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 감각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최재희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수와 계산을 망라한 수 감각을 신장시키기 위한 초등학교 3학년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용률(2010)의 수 감각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 감각을 신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률(2010)이 제시한 수 감각 요소를 내용 요소로, 그리고 최지선과 박교식(2009)이 제시한 수 감각 요소를 하위 요소로 삼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수 감각 요소를 재배열하여, 각 하위 요소에 포함되는 수 감각 요소를 추출하였다. 각 프로그램에서는 수 감각의 내용 요소 5가지를 중심으로, 한 차시에 수 감각의 내용 요소 하나만을 반영하였다. 1차 예비실험에서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점검하고, 2차 예비실험에서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1, 2차 예비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본 실험을 위한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5차시 16개 활동으로 구성하고, 각 활동마다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를 수 감각 분석틀에 따라서, 그리고 차시별 및 학생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수 감각 요소를 발휘하였다. 학생들은 지속적으로 수 감각을 발휘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찾으려 하였으며, 자신감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3학년 학생들의 수 감각을 신장시킬 수 있고, 또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발휘하는 수 감각 요소는 학생마다 다를 수 있고, 또 학생들은 문제 맥락에 따라 적절하게 다양한 수 감각 요소를 상호작용시켜 문제를 해결한다. 셋째, 수모형을 활용한 조작 활동과 신문을 활용한 학습, 마인드맵을 활용한 학습은 수 감각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의미있는 장면으로 구성된 문제 제시는 수 감각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다섯째, 교사가 수 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 감각의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을 지양하고, 수 감각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발문과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학생들의 수 감각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초등 수학 교육에서 양 개념의 이해 : 대상, 분수, 단위의 결합표기가 나타내는 양을 중심으로

        이승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of the concept of quantity so that students could correctly interpret the combined notations with objects, fractions, and unit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features of students' interpretation structures to the combined notations with objects, fractions, and unit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quantity? (Research problem 2) How do they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our country and in other countri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quantity? (Research problem 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quantity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1, the actual status of interpretations of the combined notations of 120 fourth grade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ome of them are also interviewe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2, in terms of consciousness of quantity, expressions of quantity, structures of quantity, and operations of quantity, what influenc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quantity in our textbooks was looked up. In addition,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Singapore, Japan, Finland and Hong Kong were analyzed to find example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quantit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3, Thre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have been set up and teaching-learning method has been created. The eight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one-on-on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interpretation structures were found out. In interpretation structure ①, fractions act on unit quantities. In interpretation structure ②, the fraction acts on the objects. In interpretation structure ③, units are combined with the denominators and the numerators respectively, and that combinations were considered as the amount of numerators to the amount of denominators. Interpretation structure ① appeared at a very low rate of less than 10%. It seemed possible to use interpretation structure ① when the perception of unit quantities and the conceptual (quantitative) operation were possible. ② was mainly shown when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that fractions represent the equal division of the concrete objects. Interpretation structure ③ was mainly shown when there was a strong perception that denominators and numerators should be viewed separately. As such, each interpretation structures are manifested by forming the meaning from the result of the selective projection of mental objects by element of the combined notation. And we foun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sciousness of quantity, expressions of quantity, structures of quantity, and operations of quantity needed to be complemented.