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봉춘 본 <원천강본풀이> 담화 분석 : 문답담화와 연대를 통한 존재의 전환

        김명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주도 특수본풀이 박봉춘本 <원천강본풀이>의 원문을 분석해 서사가 지닌 의미를 온전히 해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원천강본풀이>는 교과서, 동화책, 연극, 애니메이션, 치료 도구 등으로 변용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적 전승이 활발한 데는 서사를 통해 얻어지는 문학적 공감과 보편적 인식이 현대 사회에서도 유효한 의미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이는 자기 근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존재의 불완전성과 결핍으로 고뇌하는 존재들과 연대해 원천강에 도달하게 된다. 오늘이와 각 존재의 관계는 문답을 통해 이루어진다. 문답 담화는 서사가 이행되는 동기가 되기도 하고 무기력하고 대상화된 존재들에게 내적 주체성을 자각시키기도 한다. 인물들이 나누는 질문과 응답의 교환은 일방적이지 않고 상호적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존재들을 만나고 그들과 문답으로 관계를 맺는 오늘이의 여정은 원천강이 지닌 생명성과 순환성의 원리가 관계와 연대로 실현된 것이다. 오늘이는 자기 근본을 찾아 길을 떠나 부모를 만나고 여정에서 만난 이들이 부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되돌아간다. 다양한 존재의 결핍을 충족시키고 신녀가 된다. 이것이 오늘이가 다른 서사 무가의 여성 주인공과 구별되는 점이다. 대부분의 여성 주인공은 가부장적 위계질서에서 여성에게 할당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부장제로부터 인정받고자 한다. 하지만 <원천강본풀이>에서 오늘이는 다른 존재들과 수평적인 관계를 맺고 다양한 존재가 서로를 인정하고 연대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존재의 전환을 이루어 낸다. <원천강본풀이>가 지닌 의미를 밝히기 위해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방법과 기호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했다. 우선 <원천강본풀이>의 문답쌍을 텍스트별로 나누고 구조화해 개별 텍스트의 특성을 밝히고 서사의 짜임과 의도를 파악했다. <원천강본풀이>는 목적지인 ‘원천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실계-초월계(원천강)-현실계’의 대칭적 구조는 원천강이 지닌 순환적인 세계관이 서사의 구조에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이가 원천강으로 가는 왕로에서 존재들과 나누는 문답은 ‘질문-응답-대질문’의 구조로 되어있다. 문답 구조는 원천강에서 얻을 수 있는 응답을 남김으로써 각 에피소드의 연쇄적 구성과 원천강과 소망 성취와 연관성에 필연성을 부여하고 있다. 현실계의 존재들이 겪는 질곡은 현실계의 구조에서 기인한다. 오늘이의 이동은 정지해 있는 존재들의 능동성을 깨우고 연대해 단절된 구조를 변화시키고 존재의 질적 전환을 가져온다. 공간을 이동하는 주체적 행위는 타인의 행위를 촉발시키고 정체되고 단절된 세계의 문제를 해결했다. 오늘이와 존재들이 맺는 관계의 양태가 갖는 서사적 의미는 기호학적 분석 방법인 행위자 모델과 기호사각형으로 해석했다. 대상화된 존재들이 오늘이를 만나 자기 문제를 주체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늘이에게 연대하는 주체로 변화한다. 오늘이는 다양한 존재와의 접촉을 통해 관계와 경험이 쌓이며 자질과 능력을 성장시켜 초월계로 갈 수 있었다. 자아정체성을 찾고 존재를 질적으로 전환하는 것은 타인과 분리된 채 가능하지 않다. 다양성을 인정하고 개별적 존재들이 지닌 삶의 질곡에 공감해 동등하고 공평한 공동체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관계적 자아가 형성될 때 결핍은 해소되고 존재적 전환은 가능하다. <원천강본풀이>에서 인간과 비인간은 모두 동등한 관계를 맺고 타인이 주체로서 존립할 수 있도록 관계적 자아를 회복하고 있다. 그 중심에 모두를 엮어내는 오늘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여성 정체성이 있다. ‘원천강’은 현실계의 존재들이 소망하는 온전한 자기화를 이루고 수평적인 관계와 삶이 가능하도록 자아 내부의 신성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은 생명력과 생생력이 가득한 시간과 공간이 통합되어 영원히 순환하는 곳이다. 오늘이는 원천강에서 자신의 근본을 찾고 원천강의 원리를 접하고 현실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을 얻는다. 오늘이는 현실계로 돌아와 연대했던 존재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답을 전하고 원천강의 원리를 전하는 여신이 된다. 단절되었던 현실계와 초월계는 오늘이를 통해 이어지고 원천강의 원리는 오늘이를 통해 현실계에서 실현된다. <원천강본풀이> 서사의 의미는 현대 사회가 지닌 불평등한 권력 구조로 인한 억압과 폭력의 문제, 비인간화의 문제 등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회적 역사적 배경의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근본적인 문제에 어떠한 태도와 가치를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지를 알려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천강본풀이>의 온전한 의미를 해석하고 구비서사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영화 Script를 통한 듣기와 쓰기 지도방안 연구 : Jane Austen의 Pride & Prejudice

