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영숙류 태평무 음악의 장단 분석 연구 : 지영희와 김덕수 구성을 중심으로

        박성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영숙류<태평무> 음악의 장단 분석 연구 -지영희와 김덕수 구성을 중심으로- 박 성 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국악전공 지도교수: 박소현 국문초록 한영숙류 <태평무> 음악은 현재, 지영희의 구성과 김덕수 구성의 두 종류가 사용 되고 있으며, 이 두 종류의 <태평무>음악은 전승자의 안무에 따른 변화에 차이점이 관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영숙류 <태평무> 음악으로서 연재 연행에 사용되고 있는 지영희 및 김덕수 구성의 두 가지 음악을 장단별로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음악적 구성에 있어서도 차이점이 있지만 더 큰 차이점은 음악적 성향에 따른 연주상의 타법 차이가 있다. 지영희 구성의 <태평무> 음악은 <경기도당굿>의 기악합주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법을 사용하고 있다면, 김덕수 구성의 경우는 <경기도당굿> 보다는 설장구 놀이와 같은 타악 연주자들의 독창적 기법과 함께 타악기의 즉흥적인 요소가 가미된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현재 한영숙류 <태평무>는 한국무용 전공자들에 의해 보편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춤이기 때문에 예술적 변화와 발전도 중요하지만, 그전에 후학들이 그 원류(源流)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그 내용을 제대로 학습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자 의의이다.

      • Program Annotation : D. Buxtehude Praeludium fis-Moll, BuxWV 146 J. S. Bach Praeludium und Fuge in D-Dur, BWV 532 M. Reger Choralfantasie“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Op. 27 G. Litaize Prélude et Danse fuguée

        유채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ieces performed by Chaivin You in her graduation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December 9, 2017. The performance consisted of Dietrich Buxtehude(1637-1707) 「Praeludium fis-Moll, BuxWV 146」,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Praeludium und Fuge in D-Dur, BWV 532」, Max Reger(1876-1916) 「Choralfantasie“Ein feste Burg ist unser Gott”Op. 27」 and Gaston Litaize(1909-1991) 「Prélude et Danse fuguée」. Dietrich Buxtehude's - who represented the Northern German music school during the 17th century - 「Praeludium fis-Moll, BuxWV 146」 features the Stylus Phantasticus or an attribute of the organ works in the Northern Germany, consisting of introduction, fugue and connection pieces. This work is performed with the Baroque age Non-Legato. The tone combination is gorgeous and splendid Plenum sound. Each of its par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Principal and Mixture are used in introduction and ending parts, while Reed tone is used for the pedal. Johann Sebastian Bach's - who was a composer and church musician in Germany during baroque age - 「Praeludium und Fuge in D-Dur, BWV 532」 is characterized by energetic and artful pedal solo and variation of the harmonies. Its prelude consists of 3 parts: introduction, alla breve and adagio. Fugue features exposition, development and ending parts. The long 6-bar theme and the counter line characterize the work. This work uses the non-legato playing basically. The alla breve of the prelude have a little longer phonetic value to highlight the rhythms. Among the tone combinations,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prelude uses the Mixture tone to express the luxury. And in order to empathize the pedal solo, the reed tone is used for a gorgeous expression. Alla breve uses the flute 8′, 2′ tone and Principal 4′tone for a bright and cheerful expression. The adagio uses Mixture and Mutation tones to express the gorgeousness. Fugue combines the tones centering around the Principal, while the ending part as the reed tone for a gorgeous expression. Max Reger's - who decorated the late German Romanticism music colorfully - 「Choralfantasie“Ein feste Burg ist unser Gott”Op. 27」 is one of his seven Chorale fantasies. The chapter 46 of the Psalm "A Mighty Fortress is Our God" was borrowed from Luther's original work. Reger's work consists of four chapters, showing complicated progression of harmonies and chromatic scales as well as the varying rhythms. This work is performed with the Legato or the General playing technique during the age of Romanticism. For the tone combinations, the tones are divided into various stages from the small ones to tutti. Gaston Litaize's 「Prélude et Danse fuguée」 was an organ work during his middle age. It was composed for Concours d’Orgue in Paris, France. This work features Legato, Tenuto and Staccato for a cheerful dance rhythm. It uses the syncopation to express a sense of tense. The combination of tones is based on the composer's basic one. Mutation tone and reed tone are added up for a gorgeous and rich expression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following studies about composers' life, works, performance techniques and tone combinations during Baroque, Romanticism and Contemporary age. 본 논문은 2017년 12월 9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유채빈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연주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연주곡목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전주곡 f#단조, BuxWV 146(Praeludium fis-Moll, BuxWV 146)」,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전주곡과 푸가 D장조, BWV 532(Praeludium und Fuge in D-Dur, BWV 532)」, 막스 레거(Max Reger, 1876-1916)의「코랄판타지“내 주는 강한 성이요”, Op. 27(Choralfantasie“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Op. 27)」, 가스통 리테즈(Gaston Litaize, 1909-1991)의「전주곡과 댄스 푸가(Prélude et Danse fuguée)」순서로 구성되어있다. 17세기 북독일 악파의 작곡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의「전주곡 f#단조, BuxWV 146」은 도입부와 푸가, 연결구, 종결부가 하나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연주법인 논레가토(Non-Legato)로 연주하되 선율의 움직임과 화성에 따라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달리 할 수 있다. 음색조합은 플래눔(Plenum) 소리를 중심으로 도입부와 종결부에는 프린치팔(Principal)과 믹스처(Mixture), 그리고 페달에는 리드(Reed)음색을 사용한다. 18세기 독일 교회음악가이자 작곡가인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D장조, BWV 532」는 활기가 넘치는 페달 솔로, 그리고 화성의 변화가 특징이다. 전주곡은 도입부, 알라 브레베(Alla breve), 아다지오(Adagio)로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푸가는 제시부, 전개부, 종결부로 구분되고 6마디의 긴 주제와 대선율의 진행이 특징이다. 이 곡은 논레가토 주법을 기본으로 하고 전주곡의 알라 브레베는 리듬을 강조하기 위해 강박의 음가를 약간 길게한다. 전주곡 도입부의 음색조합은 믹스처 음색을 사용하여 화려함을 표현하고, 페달 솔로(Pedal Solo)를 강조하기위해 리드음색을 사용한다. 알라 브레베는 플루트(Flute) 계열 음색을 사용하여 부드럽고 밝게 표현한다. 아다지오는 화려함을 표현하기 위해 믹스처와 뮤테이션(Mutation) 음색을 사용한다. 푸가는 프린치팔 계열의 음색을 중심으로 조합하고, 종결부분은 페달의 리드 음색을 추가하여 웅장함을 표현한다. 독일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인 막스 레거의「코랄판타지“내 주는 강한 성이요”, Op. 27」는 레거가 작곡한 7개의 코랄 판타지 중 한 곡으로 시편 46편인“내 주는 강한 성이요”의 루터의 원곡을 기초로 작곡된 곡이다. 곡은 전체 4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화성과 반음계 진행, 비화성음, 리듬 변화 등이 나타난다. 이 곡은 낭만시대의 연주법인 레가토(Legato)를 바탕으로 하며, 음색조합은 플루트 계열의 작은 음색부터 오르간의 리드 소리를 포함한 투티까지 여러 단계로 나누어 다이나믹을 표현한다. 프랑스 작곡가 리테즈의「전주곡과 댄스 푸가」는 파리 콘서바토리 파이프오르간 콩쿠르를 위해 작곡되었다. 이 곡은 경쾌한 춤곡 리듬을 나타내기 위해 레가토, 테누토(Tenuto), 스타카토(Staccato)의 구분이 정확하도록 연주하고, 클러스터가 점차 두꺼워짐에 따라 고조되는 긴장감을 느끼며 연주한다. 음색조합은 작곡가가 악보에 기보해 놓은 음색을 바탕으로 하고, 뮤테이션 음색과 리드음색을 추가하여 화려하고 풍성한 소리를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 시대에 걸쳐 각 시대별로 작곡가들의 생애와 작품 개요, 연주법과 김영의 홀의 칼 슈케(Karl Schuke) 오르간과 음향을 고려하여 음색조합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을 연주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백낙준과 정대석 거문고 산조 비교연구

