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脫冷戰 以後 日本 外交安保政策 變化에 관한 考察 : 日·米 安保體制를 中心으로

        김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 국제사회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미·소 양극체제 붕괴를 시작으로 국제질서를 주도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각국의 외교안보정책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일본의 경우 탈냉전은 군사력을 중심으로 한 지정학적 요소가 줄어든 반면 경제력을 중심으로 한 지정학적 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경제대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일·미 안보체제 중심의 일본 외교안보정책에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일·미 안보체제의 변화를 통해 일본의 외교안보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된 배경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냉전체제의 붕괴는 군사력과 이데올로기가 중요시되었던 국제질서체제에서 경제적 실리가 강조되는 ‘경제안보’ 등장으로 국제사회는 국제적 협력을 통한 국제질서를 모색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질서의 움직임 가운데도 동북아 지역은 여전히 냉전적 대립과 갈등이 잔존해 있는 지정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일본 내에서는 1995년 ‘55년 체제’가 붕괴되면서 정당간의 이합집산형태의 연립정권이 형성이 되었고, 일본의 장기적 경제침체는 일본 국민들로 하여금 강한 일본을 재건해야한다는 내셔널리즘적인 열망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즉 일본의 외교안보정책은 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의 변화와 국내정세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후 일·미 안보체제는 승전국과 패전국 간의 상호동맹으로 출발한 것으로 비대칭 안보체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냉전시대의 일·미 안보체제는 일본의 안보확보 및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했고, 소련과 중국을 효과적으로 견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비대칭 안보체제는 냉전체제에서 탈냉전체제로 전환 되면서 일·미 안보체제는 새로운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1990년 걸프전 당시 일본의 경제공헌중심의 외교안보정책이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게 되자 이후 일본은 세계 제2위의 경제력에 걸 맞는 국제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새로운 외교안보정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2001년 미국의 9·11 테러 사건이 발생되자 일본은 외교안보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미국과의 연대를 더욱 강화시켜줬다. 미국과의 원활한 연대를 위해 ‘주변사태법’, ‘대테러 특별조치법’, ‘이라크 인도부흥 지원특조법’, ‘유사입법’등과 같은 법제를 재정하였다. 또한 일본의 군사적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일본의 방위시스템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일본은 소극적 안보정책에서 벗어나 소위 ‘질서 순응국’에서 ‘질서 형성국’으로 전환하여야 한다는 발상으로 종전의 ‘정세 순응적 외교안보정책’에서 ‘주도형 외교안보정책’으로 전화하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 하지만 일본의 군사적 역할확대는 동북아 지역차원 및 한반도 차원에서 보면 부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비록 일본의 외교안보정책에 의한 방위력 증강이 미국의 견제 아래 있다고 하지만, 일본사회가 보수화·우경화 되어 가면서 주변 국가들에게 위협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국내정세의 변화 속에서 일본의 외교안보정책 변화는 예정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임에 한국은 일본을 지나치게 선입관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보기 보다는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으로 일본의 외교안보정책을 바라봐야 할 것이다. 21世紀の国際社会は1990年代に入り、米ソに二極体制の崩壊により国際秩序を主導的に対処するための各国の外交安保政策が変化し始まった。日本の場合、脱冷戦は軍事力を中心とする地政学的な要所が少なくなる一方、経済力を中心をする地政学的な要所が増加するにつれ、経済大国の国際的な位相を高める契機が整われるようになり、日米安保体制政策を中心とした日本外交安保政策にも新しい変化をもたらした。本論文の目的は脱冷戦以後、日米安保体制の変化によって日本の外交安保政策がいかなる方向に変化しているのか、そして変化の背景と内容を明らかにするのである。 冷戦体制の崩壊は軍事力とイデオロギーが重要視された国際秩序体制の中で、経済的な実利が強調される「経済安保」の登場により、国際社会は国際的な協力を通じる国際秩序を模索するようになった。しかし、この国際秩序の動きの中でも北東アジア地域は依然に冷戦的な対立と葛藤が残存している地政学的な特性を持っている。一方、日本の国内では1995年「55年体制」が崩壊し、政党の間の離合集散の形の連立政権が形成された。この状況の中で、日本の長期的な不況は日本国民に強い日本を再建すしなけらばならないというナショナリズム的な熱望を与えたように見える。つまり、日本の外交安保政策は脱冷戦以後の国際秩序の変化と国内状況の変化が複合的な作用によるものであるといえるだろう。 戦後、日米安保体制は戦勝国と敗戦国の間の相互同盟で始まったもので非対称安保体制と言える。しかし、冷戦時代の日米安保体制は日本の安全保障の確保および経済成長を可能にし、ソ連と中国を効果的に牽制する手段であった。この非対称安保体制は冷戦体制から脱冷戦体制へ転換されるにつれて、日米安保体制は新しい変化をもたらされるようになる。1990年湾岸戦争の当時、日本の経済貢献中心の外交安保政策が国際社会から非難を受けるようになり、以後日本は世界第2位の経済力にふさわしい国際政治的な影響力を確保しようとする新しい外交安保政策を模索するようになる。2001年アメリカの9・11テロ事件は、日本の外交安保政策が執行するにおいて、アメリカとの連帯をもっと強化させる影響を与えた。アメリカとの円滑な連帯のために「周辺事態法」、「対テロ特別措置法」、「イラク人道復興支援特措法」、「有事立法」などのような法制を裁定するようになる。また、日本の軍事的役割が拡大するにつれて、日本の防衛システムを改善する動きも見える。 結果的に日本は消極的な安全保障政策から変化を推進している。いわゆる「秩序順応国」から「秩序形成国」への転換の動き、あるいは、従来の「国際秩序の狀況に順応する外交安保政策」から「日本が国際秩序を主導的に導く外交安保政策」への転換の意思が見えると言えよう。しかし、日本の軍事的役割の拡大は北東アジア地域のレベルおよび韓半島のレベルでは否定的な側面を持っていると言えるだろう。日本の外交安保政策による防衛力の増強がアメリカの牽制の下にあるともいえるが、日本社会の保守化・右傾化によって、周辺国家の脅威になるのも事実である。変化する国際秩序と国内政治状況の変化の中で、日本の外交安保政策の変化は予定されていたとも言える。この日本の動きに勧告は日本を先入観を持った視覚で見るより、客観的で総合的な分析で日本の外交安保政策を見るべきであろう。

