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예비 미술치료사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김진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art-based research is to examine convergence and conflict which the students of Master’s degrees face as an artist and as an art therapist during their studies. Many art therapists have put forward that artistry and originality are two qualities that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should have. In the process of becoming professional art therapists, students who major in art therapy are trained to so that their artistic identity is alive in them. However, the art in art therapy and the art concept emphasized by an artist has conflicting aspects, and the problem of dealing with or integrating thes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he two has not been properly educated. The researcher felt the need of research to examine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with a sense of problem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identities, since it was experienced directly while majoring in art. This study was describe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different identities, a study was conducted by recruiting those who is undergoing master degrees of art therapy with a similar background to the researcher. Art-based research performs like art that solves problems such as unity and distinction of identity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through the language. It also builds visual text, so the researcher judged it was appropri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participants' art work were divided into four top topics: "My current identity as a prospective art therapist," "My identity as an artist," "My identity as a prospective art therapist,” and "My ideal identity as an artist and art therapist," and were reclassified into a total of 14 sub-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n the identity of a prospective art therapists studying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majored in art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emed to be in confused state due to the unknown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giving anxiety.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artist part and the art therapist within the heart of participants helped each other and had a win-win relationship with their own distance. Third, the revealed ideal identity contributed to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and growth. As finishing off current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existence of the identity as an artist and as an art therapist, is very important for the growth of prospective art therapists. Recognizing the two identities as independent individuals but making efforts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this will ultimately lead to the not only the growth of the art therapists’ own-self but also when helping 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does not suggest an integration to become an ideal art therapist, but rather reveals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on the opposite side as an art phenomenon. It is hoped that this meaning will be provided as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academic system of art therapy in subsequent studies. 본 예술기반연구는 학부에서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예비 미술치료사로서 갖는 융합과 충돌을 예술에 기반하여 드러내고, 정체성이라는 비언어가 어떠한 현상으로 드러났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신건강 전문분야로서 미술치료의 핵심은 미술과 치료 양자에 균형을 갖고 충실해야 하는 것으로 강조된다(Rubin, 1999/2006). 미술치료는 미술의 창작 과정과 감상 그리고 치료적개입을 씨실과 날실로 하여 각자 다른 축을 하는 교차점 위에 있기 때문이다(주리애, 2010). 미술치료는 단순히 미술의 기법을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과정을 바탕으로 치료의 목표를 갖는다. 때문에 예술성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도 미술치료와 적절히 통합되도록 교육받는다. 그러나 미술치료의 미술은 예술가로 강조되는 미술 개념과 상충되는 면이 있다. 치료로서의 미술은 자기발견과 자아성장을 이끄는 치료성에 목표를 두는 반면(안성원, 장연집, 2009), 예술가의 창작은 동시대 예술이라는 공동선을 향한 실천이며 그러한 문제 의식을 탄탄한 논리로써 발전시키고 완성하는 목표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는 두 정체성의 갈등을 겪었고,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체성을 다루는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으로부터 서술되었으며, 두 정체성의 융합과 충돌을 살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연구자와 유사한 배경의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이며, 정체성이라는 비언어를 살피기에 적절한 예술기반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이론을 적절히 학습한 3학차 이상, 주치료사 혹은 보조치료사로서 20회 이상의 임상경험을 가진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으로 기준으로 하여 선정되었다. 그 결과로 참여자들은 학사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로써, 작업을 꾸준히 하는 자들로 구성되었다. 본 예술기반연구의 연구자는 객관적 관찰자이기 보다 주관을 갖는 한 개인으로서, ‘장나비’라는 이름으로 평등한 관계를 맺고 미술 작업을 수행하는 협력자가 되어 대화의 장을 생생히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참여자들의 만남은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하여 총 5번으로 이루어졌으며, 일주일간 개인 미술 작업 후 온라인상으로 ZOOM을 통해 약 90분간 진행되었다. 첫 주 오리엔테이션에서는 각자가 예술가로서 해온 미술 작업에 대한 이야기와 미술치료를 배우게 된 계기를 나누었으며 이후로 부여된 주제에 따라 나눔이 진행되었다. 연구수행단계에서 연구자가 취한 ‘not-knowing’(Moon, 2002/2010)의 자세는 연구에 참여한 이들이 서로의 작업을 공유하고 이야기 나눌 때 평가 및 해석적 태도를 지양하고 드러난 현상에 주목하여 바라볼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본 예술기반연구의 방법적 적용을 따라, 참여자들의 미술 작업, 작업노트, 심층면담을 데이터로 하여 수집 및 분석하였다.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의 미술작업은 단일한 해석으로 도출되지 않았으며, 결과분석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notknowing’의 자세에서 이들의 개성을 긍정하고 여러 갈래로 드러난 현상을 물러서서 살피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술을 전공한 예비 미술치료사로서 나의 현재 정체성>, <예술가인 나의 정체성>, <예비 미술치료사인 나의 정체성>,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나의 이상적인 정체성>의 상위 주제는 총 14개의 하위 주제로 분 류되었다. 연구자가 각 4개의 주제에 따라 드러난 두 정체성의 통합과 분리를 살펴보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정체성은 알 수 없음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상태로 드러나면서 불안감을 주었다. 둘째, 내면의 예술가와 미술치료사는 서로 도우면서, 나름의 거리를 갖는 상생의 관계로 드러났다. 셋째, 이상적으로 드러난 정체성은 참여자들 의 자아효능감 및 성장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예술가와 미술치료사라는 두 정체성의 상생이 예비 미술치료사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가치로 확인되었다.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하기 위한 길은 두 정체성 중 어느 한쪽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정체성으로 인정하되 적절한 거리를 찾는 일에서 시작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타인을 돕는 미술치료사로서인 자신의 역할을 성실히 하는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점에서 거쳐야 하는 매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이상으로서 두 정체성의 통합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그 반대편의 혼란과 갈등을 살피는 일을 강조한다. 이로써 미술을 전공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경험은 공통된 텍스트로 도출되면서, 미술치료사로서 형성해나갈 정체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초로써 의미를 갖는다. 더 나아가, 예술에서 치료로 눈을 돌린 나 자신을 위한 성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따라 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체성을 향한 연구가 지속되길 바라며, 미술치료라는 학제를 단단하게 하는 밑거름으로써 제공되기를 바란다.