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ciousness of quantity, the scene of being conscious of the continuous quantity in our country’s textbooks and of using material of continuous quantity are not well illust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expressions of quantity, in our country’s textbooks, translations of expressions from the concrete level into abstract level are much, but its inverse translations are less. And it was not being made meaningful in the use of measure-fra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es of quantity, in our country’s textbooks, there was a lack of activities to recognize the capacities and the weights. And it turns out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measurement centered on units is weak. From the perspective of operations of quantity, in our country’s textbooks, the number calculation, and the formulation of the calculation principles of compound denominative numbers were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examples for reference regarding consciousness of quantity, expressions of quantity, structures of quantity, and operations of quantity could be found out in other countries’ textbooks. Third, a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quantity, ‘building up mental objects of unit quantity(P1)’, ‘operations and calculations of various quantities based on the situation(P2)’, and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of numbers + units(P3)’ have been set up. As results of conducting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P1 enabled students to recognize the fixedness and the conservation of unit quantities, and to present the properties and sizes that the unit points to in a more distinct sense.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P2 enabled students to use the unit quantities and to identify the rever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equi-partition and the composition of unit quantities by actually implementing to partition equally the unit quantities and compose the unit quantities, and the quantity could be operated using visual model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 P3 enabled students to recognize the rules and regulations inherent in the combined notation with numbers and unit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1, it can be concluded that students do not interpret the combined notation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2,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mbined notations are not dealt with systematically in our country’s textbooks, and the teaching-learning needed to be complement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qua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3,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본 연구에서는 대상-분수-단위의 결합표기의 이해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양 개념의 학습-지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음 3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대상-분수-단위의 결합표기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구조와 양 개념의 이해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양 개념의 이해를 위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 (연구 문제 3)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양 개념의 이해를 위한 학습-지도 원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4학년 학생 120명의 결합표기 해석의 실태를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 그중의 일부 학생들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양 개념의 이해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의 의식화, 양의 표현, 양의 구조, 양의 조작을 분석 관점으로 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양 개념의 이해에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또 양 개념의 이해를 위한 사례를 찾기 위하여 미국,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 홍콩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 학생들의 양 개념의 이해 양상, 국내외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학습-지도 원리를 설정하고 학습-지도 방안을 만들었다. 그리고 8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한 일대일 학습-지도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량에 분수가 작용하는 해석구조 ①, 대상에 분수가 작용하는 해석구조 ②, 분모, 분자 각각에 단위를 결합하여 그것을 분모의 양 중의 분자의 양으로 보는 해석구조 ③을 찾을 수 있었다. 해석구조 ①은 10% 미만의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단위량의 의식과 분수의 개념적(양적) 조작이 가능할 때 해석구조 ①이 나타났다. 분수가 구체물의 등분할을 나타낸다는 인식이 강할 때 주로 해석구조 ②가 나타났다. 분모와 분자를 분리해서 보아야 한다는 인식이 강할 때는 주로 해석구조 ③이 나타났다. 그리고 해석구조 ②와 해석구조 ③의 경우 모두 단위가 나타내는 양에 대한 의식이 약하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결합표기의 요소별 심상이 선택적으로 투사된 결과로부터 의미를 구성해 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의 의식화, 표기 규약, 양의 속성과 측정, 양의 조작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의 의식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연속량을 의식하도록 하거나, 연속량 소재를 사용하는 장면이 잘 드러나지 않고 있다. ‘양의 표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구체적 수준으로부터 추상적 수준의 표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 역은 적었고, 양분수의 사용이 의미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양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속성 인식을 위한 활동과 단위를 중심으로 한 측정 원리의 취급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양의 조작’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수의 계산과 복명수 계산 원리의 형식화가 강조되고 있었다. 한편 다른 나라 교과서에서 ‘양의 의식화’, ‘양의 표현’, ‘양의 구조’, ‘양의 조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양 개념의 이해를 위한 학습-지도 원리로 ‘단위량의 심상 형성(P1)’, ‘상황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양의 조작(P2)’, ‘수+단위 표기의 이해(P3)’의 3가지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원리에 따른 학습-지도를 실시한 결과, 학습-지도 원리 P1을 통해 학생들은 단위량의 고정성, 보존성 등을 인식하고 단위가 가리키는 속성과 크기를 보다 뚜렷하게 인지하며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학습-지도 원리 P2를 통해 단위량을 이용하고, 또 단위량의 등분할 및 합성을 실제로 구현해 보는 것을 통해 그 가역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시각적 모델을 이용하여 양을 조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학습-지도 원리 P3을 통해 수-단위의 결합표기에 내재한 표기 규약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 문제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결합표기의 해석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구 문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결합표기가 체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지 않으며 양 개념의 이해를 위하여 학습-지도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구 문제 3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지도 원리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초등학교 1~4학년을 중심으로

