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신어 요구도 조사 및 신어 활용에 관한 연구

        고미정 군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new words and to find out about the use of new words for Korean learners. In Chapter 1, the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prior studies were reviewed to educate foreign Korean learners to use new language as a way to expand communication. In Chapter 2, the concept of the new word and the scope of the new word were examined through the review of linguistic prior studies of the new word. Although new words are a number of adjacent concepts, in this paper, the range of new words is pre-registered and new words are approved and used by long-time officials. In Chapter 3, a survey was conducted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in the university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demands on new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both Korean learners and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eaching new words. In particular, Korean learners were higher in demand for new language education than Korean teachers. In Chapter 4, we reviewed the criteria, methods, and procedures for selecting a new word for education for new language education. As a basic data, the new research data collec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Languages, which published a data collection by researching new words since 2002, and the previous research data for the selection of new education words were used. Also, for linking with Korean speaking textbooks, the new word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by subject. In Chapter 5, the new word for education selected in Chapter 4 was used in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ere selected for training. After the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learners to confirm whether a class of neologism helped to improve communication. As a way to expand communication among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to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and demands on new language educat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foreign Korean learners to receive education using the new language. In addition, through the speaking education using the new language,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used the new language after class and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use the new languag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a basic list of new words for education that can be linked to the topic of speaking Korean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어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고 신어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1장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확장의 한 방법으로 신어를 활용한 교육을 위해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신어의 언어학적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신어의 개념과 신어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신어는 여러 인접 개념이지만 본고에서는 신어의 범위를 사전등재 여부와 새롭게 생긴 말을 긴 시간 언중들이 승인하여 사용한 것이라고 본다. 제3장에서는 신어 교육에 관한 인식과 요구도 조사를 위해 대학 내 한국어 언어 교육원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 모두 신어 교육의 필요성에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 신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 한국어 교사보다 높았다. 제4장에서는 신어 교육을 위한 교육용 신어 선정을 위한 기준과 방법 및 절차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초자료로 2002년부터 신어를 조사하여 자료집을 발간한 국립국어원의 신어 자료집과 교육용 신어 선정을 한 선행연구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와 연계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신어를 확인하고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에서 선정한 교육용 신어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교육하였다. 교육 후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신어 수업이 실제 의사소통 증진에 도움이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신어를 활용한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어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수업 후 신어를 활용하였고 앞으로도 신어를 활용한 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교재 말하기 주제와 연계할 수 있는 교육용 신어 기초자료 목록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유음 발음 오류 분석 및 지도 방안 연구

        김태진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유음 발음을 실험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산출되는 발음 오류 양상을 밝히고, 이를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대조하여 효율적인 발음 오류 교정을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 한국어 유음 /ㄹ/의 변이음을 설측음 [l], 탄설음 [ɾ], 구개설측음 [ʎ]의 세 가지로 지정하여 이 변이음들의 길이를 중심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국인과 한국인 실험자를 대상으로, 제시된 문항을 녹음하는 산출실험, 녹음된 발음을 들려주는 인지실험, 한국인 실험자를 대상으로 중국인 실험자의 한국어 발음을 청취하는 청취판단실험을 진행하였다. 산출실험의 경우 중국인(초급), 중국인(중·고급), 한국인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을 통한 통계적 유의미함을 측정하였다. 길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설측음과 탄설음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교적 한국인에 비해 길게 발음하는 경향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경향은 초급에서 중·고급으로 실력이 늘 경우 줄어든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구개설측음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중국인이 한국인보다 발음이 긴 것을 확인하였다. 인지실험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설측음과 탄설음은 대부분 목표음을 인지하는 데에 비해 구개설측음의 경우 목표음을 인지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청취판단실험에서는 설측음과 탄설음은 한국인 청자가 듣기에 어색한 경우가 많았고, 탄설음보다 설측음이 그 비율이 더 높았다. 그리고 두 변이음에 비해 구개설측음의 경우 한국인 청자가 들을 때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슷한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이음마다 적절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탄설음의 경우 설측음에 가깝게 발음하려는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교정하고, 좀 더 길이를 짧게 제시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두었다. 설측음은 무엇보다도 권설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교정하고, 영미권에서 나타나는 dark L 발음과도 거리를 두어 명확한 설측음이 되도록 지도하여야할 것이다. 구개설측음의 경우 우선 인지능력부터 훈련하여 구개설측음을 확실하게 알아 듣고 이후 이어지는 연음 이후 탄설음이 되지 않도록, 설측음의 오류가 구개설측음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지도하야여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shed light on the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by observing their liquid pronunciation in an experimental method and compare and contrast them with those of native Korean speakers, thus proposing an instructional plan to correct their pronunciation errors efficient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ariants of a liquid of Korean /ㄹ/ were divided into a lateral [l], flap [ɾ], and palate-lateral [ʎ] to conduct an experiment with a focus on the length of these variant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 calculation, cognition, and listening & judgment experiment with a group of Chinese and Korean subjects. In a calculation experimen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measur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among three groups, which include a group of Chinese learners at the elementary level, Chinese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terms of leng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ateral and flap among the groups, but the Chinese learners tended to prolong the pronunciation a little bit longer than native Korean speakers. The tendency was more found among the Chinese learners at the elementary level than those at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late-lateral with the Chinese learners prolonging the pronunciation longer than native Korean speakers. In a cognition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Chinese learners recognized the target sound of the lateral and flap and did not recognize that of the palate-lateral in many cases. In a listening & judgment experiment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y found the pronunciations of the lateral and flap by Chinese learners awkward in many cases with the percentage higher in the lateral than in the flap. The percentage of native Korean speakers that considered the pronunciation of the palate-lateral by Chinese learners similar to thei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ateral and flap. Based on these experiment results, the study proposed an instructional plan proper for each variant. In case of the flap, the focus was on correcting the error of Chinese learners trying to pronounce it close to the lateral and presenting its length relatively shorter. In case of the lateral, an instruction should help them pronounce it clearly by correcting their error of pronouncing it as a retroflex. In case of the palate-lateral, an instruction should help them recognize it clearly through the training of cognitive abilities and keep them from pronouncing it as a flap after a prolonged sound and continuing the lateral error till the palate-lateral.

