의 두 가지가 있는데, 두 가지 변동 모두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반드시 익혀야 할 중요한 부분이고, 일상생활에서 대화에 많이 사용되는 부분이기도하다. 본 논문은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각각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에 관한 어휘를 제시하여 각각의 어휘에 나타나는오류 비율을 확인한다. 이후 중국 학습자가 제대로 하지 못하는 발음을 분석하여그 원인을 찾아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학습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 방안에 참고 및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을 분리하여 설명하였는데, 불규칙 활용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그 정의의 기준이 다르게 설명하고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불규칙 활용의 설명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쉬운 어휘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한국어 등급별로 한국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용언의 불규칙 활용의 사용실태를 실제 조사하여 각 활용 규칙의 구체적인 오류가 나타나는 비율을 얻었으며, 조사결과 ‘ㅂ’, ‘ㅅ’, ‘ㄷ’ 중국 학생들이 한국어 발음 학습에서 비교적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이후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에 대한 오류개선방안을 제안하였는데, 생활 속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ㅂ,ㄷ,ㅅ’ 불규칙 활용의세 가지 교육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발음 오류 연구

        김경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hinese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error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dditions. In an attempt to collect data in the most natural ignition state to investigate more practical errors, beyond the existing planned word, sentence or questionnaire-based survey, the oral method used to collect the ignition in the local language survey, was borrow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Korean study. Oral speech research methods are appropriate to investigate various error patterns such as phonetic errors and grammatical errors other than the bell sound pronunciation error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ecause the investigator can appropriately intervene while collecting spontaneous utterances. In addition to the common mistakes that occur in the whole of the Speaker, it is also easy to find individual errors that are particularly frequent in individuals or can not be found in other Speakers, and can provide personalized guidance through individual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hich was investigated using verbal spoken metho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whole context with previous studies,but there were many examples of errors and patterns. In the previous research, it was not possible to investigate the error case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utterance when combining with other postpositions in the environment used with the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cognition in the actual utterance stat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poken dialogue method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research well and it will have a ripple effect in future research. Of course, the number and condition of the informants we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but it is meaningful that new possibilities were opened in the methodology of investigating various erro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contrast with existing data and to extend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case of the closed tone of the mother tongue /ㄱ/, /ㄷ/ , /ㅂ/ without the pronunciation in the mother tongue, the error of the missing occurred most frequently. In Chinese syllables, there are only consonants [n] and [ŋ] that can be different from Korean, and the kinds of vowels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is pronunciations are also limited. Because of differences in syllable structure, there are many errors that can not be pronounced in Korean or not. However, this study has found several instances in which it is recognized that it is not pronunciating, and that it is not customary to do so, such as omitting the ending or losing the ending, realizing the error even when the same vocabulary is realized and correct pronunciation . We can also see that we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such as nasalization and abbreviation. In confrontation, there were many errors of mutual substitution between / ㄴ/ and /ㅇ/ in the mother tongue. By show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 ㅁ/, /ㄴ/, /ㅇ/. The addition errors were most common in the ending /ㄴ/ of all informants, and errors appeared in the form of adding the same consonants, which seems to be misunderstood or misapplied to the Korean addition syllable rules. Based on the error patterns revealed in the present study, it is necessary to teach pronunciation in the future by combining the vocabulary with the vocabulary considering the adjacent situations such as the survey or the morpheme frequent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various forms of pronunciation more than a word or phrase that is used in actual speech rather than a single word or syllable. Also,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s that appear only in Korean, unlike their mother tongue.