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유지 제작에 관한 연구

        김옥선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원전 종이의 발명으로 필사(筆寫), 포장(包裝)에 사용된 종이가 이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면서 ‘가공방법’ 또한 더욱 발전하였다. 동양에서의 종이가공은 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아름답게 가공되기도 하였지만, 방습, 필사 등의 사용목적에 따라 가공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용도의 종이는 과거 문헌에 기록에 남아있을 뿐 현재 전해 실물자료는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다양한 종이의 명칭을 통해 해당 종이를 식별 가능한 것은 매우 드물다. 본 논문의 주제인 ‘유지’는 조선시대 문헌에 수없이 거론되었고 현존하는 공예품, 심지어는 전통가옥의 온돌 종이로도 사용되어 우리에게는 꽤 친숙한 종이이다. 그러나 최근 유지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고 제작하던 장인의 맥이 끊겨 재료는 물론 기술도 단절되었다. 현대사회에 들어와 과학문명이 발달하고 신소재의 개발이 급속화 되면서 대부분의 전통 수공업 생산품이 대량 공산품으로 대체되는 현실에서 어쩌면 유지는 과거의 물건, 그 이상의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과거 유지가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져,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18세기 문헌인 『保晩齋叢書』에 잘 도련한 종이를 유지로 표현하였으며 조선에서는 납전(蠟箋)보다는 유지가 더 보편화된 종이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처 등의 내용을 미루어 짐작해보면 표면이 윤기 있고 투명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조선시대에는 유지에 대해 ‘용도’에 따른 구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문헌을 통해 유지의 사용처를 구분하고 이때 사용된 원료와 유지 제작과정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름의 제작방법 및 종이에 가공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문헌에서 언급되는 7종의 원료에서 기름을 착유(搾油)하여 종이에 발라 그 종이가 갖는 투명성을 확인하였고, 콩 즙과 강즙(薑汁)의 쓰임에 관한 효과도 관찰하여, 그 시대에 실제 재료가 어ᄄᅠᇂ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유지에 사용된 기름은 참기름(眞油), 들기름(法油), 유동기름(桐油), 동백기름(桐白油), 피마자기름(萆麻子油), 삼씨기름(麻油), 콩기름(豆油) 7종이다. 유지제작에 사용된 7종의 기름의 특징을 정리하면 7종의 원료에서 기름을 착유(搾油)했을 때 100g당 착유수율(搾油收率)은 볶은 참깨 > 볶은 들깨 > 생 참깨 > 생 들깨 순으로 높았다. 특히 들깨의 경우 열을 가해 볶음 전처리를 한 원료와 하지 않은 것의 착유수율 차이가 컸으며, 볶은 참깨와 비슷한 착유수율을 보였다. 그러나 원료의 가격이 들기름이 참기름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참기름보다 더 효율적인 원료였고, 때문에 조선시대 유지와 건축물 등 들기름이 다방면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종이에 기름을 도포(塗布)하였을 때 투명성이 가장 좋은 것은 피마자기름이었으나 착유수율이 낮은 것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시대에 유지제작에 많이 사용되던 참기름과 들기름, 유동기름 3종 중 에서는 참기름의 투명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어진모사(御眞模寫) 관련 의궤에서 유지 초본에 참기름을 사용한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종이에 기름을 바른 후 두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유동기름 이였으며, 그 다음은 콩 즙, 생 들깨 순이었다. 두께의 증가는 도막(塗幕)을 형성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도막 형성은 방수성과 연관 있다. 유동기름은 도막이 잘 형성되어 가장 흡수율이 낮은 반면 방수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방수성이 낮은 것은 콩기름이었다. 도막의 두께 증가율은 방수성과 연관하여 각종 기물에 바르는 목적에 따라 들기름을 사용하거나 유동기름을 사용하는 등, 기름의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게 된 이유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문헌에 언급된 유지의 가공기법을 실제 재현하는 과정에서 밝힘으로서 조선시대 한지의 다양한 가공에 관한 연구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고, 이것이 문헌에서 나타나는 명칭에 해당하는 한지 재현의 첫 번째 주춧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aper was invented before Christ to be used as the copying paper and the wrapping paper. Since then, it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paper has developed further. The paper processing in the Orient was decorated beautifully to meet the aesthetic desire or process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However, there are few ground materials which inform what the papers applying to the names of various papers recorded in the literature were. The oilpaper, a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quite friendly paper to us because it was mentioned in the literature of Joseon period a number of times and is used for the existing craftwork and as the floor heater paper of the traditional house. However, the oilpaper is hardly used recently, and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severed as the spirit of the craftsman was