      • 한국 식품업계에 있어서 일본적 경영의 영향 : 주요 유가공업체를 중심으로

        최형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韓?食品業界においての日本的??の影響: 主な乳加工業界を中心に 韓?の食品業界は、終身雇用と年功序列などの企業文化において非常に保守的という評?を受けている。この企業文化は、日本との技術協力と??方式を導入する過程??で始められたことが普遍的な評?である。 ?際、韓?の主要な食品企業のうち、1960年代末に誕生した企業が今の食品企業の大半を成しているが、これらの企業は、?の食品政策によって基礎から成長に至るまで非常にユニ?クな成長過程を?た。これは、1965年の日韓?交正常化がなされて、日本の技術サポ?トと資本に支えられたことが大きい。1次??開?5カ年計?と2次??開?5カ年計?を立てて成長する過程で、韓?政府は、飢餓から?して食べられる問題を最も優先解決すべき課題として選定した。このため、多くの今日の食品企業のうち、大手企業に?する企業は、日本との技術提携と??手法の導入に力を注いだ結果、日本的??が自然に企業文化に流れ?むことになった。 日本的??の特?は、三種の神器と呼ばれる年功序列と終身雇用、企業???組合などがある。そして、集?意思決定をする集?主義などは、日本的??で日本??成長の動因と考えられた。1970年代と1980年代、日本の高度成長期に日本は海外進出の必要性が高くなり、韓?との?係で言語?文化?制度などでの共通点が多くて、韓?に多くの投資と技術を提供した。韓?の食品企業は、設備から生産販?管理に至るまで、日本的な物をを受け入れようと努力した結果、成功した企業がうまられた。 しかし、1990年代の後半に入ってから、日本的??は再びバブル??の崩?とともにまな板にのせられるようになった。日本を?展させた原動力という主張がまだあるとすれば、日本の長期不況を作った主犯だという見方も生まれた。 このような日本的??の食い違う評?の中で、韓?の食品業界が、日本的な??や日本の技術を導入したという事?は、ファクトとし見直す部分がある。このため、日本的??の調査と?究を通じて韓?食品?社でどのように日本的??が導入されているか、そして日本的??が韓?食品業界にどのような影響を?えたかなどを調べてみた。日本的??による安定成長の基盤を持っていた韓?食品企業は、1990年代末の通貨危機以降でグロ?バルススタンドが優先され、日本的??は韓?食品業界でも徐?に低下した。 日本的??とグロ?バルスタンダドによる?化を追求する韓?食品業界は、この韓?だけの?特の??方式で??が?化している。しかし、韓?の?特の??方式にもに日本的??が含まれている。オ?ナ?中心の???制が代表的な韓?式??であるが、これに?する反論も少なくない?況である。日本的??と韓?食品業界との?係を調査することにより、今後、韓?食品業界でもの?展方向に?考になるように期待する。

