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 <Image 1> 中 '물에 비친 그림자(Reflets dans l'eau)'에 관한 분석 및 감상 지도 방안

        김동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인상주의 음악은 바그너의 복잡한 반음계주의와 화성에 대한 거부로 시작되었으며, 드뷔시에 의해 19세기 말 음악 사조의 한 주류를 이루었다. 빛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물의 모습을 감각적인 색채와 붓터치를 통하여 그려냈던 인상주의 화풍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추상성과 상징성을 표현한 상징주의 문학에 영향을 받았다. 드뷔시는 4, 5도 화성의 병행진행, 감화음의 사용, 해결되지 않는 화성, 불협화음 등의 화성적 어법과, 오음음계, 온음음계, 반음계, 교회 선법 등의 선율적 기법을 자신의 음악에 담아 개인의 감정이나, 감각, 기분, 느낌, 정취, 자연적 소재 등을 표현하였다. 본 논고에서 다루었던 제재곡인 물에 비치는 그림자(Reflets dans l'eau)는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을 잘 반영하고 있다. 물이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인상주의 음악 어법을 환기하고 있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인 개방된 화성, 병행화성, 감화음, 불협화음, 해결되지 않는 화성 등의 화성적 어법을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물의 깊이감과 빛에 의해 변화하는 물에 비친 그림자를 표현하였다. 둘째, 물의 유동성과 신비감을 표현하기 위해 오음음계, 온음음계, 반음계 등의 선율적 요소와 아르페지오, 스케일 등의 기술적 요소들을 적절히 병치하였다. 위와 같은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이 나타나는 물에 비치는 그림자(Reflets dans l'eau)를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통합적 접근 방법과 단계적 수업 모형을 연계한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구성하였다. 수업 내용의 구성 방식은 차시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각 항목별로 구체적인 학습 활동들을 나열하였고, 교사가 적절히 선택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가 항목의 제재곡의 적극적 감상 및 느낌에 대한 언어적, 시각적 표현에서는 학생들이 음악에 대해 주의 집중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음악을 듣고 언어적으로 느낌을 말해 보도록 하는 활동과 시각적인 매체를 통하여 표현해 보게 하는 활동을 통해 음악에 대한 호기심을 증대시키며 음악적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나 항목의 음악과 관련된 문헌 자료 탐색 및 종합에서는 제재곡을 문학과 음악, 회화와 음악, 역사와 음악 등을 연계하여 탐구하게 함으로써 음악을 거시적으로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음악을 중심으로 맥락적 지식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조별 토론으로 음악적 지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다 항목의 물을 표현한 음악적 표현 요소 탐색하며 감상하기에서는 소리 탐색에 중점을 두어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을 표현한 소리들이 어떻게 구성되고 조직되고 있는지 청각적 지각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였고, 주제 선율을 중심으로 음악을 감상하게 함으로써 제재곡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상이 되도록 하였다. 넷째, 라 항목의 음악적 개념 이해하며 감상하기에서는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인 오음음계, 온음음계, 병행화음, 반음계, 불협화음 등의 개념을 다양한 음악적 활동들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들이 제재곡에서 어떠한 효과를 가져다주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며 감상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마 항목의 전제적인 악곡 감상, 비평 및 창작하기에서는 제재곡이 표현하고 있는 물의 모습, 주제 선율, 음악적 개념들이 나타나는 부분을 그림 악보로 제시하여 전체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감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물을 표현한 다양한 악곡들을 비교 감상하면서 제재곡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재곡에 나타난 물의 다양한 모습을 그림 악보로 제시하고 이것을 토대로 다양한 악기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음악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사회 문화적 맥락, 타교과간의 연계, 다양한 음악 활동의 통합적인접근 방법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인상주의 음악을 거시적인 안목으로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인상주의 음악에 대한 학습은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주고 지식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새로운 음악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공통 관습 시대의 음악 어법과는 다른 인상주의 음악기법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창작을 통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경험함으로 인해 인상주의 음악에 대한 종합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기룰 수 있으리라 본다.