        이대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백낙준과 정대석 거문고 산조 비교연구 이 대 하 영남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국악전공 지도교수 박 소 현 요약 본 연구는 거문고 산조의 원형인 <백낙준 산조>와 오늘날 정대석에 의해 새 롭게 제작된 <정대석 산조>를 비교분석하여 두 산조의 상호 연계성을 밝히고 <정대석 산조>의 독창성 유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백낙준 산조>와 <정대석 산조>를 각각 분석하고 두 산조의 구성 악장 중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의 음조직, 괘법, 선율등을 비교·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낙준 산조>에 사용된 악조는 우조(G우조, C우조), 평조(Bb평조, Eb 평조), 계면조(C계면조, F계면조, G계면조)이고, <정대석 산조>에 사용된 악조 는 우조(C우조, G우조), 평조(Bb평조), 계면조(C계면조,G계면조)로 백낙준과 정 대석 모두 우조, 평조, 계면조등 기존 거문고 산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조를 중심으로 구성되나, <백낙준 산조>에 비하여 <정대석 산조>는 보다 단 조로운 음조직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괘법은 두 산조 모두 2괘, 4괘, 5괘, 7괘, 8괘법을 고루 사용하였는데, 여기에 <정대석 산조>는 9괘법, 10괘법을 첨가하여 거문고 산조의 음역을 확 대하였다. 셋째, 선율을 비교한 결과 <백낙준 산조>와 <정대석 산조>선율의 유사성은 약 8.6% (동일선율: 14각, 유사선율: 3각)로 기존 거문고 산조 유파의 답습, 변형, 확대 등의 전승 구도와는 다른 창작선율이 <정대석 산조>에서 확인된다. 이는 기존 거문고 산조의 유파와는 차별성 있는 정대석의 작곡가로서 면모라 하겠다. 결국 <정대석 산조>는 거문고 산조의 시조인 백낙준에 의해 성립된 음악 구 조, 형식 등은 차용 하였으나, 주요 선율 및 괘법 등은 창작 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정대석은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로서 전승되고 있는 <거문고 산조>의 음악적 형식과 구조를 차용하여 새로운 <거문고 산조>를 탄생 시켰 다. 본 연구는 거문고 산조의 원형과 80여년이 지나서 새롭게 창작된 거문고 산 조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거문고 산조> 창작의 모색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 를 둘 수 있다. 주요어 : 거문고 산조, 백낙준 거문고 산조, 산조, 정대석 거문고 산조

      • Program Annotation : N. Bruhns P raeludium e-Moll(groß) J. S. Bach P raeludium und Fuge C-Dur, BWV 547 M. Reger Introduktion und P assacaglia d-Moll Ch.-M. Widor Symphonie No. 5, Op. 42 Ⅰ. Allegro vivace, Ⅳ. Adagio, Ⅴ. Toccata M. Dupré Évocation, P oème Symphonique, Op. 37 Ⅲ. Allegro dec

        권은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organ pieces performed by Eunso Kwon in her graduation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13th of June, 2017. Repertories of the recital are Praeludium e-Moll(groß) by Nicholas Bruhns(1665-1697), Praeudium und Fuge C-Dur, BWV 547 by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by Max Reger(1873-1916), the third movement of 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by Marcel Dupré(1886-1971), the first, fourth, and fifth movements of Symphonie No. 5, Op. 42 by Charles-Marie Widor(1844-1937). Bruhns’s Praeludium in e-Moll reveals the fantastic style commonly used by North German organ music composers in the 17th century. It consists of ‘free section(toccata) - 1st fugue - free section(toccata) - 2nd fugue – free section(toccata)’, where toccata sections are contrasting with fugal sections. The toccata features cromaticism, broken chords, various beat changes and rhythm changes. J. S. Bach composed Praeludium et Fuga in C-Dur, BWV 547 in Leipzig when he composed his representative organ pieces. The prelude dominates the music by repeating and developing the four rhythm motives. The fugue has a very short theme and diverse fugue techniques are employed including modulations, stretto, inversion, argumentation of the subject. M. Reger, a composer representing the German Romantic period in the late 19th century, studied J. S. Bach’s works and reflected their stylistic influences in his work. 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is not an exception. the theme of Passacaglia is very similar to that of J. S. Bach’s. After the majestic introduction, Passacaglia begins very tenderly, and is followed 12 Variations on the pedal theme. Variations progress to the climax, displaying complex and sudden harmonic changes, chromaticism, non-harmonic tones including appoggiaturas, rhythmic and texture changes. It also involves expamsion of the dynamics. Symphonie No. 5, Op. 42 is representative piece of Charles Marie Widor. The first movement, Allegro Vivace, consists of the theme, with five variations and Coda. Various rhythmic, textural changes, and the diminution of the theme happen along with the variation. The fourth movement, Adagio, is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frequent modulation within a short movement. The fifth movement, Toccata, is a very fast and impressive piece, combining the broken chord passage in 16th notes and chord progression in 8th notes. Marcel Dupre composed 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in memory of his father's death. The third movement, Allegro Deciso, is in a rondo form, consisting of 'A-B-A-C-A-D-B-A-Coda'. Fast chord progression, colorful harmonics with thick texture and dissonant passages are prevalent throughout the whole piece and builed up the tension, as music proceeds on. 본 논문은 2017년 6월 13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권은소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에서 발표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며, 연주법은 김영의홀 슈케(Karl Schuke) 오르간에서의 연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연주 프로그램은 니콜라우스 브룬스(Nicolaus Bruhns, 1665-1697)의 「대 전주곡 e단조(Praeludium e-Moll “groß”)」,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전주곡과 푸가 C장조(Praeludium und Fuge C-Dur), BWV 547」, 막스 레거(Max Reger, 1873-1916)의 「서주와 파사칼리아 d단조(Introduktion und Passacaglia d-Moll)」, 샤를 마리 비도르(Charles-Marie Widor, 1844-1937)의 「오르간 심포니 제5번(Symphonie No. 5), Op. 42」 중에서 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Allegro vivace), 4악장 아다지오(Adagio), 5악장 토카타(Toccata), 마르셀 뒤프레(Marcel Dupré, 1886-1971)의 「교향시 에보케이션(Évocation, Poème Symphonique), Op. 37」 중에서 3악장 알레그로 데치소(Allegro deciso)로 구성되었다. 17세기 북독일 오르간 악파 작곡가인 브룬스의 「대 전주곡 e단조」는 환상적 양식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반음계 진행, 동음 반복, 짜임새와 박자 변화가 사용되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연주법에 따라 논 레가토(non legato)로 연주하며, 프린치팔(Prinzipal) 계열의 플레노(Pleno) 소리를 바탕으로 각 부분의 특징에 맞춰 여러 가지 음색조합을 사용한다.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독일 작곡가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C장조, BWV 547」은 홀수박자의 전주곡과 짝수박자의 푸가로 구성되었다. 전주곡은 네 개의 모티브(motive)가 결합하며 반복하는 것이 특징적이고, 푸가에는 주제의 전위, 주제 길이의 확장, 전조, 스트레토(stretto) 기법이 사용되었다. 