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실 내 그렐린 투여가 알츠하이머를 유발시킨 백서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강선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노인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의 유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노인에 접어든 성인들에게도 발병되고 있다. 외국 식생활의 도입과 경제발달로 인한 간편한 식사를 추구하게 되면서 고 열량식, 영양 불균형의 식사로 인하여 당뇨병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매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전적으로 발병되며 β-amyloid 축적으로 인해 발병된다는 설이 있다. 종류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혈관성 치매, 파킨슨 병, 헌팅톤 병, 크루츠펠트-제이야콥 병 등이 있다. 당뇨병의 원인 또한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유전적으로 발병되며, 과다한 당 섭취로 인슐린이 지속적으로 분비되면서 체내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발병되며, 호르몬 분비 이상이나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렐린(Ghrelin)은 성장호르몬 분비 type 1A가 1996년에 발견되면서 1999년도에 발견되었다. 주로 위에서 분비되는 위장 호르몬으로 식욕 증진,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위산 분비 자극, 위 운동 자극, 탄수화물 대사 및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습 및 기억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졌다. 그렐린이 해마에 작용하여 가지돌기 시냅스의 형성을 촉진시켜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그렐린이 췌장에서 인슐린의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β-amyloid를 intracerebroventricular(ICV)로 뇌의 lateral ventricle에 주입하여 Alzheimer’s disease(AD)를 유발시킨 백서에게 뇌로 주입시킨 그렐린이 인지능력과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β-amyloid를 ICV하여 Alzheimer’s disease를 유발시킨 백서에게 뇌로 주입시킨 그렐린은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고 당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체중과 체지방은 증가시키는 반면 간 glycogen 저장량과 triglycerides 저장량은 낮추었다.

      • 각질형성세포에서 DNCB,LPS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재 및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 및 기전 연구

        조송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skin inflammatory disease that acts as a mental and physical stress such as itching, redness, obstruction of sleep, and taseonization. The cause of atopic dermatitis has yet to be determined. It has a high incidence rate of about 15-20% in childhood, with 1-3% in adults, and an increasing prevalence rate of 8 to 30% worldwide. It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and families, and direct and indirect medical costs also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Atopic dermatitis is a disease that develops beyond extreme stress, food allergies, skin irritation, abnormalities in immune function, and genetic factors, so it is important to block and avoid antigen that becomes a starting substance. Treatments for atopic dermatitis include oral antihistamine, H2 antagonists, local steroids, tar therapy, and immunosuppressants. However, many treatments are known to have high rates of side effects and recurrence after treatment is stoppe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se and follow the doctor's instructions. Due to these problems, studies of herbal medicines and extracts with low side effects and inflammatory inhibition are required. TLR4 signaling, associated with the secretion of infectious cytokines, is a membrane protein that, when activated due to LPS, inflammatory cytokines, leads to the activation of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NF-kB and the activation of the signaling below, leading to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HaCaT cell, a human skin keratin cell owner,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ell survival rate of each herbal drug and extract,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qRT-PCR, ELISA, and western blots for inflammatory inhibition. The study was th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the signaling protein by processing the signal transporter in TLR4 signaling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s a result of cell survival measurements, Vitex rotundifolia L. E, and blackcurrant showed high survival rates in the DNCB induction experiment, and in the LPS induction experiment, Vitex rotundifolia L. E, Pueraria lobata flower (ethanol extract), and bimolecules showed high survival rates. Each herbal medicine and extract increased their survival rate by concentration, and in addition, the cell survival rate by concentration, excluding inflammatory derivatives, was measured to be toxic by concentration and subsequent experimental concentration was selected. Subsequ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20ug/ml and 50ug/ml, with compounds with lower cell survival rates than 50ug/ml. In the total flavonoid experiment, the contents were high in order of Rubus coreanus> Pueraria lobata flower E (ethanol extract) > Mokdanpip> blackcurrant in order of the total phenol experiment in order of Mokdanpi> Pueraria lobata flower E (ethanol extract)> > Vitex rotundifolia L. E > Vitex rotundifolia L. E (ethanol extract) > Rubus coreanus >blackcurran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ppressing inflammation, we conducted qRT-PCR of 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out the DNCB induction experiment and LPS experiment, each compound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especially DNCB as a Vitex rotundifolia L. and E as a galized LPS as a whole. In the ELISA experiment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IL-6 secreted out of the cell, both concentration-dependent DNCB induction (Vitex rotundifolia L. = Pueraria lobata flower(ethanol extract) > blackcurrant) and LPS induction (Mokdanpipi > Vitex rotundifolia L. E(ethanol extract)> Rubus coreanus) experiments were reduced. The decline was the greatest among the Vitex rotundifolia L, Pueraria lobata flower E, and Mokdanpi The mRNA expression of TRL4, IKK-α and JNK was compared with the mRNA expression of each protein after the inhibitor indu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inflammatory indicator reduction of each compound was due to the inhibition of the TRL4 signaling. As a result, in DNCB induction experiments, it is assumed that the Vitex rotundifolia L. and the Pueraria lobata flower E inhibits the expression of IKK-α in LPS induction experiments. It is believed to reduce the amount of inflammatory cytokine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KK-α and show the effect of suppressing inflammation.’ We conducted a western blots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IKK-α with the amount of IKK protein actually synthesized. In DNCB-induction experiments, the amount of protein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and P-IKK also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LPS-induction experiments, the amount of protein decreased significantly and in concentration dependence on the Vitex rotundifolia L. E (ethanol extract), the Pueraria lobata flower (ethanol extract), and the blackcurrant. In conclusion, it is assumed that in DNCB induction, the Vitex rotundifolia L. and Pueraria lobata flower E exhibit an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IKK-α. During lps induction, it is believed that the Vitex rotundifolia L. E(ethanol extract) and the Mokdanpi bimolecules show an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IKK-α.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인 피부 염증 질환으로 가려움증, 발적, 수면방해, 태선화 등 정신적, 신체적으로 큰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소아기에 약 15~20%의 높은 발병율을 보이며 성인은 1~3%으로 전세계적으로 8~30% 정도의 유병율을 보이며 점점 증가하고 있다. 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직간접적인 의료 비용 또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극도의 스트레스, 식품 알레르기, 피부자극, 면역기능의 이상 및 유전적인 요인 이상으로 발병하는 질환이므로 시발물질이 되는 항원 차단 및 회피가 중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제로는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H2 길항제, 국소용 스테로이드, 타르요법, 면역조절제 등이 있다. 하지만, 상당수 치료제들은 부작용과 치료 중지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부작용은 적고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한약재 및 추출물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에 연관되어 있는 TLR4 signaling은 세포막 단백질로 LPS,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으로 인해 활성화되면 세포내 신호 전달경로인 NF-kB 활성화와 이하 신호전달의 활성화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으로 이어지며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킨다. 본 연구는 인간 피부 각질 세포주인 HaCaT cell을 이용하여 각 한약재와 추출물들의 세포생존율, Total phenol, Total flavonoide, qRT-PCR, ELISA, western blots 등의 실험을 통해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그 후 염증과 관련 있는 TLR4 signaling의 신호전달물질 inhibitor을 처리하여 어떤 신호전달 단백질의 억제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DNCB처리 실험에서는 만형자, 갈화E, 블랙커런트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LPS처리 실험에서는 만형자E, 목단피, 복분자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 한약재와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했으며 추가로 염증 유도물질을 제외한 농도별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농도별로 독성을 나타는 지와 이후 실험 농도를 선택하였다. 50ug/ml이상에서 세포생존율이 떨어지는 compound가 있어 이후 실험은 20ug/ml과 50ug/ml으로 진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실험에서 복분자>만형자E>갈화E>목단피>블랙커런트 순으로 총 페놀 실험에서 목단피>갈화E>만형자E>복분자>블랙커런트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염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염증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의 qRT-PCR을 진행하였다. DNCB처리 실험과 LPS실험 전체적으로 각 compound들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DNCB는 만형자, 갈화E가 LPS는 목단피가 감소량이 대폭컸다. 세포외로 분비되는 IL-6의 분비량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ELISA실험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DNCB처리(만형자=갈화E>블랙커런트) 실험과 LPS처리(목단피>만형자E>복분자)실험 모두 감 소하였다. 감소폭은 만형자, 갈화E, 목단피가 가장 컸다. 각 compound들의 염증지표 감소가 염증 관련 신호전달인 TRL4 signaling 중 어떤 단백질의 억제로 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TRL4, IKK-α, JNK의 mRNA 발현량과 각 단백질의 inhibitor 처리 후 mRNA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DNCB 처리실험에서는 만형자, 갈화E가 LPS 처리실험에서는 목단피가 IKK-α의 발현량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IKK-α의 발현량 억제 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IKK-α의 발현량과 실제로 합성되는 IKK 단백질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western blots을 진행하였다. DNCB 처리한 실험에서 만형자, 갈화E가 유의적으로 단백질양이 Control 대비 감소하였으며 P-IKK 또한 만형자와 갈화E가 control 대비 감소하였다. LPS 처리한 실험에서 만형자E, 목단피, 블랙커런트 모두 유의적으로 단백질양이 control 대비 감소하였으며 P-IKK 또한 만형자E, 목단피, 블랙커런트 모두 유의적, 농도의존적으로 control 대비 단백질양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DNCB 처리시 만형자, 갈화E가 IKK-α의 억제를 통해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LPS 처리시 만형자E, 목단피. 복분자가 IKK-α의 억제를 통해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신경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천연물 탐색과 치매유발 백서에서 기억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연구

        김다솔 호서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제적으로 고령화 사회는 빠르게 진행되었고 평균수명의 증가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2014년 65세 이상의 노인인구수는 총 인구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4) 노인의 질병으로 알려진 치매의 경우 국내 치매 환자는 2016년 기준 68만 여명으로 노인 인구의 약 10%로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판정을 받았으며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 환자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치매 유병율이 더 높은 수치를 보이며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는 혈관성 치매와 기타 치매 원인에 비하여 60%가 넘는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중앙치매센터, 치매유병현황(2018) (Table. 1)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의 2013년 World Alzheimer’s report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는 4,435만 명으로 추산되었으며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아시아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하여 많은 치매환자수와 유병율을 갖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높은 증가 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Alzhehimer’s disease international, World Alzhehimer report (2013) 국내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 통계청에 의한 치매 유병율 조사에서 17년마다 약 2배의 치매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여 2050년에는 노인의 치매 유병율이 약 15%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하였다. 또한 중년 치매 환자 즉 65세 이전에 발생하는 ‘초로기 치매 혹은 조발성 치매’ 환자는 최근 5년 새 20% 증가하였으며, 이는 치매가 더는 노년기의 문제가 아님을 나타내었다. 통계청, 치매유병율조사 (2012) 알츠하이머 치매는 65세 이상의 노인성 치매 환자의 60% 이상과 65세 이전의 초로기 치매 환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낸다. 다양한 연령층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 식품이 등장하고 있다. PC12 cell에서 β-amyloid를 이용하여 세포 사멸 (apoptosis)을 유발하여 세포 사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세포의 세포 사멸 예방 효과가 뛰어난 천연물을 선별하여 알츠하이머 유발 백서에게 제공하여 각 약재의 알츠하이머 예방 및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 보고자 한다.