      • 로라 잉걸스 와일더(Laura Ingalls Wilder)의 『초원의 집』을 활용한 음악 지도 방안

        한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천 년 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음악은 인간의 삶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여겨져 왔으며 인격을 완성하고 정신을 고양하는 것이 곧 음악 교육의 책무라고 보았다. 현재의 교육과정 상에도 음악은 인지적,심동적,정의적 측면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음악 교육이 인간의 전인적 발달에 크게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음악 교육은 몸짓이나 언어 등을 통해 이루어지던 느낌과 감정의 소통이 음향을 통해 이루어질 때 가능해진다. 그것은 감정이 성인에 비해 덜 미분화된 학생들이 소리에서 어떤 느낌을 가질 때 음악이 그들에게 있어 유의미하게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음악 지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문학의 활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이 본래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형태였음에 주목하였다. 특히 예술 영역 중 문학은 고대부터 음악과 긴밀한 관계 속에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는데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가들과 그들의 음악 세계가 바로 대표적인 증거이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발달 단계상 추상적인 대상에 대해서는 깊은 단계까지 사고를 확장하기 어려우며 추상적인 대상을 지도한다 하더라도 그와 관련한 구체적인 자료가 함께할 때 학습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문학은 음악 지도에 있어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대상이 초등학생이므로 모든 범위의 문학을 음악 지도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맞지 않으며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으면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만한 아동문학 작품을 선정하는 것이 이치에 맞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조건에 부합하는 텍스트가 바로 로라 잉걸스 와일더의 『초원의 집』인데 이 텍스트가 활용되어야 하는 당위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전 세계 수많은 독자층의 지지를 받은 검증된 텍스트이다. 둘째, 음악 애호 캐릭터가 형상화되어 있어 작품 속 등장인물을 동일시하는 습관을 지닌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부합한다. 셋째, 이야기의 전개 상 노래와 음악적 흐름이 구성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넷째, 작품에 실려 있는 수많은 노래들만 모아 펴낸 노래책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 속 음악과 문학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고, 그 과정에서 문학을 활용한 음악 지도의 방안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문학과 아동문학의 특성을 분석하여 아동문학을 활용한 음악 지도 방안의 마련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이어서 음악 지도에 활용할 텍스트인 『초원의 집』을 분석하여 앞의 과정에서 정리한 음악 지도의 방안들에 적용하였다.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이해 영역과 생활화 영역은 여러 가지 음악 활동들을 통해 익힐 것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의 음악 지도 방안은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초원의 집』을 활용한 음악 지도 방안은 동일시 현상이 강한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음악 애호 캐릭터를 체험할 수 있게 해주고,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고무시키고 큰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 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인성(人聲)이 있는 현대음악의 분석 및 감상 지도 방안

        조슬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e past we were living in the world where only one could dominate and others were set around. But world has changed and we are currently living in a period of multi-cultures which respect diversity and creativity. Therefore it's very essential for current schools to put a variety of world's folk musics and contemporary musics in their music education system. Also schools consider students' personality and divers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valuation and even in the class. This study's subject has been made based on the current of the times as "A Study for Contemporary music with voice and Plan for appreciation guidance" Looking around the contents of current music textbooks, we can realize that a portion of contemporary music is remarkably smaller than the portion of classical music in 18th century and Romantic music in 19th century. In respect that "Art reflects spirit of that era", we can't longer emphasize Beethoven and Mozart' classic musics to students. Through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students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concurrent music and also learn idiomatic cultures and attitude of accepting music. Also this study is focused on 'Timbre' which is a primary concern among factors of music in 20th century, and there are new timbre and possibilities of timbre in this study which can be found in 'Voice' so it can broaden the width of thought that 'Voice' can be played as an instrument even though it has been considered as a traditional vocal music. This creative and exclusive voice technique can help students to get all necessary aesthetic sense and open-minded views. Especially the reason why I decide "Appreciation" part is because a appreciation part plays key roles in all parts of activities like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composing music and so on. About this, J.L.Mursell lays empasis on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menti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effective method for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a connection between human nature and musical structure appeared in contemporary music. Below