        고서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English listening and writing skills by using the movie script. The text under consideration is the film script of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Needless to say, the original text(novel), the visualized film, and the film script are all useful tools for improving both the learner's literary appreciation as well as their linguistic skills. It could be argued that the use of film and literature will pay the way for reforming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predominantly focuses on university entrance exam.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serves as an ideal choice for teaching materials. Above all, the learners can make an easy access to this novel because it has many interesting episodes written in simple sentences. In addition, it includes daily happenings in the English countryside such as social intercourses, weddings, and partings. Based on the film script, in listening part, I devised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a cloze test, true or false choice, and matching the scene. In writing part, I devised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description of selected places in the movie, transforming the original and abridged text into the film script (mainly in the form of dialogues), a short essay writing, and how to use dictions. In conclusion, a film version of an English novel,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will serve as useful teaching materials at the high school level because it is easy and interesting to read. Classroom activities included and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will be of much practical use to English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 Script를 활용하여 최근 영어교육에서 중시하고 있는 영어의 듣기능력과 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의사소통의 기초적인 기능인 듣기활동과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필요한 쓰기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간결한 문장과 많은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포함하고 있고, 영국 시골의 일상생활과 연인들의 만남과 헤어짐, 결혼 등의 소재를 다루고 있어 학습자의 접근이 쉬운 이상적인 교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만과 편견󰡕의 영화와 영화 Script를 텍스트로 사용하여 듣기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몇 가지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듣기활동의 경우, 몇 가지 기준에 의해 선정된 명장면을 활용한 Cloze Test, 장면 고르기, True or False 고르기 등을 포함했다. 쓰기활동의 경우, 영화 속 주요 장소에 대한 묘사, 원본과 축약본을 비교하여 script로 바꿔 쓰기, 결혼의 유형에 관한 에세이 쓰기 활동, Diction 사용법 등을 포함했다. 아울러서 이런 활동들을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영화화된 문학작품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며, 이를 통해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수준의 학습자에게 유용한 학습교재가 될 수 있다.

      • 경영자의 이익예측정확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남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경영자가 이익예측오차(보고이익과 이익예측치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이익조정을 하는지 검토하고 이러한 이익조정행위가 감사품질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 조사한다. 또한, 차별화된 감사품질이 경영자의 이익예측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경영자가 이익예측치를 공시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예측정확성이 낮을수록 이익조정의 정도가 커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는 스스로 공시한 이익예측정보가 실제정보와 차이가 클 경우 이익을 조정함으로써 예측오차를 최소화하여 투자자들에게 예측정보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이려 한다. 둘째, 예측오차가 큰 기업들 중 대형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들은 이익조정에 제한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고품질 감사인에 의하여 이익조정이 제한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익예측정확성이 낮을수록 증가하는 이익조정의 행위는 감사품질에 따라 차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고품질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받은 기업일수록 이익예측오차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품질 감사인을 선임한 기업일수록 이익조정행위가 제한을 받기 때문에 이익예측오차가 커진다는 가설과 상반된 결과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과 이익조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예측정보가 기업의 이익조정행위를 감시하는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경영자의 예측정보를 이용하는 증권시장 내의 모든 정보이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managers manipulate reported earnings to reduce earnings forecast error(i.e., the gap between earnings forecast and reported earnings),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earnings management activity depends on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also analyzes whether the audit quality affects the accurac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issuing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listed in the Korean securities market for six years from 2002 to 2007.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xamined that the higher the extent of earnings management, the lower the accuracy of earnings forecast. This result confirms that managers attempt to minimize forecast error, by managing reported earnings. Second, firms with large auditors are limited to earnings management. Consistent with prior literatures, this evidence indicates that high quality auditor limits earnings management, and such earnings management activity, which increases as earnings forecast accuracy decreases, is distinguished by audit quality. Third, the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firms with high quality auditor have lower earnings forecast errors. However, this finding is in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earnings forecast error increases because of earnings management restricted by high quality audito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forecast information would be one of the factors monitoring earnings management activity, by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forecast accuracy and earnings management. It further indicates that management forecast information would benefit all information-users who utilize the forecast information in securities market.