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not to limit the pronunciation learning to the beginner level, but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the phonological rules to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and to recognize that it should be taught by the learners.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종성 발음에서 나 타나는 오류를 누락, 대치, 첨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의 계획된 단어나 문 장, 설문 위주의 조사를 벗어나 보다 실제적인 오류를 조사하기 위해 최대한 자연 스러운 발화상태에서의 자료를 수집하려고 하였고, 그것을 위해 지역어 조사에서 그 지역의 토박이를 통해 발화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인 구술 발화 조사 방 법을 한국어 연구 목적에 맞게 변형시켜서 차용하였다. 구술 발화 조사 방법은 자 연스러운 발화를 수집하면서도 조사자가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고, 이 연구에서 조 사하고자 하는 종성 발음 오류 이외의 다른 발음 오류나 문법적 오류와 같은 여러 오류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적절하다. 또 제보자 전체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오 류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특히 자주 나타나거나 다른 제보자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 는 개별적 오류 발견에도 용이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개개인에게 맞춤 지도를 해 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구술 발화 조사 방식을 이용해 조사한 이번 연구 자료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전체 적인 맥락에서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지만, 그 오류 예와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발 견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실제 발화 상태에서 체언의 경우 조사와 함께 쓰이는 환경에서나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용언의 경우 활용형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발음되는지 다각도에서 오류 예를 조사할 수 없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조사 방법을 시도해 본 결과, 구술 발화 조사 방식은 한국어 연구에 충분히 적용 이 가능하고 앞으로의 연구에도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번 연구 에서 제보자의 수나 조건 등의 미흡한 점은 있었으나 한국어 교육에서 여러 오류 를 조사하는 방법론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 를 통해 구술 발화 자료가 차츰 누적되면 기존 자료와 비교와 대조도 가능하고 연 구의 범위도 확대되는 등 더욱 의미 있는 연구 자료로 손색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구술 발화 조사 방법을 중심으로 중국인 학습자에게서 수집한 자 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발음 오류를 유형에 따라 크게 누락, 대치, 첨가로 분류하고 각각의 오류가 나타나는 어휘는 고유어인지 한자어에 속하는지, 체언류인지 용언인 지, 오류는 어휘 내에서 몇 번째 음절에서 발생하는지, 인접하는 음절의 특징은 어 떠한지, 누락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 그것은 부분 누락인지 완전한 누락인지 등 오 류의 양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국어에서 발음이 존재하지 않 는 종성 /ㄱ/,/ㄷ/,/ㅂ/의 폐쇄음인 경우에 누락의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중국어의 음절 말에는 우리말과 달리 올 수 있는 자음의 종류가 [n],[ŋ] 뿐이고, 이 종성 발음에 함께 사용가능한 모음의 종류도 한정적이다. 음절구조상의 차이 때문 에 한국어에서 발음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는 오류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은 맞았지 만 이번 조사를 통해 연음이나 경음화는 실현하면서 종성만 누락하거나 같은 어휘 임에도 오류를 실현하기도 하고 바르게 발음하기도 하는 등, 종성을 인지하고 있으 며 발음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고 습관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예가 여러 건 발견되었다. 또 비음화나 축약과 같은 우리말의 음운 규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대치에서는 모국어에 있는 발음인 /ㄴ/과 /ㅇ/의 상호 대치 오류가 많이 나타났 는데 /ㅁ/, /ㄴ/, /ㅇ/ 비음 간의 대치 양상을 보임으로써 조음 방식이 같은 종성 들을 서로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첨가 오류는 모든 제보자에게서 종성/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동일한 자음 을 첨가하는 형태로 오류가 나타났으며 이것은 한국어의 ㄴ첨가 음절 규칙을 오해 하거나 잘못 적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오류 양상을 기반으로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체 언의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조사나 형태소와 같은 인접한 상황을 고려한 어휘와 통으로 묶어서 발음 교육해야 하며, 용언은 기본형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활용형의 발음을 함께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발적인 음소나 음절보다는 실제 발 화에서 쓰이는 어절 이상 단위의 다양한 형태의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에게 처음부터 모국어와 달리 한국어에서만 나타나는 종성 발음이 있다는 것과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종성 발음이 초성과는 다르게 실현된다는 것도 반드시 짚어줘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발음 학습을 초급단계에만 국한하지 말고 숙달도에 따라 제시하는 음운 규칙의 기준을 마련하 여 달리 지도하며 학습자에게 늘 익혀야 하는 것으로 인식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선어말어미 ‘-겠-’, ‘-더-’에 관한 연구