ar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I selected three songs about "Voice" which show will powers of contemporary music composers to create new music in 20th century , Sequenza Ⅲ by Berio, GUAI AI GELIDI MOSTRI by Nono, Madrigal, Book Ι-Ⅳ by George Crumb. The reason why I select Berio's Sequenza Ⅲ is because it shows intention to apply all possible voices by breaking down the limitation of human voice. Nono's GUAI AI GELIDI MOSTRI has a merit for making current students interested in contemporary music by harmonizing voice and electronic sound. Finally I select George Crumb's Madrigal, Book Ι-Ⅳ because this work is trying to make the most use of contents even though this belongs to contemporary music. Instruction sample is made with step by step methods of directing appreciation which is used in “A study for ways to learn contemporary music ” by Min kyung hoon. First 'A method of directing Listening' provok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strange music, secondly 'Indirect academic directing method' suggests directing skills related to history, literature, art and other subjects. Third, music teaching method helps student to understand a form of music through partial appreciation and also presentation of music. Forth, "Structure and Component part"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musical concepts and general structure. And the las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Valuation part" help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music which includes voice by introducing a variety of creative activities and other composers voice musics. Through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music, studen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culture and society where we are currently living in and also to get all necessary aesthetic sense and open-minded views. 현재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의 모습은 어느 하나만이 중심이 되고 나머지는 주변이 되는 시대에서 변화하여 다문화 시대로서 다양성과 상이성을 인정하고, 창의성이 존중되는 시대이다. 따라서 현행 학교의 음악교육에서도 세계 여러 민족의 음악과 현대음악의 가치가 강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또한 수업 방식이나 평가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학생들의 개성과 다양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의 주제는 “인성(人聲)이 있는 현대음악 분석 및 감상지도방안”으로 정하였다. 현재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게 되면, 현대음악의 비중은 18세기의 고전음악과, 19세기의 낭만음악에 비해서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예술은 그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는 것’ 이라 생각할 때, 우리의 청소년들에게 언제까지나 고전의 베토벤과 모차르트의 음악만을 강조할 수는 없는 일이라 생각한다. 현대음악 교육을 통하여 그 작품을 낳게한 동시대의 삶의 형태를 배우고 이해 할 수 있으며, 관용적인 문화, 음악수용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 또한 음악의 요소 중 20세기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음색’ 이라는 요소에 중점을 둠으로써 새로운 음색과 그 가능성을 ‘인성’에서 찾고 사용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성악 연주 형태만으로 생각했던 인성이 하나의 악기로서 취급할 수 있다 라는 생각의 폭을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새롭고 독창적인 인성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아름다운 목소리의 한계에서 벗어나 인성을 통한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통하여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미적감각과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특별히, “감상” 영역을 택한 이유는 감상영역이 노래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만들기 등의 음악의 모든 영역별 활동에 있어서, 종합적인 기반을 이루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머셀’은 “공감적인 이해력을 가지고, 듣는 태도의 발달이 필요하며, 악곡을 듣고 풍부한 연상을 그려보거나, 의의 있는 경험과 광범위하게 관계를 맺고 있는 감상 태도를 유지할 때 음악적 향수는 증진된다.” 라고 말하면서 ‘감상’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현대음악에서 나타난 인성과 음악구조 사이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현대음악의 인성사용을 통한 효과적인 음악 감상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세기 현대음악 작곡가들의 새로운 음악을 창조하려는 의지가 보여지는 ‘인성’을 소재로한 Berio의<Sequenza Ⅲ>, Nono의 <GUAI AI GELIDI MOSTRI>, George Crumb의 <Madrigal, Book Ι-Ⅳ>의 3곡을 선정하여 단계별 지도방법을 3차시에 걸쳐 제시하였다. 곡 선정의 이유로서 Berio의<Sequenza Ⅲ>는 인간의 목소리의 한계를 타파하고 창조할 수 있는 모든 소리를 적용시키려는 의지가 보이는 작품이고, Nono의 <GUAI AI GELIDI MOSTRI>는 인성과 전자음악의 조화를 꾀하여 현시대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롭게 접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George Crumb의 <Madrigal, Book Ι-Ⅳ>은 현대음악임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TEXT의 내용을 살리려고 노력했던 작품이어서 선정하게 되었다. 수업모형은 민경훈 교수의 “현대음악 학습방법”에서 사용한 단계별 감상 지도방법을 사용하여 첫째, 듣기관련 지도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낯선음악에 대한 호기심을 야기시켰고 둘째, 간학문적 지도방법에서는 역사,문학,미술 등 타과목과 연계하여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악보관련 지도방법에서는 부분감상을 통한 음악적 형태의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인성이 사용된 악보 제시를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넷째, 구조 및 구성요소 관련 지도방법에서는 음악적 개념의 이해와 전체적 구조와 형식의 이해를 도왔으며 마지막으로 다섯째, 종합적 이해 및 평가에서는 다양한 창의적 활동과 다른 작곡가의 인성음악 작품을 소개하여 인성이 있는 현대음악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대음악의 감상들 통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현 시대의 시대적, 문화적 상황을 알고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미적 감각과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갖추 수 있을 것을 기대 한다.