      • 저반복과 고반복 훈련이 테니스동호인들의 기술향상에 미치는 영향

        유병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저반복과 고반복 훈련이 테니스동호인들의 기술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테니스 경기력에 직결되는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훈련을 저반복(연속적인 6회 반복)과 고반복(연속적인 14회 반복)의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12주간 실시하는 것이 경기지역의 테니스동호인 남자들의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향상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다주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테니스동호인들에게 알맞은 효과적인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훈련프로그램 구성하고 테니스동호인을 지도하는 일선 스포츠현장의 지도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의 중년남자 테니스동호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저반복과 고반복 훈련을 12주간 실시하여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반복 훈련방법 보다 저반복 훈련방법이 집단간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자세의 정확성과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 변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아니지만 자세의 정확성 변인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 변인에서도 우위의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훈련 사전, 6주후, 12주후의 기간에 따른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자세의 정확성과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 변인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저반복, 고반복 훈련의 집단과 훈련 사전, 6주후, 12주후의 기간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저반복 훈련집단이 고반복 훈련집단 보다 큰 증가를 보인 것에 기인하여 상호작용효과가 테니스기술 자세의 정확성에서는 포핸드스트로크를 제외한 서브, 백핸드스트로크, 포핸드발리, 백핸드발리 변인에서 나타났고,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에서는 서브와 백핸드스트로크를 제외한 포핸드스트로크, 포핸드발리, 백핸드발리 변인에서 나타났다. 이것으로 집단별, 훈련기간별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자세의 정확성과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 변화는 모든 변인에서 저반복 훈련집단과 고반복 훈련집단 모두 증가의 추세를 보였지만 저반복 훈련집단이 보다 큰 증가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고반복 훈련방법의 효과 보다는 저반복 훈련방법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론적으로, 고반복 훈련방법 보다 저반복 훈련방법이 집단간 테니스기술(서브, 스트로크, 발리) 자세의 정확성과 타구의 정확성 및 스피드 변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아니지만 자세의 정확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저반복 훈련집단이 고반복 훈련집단 보다 많은 증가를 보인 것에 기인하여 훈련기간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가 여러 변인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낸 것을 볼 때, 테니스 경력이 1년 미만인 30~40대 중년남자 테니스동호인들을 위해서는 많은 횟수로 반복훈련을 실시하고 적은 횟수의 자세교정설명 피드백을 갖는 고반복 훈련방법 보다는 적은 횟수로 반복훈련을 실시하고 자주 자세교정설명 피드백을 갖는 저반복 훈련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테니스기술과 경기력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많은 횟수로 반복되는 훈련으로 인한 지루함 또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인원의 대상자를 확보하고 다양한 대상자들을 구성하여 장기간으로 실시한다면 더욱 향상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Tennis Skill Training of Low Repetition and High Repetition on Tennis-Lovers' Skill Improvement Yoo, byung ryul Dept.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nnis skill training of low repetition and high repetition for 12 weeks. Research subjects were some of 30-40years 10 man's tennis-lovers who are career under 1 year and live in Gyeonggi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experimental groups; group of the low repetition training and the high repetition training. Observation variable was pre, 6weeks, and 12weeks test in three time, tennis skill test was serve, stroke, and volley. Results found from such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actitude in tennis skill form variation w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wo types of experimental groups by pre, 6weeks, 12weeks test in serve, stroke, and volley. Between group we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serve, stroke, and volley. Interaction effect of the exact tennis skill form w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serve, backhand stroke, and forehandㆍbackhand volley because low repetition training group was showed more increase than high repetition training group. The exactitude & speed in a stroke of tennis skill variation w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wo types of experimental groups by pre, 6weeks, 12weeks test in serve, stroke, volley. Between group wer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serve, stroke, volley. Interaction effect of the exact tennis skill form w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forehand stroke and forehandㆍbackhand volley because low repetition training group was showed more increase than high repetition training group. Therefore, It could know to be effective on low repetition training method more than high repetition training method.