음색은 플레노 소리를 바탕으로 하고, 푸가에서는 페달의 등장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리드(Reed) 음색도 함께 사용한다. 19세기 독일 낭만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 레거의「서주와 파사칼리아 d단조」는 웅장한 서주와 총 12번 변주되는 파사칼리아로 이루어져 있다. 복잡한 화성, 반음계 진행, 비화성음, 리듬과 짜임새의 변화 등을 통해 변주되며 파사칼리아 전체에 걸쳐 셈여림이 확장된다. 이 곡은 낭만 시대 연주법인 레가토로 연주하며, 파사칼리아의 음색은 부드럽고 작은 소리부터 시작하여 음악의 진행에 따라 점차적으로 높은 음역대의 음색, 리드 음색, 믹스추어 음색을 추가하여 조합한다. 19세기 프랑스 낭만 시대 작곡가 샤를 마리 비도르의 「오르간 심포니 제5번, Op. 42」중 1악장은 주제와 다섯 번의 변주, 코다로 구성되어 있다. 변주에 따라 리듬과 짜임새 변화, 주제 선율의 축소와 확장 등이 나타난다. 4악장은 짧은 악장 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전조가 특징적이다. 5악장은 16분음표 분산화음 패시지(passage)와 8분음표 화음 진행의 결합이 악장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이 곡을 연주할 때, 1악장은 변주 별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다르게 연주하며, 음색 또한 악보에 지시된 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조합을 사용한다. 4악장은 끊임없이 레가토로 연주하며, 부드러운 8′과 4′음색을 사용한다. 5악장은 스타카토로 연주하며, 화려한 곡의 분위기에 맞게 투티(tutti) 소리를 사용하고 스웰 박스(swell box)로 악상 변화를 표현한다. 20세기 프랑스의 작곡가 마르셀 뒤프레의 「교향시 에보케이션, Op. 37」의 3악장은 론도형식의 곡이다. 빠른 패시지의 화음 진행, 반음계 진행, 두꺼운 짜임새를 가진 색채감 있는 화성이 음악을 긴박하게 끌어간다. 음색조합은 악보의 지시를 참고하여 배음 음색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색채감 있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에 걸친 다섯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 작품 개요, 연주법과 음색조합을 살펴봄으로써 각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중국 궁정음악기관 '太常'의 통시적 연구

        이몽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rasp transitions of 'Taichang (太常)' – a court music institute as a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through investigations on functions of 'Taichang'—the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and transitional processes of the function and musical dances. Transitional processes of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were first summarized, the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Taichang' in different periods was discussed in different chapters. Parts of different periods were divided through times of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魏晉南北) Dynasties,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Liao (遼), Jin (金) and Song (宋) Dynasties and Yuan (元), Ming (明) and Qing (清) Dynasties, etc., through sorting discussion results on constitutions of titles, functions, officials and musical dances of Taichang in different dynasties as well as types and properties, etc. of based on documents and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urt music institutes of different dynasties of China were observed in general, which starts from Pre-Qin (先秦) Dynasty and ends at the last Chinese dynasty—Qing (清) Dynasty, a narrative has been given on the overview of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on the aspects of settings in court music institutes and development conditions, etc. of different dynasties. Secondly, functions of Taichang—Chinese court music institutes and musical dances of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observed, and differences among music institutes of all dynasties in the same period as well as relative changes caused by them were analyzed. All court music institutes after Jin Dynasty and during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Taichang. It can be confirmed that Taichang of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in charge of all elegant and vulgar music. Thirdly, Taichang entered mature period in Sui and Tang Dynasties, of which Taichang of Sui Dynasty were changed into Taichangsi, which took charge of all court music as former periods, and systems of court music institutes and musical dances under charge of Sui Dynasty were inherited and used by early Tang Dynasty. While in the period of Emperor Xuanzong (玄宗), Taichangsi was divided into Jiaofang (教坊) and Liyuan (梨園), which undertook vulgar music under charge of Taichangsi, thus, jurisdictional limits of Taichang on court music were reduced. Fourthly, It can be seen that the features of the Taichang of Liao, Jin and Song Dynasties had been simplified. The Taichang of Liao, Jin and Song Dynasties is no longer in charge of all court music institutes like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d its status gradually declined. Fifthly, Taichang of Yuan, Ming and Qing Dynasty simply took charge of sacrifice music and did not take charge of other kinds of music anymore. What’s more, status of Taichang was far worse than before, which were under charge of Ministry of Rites, so functions and effects of Taichang of this period were reduced as a court music institute, and it could be called a decline stage. In conclusion, 'Taichang', the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is the initial ritual music institute set in Chinese music histories that took charge of Ritual music, it took charge of not only elegant music, which was the main part of rites and music of Wei, 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ut also vulgar music, leading to a historical musical phenomenon of fusion of both elegant and vulgar music, after Emperor Xuanzong, Taichang were operated through Jiaofang (教坊) and Liyuan (梨園), which then came to a decline stage for elegant music, after entering Yuan, Ming and Qing Dynasty, Taichang simply took charge of Ritual music with elegant music as the core, and then a decline stage was coming. Meaning and value of this research contain detailed discussions on specific functions and musical dances undertaken by 'Taichang'—court music institute of all Chinese dynasties and diachronic demonstrations of development processes of Taichang in different dynasties. More Korean scholars can grasp 'Taichang'—the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and music under charge of it through the above researches, and can have an outlook on relative researches about Chinese court music institute. Thus, this thesis will become a material with referential values for Korean scholars who research on Chinese musical histories, which is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本文的研究目的是通過對中國宮廷音樂機關‘太常’的音樂機關的職能和掌管樂舞的變遷過程的考察,把握作爲宮廷音樂機關的太常的變遷情況。 先總體概述中國宮廷音樂機關變遷過程,然後分時代分章節論述有關中國宮廷音樂機關‘太常’。分時代的部分以魏晉南北朝時代,隋唐時代, 遼金宋時代, 元明清時代等區分,通過文獻材料對各王朝太常的名稱,職能,官員構成和掌管樂舞的種類與性質等方面論述的結果整理如下。 第一,概略性的觀察中國曆代王朝的宮廷音樂機關,從先秦時代開始一直到中國最後一個王朝清朝結束,關於各王朝時代的宮廷音樂機關設置和發展情況等方面的中國宮廷音樂機關概況的敘述。 第二,觀察魏晉南北朝時代的中國宮廷音樂機關太常的職能與掌管樂舞,分析在這一時期中的各王朝的音樂機關制度的差異點以及由它引起的相關變化。晉朝以後與南北朝時代各王朝所有的宮廷音樂機關都歸屬於太常。可以確認在晉代與南北朝時代太常掌管所有的雅樂和俗樂。 第三,隋唐時代的太常進入成熟期,隋朝時期太常的名稱改稱爲太常寺,和以前時代一樣掌管所有的宮廷音樂,唐代初期繼承和使用了隋朝的宮廷音樂機關的制度和所掌管的樂舞。但到了唐玄宗時期太常寺被教坊和梨園分立,分擔了太常寺掌管的俗樂,因此太常的宮廷音樂管轄範圍被縮小。 第四,遼金宋時代太常的職能由被簡化的趨勢,遼金宋時代的太常不再像南北朝與隋唐時代掌管所有的宮廷音樂機關,它的地位逐漸下降。 第五,到了元明清時代中各王朝太常變爲只掌管祭祀音樂,不再掌管其他種類的音樂。而且太常的地位已經大不如前,歸屬於禮部,所以這一時期太常作爲宮廷音樂機關的作用和職能被縮小,可以說是衰退期。 綜上所述,中國宮廷音樂機構"太常"是中國音樂史上設置的最初的掌管禮樂的音樂機關,魏晉南北朝時代不僅掌管作爲禮樂主要音樂的雅樂,而且變得掌管俗樂,發生了使宮廷音樂的雅樂和俗樂融合的音樂史性現象,唐玄宗以後教坊和梨園分立運營,經過雅樂萎縮時期,進入元明清時代,太常只掌管以雅樂爲中心的禮樂,迎來了衰退期。 本研究的意義和價值是詳細論述了中國曆代王朝宮廷音樂機關"太常"所承擔的具體職能和掌管樂舞,經過各個朝代,對太常的發展過程進行了通時性的論證。通過這些可以使更多的韓國學者等掌握關於中國宮廷音樂機關"太常"及其掌管的音樂,並可以展望中國宮廷音樂機構的相關研究。對此,這將成爲在韓國研究中國音樂史具有參考價值的資料,這是本研究的意義。

