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7년 패션 트렌드에 따른 네일 디자인 연구

        조양현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네일 아트 시장은 현재 헤어, 메이크업 등의 뷰티 업계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개인의 미적 욕구 충족과 개성 표현을 위한 토탈 패션으로서 패션과 네일 아트는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패션 트렌드와 네일 아트를 접목시킨 디자인에 관한 선행 연구가 전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가올 2017년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네일 디자인 개발을 하였다. 본 연구는 전 세계의 패션 트렌드를 이끌어 가고 있는 프레타포르테(Pret-A-Porte) 컬렉션을 토대로 2017년 런던(London), 뉴욕(New York), 밀란(Milan), 파리(Paris)의 S/S, F/W 시즌으로 하여 각 나라 별로 컬렉션에서 자주 등장했던 패션 트렌드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 키워드를 대표하는 5명의 디자이너를 선정하여 실루엣, 소재, 컬러, 디테일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김혜경(2011) ‘패션 트렌드와 이미지’ 책을 참조하여 각 파트별 주제에서 기 분석한 패션 트렌드 키워드와 연계하여 파트 별로 2 가지 주제씩 선택하여 총 10가지 네일 디자인 작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패션 트렌드 분석에 앞서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는 네일아트의 개념 및 역사 그리고 그 표현기법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네일아트는 한 시대적인 현상이 아닌 오랜 역사를 가진 미용의 한 분야로서 오늘날 예술적인 개념이 확장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와 접목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될 수 있는 잠재력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표현 기법인 핸드페인팅, 디자인 스캅춰, 라인스톤, 마블, 포크아트, 2D Art, 3D Art, 믹스미디어, 댕글, 스트라이핑 테이프, 워터 데칼, 젤 시스템, 아크릴릭 시스템 등의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발전되고 있다. 패션 트렌드의 사전적인 의미는 양식, 습관, 형식, 관습, 유행 등의 다양한 의미를 뜻하며 만드는 일, 행위, 행동 등을 뜻한다. 이에 대한 함축적인 의미는 단순히 복식 그 자체뿐만 아니라 해당 복식이 유행했던 배경과 그 현상까지 의미하며, 이를 통해서 그 시기를 살아갔던 사람들이 추구했던 가치의 흐름까지 읽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의미를 가진 패션 트렌드는 패션 컬렉션을 통해 시즌 별로 해마다 다양한 트렌드 키워드를 양산하고 있다. 따라서 패션 컬렉션을 통해서 트렌드를 분석하고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는 것은 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017년 S/S 시즌 런던에서는 로맨틱, 트래디셔널, 컷아웃, 큐비즘, 퓨처리즘, 밀리터리룩, 버티컬 스트라이프가 있었고 뉴욕에서는 로맨틱, 트로피컬, 인프라의상, 슬라우치룩, 레트로, 해체주의, 스트라이프가 있었다. 밀란에서는 인프라 의상, 에슬레저, 레트로, 밀리터리룩, 시스루가 있었고 파리에서는 인프라 의상, 젠, 70·80년대 레트로, 시스루가 있었다. 2017년 F/W 시즌 런던에서는 라운드 숄더, 벨벳, 칼라, 로맨틱, 멀티 슬릿, 콜라주, 컷아웃이 있었고 뉴욕에서는 벨벳, 퍼, 빈티지, PVC가 있었다. 밀란에서는 판타스틱, 트래디셔널, 인프라 의상, 에스닉이 있었고 파리에서는 에슬레저룩, 빅토리아 스타일, 매니시, 프리미티브, 인프라 의상, 케이프가 있었다. 이러한 2017년 패션 트렌드 주요 키워드와 김혜경(2011) ‘패션 트렌드와 이미지’ 책에서 언급된 주제들 중에서 관련성이 높은 10가지 주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네일 아트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각 주제 당 작품 1점씩 총 10점을 제작하였다. 2017년도 패션 트렌드와 연관된 주제를 트래디셔널, 빈티지, 에스닉, 젠, 프리미티브, 트로피컬, 해체주의, 인프라, 로맨틱, 판타스틱 총 10가지로 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일 디자인 작품 총 10점을 개발하였다. 작품 Ⅰ은 복식에서 클래식(Classic)의 하위개념인 트래디셔널을 주제로 하였다. 주된 무늬로 많이 사용되는 하운드 투스 체크와 타탄체크를 네일 표현기법 중 하나인 워터 데칼로 사이즈의 변화를 주었다. 그리고 2D 아트 표현기법으로 젤에 아크릴을 섞어 볼륨감 있는 타탄 체크를 표현하였다. 작품 Ⅱ는 빈티지를 주제로 하였다. 빈티지는 과거의 제품을 그대로 가져와 현대 패션에 이용하는 재활용 패션의 의미와 과거 특정 시대의 스타일을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재생 패션의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빈티지의 소재 활용은 데님, 워싱 기법, 비즈, 손뜨개, 구슬 백, 패치워크, 꽃무늬 자수 등이 있다. 젤 시스템을 사용하여 워싱 된 데님 아트를 하였다. 그 위에 좀 더 입체감을 줄 수 있게 데님 천을 락스로 워싱하여 찢어진 청바지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 Ⅲ은 민족적 양식, 민속 풍의 에스닉을 주제로 하였다. 에스닉 느낌을 주로 나타내는 나라는 중근동 지방, 중남미 잉카 문명의 문화, 중앙아시아의 인도와 인도네시아, 극동아시아의 중국, 한국, 일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일본의 기모노와 중국의 치파오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전개하였다. 네일 폴리시를 사용하여 기모노 스타일의 소재 느낌을 표현하였고 끈을 사용하여 오비 벨트를 표현하였다. 핸드페인팅 기법을 사용하여 치파오의 자수를 표현하였고 끈을 사용하여 면 매듭을 표현하였다. 또한 동양풍의 양식에서 자주 사용되어지는 자개를 사용하였다. 작품 Ⅳ는 동양적인 사상과 미니멀리즘의 요소가 결합된 특징이 있는 젠을 주제로 하였다. 젠 스타일은 동양적 이미지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동양적인 색채도 볼 수 있다. 실크, 젤 시스템, 워터 데칼을 사용하였다. 동양의 사군자 중 란과 죽을 차용하여 서예의 먹 느낌을 젤 폴리시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한자 워터 데칼을 사용하여 서예느낌을 더하였고, 자개를 사용하여 동양풍을 표현하였다. 작품 Ⅴ는 원시적인 이미지를 말하는 프리미티브를 주제로 하였다. 프리미티브는 낡고 퇴색된 듯한 컬러가 특징적이며 이집트의 상형문자나 추상적이며 기하학적인 문양이 대표적이다. 자연속의 소재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깃털 장신구 등이 대표적이다. 추상적인 문양을 차용하여 워터 데칼을 활용해 핸드페인팅을 하였고 의류 부자재로 사용되는 깃털을 활용하였다. 벨벳파우더를 사용하여 원시적인 느낌을 더하였다. 핸드페인팅, 2D 아트, 워터 데칼, 스톤아트 표현 기법이 사용되었다. 작품 Ⅵ는 트로피컬을 주제로 하였다. 열대 지방의 컬러인 대담하며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였다. 문양이 큰 잎이나 꽃무늬, 열대 지방의 조류인 앵무새와 플라밍고를 모티브로 하였다. 핸드페인팅, 2D 아트 표현 기법을 사용하였다. 작품 Ⅶ는 해체주의를 주제로 하였다. 해체주의의 해체주의는 기존의 정의와 개념을 해체해 나가자는 철학적인 이론의 바탕으로 단순한 해체와 더불어 유지하는 힘까지 내포한다. 해체주의의 표현기법인 손상, 찢음, 뚫기, 과장을 차용하였다. 네일 이라는 손톱의 형태를 탈피하여 찢고 뚫거나, 손상, 홈을 만드는 등의 형태로 과장되거나 파괴된 손톱의 형태를 표현하였다. 블랙, 그레이, 화이트의 무채색 계열을 사용하였다. 작품 Ⅷ는 속옷의 겉옷화 현상을 나타내는 인프라 의상을 주제로 하였다. 인프라 의상은 가장 포괄적인 개념으로 겉옷 속에 들어가는 모든 기본 옷의 총칭을 뜻한다. 브라와 팬티, 코르셋을 빌더젤을 활용한 2D 아트의 표현기법으로 속옷의 입체적인 느낌을 주었다. 인프라 의상의 대표적인 소재인 레이스의 무늬를 차용하여 속옷의 느낌을 가미해 줄 수 있는 레이스 패턴을 핸드페인팅 하였다. 작품 Ⅸ는 로맨틱을 주제로 하였다. 로맨틱 풍성한 꽃무늬를 형상화 하거나 은은한 색상, 리본 · 프릴 · 러플 · 셔링 등 다양한 디테일이 있다. 장미를 모티브로 하여 레드, 퍼플, 옐로우, 핑크, 살몬 핑크 컬러의 5가지 색을 사용하였다. 장미를 아크릴 시스템을 사용하여 3D 아트로 표현하였다. 진주 스톤을 사용해 로맨틱함을 더하였다. 작품 Ⅹ는 환상의 라는 뜻으로 판타지(fantasy)의 형용사인 판타스틱을 주제로 하였다. 판타스틱 의상은 스타일이나 디자인 보다는 컬러의 배합이 중요시 된다. 컬러는 퍼플, 핑크, 화이트, 골드, 실버를 사용하였다. 글리터 젤을 사용하여 볼륨 있는 표현위에 화이트 젤을 올려주었으며 큐빅 보다 더욱 영롱하게 반짝이는 스와로브스키 스톤을 사용하였다. 본 작품은 컬러와 크고 반짝이는 느낌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2017년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접목시킨 네일 아트 디자인 총 10점을 개발하면서 네일 아트가 개인의 미적 욕구 충족과 개성 표현을 위한 토탈 패션으로서 패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한 장르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네일 아트 디자인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패션 트렌드에 기반한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 및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 nail art market is now growing very swiftly in the beauty business circles such as hair and make-up. As the total fashion for satisfying an individual's aesthetic desire and expressing personality, the fashion and the nail art have a close relationship. However, there is nonexistence in a previous research on design with the integration of fashion trend and nail art. Thus, this study analyzed fashion design in the upcoming 2017 and developed the originative and creative nail design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elicited the fashion-trend key words, which often appeared in collection by each country with S/S, F/W season in London, New York, Milan and Paris for 2017 based on the Pret-A-Porte collection, which proceeds with leading fashion trend in the whole world, selected 5 designers who stand for the key words, and analyzed silhouette, material, color and detail. And the aim was to develop totally 10 nail design works through referring to Kim Hye-gyeong(2011)'s book titled ‘fashion trend and image,’ through connecting it to the fashion-trend key words, which were already analyzed in a theme by each part, and then through selecting two themes by part. Prior to analyzing the specific fashion trend, it confirmed a concept & history, and its expression technique in nail art, which can becom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s the nail art is one field of beauty care, which has long history, not a timely phenomenon, it is being extended an artistic concept today and is integrated into the quickly-changing fashion trend, thereby being confirmed the potentiality available for being developed into diverse forms. This is being developed through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hand painting, design sculpture, rhinestone, marble, folk art, 2D Art, 3D Art, mix media, dangle, striping tape, water decal, gel system, acrylic system, which are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being generally performed. A dictionary definition in fashion trend implies various meanings such as style, habit, form, custom and vogue, and signifies what makes, action and behavior. The implication on this involves the background and even its phenomenon, which had been prevailed the corresponding costume, merely as well as attire itself. This leads to being available for reading even a flow of a value that was pursued by people who had proceeded with living in the times. Fashion trend, which has this meaning, is mass-producing diverse trend key words every year by season through the fashion collect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analyzing trend and drawing key words through the fashion trend. In London during the S/S season for 2017, there were romantic, traditional cut-out, cubism, futurism, military