      •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

        유나라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사례 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정서·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반응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난독증을 진단받은 만 8세 남아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 1~2회 간격으로 총 15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목표로 두었으며, 단계별 목표는 반두라 이론에 따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네 가지 요인인 성공 경험,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안정형성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치료가 연구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척도검사를 사용하였고, 미술치료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행동관찰 척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관계가 있는 정서 및 심리상태를 살펴보고자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유의미한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미술치료 과정에서 보인 정서·심리,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그리고 행동의 반응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축어록, 회기별 일지, 면담 내용, 연구 참여자의 반응에 대한 관찰사항 그리고 미술작품 이미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보았으며 유의미한 내용을 정리하여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 척도상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사전·사후를 비교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세 가지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 모두를 포함한 사후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의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술치료 회기별 자기효능감 행동관찰 척도의 분석 결과, 미술치료의 초기에 비해 후기단계로 갈수록 연구 참여자의 자기효능감 행동 변화가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기효능감 행동 관찰지의 세 가지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영역 모두에서도 지속해서 상승하는 변화 모습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정서 및 심리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DAS의 사전·사후를 비교해본 결과, DAS의 두 가지 하위영역인 정서 내용, 자아상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척도검사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따라 유의미한 반응 내용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유의미한 반응분석을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반응과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가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심리·정서 및 행동표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난독증을 진단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심리적 접근의 미술치료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 단계의 포문을 열었으며, 향후 난독증이 있는 아동에게 충분히 가치 있게 적용될 수 있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 연구의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art therapy has on the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through single case study. The research’s main questions are thu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on the child’s self-efficacy?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on the child’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Third, what are the self-efficacy responses of a child diagnosed with dyslexia to the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fficacy? In order to evaluate the above questions, an eight years-old boy diagnosed with dyslexia participated in the art therapies one or two days per week, fifteen sessions in total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19. The art therapy program’s focus was in improving the child’s self-efficacy, with systematic levels designed in accordance to Bandura’s theories on determining efficacy judgments, which embrace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 The researcher used self-efficacy scale to check the effects of the art therapy on the participant, and utilized behavioral observation standards to measure the behavioral changes in the child’s self-efficacy for every art therapy session. The researcher also used DAS test as a research tool to monitor the participant’s status of emotion and psychology, often related to self-efficacy. Moreov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rt therapy focusing o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verbal and non-verbal, and other behavioral reactions of the child in order to interpret his meaningful reaction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collection of the results for analysis included verbatim records, sessional journals, face-to-face talking records, written observations of the participant’s reactions, and artwork images. The in-depth analysis involved repetition of reading, organizing, and categorizing the meaningful sources within the collection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the analytic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self-efficacy scale of the child with dyslexia.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participant’s status before and after the self-efficacy scal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ree components of self-efficacy scale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Second, the art therapy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self-efficacy behaviors of the participant in every s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improved participant’s self-efficacy behaviors with three components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in a continuous and positive manner. Third, the art therapy to improve self-efficacy had positive outcomes 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the child with dyslexia.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participant’s status before and after DAS te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wo components of DAS test such as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Finally, the researcher categorized meaningful reactions from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art therapy sessions conducted with three components of self-efficacy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ocesses of self-efficacy. The researcher confirmed positive responses and changes made in the child’s self-efficacy by analyzing meaningful responses in the art therapy sessions for improving self-efficacy. Consequently, the art therapy proved its value to bring positive changes toward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expressions of a dyslexic child for better self-efficacy. This research brought attention to the value of psychological approaches in art therapy for dyslexic child, and built a ground for another valuable art therapy program to help such case in the future.