        김효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통일 이후, 있을 수 있는 남․북한 간의 격차와 이질감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는 통합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수학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비교․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탈북 초등학생들이 남한에서의 초등학교 수학교육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보충 교재를 예시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교육의 목표와 관련해서, 북한에서는 수학을 다른 공부의 기초, 자연과학의 기초,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중요한 수단, 과학기술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 이에 비해 남한의 수학과 목표에서는 수학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 수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단원명과 관련해서, 북한의 단원명이 남한의 단원명보다 많다. 또, 남한의 경우, 모든 영역이 대체로 균형있게 제시되어 있으나, 북한의 경우는 수와 연산 영역 관련 단원이 많이 제시되어 있고, 규칙성 영역에 해당하는 단원은 매우 적다. 수와 연산 영역의 경우, 북한이 남한보다 대체로 더 빠른 시기에 도입하여 취급하고 있다. 자연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경우, 북한에서는 같은 형태의 계산 방법을 사용하는 문제를 모아서 취급하고 있으나, 남한에서는 같은 자리 수로 이루어진 형태의 문제를 모아서 취급하고 있다. 도형 영역의 경우, 평면도형의 성질과 관련해서 남한은 구체적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도형의 성질을 찾아낼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으나, 북한은 도형의 성질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측정 영역의 경우, 남한에서는 직접 비교와 간접 비교의 장단점을 알게 하고 임의단위의 불편함과 보편단위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 다음, 보편단위를 도입하고 있으나, 북한에서는 단위의 필요성에 대한 지도 없이 바로 단위를 도입하고 있다. 규칙성 영역의 경우, 남한은 매 학년에서 규칙성 영역을 지도하고 있으나, 북한의 1학년부터 3학년까지는 규칙성 영역을 취급하고 있지 않고, 4학년에서 처음으로 방정식을 취급하고 있다. 확률과 통계 영역의 경우, 남한에서는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을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북한에서는 그리는 순서나 방법에 대한 설명이 거의 없이 실제로 문제에 활용해 보며 그래프의 성질을 익히게 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소홀하게 취급하는 규칙성 영역에 관련하여, 탈북 학생을 위한 보충 교재를 예시적으로 개발하였다. 북한에서 취급하지 않는 부분을 추출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따라 내용 및 목표를 선정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모을 수 있는 소재로 보충 교재를 구성하였다. In order to engage with possible alienation and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for some integrated curriculum and textbooks is required in education areas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comparatively analy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illustratively develop supplementary teaching aids for hel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to adapt to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Sourth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Sourth and Nor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North Korea uses the mathematics as an important measure for studying social phenomena and bases of other subjects and the natural science or solving some problems in the science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it in South Korea emphasizes acquisitions of mathematic knowledge and skills, increase of mathematic thinking power and communication ability, enhancement of ability to solve some problems as well as developments of desirable character and attitude. The number of units is higher in North Korean than in Sourth Korea. In addition, all sections are evenly presented in South Korea, while more units related with number and operation sections and fewer ones of regularity section are presented in North Korea.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and operation sections shows that North Korea generally accommodates and treats them faster than does South Korea. For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the former collects the problems using the same form of calculations, whereas the latter does those composed of the same digit. If the geometric figure sections are compared, it is found that for the plane figure, South Korea guides the students to find the features of the figures through specific activities, while North Korea directly presents students with them. From the comparison of measurement section, it is found that while South Korea introduces the general unit after helping students to know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direct and indirect comparison and feel necessity of general unit and inconvenience of random unit, North Korea just introduces it without the instruction of the necessity of the unit. The comparison of regularity sections exhibits that South Korea instructs the regularity section in all grades, but North Korea does not engage with it from 1st to 3th grades and initially treates some equations at 4th grade.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sections are compared to show that South Korea presents some skills of graph drawing in detail and systematically, but North Korea encourages students to practically apply them to some problems and learn the features of the graphs with little explanations of order or method of drawing. On the one hand, this study illustratively develops some supplementary teaching aids for the students from North Korea, which are related with the regularity section which is roughly treated in North Korea. It also selects some contents and goal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09 revised curriculum by abstracting some parts which are not treated in North Korea and organizes the supplementary teaching aids with materials which can attract attentions and interests of learners.