severed. In the reality that most traditional handiworks are replaced with the mass industrial goods as the scientific cultivation develops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w material is accelerated in the modern society, the oilpaper is maybe nothing but the past object. However,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materials the oilpaper was made of in the past and what purpose it was used for. The 18C literature 『Bomanjae a series (保晩齋叢書)』 expressed the well-trimmed paper as the oilpaper. It is analogized the oilpaper would be more universalized than the lead coin in Joseon and its surface would be glossy and transparent. Therefore, the processing method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oilpaper were surveyed based on the materials used in making the oilpaper appearing in the literature and the source of those materials. Also, 7 kinds of oil mentioned in the literature were extracted to apply on the paper and the transparency of that paper was confirmed, and the effects of the soybean juice and the ginger juice were also observed. It was confirmed how the materials were used in that era. To sum up the features of 7 kinds of oil used in making the oilpaper, the oil used for the oilpaper in Joseon period includes the sesame oil, perilla oil, tung oil, camellia oil, castor bean oil, hemp seed oil, and soybean oil. The oil expression yield rate per 100g when extracting the oil from the source was high in order of roasted sesame, roasted perilla, live sesame, and live perilla. In particular, as for the perilla, the difference of the oil expression yield rate between the source which was heated and pretreated and one which was not so was big, and it showed a similar yield rate to the roasted sesame. However, when buying the source, the perilla oil could be bought at a cheaper price than the sesame oil so it was more efficient source than the sesame oil. Therefore, it is presumed the perilla may have been used in many ways such as the oilpaper and architectures in the Joseon period. Although it was the castor bean oil of which transparency was the best when applying the oil on the paper, it is presumed it was not used generally given that the oil expression yield rate was low. The transparency of the sesame oil was highest among 3 kinds: sesame oil, perilla, and tung oil which were much used for the oilpaper production in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sesame oil may have been recorded on the item of the copied Portrait Painting of the king oilpaper extract among the Uigwe record. The thickest oilpaper was one applied with the tung oil followed by the soybean juice and live perilla. The increase in thickness is a result of forming the chop. The chop formation is related to the waterproof nature. It was revealed the waterproof degree of the tung oil was high because the chop of the tung oil was well formed with the lowest absorption rate. The waterproof degree of the soybean oil was lowest. As for the thickness increase rate of the chop, the sesame oil is used or tung oil is u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pplying on all kinds of buildings. It is used by distinguishing the kind of oil. This study can be a chance of the study on various uses of Hanji in Joseon period by revealing the processing technique of the oilpaper. It is hoped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foundation stone for reenacting Hanji that appears in the literature.

      • 고려시대 나전모란당초문 경함의 재현제작 연구