      • TXM에 사용되는 특정 렌즈의 진동 검출 및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진동 감쇄 연구

        최재연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contains a process that solves the problem of vibration attenuation of a specific Optic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a Transmission X-ray Microscope (TXM). STMicroeletronics‘ LSM6DSO sensor was used to detect vibration, and as a result of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vibration of each area, the Fresnel zone plate was measured to be affected by vibr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e shape of the support of the Fresnel zone plate was chang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Modal, Harmonic response). The designs of the first and second plans were carried out, and counter balance weights were applied to resolve the weight imbalance using the integrated support of the second plan support. As a result of vibration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bration intensity was reduced by up to 70% compared to the initial problem.

      • 고성능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 연료전지를 위한 세라믹 복합체 전극과 나노 촉매 연구

        송상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기존의 SOFC(Solid oxide fuel cell)는 주로 산소이온 전도성 세라믹을 기반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SOFC는 높은 활성화 엔탈피를 가지기 때문에, 그 작동온도가 800℃이상으로 매우 높다. 그로 인하여, 구성요소에 엄격한 열적, 기계적, 전기화학적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SOFC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작동온도를 800℃ 이상의 고온에서 500℃ 부근의 온도로 낮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SOFC의 작동온도를 낮추면 내부저항 및 전극의 분극저항이 증가하여 전지의 성능저하를 수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500℃도 부근에서도 높은 전도도를 가지며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연료전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부합되는 것으로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 연료전지(Protonic ceramic fuel cell, PCFC)가 있다.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은 수소 이온이 결정격자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체 산화물로서, 기존의 산소이온 전도성 세라믹에 비해 중·저온(500-700℃)에서 이온 전도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복합체 전극의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어, 중·저온용 연료전지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전극으로 사용되는 Perovskite 구조기반의 전극물질인 (La0.8Sr0.2)FeO3 (LSF)과 (La0.8Sr0.2)V0.9 (LSV)를 선택하여 액상법으로 합성하고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 Ba(Ce0.51Zr0.30Y0.15Zn0.04)O3-δ (BCZY-Zn)과 산소이온 전도성 세라믹 기반(YSZ)의 다공성 전극에 각각 함침법으로 주입하였고, 같은 방법으로 CeO2 와 Pd을 촉매로 넣어 주었다. 700℃에서 YSZ에서는 단위면적당 전극저항(Non-ohmic area specific resistance)이 0.28 Ωcm2 이었다. 하지만 PCFC에서는 단위면적당 전극저항이 0.09Ωcm2 정도로 매우 작았다. 그리고 반 전지(Half cell, Symmetric cell)의 분석을 통하여 저온에서 LSV 음극성능은 LSF 양극성능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로써, YSZ 보다 PCFC가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중·저온 영역에서 뛰어난 성능의 PCFC를 위한 음극개발에 성공하였다. 이후 PCFC 성능개발을 위해서는 새로운 양극 물질을 개발하여야 한다. Almost of studies on SOFCs (Solid oxide fuel cells) are mainly based on oxygen ion conducting ceramics. However,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SOFC using the oxygen ion conductor is over 800℃ in order to get a high power density, but such high operating temperature makes the poor long-term stability. Thus, for SOFC’s commercializations, the operating temperature should decrease from 800℃ to an intermediate temperature, about 500℃. In order to get a good performance from the intermediate temperature SOFC (IT-SOFC), both of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performance should be improved. One of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IT-SOFC is a protonic ceramic fuel cell (PCFC). Protonic ceramics which can conduct the proton through the lattice were known to have higher ionic conductivity at intermediate temperature compared to the oxygen ion conducting oxides. In this study, the composite electrodes for the PCFC were fabricated by infiltrating the active electrode materials such as (La0.8Sr0.2)FeO3-δ (LSF) cathode and (La0.7Sr0.3)V0.90O3-δ (LSV) anode into a porous protonic ceramic scaffold composed of Ba(Ce0.51Zr0.30Y0.15Zn0.04)O3-δ (BCZY-Zn). And nano-sized catalysts such as Pd and CeO2 were also added into the composite anode to enhance the electrode performance. In the same way, the oxygen ion conducting fuel cells with the yttria-stabilized zirconia as an electrolyte (YSZ cell) were also fabricated. And cell performances were measured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from 700℃ to 500℃. In the whole temperature ranges, the electrode performances of PCFC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YSZ cells. This shows that the protonic cermics can improve the electrode performance as well as reducing the resistance of electrolyte.