      • 자기 주도적 학습 제고를 위한 음악 교과서 내용 구성 모색 :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경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급변하는 지식정보화 사회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의 힘으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고, 활용하고,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주도하고 살아갈 학습자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교육적․사회적 요구에 의해 요즘 학교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 바로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다. 음악 교과에서도 자기 주도적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학교 현장의 음악 수업에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수․학습 자료인 음악 교과서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기에 여러 가지 면에서 미흡하기 때문이다. 자기 주도적 학습 제고를 위한 음악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색은 이러한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현행 음악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인식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제고를 위한 음악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모색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의 의미와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구성 원리, 음악 교과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란 ‘학습자가 스스로 혹은 학습조력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라고 정리할 수 있었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는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유발, 학습자의 학습 지원, 선택적 과제 제시, 학습자를 고려한 학습 내용, 다양한 자료의 제시, 평가방법의 제시, 개방적 구조 등을 고려하여 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현행(2007 개정) 교과서 분석을 위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의 단계를 ① 학습환경 설정 및 학습요구 진단 단계 ② 학습목표 설정 단계 ③ 학습활동 계획 단계 ④ 학습활동 실행 단계 ⑤ 학습결과 평가 단계의 5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의 이해영역 내용요소에 따라 검정 교과서 5종에 수록된 악곡들을 분류하고, 이 중 여러 교과서에서 공통으로 다루어진 악곡을 추출하여 자기주도학습의 관점에서 내용 구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을 설정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 내용 구성의 실제를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 주도적인 음악 학습의 활성화를 위해 오늘날 음악 교과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새로운 교과서의 모습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실제적인 음악 교과서의 개발로, 교사 주도의 획일화된 음악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들이 능동적인 주체로써 음악 학습에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엘 시스테마' 고찰을 통한 사회 취약층 청소년 음악 교육의 방향

        김현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엘 시스테마‘는 베네수엘라의 사회적 음악 프로젝트로, 현재 28개 국가에서 영향을 받아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소수만이 전통 클래식 음악을 누릴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과거의 음악 교육은 주로 1대1의 기능 교육이었지만, ’엘 시스테마‘는 오케스트라 안에서 악기를 배우면서 동료 간의 사회성과 협동심을 키울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음악 교육 프로젝트이다. ’엘 시스테마‘를 시행하는 베네수엘라는 석유 수출국 5위의 나라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허덕이고 있고 청소년들은 폭력 및 마약 등의 사회적 문제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나라이다. 개인의 음악적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음악 교육이 아닌, 공동체적 오케스트라 활동을 하면서 악기를 배우는 ’엘 시스테마‘의 음악 교육은 거리의 청소년들에게 소속감을 주고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 우리나라의 정부는 청소년들의 학교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어 음악 교육을 통한 인성 교육의 함양을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음악을 통해 사회 취약층 청소년들에게 자존감을 키워주고, 동료 및 교사와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공동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2010년부터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시작했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1년부터 ’학생 오케스트라‘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나 연구가 없이 일단 예산을 지원하여 진행하다보니 현장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이 많이 있었고,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연구는 ‘엘 시스테마’에 대해 자세히 고찰해보고, 우리나라의 사회 취약층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꿈의 오케스트라’와 ‘학생 오케스트라’의 현황을 살펴본 후, ‘학생 오케스트라’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의 담당 교사 및 인턴 교사,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연계된 음악 교육, 다양한 지원 범위로의 확산, 정교하고 전문적인 오케스트라 교육학적 방법 및 내용의 연구, 다양한 악기 구성, 다양한 연주 활동에의 참여, 지역 사회와 가족의 꾸준한 관심, 오케스트라를 담당하는 전담 교사의 확보 등을 개선되어야 할 점들로 제시하였다.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를 모델로 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청소년 음악 문화로 잘 정착되어 청소년들이 음악을 배우고 즐김으로써 개인의 삶이 변하고, 음악적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으로 이어져 가족과 지역 사회, 우리나라 전체가 한 단계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