      • '역사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내셔널리즘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주요 일간지 사설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박수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Koizumi's annual visit to Yasukuni war shrine, an argument for a revision of constitution, an arising desire for rearming their self-defense forces, controversies over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asserting the authority of Dokdo islet, those political situations in Japan raise deep concern over the revival of Japanese nationalism and militarism among the neighboring countries. This phenomenon is strongly connected their viewpoint of history. This study will cover the characteristic, diversity and changing aspec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ationalism by investigating a controversy over the history textbooks, which is deeply connected with a historical perspective. This controversy shows clearly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nationalism originated from different historical viewpoints through the different historical experience as a ruler and a subject in 1900s. It was the hot issue in both countries' newspapers, which was formed into two versions of nationalism; one was based on the past historical back ground and the other social changes. By analyzing the editorials of this controversy especially in a period when this was a hot potato in both countries, I examined the transformed aspects of both countries' nationalism.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point in dispute and how are the editorial tones of each country's 4 major newspapers? Question 2: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m appeared in those editorials? Question 3: What kinds of changes of nationalism are shown in those editorials according to time respect? To draw the answers from those questions I pick the editorials from 4 major newspapers in each country: JungAng, JoSeon, DongAh, HanGyeore, Asahi, Yomiuri, Mainich, Sanchei. This study conduct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f four each country's newspap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t editorial tones between two countries. The dominating issues in Korean papers are defending its position and criticizing Japan. While Koreans make a single voice toward this controversy Japanese plead their thoughts in various ways. This shows clearly a collectivity of Korean papers and a diversity of Japanese. The collective character of Korean papers appears mainly in the issues connected with Japanese matters. This shows that newspapers represent people's emotions and minds from a national position rather than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Japanese has a broader range of an ideological spectrum in respect of diversity than Korean. However this Japanese diversity of idea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collective form when they face a conflict against their essential national interests such as a territory dispute. We can find a good example of this from a shift of editorial tones in Yomiurishinbun and Mainichshinbun. These two Japanese papers' tone shift implies that nationalism in Japan has been gradually strengthened since 90s. Second, the special features of nationalism in each country's 4 papers are as follows: While Emotional forms and strengthened factors of nationalism strongly appeared in all Korean papers, there were severe diversities in Japanese papers. The major factor in Japanese papers was a post-past historical perspective. As a result this has characterized today's Japanese nationalism. In short, while former imperial nationalism and economical nationalism stirred the national factors in people mind and formed national emotion and strengthened it, today's nationalism is moving toward the post-past historical nationalism. Third, the periodic changes in news coverage of this controversy in each country are as follows: While in Korean papers, the attitude of news coverage has been transformed from forming national emotionand strengthening it to a self-centered historical perspective and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in Japanese papers, to strengthening a self-centered historical perspective. This means Korean nationalism has been broken away from pursuing the past then has been moving forward to the future-oriented historical perspective instead. The reason two contrary factors appeared coincidently is that Koizumi's visit to Yasukuni war shrine and conflict with Dokdo is let issue irritated Korean people's emotion. On the contrary Japanese shift was caused by the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m in each country's 4 news papers are as follows: While Korean papers have shown consistency for that issue up to the fourth history textbook controversy, Japanese papers have deviated toward a conservative way. One significant point is that Korean people's historical viewpoint has been changed into the future-oriented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their nationalism has been strengthened also. This can be understood that Japanese more strengthening their nationalism since 90s has been stimulating a national emotion of Korea.

      • 国際化する日本の地域社会の ニューカマーの子どもの教育体制作り : 浜松市を中心に

        김지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제화하는 일본 지역사회의 뉴커머 아이들의 교육지원체제 형성에 관한 연구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일본학과 사회문화전공 김지연 국제화라는 단어가 일상화 된 오늘날, 세계에서 자본, 정보 그리고 사람이 자유롭게 국경을 넘어 이동하고 있다. 일본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사람의 이동이 주목 되고 있다. 언어, 문화, 전통이 다른 사람들이 일본 사회에 거주하면서 이동 하는 사람도 이동을 받아들이는 사회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생활하는 외국인의 수가 해마다 늘어나 2008년에는 221만 7426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 정주 외국인뿐만 아니라 브라질, 페루, 필리핀, 태국, 중국, 한국 등 노동을 목적으로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에 주목해 종래 정주 외국인인 재일 한국인, 재일 중국인과 구별하여 ‘뉴커머’ 라고 부르고 있다. 단기체류 예정이던 뉴커머의 장기체류화, 가족화로 인해 일본사회와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뉴커머의 체류 장기화, 가족화로 인해 과제로서 대두된 자녀 교육 문제를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고자 한다. 아이들은 언어적 문제, 일본 학교의 부적응 문제, 진학문제, 아이덴티티 문제, 경제적 어려움 등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배경으로 인해 불취학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뉴커머 아이들의 교육문제는 일본의 학교, 교육시스템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그러나 아이들은 지역사회 안에서 성장, 발달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역할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뉴커머 아이들의 교육 상황을 검토하고 선진사례로서 ‘하마마츠시’ 를 통해 지역사회의 교육지원책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지역사회가 나아가야 할 교육지원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하마마츠시의 뉴커머 아이들의 교육 지원은 세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뉴커머 증가 계기가 된 1990년 ‘출입국관리 및 난민 인정법’ 개정 이후, 다른 지역보다 외국인의 생활 개선을 위해 앞선 노력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제조업의 도시’로 불리는 하마마츠시는 ‘혼다’, ‘스즈키’ 등의 국제 기업이 다수 존재하며, 이전부터 외부 노동 인구의 왕래가 많았다. 입관법 개정 이전인 1982년부터 ‘내면의 국제 교류’를 목표로 활동을 전개 해왔다. 이 활동이 축적되어 외국인이 급증하는 시기인 1990년대 초기부터 외국인의 위한 시책, 즉 뉴커머 자녀교육 지원 등을 포함한 여러 시책이 실시되었다. 둘째, 지원확대를 통해 인식의 확산이다. 외국인을 주민으로서 인식하여 지원을 실시, 확대함에 따라 외국인의 자녀에 대해서도 국적과 관계없이 ‘아이’라는 관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지속적인 지원을 모색 하고 있다. 셋째, 행정・주민・기업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뉴커머 어린이의 지원을 다각도로 시행하고 있다. 뉴커머 어린이의 경우, 일본에서의 장기 체류 희망과 무상교육 이유로 일본의 공립학교에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언어의 어려움, 일본 학교 문화의 적응 문제, 진학 문제 등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처해있다. 교육 현장의 학교와 교사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힘든 이러한 상황을 행정・주민・기업이 네트워크를 형성、지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이미 시작되었다. 시행 착오를 통해 변화 하고 있는 과도기 과정이기 때문에 협력과 통합의 과제도 확실히 존재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원 활동이 축적되어 더 나은 환경에서 뉴커머 어린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지역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Study on Making an Educational System for Newcomers’ Children by a Community of Globalizing Japan - A Case of Hamamatsu City – Ji-Yeun Kim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oday the term globalization is heard every day, and capital, information and people freely cross borders across the world. Japan is no exception of such a trend and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movement of people. People of different languages, cultures, and traditions are living in Japan, and both moving people and the society embracing them are changing.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Japan has grown every year, recording the highest 2,217,426 in 2008. The phenomenon is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who come to Japan for labor from Brazil, Peru, the Philippines, Thailand, China and Korea in addition to the permanent foreign residents. Japan calls them “newcomers” different from the Korean Japanese or Chinese Japanese that have long lived in the country. As newcomers, who intended for a short-term stay in Japan, start to prolong their stays and build their own families in the country, they have emerged as a new topic in their communities and further in Japanese societ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educational issues for the children of newcomers, which h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prolonged stay and making families by newcomers, with a focus on the community. Newcomers’ children face a wide range of problems including language barrier, maladjustment to the Japanese school, advancement to higher education, identity issue, and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diverse backgrounds, they do not even get to go to school. The educational issues for their children are under the biggest influences of Japan’s school and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roles of the community cannot be underestimated as children grow and develop in the commun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newcomers’ children in that kind of situation, examine a community’s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with an advanced case of Hamamatsu City, and suggest directions for a community’s educational supports.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newcomers’ children in Hamamatsu City can be characte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city made an early start in improving life for foreigners compared to other communities after the revision of “Immigration Control Act of 1990” that opened the gate to the flood of newcomers. Called the “city of manufacturing industry,” Hamamatsu City holds the plants of such international corporations as “Honda” and “Suzuki” and has witnessed active passing of outside labor force for many years. It implemented activities under the goal of “international exchanges from within” in 1982 before the revision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those activities, it carried out various policies for foreigners in the early 1990s when the number of foreigners started to jump including educational support for the children of newcomers. Secondly, the people’s perceptions have been expanded through more supports. As the city sees foreigners as citizens and expands supports for them, the locals have developed a critical viewpoint that children of foreigners are “children” regardless of nationalities. Based on such a perception, the city offers diverse supports and explores ways for ongoing supports. Finally, the network of administration, residents, and companies provides multifaceted supports for newcomers’ children, who, in many cases, go to a public school for economic reasons and for the hopes of long-term stay in the country. However, they are facing many different and complicated problems such as language barrier, maladjustment to the culture of Japanese school, and advancement to higher education. Hamamatsu City saw the beginning of collective efforts to form a network of administration, residents, and companies to help solve those difficult situations that require more than the efforts of schools and teachers. Since the network is in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it is changing through trials and errors, there is a definit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cooperation and integration. However, Hamamatsu City is highly likely to grow into a community where newcomers’ children can receive education in a better environment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such supportive activities.