look, and vertical stripe. In New York, there were romantic, tropical, infra apparel, slouch look, retro, deconstruction, and stripe. In Milan, there were infra apparel, athleisure, retro, military look, and see-through. In Paris, there were infra apparel, zen, retro in the 70s·80s, and see-through. In London during the F/W season for 2017, there were round shoulder, velvet, collar, romantic, multi-slit, collage, and cut-out. In New York, there were velvet, fur, vintage, and PVC. In Milan, there were fantastic, traditional, infra apparel, and ethnic. In Paris, there were athleisure look, victoria style, mannish, primitive, infra apparel, and cape. It elicited these main key words of fashion trend in 2017 and 10 themes with high relevancy among the themes, which were mentioned in Kim Hye-gyeong(2011)'s book titled 'fashion trend and image.' Totally 10 pieces by 1 piece in each thematic work were made by applying this to the development in the nail art design. The themes, which are connected to fashion trend in 2017, were set to be totally 10 kinds such as traditional, vintage, ethnic, zen, primitive, traditional, deconstruction, infra, romantic, and fantastic. Based on this, totally 10 pieces of the nail design works were developed. Work Ⅰ had a theme as traditional, which is a sub-concept of classic in costume. The hound tooth check and the tartan check, which are much used as a chief pattern, were given a change in size with water decal, which is one of the nail expression technique. As the 2D art expression technique, the tartan check with a sense of volume was expressed by mixing gel with acrylic. Work Ⅱ had a theme as vintage. Vintage has two meanings such as a meaning of the recycled fashion, which literally brings a product in the past and uses it in modern fashion, and a meaning of the regenerated design, which re-analyzes it modernly with applying a style in the specific age of the past. In the utilization of vintage materials, there are denim, washing technique, beads, knitting, a beaded handbag, patchwork, and floral embroidery. The washed denim art was made by using gel system. A feeling of the ripped jeans was expressed by washing the denim cloth in order to possibly give a cubic effect over it. Work Ⅲ had a theme as ethnic in a racial & national style. The countries, which are mainly shown an ethnic feeling, include the middle and near East region, the culture in Inca civilization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India & Indonesia in central Asia, China, Korea and Japan in Far East Asia. A work was developed by gaining inspiration from Japan's kimono and China's Qipao out of this. A feeling of a material in kimono style was expressed by using nail polish. Obi belt was expressed by using a string. The embroidery in Qipao was expressed by using the hand-painting technique. A cotton knot was represented by using a string. Also, mother-of-pearl was utilized that is often used in the Eastern style. Work Ⅳ had a theme as ze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riental thought and the minimalism element. Zen style includes oriental image as well, but can be seen even an oriental color. Silk, gel system, and water decal were used. A feeling of ink stick in calligraphy was represented by using gel polish through borrowing orchid and bamboo out of Sagunja(四君子) in the East. A calligraphic feeling was added by using the water decal in Chinese character. The Oriental style was rendered by using mother-of-pearl. Work Ⅴ had a theme as primitive, which implies a primitive image. Primitive is characterized by color as if being old and tarnished and is represented by a hieroglyphic character or abstract & geometrical pattern in Egypt. The majority is what is made with a material in nature. Plumage jewellery and others are typical. Hand painting was made by utilizing water decal with borrowing the abstract pattern. A feather, which is used as a subsidiary material of clothing, was applied. A primitive feeling was added by using velvet powder. Hand painting, 2D art, water decal, stone art expression techniques were used. Work Ⅵ had a theme as tropical. Bold and intensive tone, which is color in tropical regions, was used. A pattern had a motive as a large leaf or a floral pattern and as a parrot and a flamingo, which are birds in the tropics. Hand painting and 2D art expression techniques were used. Work Ⅶ had a theme as deconstruction. The deconstruction involves even the power of maintaining along with the simple dismantlement based on a philosophical theory as saying of proceeding with de-constructing the existing definition and concept. Damage, tearing, drilling, and exaggeration, which are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were borrowed. A form of the exaggerated and broken nail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earing, drilling, damaging and making a groove with escaping from a form of the so-called nail. Pale colors in black, gray and white were used. Work Ⅷ had a theme as infra apparel, which shows the phenomenon of the underwear outfit. As infra apparel is the most comprehensive concept, it implies a general term of all the basic clothes, which are put in the outer clothing. A dimensional feeling of underwear was given with the 2D expression technique applying builder gel to bra, pants, and corset. Lace pattern available for adding a feeling of underwear was made the hand painting by borrowing a pattern of lace, which is a typical material of infra apparel. Work Ⅸ had a theme as romantic. There are diverse details such as embodying romantic-affluent floral pattern or delicate color, ribbon · frill · ruffle · shirring. 5 colors in red, purple, yellow, pink, and salmon pink were used by having a rose as a motive. A rose was expressed with 3D art by using acrylic system. Romanticism was added by using pearl stone. Work Ⅹ had a theme as fantastic, which is adjective of fantasy, as a meaning of illusion. Fantastic clothing is emphasized the combination of colors rather than style or design. A color was used purple, pink, white, gold and silver. White gel was put over the volume-based expression by using glitter gel. Swarovski stone, which glitters much more brilliantly than cubic, was used. This work focused on color, and a big and glittering feeling. This study was analyzed fashion trend in 2017 and developed totally 10 pieces of the nail art design with the integration of this, thereby having been available for proving that the nail art is one genre tha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fashion, as the total fashion for satisfying an individual's aesthetic desire and expressing personality. It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a development and a research of the originative design based on a fashion trend along with the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nail art design even in the future.

      •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강연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자기애의 하위요인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 소재의 4년제 대학생 중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지 24부를 제외한 총 3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내현적자기애 척도, 진로미결정 척도,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 요인과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해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해서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의 모든 하위요인은 진로미결정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진로미결정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진로미결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내현적자기애의 하위 요인 모두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내현적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인정욕구/거대자기 환상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목표불안정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내현적자기애의 모든 하위요인과 진로미결정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내현적자기애의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 및 과민/취약성과 진로미결정 간 관계에서 억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내현적자기애와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활용해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담에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 relation to the sub-factor of covert narcissism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lation of career indecision. To that end, 385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24 unsincere responses, among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lf-reporting questions, including the measure of covert narcissism, the measure of career indecision,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he factor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demographic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SPSS 20.0 for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eavy return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showed a career indecision and a static correla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career indecision and a static correlati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an amulet correlation with career indecis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over-sensitivity/weakness, desire for recognition/grandiose self-fantasy, and amulet with insecurity in goal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oduce a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all th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career indecision.