      • 초등 교사를 위한 음악과 직무연수의 실태 분석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교육의 성패는 다른 무엇보다도 가르치는 교사의 자질에 달려있으며, 우수한 교원의 양성과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계속적인 연수를 통해서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 특히, 음악 교과에서는 교사 개인의 심성과 음악적 체험 및 지도 방법에 대한 전문성의 여부가 음악 수업의 성공을 좌우하기 때문에 초등 교사들의 음악과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며 이러한 음악과 교사 연수가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초등 음악 교과의 목적과 학교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수체제가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자가 그 동안의 음악과 연수를 받아본 결과, 연수의 내용이나 방법들이 과거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지 않는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연수들이 많았다. 또한 교과전담제 실시 이후에도 대다수의 학교에서 음악 교과 전담교사의 부족으로 인해 음악 교육이 일반 담임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또 한 번 음악과 교사의 자질과 음악과 교사의 재교육의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초등 음악과 교사 연수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며, 연수가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먼저 지금까지의 연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연수 체제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수 중, 서울시 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직무연수에 관한 현장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연수체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초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원 연수의 개념 및 필요성, 교원 연수 제도의 형태, 교원 연수기관 및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초등 음악과 교육의 특징 및 당위성과 음악 교사의 자질과 역할, 초등 음악과 교사 연수의 필요성 및 연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교사 음악과 연수에 대한 분석의 기초로 2008년부터 2011년 9월까지 서울특별시 교육연수원과 특수 분야 연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의 초등 교사 음악과 직무연수 자료를 통하여 음악과 직무연수의 현황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초등 음악과 연수의 필요성 및 연수의 실태를 파악하고 연수의 체제 및 운영 방향에 대한 의견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음악과 교사 직무연수의 효율적인 운영과 방향제시를 위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분석결과 교사들은 음악과연수를 직무연수 형태로 교육청협력학교에서 방학중 집중이수제로 30시간 2학점으로 2년에 한 번씩 연수를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수 교육과정을 구성해야한다. 서울시의 경우 연수과정이 계속 심화되고 있는데 기초와 심화연수로 구분하고, 심화는 영역별로 세분화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여 연수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보다 많은 교사들의 연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수 교육내용 및 연수 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연수기관의 교육과정 분석결과 연수의 내용이 교사의 음악의 이해 및 활동 영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수업에 필요한 교과내용분석, 학습전략, 수업지도안 작성의 실제, 음악과 평가, 발문 등에 대한 부분이 보강되어야하며, 연수방법도 음악의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현장체험의 시수를 늘리고 시연수업, 사이버 연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 수업에의 적용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특수 분야 연수기관과 강사의 질적 관리가 필요하다. 특수 분야 연수기관은 실기위주에서 벗어나 지도법과 수업에의 적용을 염두에 둔 프로그램의 구성을 늘리고 기관의 양보다는 내용의 질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우수한 강사의 질적인 관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한다. 다섯째, 프로슈머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들을 지역교육청 중심으로 배치하여 초등 음악 교과의 연구자료, 정보 등을 얻고 실기연수도 받을 수 있도록 소규모 연수기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교장, 교감,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연수를 확대하여 초등 음악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학교의 음악적 환경을 개선하여 음악과 연수가 현장에서 많이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초등 음악과 연수는 현장의 교사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수준별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현장에서 연수의 내용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고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연수의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음악 교과 전담교사로 활용하여 음악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수가 지속적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이루어질 때 초등 교사들이 좋은 연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초등 음악 교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전인적인 인간육성을 목표로 하는 초등학교의 음악교육의 목적을 달성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 현대음악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활동