      • 한국에서 천리교의 유입•전개 및 수용배경

        トオヤマ, アヤ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천리교는 19세기 말에 한국에 유입된 최초의 일본 신新종교이다. 한국 개항과 일본의 식민지정책에 따라 많은 일본 종교들이 한국에 진출했는데, 다른 일본계 종교들은 해방 직후 일본의 패전으로 인해 한국에서 대부분 소멸했음에도 불구하고, 천리교만은 해방 후에도 그 맥을 비교적 잘 유지해 나가고 있다. 천리교는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했던 일본 명치정부明治政府의 인가를 받은 신도교파神道敎派로서 한국에서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신도神道는 일본 고유의 종교이며 일본의 제국주의 정책에 이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에 최초로 유입된 일본 신종교 천리교가 일본식민지시대에 신도교파 종교로 활동했던 교단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후에까지 한국에서 수용될 수 있었던 배경을 천리교의 유입과 전개, 해방 후의 부흥활동을 살펴봄으로써 밝혀 보고자 한다. 천리교는 가난한 사람들, 과학적으로 치유가 불가능한 환자들을 찾아가 교의를 설교하여 그들이 가진 병을 치유해 주는 방식으로 포교를 하였다. 천리교의 초기 한국 포교는 교단 교회본부에서 계획적으로 진행된 사업이 아니라 열정적인 한 신자나 각지에 있는 교회의 독자적인 방침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1910년 한일합방 조약이 조인되자, ‘대한제국’의 국호가 개정되어 ‘조선’이 되었다. 그리고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인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다. 일본의 식민지 정책은 천리교 포교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1919년에는 경성 조선교의강습소가 개설되고 이후 많은 조선인 포교사를 양성했다. 한국에서 천리교의 수용요인은 천리교의 융화적 태도와 한국인 중심의 포교,그리고 천리교가 한국 고유의 토속 신앙인 무속이 천리교의 의례 방식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의 천리교 포교 활동은 표면적으로는 식민지정책에 따라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순수히 종교적인 의도에서 이루어진 측면이 더 강하다. 또한 한국 토속 신앙인 무속신앙과 천리교의 유사성을 생각해 볼 때, 한국에는 이미 천리교를 수용할 만한 토양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것이 천리교가 한국에서 토착화하는 데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An inflow of the Chollikyo in Korea and development and a main factor Aya Toyama KOREA STUDIES GRADUATE SCHOOL INTERNATIONAL &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article described an inflow of the Chollikyo in Korea and development and a main factor. Chollikyo was the first Japanese new religion that flowed into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Depending on the Korea’s opening the ports and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there were many Japanese religions went into Korea. Although the most of Japanese religions became extinct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but after of Korea’s liberation only the Chollikyo still be existenced. At that time, the Chollikyo’s propagation was actived in Korea as the Shinto religious sect which accomplished as the authorization of the Japanese Meiji government and the imperialism policy. The Shinto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religion that was played in the important role of Japanese imperialism policy. The Chollikyo was the first Japanese new religion that was flowed into Korea and actived as the Shinto religious sect in the Japanese colonial times.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Chollikyo’s inflowing, expansion, revival activities in Korea that is limited on the after of Korea’s liberation. Chollikyo’s healing methods was the way that visited poor people and healed the patients who could not heal scientifically. The propagation method of the Chollikyo tried to preach people a sermon and to cure the diseases. The early propagation of the Chollikyo in Korea did not perform to operate the principles of the headquarters, but started to attain the personal principles of believers’ passions or in each church.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was signed on 1910. A governor-general's office was set up, Korea was governed by Japan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to begin.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ollikyo’ s propagation activities. The main factor of the Chollikyo in Korea are the attitude of the harmony towards to the Chollikyo and the propagation for the Korean people. The Chollikyo’ s propagation activities in Korea was obeyed superficially by the colonial policy, but it was actually performed in original religious intention. In addition, one of the main factor are the Chollikyo that resembles to a courtesy of shamanism of Korea.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e base which had already received the Chollikyo in Korea.