      •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비교 및 교육방안 연구

        이지현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best instructional methods for Russians who learn Korean through comparison, prediction, experiment and analysis on Korean simple vowels in terms of phonetics. The purpose is to let them recognize the difference of simple vowels between Russian and Korean. This will help them pronounce Korean accurately by designing systematic and effective methods. who Introduction in Chapter 1 examines the importance of speaking education, especially pronunciation and purpose, content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earlier studies. Chapter 2 suggests theoretical backgrounds which contributed to identifying what causes Korean learners are affected. The representative two theories are introduced: conventional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CAH) and the latest Speech Learning Model(SLM). Chapter 3 investigates simple vowels system of both Korean and Russian by describing individual language and by comparing the two linguistic differences. Vowel criteria such as tongue posture,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and vowel rounding are stated in Korean simple vowels system. Simple vowels, diphthong and major arguments on some controversial simple vowel pronunciations regarding Russian simple vowel system. Survey was conducted by assigning Russians into one group of exchange students who had studied in South Korea and the other group of non-exchange students who were never been to South Korea in Chapter 4. This study analyzed conversation between Russians who learn Korean and predicted errors they commit based on the linguistic theories mentioned before in Chapter 2. The finding demonstrated that non-exchange group among female Russians found difficulty in pronouncing Korean simple vowels such as /ㅏ, ㅓ, ㅗ, ㅜ, ㅡ, ㅣand ㅔ/. After the prediction, outcomes from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nd difficult problems in case of pronouncing korean simple vowels by learners were discussed. Researcher created an error table on Korean simple vowels based on the result and observed what errors occur when Korean learners articulate statistically remarkable vowels in Chapter 5. Instructional methods were divided into proposal & practice, activity and evaluation, the first of which noted cautions when they pronounce particular simple vowels: /ㅓ, ㅗ/ , /ㅔ, ㅐ/, /ㅜ and ㅡ/.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difficulties that most Russians who learn Korean suff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on Korean pronunciation. 이 논문은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단순모음을 음성학적으로 비교 및 예측, 실험 후 분석을 통해 러시아어권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교육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단순모음을 학습할 때 먼저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단순모음에 대한 체계를 인지하고, 그 체계를 바탕으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지하고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러시아어권 학습자에게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설계하여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1장 서론에서는 한국어의 말하기 교육 특히 그 중에서 발음교육의 중요성을 언급 후 발음교육이 필요한 이유ㆍ선행연구를 통한 연구 내용과 연구 목적을 기술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발음교육의 중요성, 연구대상언어, 러시아어화자의 발음교육등에 대해 기술 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제시를 통해 학습자들이 언어를 습득할 때 영향을 받는 원인을 찾아보고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모국어와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와의 언어적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시된 이론은 전통적 방법인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CAH)과 최근 방법인 음성학습 모델(Speech Learning Model: SLM)의 내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러시아어 단순모음체계에 대해 기술 하였다. 한국어의 단순모음체계, 러시아어의 단순모음체계 그리고 한국어와 러시아어 단순모음체계비교를 기술하였다. 한국어 단순모음체계에서는 한국어의 모음분류기준인 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위치, 입술의 원순성에 대해 기술하였고, 러시아어 단순모음체계에서는 러시아어의 단순모음과 이중모음을 기술하고, 단순모음 중 여러 학파의 이견이 있는 발음에 대한 대표적인 학파의 주장을 기술하였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단순모음 체계를 비교했다. 4장에서는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있는 학생과 한국에서의 학습경험이 없는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간단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들의 발화를 녹음하여 분석하고 2장에서 언급한 이론을 바탕으로 러시아어권 학습자의 오류를 예측해 보았다. 러시아어권 여성학습 그룹 중 비교환학생 그룹에서 한국어 단순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ㅔ/의 발음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러시아어어권 남성학습자는 그 수가 너무 적어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좀 필요하다. 단순모음 예측 후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순모음 발화의 어려운 점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실험실시 후 나온 발음의 결과분석을 한국어 단순모음 오류표를 작성하고, 그 표를 통해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 이 어떤 한국어 단순모음에서 오류라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단순모음을 가르칠 때 특히 주의하여 가르쳐야할 한국어 단순모음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가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할 때 겪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한국어 발음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한국어 학습자들의 선호도를 기초로한 문화지도 방안 연구(20대 유학생을 중심으로)

        김영해 군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to present some objects and courses of culture education, practical culture guidance based on foreign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aspects, for the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r a foreign language so as to know Korea and learn Korea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s is caused by the sympathy of needs and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In the first chapter, I confirm the meaning of the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language learn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show the study backgrounds and objects of this thesis, and prescribe the study methods and spheres. In the second chapter, I investigate how culture education is enforced in teaching Korean as confirm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ulture education. After I examine the various theories in the academic world, I clarify the reason why culture education is needed in teaching Korean. Then, I establish the objects and courses of culture education in relation to how the culture education is made in the real Korean classes. Also, I look into preceding studies in connection with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Korean and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thesis and them. I also sublate the method of culture education is one-sidedly explained by a Korean teacher in class and try to compile culture guidance based on Korean learners' preferences in consideration of Korean students' actual needs and discernment. For this, the question survey process(which produces some questions in relation to the possible culture education guidance