      • Program Annotation : D. Buxtehude 『Prelude in E Major, BuxWV 141』 J. S. Bach 『Prelude and Fugue in G Major, BWV 541』 F. Mendelssohn 『Organ Sonata in D Major, Op. 65, No. 5』 M. Reger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in d minor』 M. Duruflé 『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 7

        이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about the pieces presented at master’s degree graduate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on June 7th, 2021 and they were played by Lee Seo Yeon who majored the organ a the college of music in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piece included Prelude in E Major, BuxWV 141 by Dietrich Buxtehude (1637-1707), Prelude and Fugue in G Major, BWV 541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an Sonata in D Major, Op. 65, No. 5 by Felix Mendelssohn (1809-1847),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in d minor by Max Reger (1873-1916), 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 7 by Maurice Duruflé (1902-1986). Prelude in E major, BuxWV 141 by Dietrich Buxtehude, a representative organ composer of the Baroque period in the 17th century, contrasts two composition techniques: Stylus Phantasticus and counter-point style. This work can be played using the non-legato technique of the Baroque era, and the tone can be comb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he fantastic style appears at the intro, first connecting section and the closing section. By using the tone of Mixture on the manual and pedal, the splendor of the organ can be expressed. Johann Sebastian Bach's Prelude and Fugue in G major BWV 541 consists of a prelude in 3/4 meter and a fugue in 4/4 meter. The prelude shows the splendor of the keyboard instrument and the virtuoso pedal passage, and the fugue is developed using imitation techniques and stretto, etc., to the theme of a long phrase. The tone combination of the prelude can be composed based on the Principal and Mixture on the manual, and the pedal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by adding the Reed tone to the Principal. The fugue tone combination can be composed of the Principal and Flute to express a softer atmosphere rather than a prelude. Organ Sonata in D Major, Op. 65 No. 5 by Felix Mendelssohn-Bartholdy, a German composer of the early Romantic period in the 19th century is composed of two movements, and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two parts, Andante and Andante con moto, and the second movement is Allegro Maestoso. Although the name sonata is used, the classical period forms of choral, binary form, and rondo are applied, and the refined and rich harmony of the romantic period is well expressed. The andante of the first movement can be composed of selecting 8ʹ and 4ʹ of the basic tone for manual, and the 16ʹ and 8ʹ of the Principal and Flute for the pedal to have the Dynamik of mf. In the second movement, the magnificence of f can be expressed by adding the Mixture and Reed to the basic tone of the manual and the pedal. around it. Introduction and Passacaglia in d minor by Max Reger, a representative organ composer of the late romantic period, features a total of 12 variations based on the grand introduction and the theme of Passacaglia in the pedal. Passacaglia makes the volume gradually increased by combining the Mutation, high range tone, couplers, Reed tone and the Mixture in phases, which begins with one or two Flute tone ranging from ppp to piu fff with changes in chromatic progression, complex harmony, and rhythmic texture. Based on the form of the Baroque era, this work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such as the use of complex harmony and continuous dissonance. Maurice Duruflé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French organ music in the 20th century. Pre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 7 was composed in memory of his friend Jehan Alain (1911-1940), who died during World War II. The theme of the work in the prelude was used by applying the theme of Alain's‘Litanies’as well as applying Alain's name as the motivation. The fugue was presented with a first lyrical theme that in the form of a eighth note and a second theme that in the form of a sixteenth note. It is an outstanding counter-point work of the 20th century, in which two themes are developed in a stretto, splendidly and tensely. Also, like the French composers of the time, Durufle described the dynamic of the work and the composition of the tone in detail. 본 논문은 2021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오르간 전공 이서연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발표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작품 구성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의『전주곡 E장조(Prelude in E Major, BuxWV 141)』,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전주곡과 푸가 G장조(Prelude and Fugue in G Major, BWV 541)』, 19세기 초기 낭만 시대 오르간 작곡가인 펠릭스 멘델스존의『오르간 소나타(Organ Sonata in D Major, Op. 65, No. 5)』, 독일의 후기 낭만 시대 작곡가인 막스 레거의『서주와 파사칼리아(Introduction and Passacaglia in d minor)』, 20세기 프랑스 오르간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모리스 듀르프레의『알랭 주제의 전주곡과 푸가(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 7)』의 다섯 곡으로 이루어진다. 이다. 17세기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오르간 작곡가 디트히리 북스테후데의 『전주곡 E장조 BuxWV 141』은 도입부-제1푸가-제1연결구-제2연결구-제2푸가-제3연결구-종결부의 일곱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환상적 양식과 엄격한 대위법적 기법이 대조적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바로크 시대 연주법인 논 레가토(Non-legato) 주법으로 연주할 수 있고, 각 부분의 특징에 맞추어 음색 조합을 할 수 있는데, 환상적 양식의 특징이 나타나는 도입부, 제1연결구, 종결부에서는 손건반과 페달에 믹스츄어(Mixture) 음색을 사용함으로써 오르간의 화려함을 표현할 수 있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전주곡과 푸가 G장조 BWV 541』은 3/4박자인 전주곡과 4/4박자인 푸가로 구성된다. 전주곡은 비바체의 빠른 템포로 오르간의 기교적인 페달 패시지가 잘 나타나며, 푸가는 긴 악구의 주제가 모방 기법과 스트레토(Stretto) 등을 사용하여 나타난다. 전주곡의 음색 조합은 손건반에는 프린시팔(Principal) 계열을 바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페달에는 프린시팔 계열에 리드(Reed) 음색을 더하여 페달 성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푸가의 음색 조합은 전주곡보다는 부드러운 분위기 표현을 위해 프린시팔 계열과 플루트(Flute) 계열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다. 19세기 독일의 초기 낭만 시대의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의『오르간 소나타 D장조 Op. 65 No. 5』는 전체 2악장 구성으로, 1악장은 안단테(Andante)와 안단테 콘 모토(Andante con moto)의 두 부분으로 되어있으며 2악장은 알레그로 마에스토소(Allegro Maestoso) 이다. 