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s a deterrent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grandiose self-fantasy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over-sensitivity/weakness and the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how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covert narcissism and perfectionist tendencies, and intervene in counseling so that they can decide their career path by utilizing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 of job stres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and the effect of adjusting resilience.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ili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household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specialty, status of current employment, methods of job prepara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ili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of a family? Third, do job stress, resili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predi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areer readiness show resilience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First, men showed lower level of job stress and higher level of resilience for recovery than women, and senior grades showed higher resilience for recovery than lower grades and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majors, the recoveryacademical department showed greater resilience in recovery and career preparation than the humanities and social sectors, and the more job activity they have, the more job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y show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how the job was prepared. Second, if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job stress has shown a static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oeconomic status, wherea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shown a static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resilience. Thir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did no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both job stress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produce resilience to restore and adjus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s.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계열, 현재 취업활동 여부, 취업준비방법)에 따라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회복탄력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 회복탄력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는가? 넷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조절효과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253명이며, 설문은 취업스트레스, 진로준비행동, 회복탄력성,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구성되었다. 연구가설인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전체 점수,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가 여자에 비해 낮은 수준의 취업스트레스와 높은 수준의 회복탄력성이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고학년이 저학년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높은 동시에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로는 자연/공학계열이 인문/사회계열에 비해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취업활동을 할수록 높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준비방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주요변인간 관계를 살펴보면, 취업스트레스는 진로준비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회복탄력성,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반면, 진로준비행동은 취업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취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모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직업전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홍성아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현장을 벗어나 타 직종으로 직업을 전환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들의 직업전환 경험과정과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직업전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복지현장의 갈등 과정과 구조를 드러내고, 사회복지사들의 심리적, 내적 반응과 그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업전환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하고 심층적인 경험이 무엇이며, 그러한 경험들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6년 8월부터 10월까지 사회복지현장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사회복지사의 직업전환 경험들은 116개의 의미단위와 30개의 하위구성요소, 10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분석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직업전환의 과정, 직업전환 후 사회복지사의 삶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로 사회복지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 <인간관계의 불협화음과 부적응>, <비합리적인 조직풍토>, <외면당하는 사회복지사의 기본권>, <사회복지에 대한 외부의 왜곡된 인식>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복지사로서 기대했던 역할의 불일치와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 혼동으로 인해 사회복지의 장기적 비전을 찾기 어려웠다. 또한 이들은 업무와 인간관계에서 오는 부정적 경험들을 통해 상처와 소진을 경험하였다. 무엇보다도 이들은 사회복지현장의 실적 중심주의, 무사 안일주의, 의사소통의 부재와 권력의 횡포와 같은 비합리적인 조직풍토 가운데 상처를 받았다. 더욱이 이들은 클라이언트나 상사, 조직으로부터 존중받지 못하는 사회복지사의 인권과 근로자로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복지현장,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직 종사자들에 대한 왜곡된 사회적 인식들이 결국 사회복지직의 직업적 전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이고, 전문직으로서의 자존감을 훼손하는 요인으로써 직업전환의 동기가 된다고 지적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경험들이 반복되고 누적될수록 사회복지현장을 떠나야겠다는 결심을 갖게 되었다. 두 번째로 사회복지사의 직업전환 과정에 대해 도출한 구성요소는 <모험과도 같은 직업전환의 길: 자기회유와 망설임>, <모험과도 같은 직업전환의 길: 벼랑 끝의 선택>, <새로운 직업에 도전과 적응: 효능감과 만족>, <새로운 직업에 도전과 적응: 회고와 갈등>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복지현장에서 버티기 위해 스스로를 독려하고 역량의 향상을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였고, 누적되는 소진으로 인해 퇴사를 결심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더 이상 꿈꿔오던 복지가 아님을 깨달으며 현실에 대해 체념하고 절망하며, 직업전환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들은 사회복지가 아닌 분야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컸지만, 새로운 도전을 결정하게 되었고, 새로운 직업 현장에서 성공적인 만족감과 또 다른 갈등을 경험하면서 사회복지현장에 대한 그리움을 회고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업전환 후의 삶에 대해 도출한 구성요소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감 유지>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복지현장에 종사했던 자로서 사회복지현장 밖에서도 사회복지의 가치와 신념을 고려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복지의 가치를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에 일정수준 이상의 전문성을 갖춘 경력직 사회복지사들의 직업전환 과정에 대한 집중적 탐색연구로써, 사회복지직의 다양한 이직 유형을 파악하고,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적인 문제들을 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직업전환의 과정에 대한 기존 이직관련 양적 연구의 결과에서 탐색한 이직관련 요인들을 명확화하고 구체화하였으며, 동시에 직업전환 전후에 경험하게 되는 양가감정과 심리적ㆍ사회적 적응에 이르는 배경 요인을 심층적으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또한 이를 근거로 사회복지사들의 직업전환에 대한 효율적인 개입방안 마련을 위하여 물리적 환경개선과 제도적 안전망을 구축함은 물론, 심리ㆍ정서적 지지와 갈등 완화 등을 위한 심리ㆍ정서적, 사회적 업무환경 개선의 중요성도 시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직업전환을 감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복지사의 가치를 실현하는 삶’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가치지향적인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직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직업전환 후에도 생활 속의 사회복지 실천자로서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저변확대에 기여할 뿐 아니라, 비사회복지 영역에서 지역사회나 기업이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자원을 연결하는 가교역할과 같은 순기능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긍정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social workers having