      •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김찬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단일사례에 대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아동기는 만 6세부터 12세경까지를 가리키는데, 이 시기는 부모에 대한 의존이 줄어들고 또래관계에 집중하게 되는 시기이다. 아동은 친구들을 통해 사회생활을 해 나가는 데 필요한 기초를 배우게 되는데,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은 그 시기에 따른 적응적인 발달을 이루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적 불안은 낯선 사람들에게 노출되거나 다른 사람들이 지켜볼 수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반응이다. 미술치료는 이와 같은 심리적인 불안을 가진 아동이나 언어적 표현이 적은 아동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미술은 언어적 표현이 아닌 작품 자체로도 그 의미와 정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동안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미술치료는 주로 집단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아직 집단으로 나갈 준비가 되지 않은 아동의 경우에는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시도를 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8세 여아로 2019년 3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총 22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 회기 참여자의 작품 사진과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치료 일지, 수퍼비전 자료, 회기 중 참여자의 비언어적 정서와 행동 등을 기록한 현장노트, 모(母)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치료 일지와 축어록, 수퍼비전 자료 등의 자료를 반복하여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주제와 7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의 경험의 범주는 <사회적 불안을 주는 요소들의 표현>, <미술 작품을 통한 소망과 기대감의 표현>, <사회적 관계 확장의 시도>이다.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를 통해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초기에는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정받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소극적이고도 걱정스런 표현을 자주 하였으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힘든 마음과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미술 작품과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에게 미술치료가 솔직한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불안이 완화되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여길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단순한 미술 표현에 그치던 초기와는 달리, 자신의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점차 많이 표현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미술 작품을 통해 미래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와 소망이 커졌는데, 이는 미술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게 해주었다. 작품이 완성되어가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보인 긍정적 태도와 소망은 참여자의 사회적 불안이 완화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는 사회적 관계 확장의 시도를 보여주었는데,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점차 적극적인 의사 표현을 하게 되었고, 또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의사 표현이 적던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경험하면서 연구자와의 관계에서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더불어 학교에서의 또래관계도 확장되었다. 이는 미술치료가 사회적 불안을 가진 참여자에게 적극적인 의사표현과 긍정적인 관계 맺기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하면서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화되어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여길 수 있게 되었고, 미술 작품에 대한 기대와 소망, 성취감과 만족감을 경험하며 사회적 불안이 완화될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는 미술치료 회기 안에서 적극적인 의사 표현을 하며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었고, 이는 참여자의 또래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을 가진 아동의 사회적 불안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아동이 어떠한 치료적 경험을 하는지 다루며, 그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제한된 단일 사례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연령층과 배경의 사회적 불안 아동을 통해 일반화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아동뿐만이 아닌 가족치료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society anxiety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ir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an approach to a single case in qualitative methodology. Childhood falls in a period between six to twelve years old, when children decrease in their dependence on their parents and start to focus on their peer relations. They learn the basics to lead a social life through friends. When a child has social anxiety, he or she experiences difficulties with adaptive development required in the period. Social anxiety is a reaction of having fear in a social situation in which one is exposed to strangers or could be watched by others. Art therapy is much used to treat children with psychological anxiety or fewer verbal expressions as art reveals their meanings and emotions in the form of artistic work itself rather than verbal expression. In the past, art therapy was usually applied to groups to relieve their social anxiety. In case of a child not prepared to go and join a group, however, it will be meaningful to try individual art therapy to relieve his or her social anxiet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 eight-year-old girl in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She participated in total 22 sessions of art therapy in March ~ May, 2019. In this proces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hotographs of her drawings and her recordings and their transcribed verbatim records in each session, treatment logs, supervision materials, field notes with records about her non-verbal emotions and acts during a session, and interviews with her mother. By apply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investigator observed and analyzed repeatedly the data including treatment logs, verbatim records, and supervision materials.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show that there were total three big topics and seven small ones. In the art therapy designed to relieve the social anxiety with a child with social anxiety,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experiences including "expression of elements to give her social anxiety," "expression of her hopes and expectations through artistic works" and "attempts at expanding her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se topic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child's experiences with art therapy to mitigate her social anxiety: First,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made passive and anxious expressions often between her fear for evaluation and her wish for recognition in the early phase. As the sessions proceeded, however, she was able to express her suffering heart and emotions honestly and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about her works of art and herself.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t therapy helped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regard herself positively by offering a chance for honest self-expressions and mitigating her fear for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ly,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remained at the level of simple artistic expressions in the early days but got to express her expectations for her artistic works more and more, show a positive attitude, and express her wish for the future through her works of art. She increased her expectations and wishes for her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art therapy sessions, thus experiencing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istic works. Her positive attitudes and wish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work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itigation of her social anxiety. Finally, the participant with social anxiety made attempts at expanding her social relation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she got to express her opinions more and more actively and change her peer relations in a positive way. The participant, who was low in the expression of her opinions in the early days, got to express her opinions freely in her relations with the investigator and expand her peer relations in school as she experienced art therap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t therapy enabled her with social anxiety to express her opinions actively and form positive relations. In short, the child with social anxiety was able to reduce her fear for evaluation by expressing herself honestly through art therapy, thus regarding herself positively. Art therapy also mitigated her social anxiety as she experienced expectations, wishes,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her artistic works. In addition, she expanded her social relations through active expressions of opinions in art therapy sessions, which had positive impacts on her peer rela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at therapeutic experiences a child with social anxiety would have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esigned to mitigate her social anxiety and shed light on the meanings of her experiences, thus holding academic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however, difficult to be generalized since it is a single case study with a limited scope of subjects. Follow-up study will need to promote the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by recruiting children with social anxiety from more diverse age groups and backgrounds and expand therapy not only to children but also their families.