소나타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지만 코랄, 2부 형식, 론도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낭만 시대의 세련되고 풍부한 화성이 잘 나타나 있는 곡이다. 1악장의 안단테는 손건반에 기본 음색의 8ʹ과 4ʹ을, 페달에는 프린시팔 계열과 플루트 계열의 16ʹ과 8ʹ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안단테 콘 모토는 페달에 등장하는 스타카토를 표현하기 위해 Nachthorn 4ʹ을 더하여 표현할 수 있다. 2악장에서는 손건반과 페달에 기본 음색을 중심으로 믹스츄어와 리드 계열의 음색을 더하여 f의 웅장함을 표현할 수 있다. 후기 낭만 시대의 대표적인 오르간 작곡가 막스 레거의『서주와 파사칼리아 d단조』는 웅장한 서주와 페달 성부의 파사칼리아 주제를 바탕으로 총 12번의 변주가 등장한다. 파사칼리아는 반음계적 진행, 복잡한 화성, 음형의 변화로 ppp에서 fff에 이르기까지 한두 개의 플루트 계열의 음색으로 시작하여 뮤테이션(Mutation) 음색, 높은 음역의 음색, 커플러, 리드 음색, 믹스츄어를 단계적으로 조합함으로써 크레센도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의 형식을 기반으로 복잡한 화성과 연속적인 불협화음의 사용 등 신고전주의의 특징이 잘 나타난 곡이다. 모리스 듀르프레(1902-1986)는 20세기 프랑스 오르간 음악의 대표적 작곡가이다.『알랭 주제에 의한 전주곡과 푸가 Op. 7』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사망한 친구 주앙 알랭(Jehan Alain, 1911-1940)을 추모하기 위해 작곡한 곡으로. 전주곡과 푸가는 같은 주제를 사용함으로써 통일성을 이룬다. 전주곡의 주제는 알랭의 이름을 적용한 동기와 알랭의 작품인『리타니(Litanies)』의 주제를 차용하여 주제로 사용하였고, 푸가의 주제는 서정적인 제1주제와 16분음표 음형의 제2주제가 전개된 후, 2개의 주제가 스트레토로 화려하고 긴장감 있게 전개되는 20세기의 뛰어난 대위법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듀르프레는 당시 프랑스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셈여림과 음색의 구성 등을 자세히 표기하였으며 크룸호른(Krummhorn), 코르넷(Cornet) 등 다양한 솔로 음색을 활용하여 프랑스 오르간 음악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곡가들의 생애와 오르간 음악, 작품 개요, 연주법과 음색 조합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이 작품들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도시환경적 결핍 및 제약 요인이 유아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 : 아동친화 근린 계획 및 설계 개선점을 중심으로

        유다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basic study is intended to help realize a child-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spatial welfare, clarify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deprivation and restrictions experienced by infants(preschool chidre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neighborhood on their behavior. Data collection involv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01 infant(2~6 year old) guardian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analysis, and a field survey, targeting five mixed communities in Seoul holding a large number of infants (Galhyeon-dong+Gusan-dong, Bulgwang 1-dong + Bulgwang 2-dong, Sangdo 3-dong + Sangdo 4-dong, Hwagok-dong, Gireum-dong + Samgaksan-dong),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se neighborhood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s well as identifying the environmental deprivation and restric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that infants experience in these environments. In addition, empirical examination is performed regarding complex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eighborhood, which affect infants` behavior, to derive improvement issues regarding child-friendly neighborhood planning and design in terms of play, walking, and social environment of infants.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dentifie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behavior of infants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neighborhood as the hyperproximity of the play environment, quality of the play environment, convenience of the walking environment, and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from crime: The hyperproximity of play environment was a major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all of the thre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the neighborhood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outdoor play,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neighborhood adults, and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with neighborhood friends); the quality of play environment affected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neighborhood friends; the convenience of walking environment affected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with neighborhood adults, and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with neighborhood friends; and the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from crime w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frequency of outdoor play of infants. Furthermore, the type of target survey site and the type of residence were determined to b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outdoor play,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neighborhood adults, and the frequency of encountering neighborhood friends. Second, the analysis on the proximity of the play environment in the five survey sites revealed that the many parts of these sites lacked “hyperproximity of play environment,” and the deviation of hyperproximity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urvey site or type of residence. This difference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distribution of play environments among Hwagok-dong (where children's parks are relatively homogeneously distributed), Sangdo 3-dong + Sangdo 4-dong (where these parks are significantly skewed), and Gireum-dong + Samgaksan-dong (where private playground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re densely distributed). Third, according to the in-depth case analysis of field survey data regarding 110 play environments (playgrounds + children's parks) in five survey sites,“ quality of play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low in Hwagok-dong, as well as in the low-rise residential-steep slope type, which was highly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playground equipment for infants,” and “adventure playground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of the playground (presence/absence of garbage). Moreover, findings showed that deprivation of a quality play environment leads to restrictions on infants’ opportunities to engage in social play with friends in a quality play environment. Fourth, according to the in-depth case analysis of field survey data of 240 streets in the five survey sites, “convenience of walking environment,” which represents the comfort of children on neighborhood streets, was low in Hwagok-dong and low-rise residential-steep slope types, which were related to “separation of pedestrians and vehicles,” “effective width of sidewalk,” “pavement quality on the floor,” “presence/absence of garbage,” and “roadside parking vehicles.” In particular, the straight street network in low-rise residential area with a steep