      • 초등학교 1, 2학년 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 실태 조사 분석

        손수연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현재 스토리텔링을 지도하고 있는 1, 2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수업에 대해 그들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또, 스토리텔링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은 무엇인지, 스토리텔링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등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교사는 스토리텔링 수업과 수학 교과서에 있는 스토리텔링 소재를 각각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교사는 학교에서 스토리텔링 수업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가? 셋째, 교사는 스토리텔링 수업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가? 넷째, 교사는 스토리텔링 수업을 할 때 어려운 점과 그것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것은 각각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중, 소도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의 1, 2 학년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를 각각 6명씩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형식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개별 교사와의 면담이 끝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스토리텔링을 올해(2013), 지도서와 교과서를 통해 처음으로 접하였다. 스토리텔링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부족하지만, 스토리텔링을 수업에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스토리텔링 소재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았다. 그들은 소재에 질적 차이가 있어, 어떤 단원의 소재는 재미있지만, 어떤 단원의 소재는 억지스럽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스토리텔링의 유용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재미, 내용과의 적합성이었다. 셋째, 교사들은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수단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였다. 직접 스토리를 읽어주기보다는 유료사이트에 의지하거나, 그림만 보는 것에 그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스토리텔링 수업이 학생들의 정서적인 측면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수학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시키고, 흥미를 유발하며, 자신감을 얻게 되고, 목적 의식을 갖게 하며, 수학적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교사들은 스토리텔링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이 스토리에만 집중하는 메타-인지 이동이 일어나거나, 오히려 흥미와 재미를 잃어버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여섯째, 스토리텔링 수업을 할 때, 교사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 부족, 스토리와 수학 내용의 단절, 자료의 부족 등으로 스토리텔링의 활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반면에, 수업에서 활용하는 부분이 적어,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교사도 있었다. 일곱째, 교사들은 스토리텔링을 수업에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수, 자료, 참고문헌, 질 높은 스토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건설업 위험성평가와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이 안전보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정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재 국내건설 현장은 4차 산업시대를 맞아 건설업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IT산업을 접목하고 있다. BIM, 드론, ICT기반 현장관리 기술 등 스마트 건설기술이 건설 현장 근로자의 안전관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학계, 정부기관, 건설업체 등에서 건설 현장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연구개발 중이다. 그중 많은 산업에서 보편화된 감시용 CCTV는 현재 건설 현장에서도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위험성평가와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이 안전보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건설 현장에서의 요구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개선책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선행논문이 위험성평가가 안전의식이나 안전보건체계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연구였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 도입 여부에 따라서 위험성평가, 평가효과성, 안전보건성과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시공사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이를 분석하여 연구 가설을 증명하고자 연구모형을 활용한 매개 효과 분석과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6개 가설 중 최종 4개 가설이 정(+)의 효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개의 가설을 바탕으로 위험성평가와 안전보건성과의 관계에서 평가효과성의 매개효과와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의 도입 여부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검증 및 분석 결과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독립변수인 위험성평가는 매개변수인 평가효과성에 정(+)의 효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독립변수인 위험성평가는 종속변수인 안전보건성과에 정(+)의 효과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평가효과성은 종속변수인 안전보건성과에 정(+)의 효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매개변수인 평가효과성은 종속변수인 안전보건성과에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집단에서 매개변수인 평가효과성은 종속변수인 안전보건성과에 유의하였으나,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지 않은 집단에서는 매개변수인 평가효과성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기준치인 1.96보다 낮아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위험성평가가 평가의 효과성 기대를 높여 안전보건성과를 높일 수 있는 결과는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을 도입한 경우에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설문 항목별 t-test를 이용한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 도입 여부에 따른 분석에서 위험성평가는 실시 여부, 주기적 시행, 위험성평가 목록표작성, 근로자 참여, 전문적 지식부분에서, 평가효과성은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안전관리, 사업주의 산업재해예방의 문제해결능력, 산업재해감소에서, 안전보건성과는 사업장의 안전보건 수준에서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의 도입 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의 도입이 위험성평가, 평가효과성, 안전보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을 의미한다. 또한, H사의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을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기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장 수는 증가하였지만, 중대재해 2건, 고위험작업사고 10건이 감소하였으며, 이동형 CCTV를 설치하여 관리한 고위험작업에서는 어떠한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이 현장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모니터하여 사고 예방에 기여한 것을 의미한다. 