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한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holistic, integrated dance education theory-based ballet program and apply that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verify its effect on university ballet majors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diagnoses the limitation of segmental education in the ballet education site and primaril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integrated ballet educ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application, it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nd would seek the possibility of creative professional dancers through presenting a systematic ballet education model. As for research subjects, convenient sampling was conducted with 20 ballet maj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n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is study measured changes in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s for measuring tool, the test sheet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produced by Moon & Oh (2012) was employed, and with the collected data, paired samples t-test covariance analysis,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olistic, integrated dance education theory-based balle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holistic ballet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holistic ballet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dance movement skillfulness and dance movement artistry,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ird, as for the pre-and-post-correlation of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with dance performance competence after the program, dance movement skillfulness (r= .984, p<.01) had a correlation more than dance movement artistry did (r= .872, p<.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style of balle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o integrated ballet educ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 based on the totality of danc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and facilitation of integrated ballet educ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a new ballet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대학 발레전공자의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홀리스틱 이론에 근거한 발레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통합적 발레교육의 재구조화를 통한 현장적용 가능성과 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응용적으로는 무용수행능력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구명하여 체계적인 발레교육 모델 제시를 통한 창의적 전문무용인재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K대학교 발레전공생 20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무용수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문영, 오레지나(2012)에 의해 제작된 무용수행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공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홀리스틱 통합무용교육이론 기반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첫째, 홀리스틱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홀리스틱 발레프로그램은 무용수행능력의 하위영역인 무용동작기술성과 무용동작예술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무용수행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무용수행능력은 무용동작예술성(r= .872, p<.01) 보다 무용동작기술성(r= .984, p<.01)이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레교육의 전통적 교육방식으로부터 벗어나 무용예술이 지니는 총체성을 기초로 학제 간 교류를 통한 통합적 발레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발레교육 모델 제시를 통해 통합적 발레교육의 활성화 및 수월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무용전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관계

        정미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무용공연불안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 이에 대한 지지근거를 마련해 향후 무용수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심층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30대 중 무용공연 경험이 있으며, 현재에도 무용 관련 업계에 속해있는 무용전공자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무용전공자의 특성 3문항, 긍정심리자본 24문항, 무용공연불안 2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설문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등(2007)이 개발한 PCQ(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를 정은영(2013)이 수정⸱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무용공연불안의 설문지는 문영, 김기웅(2006)에 개발한 DPAT(DancePerformance Anxiety Tes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 척도의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한 신뢰도(Cronbach's α)를 살펴본 후,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무용전공자의 성별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경력과 장르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과 무용공연불안과(인지적 불안, 자신감, 신체적 증상, 불안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무용전공자의 특성을 성별, 장르, 경력으로 구분하여 긍정심리자본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남자가 여자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르로 구분하였을 때는 한국무용이 가장 높고,그 다음으로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결론이도출되었다. 반면에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영역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은 무용공연불안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불안, 신체적 증상, 불안행동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공연불안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적인 긍정심리자본과 무용공연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나타났으므로,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무용공연불안은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가 공연상황에서 좌절하지 않고, 긍정적인 사고과 태도로 이겨낼 수 있는 심리적 자본인 긍정심리자본이라는 긍정적 정서를 통해 무용공연불안이라는 부정적 정서를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무용전공자가 무용공연상황에서 불안을 느낄 때, 융통성 있고 열린 마음가짐을 가지며, 미래의 고난과 어려움에 대처하고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무용전공자가 무대상황에서 무용수행 시훈련을 통해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방안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 anxie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dance majors,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for in-depth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in dancers in the future. A survey was conducted on 202 participants, aged 20 to 30, who had dance performance experience and were currently involved in the dance industry.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items on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s, 24 item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23 items on dance performance anxiet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for collecting data. The questionnaire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utilized the PCQ (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 developed by Luthans et al.(2007) and revised by Jeong Eun-young(2013). The questionnaire for dance performance anxiety utilized the DPAT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 developed by Moon Young and Kim Ki-woong(2006).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scale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as examine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dance majors,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ased on career and genre. Finall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hope, resilience)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cognitive anxiety, self-confidence, physical symptoms, anxiety behavior). The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dance majors, such as gender, genre, and career, revealed that males showed slightly higher levels compared to females. In terms of genre, Korean dance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contemporary dance and balle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career.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hope, resilience) and the sub-dimensions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cognitive anxiety, physical symptoms, anxiety behavio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fidence, a sub-factor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over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rrespond to lower levels of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psychological resource that allows dancers to overcome dance performance anxiety with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can offset negative emotions. Additionally, they demonstrate that when dance majors experience anxiety in dance performance situati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nables them to maintain a flexible and open mindset, cope with futur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and possess a positive belief in success. This positive influence suggests potential strategies for dancers to overcome anxiety through training during dance performances.