      • Ginkgolide B가 전정핵 뉴론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나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Ginkgolide B가 내측 전정핵 뉴론의 흥분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후 14-16일 사이의 Sprague-Dawley 흰쥐를 ether로 마취한 후, 두피 및 두개골을 제거하고 전정핵이 위치하는 뇌간과 소뇌 부위를 적출하였다. 효소처리하여 얻은 세포를 도립현미경 위의 실험용기에 옮긴 후 단일 세포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의 자발활동전위를 patch-clamp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20개 세포 중 16개(80%)세포에서 흥분적 반응을 보였고 4개(20%) 세포에서는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2. 전정핵 뉴론의 발화율은 ginkgolide B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전정핵 뉴론의 후과분극은 ginkgolide B에 의하여 감소하였다. 4. 전정핵 뉴론의 자발적 활동전위의 spike 간격은 ginkgolide B에 의하여 변화되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Ginkgolide B는 내측 전정핵 뉴론을 탈분극시키거나, 후과분극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활동 전위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흥분적 반응을 유발하리라 생각된다.

      • 약물 치료에 반응 없는 돌발성 난청에서 경구 스테로이드 재사용시 치료효과

        박정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돌발성 난청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영구적인 청력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이과적 응급질환의 하나로 경구 스테로이드 요법이 가장 보편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고 70%의 회복율을 보인다.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재사용시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돌발성 난청으로 진단 받고 입원하여 치료받은 98명(98귀)중에서 치료에 반응없는 33명(33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에 효과가 없는 33명(33귀)환자를 스테로이드 반복 치료한 실험군 15명(15귀)과 은행잎 추출제등의 보존적 치료 및 경과 관찰을 시행한 대조군 18명(18귀)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98귀 중 33귀(33.7%)는 청력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경구 스테로이드를 반복 사용한 실험군 15귀 중 9귀(60.0%)에서 청력회복을 보였고 경구 스테로이드를 반복 사용하지 않고 기타 보존적 치료 및 경과 관찰을 한 대조군 18귀 중 2귀(11.1%)에서 청력회복을 보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예후와 관련해서는 실험군에서 현기증 동반시 예후가 좋지 않았으며 그 밖에 연령, 초기 청력도, 이명, 상기도 감염 유무는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치료에 회복되지 않은 돌발성 난청환자에서 전신적 스테로이드 금기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테로이드 반복 치료를 시도해 보는 것이 보존적 치료 보다 청력 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사료된다.