      • 소아청소년 암 환자의 자아상회복을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유리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hild with cancer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 using digital media for recovering the self-imag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experience confusion and difficulty by having cancer in the time when they go through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social changes. The cancer causes severance of the outside and makes the patients to create unhealthy self-image. Thu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have difficulty in forming the right ego identity during the adolescence period. Thu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child with cancer to explore how art therapy helps him to have positive self-image and what experiences the participant goes through during th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received 13 individual art therapy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for 60 to 90 minutes from July 23, 2018 to November 07, 2018. The participant was a 15-year-old adolescent who was under treatment for 2 years and 2 months, and was regularly visiting the hospital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participant is currently taking anti-cancer drug again due to severe aftereffect. This study established following goals. The art therapy was composed by focusing on searching digital program media, inducing interest, performing various self-explorations,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 and forming healthy self-image through self-discovery and acceptance. For collecting data, this study recorded the results of each art therapy, report from participant, recording, image from art therapy, and video. This study examined the collected data repeatedly and carried out in-dept analysis on artistic expression, behavior pattern,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participant’s other responses. Then, this study categorized the item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3 upper topics of 'Attractiveness and Treating Effect of Digital Media', 'Acceptance of Self-Portrait through Recovery of Self-Image', and 'Psychological Change for Treatment' and 16 sub-topics. To examine the patent's changes in progress of art therapy, this study classified the sub-topics into initial stage, middle stage, and terminating s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veness of digital media eased the participant's fear toward treatment and uncomfortableness in the first meeting with the researcher. Also, the skill acquisition process helped improving the participant’s confidence. Secondly, various expressive features of digital media helped exploration of participant who had a negative self-image. Such exploration process provided practical help for the participant to recover healthy self-image. Third, although the participant had difficulty in facing oneself, the participant selected the digital media and the digital media drew the self-portrait in its own expression method. In conclusion, the digital art therapy for recovering the healthy self-imag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maximized the treatment effect based on the attractiveness of digital media. Also, the digital art therapy influenced on improving the confidence through educational aspect of skill acquisition. Furthermore, the digital art therapy had positive influence on forming the ego identity which is crucial in adolescence period and it also helped in recovering the healthy self-image. In the early stage of the art therapy, the participant had hard time facing the photo revealing oneself. However, in the terminating stage, the participant drew the self-portrait and it showed how the participant had the courage to accept the external appearance and face one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 암 환자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자화상을 통해 자아상 회복을 중점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소아청소년 암 환자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심리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있는 시기에 암 질환으로 더욱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경험하며 암이라는 질병은 외부로부터의 단절을 가져오고 건강하지 못한 자아상을 형성하게 한다. 이로 인해 청소년 시기의 과업인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미술치료 안에서 긍정적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질적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7월23일부터 2018년 11월7일까지 주 1~2회 60분~90분씩 총 13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5세 청소년으로 2년 2개월 가량 시간에 걸쳐 치료 중에 있으며, 조혈모세포이식 수술 후 외래치료받고 있다. 현재 후유증이 심해져서 다시 항암제를 복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연구자는 건강한 자아상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세웠다. 디지털 프로그램의 매체탐색, 흥미유발, 다양한 자기탐색, 업악된 감정표출, 자기 발견과 수용으로 건강한 자아상 형성에 중심을 두고 회기가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매 회기에 진행되어지는 결과물과 참여자의 감상지와 녹취록, 회기 결과물인 이미지와 작업하는 화면 동영상을 자료로 수집하여 기록으로 남겨 참고하였다. 수집자료를 반복해서 들으며 벌어지고있는 상황의 맥락 안에서 참여자로부터 나타나는 미술적 표현, 행동양식, 심리적 변화 등 이러한 반응들을 다시 한번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비슷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들을 조직하여 범주화 하였다. 분석 결과는 ‘디지털 매체의 유인력과 치료효과’, ‘자아상 회복에 따른 자화상 수용’, ‘치료에 대한 심리적 변화’ 라는 3개의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하였고 회기진행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하위주제를 초기, 중기, 종결기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매체의 유인력으로 치료에 대한 두려움과 연구자와 첫만남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기술습득 과정을 통해 자존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참여자에게 디지털 매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표현 기능으로 자신을 탐색하게 하여 건강한 자아상 회복에 실효성있는 도움을 주었다. 셋째, 디지털 매체를 통한 스토리텔링은 창의력 증진과 욕구를 간접적으로 실현하며 동기를 부여하였다. 넷째, 직면하기 힘들어했던 자신의 모습을 선호하는 디지털 매체를 선택하여 자기만의 표현방식으로 자화상을 그렸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소아암을 겪고 있는 청소년 환자의 건강한 자아상 회복을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는 디지털이 가지고 있는 유인력을 기반으로 치료효과에 도움을 주었고 기술습득이라는 교육적인 측면을 통해서도 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청소년시기에 확립되어져야 하는 중요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한 자아상 회복에 도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참여자는 프로그램 회기초기에 겉으로 드러나는 자신의 사진을 직면하기 어려워했지만 종결로 갈수록 자신의 얼굴을 직접적으로 그려주며 참여자 자신의 외적인 모습을 수용하고 자신을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강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이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으로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12세 남아이다. 본 연구자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0회의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회기 수집된 녹음 및 축어록, 미술작품 사진, 보호자와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 슈퍼비전 자료, 회기별 관찰 및 임상 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Creswell(2015)이 제시한 질적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나의 마음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움>, <규칙적인 치료적 틀 안에서 안정감을 느낌>, <미술을 통해 나의 긍정적인 정서를 마주함>, <감추었던 나의 생각과 마음을 드러냄> 이라는 4개의 상위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에 위축된 모습을 보였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언어적ㆍ비언어적 정서표현이 확장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말하기 어려운 내면의 정서를 미술작품으로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일정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연구자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방임을 경험한 다문화 가정 아동은 정서표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위축되었던 정서표현이 확장되었으며 자신의 내면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를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와 신뢰감 및 친밀감을 형성하면서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 child, who experienced negligence and came from a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ies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what that experience means. To achieve this, the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ular situ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a 12-year-old