      • 중학생 인성 강화를 위한 미디어 활용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은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미디어 활용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박성미, 허승희(2012)의 청소년용 인성 평가 척도(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타인에 대한 존중,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 정신)와 문영(2014)의 홀리스틱 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을 바탕으로 춤 만들기, 간학문적 요소를 활용하여 무용과 미디어 매체를 통합한 총 8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4학급(여학생 51명, 남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무용교육프로그램 수업 전·후 설문지의 점수를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인성에 총체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첫째,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인성 개인가치 하위요인에서 도덕적 판단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인성 개인가치 하위요인 성별 분석 결과 여학생에게서 심미적 소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무용교육프로그램 청소년 인성 대인가치 하위요인에서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넷째, 무용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인성 사회가치 하위요인 성별 분석 결과 여학생에게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미디어를 활용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 결과를 토대로 학교 내 예술활동 무용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무용 분야 인성교육의 확대와 심화를 기대한다.

      • 융합형 무용교육자 역량 강화를 위한 발레교육프로그램 연구

        천혜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발레교육의 발전, 교육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융합형 발레교육자에 대한 요구가 필연적인 시점에서 융합교육의 개념 및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외 융합교육의 현황을 통해 발레에서의 융합교육 필요성을 탐구하여 문영, 서예원(2017)의 융합형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융합형 무용교육자 역량 강화를 위해 발레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제시하였다. 이는 발레에서의 융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융합교육 교수설계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응용적 가치를 지닌다. 본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융합형 무용교육자의 역량; 융합현상이해, 융합문제해결, 융합태도 이 세 가지를 강화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역량을 대표할 수 있는 내용과 연계하여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융합태도역량의 교육내용으로 ‘창의융합리더쉽’, ‘공유발레’를 주제로 선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학습하는 기본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프로그램 초반에 구성하였다. 융합현상이해역량에 대한 교육내용으로는 ‘인문예술기술융합’, ‘융합형 공연예술’에 대한 주제로 학습한다. 융합문제해결역량은 ‘테크놀로지와 융합발레콘텐츠’, ‘융합교수학습도구개발’, ‘융합발레교육프로그램 제작 및 실습’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융합형 발레교육프로그램은 추후 전문 무용인 교육기관에 적합한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되어 현장성있는 기관 및 단체에서 다양하게 응용,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a balle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the capacities of convergence dance educators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of educational model for fostering convergence dance ducator of Moon and Suh (2017),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loring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in ballet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age in which the development of ballet education responding to changes with the times,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convergence dance educators are inevitable. It is judged that this program has theoretical and applicative values in that it arouses the people to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can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designing the instructional design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that could enhance three capacities of convergence dance educator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convergence phenomenon understanding, convergence problem-solving, and convergence attitude, and the topics judged to be valid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that could represent each capacity were drawn.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nvergence attitude capacity, ‘creative convergence leadership’ and ‘shared ballet’ were selected as topics, which were included in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so that the learners could have the basic attitude towards the learning of the program.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nvergence phenomenon understanding capacity, the learners would learn with the topics of ‘humanity/art/technology convergence’ and ‘convergence performing arts.’ For the convergence problem-solving capacity, they would learn by selecting the topics of ‘technology and convergence ballet contents’,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tools’ and ‘the production and practice of a convergence ballet education program.’ Hopefully, the convergence balle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bove can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appropriat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professional dancers and applied and developed at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the fiel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 한국창작발레 발달 연구