      • 오이디푸스 서사에 나타난 노년의 지위에 관한 연구

        이호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노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육체적으로 노화가 일어나는 인간 삶의 한 단계이다. 그 끝은 명확하게 죽음이며 소멸이다. 노년의 삶에서 죽음이 전제된다면 평균기대수명이 80세를 넘긴 현대인들은 은퇴이후 20년 이상을 죽음을 기다리며 살아야 한다. 죽음은 어느 세대에나 만연한 것이기에 노년의 삶에 항상 전제될 필요는 없다. 인간은 노화가 일어나나기 전에 죽을 수도 있고 노년 이후의 삶은 이전의 삶보다 더 짧을 수도 더 길 수도 있다. 필멸의 인간에게 주어진 죽음이라는 극복할 수 없는 사태에만 집중하면 남은 시간에 관해서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고대 세계에서는 노인들에게 지혜의 상징과 영적 매개자의 권위를 부여 했다. 이는 거친 외부환경과 빈약한 의학기술로 장수하는 노인 수가 많지 않았던 것에 기인한 것이다. 살아남은 노인에게 죽음을 제거한다면 시간의 양적 경험은 어느 세대도 극복할 수 없는 최고의 장점이다. 그렇지만 긴 시간동안 축척된 노인들의 경험이 젊은이보다 항상 합리적인 판단을 이끌 정도로 질적으로 우수하다고는 단언할 수도 없다. 따라서 노인들이 종합적인 시각을 가진다는 것은 부분적으로만 수용될 수 있다. 노년은 청소년기의 무지에 따른 호기심과 청년기의 책임 없는 열광성과 장년기의 현실에 안주하려는 순응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러한 양태들은 개인마다 시대마다 장소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 되었다. 급격하게 고령화 되고 있는 한국에서 이전 시대의 노년의 삶을 재조명하는 것은 직면한 현실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적 시대구분을 바탕으로 고대 희랍의 오이디푸스 서사에 나타나는 노년의 지위가 가족제도와 도시국가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구비전승 된 오이디푸스 서사는 기록되고 재창작되는 과정에서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했다. 오이디푸스 서사가 활발하게 재창작되었던 고대 희랍은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전쟁을 분기점으로 고졸기(The Archaic Age)와 고전기(The Classic Age)로 나누어진다.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로 도시국가 아테네는 희랍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게 된다. 아테네는 급진적인 민주정을 기반으로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면에서 주변 지역보다 더 절정의 시기를 보냈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는 당시 아테네인의 일상에도 큰 영향을 주었고 노년의 지위도 변화 시켰다. 조르주 미누아는 통사적인 분석을 통해서“원시사회 단계부터 지혜와 허약함, 경험과 노쇠, 위험과 고통의 근원인 노년에 대한 모순성”이 나타난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노화라는 한 개인의 경험은 가족이라는 사적 영역에서 도시국가라는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모순성을 극복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도시국가 아테네는 초기 가족 중심의 공동체에서 민주정으로 발전하는 단계에서 기록된 문헌 분석을 통해서 노년의 다양한 양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년이라는 개인적 경험이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제도화되고 사회화됨에 따라 모순성을 극복하려고 했던 사례들을 살펴본다. 그러나 혈연 공동체인 가족이라는 사적 영역에서 가부장제의 확립과 도시국가라는 공적 영역에서 노인공경의 제도화는 가족이나 도시국가의 구성원들의 삶을 규율했다고 해서 반드시 노년의 지위를 상승시켰다고 단언할 수 없다. 또한 민주정의 아테네와 과두정의 스파르타에서 나타난 노년의 지위는 그 정치체재 만큼이나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노년의 지위는 사회적 권력 관계의 기인한다. 문헌 분석을 통한 노년의 지위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행간 읽기가 요구된다. 이는 고대의 문헌들이 남성 중심으로 기록되었다는 점을 들어 시민 여성이 열등하게 기록되었다는 주장과 같은 맥락에서 젊은 시민 남성 중심의 서사가 노년의 삶을 왜곡했을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오이디푸스 서사에서 나타난 행위의 주체와 객체의 분석에 있어 남녀의 구분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지만 그 행위의 수혜자가 청년인지 장년인지 노년인지 불분명하다. 따라서 노년의 사회적 지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통사적으로 가족제도와 정치제도를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에 나타난 노년의 삶을 재구성해 볼 수밖에 없다. 서구의 가부장제 전통을 고대 희랍의 가족제도에서 비롯되었지만 당시의 결혼제도와 상속제도를 통해서 재구성해 보면 민주정이 실현되었던 아테네에서는 강력하게 작동하지 않았다. 부계 중심의 가부장제에서 한 가족의 수장이 반드시 노년에 접어들었다고 단정 할 수 없지만 아테네인들의 결혼 관습을 보면 자식이 결혼할 시기가 되었다면 그 가족의 수장인 아버지는 노년에 근접했다. 따라서 당시의 노년의 사회적 지위는 결혼제도의 변화와 함께 이전 시대보다 약화되었다. 또한 참주정에서 민주정으로 정치 체제가 변화면서 시민 남성 다수에 의한 지배는 전통적인 노년의 사회적 권위에도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오이디푸스 신화가 수용되고 변용 과정에서 재창작된 고대 희랍의 서사를 통해서 당시의 노년의 지위를 재구성한다. 노년이라고 직접적으로 명시된 부분에 나타나는 행위의 주체와 객체를 분석하고 가부장제 전통 속에서 가장의 역할 변화와 급속한 민주정의 발전 속에서 노년의 사회적 지위를 검토해서 정치 체제의 변화가 노년의 지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고찰한다.