현재 건설업에서는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에 잠재적인 직간접적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사고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관리하는 관제시스템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관제시스템은 신속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위해 실시간으로 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런 효과적인 방법에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은 그 해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고위험작업을 분류하고, 해당 분류된 고위험작업에 이동형 CCTV 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정보의 모니터링과 양방향 소통으로 근로자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통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after greet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re grafting various IT industries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such as BIM, drones, and ICT-based site management technologies are being used for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and new technologies suitable for construction sites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by academia, government agenc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Among them, surveillance CCTVs, which have become common in many IT industries, are judged to be the most utilizable at the current construction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respond to the requirem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a study on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and mobile CCTV control systems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t construction sites. Previous papers have studied how risk assessment affects safety awareness or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and health system, whereas in this study, how risk assessment, evaluation effectiveness, and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was studi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hands-on worker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that were conducting risk assessment,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tudy model and the significance was checked in order to prove the study hypothes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four out of six hypotheses were finally shown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Based on the six hypotheses, the mediating effect of assessment effec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and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as such,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risk assess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ssessment effectiveness, which is a parameter. Second, risk assess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ird, assessment effectiveness, which is a parameter,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the evaluation effectiveness, which is a paramet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group in which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n the group in which no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whe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hecked through the Sobel-tes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Z value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1.96. The result as such means that risk assessment can increas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by raising the expectation of effectiveness of assessment only when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the analyses of effec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been introduced using t-tests by questionnaire item, it was found that when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d been introduced, risk assess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whether or not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periodic implementation, risk assessment list creation, worker participation, and expertise, assessment effective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systematic and total safety management, business owner’s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nd reduc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t the workpl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has large effects on risk assessment, assessment effectiveness, and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of Company H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after applying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the number of sites increased but the number of serious accidents decreased by 2, the number of accidents in high-risk work decreased by 10, and no accident occurred in high-risk works managed after installing a mobile CCTV. This means that the mobile CCTV control system contributed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by quickly and effectively monitoring the site. Current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control system that conducts a risk assessment for potential direct and indirect harmful and risk factors in advance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and predicts and manages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ccidents in advance is essentially necessary. It is most effective to control the control systems as such in real time for quick judgment and decision-making.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can be a solution to the effective method as such. In this study, a plan to conduct risk assessment in order to classify high-risk works and establish a mobile CCTV control system for the relevant classified high-risk works to eliminate workers' risks in advance through real-time information monitoring and two-way communication, was proposed,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수학 학습 부진아가 문제해결에서 보여주는 수학적 사고 특성 분석