        이나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발레가 소개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별 대표 작품과 대표 안무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창작발레사를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발레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발레가 프랑스로 또 러시아로 옮겨지면서 큰 성장을 이루었고 다시 세계발레로 확산하였다. 이처럼 발레는 각 국가의 환경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변화하였고 특히 러시아는 서구의 발레를 민족발레로서의 성격을 띤 ‘러시아발레’로 발전시켰다. 우리나라 또한 발레를 우리나라만의 발레 예술로 만들어야 하는 소명을 가지고 한국의 것, 한국의 멋을 담은 한국창작발레를 만들어 내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창작발레의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시기를 분류하여 발전사를 고찰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한국창작발레의 초기 태동기는 한국발레의 선구자 임성남이 국립발레단의 창단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대부분 작품이 소품 형식으로 한국창작발레의 정립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홍정희는 대학 안에서 발레 교육의 정착에 힘썼으며 민족적인 성향이 보이는 작품을 안무했다. 둘째, 한국창작발레의 전개 및 부흥기는 대한민국의 메가 이벤트로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문화축전을 위한 정부의 예산 규모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국립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 광주시립무용단을 비롯한 많은 동문발레단과 개인발레단에서 새로운 한국창작발레를 안무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했다. 이 시기에는 광주시립무용단의 박금자가 여러 편의 스펙터클한 장편 작품을 안무하여 한국창작발레의 기틀을 완성하였다고 사료된다. 셋째, 한국창작발레의 도약기는 정부의 순수예술에 대한 지원이 적어지고 새로운 한국창작발레를 안무하는 작업이 다소 침체되어 있는 분위기를 지닌다. 이 시기에는 문병남, 문영, 김유미, 이영애가 기존의 작품을 재안무하는 작업을 해왔고, 강효형, 문병남, 유병헌 등 새로운 작품을 안무하는 작업도 있었지만 대부분 일회성으로 그치고 과거에 비해 단순한 형식의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진정한 한국발레는 우리만의 한국창작발레일 때 비로소 가능하다. 각 나라마다 국가를 대표하는 발레가 있듯이 우리도 우리만의 정서가 깃든 작품을 지속적인 기획, 창작, 향유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적으로는 안무가를 양성하는 특성화된 교육과정, 정책적으로는 시·도립 발레단의 확대, 창작적으로는 한국적 소재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창작발레 활성화를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 creative ballet in a general way, focusing on representative works and choreographers at each era from the introduction of ballet in Korea to the present. Ballet has been ceaselessly changing and evolving with the times and environment. Ballet was born in Italy and grew considerably when it moved to France and to Russia, then spreading to the world. Thus, ballet has changed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in particular, Russia has developed 'Russian ballet' from Western ballet, which is characterized as national ballet. With the mission to make ballet Korea's own ballet art, Korea has also achieved remarkable growth to create Korean creative ballet full of Korean traits and sty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of Korean creative ballet, this study examined its development history by categorizing the periods as follows. First, the early years of Korean creative ballet began with the founding of the Korea National Ballet by the pioneer of Korean ballet, Lim Sung-nam but most of performances were in the form of short works, which nevertheles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reative ballet. In addition, Hong Jung-hee strived to establish balle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horeographed works with Korean ethnic leanings. Second, the period of development and revival of Korean creative ballet is marked by an increase in the government's budget for the cultural festivals of the 86 Asian Games and the 88 Seoul Olympics, which were mega events in Korea, and active attempts by many alumni and private ballet companies, including the Korea National Ballet, the Universal Ballet, and the Gwangju City Ballet, to choreograph new Korean creative ballets. During this period, Park Geum-ja of the Gwangju City Ballet choreographed several spectacular long works, which is believed to have completed the foundation of Korean creative ballet. Third, since the Korean Creative Ballet's period of leaps,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fine arts has dwindled, and the choreograph of new Korean creative ballets has been somewhat stagnant. During this period, Moon Byeong-nam, Moon Young, Kim Yumi, and Lee Young-ae worked on re-choreographing existing works, and Kang Hyo-hyung, Moon Byeong-nam, and Yoo Byung-heon choreographed new works. However, most of them are one-off, and simpler works have been created than those in the past. True Korean ballet is only possible when it is our own Korean creative ballet. Just as each country has its own national ballet, we should continue to plan, create, and enjoy works with our own sentiments. To do so, we propose to revitalize Korean creative ballet through specialized curricula to train choreographers, expansion of city and provincial ballet companies, and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Korea's own materials.

