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C말~20C초 회화 작가들의 재현방식에 있어서 색채드로잉적 표현에 대한 연구

        박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19C말~20C초 회화 작가들의 재현방식에 있어서 색채드로잉(Color drawing)적(的) 표현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이 시기 회화 거장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 자연의 모든 대상은 인간에게 끊임없는 감동을 주며, 인간은 그 감동을 예술의 형식으로 형상화시켜왔다. 예술에 있어서 자연은 끊임없이 소재를 제공해주는 존재이다. 이러한 자연의 대상 표현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현대미술은 대상을 보이는 그대로 모사하는 과거의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화가의 시각 능력과 내면세계를 통한 표현형식의 하나임을 새롭게 주장하게 되었다. 또한 조형세계는 그 표현방법에 있어서, 과거의 한정된 재료로부터 탈피하여 다양한 재료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 영역이 무한히 확대되었다. 일반적인 개념의 드로잉은 선을 위주로 하여 그리는 행위로서 단색의 선에 의해 간략하게 그리는 것으로 페인팅 하기위한 전 단계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나 오늘날 드로잉의 개념은 단순히 페인팅의 사전단계 그림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세계로부터 표출되고 이끌려나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위 자체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다. 더불어 현대미술에서 작가의 의도와 발상이 중시되는 드로잉과 회화의 차이를 정의내리기란 쉽지 않다. 오늘날의 회화 경향에서 드로잉 적 표현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을 19세기 말~20세기 초 회화로부터 시작된 드로잉과 회화 또는 페인팅이 동질화 되었다는 단적인 증거라 할 수 있다. 페인팅과 드로잉을 동시에 표현하는 방식으로 색채드로잉적 표현방식 또한 이 안에 포함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대상을 충실히 묘사하는 드로잉방식에서 표현의 의미로 돌아서게 된 점은 한 층 더 넓어진 의미로 또한 변화된 의미의 드로잉이라 여겨진다. 채색하는 것과 스케치를 동시에 표현하는 색채드로잉적 표현 방식은 그림을 자연스럽고 쉽게 그리기 위한 방법으로써 페인팅과 드로잉을 분리하여 그 서로를 별개의 것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채색으로 마무리하여 이미 완성된 작품화면에 스케치 선이 보이게 되고 정해진 일정한 형태로써 대상이 아닌 일부분 해체되거나 또는 일부분 구축되어 이러한 방식이 반복적으로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즉 색채드로잉적 표현은 마무리된 외관을 피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회화에서의 색채드로잉적 표현 양상을 비롯한 미술에 대한 감상 또한 많이 이루어지고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발전된 연구 결과가 나오기를 바라는 바이다.