male in his 5th year of elementary school; he was raised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has experienced negligence. From January 2022 to June 2022, the researcher conducted a total of 10 art therapies,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recordings, verbatim records, photographs of artworks, interviews of guardians and institutional officials, supervision data, and observation and clinical journals gathered from each session. The data analysis in a qualitative study, which was suggested by Creswell (2015),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find out what the study participant experienced in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rive 4 topics and 12 sub-topics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4 topics are the following: <Difficulty in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feelings in words>, <Felt comfortable within a regular, therapeutic system>, <Encountered one’s positive emotion through art>, <Expressed one’s concealed thoughts and feel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experiences from art therapies fo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a child, who has experienced negligence and came from a multicultural famil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 was reluctant to express his own feelings and emotions at first; however, with the help of art therapy sessions, his verbal and non-verbal emotional expression was expanded. Second, the study participant was able to express his inner feelings, which is hard to tell and speak aloud, in a safe way through artworks. Third, the participant formed a trust bond with the researcher and felt comfortable through regular art therapy sessions; based on this, he was able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summariz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e child, who experienced negligence and came from a multicultural family, was able to expand his withdrawn emotional expression and recognize his inner feelings and safely express it through art therapies for emotional expression. In this process, his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the art therapy became more independent and active.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have occurred in his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he formed trust and affinity with the researcher.

      • 성인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국내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임현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art therapy as a therapeutic alternative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management of modern people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on art therapy research on adult stress, by analyzing trends in art therapy research on adult stres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o perform this study, a total of 62 articles on art therapy for stress in adulthood was selected and analyzed, primarily from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2 to February 2020 that were found through a database search of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s online information service. The final analysis paper was cross-compar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s using Microsoft Excel 2019.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First, upon analyzing the trend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according to the year published,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was first published in Korea in 2002 with a frequency of less than 1, but there is now an average of 3.26 papers published since 2004. Second, upon analyzing the subject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in gender,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on female subjects, and as for age, subjects in their middle-adulthood between the age of 31 and 60 were the most common. In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chieved by subjects, university graduates were the most common, and in occupation, housewive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other category. There was a larger proportion of married subjects than unmarried subjects. Third, upon analyzing the contents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parenting stress and job stress were adult stress types tha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studies. It is regarded that parenting stress and job stress a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in adult stress types because these stresses occur at home or at work, where individuals spend most of their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subjects, job stress occurred due to excessive workload, poor work/job roles, and an uncertain future. Parenting stress was experienced due to the pressure of their role as a parent, personal problems of the parent, and dysfunctional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ther stresses that have been studied include stresses related to childbirth duties, such as pregnancy and infertility, especially for research conducted mainly on women, and the stress of cultural adaptatio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marriage migration, multicultural families, studying abroad, and working abroad. There was also daily life stress experienced in interpersonal relations, maladjustment in university life, and economic poverty, as well as job-seeking stress and academic stress. In addition, complex stresses of parenting children, supporting parents, and menopause, have been addressed in existing studies. Upon analyzing the structure of art therapy, studies on institutions and centers were the most common for the therapy environment, and in therapy type, the frequency of group art therapy (55 papers: 88.7%) was approximately 8 times higher than individual art therapy (7 papers: 11.3%). As for the program type, complex programs were used more than single programs. As for the number of participants, ‘16~20 people’ was the most frequent, and the most frequent number of art therapy sessions per week was once a week.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studied most frequently was less than 10, and the most frequent duration was more than 90 minu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rt media and art techniques, drawing tools (handwriting stationery, coloring) and drawing techniques were most frequently used respectively. Upon analyzing the measurement tools,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and then the Job Stress Index were used the most among objective testing tool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projective testing tool was the Person In The Rain (PITR). Fourth, upon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s of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the experiment-control pretest-posttest method was used the most.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rching trend of research on art therapy for adult stress that has been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since 2002 and explored the various uses an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ccording to different stress types experienced in adulthoo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art therapy research for adult stres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성인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대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치료적 대안으로서 미술치료의 발전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한국교육학술 정보원 (RISS), 국회전자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최초 발표된 2002년부터 2020년 2월까지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만 21세부터 60세 사이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 총 62편을 선정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논문은 교차 비교하여 Microsoft Excel 20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도별 동향 분석에 의하면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 2002년에 국내 최초로 발표되어 초반에는 발표 빈도수가 1편 이하로 저조하였으나 2004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평균 3.26편을 유지하며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둘째,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대상 분석에 의하면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령은 만 31세~만 60세인 성인 중기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직군은 기타항목 중 전업주부가 과반수 이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내용 분석에 의하면 그동안 연구되어 온 성인의 스트레스 유형은 양육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양육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성인의 스트레스 유형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로 연구된 이유는 스트레스가 개인이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는 가정과 직장생활에서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자의 주요특성 및 환경적 요인 분석에 의하면 직무스트레스는 과도한 업무량과 열 악한 업무 및 직무의 역할과 불확실한 미래 등으로 발생하였다.