        배광우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Mother-of-pearl lacquerware is a lesser known craft that uses one of many lacquer decorative techniques, which involves placing sheets of abalone shells on top of wares coated with lacquer. Korea’s mother-of-pearl lacquer has a history spanning a thousand years, beginning from the Goryeo Dynasty (918-1392), and is recognized internationally to be representative of craftwork. Influenced by Buddhist aristocratic culture, Goryeo lacquerware reached the height of its intricacy and refinement. There are about twenty lacquerware dated to the Goryeo dynasty identified today and of these, the majority are Buddhist sutra boxes, prayer bead cases, and other Buddhist objects. Due to the lack of existing Goryeo lacquerware artifacts and historic records, so far dating the objects has relied on scientific research of the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There are currently nine known Goryeo mother-of-pearl lacquer sutra boxes in the world that researchers, although with small differences, generally agree with production chronology through categorization of decorative technique and material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production of the “Mother-of-Pearl Lacquer Sutra Box with Peony and Scroll Design” in the collection of the Kitamura Museum, classified as late Goryeo with elaborate designs and techniques, in order to illuminate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Goryeo mother-of-pearl lacquer sutra boxes. Existent Goryeo mother-of-pearl lacquerware generally follow these steps: a coat of lacquer on its wooden surface, a layer of cloth is added, followed by a mixture of bone powder and lacquer called golhoe (骨灰), then mother-of-pearl and other decorations are added. If we look more carefully at the process, firstly the shortly-cut metallic lines create vines and eggplants, and the two twisted lines are used to define boundaries and outline the objects. Next is the mother-of-pearl technique that showcase the elaborateness of these objects. Thousands of tiny mother-of-pearl shards are created using the jureum-jil or cut-out technique and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lacquer, while creating complicated shapes such as hemp leaf patterns and tortoiseshell patterns by using the kkeun’eum-jil or thin-slicing technique that was groundbreaking at the time and can be said to have influenced development in design. Through these research materials, the reproduction of the Kitamura Museum’s “Mother-of-Pearl Lacquer Sutra Box with Peony and Scroll Design” was part of a solo exhibition at the Gyeongin Museum from January 13 through 19, 2016. It is my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reproduction of Goryeo dynasty mother-of-pearl lacquer sutra boxes using traditional techniques will be transmitted as part of the research to preserve this traditional craft. 나전칠기란(螺鈿漆器)란 목칠공예의 여러 가지 장식기법 중 옻칠한 기물 위에 전복껍질을 가공한 자개를 이용하여 만든 공예품을 뜻한다. 한국의 나전칠기는 고려시대부터 천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공예로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교함과 세밀함의 극치인 고려나전은 불교 귀족문화 속에서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고려나전은 전세품과 출토품을 합해서 약 20점 정도에 불과한데 그 종류로는 경전함, 염주합, 불자와 같은 불교 용품이 주를 이룬다. 고려나전은 현존하는 유물이 적고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명문(銘文)이 전무하여 제작기법이나 장식 재료를 과학적인 조사에 근거하여 미루어 짐작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고려 나전경함은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9점 정도로 적은 수량이지만 장식 재료와 기법의 변화, 주문양의 변화 등을 통해 편년을 분류하고 있으며, 연구자들 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그 내용은 거의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나전 경함 중에서 시기적으로 마지막 시기에 해당되는 유물이지만 그 의장과 기법이 가장 치밀해진 기타무라미술관[北村美術館] 소장 <고려나전 모란당초문 경함>의 재현제작을 통해 고려나전 경함의 제작기법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현존하는 고려나전 유물의 대부분은 목심(木心)에 옻칠을 한 후 布를 바르고, 골분(骨粉)에 옻칠을 혼합한 골회(骨灰)를 발라 올리고 그 위에 나전을 시문하는 목심저피칠기(木心苧皮漆器)이다. 그 제작기법을 살펴보면 먼저, 금속선 단선으로 줄기와 가지를 표현하였고, 2선으로 꼬은 착선은 기물의 주위나 경계의 구획을 나누며 보강 기능을 하는 것에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극한의 세밀함을 보여주는 나전기법이다. 수 만개에 이르는 나전 조각들을 일일이 주름질하여 시문한 후 자개 표면에 음각으로 표현하였고, 당시 획기적으로 자개를 가늘게 가공하여 복잡한 문양의 형태인 마엽문과 귀갑문을 끊음질하여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 새로운 문양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고려나전경함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조선시대 의궤의 장황