        우정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ole of grammatical training of Korea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Korean language ability of Korean learners of foreigner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s 'ending system' because it is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Especially for Chinese learners, it could be more difficult. Chinese language does not have the developed ending system like Korean language because it is the isolating language. Korean language's endings are divided into final endings and prefinal ending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among them, prefinal endings, ‘-Get (겠)-’ and ‘-Deo (더)-’ tend to be very often used in the daily life of Korea. Furthermore, learners of foreigners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them and there are a lot of errors in them because they have the complicated characteristics in tense, aspect, and mood categories. This study first restricted the Korean language's prefinal endings, ‘-Get-’ and ‘-Deo-’ syntactically focusing on these points, reviewed them accordingly, and suggeste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Chapter 2 introduced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s, the concept and category of syntactic constraints, and syntactic constraints of the prefinal ending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described teaching methods of the Korean language. The prefinal endings are shown between the stem and final ending of predicates. Final endings mean grammatical morpheme shown in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stem of predicates when they are utilized, while prefinal endings means grammatical morpheme shown before final endings by considering their appearance positions. Syntactic constraints can be constraints that must just create grammatical sentences and prevent ungrammatical sentences. 'Syntactic constraints of prefinal endings' that will be handled in this paper means the phenomenon that prefinal endings are static when being applied to sentences and the endings which cannot be matched with each other must not be applied toge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mainly teaching methods of translating traditional grammar and audiolingual teaching methods. By 1980, various foreign teaching methods began to be known. In 1980s, systemic reaction and silent way teaching method were presented. And in 1990s,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methods were introduced. Studies on grammar education and task-centered teaching methods of speaking by utilizing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s were conducted by Lee, Hae-yeong (1998) and Hyeon, Yun-ho (2001). 5 level teaching models that are commonly handled here are examined. Chapter 3 discussed syntactic constraints of prefinal endings, ‘-Get-’ and ‘-Deo-’. For the prefinal ending, '-Get-', syntactic constraints shown according to the meanings of 'guess', 'will', and 'possibility and ability' and 'selective constraints aspect' with connective endings were analyzed. Examining person constraints of the prefinal ending, '-Get'' shown according to sentence types, subjects of the first person are constrained in case that predicates show the meanings of 'guess' as verbs in declarative sentences, but constraints of subjects of the first person is solved when verbs, the predicates, have no arbitrariness or are expressed as the past. When '-Get-' is used as the meaning of 'will', subjects of the second and third persons are constrained. It's because speakers cannot decide other persons' will except the speakers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persons are not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s of 'possibility and ability'. In interrogative sentences, the 2nd person is constrained when predicates shows the meanings of 'guess' as verbs. At this moment, it shows the meaning of 'will', not 'guess', because listeners themselves are the main agents of behaviors. The 1st and 3rd persons are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will'. This is because listeners cannot decide other persons' will except themselves. Persons are not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possibility