in a class for the students of Korean) is important and meaningful. In the third chapter, I conducted a survey intended for young foreign adult students studying in Wonkwang University in order to know what aspects of Korean culture they would like to learn. The questions are made up of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respondents’ basic facts, their Korean competence and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and their preferences in conjunction with Korean culture. The questions include several items that ask not only questions in relation to Korean culture as a way of Korean conversational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in contents but also questions about Korea’s peculiar customs and cultural interests. I ask questions about what twenty-first century students prefer a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what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culture education and Korean competence is in this chapter, too. This survey, after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s, can be established as the leading source of data in estimating Korean culture guidance based on this. In the fourth chapter, I suggest the actual culture education guidance according to the students’ pre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urvey for the purpose of Korean competence development. In the survey, the answers, which respondents prefer much more, are the students-centered lessons rather than teacher-centered ones. First, the culture guidance of using Korean movies or dramas why is what the respondents prefer the most. Students can write out a script like a real writer and play a role like a movie star. They can also be a theater audience. This can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Korean culture much more.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who used K-pop as the culture guidance, it is possible to hold a students-centered song contest. Through this contest, students can make themselves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by their practical experience. Because for the students to learn culture completely is to enter the target language society on their own, go through, and practice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Last, in the fifth chapter, I put this thesis to rights synthetically and expressed my own opinion on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preceding studies and my own. It presents Korean culture guidance by weaving students-centered objects which through the survey differentiates from preceding studies but not to select and teach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only by a teacher unilaterally. That is the very Korean culture guidance by which students themselves, who are the centers of learning on the spot of Korean education, want to know, learn, experience, and communicate!! 본 논문에서는 제2언어로서 또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을 배우고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깊이 공감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 한국어 학습자의 선호도를 기초로 한 실질적인 지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언어학습과 문화 이해 간의 불가분의 관계의 의미를 확인하여, 본 논문의 연구 배경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규정해 보았다. 제2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이론적인 배경을 확인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학계에서의 다양한 이론을 고찰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문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 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것들과 본 논문과의 차이점을 피력하면서 수업 중 문화 교육이 일방적으로 설명화되는 방식을 지양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와 눈높이를 고려하여 그들의 선호도를 기초로 설정된 문화 지도 방안을 엮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업 중 가능한 문화 교육 방안과 관련된 문항들을 산출하여 직접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과정이 아주 중요하고도 의미 있다 하겠다. 제3장에서는 원광대학교에서 유학 중인 20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배우고 싶어 하기를 원하는 한국 문화 관련 내용이 무엇인지 설문 조사를 직접 해 보았다. 설문지는 크게 응답자의 기본 사항과 한국어 능력 및 교육현황, 한국 문화와 관련한 선호도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는, 한국어 회화 능력이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한국 문화 관련 문항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유한 풍습과 문화에 대한 관심을 묻는 설문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21세기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문화 내용은 어떠한 것들이며, 이러한 문화 교육과 한국어 능력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 등을 묻는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설문 조사는 그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후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문화 지도 방안을 가늠해 보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설문 조사의 결과와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보여준 선호도에 따라 실제로 한국어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실질적인 문화 교육 수업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의 선호도가 높았던 답변들은 주로 교사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보다는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 훨씬 더 많았다. 먼저 학습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이용한 한국 문화 지도 방안으로는 학습자들이 실제 작가처럼 대본을 작성해 보고, 또 배우처럼 연극이나 역할극을 해보고 관객도 되어보면서 한국 문화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 중급 및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대중가요 케이팝(K-Pop)을 이용한 한국 문화 지도 방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노래자랑을 열어 학습자들이 실제 체험을 하면서 문화를 익히도록 해 보았다. 왜냐하면 문화를 가장 확실히 배울 수 있는 방법은 학습자가 실제로 그 사회 속으로 들어가서 몸으로 체험하며 익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두드러지게 차별화되는 점을 피력해 보았다. 문화 교육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교사중심으로 선정하고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으로 엮어 제시한다는 데에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즉,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의 중심이 되는 학습자 스스로가 알고 싶고, 배우고 싶고, 체험하고 싶고, 그래서 소통하고 싶은 한국 문화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 청소년의 통신언어 인식조사와 지도방안 연구