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의 역할부담 및 부모 개인 문제, 그리고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주로 경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 연구된 스트레스는 특히 여성의 위주로 연구가 진행된 경우, 임신과 난임 등 출산 과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으며, 결혼이민, 다문화가정, 유학, 외국인 노동 등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겪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있다. 또한,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부적응 문제, 경제적 빈곤 등으로 경험하는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취업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기타스트레스는 자녀양육 및 부모부양, 갱년기 등 복합적인 스트레스가 선행연구를 통해 다뤄져 왔다. 미술치료 구조에 대한 분석에 의하면 치료환경은 기관 및 센터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었고, 치료형태는 집단미술치료가 55편(88.7%)으로 개인미술치료 7편(11.3%)보다 약 8배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유형은 복합프로그램이 단일프로그램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참여인원은 16~20명이 가장 많았고, 미술치료의 주당 회기 수는 주 1회, 총 회기 수는 10회기 이하이며, 소요시간은 90분 이상이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미술매체와 미술기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각각 그리기(필기류, 채색)매체와 그리기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객관적 검사도구의 사용 빈도수는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PSI)와 직무스트레스 척도 순서대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투사적 검사도구의 사용 빈도수는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erson In The Rain: PITR)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방법 분석에 의하면 실험-통제 사전사후 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선행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성인기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미술치료의 다양한 활용과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성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아동학대사건으로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의 긍정정서 회복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이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a group of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due to exposure to media reporting child abuse cases participated in online group art therapy for the recovery of positive emotion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 mothers in their 30s and 40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due to reports of child abuse and have high involvement in and sympathy for child abuse cases, raising children from infancy to adolescence. The researcher planned group art therapy to resto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amage of the mothers' group that occurred through indirect exposure to child abuse through media reports and recuperate positive emotional factor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trauma recovery theory by Herman (1997).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9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6 times from February 7, 2022, to February 25, 2022, and it used Zoom,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nts' health. The researcher collected preliminary questionnaires, verbatim records of initial interviews, photos of participants' artworks from all the sessions, verbatim records of the sessions, the researcher's clinical diaries, and testimonials as research data.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ix steps of the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Creswell (2013/2015) as the structur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derived a total of 6 topics and 17 sub-topics. - <The commonality of being a mother naturally open themselves up in front of strangers and let them feel familiar with each other>, <Confronting the dark feelings that child abuse reports left them with>, <Looking back on themselves as a mother after seeing the news on child abuse>, <Feeling psychological stability by visualizing uncomfortable experiences and confusion>, <Being inspired by sharing a common experience caused by a traumatic event>, and <Finding the growth point of positive inner change>. The resear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hesiveness based on the cultural homogeneity of the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function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security.' This served as a support system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process to recover indirect trauma. Second, the group of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was able to have control over their traumatic experiences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and they were able to reach a more mature self-understanding as a caregiver or as an individual through in-depth exploration of the entire experience. Third, the group of mothers earned resources of psychological coping to adaptively control and handle the damage of indirect trauma caused by media exposure, and group art therapy applying the trauma recovery theory was effective a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recovery. Fourth, considering that traumatic experiences have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ose who have experienced trauma indirectly have the same context and the need for emotional management even though their emotional impact may be lower than those who have experienced direct trauma.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covery from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media exposure by closely examining the personal experiences of indirect trauma victims. The intervention process also demonstrated that the group cohesiveness of the mothers played a role as a medium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healing and the recovery and growth of the group. In addition, the research presented empirical result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methods that trauma-recovery-theory-based group art therapy can provide and expanded the research on the re-evaluation of the traumatic situation, self-understanding, and emotional management processes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direct trauma. As a result, it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hope.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mplies that actively utilizing the benefits of online art therapy beyond the purpose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can be a preventive and effective pla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anagement of the public's mental health outside the boundaries of psychopathological diagnosi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사건을 보도하는 매체 노출로 인하여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이 긍정정서 회복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학대사건 보도로 인해 간접적 외상을 경험한 30~40대 어머니 4명이며 영유아부터 청소년기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며 아동학대사건에 대한 관여도와 공감도가 높은 집단이다. 