slope worsened the convenience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e deprivation of pedestrian convenience environment in the neighborhood decreases the social relationships of infants, as well as the frequency of opportunities to "frequently encounter " and know the neighbors at many places, such as houses and adjacent places, parks, and playgrounds. Fifth, the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from crime,” (i.e., perceived by the guardians of infants) was affecting the frequency of social relationships formed by infants, as well as the occasions and places of encounter, which was related to the “creativity and safety of playgrounds.” In this respect, the guardians, who perceive that the neighborhood safety from crime is lacking, inevitably limit children's opportunities for outdoor play and social relationships, which could result in restrictions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Thus, heightening guardians’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from crime through improved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ring desirable changes to the behavior and development of infant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the matters that are compulsorily reflected in the supply policy and planning stages of playgrounds and children's park should be updated in detail to alleviate play deprivation in term of access to pla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mprovement in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is further necessary, including compliance with the 250m standard for children's parks installation distance, adjustment of the play environment installation standards reflecting children's walking distance (which is much shorter than that of adults), preparation of the installation standards for public playgrounds, and addition of children's parks and playground facilities to the basic living infrastructure. Second, the maintenance planning of playgrounds and children's parks should be strengthened in a more detailed, stricter manner to alleviate deprivation of quality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Furthermore, various solutions are required to upgrade public children's parks and playgrounds in small-scale apartment complexes to the level of private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cycle of facility inspection, safety training, and safety inspection required by the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to install playground equipment suitable for infant age; and to thoroughly manage and supervise the safety and cleanliness of the play environment using professionals. Third, the overall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s required in order to alleviate the deprivation in terms of convenience of the walking environment for infants. In particular, the essential measures in terms of a child-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include removing irregularities on the pavement surface, installing sidewalks, and ensuring an appropriate sidewalk width.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idewalk environment to protect infants from the dangers of vehicles, and to form a pedestrian-oriented street network. Fourth, accurat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gard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re required to create a child-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infants, starting from the stages of establishing related masterplans and initiating projects. During these stag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eighborhoods with severe environmental deprivation, and prioritize those place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particular, a differentiated space improvemen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target sites, such as residential type. For this purpos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qualitative site analysis should be combined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each neighborhood, and prepare a more precise improvement plan. This study has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behavior of infants residing in the mixed communities of Seoul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deprivation and restriction factors in the neighborhood, which affect the behavior and development of inf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they have implications for design strategies for effectively resolving environmental deprivation factors, which aris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local community. The significance can be extended to providing improvement direction and standards for laws and systems for promoting child-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for infants. ◆ Keywords: infant, child, environment, play, walking, neighborhood 본 연구는 공간복지의 관점에서 아동친화적 근린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아가 근린의 주거환경에서 경험하는 환경적 결핍과 제약이 유아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다. 유아 인구수가 많은 서울시의 혼합주거지 5개소(갈현·구산동, 불광1·2동, 상도3·4동, 화곡본동, 길음·삼각산동)를 대상으로 501명의 유아 보호자에 대한 설문조사, GIS데이터분석, 현장조사를 통해 근린의 환경 특성과 유아의 행태 특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유아가 근린환경에서 경험하는 환경적 결핍과 제약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한다. 또 유아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의 복합적인 환경요인들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놀이환경과 보행환경, 사회적 환경의 측면에서 아동친화 근린계획 및 설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통계분석 결과, 근린의 다양한 환경 요인 중 유아의 행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은 놀이환경 초근접성, 놀이환경의 질, 보행환경 편의성, 근린의 범죄안전성으로 파악되었다. 놀이환경 초근접성은 본 연구에서 주목한 유아의 세 가지 근린 행태 특성인 바깥놀이의 빈도, 이웃어른 만남 빈도, 동네친구 만남 빈도에 모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환경 요인이었으며, 놀이환경의 질은 동네친구 만남 빈도에, 보행환경 편의성은 이웃어른 만남 빈도와 동네친구 만남 빈도에, 그리고 근린의 범죄안전성은 유아의 바깥놀이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이었다. 연구대상지의 종류나 주거지 유형 또한 유아의 바깥놀이 빈도, 동네친구 만남 빈도, 이웃어른 만남 빈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 연구대상지에서의 놀이환경 근접성 분석 결과, ‘놀이환경의 초근접성’이 결핍된 지역이 다수 발견되었고, 유아가 거주하는 대상지 종류나 주거지 유형에 따라 초근접성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어린이공원이 비교적 균질하게 분포하는 화곡본동과 심하게 편중되어 분포하는 상도3·4동, 그리고 아파트단지 내 민간놀이터가 조밀하게 분포하는 길음·삼각산동의 놀이환경 분포에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5개 연구대상지의 110개 놀이환경(놀이터+어린이공원)의 현장조사 데이터를 심층 사례분석한 결과, ‘놀이환경의 질’에 대한 평가는 화곡본동과 저층주거지-급경사 유형에서 매우 낮았으며 이는 ‘유아용 놀이기구’ , ‘위험감수 도전놀이 기구’ 설치 여부 및 놀이터의 유지관리(쓰레기 유무)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놀이환경의 질적 측면에서의 결핍은 유아가 양질의 놀이환경에서 친구와 사회적 놀이를 할 기회에 대한 제약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5개 연구대상지의 240개 가로의 현장조사 데이터를 심층 사례분석한 결과, 동네 길이 아이가 다니기 편함을 의미하는 ‘보행환경 편의성’은 화곡본동과 저층주거지-급경사 유형에서 낮았으며, 이는 ‘보차분리여부’, ‘보도의 유효폭’, ‘바닥면의 포장품질’, ‘쓰레기 유무’, ‘노변 주차 차량’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급경사인 저층주거지의 가로망이 직선형으로 구획된 경우 보행환경 편의성은 더욱 저하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근린의 보행환경 편의성 결핍은 유아의 사회적 관계의 양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이웃을 집과 집 주변, 공원, 놀이터 등에서 ‘자주 마주쳐서’ 알게 되는 계기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었다. 