        김혜련 군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통신언어의 언어파괴 현상이 언어의 형성기와 발전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청소년의 통신언어 사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들을 통해 통신언어의 의미를 정의하고, 통신언어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첫째, 통신언어는 우리말글을 훼손시킨다. 둘째, 통신언어는 세대갈등을 유발한다. 셋째, 통신언어는 올바른 우리말글의 전달을 방해 한다. 넷째, 통신언어는 언어폭력 확산과 윤리의식 약화를 조장한다. 다섯째, 통신언어는 청소년들의 사고방식을 변형시킨다. 이에 올바른 통신언어 사용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에 앞서 통신언어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인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신언어 사용 범위, 통신언어 사용 이유, 통신언어에 대한 인식, 통신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학년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통신언어 사용으로 인해 바른 언어생활에 영향을 받는 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초등학생이 많았다. 이에 언어 형성기에 있는 낮은 학년부터의 통신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신언어의 일상 언어생활 전이 현상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각해졌으며, 통신언어 사용에 대한 생각도 긍정적으로 바뀌어갔는데, 이에 비해 통신언어 교육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족해지고 있었다. 이에 학년이 올라가도 양질의 통신언어 교육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통신언어 지도는 가정, 방송매체, 학교나 학원에서의 방안들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가정에서는 충분한 대화 유도와 부모의 모범적인 언어생활로 청소년들의 바른 언어 습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방송매체에서는 연예인들의 말이나 프로그램의 자막 등이 청소년들에게 모방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통신언어 사용을 규제하는 방법으로써 통신언어 사용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었다. 또한 올바른 국어사용을 위한 캠페인을 벌여 국어의식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방안도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학원에서 바람직한 언어를 사용한 인터넷 글쓰기 대회를 개최하고 문법 교육 강화를 통한 바람직한 통신언어 사용이 되도록 함으로써 청소년들의 통신언어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학교와 학원에서의 교육을 위해서는 국어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제시된 지도안은 말하기·듣기 영역에서의 성취 기준을 토대로 구안하였으며, 문법 영역에서는 지도 방향을 제시하였다. 통신언어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은 이미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지도 방안이 꾸준히 모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그 간의 통신언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통신언어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통신언어의 주 사용자인 청소년들의 의식 분석을 통해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연어 교육방안 연구

        김순옥 군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서 연어에 초점을 두어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여건상 학교 교실 수업보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득 할 수 있는 연어의 양이 더 많을 것으로 가정하고 실험을 하였다. 즉 초급 단계부터 학습자들에게 어휘를 가르칠 때 개별 어휘를 가르치기보다 연어로 교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Ⅱ장은 연어의 개념과 어휘 교육에서 연어의 중요성과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기존의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방문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립국어원에서 2010년에 개발한「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기존 초급 교재와 그 개정판으로 2019년에 개발된 신 교재에서 나타나는 연어를 추출하였다. 두 교재에서 추출한 연어와 기존 연구자료에서 선정한 연어를 각 ‘구 교재’, ‘신 교재’, ‘일상생활’의 연어 연구 대상교재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연어 목록을 주술·목술·수식 관계로 나누어 ‘체언+용언’ 형태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연어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이해력 평가와 표현력 평가로 나누어 문항을 각각 구성하였다. 실험 조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연어의 사용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학력, 한국어 학습기간, 상호 작용 대상자와의 관계가 한국어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목표 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과 자연적 환경에서의 노출만으로 연어 습득이 일어 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4가지 연어 도구를 이용한 연어평가 실험 조사 결과 및 분석을 보면 연어 이해력 평가에서는 연어 어휘(COLLEX)시험과 연어 맞추기(COLLOMATCH)시험 모두 ‘신 교재’의 연어 정답률이 높았다. 연어 표현력 평가에서도 성분 행렬(CONTRIX)시험과 빈칸 채우기에 대한 두 교재와 ‘일상생활’에 대한 정답률도 ‘신 교재’의 연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구 교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대적인 어휘를 반영하고 기초 어휘를 충분히 제시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실험에서 나타난 조사 평가지의 오류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통해서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교사가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교육 현장에서 연어 교육이 명시적으로 이뤄진다면 학습자들은 연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연어 교육 관점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기존 교재와 개정된 교재의 연어 양상을 고찰하고 자연 환경에서 습득되는 연어와 비교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어 인지 실험을 통하여 어휘 교육에서 연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험을 통한 효과적인 연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nd vocabulary ability of beginning Korean learners by focusing on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test after assuming that there is more collocation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can learn naturally in everyday life than the class at school. This mean that, teaching vocabulary with collo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individual vocabulary when teaching vocabulary to learners from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In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collocation,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precedent studies. In chapter III, this study extracted collocations that appeared in existing beginners textbooks of 1)「Korea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10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on married immigrant women in home teaching and 2)a new teaching material developed in 2019 as its revised edition. This study classified collocations extracted from the two teaching materials and existing research data into 'old textbook,' 'new textbook,' and 'everyday life.' The list of selected collocations was classified into the type of 'substantive+predicate' form by classifying into a relationship of Subject/predicate, Object/predicate, Modification/predicate. This study constructed each question by dividing it into an evaluation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bility using a collocation assessment t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vestigation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Korean learners for the use of collocation, learning period for Korean, and interaction target have a direct effect on learning Korean. This identified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 target language setting and exposure in natural surroundings could not lead to collocation acquisi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llocation assessment using four collocation tools, the percent age of correct answers of 'new teaching material' was high for both COLLEX and COLLOMATCH in collocation understanding assessment. In collocation expression evaluation, the collocation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was the highest as well for the ages percent of correct answers of the two teaching materials on CONTRIX and filled in the blanks. This signifies that periodic vocabulary was applied and sufficient basic vocabulary was suggested by identifying problems of the 'old teaching material.' In chapter IV,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errors in survey evaluation that appeared in the experiment. Learners wi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collocation if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collocation education, and collocation education gets conducted clearly in the education field by means of the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collocation aspects in existing and revised teaching material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Korean collocatio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collocation acquir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experiments of collocation, this stud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education in vocabulary education and suggested effective collocation learning methods through an experiment.