      •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

        장유민 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lleviating nurses' job stress and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s, with reviewing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relation to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nurses in a regional general hospital. Study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9th to 16th in 2017 and subjects were current nurses working at a regional general hospital in D city. It was analyzed of survey questionnaire from 147 participants, after we explained and got consents to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A research tool for job stress wa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developed by Chang Se-jin et al. (2005), and using too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HPLPII)’ which was developed by Walker et al. (1987) and revised in 1996, adapted by Yun soon-nyoung and Kim Jeong-hee (1999).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used the tools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PCQ)’ measurement developed by Luthans et al. (2007), and revised by Lee Dong-seop and Choi Young-duk (2010).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used the Korean version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PES-NWI)’ developed by Lake (2002) and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by Cho Eun-hee et al.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based on purpose of study.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for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ultiple regression, Hierarchical analysis’ was used to review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esent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was tested and reviewed, using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job stress point of the survey indicated 49.86±8.70points. As reviewing sub-category, job demand was the highest at 70.86±15.37points, and the interpersonal conflict stress was the lowest at 32.95±14.09poin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11±0.44points on the 4point sca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highest at 2.61±0.46points, and physical activity was the lowest at 1.77±0.60poi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3.72±0.67points on the 6point scale. Hope was the highest at 3.86±0.65points and Self-efficacy, optimism were the lowest at 3.65±0.66points, 3.65±0.73points. The average score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33±0.43 on the 4point scale and the nursing foundations for quality of care was the highest with 2.60±0.43points and sufficient staffing and resource adequacy was the lowest with 1.92±0.54points. The study results of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job stress as follows: age (F=7.39, p=.001), final academic achievement (F=7.40, p=.001), working Department (F=11.52, p<.001), Working style (F=5.65, p=.004), total working experience (F=3.35, p=.021) and current hospital working experience (F=3.73, p=.01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final academic level (F=3.71, p=.027), position (F=3.818, p=.024) and salary level (F=5.585, p=.005). Nursing work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 education level (F=7.794, p=.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job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38, p<.001). Howev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61,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50,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Job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45,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62, p<.001).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lso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48, p<.001).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tress,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results, the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48,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27,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2%,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s review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in relation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job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resul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Z=-4.78,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Z=-4.17, p<.001) were significant medi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re important mediating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dividu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crease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n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also regarded that we need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본 연구는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도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현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6월 9일부터 6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및 설문 내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동의를 얻은 후에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147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직무스트레스는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을 사용하였고,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등(1987)이 개발하여 1996년에 개정하였고 이를 윤순녕과 김정희(1999)가 번안한 건강증진 생활양식-Ⅱ(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Ⅱ, HPLP-Ⅱ)를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 등(2007)이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척도(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PCQ)를 이동섭과 최용득(2010)이 번안 및 수정∙보완을 거쳐 완성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간호근무환경은 Lake (2002)가 개발하고 조은희 등(2011)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PES-NWI)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적 통계와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를 사용하였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Baron과 Kenny (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3단계로 나누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 test를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86±8.70점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직무요구도 스트레스가 70.86±15.3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계갈등 스트레스가 32.95±14.0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건강건강증진행위는 4점 척도에 평균 2.11±0.44점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가 2.61±0.4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활동이 1.77±0.6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6점 척도에 평균 3.72±0.67점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이 3.86±0.65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효능감이 3.65±0.66점, 낙관주의가 3.65±0.73점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은 4점 척도에 평균 2.33±0.43점으로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이 2.60±0.4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이 1.92±0.5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7.39, p=.001), 최종학력(F=7.40, p=.001), 근무부서(F=11.52, p<.001), 근무형태(F=5.65, p=.004), 총 근무경력(F=3.35, p=.021), 현 병원 근무경력(F=3.73, p=.0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강증진행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은 최종학력(F=3.71, p=.027), 직위(F=3.82, p=.024), 급여수준(F=5.59,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근무환경은 최종학력(F=7.8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긍정심리자본, 간호근무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직무스트레스(r=-.38,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긍정심리자본(r=.61 p<.001) 및 간호근무환경(r=.50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r=-.45, p<.001), 간호근무환경(r=-.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r=.48,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간호근무환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긍정심리자본(β=.48, p<.001)과 간호근무환경(β=.27, p<.001)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42%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Z=-4.78, p<.001)과 간호근무환경(Z=-4.17, p<.001)은 유의한 완전 매개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매개요인은 긍정심리자본과 간호근무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높이기 위해 개인적 차원으로 긍정심리자본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하며, 조직적 차원으로 간호근무환경의 개선 및 관리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수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정형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e. the Internet and on-line), there has been a drastic change in getting access to information these days. More and more consumers tend to make decisions based on online reviews made by customers’ previous experience. Online word-of-mouth has been increasing and more research has been done related to it. However, little research on online review ratings and the number of reviews has been conducted yet. Hence, this study intends to prove that review marks and the number of reviews cause different impact on consumers depending on whether a restaurant is expensive or not when the consumers try to visit.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Review rating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visit intention. Hypothesis 2: The number of review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visit intention. Hypothesis 3: Review rating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visit intention in case of high-cost restaurants, and the number of reviews will act as regulation effect. Hypothesis 4: Review mark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visit intention in case of low-cost restaurants, and the number of reviews will act as regulation effect. Hypothesis 5: The usefulness of reviews will mediate between the online review ratings and the visit intention. Hypothesis 6: The usefulness of reviews will mediate between the number of online reviews and the visit intention. To prove the hypotheses as stated above, the researcher conducted both a pilot study and a main study,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pilot study.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nd to 6th in 2019, and the age range of the participants was between the teens and the 60s. 318 questionnaires in tot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A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for the questionnaire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review marks, number of reviews, and price level. Consumers’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was also measured depending on experimental groups. Findings of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proved that online review rating and the number of reviews had direct influence on consumers’ decision to visit the restaurant. Second, online review ratings rather than the number of reviews had mor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in case of high-cost restaurant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reviews rather than the online review ratings had mor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in terms of low-cost restaurants. Lastly,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usefulness of online reviews, as a parameter, had no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when the online review ratings and the number of reviews had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As a result,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reviews and the intention of restaurant visit by focusing on online review ratings and the number of review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most research on online reviews has focused mainly on the online review ratings or the number of reviews, the present study focused both on the review rating and the number of reviews at the same time. Also,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ed its impli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proved that both the online review ratings and the number of reviews are crucial elements, although they might not be indispensable factors for all the business success. 요즘은 과거와 달리 인터넷에 기반을 둔 온라인이 발달하여 정보를 얻는 방법도 획기적으로 변하게 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이미 경험해 본 고객들이 게재한 온라인 리뷰에 의지하여 의사결정하는 경향이 커졌다. 온라인 구전은 점점 활발해지고 관련 연구도 많아졌으나,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리뷰의 수에 대한 정확한 연구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레스토랑을 방문하고자 할 때 방문하고자 하는 레스토랑이 고가인지 저가인지에 따라서 리뷰의 정보인 평점, 리뷰의 수가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리뷰 평점은 레스토랑의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리뷰 수는 레스토랑의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고가 레스토랑의 경우 저가보다 리뷰 평점이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저가 레스토랑의 경우 고가보다 리뷰 수가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온라인 리뷰 평점이 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 리뷰 유용성은 매개 할 것이다. 가설 6. 온라인 리뷰 수와 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 리뷰 유용성은 매개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서 진행되었고, 사전 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이후 본조사는 2019년 5월 2일부터 6일까지 10~60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31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리뷰 평점과 수, 가격수준 등 변수에 따라 팩토리얼 디자인으로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에 따라 레스토랑 방문의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 및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레스토랑 방문 시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수는 방문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고가 레스토랑의 경우는 온라인 리뷰의 평점이 리뷰의 수보다 더 레스토랑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저가 레스토랑의 경우는 온라인 리뷰의 수가 리뷰의 평점보다 더 레스토랑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리뷰의 수가 레스토랑의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이 매개변수로 레스토랑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레스토랑 관리자가 소비자들이 느끼는 리뷰에 대한 유용한 점을 반영하게 된다면 레스토랑 방문자들은 좀 더 신뢰하여 방문의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온라인 리뷰와 레스토랑의 방문의도에 관한 사항을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리뷰 수를 중심으로 연구하게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지금까지의 온라인 리뷰 관련 연구는 대부분이 온라인 리뷰의 평점 또는 리뷰의 수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 리뷰의 평점과 리뷰 수를 동시에 측정한 결과를 통해 그 의의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의 연구결과를 보면, 온라인 리뷰의 평점과 리뷰 수가 모든 기업들의 성공을 위한 필수조건은 아닐지라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은 분명하다.