      • 団塊世代の引退による沖縄県の 観光政策変化に関する研究

        이종혁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1947년에서 1949년 사이에 태어난 일본의 제1차 베이비붐세대인 단카이세대가 2007년을 전후하여 정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 단카이세대는 인구가 약 700만에 달하고, 경제력과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걸쳐 중요한 마케팅 대상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단카이세대는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일본 국내관광에 대해 상대적으로 강한 소비욕구를 가지고 있어, 이들을 위한 관광정책개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일본의 관광정책이 주로 국제교류증진, 환경보호 등과 같은 이념에 대응하여 성립되었던 것과 달리, 단카이세대는 일정한 연령집단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들에 대한 관광분야에서의 대응은 주로 통계조사를 통한 이들의 현상분석과 단기적 이익창출을 위한 전략마련에 치우쳐 왔다고 생각되어 진다. 경제적 측면과 함께 문화, 교육적 측면도 갖고 있는 관광의 특성과, 일정한 연령집단이라는 단카이세대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단카이세대를 위한 관광정책은 그들이 집단으로서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을 파악하여, 그 가치관을 관광을 통해 실현하는 것을 관광정책의 목표로서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계중시, 사례중시 연구방법론과 더불어 심리학의 관점을 이용하여 단카이세대가 '자아정체성(identity)의 지속성 추구'라는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관광분야에 적용하여 단카이세대의 가치관을 실현시켜주는 관광 모델로서 '목적중시여행'과 '동기부여중시여행' 제시한다. 또한 관광분야에서 단카이세대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레벨의 첫 조사대상이 된 오키나와현의 사례를 통해, 현재 일본에서 단카이세대를 위한 관광정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평가를 통해 앞으로 더욱 단카이세대에게 적합한 관광정책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실버층과 단카이세대의 관광분야에서의 요구를 구분하여 파악함으로서 단카이세대의 고유의 특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는 집중성이 필요함을 논한다. The First Japan's baby boomers, so-called Dankai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47 and 1949 have been reached age limit from 2007. This generation is watched by various fields of industry as a key marketing target, because of their huge population volume, powerful economic strength, and good physical health. Especially, they have relatively strong propensity to consume the domestic tourism service compared to other fields of industry, so the necessity of suitable tourism policy development for their needs has been constantly occurred and studied. However, unlike Japanese traditional tourism policy has been made for dealing with the ideological interests;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so on, Dankai generation has a specific character as a fixed age group. The measures for Dankai generation's needs in the field of tourism have been leaned to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the statistic data and making strategy for the quick million. The tourism has not only economic side but also cultur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Dankai generation as a fixed age group, the proper tourism policy for them can be designed by understanding their value system first, and then making policy clearly based on their valu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looked usual methodologies to know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focusing on the statistic data and taking a serious view of case study. After then, this study used psychological methods to understand Dankai generation's value. It shows that Dankai generation has specifically a tendency to pursuit their identity without stopping. With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er tourism for Dankai generation should focus on the purpose and the motivation. Also, through the case of Okinawa which was the first surveyed area by central government for dealing with Dankai generation's needs in the field of tourism, this study looked closely the current tourism policy system changes for Dankai generation in Japan. Finally, with critical analysis of Okinawa's current policy, this study insists that Dankai generation's needs in tourism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traditional needs of the elderly for more effective and more helpful tourism policy for Dankai generation.