        신서연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의궤는 조선시대 왕실과 국가의 주요 행사 내용을 담은 우리 고유의 기록서이다. 현재 방대한 양이 남아있고 훼손된 건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작기법이 단절되어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御覽件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기록과 그 실물을 대조할 수 있는 의궤 42건을 선정하여 구성별 粧䌙材料와 시대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의궤의 장황은 열람자의 지위에 따라 재료의 차이가 있었으며, 冊衣와 褙接, 書名, 邊鐵, 內紙로 구성된다. 分上用 의궤는 紅布 책의에 서명을 직접 墨書하고 내지로 楮注紙를 쓰고, 민무늬 무쇠 변철로 가장자리를 고정한 뒤 못 3개를 박고 圓環을 달았다. 이 틀은 17C부터 20C에 이르기까지 19C에 내지로 壯紙가 사용된 것 외엔 비교적 고정되어 유지되는데, 이는 어람용에 비해 저가의 재료를 사용하여 물가의 영향을 적게 받은 점과 참고용 도서의 성격 상 실용성이 더 강해 유행의 영향을 적게 받은 탓이라 생각된다. 이에 반해 어람용은 전쟁과 정책, 사상 등의 영향을 받아 구성별로 많은 것이 변하였다. 어람용 의궤는 비단으로 책의를 하고 제목용 직물에 挾을 둘러 題簽하고 내지로 草注紙를 사용하며 놋쇠 변철에 5개의 菊花童과 원환을 달았다. 19C에 내지로 저주지를 사용한 一件과, 비단에 있어 18C 중반부터 無紋緞을 쓰고 19C부터 緞에서 紬로 바꾸는 등 재료의 級을 낮추는 사항이 있지만, 대체로 점점 고급화되어갔다. 有紋緞 사용 시에는 吉祥을 선호하던 시대 분위기에 따라 雲寶紋과 卍字紋, 鳳凰, 蓮花文을 썼다. 대한제국 성립에 따라 책의의 색이 초록에서 황색과 홍색이 추가되고 이에 따라 배접에 쓰인 염색지의 종류와 협에 쓰인 비단의 색이 다양해졌다. 변철 또한 민무늬이던 것이 18C에 들어서면서 문양이 조각되었으며 19C부터는 변철 문양과 국화동의 형태가 정형화된다. 의궤의 내용인 예의 종류별로 나누었을 시, 길·흉·가례에 따른 책의용 직물의 색과 문양의 차이는 없었으며, 그 외 재료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대표적으로 알려있는 어람용 의궤와 분상용 의궤의 장황에 대한 큰 틀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몇 가지 드러났다. 책의용과 제목용 직물의 문양과 협용 직물의 유무 및 색, 배접용 염색지의 변화와 변철의 조각여부 및 문양, 국화동의 종류와 내지 등이 그것이다. 의궤의 장황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를 하여 전통제작기법을 구현할 수 있길 바라며, 앞으로의 의궤 제작 및 복원 시에는 문헌 연구를 함께 하여 제 원형을 갖출 수 있길 바란다. Euigwe(儀軌) is the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royal family members and the important events. Although many Euigwes are still extant, It`s working methods are not known. So I selected 42 Euigwes that had been kept the original form of them, can be checked the documents with the original and studied mounting materials and the change of the times of it. Mounting(粧䌙) of Euigwe had the difference of materials depend on the reader`s rank. It was composed of cover(冊衣)·side graft(褙接)·title(書名)·edge steel(邊鐵)·text paper(內紙). Bunsang-yong Euigwe(分上用儀軌) was written personally in chinese ink for red linen cover(紅布冊衣), was made text paper in Jeojuji(楮注紙), fixed the edge steel with smooth pattern steel, fastened it with 3 nails and put up a ring(圓環). This form has been kept comparatively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It is considered that Bunsang-yong Euigwe was not much effected of prices by using low priced goods and of Congfucianism by practicality. Eoram-yong Euigwe(御覽用儀軌) was made cover of silks, enclosed title fabrics, used Naeji(內紙) of Chojuji(草注紙) , fixed it with the edge steel(邊鐵), fastened it with 5 Gukhwadongs(菊花童) and put up a ring(圓環). Generally it was getting better and made of Woonbomoon(雲寶紋), Manjamoon(卍字紋), Bonghwangmoon(鳳凰紋) and Yeonhwamoon(蓮花紋) with the air of the times. There were many colors of cover(冊衣), various kinds of dyeing paper and many colors of silk.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of the colors and the patterns of Checeui(冊衣)`s fabric with the Gillye·Hyungye·Garye(吉禮·凶禮·嘉禮) when Euigwe was sor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Ye(禮) and the contents of Euigwe. There were several exceptional cases of the typical Eoram-yong Euigwe and Bunsang-yong Euigwe. For example, the patterns of the fabric of cover and title, the colors of fabric, the changes of dyeing paper, the patterns of edge steel and the kinds of Gukhwadong, etc. I hope the realization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methods of Janghwang(粧䌙) and the production & the restoration of Euigwe(儀軌) through the many studies of Euigwe and Janghwang.