and ability'. Examining if predicates are constrained, predicates are not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guess'. Generally, '-Get-' applies to verbs only when it represents 'will.' This is because adjectives and 'substantive + Ida (이다)' cannot make speakers active agents. However, '-Get-' shows the meaning of 'will' if adjectives and 'substantive + Ida ' can express speakers' self-controlling power. '-Get-' applies to verbs only when it shows the meaning of 'possibility and ability.' This is because adjectives and 'substantive + Ida ' cannot have activity. Examining if the tense is constrained, the tense is not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guess'. However, the past tense is constrained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will'. This is because 'will' of the past things cannot be expressed as it expresses psychological attitudes of the main agents of judging the things or behaviors that do not happen yet and could take place in the future. However, the past things can represent will of the future at that time in quotations. Usually, '-Get-' applies to the present tense when it shows the meaning of 'possibility and ability' and the past and future tense is constrained. A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bout facts of the past or the future are shown, '-Get-' does not show the meaning of 'possibility and ability' but 'guess' of the past or the future. Examining sentence types of '-Get-', proposative and imperative sentences are constrained. This is because proposative and imperative sentences cannot be matched with '-Get-' that shows the meaning of 'guess', 'will', and 'possibility and ability' as they ask other persons to behave. When '-Get-' shows the meaning of 'will', exclamatory sentences are constrained. This is because expressions of 'will' cannot be matched with exclamatory sentences because speakers show their strong feelings in them. When '-Get-' is used with connective endings, there are the cases of being constrained. The connective endings that can or is okay not to be connected to '-Get-' include -Go (고) and -(Eu(으))Myeo (며)(List).' The connective endings that can have suitable sentences when they must be connected to '-Get-' include ‘-Eu(으)na(나), -Jiman (지만), -Neundae (는데) / -Eu(으), and ndae (ㄴ데)’ used as the meanings of 'confrontation and contrast' and ‘-Eu(으)ni니, -Eu(으)nikka(니까), and -Eu(으)meuro(므로)’ done as the meanings of 'reason and causes.' The rest connective endings that cannot be connected to '-Get-' include ‘-Eu(으)Myeonseo(면서), -Myeo(며), -Ja(자), -Jamaja(자마자)’, used as the meaning of 'simultaneous' and ‘-Go(고), -Aseo(아서)/Eoseo(어서)’ done as the meanings of 'chronological sequence', and ‘-Daga(다가)’ done as the meaning of 'change'. ‘-Deoni(더니)’, the connective ending of '-Deo(더)-', the prefinal ending, was separated from ‘-Deoni(더니)(Causes and contrast)’ and ‘-Eotdeoni(었더니)(Causes and discovery)’ and syntactic constraints shown in them was analyzed. For '-Deora (더라)', the final ending, syntactic constrains according to meanings (‘Remembrance and report’ and ‘expression of feelings’, and ‘talking to oneself’) was analyzed. For ‘-Deon(던)^1’, the article-type ending, constraints of preceding verb types and the meanings of ‘-Deon(던)^1’ and ‘-Eotdeon(었던)’ were analyzed. First, examining person constraints, For ‘-Deoni(더니)^1(Causes)’, the connective ending, the 1st person is constrained, but ‘-Deoni(더니)^2(Contrast)’, persons are not constrained. For ‘-Eotdeoni(었더니)^1(Causes)’ and ‘-Eotdeoni(었더니)^2(Discovery)’, the 2nd and 3rd persons are constrained. Generally, for ‘-Deora (더라)^1 (Remembrance and reporting)’, the final ending, the 1st person is constrained. However, when speakers make the other parties know their things newly, that is, inform them of them by objectifying them, the 1st person is possible. For ‘-Deora (더라)^2(Expression of feelings)’, the 2nd and 3rd persons are constrained. This is because speakers themselves do not know other persons' psychology, mood, or feelings. However, there the cases that speakers can recognize other persons' feelings. At this moment, subject constraints of the 3rd person is solved. For ‘-Deora (더라)^3(Talking to oneself)’, the person is not constrained. Examining predicate constraints, for ‘-Deoni(더니)^1(Causes)’ and ‘-Deoni(더니)^2(Contrast)’, predicates of antecedent clauses are not constrained. For ‘-Eotdeoni(었더니)^1(Causes)’ and ‘-Eotdeoni(었더니)^2(Discovery)’, ‘Adjectives’ and ‘substantives+Ida’-typed predicates are