        장세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it is common for teachers to give traditional lecture oriented to students in intermediate level in order to guide a large number of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 Therefore, students with slow learning speed may have high possibility of being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at the end for accumulated learning deficits in learning mathematics with strong systemicity. In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mathematics class is only emphasizing algorithm oriented mechanical calculation to focus on increase of basic academic ability which is intended for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ccor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only with this kind of action. It is essential to simulate and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of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This study has purpose of stimulating and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of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This study established two types of research problems focused on grasping basically what kinds of mathematical thinking which underachieved students may have in some degree for realization of the purpose. Problem 1.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thinking usually used to solve mathematics problems by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Problem 2. What is the mathematics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could be obtained from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thinking usually used by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five mathematical thinking educible problems were selected to make underachieved students solve problems in this research,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fter analyzing the examination paper and interview which showe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First,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relatively had good command in inductive thinking and analogical thinking, but the level of thinking showed difference. This means that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may have possibilities of doing good inductive thinking and analogical thinking in spite of different degree. Second,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showed unfamiliar with problem solving by drawing pictures, and they were not able to properly use the well expressed situation in the picture. This says that one mathematical thinking occurred during problem solving process of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does not expand to different mathematical thinking. Third, according to the offered problems, some underachieved students solved problems and some underachieved students could not solve problems. In other words, success or failure of problem solving has the tendency of being under the control of problem. Fourth,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showed difficulties in deductively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rules or problem solving methods obtained through inductive thinking. This means that demanding perfunctory deductive thinking to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needs more cautious. This study was intended for a few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which results are difficult to generalize, however, the author hopes to provide implications with meanings in some degree for instruction of underachieved students in mathematics in a dimension of case study. 오늘날 수학 수업에서 교사는 다수의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해 중간 수준의 학생들에 맞추어 전통적인 일제 수업을 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따라서 학습 속도가 느린 학생들은 계통성이 강한 수학과의 학습에서 누적된 학습 결손으로 결국에는 수학 학습 부진아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의 수학 수업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기초 학력의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알고리즘 중심의 기계적인 계산을 강조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방만으로는 수학 학습 부진아를 구제하기 어렵다. 근본적으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가 기본적으로 어떤 종류의 수학적 사고를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수학 학습 부진아가 수학 문제를 해결할 때 주로 사용하는 수학적 사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2. 수학 학습 부진아가 주로 사용하는 수학적 사고의 특징에서 얻을 수 있는 수학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섯 문제를 선정하고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풀게 하였으며, 그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보여주는 답안지와 인터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 학습 부진아는 귀납적 사고와 유추적 사고를 비교적 잘 구사 했으나, 사고의 수준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수학 학습 부진아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귀납적 사고와 유추적 사고를 잘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수학 학습 부진아는 그림을 그려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익숙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 그림으로 문제 상황을 잘 표현했어도 그것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것은 수학 학습 부진아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하나의 수학적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그것이 다른 수학적 사고로 쉽게 전이되지 않음을 말해준다. 셋째, 제공된 문제에 따라, 그것을 해결하는 수학 학습 부진아도 있고, 해결하지 못하는 수학 학습 부진아가 있다. 즉, 문제해결의 성패가 문제에 좌우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수학 학습 부진아의 수학적 개념이 비체계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 넷째, 수학 학습 부진아는 귀납적 사고를 통해 얻어진 규칙이나 문제해결 방법을 연역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것은 수학 학습 부진아에게 형식적인 연역적 사고를 요구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소수의 수학 학습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무리가 있으나, 사례 연구의 차원에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초등수학교육에서 외적 비율 학습-지도 방안 탐색