      • 조선시대 초상화 제작에 사용된 종이 연구 :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장연이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초상화 제작은 조선시대에도 왕권 강화, 충효 사상 강조의 일환으로 御眞, 功臣像, 士大夫像 등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앞 시대의 초상화 제작과 달리 조선시대는 초상화 제작 관련 문헌 기록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므로 현존하는 초상화의 보존과 모사를 위한 제작 방법 및 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어진, 공신상, 사대부상 제작에 사용된 종이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어진 제작에 관해서는『影幀模寫都監儀軌』를 비롯한 11건의 어진 관련 의궤 속의 草本, 褙板, 褙接에 사용된 종이를 정리하였고, 공신상 제작에 관해서는『扈聖宣武原從功臣都監儀軌』등 7건의 공신상 관련 의궤 속 공신상 초본과 배접에 사용된 종이를 정리하였다. 일반 사대부상 제작에 사용된 종이는『癸秋記事』․『影堂紀蹟』․『影幀改摹時日記』의 기록에서 찾아보았다. 초상화의 제작에 사용된 종이는 크게 朝鮮紙와 中國紙로 나뉘어졌다. 어진 제작에서는 그림과 비단의 배접에 中國紙를 사용하였고 그 외의 과정에는 朝鮮紙를 사용하였다. 또한, 공신상의 제작에서도 그림의 배접에 중국지를 사용하였고 사대부상의 제작에서도 중국지를 구할 수 있는 문중은 중국지를 사용하였다. 지방에서 제작된 사대부상의 경우에는 조선지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초상화 제작에는 중국지가 조선지에 비하여 배접에 적합한 상질의 종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초상화 제작에 사용된 朝鮮紙에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는 竹淸紙, 白綿紙, 煙窓紙가 있었고 뽕나무를 원료로 만든 桑紙인 雪花紙가 있었다. 초상화 제작에 사용된 중국지인 毛邊紙, 仙紙는 닥나무 외의 재료를 원료로 하는 종이였다. 毛邊紙는 대나무를 원료로 하는 竹紙였고, 仙紙는 靑壇을 주원료로 하는 중국의 宣紙였다. 배접에 많이 사용된 중국지인 粉唐紙는『松南雜識』와『考槃餘事』의 기록을 통해 중국 죽지로 생각된다. 배접에 사용된 白鷺紙는 영변에서 만들어진 한지와 更紙로 알려져 있었지만『燕行記』의 기록을 통하여 중국지로 추측된다. 1935年『璿源殿影幀修改謄錄』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어진 제작의 방법과 재료가 일본화 되면서 美濃紙, 美壽紙, 宇田紙와 같은, 현재에도 초상화 제작에 사용되는 일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美濃紙는 일본의 대표적인 楮紙이고, 美壽紙는 호분을 이용하고 宇田紙는 백토를 이용해 가공된 楮紙이다. 일제강점기의 어진 제작 기록을 통해 현재 초상화의 재제작과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방법이 일본식 表具의 영향이었고 이로 인해 재료인 종이도 楮紙로 일원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Portrait painting, which started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continued on during Joseon period as a means of reinforcing the king's power and emphasizing loyalty and filial piety. It was especially popular to paint a portrait of a king, meritorious retainer, and illustrious official. Unlike the previous periods, Joseon left a good amount of records on portrait painting. Thanks to those records,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 efforts on paint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preserv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remaining portraits.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paper used to paint a portrait of a king, meritorious retainer, and illustrious official with a focus on historical records. The investigator sorted out paper used for Chobon(草本), Baepan(褙板), and picture mounting(褙接) in 11 books about the portraits of kings including『Yeongjeongmosadogamuigwe(影幀模寫都監儀軌)』, paper used for Chobon and picture mounting(褙接) in 7 books about the portraits of meritorious retainers includin『Hoseongseonmuwonjonggongshidogam(扈聖宣武原從功臣都監儀軌)』, and paper used to paint the portraits of illustrious officials in『Gyechugisa(癸秋記事)』,『Yeongdanggijeok(影堂紀蹟)』, and『Yeongjeonggaemoshiilgi(影幀改摹時日記)』. Papers which were used in production of portraits were mainly divided into Joseon Paper and Chinese Paper. In the production of Portrait of a King, Chinese Papers were used in the mounting of picture and silk and Joseon Papers were used in other process. Additionally in the production of Portrait of a Meritorious Retainer, Chinese Papers were used in the mounting and also in the production of Portrait of nobility, Chinese Papers were used by the family which could obtain and afford. In the case of production of Nobility portraits, Joseon Papers were used in the portraits which were produced in the local provinces. And therefore, in the production of portrait in Joseon, it seems that Chinese Papers were used as better paper which was more suitable for mounting than Joseon paper. Joseon paper used for portrait painting includes Jukcheongji(竹淸紙), baekmyonji(白綿紙) and Yeonchangji(煙窓紙) made of the paper mulberry and Seolhwaji(雪花紙) made of the mulberry tree. Mobyeonji(毛邊紙) and Seonji(仙紙), the Chinese paper used for portrait painting, was made of materials other than the paper mulberry. Mobyeonji was made of the bamboo tree, and Seonji was primarily made of Cheongdan(靑壇). Bundangji(粉唐紙), the Chinese paper used for Baejeop a lot, is considered as Chinese bamboo paper based on 『Songnamjapji(松南雜識)』 and 『Gobanyeosa(考槃餘事)』. Used for Baejeop, Baekroji(白鷺紙) was known as Korean paper and pulp paper made in Yeongbyeon, but it is estimated that it was Chinese paper according to travel journals. As seen in the records of 『Seonwonjeonyeongjeongsugaedeungrok(璿源殿影幀修改謄錄)』in 1935, the methods and materials employed in the portrait painting of a king became Japanese. As a result, they started to use such Japanese paper as Minongji(美濃紙), Misuji(美壽紙), and Woojeonji(宇田紙), which is still used for portrait painting today, to paint a portrait of a king. Minongj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Jeoji(楮紙) of Japan; Misuji is made of chalk; and Woojeonji is processed with white clay. Through the records of production of Portrait of a King in Japanese colonial era, it could be concluded that current methods of reproduction and preservation were influenced by Japanese picture mounting and consequently the papers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are has been unified as Jeoji.