      • 최대주주의 변경이 회계투명성과 공시투명성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requent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on accounting transparency and disclosure transparency.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t change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accounting transparency through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s in financial statement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t changes of the largest shareholder and disclosure transparency through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company and unfaithful disclosure penalty points. Auditors perform selective audit contracts, increases in audit fees, and conservative audit procedures to respond to high audit risk. This study confirmed that auditors make additional efforts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for firm with frequent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To confirm thi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 and audit hours, audit fees and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going concern opin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listed companies from 2011 to 2015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frequent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of distortions in financial statements. In addi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t change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of distortions in financial statements appears smaller for the company audited by the Big 4 auditor. Second, companies whose largest shareholders have changed frequently are more likely to be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company, and imposition of unfaithful disclosures was also high.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frequent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reduc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disclosure transparency. Third, as the number of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increases, the audit hours and audit fees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receiving going-concern opinion. This means that auditors recognize frequent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as a high audit risk and respond to them. In addition,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e robustness of the research. An analysis using a variable whether firm have changed the largest shareholders instead of the number of changes in largest shareholders resulted in a similar result to the main analysis. Analysis using control samples and propencity score match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We analyzed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the managements on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s in financial statements, the possibility of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company, and the possibility of receive of going-concern opinions. This study adds to the extant literature on the effect of change in largest shareholders on accounting transparency and disclosure transparency. The regulator considers changes in the largest shareholders as a matter of caution. This study suggests evidence on the concerns of regulator by confirming that the largest shareholder change has a negative impact on accounting transparency and disclosure transparency. 본 연구에서는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이 회계투명성과 공시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확인하였다. 회계투명성은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포함 가능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공시투명성은 불성실공시지정 가능성, 불성실공시 부과벌점을 통해 분석하였다. 추가로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이 회계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감사인이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을 높은 감사위험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해 대응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최대주주의 변경과 감사시간, 감사보수, 계속기업의견 표명 가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은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과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가능성 간의 관계는 Big 4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기업의 경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대주주가 자주 변경된 기업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성실공시에 따른 부과벌점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최대주주의 변경이 잦은 기업일수록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증가하였으며, 계속기업의견을 받을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최대주주의 변경 횟수 대신 최대주주 변경 여부를 사용한 분석과 동일 산업과 유사한 자산규모로 구성한 통제표본, 성향점수매칭(PSM)을 사용한 표본,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표본을 사용한 계속기업의견 분석에서도 주요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얻어 연구의 강건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경영자 교체가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해 최대주주의 변경과 경영자 교체가 재무제표의 왜곡표시 가능성과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계속기업의견 표명 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재무제표의 왜곡표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업의 지배구조와 재무제표 왜곡표시 가능성에 대해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이사회, 감사위원회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연구 결과들도 혼재되어 있다. 최대주주에 관한 연구들도 최대주주 지분율, 최대주주 변동 시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대주주의 잦은 변동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로 연 2회 이상 최대주주 변경 공시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최대주주 변경 횟수를 사용하여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이 회계투명성과 공시투명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감사인의 대응을 분석하여 최대주주의 변경과 관련된 연구를 확장하였다. 감독기관에서는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기준에 최대주주의 변경 횟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를 연간 2회 이상 변경한 기업을 투자유의사항에 공시하고 있다. 2018년 11월부터 시행된 외감법 개정안에는 주권상장법인의 감사인 직권지정사유에 과거 3년간 최대주주 2회 변경 사유가 신설되는 등 최대주주의 변경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최대주주의 잦은 변경이 회계투명성과 공시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감독당국의 우려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