        김보람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음악의 다양한 표현 방법 중에서 아동의 음악 발달 수준에 적합한 내용을 추출·활용하여 창의적인 연주, 창작, 감상 활동과 다양한 음악 개념을 다루게 하기 위한 음악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특정한 시기의 음악에 치중하고 상대적으로 현대음악은 미미하게 다룬 현 교과서의 문제점을 살펴본 후, 현대음악의 교육적 가치를 조사하였다. 현대음악의 다양한 표현 방법 중에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체계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아동의 음악 발달 수준에 적합한 음악 활동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대음악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현대음악은 음악적 창의성을 계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소재를 제공한다. 둘째, 현대음악을 활용한 활동들은 아동들이 창작 활동을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현대음악은 음악적 개념의 이해를 확장시킨다. 넷째, 현대음악을 통한 학습은 학습자의 사고 능력 계발에 도움을 준다. 현대음악을 활용한 음악 활동은 창의적 표현을 위한 활동과 음악적 개념 학습을 위한 활동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창의적 표현을 위한 활동은 현대음악 에서 기존의 악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하는 방식과 인성(人聲)을 이용한 음악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음색을 탐색하는 활동, 우연성 음악과 그래픽 기보를 활용한 창작 활동을 제시하였다. 음악적 개념 학습을 위한 활동으로는 교육과정 요소 중 음악 개념에 해당하는 리듬, 가락, 화성에서 기존의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혼합박자, 복합박자, 5음 음계, 12음 음렬, 온음계적 선법, 집단 화음, 다조성에 관련된 활동을 현대음악 감상곡과 함께 제시하였다. 음악 개념 학습은 지식 전달 위주의 내용이 아닌,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음악적 표현 활동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가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들을 제공하며, 아동의 음악적 개념 이해를 확장시켜 표현과 감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중등 음악과 직무연수의 실태 조사 및 개선 방향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윤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설 수 없다” 는 말이 있다. 현대 국가들이 국가의 운명은 교육의 질에 달려 있다고 보고 교육개혁과 교육의 질 향상에 노력하고 있듯이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현직 교육(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오늘날 교육의 본질인 창의·인성 교육은 음악 교사는 개인의 다양한 음악적 체험과 음악적 정서 및 교수·학습 방법의 정도에 따라서 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정서를 통한 인성 교육 함양을 목표로 하는 음악교사 연수 체제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중등학교 음악 교사의 직무연수 실태 조사를 토대로 음악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음악과 직무연수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초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의 역할 및 음악 교사의 자질, 교원 연수 제도의 개념 및 필요성, 교원연수의 일반적 제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2012년 교원연수 중점 추진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2년간(2011년부터 2012년 12월) 이루어진 인천광역시교육연수원 음악과 직무연수와 인천광역시교육청 지정 특수 분야 연수기관의 음악과 직무연수 교육과정, 연수 내용 분석 및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중등학교 음악 교사 직무연수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선방향을 위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중등 음악과 직무 연수 개설이 요구된다. 설문 조사에서 연수 체제 문제점 인식으로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의 미흡’이 전체 58.18% 로 가장 높게 나왔다.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이 미흡하였지만 그러한 문제점들을 찾아 개선해 나가면서 다양한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을 통하여 음악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둘째, 중등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을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음악 교사들이 연수에 대한 자발적 참여 의식이 확대되어야 한다. 설문조사에서 ‘음악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 의식 확대’가 전체 43.84%로 가장 높게 나왔듯이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 의식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겠다. 음악 교사들이 중등 음악과 직무연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수 참여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자세를 가질 때 음악 교사의 전문성은 신장 되겠다. 