연구자는 매체보도를 통해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치사 사건에 간접적으로 노출되며 발생한 어머니 집단의 심리∙ 정서 손상을 복구하고 긍정적 정서 요인을 회복하기 위한 집단 미술치료를 계획하였으며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Herman(1997)의 외상회복이론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2022년 2월 7일부터 2022년 2월 25일까지 주 2회, 90분, 총 6회에 걸쳐 이뤄졌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보건을 위해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사전 설문지, 사전 면담 축어록, 전 회기에 걸친 참여자들의 미술 작품 사진, 회기 축어록, 연구자의 임상 일지, 회기소감문을 연구자료로 수집하였으며 기술된 자료들은 Creswell(2013/2015)이 질적연구분석의 구조로 제시한 6단계의 자료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 자료의 분석 결과, <엄마라는 공통분모가 낯선 사람들 앞에서 나를 자연스럽게 개방하게 하고 서로를 친숙하게 느끼게 함>, <아동학대보도가 나의 내면에 남긴 어두운 동굴 같은 감정을 직면함>, <아동학대사건보도를 접한 후 엄마로서 나를 돌아보게 됨>, <불편한 경험과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시각화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느낌>, <외상적 사건으로 인한 공통된 경험을 공유하며 감화됨>, <긍정적 내면 변화의 생장점을 발견함>의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의 문화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한 집단 응집력은 간접외상의 회복을 위한 치료적 중재 과정의 시작점인 ‘안전감 형성’ 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이는 외상회복이론 기반 미술치료 개입 과정의 지원 체계로 기능하였다. 둘째,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외상적 경험에 대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었으며 전체 경험의 심도 깊은 탐색으로 양육자 또는 한 개인으로서 보다 성숙한 자기이해에 이를 수 있었다. 셋째, 양육모 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미디어 노출로 인한 간접외상의 피해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심리적 대처 자원을 획득하였으며 외상회복이론을 적용한 미술치료는 간접외상 경험자의 치유 및 긍정정서 회복을 목표로 하는 심리 개입으로서 유효하였다. 넷째, 외상경험은 객관성과 주관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간접적으로 외상을 경험한 사람은 직접 경험한 사람에 비하여 그 정서 충격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개인이 보고 및 호소하는 피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을 가지며 정서 관리의 요구 및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간접외상자들의 개인 내적 경험을 면밀히 살펴보아 미디어 노출로 인한 심리 피해의 복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개입 과정에서 양육모의 집단 응집력이 외상 경험자의 치유 기반 구축과 집단의 회복 및 성장의 매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외상회복이론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제공할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방안의 경험적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간접외상 경험자의 외상적 상황 재평가, 자기 이해, 정서 관리 과정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감정의 정화와 심리적 안녕감 획득, 희망과 같은 긍정정서의 경험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 목적을 넘어 비대면 미술치료가 가진 시∙ 공간적 유익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정신병리학적 진단의 테두리 밖에 위치한 대중의 정신건강을 돌볼 예방적이고 효율적 심리∙ 정서 관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To this end, a qualitative case study is applied in this research to explore in-depth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a 41-year-old female who had an agreed divorce in January 2020 after about 15 years of marriage. In this case, twice a week from July 16, 2020 to August 20, 2020, a total of twelv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The researcher obtained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 to record videos and audios in every session and to take photographs of the artwork to gather data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research of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case. In addition, verbatim records of transcriptions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were collected as original data. Observations made as the therapist while conducting the case first-hand was recorded as a treatment log. And through the original data and the treatment log, the observation of nonverbal behavior and verbal expression were analyzed and transcribed into a docu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our main topics and fourteen subtopic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in this art therapy case are <facing and recognizing emotions experienced by divorce>, <discovering the meaning of divorce for oneself>, <experiencing con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heart through art therapy>, <materializing a positive future and gaining confidence to live on one’s o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on what women experienced in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could objectively recogniz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and integrate the divorce into a part of her life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Second, the participant who has experienced divorce could safely express the oppression caused by divorce through artworks, thereby purifying her emotions and providing healing experiences of metaphoric comfort. Third, the participant of the research could experience emotional support through art therapy and discover her own sources of support. Through this, the participant could gain a positive perception of herself and others thereby gaining new strength and courage in facing the future. Fourth,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the participant could rebuild her broken psychology and reconstruct her lif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re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men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pain due to divorce could objectively recogniz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integrate divorce as part of their lives, and eliminate the oppression caused by divorce through art therapy for growth.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experience emotional support through art therapy and discover her own sources of support, and in the process, the participant could gain a positive perception of herself and others and could gain new strength and courage in facing the future.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rebuild the psychology broken due to divorce and reconstruct the story of her lif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past and reality. Corresponding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growth of women allowed the expression and relief of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as they are, allowed the acceptance of divorce as a part of life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oneself helped the process of growth.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여성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약 15년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2020년 1월 조정이혼을 한 만 41세 여성이다. 본 사례는 2020년 7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주 2회, 90분간 총 12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사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받고, 매회기 비디오로 녹화 및 녹음하였고 작품 사진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녹화 및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치료사로서 직접 사례를 진행하면서 관찰한 내용을 치료일지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원자료와 치료일지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비언어적인 행동 관찰 및 언어표현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 범주는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을 마주하고 인식함>, <이혼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발견함>, <미술치료를 통해 마음의 정화와 위로를 경험함>, <긍정적인 미래를 구체화하며, 스스로 살아갈 자신감이 생김>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여성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이혼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이혼을 삶의 일부로 통합할 수 있었다. 둘째, 이혼을 경험한 참여자는 미술 작품을 통해 이혼으로 인한 억압을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정화하고 은유적으로 자신을 위로하는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경험하고 자신의 지지 원천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면서 미래에 대한 새로운 힘과 용기를 획득하게 되었다. 