a specialized job leave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transfer to other types of occupations and examin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ir career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flict and structure foun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hich social workers come to experience in their career change and explore their psychological and inner responses and how they chang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has surveyed social workers having experience in working at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explored what they come to face in their career change diversely and profoundly and what their experience means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August until October, 2016 to 10 social workers having experience in working at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or over five years for collecting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career change found through this was drawn into 116 meaningful units, 30 subcomponents, and 10 components. The results analyzed by this can be examined in terms of structural problem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workers’ life after their career change. First, as components classified as structural problem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is author has found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discord and maladjust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unreasonable organizational climate>, <social workers’ fundamental rights disregarded>, and <distorted recognition on social welfare from outside>. The participants find it hard to get a long-term vision from social welfare due to the discord of roles they have expected and confusion in their identity as social workers. Also, negative experiences coming from their workloa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urt and exhaust them. Above all, they get hurt by the unreasonable organizational climate, for example, performance-orientedness, complacency, absence of communication, or tyranny of the authority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y also point out that social workers’ human rights failing to be respected by clients, superiors, or the organization, the field of welfare unwilling to secure their rights as workers, and distorted social recognition on social welfare or social workers are all problems deteriorating their occupational expertise and form motivation for their career change as factors damaging their self-esteem to have a specialized job. The participants say they decide to leave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s such experiences are repeated and accumulated. Second, components drawn about the process of social workers’ career change include <the path of career change like an adventure: self-conciliation and hesitation>, <the path of career change like an adventure: making a choice on the edge of a precipice>, <giving a challenge for a new occupation and adaptation: 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giving a challenge for a new occupation and adaptation: retrospect and conflict>. The participants encouraged themselves and made effort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to keep working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but failed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finally decided to leave on account of accumulated exhaustion. The participants realized the condition of welfare was not like what they had expected and felt resignation and despair about the reality and came to consider career change. Although they had much concern and fear about the field different from social welfare, they decided to give a new challenge. But feeling satisfied with success in the new field of occupation and facing a different sort of conflict, they also expressed their yearning about the field of social welfare. Lastly, the component drawn about their life after career change is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social workers>. The participants as those once engaged in social welfare maintain the value and belief of social welfare outside the field as well and are practicing the value of social welfare in their own ways. This is exploratory research intensively dealing with the process of career change in experienced social workers equipped with a certain level of expertise in terms of practice and knowledge in social welfare. It has been a chance to examine the types of career change in social welfare profession and structural problems foun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lso, this study is noteworthy in that it has clarified and concertized career change-related factors found in advanced quantitative research on career change in social workers and also concretized ambivalent aspects found before and after their career change and background factors leading them to psychologicalㆍsocial adaptation profoundly. Also, based on that, this author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institutional safety networks and improve physical environment to devise efficient interventions for social workers’ career change and also enhanc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work environment for providing them with psychologicalㆍemotional support and relieving their conflict. Particular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ound that even after career change, social workers strongly tend to pursue ‘life to realize value as a social worker’ and verified their identity in social welfare profession as a value-oriented specialized job. This presents a positive implication that even after career change, social workers contribute to improving recognition on social welfare and expanding the base as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in life and also can play proper-functioning roles in non-social welfare areas as a bridge that connect resources so that either communities or companies can tak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play their roles desirably.

      •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백제 문화권 방문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전희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 국가와 사회의 정체성을 담은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긴 역사만큼 다양한 문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은 향후 문화 강국이 될 수 있는 커다란 잠재력이 있다. 한국의 다양한 역사 문화 자원 중에서 백제는 다양하고 풍부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백제 문화권에서 문화적 가치가 높은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면서 백제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백제의 유물과 문양을 분석해보고, 이를 응용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관련 산업에 다양하고 새롭게 접목한다면 백제 문화 자원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백제 문화 자원의 아름다움과 상징성을 담아낸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먼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백제 문화권 방문객들의 패션 문화 상품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써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백제의 역사와 다양한 문화 자원에 대해 살펴보고, 문양에 대한 의미와 한국 문양의 특징, 한국 문양의 분류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패션 문화 상품에 대한 개념과 선행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제 문화 상품 현황과 국립공주박물관과 국립부여박물관의 유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물의 문양을 분석했으며, 문양별 유물에 대한 분류도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고, 실증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백제 문화권 방문객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30~39세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교육 수준은 대졸 이상, 직업은 회사원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가구의 월평균 수입은 300만 원에서 399만 원 사이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과거 패션 문화 상품 구매 경험은 응답자의 74.8%가 있다고 응답을 했으며, 응답자의 34%가 향후 패션 문화 상품 구매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을 하였다. 패션 문화 상품 구매비용으로는 1만 원에서 3만 원 미만이 44.7%로 나타났다. 