constrained. For ‘-Deora^1(Remembrance and report’), the final ending, predicates are not constrained. However, ‘-Deora^2(Expression of feelings)’ cannot be matched with verbs or ‘substantives+Ida’. For ‘-Deora^3(Talking to oneself)’, predicates are not constrained. Examining if tenses are constrained, for ‘-Deoni^1(Causes)’, ‘-Deoni^2(Contrast)’, and ‘-Eotdeoni^1(Causes)’, the connective endings, the tense is not constrained. However, for ‘-Eotdeoni^2(Discovery)’, there can be the future tense in following clauses. Because following clauses are facts of the future or the facts that speakers already get to know, they become ungrammatical sentences when the future sentence is used. For ‘-Deora’, the final ending, the speech time is ‘the present’, the recognition time is ‘the past’, and the accident time can b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However, For ‘-Deora^2 (Expression of feelings)’, speakers' psychology just applies to the past tense because they always know it. By sentence type, ‘-Deo-’ is not used in proposative and imperative sentences irrespective of grammar details. ‘-Deora’, the final ending, is used in the form of ‘-Deonya(더냐)’ and ‘-Deogunnyo(더군요)’ in interrogative and exclamatory sentences. ‘-Deora^3(Talking to oneself)’ can just be used in interrogative sentences because speech is done as if speakers ask themselves alone. 선어말어미 ‘-더-’의 관형사형 Constraints of ‘-Deon^1’, the article type of '-Deo-', the prefinal ending, was analyzed after examining constrains of preceding verb of ‘-Deon^1’ and the meanings of ‘-Deon’ and ‘-Eotdeon’. For the preceding verb types of ‘-Deon^1’ that 'incomplete' and 'one time and repetition' functions are added, instant verbs are constrained. The preceding verb types of ‘-Eotdeon’ that 'complete' and 'one time and repetition' functions are added are not constrained. And meaning constraints of ‘-Deon^1’ and ‘-Eotdeon’ are divided into ‘incomplete’ and ‘complete’ constraints, 'past and continuous’ constraints, and ‘one time and repetition’ constraints. Chapter 4 presented error aspects related to ‘-Get-’ and ‘-Deo-’, the prefinal endings arranged, according to their syntactic constraint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Get-’ and ‘-Deo-’, the prefinal endings, was designed by using the five level teaching model of 'Warm-up → Presentation → Practice → Use → Follow-up’ based on the communication-centered teaching methods. The warm-up stage is to draw contents about ‘-Get-’ and ‘-Deo-’ naturally for arranging lessens smoothly by arousing academic motivation and their interest. ‘-Get-’ and ‘-Deo-’ variously used in the method that teachers ask students questions and communicate with them were introduced. The presentation stage is to present meanings to elementary learners to make them recognize the forms and usage of ‘-Get-’ and ‘-Deo-’ and do syntactic constraints by meaning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the practice stage, various exercises were presented to make learners understand syntactic constraints of ‘-Get-’ and ‘-Deo-’. In the use stage made learners accustomed to syntactic constraints of ‘-Get-’ and ‘-Deo-’ by utilizing scripts of Korean TV dramas, 'Full House', 'You Are Beautiful', and 'The Innocent Man'. The study examined how the person, predicates, the tense, and sentence types are composed in the sentences including ‘-Get-’ and ‘-Deo-’ by using the scripts of the TV dramas. The sentences reproduced in real life make students understand situations of syntactic constraints of ‘-Get-’ and ‘-Deo-’ more easily than before. As they are added to the sentences translated into Chinese language, they can make understand them more easily. The important process in this stage is to make students create sentences by themselves by combining each meaning of ‘-Get-’ and ‘-Deo-’ with their real life understanding them. In the follow up stage, the contents presented before were arranged. As above, this paper studied constraints of person, predicates, the tense, and sentence types to utilize ‘-Get-’ and ‘-Deo-’, the prefinal endings well and the mor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Chinese learners. The author has the limit to discuss why syntactic constraints of the Korean language is done closely and the paper is locking in discussion because the author is not the native speaker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grammar education methods of the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as well as the Chinese.