      • 만성통증 환자의 포커싱적 태도, 통증파국화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윤송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성통증 환자의 포커싱적 태도, 통증파국화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만성통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개월 이상 만성통증을 가지고 있는 1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8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포커싱적 태도는 Fukumori와 Morikawa(2003)가 개발하고 주은선, 신설애, 김병선과 김주영(2016)이 수정·보완한 도구, 통증파국화는 Sullivan, Bishop과 Pivik (1995)이 개발하고 Cho, Kim과 Lee (2013)가 번안·타당화 한 도구, 자기효능감은 Sherer et al. (1982)이 개발하고 오현수(1993)가 번안한 도구, 사회적 지지는 Zimet et al. (1988)이 개발하고 문지영과 조복희(2010)가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 삶의 질은 WHO (1993)가 개발하고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과 김동기(2000)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회귀분석을 활용한 SPSS Process Macro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포커싱적 태도, 통증파국화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 태도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포커싱적 태도의 삶의 질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통증파국화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통증파국화의 삶의 질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여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성통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맞춤화된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상 현장에서 만성통증 환자와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상담 프로그램 및 올바른 통증 대처법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manner, pain catastrophiz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92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visited in K university hospital, D city from 25th, August, 2020 to 27th, October, 202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SPSS 24.0. Also,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using SPSS Process Macro. Results: Focusing mann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37, p<.001). And pain catastrophiz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47, p<.001).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ing manner and quality of life (B=-.00, 95% Boot.LLCI=-.23, 95% Boot.ULCI=.23). An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catastrophizing and quality of life (B=-.21, 95% Boot.LLCI=-.27, 95% Boot.ULCI=-.14).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It is also expecte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can further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pain.