향후 구입하고 싶은 상품으로는 티셔츠, 가방, 스카프, 손수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패션 문화 상품 구입 시 중요하게 여기는 결정 요인으로는 가격, 실용성, 품질 등의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백제 유물과 문양을 반영한 패션 문화 상품 구매 시 중요하게 여기는 구매 결정 요인은 디자인, 색상, 독창성, 문양 등의 심미적 측면과 전통적 가치, 소장 가치, 희귀성 등의 의미적 측면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백제 패션 문화 상품 개발을 위해서는 디자인과 실용성에 바탕을 두고 여기에 전통적 가치를 반영한 독창적(독특성)인 상품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자인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보면, 선호하는 문양으로는 식물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색상 이미지로는 우아한 이미지, 경쾌한 이미지, 내추럴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백제 유물과 문양을 활용한 패션 문화 상품 개발에 적합한 색상 이미지로는 우아한 이미지, 화려한 이미지, 내추럴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백제 문화를 대표한다고 생각하는 유물과 백제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유물 대해서는 금동대향로, 금제관식, 금동광배, 와당, 진묘수 등의 순으로 같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백제를 대표한다고 생각하는 유물을 활용해서 백제 패션 문화 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기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적용과 변형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은 백제의 유물과 문양을 디자인에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현대적 감각에 맞추어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항목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백제 패션 문화 상품 개발을 위해서는 전통성을 이어나가면서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재해석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었다. 20대에서 50대 방문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정한 35개의 변수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7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에 속해있는 요인들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내용으로 ‘변화·여가 지향형’, ‘실용·정보 지향형’, ‘유행 지향형’, ‘과시·쇼핑 지향형’, ‘사회 지향형’, ‘환경 지향형’, ‘경제 지향형’으로 명명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을 하위 차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응답자들을 묶어 집단을 만들기 위해 7개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으로 군집 분석을 시행하여 ‘과시적 패션 지향 집단’, ‘사회적 유행 지향 집단’ ‘친환경적 여가 지향 집단’의 3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군집별 구매 행동 분석 결과, 패션 문화 상품의 구매에 대한 관심 정도에서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패션 문화 상품 구매 결정 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군집별 선호 문양의 차이에서는 자연문, 동물문, 인공물문, 복합문에서 군집별 'Culture' which include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societ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circumstance, Korea which has a long history and diverse cultural resources has great potential of growing to cultural power. Baekje held various and plentiful cultural ones of Korean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In particular, since diverse remains and relics with cultural value were excavated in the Baekje cultural area, the cultural value of Baekje has actively been highlighted. To let the world know about the excellence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Baekj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ics and patterns of Baekje, develop application designs, and apply them to relevant industries diversely and newl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designs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which include the beauty and symbolism of Baekje culture. For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lifestyl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lifestyles, this study surveyed lifestyles as a tool to find Baekje cultural visitors' needs for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explored the history and diverse cultural resources of Baekje whose cultural value is highly recognized these day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patterns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patterns; analyzed the patterns in remains data of Buyeo National Museum and Gongju National Museum, according to which the most found were geometric patterns, followed by object patterns and plant patterns. Previous studies on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and fashion culture products related to Baekj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ulture products relevant to Baekje culture and remains are on the rise, and that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which include characteristics of Baekje region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the designs using remains and patterns of Baekje and the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applie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theoret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ekje cultural visitors, women outnumbered men in terms of age; those between 30 and 39 years accounted for a high rate in terms of age; thos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more reached a high rate in terms of education; office workers amounted to a high rate in terms of occupation; those who earned KRW 3 million to 3.99 million accounted for a high rate in terms of monthly household income.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any experience of purchasing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74.8% of all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the experience, and 34% repli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the cost of purchasing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44.7% replied that they spent KRW 10,000 to 30,000. Regarding the products to purchase in the future, the most found were T-shirts, followed by bags, scarves, and handkerchiefs. The determinants of respondents in their purchasing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were price, practical aspects including practicability, and quality, whereas the determinants in their purchasing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reflecting remains and patterns of Baekje were first aesthetic aspects including designs, colors, uniqueness, and patterns, and then meaningful aspects including traditional value, value of possession, and rarity. In other words, to develop Baekje fasion and culture products, it is considered that on the basis of design and practicability, unique products reflecting traditional value need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design, the most favorable patterns were plant patterns, and favorable color images were elegant image, cheerful image, and natural image in order. The color images suitable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reflecting Baekje remains and patterns were elegant image, showy image, and natural image in order. The remains which represent Baekje culture and are suitable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Baekje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were Gilt-bronze Incense Burner, Gold Crown Ornaments, Golden Halo, Roof-end Tile, and Animal-shaped Artifact in order.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Baekje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using the remains representing Baekje. When it came to the application and change of design, respondents thought that Baekje remains and patterns should be applied to design, and the mean value of the questions as to modernistic design was high.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o develop culture product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products which include both tradition and modernistic desig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5 variables determined to measure lifestyles of visitors in their 20s to 50s. As a result, seven factors were drawn and were named ‘Change & Leisure Orientation Type’, ‘Practice & Information Orientation Type’, ‘Fashion Orientation Type’, ‘Showing & Shopping Orientation Type’, ‘Society Orientation Type’, ‘Environment Orientation Type’, and ‘Economy Orientation Typ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rawn seven lifestyle factors to group respondents who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 categories of lifestyles. As a result, the classification was made into three groups:‘showy fashion orientation group’, ‘social fashion orientation group', and 'eco-friendly leisure orientation group'. The purchase behavior of each group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nterest in purchase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and also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determinants of fashion and culture products. Social fashion orientation group and eco-friendly leisure o

      • 초박막 코팅 기술에 대한 연구