넷째,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자신의 과거와 현실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무너진 심리를 재건하고 삶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이혼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에게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는 이혼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이혼을 삶의 일부로 통합하고, 이혼으로 인한 억압을 미술 작품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정화하고 은유적으로 자신을 위로하는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경험하고 자신의 지지 원천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으며, 미래를 살아갈 새로운 힘과 용기를 획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과거와 현실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혼으로 인해 고통받으며 무너졌던 심리를 재건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는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함으로써 자신과 삶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혼을 자기 삶의 일부로 통합하여 받아들이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됨에 따라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전현영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erson-in-the-Rain (PITR) tests by clinical veterinary occupational stress and personal variables (gender, age, class, marital status, position), and to examine whether PITR Picture tes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for evaluating occupational stress of clinical veterinarians. The problem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veterinarians' responses to PITR picture test by features such as gender, age, class, marital statu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veterinary reactions to job stress on the PITR picture examination? For this study, 43 items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concept of job stress in clinical veterinarians. As a scoring system for PITR Picture inspection, a system developed by Lac (1996) and modified by Mi-Ock (2008) was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the researcher visited 32 animal hospitals in Seoul, 15 animal hospitals in Gyeonggi-do, and the Seoul Veterinary Clinical Conference held on October 12, 2019. Also, a survey and PITR picture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job stress scale for clinician veterinarians who agreed to the research purpose and wanted to participate. A total of 101 samples were analyzed, except for 12 samples that were not appropriate due to disagreement with the study or missing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SPSS WIN 22.0 was used for such an analysis. Based 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job stress level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group's responses to the PITR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job stress were examin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tress.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tudy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ir job stress levels. Among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s to the PITR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job stress of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s to the PITR picture test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veterinarian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were examined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job stress, PITR stress, and PITR coping ability.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ITR picture according to the job stress of clinical veterinarians, the stress area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vy rain" category between the upper group with high job stress and the lower group with low job stress. In other words, the lower job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in the "heavy rain" category than the upper group.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arger the area occupied by rain in the picture. Thir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PITR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job stress of the clinical veterinarian, the subcategory of coping resourc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oping ability score and resource score. In particular, in the subsection of coping resourc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on the items "There is an umbrella," "I am carrying an umbrella," "No problem with the protective equipment," "Smiling face," and "A part of the body is missing."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e mean value of the job stress of clinical veterinarians in this study was very high at 97.683 (Lee Jong Mok, 2008).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able to identify such high average values. In addition, despite various job stress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pictures by the degree of job stres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PITR picture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ITR picture test is required.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clinical veterinarians working in some specific regions, so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In subsequent studies, therefore, the scope of the study should be extended, and more individual variables should be applied.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in clinical veterinarians was high.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ed examination through "heavy rain" or "responsive resources" that appear in the PITR Picture tes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the primary data for the study of job stress of clinical veterinarians. 본 연구는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개인변인(성별, 연령, 계급, 결혼여부, 직위)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살펴보고,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보완적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수의사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계급, 결혼여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기본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43문항을 사용하였다.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채점체계는 Lack(1996)이 개발하고 이미옥(200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동물병원 32곳과 경기도에 위치한 동물병원 15곳 및 2019년 10월 12일 개최된 서울시 수의임상컨퍼런스를 방문하였으며, 연구목적과 취지에 동의하고 참여를 희망한 임상수의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척도 검사 설문지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수집된 113부의 표본 중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하지 않았거나 설문지에 누락된 문항이 있는 등, 적합하지 않은 12부를 제외하고 총 101부를 SPSS WIN 22.0 Ve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상, 중, 하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중 상위군과 하위군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임상수의사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상, 중,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 상위군과 하위군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임상수의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성별, 연령, 결혼 유무, 학력, 직위 따른 직무스트레스, PITR 스트레스, PITR 대처능력에 따른 반응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빗속의 그림 반응특성에서 세부영역 중 스트레스 영역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위군과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하위군에 따라 ‘많은 비’ 항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직무스트레스 결과의 하위군이 상위군보다 ‘많은 비’ 항목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림에서 비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짐을 보여주었다. 셋째,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중 세부영역인 대처자원에서는 대처능력점수, 자원점수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 중 대처자원 세부영역에서는 우산이 있음, 우산을 들고 있음, 보호 장비가 이상 없음, 얼굴의 미소, 신체일부가 빠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 외에도,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평균값은 97.683으로 매우 높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이종목, 2008)을 확인 할 수 있었음에 의의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수준에도 불구하고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에서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그림 표현에 유의미한 차이 없는 것에 대한 결과는 투사적 그림검사의 한계점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수의사를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기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좀 더 개별적인 변인을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평균적으로 높은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자기보고식 검사지의 제한점을 투사적 그림검사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를 통해 드러나는 ‘많은 비’나 ‘대처자원’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려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임상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