      • 日本における嫌韓言説に見られる レイシズムの特徴とその背景

        マミ, ヒロタニ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을 말살하라’ ‘바퀴벌레(재일 코리안)들을 쫓아내라’. 이러한 배외적이고 차별적인 발언과 함께하는 혐한 시위가 2010년대 현재 일본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혐한 시위는‘인종주의(racism)’의 문맥으로도 문제화되고 있으며, 여러 대책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혐한 현상에서 볼 수 있는 인종주의에 대한 대응책을 생각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인종주의가 보이고 있는지 (인종주의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 배경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혐한 담화의 분석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종주의의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미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생물학적 인종주의’와 ‘문화적 인종주의’라는 관점을 사용해서 담화 분석을 했다. 이 두 관점을 통해 혐한 현상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혐한 현상에는 문화 차이를 근거로 차별이나 배척을 하는 문화적 인종주의의 담화를 현저히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그 배경에는 경제적 불안이 있다’라는 특징 및 배경이 제시되어 있었다. 구미의 인종주의 연구에 있어서도 인종주의의 배경으로 경제 불안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일본의 선행연구에서도 경제 불안이라는 배경을 제시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인종주의의 배경에는 경제 불안이 아닌 일본적인 배경도 있지 않을까?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출발점으로 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로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던 경제 불안이라는 배경 설명에 대해서 담화 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며, 둘째로 일본적인 배경으로 생각되는 역사 인식의 대립이라는 배경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먼저 제2장에서는 ‘일본에서 혐한 현상이 언제부터 인종주의의 문제로서 대두되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3단계로 나눠서 각 단계의 상황 및 혐한의 내용에 대해서 각각 정리하였다. ‘혐한’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제1단계(1990년대) 혐한의 주된 내용은 한국정부에 대한 역사문제 관련 비판이었으며, 이 단계에서는 혐한이 인종주의의 문제로 논의되지는 않았다. 혐한 현상이 인종주의의 문제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기는 인터넷 발의 “만화 혐한류”가 발간된 제2단계 이후이며, 현실 사회에서 혐한 시위가 빈발하는 2010년대 현재, 혐한 현상은 일본에서 인종주의의 문제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제3장에서는 인종주의의 내용이 포함된 혐한 담화에 대해서 생물학적・문화적 인종주의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의 피’에 대해 열등하다고 느끼거나 혐오감을 드러내는 담화들이나, ‘조선인=범죄자’라는 담론 등 생물학적 인종주의에 속하는 담론들을 볼 수 있었다. 한편으로 ‘재일특권(在日特権)’같은 재일 코리안에 대한 사회적 우대에 대한 반감이나, ‘반일’이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반감이나 위협을 드러내는 문화적 인종주의에 해당되는 담론들도 볼 수 있었다. 생물학적 인종주의는 익명성이 높은 매체에서는 현저히 볼 수 있었지만 익명성이 낮아지면 잘 안 나타났다. 따라서 생물학적 인종주의는 일본에서 공적으로는 정당성을 상실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문화적 인종주의의 담론들은 익명성이 낮은 매체에서도 현저히 볼 수 있었으며, 두 인종주의가 공존하면서도 문화적 인종주의의 논리가 생물학적 인종주의보다 현저화되고 있다는 특징을 알아냈다. 제4장에서는 ‘혐한 담론에서 볼 수 있는 인종주의의 배경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여기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역사문제의 대립’과 ‘경제 불안’이라는 배경 설명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답을 얻으려고 하였다. 먼저 역사인식의 대립이라는 배경에 대해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조선민족에 대한 인종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역사문제의 대립을 계기로 문화적 인종주의의 담론인 ‘재일특권’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고 문화적 인종주의를 품게 되었다는 점이며, 둘째로 ‘반일’이라는 역사관의 차이를 조선민족의 ‘변하지 않을 악의 본질’로 삼아 차별이나 배척으로 이어져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에서는 역사인식의 대립이 인종주의의 배경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은 구미의 인종주의의 배경으로는 일반적이지 않은 일본적인 인종주의의 배경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경제불안이라는 배경에 대해서는 일본의 경우, 인종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는 주체가 경제적인 약자가 아니라는 것이 혐한 현상에 관련한 실증적인 선행연구와 담화 분석을 통해 명백히 나타난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어 왔던 경제적인 약자가 혐한 활동에 참여하고 인종주의의 담화를 수용하거나 발신하고 있다는 설은 근거가 약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일본인도 힘든데 왜 재일 코리안한테 사회적 보상을 해주냐’라는 식의 재일 코리안을 위한 사회적 우대에 대한 역차별 의식이 혐한 담론에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담론들이 현저히 보이는 것을 고려해 보면, 역시 경제 불안이라는 배경이 인종주의의 배경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일본에서는 다양한 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조선민족에 대한 인종차별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 불안의 시대를 배경으로 생긴 역차별의식이 인종주의의 또 하나의 배경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을 통해 일본에서의 혐한 현상은 2000년대부터 인종주의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생물학적・문화적 인종주의의 담론들이 공존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문화적 인종주의의 담론들을 현저히 볼 수 있다는 특징을 알아냈다. 이러한 특징은 구미에서의 인종주의의 특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종주의의 배경은 구미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일본에서의 혐한 담론 분석을 통해, 일본의 경우 인종주의가 나타나게 된 중요한 배경으로 한국 및 주변 국가들과의 역사인식의 대립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덧붙여, 다양한 계층에 속한 사람들에게 재일 코리안을 위한 사회적 우대에 대한 역차별의식이 경제 불안의 시대에 생겼는데 그 것이 인종주의에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혐한 현상에서 볼 수 있는 인종주의를 경제 불안을 느끼는 계층에 의한 현상이라고 파악하면 올바른 대책을 세울 수가 없다. 역사 인식의 대립이란 배경 하에 인종주의가 나타나고 있으며, 경제 불안을 느끼지 않는 계층에서도 인종주의가 나타나고 있다는 상황에 입각하여 일본에서의 혐한 현상 및 인종주의에 대한 대책을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逸脫抑止機能が期待される學校の規則の 問題点と改善策 : 日本の學校文化といじめ問題を通しての考察