      • 베트남인의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류연이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L2 (Korean) and L1 (Vietnamese) sounds and to look at how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affects learning monophthongs by Vietnames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1 looked at studies that analyzed other languages and monophthong of Korean language through experimental phonetic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various theories that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phonetic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and presented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sounds. Chapter 3 conducted Speech production test1 and Perception test to set up similarity degre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wo tests and the sharing of IPA between L1 and L2 sound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wa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similarity based on the SLM theory, /ㅣ/ and /ㅔ/ vowels were assigned to the category of ‘identical sound’. /ㅜ/, /ㅏ/, /ㅡ/ vowels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similar1 sound’ /ㅐ/, /ㅓ/, /ㅡ/ and /ㅗ/ vowels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similar2 sound’, but no new sound presented to the Vietnamese native speaker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erceptual experiments,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monophthong in Korean by Vietnamese learners was predicted based on SLM and PAM theory by classifying monophthong in Korean into category types according to PAM theory. Chapters 4 and 5 conducted an experiment to analyz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monophthongs by Korea native speakers. First, Korea vowels pronounced by Korea native speakers and Korea vowels pronounced by Vietnamese learners were tested,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tested for perception to see how they perceive vowels of Korean. It also conducted a Korean native speakers listening judgment test on Korean monophthongs pronounced by Vietnamese learners. Each of these tests was verified in Chapter 3 to confirm tha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based on the SLM and PAM theory. Chapter 6 looked at how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affects L2 learners' learning of monophthong in Korean and how it relates to L2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s in chapters 4. and 5. We also discussed whether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dictions based on SLM theory. The speech production test2 results of the /i/[i] vowels classified into the same vowel are slightly in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SLM. However, the F2 values for Vietnam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F1 valu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s are very small. Therefore, when a Korean native speaker listened to /ㅣ/[i] vowel, it is predicted that the probability of being confused by other vowels would be low. /ㅣ/[i] vowel wa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speech production test. The /ㅣ/[i] vowel also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 were relatively accurately aware of their perception. The /ㅔ/[e] vowe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F1 and F2 values in speech production test2. In F1 values, the group of Koreans and Vietnamese beginners is the same group, while in F2 values, the group of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is the same group. This means that Vietnamese learners' /ㅔ/[e] pronunciation is further removed from Korean pronunciation as their learning experience increases, and is a result that does not conform to SLM theory. In similar1 sounds The /ㅜ/[u] and /ㅡ/[ɨ] vowels in speech production test showed results that deviate from predictions of SLM theory, while the /ㅏ/[a] vowels showed results consistent with predictions of SLM theory. In the perception test, all three vowels with similar1 sounds showed results that were inconsistent with the SLM theory, and in the listening evaluation, /ㅜ/ vowel achieved successful pronunciation at the beginning but improved little as the learning experience increased, resulting in slight deviations from the prediction of the SLM theory. In similar2 sounds, /ㅐ/ vowel showed results that were inconsistent with predictions of SLM theory in speech production test, but /ㅓ/ and /ㅗ/ vowel showed results consistent with predictions of SLM theory. I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speech production test1, it was expected that Vietnamese would have difficulty in being perceptual in Korean /ㅗ/[o] by the interference of L1. Perception test have shown that Vietnames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being late by distinguishing between /ㅜ/[u] and /ㅗ/[o] vowels. Also, among the perceptual errors shown by beginner learners, perceptual errors in the /ㅓ/[ʌ] vowel do not appear in the errors of intermediate learners, confirming that Vietnamese learners correctly perceive the /ㅓ/[ʌ] vowel as the learning period increases. Chapter 7 revealed the conclus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calculating and tardying simple sets of Korean language for Vietnamese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it was concluded that some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predicted by Flege's SLM and Best's PAM, and that some were deviating from the predicted results. This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uccess of L2 acquisition by set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success of L2 acquisition to that degree, although it may be a reasonable measure of predicting L2 acquisition. There are a number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acquisition of L2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L2 acquisi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variables. 본 연구는 L2(한국어)와 L1(베트남어) 음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두 언어 간 유사성의 정도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단순모음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1장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실험음성학적 연구를 통해 다른 언어권 언어와 한국어 단순모음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여러 이론들과 모음의 음성 음향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L1 음과 L2 음의 유사성 정도 설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유사성 정도 설정을 위한 음성 산출 실험1과 인지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 두 실험의 결과와 L1 음과 L2 음의 IPA 공유여부를 바탕으로 L1과 L2 두 언어의 유사성 정도를 판단하였다. 