        최종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록 본 연구는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의 박막화 고적층화, 고용량화를 위한 그린시트 성형을 장비 기술을 연구하고자 하며 , 성형시 발생하는 누적 공차를 줄이기 위한 성형 기술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성형 방식은, ON-ROLL TYPE으로, Roll과 Web 간 누적 공차가 심하여 박막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On-roll type의 경우 누적 공차는 1) 성형 장비의 roll 면에 닿는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Web의 두께 공차, 2) Web의 진행 방향으로 Roll사이에 유입되는 공기층에 의한 공기 유입 공차, 3) Slot Die Lip 면 과 Web이 접촉 시 발생되는 공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BACK ROLL을 사용하지 않는 OFF-ROLL TYPE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기존 방식에는 성형 두께가, 3㎛이상 (±2%)였으나, OFF-ROLL TYPE 에서는 1㎛ 이하(±1%)의 두께와 공차를 실현 하였다. 이를 통하여 성형 코팅의 박막화로, 인쇄 정밀 안정성과 다적층화 실현에 성공적 기술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n not only focuses on the green sheet casting technologies which will enable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to fabricate of thin, operate multi-layers technology, and enlarge the volume ofelectronic storage, but also focuses on how to improve casting technology by reducing accumulated tolerance.Basic Casting process, which is ON-ROLL-TYPE, is having a difficulty of enabling fabricating of thin because of accumulated tolerance between Roll and Web.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Web has cell gap tolerance. This cell gap tolerance is created by the part that touches the side of Roll. Second, a layer of air is created between the Web and Roll, which we call it Air-Inflow-Gap-Tolerance. Third, a gap tolerance of Slot Die Lip is occurred when Slot Die Lip side contacts with Web, and it is very problematic in casting coating process because this gap tolerance of Slot Die Lip makes more gap tolerances in Roll and Web.One way to fix these problems is to utilize OFF-ROLL TYPE instead of utilizing BACK ROLL. If the thickness of an original casting technology has is over 3µm (+/- 2%), BACK ROLL is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thickness to under 1µm (+/- 1%). So, OFF-ROLL TYPE will get rid of accumulated tolerances, which means it enables fabrication of thin, so that we can obtain high quality or multi-layer technology and printing technology. Choi Jong Chan

      •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재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300부 중 최종적으로 259부(86%)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사용한 연구 도구는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석열(2006)의 진단 척도를 기초로 서정은(2013)이 제작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미선(2000)이 제작한 설문지를 기초로 정훈희(2004)가 제작한 설문지와 김진아(2010)가 제작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하여 소병만(1998)이 제작한 설문지를 기초로 김명수(2011)가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 변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ɑ계수를 산출하였다.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감성리더십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역량(사회적 인식 능력과 관계 관리 능력)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감성리더십 하위 요인 중 사회적 역량(사회적 인식 능력과 관계 관리 능력)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낮은 직무만족도와 높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에게 원장들은 감성리더십을 발휘하여,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어 보육의 질적 향상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키네틱 아트를 응용한 무용 의상 디자인 연구

        김윤지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서 예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무용은 타 예술과의 결합과 다원화를 통해 종합 예술로 정의되고 있는데, 이는 과학 기술과 기계가 무용에 결합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의 안무를 통해 움직임을 나타내는 예술로, 순수한 움직임을 본질로 하는 키네틱 아트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무용이 안무에 의한 동적인 움직임이라면 키네틱 아트는 사물에 의한 동적인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키네틱 아트는 과학과 예술의 결합을 통해 움직임을 최초로 도입한 예술로, 실재적 움직임과 더불어 인공적 빛을 활용하거나 관람자의 참여를 유도한다. 예술가들은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고 있으며 키네틱 아트는 다양한 분야와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로 발전하고 있다. 무용에서 키네틱 아트의 활용은 무용 작품의 주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시각 예술인 무용은 일방적인 소통을 통해 관객에게 다가가는 반면 키네틱 아트와 결합된 무용은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상호소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용과 키네틱 아트는 실재 움직임이라는 동질성을 지니며 움직이는 무용수의 몸을 통한 무용과 기계와 과학 기술이 활용된 키네틱 아트의 결합은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자연적 움직임과 인공적 움직임으로 분류하였다. 키네틱 아트, 패션, 무용 분야의 사례 분석을 통해 조형성을 도출하고 공통적인 조형성을 무용 의상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라이트-키네틱 아트 무용 의상을 제작하기 위해 릴리패드 아두이노와 다양한 형태의 LED를 사용하고자 한다. 무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키네틱 아트를 무용 의상에 응용하여 무용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무용과 타 예술의 결합을 통해 공통적 조형성을 도출하여 시각 연구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키네틱 아트, 패션, 무용을 접목시킨 키네틱 아트를 응용한 무용 의상은 무용 의상의 새로운 장을 여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은 키네틱 아트 및 패션, 무용 분야 문헌 자료와 국내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예술 분야 웹사이트. 전시 및 무용 공연 참관, 패션컬렉션, 각종 국내·외 매거진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키네틱 아트의 개념 및 표현 방법을 파악하고 공통적인 조형성을 도출한 후, 키네틱 아트를 응용한 무용 의상 디자인 작품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키네틱 아트의 개념과 2가지 분류를 바탕으로 4가지의 조형성을 도출하였고 키네틱 아티스트 4명의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론 연구를 중심으로 패션과 무용 작품에서 키네틱 아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조형성을 도출하였고, 라이트-키네틱 아트 무용 의상을 위해 텍스타일을 3가지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첫째, 20세기 초 키네틱 아트는 자연적 움직임을 활용한 작품과 인공적인 움직임을 활용한 작품들을 창출하고 있다. 가보의‘라-샤트(La-Chatte)'는 무용과 키네틱 아트가 결합한 작품으로 조각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빛이 반사되는 공간을 통해 빛의 효과를 창출하였고 무용수의 움직임과 함께 시공간적인 조형성을 표현하였다. 둘째, 무용은 1980년 이후 키네틱 아트를 활용하여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식을 선보였다. 키네틱 아트는 무용에서 무대 미술로 나타나거나 무용 작품 내에 사용되어 무용수의 역할을 대체하였고, 최근 키네틱 아트를 도입한 무용은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예술가들은 활발하게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칼더는 그레이엄과 협업하여 대표적인 모빌 작품과 함께 두 차례의 작품을 선보였는데 모빌은 <칼더의 서커스(Calder's Circus, 1926~1931)에서 무대 미술이나 도구로 사용되었고 두 번째 무용 작품에 도입된 모빌은 조형적 미술 장치로 사용되었다. 넷째, 키네틱 아트, 패션, 무용의 조형성을 종합한 결과 운동성, 변형성, 우연성, 빛의 작용, 시지각성, 유희성 6가지로 분류하였다. 세 분야의 공통적인 조형성은 운동성으로 바람에 의한 움직임, 착용자의 움직임을 통한 의상의 움직임, 무용수의 동작에 의한 움직임이 있고 인공적인 빛을 통한 움직임이 있다. 다섯째, 라이트-키네틱 아트를 위한 무용 의상 텍스타일 중 릴리패드 아두이노는 작은 꽃잎 모양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로 원단에 전도성 실을 이용해 메인보드와 전원장치, 다양한 센서 등을 무용 의상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지만 소수의 무용 의상 디자이너들에 의해 릴리패드 아두이노는 무용 의상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응용한 무용 의상을 전개하고자 다양한 소재를 응용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작품 구성은 자연적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작품 2점과 자연·인공적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작품 3점과 인공적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작품 3점으로 총 8점으로 되었다. 작품 Ⅰ은 운동성과 우연성을 표현하기 위해 미풍에도 움직이는 깃털 소재와 진주 줄 장식을 사용하였다. 심플한 디자인의 드레스는 모빌을 모티브로 하였고 줄과 진주 장식을 유희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 Ⅱ는 유희성을 표현하기 위해 교차기법을 사용한 드레스로, 자연적 움직임인 바람을 통해 운동성, 우연성을 나타내었고 비즈장식을 통해 빛의 작용을 표현하였다. 원피스는 우아하고 화려한 느낌의 풍성한 A라인과 브라운 계열의 3가지 색상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작품 Ⅲ은 바람효과를 활용하여 운동성, 우연성을 나타내기 위해 아이보리 공단을 사용한 한국적 드레스이다. 빛의 작용을 표현하고자 넥라인을 따라 스트립 타입의 네오픽셀 LED를 사용하였다. 스커트 전체에 된 꽃잎 장식은 바람을 통해 꽃잎이 흩날리는 움직임을 유발한다. 작품 Ⅳ는 바람 효과를 통한 운동성, 우연성을 깃털 장식과 스팽글로 표현하였고 빛을 작용을 표현하기 위해 플렉시블 LED와 릴리 타이니를 부착한 투피스 형태이다. 레오타드와 풍성한 느낌의 랩 스커트로 제작하였는데 스커트에 부착한 스팽글은 무용수의 동작과 환경에 의해 떨림과 흔들림으로 나타난다. 작품 Ⅴ는 릴리패드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레오타드와 스커트로 이루어진 투피스로 인공적인 움직임인 빛의 작용과 운동성, 유희성을 표현하였다. 레오타드는 가우디 건축물의 곡선 느낌을 나타내기 위해 비즈와 릴리패드 아두이노로 장식하였는데, 릴리패드 아두이노의 USB 보드를 사용하여 빛이 규칙적으로 움직이도록 제작하였다. 스커트는 태슬 장식을 통해 무용수가 움직이면 바람에 의한 운동성으로 표현하였다. 작품Ⅵ은 우아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엠파이어 라인의 아이보리 컬러의 시폰 원피스로 제작하였다. 인공적인 움직임인 빛의 작용과 유희성을 표현하기 위해 네오픽셀 LED를 활용하였는데 원피스 상의에 링 타입의 네오픽셀 LED 사용하여 어두운 조명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LED의 색이 다양하게 변화하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Ⅶ은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풍성한 샤소재를 사용한 상박하후 실루엣의 원피스이다. 빛에 의한 운동성, 우연성을 표현하기 위해 플렉시블 LED를 활용하여 원피스 밑단에 부착하였고 관객은 무용수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LED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알 수 있게 제작하였다. 작품 Ⅷ은 무대 조명에 의한 빛의 운동성을 표현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스팽글 소재로 제작하였다. 무용수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빛은 관객에게 유희성을 주고 빛에 반사작용에 의해 시각적인 운동성이 표현된다. 