      • 성인여성들의 비만인식분류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비만관리행동에 관한 연구-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최현정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성인여성들의 비만인식분류(건강신념모델)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비만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획일화된 비만관리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개인의 건강신념을 통하여 각 개인의 성향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효율적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비만관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형성하여 스스로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며, 나아가 성인여성의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8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신뢰도가 낮거나 응답이 완전하지 않은 28부를 제외하고 472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분석을 통해 비만상태인식에 따라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4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유무와 직업 및 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비만상태인식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긴장스트레스 항목의 ‘몸이 떨린다.’, 우울스트레스 항목의 ‘나는 아무 쓸모가 없는 사람이다.’의 문항에서 각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분노스트레스 항목의 ‘한가지 생각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목소리가 커졌다.’, ‘누군가를 미워한다.’, 우울스트레스 항목의 ‘의욕이 떨어졌다.’, ‘멍하게 있다.’의 문항에서 역시 각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만상태인식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있어 분석한 결과,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차이에 있어 ‘나는 긍정적인 생각을 한다.’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나는 자신을 존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항목에서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비만상태인식에 따른 비만관리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이요법 항목의 ‘다이어트 식품을 섭취한다.’, ‘원푸드 다이어트, 덴마크식 다이어트, 스즈끼식 다이어트 등을 한다.’ 문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운동요법 항목에서 ‘수영과 아쿠아로빅처럼 물속에서 하는 운동을 한다.’ 문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약물요법 항목은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행동수정요법의 항목의 ‘스트레스가 생기면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해소하지 않는다.’ 문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타 항목의 모든 문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비만상태인식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비만관리행동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상태인식과 스트레스 반응척도 간 상관관계에서 지각된 민감성 집단은 분노, 좌절, 긴장, 공격성스트레스에서 상관성을 나타냈다. 지각된 심각성 집단에서는 분노, 피로, 긴장스트레스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지각된 유익성 집단은 피로, 분노스트레스에서 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지각된 장애성 집단에서는 우울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관관계가 보였다. 비만상태인식과 자아존중감 반응척도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지각된 유익성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비만상태인식과 비만관리행동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지각된 민감성 집단은 식이요법, 행동수정요법 및 기타 항목에서 상관성을 보였으며, 지각된 심각성 집단과 지각된 장애성 집단은 약물요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지각된 유익성 집단은 기타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각 집단별 비만상태인식에 따라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비만관리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비만상태인식에 따른 세부적인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비만관리행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효율적인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stress, self-esteem, and obesity management behavior are different depending on female adults’ perceived obesity classification (health belief model). By doing so, we intend to provide an effective obesity management program that moves beyond conventional inflexible programs and specifically identifies each individual’s tendencies from her health belief, help to establish the right awareness about obesity management and manage health on her own, and ultimately provide a basic reference to an obesi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female adults. For subjects and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8, 2018 to June 12, 2018 on female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who lived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excluding 28 copies, which had low reliability or incomplete responses, out of 500 copie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we used 472 for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subjects were divided based on their perceived obesity into four groups for an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Second, the analysis of stress depending on perceived obesity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groups in ‘My body is shaking’ under the tension stress item and ‘I am not worth anything’ under the depression stress item.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groups in ‘I cannot escape from one thought,’ ‘my voice gets louder,’ and ‘I hate someone’ under the anger stress item and ‘I am less motivated,’ and ‘I am blanking’ under the depression item. Third, self-esteem depending on perceived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self-esteem for all questions except for ‘I am thinking positively.’ Meanwhile, negative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groups only in ‘I wish I can respect myself.’ Fourth, the analysis of obesity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perceived obesit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I eat diet food,’ and ‘I am on a one food, Danish or Suzuki diet.’ In additio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 work out underwater like swimming or water aerobics’ under the exercise therapy ite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s under the drug therapy item.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groups in ‘I do not release stress by eating food.’ under the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item, and the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s in the others item. Fifth,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a correlation between stress, self-esteem and obesity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perceived obesity: In a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obesity and the stress reaction scale,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group showed a correlation with anger, frustration, tension, and aggression stress. The perceived severity group had a correlation with anger, fatigue, and tension stress. The perceived benefits group showed a correlation with fatigue and anger stress, and the perceived barriers group had a correlation with all other items than depression stress. When it came to a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obesity and the self-esteem reaction scale, all the groups except for the perceived benefits one had a correlation with negative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in regards to a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obesity and obesity management behavior,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showed a correlation with dietary therapy,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and others, and the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arriers groups showed a correlation with all items except for drug therapy. The perceived benefits had a correlation with all items except for the others item. From these results described above, we were able to identify a difference in stress, self-esteem, and obesity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each group’s perceived obesity. Hence, more diverse and efficient obesity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to identify an individual’s specific tendency based on her perceived obesity and help to carry out the right obesity management behavior.

      •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현주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분석과 이들 관계에서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서비스산업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 및 5대 광역시와 경상북도에서 뷰티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 뷰티산업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28.0, AMOS 26, SPSS Macro 28.0을 이용 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일가정갈등의 관계에서 일향유는 WFC(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일몰입과 일강박은 FWC(가정직장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일강박과 일향유는 가치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일몰입과 일강박은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일몰입과 일향유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FWC(가정직장갈등)는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WFC(직장가정갈등)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중독과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몰입, 일강박, 일향유와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의 완화를 위해 근무환경 처우 개선 및 유연한 조직문화의 구축, 전문적인 교육의 확장 및 기회를 제공,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의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이 최적의 근무환경에서 즐겁고 여유롭게 일하며, 일가 가정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시켜 조직몰입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aise the efficiency of beauty service industry management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ing the mediator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research investigated 400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five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sed SPSS 28.0, AMOS 26, and SPSS Macro 28.0 for the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work-family conflict,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FC,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W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ner drive to work, and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mmitment,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quality of life, work involvement and work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hom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W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WF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ixth, it was analyzed that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Combining the results above,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wa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involvement, inner drive to work, work enjoy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It is to present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expansion, and provi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opportunity,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quality standardization to alleviate the work-family conflict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their optimum working environment pleasantly and comfortably and aim for an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by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work-family.