        ナカムラ, ヒロシ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일본에서 이지메 문제는 교육과 관련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본고의 연구 목적도 ‘이지메 문제의 해결’ 지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지메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지메’ 에 대한 정의를 한다. 본고에서는 이지메 문제를 간과하지 않도록 우선 ’이지메 행위가 아니냐’ 라는 의심을 갖기 위해서, 가능한 한 간결하게 ‘어떤 집단 안에서, 일방적으로 심리적·물리적 방법으로 공격을 가하는 행위’ 를 ‘이지메’ 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 이지메 문제를 생각할 때 그 배경의 고찰도 필요하다. 아이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룰(rule)이 기능하고 있어야 할 ‘학교’ 라고 하는 장소로서의 배경으로 교원이나 아이들은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라는 ‘학교 문화’ 의 특징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교원의 사사화(私事化)나 아이의 자존 감정의 강화라고 하는 변화가 중요한 배경이 될 수 있다. 학교 문화는 학교, 제도, 사람으로 구성되는데 사람인 교원이나 아이 자신이 변화하는 한편, 학교 제도는 기본적인 면에서 크게 변화가 없다. 그 중에서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이 학교 규칙이다. 학교에서는 법률 대신에 이 규칙이 일탈 행동의 억제가 되어야 한다고 기대할 것이다. 그러나, 이지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현실 속에서 학교 규칙이 이지메 문제를 억제시켰다고 볼 수 없다. 이지메 행위는 학교에서의 일탈 행위 즉, 이지메 가해자가 학교의 규칙이나 규범 관념을 벗어나 일으키는 가해 행위이기 때문에, 이 극복할 수 있는 ‘규칙의 기능’(제도적 측면)을 검토하는 것은 이지메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또, 학교와 같이 제재(sanction)가 없는 장소에서의 이지메 문제에 관해서는 가해자가 어떠한 사회규범에 동조하는가라는 연구가 중요하다. 규범 관념에 동조하여 자기규제를 할 수 있는 아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사람이나 상황과의 만남, 접촉 가운데에서 행위를 ‘대립’ 이 아닌 ‘자기 판단’이 가능한 ‘측정(measure)’ , ‘조율(scale)’ 이 되는 규범이 필요하며, 그것은 판단 기준이 되는 ‘원칙(原則)’ 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가능해진다. 사회에서 최소 필요한 것은 ‘남의 권리·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 라는 것이며, 남의 권리·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개인의 욕구를 합의를 통해서 포기 또는 억제시키는 것이다. 그 때문에 T.Hirschi가 제창한 ‘본드 이론(Bond Theory)’과 타케가와 이쿠오(竹川郁夫)의 ‘상황 적합성 룰(状況適合性ル-ル)’을 원용·검토하여 일탈 행동을 억제하는 기능이 기대되는 학교 규칙의 방법을 고찰한다. 본드 이론에서 빌리프(belief)로 불리는 규범 관념에 대한 동조는 준법 의식이 아니다. 준법 의식은 법 내용과 상관없이 법을 지키는 것이 강조되며, 규범 관념에 대한 동조는 ‘자기를 컨트롤(control)하다’ 라는 의미로 자기 규제로 불려야 하는 것이다. 자기규제는 자율적일 때 비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강요 받는 것이 아니다.. 본드 이론에서의 ‘컨트롤’ 도 ‘개인에 기반을 둔 개념이며 개인이 사회와 결합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개인이 스스로에 대해서 실시하는 억제 행동 또는 내면화된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라고 하는 것이며, 학교 규칙을 기능시킬 때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또, 학교에서 규칙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그 규칙에 스스로가 동의 할 수 있는 것이라는 어태치먼트(attachment)와 빌리프를 형성시키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필요하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 교원이 규칙을 일방적으로 정하지 않으며 규칙의 성립은 ‘상황 적합성 룰’ 의 성립 과정을 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규칙은 반드시 명문화된 것을 의미하지 않으나, 이 규칙의 성립에는 반드시 ’원칙’ 과 모순이 없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룰(rule)은 인간이 상황에 따라 인위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변경시키는 것은 어려운 얄이 아니다. 규칙에 관해서 구태의연한 형식을 강요하고 있는 많은 학교는 규칙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할 시기이며,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The bullying problem is serious social issues still related to the education now in Japan. It is the one that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ext also aims at "resolution of bullying problem." To consider the bullying problem, "Bully" is defined. Because the bullying problem is not overlooked, in the meaning with the doubt first of all, saying that "Isn't it a bullying act?" as concisely as possible "Act of attacking it in a one-sided, psychological, physical method in a certain group" is assumed the definition of word "Bully" When thinking about the bullying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ackground.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and there is a place "School" in which the rule is sure to function. Then, if the characteristic of "School culture" is seen by thinking based on the background how it exists in the teacher and children,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of strengthening the teacher's making to the personal matter and child's self respects is an important background of the bullying problem. The school culture is composed of the thing, the system, and the person. And, while the teacher and the child who is the person have been changed, the school system is changeless in a basic point with the length. The one that changes especially hardly is a rule of the school. It was to have been expected that this rule had to become the deterrent of the deviating action in place of the law in the school. However, from the reality that the bullying problem is not lost, it can be thought that the rule of the school was not a deterrent of the bullying act. The bullying act is a deviating act at the school. In a word, it is a harm act of causing it by the bullying assailant getting over the rule of the school and the standard id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is "Function of the rule" (system side) to got over for the resolution of bullying problem. Moreover, the investigation how the assailant tunes it to the prescriptive social norm is important for the bullying problem in the place without sanction like the school. To bring up the child who can self-regulate in meeting and the contac of the person and the situation, the standard that becomes "Majors" and "Scale" to cut the act by no "Comparison" it and "Self-judgment" is necessary to tune to the standard idea. It becomes possible by showing "Principle" that becomes the standard of the judgment. The one assumed to be a minimum necessary for the society is "Others' neither right nor freedoms are violated." The desire of the individual with the possibility of violating others' right and freedoms is made to abandon and to be controlled by mutual consent. We examine it by invoking "Bond theory" that T. Hirschi advocated and Takekawa Ikuo's "Situation adaptability rule" for this purpose, and search for the ideal way of the rule of the school where the function to control the deviating action is expected. The tune to the standard idea that is called a belief by the bond theory is not law-abiding consideration. As for the law-abiding consideration, it is emphasized to defend the method the content of the law can be what. The tune to the standard idea should be called self-regulation in the meaning "The self is controlled". Self-regulation is not the one compelled from and the outside of function by autonomous. When "Control" in the bond theory is "It is a concept to assume the individual to be a base, the state that the individual is relating to the society is indicated, and it means the control system that the individual does own of controlling and acting or being made inside" the one, and when the rule of the school is made to function, it becomes an important key. Moreover, it is necessary to be made like making the attachment and the belief that we can agree to the rule so that the rule may function at the school. The teacher doesn't one-sidedly declare the rule for that and the approval of the rule can apply the approval process of the situation adaptability rul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re must not be contradiction with "Principle" in the approval of this rule though a rule here may not be necessarily the one made an express statement. It is not too difficult to make it change because the rule is what man produced artificial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is thought that a lot of schools that keep defending the form assumed to be old-fashioned for the rule are time when you may fundamentally reexamine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rule.