한국어 단순모음은 유사성 정도에 따라 SLM이론을 바탕으로 /ㅣ/와 /ㅔ/ 모음 은 동일한 음으로 /ㅜ/, /ㅏ/, /ㅡ/ 모음은 유사한 정도가 더한 유사1 음으로 /ㅐ/, /ㅓ/, /ㅗ/ 모음은 유사한 정도가 덜한 유사2 음으로 분류되었으나 베트남인 화자에게 새로운 음으로 분류되는 음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인지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단순모음을 PAM 이론에 따른 범주 유형으로 분류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의 습득 정도를 SLM과 PAM 이론에 근거하여 예측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순모음 습득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먼저 한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단순모음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발음한 단순모음의 음성 산출 실험2를 시행하였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단순모음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 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발음한 한국어 단순모음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의 청취 판단 실험도 시행하였다. 이 실험들 각각의 결과가 3장에서 SLM과 PAM 이론에 근거하여 예측한 내용에 부합하는지 검증하였다. 6장에서는 4장과 5장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두 언어 간 유사성 정도가 L2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L2 학습자의 학습 경험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 이렇게 살펴본 결과가 SLM 이론에 근거한 예측과 일치하는지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동일한 모음으로 분류된 /ㅣ/[i] 모음의 음성 산출 실험2 결과는 SLM의 예측과 완전히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베트남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F2 값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F1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가 매우 근소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가 /ㅣ/[i] 모음을 청취하였을 때 다른 모음으로 혼동하여 들을 확률은 낮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국인의 청취 판단 실험 결과 /ㅣ/[i] 모음은 음성 산출 실험2의 실험 결과 분석의 예측과 부합하였다. 또한 /ㅣ/[i] 모음은 베트남인 학습자가 비교적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ㅔ/[e] 모음은 음성 산출 실험2에서 F1, F2 값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1 값에서 한국인과 초급 학습자 집단이 동일 집단으로, F2값에서는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가 동일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ㅔ/[e] 발음이 학습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한국인의 발음과 더 멀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SLM 이론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이다. 유사1 음에서 /ㅜ/[u], /ㅡ/[ɨ] 모음은 음성 산출 실험에서 SLM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ㅏ/[a] 모음은 SLM 이론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지 실험에서는 유사1 음인 세 모음 모두 SLM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청취 평가에서 /ㅜ/ 모음은 초급에서는 성공적인 발음 습득을 하였으나 학습경험이 늘어나도 거의 향상되지 않아 SLM 이론의 예측과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유사2 음에서 /ㅐ/ 모음은 음성 산출 실험에서 SLM 이론의 예측과 어긋나는 결과를 보였으나 /ㅓ/와 /ㅗ/ 모음은 SLM 이론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음성 산출 실험1의 결과 분석에서 L1의 간섭에 의해 베트남인이 한국어 /ㅗ/[o] 모음을 인지 할 때 /ㅜ/[u]와 구별하여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 예상하였다. 인지 실험 결과 예상했던 대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ㅗ/[o]와 ㅜ/[u] 모음을 구별하여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급 학습자들이 보인 인지 오류 중에서 /ㅓ/[ʌ] 모음의 인지 오류는 중급 학습자들의 오류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학습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ㅓ/[ʌ] 모음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7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의의를 밝혔다. 베트남인 초급과 중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순모음을 산출하고 인지하는데 있어 Flege의 SLM과 Best의 PAM에서 예측한 결과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었고 예측한 결과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L1과 L2의 유사성 정도를 설정하여 그 유사성 정도로 L2 습득의 성공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이 L2 습득을 예측하는 합리적인 척도가 될 수는 있겠지만 유사성만으로 L2 습득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L2 습득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변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L2 습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 남·북방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종성 습득 연구

        팡예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에서는 남·북방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비음종성 발음 오류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비음종성 발음의 오류를 실험적으로 밝혀내고, 다른 학습 환경에 있는 중국인 남·북방 학습자들의 비음종성 발음 오류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고 학습자들의 비음종성 발음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차이를 정리하여 이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분석하여 그 원인을 밝혀 보고자 한다. 중국 남·북방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한국어 비음 발성방법을 제시하며 모국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국 남·북방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비음종성으로 구성된 낱말에 대한 실험을 통해 한국어 모어화자의 발음을 제대로 파악하는지, 다른 학습 환경에 있는 중국 남·북방 학습자들이 한국어 비음종성과 중국어 비음운미를 구별할 수 있는지, 남·북방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 차이가 그들의 학습 환경과 관계가 있는지, 남·북방 출신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았는지 것인지, 남·북방 출신의 오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들의 오류 양상 및 오류 원인을 정리하였다. 음성학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음절구조와 조음위치 등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비음종성을 발음할 때 '탈락', '대치', '첨가', '한자어 영향 하의 중국식 발음' 크게 넷 가지 오류 유형으로 나타났다. 오류 양상은 학습자들의 출신 지역 방언과 관련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중국 남·북방 학습자들에게 음운규칙과 그들의 방언에 관련된 음운변동현상을 중심으로 발음상의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산출실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실제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유학생들의 발음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학생보다 더 잘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한국어가 직접 사용되는 환경 하에서 한국어를 빨리 학습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study focuses on the learning of pronunciation of Korean Nasal Sounds by learners from the south and north of China, respectively. As for the phonetics, Korean see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its syllable structure, arrangement and the position of pronunciation. Given the influence of dialects in the north and south China, people registers diverse mistake in Korean Nasal Sounds. The paper focuses on the types of mistake, whether there is common mistakes, the pronunciation difference of the learner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when learning the pronunciation of Korean Nasal Sounds, and how to roll out education plan for the learners from different regions. In the meantime, the paper will also showcase the influenc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native dialect on the Chinese learner from the same learning background. In the light of the investigation, it will make targeted teaching continuously based on the features of dialects in the north and south of China in the whole process of Korean pronunciation teaching. Meanwhile, although the learner from the same region sees no obvious difference in language ability when they are under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 Chinese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pronounce better than those in China, so the influence of learning environment on language learning should also be heeded.