셋째, 음악 교사의 직무연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의견 수렴을 통한 연수내용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시 연수 내용 즉, 프로그램은 연수의 성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설문 조사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연수 수강 신청 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연수 내용’이 92.73% 로 가장 높게 나왔다. 이에 2011년도 및 2012년도에 실시한 인천광역시교육연수원의 ‘찾아가는 맞춤형 연수’는 매우 바람직한 연수 체제라 할 수 있겠다. 넷째, 음악교과연구회 활동의 활성화로 음악과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사전 조사하여 적극 반영하고, 교사의 연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 음악과 연수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육청은 음악과 직무연수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설문 조사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 및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위해서는 ‘교육청의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 가 30.52% 로 나왔다. 음악과 직무연수의 개설이 미흡한 가장 큰 행정적인 이유는 음악과 직무연수 담당 부서가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교육청에서 연수 담당을 하나의 부서로 편성하여 운영한다는 것은 국가 재정 낭비라고 표현 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설 수 없다” 는 말이 있듯이 교사 재교육을 통하여 교원 전문성 신장을 시켜 교육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점을 고려 할 때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음악교과 연구회 예산으로 음악과 연수를 개설하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기에 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에 교육청에서는 음악과 연수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음악과 직무 연수 개설시 교육청에서는 연수 장소 접근성을 고려해야 한다. 교사들이 아무리 듣고 싶은 연수라 할지라도 연수 장소의 접근성이 불편하면 연수 참여도는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곱째,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과 지식과 기능이 풍부하며 전달력이 우수하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 강사 섭외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째, 음악과 직무연수 개설이 다양화 되면서 연수 형태로는 집합연수(출석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연수에 대한 음악과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아홉째, 음악과 연수를 개설 할 때에는 방학 중에 연수가 이루어지도록 우선 고려하고, 학기 중 평일에 연수 운영을 할 때는 오후 5시 이후에 연수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등 음악과 직무연수 프로그램 중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에 관한 영역 뿐 만 아니라 음악관련 실기 능력 및 특기·적성 지도에 필요한 영역에 관하여 다양하게 음악과 연수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 윤이상의 오르간 작품 분석 및 고등학교 음악 감상 지도 방안 : <Tuyaux Sonores, 오르간을 위한 음관들>, <Fragment, 오르간을 위한 단편> 대상으로

        한수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흔히 오르간 작곡자를 이야기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바하이다. 바흐의 음악은 서양음악사를 배우게 될 때 장르의 구분 없이 경험하게 되며 그 중에서도 거의 모든 교과서에서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비발디와 더불어 바흐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바로크시대와 바흐의 음악적 특징을 설명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푸가인데 푸가는 작곡 형식의 한 형태로 바로크 시대부터 지금 까지도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작품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 교과서에서는 모든 형태의 푸가를 집대성한 작곡가로 바흐를 소개하고 있으며 그 푸가를 설명함에 있어 바흐의 많은 작품들 중에서도 오르간 곡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형식에 적합한 오르간 작품을 교과서에 소개하면서 정작 오르간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페달건반이 포함된 오르간의 사진이나 악보 등 오르간 음악을 설명하기위한 교육 자료는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교과서의 오르간과 관련한 자료의 부족함은 곧 학교 교육에 있어서 오르간음악에 대한 이해를 부분적이고 피상적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 오르간을 서양의 종교적인 악기 내지는 쳄발로나 합시코드와 같이 특정한 시대의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로 인식하게 하는 경향을 심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오르간은 지난 수세기를 지나오면서 현재까지 발달을 거듭한 악기이다. 아울러 처음부터 교회에서 종교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악기가 아닐 뿐만 아니라 16·17세기에 오르간의 황금기를 맞이한 이후 정체된 악기도 아니다. 물론 파이프오르간은 악기 그 자체의 규모로 볼 때 우리 주변에서 피아노처럼 흔히 볼 수 있는 악기는 아니다. 오르간 음악 자체가 널리 대중화가 되어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악기는 아니지만,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와 더불어 현대의 많은 작곡가에 의해 오르간음악이 작곡되고 있다는 사실은 오르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오르간은 피아노와 같이 흔히 접할 수 있는 악기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에서 가르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오르간이 들어온 시기는 조선시대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끝난 후 개신교 선교사들이 입국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선교사들은 우리나라에 학교와 병원 등 많은 시설들을 새로 지었는데 이화학당에서 음악시간에 벙커(Bunker)부인이 풍금으로 반주했다는 기록 이외에 배재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 및 평양의 숭실학교에서 찬송을 가르칠 때 풍금을 사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풍금은 바람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일종의 리드 오르간으로서, 도입 및 사용에 관한 역사적 기록은 한국 오르간 음악의 시발점으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학교 공교육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악기가 풍금(reed organ)이라는 것 또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사실이다. 