      • 뇌동정맥기형의 감마나이프 재시술 결과 분석

        권태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are many cases of treating gamma knife radiosurgery (GKS) again for incompletely obliterated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after treating once before, but there are few analyses concerning its result.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 of re-treatment of GKS to investigate into its efficacy and possible complications. This research selected 61 patients, who had received both GKS for AVM more than twice and additional cerebral angiography or brain MRI afterwards, among 570 patients who had received GKS for AVM in Severance Hospital from May of 1992 to March of 2007. Obliteration of AVM was determined by cerebral angiography. After receiving second GKS, 33 patients (54.1%) out of 61 were proved to have complete obliter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life table method, the cumulative complete occlusion rate was 66.9%. The possibility of complete obliteration was higher when maximum diameter and volume of the lesion was smaller or marginal dose was larger. According to Spetzler-Martin grade analysis, the patients were proved to have more incomplete obliteration when the grade was higher. 6 patients suffered bleeding after second treatment of GKS during investigation and it recorded 3.5% of presumed annual hemorrhagic rate. The effect of repeating GKS for AVM is proved to be similar to its initial treatment, and so were the factors affecting complete obliteration. Hence, repeating GKS for incomplete obliteration after its initial treatment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treatment. 목적 : 감마나이프 시술을 한차례 시술 후 불완전폐색된 뇌동정맥 기형에 대해 통상적으로 감마나이프 재시술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감마나이프 재시술 이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그 치료효과와 합병증을 분석하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 1992년 5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본원에서 뇌동정맥 기형에 대해 감마나이프 시술을 받은 570명 중 동일병변에 2회 이상 감마나이프 시술을 받고 2번째 시술 이후 최소한 한차례 이상 뇌혈관 조영술이나 뇌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기본 인적사항, 뇌동정맥기형의 특징, 감마나이프 시술과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뇌동정맥기형의 폐색은 뇌혈관조영술로 결정하였다.결과 : 61명 환자의 나이는 평균 30.0세(7-70)였으며, 남자는 34명 (55.7%)이고 여자는 27명(44.3%)였다. 두번째 감마나이프 시술 후 61명 중 33명(54.1%)에서 완전폐색을 확인하였다. 생명표법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 기대폐색율은 66.9%였다. 병변의 최대직경과 용적이 작을수록 완전폐색 가능성이 높았으며, 경계선량은 클수록 완전폐색 가능성이 높았다. Spetzler-Martin 등급은 등급이 높을수록 불완전치료 가능성이 높았다. 6명에서 두번째 감마나이프 시술 후 추적기간 동안 뇌동정맥기형 출혈이 발생하였고 3.5%의 연간 출혈 위험성을 보였다.결론 : 뇌동정맥기형에 대한 감마나이프 재시술은 첫번째 시술과 유사한 치료효과를 보이며, 완전폐색에 영향을 주는 인자도 첫번째 시술 경우와 유사하였다. 재시술 이후 합병증도 높지 않았다. 한차례 감마나이프 이후 불완전폐색된 뇌동정맥기형에 감마나이프 재시술을 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로 고려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