      • SNS 정보수용태도가 미용학원 선택과 재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귀분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급속히 발달하는 미디어 사회에 상의 정보교류 범위가 확산되면서 미용산 SNS 업 분야 마케팅 전략도 를 통한 소통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정보활용 능 SNS , SNS 력이 미용학원생들에게는 정보수용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용산업에 . 종사하는 인력의 수요가 급증함에 있어 전문 인력 양성 배출하는 미용학원 수요와 , 공급 역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학원 수강생들이 정보수용태도에 따라 미용학원 선택 SNS 과 재수강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미용학원 경영에 효율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은 대구 경북지역에서 미용학원을 이용한 학원생들을 연 , 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 2019 5 1 2019 7 9 실시하였고 조사방법은 미용학원을 다니는 학원생 다녔던 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 총 부를 배포하여 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하거나 누락 440 420 . 된 응답자 명을 제외하고 총 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를 사용하였다 22 398 . 이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수용태도에 대한 요인 분류를 통해 정보수용 정보공유 정보확산 가 , , , 3 지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집단분류를 위한 군집분석 결과 공감적 정보수용형 노 , , 출적 정보공유형 지속적 정보확산형 가지 군집으로 명명하였다 , 3 . 둘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 SNS SNS , 빈번하게 접하는 구전정보 경로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미용학원 선택에 대한 사용실 , SNS SNS 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를 통한 미용학원 정보수집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 , SNS 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미용학원 정보검색 시 가 미치는 영 , SNS SNS 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의 영향이 많은 것으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SNS . - ii 다섯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미용학원 이벤트 및 활동에 대해 , SNS SNS 조사한 결과 공개적인 활동에 참가하지 않음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집단별 , SNS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가 미용학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 SNS SNS 대해 조사한 결과 학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 학원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 학원에 , , , 대한 정보신뢰 학원선택에 대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 으며 학원 선택에 도움 학원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학원정보에 대한 종류의 다양 , , 성 모든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집단별 사용목적 이유에 대해 조 , SNS SNS 사한 결과 이벤트 등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 뉴스 등 정보를 접하기 위해 사용 각 집단 , , 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만족을 위해 사용 시간을 때우기 위해 사용 습관적 , , 사용 지인과 인맥을 위해 사용의 모든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 여덟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컨텐츠 선호도 패턴에 대해 조사 , SNS SNS 한 결과 나에게 필요한 정보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컨텐츠에 , 대한 재미 친한 지인의 또는 선호하는 종류 공익적 또는 널리 퍼져야 할 내 , SNS SNS , 용에 대한 선호도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홉째 각 집단별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미용학원 재수강의도에 대해 조사한 결 , SNS 과 모든 문항에서 각 집단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보수용태도에 따라 미용학원 선택과 재수강의도 SNS 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정보수용태도에 따른 미용학원 선택 및 재수강 SNS 의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차후 미용학원생과 미용학원 경영에 효율적인 기초자료 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정보수용태도 공감적 정보수용 노출적 정보공유 지속적 정보확산 미 [ ] SNS , , , , 용학원 선택

      • 갱년기와 만성스트레스 및 우울증이 유발된 백서에게 산수유와 생강이 미치는 영향

        이나라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f the ovarian function is interrupted due to a decline in ovarian function and menstruation for no longer than 12 months, this is called menopause. It usually occurs at the age of 40 to 60, and when menopause arrives,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ecomes unstable and causes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to increase, accompanied by menopause syndrome. Symptoms of menopausal syndrome include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mental atrophy ; physical symptoms include back pain, muscle pain, joint pain, red heat, weight gain, and osteoporosis. When menopause syndrome comes with stress and depression, which is when the balance of the body's organs and homeostasis are destroyed, during which various organ stress is sustained by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o make them brittle. There are various kinds of stress, including chronic stress stimulat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creating a state of depression, anxiety, anxiety,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causes sleeping difficulties and mood disorders. This is caused by the central nervous system's stimul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cortisol. Depression is an emotional change, the cause of depression is still unclear : it is an emotional disorder that expresses anxiety, depression, helplessness, and vacuousness.