        이정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외적 비율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외적 비율의 바람직한 학습-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생들의 외적 비율의 이해 실태는 어떠한가? 2) 외적 비율의 이해를 위한 학습-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먼저 외적 비율의 의미와 구조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것은 이후 학생들의 이해 실태를 알아보고 학습-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바탕이 되었다. 이어서 속력, 인구밀도, 비율을 학습하고 단가를 경험한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적 비율의 이해 실태를 조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중 일부 학생들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외적 비율의 이해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학습-지도 방향을 설정하고 외적 비율 중 붐비는 정도에 대한 학습-지도 방안을 구체화하여, 소규모 실험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외적 비율은 단위량당의 크기로서의 의미와 제3의 양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외적 비율의 구조는 외적 비율의 초기 개념, 평균화의 생각, 단위량의 인식, 제3의 양의 구성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외적 비율의 초기 개념은 제시된 두 양의 관계로부터 만들어지는 어떠한 정도를 알고 서로 다른 두 양을 함께 보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평균화의 생각은 서로 다른 두 양 사이의 관계를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고르지 않은 것을 고르게 보고 균등하게 만들어가는 사고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 양 내에서의 평균화와 두 양 사이의 평균화가 있다. 단위량의 인식은 두 양 사이의 평균화의 생각으로부터 한 양에 주목하여 한 양의 1에 해당하는 다른 양의 크기를 구하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제3의 양의 구성은 두 양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외적 비율을 정비례의 생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대표성, 보존성, 비가법성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관점 1) 외적 비율의 초기 경험, (관점 2) 평균화의 생각으로 나눗셈 인식하기, (관점 3) 몫의 의미 이해, (관점 4) 유사한 상황에 적용하기, (관점 5) 제3의 양과 비가법성 인식하기의 다섯 가지 관점을 설정하였고, 이 관점에 따라 우리나라 수학, 과학, 사회 교과서에서 외적 비율 관련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과서에서는 외적 비율의 초기 경험을 일부 취급하고 있었고 수학, 과학 교과서에서는 외적 비율을 구하는 것을 직접 제시하지만 나눗셈 인식 과정이나 평균화의 생각이 나타나지 않고 단위량당의 크기라는 의미가 드러나지 않는 등 교과서에서 외적 비율은 매우 불충분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외적 비율 이해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조사 관점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조사 도구를 구성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관점 ① 두 양 사이의 평균화의 생각을 할 수 있는가?, 관점 ② 외적 비율을 인식하고 비교할 수 있는가?, 관점 ③ 외적 비율을 구하는 나눗셈의 결과를 바르게 해석할 수 있는가?, 관점 ④ 외적 비율을 구하여 다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가?, 관점 ⑤ 외적 비율을 제3의 양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 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외적 비율 이해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종류가 다른 두 양을 인식하지만 두 양 사이의 관계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거나 평균화의 생각을 하지 못하고, 나눗셈으로 몫을 구했지만 몫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거나 몫이 가리키는 양의 속성은 알지 못하였다. 외적 비율을 구하고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곱셈과 나눗셈을 잘못 선택하였고 두 상황을 병합한 새로운 상황의 외적 비율을 구하기 위해 두 외적 비율을 더하거나,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고 두 외적 비율을 더하고 2로 나누어 구하기도 하였다. 끝으로, 외적 비율의 이해를 위한 학습-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학습-지도 방향을 설정하였다. 학습-지도 방향 1은 외적 비율의 심상 형성으로, 외적 비율 상황에서 두 양을 인식하고 외적 비율을 비교하는 상황을 경험하며 외적 비율 상황에서 두 양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학습-지도 방향 2는 단위량의 인식으로, 한 양 내에서의 평균화와 두 양 사이의 평균화를 경험하고 몫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학습-지도 방향 3은 제3의 양 구성으로, 제3의 양을 인식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외적 비율 중 붐비는 정도를 소재로 하여 학습-지도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학습-지도 방안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이 붐비는 정도와 관련된 외적 비율의 의미를 단위량당의 크기와 제3의 양으로 이해하고 관련 구조를 형성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학습-지도 방안은 앞으로 초등학교 수학과에서 외적 비율을 체계적이고 점진적으로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우리나라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잉글랜드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가영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잉글랜드의 2013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차후에 개정될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교육과정 비교·분석틀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잉글랜드의 2013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먼저 목표를 비교하고, 영역의 구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5개 영역에 맞추어 잉글랜드 교육과정의 6개 영역을 재정렬한 후 하위 영역으로 세분하여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잉글랜드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 목표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태도와 관련된 목표가 있으나, 잉글랜드 교육과정에는 그러한 목표가 없다. 둘째, 영역의 구성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이 3개 학년군에서 모두 제시된다. 이에 비해 잉글랜드 교육과정에서는 ‘수’, ‘측정’, ‘기하’, ‘통계’의 4개 영역은 3개 학년군 모두에, ‘대수’와 ‘비와 비율’ 영역은 6학년에서만 다룬다. 또 ‘백분율’, ‘패턴과 순서’, ‘각도 측정하기’, ‘미지의 각 찾기’는 양국의 교육과정 중 서로 다른 영역에 속한다. 