      • 한글편지에 나타난 파생부사 연구 :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자료를 중심으로

        강선지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글편지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난 후 이른 시기부터 쓰이기 시작하였는데, 일반 평민뿐만이 아니라 궁중과 왕족, 남성, 시녀 등 그 사용 범위가 포괄적이고 넓었다. 이처럼 기존 간찰(簡札)이 사대부 계층 이상의 남성 전유물이었다면, 한글편지는 특정 계층에 관계없이 남녀 모두의 공유물이었다. 또한 한글편지는 간찰(簡札)이나 언해(諺解) 자료와는 달리 한역(韓譯)의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현실 언어가 어떤 자료보다 많이 반영되었을 것이다. 가령 어휘적 측면에 있어서 다른 간본 자료들보다 이른 사용양상을 한글편지에서 관찰할 수 있었는데, ‘그적긔(그저긔/그저ᄭᅴ/그젓긔)’와 ‘것구로(것고로)’가 그러하다. 한편 부사는 중세, 근대, 현대 할 것 없이 문장 내의 어느 성분을 수식,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서술어를 한정하는데, 문장 표현에 있어서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품사라 할 수 있다. 특히, 부사는 복합어의 비중이 타 품사에 비해 높은데, 접사, 조사, 어미들이 앞말과 결합하며 형성되는 파생부사의 생산성이 높은 편이다. 이는 다른 품사들에 비해 부사가 복합어의 형태론적 유형이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사는 특정 성분이나 문장을 한정하고 수식한다는 점에서 문장의 이해와 표현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품사이다. 한글편지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정해져 있고, 친소의 목적이 강한 편지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어떤 자료보다 부사의 모습을 보다 세밀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역으로 본다면 부사의 이러한 특성 역시 한글편지에 보다 잘 드러날 것이다. 본 연구는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한글편지에 나타난 파생부사의 모습을 형태론적으로 고찰하고, 특이성을 보이는 파생부사를 통사론·의미론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한글편지 1,459건에 나타난 부사 어휘 1,226개를 추출하고, 이를 단순부사, 합성부사, 파생부사로 나누었다. 또한 이 중 파생부사는 조어법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후행하는 접미사, 어미, 조사 등에 따라 각각 나누어 목록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조어법적인 특징에 따라 각각의 예문과 함께 형태론적 분석을 하였다. 한편, 한글편지에서는 특이성을 보이는 파생부사들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현대국어와 통사적 혹은 의미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몇몇 파생부사들은 특정 지역이나 신분들이 주로 사용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이성을 보이는 부사로는 ‘별로, 아마도, 아ᄆᆞ리, ᄆᆞᄎᆞᆷ내, ᄎᆞ마’가 있었는데, ‘별로’는 현대국어와 달리 긍정의 서술어와 공기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의미 역시 현대국어와는 다르게 ‘특별히’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아마도’는 현대국어에서의 사용되는 의미와 함께 ‘아무쪼록’이라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었는데 ‘아무쪼록’의 의미로 쓰이는 ‘아마도’의 62회가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자료인 「송규렴가 선찰 언간」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17세기 자료인 「진주하씨묘출토언간」에서 총 17회의 사용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찰」과 「진주하씨묘출토언간」의 발신자가 모두 경상도 지역을 거주지 혹은 출생지로 두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아마도’가 경상도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는 어휘가 아닐지 추정해 보았다. ‘아ᄆᆞ리’는 현대국어에서의 의미와 함께 ‘어떻게’의 의미로도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사적으로도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아ᄆᆞ리~ᄒᆞ다’가 쓰일 때, ‘ᄒᆞᆫᄃᆞᆯ’이 생략되어 쓰인다는 점이 그러하다. ‘ᄆᆞᄎᆞᆷ내’는 현대국어와는 달리 부정어와 공기하는 현상이 관찰되었고, ‘마침내’의 의미보다는 현대국어의 ‘끝내’와 통사론, 의미론적으로 더 유사해 보였다. 그리고 한글편지에서는 왕실 편지에서만 ‘ᄆᆞᄎᆞᆷ내’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ᄎᆞ마’는 앞선 파생부사들에 비해 뚜렷한 의미 차이를 보이는 부사는 아니었지만, ‘ᄎᆞ마’를 ‘매우’로 해석함에 무리가 없어 보이고, 현대국어와 달리 긍정어와 공기한다는 통사구조 상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Korean Letters began to be written early after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Korean Letters were shared by both men and women regardless of the specific class. In addition, Korean Letters unlike Letter(A letter written in Chinese and translated into Korean), do 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Korean translation, so the actual language must have been reflected more than any other material. For example, in terms of vocabulary, earlier usage patterns than other printed materials could be observed in Hangeul Letters, such as ‘그적긔(그저긔/그저ᄭᅴ/그젓긔)’ and ‘것구로(것고로)’ are the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phologically examine the appearance of derived adverbs in Korean Letters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of