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e and stress is reported to be that post-menopausal women are more likely to become depressed than normal women, with the lack of ovarian function leading to increased rates of stress and depression. A lack of stress response increases the risk of depression. The drugs used in this study are cornus officinalis and ginger. Cornus is used for treatment purposes such as polyuria, cancer, antibiotics, back pain, blood pressure drop, and antioxidant effects are reported, and ginger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preventing gastric glands. The experiment used Female 8-week-old SD-Rat to remove the ovary to create a menopausal model. Two weeks after menopause, chronic stress (CMS) was induced. Chronic stress initi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Chronic mild Stress (CMS) model, using some of the experimental methods proposed by Willner (1984), and using the CMS, the first two weeks of an oral administratio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menopause and stress rat were slow in weight gain, with decreased preference for glucose solutions, increased forced swim free time, decreased cognitive ability, and decreased blood triglycerides, GOT, and cortisol levels. Groups that injected ginger and Cornus into the menopause and stress rat reduced their preference for sucrose solutions, decreased forced swim free time, increased cognitive ability, decreased blood triglycerides, GOT, and cortisol content. Thus, compared to mice that caused menopause, their ability to fight off stress and depression was not as strong a result of their ability to protect themselves from menopause, whereas ginger and cornelian groups were more prone to stress than mice that did not. There are many studies on ginger and cornicle, but studies on stress and depression are insufficient, and if the study is carried out actively, symptoms may be mitigated by depression and stress disorder. 난소기능이 저하로 인해 중단이 되고 월경이 12개월 이상 안하게 되는 경우를 폐경이라고 한다. 주로 40 – 60세에 발생을 하는데 폐경이 오게 되면 자율 신경계의 불안정에 의해 난포 자극 호르몬이 증가하면서 폐경기 증후군을 동반하게 된다. 폐경기 증후군의 정신적 증상으로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 정신적 위축이 오며, 신체적 증상으로는 요통, 근육통, 관절통, 홍조, 열감, 체중증가, 골다공증 등이 온다. 폐경기 증후군이 오게 되면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동반 하게 되는데, 스트레스는 몸의 기관의 균형과 항상성의 균형이 파괴되었을 때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는 동안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기관에서 부적응 반응이 활성화가 된다. 스트레스의 종류는 다양한데, 그중 만성 스트레스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우울, 걱정, 불안, 심리적 불안정한 상태를 만들며,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 각종 심리적인 장애를 유발한다. 이는 중추신경계가 자극이 되면 이 중추 신경계가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증가가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이다. 우울증은 정서적인 기분변화로, 근심, 침울함, 무력감, 무가치 감을 나타내는 정서장애로 아직까지도 우울증에 대한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폐경과 스트레스 와 우울증의 상관관계는 폐경기 여성이 일반인 여성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는데, 이는 난소기능의 저하로 여러 가지 질병과 우울빈도가 높아지며, 스트레스 대처반응이 부족하다. 스트레스 대처반응이 부족하게 되면 우울증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이 연구에서 쓴 약물은 산수유와 생강이다. 산수유는 다뇨증, 항암, 항균, 요통, 혈압강하 등 치료의 목적으로 쓰이며, 산화스트레스,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가 되어있으며, 생강의 경우 폐나 위의 경락작용을 하며, 소화력이 증진되고 위액 분비 및 혈액순환 촉진에 도움이 되며, 산화, 고지혈 예방 및 항암효과, 항균의 효과 등 보고가 되어있다. 실험 과정은 폐경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Female 8week SD- Rat을 사용하여 난소제거를 한 뒤 폐경기 모델을 만들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폐경기 유발 2주 후 만성스트레스 (CMS)를 유발시켰다. 만성스트레스 유발은 Chronic mild stress(CMS)모델을 기반으로 Willner(1984)가 제안한 실험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처음 2주간 CMS를 적용하고, 그 후 3주간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로 약물 섭취와 함께 CMS를 유발시켰다. 실험 3주차 5주차 7주차 강제수영과 Plantar Test, 자당용액 섭취 검사를 통해 스트레스와 우울증의 유발 정도를 확인 하였으며, 6주차 때 Y- Maze를 통하여 인지능력검사를 하였으며, 7주차 때 경구 당 부하검사(OGTT)와 인슐린 저항성 검사(ITT)를 검사하였다. 실험 종료 후 생화학 측정을 위하여 혈청과 간을 보관하였고(-70℃) 혈청 생화학 검사로는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 HDL – cholesterol, cortisol을 간 생화학 검사는 Glycogen, triglyceride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폐경기가 유발되고 스트레스 및 우울증이 백서에게 오면 체중증가량이 느렸으며, 자당용액 선호도 감소, 강제수영 부동시간 증가, 인지능력 감소, 혈중 triglycerides, GOT, Cortisol 함량 증가, HDL- cholesterol감소, 간 내 triglycerides 함량 증가, glycogen 저장량 증가를 보였고, 폐경기가 유발되고 스트레스가 올 때 생강추출물과 산수유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은 자당용액 선호도 감소, 강제수영 부동시간 감소, 인지능력 증가, 혈중 triglycerides, GOT, Cortisol 함량 감소, HDL- cholesterol증가 간 내 triglycerides 함량 감소, glycogen 저장량 감소시켰다. 따라서 폐경기를 유발시킨 백서가 폐경기를 유발하지 않은 백서보다 스트레스 및 우울증에 대한 방어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생강 추출물과 산수유 추출물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를 받은 군에 비해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보아 산수유추출물과 생강 추출물은 우울행동 개선 및 스트레스에 방어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강과 산수유의 관한 연구는 많이 되어있으나,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미흡하기 실정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우울증 및 스트레스 환자에 증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체외 배양에서 다양한 식이섬유소가 장내미생물 조성 및 단쇄지방산 합성과 백서에서 관절염 완화에 미치는 영향