다섯째, ‘근린의 범죄안전성’, 즉 유아의 보호자가 인지하는 근린의 안전성(perceived safety)은 유아가 형성하는 사회적 관계의 빈도 및 만남의 계기와 장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근린의 놀이환경 요인 중 ‘놀이터의 창의·안전’과 관련이 있었다. 즉 근린의 범죄안전성이 결핍되어 있다고 인지하는 보호자는 유아의 바깥놀이와 사회적 관계의 기회를 제한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아의 발달이 제약될 수 있는 것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 개선 등을 통해 근린에 대한 보호자의 범죄안전성 인식을 긍정적으로 제고하는 것은 유아의 행태와 발달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설문통계분석과 현장조사에 기반한 심층 사례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의 놀이환경 접근성 측면에서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놀이터와 어린이공원의 공급정책 및 계획 수립 단계에서 의무적으로 반영해야 할 내용의 구체적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어린이공원 설치거리인 250m의 유치거리 준수, 성인보다 훨씬 짧은 유아의 도보권을 반영한 놀이환경 설치기준 조정, 공공놀이터의 설치 기준 마련, 기초생활인프라에 어린이공원과 놀이터 시설 추가 등 관련 정책과 제도의 개선 또한 필요하다. 둘째, 유아의 놀이환경의 질적 측면에서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놀이터와 어린이공원의 유지관리 방안이 더욱 면밀하고 엄격하게 강화되어야 한다. 또 공공에서 제공하는 어린이공원과 소규모 아파트단지 내 놀이터를 민간 대규모 아파트단지 놀이환경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해법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서 요구하는 시설검사, 안전교육, 안전점검의 주기를 단축하고, 유아 연령에 적합한 놀이기구를 설치하며,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놀이환경의 안전과 청결을 철저하게 관리 감독해야 한다. 셋째, 유아의 보행환경 편의성 측면에서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저층주거지 보행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과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아동친화적 근린환경의 측면에서 바닥포장면의 요철 제거, 보도의 설치, 적정한 보도 폭의 확보는 필수적인 조치이다. 이밖에 차량의 위험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보도환경의 안전성 확보와 보행자 중심의 가로망 형성도 필요하다. 넷째, 유아의 아동친화 근린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관련 계획의 수립 및 사업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유아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환경적 결핍이 심각한 근린 대상지를 우선적으로 찾아내고, 환경개선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거지 유형과 같은 대상지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공간 개선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량적인 통계분석과 정성적인 현장 해석을 종합하여 근린의 문맥에서 벌어지는 특수성을 이해하고, 보다 섬세하게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에 근거하여 서울시 혼합주거지에 거주하는 유아의 근린 환경과 행태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유아의 행태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의 환경적 결핍과 제약 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의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발현되는 환경적 결핍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설계 전략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정책적으로는 유아의 아동친화 근린환경 조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향과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성인 남성의 엎드린 자세에서 엉덩관절 폄 시 어깨관절 운동방법과 저항에 따른 넓은등근과 반대쪽 하지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유현규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of the latissimus dorsi muscle and the contralateral lower extremity muscle in accordance with the shoulder joint exercise method and resistance during prone hip extension, and then find out the effective lumbopelvic stability exerci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males in their 20s and 30s. The subjects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all participated voluntarily. They also agreed on the purpose and procedures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ight latissimus dorsi, left gluteus maximus, both erector spinae, and left biceps femoris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device(Noraxon myosystem DTS, USA) to analyze muscle activity. A joint goniometer was used for setting the experimental posture and uniformity of angles, and a cable exercise equipment(Speed pully, Taeyang Health Zone, Korea) was used to provide weight resistance to the shoulder joint. Each experiment was performed three times to obtain an average value.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18.0 for Windows(SPSS Inc, USA).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the muscle activity of each muscle was compared at 0 kg during shoulder joint extension, retraction, and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between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traction, between retraction and depression(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 between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traction(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the muscle activity of each muscle was compared at 2.5 kg during shoulder joint extension, retraction, and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between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traction, between extension and depression, between retraction and depression(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 between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traction, between extension and depression(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the muscle activity of each muscle was compared at 5kg during shoulder joint extension, retraction, and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between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traction, between extension and depression, between retraction and depression(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muscle activity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0, 2.5, and 5 kg during shoulder joint extensi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0 kg and 2.5 kg, between 0 kg and 5 kg, between 2.5 kg and 5 kg(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muscle activity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0, 2.5, and 5 kg during shoulder joint retracti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0 kg and 2.5 kg, between 0 kg and 5 kg, between 2.5 kg and 5 kg(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the muscle activity by muscl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istance of 0, 2.5, and 5 kg during shoulder joint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latissimus dorsi between 0 kg and 2.5 kg, between 0 kg and 5 kg(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right erector spinae between 0 kg and 2.5 kg(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eft gluteus maximu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erector spinae(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of the left biceps femoris(p>.05). When the musc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t shoulder joint extension of 0kg,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ight erector spinae and the left gluteus maximus(p<.05)(r=0.30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ther muscles except for this(p>.