      •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에 기반한 교수 방안 연구

        나혜진 군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ceptions, uses, and error patterns of postpositions in Korean among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d devise a teaching plan for postpositions to reduce their errors. In Korean, postpositions are part of the essential grammar elements, being used even in simple and short sentences. They are taught and learned starting in the elementary level(Level 1) of Korean study. Korean learners, however, have a difficult time using postpositions and record a high error rate of them,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 are a couple of causes behind them: first, postpositions of Korean themselves are difficult. They have various and special meanings in addition to grammatical functions. Since their usage environments are similar, it is challenging to distinguish and use accurately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each postposition; Secondly, the Korean curriculum offers no further education about the postpositions covered at the elementary level and remains at the level of adding new postpositions, which raises a need for effective and repetitive postposition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compositions by 22 Korean learners at Levels 2, 3 or 4 at the international exchange center of a university, examined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using and making a error with ‘이/가’, ‘을/를’, ‘은/는’, ‘에’, and ‘에서’ and categorized them into ‘substitution’, ‘omission’ and ‘addition’ for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hich were confirmed to be homogeneous based on the t-test results. While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morpheme-centric teaching method, the control group did postposition education in a common method. After education,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phrases, frequency of postpositions, and error rates of each postposition in their compositions for comparison purposes. The findings show that both the groups had educational effects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grammaticality test and that of errors in compositions. The experiment group made a little bit better improvement, but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however, noteworthy that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in the number of phrases used in compositions after education. After getting some understanding and confidence with regard to the use of postpositions through education, they seem to develop desire for writing and write a composition of many phrase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hanges to the number of phrases used by the experiment group(the experiment group: an increase from 824 to 1,176; the control group: a decrease from 779 to 686). When there is repetitive and cyclical education and learning for postpositions, they can ensure their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and be connected to communication abilities.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과 사용 그리고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연구 대상을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여 교육 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조사(助詞) 교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간단하고 짧은 문장에도 사용되는 필수적인 문법 요소로 한국어 학습 초급(1급)부터 교수·학습하는 항목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 기간 또는 한국어 능력 급수와 상관없이 조사(助詞)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높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인을 살펴보면 첫째로 한국어 조사(助詞) 자체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한국어 조사(助詞)는 문법적 기능과 함께 다양하고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사용 환경이 비슷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각 조사(助詞)의 기능과 의미를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둘째로 한국어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데, 초급에 제시된 조사에 대해 더 이상의 교육이 없이 새로운 조사를 추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효과적이고 반복적인 조사(助詞)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유창성에 중점을 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은 학습자가 조사(助詞)를 사용하지 않거나 오류를 범해도 이에 대한 묵인과 허용으로 화석화에 이르게 한다. 이는 한국어 조사(助詞)를 사용해야 하는 표현 영역에서 오류 현상으로 나타나고 한국어 학습을 지체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화석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법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이/가’, ‘을/를’, ‘은/는’, ‘에’,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을 대상으로 형태 초점 교수법을 활용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하고 통제그룹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조사(助詞)교육을 실시한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 조사(助詞)별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검증한다. 두 그룹의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 수준의 동질성은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과 작문의 오류율에서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사한 차이로 실험그룹의 결과가 더 나은 개선을 보였지만 통계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실험그룹이 교육 후에 보인 작문 사용 어절 수의 증가이다. 조사(助詞)사용에 대해 혼란을 겪던 학습자가 교육 후에 생긴 어느 정도의 이해와 자신감으로 많은 어절 수의 작문을 생산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그룹의 사용 어절 수의 변화(실험그룹:824개에서 1176개로 증가, 통제그룹:779개에서 686개로 감소)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조사(助詞)는 학습자들에게 이미 학습의 경험이 있지만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 방안으로 조사(助詞)에 대한 인식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명시적 설명을 통하여 자유롭고 적확한 사용의 선결 조건인 이해를 돕고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재구조화하도록 한다. 조사(助詞)에 대한 의식을 집중, 고양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지속시키고 교육의 목표인 조사(助詞)를 자유롭게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도록 한다. 학습자가 수업에서 과제를 해결하면서 자연스럽게 문법을 익히고 그것이 의사소통 능력으로 연결되는 학습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제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助詞)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교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한국어 조사(助詞) 오류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는 대학교 국제 교류원에서 학습하고 있는 2급, 3급 4급의 한국어 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고 조사(助詞) 유형별로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22명의 작문을 분석해서 한국어 조사(助詞)의 사용 빈도와 오류의 유형,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통제그룹과 실험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그룹은 3차시의 조사(助詞) 집중 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 테스트를 통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어 조사(助詞)의 의미와 기능을 우리말 문법론과 국립국어원의 조사(助詞) 체계, 실험 대상 학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울대 교재의 조사(助詞) 분류 체계를 소개하였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 부사격조사 중 ‘에’와 ‘에서’, 보조사 ‘은/는’의 여러 의미의 쓰임을 정리하고 중간언어이론과 오류 분석 이론 등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혔는데 2급·3급·4급의 한국어 학습자가 교육 전에 쓴 작문 자료에서 ‘이/가’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을/를’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보조사 ‘은/는’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사용과 오류의 빈도 양상을 살펴보고 결과를 ‘대치’, ‘누락’, ‘첨가’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교육 후 작문에 사용된 총 어절 수와 조사(助詞)의 사용빈도와 오류율을 분석하여 교육 전·후를 비교하였다. 작문 자료의 결과를 보완하고 조사(助詞)의 인식 정도를 더 탐색하고자 문법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정답률을 산출, 수업 전의 문법 테스트와 비교하였다. 4장에서는 외국어 교수법에서 문법 교육에 관한 입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개괄하고, 수업 모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고 수업의 예시를 실었다. 5장에서는 조사(助詞) 교육 후의 문법성 테스트와 작문의 결과를 분석하여 조사(助詞)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그룹과 통제그룹간의 오류율과 문법성 테스트의 정답률을 각각 독립표본과 대응표본으로 하여 통계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 결과를 평가한다. 실험 학습자 대상의 규모가 작고 자유 작문이기에 학습자 자신이 어렵게 느끼거나 자신 없는 조사(助詞)는 회피할 가능성도 있는 것과 이와 반대로 유형화하여 자주 사용하는 문장만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험 기간이 짧은 기간이라는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 결론을 마친다.