      • 대학생 리더십 강화를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채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은 인문학적 상상력, 예술적 감성, 창조적 지식, 융합적 사고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량은 곧 새로운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리더의 핵심역량과도 일치한다하겠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리더십 교육의 패러다임도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과거 조직과 기업에서만 부각되었던 리더십이 학교 및 개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학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해야하는 해결책을 리더십 교육에서 찾아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교육을 대학생에게 필수적인 교육으로 파악하였으며,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자 대학생의 리더십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양하게 해석되어지는 리더십 개념 및 이론, 그리고 리더십 구성요소와 리더십 교육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합예술교육의 이론을 기반으로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고, 통합예술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하여 대학생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김미영, 2010)에서 도출한 리더십 개발차원을 바탕으로 자아리더십, 대인리더십, 공동체리더십, 글로벌리더십을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홀리스틱 이론기반 통합무용교육과정 모형(문영, 2014)의 교수-학습 방법인 전달, 교호, 변용을 채택하고 교육내용을 춤에서 예술로 범위를 확장시켜 예술읽기, 예술체험, 예술공유로 적용하여 총 10차시의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자아에서부터 출발하여 타인과 공동체 그리고 글로벌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1-5차시는 목표설정과 적극적인 자기관리를 통해 사회에 적응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며, 6-10차시는 공동체 협력을 통해 문제를 인지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여 급변하는 세계화 시대를 적극 수용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추후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되어 그 효과가 양적 · 질적으로 검증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대학생의 리더십 교육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re competencies of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may include: humanistic imagination, artistic sensibility, creative knowledg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these competencies are consistent with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leaders who will lead the new society of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stream of times, the paradigm of leadership education, too, is rapidly chang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leadership, which was highlighted only in organizations and companies, has extensively expanded to schools and individuals. In particular, universities look for the solution for fostering the talent required by society in leadership education. Thus, this study regarded leadership education as essenti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developed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improv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competencies, so as to cultivate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 that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Before the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could confirm the necessity of leadership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 theory of leadership, and the components and types of leadership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its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theory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preceding studie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alysis, this study established self-leadership, interpersonal leadership, community leadership and global leadership as educational objectives based on the dimension of leadership development drawn from college students'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Mi-young, Kim, 2010). In addition, this study composed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10 class hours, adopting transmission, transaction and transforma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holistic theory-based integrated dance curriculum model (Young, Moon, 2014)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rom dance to arts by applying them to literature, performance&production, sharing art.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s above will be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that its effects 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verifi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of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

        진승화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무용수들이 무대 위에서 무용을 수행할 때 느끼는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인 성취목표성향과 무용수 개인의 선천적인 공연불안 성향인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가 있는가? 둘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에는 관계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공연불안 이론의 보다 구체적인 지지근거를 마련함은 물론, 무용공연불안해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 전에 실시한 예비조사를 통해 기존의 성취목표성향검사와 무용공연불안검사의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를 검토하고, 전문가 회의를 거쳐 검사지를 제작한 후,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수 52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결과, 각 요인별 문항 신뢰도가 .723 이상으로 조사도구의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며, 본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활동 중인 무용수를 선정하였으며, 예술 고등학교 재학생 108명, 대학교 재학생 132명, 전문 단체 소속 무용수 90명으로 총 330명이 구성되었다. 조사도구는 무용 상황에 적합하도록 보완한 Duda(1992)의 스포츠 목표성향 질문지과 문영, 김기웅(2006)의 무용공연특성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이 무용공연특성불안의 인지적 불안, 신체적 증상, 불안 행동요인에 비해 자신감 요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무용공연 시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을 지닌 무용수들이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 보다 더 낮은 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는 성취목표성향의 각각의 하위요인에 따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은 자신감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은 인지적 불안 및 불안 행동 요인과의 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공연 상황에서 발생한 자신의 성공과 실패를 개인적인 숙련과 자기발전의 범주에서 판단하는 과제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이 타인과의 비교를 통하여 자신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자아지향적 목표성향의 무용수들 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한 방해와 압박을 덜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는 결과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연수행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요인 중 하나인 성취목표성향과 무용공연특성불안의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공연불안 이론의 지지근거를 마련하는 이론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실제 무용현장에서 교사가 무용수의 불안수준을 절감시킬 수 있는 심리적, 신체적 훈련기법 및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응용적 가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hich are the two efficient psychological factors of dancers when they perform on stage. The first subject for this study is whether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 second subject is figuring ou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fro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vide a fundamental resource for developing dance programs to resolve performance anxiety of dancers. A preliminary survey from university students of fifty two was implemented which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s, a open session with experts, and making the survey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method was secured by testing each questionnaire and by gaining .723. Also the result was defined through assessing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in quantitative way. Total 330 people were studied who perform currently in Seoul and Gyunggi-do which consisted of 108 art high school students, 132 university students, 90 dance specialist group.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TEOSQ) by Duda(1992)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Test(DPAT)` by Moon, Young and Kim, Gi-Woong(2006) were used as references and all the survey was tested for reliability through feasibility study. Correlation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se the study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there is a relevanc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Dancers who have the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ve less anxiety than the dancers who have the eg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cause the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higher effects on confidence factors than dance performance anxiety does on recognition anxiety, physical symptom, and performance anxiety. Secondly,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from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of dancers ha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w cause of the orientations. As it mentioned from the first study result, task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confidence causes and eg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n recogni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This exposes the task oriented dancers who define the successful performance as a self-development feel less pressure and interfere from the anxiety causes than the ego oriented dancers who focus on proving their abilities are higher than other dancers.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since it testifies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which causes variable performance resul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upport previous studies on performance anxiety, will be another resource for in-depth study theoretically, as well as for crea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s that instructors are able to use them to reduce the anxiety of dancers practically.