        오현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problem of population aging has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The problems brought about by aging are not only the shortage of labor but also a serious burden on the medical system of the whole society. As ages grow older, many older diseases threaten the health of older people. Among them, OA is a disease with the most pain in the elderly. At present, the treatment of OA is limited to both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However, the most widely use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ot only have certain side effects but if taken in excess, the intestinal flora balance will be destroyed and the intestines will be caused, the barrier effect is weakened and the systemic inflammation is aggravated. Therefore,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on reducing inflammation and symptoms of OA by taking dietary fiber and through the intestinal flora. In this study, the in vitro culture of dietary fiber intestinal microbes were used to detect the amount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 production and intestinal to bacterial structure changes and then screened. According to the dietary fiber classification standard, a water-soluble dietary fiber (citrus pectin) and insoluble dietary fiber (cellulose) were selected. Two dietary fibers were additionally selected, containing dietary fiber of N (chitosan) and S (kappa-carrageenan). Chondroitin sulfat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and then anim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animal experiment, 14-week SD-RAT was used for OVX surgery for menopause induction. Then, in the 8th week of the experiment, monosodium iodoacetate (MIA)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right foot joint for degenerative OA induction. Animal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six aspects: joint evaluation, body weight, blood glucose, body temperature, biochemistry, and body composition. The joint evaluation has strength measurement, walking shape evaluation, walking speed evaluation, hematoxylin & eosin joint surface damage evaluation, safranin O & fast green stain joint spacing and cartilage thickness evaluation. Blood glucose experiments hav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nd IPITT. Biochemical experiments were serum TG, TC, HDL, osteocalcin and liver TC, glycogen and IL-1β inflammatory factors. The body weight experiments have food intake and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Body temperature experiments have body surface temperature, anal body temperature, and body surface anal body temperature difference. Body compos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DEXA and tissue weighing. In vitro culture studies of dietary fiber microorganisms showed that chitosan had the highest total SCFA conten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butyric acid. (P<0.05) In addition, the total SCFA content of chondroitin sulfate and citrus pectin was 2nd and 3rd,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P<0.05) In the intestinal flora analysis, the proportion of Proteobacteria in all experimental groups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ctinomycetes in the citrus pectin group. (P<0.05) In animal experiments, in terms of body weight, the chitosan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ood efficiency. (P<0.05) In terms of blood sugar, citrus pectin has maintained high glucose tolerance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P<0.05) In terms of body temperature, the chitosan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receiving chondroitin sulfat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temperature difference. (P<0.05) In terms of biochemistry,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erum osteocalcin test, chitosan and citrus pectin had a lower tendency than other groups. The determination of the joint inflammatory factor IL-1β,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hitosan and citrus pectin tend to lower IL-1β levels relative to other groups. (P>0.05) In terms of biochemistry,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erum osteocalcin test, chitosan and citrus pectin had a lower tendency than other groups. (P>0.05) In the body composition experiment, the positive control group taking chondroitin sulfa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fallopian tube weight and the chitosa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fat weight. (P<0.05) In terms of joint evaluation, the kappa-carrageenan group has a higher joint spacing. At the same time, chitosan and kappa-carrageena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aking chondroitin sulfate had higher right leg strength. (P<0.05) In the in vitro dietary fiber intestinal flora culture, high SCFA production of chitosan, chondroitin sulfate, and citrus pectin have excellent potential to become prebiotics. Among them, in animal experiments, chitosan has outstanding effects in weight loss and chondroitin sulfate has a significant effect in alleviating female menopausal symptoms. Citrus pectin has a palliative effect on the rise in blood glucose during menopause. Chitosan, chondroitin sulfate, citrus pectin have certain effects on different symptoms in the relief of OA symptoms. Kappa-carrageenan has a certain effect on improving joint spacing.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dietary fiber has a good effect on regulating OA and menopausal symptoms. It has pointed out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treatment of OA.