본 연구는 무용 의상에서 키네틱 아트의 활용과정을 통해 적극적인 표현 방법으로 무용 의상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키네틱 아트를 무용 의상에 적용시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패션과 무용을 전공한 예술가가 릴리패드 아두이노, 플렉시블 LED, 네오픽셀 LED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후속연구에서는 키네틱 아트를 응용하여 독창적인 무용 의상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무용 의상의 소재를 개발하고 디자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rt is developing rapidly in modern society. Dance is defined as comprehensive art through its combination with other arts and pluralization, which plays a leading role in combining technology and machines into dance. Dance is an art that represents movement through the dancer's choreography, which has a common characteristic with Kinetic Art, which is based on pure movement, if dance is a dynamic movement by choreography, then Kinetic Art is a dynamic movement by objects. Kinetic art is the first art to introduce movem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science and art, and uses artificial light in addition to actual movement or induce a viewer participation. Artists are attempting new experiments on motion, and Kinetic Art is developing into original art through diverse fields and collaboration. The use of Kinetic art in dance conveys the theme of dance works more efficiently. While the visual art of dance approaches the audience through one-sided communication, the dance combined with Kinetic Art is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by utilizing a variety of factors. Thus, the combination of dance and Kinetic art, which has the homogeneity of real movement, through the body of a moving dancer is being tried variously in terms of creative and creative art. In this study, the motion of Kinetic art was classified as natural and artificial. Through case analysis in the Kinetic art, fashion and dance field, we seek to derive formality and apply common formulation to dance costume. It wants to use Lillipad Aduno and various types of LEDs to produce light-Kinetic art dance costum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ance, Kinetic art is applied to dance costume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theme of dance work. As such, dance costumes that apply Kinetic art, which incorporates Kinetic art, fashion and danc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in deriving common formal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dance and other arts, are meaningful in opening a new chapter in dance costume.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materials in the fields of Kinetic art, fashion and dance,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nd websites in the field of art. It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exhibitions and dance performances, fashion collections and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magazines. After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expression method of Kinetic art and eliciting a common formulation, eight pieces of dance costume design works were produced. Based on the concept of Kinetic art and two classifications, this study derived four kinds of formative properties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four Kinetic artists. Formality was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of Kinetic art in fashion and dance works centering on the theoretical study, and texture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or light-Kinetic art dance costumes and analyzed. First, in the early 20th century, Kinetic Art is creating works that utilize natural movements and artificial movements. Gabo's 'La-Chatte' is a combination of dance and Kinetic art, using transparent materials to express sculptural characteristics. Light effects were generated through the reflecting space and time-space modelling was expressed along with the movements of dancers. Second, dance took advantage of Kinetic Art since 1980 to introduce a new format that has not been seen in the past. Kinetic art has replaced the role of dancers by appearing as stage art in dance or being used in dance works, and the recent introduction of Kinetic Art has resulted in various art fields and artists are actively collaboration. Third, Calder collaborated with Graham to present two works of representative mobiles, which were used as stage art or as a tool in Calder's Circus and as a formative art device in the second. Fourth, the composition of Kinetic art, fashion and dance was combined and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motility, deformity, fluency, action of light, visual perception and amusement. Common modelling in the three fields is kinematic, with wind-induced movement, clothing movement through wearer movement, dancers' movement, and artificial movement through light. Fifth, during the dance costume textures for light-kinetic art, Lilipad Aduno is a micro-controller board shaped like a small petal, and uses the main board, power unit and various sensors on the dance outfits using conductive thread on the fabric. Though not universally used, Lilipad Aduno is being used in dance costume by a handful of dance costume design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cus was on applying various materials to develop dance costume that applied the movement of Kinetic art.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totaled eight points, with two works based on natural movement, three based on natural and artificial movement and three based on artificial movement. The Work I used feather material and pearl string decoration that moved even in breeze to express motility and coincidence. The simple design of the dress was motif by mobile and wanted to show the joy of string and pearl decoration. The Work II is a dress that uses cross techniques to express amusement, expressing motility and coincidence through the wind, which is a natural movement, and expressing the action of light through the beads. The dress was made using three colored fabrics of the Brown line and an elegant and colorful A-line. The work III is a Korean dress that uses the Ivory Coast to represent athletic and accidentality by utilizing wind effect. A strip-type Neo-pixel LED along the neckline was used to express the action of light. The decoration of petals throughout the skirt triggers the movement of the petals through the wind. The work IV is a two-piece form with flexible LED and Lily Tinyi to express the action of the light, expressing motility and coincidence through wind effect in feather decoration and sphinx. Made of leotard and voluminous rap skirt, the spangles attached to the skirt appear to tremble and shake by the dancers' movement and the environment. The work V used Lillipad Aduno to express the action of light, motility and amusement, an artificial movement with a two-piece consisting of leotard and skirt. Leotard was decorated with beads and Lillipad Aduino to show the curved feel of Gaudi’s architecture, which was designed to move light regularly using Lillipad Aduino’s USB board. Skirt was described as wind-driven motility when a dancer moved through tassel decoration. To create an elegant image, the work VI was made from the ivory-colored cyphon dress of the Empire Line. Neopixels LEDs were used to express the action and playfulness of light, which are artificial movement. Using ring-type Neo-pixel LED on one-piece top, they were designed to vary the color of LED from dark light to dancer’s movement. The work VII is a one-piece of the upper-and-lower silhouette, which uses a wealth of Sha material to express its Korean image. To express the mobility and coincidence of light, flexible LED were used to attach them to the bottom of one-piece and the audience was made to know the dynamic movements of dancer through various changes of LED. The work VIII was made entirely out of spangles to express the motility of light by stage lighting. The changing light according to the dancer's movement gives the audience amusement and visual motility is expressed by the reflexes of the light. This study confirmed that dance costume can be produced in an active way through the process of using Kinetic art in dance costumes. Also, by applying Kinetic Art to dance costume, it is meaningful that the artist, who majored in fashion and dance, presented a creative design using Lillipad Aduino, Flexible LED and Neo-Pixel LED. Further, further research will require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various new materials of dance costume to develop original dance costume design by applying Kinetic Art.