      • 에듀테크를 활용한 무용 기능 해부학 프로그램 개발

        현혜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은 교육 개념과 교육 시스템에 변화를 몰고 왔다. E-Learning을 비롯한 매체의 등장과 함께 스마트 기기의 활발한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ICT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학습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 IT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법은 무용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는 무용을 기반으로 과학·기술분야와의 융합 교육콘텐츠를 선제적으로 개발하고 융합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선진교육 모델 창출 및 학문적 시대적 조류를 반영한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조주연, 문영, 2021). 위와 같이 무용 교육 분야에서도 에듀테크의 교육적 가치와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무용 교육 콘텐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문 무용 교육에서는 에듀테크의 주요 기술에 대한 인식과 적응력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그 중요성에 비해 에듀테크를 활용한 전문 무용 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도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ICT 기술 발달에 따른 교육 콘텐츠가 무용 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검토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무용 교육 콘텐츠가 무용 기능 해부학과 같은 전문 무용 교육에서도 도입이 가능한지 그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있으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전문 무용 교육 콘텐츠 개발 관점에서 에듀테크의 도입 필요성 및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areas of learning and education are experiencing tremendous changes with emerging technologies – new educational platforms such as E-learning along with smart devices have opened up a new era of learning and education. Dance education is not an exception – new educational methods adopting ICT has triggered a paradigm shift in dance education. The Research Institute of Total Arts at Kookmin University has been leading effort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adopting the emerging technologies, specifically in dance education, in order to train education experts in the fields of total arts, and thus to develop the new education model and methodology. Nevertheless, dance education is still at its nascent stage, especially in terms of applicability of edutech, and the adoption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al contents and programs using edutech is still low.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educational contents using ICT (edutech) in the fields of dance education -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functional anatomy for dance.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ance educational contents using edutech. The research is designed in 3 steps. First, it has started with deep dives on the key technologies of edutech through paper research and data analysis. Then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program using clear visualization of function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used in dancing has been established as a learning goal. Lastly, the detailed lecture plan has been developed for each section of a dance functional anatomy, based on expert discussions and ‘B(BODY)-FOR ME’ application - to best promot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ke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laid the groundwork for the actual application of dance educational contents using edutech - it will enable a shift towards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from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learning driven by learner’s interest will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the fields of dance education.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s of dance education using edutech, which would contribute to a new learning and education model in dance education.

      •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즉흥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육난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산업의 발전에 따른 현대사회는 무한 경쟁시대로 변화하였다. 사회와 기업에서는 ‘창의성’을 경쟁력의 핵심역량으로 보고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예비 사회인인 대학생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즉흥무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이론을 토대로 창의성의 개념, 하위요인,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즉흥무용의 개념, 즉흥무용의 자극유형 및 움직임요소, 교육적 효과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창의성 및 즉흥무용에 대한 문헌분석을 토대로 개발된 즉흥무용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흥무용의 유형 중 시각, 청각, 촉각, 운동지각과 창의성의 접근방법 및 움직임의 기본요소를 구성 원리로 설계하여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민감성, 정교성, 상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다. 프로그램을 4단계인 ‘Four Making’으로 구성되었으며 1단계는 ‘Focus Making’ 시각적 자극을 통해 확산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2단계는 ‘Sound Making'으로 청각적 자극을 통해 사고의 유연성을 기르며 3단계는 'Contact Making'으로 접촉을 통해 신체인지 및 민감성 발달, 마지막으로 4단계는 ’Hybrid Making'으로 모든 지각을 융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를 구성하였으며 차시별 구성은 도입, 전개1, 전개2, 마무리로 나누어진다. 도입에서는 출석체크, 수업 목표 제시 및 준비운동을 진행하고, 전개1과 전개2에서는 각각 차시마다 교수자의 목표와 학습자의 목표 및 학습목표에 준거하여 창의성의 하위요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향후 무용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즉흥무용교육의 창의성 효과검증 및 수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며, 창의성 교육에서 즉흥무용의 영역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 연구