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uscle activity of the latissimus dorsi could be increased as the shoulder joint extension and resistance increased during prone hip extension, but it was found that each muscle has weak or no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s an exercise that can increase lumbopelvic stability,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studies on the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ilt control of the ilium and the muscles activity of the contralateral lower extremity are needed.

      • 고령사회 노인문화정책의 특징 및 과제 연구: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김신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 목 : 고령사회 노인문화정책의 특징 및 과제 연구: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는 의학의 발달과 생활 환경개선 등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 비율의 14%가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에 이어 고령사회로 진입했고, 신노년층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인구로 진입하는 2030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된다. 고령사회는 단순히 고령인구의 산술적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문화·산업 등에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고전적 생애주기 또한 변화하여 제2의 인생인 노년의 삶을 과거의 노인들과 달리 신노년층 베이비붐 세대가 자아실현 및 자기 삶의 만족감,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건강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전후 세대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 신노년층 베이비붐 세대의 등장으로 우리 사회는 기존 노인의 개념과 노인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겪게 되었다.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 노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급격히 연장되어 삶의 질을 중시하는 세대이다. 따라서 현재 고령사회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노인은 사회에서 부양해야 할 대상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로 재규정되었으며, 노인정책 또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정책적인 측면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노후에 대한 정책전환과 새로운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주의로 설명하고, 노인정책에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으로의 정책 전환에도 불구하고 노인문화정책이 뒤늦게 대두한 점을 역사적 신제도주의 이론의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y)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 위한 노인을 위해 문화정책은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필요한 수단이 되며,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문화생활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고령사회정책인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도 고령인구의 일자리 정책이 중심이 되어 노후에 바라는 삶의 향상을 위한 노인문화정책은 소홀히 다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문화정책을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노인정책의 중심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문화전문위원의 참여필요성과 노인문화정책을 전담할 수 있는 정부 기관의 설립이 필요하고 정책대상이 되는 노년층을 정책의 중심에 설정하고 정책대상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하는 과제의 필요성을 보인다. 주요어: 고령화, 고령사회, 노인정책, 노년층, 베이비붐 세대, 삶의 질, 문화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경로의존성 As 14 percent of people in Korea are aged 65 and over thanks to the medical advances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Korea is already an ageing society. Now the country edges toward becoming a‘super-aged’society as over the next 10 years the baby boom generation becomes older generation in 2030. An ageing society is not simply a country’s increased median age. It in fact affects the change of structure in the economy, industry, society, and culture. Classical life cycle has also changed that it becomes an important societal problem for older people to live a new life; to realize themselves, find fulfillment in life, and live independently and freely as good members of society. Baby boomer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postwar generations and their emergence as the new older generation has brought a change in Korean society in relation to how older people are defined and the government’s policies on ageing are shaped. Nowadays older people are active members of society and not the frail elders in need of social support once associated with the word senior. Policies on ageing and older persons used to focus solely on the medical care and welfare but are recently considering cultural projects as a way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is thesis looks at the new social paradigm shift to explain changes in policies on ageing and older persons based on Tomas Kuhn’s paradigm theory. It also explains how “path dependency” has caused cultural policies on ageing and older persons to emerge relatively late even with Korea’s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Creating cultural policies that promote older people’s rights to enjoy the arts and culture enhances their quality of life as well as addresses the challenges posed by an ageing society. Participation in cultural life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the on the elderly. However, in Plan for a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governmental policies on ageing, cultural policies are simply suggested in the 2nd version without being actually implemented at the end. Evenin the 3rd version, policies for an ageing work for ceare still centered and those policiesonart and culture that would improve older people’s quality of life are not deemed significant enough to warrant attention. This lack for foresight can be rectified. First, it is vital that expert advisers who can make informed recommendations for cultural policies appropriate for older persons be invited to participate in Presidential Committee on an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Policy. Second, a government institution entirely dedicated to cultural policies on ageing and older persons needs to be established. Finally, that the senior citizens at the center of the policies have their opinions heard is an absolute requirement. Key words: ageing, ageing society, policies on ageing and older persons, older generation, baby boom generation, quality of life, cultural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