derived adverbs that show specific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tracted 1,226 adverb vocabularies appearing in 1,459 Korean Letters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divided them into simple adverbs, compound adverbs, and derived adverbs. In addition, derivative adverb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ombining affixes, postpositions, and ending of a wor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mmatical form. In addition, morph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along with each example sent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ined word. On the other hand, in Korean Letters, adverbs showing specificity could also be observed, and they showed syntactic or semantic differences from modern Korea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me adverbs were mainly used by specific regions or social positions. Adverbs showing specificity included ‘별로, 아마도, 아ᄆᆞ리, ᄆᆞᄎᆞᆷ내, ᄎᆞ마’. Unlike the modern Korean times, ‘별로’ can be seen as a phenomenon with positive predicates, The meaning was also used in the sense of ‘specially’ unlike the modern Korean times. It had the meaning of ‘아무쪼록’ as well as the meaning used in modern Korean times. By the way the 62nd episode of ‘아마도’, which is used in the meaning of ‘아무쪼록’ was found in the 「Seonchal of Song Gyu-ryeom family's Korean Letter」, a data from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In addition, a total of 17 usage patterns were confirmed in the 17th-century data, 「Jinju Ha family's tomb excavation's Korean Letter」. Considering that both 「Seonchal of Song Gyu-ryeom family's Korean Letter」 and 「Jinju Ha family's tomb excavation's Korean Letter」 sender have the Gyeongsang-do area as their residence or birthplace, I estimated that ‘아마도’ might not be a vocabulary to kn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It was confirmed that ‘아ᄆᆞ리’ was used as a meaning of ‘어떻게’ along with the meaning in modern Korean, and syntactically, singularities could be found. That is the case when ‘아ᄆᆞ리~ᄒᆞ다’ is used, ‘ᄒᆞᆫᄃᆞᆯ’ is omitted. Unlike modern Korean, ‘ᄆᆞᄎᆞᆷ내’ was observed to be used with negatives. And It seemed more similar in syntax and semantics to the modern Korean language's ‘to the last’ than the meaning of 'finally'. In addition, in the Korean letter, only the Royal Letter observed the aspect of ‘ᄆᆞᄎᆞᆷ내’. Finally, ‘ᄎᆞ마’ was not an adverb that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meaning compared to the previous adverbs. It seems that there is no problem in interpreting ‘ᄎᆞ마’ as '매우'. And unlike modern Korean, differences in syntactic structure that are used with positive words were observed.

      •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 연구 : 18세기 이후 자전류 문헌을 중심으로

        이길경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One of the most prominent phonetic phenomena manifested in modern Korean is palataliz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alatalization in Sino-Korean character sounds in the post-18th century period. To achieve thi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ino-Korean pronunciations recorded in works such as "Jeonunokpyeon(全韻玉篇)"(1796?), "Jajeonseokyo(字典釋要)"(1909) and "Shinjajeon(新字典)"(1915) was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lization patterns of Sino-Korean character sounds that correspond to palatalization environments. Additionally, we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palatalization over time. Palatalization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the fortis stops /ㄷ, ㄸ, ㅌ/, and the palate closure sound/ㄱ, ㄲ, ㅋ/ become palatal affricates /ㅈ, ㅉ, ㅊ/ before the semivowels /i, j/, and the laryngeal friction /ㅎ/ becomes the alveolar friction /ㅅ/. In a broader sense, palatalization also encompasses phenomena such as the addition of the semivowel /j/ before /i, j/ and the elision of /ㄴ/ before /i, j/. However, in Korean, it is commonly understood that palatalization refers to the phonetic phenomenon where a series of non-palatal stops such as /ㄷ, ㅌ/ becomes palatal stops /ㅈ, ㅊ/ before the semivowels /i, j/. Based on this premise,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palatalization of ‘ㄷ’ that can occur before /i, j/.