        라수련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People aim to ge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the process consuming leisure and culture creatively. The desire for the creative leisure and culture enjoyment is shown as the interest in cultural leisure and culture & arts activities in local community spac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during daily life. As such local community space has been playing a role as cultural space to provide cultural pleasure in rea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mmunity space within the cultural aspect. This is a study based on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it aims to confirm the ultimate meanings of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and to suggest the culture & arts contents that could be used in it. In ChapterⅡ, the concept of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n its functions and roles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ommunity space and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It is ‘a hub of the local culture that actively connected between local community space and local residents, and voluntary culture & arts contents, which carries experiential·creative activities, based on the local identity'.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performs various functions and roles like ① meeting cultural desires through culture and arts, ② activating voluntary culture and arts, ③ supporting creative activities for artists, ④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⑤ vitalizing local community, and ⑥ developing the region. ChapterⅢ performed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changing from idle space to a hub of the culture & arts for residents and artists. The main suggestions, the methods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futur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 arts contents that can be applicable in it, are listed below. First,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should be established on basis of both active institutional and definit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Meanwhile the government should flexibly respond to opinions of residents and artists during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Second,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should have great access geographically. It should be built up as a familiar space taking plac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instead of being a simple symbolic icon of the region. Third,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should aim for networking of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management system driven by resident themselves.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should take charge of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as multi-partnership relation, and also build a base to manage the space proactively by residents, artists, and voluntary culture & arts clubs. Fourth,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should run the experiential·creative voluntary culture & arts program reflected in regional and life features. When the voluntary culture & arts program reflected local identity are provided, residents can share the local culture focusing on their own basic of life. Also it can form a sense of attachment, belonging, and sympathy toward their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is to give opportunities to resolve misunderstandings caus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o provide a place for communication in order to build an active networks. As a hub of voluntary culture & arts, th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can induce residents to recognize and cope with many problems in the region as well as the region can create new local cultures and vitalize its own unique culture. This study anticipates being used for data to explore and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existing culture facilities and the future cultural-complex community space, and to develop various culture & arts contents. 현대인들은 여가와 문화를 창조적으로 소비하는 과정을 통해 정신적 만족을 얻고자 하며, 창조적 여가 및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에서의 문화여가 및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이 문화적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문화공간의 역할을 수행하는 현실에서 문화적 관점에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연구로,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의 진정한 의미를 확인하고 그 안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문화예술콘텐츠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커뮤니티 공간과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립,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역 커뮤니티 공간과 지역주민, 그리고 체험·창작형의 생활문화예술콘텐츠가 활발하게 연계된 지역문화의 거점 공간’이며, ① 문화예술을 통한 문화적 욕구충족, ② 생활문화예술 활성화, ③ 예술가들의 예술창작활동지원, ④ 삶의 질 향상, ⑤ 커뮤니티 활성화, ⑥ 지역 활성화의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한다. Ⅲ장에서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의 문화예술 거점공간으로 탈바꿈시킨 국내·외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의 조성 및 운영방법과 그 안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문화예술콘텐츠 개발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정부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조성이 이루어져야하며, 정부는 설립과정에 있어 지역주민과 예술가의 의견에 탄력적으로 반응해야한다. 둘째,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지리적으로 좋은 접근성을 가져야 하며, 단순히 지역의 상징물로 존재하는 공간이 아닌 지역주민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친근한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민관 협력형의 네트워킹과 주민 주도적 운영체계를 지향해야 하며, 정부와 기업은 멀티 파트너쉽 관계로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담당하고 지역주민과 문화예술동호회, 지역예술가가 주도적으로 공간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넷째,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밀착적이고 생활 밀착적인 체험·창작형의 생활문화예술콘텐츠를 운영해야 한다. 지역정체성을 반영한 생활문화예술콘텐츠를 제공할 때 지역주민들은 자신의 생활기반을 중심으로 지역의 문화를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소속감 및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로 거듭날 수 있다.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다양한 연령의 지역주민들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면서 각 세대 간의 정보나 이해부족으로 발생되는 오해들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활발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생활문화예술활동의 거점공간으로서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의 여러 문제들을 지역주민들 스스로가 인지하고 대처해나가게 유도할 수 있으며, 지역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새로운 지역문화를 생성하거나 각 지역이 가지는 고유한 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조성 될 복합문화 커뮤니티 공간과 기존 문화시설의 운영방안 개선 및 모색과 다양한 체험·창작형의 문화예술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