셋째, 영역별 내용을 비교한 결과,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큰 수 학습의 기간, 음수의 학습, 수를 묶어 세는 활동, 암산과 필산의 명시, 곱셈표 암기 기간, 나눗셈의 시작 시기 및 완성 시기, 몫의 표현 방법, 크기가 같은 분수에 대한 학습에서 차이가 있다. ‘도형’ 영역에서는 전개도와 겨냥도, 우각, 좌표평면 및 하위 영역인 ‘도형의 성질’과 ‘위치와 방향’의 취급 비중에서 차이가 있다. ‘측정’ 영역에서는 화폐의 단위에 대한 학습, 시각을 정확하게 읽는 시기, 윤년의 개념, 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표현, 원의 둘레와 넓이,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에서 차이가 있다. ‘규칙성’ 영역에서는 규칙을 식으로 나타내는 내용, 중영역인 ‘대수’, 그리고 백분율의 취급에서 차이가 있다.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는 ‘확률’의 취급에서 차이가 있다. 차후의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두 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년군제 구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학년군제의 모델로 알려진 것 중 하나가 바로 잉글랜드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잉글랜드의 교육과정은 외형적으로는 key stage라는 학년군제를 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학년제로 학습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학년군제 혹은 학년제로 수학과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방법의 장단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수를 묶어 세는 활동을 늘릴 필요가 있다. 수를 묶어 세는 활동은 곱셈과 연계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필요하다. 셋째, 사칙계산을 암산으로 해결하는 활동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암산’이 교육과정에 명시되지 않지만, 암산은 어림, 연산의 정확도 및 수감각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넷째, ‘위치와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늘릴 필요가 있다. ‘위치와 방향’은 중학교에서 취급하는 좌표평면의 바탕이 되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관련 내용을 더 취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백분율을 수 학습의 관점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백분율을 분수, 소수와의 관계를 다루는 수 학습의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 독성물질의 개선된 안전관리를 위한 독성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연구 및 제안

        유원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인화성 가스 및 인화성 액체와 같은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산업시설에서는 예기치 못하게 누출될 수도 있고 사고로 이어지기 전 정상으로 운전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누출될 수 있다. 이렇게 누출되었을 때를 고려하여 인화성 가스 및 액체의 저장·취급하는 시설 주변을 폭발위험장소로 설정하여 전기 사용기기나 스파크 발생기기의 설치 및 사용 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이러한 폭발위험장소 설정은 개선점이 있기는 하지만 인화성 물질을 취급하는 설비 구역에서는 방폭구조 전기 기계·기구의 사용과 같이 비교적 잘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법규정에서 명확한 구분도를 요구하여 해당 구역을 표현하고 엄격한 관리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폭발위험장소 설정은 일차적으로는 산업시설의 화재·폭발을 방호, 지연하고 이차적으로 인명의 피해를 방호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산업시설에서의 인명피해는 화재·폭발에 의해서만 발생하지 않고 독성물질의 흡입, 접촉, 삼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이러한 독성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법으로 독성물질 취급 시의 제한 사항을 두었지만, 명확한 독성의 영향을 주는 범위까지 구체화하지는 않고 있다. 독성물질은 일차적이며 직접적인 인명피해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위험의 범위를 잘 인지할 수 있도록 폭발위험장소의 설정과 유사한 독성에 의한 위험성 있는 장소를 설정하여 구분도로 표현한다면 효과적으로 독성의 위험범위를 인지하여 개선된 안전관리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강조하여, 설비보호를 통한 인명 보호가 폭발위험장소 설정의 근본 이유이고, 사고 후 조치계획을 위한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 사고피해예측 평가라면, 독성위험장소의 설정은 일차적으로 사고전 인명 보호를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 검증된 Code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폭발위험장소 설정 원리를 응용하여, 사고전 독성물질 누출사고의 관리 범위를 규정하기 위하여 독성위험장소의 설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연구 및 제안하였으며, 이는 구체적인 독성위험 범위를 표현하여 독성물질 누출에 의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industrial facilities,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flammable gases and flammable liquids can leak not only in unexpected condition but also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cause accidents. Strict standards shall be applied to the installation of electricity-related facilities by classification of hazardous area around facilities that store or handle flammable gases and liquids in consideration of leakage.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is relatively well applied to comply legal regulations requiring clear hazardous area, expressing the area, and strictly managing it. The establishment of such hazardous area is primarily to protect and to delay the explosion of fire in industrial facilities,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human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casualties in industrial facilities are not only caused by fire explosions, but also by inhalation, contact and swallowing of toxic substances. Considering the dangers of this toxicity, the Korea regulation places restrictions on the handling of toxic substances, while it does not specify the toxic area representing clearly toxic effect. Toxic substances cause primary and direct human casualties. So setting up locations that are at risk by toxicity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would effectively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to recognize the risk range of toxicity. While protection of human life through facility protection is the fundamental reason for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and predicting the area for a post-accident action plan is an accident damage prediction evaluation, then toxic area classification is the first priority to protect human life. In addition, in order to define the area of management before a toxic substance leakage accident, a new concept of toxic area classification was studied and proposed by applying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carried out by a verified code, which expresses a specific toxic risk range. The risk range was expressed so that the risk of the leakage of toxic substances could be man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