      • 전북 장수 비룡리 제철 유적 출토 제철 부산물 연구

        김채연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Furnace slags and wall fragments, which are iron-making by-products, account for most relics excavated from iron manufacturing sites and are the most common analysis samples that can determin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on the iron-making process and iron productivity through analysis. Studies to date have been mainly conducted on fragmentary studies, such as estimating iron-making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through the content of a slag’s component. However, because it may be erroneous,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rvey, includ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atio between components, would be more desirable. Recentl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archaeology and natural scienc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In the case of iron manufacturing remain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making process and furnace by investigating archaeological remains alone is challenging; thus, applying and understanding the analysis case of iron-making by-products is beneficial. This study conducted a material analysis of iron-making by-products excavated from iron manufacturing remains in Biryong-ri, Jangsu-gun, Jeollabuk-do. In addition, it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reviewing the analysis data of prior research on iron-making by-product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Daejeokgol in Jangsu and Gogi-ri in Namwon, which are estimated to be from the same period as those in Biryong-ri, Jangsu-gun, Jeollabuk-do.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iron-making by-products from iron manufacturing remains in Biryong-ri, Jangsu, it is presumed that the iron recovery rate was not high because it was smelted using the solid low-temperature reduction method.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magnetite ore with a relatively high titanium(Ti) content was used as a raw material. The acidity–basicity analysis results determined that all of them are acidic slag, and no slag former was artificially added Reviewing the remains from Daejeokgol in Jangsu and Gogi-ri in Namwon determined that magnetite ores, which have a relatively high titanium(Ti) content, were used as raw materials. Thus, is estimated that iron bloom was produced using a solid low-temperature reduction method. In addition, the acidity–basicity analysis results determined that the samples from both sites are acidic slags. Inspecting the ratio of calcium oxide/silicon dioxide (CaO/SiO2) to the total FeXOY of the three iron manufacturing remains on the bivariate graph confirmed that they did not exceed 0.4, so no calcareous slag former was artificially adde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FeXOY content is more than 20wt%, the CaO component is deemed to be derived from iron ore—the same as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triangular coordinate graph. Moreover, most of the slag components are assumed to have originated from iron ore, while others came from the furnace wall. The scatterplot matrix graph also confirmed that the ratio between components was mix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at the slags from the three iron manufacturing remains had a similar tendency.Applying slag component analysis data to the ternary phase diagram to estimate the operating temperature, it is estimated that operating was mainly carried out at 1,200±50°C in iron manufacturing remains in the Jeollabuk-do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it is estimated that the three iron manufacturing remains influenced each other regarding raw materials and operating methods due to geographical proximity. 제철 부산물인 슬래그와 노벽편은 제철 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 중 대 부분을 차지하며, 분석을 통해 제철 공정과 철 생산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가진 가장 기본적인 분석 대상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슬래그의 단순 성분 함량을 통해 조업 기술과 원료를 추정하는 등 단편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성분 간 비율 비교·분석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최근 고고학과 자연과학의 융복합적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제철 유적의 경우 고고학적 유적 조사만으로 제철 공정과 노의 성격을 파악하기는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제철 부산물의 분석사례를 응용해 파악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본 연구는 전북 장수 비룡리 제철 유적 출토 제철 부산물의 재료학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전북지역의 동일한 시기로 추정되는 장수 대적골 유적과 남원 고기리 유적에서 출토된 제철 부산물의 선행 연구 분석 데이터를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 비룡리 제철 유적의 제철 부산물 분석 결과 고체저온환원법으로 제련하여 철 회수율이 높지 못했고, Ti 함량이 비교적 높은 자철광석을 원료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산·염기도 분석 결과 모두 산성 슬래그이며, 인위적으로 조재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선행연구 된 장수 대적골 유적, 남원 고기리 유적의 검토 결과 모두 Ti 함량이 비교적 높은 자철광석을 원료로 이용하여 고체저온환원법을 이용해 괴련철을 생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산·염기도 분석 결과 모 두 산성 슬래그로 확인되었다. 