      • 중국인 학습자의 겹받침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최경복 군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effective methods to educate Chinese learners on accurate Korean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error types of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in which they feel difficulty, through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experiments. In the introduction, we have suggest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reviewed preceding researche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on the educ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inal consonants and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language becomes an important cause to create errors in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erefore, we have predicted pronunciation errors of Chinese learners due to the differences of initial, medial and final sounds system of Korean language with Chinese language by comparing consonant systems and syllabic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in chapter 2. In chapter 3, we conducted experiments on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errors and analyzed the results. We made experiments of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for 10 test subjects in each group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Writing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uch a way that the test subjects were instructed to write standard pronunciations of 35 words with double-final consonants to verify whether they correctly recognized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Speaking experiment was made by making them read the same 35 words three times and recording them to identify whether they pronounced the words with double-final consonants correctly. Finally, listening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sking them to select a correct pronunciation from the choices, letting them listen to the recorded pronunciation of the words.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in double-final consonants writing experiments, the error rate of beginner group was 65%, intermediate group 58% and advanced group 51%, and in speaking experiment, error rate of beginner group was 47%, intermediate group 52% and advanced group 29%. In the writing and speaking experiments, high rate of errors was shown with the words for which the latter consonant between the two consonants of double-final consonants was pronounced. That is because Chinese learners tend to pronounce only the former consonant when they pronounce words of double-final consonants.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we suggested an education method focusing on ‘ㄼ, ㄺ, ㄻ, ㄿ’ for which the latter consonants are pronounced. In speaking experiment, the intermediate group showed high error rate of pronunciation. We think that’s because they regressed in pronunciation due to lack of continuous education of pronunciation. In addition, we reviewed the types and causes of errors due to interference of Chinese language, which appeared frequently in speaking experiment. In listening experiment, the most errors were shown in the words with the final consonant group of /ㄱ/, and also many errors appeared in between the implosives, ‘ㄱ, ㄷ, and ㅂ’. In chapter 4, w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n chapter 3, an education method of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of five hours long teaching plan by utilizing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of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focusing on the word group with ‘ㄼ, ㄺ, ㄻ and ㄿ’, for which the latter consonants are pronounced. It is not easy for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accurately pronounce double-final consonants. It would, however, greatly help them learn correct double-fin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that the teachers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 the error types in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give them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of dou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by way of a variety of education methods of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which are suggested in chapter 4. 본고의 목적은 쓰기, 말하기, 청취 실험을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겹받침의 발음 오류 형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 등을 밝히고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과 겹받침 발음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외국어를 학습할 때 모국어의 간섭은 오류가 발생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그래서 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 체계와 음절 체계를 비교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중국어와는 다른 한국어의 초․중․종성 체계로 인한 발음 오류를 예측하였다. 3장에서는 겹받침 발음 오류의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각각 10명의 초급, 중급, 고급군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쓰기, 말하기, 청취 실험을 진행하였다. 쓰기 실험은 겹받침의 발음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35개의 겹받침 단어의 표준 발음을 실험지에 적게 하였다. 말하기 실험은 겹받침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한 35개의 단어를 3번씩 읽게 하고 이를 녹음하였다. 마지막으로 녹음된 단어를 듣고 설문지에서 정확한 발음을 고르는 청취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겹받침 쓰기 실험에서는 초급군은 오류율이 65%, 중급군은 58%, 고급군은 51%의 오류를 보였다. 말하기 실험에서는 초급군은 47%, 중급군은 52%, 고급군은 29%의 오류를 보였다. 쓰기와 말하기 실험에서 겹받침의 두 개의 자음 중, 뒤 자음을 발음하는 단어에서 오류가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겹받침 단어를 발음할 때 앞 자음만 발음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를 근거로 뒤 자음이 발음되는 ‘ㄼ, ㄺ, ㄻ, ㄿ’을 중심으로 겹받침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말하기 실험에서는 중급군의 발음오류가 높았는데, 이는 지속적인 발음 교육을 하지 않아 발음이 퇴행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말하기 실험에서 많이 나타난 중국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의 형태와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 청취 실험에서는 /ㄱ/ 종성 계열의 단어의 청취에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고 폐쇄음 ‘ㄱ, ㄷ, ㅂ’간의 오류가 많았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뒤 자음을 발음하는 ‘ㄼ, ㄺ, ㄻ, ㄿ’ 계열의 단어를 중심으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의 다양한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5차시의 겹받침의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겹받침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한국어 교사가 중국인들의 겹받침 오류 유형을 이해하고 4장에서 제시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의 다양한 교육 방법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겹받침 발음 교육을 진행한다면 중국인 학습자들이 정확한 겹받침과 종성 발음을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