      •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항노화 관리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

        김현지 경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건강한 삶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노화 산업이 급부상하는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항노화 관련 산업들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피부관리 또한 항노화 산업의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어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피부노화인식, 항노화 인식, 피부관리실의 항노화 관리실태 및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여 항노화 관리의 중요성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피부노화의 개념과 본인의 피부노화를 잘 인식하는 집단이 항노화에 대해 관심이 높으며, 전문피부관리의 필요성 역시 높은 수준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전문피부관리실은 고객들에게 피부노화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함께 피부관리실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피부 항노화 관리프로그램의 개발과 차별화된 전문성을 부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level of women who frequent skin care clinics in skin aging, anti-aging treatments, how the clinics are run, and their level of stress in receiving services. Also, the study is to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anti-aging skin treatment programs while helping the skin care workers to be more professional, by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ir existing anti-aging programs. 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groups with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on skin aging and their own skin condition have more interests in anti-aging and have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skin care treat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systematic and effective anti-aging treatment programs based on various customer’s needs and enhancing the expertise level of skin care specialists.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박숙향 경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함께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기대와 욕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피부미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피부미용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이 매우 구체적이고 다양하여 개인의 뷰티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복잡하다. 따라서 피부관리의 관심도와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소비자들의 뷰티 관리실태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해 뷰티관련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파악을 통해 피부관리실 이용시 차이점과 만족도 등을 연구하여 보다 구체적인 피부관리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일반 피부관리실과 메디컬 피부관리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남 ․ 여 440명에게 2017년 5월 15일부터 2017년 6월 5일까지 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피부관리실과 메디컬 피부관리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남 ․ 여 440명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45부를 제외한 395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건강지형형, 유행지향형, 사교지향형, 경제지향형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 하였으며, 집단분류를 위해 군집분석을 한 결과 합리적 건강추구형, 과시적 유행추구형, 적극적 관계지향형, 사회적 경제지향형군집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 차이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피부관리실의 이용실태에 있어 피부문제인식 및 피부관심도의 항목에서 군집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관리실 이용횟수 및 매월관리비용의 경우 각 군집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리기간에 대해서도 군집별 차이를 보였다. 화장품 구매동기에 항목 역시 군집별 차이를 보였다. 셋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각 군집별 피부관리실 이용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리 중 서비스 정보제공, 충분한 지식과 정보제공, 재방문할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 ․ 권유 항목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리비용 및 관리시간의 적절성, 시술 후의 관리조언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DM 등의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및 좋은 위생상태 항목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각 군집별 피부문제인식에 따라 피부관리실 이용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피부관리실 이용이유 및 피부관리방법에 대한 정보경로에서 각 군집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피부관리 만족도 역시 군집 간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각 군집별 피부문제인식에 따라 피부관리실 이용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과시적 유행추구형 군집에서 관리 후 피부상태 호전 및 DM등의 지속적인 서비스제공 문항에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 관계지향형 군집의 경우 고객의 피부상태 파악, 피부상태에 맞는 프로그램 추천 및 관리 중 서비스 정보제공의 문항에서 응답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관리시간의 적절성, 충분한 지식과 정보제공 및 DM등의 지속적인 서비스제공에 대한 문항 역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경제지향형 군집의 경우 직원들의 우수한 테크닉 및 충분한 지식과 정보 제공 문항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건강추구형 군집에서는 관리사들의 청결상태 및 질 좋은 서비스 문항에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각 군집별 피부관리실 이용 및 피부관리 만족도 역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피부문제인식에 대한 군집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객이 유형을 파악하여 고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피부관리실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이 그들의 피부관리 선택과 이용에 어떤 영향을 있는지를 살펴보고 뷰티산업에 있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유형들을 인식하고 변화를 예측하여 뷰티 관련 산업에 마케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키워드] 라이프스타일유형, 피부관리실 이용실태, 피부관리실 이용만족도, 피부문제인식 피부관리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