세 유적의 전체 FeXOY 양에 대한 CaO/SiO2 양의 비율을 이변량그래프로 확인한 결과, 전부 0.4를 넘지 않아 모두 석회질 성분의 조재제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고 FeXOY 함량이 20wt% 이상인 것으로 보아 CaO 성분은 철광석에서 기인 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삼각좌표 그래프 비교 결과와 일치하며, 슬래그 내 성분이 대부분 철광석 에서 기인되었고 일부는 노벽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행렬 산점도 그래프를 통해 성분 간의 비율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혼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 유적이 유사한 경향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업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삼원상태도에 슬래그 성분 분석 데이터를 대입한 결과 조선시대 후기 전북지역 제철유적에서는 대체로 1,200±50℃ 에서 주로 조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종합 비교 결과 세 유적은 시기적·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역인 만큼 원 료나 조업방식에 있어서 서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소년범의 성별과 옷차림이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 인상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소년범의 성별과 옷차림에 따라 소년범의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판단, 재범 가능성 판단, 개선 가능성 판단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년범의 성별과 옷차림이 소년범에 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상형성이 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소년범의 성별(남성/여성)과 옷차림(단정/교복/불량)이 조작된 소년범의 상반신 사진과 함께, 소년범죄 사건에 대한 시나리오를 읽고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판단, 재범 가능성 판단, 개선 가능성 판단, 인상형성 관련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소년범의 성별에 따라 처벌판단, 재범 가능성 판단, 개선 가능성 판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소년범이 남성일 때 여성일 때 보다 더 엄격한 처벌판단을 하고, 재범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였으며, 개선 가능성을 낮게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소년범의 옷차림에 따라 처벌판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재범 가능성 판단, 개선 가능성 판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단정한 옷차림의 소년범에 비해 불량한 옷차림의 소년범에게 더 엄격한 처벌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범의 성별과 옷차림의 상호작용 효과는 모든 종속변인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소년범의 성별과 옷차림이 각각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인상형성에 따라 처벌판단, 재범 가능성 판단, 개선 가능성 판단에 차이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소년범이 여성일 때 보다 남성일 때, 단정한 옷차림일 때 보다 불량한 옷차림일 때 소년범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하였으며, 부정적으로 인상을 형성하였을수록 더 엄격한 처벌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년범죄 사건의 처벌판단에서 법적 요인 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률 외적 요인(성별, 옷차림)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법률 외적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년범죄 사건에 대해 다루었으며, 국내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던‘인상형성’이 처벌판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를 통해, 소년범죄자에 관한 판단에 있어 법률 외적 요인으로 인한 편향을 교정,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원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juvenile offender on punishment judgment, the judgment of possibility of recidivism,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and to find out whether impression formation as mediators on the between gender, appearance of juvenile offenders and punishment judgment. A total of 600 adults aged over 2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read the scenario of juvenile delinquency case with picture of the upper body of a juveile who was manipulated by the gender (male/female) and appearance (tidy/school uniform/untidy) and responded to qustions related to judgement of juvenile offen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unishment judgment, the judgment of possibility of recidivism, and possibility of improve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of juvenile offender.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ft, the participants judged male juvenile offender harsher punishment, higher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and lower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than female juvenile offender.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ppearance of juvenile offender on punishment judg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post-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unishment judgement was harsher for the untidy appearance than tidy appearance of juvenile off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of possibility of recidivism and improvement.