오늘날 사회가 변화면서 오르간이 있던 자리에 피아노가 각 교실마다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각 교회, 대학교, 문화예술 홀에 설치한 파이프 오르간이 7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1978년 세종문화회관에는 규모면에서 동양에서도 손꼽히는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고 많은 학교에 오르간을 배울 수 있는 학과가 세워지면서 한국 오르간 교육에 많은 영향을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해외에서 오르간을 공부하고 돌아온 우수한 인적자원이 한국에 설치된 오르간의 수보다도 많은 현실로 볼 때 우리나라의 오르간 교육의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겠다. 오르간을 위한 음악은 우리나라의 ‘김청묵’이나 ‘이영조’와 같은 현대음악 작곡가들에 의해서도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많은 현대음악 작곡가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교과서에서도 수록되어 있는 현대음악 작곡가로 힌데미트를 들 수 있는데 그가 남긴 오르간 소나타 3곡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현대적 작곡기법의 형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오르간 음악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또 다양한 소리를 음악적 색채감을 입혀 표현한 작곡가로 잘 알려진 메시앙 또한 오르간 작품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아이디어를 표현한 대표적인 현대 오르간 작곡가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인 작곡가로는 1950년대 이후 동양인으로서는 드물게 서양의 주류 현대 음악계에서 그 재능을 인정받고 동양철학과 한국 전통 음악적 요소를 서양 현대음악 기법에 접목시켜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창조해 낸 윤이상은 오르간을 위해 두 개의 곡을 작곡했다. 윤이상 자신이 고안한 현대적 기보법을 사용한 <Tuyaux Sonores, 오르간을 위한 음관들>(1967)과 12음기법을 사용하여 작곡한 <Fragment, 오르간을 위한 단편>(1975)이 그것이다. <Tuyaux Sonores>에서는 다양한 기호를 통하여 오르간만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여 작곡하였고 <Fragment>에서는 12음 기법과 그만의 독특한 작곡기법을 이용하여 오르간 곡을 작곡하였다. 이처럼 오르간음악은 어느 한 시대의 음악을 대표하거나 특정 형식의 음악만을 표현해 내는 악기가 아니라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식의 음악으로 창작되고 있으며 다양한 현대음악의 특징들을 담아내기에 충분한 악기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오르간 악기의 역사와 개념, 그리고 오르간 음악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고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의 오르간 음악 수용가능성을 알아보고 윤이상의 생애와 그의 오르간 작품분석을 통해 현대음악으로서의 오르간 음악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일반과목인 <음악과 생활> 수업을 통해 오르간 음악을 이용한 감상 수업이 이루어졌을 때 현대적 기법으로 작곡된 오르간 음악을 수업하는 동안 학생들은 현대음악의 다양성을 경험하여 음악적 깊이와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는 오르간 음악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현대음악 감상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고등학교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의 지도방향 탐색 및 지도내용 구성 연구

        양정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정보화, 세계화 등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현실에서 학교교육의 사회 적합성 및 교육경쟁력 강화의 요구가 대두되었고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미래 적합성을 제고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고등학교 음악과 선택과목으로 ‘음악과 진로’가 신설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선택과목인 ‘음악과 진로’를 선택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유익할 수 있도록 교과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지도내용을 선정ㆍ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토대로 2009 개정 음악과 선택 교육과정 ‘음악과 진로’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교과 중심을 '음악'에 두어야 한다는 당위성 및 교육과정의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학습 영역을 선정하고 이에 적합한 학습 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한국직업사전과 한국표준산업분류를 활용하여 음악과 관련성이 있는 산업을 유도하였고, 음악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고등학생 인지 발달 특성 및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 주제에 적절한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학습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정하여 이를 교수·학습하는 계획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음악과 진로’ 교육과정 해설서와 교과서가 나오지 않은 시점에서 본 연구가 ‘음악과 진로’ 의 방향 설정 및 교과내용 구성에 기여할 것을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