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character sounds in the works "Jeonunokpyeon", "Jajeonseokyo" and "Shinjajeon" where palatalization is both realized and not realized. Additionally, the patterns of overcorrection and the timing of when palatalization was fully established in these lexicographic works are discussed in detail.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understanding of palatalization in Korean. 본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한국 자전류(字典類) 문헌에 나타나는 한자음의 구개음화 현상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운옥편(全韻玉篇)』(1796?)ㆍ『자전석요(字典釋要)』(1909)ㆍ『신자전(新字典)』(1915) 등에 수록된 한자음을 정리한 후 그 가운데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한자음을 대조하면서 한자음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그리고 구개음화의 변화 과정을 비교ㆍ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제로 이론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자전의 개념이 무엇인지, 자전과 관련이 있는 ‘자림(字林), 자원(字源), 자통(字通), 자관(字貫), 자휘(字彙), 사서(辭書), 사림(辭林), 자서(字書), 자석(字釋), 자류(字類), 자해(字海), 석사서(釋辭書), 어전(語典), 유서(類書), 사원(辭源), 사해(辭海)’ 등의 용어를 살펴보았고, 옥편과 자전 그리고 운서의 관계도 설명하면서 대표적인 문헌 자료도 제시하였다. 동시에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인 18세기 말경에 간행된 『전운옥편(全韻玉篇)』(1796?)과 19세기 초에 간행된 『자전석요(字典釋要)』(1909)ㆍ『신자전(新字典)』(1915)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는 세 문헌의 편찬 시기, 편찬 배경, 문헌의 체제 및 범례, 문헌의 발행 판본(版本) 및 이본(異本) 사항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과 각 운서ㆍ자서와 맺은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 등 자전류 문헌의 중요성과 자료적 가치를 밝혔다. 다음으로 구개음화 현상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특히 ㄷ구개음화의 통시적 변화 양상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어중고음의 41자모(字母), 등(等), 개합(開合) 등의 구개음화 실현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자전류 문헌에 구개음화 관련 한자음 현황을 검토하였다. 우선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 수록된 한자음에 포함되고 있는 한국어 음운 체계를 살펴보았으며, 이 중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한자음 1,595자를 추출하여 환경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 수록된 한자음 중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것을 중세한국어 시기 한자음과의 대조를 통해 구개음화 현상을 거쳤는지 또는 구개음화 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구개음 환경에 해당하는 1,595자에서 구개음화 현상을 거칠 수 있는 한자음과 『전운옥편』 시기까지 이미 구개음화가 완성된 한자음, 그리고 『자전석요』ㆍ『신자전』 시기에 이르러서야 구개음화가 완성된 한자음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제4장에서 근대 후기의 자전류 문헌에 한자음 구개음화의 실현율과 점유율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자음 구개음화의 실현 양상을 사성칠음을 바탕으로 설음(舌音) 안의 구개음화의 확산 규칙 및 원인을 밝혔다. 제4장에서는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의 한자음 구개음화 실현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중 구개음화의 음운론적 해석과 한어중고음 성운학(聲韻學)적 해석의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 비율을 제시해 보았다. 동시에 근대한국어 시기의 다른 문헌에 나타난 한자음 구개음화 양상도 살펴보면서 한자음 구개음화의 통시적 확산 양상을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로 보아 한자음의 구개음화는 이른 시기에 시작하였지만, 확산 속도와 완성 시기는 고유어보다 훨씬 늦은 시간에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제4장 마지막 부분에서 해당 한자음들의 구개음화의 과도교정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에서는 ‘ㄷ, ㅌ+ i, j’ 환경의 과도교정의 예로 볼 수 있는 한자가 확인되지 않았다. 『전운옥편』ㆍ『자전석요』ㆍ『신자전』의 자료적 성격상 과도교정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전운옥편』은 운서인 『규장전운』의 보편(補篇)으로 간주하여 『규장전운』의 규범음(規範音)을 반영했기 때문에 당시 현실 한자음보다 과도교정과 같은 현상이 쉽게 나타날 수 없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자전류 문헌에 수록된 한자음은 고유어와 문학 작품의 한자음보다 비교적 보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 부분으로 전체 논의로써 얻은 결론을 제시하고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이를 앞으로의 연구 방향으로 삼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