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appearance of juvenile offender on judgment about juvenile offender (punishment, possibility of recidivism, possibility of improvement). Forth,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impression formation on the effect of gender of juvenile offender on punishment judgment, impression forma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ll judgments about juvenile offender. To be specific, participants formed more negative impression on male juvenile offender than female juvenile offender, and more negative impression formation, hasher punishment judgment, higher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and lower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Lastl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impression formation on the effect of appearance of juvenile offender on judgment about juvenile offender, impression forma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taion effect in only punishment judgment and possibility of recidivism. In other words, participants formed more negative impression on untidy juvenile offender than tidy juvenile offender, and more negative impression formation, hasher punishment judgment, higher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it confirms the external factors (gender, appearance of offender) that may affect other than lagal factors in juvenile crime case. Especially, this study found that ‘impression formation’, which have not studied in Korea, could affect punishment judg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조선후기 의궤에 기록된 서화류 장황에 사용된 목재 연구

        윤기범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장황(粧䌙)이란 그림과 글씨와 같은 서화류의 감상과 보관을 위한 꾸밈과 갖춤을 뜻하며 이를 위한 작업 역시 장황의 범주에 속한다. 그 종류에는 족자(簇子), 두루마리(捲), 병풍(屛風) 그리고 장황이 마무리 된 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보관상자까지 포함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실행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궤의 기록에 의하면 목재의 사용은 그 특성과 장황의 목적 및 주체에 따라 목재의 종류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족자나 두루마리의 축은 비교적 강도가 높은 소나무(松木), 산유자(山柚子)와 가래나무(楸木)를 주로 사용하였고 병풍틀로는 가공이 용이한 잣나무(柏子木)를 사용하였으며 보관상자에는 잣나무, 오동나무(梧桐木), 피나무(椵木) 등을 사용하였다. 장황용 도구로는 배접을 하기 위한 배판(褙板), 종이를 자를 때 사용되는 전판(剪板), 비단 바탕에 초본을 그리거나 아교포수를 하기 위한 쟁틀(淨機), 폭이 넓은 그림 위에서 작업하기 위해 지르는 다리인 내왕판(來往板)등이 있는데 이때에도 소나무와 피나무가 사용되었고, 소나무의 경우 얇은 소나무 판재인 박송판(薄松板), 긴 소나무 판재인 장송판(長松板) 등으로 형태에 따라 명칭을 부여하여 사용했다. 또한 같은 형태의 장황이라도 사용자의 계급에 따라 사용목재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장황에 사용된 목재는 장황의 대상에 따라, 또는 작업에 필요한 도구, 그리고 사용자의 계급에 따라 그 특성과 용도에 맞게 구분되어 사용되었음을 알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왕실행사의 절차와 사용된 품목들의 제작에 대해 확인 할 수 있는 의궤 기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서화류 장황에 사용되었던 목재의 종류와 명칭, 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진행 될 한국식 장황 보존처리에 적용 할 목재재료의 선정에 전통적인 기준과 근거자료를 제시 하고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Janghwang is decoration and arrangement for appreciating and stor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such as paintings and writings as well as working process for these. It includes hanging-scroll, hand-scroll, folding-screen and preservation-box for long-term storage after Janghwang completed. Uigue documenting royal events in Joseon Dynasty divided and applied the wood stuff related to Janghwang based on the shape and purpose of it such as the axis of hanging-scroll, hand-scroll, frame of folding-screen, preservation-box and the tools for Janghwang working process. Also the material of Janghwang is divided into 'the present to the king' and 'the present to the vassal' according to the target and the social position of its users and the usage of wood stuff followed this division method. Therefore, the wood stuff for the material of Janghwang was distinguished and used based on object of Janghwang, purpose of tools of necessary for works, user. In this study, it will figure out the kinds, names, purposes of wood stuff for Janghwang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rds of Uigue to verify the process and item making used for royal events in Joseon Dynasty and proceed the research for selecting matarial of wood stuff which will be used for upcoming conservation of Korean-Janghwang as traditional standard and database.

      • 성폭행 사건에 대한 비난과 책임 : 가해자/피해자의 음주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손현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성폭행 사건은 종종 사건 자체의 범죄성보다는 상황적 특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판단되기도 한다. 또한 가해자/피해자가 동일한 상황적 특성을 공유하더라도 이들에게 서로 다른 이중 잣대를 적용하여 판단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이중 잣대는 다양한 상황적 특성 가운데 가해자/피해자의 음주여부를 통해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폭행 사건 가해자/피해자의 음주여부와 피험자의 성별에 따라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비난과 책임지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남자와 여자 피험자들에게 각각 가해자 음주여부(음주, 비음주)와 피해자 음주여부(음주, 비음주)가 서로 다르게 조작된 4개의 시나리오를 무선적으로 제시하여 이를 읽은 후 관련 문항들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들이 피해자 비난과 책임지각을 더 많이 하고 가해자에 대한 비난은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자가 술을 마시지 않았을 때보다 술을 마셨을 때, 연구 피험자들은 피해자를 더 많이 비난하고, 마찬가지로 가해자에 대한 비난과 책임지각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 음주여부에 따라서는 가해자, 피해자에 대한 판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폭행 피해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이차피해가 발생하거나, 가해자에 대한 정당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왜곡된 성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