      •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New-tro) 패션 디자인 연구

        고은빛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도화된 문명사회에 살아가는 1020세대는 새로움을 추구한다. 다양성이 특징이 된 현대사회에서 더 이상 새로운 것은 찾기 어려워졌다. 이 역설적인 상황이 새로운 트렌드인 뉴트로가 떠오르는 배경일 것이다. 뉴트로란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신조어로, 완벽하고 매끈한 것 보다 옛 것의 불완전함이 새로운 매력 포인트가 되고 있다. 더 이상 옛 것인지, 새 것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독특함과 개성을 추구할 수 있는가가 중요해졌다. 그런 의미에서 뉴트로가 1020세대에게 주는 느낌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특히 패션에서 뉴트로 경향은 20세기의 다양한 아이템이 새롭게 등장하고, 단지 예전의 디자인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현대적 감각의 개성과 아날로그적 감성을 결합하여 기존의 레트로와 차별화를 추구하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사례분석과 트렌드 조사를 통하여 뉴트로 경향이 보이는 애니멀 패턴, 플라워 패턴, 체크 패턴 등 여러 패턴들 중에서 트레디셔널 체크 패턴이 뉴트로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체크 패턴과 이질적 소재의 믹스 앤 매치로 창의적이고 새로운 뉴트로 트렌드의 여성복 패션 디자인을 개발 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뉴트로 트렌드가 패션에 어떠한 방식으로 접목되었는지 알아보고, 체크 패턴과 뉴트로 패션의 특징을 응용하여 새롭고 감각적인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뉴트로 트렌드의 기반이 되는 레트로, 뉴트로와 관련된 문헌, 선행 연구, 인터넷 자료를 참고,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사례 분석은 뉴트로 패션 경향이 본격적으로 컬렉션에 나타나기 시작한 2018에서 2019 S/S, F/W, 2020 S/S 시즌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컬렉션과 패션 트렌드를 조사하기 위해 각 시기에 발표된 세계 4대 패션쇼의 컬렉션을 참고하고 이외에도 보그, 삼성디자인넷, 퍼스트뷰코리아 등과 같은 인터넷 사이트 자료 등을 적극 활용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뉴트로 패션의 특징을 클래식, 로맨틱, 스트리트로 분류하여 각기 다른 6벌의 의상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 되었다. I 장에서 연구 목적 및 의의,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II 장에서 뉴트로와 레트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뉴트로의 개념, 발생배경을 고찰하였고, 체크 패턴의 개념, 발생배경, 종류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III 장에서 컬렉션 시즌별로 뉴트로 패션의 트렌드와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체크 패턴을 연계하여 뉴트로 패션에 표현된 3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IV 장에서 뉴트로 패션에 표현된 특징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감각적인 작품 6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전체적인 구성은 클래식 2점, 로맨틱 작품 2점, 스트리트 작품 2점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Ⅴ장에서는 위에서 분석한 뉴트로 패션의 특징에 다양한 체크 패턴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사례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를 응용한 뉴트로 패션디자인 연구 및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에서 도출한 뉴트로 패션의 특징은 클래식, 로맨틱, 스트리트 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이 표현된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 패션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 패션에서 클래식은 고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스타일로, 단순하고 절제된 형태의 H실루엣이나 구조적인 테일러링의 특성은 그대로 지속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소재와 컬러, 테일러링 변화에 의하여 새로운 변화를 준 뉴트로 클래식 디자인을 보여줬다. 둘째,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 패션에서 로맨틱은 로맨티시즘을 가진 요소를 말한다. 자유분방한 표현을 주장한 낭만주의 시대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복식과 예술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영감을 받아 새롭게 재해석 한 여성적이고 로맨틱한 디테일을 사용한 뉴트로 로맨틱 디자인을 보여줬다. 셋째,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 패션에서 스트리트는 거리문화의 변용으로 생성된 패션으로 시작하였다. 현재에는 과거의 안티적 성향이 아닌, 고스, 펑크, 글램 등 과거의 다양한 테마와 현대의 애슬레저, 스포티즘의 조합으로 새로운 개인의 스타일과 창의적인 개성을 보여주고, 실용적인 디테일과 과감한 실루엣이 혼합된 다양한 뉴트로 스트리트 디자인을 보여줬다. 이와 같이 체크 패턴을 응용한 뉴트로 패션디자인의 특징을 응용하여 클래식 2점, 로맨틱 2점, 스트리트 2점으로 구성한 6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떠오른 트렌드인 뉴트로 현상과 체크 패턴에 대해 분석하여 뉴트로 패션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특징을 부각시켜 감각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기존의 빠르게 사라지는 패션 트렌드와 다르게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감성을 자극하였다. 또한 새로운 트렌드가 옛것에서도 비롯될 수 있음을 주목하고, 뉴트로 패션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eenagers and twen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20 generations”) who live in the advanced civilized society look for something new. It is difficult to find no longer anything new in modern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This paradoxical situation may be the background where a new trend, New-tro emerges. What is the New-tro? It is a neologism combined "New" with "Retro". The imperfection of the old things gets to be new charming point rather than things perfect and smooth. It is important not whether it is new or old but whether it is possible to pursue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In that sense, the feeling that the New-tro gives to 1020 generations was a fresh shock. Particularly in fashion, the trend of New-tro has made various items of the 20th Century appear. It isn't just to reproduce the previous designs. It newly appears as a design that seek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existing Retro by combining the individuality of modern senses and analog emotion. Among various patterns such as animal pattern, flower pattern and check pattern etc.,I think that the traditional check pattern reflects well the New-tro trend through case analysis and trend investig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omen's fashion design based on the new and creative New-tro trend by mix and match of various check patterns and disparate materials. Furthermore, there is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ere I will find out the way of engrafting the New-tro trend into fashion, and develop new and sensuous fashion desig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eck pattern and the New-tro fashion. As the method of this study, I referred to, analyzed and researched the Retro, which is basis of the New-tro trend, and literatures, advanced researches and internet data related to the New-tro. The scope of the case analysis is limited to 2019 S/S, F/W, 2020 S/S seasons from 2018 when the New-tro fashion trend begins to appear in a collection in earnest. I referred to 4 major fashion shows’ collections which were released at each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collections and fashion trends. In addition to it, I analyzed cases by actively utilizing internet data etc. such as Vogue, Samsung Design Net and First View Korea. As a result, I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New-tro fashion trend in to Classical, Romantic, and Street and made six pairs of clothes works where each of them is differen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In the Chapter I, it contain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content sand method of the study. In the Chapter II, I look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New-tro and Retro, concept of New-tro,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and straightened up the concept of check pattern, the background of occurrence and types of check patterns. In the Chapter III, I analyzed the New-tro fashion trend and cases by collection season and I drew out 3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New-tro fashion connected to the check patter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n the Chapter IV, I intended to suggest 6 pairs of works which are original and sensua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New-tro fashion. The works are composed of 2 pairs in Classical, 2 pairs in Romantic and 2 pairs in Street on the whole. In the conclusion of the Chapter V, I straightened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fashion analyzed as above and how they were expressed in case of adding various check patterns to these characteristics. I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esign applied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fashion drawn from the above process are 3 types of Classical, Romantic, and Street.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on the New-tro fashion applied check patterns where such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is as follows: First, in the New-tro fashion that was applied check patterns, the Classical is a style having classical factors. The Classical style retains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H silhouette’s simple and restrained form or structural tailoring, as they are, but it shows the New-tro Classical design that has been changed by various materials, colors, and tailoring changes. Second, in the New-tro fashion that was applied check patterns, the Romantic refers to elements that are inclined to romanticism. The Romantic style is inspired from the colorful and decorative costumes of the Romantic period when free wheeling expressions were advocated and from the overall art fields and by new lyre interpreting them, shows a romantic design with feminine and emotional romantic details. Third, in the New-tro fashion that was applied check patterns, the Street begins as a fashion created by a transformation of street culture. As a combination the past various themes such as Goth look, Punk and Glam not the meaning of negativity in the past, and the modern athleisure look and sportism, it shows newly differentiate individual style and creative individuality and shows various New-tro Street design where practical details and bold silhouettes are mixed. As above, six pieces of works composed of two pieces of Classical, two pieces of Romantic and two pieces of Street were made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fashion desig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heck patterns Through this study, I could analyze the New-tro phenomenon, which is a newly emerging trend and the check patterns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tro fashion and make sensuous and original works by highlighting such characteristics. Unlike the existing fashion trend which disappears fast, it stimulates the emotions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Furthermore,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new trend may originate from the old and expec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he New-tro fashion to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