      • 댄스스포츠 참여 유무에 따른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

        오수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과 댄스스포츠를 접해보지 못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가치관을 알아보고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발전 방안 제시 및 많은 사람들의 적극적인 댄스스포츠 참여를 도모하여 인식 향상 및 가치관을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댄스스포츠 참여자들과 댄스스포츠 참여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320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수거된 320부의 설문지 중 연구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부적절한 설문지 23부를 제외하고 참여집단(participating group) 173명, 비참여집단(non-participating group) 124명, 총 29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Window용 SPSS 25.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 값의 유의 수준은 α= .05로 하였고, 유의 수준에 대한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가지고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댄스스포츠 인식, 가치관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댄스스포츠 참여 및 비참여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댄스스포츠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연령에 따른 자기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참여 및 비참여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댄스스포츠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참여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3개의 하위요인(자기인식, 사회문화적인식, 가치인식) 모두 참여 집단의 평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댄스스포츠 참여유무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참여 집단의 평균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values of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as well as the ordinary people who have no experience on Dance Sports, and suggest a development plan to positive recognition and values on Dance Sports and encourage more people to join Dance Sports by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values. With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and value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20 people by purposeful sampling among participants in Dance Sports as well as the ordinary persons who have no experience on Dance Sports living in Seoul. 297 questionnaires(173 from participation group and 124 from non-participating group) were used in the study and the other 23 questionnaires were deemed inappropriate for the study.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performed via SPSS 25.0 for Window. Specific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al values was α=.05 and Scheffe analysis was conducted for follow-up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level. The study produced partially significant result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nd values on Dance Sports, based on the foregoing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ng group had an effect on recognition on Dance Spor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co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nce sports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ng group had an effect on values on Dance Spor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Thir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y the participation status showed higher mean in participating group, but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3 sub-factors(self recognition, social-cultural recognition and values recognition).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values by the participation status showed higher mean in participating group, but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 한국 기업교육에서의 교육연극기관 달라에듀테인먼트의 교육연극 운영 프로세스연구 : R.A.W(Real Action Workshop), R.A.T(Real Action Theatre), R.A.S(Real Action Simulation)의 실제 기업교육 운영사례 분석을 통한

        박연정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 논문은 한국 기업교육의 방법론으로서 교육연극의 적용 방향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기업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달라에듀테인먼트의 교육연극 프로그램 및 기업교육별 사례를 통한 교육연극 적용 프로세스 및 효율성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